KR102377114B1 -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114B1
KR102377114B1 KR1020200020930A KR20200020930A KR102377114B1 KR 102377114 B1 KR102377114 B1 KR 102377114B1 KR 1020200020930 A KR1020200020930 A KR 1020200020930A KR 20200020930 A KR20200020930 A KR 20200020930A KR 102377114 B1 KR102377114 B1 KR 102377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vent
water
filter
air pu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6145A (ko
Inventor
김성환
김현승
Original Assignee
김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승 filed Critical 김현승
Priority to KR1020200020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711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6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64Construction of air inlets or outlets in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5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 B01D46/00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iltering elements moving during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tional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6Apparatus having rotary means, other than rotatable nozzles, for atomising the cleaning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송풍구 및 환풍구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세척수가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송풍구 또는 상기 환풍구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어, 외부 공기를 송풍구로 흡입된 후 환풍구로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팬; 상기 세척수에 일부가 잠기는 디스크 형상으로 구현되며, 필터 표면을 통해 흐르는 세척수에 의해 공기내 이물질이 흡착 및 제거되도록 하는 디스크 필터; 상기 디스크 필터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필터 구동부; 상기 세척수를 물 입자 형태로 분무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을 생성 및 공급하는 초음파 모듈; 및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장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Ventilator with fine dust red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건물의 환풍 장치를 통해 공기 정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공기내 미세먼지 및 악취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여러 원인에 의하여 미세먼지의 발생이 심각해지고 있다.
미세먼지는 10㎛ 이하의 작은 먼지로 PM10이라 부르며, PM10보다 1/4 작은 초미세먼지는 PM2.5라 부른다. 세계보건기구는 초미세먼지를 1급 발암 물질로 지정하였으며, 폐렴 ㅇ 심장병 ㅇ 각종 암 외에도 다양한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다.
미세먼지 등으로 심각한 대기 오염에 시달리고 있는 중국 베이징에서는 3개의 공기 흡입구를 가진 높이 7m에 이르는 건물 형태의 세계최대 공기청정기를 도입하여 시험 운용을 검토 중이며, 하루 12시간 가동시 축구장 면적의 공기를 정화하는 것으로 2016년에 발표되었다.
다만,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공기 청정기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이 증가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공기 청정기는 실내 공간내 소규모 영역 단위로 공기 청정 동작을 수행할 뿐, 건물 단위로 공기 청정 동작을 수행하지는 못하는 한계를 가진다.
이에 국민생활 밀착 공간(학교, 음식점, 지하철 등) 그 외에도 축사(양계장, 돼지, 소 등)에서 건물 단위로 공기 청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건물의 환풍 장치를 통해 건물 단위로 공기 정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세척수 기반으로 공기 청정 동작을 수행하되, 안개 효과를 추가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공기 청정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송풍구 및 환풍구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세척수가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송풍구 또는 상기 환풍구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어, 외부 공기를 송풍구로 흡입된 후 환풍구로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팬; 상기 세척수에 일부가 잠기는 디스크 형상으로 구현되며, 필터 표면을 통해 흐르는 세척수에 의해 공기내 이물질이 흡착 및 제거되도록 하는 디스크 필터; 상기 디스크 필터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필터 구동부; 상기 세척수를 물 입자 형태로 분무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을 생성 및 공급하는 초음파 모듈; 및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장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디스크 필터는 나선 형상 또는 원판 형상으로 구현된 디스크 판 다수개가 모터 회전축에 중첩 결합된 구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스크 필터 구동부는 다수의 디스크 판이 중첩 결합된 모터 회전축; 및 상기 모터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송풍구 및 환풍구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세척수가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송풍구 또는 상기 환풍구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어, 외부 공기를 송풍구로 흡입된 후 환풍구로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팬;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수를 다수의 물줄기로 형상 변환한 후 분사하는 워터 필터; 상기 세척수를 펌핑하여 상기 워터 필터에 공급하는 워터 필터 구동부; 상기 세척수를 물 입자 형태로 분무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을 생성 및 공급하는 초음파 모듈; 및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장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워터 필터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 공간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가로지르며,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밑면을 가지는 파이프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워터 필터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 공간에 배치되며,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밑면을 가지는 다면체 형상의 수조로 구현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풍 장치는 세척수 윗면에 배치되는 소음 저감용 스펀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 환풍 장치를 이용하여 공기 청정 동작이 건물 단위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생활 밀착 공간(학교, 음식점, 지하철 등) 및 축사(양계장, 돼지, 소 등)에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세척수 기반으로 공기 청정 동작을 수행하되, 초음파 모듈을 이용하여 안개 효과를 추가적으로 발생시킴으로써, 공기내 이물질이 보다 효과적으로 분리 및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즉, 공기 청정 효율의 극대화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필터를 상세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의 공기 정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워터 필터를 상세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의 공기 정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의 공기 정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럭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100)는 건물의 창문, 환풍구 등에 부착되며, 케이스(110), 송풍팬(120), 디스크 필터(130), 디스크 필터 구동부(140),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모듈(150), 및 제어 장치(160) 등을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세척수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세척수는 케이스 내부 공간을 완전히 채우지 않고, 절반 이하로 채워서 디스크 필터(130)의 일부만이 잠길 수 있을 만큼 채워지도록 한다. 또한 세척수에 얼음 결정의 성장을 제한하는 결빙 방지제를 포함시켜, 영하 환경하에서 세척수에 기반한 공기 정화 기능이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스(110)는 서로 마주보도록 케이스 양측면이 형성된 송풍구(111) 및 환풍구(112)를 구비하여, 공기 유도 경로를 형성한다. 이때, 송풍구(111) 및 환풍구(112)에는 그물망이 씌워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이는 새, 곤충,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이 환풍 장치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어, 상부 케이스가 하부 케이스로부터 분리되거나 흰지 기반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장치 유지 관리 동작이 필요한 경우, 상부 케이스를 하부 케이스로부터 분리 또는 개방시킨 후, 보다 세척수를 버리거나 케이스 내부를 청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케이스(110)가 상부 케이스 및 하부 케이스로 분리 구성되는 경우, 송풍구(111) 및 환풍구(112)는 상부 케이스에 형성되거나,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접촉면 사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송풍팬(120)은 송풍구(111) 및 환풍구(112) 중 어느 한 곳에 부착되어, 외부 공기가 송풍구(111)를 통해 흡입된 후 디스크 필터(130)를 거쳐 환풍구(112)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크 필터(130)는 케이스(110)에 유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물 흡착력에 의해 분리 및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이물질은 미세먼지, 악취 등일 수 있다.
이를 위한 디스크 필터(130)는 도 2에서와 같이 디스크 판(131)을 나선 형상 또는 원판 형상으로 구현한 후, 다수의 디스크 판(131)을 모터 회전축(141)에 중첩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넓은 면적의 필터 표면을 확보하고, 필터 표면을 통해 흐르는 세척수에 의해 공기내 이물질을 흡착 및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2와 같은 디스크 형태는 차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 당연하다.
디스크 필터 구동부(140)는 다수의 디스크 판(131)이 중첩 결합된 모터 회전축(141)과 모터 회전축(141)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142)로 구현되어, 디스크 필터(130)가 회전축(141)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모터(142)는 회전축(141)의 양측단 모두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필요시에는 회전축(141)의 양측단 중 어느 하나에만 결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물론 당연하다.
즉, 디스크 필터(130)의 일부만이 세척수에 잠기도록 한 후, 디스크 필터 구동부(140)를 통해 회전 구동시킴으로써 세척수가 디스크 필터(130)의 표면 모두를 통해 자연스럽게 흐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디스크 필터(130)을 거쳐 흐르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필터 표면에 흡착된 후, 세척수에 의해 필터 표면으로부터 분리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초음파 모듈(150)는 케이스(110)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초음파 진동을 발생하여 케이스 내부 공간에 인가함으로써, 케이스 내부 공간에 수용된 세척수가 물 입자 형태로 분무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세척수가 물 입자 형태인 경우, 미세 먼지와의 흡착력이 더욱 증가하며, 미세 먼지가 흡착된 물 입자는 증가된 무게로 인해 세척수로 떨어지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더하여, 초음파 모듈(150)는 방수형 장치로 구현한 후, 케이스(110)의 내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초음파 진동이 세척수에 직접 전달될 수도 있도록 한다. 그러한 경우, 초음파 상쇄량이 최소화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물 입자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제어 장치(160)는 각종 버튼, 다이얼, LCD 모니터 등을 구비하는 제어 패널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장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고, 또한 장치 동작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사용자 안내할 수도 있도록 한다.
또한 기 설정된 스케쥴 정보와 설치 장소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이들 정보에 기반하여 미세 먼지 발생 패턴을 예측하고, 미세 먼지 발생 패턴에 따라 송풍팬(120), 디스크 필터 구동부(140) 및 초음파 모듈(150) 각각의 동작 여부, 동작 강도 등을 다양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미세 먼지 발생량에 비례하여 송풍팬(120), 디스크 필터 구동부(140) 및 초음파 모듈(15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세기를 증가시킴으로써, 미세 먼지 제거량 또한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100, 200)는 케이스 하부의 세척수 수용 공간에 부착되어, 세척수의 오염도를 센싱 및 통보하는 오염 센서와, 세척수의 오염도가 기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세척수 교체를 요청하는 알람부를 추가 구비함으로써, 세척수 교체 시기를 자동으로 확인 및 통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세척수 자동 공급을 위한 장치도 추가 구비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케이스 하부의 세척수 수용 공간에 부착되어 세척수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 센서와, 세척수 수위가 기 설정치 이하로 감소하면 물탱크 또는 수도관의 물을 세척수로써 케이스(110) 내부로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 장치와, 세척수의 오염도가 기 설정치 이상으로 증가할 때마다 세척수를 오수관으로 배출하는 세척수 배출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의 수동 개입 없이도 세척수가 항상 일정한 수위와 수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는 도 3에서와 같이, 디스크 필터(130)의 표면을 통해 흐르는 세척수와 초음파 모듈(150)에 의해 발생된 물 입자를 동시 이용하여, 공기내 미세 먼지를 이중 제거함으로써, 미세 먼지 제거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200)는 케이스(110), 송풍팬(120), 적어도 하나의 초음파 모듈(150), 및 제어 장치(160)를 구비하되, 디스크 필터(130) 및 디스크 필터 구동부(140)를 워터 필터(230) 및 워터 필터 구동부(240)로 대체함으로써, 비 온 뒤에 대기가 깨끗해지는 자연 원리를 이용하여 공기내 미세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워터 필터(230)는 케이스(210)의 내측 상부 공간에 배치되는 파이프(231) 또는 수조(232)로 구현되어, 세척수를 다수의 물줄기로 형태 변환하여 분사하다.
도 5의 (a)와 같이, 파이프(231)는 케이스(210)의 내측 상부 공간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가로지르는 형상으로 구현되고, 도 5의 (b)와 같이, 수조(232)는 납작한 다면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파이프(231) 또는 수조(232) 모두는 밑면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NZ)을 구비하도록 한다.
워터 필터 구동부(240)는 세척수 펌핑 동작을 수행하는 펌프(241), 케이스 하부 공간과 펌프(241)간을 연결하는 제1 워터 파이프(242), 펌프(241)와 워터 필터(230)간을 연결하는 제2 워터 파이프(243)을 포함한다.
이에 워터 필터 구동부(240)는 워터 펌프(241)를 구동하여 케이스 하부에 수용된 세척수를 펌핑하여 워터 필터(230)에 공급하면, 워터 필터(230)는 자신에 공급된 세척수가 파이프 또는 수조를 통해 흐르면서, 다수의 노즐(NZ)을 통해 물줄기 형태로 케이스 상부에서 하부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 결과, 도 6에서와 같이,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는 다수의 물줄기가 형성되고, 공기내 미세 먼지가 다수의 물줄기에 흡착된 후 세척수로 떨어지게 된다. 즉, 다수의 물줄기를 통해 물과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시킴으로써, 공기내 미세 먼지가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이러한 경우 다수의 물줄기가 세척수에 직접 떨어지는 경우, 물 떨어지는 소음이 상당히 크게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 7에서와 같이, 소음 저감을 위한 스펀지(250)를 세척수 윗면에 배치시킴으로써(즉, 스펀지(250)를 세척수 위에 띄움으로써), 낙차 소음이 완화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7)

  1. 건물 단위로 공기 정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에 있어서,
    송풍구 및 환풍구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세척수가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송풍구 또는 상기 환풍구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어, 외부 공기를 송풍구로 흡입된 후 환풍구로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팬;
    상기 세척수에 일부가 잠기는 디스크 형상으로 구현되며, 필터 표면을 통해 흐르는 세척수에 의해 공기내 이물질이 흡착 및 제거되도록 하는 디스크 필터;
    상기 디스크 필터를 회전시키는 디스크 필터 구동부;
    상기 세척수를 물 입자 형태로 분무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을 생성 및 공급하여, 공기내 이물질을 이중 제거시키는 초음파 모듈; 및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장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는
    얼음 결정의 성장을 제한하는 결빙 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필터는
    나선 형상 또는 원판 형상으로 구현된 디스크 판 다수개가 모터 회전축에 중첩 결합된 구조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필터 구동부는
    다수의 디스크 판이 중첩 결합된 모터 회전축; 및
    상기 모터 회전축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
  4. 건물 단위로 공기 정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에 있어서,
    송풍구 및 환풍구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세척수가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케이스;
    상기 송풍구 또는 상기 환풍구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되어, 외부 공기를 송풍구로 흡입된 후 환풍구로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팬;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수를 다수의 물줄기로 형상 변환한 후 분사하는 워터 필터;
    상기 세척수를 펌핑하여 상기 워터 필터에 공급하는 워터 필터 구동부;
    상기 세척수를 물 입자 형태로 분무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을 생성 및 공급하여, 공기내 이물질을 이중 제거시키는 초음파 모듈; 및
    사용자 제어값에 따라 장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세척수는
    얼음 결정의 성장을 제한하는 결빙 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필터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 공간을 지그재그 방식으로 가로지르며,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밑면을 가지는 파이프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필터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 상부 공간에 배치되며, 다수의 노즐이 형성된 밑면을 가지는 다면체 형상의 수조로 구현되는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세척수 윗면에 배치되는 소음 저감용 스펀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
KR1020200020930A 2020-02-20 2020-02-20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 KR102377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30A KR102377114B1 (ko) 2020-02-20 2020-02-20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930A KR102377114B1 (ko) 2020-02-20 2020-02-20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145A KR20210106145A (ko) 2021-08-30
KR102377114B1 true KR102377114B1 (ko) 2022-03-23

Family

ID=77502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930A KR102377114B1 (ko) 2020-02-20 2020-02-20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7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70145B (zh) * 2021-11-08 2023-01-17 重庆黄牛通风设备有限公司 一种可自动清洁过滤网的通风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196B1 (ko) * 2017-10-18 2018-09-06 한국기계연구원 가습 공기 청정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9188A (ko) * 2014-03-19 2015-10-0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가습공기청정기의 세척제어방법
KR20180131160A (ko) * 2017-05-31 2018-12-10 박현정 공기 청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196B1 (ko) * 2017-10-18 2018-09-06 한국기계연구원 가습 공기 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145A (ko) 202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63289A (zh) 宠物生活用盆
CN109562316A (zh) 湿式空气洗涤器
KR102377114B1 (ko) 공기정화 기능을 구비한 환풍 장치
JP2008116158A (ja) 換気装置
WO2006137650A1 (en) Indoor floating dust collecting apparatus using convection flow
JP2009186058A (ja) 空気調和機
JPH1151450A (ja) 空気調和機
KR101652212B1 (ko) 환기덕트 및 환기덕트 세척 시스템
JP2013220399A (ja) 空気調和機
CN210463265U (zh) 空气净化模块及空调室内机
JP2006105408A (ja) 空気清浄化システム
JP2001021205A (ja) 空気調和装置
KR101571141B1 (ko) 에어 워셔를 구비한 어항
JP2000329366A (ja) 空気清浄方法および空気清浄装置、並びに空気清浄装置を組み込んだ家具
CN206549978U (zh) 一种带环保除尘装置的振动筛
CN215412318U (zh) 一种空气净化除味杀菌消毒新风机
CN211953161U (zh) 一种高层建筑通风换气装置
CN212431108U (zh) 水洗空气净化装置和空调
KR101658844B1 (ko) 수중 모터 구동식 에어 워셔를 구비한 어항
JP2021135010A (ja) 液体微細化装置
JP2006010185A (ja) 空気清浄機システム
KR20110060519A (ko) 가습형 공기 청정기
KR101707426B1 (ko) 공기 청정기 및 이의 운전방법
CN216114371U (zh) 一种空调系统
JP6149954B2 (ja) 空気調和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