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343B1 -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 Google Patents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343B1
KR102376343B1 KR1020210129689A KR20210129689A KR102376343B1 KR 102376343 B1 KR102376343 B1 KR 102376343B1 KR 1020210129689 A KR1020210129689 A KR 1020210129689A KR 20210129689 A KR20210129689 A KR 20210129689A KR 102376343 B1 KR102376343 B1 KR 102376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ot device
managed
data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6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백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록스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록스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록스미스
Priority to KR1020210129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34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3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1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or without internal or external reinforcements, e.g. with metal coverings, with permanent form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089Monitoring arrangements determined by the means or processing involved in sensing the monitored data, e.g. interfaces, connectors, sensors, probes, ag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04Artificial life, i.e. computing arrangements simulating lif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8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collecting senso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Architectu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which comprises: a state detection unit which transmits a lifespan measurement signal to an IoT device to be managed, to input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data according thereto to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so that output data thereof is used as a health index, to calculate a residual life expectancy value of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and a calculation unit which calculates a replacement time of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based on the life expectancy predicted by the state detection unit.

Description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본 발명은 국가, 도시 인프라 아이오티 기기의 교체시기, 예상 예산, 정비 알림 등과 같은 종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아이오티 기기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시간의 이상상태 및 사고 상황을 감지 및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이오티 기기의 실시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확한 이상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무선 센서 디바이스 기반의 PDM 및 증강현실(AR) 솔류션 연동을 통해 아이오티 기기의 고장 상태 정보, 추후 사고 상황으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 정보 및 아이오티 기기의 예상 수명 정보까지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mprehensive management services such as national and urban infrastructure IoT device replacement timing, estimated budget, maintenance notification, etc., and can detect and predict real-time abnormal and accident situations that may occur in IoT devices. Rather,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exact abnormal state through the real-time display of the IoT device, and information about the failure state of the IoT device, which can be caused by an accident situation in the future, through linking with PDM and augmented reality (AR) solutions based on wireless sensor devices. It relates to an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M that can monitor possible situation information and even information on the expected lifespan of IoT devices.

국가, 도시 인프라 아이오티 기기의 상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센서군이 사용되고 디바이스 연결 및 데이터 저장/분석에 활용되는 다양한 플랫폼과 솔루션이 개발되고 있지만 아이오티 기기의 잔여 수명, 교체시기, 이상상태 등을 파악하는 최적의 PDM(제품정보 통합관리)을 위해 필수적인 IoT의 기술이 부족한 실정이다.In order to secure the state data of national and urban infrastructure IoT devices, various sensor groups are used, and various platforms and solutions used for device connection and data storage/analysis are being developed. There is a lack of IoT technology, which is essential for optimal PDM (Product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그리고, 잔여 수명 예측 기술은 건전성 예측 관리(Prognostics and Health Management, PHM)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최근 아이오티 기기가 대두되면서 더욱 중요하게 떠오르고 있다.In addition, the remaining life prediction technology is being actively studied in the field of prognostics and health management (PHM), and has recently become more important as IoT devices emerge.

잔여 수명 예측은 아이오티 기기 뿐만 아니라 항공 산업, 원자력 발전, 자동차 산업, 반도체/디스플레이와 같은 첨단 산업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주로 갑작스러운 이상이나 고장 발생 시에 치명적인 손상이 예상되는 설비나 부품에 적용되며, 지속해서 모니터 링하면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여 기계의 고장과 수명을 예측함으로써 예측 유지보수(Predictive Maintenance, PdM)하고자 한다. 잔여 수명 예측 기술을 적절히 활용하면 불필요한 설비의 유지보수를 감소시켜 유지비용을 절감하고 고장을 예측함으로써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Remaining life prediction can be useful not only for IoT devices but also for high-tech industries such as aviation, nuclear power generation, automobile industry, and semiconductor/display. It is mainly applied to equipment or parts that are expected to cause fatal damage in the event of a sudden abnormality or failure. do. If the remaining life prediction technology is properly used, maintenance costs can be reduced by reducing unnecessary equipment maintenance, and safety can be improved by predicting failures.

따라서, 아이오티 기기, 항공 산업, 원자력 발전, 자동차 산업, 반도체/디스플레이와 같은 대상물의 잔여 수명이나 이상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관리 시템의 진보된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Therefore, advanced development of a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detecting the remaining life or abnormal state of objects such as IoT devices, aviation industry, nuclear power generation, automobile industry, and semiconductor/display should be continuously made.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On the other hand, 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purpose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한국등록특허 제10-221630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216306

본 발명은, 국가, 도시 인프라 아이오티 기기의 교체시기, 예상 예산, 정비 알림 등과 같은 종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아이오티 기기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시간의 이상상태 및 사고 상황을 감지 및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이오티 기기의 실시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확한 이상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무선 센서 디바이스 기반의 PDM 및 증강현실(AR) 솔류션 연동을 통해 아이오티 기기의 고장 상태 정보, 추후 사고 상황으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 정보 및 아이오티 기기의 예상 수명 정보까지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mprehensive management services such as national and urban infrastructure IoT device replacement timing, estimated budget, maintenance notification, etc., and can detect and predict real-time abnormal conditions and accident situations that may occur in IoT device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exact abnormal state through the real-time display of the IoT device, and information about the failure status of the IoT device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wireless sensor device-based PDM and augmented reality (AR) solution, which can occur as an accident situation in the future It provides an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that can monitor possible situation information and even information on the expected lifespan of IoT devic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이오티 기기가 설치되는 지주를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오르내리도록 하여 이상이 발생된 아이오티 기기를 용이하게 수리나 교체하도록 할 수 있는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which allows an operator to stably move up and down a post on which the IoT device is installed, thereby easily repairing or replacing the IoT device in which an abnormality has occurred.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주에 차량, 전동 킥보드 등과 같은 충돌원이 충돌할 경우 충격력을 흡수 및 완충시켜, 아이오티 기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충돌원에 탑승한 운전자의 안전도 보호할 수 있는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bsorb and buffer the impact force when a collision source such as a vehicle or an electric kickboard collides with a pole, thereby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IoT device and protecting the safety of the driver riding on the collision source. It provides an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은,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에 수명 측정 신호를 전송하여 이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특성을 인공 신경망에 입력시켜 이에 대한 출력 데이터를 건강 지표화되도록 하여 상기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의 잔여 수명 예측치를 산출하는 상태 감지부; 및 상기 상태 감지부에 의해 예측된 수명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의 교체시기를 산출하는 산출부;를 포함한다.Th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 lifespan measurement signal to an IoT device to be managed, inputs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data to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converts the output data into health indicators. a state detection unit for calculating a residual life expectancy value of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and a calculator that calculates a replacement time of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based on the life expectancy predicted by the state detector.

그리고, 상기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하기 위한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와 통신을 수행하여 이상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이상상태를 수신한 경우, 해당 이상상태와 관련된 컨텐츠를 영상정보로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를 분석하여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서버;를 더 포함한다.And,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a display unit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detection sensor to receive abnormal state information, and displaying, as image information, content related to the abnormal state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receiving an abnormal state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a server for detecting an abnormal state by analyzing the sensing data of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det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analyzing it.

또한, 상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에 존재하는 다수의 감지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의 이상상태 및 위치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 상황을 예측하거나 그 수명을 예측하는 데이터 예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 감지부 또는 서버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이상상태는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의 고장 상태 정보, 추후 사고 상황으로 발생 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 정보, 또는 관리 대상 설비의 예상 수명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진동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진동 데이터의 진폭과 고유 진동 주파수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전류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전류 데이터로부터 설비 가동시 소모 전류량 및 전류 파형(주파수 및 사인파의 형상 정보)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 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온도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온도 데이터로부터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온도 피크값과 누적 온도 데이터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한다.In addition, the state detection unit may include: a database unit for collecting and storing sensing data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existing in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a data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sensing data to analyze an abnormal state and location of a corresponding managed IoT device; and a data prediction unit that predicts an accident situation that may occur in a managed IoT device or predicts the lifespan thereof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by the data analysis unit, wherein the abnormality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unit or the server The status includes information on the failure state of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information on a situation that is likely to occur in a future accident situation, or information on the expected life of the equipment to be managed. When the sensing data coll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is vibration data,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amplitude and natural vibration frequency of the collected vibration data to estimate the failure state and expected lifespan of the corresponding managed facility, and if the sensing data coll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is current data, the data analysis The department analyzes the current consumption and current waveform (frequency and sine wave shape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current data to estimate the failure state and expected lifespan of the facility to be managed, and the sensing data coll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In the case of temperature data, the data analysis unit estimates the failure state and life expectancy of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by analyzing the trend of the peak temperature value and accumulated temperature data of the corresponding managed facility from the collected temperature data.

그리고, 상기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가 설치되는 지주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주를 따라 승강될 수 있는 승강부; 상기 지주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며 작업자의 발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를 수리하기 위한 수리도구가 수납되는 수납함; 상기 지주의 하측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충격완화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target IoT device is disposed in the form of surrounding the post is installed, the lifting unit that can be lifted along the support; At least one or mor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the lift driving unit for elevating the lifting unit; a support part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ifting unit, respectively, and supporting the foot of the worker; a storage box installed in the lifting unit to be disposed in an area between the support units, in which a repair tool for repairing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is accommodated; It further includes; a shock alleviator disposed in the form of surrounding the lower side of the post.

또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주의 1/2을 감싸는 제1 감쌈부; 상기 지주의 나머지 1/2을 감싸며, 상기 제1 감쌈부에 결합되는 제2 감쌈부; 및 상기 제1 감쌈부 및 제2 감쌈부의 내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주의 외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lifting unit, a first wrapping portion surrounding 1/2 of the support; a second wrapper that surrounds the remaining 1/2 of the post, and is coupled to the first wrapper; and at least one roller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rapping portion and the second wrapping portion, respectively, and roll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지주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모터; 상기 모터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드럼; 및 상측이 상기 드럼에 각각 고정되고, 하측은 상기 제1 감쌈부 또는 제2 감쌈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되는 드럼에 권취 또는 권출되면서 상기 승강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와이어;를 포함한다.And, the lifting driving unit, a plurality of motor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a drum coupled to each of the motors and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the power of the motor; And an upper side is fixed to the drum, respectively, the lower side is coupled to the first wrapper or the second wrapper, while winding or unwinding the rotating drum elevating wire for raising or lowering the elevating portion; includes.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감쌈부와 제2 감쌈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지주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각각 수납되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작업자의 발을 지지하고,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발판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each coupled to the first wrapping portion and the second wrapping portion, a pair of cases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support interposed therebetween; Elevating cylinders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And it includes a; and a footrest each protru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to support the foot of the operator, raised or lowered by the elevating cylinder.

그리고,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지주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며,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완충부; 상기 지주의 하측 영역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면이 상기 완충부와 대향되며, 사각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수용공간 내벽면에 각각 설치되는 보호부;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 각각 설치되고,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부; 상기 박스부의 개구에 각각 배치되고, 충돌원이 충돌하게 되는 충돌판; 상기 박스부의 빈 공간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돌판을 지지하며,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포켓부; 상기 박스부의 빈 공간에서 상기 포켓부들을 지지하는 것으로, 전,후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틀 및 상기 사각틀의 빈 공간에 서로 수직, 수평방향으로 교차되게 결합되며 상기 포켓부들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분산바를 포함하는 분산부; 상기 분산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탄성지지부와, 상기 제1 탄성지지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산부와 골부가 연속적으로 교차형성되어 압축 또는 팽창 가능한 제2 탄성지지부 및 상기 제2 탄성지지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박스부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다중 충격 흡수부; 상기 박스부에 각각 설치되는 충격감지센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마련된 락킹홈에 수용되어 상기 베이스의 유동을 방지하는 락킹부; 및 지중에 매립되며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할 시 상기 락킹부를 하강시켜 상기 락킹홈에서 인출시키는 인출실린더;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hock alleviation unit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buffer unit formed in a 'C' cross-sectional shape to cushion the shock; a base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lower region of the post is accommodated,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facing the buffer part, and formed in a rectangular block shape; Protection unit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base; a box unit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one side of which is opened, and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a collision plate which is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box portion, respectively, and a collision source collides with; a pocket portion supporting the collision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box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empty space of the box portion, and air is filled therein; By supporting the pocket parts in the empty space of the box part, the front and rear are open and the empty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square frame is coupled to each other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the empty space of the square frame to support the pocket parts a dispers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ersing bars; A first elastic support part formed in a 'C' cross-sectional shape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spersion part,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support part, a plurality of peaks and valleys are continuously cro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mpress or a multi-impact absorbing part including a second elastic support part expandable and a fixing ba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support part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ox part; each of the shock sensors installed in the box; a locking part accommodated in a locking groov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to prevent the base from flowing; and a withdrawal cylinder embedded in the ground and withdrawing from the locking groove by lowering the locking part when the impact sensor detects an impact.

또한, 상기 보호부는 상기 완충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및 박스부는 충돌원의 충격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베이스와 함께 이동되어온 보호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한다.In addition, the protection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buffer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base and the box part slide in a direction to which the impact force of the collision source is applied, and the buffer part elastically supports the protection part that has been moved together with the base.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국가, 도시 인프라 아이오티 기기의 교체시기, 예상 예산, 정비 알림 등과 같은 종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아이오티 기기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시간의 이상상태 및 사고 상황을 감지 및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이오티 기기의 실시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확한 이상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고, 무선 센서 디바이스 기반의 PDM 및 증강현실(AR) 솔류션 연동을 통해 아이오티 기기의 고장 상태 정보, 추후 사고 상황으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 정보 및 아이오티 기기의 예상 수명 정보까지도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provides comprehensive management services such as national and urban infrastructure IoT device replacement timing, estimated budget, maintenance notification, etc., and real-time abnormal conditions and accident situations that may occur in IoT devices not only detect and predict, but also monitor the exact abnormal state through the real-time display of IoT devices. , it has the effect of monitoring the situation information that is likely to occur in the future as well as the expected lifespan information of IoT devices.

그리고, 아이오티 기기가 설치되는 지주를 작업자가 안정적으로 오르내리도록 하여 이상이 발생된 아이오티 기기를 용이하게 수리나 교체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llows the operator to stably move up and down the post on which the IoT device is installed to easily repair or replace the IoT device in which an abnormality has occurred.

또한, 지주에 차량, 전동 킥보드 등과 같은 충돌원이 충돌할 경우 충격력을 흡수 및 완충시켜, 아이오티 기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충돌원에 탑승한 운전자의 안전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a collision source such as a vehicle or an electric kickboard collides with a pole, the impact force is absorbed and buffered, thereby securing the stability of the IoT device and protecting the safety of the driver riding in the collision source. .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various effects may be included within the rang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승강부와, 승강구동부와, 지지부 및 충격완화부를 도시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승강부와, 승강구동부 및 지지부 및 충격완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감쌈부와 지지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충격완화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포켓부 및 분산부를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베이스 및 락킹부를 도시한 도.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a P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lifting unit, a lifting driving unit, a support unit, and a shock mitigating unit applied to th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P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lifting unit, a lifting driving unit, a support unit, and a shock mitigating unit applied to th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a PD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wrapp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applied to th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hock absorber applied to th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ocket unit and a dispersion unit applied to th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P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base and a locking unit applied to th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P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2]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0010] Reference is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show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on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loca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s not intended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properly described, is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all scope equivalents as those claime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various aspects.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a P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은, 국가, 도시 인프라 아이오티 기기의 교체시기, 예상 예산, 정비 알림 등과 같은 종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아이오티 기기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시간의 이상상태 및 사고 상황을 감지 및 예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아이오티 기기의 실시간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확한 이상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태 감지부(10)와, 산출부(20)와, 감지센서(30) 및 표시부(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 할 수 있다.Th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comprehensive management services such as national and urban infrastructure IoT device replacement time, estimated budget, maintenance notification, etc.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detect and predict real-time anomalies and accident situations, it is possible to monitor an accurate abnormal state through a real-time display of an IoT device, and a state detection unit 10 and a calculation unit 20 And, it may include at least any one or more of the detection sensor 30 and the display unit 40 .

이때, 아이오티 기기는 가로등, 신호등, CCTV 등일 수 있으며, 도면에는 아이오티 기기가 CCTV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다.In this case, the IoT device may be a street light, a traffic light, a CCTV, etc., and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IoT device is applied as a CCTV.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은 가로등, 신호등, CCTV 뿐만 아니라, 각종 산업 현장이나 건물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 모터, 공조기, 냉동기, 보일러 등과 같은 대상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Furthermore, th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o be managed through PD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a street light, a traffic light, a CCTV, but also a drive motor, an air conditioner, a refrigerator, a boiler, etc. installed in various industrial sites or buildings indicates that it can also be applied to

일 예로, 상태 감지부(10)는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에 수명 측정 신호를 서버를 통해 전송하여 이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특성을 ANN(Artificial Neurea Network, 인공 신경망)에 입력시켜 이에 대한 출력 데이터를 건강 지표화되도록 하여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잔여 수명 예측치를 산출할 수 있다.As an example, the state detection unit 10 transmits a lifespan measurement signal to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through a server, inputs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se data thereto to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and outputs the result. By making the data a health index, it is possible to calculate a residual life expectancy value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상태 감지부(10)는 출력 데이터를 인공신경망 학습을 위한 학습데이터로 생성하는 학습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te sensing unit 10 may include a learning data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the output data as learning data for artificial neural network learning.

상태 감지부(10)는 수명 측정 신호를 입력 값으로 하고, 이 입력값에 대응되는 학습데이터의 출력 데이터를 수명 측정 신호에 대응되는 출력값으로 하여 인공신경망을 학습시키는 신경망 학습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te sensing unit 10 may include a neural network learning unit for learn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by using the lifespan measurement signal as an input value and using output data of the learning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value as an output value corresponding to the lifespan measurement signal.

그리고, 산출부(20)는 상태 감지부(10)의 신경망 학습부를 통해 학습된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딥러닝 학습에 의해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잔여 수명 예측치를 기초하여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교체시기를 산출하도록 구성된다.Then, the calculation unit 20 is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based on the predicted value of the remaining life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by deep learning learning using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learned through the neural network learning unit of the state sensing unit 10 . (100) is configured to calculate the replacement timing.

이때, 전술한 상태 감지부(10)는 일 예로, 데이터 변환부와, 예측 모델 생성부와, 잔여 수명 상태 감지부(10) 및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state detector 10 may include, for example, a data converter, a predictive model generator, a residual life state detector 10 , and a storage unit.

데이터 변환부는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를 구성하는 특정 부품에 설치된 진동센서로부터 출력된 복수의 진동 신호들 각각을 2차원 이미지(또는 2차원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The data converter may convert each of a plurality of vibration signals output from a vibration sensor installed on a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into a two-dimensional image (or two-dimensional image data).

구체적으로, 데이터 변환부는 1차원의 진동 신호로부터 시간-주파수 도메인 영역의 특질을 추출하고, 추출된 특질을 시간축과 주파수축으로 이루어진 2차원 이미지로 변환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ata converter may extract a characteristic of the time-frequency domain domain from the one-dimensional vibration signal, and convert the extracted characteristic into a two-dimensional image including a time axis and a frequency axis.

여기서, 상기 특질은 웨이블릿 계수(wavelet coefficients)를 의미할 수 있으며, 하나의 진동 신호는 하나의 이미지로 변환될 수 있다.Here, the characteristic may mean wavelet coefficients, and one vibration signal may be converted into one image.

또한, 데이터 변환부는 잔여 수명을 예측하기 위하여 예측 대상 진동 신호를 2차원 이미지 신호로 변환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data converter may convert the prediction target vibration signal into a two-dimensional image signal in order to predict the remaining life.

예측 모델 생성부는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잔여 수명(RUL)을 예측할 수 있는 예측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측 모델 생성부는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공 신경망) 모델을 생성하고,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생성된 2차원 이미지들을 이용하여 상기 ANN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The predictive model generator may generate a predictive model capable of predicting the remaining lifespan (RUL)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Specifically, the predictive model generator may generate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odel, and learn the ANN model using the two-dimensional images generated by the data converter.

ANN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콘볼루션 신경망)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권리 범위가 반드시 인공 신경 망의 종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측 모델 생성부는 소정의 예측 알고리즘, 예컨대 GPR 알고리 즘(Gaussian Process Regression algorithm)을 이용하여 설비 또는 부품의 잔여 수명을 예측할 수 있다. 즉, 예측 모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예측 모델은 ANN 모델(또는 CNN 모델)과 GPR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ANN may be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type of artificial neural network. In addition, the predictive model generator may predict the remaining life of the equipment or parts using a predetermined predictive algorithm, for example, a GPR algorithm (Gaussian Process Regression algorithm). That is, the predictive model generated by the predictive model generator may be understood as a concept including an ANN model (or CNN model) and a GPR algorithm.

잔여 수명 상태 감지부(10)는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에 설치된 진동 센서에 의해 측정된 진동 신호를 기초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잔여 수명(RUL)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진동 신호는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2차원 이미지로 변환되고, 잔여 수명 상태 감지부(10)는 2차원 이미지를 예측 모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예측 모델의 입력으로 이용함으로써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잔여 수명(RUL)을 예측할 수 있다.The remaining life state detection unit 10 may predict the remaining life span (RUL)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based on a vibration signal measured by a vibration sensor installed in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Specifically, the vibration signal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is converted into a two-dimensional image by the data conversion unit, and the residual life state detection unit 10 converts the two-dimensional image into a predictive model generated by the predictive model generator. By using it as an input of ,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remaining lifespan (RUL)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저장부에는 복수의 진동 신호들,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2차원 이미지들, 예측 대상 진동신호, 예측 대상 진동 신호로부터 생성된 2차원 이미지, 예측 모델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예측 모델, 평가 대상 설비 또는 평가 대상 부품에서 발생한 진동 신호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vibration signals, a plurality of two-dimensional images generated by the data conversion unit, a prediction target vibration signal, a two-dimensional image generated from the prediction target vibration signal, a prediction model generated by the prediction model generator, A vibration signal, etc. generated from the evaluation target equipment or the evaluation target part may be stored.

진동 신호는 특정 베어링(bearing)에서 전체 수명(whole lifetime)에 걸쳐 측정된 진동 신호일 수 있다.The vibration signal may be a vibration signal measured over a whole lifetime in a particular bearing.

본 발명에서는 진동 신호로부터 특질(예컨대, 이미지 특질들(image features))을 추출하기 위하여 연속 웨이블릿 변환(continuous wavelet transform, CWT)을 사용하고자 한다. 실시 예에 따라, 연속 웨이블릿 변환은 Morlet-based CWT일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continuous wavelet transform (CWT) is used to extract features (eg, image features) from a vibration sig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inuous wavelet transform may be a Morlet-based CWT.

예측 모델 생성부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특질 추출(feature extraction)을 위하여, CNN 모델에는 교대로(alternately) 연결된 4 개의 콘볼루션 레이어들(convolutional layers)과 4 개의 풀링 레이어들(pooling layers)이 포함될 수 있다. 콘볼루션 레이어의 필터 사이즈(filter size)는 3Х3이고, 최대 풀링 레이어(max pooling layer)의 필터 사이즈는 2Х2이다. 4 개의 콘볼루션 레이어들 각각의 채널(channel)은 32, 64, 128, 256일 수 있다. CNN 모델의 최종 레이어는 플랫튼 레이어(flatten layer), 2 개의 풀리 컨넥티드 레이어(fully connected layer) 및 출력 레이어(output layer)를 포함한다.The prediction model generator may generate a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model. For feature extraction, the CNN model may include four alternately connected convolutional layers and four pooling layers. The filter size of the convolutional layer is 3Х3, and the filter size of the max pooling layer is 2Х2. A channel of each of the four convolutional layers may be 32, 64, 128, or 256. The final layer of the CNN model includes a flatten layer, two fully connected layers and an output layer.

콘볼루션 레이어들을 거친 후, 2차원 특질 맵(feature map)은 평탄화되고(flattened) 풀리 컨넥티드 레이어에 연결된다. 풀리 컨넥티드 레이어들에서, 2560 개와 768 개의 노드들이 각각 선택된다. 마지막으로, 건강 지표(health indicator, HI)를 획득하기 위해 마지막 풀리 컨넥티드 레이어와 출력 뉴런(output neuron)이 연결될 수 있다.After going through the convolutional layers, the 2D feature map is flattened and connected to the fully connected layer. In fully connected layers, 2560 and 768 nodes are selected respectively. Finally, the last fully connected layer and an output neuron may be connected to obtain a health indicator (HI).

ReLU 함수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 함수는 콘볼루션 레이어와 풀리 컨넥티드 레이어에 적용되고, 건강 지표(HI)의 값을 0과 1 사이(0과 1 을 포함할 수도 있음)의 값으로 정규화하기 위해 출력 레이어에서는 sigmoid 함수가 이용될 수 있다. 파라미터 설정이 완료된 후 CNN 모델은 손실 함수(loss function)를 최소화하기 위해 학습된다. 즉, 예측 모델 생성부는 데이터 변환부에 의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CNN 모델을 학습할 수 있다.The ReLU function is available, which is applied to the convolutional layer and the fully connected layer, and outputs the output to normalize the health indicator (HI) value to a value between 0 and 1 (which may contain 0 and 1 ). A sigmoid function can be used in a layer. After parameter setting is completed, the CNN model is trained to minimize the loss function. That is, the prediction model generator may learn the CNN model using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data converter.

다른 예로, 이때, 전술한 상태 감지부(10)는 다른 일 예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에 존재하는 다수의 감지센서(30)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이상 상태 및 위치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 상황을 예측하거나 그 수명을 예측하는 데이터 예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in this case, the above-described state detection unit 10 may include, as another example, a database unit for collecting and storing sensing data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30 present in the managed IoT device 100 ; a data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sensing data to analyze the abnormal state and location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and a data prediction unit that predicts an accident situation that may occur in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by the data analysis unit or predicts the lifespan thereof.

나아가, 상태 감지부(10)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이상상태는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고장 상태 정보, 추후 사고 상황으로 발생 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 정보, 또는 관리 대상 설비의 예상 수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abnormal stat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unit 10 includes information on a failure state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information on a situation that may occur in a future accident situation, or information on the expected lifespan of the equipment to be managed. can do.

그리고, 감지센서(30)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진동 데이터일 경우,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진동 데이터의 진폭과 고유 진동 주파수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하며, 감지센서(30)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전류 데이터일 경우,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전류 데이터로부터 설비 가동시 소모 전류량 및 전류 파형(주파수 및 사인파의 형상 정보)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 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하며, 감지센서(30)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온도 데이터일 경우,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온도 데이터로부터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온도 피크값과 누적 온도 데이터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할 수 있다.And, when the sensing data coll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30 is vibration data,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amplitude and natural vibration frequency of the collected vibration data to estimate the failure state and expected lifespan of the corresponding managed facility, If the sensing data coll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30 is current data,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current consumption and the current waveform (frequency and sine wave shape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current data when operating the facility, and Estimate the failure state and expected lifespan, and when the sensing data coll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30 is temperature data,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temperature peak value and the cumulative temperature data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target facility from the collected temperature data. The failure state and expected lifespan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may be estimated.

한편, 감지센서(30)는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상태 정보를 감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tection sensor 30 detects the state information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서버는 감지센서(30)로부터 감지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를 분석하여 이상상태를 감지한다.After receiving the sensing data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from the detection sensor 30, the server analyzes it and detects an abnormal state.

표시부(40)는 감지센서(3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서버로부터 이상상태의 감지 결과를 수신하는 통신부(네트워크 통신망)을 포함하며, 감지 결과(이상상태)와 관련된 컨텐츠를 영상정보로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원격 모니터링 컴퓨터에 디스플레이 한다.The display unit 40 communicates with the detection sensor 30,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that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normal state from the server, and displays the content related to the detection result (abnormal state) as image information, It is displayed on the remote monitoring computer through the display unit.

감지센서(30)는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이상상태를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센싱 데이터를 획득하는 스마트 장치로서, 예를 들어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특징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으나, 감지센서(30)는, 전류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온도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 그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스 감지 센서뿐 아니라, 카메라, 캠코더 등과 같은 촬영 수단도 포함될 수 있다.The detection sensor 30 is a smart device for acquiring sensing data used to detect an abnormal state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and may b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for example. , the detection sensor 30 is preferably at least one of a current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a temperature sensor. However, the type is not limit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only a gas detection sensor, but also a photographing means such as a camera, a camcorder, etc. may be included.

감지센서(30)는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센싱 공간 내에 존재하여 해당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각종 센싱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The detection sensor 30 may be present in the sensing space of the managed IoT device 100 to acquire various types of sensing data for detecting an abnormal state of the managed IoT device 100 .

서버는 현장 설비에 설치되는 게이트웨이와 네트워크망 또는 상용 무선망을 통해 센서로부터 감지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게 된다.The server receives the sensing data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from the sensor through the gateway and the network or commercial wireless network installed in the field facility and analyzes it.

서버는 각 감지센서(30)로부터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이상상태를 감지한다.The server collects sensing data from each detection sensor 30 and analyzes the collected sensing data to detect an abnormal state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여기서, 서버는 다수의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에 존재하는 다수의 감지센서(30)으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고,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별로 실시간의 설비 상황 정보와 다수의 관리 대상 설비를 구분하는 설비 식 별 코드 등이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 및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된 실시간의 해당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이상상태 및 위치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한다.Here, the server collects and stores the sensing data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30 existing in the plurality of managed IoT devices 100 , and provides real-time facility status information and information for each managed IoT device 100 . a database unit in which a facility identification code for classifying a plurality of management target facilities is stored; and a data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real-time sensin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unit to analyze the abnormal state and location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센싱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학습 데이터 또는 통계 데이터를 비교 함으로써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이상상태 및 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이상상태는 해당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가 그 용도 또는 목적을 달성하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이후 사고 상황으로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거나, 더 나아가 관리 대상 설비의 예상 수명 추정 및 고장 정보까지 포함할 수 있다.The data analyzer may detect an abnormal state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and its location by comparing the collected sensing data with pre-stored learning data or statistical data. Here, the abnormal state is a situation in which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has difficulty in achieving its purpose or purpose or is likely to occur as an accident situation afterward, or furthermore, the estimated lifespan estimation and failure of the managed facility It may also include information.

이때,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예상 수명 추정 및 고장의 진단은 예를 들면 CCTV의 경우, 그 전기기기의 소모 전류 패턴 분석을 통해 예상수명 추정 및 고장을 진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estimated lifespan of the managed IoT device 100 and the diagnosis of failure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CCTV, by analyzing the consumption current pattern of the electric device to estimate the expected life and diagnose the failure.

또한, 서버는 다양한 분석 기법 또는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이상 상태를 감지할 수 있으며, 분석 기법 또는 알고리즘은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나 센싱 데이터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may detect an abnormal state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by using various analysis techniques or algorithms, and the analysis technique or algorithm may vary depending on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or the type of sensing data, etc. can

그리고, 서버는 이상상태의 감지 결과에 따라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예상 수명이나, 발생될 수 있는 사고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사고 상황은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가 그 용도 또는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위험 상 황으로서, 예를 들어 가스 폭발 상황, 화재 상황, 지진 발생 상황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er may predict the expected lifespan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or an accident situation that may occur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normal state. Here, the accident situation is a dangerous situation in which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cannot achieve its purpose or purpose, and may correspond to, for example, a gas explosion situation, a fire situation, an earthquake occurrence situation, and the like.

한편, 서버는 자신의 분석 데이터를 토대로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이상상태를 확인하고 이상상태 신호를 해당 설비의 작업자의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해당 설비의 QR 코드 등을 통한 설비의 형상 정보 인식에 따라 해당 센서 종류와 센서 위치 등을 확인하고, 증강 현실 화면을 통해 작업자가 설비 상태 를 확인할 수 있고, 이상이 발생한 설비는 상태 결과에 따라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rver checks the abnormal state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target facility based on its analysis data, transmits the abnormal state signal to the mobile device of the worker of the corresponding facility,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hape of the facility through the QR code of the facility, etc.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of information, the type of sensor and the location of the sensor are checked, the operator can check the equipment status through the augmented reality screen, and the equipment with an abnormality can b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status result.

디스플레이부는 서버로부터 이상상태의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영상 정보로서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display unit receive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normal state from the server, and serves to display the content related to the detection result as image information.

즉, 디스플레이부는 감지센서(30)에 의해 촬영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영상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을 서버로부터 수신된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와 상호 매칭하여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display unit may acquire an image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captured by the detection sensor 30 , and display the acquired image by matching the content related to the detection result received from the server.

이때, 영상은 입체화된 영상으로 구현하고, 해당 영상에 대응되는 해당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이상 상태에 대한 정보를 매칭시켜 화면을 통해 설비 코드 조회에 따라 입체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age is implemented as a three-dimensional image, and information on the abnormal state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corresponding to the image is matched, and the image can be monitored three-dimensionally according to the facility code inquiry through the screen.

여기서, 디스플레이부는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획득된 영상과 합성하여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증강 현실 기술에 따라, IoT 플랫폼 기반의 센서 데이터를 AR 컨텐츠 형태로 만들어 현실 공간에서 좀 더 직관적으로 IoT Visual 데이터를 제공(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입체 영상 및 고장 부위, 실시간으로 수집된 현재 데이터, 및 정상 작동 범위 값 등을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위험상황 예방 및 예외 상황 추적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Here,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screen of the augmented reality state by synthesizing the content related to the detection result with the obtained image. According to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IoT platform-based sensor data is created in the form of AR content to provide IoT visual data more intuitively in real space (stereoscopic image of the facility to be managed, current data collected in real time, and It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dangerous situations and tracking exceptional situations by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 normal operating range value, etc.).

한편, 디스플레이부는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종합 관제소 등에 설치된 원격 모니터링 컴퓨터에 구비된 모니터일 수 있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may be a monitor provided in a remote monitoring computer installed in a general control center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서버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통신 가능한 해당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와 연계된 작업자 또는 관리자의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스크린일 수 있다.Also, the display unit may be a screen provided in a mobile device of an operator or manager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managed IoT device 100 that can communicate with the server through a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소지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에서 이상상태가 발생하였는지, 또는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보다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ly, a user who owns a mobile device can more intuitively and simply determine whether an abnormal state has occurred or is likely to occur in the managed IoT device 100 in which he or she is currently located.

또한, 서버는 모바일 기기의 현재 위치 정보에 대응되는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이상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 상황을 예측한 후, 사고 상황의 예측 결과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rver detects an abnormal state of the managed IoT device 100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device, and predicts an accident situation that may occur in the managed IoT device 10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hen, the prediction result of the accident situ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모바일 기기는 서버로부터 사고 상황의 예측 결과를 수신 하고, 감지 결과와 관련된 컨텐츠를 획득된 영상과 합성하여 증강 현실 상태의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 다. 이에 따라, 모바일 기기를 소지하는 사용자는 자신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에서 사고 상황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지의 여부를 보다 직관적이고 간편하게 파악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may receive the prediction result of the accident situation from the server, synthesize the content related to the detection result with the acquired image, and display it through the screen of the augmented reality state. Accordingly, a user who owns a mobile device can more intuitively and conveniently determine whether an accident situation is likely to occur in the managed IoT device 100 in which he or she is currently located.

모바일 기기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예를 들어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 PC, PDA 등과 같은 전자 기기, 스마트 안경, 스마트 고글, 스마트 헬멧 등과 같이 전방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촬영 수단 및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화면이 구비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 Head Mounted Display) 등을 모 두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된다.A mobile device is a terminal possessed by a user, for example,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smartphone, a laptop computer, a tablet PC, a PDA, etc., a photographing means for acquiring a front image such as smart glasses, smart goggles, a smart helmet, and the like, and displays the image It is us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all of a head mounted display (HMD) equipped with a screen for

다음으로,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피디엠을 통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승강부(50)와, 승강구동부(60)와, 지지부(70)와, 수납함(80) 및 충격완화부(90)에 대해 설명한다.Next, with reference to FIGS. 2 to 7 , the lifting unit 50 , the lifting drive unit 60 , the support unit 70 , and the storage box 80 applied to the management system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through the PDM ) and the shock mitigating unit 90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승강부와, 승강구동부와, 지지부 및 충격완화부를 도시한 도.FIG. 2 is a view showing a lifting unit, a lifting driving unit, a support unit, and a shock mitigating unit applied to th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P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승강부와, 승강구동부 및 지지부 및 충격완화부를 도시한 평면도.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lifting unit, a lifting driving unit, a support unit, and a shock mitigating unit applied to th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a PD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감쌈부와 지지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4 is a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wrapping part and the support part applied to th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P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충격완화부를 도시한 평면도.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hock absorber applied to th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포켓부 및 분산부를 도시한 도.6 is a view showing a pocket unit and a dispersion unit applied to th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P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에 적용된 베이스 및 락킹부를 도시한 도.7 is a view showing a base and a locking unit applied to th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P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승강부(50)와, 승강구동부(60) 및 지지부(70)는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지면에 위치한 작업자를 지주(110)의 상측에 설치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까지 상승시켜 주고,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의 수리가 완료될 경우 지주(110)의 상측에 위치한 작업자를 지면까지 하강시켜주는 구성이다.The lifting unit 50 , the lifting driving unit 60 , and the supporting unit 70 are the IoT device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ost 110 , so that when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a worker located on the ground is installed above the holding unit 110 . (100), and when the repair of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is completed, the operator located above the holding post 110 is lowered to the ground.

먼저, 승강부(50)는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가 설치되는 지주(110)의 일정 영역 외면을 감싸며, 지주(110)를 따라 승강될 수 있다.First, the lifting unit 50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upport post 110 on which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is installed, and may be lifted along the support post 110 .

이를 위해 승강부(50)는 제1 감쌈부(51)와, 제2 감쌈부(52) 및 롤러(53)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lifting unit 50 may include a first wrapper 51 , a second wrapper 52 , and a roller 53 .

제1 감쌈부(51)와 제2 감쌈부(52)는 지주(110)의 1/2을 각각 감쌀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The first wrapper 51 and the second wrapper 52 have a structure that can wrap 1/2 of the post 110 , respectively.

도면에는 지주(110)가 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므로, 제1 감쌈부(51) 및 제2 감쌈부(52)는 지주(110)의 단면 형상과 대응되게 각각 대략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post 110 is formed in a circular cross section, the first wrapping part 51 and the second wrapping part 52 have a substantially "C" cross-sectional shape to correspond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ost 110, respectively. can be formed with

따라서, 제1 감쌈부(51)는 지주(110)의 1/2을 감싸고, 제2 감쌈부(52)는 지주(110)의 나머지 1/2을 감싼다.Accordingly, the first wrapper 51 wraps around 1/2 of the post 110 , and the second wrapper 52 wraps around the other half of the post 110 .

그리고, 제1 감쌈부(51)와 제2 감쌈부(52)가 서로 접하는 양측 부분은 곡선형 결합밴드(54)가 볼팅결합된다.In addition, the curved coupling band 54 is bol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wrapping portion 51 and the second wrapping portion 52 in contact with each other.

이로 인해, 제1 감쌈부(51)와 제2 감쌈부(52)는 일체로 결합되면서 지주(110)의 일정 영역 외면을 감싸게 된다.For this reason, the first wrapper 51 and the second wrapper 52 are integrally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a predetermined area of the post 110 .

롤러(53)는 제1 감쌈부(51) 및 제2 감쌈부(52)의 내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된다.At least one roller 53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rapping portion 51 and the second wrapping portion 52, respectively.

롤러(53)는 제1 감쌈부(51) 및 제2 감쌈부(52)가 승강구동부(60)에 의해 승강될 시 지주(110)의 외면을 따라 구름이동한다.The roller 53 rolls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110 when the first wrapper 51 and the second wrapper 52 are lifted by the lift driving unit 60 .

이러한 롤러(53)를 통해 제1 감쌈부(51) 및 제2 감쌈부(52)가 지주(110)를 따라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e roller 53 , the first wrapping part 51 and the second wrapping part 52 may be stably raised and lowered along the post 110 .

승강구동부(60)는 지주(110)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어, 승강부(50)를 승강시킨다.At least one lift driving unit 60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ost 110 to elevate the lifting unit 50 .

도면에는 승강구동부(60)가 2개로 적용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승강구동부(60)의 개수는 2개로 제한되지 않는다.Although the drawing shows an example in which two lift drive units 60 are applied, the number of lift drive units 60 is not limited to two.

이러한 승강구동부(60)는 모터(61)와, 드럼(62) 및 승강와이어(63)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fting driving unit 60 may include a motor 61 , a drum 62 , and a lifting wire 63 .

모터(61)는 지주(110)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The motor 6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st 11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모터(61)는 그 모터(61)축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AC모터(61) 또는 DC모터(61)로 형성될 수 있다.The motor 61 may be formed of an AC motor 61 or a DC motor 61 whose shaft is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드럼(62)은 모터(61)에 각각 결합된다. 드럼(62)은 모터(61)의 동력으로 제자리 회전될 수 있따.The drums 62 are each coupled to a motor 61 . The drum 62 may be rotated in place by the power of the motor 61 .

드럼(62)은 모터(61)의 모터(61)축이 정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정 방향으로 회전되고, 모터(61)의 모터(61)축이 역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역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승강와이어(63)를 권취 또는 권출한다.The drum 62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when the motor 61 shaft of the motor 61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the motor 61 shaft of the motor 61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As the elevating wire 63 is wound or unwound.

승강와이어(63)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된다.The lifting wire 63 is composed of two pairs.

어느 하나의 승강와이어(63)는 상측이 어느 하나의 드럼(62)에 고정되고, 하측은 제1 감쌈부(51)의 상면에 형성된 제1 브라켓(511)에 고정된다.Any one of the lifting wires 63 has an upper side fixed to any one drum 62 , and a lower side fixed to a first bracket 51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wrapper 51 .

다른 하나의 승강와이어(63)는 상층이 다른 하나의 드럼(62)에 고정되고, 하측은 제2 감쌈부(52)의 상면에 형성된 제2 브라켓(521)에 고정된다.The other lifting wire 63 has an upper layer fixed to the other drum 62 , and a lower side fixed to a second bracket 521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wrapping part 52 .

승강와이어(63)는 드럼(62)이 정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드럼(62)에 권취되어 제1 감쌈부(51) 및 제2 감쌈부(52)를 상승시킨다.The lifting wire 63 is wound around the drum 62 when the drum 62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o raise the first wrapper 51 and the second wrapper 52 .

그리고, 승강와이어(63)는 드럼(62)이 역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드럼(62)에서 권출되어 제1 감쌈부(51) 및 제2 감쌈부(52)를 하강시킨다.And, the lifting wire 63 is unwound from the drum 62 when the drum 62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lower the first wrapper 51 and the second wrapper 52 .

지지부(70)는 승강부(5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작업자의 발을 지지하는 구성이다.The support part 70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ifting part 50, respectively, and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feet of the operator.

이를 위해 지지부(70)는 케이스(71)와, 승강실린더(72) 및 발판부(73)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upport unit 70 may include a case 71 , an elevating cylinder 72 , and a footrest unit 73 .

케이스(71)는 2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제1 감쌈부(51) 및 제2 감쌈부(52)의 일측면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케이스(71)는 지주(1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The case 71 is composed of two pairs and is respective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wrapper 51 and the second wrapper 52 . Accordingly, the case 71 i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posts 110 interposed therebetween.

케이스(71)는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승강실린더(72)를 수납할 수 있다.The case 71 has an open upper surface and an empty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the elevating cylinder 72 .

승강실린더(72)는 저면이 케이스(71)의 빈 공간 바닥면에 고정된다.The lower surface of the lifting cylinder 72 is fixed to the empty space bottom surface of the case 71 .

그리고, 승강실린더(72)의 피스톤은 일부분이 케이스(71)의 상측으로 돌출된다.And, a part of the piston of the lifting cylinder 72 protrudes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case 71 .

승강실린더(72)는 유압이 주입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fting cylinder 72 may be formed as a hydraulic cylinder in which a piston is raised or lowered as hydraulic pressure is injected or discharged.

발판부(73)는 승강실린더(72)의 피스톤 상단에 결합되어 케이스(71)의 상측으로 각각 돌출된다.The footrest part 73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ston of the elevating cylinder 72 and protrudes upward from the case 71, respectively.

어느 하나의 발판부(73)는 작업자의 오른발을 지지하고, 다른 하나의 발판부(73)는 작업자의 왼발을 지지한다.One of the footrests 73 supports the operator's right foot, and the other footrest 73 supports the operator's left foot.

발판부(73)의 상면에는 작업자의 발을 감싸 고정하는 고정밴드(731)가 형성된다.A fixing band 731 for wrapping and fixing the feet of the operato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rest portion 73 .

발판부(73)는 승강실린더(72)에 의해 소정거리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The footrest 73 may be raised or lower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elevating cylinder 72 .

승강구동부(60)를 통해 승강부(50)를 소정 높이까지 상승시켰을 때, 작업자의 손이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에 닿지 않을 경우, 승강실린더(72)를 구동시켜 발판부(73)를 소정거리 더 상승시키면 된다.When the lifting unit 50 is raised to a predetermined height through the lifting drive unit 60, if the operator's hand does not touch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the lifting cylinder 72 is driven to drive the footrest unit 73 is increas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와 같이 승강구동부(60)를 통해 승강부(50)를 정밀하게 상승시킬 수 있고, 승강구동부(60)를 작동시키지 아니하면서 롤러(53)가 지주(110)와 마찰되는 경우를 줄여 롤러(53)가 마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In this way, the lifting unit 50 can be precisely raised through the lifting drive unit 60, and the roller 53 is reduced in friction with the post 110 while not operating the lifting drive unit 60. ) to reduce wear.

이상 설명한 승강부(50)와, 승강구동부(60) 및 지지부(70)의 작동에 의해 지면에 위치한 작업자를 지주(110)의 상측에 설치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까지 상승시키거나 또는, 지주(110)의 상측에 위치한 작업자를 지면까지 하강시켜줄 수 있다. 따라서, 지주(110)의 상측에 위치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를 용이하게 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unit 50, the lifting driving unit 60 and the supporting unit 70 described above, the operator located on the ground is raised to the managed IoT device 100 installed above the holding post 110, or, It is possible to lower the operator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ost 110 to the grou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repair the managed IoT device 100 positioned above the post 110 .

수납함(80)은 지지부(70)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도록 제1 감쌈부(51)의 외면과 제2 감쌈부(52)의 외면에 각각 설치된다.The storage box 8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wrapping portion 51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wrapping portion 52 so as to be disposed in the region between the support portions 70 .

수납함(80)은 상면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박스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torage box 80 may have a box structure in which an upper surface is opened and a storage space is formed therein.

따라서, 수납함(80)에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를 수리하기 위한 각종 수리도구나 부품등을 수납하여,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를 용이하게 수리하면 된다.Accordingly, various repair tools or parts for repairing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box 80 to easily repair the IoT device 100 to be managed.

그리고, 수납함(80)은 제1 감쌈부(51)와 제2 감쌈부(52)에 각각 형성됨으로 오른손에 들고 있는 수리도구나 부품은 오른쪽에 위치된 수납함(80)에 수납하여 보관하면 되고, 왼손에 들고 있는 수리도구나 부품은 왼쪽에 위치된 수납함(80)에 수납하여 보관하면 된다.And, since the storage box 80 is formed in the first wrapping portion 51 and the second wrapping portion 52, respectively, the repair tools or parts held in the right hand can be stored and stored in the storage box 80 located on the right side, Repair tools or parts held in the left hand may be stored and stored in the storage box 80 located on the left.

한편, 충격완화부(90)는 지주(110)의 하측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지주(110)를 차량 충돌 등으로부터 보호한다.On the other hand, the shock alleviation unit 90 is dispos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ost 110, to protect the support post 110 from a vehicle collision.

즉, 충격완화부(90)를 통해 지주(110)를 보호함으로써, 지주(110)에 설치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를 차량 충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That is, by protecting the post 110 through the shock mitigating unit 90 , the managed IoT device 100 installed on the post 110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a vehicle collision.

이러한 충격완화부(90)는 완충부(91)와, 베이스(92)와, 보호부(93)와, 박스부(94)와, 충돌판(95)과, 포켓부(96)와, 분산부(97)와, 다중 충격 흡수부(98)와, 충격감지센서(99)와, 락킹부(90a) 및 인출실린더(9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shock alleviation unit 90 includes a buffer unit 91 , a base 92 , a protection unit 93 , a box unit 94 , a collision plate 95 , a pocket unit 96 , and a dispersion It may include a part 97, a multiple shock absorbing part 98, an impact sensor 99, a locking part 90a, and a withdrawal cylinder 90b.

완충부(91)는 지주(110)의 외면이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완충부(91)는 충돌원의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buffer part 91 is installe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post 11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buffer part 91 is formed in a 'C' cross-sectional shape to buffer the impact force of the collision source.

그리고, 완충부(91)는 충격이 가해질 경우 일정 수준으로 압축되고, 충격이 소멸될 경우 다시 팽창되어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금속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uffer unit 91 is compressed to a certain level when an impact is applied, and when the impact is extinguished, it expands again and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metal so that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베이스(92)는 사각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면에 안착된다. 베이스(92)는 중앙에 지주(110)의 하측 영역이 수용되는 수용공간(921)이 형성된다.The base 9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quare block and is seated on the ground. The base 92 has an accommodation space 921 in the center in which the lower region of the post 110 is accommodated.

따라서, 베이스(92)는 지주(110)의 외면을 감싸는 구조를 이룬다.Accordingly, the base 92 forms a structur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110 .

수용공간(921)의 4개의 내벽면(922)은 완충부(91)와 대향되면서 소정간격 이격된다.The four inner wall surfaces 922 of the accommodation space 92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facing the buffer portion 91 .

보호부(93)는 대략 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92)의 수용공간(921) 내벽면(922)에 각각 설치된다.The protection part 93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nd i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922 of the receiving space 921 of the base 92 .

따라서, 보호부(93)의 조합된 형상은 대략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mbined shape of the protection part 93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box shape.

보호부(93)는 차량이 충돌시 완충부(91)에 접촉되는 것으로, 완충부(91)를 보호하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protection unit 93 is in contact with the buffer unit 91 when a vehicle crashes, and may be formed of a rubber or silicone material to protect the buffer unit 91 .

박스부(94)는 총 4개로 적용되어 베이스(92)의 4개의 외측면에 각각 설치된다.A total of four box portions 94 are installed on the four outer surfaces of the base 92, respectively.

박스부(94)는 충돌원과 마주하는 일측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box portion 94 is formed in a box shape in which one side facing the collision source is opened and an empty space is formed therein.

이때, 충돌원은 차량, 오토바이, 전동 퀵보드, 전동 자전거 등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llision source may be a vehicle, a motorcycle, an electric quick board, an electric bicycle, or the like.

충돌판(95)은 박스부(94)의 개구에 각각 배치된다. 충돌판(95)은 대략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박스부(94)의 개구를 가린다. 충돌판(95)에는 충돌원이 충돌하게 된다.The collision plates 95 are respectively disposed in the openings of the box portion 94 . The collision plate 95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to cover the opening of the box part 94 . A collision source collides with the collision plate 95 .

충돌판(95)은 충돌원 충격을 흡수하도록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collision plate 95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to absorb the collision source impact.

포켓부(96)는 다수개로 적용되어 박스부(94)의 빈 공간에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충돌판(95)을 지지한다.A plurality of pocket portions 96 are applied to support the collision plate 95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in the empty space of the box portion 94 .

포켓부(96)는 튜브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는 에어가 충진된다.The pocket portion 96 may be formed of a tube material, and the inner space thereof is filled with air.

이때, 포켓부(96)의 상면에는 에어를 충진하기 위한 주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At this time, an injection hole (not shown) for filling ai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ocket portion 96 .

포켓부(96)의 주입구는 전자밸브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주입구에 에어탱크의 공급관을 연결한 다음, 전자밸브를 통해 주입구를 개방하여 포켓부(96)의 내부공간에 에어를 충진하면 된다.The inlet of the pocket part 96 may be opened and closed by an electromagnetic valve. Therefore, after connecting the supply pipe of the air tank to the inlet, the inlet is opened through the solenoid valve to fill the inner space of the pocket portion 96 with air.

포켓부(96)는 충돌판(95)에 충돌원이 충돌할 경우 충돌판(95)을 지지하면서 충돌원의 충격력을 완화시킨다.The pocket part 96 relieves the impact force of the collision source while supporting the collision plate 95 when the collision source collides with the collision plate 95 .

이러한 포켓부(96)는 사각형 형상, 볼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는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The pocket portion 96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a ball shape, and the like, and an exampl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s shown in the drawings.

분산부(97)는 사각틀(971) 및 분산바(972)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ersion unit 97 may include a rectangular frame 971 and a dispersion bar 972 .

사각틀(971)은 박스부(94)의 빈 공간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전,후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rectangular frame 971 is disposed in the empty space of the box portion 94,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front and rear are opened and an empty space is formed therein.

분산바(972)는 사각틀(971)의 빈 공간에 서로 수직, 수평방향으로 교차되게 결합되어 포켓부(96)들을 지지할 수 있다.The distribution bar 972 may be coupled to cross each other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in the empty space of the rectangular frame 971 to support the pocket portions 96 .

즉, 포켓부(96)들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구조로 분산바(972)에 고정 및 지지된다.That is, the pocket portions 96 are fixed and supported on the distribution bar 972 in a structu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따라서, 충돌판(95)에 충돌원이 충돌할 경우, 포켓부(96)가 충돌원의 충격력을 1차 적으로 완하시키고, 포켓부(96)에 가해진 충격력은 분산바(972)들에 전달되어 분산된다.Therefore, when a collision source collides with the collision plate 95, the pocket portion 96 primarily relieves the impact force of the collision source, and the impact force applied to the pocket portion 96 is transmitted to the distribution bars 972. become and disperse

다중 충격 흡수부(98)는 제1 탄성지지부(981)와, 제2 탄성지지부(982) 및 고정바(983)를 포함할 수 있다.The multiple shock absorbing part 98 may include a first elastic support part 981 , a second elastic support part 982 , and a fixing bar 983 .

다중 충격 흡수부(98)는 충돌원 충격력을 안정적으로 흡수하도록 다수개로 적용되며, 분산부(97)와 박스부(94)의 내벽면(922) 사이에 수직,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개재된다.The multiple shock absorbing part 98 is applied in plurality to stably absorb the impact force of the collision source,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between the dispersing part 97 and the inner wall surface 922 of the box part 94 . is interposed

제1 탄성지지부(981)는 분산부(97)와 박스부(94)의 내벽면(922) 사이에 다수개로 적용된다.A plurality of first elastic support parts 981 are applied between the dispersion part 97 and the inner wall surface 922 of the box part 94 .

따라서, 제1 탄성지지부(981)의 일부는 사각틀(971)을 지지하고 다른 일부는 분산바(972)를 지지하게 된다.Accordingly, a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support portion 981 supports the square frame 971 and the other portion supports the distribution bar 972 .

제1 탄성지지부(981)는 분산부(97)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분산부(97)에 가해지는 충돌원의 충격력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first elastic support part 981 is formed in a 'C' cross-sectional shape so as to cushion the impact force of the collision source applied to the dispersion part 97 while elastically supporting the dispersion part 97 .

그리고, 제1 탄성지지부(981)는 충격이 가해질 경우 일정 수준으로 압축되고, 충격이 소멸될 경우 다시 팽창되어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금속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support portion 981 is compressed to a certain level when an impact is applied, and is expanded again when the impact is extinguished and is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metal so that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제2 탄성지지부(982)는 제1 탄성지지부(981)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된다.The second elastic support portion 982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support portion 981 .

제2 탄성지지부(982)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산부(9821)와 골부(9822)가 서로 연속적으로 교차되어 형성된다. 제2 탄성지지부(982)는 충격이 가해질 경우 일정 수준으로 압축되고, 충격이 소멸될 경우 다시 팽창되어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금속과 같은 탄성재질로 형성된다.The second elastic support portion 982 is formed by successively crossing a plurality of peaks 9821 and valleys 9822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elastic support part 982 is compressed to a certain level when an impact is applied, and is expanded again when the impact is extinguished and formed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metal so that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고정바(983)는 제2 탄성지지부(982)의 일단에 일체로 연결된다. 고정바(983)는 일단이 박스부(94)의 내벽면(922)에 고정된다.The fixing bar 983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support portion 982 . One end of the fixing bar 983 is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922 of the box portion 94 .

고정바(983)는 제1 탄성지지부(981) 및 제2 탄성지지부(982)가 충돌원의 충격력에 의해 일정수준으로 압축되도록 지지한다.The fixing bar 983 supports the first elastic support part 981 and the second elastic support part 982 to be compressed to a certain level by the impact force of the collision source.

따라서, 충돌판(95)에 충돌원이 충돌하면, 충돌판(95)이 충돌방향으로 밀리면서 충격력을 1차적으로 흡수 및 완화하고, 이어서 포켓부(96)가 박스부(94)의 내부공간으로 밀려들어오는 충돌원의 충돌력에 의해 밀리면서 충돌력을 2차적으로 완화시키며, 이어서 분산부(97)가 충돌원의 충돌력에 의해 밀리면서 충돌력을 분산시키고, 이어서 다중 충격 흡수부(98)들이 충돌원의 충돌력의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되면서 충돌력을 흡수하게 된다.Therefore, when a collision source collides with the collision plate 95 , the collision plate 95 is pushed in the collision direction to primarily absorb and relieve the impact force, and then the pocket part 96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x part 94 . The collision force is secondaryly alleviated while being pushed by the collision force of the collision source that is pushed into the ) are elastically compressed by the collision force of the collision source and absorb the collision force.

이로 인해, 지주(110)가 파손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주(110)에 설치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도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된다.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t 110 from being damaged or overturned, and to stably protect the managed IoT device 100 installed on the post 110 .

충격감지센서(99)는 박스부(94)에 각각 설치된다.The impact sensor 99 is installed in the box portion 94, respectively.

충격감지센서(99)는 박스부(94)에 충돌원이 충돌할 경우, 그 충격력을 감지한다.The impact sensor 99 detects the impact force when a collision source collides with the box unit 94 .

이때, 충격감지센서(99)는 충돌판(95)에 설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mpact sensor 99 may be installed on the collision plate 95 .

락킹부(90a)는 베이스(92)의 저면에 마련된 락킹홈(92a)에 수용된다.The locking part 90a is accommodated in the locking groove 92a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92 .

락킹홈(92a)은 베이스(92)의 저면 각 모서리 부분에 일정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cking groove 92a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in each corner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92 .

베이스(92)가 사각 박스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락킹홈(92a)은 4개로 형성된다.Since the base 92 is formed in a rectangular box shape, four locking grooves 92a are formed.

따라서, 락킹부(90a)도 4개로 적용되어 락킹홈(92a)에 각각 수용된다.Accordingly, four locking portions 90a are also applied to be accommodated in the locking grooves 92a, respectively.

인출실린더(90b)는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됨에 따라 피스톤이 상승 또는 하강되는 유압실린더로 형성될 수 있다.The withdrawal cylinder 90b may be formed as a hydraulic cylinder in which a piston is raised or lowered as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or discharged.

인출실린더(90b)는 4개로 적용되어 베이스(92)의 락킹홈(92a)과 대응되는 위치마다 배치되며, 지중에 매립된다. 인출실린더(90b)의 피스톤의 상단에는 락킹부(90a)가 결합된다.Four withdrawal cylinders 90b are applied, are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ocking grooves 92a of the base 92, and are buried in the ground. A locking portion (90a)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piston of the withdrawal cylinder (90b).

충격감지센서(99)는 충격을 감지할 시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인출실린더(90b)의 피스톤이 하강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락킹부(90a)를 락킹홈(92a)에서 인출시킨다.The shock sensor 99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detecting an impact, and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piston of the withdrawal cylinder 90b to descend, thereby withdrawing the locking unit 90a from the locking groove 92a.

다음으로, 이상 설명한 충격완화부(90)에 작동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 operation example of the shock mitigating unit 90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먼저, 전술한 베이스(92)의 수용공간(921)의 내벽면(922)은 지주(110)에 설치된 완충부(91)와 이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베이스(92) 및 박스부(94)는 충돌원의 충격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First, the inner wall surface 922 of the receiving space 921 of the above-described base 92 is formed to a size that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buffer 91 installed on the post 110 . Accordingly, the base 92 and the box portion 94 may be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impact force of the collision source is applied.

즉, 도 를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된 충격완화부(90)의 충돌판(95)에 충돌원이 충돌하면 베이스(92)가 우측 방향으로 지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된다.That is, when a collision source collides with the collision plate 95 of the shock mitigating unit 90 located on the left side with reference to FIG.

이때, 충격감지센서(99)는 박스부(94) 또는 충돌판(95)에 가해지는 충격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에만 충격을 감지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mpact sensor 99 may be programmed to detect the impact only when the impact applied to the box portion 94 or the collision plate 95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value.

예를 들어, 충격감지센서(99)는 충돌원인 차량이 약 시속 5km ~ 30km 이상으로 충돌할 경우에만 충격을 감지하도록 프로그래밍 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impact sensor 99 may be programmed to detect the impact only when the vehicle that is the cause of the collision collides at a speed of about 5 km to 30 km per hour or more.

따라서, 보행자가 실수로 박스부(94) 또는 충돌판(95)에 충돌하더라도 충격감지센서(99)는 충격을 감지하지 않는다.Accordingly, even if a pedestrian accidentally collides with the box unit 94 or the collision plate 95 , the impact sensor 99 does not detect the impact.

그러나, 충돌원인 차량이 약 시속 5km ~ 30km 이상으로 충돌할 경우, 충격감지센서(99)는 충격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달하고, 제어부는 인출실린더(90b)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인출실린더(90b)의 피스톤이 하강하여 락킹부(90a)가 락킹홈(92a)에서 인출된다.However, when the collision source vehicle collides at a speed of about 5 km to 30 km per hour or more, the shock sensor 99 detects the shock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and the control unit operates the withdrawal cylinder 90b. Accordingly, the piston of the withdrawal cylinder 90b descends and the locking portion 90a is withdrawn from the locking groove 92a.

락킹부(90a)가 락킹홈(92a)에서 인출되면 충돌원이 충돌된 박스부(94)가 밀리고, 이에 따라 베이스(92)도 충돌원의 충격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된다.When the locking part 90a is withdrawn from the locking groove 92a, the box part 94 in which the collision source collides is pushed, and accordingly, the base 92 also slid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pact force of the collision source is applied.

아울러, 충돌원이 충돌판(95)에 충돌되어 박스부(94) 및 베이스(92)가 충격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포켓부(96)와, 분산부(97) 및 다중 충격 흡수부(98)가 작용하여 충격력을 흡수 및 완화시킴에 따라, 보호부(93)가 완충부(91)에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력이 감소된다. 그리고, 완충부(91)는 한번 더 충돌원 충격력을 완충시키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where the collision source collides with the collision plate 95 and the box unit 94 and the base 92 mov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pact force is applied, the pocket unit 96, the dispersion unit 97, and multiple shock absorption As the portion 98 acts to absorb and relieve the impact force, the impact force generated when the protection portion 93 collides with the buffer portion 91 is reduced. And, the buffer 91 buffers the impact force of the collision source once more.

따라서, 지주(110)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지주(110)에 설치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100)를 차량 충돌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ly,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ost 110 can be secured, and the managed IoT device 100 installed on the post 110 can be safely protected from a vehicle collision.

더욱이, 포켓부(96) 및 다중 충격 흡수부(98)의 상호 작용으로 충돌원에 저항하면서 충돌원을 밀어내기 때문에 지주(110)에 전달되는 충돌원의 충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지주(110)가 충돌원에 의해 과도하게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돌원에 탑승한 운전자의 안전도 보호하면서 충돌원의 파손율도 저하시킬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pocket portion 96 and the multiple impact absorbing portion 98 interact with each other to resist the impact source and push the impact sour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impact force of the impact source transmitted to the post 110 .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t 110 from being excessively pushed by the collision sourc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amage rate of the collision source while protecting the safety of the driver riding in the collision source.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pertain can easily transform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You will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to be protected through this specifica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10 : 상태 감지부 20 : 산출부
30 : 감지센서 40 : 표시부
50 : 승강부 51 : 제1 감쌈부
52 : 제2 감쌈부 53 : 롤러
60 : 승강구동부 61 : 모터
62 : 드럼 63 : 승강와이어
70 : 지지부 71 : 케이스
72 : 승강실린더 73 : 발판부
80 : 수납함 90 : 충격완화부
90a : 락킹부 90b : 인출실린더
91 : 완충부 92 : 베이스
92a : 락킹홈 921 : 수용공간
922 : 내벽면 93 : 보호부
94 : 박스부 95 : 충돌판
96 : 포켓부 97 : 분산부
971 : 사각틀 972 : 분산바
98 : 다중 충격 흡수부 981 : 제1 탄성지지부
982 : 제2 탄성지지부 9821 : 산부
9822 : 골부 983 : 고정바
99 : 충격감지센서 100 :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
110 : 지주
10: state detection unit 20: calculation unit
30: detection sensor 40: display unit
50: lifting unit 51: first wrapping unit
52: second wrapping part 53: roller
60: lift drive unit 61: motor
62: drum 63: elevating wire
70: support 71: case
72: elevating cylinder 73: footrest
80: storage box 90: shock mitigation unit
90a: locking part 90b: withdrawal cylinder
91: buffer 92: base
92a: locking home 921: accommodation space
922: inner wall surface 93: protection part
94: box part 95: collision plate
96: pocket part 97: dispersion part
971: square frame 972: dispersion bar
98: multiple shock absorbing part 981: first elastic support part
982: second elastic support part 9821: apex
9822: bone 983: fixed bar
99: impact sensor 100: managed IoT device
110: holding

Claims (3)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에 수명 측정 신호를 전송하여 이에 대한 응답 데이터의 특성을 인공 신경망에 입력시켜 이에 대한 출력 데이터를 건강 지표화되도록 하여 상기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의 잔여 수명 예측치를 산출하는 상태 감지부;
상기 상태 감지부에 의해 예측된 수명에 기초하여 상기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의 교체시기를 산출하는 산출부;
상기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가 설치되는 지주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지주를 따라 승강될 수 있는 승강부;
상기 지주의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
상기 승강부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되며 작업자의 발을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사이 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를 수리하기 위한 수리도구가 수납되는 수납함; 및
상기 지주의 하측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충격완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지주의 1/2을 감싸는 제1 감쌈부;
상기 지주의 나머지 1/2을 감싸며, 상기 제1 감쌈부에 결합되는 제2 감쌈부; 및
상기 제1 감쌈부 및 제2 감쌈부의 내면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주의 외면을 따라 구름이동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지주의 상측에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모터;
상기 모터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정 방향 또는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드럼; 및
상측이 상기 드럼에 각각 고정되고, 하측은 상기 제1 감쌈부 또는 제2 감쌈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되는 드럼에 권취 또는 권출되면서 상기 승강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강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감쌈부와 제2 감쌈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지주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는 한 쌍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각각 수납되는 승강실린더; 및
상기 케이스의 상측으로 각각 돌출되어 작업자의 발을 지지하고, 상기 승강실린더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는 발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지주의 외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되며,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완충부;
상기 지주의 하측 영역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의 내벽면이 상기 완충부와 대향되며, 사각블록 형상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수용공간 내벽면에 각각 설치되는 보호부;
상기 베이스의 외면에 각각 설치되고, 일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박스부;
상기 박스부의 개구에 각각 배치되고, 충돌원이 충돌하게 되는 충돌판;
상기 박스부의 빈 공간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충돌판을 지지하며, 내부에 에어가 충진된 포켓부;
상기 박스부의 빈 공간에서 상기 포켓부들을 지지하는 것으로, 전,후가 개방되고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 사각틀 및 상기 사각틀의 빈 공간에 서로 수직, 수평방향으로 교차되게 결합되며 상기 포켓부들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분산바를 포함하는 분산부;
상기 분산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C'자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탄성지지부와, 상기 제1 탄성지지부의 일단에 연결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산부와 골부가 연속적으로 교차형성되어 압축 또는 팽창 가능한 제2 탄성지지부 및 상기 제2 탄성지지부의 일단에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박스부의 내벽면에 고정되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다중 충격 흡수부;
상기 박스부에 각각 설치되는 충격감지센서;
상기 베이스의 저면에 마련된 락킹홈에 수용되어 상기 베이스의 유동을 방지하는 락킹부; 및
지중에 매립되며 상기 충격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할 시 상기 락킹부를 하강시켜 상기 락킹홈에서 인출시키는 인출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완충부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 및 박스부는 충돌원의 충격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완충부는 상기 베이스와 함께 이동되어온 보호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
a state detection unit that transmits a lifespan measurement signal to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inputs characteristics of response data to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converts the output data into a health index to calculate a residual life expectancy value of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a calculation unit for calculating a replacement time of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based on the lifespan predicted by the state sensing unit;
a lifting unit disposed in a shape surrounding a post on which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is installed, and capable of being lifted along the post;
At least one or mor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the lift driving unit for elevating the lifting unit;
a support part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lifting unit, respectively, and supporting the foot of the worker;
a storage box installed in the lifting unit so as to be disposed in an area between the support units, in which a repair tool for repairing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is accommodated; and
Including; and a shock alleviator dispos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lower side of the post;
The lifting unit,
A first wrapper surrounding 1/2 of the support;
a second wrapper that surrounds the other half of the support and is coupled to the first wrapper; and
At least one roller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wrapping portion and the second wrapping portion, respectively, and rolling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includes,
The elevating drive unit,
A plurality of motor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a drum coupled to each of the motors and rotated in a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by the power of the motor; and
The upper side is respectively fixed to the drum, the lower side is coupled to the first wrapper or the second wrapper, and a lifting wire for lifting or lowering the lifting unit while being wound or unwound on the rotating drum; includes,
The support part,
a pair of cases each coupled to the first wrapping portion and the second wrapping portion and facing each other with the posts interposed therebetween;
Elevating cylinders respectively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ase; and
Including; and a footrest that each protrudes to the upper side of the case to support the foot of the operator and is raised or lowered by the elevating cylinder;
The shock mitigating unit,
a buffer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pos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ormed in a 'C' cross-sectional shape to cushion impact;
a base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in which the lower region of the post is accommodated,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space facing the buffer part, and formed in a rectangular block shape;
Protection units respective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of the base;
a box unit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one side of which is opened, and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a collision plate disposed in the opening of the box portion, respectively, and a collision source collides with;
a pocket part supporting the collision plate in a state in which i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n empty space of the box part and filled with air;
By supporting the pocket portions in the empty space of the box portion, the front and rear are open and the empty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square frame and the empty space of the square frame are coupled to cross each other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to support the pocket portions a dispersing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dispersing bars;
A first elastic support part formed in a 'C' cross-sectional shape to elastically support the dispersion part, an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support part, a plurality of peaks and valleys are continuously intersec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mpress or a multi-impact absorbing part including a second elastic support part inflatable and a fixing ba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support part and having one end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ox part;
Impact sensors installed in each of the box unit;
a locking part accommodated in a locking groov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to prevent the base from flowing; and
and a withdrawal cylinder buried in the ground and withdrawing from the locking groove by lowering the locking part when the impact sensor detects an impact;
The protection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buffer 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base and the box part slide in a direction to which the impact force of the collision source is applied, and the buffer part elastically supports the protection part moved together with the base.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의 상태 정보를 감지하기 하기 위한 감지센서;
상기 감지센서와 통신을 수행하여 이상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이상상태를 수신한 경우, 해당 이상상태와 관련된 컨텐츠를 영상정보로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의 센싱 데이터를 수신한 후 이를 분석하여 이상상태를 감지하는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태 감지부는,
상기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에 존재하는 다수의 감지센서로부터 획득된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
상기 센싱 데이터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의 이상상태 및 위치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 상황을 예측하거나 그 수명을 예측하는 데이터 예측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태 감지부 또는 서버로부터 감지되는 상기 이상상태는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의 고장 상태 정보, 추후 사고 상황으로 발생 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 정보, 또는 관리 대상 설비의 예상 수명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진동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진동 데이터의 진폭과 고유 진동 주파수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전류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전류 데이터로부터 설비 가동시 소모 전류량 및 전류 파형(주파수 및 사인파의 형상 정보)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설비 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하며,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가 온도 데이터일 경우, 상기 데이터 분석부는 수집된 온도 데이터로부터 해당 관리 대상 설비의 온도 피크값과 누적 온도 데이터의 추이를 분석하여 해당 관리 대상 아이오티 기기의 고장 상태 및 예상 수명을 추정하는 피디엠을 통한 아이오티 기기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a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state information of the managed IoT device;
a display unit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detection sensor to receive abnormal state information, and displaying, as image information, content related to the abnormal state as image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unit when receiving an abnormal state information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The server further includes; after receiving the sensing data of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det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and analyzing it to detect an abnormal state;
The state detection unit,
a database unit for collecting and storing sensing data obtained from a plurality of detection sensors existing in the managed IoT device;
a data analysis unit that analyzes the sensing data to analyze an abnormal state and location of a corresponding managed IoT device; and
It includes; a data prediction unit that predicts an accident situation that may occur in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data analysis unit or predicts the lifespan thereof;
The abnormal state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unit or the server includes information on a failure state of the IoT device to be managed, information about a situation that is likely to occur in an accident situation in the future, or information on the expected lifespan of the equipment to be managed,
When the sensing data coll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is vibration data,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amplitude and natural vibration frequency of the collected vibration data to estimate the failure state and life expectancy of the corresponding managed facility,
When the sensing data coll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is current data,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current consumption and the current waveform (frequency and sine wave shape information) from the collected current data when operating the facility, thereby causing the failure of the facility to be managed. Estimate the state and expected lifespan, and when the sensing data collected from the detection sensor is temperature data, the data analysis unit analyzes the trend of the temperature peak value and the accumulated temperature data of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target facility from the collected temperature data to manage the corresponding management An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that estimates the failure state and life expectancy of the target IoT device.
삭제delete
KR1020210129689A 2021-09-30 2021-09-30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KR1023763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689A KR102376343B1 (en) 2021-09-30 2021-09-30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689A KR102376343B1 (en) 2021-09-30 2021-09-30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343B1 true KR102376343B1 (en) 2022-03-21

Family

ID=80937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689A KR102376343B1 (en) 2021-09-30 2021-09-30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343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196A (en) * 2018-10-17 2020-04-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Deep learning based analysis method and device for remaining useful lifetime of equipment or parts using vibration signals
KR102216306B1 (en) 2019-11-29 2021-02-1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fatigue life of ship
KR102247013B1 (en) * 2019-05-03 2021-04-30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Machine parts failure prediction and life prediction system and b2b distribution service system based on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196A (en) * 2018-10-17 2020-04-2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Deep learning based analysis method and device for remaining useful lifetime of equipment or parts using vibration signals
KR102247013B1 (en) * 2019-05-03 2021-04-30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Machine parts failure prediction and life prediction system and b2b distribution service system based on the same
KR102216306B1 (en) 2019-11-29 2021-02-16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predicting fatigue life of shi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Cyber-physical-system-based safety monitoring for blind hoisting with the internet of things: A case study
CN108681781A (en) A kind of subway operation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three-dimensional technology of Internet of things
CN102633173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operation state of elevator car
KR10235989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oad surface information, and data saving device thereof
CN105387963B (en) Expressway slope pressure detecting and prior-warning device
CN114894411B (en) Bridge health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CN112502780B (en) Mine safety produc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local area network
KR100916960B1 (en) Monitoring system in railway station
CN107993426A (en) Equipment working state monitors system and its monitoring method
CN111339905A (en) CIM well lid state visual detection system based on deep learning and multi-view angle
CN110821560A (en) Tunnel inspection system
CN116105802B (en) Underground facility safety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meth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CN112541430B (en) Fault diagnosis method for fusion of temperature signal and noise signal
CN110885019A (en) Tower crane monitoring and real-time alarm system based on BIM model
KR102376343B1 (en) Iot device management system through pdm
CN105923483B (en) Elevator degree of operating steadily diagnoses and maintenance system and method
CN113624201A (en) Urban tunnel multi-line overlapping construction settlement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CN109410611A (en) Earthquake detection and prior-warning device and method along a kind of highway
CN103193160A (en) Remote driving device of tower crane
CN109272197A (en) A kind of identification of dangerous source method based on building BIM model
CN112652136A (en) Power transmission and transformation anti-intrusion intelligent early warning system
CN111649712A (en) Pressure sensor and highway deformation monitoring method
CN209505732U (en) A kind of subway platform door obstacle detection early warning system based on machine vision technique
CN116664343A (en)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telligent building site digital model
CN105122949A (en) Decision support system for a lighting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