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319B1 - VOCs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 Google Patents

VOCs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319B1
KR102376319B1 KR1020210183420A KR20210183420A KR102376319B1 KR 102376319 B1 KR102376319 B1 KR 102376319B1 KR 1020210183420 A KR1020210183420 A KR 1020210183420A KR 20210183420 A KR20210183420 A KR 20210183420A KR 102376319 B1 KR102376319 B1 KR 102376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omponent
solvent
ink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3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명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명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명이노텍
Priority to KR1020210183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3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03Printing inks characterised by features other than the chemical nature of the b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10Intaglio printing ; Gravure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30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organic plastics, horn or similar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2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containing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로서, 상기 인쇄용 잉크는 제1성분인 매질로서, 이산화티타늄, 노멀-프로필 아세테이트, 아세트산 에틸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제2성분인 용제로서, 다이메틸 카르보네이트, 아세톤 및 Clean7을 포함하고, 제3성분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성분과는 상이한 수지, 안료 및 첨가재를 포함하는, 인쇄용 잉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VOCs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Eco-friendly Gravure printing ink which reduces and VOCs}
본 발명은 포장재 특히 연포장재의 인쇄에 사용되는 오염 물질을 줄이는 친환경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에 관한 것이다.
연포장재는, 종이, 플라스틱 필름, 알루미늄 포일 또는 천 등의 유연성을 가진 재료로 단층 또는 다층의 형태로 구성된 포장재이다. 경질의 플라스틱 용기나 알루미늄 용기 포장, 강성포장(rigid packaging)과 대비하여 연포장-플랙시블 포장으로 호칭할 때가 많다
연포장재는, 모양이 쉽게 변화될 수 있으며, 보통 두께는 200㎛ 이하이며, 주로 피착제와 접착제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연포장재는 제품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오염으로부터 보호하며, 취급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하고 식품의 원래의 맛과 향을 유지하여 상품 가치를 높여 판매촉진에 기여한다.
연포장재는 식품용 뿐만 아니라 세제, 샴푸, 화장품 등의 생활용품. 의료용 팩, 비료, 영양토등의 농업용, 기타 장식용으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연포장재는 무미, 무독, 무취로 안전 ˙ 위생성이 우수하고, 방습성, 산소차단성, 보향성, 단열성, 차광성, 방열성등 내용물의 보호 ˙보존성이 좋아야 하며, 물리적 강도와 안정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또, 인쇄적성이 좋고, 적절한 Slip성, 치수안정성과 함께 주름이나 구겨짐이 적어야 하고, 경제성, 가격 경쟁력, 생산성이 좋아야 한다.
또한 연포장은 내용물의 충진 시스템, 용도, 내용물에 따라 식품포장 또는 제과포장 등으로 구분되어, 두루마리와 같은 롤 형태나 파우치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연포장재 제조 공정은 도 1과 같이 필름에 잉크 인쇄하는 공정(10), 합지(lamination) 공정(12), 숙성(aging) 공정(14), 분단, 제대 및 펀칭 공정(16) 및 검사 및 포장 공정(18)으로 이루어진다.
인쇄 공정(10)은 금속 표면을 부식, 조각 등의 방법으로 오목하게 만들어 그 부분에 잉크를 충전하고, 남은 부분의 불필요한 잉크를 닥터 블레이드(Doctor Blade)로 호칭되는 얇은 강판(두께 0.1mm정도)의 칼로 긁어 없앤 후 오목부 내에 남아있는 잉크를 공급된 기재(base)에 압력을 가하면서 회전시켜 인쇄하는 방법이다. 기재는 PET, NY(나일론), OPP(Oriened Poly propylene)등의 필름, 종이 또는 알루미늄일 수 있다.
합지 공정(12)은 PET, NY, OPP 등의 필름, 알루미늄, 종이와 같은 기재에 접착제를 코팅하여 타 기재와 붙이는 공정으로 주로 4가지 방법이 있다;
습식 합지(Wet Lamination) 공정은 젖은 상태에서 접합하는 방식으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타입의 접착제를 표면이 평활하고 내수성을 갖는 기재에 도포하여 종이와 같이 통기성 있는 재료와 접합시킨 후 건조 적층하는 방법이며, 대부분 종이를 사용하는 접합에 사용하기 때문에 합지라고도 부르며, 폴딩 및 형상 유지력이 있으며, 담배, 껌 포장지에 사용된다.
건조 합지(Dry Lamination; D/L) 공정은 1급지에서 공급되는 기재 표면에 용제형 접착제를 도포 또는 코팅하고 챔버의 열풍 및 가열에 의해 용제를 휘발시켜 접착제 표면을 점착성을 가진 상태로 한 후 2급지에서 투입되는 다른 기재와 가압 접착하는 공정이다. 접착력이 좋고, 내열, 내수, 내약품성이 우수하여고 기능이 요구되는 냉동식품, 액체 포장 및 산업용 포장에 사용된다.
압출 합지(Extrusion Lamination) 공정은 펠릿상의 플라스틱 수지를 압출기에서 고온으로 용융, 가압하고 다이를 통하여 필름 형태로 압출한 용융상태에서, 다른 필름에 코팅 하거나 또는 2개의 재료 사이에 압출과 압착 및 냉각을 동시에 행하면서 접착하는 방법으로, 커피류와 같은 분말 포장, 라면, 과자 포장에 주로 사용된다.
왁스 합지(Wax Lamination) 공정은 고온 용융 접착제를 가열 용융시킨 유동 상태로 기재 면에 도포 또는 코팅한 후 냉각 고화 또는 고화 전에 다른 필름과 접착시킨 후 고화하는 방법으로, 벗겨짐이 좋아야 하는 요쿠르트 캡, 뚜껑용 씰란트(Sealant) 그리고 보향성이 요구되는 껌 포장 등에 사용된다.
숙성(aging) 공정(14)은 D/L 공정에서 사용하는 유기용제 접착제나 압출합지 공정에서 사용하는 유기용제의 가교경화를 촉진 하기 위해 40~60℃ 조건으로 숙성시켜 접착력을 높이고 일정을 단축시키는 공정이다.
분단, 제대 및 펀칭 공정(16)에서 분단(Severing or Cutting)은 소재를 지정된 폭과 길이로 분단하는 공정이며, 제대는 입체형, 스텐드형 등의 파우치를 제조하는 공정이며, 펀칭(Punching or Embossing)은 요철에 새겨진 무늬 또는 글씨를 구비한 롤러로 기재를 고압으로 눌러 기재에 글씨 또는 무늬를 요철형태로 전사 시키는 공정이다.
실제 연포장재 제조 공정은 이상의 공정에서 적절한 경로를 따라, 예를 들어 인쇄, D/L, 숙성, 분단 및 제대 공정을 거치거나 또는 인쇄, 압출, 숙성, 분단 및 제대 공정을 거치거나 또는 인쇄, D/L, 숙성, 왁스 도포, 분단 또는 펀칭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현재 인쇄 공정(10)에서 사용되는 잉크는 유기용제 타잎으로 MEK(메틸 에틸 케톤) EA(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Tol(톨루엔)을 사용하고 있다. 이들 유기용제는 휘발성이 강하여 기체 상태로 부유하다 액체로 응축되거나 고형화되는 경우가 많아 시간 경과에 따라 주변 작업 환경이 쉽게 오염되며 불순물로 작용하여 잉크의 질이 떨어지고 작업자의 건강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또 기존의 유기용제는 여러 휘발성 화합물을 복합하여 동시 사용하므로 신체에 쌓이면 성분 중의 일부는 결국 독성물로 작용하여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인쇄 공정에서 기존의 복합 유기 용제 대신 다른 친환경적인 용제를 사용하거나 유기 용제를 회수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설비를 추가하는 것이 친환경적인 관점에서 필요하다.
한편, 현재 공정에서는 합지 공정에서 사용되는 접착제의 용제를 종류에 제한 없이 광범위하게 사용하여 휘발성인 용제의 회수가 어려우며, 실제 용제 회수 장치를 부가하여 유기 용제를 회수하고 재활용하는 공정은 채용하고 있지 않다.
연포장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특허 제10-1427271호는 고밀도 프로필렌(HDPE), 저밀도 프로필렌(LDPE) 및 알루미늄 분말을 포함하는 기재를 합지하는 공정을 개시하고 있으나 합지공정은 전혀 언급하고 있지 않다.
특허 제10-2073120호는 연포장재를 인쇄 기재필름의 이면에 제 1접착층과 베리어층과 제 2접착층 및 내면층을 순차적으로 적층, 합지시켜 다층필름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연포장재의 강도와 투습배리어성 및 파단성을 향상시킨 재료를 개시하고 있다. 이 특허는 합지 공정의 접착층 재료로, LDPE, 산화티탄 및 레이저 안료를 제안하고 있으나, 용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특허 제10-2308899호는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의 용매로 에틸알코올 및 프로필알코올을 혼합한 알코올계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이소프로필아세테이트
20 내지 60 중량부 및 시클로헥산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안하고 있으나 잔류 용제로 유해한 EA 및 MeOH 및 EtOH가 검출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연포장재의 그라비아 인쇄 공정에서 환경과 인간에 해로운 물질을 최대한 제거하고 작업자의 건강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원가를 줄일 수 있는 친환경 소재의 잉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로서, 상기 인쇄용 잉크는 제1성분인 매질로서, 이산화티타늄, 노멀-프로필 아세테이트, 아세트산 에틸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제2성분인 용제로서, 다이메틸 카르보네이트, 아세톤 및 Clean7을 포함하고, 제3성분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성분과는 상이한 수지, 안료 및 첨가재를 포함하는, 인쇄용 잉크를 제공한다.
상기 제1성분인 매질은, 상기 매질의 전체 중량비 대비, 이산화티타늄 30 ~ 35중량%, 노멀-프로필 아세테이트 25 ~ 30중량%, 아세트산 에틸 15 ~ 20중량% 및 폴리우레탄 15 ~ 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성분인 용제는 상기 용제의 전체 중량비 대비, 다이메틸 카르보네이트 35 ~ 45중량%, 아세톤 35 ~ 45중량% 및 Clean7 10 ~ 3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라비아 인쇄 공정에서 독성이 강한 물질의 배출을 최대한 억제하고,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작업자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환경 오염 물질에 대한 관리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는 친환경적이며, 용제에 소요되는 필요 경비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인 연포장재의 제조 공정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및 개별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연포장재의 제조 방법중의 초기 단계인 인쇄 공정(10)은 그라비아(Gravure) 방식이 적절하며, 속건성을 이용한 생산성이 높은 시스템이다. 그라비아 인쇄는 동판을 이용하는 오목인쇄 방식이며, 동판 마다 부식 내지 조각을 하고, 판형의 넓은 동판에 실린더를 이용, 윤전과 유사한 방식으로 인쇄하는데 비닐계 롤지, 필름(OPP,CPP)등이 적용 대상이다. 그라비아 인쇄는 고속이며, 전이되는 잉크의 양이 많고 농도의 재현 폭이 넓고, 질이 떨어지는 종이나 얇은 종이에도 인쇄가 가능하며, 건조가 빠른 장점이 있다.
그런데, 기존의 복합 유기용제는 조성비로 보아 약 70∼80%를 휘발성 유기용제인 MEK, EA 및 Tol을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에 작업 환경 개선 및 대기 오염 방지의 관점에서부터, 휘발성 유기용제의 변경 및 저감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인쇄용 잉크는 매질인 제1성분과, 매질을 녹여 희석하는 희석제로서의 용제(solvent)인 제2성분으로 이루어진다. 잉크가 가지는 다른 필수적인 제3성분 - 수지, 안료 및 첨가재 - 는 본 발명의 특징을 이루지 않으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매질과 용제는 편의상 큰 범위로 분류한 것이며, 매질(matter; substances)이라고 하여 다른 성분을 용해하는 기능이 없는 것은 아니며, 용매라도 다른 성분에 의하여 희석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인쇄용 잉크는 제1성분인 매질로서, 이산화티타늄 30 ~ 35중량%, 초산 프로필(노멀-프로필 아세테이트) 25 ~ 30중량%, 초산 에틸(아세트산 에틸) 15 ~ 20중량% 및 폴리우레탄 15 ~ 30 중량%를 포함한다. 각각의 성분비는 이들 성분의 전체 성분비를 100중량%로 할 때 각각의 성분이 차지하는 중량비이다.
본 발명의 인쇄용 잉크는 제2성분인 용제로서, 다이메틸 카르보네이트 35 ~ 45중량%, 아세톤 35 ~ 45중량% 및 Clean7 10 ~ 30중량%를 포함한다. 각각의 성분비는 이들 성분의 전체 성분비를 100중량%로 할 때 각각의 성분이 차지하는 중량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산화티타늄은 대표적인 백색안료로 높은 굴절율을 가지고 정확한 입도와 분산성을 가지고 있어 은폐력과 착색력이 우수하고 화학적으로 물리적으로 안정된 물질이다. 비독성이며, 보통 생물학적으로 반응을 하지 않아 환경 및 인체에 무해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 광촉매 성분을 함유하여 바이러스, 세균, 곰팡이균 등의 살균 및 부패 방지에 좋으며,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히드, VOCs등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일반 도료의 경우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 시 도막 열화가 발생하여 자외선 조사에 의한 황변 등의 색상차가 발생하고 물성이 약화되어 도막이 파열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산화티타늄을 30 ~ 35중량%로 매질 중 가장 많이 함유하므로 연포장재가 자외선에 노출되어도 도막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이산화티타늄을 30중량% 미만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황변이 발생되고, 3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무광택화가 진행되므로 위 범위가 바람직하다.
N-프로필 아세테이트(초산 프로필)는 깨끗한 무색의 액체로 방향제와 향료 첨가제로 사용되는 친환경 물질이다. 일반적인 유기 용제와 잘 혼합되며, 물에는 약간의 혼화성이 있다. 독특한 과일(배)향 냄새로 쾌적함을 주기 때문에 연포장재의 매질로 적합하다. 프로펜과 프로판의 혼합물 및 아세틱(acetic)산을 염화아연을 촉매제로 반응하여 제조된다. N-프로필 아세테이트는 25 ~ 30중량%의 범위가 적절하다. N-프로필 아세테이트를 25중량% 미만 첨가하면 향 발산 효과가 미약하며, 30중량%를 초과하면 향 발산 효과가 강하여 다른 매질 성분의 효과가 억제되기 때문이다.
아세트산 에틸은 황산을 촉매로 하여 에틸 알코올과 아세트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얻어지는 무색의 중성 액체로 과일향이 나며 물에 잘 녹지 않고 식물에서도 많이 발견된다. 아세트산 에틸은 인체에 해가 적어 메니큐어를 만들 때 사용하거나 메니큐어 제거제로 사용된다. 아세트산 에틸은 용해력이 강하고 증발속도가 높기 때문에 공업용 소재로 적합하며, 윤택성이 좋고, 비탄화수소계 용제로서 허용 농도가 400PPM으로 인체에 미치는 독성이 가장 적어 친환경적인 소재이다. 아세트산 에틸은 15 ~ 20중량%의 범위가 적절하다. 아세트산 에틸을 15중량% 미만 첨가하면 향 발산 효과가 미약하며, 20중량%를 초과하면 향 발산 효과가 강하여 다른 매질 성분의 효과가 억제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아세트산 에틸은 N-프로필 아세테이트와 마찬가지의 용도로 활용되며 따라서 함량비는 이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은 di- 또는 트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로 제조되며, 연신력과 탄성 복구력이 우수하고, 고무에 비해 자외선에 강하며, 비중이 1.0으로 매우 가볍다.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잉크와 같은 도료는 강한 점착력과 방수 및 부식 저항력을 가진다. 폴리우레탄이 잉크로 사용되면 주로 백업재로 기능하며, 내마모성, 내후성, 유연성, 내약품성이 우수하지만, 자외선에 의한 황변성이 높으며, 이소시아네이트가 독성을 가지고 있고, 에나멜로 사용하는 경우 도막 백화 현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폴리우레탄의 함량비는 15 ~ 30 중량%의 범위가 적절하다. 폴리우레탄을 15중량% 미만 첨가하면 폴리우레탄 특유의 점착력과 회복력을 발휘하기 어려우며, 30중량%를 초과하면 황변성 및 도막 백화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 본 발명의 제2성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이메틸 카르보네이트는 페인팅 작업 시 블랙 계열 및 화이트 계열의 상도 재료로 많이 활용된다. 메틸레이션(methylation)과 카보닐레이션(carbonylation) 반응에서 디메틸설페이트(dimethyl sulfate)와 포스겐(phosgene) 같이 부식성이 강하고 독성 강한 화학약품을 대신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화학제품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오일과 잘 희석되고 산소 함량이 높으며 무해하여 유해한 메틸 뷰틸 에테르의 대체물질로 고려되고 있다. 미국에서 다이메틸 카르보네이트는 VOCs 성분에서 제외되었다(2009년). 더욱, 냄새가 다른 탄화수소 계열 화합물보다 좋아 유저 친화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다이메틸 카르보네이트는 35 ~ 45중량%의 범위가 적절하다. 다이메틸 카르보네이트를 35중량% 미만 첨가하면 용제로서 량이 부족하며, 45%중량%를 초과하면 물의 존재하에서 용제가 경화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아세톤은 케톤 중 가장 간단한 물질이며 독특한 냄새가 나지만 무색이며 상온에서 액체 및 물과 잘 섞인다. 아세트는 중요한 용매 중 하나로서 플라스틱이나 셀룰로스 도료 제작에 널리 쓰이는데 산성이므로 무극성 매질의 용매로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아세톤은 35 ~ 45중량%의 범위가 적절하다. 아세톤을 35중량% 미만 첨가하면 용매 기능이 저하되며 특히 고온에서의 휘발성 때문에 양을 많이 줄일 수 없으며, 45중량%를 초과하면 유해물질의 농도가 진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아세톤의 단점을 상쇄하도록 다이메틸 카르보네이트를 적정량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Clean7은 기존 사용되고 있는 톨루엔(메틸벤젠)을 70%로 희석화한 것으로 SK화학이 개발하여 판매 중에 있으며, 톨루엔의 대체재로서 VOCs의 저감 용제나 비유독물로 분류된다. 톨루엔의 함량이 85%이상이면 유해물질로 분류된다. Clean7의 기본적인 물성은 톨루엔과 유사하며 상온, 상압에서 무채색의 액체로서 오일, 합성수지, 페인트등의 용제로 이용될 뿐 아니라 페놀,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diisocyanate), 트리니트로톨루엔(trinitrotoluene), 염료, 약품, 사카린 같은 화합물 제조에 널리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Clean7은 10 ~ 30중량%의 버위가 적절하다. Clean-7을 10중량% 미만 첨가하면 톨루엔 대체제로서의 기능이 약해지며, 반대로 30중량%를 초과하면 유해물질의 절대량이 증가할 수 있고 다이메틸 카르보네이트의 친환경 효능이 적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발명자들은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로서, 폴리아미드계 수지 20 중량%, 니트로 셀룰로오스 수지 5 중량%, 안료 20 중량%, 왁스 5 중량%, 충진재 2중량% 및 용제 48 중량%를 포함하고, 용제가 전체 용제 중량 대비 MEK(메틸 에틸 케톤) 40중량%, EA(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30중량%, 톨루엔 20중량% 및 알코올(에탄) 성분 10%로 이루어지는 잉크(비교예)를 준비하였다. 또, 제1성분인 매질로서, 제1성분의 전체 중량비 대비 이산화티타늄 35중량%, 노멀-프로필 아세테이트 25중량%, 아세트산 에틸 20중량% 및 폴리우레탄 25 중량%로 이루어지는 매질에, 비교예와 동일한 량으로 수지, 안료, 왁스 및 충진재를 첨가하고, 제2성분인 용제로서, 제2성분의 전체 중량비 대비 다이메틸 카르보네이트 40중량%, 아세톤 40중량% 및 Clean7 20%를 포함하는 잉크(실시예)를 준비하였다. 그리고, 도 1과 같은 동일한 그라비아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레토르트 식품 포장재로 PET(두께:12um)/인쇄층/제1접착층/AL(두꼐:7um)/제2접착층/NY(두께: 15um)/제3접착층/CPP(두께: 70um)로 이루어지는 4층 복합필름에 대하여 85도의 온도에서 30분간 인쇄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용제 회수 장치를 이용하여 각각의 잔류 용제를 측정하였다. 잔류용제는 유해물질로 분류된 주요 성분을 포함하였다.
EA MEK Tol IPA MeOH EtOH 총량(mg/㎡)
실시예 0.32 0.00 0.02 0.00 0.00 0.00 0.34
비교예 0.52 0.35 0.04 0.09 0.02 0.01 1.03
실시예와 비교예를 사용한 제품의 잔류 용제를 측정한 결과 실시예는 현재 정해진 식품 제조 및 규격 조건인, 톨루엔 2mg/㎡ 이하, 총량 6mg/㎡ 이하인 조건을 만족하였다. 이에 대하여 비교예에서는 유해물질인 EA, MEK와 톨루엔 함량이 많이 검출되었다. 한편, 각 층간의 접착력을 비교한 결과 2가지 모두 0.87 ~ 1.2kg/15mm 범위로 동등한 수준을 보였다. 층간 접착력은 원단 폭을 15mm로 잘라 Instron 만능시험기로 각 층간의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즉 본 발명의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 친환경적이고 오염물질의 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를 달성하면서 인쇄 접착력은 그대로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과 수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 기술하는 청구범위와 동일 또는 균등한 범위까지 미침은 자명하다.

Claims (3)

  1.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로서, 상기 인쇄용 잉크는 제1성분인 매질로서, 이산화티타늄, 노멀-프로필 아세테이트, 아세트산 에틸 및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제2성분인 용제로서, 다이메틸 카르보네이트, 아세톤 및 Clean7을 포함하고, 제3성분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성분과는 상이한 수지, 안료 및 첨가재를 포함하는, 인쇄용 잉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성분인 매질은, 상기 매질의 전체 중량비 대비, 이산화티타늄 30 ~ 35중량%, 노멀-프로필 아세테이트 25 ~ 30중량%, 아세트산 에틸 15 ~ 20중량% 및 폴리우레탄 15 ~ 30 중량%를 포함하는, 인쇄용 잉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성분인 용제는 상기 용제의 전체 중량비 대비, 다이메틸 카르보네이트 35 ~ 45중량%, 아세톤 35 ~ 45중량% 및 Clean7 10 ~ 30중량%를 포함하는, 인쇄용 잉크,
KR1020210183420A 2021-12-21 2021-12-21 VOCs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KR102376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420A KR102376319B1 (ko) 2021-12-21 2021-12-21 VOCs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3420A KR102376319B1 (ko) 2021-12-21 2021-12-21 VOCs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319B1 true KR102376319B1 (ko) 2022-03-18

Family

ID=80936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3420A KR102376319B1 (ko) 2021-12-21 2021-12-21 VOCs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3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362B1 (ko) * 2023-04-05 2023-08-01 주식회사 부영기업 알코올 베이스의 친환경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3962A (ja) * 2001-09-27 2003-04-09 Toppan Printing Co Ltd 環境配慮型グラビアカレンダー
JP2011122064A (ja) * 2009-12-11 2011-06-23 Toyo Ink Sc Holdings Co Ltd 溶剤型グラビアインキ
KR20180114447A (ko) * 2017-04-10 2018-10-18 (주)성보잉크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13206A (ko) * 2017-08-01 2019-02-11 주식회사 케이씨씨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필름
KR102226209B1 (ko) * 2019-09-26 2021-03-11 주식회사 디어스엠 알코올 용해성이 우수한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3962A (ja) * 2001-09-27 2003-04-09 Toppan Printing Co Ltd 環境配慮型グラビアカレンダー
JP2011122064A (ja) * 2009-12-11 2011-06-23 Toyo Ink Sc Holdings Co Ltd 溶剤型グラビアインキ
KR20180114447A (ko) * 2017-04-10 2018-10-18 (주)성보잉크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13206A (ko) * 2017-08-01 2019-02-11 주식회사 케이씨씨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테리어 필름
KR102226209B1 (ko) * 2019-09-26 2021-03-11 주식회사 디어스엠 알코올 용해성이 우수한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2362B1 (ko) * 2023-04-05 2023-08-01 주식회사 부영기업 알코올 베이스의 친환경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16208B2 (ja) ポリビニルアルコール及び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バリアコーティング
JP5586797B2 (ja) ライナーなしラベルとともに使用するための流体活性化可能な接着剤および同接着剤を活性化するための流体
KR102263275B1 (ko) 클리어 온 클리어 라벨용 핫멜트 감압 접착제
AU763924B2 (en) Printed antifog film with cellulose ester ink or overprint varnish
KR102376319B1 (ko) VOCs 배출을 줄이는 친환경 그라비아 인쇄용 잉크
EP2943546B1 (en) Fluid activatable adhesives for glue-free, liner-free, labels for glass and plastic substrat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070298246A1 (en) Corrosion-inhibiting coating for metal substrates and corrosion-resistant article
CN101772410A (zh) 具备改进的粘合强度的阻气涂料
EP1913380A1 (en) INK COMPOSITION, OXYGEN AND/OR pH INDICATOR AND PACKAGE
US9254936B2 (en) Fluid activatable adhesive for glue-free, liner-free, labels for glass and plastic substrat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EP1252246B1 (en) Surface printing inks and coatings for use on flexible film or paper packages
JP2012250416A (ja) 水性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インクを用いた軟包装用の積層体中への画像形成方法、及び軟包装用積層体
KR100943319B1 (ko) 친환경 식품 포장용 포장재의 제조방법
JP7057236B2 (ja) 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インキ組成物、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インキ層、積層体、レーザーマーキング方法
Bautista et al. Coatings and inks for food packaging including nanomaterials
WO2015182616A1 (ja) チューブ用積層体及びチューブ容器
US20090226651A1 (en) Method for preparing an oxygen scavenging film and package
WO2011113453A1 (de) Verfahren zum herstellen autoklavierter nahrungsmittel in einem aus einem flächenförmigen verbund gebildeten behälter mit einer farbigen vernetzten äusseren polymerschicht erhältlich durch tiefdruck
JP5047678B2 (ja) アルミ蒸着フィルムを有する包装材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2009030192A (ja) 耐水・耐油機能を有する紙製品
JP6815409B2 (ja) 発泡性紙製品に用いる原材料シート及び発泡性紙製容器
KR102412284B1 (ko) Ea 유기용제를 재활용하는 건조 합지 공정을 포함한, 연포장재 제조 방법
US20060177636A1 (en) Printed strip-type materials especially for covering containers
US20190276679A1 (en) Aqueous coating compositions for barrier coatings, coated packaging material, and method
KR102533020B1 (ko) 물을 용제로 함유하는 수계 친환경 잉크를 이용한 플렉소 인쇄에 의하여 인쇄된 필름 포장재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필름 포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