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906B1 -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906B1
KR102375906B1 KR1020200076045A KR20200076045A KR102375906B1 KR 102375906 B1 KR102375906 B1 KR 102375906B1 KR 1020200076045 A KR1020200076045 A KR 1020200076045A KR 20200076045 A KR20200076045 A KR 20200076045A KR 102375906 B1 KR102375906 B1 KR 102375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ver
door handle
cover fram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8447A (ko
Inventor
김동원
성종훈
정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7665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127517B1/ko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6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906B1/ko
Publication of KR20200078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8447A/ko
Priority to KR1020220031563A priority patent/KR1025140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906B1/ko
Priority to KR1020230036829A priority patent/KR102600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Abstract

도어 핸들이 도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세탁기는, 본체와,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세탁물 투입구와,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는, 본체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부재와, 홀더부재를 관통하여 홀더부재에 결합되는 투명부재와, 홀더부재의 전면을 덮어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커버부재는, 홀더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커버 프레임과, 커버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 패널과, 사용자의 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커버 프레임의 전면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와, 사용자의 손을 수용 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커버 패널의 전면의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 핸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DOOR AND CLOTHES TREA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의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핸들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에는 세탁물을 집어넣거나 꺼내기 위한 개구가 형성되며,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의류처리장치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에는 사용자가 도어를 잡고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도어 핸들이 마련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도어 핸들은 도어와 별개의 부품으로 생산되어 도어에 조립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도어 핸들을 별개의 부품으로 생산하여 도어에 조립할 경우, 도어 핸들 생산에 따른 재료비 상승 및 도어 핸들을 도어에 조립하기 위한 공정 추가에 따른 생산성 저하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도어 핸들이 도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부재;와, 상기 홀더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홀더부재에 결합되는 투명부재;와, 상기 홀더부재의 전면을 덮어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홀더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커버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 패널;과, 사용자의 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의 전면 일부분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와, 사용자의 손을 상기 수용 공간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커버 패널의 전면의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 공간에 삽입되고, 사용자의 손을 그 내측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되는 핸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 수용부의 개방된 일측이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핸드 수용부의 개방된 일측과 대응하는 상기 돌출부의 일측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은 그 끝단이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의 전면에는 상기 제1플랜지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제1플랜지부의 끝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제1체결돌기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제1체결돌기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1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그 후면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1체결홀과 결합하는 제1체결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함몰부의 끝단이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와, 상기 제2플랜지부의 끝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체결돌기와, 상기 제2체결돌기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체결홀을 포함하고, 상기 핸드 수용부는 상기 제2체결홀과 결합하는 제2체결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 수용부는, 상기 도어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제1개구를 형성하는 제1측벽 및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2측벽을 연결하는 제3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개구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개구와 대응하는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제2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제2개구를 형성하는 상기 돌출부의 일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측벽을 상기 도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지지하는 제1지지리브와, 상기 커버 프레임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측벽을 상기 도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드 수용부는 상기 제2측벽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3체결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의 후면에는 상기 제3체결후크를 지지하는 제3지지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측벽과 상기 제3지지리브는 상기 도어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의 내면에는 상기 제2플랜지부를 지지하는 경사리브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경사리브는 서로 인접한 상기 삽입홈의 두 내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의 전면의 곡률 반경과 상기 제2측벽의 내면의 곡률 반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도어는, 의류처리장치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의류처리장치 본체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부재;와, 상기 홀더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홀더부재에 결합되는 투명부재;와, 상기 홀더부재의 전면을 덮어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홀더부재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커버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는 커버 패널;과, 상기 커버 프레임의 전면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도어 핸들 형성부와, 상기 커버 패널의 전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도어 핸들 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도어 핸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 핸들은, 상기 제1도어 핸들 형성부의 내측으로 수용되고, 상기 제1도어 핸들 형성부 및 상기 제2도어 핸들 형성부와 결합되는 핸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은 그 끝단이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플랜지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의 전면 및 상기 제1도어 핸들 형성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제1삽입홈과, 상기 커버 프레임 및 상기 핸드 수용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 핸들 형성부의 일측은 사용자의 손이 상기 핸드 수용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제1삽입홈의 깊이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변할 수 있다.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플랜지부의 끝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커버 패널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홈에는 상기 복수의 체결돌기가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홀이 상기 커버 프레임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도어 몸체;와, 상기 도어 몸체의 전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 몸체의 전면을 덮는 커버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은 그 내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커버 패널의 단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리브는 서로 인접한 상기 삽입홈의 두 내면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도어 핸들이 도어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재료비가 절감된다.
또한, 도어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어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커버 프레임과 커버 패널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Ⅰ-Ⅰ'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커버 프레임의 돌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커버 프레임에서 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패널의 핸드 가이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14는 핸드 수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어에서 도어 핸들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의 배면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19는 핸드 수용부의 제2체결후크와 커버 패널의 제2체결홀간의 결합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0은 커버 프레임에 형성된 제1삽입홈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20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22는 제1삽입홈에 커버 패널의 제1플랜지부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미도시)와, 세탁물의 세탁을 위해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12)을 구비한다.
본체(1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세탁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14)가 마련된다.
본체(10)의 전면에는 드럼(12)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16)가 형성되고, 투입구(16)의 외측으로 힌지부재(18)가 설치된다.
힌지부재(18)는 본체(10)의 전면에 결합되는 힌지플레이트(18a)와, 힌지 플레이트(18a)로부터 돌출되는 힌지 암(18b)들을 포함한다.
힌지부재(18)의 힌지 암(18b)들에는 도어(1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투입구(16)를 개폐한다.
이하에서는 도어(10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어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커버 프레임과 커버 패널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의 도어(100)는 힌지부재(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부재(110)와, 홀더부재(110)의 중공된 중심부를 막도록 홀더부재(110)에 결합되는 투명부재(120)와, 홀더부재(110)의 전면을 덮는 커버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홀더부재(110)는 그 중심부가 중공된 원판 형상의 홀더몸체부(112)와, 홀더몸체부(112)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용홈(116)들을 포함한다. 힌지 암(18b)들의 일단은 수용홈(116)들에 수용, 결합된다.
투명부재(120)는 투명한 유리(Glass)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그 전방이 개방되는 원통 형상의 투명몸체부(122)와, 홀더부재(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투명몸체부(122)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플랜지부(124)와, 투명몸체부(122)의 후방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부(126)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26)는 세탁 과정에서 사용되는 세탁수를 드럼(12) 쪽으로 안내하고, 세탁 과정에서 세탁물이 드럼(12)의 전방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부재(130)는 도어(100)의 외관을 형성하며, 홀더부재(110)의 전면을 덮을 수 있도록 홀더부재(120)에 결합된다. 커버부재(130)의 커버 프레임(140)은 홀더부재(110)의 전면에 결합되어 홀더부재(110) 및 투명부재(120)와 함께 도어 몸체(101)를 형성한다.
홀더부재(110), 커버부재(130)는 가벼우면서도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버부재(13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도 6의 'Ⅰ-Ⅰ'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커버 프레임의 돌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1은 커버 프레임에서 돌출부가 형성된 부분의 배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커버 패널의 핸드 가이드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Ⅲ-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핸드 수용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130)는 홀더부재(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커버 프레임(140)과, 커버 프레임(140)의 전면에 결합되어 커버 프레임(140)의 중공된 중심부를 막는 커버 패널(150)과, 커버 프레임(140) 및 커버 패널(150)과 결합되어 커버 프레임(140) 및 커버 패널(150)과 함께 도어 핸들(160)을 형성하는 핸드 수용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커버 프레임(140)은 그 중심부가 중공된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홀더부재(110) 및 투명부재(120)와 함께 도어 몸체(101)를 형성한다.
커버 프레임(140)의 전면에는 커버 프레임(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제1삽입홈(141)이 형성된다. 제1삽입홈(141)의 일 부분(141a)은 돌출부(146)의 둘레의 일 부분을 따라 형성된다.
제1삽입홈(141)에는 커버 패널(150)의 제1플랜지부(151)가 삽입된다. 커버 프레임(140)과 커버 패널(150) 사이의 조립 공차를 보상하고, 커버 프레임(140)과 커버 패널(150) 사이의 조립 공차에 의해 커버 프레임(140)과 커버 패널(15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소음을 줄이기 위해 제1삽입홈(141)의 깊이는 커버 프레임(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변할 수 있다. 제1삽입홈(141)에는 커버 패널(150)의 제1체결돌기(153)들이 관통하는 관통홀(144)들이 마련된다. 관통홀(144)들은 커버 프레임(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커버 프레임(140)의 일측에는 도어 핸들(160)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돌출부(146)가 마련된다. 돌출부(146)는 커버 프레임(140)의 후면에 수용 공간(S1)이 마련될 수 있도록 커버 프레임(140)의 전면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돌출부(146)는 그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제2개구(146a)를 포함한다. 제2개구(146a)는 커버 프레임(140)의 원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핸드 수용부(170)의 제1개구(178)가 노출될 수 있도록 제1개구(178)와 연통된다.
또한 돌출부(146)는 제2개구(146a)를 형성하는 그 일단으로부터 도어(100)의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지지리브(146b)와, 돌출부(146)의 내면으로부터 도어(10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2지지리브(146c)를 포함한다. 제1지지리브(146b)는 핸드 수용부(170)의 제1측벽(171)을 도어(10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지지하고, 제2지지리브(146c)는 핸드 수용부(170)의 제3측벽(173)을 도어(10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지지한다.
커버 프레임(140)의 후면에는 커버 패널(150)을 고정하기 위한 제1체결후크(147)와, 핸드 수용부(170)를 지지하기 위한 제3지지리브(148)가 형성된다. 제1체결후크(147)는 커버 패널(150)의 제1체결돌기(153)에 형성된 제1체결홀(153a)과 결합한다. 제3지지리브(148)는 핸드 수용부(170)의 제2측벽(172)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176)와 결합되어, 제2측벽(172)을 지지함으로써, 제2측벽(172)의 내면(172a)과 커버 패널(150)의 함몰부(158)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거나, 적어도 제2측벽(172)의 내면(172a)이 함몰부(158) 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한다.
커버 패널(150)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의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며, 커버 프레임(140)의 중공된 중심부를 막아 도어(100)가 닫힌 상태에서 투명부재(12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세탁 과정에서 드럼(12)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면, 드럼(12) 내부와 인접한 투명부재(120) 주의의 온도 역시 상승하게 된다. 커버 패널(150)은 투명부재(1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투명부재(120)와의 접촉에 의해 입을 수 있는 화상을 미연에 방지한다.
커버 패널(150)은 그 전면의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158)를 포함한다. 함몰부(158)는 제2측벽(172)의 내면(172a)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사용자의 손을 핸드 수용부(170)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함몰면(158a)을 포함한다.
또한, 커버 패널(150)은 그 끝단이 도어(100)의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플랜지부(151)와, 함몰부(158)의 끝단이 도어(100)의 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플랜지부(152)를 포함한다. 제1플랜지부(151)와 제2플랜지부(152)는 서로 연결된다. 제1플랜지부(151)는 제1삽입홈(141)에 삽입되고, 제2플랜지부(152)는 커버 프레임(140)과 핸드 수용부(170) 사이에 형성되는 제2삽입홈(142)에 삽입된다.
제1플랜지부(151)에는 제1플랜지부(151)의 끝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체결돌기(153)들이 마련된다. 제1체결돌기(153)들은 커버 패널(15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제1체결돌기(153)들은 커버 프레임(140)의 제1삽입홈(141)에 형성된 관통홀(144)들을 통과하여 커버프레임(140)에 고정된다. 제1체결돌기(153)에는 커버 프레임(140)의 제1체결후크(147)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체결홀(153a)이 형성된다. 제1체결홀(153a)은 제1체결후크(147)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제1체결돌기(153)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제2플랜지부(152)에는 제2플랜지부(152)의 끝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체결돌기(154)들이 마련된다. 제2체결돌기(154)들은 커버 패널(150)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제2체결돌기(154)들은 제2삽입홈(142)을 통과하여 핸드 수용부(170)와 결합된다. 제2체결돌기(154)에는 핸드 수용부(170)의 제2체결후크(175)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체결홀(154a)이 형성된다. 제2체결홀(154a)은 제2체결후크(175)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제2체결돌기(154)의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핸드 수용부(170)는 일측이 개방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돌출부(146)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S1)에 수용, 고정된다.
핸드 수용부(170)는 도어(100)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제1개구(178)를 형성하는 제1측벽(171) 및 제2측벽(172)과, 제1측벽(171) 및 제2측벽(172)을 연결하는 제3측벽(173, 도 18 참조)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도어(10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핸드 수용부(170)에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도록, 제1개구(178)는 대략 도어(100)의 중심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측벽(171)은 제1지지리브(146b)에 의해 도어(10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지지되고, 제3측벽(173)은 제2지지리브(146c)에 의해 도어(100)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핸드 수용부(170)는 수용 공간(S1)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지지리브(146b) 및 제2지지리브(146c)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제2측벽(172)에는 제2측벽(172)의 외면으로부터 도어(100)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2체결후크(175)들 및 지지돌기(176)가 마련된다. 지지돌기(176)는 제2체결후크(175)들 사이에 배치된다. 제2체결후크(175)는 제2체결홀(154a)를 통해 제2체결돌기(154)와 결합되고, 지지돌기(176)는 제3지지리브(148)에 의해 지지된다. 즉, 핸드 수용부(170)는 제2체결후크(175)를 통해 커버 패널(150)과 결합되고, 지지돌기(176)를 통해 커버 프레임(140)에 의해 지지된다.
제2측벽(172)의 내면(172a)은 커버 패널(150)의 함몰면(158a)과 단차가 형성되지 않거나, 적어도 제2측벽(172)의 내면(172a)이 함몰부(158) 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고, 제2측벽(172)의 내면(172a)과 커버 패널(150)의 함몰면(158a)이 자연스럽게 연결될 수 있도록 제2측벽(172)의 내면(172a)의 곡률 반경(R1)과 함몰면(158a)의 곡률 반경(R2)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와 같이 제2측벽(172)의 내면(172a)과 함몰면(158a) 사이에 단차가 없거나, 적어도 제2측벽(172)의 내면(172a)이 함몰부(158) 보다 더 돌출되지 않고 제2측벽(172)의 내면(172a)과 함몰면(158a)이 서로 자연스럽게 연결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함몰면(158a)을 따라 핸드 수용부(17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해를 입지 않게 된다. 제2측벽(172)은 도어(100)의 반경 방향으로 제3지지리브(148)와 이격 배치되고, 제2측벽(172)과 제3지지리브(148) 사이에는 제2삽입홈(142)이 형성된다. 제2삽입홈(142)에는 커버 패널(150)의 제2플랜지부(152)가 삽입된다.
핸드 수용부(170)는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의 사출 성형 제품의 경우, 제품 성형 이후에 제품에 남아 있는 잔류 응력 등으로 인해 제품의 형상이 변형된다. 핸드 수용부(170)의 경우, 그 형상적인 특성 상, 제2측벽(172)이 제1측벽(17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변형될 가능성이 있는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측벽(172)으로부터 연장된 지지돌기(176)가 제3지지리브(148)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제2측벽(172)의 형상 변형이 방지되므로, 제2측벽(172)의 내면(172a)과 커버 패널(150)의 함몰면(158a)과의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거나, 적어도 제2측벽(172)의 내면(172a)이 함몰부(158) 보다 더 돌출되지 않고, 제2측벽(172)의 내면(172a)과 커버 패널(150)의 함몰면(158a)이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도어 핸들(16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도어에서 도어 핸들을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도 15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배면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9는 핸드 수용부의 제2체결후크와 커버 패널의 제2체결홀간의 결합관계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핸들(160)은 커버 프레임(140)의 돌출부(146)와 커버 패널(150)의 함몰부(158)와, 핸드 수용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 핸들(160)의 외관은 커버 프레임(140)의 돌출부(146)와 커버 패널(150)의 함몰부(158)에 의해 형성되며,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도어 핸들 형성부는 돌출부(146)와 동일한 구성이고, 제2도어 핸들 형성부는 함몰부(158)와 동일한 구성이다.
제1도어 핸들 형성부(146)는 핸드 수용부(17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커버 프레임(140)의 전면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커버 프레임(140)의 중심을 향하여 개방된 제2개구(146a)를 포함한다. 제2개구(146a)는 핸드 수용부(170)의 제1개구(178)와 연통된다.
제2도어 핸들 형성부(158)는 사용자가 도어 핸들(160)을 잡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자연스럽게 핸드 수용부(170)로 안내될 수 있도록 그 전면의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158)를 포함한다. 함몰부(158)의 함몰면(158a)은 핸드 수용부(170)의 일측 내면(172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면을 형성한다.
핸드 수용부(170)는 제1도어 핸들 형성부(146)의 내측에 수용, 고정되며, 제2개구(146a)와 연통되는 제1개구(178)를 포함한다. 제1개구(178)는 사용자의 손이 핸드 수용부(17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핸드 수용부(170)는 제1도어 핸들 형성부(146)에 형성된 제1지지리브(146b), 제2지지리브(146c) 및 제3지지리브(148)에 의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각각 지지된다.
사용자는 함몰부(158)를 따라 제1개구(178) 및 제2개구(146a)를 통해 핸드 수용부(170) 내부로 손을 집어 넣은 후, 도어(100)를 잡아당겨 투입구(16)를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 핸들(160)이 도어(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 프레임(140) 및 커버 패널(150)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도어 핸들(160)을 별도로 생산하기 위한 추가적인 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별도로 생산된 도어 핸들(160)을 도어(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공정이 불필요하므로 도어(100)의 생산성이 향상된다.
도 20은 커버 프레임에 형성된 제1삽입홈의 일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도 20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22는 제1삽입홈에 커버 패널의 제1플랜지부가 삽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삽입홈(141)에는 커버 패널(150)의 제1플랜지부(151)의 단부를 지지하는 경사리브(180)가 마련된다.
경사리브(180)는 서로 인접한 제1삽입홈(141)의 두 내면을 연결하는 경사면(182)을 포함한다. 경사면(182)은 제1플랜지부(151)의 단부와 접촉하여 제1플랜지부(151)의 단부를 지지하며, 제1플랜지부(151)의 단부와 제1삽입홈(141)의 내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서, 제1삽입홈(141)과 제1플랜지부(151) 사이의 조립 공차를 보상하고, 커버 프레임(140)과 커버 패널(150) 사이의 조립 공차에 의해 커버 프레임(140)과 커버 패널(150)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충돌 소음을 줄인다.
이상에서는 설명한 도어 핸들(160)은 세탁기 뿐만 아니라 건조기 등의 의류처리장치에 사용되는 도어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본체 100 : 도어
110 : 홀더부재 120 : 투명부재
130 : 커버부재 140 : 커버 프레임
146 : 돌출부 150 : 커버 패널
158 : 함몰부 160 : 도어 핸들
170 : 핸드 수용부 180 : 경사리브

Claims (24)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면에 형성되는 세탁물 투입구와, 상기 세탁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로서,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도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커버 프레임; 커버 패널; 및 상기 커버 프레임과 상기 커버 패널에 결합되어 도어 핸들;을 형성하는 핸드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은 중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중공부를 덮도록 상기 커버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 프레임은 제1 도어 핸들 형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패널은 상기 커버 패널의 전면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도어 핸들 형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핸드 수용부는 상기 제1 도어 핸들 형성부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도어 핸들 형성부는, 사용자의 손을 상기 핸드 수용부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핸드 수용부의 내면과 이어지는 함몰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수용부는,
    상기 도어의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제1개구를 형성하는 제1측벽 및 상기 핸드 수용부의 상기 내면이 마련되는 제2측벽과,
    상기 제1측벽 및 상기 제2측벽을 연결하는 제3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의 상기 내면이 상기 제2 도어 핸들 형성부의 상기 함몰면과 단차를 형성하지 않거나, 적어도 상기 제2측벽의 상기 내면이 상기 제2 도어 핸들 형성부 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의 상기 내면의 곡률 반경은 상기 제2측벽의 상기 내면이 상기 제2 도어 핸들 형성부의 상기 함몰면와 단차없이 이어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벽의 상기 내면이 상기 제2 도어 핸들 형성부의 상기 함몰면과 동일면을 형성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개구는 사용자의 손이 상기 핸드 수용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중심을 향하여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어 핸들 형성부은 상기 제1개구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개구와 대응하는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는 제2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개구는 상기 커버 프레임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수용부는 상기 제2측벽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프레임의 후면에 마련되며, 상기 지지돌기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지지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제2측벽을 지지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2측벽의 상기 내면이 상기 제2 도어 핸들 형성부의 상기 함몰면과 단차를 형성하지 않거나, 적어도 상기 제2측벽의 상기 내면이 상기 제2 도어 핸들 형성부 보다 더 돌출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상기 커버 프레임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3측벽을 상기 도어의 반경 방향 내측으로 지지하는 제2지지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200076045A 2013-07-01 2020-06-22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KR102375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045A KR102375906B1 (ko) 2013-07-01 2020-06-22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20031563A KR102514096B1 (ko) 2020-06-22 2022-03-14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30036829A KR102600992B1 (ko) 2020-06-22 2023-03-21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6652A KR102127517B1 (ko) 2013-07-01 2013-07-01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KR1020200076045A KR102375906B1 (ko) 2013-07-01 2020-06-22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6652A Division KR102127517B1 (ko) 2013-07-01 2013-07-01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1563A Division KR102514096B1 (ko) 2020-06-22 2022-03-14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447A KR20200078447A (ko) 2020-07-01
KR102375906B1 true KR102375906B1 (ko) 2022-03-18

Family

ID=8093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045A KR102375906B1 (ko) 2013-07-01 2020-06-22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9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027A (ko) 2020-06-26 2022-01-05 엘티소재주식회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N114837494A (zh) * 2022-03-30 2022-08-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门锁装置和防盗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5614A1 (en) * 2005-09-30 2007-04-05 Calmeise Randall W Methods and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having a do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376B1 (ko) * 2008-08-08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75614A1 (en) * 2005-09-30 2007-04-05 Calmeise Randall W Methods and apparatus for a home appliance having a do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8447A (ko) 202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7517B1 (ko)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KR102375906B1 (ko)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EP2000575B1 (en) Door of a drum type washer
US7934404B2 (en) Door for a washing or drying machine
US8151603B2 (en) Door for washing machine
US20160017530A1 (en) Washing machine
US10590590B2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thereof
US10961650B2 (en) Inner door assembly and door for drum washing machine and drum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120086315A1 (en) Door for Laundry Machine
CN103046286B (zh) 滚筒式洗衣机
KR102514096B1 (ko)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US20060254319A1 (en) Washing machine
EP369012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KR101560708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233338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98153B1 (ko) 세탁기 상부커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20060100614A (ko) 드럼 세탁기의 도어
KR100648940B1 (ko) 세탁기의 도어
CA2897595C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thereof
CN110791920B (zh) 内筒组件和滚筒洗衣机
KR20150011043A (ko) 세탁기
JP2022061578A (ja) 洗濯機
KR101560707B1 (ko) 도어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100465147B1 (ko) 드럼 세탁기의 도어 및 드럼 세탁기의 헤어라인을 갖는 도어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