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744B1 -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관리설비 - Google Patents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관리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744B1
KR102375744B1 KR1020210132148A KR20210132148A KR102375744B1 KR 102375744 B1 KR102375744 B1 KR 102375744B1 KR 1020210132148 A KR1020210132148 A KR 1020210132148A KR 20210132148 A KR20210132148 A KR 20210132148A KR 102375744 B1 KR102375744 B1 KR 102375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agement server
servers
server
managem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2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하영
오상훈
이준
Original Assignee
박하영
오상훈
이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하영, 오상훈, 이준 filed Critical 박하영
Priority to KR1020210132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7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7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2Skill-based matching of a person or a group to a tas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인적자원관리시스템 운용방법으로서, 직무 분야별 전문 인력의 소요 및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경력개발관리 서버(200), 전문요원관리 서버(300), 인재관리 서버(400) 및 균형성과기록관리 서버(500)를 구성요소로 하는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이 설계되는 단계; 상기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의 운용을 위하여 테스트되는 단계; 및 상기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영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경력개발관리 서버(200)는 분야별 전문성을 제고하고 성과와 역량 중심의 보직 공개경쟁을 위하여 전체 조직원을 관세전문군, 관세기술군, 관세공통군의 3개 직군 및 상기 직군내에 직무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직무를 포함하는 전문분야로 분류하는 보직관리부(210)와; 상기 전문분야를 근간으로 채용부터 퇴직까지 개인별 보직경로를 합리적으로 설정관리를 가능케 함과 더불어 해당 전문분야의 전문성이 제고되도록 채용시의 시점부터 기간에 따라 복수개의 단계로 구분하는 경력개발운영부(220)를 포함하는, 인적자원관리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관리설비{CONTROL EQUIPMENT FOR HR SUPPOR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각종 인사관련 시스템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인사관리시스템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업무 및 인적자원 데이터와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를 위한 각종 메뉴 데이터를 등록 관리하는 다수의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한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서 상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업무 및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에 접속하여 업무를 등록처리하는 과정과, 상기 등록한 업무 중 업무 수행을 원하는 인적자원 및 조직을 해당 업무에 지원하는 과정과, 업무에 지원한 조직 및 인적자원을 선발하는 과정과, 상기 업무를 수행 중인 인적자원이 해당 업무의 처리 사항을 등록하는 과정과, 상기 업무에 관련된 인적자원 및 조직의 정량적, 정성적 평가 및 처 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특허 발명은 직원의 경력개발 단계별 보직관리 실현이 어려울 뿐 아니라 직원을 경력개발 단계에 적합하게 전문성을 심화시킬 수 있는 보직으로 이동시킬 수 없고, 직무 분야별 전문 인력의 소요 및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5816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직무중심의 보직관리를 실현시켜 인재육성을 지원하고, 경력 단계별 전문성을 심화시키며, 직무 분야별 전문 인력의 소요 및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문지식을 기반으로 높은 성과를 창출시키는 인재를 양성하고, 조직이 원하는 인재육성 방침과 연계시켜 조직전략과 인사관리를 통합적으로 운영하며, 경력개발프로그램, 전문요원 선발관리 및 핵심인재 육성 등을 연계한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어 서버장비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하고 보호할 수 있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쇼핑몰을 제공하는데 시스템에 있어 서버장비의 온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동작의 신뢰성과 동작 수명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어 다양한 환경의 위치에 구비되더라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능동적인 환경조성과 그에 기반하는 동작 신뢰성과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 온라인과 오프라인 각각에 대하여 동작이상, 파손, 전산장애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의 구성에서 서버의 단계적인 냉각을 수행하되, 냉각과 충격보호 오염방지 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의 구서에서 서버를 단계별로 냉각과 외부노출 정도를 조절하여 가장 적합한 상태로의 레벨별로 보관, 냉각, 오염방지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인적자원관리시스템 운용방법으로서, 직무 분야별 전문 인력의 소요 및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경력개발관리 서버(200), 전문요원관리 서버(300), 인재관리 서버(400) 및 균형성과기록관리 서버(500)를 구성요소로 하는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이 설계되는 단계; 상기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의 운용을 위하여 테스트되는 단계; 및 상기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영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경력개발관리 서버(200)는 분야별 전문성을 제고하고 성과와 역량 중심의 보직 공개경쟁을 위하여 전체 조직원을 관세전문군, 관세기술군, 관세공통군의 3개 직군 및 상기 직군내에 직무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직무를 포함하는 전문분야로 분류하는 보직관리부(210)와; 상기 전문분야를 근간으로 채용부터 퇴직까지 개인별 보직경로를 합리적으로 설정관리를 가능케 함과 더불어 해당 전문분야의 전문성이 제고되도록 채용시의 시점부터 기간에 따라 복수개의 단계로 구분하는 경력개발운영부(220)를 포함하는, 인적자원관리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직무중심의 보직관리를 실현시켜 인재육성을 지원하고, 경력 단계별 전문성을 심화시키며, 직무 분야별 전문 인력의 소요 및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문지식을 기반으로 높은 성과를 창출시키는 인재를 양성하고, 조직이 원하는 인재육성 방침과 연계시켜 조직전략과 인사관리를 통합적으로 운영하며, 경력개발프로그램, 전문요원 선발관리 및 핵심인재 육성 등을 연계한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어 서버장비를 보다 안전하게 보관하고 보호할 수 있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쇼핑몰을 제공하는데 시스템에 있어 서버장비의 온도를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동작의 신뢰성과 동작 수명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어 다양한 환경의 위치에 구비되더라도,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능동적인 환경조성과 그에 기반하는 동작 신뢰성과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어 온라인과 오프라인 각각에 대하여 동작이상, 파손, 전산장애 등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의 구성에서 서버의 단계적인 냉각을 수행하되, 냉각과 충격보호 오염방지 등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의 구서에서 서버를 단계별로 냉각과 외부노출 정도를 조절하여 가장 적합한 상태로의 레벨별로 보관, 냉각, 오염방지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인사관리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문분야의 분류체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경력개발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들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 및 응용되는 인사관련 프로세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온라인몰 운영 시, 고객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축하며, 타사 쇼핑몰에서 소비자가 물건을 구매할 때, 어떤 방식으로든 고객 데이터를 확보하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제품 리뷰, 고객 기본정보 등 물류 배송 기반 정보를 연계하여 운용할 수 있는 인사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직무 분야별 전문 인력의 소요 및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경력개발관리 서버(200), 전문요원관리 서버(300), 인재관리 서버(400) 및 균형성과기록관리 서버(500)를 구성요소로 하는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경력개발관리서버(200)는 분야별 전문성을 제고하고 성과와 역량 중심의 보직 공개경쟁을 위하여 전체 조직원을 관세전문군, 관세기술군, 관세공통군의 3개 직군 및 상기 직군내에 직무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직무를 포함하는 전문분야로 분류하는 보직관리부(210)와; 상기 전문분야를 근간으로 채용부터 퇴직까지 개인별보직경로를 합리적으로 설정관리를 가능케 함과 더불어 해당 전문분야의 전문성이 제고되도록 채용시의 시점부터 기간에따라 복수개의 단계로 구분하는 경력개발운영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전문요원관리 서버(300)는 상기 경력개발관리 서버(200)와 연계하여 개인별로 지정된 전문분야 내에서 직무능력 향상의 동기를 부여하고 전문능력을 갖춘 최고의 전문가를 육성하여 관세 행정의 효율성 달성 및 고품질 행정서비스 제공할 수 있도록 역량 수준에 따라 복수개의 등급으로 조직원을 분류하며, 상기 등급의 분류는 상기 균형성과기록관리 서버(500) 및 기 설정된 직무별 역량평가를 근거로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인재관리 서버(400)는 관세청을 선도할 역량을 가진 조직원에게 역량개발을 지원하고 조직의관리자로 육성하기 위하여 상기 경력개발관리 서버(200), 상기 전문요원관리 서버(300) 및 균형성과기록관리 서버(400)와 연계하여 상기 전문요원관리 서버(300)에서 분류된 복수개의 등급중에 상위 등급에 속한 조직원 및 기 설정된 심사기준을 통과한 조직원 중에서 핵심인재를 선발하며, 상기 핵심인재로 선발된 조직원의 전문분야별 인원구성비가 상기 경력
개발관리 서버(200)의 전문분야간의 인원구성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균형성과기록관리 서버(500)는 BSC에 의한 성과 관리 지표를 관리하는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스럽게 본 발명의 상기 보직관리부(210)에 의하여 분류되는 전문분야는 감정 전문분야, 심사 전문분야, 조사 전문분야 및 기술 전문분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정 전문분야는 수출입통관 직무, 여행자통관 직무, 보세화물관리 직무, 통관정보분석 직무가 포함되고, 상기 심사 전문분야에 일반심사 직무, 종합심사 직무, 환급심사 직무, 징수관리 직무, 권리구제직무, 심사정보분석 직무가 포함되고, 상기 조사 전문분야에 일반조사 직무, 외환조사 직무, 마약조사 직무, 공항만감시 직무, 조사정보분석 직무가 포함되며, 상기 기술 전문분야에는 정보관리 직무, 분석 직무, 통신 직무, 선박 직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스럽게 본 발명은 상기 경력개발운영부(220)에 의하여 구분되는 복수개의 단계는 탐색단계, 심화단계(개발기, 완성기), 활용단계이며, 상기 탐색단계는 채용부터 3년 이내의 조직원이 포함되고 감정심사조사 전문분야 및 관세공통군분야에 순환근무를 하는 단계이며; 상기 심화단계의 개발기는 탐색단계 종료일로부터 5년까지의 기간이며, 상기 기간에 해당되는 조직원은 감정심사조사 중에서 하나의 전문분야를 선택하여야 하고, 선택된 전문분야의 직무를 대상으로 업무의 전문성을 심화시키도록 미리 정해진 직무순으로 보직을 부여받는 단계이며; 상기 심화단계의 완성기는 개발기의 종료일로부터 5년의 기간이며 상기 개발기에서 선택한 전문분야 중에서 1개의 직무를 다시 선택하여 해당 직무를 계속 보직하는 단계이고; 상기 활용단계는 완성단계 이후의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전문요원관리서버(300)의 복수개의 등급은 일반요원, 전문화요원, 전문관, 선임전문관으로 분류되며, 상기 일반요원 등급은 탐색단계가 종료된 조직원이; 상기 전문화요원 등급은 관세행정경력 5년 이상인 자 또는 일반요원으로 2년 이상 근무한 자로서 기 결정된 대상자의 필수자격시험을 통과하고 상기 균형성과기록관리 서버(500)에서 평가한 BSC성과 평가 점수 및 역량평가가 상위 60% 이내의 조직원이; 상기 전문관 등급은 관세행정경력 8년 이상인 자로서 전문화요원으로 2년 이상 근무한 자 또는 해당 전문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자중에서 전문관 자격시험을 통과하고 BSC성과 및 역량평가 결과 상위 15%이내인 조직원이; 상기 선임전문관 등급은 관세행정경력 13년 이상인 자로서 전문관으로2년 이상 근무한 자 또는 해당 전문분야에서 5년 이상 근무자 중에서 미리 결정된 균형성과기록관리서버(500)의 성과 및 역량평가 결과가 상위 5% 이내인 조직원이 선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직원 데이터베이스(100), 경력개발관리 서버(200), 전문요원관리 서버(300), 인재관리 서버(400), 균형기록관리 서버(500)를 포함한다. 상기 조직원 데이터베이스(100)는 통합인사관리시스템의 인사관리의 대상이 되는 관세청, 국경관리연수원, 중앙관세분석소, 관세평가분류원, 본부세관 및 권역내 세관에 근무하는 일반직, 계약직, 별정직, 기능직 공무원을 포함하며, 적어도 조직원의 이름, 직급, 근무부서내역, 당해직급 시작 연도, 교육이력, 공무원 시작연도, 상벌내역을 포함한다.
상기 경력개발관리 서버(200)는 대상자의 자기발전 욕구 충족과 조직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고, 상기 전문요원관리서버(300) 및 인재관리서버(400)와 연계하여 채용부터 퇴직까지의 보직경로를 설계하며 조직원 역량개발을 지원하고, 조직원을 개인별 특성에 따라 적절한 전문분야에 배치하여 해당 전문분야와 관련된 근무와 교육을 통해 업무의 전문성을 제고하고, 분야별 최고 전문가 육성 및 성과와 역량 중심의 보직 공개경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보직관리부(210)와 경력개발운영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보직관리부(210)는 상기 조직원 데이터베이스(100) 내에 포함된 직원을 다수개의 직무로 분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직무의 분류는 관세행정의 경영전략, 직무간 이동가능성, 직무의 유사성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며, 본 발명에서는 3개직군, 5개 전문분야로 분류한다. 상기 3개의 직군에는 관세 전문군, 관세 기술군, 관세 공통군이 있으며, 상기 관세 전문군은 감정심사조사 전문분야로 분류되고, 상기 관세기술군은 기술 전문분야로, 상기 관세 공통군은 공통 전문분야로 분류된다. 상기 분류된 전문분야 중에서 감정 분야, 심사 분야, 조사 분야 및 기술 분야는 업무가 서로 다르고, 각기 다른 고도의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므로 상기 분야들을 관세행정의 전문분야로 한다. 상기 분야 중에서 관세공통직군은 관세행정에서 기관 운영을 위해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직군으로 관세에 관한 전문 분야에 해당되지 않고, 상기 감정, 심사, 조사 분야 조직원이 담당하므로 상기 관세공통직군에 포함되어 직무를 담당하는 조직원들은 상기 관세전문군 내의 전문분야로 나누어배당한다. 상기 전문분야의 직무체계는 감정 전문분야에 수출입통관 직무, 여행자통관 직무, 보세화물관리 직무, 통관정보분석 직무가 있으며, 심사 전문분야에 일반심사 직무, 종합심사 직무, 환급심사 직무, 징수관리 직무, 권리구제 직무, 심사정보분석 직무가 포함되고, 조사 전문분야에 일반조사 직무, 외환조사 직무, 마약조사 직무, 공항만감시 직무, 조사정보분석 직무가 포함되며, 기술 전문분야에는 정보관리 직무, 분석 직무, 통신 직무, 선박 직무가 포함된다. 상기 전문분야의 지정은 채용 후 3년이 지난 후에 선택할 수 있으며, 전문분야가 지정된 조직원은 해당 전문분야의 직무에 따라 보직된다. 다만, 상술한 바와 같이 전문분야에 관계 없는 직무인 관세공통직군에 근무하는 조직원 또는 후술하는 전문요원 중 선임전문 관전문관에게 다양한 업무경험의 기회를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후술하는 활용단계 이후에 직위공모에 의해 타 전문분야의 직무담당이 필요한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상기 도 2는 상기 전문분야의 분류 체계이다.
다음으로 경력개발운영부(220)는 상기 보직관리부(210)에 의하여 결정된 각각의 전문분야로 할당된 조직원의 업무 전문성을 심화시킬 수 있도록 시간별 업무 및 보직 관리를 담당한다. 상기 경력개발운영부(220)는 조직원의 경력개발 단계를 3단계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상기 3단계는 각각 '탐색단계', '심화단계', '활용단계'라 부르며, 상기 탐색단계는 채용부터 3년의 기간까지의 조직원이 포함되고, 상기 탐색단계에서 일반관세직 공무원은 관세전문군 또는 관세 공통군 직무에 보직되며 관세 전문군 보직시에는 감정, 심사, 조사 전문분야의 순서로 순환근무하고, 관세 기술직 공무원은 해당 직렬내의 직무또는 관세공통군 직무를 담당한다.
상기 심화단계는 탐색단계 종료일로부터 10년 동안의 기간으로 '개발기' 및 '완성기'로 세분된다. 상기 개발기는 탐색단계 종료일로부터 5년까지의 기간이며 상기 기간에 해당되는 조직원은 감정심사조사 중에서 하나의 전문분야를 선택하여야하고, 선택된 전문분야의 직무를 대상으로 1년 이상 2년 이하의 기간단위로 업무의 전문성을 심화시키도록 미리 정해진 직무순으로 보직을 부여받아 해당 전문분야의 모든 직무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완성기는 개발기의 종료일로부터 5년의 기간으로, 완성기에 해당되는 조직원에 대하여는 개인별 전문분야 중에서 1개의 직무를 선택지정하여 해당 직무를 계속 보직하게 한다.
상기 심화단계의 종료일로부터는 활용단계로 구분되며, 이에 해당되는 조직원은 해당 전문분야의 직무에 보직하여야 하나, 직위공모를 통하여 관세공통직군 및 타 전문분야의 직무를 보직하는 등 순환이 허용된다. 도 3은 상기 경력개발운영부(220)에 의하여 분류되는 각 단계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경력개발관리 서버에 의하여 조직원은 전체적인 전문분야별 직무를 파악한 후(탐색단계 이후) 하나의 전문분야를 선택하여 해당 전문분야내에서 근무하며(심화단계내의 개발기), 또한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는 상기 전문분야 중에서 하나의 직무를 선택하여 그 직무만 담당하므로(심화단계 내의 완성기) 역량에 부합되고 전문성을 심화시킬 수 있는 보직관리가 가능하며 공공조직 중에서 특히 직무의 전문성이 요구되는 관세행정에 있어서 조직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전문요원관리 서버(300)는 대상자의 직무능력 향상의 동기를 부여하고 전문능력을 갖춘 최고의 전문가를 육성하여 관세행정의 효율성 달성 및 고품질의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경력개발관리 서버(200)에 의하여 구분된 전문분야별로 성과와 역량에 따라 '선임전문관', '전문관', '전문화요원', '일반요원'의 4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관리하는 서버로서, 일반요원 DB(310), 전문화요원선발부(320), 전문화요원 DB(330), 전문관선발부(340), 전문관 DB(350), 선임전문관선발부(360), 선임전문관 DB(370) 및 임시선발처리부(380)로 구성된다. 전문요원관리서버(300)는 직원 데이터베이스(100)로부터 직원명부를 받아들여 미리 결정된 평가방법에 따라 상기 직원의 등급을 결정한다. 상기 미리 결정된 평가방법에는 균형성과기록관리서버(500)의 기록표, 직무별 역량평가가 포함된다.
이하 각 등급별 선발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일반요원 DB(310)는 일반요원그룹으로 분류된 직원을 저장하며, 일반요원은 상기 직원 데이터베이스(100)와 경력개발운영부(220)로부터 직원 데이터베이스를 전달받아 탐색단계가 종료된 직원 전체가 포함된다. 상기 전문화요원선발부(320)는 관세행정경력 5년 이상인 자 또는 일반요원으로 2년 이상 근무한 자로서 대상자의 필수자격시험을 통과하고 상기 균형성과기록관리서버(500)에서 평가한 BSC성과 평가 점수 및 역량평가가 상위 60% 이내의 조직원을 '전문화요원'으로 선발한다. 상기 대상자의 필수자격시험은 대상자의 전문지식을 배양하고 전문화요원의 등급분류에 활용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시험이다. 상기 전문화요원선발부(320)에 의하여 선발된 전문화요원은 전문화요원 DB(330)에 저장되어 있다.
상기 전문관선발부(340)는 전문관을 선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 선발기준은 관세행정경력 8년(경력개발단계의 '완성단계') 이상인 자로서 전문화 요원으로 2년 이상 근무한 자 또는 해당 전문분야에서 3년 이상 근무자중에서 전문관 자격시험을 통과하고 BSC 성과 및 역량평가 결과 상위 15%이내인 자이다. 상기 전문관선발부(340)에 의하여 선발된 전문관은 전문관 DB(350)에 저장된다. 상기 선임전문관선발부(360)는 선임전문관을 선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 선발기준은 관세행정경력 13년(경력개발 단계의 '활용단계') 이상인 자로서 전문관으로 2년 이상 근무한 자 또는 해당 전문분야에서 5년 이상 근무자 중에서 미리 결정된 균형성과기록관리서버(500)의 성과 및 역량평가 결과가 상위 5% 이내인 자이다. 상기 선임전문관은 관세행정발전을 선도할 성과와 능력을 보유한 자이다. 상기 선발된 선임전문관은 선인적문관 DB(370)에 저장된다.
후술하는 균형성과기록관리 서버(500)의 성과평가 시스템은 전문요원관리서버(300)에 의해 선발되는 상기 선임전문관, 전문관, 전문화요원의 선발기준에 이용되는 지표로서 일정 기간 동안의 성과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자료의 입력이 있어야 활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실시되는 첫해에는 적정한 성과평가치를 나타낼 수 없다. 상기 임시선발처리부(380)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임시적으로 상기 전문요원들을 선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임시선발처리부(380)는 기존에 실시되는 성과우수자, 역량우수자, 교육우수자 중에서 선발하며, 상기 성과우수자로는 이달의 관세인, 혁신성과우수자, 본청추천자, 세관추천자 등이 포함되고, 상기 역량우수자로는 본청 T/F 참여자, 기존의 전문요원, 경진대회 우수자 등이 포함되며, 교육 우수자로는 교육 성적 우수자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임시선발처리부(380)에 의하여 선발된 전문요원 중에서 선임전문관과 전문관은 예정된 인원의 50%를 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나머지 50%는 그 다음해에 전문관선발부(340)와 선임전문관선발부(360)의 상기 정해진 방법에 따라 선발한다.
상기와 같이 선발된 전문요원은 조직원의 직무능력 향상의 동기를 부여시키기 위하여 전문화요원, 전문관, 선임전문관 중에서 상기 균형성과기록 관리서버(500)의 성과평과 결과가 하위 10%에 해당되는 요원을 하위 등급으로 조정한다. 상기 인재관리서버(400)는 관세청을 선도할 역량을 가진 조직원에게 역량개발을 지원하고 조직의 관리자로 육성시키기 위하여 소수의 조직원을 선발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선발된 조직원은 '핵심인재'라 칭한다. 핵심인재의 선발은 인재관리서버(400) 내의 인재선발부(410)에서 담당하며, 그 선발절차는 다음과 같다. 인재선발부(410)는 상기 전문요원관리서버(300) 및 균형기록관리서버(500)와 연계하여 선임전문관 및 전문관의 BSC 성과점수를 바탕으로 선발인원의 140%, 6시그마 BB(Blue Belt) 교육 이수자 중에서 20%, 관리자 추천자 중에서 20%를 선발한다. 따라서 선발인원의 180%가 예비 핵심인재로 선발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예비 핵심인재를 대상으로 평가 교육을 이수한 조직내의 관리자 및 조직외의 민간 전문가에게 미리 결정된 인재역량체크를 제공하여 핵심인재를 선발한다.
상기 인재역량체크는 전문지식과 역량 보유자, 창의적인 혁신 리더쉽 보유자, 미래에 대한 비전을 보유한 변화주도자, 청렴과 공직윤리의 실천자, 조직사랑 항목이 포함되어 있다. 핵심인재의 선발시에는 상기 경력개발서버(200)와 연계하여 경력개발서버에 의하여 구분된 전문분야별 인원비율을 유지하여 특정 전문분야의 조직원이 소외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절차에 의해 선발된 핵심인 재는 인재 DB(420)에 저장된다.
상기와 같이 인재관리서버(400)에 의하여 핵심인재로 등록된 자는 미리 설정된 기간의 성과를 고려하여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체의 10~30%를 교체한다. 상기와 같은 핵심인재의 교체는 경쟁에 의하여 누구나 핵심인재가 될 수 있다는 인식을 확산시키고 높은 성과와 역량을 보유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가진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핵심인재로 선발되면 해외연수 및 민간위탁교육 등 다양한 교육기회를 부여받고, 업무 순환을 통해 다양한 경험과 지식의 습득을 지원받으며, 특별승진 및 성과급의 확대 지급 등의 지원을 한다.
상기 균형기록관리서버(500)는 BSC에 의한 성과 관리 지표를 관리하는 서버로서, BSC(Balanced Score Card)는 재무적비재무적 지표간의 균형잡힌 성과 평가시스템으로 조직의 사명과 전략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포괄적인 측정지표로변환해주는 틀로서, 성과측정 전문 컨설팅 회사인 르네상스 솔루션의 데이비드 노턴과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로버트 카플란 교수에 의해 1992년 개시된 것이다. 상기에서 재무적 관점은 기존의 전통적 성과측정 시스템에서 주장하던 요소들과 다를 것이 없고, 비재무적 관점이 의미하는 바는 계량화하기 힘든 부분의 자료를 이용해 기존의 성과측정 시스템이 접근하지 못한 부분을 반영함으로써 조직가치 창출의 정확한 요소를 밝혀내는 것이다. 비재무적 관점은 고객의 관점, 내부 비즈니스의 관점, 학습과 성장의 관점에서 목표와 측정지표를 도출해 조직원들이 조직의 전략적인 목표와 부합하여 활동하는 지 측정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관세청에서는 공공기관 특성을 고려하여 노턴과 로버트 카플란 교수의 관점을 성과, 이해관계자, 활동, 미래대비 관점으로 변경하여 BSC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BSC의 성과 지표를 경력개발 서버(200), 전문요원관리 서버(300), 인재관리 서버(400)에 제공하며, 상기 각 서버들은 제공받은 BSC 성과지표를 하나의 평가점수로 이용한다. 본 발명의 보직관리는 본 발명의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받은 특허출원 제2006-47968호의 보직관리방법을 일부 채택한다. 상기 특허출원의 보직관리방법은 보직이동 희망자가 보직이동 희망자 컴퓨터로 정보통신망을 통해 인사관리서버를 조회하여 보직이동 희망자의 경력개발프로그램에 따라 보직이동 희망 세관 및 직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보직이동 희망세관 및 직무를 송신하면, 인사관리서버가 기 산정된 보직이동 희망자의 보직 기준 점수(BSC 성과평가 및 역량 평가 결과점수)를 이용하여 이동 희망자의 보직을 결정하고, 이동 희망자의 희망대로 보직이 결정되지 아니한 경우에 이동 희망 보직에 근접한 보직을 결정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서는 보직을 결정하는 기준에 포함되는 점수가 BSC 성과 평가 점수 및 직무별 역량 평가점수 이외에 전문요원관리서버(300)에서 조직원을 구분한 등급, 즉 선임전문관, 전문관, 전문화요원에 따라 다르게 주어진 역량점수 비율이 가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재관리서버(400)에서 선발한 핵심인재에 대하여 다양한 경험과 지식의 습득을 위하여 개발단계에서 선택한 전문분야 이외의 다른 전문분야로 업무순환을 할 수 있도록 보직을 관리한다.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여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인적자원관리시스템 운용방법으로서, 직무 분야별 전문 인력의 소요 및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경력개발관리 서버(200), 전문요원관리 서버(300), 인재관리 서버(400) 및 균형성과기록관리 서버(500)를 구성요소로 하는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이 설계되는 단계; 상기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의 운용을 위하여 테스트되는 단계; 및 상기 통합인사관리 시스템이 구축되어 운영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경력개발관리 서버(200)는 분야별 전문성을 제고하고 성과와 역량 중심의 보직 공개경쟁을 위하여 전체 조직원을 관세전문군, 관세기술군, 관세공통군의 3개 직군 및 상기 직군내에 직무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복수개의 직무를 포함하는 전문분야로 분류하는 보직관리부(210)와; 상기 전문분야를 근간으로 채용부터 퇴직까지 개인별 보직경로를 합리적으로 설정관리를 가능케 함과 더불어 해당 전문분야의 전문성이 제고되도록 채용시의 시점부터 기간에 따라 복수개의 단계로 구분하는 경력개발운영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경력개발관리 서버(200), 상기 전문요원관리 서버(300), 상기 인재관리 서버(400, 상기 균형성과기록관리 서버(500) 중 어느 하나는 제1서버 내지 제6서버(S11~S23)를 포함하되, 상기 제1서버 내지 제6서버(S11~S23)는 취급설비에 의하여 지속적인 상태관리가 수행된다.
한편 상기 취급설비는,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하부유닛와 상기 하부유닛에 장착되는 상부유닛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유닛은,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측의 제1연결바(331)와 하측의 제2연결바(342)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연동되는 제2구동패널(321)과,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상하대향하는 한쌍으로 구비되는 제1,2베이스패널(333,3331)을 기반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연동되는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1,2베이스패널(333,3331)상에 장착되는 제1서버 내지 제3서버(S11,S12,S13)을 포함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가동체(313)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상하대향하는 한쌍으로 구비되는 제3,4베이스패널(343,3431)을 기반으로 상기 제3가동체(313)와 연동되는 제4가동체(323)와, 상기 제3,4베이스패널(343,3431)상에 장착되는 제4서버 내지 제6서버(S21,S22,S23)을 포함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과 상기 제1서버 내지 제3서버(S11,S12,S13)은 상기 제1구동패널(311)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된다.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3,4베이스패널(343,3431)과 상기 제4서버 내지 제6서버(S21,S22,S23)은 상기 제3구동패널(313)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화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된다.
이러한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제1구동패널(311)상에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3가동체(313)사이로 구비되는 제1보조구동체(4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4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1유체를 상기 제1서버 내지 제3서버(S11,S12,S13)과 상기 제4서버 내지 제6서버(S21,S22,S23)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서버 내지 제3서버(S11,S12,S13)과 상기 제4서버 내지 제6서버(S21,S22,S23)의 동작, 보호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1분사구동체(412)와, 상기 제2구동패널(321)상에서 상기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4가동체(323)사이로 구비되는 제2보조구동체(51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5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2유체를 상기 제1서버 내지 제3서버(S11,S12,S13)과 상기 제4서버 내지 제6서버(S21,S22,S23)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서버 내지 제3서버(S11,S12,S13)과 상기 제4서버 내지 제6서버(S21,S22,S23)의 동작, 보호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2분사구동체(5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하판패널부(421)와,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둘레부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최하판패널부(4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판패널부(421)는, 중앙의 중앙하판패널부(4211)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일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311)이 삽입장착되는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타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타측하판패널부(4213)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는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상에서 상기 진퇴이동이 대응하여 유동되고,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에 하방이 연동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접하되 내측으로 출몰되는 제1-1출몰돌기(5111)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되는 제1-1접촉몸체(511)와, 상기 제1-1접촉몸체(511)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1-1이동구(5112)와, 상기 제1-1이동구(5112)를 통해 상기 제1-1접촉몸체(511)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 중간부에 접하는 제1-2접촉몸체(512)와, 상기 제1-2접촉몸체(512)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1-2이동구(5121)와 상기 제1-2이동구(5121)를 통해 상기 제1-2접촉몸체(512)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단부에 접하되 제1-2출몰돌기(5131)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되는 제1-3접촉몸체(513)를 포함하는 1접촉고정모듈을 개시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에 하방이 연동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접하되 내측으로 출몰되는 제2-1출몰돌기(5211)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되는 제2-1접촉몸체(521)와, 상기 제2-1접촉몸체(521)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2-1이동구(5212)와, 상기 제2-1이동구(5212)를 통해 상기 제2-1접촉몸체(521)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 중간부에 접하는 제2-2접촉몸체(522)와, 상기 제2-2접촉몸체(522)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2-2이동구(5221)와 상기 제2-2이동구(5221)를 통해 상기 제2-2접촉몸체(522)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 상단부에 접하되 제2-2출몰돌기(5231)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되는 제2-3접촉몸체(523)를 포함하는 제2접촉고정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1-1접촉몸체(511)가 상기 제1-1이동구(5112)를 매개로 상기 제1-2접촉몸체(51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1동작과 상기 제1-2접촉몸체(512)는 상기 제1-2이동구(5121)를 매개로 상기 제1-2출몰돌기(5131)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3접촉몸체(51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2동작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제2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2-1접촉몸체(521)가 상기 제2-1이동구(5212)를 매개로 상기 제2-2접촉몸체(52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1동작과 상기 제2-2접촉몸체(522)는 상기 제2-2이동구(5221)를 매개로 상기 제2-2출몰돌기(5231)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3접촉몸체(52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2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제1접촉고정모듈과 상기 제2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1-1 내지 상기 제2-2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기 제2구동패널(321)을 상기 하판패널부(421) 및 상기 최하판패널부(422)와 연동고정시킨다.
상기 하부유닛은 인접영역 혹은 서로 상이한 별개의 영역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각 하부유닛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거나, 상기 각 하부유닛들에 대응하여 각각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유닛은 상부설치면에 설치되어 상하반전형으로 위치되거나, 일측설치면에 설치되어 수평형으로 위치되거나 타측설치면에 설치되어 수평형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1-1출몰돌기(5111), 상기 제1-2출몰돌기(5131), 상기 제2-1출몰돌기(5211) 및 상기 제2-2출몰돌기(5231)는 각기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냉각 기능 또는 히팅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기 제2구동패널(321) 및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의 주변부에 대한 온도조건이 설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은, 상기 제1서버(S11)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1바(P12)와, 상기 제1바(P12)의 상부에 위치되며 둘레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다각형의 둘레면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과 상기 제1서버(S11) 상호간을 눌러 연동고정시키는 제1고정부(P11)와, 상기 제2서버(S2)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2바(P22)와, 상기 제2바(P22)의 상부에 위치되며 둘레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다각형의 둘레면으로 상기 제2가동체(322)과 상기 제2서버(S2) 상호간을 눌러 연동고정시키는 제2고정부(P21)와, 상기 제3서버(S3)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3바(P32)와, 상기 제3바(P32)의 상부에 위치되며 둘레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다각형의 둘레면으로 상기 제1서버(S11)와 상기 제3서버(S3) 상호간을 눌러 연동고정시키는 제3고정부(P31)와, 상기 제3서버(S3)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4바(P42)와, 상기 제4바(P42)의 상부에 위치되며 둘레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다각형의 둘레면으로 상기 제2서버(S2)와 상기 제3서버(S3) 상호간을 눌러 연동고정시키는 제4고정부(P41)를 개시한다.
상기 제3베이스패널(334)은, 상기 제4서버(S51)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5바(P52)와, 상기 제5바(P52)의 상부에 위치되며 둘레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다각형의 둘레면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4서버(S51) 상호간을 눌러 연동고정시키는 제5고정부(P51)와, 상기 제6서버(S6)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6바(P62)와, 상기 제6바(P62)의 상부에 위치되며 둘레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다각형의 둘레면으로 상기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6서버(S6) 상호간을 눌러 연동고정시키는 제6고정부(P61)와, 상기 제7서버(S7)의 좌측에 구비되는 제7바(P72)와, 상기 제7바(P72)의 상부에 위치되며 둘레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다각형의 둘레면으로 상기 제4서버(S51)와 상기 제7서버(S7) 상호간을 눌러 연동고정시키는 제7고정부(P71)와, 상기 제7서버(S7)의 우측에 구비되는 제8바(P82)와, 상기 제8바(P82)의 상부에 위치되며 둘레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다각형의 둘레면으로 상기 제6서버(S6)와 상기 제7서버(S7) 상호간을 눌러 연동고정시키는 제8고정부(P81)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조직원 데이터베이스
200: 경력개발관리서버
300: 전문요원관리서
400: 인재관리서버
500: 균형성과기록관리서버

Claims (2)

  1. 서버 보호관리를 위한 취급설비가 구비된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관리설비에 있어서,
    상기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은,
    직무 분야별 전문 인력의 소요 및 업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경력개발관리 서버(200), 전문요원관리 서버(300), 인재관리 서버(400) 및 균형성과기록관리 서버(500)를 포함하되,
    상기 경력개발관리 서버(200), 상기 전문요원관리 서버(300), 상기 인재관리 서버(400, 상기 균형성과기록관리 서버(500) 중 어느 하나는 제1서버 내지 제6서버(S11~S23)를 포함하되,
    상기 제1서버 내지 제6서버(S11~S23)는 취급설비에 의하여 지속적인 상태관리가 수행되며,
    상기 취급설비는,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하부유닛와 상기 하부유닛에 장착되는 상부유닛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유닛은,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제1구동패널(311)과 상측의 제1연결바(331)와 하측의 제2연결바(342)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연동되는 제2구동패널(321)과,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상하대향하는 한쌍으로 구비되는 제1,2베이스패널(333,3331)을 기반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연동되는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1,2베이스패널(333,3331)상에 장착되는 제1서버 내지 제3서버(S11,S12,S13)을 포함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가동체(313)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상하대향하는 한쌍으로 구비되는 제3,4베이스패널(343,3431)을 기반으로 상기 제3가동체(313)와 연동되는 제4가동체(323)와, 상기 제3,4베이스패널(343,3431)상에 장착되는 제4서버 내지 제6서버(S21,S22,S23)을 포함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과 상기 제1서버 내지 제3서버(S11,S12,S13)은 상기 제1구동패널(311)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3,4베이스패널(343,3431)과 상기 제4서버 내지 제6서버(S21,S22,S23)은 상기 제3구동패널(313)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화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상부유닛은,
    상기 제1구동패널(311)상에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3가동체(313)사이로 구비되는 제1보조구동체(4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4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1유체를 상기 제1서버 내지 제3서버(S11,S12,S13)과 상기 제4서버 내지 제6서버(S21,S22,S23)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서버 내지 제3서버(S11,S12,S13)과 상기 제4서버 내지 제6서버(S21,S22,S23)의 동작, 보호 및 구동에 설정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1분사구동체(412)와,
    상기 제2구동패널(321)상에서 상기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4가동체(323)사이로 구비되는 제2보조구동체(51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5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2유체를 상기 제1서버 내지 제3서버(S11,S12,S13)과 상기 제4서버 내지 제6서버(S21,S22,S23)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서버 내지 제3서버(S11,S12,S13)과 상기 제4서버 내지 제6서버(S21,S22,S23)의 동작, 보호 및 구동에 설정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2분사구동체(512)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유닛은,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하판패널부(421)와,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둘레부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최하판패널부(422)를 더 포함하는, 서버 보호관리를 위한 취급설비가 구비된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관리설비.
  2. 삭제
KR1020210132148A 2021-10-06 2021-10-06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관리설비 KR102375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148A KR102375744B1 (ko) 2021-10-06 2021-10-06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관리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2148A KR102375744B1 (ko) 2021-10-06 2021-10-06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관리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744B1 true KR102375744B1 (ko) 2022-03-16

Family

ID=80937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2148A KR102375744B1 (ko) 2021-10-06 2021-10-06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관리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7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911B1 (ko) 2023-04-19 2023-11-01 주식회사 디무브 협업화 툴에 플러그인이 가능한 인적 자원 관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407B1 (ko) * 2006-08-22 2006-10-18 대한민국 채용부터 퇴직까지의 통합인적자원관리시스템
KR20090123050A (ko) * 2008-05-27 2009-12-0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시뮬레이션 기반 생산 실행 시스템 구축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122444A (ko) * 2009-05-12 2010-11-22 가부시키가이샤 라스코 컴퓨터 서버 룸용 온도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서버 룸의 온도관리방법
KR101418779B1 (ko) * 2013-05-29 2014-07-11 김남호 집중공조 서버룸
KR101865151B1 (ko) * 2018-02-08 2018-06-11 대한민국 서버의 내부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58162A (ko) 2019-11-13 2021-05-24 최혁수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6407B1 (ko) * 2006-08-22 2006-10-18 대한민국 채용부터 퇴직까지의 통합인적자원관리시스템
KR20090123050A (ko) * 2008-05-27 2009-12-02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시뮬레이션 기반 생산 실행 시스템 구축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122444A (ko) * 2009-05-12 2010-11-22 가부시키가이샤 라스코 컴퓨터 서버 룸용 온도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컴퓨터 서버 룸의 온도관리방법
KR101418779B1 (ko) * 2013-05-29 2014-07-11 김남호 집중공조 서버룸
KR101865151B1 (ko) * 2018-02-08 2018-06-11 대한민국 서버의 내부온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10058162A (ko) 2019-11-13 2021-05-24 최혁수 경력관리 및 인사관리 지원가능한 메신저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처리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911B1 (ko) 2023-04-19 2023-11-01 주식회사 디무브 협업화 툴에 플러그인이 가능한 인적 자원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nies et al.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public sector performance: context matters
Fischer et al. Introduction to security
Hodson Management citizenship behavior and its consequences
Picken et al. Out of (strategic) control
KR102375744B1 (ko) 인적자원관리시스템 관리설비
Susanto et al. Model development of succession planning in subsidiary companies engaged in the insurance industry
KR100636407B1 (ko) 채용부터 퇴직까지의 통합인적자원관리시스템
Acido et al. Resource Management Practices of a Public Higher Institution in the Philippines.
Leong Patterns and trends of equity, diversity and inclusion programs in academic libraries
King Strategic Planning for Public Service Institutions: What Can be Learned from Business?
James et al. Human Capital Strategy
Worboys et al. Process of management
Tarannum Human resource planning and recruitment
MOGES THE EFFECT OF STRUCTURE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CASE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AGENCY
Narang et al. Best HR Practices in the Corporate Sector and the Indian Armed Forces: A Comparative Study
Department of Defense Defense language transformation roadmap
Ibitomi et al. Staffing and the Development of Small Scale Enterprises in Owo Local Government, Ondo State, Nigeria
Tiwary et al. Business Architecture and Capability Case Study 3—Government Services
Mahmud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step builders limited and recommendations on its improvement
Husen Human resource management practice at Aarong
Tolbatov et al. Problems of distance learning systems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their efficiency
Viunenko et al. Problems of distance learning systems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their efficiency
Robinson et al. Integrating LIS into an organizational IS/IT environment
Chakraberty et al. Global HR management and identification of competencies for organizational development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sector
Ferdous-Ur-Rahman HR policy at Scandex Grou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