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5266B1 - Eco-friendly multi-purpose pencil holder - Google Patents

Eco-friendly multi-purpose pencil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5266B1
KR102375266B1 KR1020200180483A KR20200180483A KR102375266B1 KR 102375266 B1 KR102375266 B1 KR 102375266B1 KR 1020200180483 A KR1020200180483 A KR 1020200180483A KR 20200180483 A KR20200180483 A KR 20200180483A KR 102375266 B1 KR102375266 B1 KR 102375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holder
drawer
paper
adhered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04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상혁
Original Assignee
두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선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선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0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526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26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6Cases for drawing or lik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5/00Purses, bags, luggage or other receptacles covered by groups A45C1/00 - A45C11/00, combined with other objects o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47B2095/024Drawer hand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An eco-friendly general-purpose pencil holder is disclosed.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on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torage main body portion that has a storage space with an open top, and consists of a first inner paper and a first outer paper which has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first inner paper, wherein the first outer paper adheres to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inner paper while covering the same; and a drawer portion that is disposed in a drawer space partitioned separately from the storage space on the inner bottom side of the storage main body portio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main body portion so as to be slidably opened and closed through an opening connected to the drawer space, and consists of a second inner paper and a second outer paper which has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second inner paper, wherein the second outer paper adheres to an outer surface of the second inner paper while covering the same.

Description

친환경 다용도 연필꽂이 {ECO-FRIENDLY MULTI-PURPOSE PENCIL HOLDER}Eco-friendly multi-purpose pencil holder {ECO-FRIENDLY MULTI-PURPOSE PENCIL HOLDER}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연필꽂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적이면서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연필꽂이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ncil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co-friendly and versatile pencil holder.

일반적으로, 연필꽂이는 연필이나 볼펜 등과 같은 각종 필기구들을 꽂아두고 보관할 수 있도록 된 용기로서, 책상 위에 재치 되어 사용되는 사무용품이다. 연필꽂이에는 이외에도 가위나 칼 등도 꽂아두고 보관한다.BACKGROUND ART In general, a pencil holder is a container in which various writing instruments such as a pencil or a ballpoint pen can be inserted and stored, and is an office product that is placed on a desk and used. In addition to the pencil holder, put scissors or a knife and store it.

일 예에 따른 종래의 연필꽂이는 하면이 평면으로 밀폐되고 상향 개구된 소정 높이의 연필꽂이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더 나아가, 종래의 연필꽂이는 연필꽂이 본체의 내부를 다 수개의 수납공간으로 구획하는 칸막이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A conventional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xample is provided with a pencil holder body of a predetermined height that is closed in a flat surface and opened upward. Furthermore, the conventional pencil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partition that divides the inside of the pencil holder body into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이와 같은 연필꽂이는 플라스틱 소재를 설정된 형상으로 사출 성형하거나 스틸 판재를 설정된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고 그 성형 단을 용접으로 연결하여 제작될 수 있다.Such a pencil holder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a plastic material into a set shape or press forming a steel plate into a set shape and connecting the forming ends by welding.

그런데, 종래에 따른 연필꽂이는 상기와 같이 플라스틱 소재나 스틸 소재로 제작되기 때문에, 재활용은 가능하나 그 재활용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매립 대상의 폐기물로 처리될 경우, 자연 분해되지 않음으로 인해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pencil holder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a steel material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recycled, but the cost of recycling increases, and when treated as waste to be landfilled, it is not decomposed naturally, which causes the environment may cause contamination.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Matters described in this background section are prepar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that are no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technology belong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종이 소재로 제작되어 친 환경적이면서도 다양한 수납 물품들을 수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연필꽂이를 제공하고자 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provide a pencil holder made of a paper material to b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to accommodate and store a variety of storage item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는, ⅰ)제1 속지와, 상기 제1 속지보다 얇은 두께로서 상기 제1 속지의 외 표면을 감싸며 접착된 제1 겉지로 이루어지고, 상단이 개방된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수납 본체부와, ⅱ)제2 속지와, 상기 제2 속지보다 얇은 두께로서 상기 제2 속지의 외 표면을 감싸며 접착된 제2 겉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 본체부의 내부 바닥 측에서 상기 수납 공간과 별개로 구획된 서랍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 본체부의 한쪽 면에서 상기 서랍 공간과 연결된 개방부를 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랍부를 포함할 수 있다.A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 a first inlay, and a first cover paper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inlay as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first inlay, and a storage space with an open top The receiving body forming the receiving body part, ii) a second inlay, and a second outer paper wrapped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inlay as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second inlay and adhered from the inner bottom side of the receiving body part It is disposed in a drawer space partitioned apart from the storage space, and may include a drawer unit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through an opening connected to the drawer space on one side of the storage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는, 상기 수납 공간에서 수납 물품을 지지하는 베이스 면을 가지며, 상기 수납 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서랍 공간을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구획하는 종이 소재의 바닥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e surface for supporting a storage article in the storage space, is disposed inside the storage body, and divides the storage space and the drawer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It may further include a bottom of the paper material.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는, 상기 서랍 공간의 내측에서 상기 수납 본체부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서랍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종이 소재의 서랍 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rawer support made of a paper material that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storage body inside the drawer space and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draw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는, 상기 수납 본체부의 한쪽 면에서 상기 제1 겉지에 구비된 미러 윈도우를 통해 상기 제1 속지에 고정되는 미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mirror fixed to the first inlay through a mirror window provided on the first outer cover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는, 상기 수납 본체부의 다른 한쪽 면에서 상기 제1 속지와 제1 겉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속지에 고정되는 자석 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lay and the first outer paper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body part, and may further include a magnet plate fixed to the first inla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부는 상기 제1 속지의 설정된 접힘 면들이 두 겹으로 겹쳐져 접착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두 겹의 겹침 면에 상기 개방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body portion includes a portion in which the set folding surfaces of the first inlay are overlapped and adhered in two layers, and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verlapping surface of the two layers. can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는 상기 개방부의 내외 측 방향을 기준으로, 외 측벽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 면의 반대쪽 내측 면에는 상기 개방부의 하단 부에 스토핑 되는 종이 소재의 제1 스토퍼 판재가 접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er part forms a handle on the outer side wall with respect to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of the opening part, and on the inner side opposite to the outer surface, the drawer part has a switch 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part. A first stopper plate made of a paper material to be topping may be adher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 판재는 상기 서랍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제1 스토핑 단부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opper plate may integrally form a first stopping en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rawer uni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에 있어서, 상기 바닥체는 상면에 상기 베이스 면이 접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접혀지며, 상기 상판을 통해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서랍 공간을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구획하는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body has an upper plate to which the base surface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and is folded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and the storage space and the drawer through the upper plate. It may include side plates that partition the space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에 있어서, 상기 바닥체는 상기 개방부의 상단 부 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접혀지며 연장된 제2 스토핑 단부를 가지며, 상기 상판에 접착되고, 상기 베이스 면의 하면과 접착되는 종이 소재의 제2 스토퍼 판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body has a second stopping end that is folded and exten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side of the open part, is adhered to the upper plate, and the base surface of the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topper plate of paper material that is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 판재는 상기 상판에 구비된 장착 홈에 끼워지며 접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topper plate may be inserted into a mounting groove provided on the upper plate and adher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는 상기 개방부의 내외 측 방향을 기준으로, 내 측벽의 상단 부를 통해 상기 제2 스토핑 단부와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er part may be engaged with the second stopping en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inner side wall based o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of the opening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에 있어서, 상기 서랍 지지체는 상기 수납 본체부의 내부 바닥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판과, 두 겹으로 접혀져 접착되며, 상기 제1 지지 판의 상면에 접착되는 제2 지지 판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er support is a first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inner bottom of the storage body part, is folded and adhered in two layers, and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A second support plate may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판은 상기 제1 지지 판 보다 작은 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 판의 양측에는 상기 제2 지지 판을 통해 상기 바닥체의 양쪽 측판을 지지하는 지지 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upport plate is provided with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upport plate, and the bottom body through the second support plate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late Supporting ends for supporting both side plates of the may be form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부는 상기 제1 속지의 설정된 접힘 면들이 두 겹으로 겹쳐져 접착된 부분을 포함하며, 한쪽 면에서의 일측 접힘 면에 상기 미러를 장착하기 위한 미러 장착 홀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body portion includes a portion in which the set folded surfaces of the first inlay are overlapped and adhered in two layers, and the mirror is mounted on one folded surface on one side It is possible to form a mirror mounting hole f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에 있어서, 상기 미러 장착 홀에 대응되는 다른 일측 접힘 면에는 상기 미러를 지지하는 종이 소재의 지지 패드가 접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per support pad for supporting the mirror may be attached to the other fold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mirror mounting hol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부는 상기 제1 속지의 설정된 접힘 면들이 두 겹으로 겹쳐져 접착된 부분을 포함하며, 다른 한쪽 면에서의 접힘 면에 상기 자석 판을 장착하기 위한 자석 장착 홀을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body portion includes a portion in which the set folded surfaces of the first inlay are overlapped and adhered in two layers, and the magnet plate is placed on the folded surface on the other side. A magnet mounting hole for mounting may be form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종이 소재를 사용함에 따라 친 환경적이면서도 경량화가 가능하며, 다양한 수납 물품들을 수납 및 보관할 수 있고, 다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co-friendly and lightweight by using a paper material, can store and store various storage items, and can be used for multiple purposes.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In addition, the effects obtainable or predic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disclosed directly or implicitly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various effects predi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isclos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를 도시한 Ⅲ-Ⅲ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에 적용되는 수납 본체부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에 적용되는 서랍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에 적용되는 서랍부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에 적용되는 바닥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에 적용되는 바닥체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에 적용되는 서랍 지지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These drawings are for reference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taken along line III-III showing a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housing body applied to a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awer unit applied to a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drawer unit applied to a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body applied to a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bottom body applied to a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rawer support applied to a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와 같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기술적인 사상 또는 특징 등을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참고용이므로, 실제 제품 사양과 다를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Since these drawings are for reference for specifically and clearly explain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echnical idea or feature, it is to be noted in advance that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actual product specification.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n addition,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indicat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bar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express various parts and regions. it was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he reason that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divided into first, second, etc. is to distinguish them because the names of the components are the same, and the order is not necessarily limit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를 도시한 Ⅲ-Ⅲ선에 따른 단면 구성도이다.1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taken along line III-III.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100)는 연필 등과 같은 각종 문구용품들 또는 사무용품들의 수납 물품(1)들을 꽂아두고 보관하기 위한 것이다.1 to 3 , the pencil hol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ut and store various stationery items such as pencils or storage articles 1 of office supplies.

이하에서는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상측을 향하는 부분을 상부, 상단, 상면 및 상단부로 정의하며,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하부, 하단, 하면 및 하단부로 정의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up-down direction. The upper part is defined as the upper part, the upper part,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part is defined as the lower part, the lower part,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part.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한쪽/일측 단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한쪽/일측 단부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Furthermore, an end (one/one end or the other/one end) in the following may be defined as either end, and a certain part (one/one end or the other/one end) including the end. may be defin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100)는 종이 소재로 제작되어 친 환경적이면서도 다양한 수납 물품(1)들을 수납 및 보관할 수 있고, 다 용도(목적)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pencil hol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paper material, so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an accommodate and store various storage items 1, and has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for multiple purposes (purposes).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필꽂이(100)은 수납 본체부(10), 서랍부(30), 바닥체(50), 서랍 지지체(60), 미러(70), 그리고 자석 판(8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or this purpose, the pencil hold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body 10 , a drawer 30 , a bottom 50 , a drawer support 60 , a mirror 70 , and a magnet plate 80 . ), and the description for each configura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 본체부(10)는 수납 물품(1)들을 실질적으로 수납하는 메인 바디로서, 종이 소재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수납 본체부(10)는 사각 형상의 박스 형태로 구비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modating body part 10 is a main body for substantially accommodating the accommodating articles 1 , and is made of a paper material. For example, the receiving body portion 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box having a rectangular shape.

상기 수납 본체부(10)는 바닥(11)과 4면 측벽으로서의 측면(12)들을 가지며, 상단이 개방된 수납 공간(13)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수납 본체부(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속지(15)와, 제1 속지(15)보다 얇은 두께로서 제1 속지(15)의 외 표면을 감싸며 접착되는 제1 겉지(17)로 이루어진다.The storage body 10 has a bottom 11 and side surfaces 12 as four side walls, and forms a storage space 13 with an open top. The receiving body portion 10 has a first inner paper 15 as shown in FIG. 4 and a first outer paper ( 17) consists of

상기 제1 속지(15)는 하드 보드지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접힘 선들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접혀지며 수납 본체부(1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겉지(17)는 제1 속지(15) 보다 얇은 두께로서 접힘 선들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접혀지며, 제1 속지(15)의 외표 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The first inlay 15 may be a hard cardboard, for example, and may be folded in various directions by fold lines to form a skeleton of the receiving body 10 . In addition, the first outer paper 17 has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first inner paper 15 and is folded in various directions by fold lines, and may be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inner paper 15 through an adhesive.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속지(15)에 설정된 접힘 면(19)들을 한 겹 및 두 겹으로 겹쳐 놓고 접착제를 통해 접착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바닥(11) 및 측면(12)들을 가진 수납 본체부(10)의 골격을 구성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ding surfaces 19 set on the first inlay 15 are placed on top of each other in one layer and two layers, and are adhered through an adhesive to accommodate the bottom 11 and side surfaces 12 as described above. The skeleton of the main body 10 may be configur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서랍부(30)는 지우개, 액세서리 등과 같은 작은 물품들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납 본체부(10)의 내부 바닥(11) 측에서 수납 공간(13)과 별개로 구획된 서랍 공간(31)에 배치된다.1 to 3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er unit 30 is for storing small items such as erasers and accessories, and is accommodated on the inner floor 11 side of the storage body unit 10 . It is arranged in the drawer space 31 partitioned separately from the space 13 .

상기 서랍부(30)는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상단이 개방된 사각형의 상자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서랍부(30)는 수납 본체부(10)의 한쪽 측면(12)에서 서랍 공간(31)과 연결된 개방부(21)를 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drawer unit 30 is made of a paper material, and is provided, for example,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with an open top. The drawer unit 30 is installed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by sliding through the opening 21 connected to the drawer space 31 on one side 12 of the receiving body unit 10 .

여기서, 상기 개방부(21)의 내외 측 방향을 기준으로, 그 개방부(21)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벽을 이하에서는 외 측벽(32)이라 하고, 그 외 측벽(32)의 반대 쪽에서 개방부(21)의 내측에 위치하는 측벽을 이하에서는 내 측벽(33)이라고 한다.Here, based o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of the open portion 21 , the side wall positioned outside the open portion 21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outer side wall 32 , and the open portion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ther side wall 32 . The side wall located inside the (21) is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ner side wall (33).

더 나아가, 상기한 개방부(21)는 수납 본체부(10)에서 서랍 공간(31)에 대하여 서랍부(30)가 출몰될 수 있게 하는 개구로서, 제1 속지(15)의 두 겹으로 겹쳐져 접착되는 접힘 면(19)에 개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도 4 참조).Furthermore, the above-described opening 21 is an opening that allows the drawer 30 to protrude from the drawer space 31 in the storage body 10 , and is overlapped with two layers of the first inlay 15 .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n opening in the folded surface 19 to be adhered (see FIG. 4 ).

상기에서와 같은 서랍부(3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속지(35)와, 제2 속지(35)보다 얇은 두께로서 제2 속지(35)의 외 표면을 감싸며 접착되는 제2 겉지(37)로 이루어진다.The drawer unit 30 as described above wraps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inlay 35 as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second inlay 35 and the second inlay 35, as shown in FIGS. 5 and 6, It is made of a second cover (37) to be adhered.

상기 제2 속지(35)는 하드 보드지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접힘 선들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접혀지며, 서랍부(3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겉지(37)는 제2 속지(35) 보다 얇은 두께로서 접힘 선들에 의해 여러 방향으로 접혀지며, 제2 속지(35)의 외표 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될 수 있다.The second inlay 35 may be a hard cardboard, for example, and may be folded in various directions by fold lines to form a skeleton of the drawer unit 30 . In addition, the second outer paper 37 is thinner than the second inner paper 35 and is folded in various directions by fold lines, and may be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inner paper 35 through an adhesive.

그리고, 상기 서랍부(30)는 개방부(21)의 내외 측 방향을 기준으로, 외 측벽(32)에 손잡이(39)를 형성하고, 내 측벽(33)에는 개방부(21)의 하단 부에 스토핑 될 수 있는 제1 스토퍼 판재(41)가 접착된다.In addition, the drawer unit 30 has a handle 39 on the outer side wall 32 based o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of the opening 21 , and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21 is formed on the inner side wall 33 . A first stopper plate 41 that can be stopped is adhered.

여기서, 상기 제1 스토퍼 판재(41)는 서랍부(30)가 서랍 공간(31)에서 개방부(21)를 통해 개방(인출)될 때, 개방부(21)의 하단 부와 걸림이 이루어지며, 그 서랍부(30)가 개방부(21)의 외측으로 빠지지 않게 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Here, the first stopper plate 41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21 when the drawer 30 is opened (withdrawn) through the opening 21 in the drawer space 31 , , the drawer part 30 functions as a stopper that prevents the drawer part 30 from falling out of the opening part 21 .

상기 제1 스토퍼 판재(41)는 내 측벽(33)의 외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는데, 설정된 두께를 가진 종이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스토퍼 판재(41)는 서랍부(3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는 하단 부로서의 제1 스토핑 단부(43)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The first stopper plate 41 is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ide wall 33 through an adhesive, and is made of a paper material having a set thickness. The first stopper plate 41 integrally forms the first stopping end 43 as a lower en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rawer unit 30 .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서랍부(30)는 개방부(21)를 통해 서랍 공간(31)의 외부로 인출될 때, 개방부(21)의 하단 부를 통해 제1 스토핑 단부(43)와 걸림이 이루어지며, 그 개방부(21)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drawer part 30 as described above is drawn out of the drawer space 31 through the opening part 21 , it engages with the first stopping end 43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part 21 . This is done, and it is not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21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바닥체(50)는 수납 본체부(10)의 수납 공간(13)에서 수납 물품(1)을 지지하는 것으로,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며, 수납 본체부(10)의 내측에 배치된다.1 to 3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50 supports the storage article 1 in the storage space 13 of the storage body 10, and is made of a paper material. , is disposed on the inside of the housing body portion (10).

상기 바닥체(50)는 수납 물품(1)을 지지하는 얇은 겉지로서의 베이스 면(51)을 가지며, 수납 공간(13)과 서랍 공간(31)을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구획 형성한다.The bottom body 50 has a base surface 51 as a thin outer paper for supporting the storage article 1 , and partitions the storage space 13 and the drawer space 31 in the vertical direction, respectively.

상기 바닥체(5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52), 양쪽 측판(53), 그리고 내 측판(5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설정된 두께를 지닌 종이 판을 접힘 선들을 통해 접어서 상기한 바닥체(50)의 골격을 형성한다.The bottom body 50 includes a top plate 52 , both side plates 53 , and an inner side plate 54 , as shown in FIGS. 7 and 8 .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keleton of the bottom body 50 is formed by folding a paper plate having a set thickness through the fold lines.

여기서, 상기 바닥체(50)는 양쪽 측판(53)이 종이 판의 설정된 영역이 두 겹으로 접혀져 접착되고, 상판(52)이 한 겹으로 형성되며, 그 상판(52)과 양쪽 측판(53)에 연결되는 내 측판(54)이 한 겹으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Here, in the bottom body 50, both side plates 53 are folded and adhered to the set area of the paper plate in two layers, and the top plate 52 is formed in one layer, and the top plate 52 and both side plates 53 are formed in one layer. The inner side plate 54 connected to the has a structure formed in one layer.

또한, 상기 바닥체(50)는 양쪽 측판(53) 사이에서 내 측판(54)에 대응되는 쪽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그 개방된 부분은 수납 본체부(10)의 개방부(21)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bottom body 50 has an open form at the sid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plate 54 between the side plates 53 on both sides, and the open part is formed with the opening part 21 of the housing body part 10 and connected

상기한 바와 같은 상판(52)은 이의 상면에 베이스 면(51)이 접착제를 통해 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양쪽 측판(53)은 상판(52)의 양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접혀진 부분으로서, 수납 본체부(10)의 내부를 상판(52)을 통해 상하 방향을 따라 수납 공간(13)과 서랍 공간(31)으로 구획 형성한다.The upper plate 52 as described above has a base surface 51 attached to its upper surface through an adhesive. In addition, the both side plates 53 are parts that are fol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both sides of the top plate 52 , and the interior of the storage body 10 is passed through the top plate 52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storage space 13 and the drawer space. (31) to form a partition.

더 나아가, 상기 바닥체(50)의 상판(52)에는 종이 소재의 제2 스토퍼 판재(55)가 접착된다. 상기 제2 스토퍼 판재(55)는 상판(52)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되며, 베이스 면(51)의 하면과 접착제를 통해 접착된다.Furthermore, a second stopper plate 55 made of paper is adhered to the upper plate 52 of the bottom body 50 . The second stopper plate 55 is adhered to the upper plate 52 through an adhesive, and is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rface 51 through an adhesive.

상기 제2 스토퍼 판재(55)는 서랍부(30)가 서랍 공간(31)에서 개방부(21)를 통해 개방(인출)될 때, 개방부(21)의 상단 부와 걸림이 이루어지며, 그 서랍부(30)가 개방부(21) 외측으로 빠지지 않게 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The second stopper plate 55 is engaged with the upper end of the opening 21 when the drawer 30 is opened (withdrawn) through the opening 21 in the drawer space 31, and the The drawer part 30 functions as a stopper that prevents the opening part 21 from falling out.

상기 제2 스토퍼 판재(55)는 설정된 두께를 지닌 종이 판재로서, 상판(52)의 상면에 구비된 장착 홈(56)에 끼워지며 접착제를 통해 접착된다. 더 나아가, 상기한 제2 스토퍼 판재(55)는 개방부(21)의 상단 부 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접혀지며 연장된 제2 스토핑 단부(57)를 형성하고 있다.The second stopper plate 55 is a paper plate having a set thickness, is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56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op plate 52 and is adhered through an adhesive. Furthermore, the second stopper plate 55 is fol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upper end of the open portion 21 to form the extended second stopping end 57 .

이에 따라 상기한 바와 같은 서랍부(30)는 개방부(21)를 통해 서랍 공간(31)의 외부로 인출될 때, 개방부(21)의 내 외측 방향을 기준으로, 그 서랍부(30)의 내 측벽(33) 상단 부를 통해 제2 스토핑 단부(57)와 걸림이 이루어지며, 그 개방부(21)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drawer part 30 as described above is withdrawn to the outside of the drawer space 31 through the opening part 21 , the drawer part 30 is drawn based o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of the opening part 21 . It engages with the second stopping end 57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inner sidewall 33 of the , and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21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서랍 지지체(60)는 서랍부(30)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더 나아가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1 스토퍼 판재(41)의 제1 스토핑 단부(43)와, 바닥체(50)의 양쪽 측판(53)을 지지한다.1 to 3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er support 60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drawer 30, and furthermore, the above-mentioned first stopper plate 41 of The first stopping end 43 and both side plates 53 of the bottom body 50 are supported.

상기 서랍 지지체(60)는 종이 소재로 이루어지며, 수납 본체부(10)의 서랍 공간(31) 내측에서 그 수납 본체부(10)의 내부 바닥(11)에 설치된다. 이러한 서랍 지지체(6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판(61)과 제2 지지 판(62)을 포함하고 있다.The drawer support 60 is made of a paper material, and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11 of the storage body 10 inside the drawer space 31 of the storage body 10 . As shown in FIG. 9 , the drawer support 60 includes a first support plate 61 and a second support plate 62 .

상기 제1 지지 판(61)은 종이 판재로서, 하면을 통해 수납 본체부(10)의 내부 바닥(11)을 지지한다, 상기 제2 지지 판(62)은 종이 판재로서, 상면을 통해 제1 스토퍼 판재(41)의 제1 스토핑 단부(43)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 판(62)은 종이 판재가 두 겹으로 접혀져 접착된 것으로, 제1 지지 판(61)의 상면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된다.The first support plate 61 is a paper plate, and supports the inner bottom 11 of the housing body 10 through the lower surface. The second support plate 62 is a paper plate, and the first The first stopping end 43 of the stopper plate 41 may be supported. The second support plate 62 is a paper plate that is folded and adhered in two layers, and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61 through an adhesive.

여기서, 상기 제2 지지 판(62)은 제1 지지 판(61) 보다 작은 폭으로 구비되는데, 이에 따라 제1 지지 판(61)의 양측에는 제2 지지 판(62)을 통해 바닥체(50)의 양쪽 측판(53)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 단부(65)가 형성된다.Here, the second support plate 62 is provided with a width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support plate 61 . Accordingly,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late 61 have the bottom body 50 through the second support plate 62 . ) A support end 65 for supporting the lower end of both side plates 53 is forme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미러(70)는 서랍부(30)가 위치하고 있는 수납 본체부(10)의 한쪽 측면(12)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겉지(17)에 구비된 미러 윈도우(71)를 통해 제1 속지(15)에 고정되게 장착된다.Referring to FIGS. 1 to 3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rror 70 is located on one side 12 of the receiving body 10 in which the drawer 30 is located, as shown in FIG. 4 . It is fixedly mounted to the first inlay 15 through the mirror window 71 provided on the first outer paper 17 .

이를 위해 상기 수납 본체부(10)에서의 제1 속지(15)는 한쪽 측면(12)에서의 일측 접힘 면(19)에 미러(70)를 장착하기 위한 미러 장착 홀(73)을 형성하고 있다.To this end, the first inlay 15 in the receiving body portion 10 forms a mirror mounting hole 73 for mounting the mirror 70 on one side folded surface 19 on one side 12 . .

여기서, 상기 미러(70)는 미러 장착 홀(73)에 장착되며, 그 미러 장착 홀(73)에 대응되는 다른 일측 접힘 면(19)에 부착되는데, 그 다른 일측 접힘 면(19)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된 종이 소재의 지지 패드(75: 도 3 참조)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한 미러(70)는 접착제를 통해 지지 패드(75)의 패드 면에 접착된다.Here, the mirror 70 is mounted in the mirror mounting hole 73, and is attached to the other folded surface 19 corresponding to the mirror mounting hole 73, and an adhesive is applied to the other folded surface 19. It may be attached to the support pad 75 (refer to FIG. 3 ) made of paper adhered through it. The above-described mirror 70 is adhered to the pad surface of the support pad 75 through an adhesive.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자석 판(80)은 클립(3)과 같은 스틸 소재의 물품들을 수납 본체부(10)의 측면(12)에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1 to 3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 plate 80 is for attaching steel items such as a clip 3 to the side surface 12 of the housing body 10 .

상기 자석 판(80)은 수납 본체부(10)의 다른 한쪽 측면(12)에서 제1 속지(15)와 제1 겉지(17)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속지(15)에 고정된다.The magnet plate 8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paper 15 and the first outer paper 17 on the other side 12 of the receiving body 10 , and is fixed to the first inner paper 15 .

이러한 자석 판(8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속지(15)에서 두 겹으로 겹쳐져 접착된 접힘 면(19)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서로 접착된 접힘 면(19) 중 일측 접힘 면에는 자석 판(80)을 장착하기 위한 자석 장착 홀(81)이 형성되고, 그 자석 판(80)은 자석 장착 홀(81)에 대응되는 다른 일측 접힘 면(19)에 접착제를 통해 접착된다.Such a magnet plate 80 is mounted on the folded surface 19, as shown in FIG. To this end, a magnet mounting hole 81 for mounting the magnet plate 8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olded surfaces 19 adhered to each other, and the magnet plate 80 corresponds to the magnet mounting hole 81 . It is adhered to the other folded side 19 through an adhesiv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의 조립 과정 및 작용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assembly process and operation of the penci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viously disclosed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단이 개방된 수납 공간(13)을 가진 수납 본체부(10)를 제공하는데, 제1 속지(15)의 외 표면에 제1 겉지(17)를 감싸면서 접착한 수납 본체부(10)를 제공한다.Firs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orage body portion 10 having a storage space 13 with an open upper end, the first cover paper 17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inner paper 15 while wrapping it. A storage body portion (10) is provided.

상기한 수납 본체부(10)에서 한쪽 측면(12)의 하부 측에는 개방부(21)를 형성하고 있으며, 그 개방부(21)의 상측에는 제1 겉지(17)의 미러 윈도우(71)를 통해 제1 속지(15)에 고정된 미러(70)를 장착하고 있다.An open portion 2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one side 12 in the above-described housing body 10 , and the upper side of the open portion 21 is through the mirror window 71 of the first cover 17 . A mirror 70 fixed to the first inlay 15 is mounted.

그리고, 상기 수납 본체부(10)의 다른 한쪽 측면(12)에는 제1 속지(15)와 제1 겉지(17) 사이에 배치되면서 제1 속지(15)에 고정된 자석 판(80)을 장착하고 있다.And, the magnet plate 80 fixed to the first inner paper 15 while being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ner paper 15 and the first outer paper 17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12 of the receiving body part 10 . are doing

상기에서와 같은 수납 본체부(10)를 제공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지지 판(61)의 상면에 제2 지지 판(62)이 접착된 서랍 지지체(60)를 수납 본체부(10)의 상단을 통해 내측 바닥(11)에 위치시킨다.In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body portion 10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er support 60 to which the second support plate 62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61 is installed as the storage body. It is positioned on the inner bottom 11 through the top of the part 10 .

이러한 서랍 지지체(60)는 제2 지지 판(62)이 제1 지지 판(61) 보다 작은 폭으로 구비됨에 따라, 제1 지지 판(61)의 양측에 지지 단부(65)를 형성하고 있다.The drawer support 60 forms support ends 65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late 61 as the second support plate 62 is provided with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support plate 61 .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면에 베이스 면(51)이 부착된 바닥체(50)를 수납 본체부(10)의 상단을 통해 내측으로 밀어 넣는다.Next,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body 50 to which the base surface 51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is pushed inwar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accommodation body part 10 .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바닥체(50)의 양쪽 측판(53) 하단이 서랍 지지체(60)의 양측 지지 단부(65)를 지지하면서 그 바닥체(50)의 상판(52)을 통해 수납 본체부(10)의 내부에 수납 공간(13)과 서랍 공간(31)을 상하 방향으로 각각 구획 형성하게 된다.The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ends of both side plates 53 of the bottom body 50 support both side support ends 65 of the drawer support 60 through the top plate 52 of the bottom body 50 . The storage space 13 and the drawer space 31 are respectively partitio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storage body part 10 .

이 경우, 상기 서랍 공간(31)은 상판(52)을 사이에 두고 그 상판(52)의 하측에서 개방부(21)와 연결되며, 수납 공간(13)은 서랍 공간(31)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drawer space 31 is connected to the opening 21 a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52 with the upper plate 52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storage space 13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drawer space 31 . will do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수납 본체부(10)의 개방부(21)를 통해 서랍 공간(31)으로 서랍부(30)를 밀어 넣는다. 상기 서랍부(30)는 상단이 개방되며, 제2 속지(35)의 외 표면에 제2 겉지(37)가 접착된 사각 상자 형태로 구비된다.The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wer 30 is pushed into the drawer space 31 through the opening 21 of the receiving body 10 . The drawer unit 30 has an open top,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square box in which a second outer paper 37 is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inner paper 35 .

이와 같은 서랍부(30)의 내 측벽(33) 외면에는 제1 스토퍼 판재(41)가 부착되어 있는데, 제1 스토퍼 판재(41)는 서랍부(30)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제1 스토핑 단부(43)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제1 스토핑 단부(43)는 서랍부(30)가 개방부(21)를 통해 서랍 공간(31)으로 끼워질 때, 서랍 지지체(60)의 제2 지지 판(62) 상면을 지지한다.A first stopper plate 41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ide wall 33 of the drawer unit 30 , and the first stopper plate 41 is a first stopper plat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rawer unit 30 . The topping end 43 is integrally formed. The first stopping end 43 above support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62 of the drawer support 60 when the drawer 30 is inserted into the drawer space 31 through the opening 21 . do.

한편, 상기에서 바닥체(50)의 상판(52)에는 제2 스토퍼 판재(55)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2 스토퍼 판재(55)는 상판(52)의 장착 홈(56)에 장착된 상태로, 베이스 면(51)의 하면에 접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topper plate 55 is attached to the upper plate 52 of the bottom body 50 in the above. The second stopper plate 55 is attach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rface 51 while being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56 of the upper plate 52 .

이러한 제2 스토퍼 판재(55)는 하측 방향으로 접혀지며 연장된 제2 스토핑 단부(57)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2 스토핑 단부(57)는 개방부(21)의 상단 부 측에서 서랍부(30)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The second stopper plate 55 is fol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to integrally form the extended second stopping end 57 . The second stopping end 57 is locat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drawer unit 30 at the upper end side of the opening 21 .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100)를 조립하게 되면, 수납 본체부(10)의 수납 공간(13)에 수납 물품(1)들을 보관할 수 있고, 클립과 같은 스틸 소재의 물품들을 자석 판(80)을 통하여 수납 본체부(10)의 측면(12)에 부착시켜 놓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수납 본체부(10)의 측면(12)에 배치된 미러(70)를 사용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pencil hold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items 1 can b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3 of the storage body 10, and a steel material such as a clip of items can be attached to the side 12 of the housing body 10 through the magnet plate 80 .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rror 70 disposed on the side surface 12 of the accommodation body 10 may be used.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부(30)를 개방부(21)를 통해 서랍 공간(31)으로부터 인출시키며, 그 서랍부(30)의 수납 공간으로 각종 물품을 수납하거나 수납 공간으로부터 물품을 꺼낼 수 있다. 이때, 상기한 서랍부(30)는 제1 스토퍼 판재(41)의 제1 스토핑 단부(43)를 통해 서랍 지지체(60)의 제2 지지 판(62) 상면을 지지하면서 개방부(21)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 the drawer 30 is drawn out from the drawer space 31 through the opening 21 , and various articles are used as a storage space of the drawer 30 . can be stored or taken out of the storage space. At this time, the drawer part 30 is the opening part 21 while suppor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plate 62 of the drawer support 60 through the first stopping end 43 of the first stopper plate 41 . can be withdrawn to the outside of

더 나아가, 상기 서랍부(30)는 개방부(21)의 상하 단부 측과 걸림이 이루어지며, 더 이상 개방부(21)의 외측으로 인출되지 않게 스토핑 된다. 이때, 상기 서랍부(30)는 제1 스토퍼 판재(41)의 제1 스토핑 단부(43) 및 제2 스토퍼 판재(55)의 제2 스토핑 단부(57)를 통해 개방부(21) 상하 단부 측과의 걸림이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more, the drawer part 30 is engaged with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pening part 21 and is stopped so that it is no longer drawn out of the opening part 21 . At this time, the drawer part 30 is opened up and down through the opening part 21 through the first stopping end 43 of the first stopper plate 41 and the second stopping end 57 of the second stopper plate 55 . Engagement with the end side can be made.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필꽂이(100)에 의하면, 종이 소재를 사용함에 따라 친 환경적이면서도 경량화가 가능하며, 다양한 수납 물품들을 수납 및 보관할 수 있고, 다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encil hold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so far,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lightweight by using a paper material, and can store and store various storage items, and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주문자의 요구에 따라 종이 재질의 겉면에 그림이나 캐릭터 사진 등을 부착 또는 인쇄할 수 있고, 광고 로고 또는 문구/문양 등을 부착 또는 인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외관의 미려함을 도모할 있고, 주문자의 요구에 따른 제품이나 회사의 광고 효과도 발휘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icture or a character photo may be attached or printed on the surface of the paper material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orderer, and an advertisement logo or text/pattern may be attached or printed. According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mote the aesthetics of the appearance and to exhibit the advertising effect of the product or company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order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 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gure,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technical spirit. Other embodiments may be easily proposed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elements, but this will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수납 물품 3: 클립
10: 수납 본체부 11: 바닥
12: 측면 13: 수납 공간
15: 제1 속지 17: 제1 겉지
19: 접힘 면 21: 개방부
30: 서랍부 31: 서랍 공간
32: 외 측벽 33: 내 측벽
35: 제2 속지 37: 제2 겉지
39: 손잡이 41: 제1 스토퍼 판재
43: 제1 스토핑 단부 50: 바닥체
51: 베이스 면 52: 상판
53: 양쪽 측판 54: 내 측판
55: 제2 스토퍼 판재 56: 장착 홈
57: 제2 스토핑 단부 60: 서랍 지지체
61: 제1 지지 판 62: 제2 지지 판
65: 지지 단부 70: 미러
71: 미러 윈도우 73: 미러 장착 홀
75: 지지 패드 80: 자석 판
81: 자석 장착 홀 100: 연필꽂이
1: Storage item 3: Clip
10: storage body part 11: bottom
12: side 13: storage space
15: first inner sheet 17: first outer sheet
19: folding side 21: opening
30: drawer unit 31: drawer space
32: outer sidewall 33: inner sidewall
35: second inner paper 37: second outer paper
39: handle 41: first stopper plate
43: first stopping end 50: bottom body
51: base surface 52: top plate
53: both side plates 54: my side plates
55: second stopper plate 56: mounting groove
57: second stopping end 60: drawer support
61: first support plate 62: second support plate
65: support end 70: mirror
71: mirror window 73: mirror mounting hole
75: support pad 80: magnetic plate
81: magnet mounting hole 100: pencil holder

Claims (16)

제1 속지와, 상기 제1 속지보다 얇은 두께로서 상기 제1 속지의 외 표면을 감싸며 접착된 제1 겉지로 이루어지고, 상단이 개방된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있는 수납 본체부;
제2 속지와, 상기 제2 속지보다 얇은 두께로서 상기 제2 속지의 외 표면을 감싸며 접착된 제2 겉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납 본체부의 내부 바닥 측에서 상기 수납 공간과 별개로 구획된 서랍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수납 본체부의 한쪽 면에서 상기 서랍 공간과 연결된 개방부를 통하여 슬라이드 이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랍부; 및
상기 수납 공간에서 수납 물품을 지지하는 베이스 면을 가지며, 상기 수납 본체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서랍 공간을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구획하는 종이 소재의 바닥체;
를 포함하는 연필꽂이.
A storage body portion comprising a first inner paper and a first outer paper adhered to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first inner paper, and forming a storage space with an open upper end;
A second inlay and a second inlay, which is made of a second outer paper adher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inlay as thinner than the second inlay, in a drawer space partitioned separately from the storage space on the inner bottom side of the storage body part a drawer unit disposed so as to be able to slide open and close from one side of the storage body through an opening connected to the drawer space; and
a paper bottom body having a base surface for supporting storage articles in the storage space, disposed inside the storage body, and partitioning the storage space and the drawer space in vertical directions;
A pencil holder that includes.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공간의 내측에서 상기 수납 본체부의 내부 바닥에 설치되며, 상기 서랍부의 하부를 지지하는 종이 소재의 서랍 지지체
를 더 포함하는 연필꽂이.
According to claim 1,
A drawer support made of paper which is install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storage body inside the drawer space and supports the lower part of the drawer.
A pencil holder further comprising a.
제1 항 및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부의 한쪽 면에서 상기 제1 겉지에 구비된 미러 윈도우를 통해 상기 제1 속지에 고정되는 미러
를 더 포함하는 연필꽂이.
4.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and 3,
A mirror fixed to the first inlay through a mirror window provided on the first outer cover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body part
A pencil holder further comprising a.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부의 다른 한쪽 면에서 상기 제1 속지와 제1 겉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속지에 고정되는 자석 판
을 더 포함하는 연필꽂이.
5. The method of claim 4,
A magnet plate disposed between the first inlay and the first outer paper on the other side of the receiving body part, and fixed to the first inner paper
A pencil holder further comprising 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부는,
상기 제1 속지의 설정된 접힘 면들이 두 겹으로 겹쳐져 접착된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두 겹의 겹침 면에 상기 개방부를 형성하는 연필꽂이.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body portion,
A pencil holder compris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folded surfaces of the first inlay are overlapped and adhered to each other, and the open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verlapping surface of the two layer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는,
상기 개방부의 내외 측 방향을 기준으로, 외 측벽에 손잡이를 형성하고,
상기 외측 벽의 반대쪽 내측 벽에는 상기 개방부의 하단 부에 스토핑 되는 종이 소재의 제1 스토퍼 판재가 접착되는 연필꽂이.
According to claim 1,
The drawer unit,
A handl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wall based o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of the opening,
A pencil holder in which a first stopper plate made of a paper material to be stopped at the lower end of the opening is adhered to the inner wall opposite to the outer wall.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 판재는,
상기 서랍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된 제1 스토핑 단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연필꽂이.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stopper plate,
A pencil holder integrally forming a first stopping end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drawer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체는,
상면에 상기 베이스 면이 접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접혀지며, 상기 상판을 통해 상기 수납 공간과 상기 서랍 공간을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구획하는 측판
을 포함하는 연필꽂이.
According to claim 1,
The floor is
an upper plate to which the base surface is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Side plates that are fold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and partition the storage space and the drawer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rough the upper plate, respectively.
A pencil holder that includes.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체는,
상기 개방부의 상단 부 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접혀지며 연장된 제2 스토핑 단부를 가지며, 상기 상판에 접착되고, 상기 베이스 면의 하면과 접착되는 종이 소재의 제2 스토퍼 판재
를 더 포함하는 연필꽂이.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floor is
A second stopper plate made of a paper material having a second stopping end that is folded and extended down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open portion, is adhered to the upper plate, and is adher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rface.
A pencil holder further comprising a.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토퍼 판재는 상기 상판에 구비된 장착 홈에 끼워지며 접착되고,
상기 서랍부는 상기 개방부의 내외 측 방향을 기준으로, 내 측벽의 상단 부를 통해 상기 제2 스토핑 단부와 걸림이 이루어지는 연필꽂이.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econd stopper plate is fitted and adhered to the mounting groove provided on the upper plate,
A pencil holder in which the drawer part engages with the second stopping end through the upper end of the inner side wall based on the inner and outer directions of the opening part.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지지체는,
상기 수납 본체부의 내부 바닥을 지지하는 제1 지지 판과,
두 겹으로 접혀져 접착되며, 상기 제1 지지 판의 상면에 접착되는 제2 지지 판
을 포함하는 연필꽂이.
4. The method of claim 3,
The drawer support,
a first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inner bottom of the storage body;
A second support plate that is folded and adhered in two layers and adh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plate
A pencil holder that includes.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 판은 상기 제1 지지 판 보다 작은 폭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지지 판의 양측에는 상기 제2 지지 판을 통해 상기 바닥체의 양쪽 측판을 지지하는 지지 단부가 형성되는 연필꽂이.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support plate is provided with a smaller width than the first support plate,
A pencil holder in which support ends for supporting both side plates of the bottom body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support plate through the second support plate.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부는,
상기 제1 속지의 설정된 접힘 면들이 두 겹으로 겹쳐져 접착된 부분을 포함하며, 한쪽 면에서의 일측 접힘 면에 상기 미러를 장착하기 위한 미러 장착 홀을 형성하는 연필꽂이.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torage body portion,
A pencil holder for forming a mirror mounting hole for mounting the mirror on one folded surface on one side, includ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folded surfaces of the first inlay are overlapped and adhered in two layers.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장착 홀에 대응되는 다른 일측 접힘 면에는 상기 미러를 지지하는 종이 소재의 지지 패드가 접착되는 연필꽂이.
15. The method of claim 14,
A pencil holder in which a paper support pad for supporting the mirror is adhered to the other fold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mirror mounting hole.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본체부는,
상기 제1 속지의 설정된 접힘 면들이 두 겹으로 겹쳐져 접착된 부분을 포함하며, 다른 한쪽 면에서의 접힘 면에 상기 자석 판을 장착하기 위한 자석 장착 홀을 형성하는 연필꽂이.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torage body portion,
A pencil holder for forming a magnet mounting hole for mounting the magnet plate on the folded surface on the other side, including a portion where the first folded surfaces of the first inlay are overlapped and adhered in two layers.
KR1020200180483A 2020-12-22 2020-12-22 Eco-friendly multi-purpose pencil holder KR10237526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483A KR102375266B1 (en) 2020-12-22 2020-12-22 Eco-friendly multi-purpose pencil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0483A KR102375266B1 (en) 2020-12-22 2020-12-22 Eco-friendly multi-purpose pencil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5266B1 true KR102375266B1 (en) 2022-03-16

Family

ID=8093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0483A KR102375266B1 (en) 2020-12-22 2020-12-22 Eco-friendly multi-purpose pencil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526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274Y1 (en) * 2000-06-30 2000-12-15 조재기 Pen holder
KR101817461B1 (en) * 2017-01-06 2018-01-11 신수정 Prefabricated Paper Pencil Case
JP3222387U (en) * 2019-01-08 2019-08-01 清 飯尾 Cardboard furnitu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8274Y1 (en) * 2000-06-30 2000-12-15 조재기 Pen holder
KR101817461B1 (en) * 2017-01-06 2018-01-11 신수정 Prefabricated Paper Pencil Case
JP3222387U (en) * 2019-01-08 2019-08-01 清 飯尾 Cardboard furni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5266B1 (en) Eco-friendly multi-purpose pencil holder
US20220361663A1 (en) Portable Workstation for Writing, Drawing and Coloring
JP6264564B2 (en) Packaging box
KR200465875Y1 (en) Receptacle for Office Supplies
JP2014058271A (en) Vehicle console
JP3976874B2 (en) Case
JP7354656B2 (en) Small items storage case
JP7447405B2 (en) Small items storage case
KR200455380Y1 (en) Paper holder for packing resin containers
JP3245134U (en) goods container
CN211894046U (en) Packaging box for electronic detector
JPH0423778Y2 (en)
JP7044334B1 (en) Cold insulation box and cold insulation structure
KR200489573Y1 (en) Knob for article compartment
JP2024027645A (en) Storage box for writing instruments
KR200169029Y1 (en) A small piece storage box
JP2007308177A (en) Packaging box
KR200385297Y1 (en) Foldway matchbox for having multilayered cabinet space
JP3078727U (en) Office supplies tray
KR200280741Y1 (en) Keeping case for a written things of car
KR20150054477A (en) Wine bottle packaging box
TWM601226U (en) Transformation structure of note paper packaging box
CN203727900U (en) Buffer module
JPS5820548Y2 (en) Cushioning material for packaging containers
KR20210003062A (en) Multi-functional packaging 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