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4824B1 - 자율참여, 보상 기반의 건강 정보 제공 및 증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자율참여, 보상 기반의 건강 정보 제공 및 증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4824B1
KR102374824B1 KR1020190057864A KR20190057864A KR102374824B1 KR 102374824 B1 KR102374824 B1 KR 102374824B1 KR 1020190057864 A KR1020190057864 A KR 1020190057864A KR 20190057864 A KR20190057864 A KR 20190057864A KR 102374824 B1 KR102374824 B1 KR 102374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medical
institution
heal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400A (ko
Inventor
조병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5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4824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4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4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Abstract

자율참여, 보상 기반의 건강 정보 제공 및 증진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운용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 및 의료 기관에 의해 운용되는 기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별로 의료 정보를 식별하는 정보 식별부, 상기 사용자에 대해 식별된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블록을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의료 정보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의료 기관과는 상이한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 정보의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의료 정보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 블록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율참여, 보상 기반의 건강 정보 제공 및 증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D ENHANCHING HEALTH INFORMATION BASED ON AUTOMOUS PARTICIPATING AND REWARD}
아래의 설명은 자율참여, 보상 기반의 건강 정보 제공 및 증진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개인은 아플 때, 개인별 위치나 목적에 따라 각 순간에 가까운 병원을 찾았으며, 개인의 의료 정보는 각각의 동내 병원 또는 대형 병원 등에 전문 의료인만이 이해할 수 있는 어려운 의료 용어로 저장되어, 환자의 평생의 의료 진료 히스토리 이력정보 및/또는 다른 병원의 의료 진료 히스토리 이력정보가 없는 상태로 단편적인 진료와 처방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순간적 치료에만 도움이 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개인이 평생 동안 촬영한 엑스레이 영상이나 체온, 혈압, 콜레스트롤 수치 등이 환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분산 저장되어, 환자에게 필요한 예방 중심의 건강 사회 구현에 지장을 주고 있다.
복잡해지는 현대 사회에서 스트레스와 지구 온난화 등으로 새로운 질병이 예상됨에 따라,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초 연결 개념으로 본인의 건강 정보에 스스로 관심을 갖고, 자율 참여하여 예방중심의 건강 증진을 통해 삶의 질을 개선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분산정보 기반의 새로운 의료 서비스 창출 및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참여자의 일상 섭생 및 병력, 의료 정보를 연속적으로 수집, 축적 및 분석한 결과를 본인의 가상개체를 이용하여 3D(또는 2D)로 생성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의료 기관 종사자의 빅데이터 분석으로 참여자의 모바일 생체 기기(일례로, 스마트 폰)에서 일상 생활 지도 및 질병을 미리 예측하여, 건강 생활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참여자에게 참여에 따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는 건강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참여자의 건강을 건강할 때 스스로 지킬 수 있도록 참여자가 비밀이 요구되는 본인의 섭생 및 운동, 의료 생체정보를 성의껏 자율 제공하고, 참여자의 요람부터 병원의 의료 정보 및, DNA 유전자 정보, 차크라 파동정보, 음양오행 체질정보, 사회 병력 결과 등을 종합 분석하고, 인공지능을 이용한 질병 예방을 통해 사회의 의료 비용 지출을 감소시켜 참여자의 건강 행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참여자의 노력을 계량화 한 방법으로 자율 보상이 가능한 건강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사용자에 의해 운용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 및 의료 기관에 의해 운용되는 기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별로 의료 정보를 식별하는 정보 식별부; 상기 사용자에 대해 식별된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블록을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의료 정보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의료 기관과는 상이한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 정보의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의료 정보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 블록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 제공 서버를 제공한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정보 식별부는,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 제공된 상기 사용자의 의료 정보에 기반하여 진행된 진료 및 치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의료 정보를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별로 식별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식별된 다른 의료 기관의 의료 정보를, 해시 함수에 기반하여, 새로운 의료 정보 데이터 블록으로 생성하여 상기 의료 정보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건강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의료 정보로부터 질병 예측 지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질병 예측 지수와 상기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생성된 건강 정보가 더 포함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건강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의 의료, 섭생 및 파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차크라 및 장기(organ)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별로 식별하여 질병 지수, 건강 지수 및 치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질병 예측 지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질병 예측 지수와 상기 사용자의 DNA(deoxyribonucleic acid) 또는 RNA(ribonucleic acid) 정보를 포함하는 유전자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 및 치유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생성된 건강 정보 및 치유 정보가 더 포함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건강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및 의료 정보에 따라 차크라 또는 장기를 표현하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건강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장치를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예방 중심 건강 증진 활동을 지도하기 위한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지도 정보가 더 포함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건강 정보 제공 서버는,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의 제공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보상을 결정하는 보상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센싱 정보는, 동영상 기반의 뇌파 정보 및 에너지 파동 기반 장치의 차크라 파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하는 신체 정보, 가족력 정보, 식생활 정보, 스트레스 정도, 생활 환경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기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의료 정보는 상기 의료 기관에서 상기 기관 단말을 통해 입력하는 의료 기관 식별 코드, 상기 사용자의 방문 기록,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료 기록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처방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운용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 및 의료 기관에 의해 운용되는 기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별로 의료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에 대해 식별된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블록을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의료 정보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의료 기관과는 상이한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 정보의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의료 정보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 블록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신체의 차크라별 고유주파수에 상응하는 전자기파 파동생성기로부터 사용자의 손 또는 발의 접촉으로 인해 생성되는 파동의 변화에 따라 해당 차크라 및 관련 신체 장기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유무를 학습 및 결정하는 단계; 동영상의 동적 이미지로부터 뇌파의 상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정신 및 신체의 질병과 건강을 예측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이상유무 및 상기 예측된 질병과 건강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일상 생활 중의 치유 및 섭생을 위한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지도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을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블록체인 기반의 새로운 의료 서비스 창출 및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참여자의 일상 섭생 및 병력, 의료 정보를 연속적으로 수집, 축적 및 분석한 결과를 본인의 가상개체를 이용하여 3D(또는 2D)로 생성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의료 기관 종사자의 빅데이터 분석으로 참여자의 모바일 생체 기기(일례로, 스마트 폰)에서 일상 생활 지도 및 질병을 미리 예측하여, 건강 생활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참여자에게 참여에 따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및 증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컴퓨터 장치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고, 컴퓨터 장치는 구동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및 증진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 장치와 결합되어 건강 정보 제공 및 증진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블록체인 기반의 새로운 의료 서비스 창출 및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참여자의 일상 섭생 및 병력, 의료 정보를 연속적으로 수집, 축적 및 분석한 결과를 본인의 가상개체를 이용하여 3D로 생성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의료 기관 종사자의 빅데이터 분석으로 참여자의 모바일 생체 기기(일례로, 스마트 폰)에서 일상 생활 지도 및 질병을 미리 예측하여, 건강 생활을 증진 및 보상하는 건강 정보 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들에 의해 운용되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그리고 의료 기관들에서 운용되는 복수의 기관 단말들(120)과 연결되는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110)과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그리고 복수의 기관 단말들(120)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컴퓨터 장치들간의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통해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110)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그리고 복수의 기관 단말들(120)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110) 각각으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복수의 기관 단말들(120) 각각으로부터는 진료 및/또는 치료에 대한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 의료 정보 클라우드(130)에 데이터 블록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으며, 의료 정보 클라우드(130)에 저장된 정보를 통해 특정 사용자에 대한 통합적인 의료 정보를 수집 및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병원과 같은 의료 기관에서는 사용자에 대해 자신의 의료 기관뿐만 아니라, 다른 의료 기관에서 행한 진료 및/또는 치료에 대한 의료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의료 정보 클라우드(130)는 사용자 별 의료 정보가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데이터 블록의 연쇄의 형태로 저장된 블록체인을 생성 및 관리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응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특징에 따라 외부로부터의 악의적인 의료 정보의 변경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단순히 수집된 의료 정보뿐만 아니라, 의료 정보에 기초하여 질병 예측 지수를 분석하고, 분석된 질병 예측 지수와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건강 정보를 생성 및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건강 정보 역시 해당 의료 정보와 함께 데이터 블록의 형태로 의료 정보 클라우드(13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방법의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식별부(210), 정보 생성부(220), 정보 저장부(230), 정보 추출부(240), 정보 제공부(250) 및 보상 결정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100)의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는 이후 설명될 컴퓨터 장치가 포함하는 프로세서의 기능적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가 컴퓨터 프로그램의 코드의 제어에 따라 건강 정보 제공 방법을 처리하기 위한 기능들의 표현들일 수 있다. 도 3의 단계들(310 내지 360)은 실질적으로 컴퓨터 장치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도 3에서는 도 2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단계(310)에서 정보 식별부(210)는 사용자에 의해 운용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 및 의료 기관에 의해 운용되는 기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별로 의료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하는 신체 정보, 가족력 정보, 식생활 정보, 스트레스 정도, 생활 환경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진료 이력 정보는 의료 기관에서 기관 단말을 통해 입력하는 의료 기관 식별 코드, 사용자의 방문 기록, 사용자에 대한 진료 기록 및 사용자에 대한 처방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식별부(210)는 사용자 별로 의료 정보가 식별될 수 있도록 주민 등록 번호 또는 생체 인식 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 대응하는 의료 정보와 매핑하여 사용자 별로 의료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정보 생성부(220)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로부터 질병 예측 지수를 분석하고, 분석된 질병 예측 지수와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생성부(220)는 사용자 단말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장치를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 및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예방 중심 건강 증진 활동을 지도하기 위한 정보를 더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센싱 정보는 동영상 기반의 뇌파 정보 및 에너지 파동 기반 장치의 차크라 파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차크라 파동 정보는 7가지 신체 부위(회음, 하단전, 태양, 심장, 목, 이마, 백회) 혹은 별도 항목의 복수의 신체 장기들(organ)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동영상은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이 포함하는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동영상이나, CCTV 등을 통해 생성된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생성부(220)는 5가지 뇌파의 상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동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정신 및 신체에 대한 질병이나 건강을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 생성부(220)는 특정 사용자의 의료, 섭생 및 파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차크라 및 장기(organ)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별로 식별하여 질병 지수, 건강 지수 및 치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질병 예측 지수를 분석하고, 분석된 질병 예측 지수와 특정 사용자의 DNA(deoxyribonucleic acid) 또는 RNA(ribonucleic acid) 정보를 포함하는 유전자 정보를 결합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 및 치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건강 정보는 특정 사용자의 신체 및 의료 정보에 따라 차크라 또는 장기를 표현하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정보 저장부(230)는 사용자에 대해 식별된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생성된 데이터 블록을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의료 정보 클라우드(130)에 저장할 수 있다. 만약, 단계(320)이 수행되어 건강 정보 및/또는 치유 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정보 저장부(230)는 단계(330)에서 건강 정보 및/또는 치유 정보가 더 포함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정보 추출부(240)는 의료 기관과는 상이한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대한 의료 정보의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의료 정보 클라우드(130)에 저장된 데이터 블록을 통해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정보 추출부(24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요청이나 의료 기관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요청에 따라 의료 정보 클라우드(130)에 저장된 데이터 블록에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단말 또는 기관 단말은 특정 사용자의 주민 등록 번호나 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에 대한 의료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정보 추출부(240)는 이러한 주민 등록 번호나 생체 인식 정보를 통해 식별되는 (의료 정보 클라우드(130)에 저장된)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350)에서 정보 제공부(250)는 추출된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다수의 의료 기관들을 고려할 때, 각각의 의료 기관들은 자신들이 제공한 사용자의 의료 기록뿐만 아니라, 다른 의료 기관이 제공한 사용자의 의료 기록까지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에 대한 통합적인 의료 정보를 제공받아 진료 및/또는 치료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개별 의료 기관들은 수집되는 각각의 의료 정보에 대해 생성된 건강 정보 및/또는 치유 정보를 더 제공받아 진료나 치료에 활용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 의료 정보와 건강 정보 및/또는 치유 정보는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제공된 의료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에 대한 진료 및/또는 치료가 진행되면, 진행된 진료 및/또는 치료에 대한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새로운 의료 정보가 생성된다. 이 경우, 생성된 새로운 의료 정보는 다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100)으로 수집되어 앞서 설명한 단계(310)에서와 같이, 다시 사용자별로 식별될 수 있다. 식별된 새로운 의료 정보는 단계(330)에서와 같이, 해시 함수에 기반하여, 새로운 의료 정보 데이터 블록으로 생성될 수 있고, 생성된 새로운 의료 정보 데이터 블록은 의료 정보 클라우드(130)에 저장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에 대해 진료 및/또는 치료가 진행되어 새로운 의료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해당 의료 정보는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의료 정보 클라우드(130)에 데이터 블록의 형태로 추가될 수 있으며, 해시 함수를 활용한 데이터 블록들의 연쇄(블록체인)를 통해 사용자의 의료 정보가 악의적인 변경 없이 저장 및 유지되어 사용자 및 다수의 의료 기관들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의료 정보나 건강 정보 및/또는 치유 정보는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또는 기관 단말에 표시된 가상개체를 통해 표시되도록 생성된 특정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상개체는 일례로, 신체 모델을 그래픽적으로 구현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건강 정보는 이러한 신체 모델과 연관하여 사용자 단말이나 기관 단말에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가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또는 기관 단말에 표시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정보 제공부(250)는 건강 증진 활동 및 보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가 가상개체를 통해 더 표시되도록 건강 증진 활동 및 보상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더 제공할 수 있다. 건강 증진 활동은 사용자의 건강 증진을 위해 요구되는 활동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상은 사용자가 사용자 정보를 제공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보상, 그리고 사용자 정보를 제공함에 따른 보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상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실시예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가상화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보상에 대한 정보는 해당 사용자에게 제공될 보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360)에서 보상 결정부(260)는 센싱 정보 및 사용자 정보의 제공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보상을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보상은 앞서 설명한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가상화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의 내부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4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상유무 처리부(410), 질병 및 건강 예측부(420), 지도 정보 생성부(430), 지도 정보 제공부(440), 정보 기록부(450) 및 보상 제공부(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400)의 구성요소들은 실질적으로는 이후 설명될 컴퓨터 장치가 포함하는 프로세서의 기능적 표현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성요소들은 프로세서가 컴퓨터 프로그램의 코드의 제어에 따라 건강 정보 제공 방법을 처리하기 위한 기능들의 표현들일 수 있다. 도 5의 단계들(510 내지 560)은 실질적으로 컴퓨터 장치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도 5에서는 도 4의 구성요소들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단계(510)에서 이상유무 처리부(410)는 신체의 차크라별 고유주파수에 상응하는 전자기파 파동생성기로부터 사용자의 손 또는 발의 접촉으로 인해 생성되는 파동의 변화에 따라 해당 차크라 및 관련 신체 장기 중 적어도 하나의 이상유무를 학습 및 결정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차크라는 7 개의 신체 부위(회음, 하단전, 태양, 심장, 목, 이마, 백회)를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이상유무 처리부(410)는 사용자들 각각으로부터의 파동의 변화에 따라 차크라별로 및/또는 신체 장기별로 이상유무를 인공지능 모듈에 학습시킬 수 있으며, 학습된 인공지능 모듈을 통해 특정 사용자의 파동의 변화에 따라 차크라별로 및/또는 신체 장기별로 이상유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520)에서 질병 및 건강 예측부(420)는 동영상의 동적 이미지로부터 뇌파의 상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정신 및 신체의 질병과 건강을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동영상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이 포함하는 카메라를 통해 생성된 동영상이나, CCTV 등을 통해 생성된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질병 및 건강 예측부(420)는 동영상을 분석하여 5개의 뇌파 상관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의 정신 및 신체의 질병과 건강을 예측할 수 있다.
단계(530)에서 지도 정보 생성부(430)는 결정된 이상유무 및 예측된 질병과 건강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일상 생활 중의 치유 및 섭생을 위한 지도 정보(supervision information)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지도 정보는 앞서 설명한 건강 증진 활동을 위한 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단계(540)에서 지도 정보 제공부(440)는 생성된 지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지도 정보 제공부(4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운용되는 사용자 단말로 생성된 지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550)에서 정보 기록부(450)는 사용자의 자발적 참여 노력에 대한 정보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기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자발적 참여 노력은 사용자가 전자기파 파동생성기를 통해 파동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 횟수나 주기, 사용자가 동영상을 제공하는 횟수나 주기, 및/또는 지도 정보에 따른 활동 정보(운동량, 심박수, 걸음 횟수 등과 같이 사용자와 연계된 센서를 통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활동) 등에 따라 결정되는 수치적 정보일 수 있다.
단계(560)에서 보상 제공부(460)는 기록된 노력에 대한 정보에 따른 성과 지표에 따라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의 가상화폐를 보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파동의 변화에 대한 정보나 동영상을 많이, 자주 제공할수록 그리고 지도 정보에 따른 활동에 충실할수록 상대적으로 더 많은 보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터 장치의 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장치 각각은 도 6의 컴퓨터 장치(600)와 같이 구현될 수 있으며, 일실시예에 따른 건강 정보 제공 방법이 이러한 컴퓨터 장치(9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컴퓨터 장치(6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610), 프로세서(620), 통신 인터페이스(630) 그리고 입출력 인터페이스(6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61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과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는 메모리(6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컴퓨터 장치(600)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6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6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메모리(610)로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인터페이스(630)를 통해 메모리(6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660)를 통해 수신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컴퓨터 장치(600)의 메모리(6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6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610)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630)에 의해 프로세서(6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20)는 메모리(6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30)은 네트워크(660)를 통해 컴퓨터 장치(600)가 다른 장치(일례로, 앞서 설명한 저장 장치들)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컴퓨터 장치(600)의 프로세서(620)가 메모리(6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이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통신 인터페이스(630)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660)를 통해 다른 장치들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다른 장치로부터의 신호나 명령, 데이터, 파일 등이 네트워크(660)를 거쳐 컴퓨터 장치(600)의 통신 인터페이스(630)를 통해 컴퓨터 장치(600)로 수신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630)를 통해 수신된 신호나 명령, 데이터 등은 프로세서(620)나 메모리(610)로 전달될 수 있고, 파일 등은 컴퓨터 장치(600)가 더 포함할 수 있는 저장 매체(상술한 영구 저장 장치)로 저장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640)는 입출력 장치(65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장치는 마이크, 키보드 또는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와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6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입출력 장치(650)는 컴퓨터 장치(600)와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터 장치(600)는 도 6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적은 혹은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예를 들어, 컴퓨터 장치(600)는 상술한 입출력 장치(65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66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블루투스(Bluetooth)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660)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임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660)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블록체인 기반의 새로운 의료 서비스 창출 및 제공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참여자의 일상 섭생 및 병력, 의료 정보를 연속적으로 수집, 축적 및 분석한 결과를 본인의 가상개체를 이용하여 3D(또는 2D)로 생성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의료 기관 종사자의 빅데이터 분석으로 참여자의 모바일 생체 기기(일례로, 스마트 폰)에서 일상 생활 지도 및 질병을 미리 예측하여, 건강 생활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참여자에게 참여에 따른 보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스템 또는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사용자에 의해 운용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 및 의료 기관에 의해 운용되는 기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별로 의료 정보를 식별하는 정보 식별부;
    상기 사용자에 대해 식별된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블록을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의료 정보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정보 저장부;
    상기 의료 기관과는 상이한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 정보의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의료 정보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 블록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정보 추출부; 및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보 식별부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복수의 기관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별로 의료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 제공된 상기 사용자의 의료 정보에 기반하여 진행된 진료 및 치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의료 정보를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의료 정보를 사용자 별로 식별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식별된 다른 의료 기관의 의료 정보를, 해시 함수에 기반하여, 새로운 의료 정보 데이터 블록으로 생성하여 상기 의료 정보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의료 기관 및 상기 다른 의료 기관과 상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 및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제공 서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의료 정보로부터 질병 예측 지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질병 예측 지수와 상기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생성된 건강 정보가 더 포함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제공 서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의료, 섭생 및 파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차크라 및 장기(organ)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별로 식별하여 질병 지수, 건강 지수 및 치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질병 예측 지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질병 예측 지수와 상기 사용자의 DNA(deoxyribonucleic acid) 또는 RNA(ribonucleic acid) 정보를 포함하는 유전자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 및 치유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생성된 건강 정보 및 치유 정보가 더 포함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제공 서버.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신체 및 의료 정보에 따라 차크라 또는 장기를 표현하는 2차원 또는 3차원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제공 서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계된 적어도 하나의 센서 장치를 통해 측정된 센싱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예방 중심 건강 증진 활동을 지도하기 위한 지도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저장부는,
    상기 지도 정보가 더 포함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제공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정보의 제공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보상을 결정하는 보상 결정부
    를 더 포함하는 건강 정보 제공 서버.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정보는, 동영상 기반의 뇌파 정보 및 에너지 파동 기반 장치의 차크라 파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제공 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하는 신체 정보, 가족력 정보, 식생활 정보, 스트레스 정도, 생활 환경 정보 및 생활 습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기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의료 정보는 상기 의료 기관에서 상기 기관 단말을 통해 입력하는 의료 기관 식별 코드, 상기 사용자의 방문 기록, 상기 사용자에 대한 진료 기록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처방 내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제공 서버.
  10.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의 건강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운용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 및 의료 기관에 의해 운용되는 기관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의료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별로 의료 정보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해 식별된 의료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데이터 블록을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의료 정보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의료 기관과는 상이한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의료 정보의 요청이 수신됨에 따라, 상기 의료 정보 클라우드에 저장된 데이터 블록을 통해 상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추출된 사용자의 의료 정보를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복수의 기관 단말들 각각으로부터 의료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별로 의료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 제공된 상기 사용자의 의료 정보에 기반하여 진행된 진료 및 치료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이력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의료 정보를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의료 정보를 사용자 별로 식별하고,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된 다른 의료 기관의 의료 정보를, 해시 함수에 기반하여, 새로운 의료 정보 데이터 블록으로 생성하여 상기 의료 정보 클라우드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의료 기관 및 상기 다른 의료 기관과 상이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 및 상기 다른 의료 기관의 기관 단말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제공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의료 정보로부터 질병 예측 지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질병 예측 지수와 상기 사용자의 유전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건강 정보가 더 포함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상기 사용자의 의료, 섭생 및 파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차크라 및 장기(organ) 중 적어도 하나의 항목별로 식별하여 질병 지수, 건강 지수 및 치료 지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질병 예측 지수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질병 예측 지수와 상기 사용자의 DNA(deoxyribonucleic acid) 또는 RNA(ribonucleic acid) 정보를 포함하는 유전자 정보를 결합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건강 정보 및 치유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건강 정보 및 치유 정보가 더 포함된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정보 제공 방법.
  14. 삭제
  15. 삭제
KR1020190057864A 2019-05-17 2019-05-17 자율참여, 보상 기반의 건강 정보 제공 및 증진 방법 및 장치 KR102374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864A KR102374824B1 (ko) 2019-05-17 2019-05-17 자율참여, 보상 기반의 건강 정보 제공 및 증진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864A KR102374824B1 (ko) 2019-05-17 2019-05-17 자율참여, 보상 기반의 건강 정보 제공 및 증진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400A KR20200132400A (ko) 2020-11-25
KR102374824B1 true KR102374824B1 (ko) 2022-03-16

Family

ID=73645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864A KR102374824B1 (ko) 2019-05-17 2019-05-17 자율참여, 보상 기반의 건강 정보 제공 및 증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48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990B1 (ko) * 2021-03-12 2023-10-06 윤상연 뇌졸중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77899B1 (ko) * 2021-06-17 2023-09-13 주현 논-휴먼 객체의 유전체 데이터 수집에 따른 코인 지급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532534B1 (ko) * 2022-07-14 2023-05-16 주식회사 크로스 인공지능 분석 및 개인 건강 관리를 이용한 의료 마케팅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6940A (ja) * 2014-12-09 2016-06-20 株式会社Nttデータ・アイ 脳疾患診断支援システム、脳疾患診断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93729B1 (ko) * 2018-03-28 2018-10-04 주식회사 마크로젠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765B1 (ko) * 2004-11-30 2007-04-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문서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16649B1 (ko) * 2006-02-01 2007-05-10 (주)유비파트너아이엔씨 권한관리 구조 기반의 의료 정보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12423A (ko) * 2014-03-28 2015-10-0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병원 시스템, 가상 병원 생성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6940A (ja) * 2014-12-09 2016-06-20 株式会社Nttデータ・アイ 脳疾患診断支援システム、脳疾患診断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93729B1 (ko) * 2018-03-28 2018-10-04 주식회사 마크로젠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400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v et al. Bigdata oriented multimedia mobile health applications
US2019000520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generating a patient digital twin
Dey et al. Big data analytics for intelligent healthcare management
Pavel et al. The role of technology and engineering models in transforming healthcare
KR102374824B1 (ko) 자율참여, 보상 기반의 건강 정보 제공 및 증진 방법 및 장치
Amft How wearable computing is shaping digital health
Tsiouris et al. Designing interoperable telehealth platforms: bridging IoT devices with cloud infrastructures
US20170329905A1 (en) Life-Long Physiology Model for the Holistic Management of Health of Individuals
US201902213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diagnosis and treatment
CN105612551A (zh) 个体化用药中信息的电子递送
CN113257383B (zh) 匹配信息确定方法、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Reis et al. Developing a system for post-stroke rehabilitation: an exergames approach
KR20150112423A (ko) 가상 병원 시스템, 가상 병원 생성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의료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90214134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healthcare service
WO2020180566A1 (en) Data analytics for predictive modeling of surgical outcomes
Kryvenko et al. The internet of medical things in the patient-centered digital clinic’s ecosystem
JP7044113B2 (ja) 提示方法、提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Ponnusamy et al. Smart healthcare technologies for massive internet of medical things
US20220415462A1 (en) Remote monitoring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al inflammatory diseases
Ejaz et al. Big Data Management of Hospital Data using Deep Learning and Block-chain Technology: A Systematic Review
Arulananthan et al. Smart Health–Potential and Pathways: A Survey
Hahanov et al. Big data driven healthcare services and wearables
Mesko Future directions of digital health
Fonseca et al. An Intelligent System Prototype to support and sharing diagnoses of maligned tumours, based on personalized medicine philosophy
Buzzi et al. Healthy aging through pervasive predictive analytics for prevention and rehabilitation of chronic condi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