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883B1 -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883B1
KR102373883B1 KR1020190178705A KR20190178705A KR102373883B1 KR 102373883 B1 KR102373883 B1 KR 102373883B1 KR 1020190178705 A KR1020190178705 A KR 1020190178705A KR 20190178705 A KR20190178705 A KR 20190178705A KR 102373883 B1 KR102373883 B1 KR 1023738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transaction
cryptocurrency
user
det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8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6832A (ko
Inventor
정진우
홍승준
박정진
이채은
류하영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8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8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86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경우, 신청된 신규 결제를 대행하여 처리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해당 신규 결제 건에 대한 거래 정보가 분산 저장되는 과도기 중에, 처리 중인 신규 결제에 대한 간단한 검증 과정을 거쳐, 해당 신규 결제의 승인 상태를 가승인 상태로 업데이트하여 결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처리 완료된 거래 내역 뿐만 아니라, 현재 처리 중인 거래 정보까지도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용자의 암호화폐 거래 편의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Method of providing transaction histories of cryptocurrency in real time}
본 발명은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경우, 신청된 신규 결제를 대행하여 처리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해당 신규 결제 건에 대한 거래 정보가 분산 저장되는 과도기 중에, 처리 중인 신규 결제에 대한 간단한 검증 과정을 거쳐, 해당 신규 결제의 승인 상태를 가승인 상태로 업데이트하여 결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처리 완료된 거래 내역 뿐만 아니라, 현재 처리 중인 거래 정보까지도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용자의 암호화폐 거래 편의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폐나 주화 등 실물화폐를 통한 거래가 줄어들고, 디지털화된 금액의 정보를 이용하여 대금을 지불하는 전자화폐 개념이 등장하였다. 지금까지 이러한 전자화폐 시스템은, 전자화폐지불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금융기관에 전적으로 의존해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금융기관 중앙 서버에 의존한 금융거래 시스템에서는 다수의 해킹 사고가 발생하여, 금융거래의 보안성, 안전성 등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한국공개특허 제2019-0124468호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거래 정보에 대한 보안성, 안전성, 익명성을 높인 블록체인 기반의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암호화폐 거래 시스템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종래의 금융기관 중앙서버에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에 비해, 블록체인은 개개인의 분산된 원장을 사용하는 것으로, 거래가 발생한 경우 다수의 개별 분산 원장에 해당 거래에 대한 기록 내역을 업데이트하는 분산관리 방식이다. 즉, 블록체인은 중앙 집중형 서버에 데이터를 기록하여 보관, 관리하는 대신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개개인의 서버(노드)들이 각각 데이터를 기록, 보관함으로써 전체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을 유지 및 관리하는 것이다. 이렇게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 관리하는 블록체인의 특성상, 그 보안성과 안전성은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노드가 많을수록 향상된다.
그러나,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가 많아지면 많아질록 모든 사용자의 원장에 기록내역을 업데이트하고 거래를 확정하는데 시간이 더욱 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만 완료된 거래 내역을 확인할 수 있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는, 사용자가 거래를 진행 한 이후, 진행중인 거래 내용에 대해 실시간으로 확인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2019-0124468호(공개일 : 2019. 11. 05) "전자 지갑을 이용한 암호화폐의 거래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는 경우, 신청된 신규 결제를 대행하여 처리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해당 신규 결제 건에 대한 거래 정보가 분산 저장되는 과도기 중에, 처리 중인 신규 결제에 대한 간단한 검증 과정을 거쳐, 해당 신규 결제의 승인 상태를 가승인 상태로 업데이트하여 결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처리 완료된 거래 내역 뿐만 아니라, 현재 처리 중인 거래 정보까지도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사용자의 암호화폐 거래 편의성 및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암호화폐 시세 API를 포함하는 외부 서버와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네트워크 상에서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암호화폐의 결제 대행 및 거래 내역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암호화폐 결제를 대행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을 제출하는 단계; 상기 트랜잭션이 제출된 결제에 대한 결제 정보를 미승인 상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결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식별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트랜잭션이 제출된 결제 내역과 업데이트된 식별 테이블에 대한 비교 검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암호화폐 결제 내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결제 내역에 대한 결제 정보를 가승인 상태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분산 저장을 통한 거래의 처리가 진행 중인 거래에 대한 거래 내역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처리 중인 결제 내역에 대한 사전 검증을 통해, 처리 중인 해당 결제의 승인 상태를 가승인 상태로 업데이트하여 결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처리 완료 된 거래 내역뿐만 아니라, 현재 처리 중인 거래 정보까지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를 통해 거래 상대(수취인)에게 결제가 처리 중인 것을 증빙할 수 있어, 종래의 암호화폐를 이용한 거래보다 신속하게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화폐의 최소 단위인 1원 이하의 금액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하기 때문에, 사용자 식별을 위해 조정되는 거래금액에 의해 누군가가 이득 혹은 손해를 보는 사례가 생기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내역이 제공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암호화폐의 결제 및 결제 내역 제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암호화폐 결제 내역 제공 방법의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내역이 제공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암호화폐 결제 내역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기(200), 블록체인 네트워크(300) 및 암호화폐 시세API(400)등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실시간 암호화폐 결제 내역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암호화폐 결제 내역 제공 시스템(100)은,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고자 하는 불특정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결제를 대행하는 중계서버(110) 및 상기 중계서버(110)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요청한 결제의 승인 상태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결제 내역을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결제서비스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에 적용되는 암호화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기존 암호화폐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기(200)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여 온라인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다양한 디바이스가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네트워크 구조하에서 본 발명에 따라 암호화폐의 결제 및 결제 내역 제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도 2를 활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암호화폐의 결제 및 결제 내역 제공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중계서버의 결제 시스템에 접속하면(S101), 중계서버는 사용자에게 결제 금액 확인, 결제 화폐 지정 및 결제 내역 확인 등 암호화폐 결제를 위해 필요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102).
다음으로, 암호화폐 결제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은 사용자가 중계서버에 결제를 요청하면(S103), 중계서버는 해당 결제를 대행하여 자신의 블록체인 주소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서 트랜잭션을 제출함과 동시에(S104), 결제서비스서버에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전달한다(S105).
이어서,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전달받은 결제서비스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중계서버가 처리중인 거래 내역과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비교하여, 중계서버에서 처리중인 거래 내역에 해당 결제 건이 포함되어 있음을 검증하고(S106), 검증된 신규 결제 건의 승인 상태를 미승인 상태에서 가승인 상태로 업데이트하여 중계서버에 통지한다(S107).
계속해서, 결제서비스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중계서버가 제출한 트랜잭션이 처리되었는지 확인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해당 트랜잭션의 검증 및 분산저장이 완료되어 암호화폐의 송금이 완료되고 결제가 처리되면(S108) 결제서비스서버는 다시 중계서버에 해당 결제의 최종 승인을 통지를 한다(S109).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해당 결제를 요청한 사용자(지급인) 또는 해당 거래의 상대방(수취인)은, 해당 트랜잭션이 최종 승인되기 이전의 과도기 중에도 결제 내역 제공 시스템에 구비된 중계서버를 통해, 해당 결제의 승인(가승인)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됨으로써, 자신이 관여한 블록체인 트랜잭션에 대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암호화폐 결제 과정을 이용하면, 결제를 대행하는 중계서버를 통해 결제를 대행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익명성이 보다 확실하게 보호되며, 결제서비스서버에서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결제 승인 상태를 통해 처리 중인 결제 건에 대해서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보다 실시간으로 암호화폐 사용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등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더하여, 암호화폐 지급인과 수취인이 서로 거래를 함에 있어서,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모든 노드에서 원장이 기록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처리 중인 결제를 확인 할 수 있어 보다 빠르게 신뢰성 있는 거래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암호화폐 결제 내역 제공 방법의 흐름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결제를 처리하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결제 요청을 받으면(S201), 중계서버는 자신의 블록체인 주소를 사용하여 결제를 대행한다(S202).
중계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 해당 결제에 대한 트랜잭션을 제출함과 동시에, 해당 결제에 대한 정보를 결제서비스서버에 전달한다. 결제서비스서버는 해당 결제의 승인 상태를 미승인 상태로 표시하여 결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S203), 해당 결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식별테이블을 업데이트한다(S204).
이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결제정보는 사용자가 결제를 요청한 결제 금액 정보와 사용자의 블록체인 거래 주소 정보 등을 바탕으로 일련의 데이터 조작을 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사용자 식별테이블에 저장되는 사용자 식별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결제 정보를 바탕으로 생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결제한 금액에 암호화폐의 실시간 환율을 적용하여 암호화폐 금액으로 환산한 후, 화폐가치가 없는 소수점 자릿수 이하의 부분에 임의의 숫자와 사용자의 블록체인 거래 주소를 추가하여 결제 금액을 조정하고, 이렇게 조정된 금액을 통해 사용자의 거래 내역을 식별 할 수 있다.
예로써, 한국 화폐로 결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암호화폐의 시세가 1코인=203,800원이라면, 0.0000049067713...=1원이 되어, 소수점 7자리부터 1원 이하의 금액으로 환산되고, 1원 이하의 화폐가치가 없는 소수점 7번째자리이하의 부분에 임의의 숫자와 사용자의 블록체인 거래 주소를 추가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10만원을 결제할 경우, 10만원=0.49067713...코인이 되는데, 여기에 임의의 숫자를 0000, 사용자의 블록체인 주소를 N이라 한다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결제 정보에는 0.49067710000N이라는 값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결제 정보 중 사용자의 블록체인 주소에 관한 정보인 N*
Figure 112019135860883-pat00001
값이 사용자 식별 테이블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생성된 식별테이블은 보안, 데이터 처리 속도 향상 등을 위하여 일정시간 마다, 예로서 한시간 마다, 초기화될 수 있다.
계속해서, 결제서비스서버는 중계서버에서 대행한 결제내역과 식별 테이블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거래 내역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S205), 거래내역이 존재한다면, 미승인 상태로 저장된 해당 결제 정보의 승인 상태를 가승인 상태로 업데이트한다(S206).
이후, 결제서비스서버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정보와 결제 정보를 계속해서 비교, 확인하여, 중계서버에서 제출한 트랜젝션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분산저장되어 결제가 처리완료 상태로 확인되면(S207), 가승인 상태의 결제 정보를 최종 승인 상태로 업데이트한다(S208).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결제를 대행하고,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처리 중인 결제 정보에 대해서도 가승인 상태로 업데이트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익명성과 보안성을 보장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의 정보와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실시간으로 비교, 확인하여 승인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즉각적으로 결제 내역을 업데이트 받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이러한 실시간 결제 처리 상황을 제공받아 거래 상대(수취인)에게 결제가 처리 중인 것을 증빙할 수 있어, 암호화폐를 이용한 거래에서 보다 신속하면서도 신뢰도 높은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화폐의 최소 단위 이하의 금액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식별함으로써, 사용자 식별을 위해 조정되는 거래금액에 의해 누군가가 이득 혹은 손해를 보는 상황을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블록체인 기반의 결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서비스 만족도 및 편의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100 : 암호화폐 결제 내역 제공 시스템 110 : 중계서버
120 : 결제서비스서버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블록체인 네트워크 400 : 암호화폐 시세 API

Claims (4)

  1.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암호화폐 시세 API를 포함하는 외부 서버와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며, 네트워크 상에서 암호화폐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암호화폐의 결제 대행 및 거래 내역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암호화폐 결제를 대행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트랜잭션을 제출하는 단계;
    상기 트랜잭션이 제출된 결제에 대한 결제 정보를 미승인 상태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결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식별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트랜잭션이 제출된 결제 내역과 업데이트된 식별 테이블에 대한 비교 검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암호화폐 결제 내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결제 내역에 대한 결제 정보를 가승인 상태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결제 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 식별 테이블을 업데이트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결제 내역에 포함된 결제 금액을 암호화폐로 환산한 후, 화폐가치가 없는 소수점 자릿수 이하의 부분에 사용자의 블록체인 거래 주소를 추가하는 금액 조정을 통해 사용자의 거래 내역 식별을 위한 식별데이터를 생성하여 식별 테이블을 업데이트하고,
    상기 트랜잭션이 제출된 결제 내역과 업데이트된 식별 테이블에 대한 비교 검증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요청받은 암호화폐 결제 내역을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식별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의 블록체인 거래 주소를 통해 사용자의 암호화폐 거래 내역에 대한 비교 검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진행 중인 트랜잭션 이벤트의 확인을 위한 별도의 고유 식별자 없이, 거래 금액의 단순 조정을 통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분산 저장을 통한 거래의 처리가 진행 중인 거래에 대한 거래 내역을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된 결제 내역에 대한 결제 정보를 가승인 상태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가승인 상태로 결제 정보가 저장된 트랜잭션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분산 저장되어 처리 완료되는 것을 확인한 후,
    상기 처리 완료된 트랜잭션에 대한 결제 정보를 최종 승인 상태로 업데이트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190178705A 2019-12-30 2019-12-30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 KR102373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05A KR102373883B1 (ko) 2019-12-30 2019-12-30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8705A KR102373883B1 (ko) 2019-12-30 2019-12-30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832A KR20210086832A (ko) 2021-07-09
KR102373883B1 true KR102373883B1 (ko) 2022-03-15

Family

ID=76865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8705A KR102373883B1 (ko) 2019-12-30 2019-12-30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8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32436B (zh) * 2023-12-01 2024-02-23 成都乐超人科技有限公司 一种支付数据的分布式存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1802A (ja) * 2015-02-16 2016-08-22 科韻動力有限公司 仮想通貨の管理方法、仮想通貨システム、該仮想通貨システムにおける広告方法、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6354B2 (en) 2015-11-04 2017-07-11 Visa International Service Association In-vehicle access application
KR20190065824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블록체인 기반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1802A (ja) * 2015-02-16 2016-08-22 科韻動力有限公司 仮想通貨の管理方法、仮想通貨システム、該仮想通貨システムにおける広告方法、及びアプリケーショ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832A (ko)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3182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funds
US114684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actions using a digital currency
US103189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funds
KR102634772B1 (ko) 비-금융 기관 시스템에서 안전 거래를 돕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80330342A1 (en) Digital asset account management
US20170221053A1 (en) Digital asset conversion
US20080015988A1 (en) Proxy card authorization system
US11238444B2 (en) Secure and trusted cryptocurrency acceptance system
AU201627270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blicly verifiable authorization
US109706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funds
US20130325682A1 (en) Systems For Associating Temporary Payment Cards With Financial Accounts
US202400785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transferring funds
KR102373883B1 (ko) 실시간 암호화폐 거래 내역 제공 방법
US20220076331A1 (en) Assignment of conditional access rights to assignable tokens based on an interaction
US20190287103A1 (en) A computer system and a method of secure data transfer between unsecured parties
WO2019016954A1 (ja) 仮想通貨の支払代行装置、仮想通貨の支払代行方法および記録媒体
WO2018179152A1 (ja) 仮想通貨の支払代行装置、仮想通貨の支払代行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CN112785380B (zh) 交易处理方法及装置
US20200242613A1 (en) Real-time resource transfer and communication exchange system
WO2021105753A1 (en) Electronic currency transfer method and system
JP2007249746A (ja) クレジットカード処理システム
WO2011068912A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ducting and managing money transf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