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464B1 -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464B1
KR102373464B1 KR1020150088719A KR20150088719A KR102373464B1 KR 102373464 B1 KR102373464 B1 KR 102373464B1 KR 1020150088719 A KR1020150088719 A KR 1020150088719A KR 20150088719 A KR20150088719 A KR 20150088719A KR 102373464 B1 KR102373464 B1 KR 102373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s
predetermined spac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50550A (ko
Inventor
김형섭
김길연
유성하
장종혁
최문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8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464B1/ko
Priority to EP16814677.7A priority patent/EP3311629B1/en
Priority to US15/189,700 priority patent/US10397961B2/en
Priority to PCT/KR2016/006623 priority patent/WO2016208964A1/en
Publication of KR20160150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5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1/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sonic, ultrasonic or infrasonic wav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4/08User group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Abstract

본 개시는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및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위한 기술과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상기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능형 서비스(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개시는 이종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Method for connecting teminals in predetermined space and terminal thereof}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러한 IoT 환경에서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들 간의 연결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종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제 1 측면에 따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제 1 단말기는,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coverage area)내의 복수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단말기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 2 통신 방식에 따른 상기 제 1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들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의 정보가 도달하는 공간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이고, 상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마이크로폰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음파(sound wave)를 이용한 음향통신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이고, 상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광센서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가시광을 이용한 가시광통신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단말기의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 1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한 임의의 단말기에서 재송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신 방식과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상기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에 대한 투과 여부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 방식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무선통신 방식 각각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에 기초하여, 제 1 무선통신 방식과 제 2 무선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고, 상기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단을 요청하며, 상기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은 상기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이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요청받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생성된 리스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생성된 리스트에 포함되는 단말기들에게 그룹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리스트에서 상기 제 1 단말기와 연결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선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2 측면에 따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은,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coverage area)내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단계;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단말기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통신 방식에 따른 상기 제 1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들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의 정보가 도달하는 공간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이고, 상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마이크로폰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음파(sound wave)를 이용한 음향통신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이고, 상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광센서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가시광을 이용한 가시광통신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 1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한 임의의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된 제 1 단말기의 정보를 재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신 방식과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상기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에 대한 투과 여부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통신 방식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무선통신 방식 각각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에 기초하여, 제 1 무선통신 방식과 제 2 무선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단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은 상기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이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생성된 리스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리스트에서 상기 제 1 단말기와 연결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3 측면에 따라,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단말기들이 위치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통신과 음향통신을 이용하여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통신과 가시광통신을 이용하여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제 1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임의의 단말기가 재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와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무선통신 방식들의 통신 가능 거리(range)와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각각의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의 위치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서버 또는 AP와 통신하는 단말기들이 위치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에서,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또 다른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에서, 단말기들의 리스트에서 단말기를 선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오로지 예시를 위한 실시예에 의해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실시예들은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단말기들이 위치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서로 다른 두 공간에 복수의 단말기들(100, 200, 300, 400)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두 공간 중 왼쪽의 룸 A에는 제 1 단말기(100), 제 2 단말기(200), 제 3 단말기(300)가 존재하고, 두 공간 중 오른쪽의 룸B에는 제 4 단말기(400)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때, 단말기들(100, 200, 300, 400) 각각은 다른 단말기들(100, 200, 300, 4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사용자 디바이스로써, 스마트 폰, 태블릿 PC, 랩톱 컴퓨터 등과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나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환경에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룸 A에 위치한 단말기들(100, 200, 300)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 룸 A에 관한 지형 정보 없이, 룸 A에 위치한 단말들(100, 200, 300)만을 정확히 선정하고 이들을 연결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복잡한 절차의 과정일 수 있다. 특히, 룸 A에 속한 단말기들(100, 200, 300)만을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AP(Access Point)의 통신 가능 구역 내에 존재하는 다른 단말기들도 같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세기의 변동으로 인해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를 잘못 획득하여 일부 단말기를 누락할 수도 있다.
이하, 제 1 단말기(100)를 중심으로, 도 1에 도시된 환경에서,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110),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20), 프로세서(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출력부(150), 입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제 1 단말기(100)의 구성은 도 1의 다른 단말기들(200, 300, 400)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제 1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통신 방식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이 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들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 1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coverage area)내의 복수의 외부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가능 구역이란 무선 회선에서 필요한 회선 품질을 유지하면서 양호한 통신을 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한다.
제 1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다양한 종류의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블루투스 칩, 와이파이 칩, 이동통신용 칩, 지그비(Zigbee) 칩,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칩 등 다양한 종류의 무선통신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블루투스 칩, 와이파이 칩은 각각 블루투스 방식, WiFi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블루투스 칩이나 와이파이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블루투스 칩은 블루투스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동통신용 칩은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지그비 칩은 IEEE 802.15.4 표준 중 하나에 해당하는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며, 20 미터 내외의 거리에 있는 디바이스들 간의 데이터 저속 전송에 이용될 수 있다. NFC 칩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제 2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은 음파 또는 가시광을 이용한 통신 방식이 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기기들과 음향통신(sound communication) 또는 가시광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을 수행하는 경우,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스피커(152) 또는 조명부(154)와 연동하여, 음파 또는 가시광을 방출할 수 있다.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복수의 외부 기기들에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20)는 음파 또는 광의 브로드캐스트 특성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신할 외부 기기들에 관한 정보 없이 주변의 외부 기기들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 1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110) 또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120)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들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출력부(150)를 통해 외부에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거나, 입력부(160)를 통해 외부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한 사용자 조작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RAM(미도시), ROM(미도시), CPU(미도시), GPU(Graphic Processing Unit)(미도시) 및 데이터버스(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 할 수 있다. RAM, ROM, CPU, 및 GPU 등은 데이터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메모리(미도시)에 액세스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예로, 사용자 단말(200)은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가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킬 수 있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메모리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는 제 1 단말(100)의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패널(142)의 영역에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는, GPU는 컨텐츠, 아이콘, 메뉴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전자문서가 표시된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는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 값을 연산한다. 그리고, GPU는 연산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GPU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42)로 제공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42)의 각 영역에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42), 터치 패널(144)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42)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AM-OLED(Active-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42)은 유연하게(flexible), 투명하게(transparent) 또는 착용할 수 있게(wearable)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144)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터치 이벤트 값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42)과 터치 패널()이 결합하여 터치 스크린(미도시)을 구성한 경우, 터치 스크린은 정전식이나, 감압식, 압전식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터치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은 터치 스크린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터치 스크린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야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감압식은 터치 스크린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이다. 터치 스크린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는 주로 사람의 손가락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으나, 정전 용량 변화를 가할 수 있는 전도성 재질의 물체에 의해서도 생성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제 1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스피커(152), 조명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152)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152)는 데이터를 실은 음파를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조명부(154)는 빛을 방출할 수 있다. 조명부(154)는 LED와 같은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빛의 점멸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60)는 마이크로폰(162), 광센서(16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162)의 경우, 외부에서 전송된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광센서(photo sensor)는 빛 자체 또는 빛에 포함되는 정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감지하는 소자를 말한다. 광센서는 주변에 잡음의 영향을 주지 않고 광을 고속으로 감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마이크로폰(162) 또는 광센서(164)에 입력된 신호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제 1 단말기(100)내에서 처리될 수 있다.
전술한 제 1 단말기(100)의 구성들의 명칭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제 1 단말기(10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수신 기능을 모두 가지는 제 1 단말기(100)는 출력부(150)와 입력부(160)를 모두 가질 수 있지만, 송신 기능만 가진 제 1 단말기(100)는 입력부(160)와 같은 구성을 생략할 수 있고, 수신 기능만 가진 제 1 단말기(100)는 출력부(150)와 같은 구성을 생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제 1 단말기(100)의 종류 또는 특성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1 단말기(100)가 다른 단말기들(200, 300, 4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에 대한 리스트 요청을 확인할 수 있다.(S 310) 제 1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받거나, 어떤 조건 또는 어떤 상황에서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에 대한 리스트 요청이 발생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기(100)가 소정의 공간 내로 이동한 경우, 제 1 단말기(100)에서 자동으로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에 대한 리스트 요청이 발생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복수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S 320)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복수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200), 제 3 단말기(300), 제 4 단말기(400)에 대해, 제 1 통신 방식으로 각 단말기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이 소정의 시간 동안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은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S 330)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는 제 1 단말기(100)와 관련된 고유 정보이거나 제 1 단말기(100)가 가지고 있는 소정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이거나 제 1 단말기(100)가 생성하고자 하는 그룹의 식별 정보, 또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할 때 이용하는 보안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제 1 통신 방식에 따라 송신된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신호는 제 2 단말기(200)와 제 3 단말기(300) 뿐만 아니라,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Wall)을 투과하여, 제 4 단말기(400)에도 전달됨을 알 수 있다. 제 1 통신 방식에 이용되는 전자기파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을 투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브로드캐스트된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는 제 2 단말기(200)와 제 3 단말기(300)에게는 도달하지만,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Wall)을 투과하지 못하여, 제 4 단말기(400)에는 전달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에 이용되는 음파 또는 가시광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을 투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투과성이 낮은 음파 또는 가시광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소정의 공간 외에 위치한 근접 단말기의 그룹 등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그룹 생성자에 해당하는 단말기로부터 근거리에 위치하나, 같은 공간에 위치하지 않는 단말기의 그룹 참가를 방지할 수 있다. 제 1 통신 방식과 제 2 통신 방식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에 대한 투과 여부로 구분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2 통신 방식에 따른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들(200, 3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S 340) 이때,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들(200, 300)은 제 1 통신 방식 또는 제 2 통신 방식 중 임의의 방식으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2 단말기(200)와 제 3 단말기(300)는 제 1 통신 방식에 따라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음향통신 또는 가시광통신 방식으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2 통신 방식에 따른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들의 응답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의 정보가 도달하는 공간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S 350) 제 1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거나 리스트가 생성된 후 자동으로 생성된 리스트에 포함되는 단말기들에게 그룹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생성된 리스트에서 제 1 단말기와 연결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선정할 수 있다.(S 360) 제 1 단말기(100)는 선정된 단말기들에게 그룹 초대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본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개입 없이 특정 공간에 있는 사용자에 제한된 그룹을 생성할 수 있어 그룹 생성에 소모되는 시간을 줄이고, 사용자의 개입으로 발생 가능한 실수를 줄일 수 있다. 그룹 생성자에 해당하는 제 1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직접 그룹을 개설하고 구성원들을 초대하는 경우, 그 공간에 속한 구성원 하나하나를 식별하여 그룹에 초대해야되는 불편함이 있다. 특히, 다수의 구성원이 존재할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초대하지 못하는 구성원이 발생할 여지가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무선통신과 음향통신을 이용하여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제 1 통신 방식과 제 2 통신 방식이 종류 및 기능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제 1 통신 방식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으로써, 도 3에서 설명한 다양한 종류의 무선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은 음파를 이용한 음향통신 방식이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200, 300, 400)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이 음파를 이용한 음향통신 방식이므로,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음파를 감지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200, 300, 400)의 마이크로폰 애플리케이션을 켤 수 있다. 이때,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단말기(100)는 소정의 시간 동안만 마이크로폰 애플리케이션을 킬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제 1 통신 방식은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방식이므로, 제 1 단말기(100), 제 2 단말기(200), 및 제 3 단말기(300) 각각의 마이크로폰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다른 공간에 있는 제 4 단말기(400)의 마이크로폰 애플리케이션도 제어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방식으로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200, 300, 400)의 마이크로폰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도록 제어한 후,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이 음파를 이용한 음향통신이므로,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음파에 실어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은 음파를 이용하는 음향통신 방식이므로, 제 1 단말기(100), 제 2 단말기(200), 및 제 3 단말기(300)와 다른 공간에 있는 제 4 단말기(400)는 제 1 단말기(100)가 브로드캐스트한 음파를 수신할 수 없다. 제 4 단말기(400)는 벽에 의해 구분되어진, 제 1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공간과 다른 공간에 위치하므로, 제 1 단말기(100)가 브로드캐스트한 음파가 벽을 투과하지 못하여 제 4 단말기(400)에 도달할 수 없다. 비록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 4 단말기(400)의 마이크로폰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도록 제어하였으나, 음파의 특성으로 인하여, 제 4 단말기(400)의 마이크로폰 애플리케이션은 제 1 단말기(100)가 전송한 음파를 수신할 수 없다.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 제 2 단말기(200)와 제 3 단말기(300)는 제 1 단말기(100)에 응답 신호를 전송하여, 제 1 단말기(100)가 전송한 음파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반면, 제 4 단말기(400)는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응답 신호를 보낼 수 없다. 그 결과,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200)와 제 3 단말기(300)로부터만 응답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의 정보가 도달하는 공간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무선통신과 가시광통신을 이용하여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제 1 통신 방식과 제 2 통신 방식이 종류 및 기능이 서로 다름을 알 수 있다. 제 1 통신 방식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으로써, 도 3에서 설명한 다양한 종류의 무선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은 가시광을 이용한 가시광통신 방식이다.
가시광통신은 가시광선(400~700nm)을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 기술이다. 가시광 통신은 전자 기기 등에서 사용되는 발광 다이오드(LED)의 가시광선을 눈에 보이지 않는 속도로 점멸시켜 정보를 보내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에서 빛이 켜질 때는 '1'인 것으로 하고, 빛이 커질 때를 '0'인 것으로 하여, 발광 다이오드의 점멸에 따라 광을 수신하는 측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사람은 초당 200번 이상의 점멸에 대해서는 깜박임을 인식하지 못하므로, 발광 다이오드가 계속 켜져 있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200, 300, 400)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이 가시광을 이용한 가시광통신 방식이므로,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가시광을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200, 300, 400)의 광센서 애플리케이션을 켤 수 있다. 이때,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제 1 단말기(100)는 소정의 시간 동안만 광센서 애플리케이션을 킬 것을 요청할 수도 있다. 제 1 통신 방식은 전자기파를 이용하는 무선통신 방식이므로, 제 1 단말기(100), 제 2 단말기(200), 및 제 3 단말기(300) 각각의 광센서 애플리케이션 뿐만 아니라 다른 공간에 있는 제 4 단말기(400)의 광센서 애플리케이션도 제어할 수 있다. 광센서(164)는 별도의 구성으로 포함되거나, 카메라 모듈의 이미지 센서를 이용하여 가시광을 감지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방식으로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200, 300, 400)의 광센서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도록 제어한 후,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이 가시광을 이용한 가시광통신이므로,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가시광에 실어서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이 가시광을 이용하는 가시광통신 방식이므로, 제 1 단말기(100), 제 2 단말기(200), 및 제 3 단말기(300)와 다른 공간에 있는 제 4 단말기(400)는 제 1 단말기(100)가 브로드캐스트한 가시광을 수신할 수 없다. 제 4 단말기(400)는 벽에 의해 구분되어진, 제 1 단말기(100)가 위치하는 공간과 다른 공간에 위치하므로, 제 1 단말기(100)가 브로드캐스트한 가시광은 벽을 투과하지 못하여 제 4 단말기(400)에 도달할 수 없다. 비록 제 1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제 4 단말기(400)의 광센서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도록 제어하였으나, 가시광의 특성으로 인하여, 제 4 단말기(400)의 광센서 애플리케이션은 제 1 단말기(100)가 전송한 가시광을 수신할 수 없다.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 제 2 단말기(200)와 제 3 단말기(300)는 제 1 단말기(100)에 응답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제 1 단말기(100)가 전송한 가시광을 수신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반면, 제 4 단말기(400)는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응답 신호를 보낼 수 없다. 그 결과,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200)와 제 3 단말기(300)로부터만 응답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의 정보가 도달하는 공간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제 1 단말기에 의해 송신된 정보를 임의의 단말기가 재전송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00)는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S 330) 이때,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는 음파 또는 가시광의 형태로 공간 내에 전파되는데, 음파 또는 가시광의 특성상 전송거리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신호의 크기가 감쇄될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공간 내의 모든 단말기들에게 음파 또는 가시광 형태의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서,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 소정의 공간 내의 임의의 단말기가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재송신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S 330 단계를 보면, 제 1 단말기(100)에서만 다른 단말기(200, 300, 400)들로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6을 참고하면,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 제 2 단말기(200)와 제 3 단말기(300)가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재송신함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2 단말기(200)가 제 3 단말기(300)와 제 4 단말기(400)로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제 3 단말기(300)는 제 4 단말기(400)로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다만,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wall)으로 인하여, 제 4 단말기(400)는 제 1 단말기(100), 제 2 단말기(200), 및 제 3 단말기(300)가 각각 브로드캐스트한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한편, 제 2 통신 방식에 따른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들(200, 300)은 제 1 통신 방식 또는 제 2 통신 방식 중 임의의 방식으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들(200, 300)이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응답 신호를 전송한다면, 도 6에서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재전송한 방식처럼, 응답 신호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
도 7a와 도 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00)는 제 2 통신 방식에 따른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들의 응답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의 정보가 도달하는 공간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S 350) 또한, 제 1 단말기(100)는 생성된 리스트에서 제 1 단말기와 연결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선정할 수 있다.(S 360)
제 1 단말기(100)는 이와 같이 생성된 리스트를 제 1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제 1 단말기(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 단말기(100)는 생성된 리스트에서 제 1 단말기(100)와 연결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선정 받을 수 있다.
도 7a와 도 7b에서는 제 1 단말기(100)와 연결할 수 있는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표시하는 서로 다른 형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를 나타내고 있다.
도 7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제 1 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연결된 적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화면에 표시하고, 현재,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한 단말기를 별도의 마킹으로써 나타내고 있다.
도 7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제 1 단말기(100)와 통신을 수행하거나 연결된 적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화면에 표시하고, 현재,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한 단말기를 리스트의 상단에 배치하며 활성화시켜 나타내고 있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40)에 표시된 이와 같은 리스트에서 제 1 단말기와 연결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선정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제 1 단말기(100)가 다른 단말기들(200, 300, 4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3과 달리,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 중 일부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소정의 공간 내에서도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들을 제외하고 싶은 경우, 이하와 같은 방식으로 단말기들을 연결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방식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무선통신 방식 각각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에 기초하여, 적어도 두 개의 무선통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S 810) 각각의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 가능 구역의 범위도 달라지므로, 제 1 단말기(100)는 무선통신 방식 각각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을 고려하여 제 1 무선통신 방식과 제 2 무선통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 중 특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단말기들 제외한 단말기들에 대한 리스트를 요청하는 경우, 특정 거리에 대응되는 통신 가능 거리(range)를 갖는 무선통신 방식이 포함되도록, 무선통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무선통신 방식들의 통신 가능 거리(range)와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ZigBee, Bluetooth, Wi-Fi 등은 수 미터에서 수십 미터까지 통신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NFC는 극단적으로 짧은 거리(약 10cm 내외)에서만 통신이 가능하고, Bluetooth, Wi-Fi 등과 같은 다른 무선통신 방식들과 비교할 때, 데이터 전송 속도(data rate)가 낮음을 알 수 있다. 단말기들(100, 200, 300, 400) 간에 보다 효과적인 연결을 수립하기 위해서, 통신 가능 거리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즉, 커버리지 영역(coveraga area)을 고려하여, 제 1 무선통신 방식과 제 2 무선통신 방식으로 이용할 무선통신 방식들을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고하면,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복수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S 820)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복수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200), 제 3 단말기(300), 제 4 단말기(400)에 대해,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 각 단말기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이 소정의 시간 동안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 한 후,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은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복수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S 830)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하여, 복수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200)에 대해, 제 2 무선통신 방식으로 제 2 단말기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단을 요청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다.(S 840)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는 제 1 단말기(100)와 관련된 고유 정보이거나 제 1 단말기(100)가 가지고 있는 소정의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말기(100)의 식별 정보이거나 제 1 단말기(100)가 생성하고자 하는 그룹의 식별 정보, 또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할 때 이용하는 보안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 송신된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신호는 제 2 단말기(200)와 제 3 단말기(300) 뿐만 아니라,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Wall)을 투과하여, 제 4 단말기(400)에도 전달됨을 알 수 있다.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이용되는 전자기파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을 투과할 수 있고, 제 1 무선통신 방식의 통신 가능 구역에 제 4 단말기(400)의 위치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반면,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 송신된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신호는 제 2 단말기(200)까지만 전달됨을 알 수 있다. 제 2 무선통신 방식의 통신 가능 구역에 제 2 단말기(200)의 위치만 포함되기 때문이다.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브로드캐스트된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는 제 2 단말기(200)와 제 3 단말기(300)에게는 도달하지만,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Wall)을 투과하지 못하여, 제 4 단말기(400)에는 전달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제 2 단말기(200)의 경우,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단 요청에 따라,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브로드캐스트된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할 수 없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각각의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의 위치와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룸 A에는 제 1 단말기(100), 제 2 단말기(200), 제 3 단말기(300)가 존재하고, 룸B에는 제 4 단말기(400)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룸 A와 룸 B는 서로 다른 공간으로써, 각각의 룸을 형성하는 벽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S 810의 결과,제 1 무선통신 방식과 제 2 무선통신 방식이 결정될 수 있으며, 이때,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은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보다 넓음을 전제한다.
제 1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거리 및 이에 기초한 통신 가능 구역 내에 제 2 단말기(200), 제 3 단말기(300), 및 제 4 단말기(400)가 모두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 820의 결과, 제 2 단말기(200), 제 3 단말기(300), 및 제 4 단말기(400) 각각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를 기준으로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거리 및 이에 기초한 통신 가능 구역 내에 제 2 단말기(200)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S 830의 결과, 제 2 단말기(200)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중단될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단말기(100)의 정보가 브로드캐스트되면, 제 1 단말기(100)가 포함되어 있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에 제 1 단말기(100)의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S 840의 결과,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는 제 2 단말기(200)와 제 3 단말기(300)에 도달할 수 있고, 제 4 단말기(400)에는 도달할 수 없다. 다만, 제 2 단말기(200)는 S 830 결과,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중단된 상태이므로, 제 1 단말기(100)의 정보가 도달하더라도 이를 수신할 수 없다. 결과적으로, 제 3 단말기(300)만이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하여, 제 1 단말기(100)와 연결할 수 있는 단말기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 중 일부 영역에 위치하는 제 3 단말기만 제 1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고하면, 제 1 단말기(100)는 제 2 통신 방식에 따른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300)로부터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S 850) 이때,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300)는 제 1 통신 방식 또는 제 2 통신 방식 중 임의의 방식으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3 단말기(300)는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라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으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고,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음향통신 또는 가시광통신 방식으로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2 통신 방식에 따른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200)의 응답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의 정보가 도달하는 공간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S 860) 제 1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거나 리스트가 생성된 후 자동으로 생성된 리스트에 포함되는 단말기들에게 그룹 초대 메시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은 서버 또는 AP와 통신하는 단말기들이 위치하는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서로 다른 두 공간에 복수의 단말기들(100, 200, 300, 400)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두 공간 중 왼쪽의 룸 A에는 제 1 단말기(100), 제 2 단말기(200), 제 3 단말기(300)가 존재하고, 두 공간 중 오른쪽의 룸B에는 제 4 단말기(400)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때, 룸 A의 제 1 단말기(100)는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와 연결되거나 주변의 AP(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환경에서,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 또는 AP(20)는 룸 A에 위치한 단말기들(100, 200, 300)의 리스트를 요청할 수 있다. 이하, 제 1 단말기(100)를 중심으로, 도 11에 도시된 환경에서,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 1 단말기(100)가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 또는 제 1 단말기(100) 주변의 AP(20)로부터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요청받고, 다른 단말기들(200, 300, 400)과 통신을 수행하여,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서버(10) 또는 AP(20)의 리스트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생성된 리스트를 서버(10) 또는 AP(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하, 서버(10)에서 제 1 단말기(100)로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요청하였을 때,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제 1 단말기(100)는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로부터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에 대한 리스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S 1210)
도 12의 S 1220 내지 S 1250은 도 3의 S 320 내지 S 350의 내용과 일치하므로, 도 3의 S 320 내지 S 350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제 1 단말기(100)는 생성된 리스트를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S 1260)
서버(10)는 생성된 리스트에서 제 1 단말기와 연결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선정할 수 있다.(S 1270)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도, 이상에서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단말기에 대하여 설명한 내용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131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종류는 제 2 통신 방식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통신 방식이 음파를 이용한 음향통신 방식인 경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음파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애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 2 통신 방식이 가시광을 이용한 가시광통신 방식인 경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가시광을 수신하기 위한 광센서 애플리케이션이 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이 소정의 시간 동안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 한 후,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은 전력 소모를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제 1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할 것을 요청받거나, 어떤 조건 또는 어떤 상황에서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할 것을 요청받을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10)나 제 1 단말기(100) 주변의 AP(20)로부터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요청받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리스트를 생성하여 서버(10) 또는 AP(20)로 전송할 수 있다.
132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제 1 통신 방식과 제 2 통신 방식은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에 대한 투과 여부로 구분될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은 투과성이 낮은 음파 또는 가시광의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 외에 위치한 근접 단말기의 연결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통신 방식에 이용되는 음파 또는 가시광은 전송 거리가 길어질수록 기하급수적으로 감쇄되는 특성이 있는바,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된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 임의의 단말기에서 수신된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재송신할 수도 있다.
133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제 2 통신 방식에 따른 제 1 단말기(100)의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들의 응답에 기초하여, 제 1 단말기(100)의 정보가 도달하는 공간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에서,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또 다른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정지를 제어함으로써,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 중 일부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연결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방식이다. 다시 말해서,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 중 특정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배제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방식이다.
141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통신 방식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무선통신 방식 각각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에 기초하여, 제 1 무선통신 방식과 제 2 무선통신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과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의 겹침을 고려하여, 소정의 공간 중 일부 영역을 다시 특정할 수 있다.
142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
143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단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이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보다 넓은 경우,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을 벗어나지만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들에 대해서만 입력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은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받은 후 실행 중단을 요청받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 중 일부 영역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연결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에서, 단말기들의 리스트에서 단말기를 선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510 단계에서, 제 1 단말기(100)는 생성된 리스트에서 제 1 단말기(100)와 연결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선정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리스트 생성 후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기들을 자동으로 그룹화할 수도 있지만, 사용자에 의해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기들 중 일부를 선정할 수도 있다. 반대로, 생성된 리스트에 포함된 단말기들을 제 1 단말기(100)와 자동으로 연결한 후, 제 1 단말기(100)와 연결을 해제하고 싶은 단말기를 선정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개시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실시예들이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제 1 단말기
110 ...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120 ...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130 ... 프로세서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
142 ... 디스플레이 패널
144 ... 터치 패널
150 ... 출력부
152 ... 스피커
154 ... 조명부
160 ... 입력부
162 ... 마이크로폰
164 ... 광센서
200 ... 제 2 단말기
300 ... 제 3 단말기
400 ... 제 4 단말기

Claims (20)

  1. 제 1 통신 방식에 따라, 복수의 단말기들에 상기 제 1 통신 방식과 다른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제 1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단말기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제 2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상기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브로드캐스트된 제 1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들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의 정보가 도달하는 공간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제 1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이고, 상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마이크로폰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음파(sound wave)를 이용한 음향통신 방식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제 1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이고, 상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광센서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가시광을 이용한 가시광통신 방식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제 1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의 정보는,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 1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한 임의의 단말기에서 재송신되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제 1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방식과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상기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에 대한 투과 여부로 구분되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제 1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통신 방식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무선통신 방식 각각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에 기초하여, 제 1 무선통신 방식과 제 2 무선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고, 상기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단을 요청하며,
    상기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은 상기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보다 넓은,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제 1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이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요청하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제 1 단말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요청받고,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생성된 리스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제 1 단말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통신 인터페이스는,
    상기 생성된 리스트에 포함되는 단말기들에게 그룹 초대 메시지를 전송하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제 1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리스트에서 상기 제 1 단말기와 연결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선정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제 1 단말기.
  11. 제 1 통신 방식에 따라, 복수의 단말기들에 상기 제 1 통신 방식과 다른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제 1 단말기의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 중에서 상기 제 2 통신 방식에 따라 상기 브로드캐스트된 제 1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들의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단말기의 정보가 도달하는 공간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이고, 상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마이크로폰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음파(sound wave)를 이용한 음향통신 방식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전자기파를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이고, 상기 입력 애플리케이션은 광센서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가시광을 이용한 가시광통신 방식인,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제 1 단말기의 정보를 수신한 임의의 단말기에서 상기 수신된 제 1 단말기의 정보를 재송신하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방식과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상기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는 벽에 대한 투과 여부로 구분되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통신 방식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무선통신 방식 각각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에 기초하여, 제 1 무선통신 방식과 제 2 무선통신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단말기들의 입력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중단을 요청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은 상기 제 2 무선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보다 넓은,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가능 구역 내의 상기 복수의 단말기들이 소정의 시간 동안 상기 입력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것을 요청하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임의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부터 상기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의 리스트를 요청받는 단계; 및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생성된 리스트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리스트에서 상기 제 1 단말기와 연결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를 선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20. 제 11 항 내지 제 19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50088719A 2015-06-22 2015-06-22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102373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719A KR102373464B1 (ko) 2015-06-22 2015-06-22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EP16814677.7A EP3311629B1 (en) 2015-06-22 2016-06-22 Method of connecting terminals in predetermined space and terminal therefor
US15/189,700 US10397961B2 (en) 2015-06-22 2016-06-22 Method of connecting terminals in predetermined space and terminal therefor
PCT/KR2016/006623 WO2016208964A1 (en) 2015-06-22 2016-06-22 Method of connecting terminals in predetermined space and terminal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719A KR102373464B1 (ko) 2015-06-22 2015-06-22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50A KR20160150550A (ko) 2016-12-30
KR102373464B1 true KR102373464B1 (ko) 2022-03-11

Family

ID=57585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719A KR102373464B1 (ko) 2015-06-22 2015-06-22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97961B2 (ko)
EP (1) EP3311629B1 (ko)
KR (1) KR102373464B1 (ko)
WO (1) WO20162089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12567A (ja) * 2015-12-18 2017-06-22 株式会社デンソー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6972308B2 (ja) 2017-08-25 2021-11-24 Line株式会社 ユーザ端末をグループとして連結し、グループと関連するコンテンツを含む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および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5657A1 (en) 2006-05-29 2007-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52214A1 (en) 2009-09-02 2011-03-03 Shimada Shigehito Method and apparatus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with image processing
US20140185529A1 (en) * 2011-08-30 2014-07-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a cellular network, and apparatus for same
US20150029880A1 (en) * 2013-07-29 2015-01-29 Qualcomm Incorporated PROXIMITY DETEC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ING SOUND CHIRPS
US20150127733A1 (en) 2012-05-11 2015-05-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ntext-aware peer-to-peer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1507B1 (en) * 1999-07-27 2004-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discovery and configuration in a home network
US7512685B2 (en) * 2000-11-30 2009-03-31 3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wireless data transfers between a selected group of mobile computing devices
US6662137B2 (en) 2000-12-19 2003-12-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location discovery by sound
US7848704B2 (en) 2005-03-04 2010-12-07 Broadcom Corporation Location system for bluetooth enabled devices
US7400594B2 (en) * 2005-05-03 2008-07-15 Eaton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ed distributed pairing of wireless nodes of a communication network
US20070264991A1 (en) 2006-05-15 2007-11-15 Microsoft Corporation Services near me: discovering and connecting to available wireless services utilizing proximity discovery
KR101373007B1 (ko) 2007-07-04 201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기기 식별 방법 및 장치
US8824449B2 (en) * 2009-03-05 2014-09-02 Chess Et International Bv Synchronization of broadcast-only wireless networks
US8379546B2 (en) * 2010-04-06 2013-02-19 Fisher-Rosemount Systems,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communicatively couple a portable device to process control devices in a process control system
US20130227149A1 (en) * 2012-02-24 2013-08-29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ethod for providing a communication session and device
US9762437B2 (en) 2012-07-17 2017-09-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ing consumer devices
KR101447100B1 (ko) 2012-07-18 2014-10-06 주식회사 사운들리 근접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시스템
US9063731B2 (en) 2012-08-27 2015-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ltra low power apparatus and method to wake up a main processor
KR101888650B1 (ko) * 2012-09-07 2018-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KR101974820B1 (ko) * 2012-09-10 2019-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제어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기기
KR20140058996A (ko) 2012-11-07 2014-05-1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단말, 외부 장치,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1881926B1 (ko) * 2012-12-13 2018-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기기의 디바이스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 방법, 디바이스 및 그 시스템
US10075814B2 (en) 2012-12-24 2018-09-11 Intel Corporation Location-based selection of wireless peripheral devices
KR102022666B1 (ko) * 2013-05-16 2019-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102013438B1 (ko) * 2013-07-23 2019-08-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파신호와 음파신호의 전송 지연 시간 차를 이용한 공간 필터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75657A1 (en) 2006-05-29 2007-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relay communication system
US20110052214A1 (en) 2009-09-02 2011-03-03 Shimada Shigehito Method and apparatus for visible light communication with image processing
US20140185529A1 (en) * 2011-08-30 2014-07-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a cellular network, and apparatus for same
US20150127733A1 (en) 2012-05-11 2015-05-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Context-aware peer-to-peer communication
US20150029880A1 (en) * 2013-07-29 2015-01-29 Qualcomm Incorporated PROXIMITY DETECTION OF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USING SOUND CHIRP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97961B2 (en) 2019-08-27
KR20160150550A (ko) 2016-12-30
EP3311629A1 (en) 2018-04-25
US20160374121A1 (en) 2016-12-22
EP3311629B1 (en) 2021-05-12
WO2016208964A1 (en) 2016-12-29
EP3311629A4 (en)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4237B2 (en)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cooperation of multiple intelligent devices with social application platform
AU2021269359B2 (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11109233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screen lock
US1059479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
KR102022666B1 (ko)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US20150256957A1 (en) User terminal device, audio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aker thereof
AU2013263757B2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controlling bluetooth low energy device
US201601622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structing multi-screen display
US20180004324A1 (en) Touch sensing device, pen, and method for measuring position
EP294097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7791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other electronic device in electronic device
WO2016127795A1 (zh) 业务处理方法、服务器及终端
KR102267713B1 (ko) 송신 전력 제어와 관련한 전자 장치 운용 방법 및 전자 장치
CN110944408B (zh) 一种数据传输方法及电子设备
US2016020999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onnection status in network
KR20160084777A (ko) 등록 설정 지원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373464B1 (ko) 소정의 공간 내의 단말기들을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단말기
KR20170045142A (ko) 적응형 패턴 인식 기반 고속 디바이스 커플링 방법 및 시스템
CN112654955A (zh) 检测笔相对于电子设备的定位
WO2023216078A1 (zh) 触控方法、装置、设备、系统、存储介质及程序产品
CN117093120A (zh) 图片区域生成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1688743B1 (ko) 적응형 패턴 인식 기반 고속 디바이스 커플링 방법 및 시스템
CN107689909B (zh) 用户显示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