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325B1 - Roof sprinkler piping systems - Google Patents

Roof sprinkler piping syste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325B1
KR102373325B1 KR1020200139142A KR20200139142A KR102373325B1 KR 102373325 B1 KR102373325 B1 KR 102373325B1 KR 1020200139142 A KR1020200139142 A KR 1020200139142A KR 20200139142 A KR20200139142 A KR 20200139142A KR 102373325 B1 KR102373325 B1 KR 102373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let
valve
sprinkler
house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1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54692A (en
Inventor
김채은
김윤석
박창주
박진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주식회사 오피에스아이
디엘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주식회사 오피에스아이, 디엘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에프시스템
Publication of KR20210154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692A/en
Priority to KR1020220008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54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32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09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telescopic or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전체 층마다 감압밸브가 구비되어, 각층에 형성된 감압밸브의 입력단의 압력은 서로 다르지만, 출력단의 압력을 균등하게 유지함으로써, 복수층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사압 또는 분사량을 균등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은, 건물에 설치된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와 연결된 소방펌프로부터 전달된 물을 상기 소방펌프와 연결된 수직관 및 상기 수직관과 연결되고 각 층에 형성되는 세대관을 통해 스프링클러로 분사하는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세대관과 입구관이 연결되며 환상배관으로 이루어지는 세대관, 환상배관 시스템은 세대관의 직경을 동일한 규격 직경으로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배관의 길이에 따라 수리계산결과 (Hydraulic Calculation) [표2]와 같이 규격 직경으로 제안하며, 상기 세대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스프링클러 헤드를 압력조절형 챔버부를 통하여 연결하고, 상기 세대관과 상기 세대관 사이에 형성되는 감압밸브, 상기 감암밸브 후단에 형성되는 알람밸브 및 상기 알람밸브 전단에 형성되는 차단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ure reducing valve is provided on every floor of a building, and the pressure at the input end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formed on each floor is different, but by maintaining the pressure at the output end equally, the spray pressure or injection amount of the sprinkler heads of multiple floors is maintained equal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that can b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water delivered from a water tank installed in a building and a fire pump connected to the water tank to a vertical pipe connected to the fire pump and the vertical pipe and connected to each floor. In the sprinkler piping system for fire extinguishing that is sprayed with sprinklers through a generation pipe formed in (Hydraulic Calculation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pipe, suggested in the standard diameter as shown in [Table 2], and a plurality of sprinkler heads formed in the household pipe are connected through the pressure control chamber part, and th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ressure reducing valve formed between the household pipe and the household pipe, an alarm valve formed at a rear end of the attenuation valve, and a shut-off valve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alarm valve.

Description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Roof sprinkler piping systems}Roof sprinkler piping systems

본 발명은 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상형 배관 설계를 통하여 배관 크기와 설치 경로를 최적화하는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that optimizes a piping size and an installation path through an annular piping design.

스프링클러는 건물 내의 상부, 즉 천장이나 벽에 부착되어 있는 스프링클러헤드의 금속이 화재 발생시 열에 의해서 녹아 살수구의 뚜껑이 떨어져 나가면서 가압되어있던 물이 헤드로부터 발화점 전체에 뿌려지는 원리로, 화재통보와 소화가 발화 초기에 동시에 행해지는 자동소화설비로, 물을 분무상(噴霧狀)으로 방사시키므로 액체화재에 효과가 크고, 화재 발견이나 소화활동이 곤란한 지하 건축물이나 가연물이 많고 사람들이 많이 드나드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적합하다.In the case of a fire, when the metal of the sprinkler head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that is, the ceiling or wall, melts and the lid of the sprinkler comes off, the pressurized water is sprayed from the head to the entire ignition point. It is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that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as the initial stage of ignition. It emits water in the form of a spray, so it is effective in liquid fires. It is suitable to be installed.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공동주택 폐쇄형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의 세대배관은 차단밸브가 설치되고, 공동주택의 외벽 및 내벽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입상관(5), 주택의 각층의 천장 슬래브에 수평으로 매설되는 세대배관(6) 및 세대배관(6)에 설치되는 하향식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7)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 1, the household piping of the conventional apartment house closed sprinkler fire extinguishing system has a shut-off valve installed, a standing pipe 5 vertically disposed between the outer and inner walls of the apartment house, and the ceiling slab of each floor of the house. It includes a horizontally buried household pipe (6) and a top-down closed sprinkler head (7) installed in the household pipe (6).

그러나, 종래의 스프링클러 설치 배관 시스템은 세대배관의 말단부 압력 유지를 위하여 세대배관의 파이프 직경을 달리하며 관이음이 필요했으며, 이로 인하여 배관 설치를 위해 요구되는 천장공간이 두꺼웠으며, 고층 건물의 경우 여러층에 대하여 압력을 균등하게 인가할 수 없어, 일부층에는 과압이 발생하거나 저압으로 인하여 설계에 어려움이 있었고, 복수 층의 압력 배분에 있어서 각층에 인가되는 압력이 일정하지 않아, 전체층 또는 복수층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스프링클러 헤드를 통한 동일한 압력 또는 동일한 양의 물 분사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sprinkler installation piping system required pipe joints with different pipe diameters for household piping to maintain the pressure at the end of the household piping. Since pressure could not be applied evenly to several layers, overpressure or low pressure occurred in some layers, which made it difficult to design, and the pressure applied to each layer was not constant in the pressure distribution of multiple layers, so the entire layer or multiple layers In case of a fire on the floor,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spray the same pressure or the same amount of water through the sprinkler head.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40432호 (등록일자 2016.07.12.)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640432 (Registration Date 2016.07.12.)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세대관이 동일한 직경의 관이 연결된 환상배관으로 이루어져 천장배관 소요 높이를 줄일 수 있으며, 건물의 전체 층마다 감압밸브가 구비되어, 각층에 형성된 감압밸브의 입력단의 압력은 서로 다르지만, 출력단의 압력을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복수층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사압 또는 분사량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household pipe is made of an annular pipe to which pipes of the same diameter are connected, so that the required height of the ceiling pipe can be reduc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capable of maintaining the same injection pressure or injection amount of a plurality of layers of sprinkler heads by maintaining the same pressure at the output end although the pressures at the input end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re different.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은,물탱크로부터 전달된 물을 수직 방향으로 전달하는 배관인 수직관, 상기 수직관과 연결되고, 복수개의 층에 각각 형성된 배관인 세대관, 상기 세대관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스프링클러부 및 상기 세대관과 상기 수직관 사이에 형성되는 감압밸브, 알람밸브 및 차단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대관은 환상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pipe that is a pipe that delivers water delivered from a water tank in a vertical direction, a household pipe that is a pipe connected to the vertical pipe, and is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respectively, and each of the household pipes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sprinkler parts connected and a valve part including a pressure reducing valve, an alarm valve, and a shut-off valve formed between the household pipe and the vertical pipe, wherein the generation pipe is an annular pipe.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은, 일단은 상기 밸브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대관에 연결되는 입구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let pip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valve un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eneration pipe.

이때, 상기 입구관은 상기 밸브부에 형성된 제1 토출구와 상기 세대관에 형성된 제1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1관 및 상기 밸브부에 형성된 제2 토출구와 상기 세대관에 형성된 제2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2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let pipe is connected to a first outlet formed in the valve unit and a first pipe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formed in the household pipe, and a second outlet formed in the valve unit and a second inlet formed in the household pip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tube.

더 나아가, 상기 밸브부는 건물의 복수개의 층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세대관과 상기 수직관 사이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valve pa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for each between the household pipe and the vertical pipe, which are respectively formed on a plurality of floors of a building.

더 나아가, 상기 밸브부는 상기 감압밸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감압밸브에 상기 알람밸브 및 상기 차단밸브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 the valve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alarm valve and the shut-off valve are connected in series to the pressure reducing valve with the pressure reducing valve interposed therebetween.

이때, 상기 감압밸브 및 상기 알람밸브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nd the alarm valve may be formed as an integral body.

더 나아가, 상기 스프링클러부는 제1 입구, 제2 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가 상기 세대관과 연결되는 챔버부, 일단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관 및 상기 플렉시블 관의 타단에 형성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입구와 제2 입구는, 상기 제1 입구와 제2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유동 방향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입구와 제2 입구는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입구와 제2 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챔버부의 내면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sprinkler portion is formed with a first inlet, a second inlet and an outlet, the chamber portion in which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connected to the household tube, a flexible tube and the flexible tub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utlet and a sprinkler head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pipe, wherein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arranged such that the flow directions of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inlets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may be rotat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part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이때,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세대관의 연장 방향은 동일 선상에 있지 않도록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는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positioned on a diagonal line so tha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usehold pipe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is not on the same line.

또한, 상기 챔버부는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의 위치에서 상기 배출구의 위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로 유입된 물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mber portion has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in width from the positions of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to the position of the outlet, so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forms a vortex. can be done wit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은 상기 세대관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시험 배관, 상기 시험 배관과 상기 알람밸브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브리지 배관 및 상기 브리지 배관에 형성되는 잠금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st pip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ousehold pip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bridge pip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test pipe and the alarm valve, and a locking valve formed on the bridge pipe It can be characterized by being made.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은 건물의 전층에 감압밸브가 형성되어 복수층의 스프링클러 헤드의 분사압 또는 분사량을 균듕하게, 전체층 또는 복수층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스프링클러 헤드를 통한 동일한 압력 또는 동일한 양의 물 분사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Through the above configuration, in the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ssure reducing valve is formed on all floors of a building to evenly distribute the injection pressure or injection amount of the sprinkler heads of multiple floors. The effect is that the same pressure or the same amount of water can be sprayed through the sprinkler head.

또한, 전제층 또는 복수층에 설치한 스프링클러 헤드에 균등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과압으로 인한 스프링클러 헤드의 누수나, 저압으로 인한 스프링클러 헤드 기능 저하와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n even pressure in the sprinkler heads installed on the entire floor or multiple floors, thereby preventing phenomena such as leakage of the sprinkler head due to overpressure or deterio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sprinkler head due to low pressure.

도 1은 종래의 소화용 스프링클러 배관 직렬설치 상태도
도 2는 종래의 스프링클러 배관이 슬래브 내부에 삽입 설치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대관 밸브부 연결 부위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 확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 확대 사시도
도 7은 도 5의 C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5의 D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 세대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 밸브부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체 밸브부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일체 밸브부 적용 시스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체 밸브부 적용 시스템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E확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 배관 연결 확대 정면도
1 is a state diagram of a conventional fire sprinkler pipe installation in series;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sprinkler pipe installed inside the slab;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generation pipe valv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A of FIG. 3
6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C of FIG.
Figure 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D of Figure 5
9 is a generation diagram of a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of the integral valve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ront view of an integral valve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plan view of the integral valve unit appl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of an integral valve unit application system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E of FIG. 13
15 is an enlarged front view of a test pip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prope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ince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merely examples shown in order to explai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rm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100)은, 물탱크로부터 전달된 물을 수직 방향으로 전달하는 배관인 수직관(1000), 상기 수직관(1000과 연결되고, 복수개의 층에 각각 형성된 배관인 세대관(200), 상기 세대관(200)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스프링클러부(300) 및 상기 세대관(200)과 상기 수직관(1000) 사이에 형성되는 감압밸브(410), 알람밸브(420) 및 차단밸브(430)를 포함하는 밸브부(400)를 포함하고, 상기 세대관(200)은 환상배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pipe 1000 that is a pipe for transmitting water delivered from a water tank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pipe 10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A generation pipe 200, which is a pipe formed on each floor, a plurality of sprinkler parts 300 connected to each of the generation pipe 200, and a pressure reducing valve 410 formed between the generation pipe 200 and the vertical pipe 1000 ), and includes a valve unit 400 including an alarm valve 420 and a shut-off valve 430, and the generation pipe 200 may be characterized as an annular pipe.

상기 수직관(1000)은 상기 물탱크로부터 소화용 물을 전달받아 상기 세대관(200)으로 전달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직관(1000)은 건물의 높이에 따라 그 길이가 설정될 수 있고, 건물의 각 층에 형성된 상기 세대관(200)에 물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관(1000)에는 복수개의 상기 세대관(200)이 각각 병렬로 연결된다.The vertical pipe 1000 is configured to receive fire-fight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and deliver it to the household pipe 200, and the vertical pipe 1000 may have a length that can be se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building. Water can be delivered to the generation pipe 200 formed on each layer of. At this time, a plurality of the generation tubes 200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vertical tube 1000 , respectively.

상기 세대관(200)은 상기 수직관(1000)과 연결되어, 건물 또는 선박 등의 건축물 또는 이동수단에 형성된 각 층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환상배관으로 이루어져 하나의 입구로 유입된 물이 서로 반대되는 두 방향으로 나뉘어져 상기 세대관(200) 내부에서 유동한다. 상기 세대관(200)이 환상배관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천장 배관 소요 높이가 줄어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크기가 동일한 직경의 배관으로 상기 세대관(200)을 구성할 수 있어, 직경의 크기가 배관 위치에 따라 다른 종전의 배관 연결 방법에 비하여, 천장배관 소요높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household pipe 20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pipe 1000 and is formed on each floor formed in a building or a moving means such as a building or a ship, and is composed of an annular pipe so that water flowing into one entrance is opposite to each other is divided into two directions and flows inside the generation pipe 200 . As the household pipe 200 is formed of an annular pip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equired height of the ceiling pipe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household pipe 200 can be configured with pipes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siz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required height of the ceiling pip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ipe connection method having a different diameter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pipe.

상기 밸브부(400)는 상기 감압밸브(410), 상기 알람밸브(420) 및 상기 차단밸브(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부(400)의 입구측은 상기 수직관(1000)에 연결되고, 출구측은 상기 세대관(20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valve unit 400 includes the pressure reducing valve 410 , the alarm valve 420 and the shutoff valve 430 , and the inlet side of the valve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pipe 1000 . and the outlet side may be connected to the household pipe 200 .

상기 감압밸브(410)는 상기 밸브부(400)로 유입된 물의 압력을 감소시키는 구성으로, 1차측(유입측)의 높은 압력을 조절하여 원하는 압력으로 낮춰 2차측(배출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The pressure reducing valve 410 is configured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valve unit 40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secondary side (discharge side) by adjusting the high pressure on the primary side (inlet side) to lower it to a desired pressure. there is.

상기 알람밸브(420)는 상기 스프링클러부(300)가 작동하여 상기 세대관(200)에 발생하는 유수를 감지하여 건물 내에 형성된 수신반에 상기 알람밸브(420)의 개방구역을 알릴 수 있다.The alarm valve 420 may detect the running water generated in the household pipe 200 by the operation of the sprinkler unit 300 to notify the open area of the alarm valve 420 to a reception panel formed in the building.

상기 차단밸브(430)는 상기 밸브부(400) 내부로 유입되는 물의 흐름을 막는 밸브로서, 상기 밸부브의 수리 또는 교체, 긴급상황 시 상기 수직관(1000)에서 상기 세대관(200)으로 흐르는 물의 흐름을 막을 수 있다.The shut-off valve 430 is a valve that blocks the flow of water flowing into the valve part 400, and flows from the vertical pipe 1000 to the household pipe 200 in case of repair or replacement of the valve part, or an emergency. It can block the flow of water.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밸브부(400) 구성은 외부에 형성된 제어기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figuration of the valve unit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trolled by a controller formed outside.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100)은 일단은 상기 밸브부(40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대관(200)에 연결되는 입구관(21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입구관(210)은 상기 세대관(200)과 상기 밸브부(400) 사이에 일정 길이가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세대관(200)과 상기 밸브부(400)를 연결하는 구성으로, 상기 입구관(210)은 상기 수직관(1000)을 통해 상기 밸브부(400)를 지나온 물을 상기 세대관(200)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4 , the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let pipe 21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valve unit 40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household pipe 200 . It can be characterized by being made. The inlet pipe 21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generation pipe 200 and the valve part 400 so that a predetermined length can be formed between the generation pipe 200 and the valve part 400, and the inlet The pipe 210 serves to transfer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valve part 400 to the generation pipe 200 through the vertical pipe 1000 .

이때, 상기 입구관은 상기 밸브부에 형성된 제1 토출구(401)와 상기 세대관에 형성된 제1 유입구(201)에 연결되는 제1관(211) 및 상기 밸브부에 형성된 제2 토출구(401)와 상기 세대관에 형성된 제2 유입구(202)에 연결되는 제2관(2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inlet pipe includes a first outlet 401 formed in the valve unit, a first pipe 211 connected to a first inlet 201 formed in the generation pipe, and a second outlet 401 formed in the valve unit. and a second pipe 212 connected to the second inlet 202 formed in the generation pipe.

상기와 같이 입구관이 상기 제1관(211) 및 상기 제2관(212)로 이루어지면, 상기 세대관과 상기 입구관 모두 동일한 직경의 배관을 사용하여 시공을 완료할 수 있고, 상기 입구관을 통해 상기 세대관으로 전달되는 물의 마찰손실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let pipe is composed of the first pipe 211 and the second pipe 212, the construction can be completed using pipes having the same diameter as both the generation pipe and the inlet pipe, and the inlet pip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friction loss of water delivered to the generation pipe through the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클러부(300)는 일단이 상기 세대관(200)과 연결되는 플렉시블 관(320) 및 상기 플렉시블 관(320)의 타단에 형성되는 스프링클러 헤드(330)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the sprinkler unit 300 may include a flexible pipe 32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ousehold pipe 200 and a sprinkler head 33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pipe 320 . .

도 6 및 7을 참조하면, 상기 세대관(200)과 상기 입구관(210)은 도 7과 같이 세대 연결부(220)(T자형 관)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입구관(210)은 상기 세대관(200)으로 물을 전달할 때, 일방향으로 물을 유입시키고, 상기 세대관(200)에서는 상기 입구관(210)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두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세대관(200)으로 전달되는 물이 흐르는 두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6 and 7 , the household pipe 200 and the inlet pipe 210 are connected through a household connection unit 220 (T-shaped pipe) as shown in FIG. 7 , and the inlet pipe 210 is the household When delivering water to the pipe 200 , it is preferable that water flows in one direction, and in the generation pipe 200 ,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inlet pipe 210 is delivered in two direction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wo directions in which the water delivered to the generation pipe 200 flow is opposite to each other.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세대관(200)에는 상기 세대관(20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배출 밸브(2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 밸브(230)는 외부 작업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 상기 세대관(20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a discharge valve 230 capable of discharging the water inside the generation pipe 200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in the generation pipe 200 , and the discharge valve 230 may be operated by an external worker. By manual operation, the water inside the household pipe 20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밸브부(400)는 건물의 복수개의 층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세대관(200)과 상기 수직관(1000) 사이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valve part 400 may be formed between the household pipe 200 and the vertical pipe 1000 respectively formed on a plurality of floors of a building.

즉, 하나의 층에 하나의 상기 밸브부(400)가 형성되어, 건물의 각층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상기 세대관(200) 각각의 압력을 제어할 수 있어 건물 전체 또는 복수개의 층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화재가 발생한 층의 상기 세대관(200)에 원활한 압력이 분배될 수 있다. That is, one valve part 400 is formed on one floor to control the pressur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household pipes 200 formed on each floor of the building, so that a fire occurs in the entire building or a plurality of floors. When done, a smooth pressure can be distributed to the household pipe 200 of the floor where the fire occurred.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상기 밸브부(400)는 상기 감압밸브(4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감압밸브(410)에 상기 알람밸브(420) 및 상기 차단밸브(430)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10 and 11 , the valve unit 400 has the alarm valve 420 and the shutoff valve 430 connected in series to the pressure reducing valve 410 with the pressure reducing valve 410 interposed therebetween. can be characterized as

즉, 상기 차단밸브(430)는 상기 감압밸브(410)의 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알람밸브(420)는 상기 감압밸브(410)의 후단에 연결되며, 상기 차단밸브(430), 상기 감압밸브(410) 및 상기 알람밸브(420)가 직렬로 연결되면, 밸브간 연결개소를 줄여 내진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밸브간의 연결은 용접대신 조인트 연결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shutoff valve 430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410 , the alarm valve 42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ressure reducing valve 410 , and the shutoff valve 430 and the pressure reducing valve When the 410 and the alarm valve 420 are connected in series,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seismic resistance by reducing the connection points between the valves. In this ca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valves is preferably a joint connection instead of welding.

이때, 상기 감압밸브(410) 및 상기 알람밸브(42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ssure reducing valve 410 and the alarm valve 42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integrally formed.

즉, 상기 감압밸브(410)와 상기 알람밸브(420)를 일체형으로 형성시켜 복합밸브로 적용함으로써, 상기 밸브부(400)의 연결개소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알람밸브(420)는 상기 감압밸브(410)의 1차측과 2차측의 압력 차이를 인식하여 상기 스프링클러부(300)의 작동을 감지할 수 있고, 건물 내부에 형성된 수신반에 상기 스프링클러부(300)의 작동을 알려, 상기 물펌프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That is, by forming the pressure reducing valve 410 and the alarm valve 420 integrally and applying them as a composite valve, the connection points of the valve unit 400 can be reduced, and the alarm valve 420 is the pressure reduction valve. The operation of the sprinkler unit 300 can be detected by recogniz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primary side and the secondary side of the valve 410, and the operation of the sprinkler unit 300 is notified to a receiver formed inside the building, and the water pump can be operated automatically or manually.

도 10 및 12를 참조하면, 상기 밸브부(400)의 최종 토출구는 ‘Y’자로 이루어져 상기 세대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부(400)의 최종 토출구는 서로 같은 방향을 향하는 두 개의 토출구로 이루어져 각각의 토출구에 상기 세대관(200)이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유입관을 통해 간접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2 , the final outlet of the valve unit 400 is formed in a ‘Y’ shap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generation pipe 200 . That is, the final outlet of the valve unit 400 is composed of two outlets facing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generation pipe 2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utlet, or may b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inlet pipe.

도 11 및 13을 참조하면, 상기 밸브부(400)의 최종 토출구는 단일개로 이루어져 상기 세대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밸브부(400)의 최종 토출구는 상기 세대관(200)을 향하는 한 개의 토출구로 이루어져, 토출구에 상기 세대관(200)이 직접 연결되거나, 상기 유입관을 통해 간접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 and 13 , the final outlet of the valve unit 400 may be made of a single piec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generation pipe 200 . That is, the final outlet of the valve unit 400 is composed of a single outlet facing the generation pipe 200, and the generation pipe 20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outlet or may be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the inlet pipe.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상기 스프링클러부(300)는 제1 입구(301), 제2 입구(302) 및 배출구(303)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입구(301) 및 상기 제2 입구(302)가 상기 세대관(200)과 연결되는 챔버부(310), 일단이 상기 배출구(303)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관(320) 및 상기 플렉시블 관(320)의 타단에 형성되는 스프링클러 헤드(3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13 and 14, the sprinkler unit 300 has a first inlet 301, a second inlet 302, and an outlet 303 are formed, and the first inlet 301 and the second inlet ( A chamber part 310 to which 302 is connected to the household pipe 200, a flexible pipe 320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utlet 303, and a sprinkler head 33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pipe 320.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즉, 상기 세대관(200)을 지나 상기 제1 입구(301) 및 상기 제2 입구(302)를 통해 상기 플렉시블 관(320)으로 유입된 물은, 일단이 상기 챔버부(310)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303)에 연결되는 상기 플렉시블 관(320)을 지나 상기 스프링클러 헤드(330)를 통해 외부로 분사될 수 있다.That is, the water flowing into the flexible pipe 320 through the first inlet 301 and the second inlet 302 through the household pipe 200 has one end formed in the chamber unit 310 . It may be spray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rinkler head 330 past the flexible pipe 320 connected to the outlet 303 .

이때, 상기 제1 입구(301)와 상기 제2 입구(302)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세대관(200)의 연장 방향은 동일 선상에 있지 않도록 상기 제1 입구(301)와 상기 제2 입구(302)는 대각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inlet 301 and the second inlet 302 do not extend in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usehold pipe 200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301 and the second inlet 302 , respectively, so that they are not on the same line. )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on a diagonal.

즉, 상기 챔버부(310)의 상기 제1 입구(301)와 상기 제2 입구(302)는 서로 대각을 이루며, 상기 제1 입구(301) 및 상기 제2 입구(302)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세대관(200)의 연장 방향은 동일 선상에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first inlet 301 and the second inlet 302 of the chamber part 310 form an angle to each other, and are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301 and the second inlet 302, respectively.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generation tube 200 is not on the same line.

또한, 상기 챔버부(310)는 상기 제1 입구(301) 및 상기 제2 입구(302)의 위치에서 상기 배출구(303)의 위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입구(301) 및 상기 제2 입구(302)로 유입된 물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mber part 310 has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in width from the positions of the first inlet 301 and the second inlet 302 to the position of the outlet 303, so that the first inlet 301 is formed. And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302 forms a vortex.

상기 챔버부(310)는 일반적으로 상기 세대관(200)과 상기 스프링클러부(300)를 연결하는 T자형 관을 대체하는 구성으로, 상기 챔버부(310)의 외형은 원뿔형상으로 원뿔형의 끝단(직경이 작은 측)에는 상기 플렉시블 관(320)과 연결되는 상기 배출구(303)가 형성된다. 상기 챔버부(310) 내부로 유입된 물은 상기 챔버부(310) 내부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입구(301) 및 상기 제2 입구(302)에 형성되는 압력이 커질수록 상기 챔버부(310) 내부의 유동저항이 커지게 된다.The chamber portion 310 is generally configured to replace the T-shaped tube connecting the household tube 200 and the sprinkler portion 300. The outlet 303 connected to the flexible tube 32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small diameter).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chamber part 310 rotates inside the chamber part 310, and as the pressure formed at the first inlet 301 and the second inlet 302 increases, the chamber part ( 310), the internal flow resistance increases.

상기 입구관(210)에서 상기 세대관(200)으로 유입된 물은 상기 입구관(210)에서 가까이 있는 상기 스프링클러부(300)에서는 큰 압력으로 물을 출력할 수 있고, 멀리있는 상기 스프링클러부(300)에서는 비교적 작은 압력으로 물을 출력할 수 있는데, 상기 챔버부(310)에서는 내부 형상구조로 인하여 상기 제1 입구(301) 및 상기 제2 입구(302)로 압력이 크게 유입되는 경우, 상기 챔버부(310)의 내부의 유동이 빠르게 회전되어 상기 배출구(303)의 배출압력을 낮출 수 있고, 압력이 낮게 유입되는 경우, 상기 챔버부(310)의 내부의 유동이 느리게 회전되어 상기 배출구(303)의 배출압력은 저하되지 않고 물을 배출할 수 있어, 상기 챔버부(310)에서 형성되는 유동저항으로 인하여 상기 입구관(210)과의 거리에 상관없이 각각의 상기 스프링클러부(300)의 토수량이 일정해지는 효과가 있다. The water flowing into the household pipe 200 from the inlet pipe 210 can output water with a high pressure from the sprinkler part 300 close to the inlet pipe 210, and the sprinkler part farther away ( 300), water can be output at a relatively small pressure. In the chamber part 310, when a large pressure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301 and the second inlet 302 due to the internal shape structure, the The flow inside the chamber part 310 is rotated rapidly to lower the discharge pressure of the outlet 303, and when the pressure is low, the flow inside the chamber part 310 is rotated slowly and the outlet ( 303), water can be discharged without lowering, so that, due to the flow resistance formed in the chamber part 310, regardless of the distance from the inlet pipe 210, each of the sprinkler parts 300 is It has the effect of making the water volume constant.

[표 1][Table 1]

Figure 112020113247622-pat00001
Figure 112020113247622-pat00001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100)은 교차배관을 환상형(Loop type)으로 설계하고, 환상형 교차 배관의 직경을 동일층에서는 동일한 규격 직경으로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ross pipe is designed in a loop type, and the diameter of the annular cross pipe is designed to have the same standard diameter in the same floor.

또한, 환상형배관의 직경은 해당층의 높이와 루프배관의 길이에 따라 결정 하며 수리계산결과 Hydraulic Calculation) 아래 [표2]와 같이 규격 직경으로 제안한다.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annular pip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orresponding layer and the length of the roof pipe, and the hydraulic calculation result is suggested as the standard diameter as shown in [Table 2] below.

[표2][Table 2]

Figure 112020113247622-pat00002
Figure 112020113247622-pat00002

또한, 시험 배관(2000)과 알람밸브(420) 사이를 브리지 배관으로 연결하여 급수가 공급 되도록 하여 시험 배관(2000)을 급기배관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 시험 시에는 브리지 배관을 잠금 후 시험한다.In addition, when connecting the test pipe 2000 and the alarm valve 420 with a bridge pipe to supply water so that the test pipe 2000 can be used as an air supply pipe, test after locking the bridge pipe during the test. .

이때, 각층의 알람밸브(420)에 감압밸브(410)를 설치하여 층고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고, 알람밸브(420)가 동작하면, 알람밸브(420)의 위치 층수에 따라 소방펌프의 회전수를 조정하여 일정한 압력이 공급되도록 한다.At this time, a pressure reducing valve 410 is installed in the alarm valve 420 of each floor so that a constant pressure is always maintained regardless of the floor height. Adjust the rotation speed of the pump so that a constant pressure is supplied.

상기 감압밸브(410)는 상기 수직관(1000)에서 상기 세대관(200)으로 입력되는 물을 일정압력으로 유지하는 구성이고, 알람밸브(420)는 소방펌프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다.The pressure reducing valve 410 is configured to maintain the water input from the vertical pipe 1000 to the household pipe 200 at a constant pressure, and the alarm valve 420 is a means for regulating the pressure of the fire pump.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100)은 상기 세대관(20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시험 배관(2000), 상기 시험 배관(2000)과 상기 알람밸브(420)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브리지 배관(2100) 및 상기 브리지 배관(2100)에 형성되는 잠금 밸브(2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15, the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st pipe 2000, the test pipe 2000 and the alarm valve 420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ousehold pipe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bridge pipe 2100 connected in series therebetween and a locking valve 2200 formed in the bridge pipe 2100 .

상기 잠금 밸브(2200)는 외부에 형성된 제어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시험 배관(2000)이 시험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브리지 배관(2100)을 통해 상기 시험 배관(2000)에 물이 전달되며 상기 잠금 밸브(2200)가 잠기고, 상기 시험 배관(2000)이 상기 세대관(200)에 급수를 전달하는 급수용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잠금 밸브(2200)가 열려 상기 시험 배관(2000)에 수용되었던 물이 상기 세대관(200)으로 이동된다.The lock valve 2200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ler formed outside, and when the test pipe 2000 is used for testing, water is delivered to the test pipe 2000 through the bridge pipe 2100 and When the lock valve 2200 is locked and the test pipe 2000 is used for water supply to deliver water to the household pipe 200, the lock valve 2200 is opened and accommodated in the test pipe 2000 The used water is moved to the generation pipe 200 .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1000 : 수직관 2000 : 시험 배관
2100 : 브리지 배관 2200 : 잠금 밸브
100 :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
200 : 세대관 201 : 제1 유입구
202 : 제2 유입구 210 : 입구관
211 : 제1관 212 : 제2관
220 : 세대 연결부 230 : 배출 밸브
300 : 스프링클러부 301 : 제1 입구
302 : 제2 입구 303 : 배출구
310 : 챔버부 320 : 플렉시블 관
330 : 스프링클러 헤드
400 : 밸브부 401 : 제1 토출구
402 : 제2 토출구 410 : 감압밸브
420 : 알람밸브 430 : 차단밸브
1000: vertical pipe 2000: test pipe
2100: bridge piping 2200: lock valve
100: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200: household building 201: first inlet
202: second inlet 210: inlet pipe
211: subsection 1 212: subsection 2
220: household connection 230: discharge valve
300: sprinkler unit 301: first inlet
302: second inlet 303: outlet
310: chamber part 320: flexible tube
330: sprinkler head
400: valve part 401: first outlet
402: second outlet 410: pressure reducing valve
420: alarm valve 430: shut-off valve

Claims (10)

물탱크로부터 전달된 물을 수직 방향으로 전달하는 배관인 수직관;
상기 수직관과 연결되고, 복수개의 층에 각각 형성된 배관인 세대관;
상기 세대관 각각에 연결된 복수개의 스프링클러부;
상기 세대관과 상기 수직관 사이에 형성되는 감압밸브, 알람밸브 및 차단밸브를 포함하는 밸브부; 및
일단은 상기 밸브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세대관에 연결되는 입구관;을 포함하고,
상기 세대관은 환상배관이며,
상기 입구관은,
상기 밸브부에 형성된 제1 토출구와 상기 세대관에 형성된 제1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1관; 및
상기 밸브부에 형성된 제2 토출구와 상기 세대관에 형성된 제2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2관;을 포함하고,
상기 세대관 및 상기 입구관이 동일한 직경의 배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클러부는,
제1 입구, 제2 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가 상기 세대관과 연결되는 챔버부;
일단이 상기 배출구에 연결되는 플렉시블 관; 및
상기 플렉시블 관의 타단에 형성되는 스프링클러 헤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에 각각 연결되는 상기 세대관의 연장 방향은 동일 선상에 있지 않도록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는 대각선상에 위치하되,
상기 제1 입구와 제2 입구는, 상기 제1 입구와 제2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유동 방향이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입구와 제2 입구는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제1 입구와 제2 입구를 통해 유입된 물은 상기 챔버부의 내면을 따라 회전하여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
a vertical pipe, which is a pipe that transmits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tank in a vertical direction;
a generation pipe that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pipe and is a pipe formed in a plurality of layers, respectively;
a plurality of sprinkler units connected to each of the household pipes;
a valve unit including a pressure reducing valve, an alarm valve and a shutoff valve formed between the household pipe and the vertical pipe;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valve unit, the other end is an inlet pipe connected to the generation pipe; includes,
The generation pipe is an annular pipe,
The inlet pipe is
a first pipe connected to a first outlet formed in the valve unit and a first inlet formed in the generation pipe; and
a second pipe connected to a second outlet formed in the valve unit and a second inlet formed in the generation pipe;
The generation pipe and the inlet pipe are made of a pipe of the same diameter,
The sprinkler unit,
a chamber portion having a first inlet, a second inlet and an outlet,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being connected to the household pipe;
One end of the flexible pipe is connected to the outlet; and
and a sprinkler head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tube;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positioned on a diagonal line so that the extension direction of the household pipe connected to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is not on the same line,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arranged such that the flow directions of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opposite to each other,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rotates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hamber portion and is discharged to the outlet through the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건물의 복수개의 층에 각각 형성되는 상기 세대관과 상기 수직관 사이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lve unit,
A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between the household pipe and the vertical pipe, which are respectively formed on a plurality of floors of a building.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감압밸브를 사이에 두고 상기 감압밸브에 상기 알람밸브 및 상기 차단밸브가 직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lve unit,
A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alarm valve and the shut-off valve are connected in series to the pressure reducing valve with the pressure reducing valve interposed therebetween.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밸브 및 상기 알람밸브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ssure reducing valve and the alarm valve are integrally form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는,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의 위치에서 상기 배출구의 위치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입구 및 상기 제2 입구로 유입된 물이 와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hamber unit,
Sprinkler annular pip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forms a vortex by forming a shape that becomes narrower in width from the positions of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to the position of the outle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대관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시험 배관;
상기 시험 배관과 상기 알람밸브 사이에 직렬로 연결된 브리지 배관; 및
상기 브리지 배관에 형성되는 잠금 밸브;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 test pip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ousehold pip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bridge pip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test pipe and the alarm valve; and
a locking valve formed in the bridge pipe;
Sprinkler annular pip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KR1020200139142A 2020-06-12 2020-10-26 Roof sprinkler piping systems KR1023733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8246A KR102585484B1 (en) 2020-06-12 2022-01-20 Loop sprinkler piping syste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783 2020-06-12
KR20200071783 2020-06-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246A Division KR102585484B1 (en) 2020-06-12 2022-01-20 Loop sprinkler piping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692A KR20210154692A (en) 2021-12-21
KR102373325B1 true KR102373325B1 (en) 2022-03-11

Family

ID=791657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142A KR102373325B1 (en) 2020-06-12 2020-10-26 Roof sprinkler piping systems
KR1020220008246A KR102585484B1 (en) 2020-06-12 2022-01-20 Loop sprinkler piping system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8246A KR102585484B1 (en) 2020-06-12 2022-01-20 Loop sprinkler piping syste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7332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32Y1 (en) * 2008-11-10 2009-07-30 한국스파이렉스사코(주) A combined alarm valve for fire fighting
KR100935550B1 (en) * 2009-03-13 2010-01-07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Alarm valve assembly of sprinkler system with verification function
JP2010075398A (en) * 2008-09-25 2010-04-08 Toto Ltd Sprinkler device
US20100155089A1 (en) * 2005-10-21 2010-06-24 Tyco Fire Products Lp Ceiling-only dry sprinkler systems and methods for addressing a storage occupancy fire
KR101162065B1 (en) * 2012-02-13 2012-07-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event combustion spread system of building facade
KR101856680B1 (en) * 2017-11-15 2018-05-14 (주)진전기엔지니어링 Water leak detecting system for use of fire pipe in apartmenthou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432B1 (en) 2016-04-15 2016-07-22 노환병 Piping Installation Method of Automatic Closed Sprinkler Suppression System of Apartment House
KR20170123761A (en) * 2016-04-29 2017-11-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Indoor Fire Test Facility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55089A1 (en) * 2005-10-21 2010-06-24 Tyco Fire Products Lp Ceiling-only dry sprinkler systems and methods for addressing a storage occupancy fire
JP2010075398A (en) * 2008-09-25 2010-04-08 Toto Ltd Sprinkler device
KR200445432Y1 (en) * 2008-11-10 2009-07-30 한국스파이렉스사코(주) A combined alarm valve for fire fighting
KR100935550B1 (en) * 2009-03-13 2010-01-07 주식회사 아세아유니온 Alarm valve assembly of sprinkler system with verification function
KR101162065B1 (en) * 2012-02-13 2012-07-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event combustion spread system of building facade
KR101856680B1 (en) * 2017-11-15 2018-05-14 (주)진전기엔지니어링 Water leak detecting system for use of fire pipe in apartmenth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456A (en) 2022-05-03
KR20210154692A (en) 2021-12-21
KR102585484B1 (en) 2023-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94138A1 (en) Dry Sprinkler Assembly
US20020005288A1 (en) Water distribution network for domestic water and fire protection application
KR101976522B1 (en) Always operable fire suppression sprinkler system connected with potable water pipeline without operation failure
TWI798415B (en)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US20140096980A1 (en) Self-Extinguishing Sandwich Panel
CN102939133B (en) Spray head for a uniform fluid distribution and a fluid distribution system
KR102373325B1 (en) Roof sprinkler piping systems
US20080185159A1 (en) Foam fire suppression apparatus
KR101910739B1 (en) Apparatus for preserving pipe pressure of the sprinkler for building using the orifice plate
CN116392741A (en) High-pressure compressed air foam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super high-rise building and application method
CN214912925U (en) Fire-fighting equipment and fracturing system
KR200154487Y1 (en) A system for controlling building water supply and water supplied to the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2222025B1 (en) valve for preventing over-pressure
WO2006014906A3 (en) Residential dry sprinkler fire protection system
CN112843561A (en) Fire fighting equipment, fractu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fracturing system
US7562715B2 (en) Fire protection systems and components thereof with reduced friction
JP5975738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US20230358334A1 (en) Piston for adjustable pressure reducing valve and an adjustable pressure reducing valve
KR102581217B1 (en) sprinkler system with low pressure wet valve
KR102624604B1 (en) Apparatus for fire fighting pipe for preventing of fire spread
US20200139176A1 (en) Alarm valve station of a fire extinguishing system, and fire extinguishing system
US20220409939A1 (en) Dry-riser, dry riser system, and engineering structure comprising the dry-riser
US1253005A (en) Stand-pipe system.
KR20220019132A (en) low pressure wet valve
RU2641450C1 (en) Fire-fighting ho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