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3239B1 - Air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ir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3239B1
KR102373239B1 KR1020170144954A KR20170144954A KR102373239B1 KR 102373239 B1 KR102373239 B1 KR 102373239B1 KR 1020170144954 A KR1020170144954 A KR 1020170144954A KR 20170144954 A KR20170144954 A KR 20170144954A KR 102373239 B1 KR102373239 B1 KR 1023732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ir purifier
air
blower
remainin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49288A (en
Inventor
김재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4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3239B1/en
Publication of KR20190049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92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2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2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9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ensuring correct operation, e.g. by trial operation or configuration che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6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using ti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4Electronic processing using pre-stored dat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6Constructional arrangements for indicating electrical conditions or variables, e.g. visual or audible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에는, 소정의 전력을 구비한 배터리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기 청정기가 OFF되고,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공기 청정기가 OFF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출력최소값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통신모듈을 ON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배터리의 완전방전상태가 예상됨을 알린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In the control method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an air purifier equipped with a battery having a predetermined power, the air purifier is turned off, and the air purifier is maintained in the OFF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is cas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checked, and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within the output minimum value range, the communication module is turned on, and the user is informed that the fully discharged state of the battery is expec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Description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AIR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Air purifier and its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 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is understood as a device that sucks in polluted air, purifies it, and then discharges the purified air. For example, the air purifier may include a blower for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air purifier and a filter capable of filtering out dust or bacteria in the air.

상기 공기 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공기 청정기에 의하면, 그 용량이 제한되어 실내공간 전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의 공기는 정화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The air purifier is configured to purify an indoor space such as a home or offic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ir purifi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s capacity is limited, so that it is limited to purify the air of the entire indoor space. Therefore, while the air around the air purifier can be purifi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urify the air in a space far away from the air purifier.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의 내부에서 정화된 공기는 일방향, 즉 상방으로만 토출됨으로써, 공기 청정기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까지는 상기 정화된 공기를 유동시키지 못하여, 공기청정 기능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purified air inside the air purifier is discharged only in one direction, that is, upward, the air around the air purifier can be purified, whereas the purified air cannot flow to a space far away from the air purifier,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air cleaning function was limited.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는 외부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됨에 따라, 그 움직임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 청정기에 소정의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를 구비하였다. 이하는 배터리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를 개시한 선행문헌들이다.In addition, as the air purifier is driven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s movement is limited.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battery for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is provided in the air purifier. The following are prior documents disclosing an air purifier equipped with a battery.

[선행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5-0171535호, 배터리 잔량 계산장치[Prior Document 1]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71535, Battery Remaining Power Calculator

상기 [선행문헌 1]은 배터리 잔량 계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터리 잔량 계산장치에는, 통신 데이터 수신부, 배터리 테이블 입력부가 구비된다. 그에 따라, 배터리 잔량을 예측하고 계산할 수 있다.The [Prior Document 1] relates to a battery remaining amount calculation device, wherein the battery remaining amount calculation device includes a communication data receiving unit and a battery table input uni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dict and calculate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선행문헌 2] 공개특허 제10-2004-0088259호, 차량용 배터리 방전 경고장치[Prior Document 2]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088259, vehicle battery discharge warning device

상기 [선행문헌 2]는 차량용 배터리 방전 경고장치에 관한 것으로, 엔진 구동 또는 차량용 전기장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최소요구전압 미만의 전압으로 강하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방전을 경고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충전 또는 배터리 교체를 취할 수 있다.The [Prior Document 2] relates to a battery discharge warning device for a vehicle, and warns a user of a discharge when a battery that drives an engine or supplies power to an electric device for a vehicle drops to a voltage less than a minimum required voltage. Accordingly, the user can take charge or battery replacement.

이때, 상기 선행문헌들은 배터리가 장착된 장치가 구동됨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즉, 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의 잔량 및 방전에 대해서는 알 수 없으며 사용자가 이를 인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prior documents are based on the operation of a device equipped with a battery. That is, when the device is not driven, the remaining amount and discharge of the battery cannot be known,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 cannot recognize it.

본 실시 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OFF상태에서도 배터리의 상태를 알릴 수 있는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notifying the state of a battery even in an OFF stat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특히, 상기 배터리가 방전되기 전에 사용자에게 배터리의 상태를 알려 사용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particula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that notifies a user of the state of the battery before the battery is discharged so that the user can take an appropriate a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Wi-Fi 등 통신기능을 통해 사용자에게 배터리의 상태를 직접적으로 알릴 수 있는 공기 청정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ir purifier capable of notifying a user of the state of a battery directly through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Wi-Fi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또한,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경우 외부 전원을 사용하고 외부 전원에서 분리된 경우에만 배터리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외부 전원이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를 자동을 충전하는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can be effectively used by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when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only when disconnect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air purifier that automatically charges the battery when an external power source is connected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can provide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에는, 소정의 전력을 구비한 배터리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기 청정기가 OFF되고,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공기 청정기가 OFF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출력최소값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통신모듈을 ON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배터리의 완전방전상태가 예상됨을 알린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purifier having a battery having a predetermined power, when the air purifier is turned off and the air purifier is maintained in the OFF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and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falls within the output minimum value range, turn on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notify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at the fully discharged state of the battery is expected.

이때, 상기 출력최소값 범위는 상기 통신모듈을 ON하여 소정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최소전력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의 완전방전상태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의 범위 이하로 방전되어 충전이 불가능한 상태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배터리가 완전방전상태가 되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은 상기 출력최소값 범위보다 적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range of the minimum output value may be a range of the minimum power required to transmit predetermined information by turning on the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the fully discharged state of the battery may be a state in which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discharged to less tha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us cannot be charged. In particula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n which the battery is in a fully discharged state may be less than the minimum output value range.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출력최소값 범위 내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대기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대기상태는 상기 공기 청정기의 모든 기능이 OFF된 상태임을 의미한다.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does not fall within the range of the minimum output value, the standby state may be maintained. In this case, the standby state means that all functions of the air purifier are turned off.

상기 대기상태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상태에서는 이전에 확인된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대기상태에서는 이전에 확인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출력최소값에 가까울수록 보다 짧은 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In the standby stat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ay be checked again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lso, in the standby stat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ay be checked again at different time intervals according to the previously checked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n particular, in the standby state, as the previously checked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closer to the minimum output valu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may be checked again at a shorter time interval.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출력최소값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전원과의 연결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전원과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전원을 연결할 것을 알릴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원과 연결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전원과 상기 배터리와의 연결상태 불량을 알릴 수 있다.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falls within the range of the minimum output value,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power is checked, and when the power is not connected, the connection of the power can be notifi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On the other hand, when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notify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battery failure.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에는 제 1 송풍장치, 상기 제 1 송풍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2 송풍장치, 상기 제 2 송풍장치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동전환장치, 상기 제 1 송풍장치, 상기 제 2 송풍장치 및 상기 유동전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제 1 송풍장치, 상기 제 2 송풍장치 및 상기 유동전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통신모듈, 상기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송풍장치, 상기 제 2 송풍장치 및 상기 유동전환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송풍장치, 상기 제 2 송풍장치 및 상기 유동전환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는 공기 청정기가 OFF된 상태로 이해된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lower, a second blower provided above the first blower, a flow conversion device movably provided above the second blower, and the second blower.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wer, the second blower,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the first blower, the second blower,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user terminal and a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battery,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store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and transmit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wherein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first blower device and the first blower device. 2 Even when the blower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are not driv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t this time, when the first blower, the second blower,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are not driven, it is understood that the air purifier is in an OFF stat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최소 배터리 잔량을 출력최소값의 범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출력최소값의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충전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완전방전상태가 예상됨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tore a minimum remaining battery amount for transmit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in a range of a minimum output value. In this cas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falls within the range of the minimum output value, the controller may transmit to the user terminal that a fully discharged state in which the battery cannot be charged is expect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송풍장치, 상기 제 2 송풍장치 및 상기 유동전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기 위한 최소 배터리의 잔량을 동작최소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출력최소값의 범위는 상기 동작최소값보다 작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the first blower device, the second blower device, and store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minimum battery for operating at least on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as an operating minimum value, the range of the output minimum value is the minimum operating value may be smaller tha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송풍장치, 상기 제 2 송풍장치 및 상기 유동전환장치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가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tate in which the first blower, the second blower,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are not driven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o the user terminal can be forwarded to

본 실시 예에 따르면, 공기 청정기가 OFF된 상태에서도 통신모듈을 통해 배터리의 상태를 알 수 있으며, 배터리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when the air purifier is turned off, the state of the battery can be known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n appropriate action can be taken according to the state of the battery.

특히, 소정의 시간동안 공기 청정기가 OFF된 경우, 배터리의 완전 방전 예정을 사용자에게 알려, 배터리의 영구적인 사용불가능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air purifier is turned off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the user is informed of the scheduled full discharge of the battery, thereby preventing the battery from being permanently unusable.

또한, 배터리의 영구적인 사용불가능을 방지함에 따라, 배터리의 교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적절하게 배터리를 점검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permanent unusability of the battery is prevent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placement cost of the battery and to extend the lifespan of the battery by properly inspecting the battery.

또한, 외부 전원과 연결되는 경우 외부 전원을 사용하고, 외부 전원에서 분리된 경우에만 배터리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battery can be effectively used by using an external power source when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using a battery only when disconnected from the external power source.

또한, 배터리의 상태와 외부 전원연결여부를 파악하여, 배터리와 전원의 연결상태오류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려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by identifying the state of the battery and whether the external power is connected, and notifying the user of an error in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battery and the power.

또한, 다수의 송풍장치 및 유동전환장치가 제공되어, 공기 청정기의 송풍용량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plurality of blowers and flow conversion devices are provided, so that the blowing capacity of the air purifier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제 1, 2 송풍장치를 통하여 서로 독립된 공기유동이 발생되어, 공기유동 상호간에 서로 방해가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기 유동성능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난다.In addition, independent air flows are generat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henomenon in which the air flows interfere with each other, thereby improving the air flow performance.

또한, 필터부재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공기가 필터부재 외측의 전 방향에서 필터부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흡입면적이 증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의 공기청정 능력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ilter member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filter member from all directions from the outside of the filter member, so that the suction area can be increased, and thus the air cleaning ability of the filter can be improved. There is th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송풍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토출가이드 장치, 제 3 에어가이드 장치와 유동전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가이드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II′ of FIG. 2 .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a third air guide device, and a flow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a guide mechanism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air flow in the air clea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interferes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elements from other elements, and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is between each compon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공기 청정기의 외부구성][External composition of air purifi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appearance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송풍장치(100, 200) 및 상기 송풍장치(100, 200)에서 발생된 공기유동의 토출방향을 전환시키는 유동 전환장치(300)가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1 , in the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wers 100 and 200 for generating air flow and the discharge direction of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blowers 100 and 200 are shown. A flow diverter 300 for diverting is included.

{송풍장치}{Blower}

상기 송풍장치(100, 200)에는, 제 1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공기유동을 발생시키는 제 2 송풍장치(200)가 포함된다.The blowers 100 and 200 include a first blower 100 for generating a first air flow and a second blower 200 for generating a second air flow.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제 2 송풍장치(20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하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공기유동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측에 존재하는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유동을 형성한다. The first blower 100 and the second blower 200 may b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blower 200 may be disposed above the first blower 100 . In this case, the first air flow forms a flow for sucking indoor air existing on the lower side of the air purifier 10 , and the second air flow exists on the upper side of the air purifier 10 . Creates a flow that sucks in indoor air.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1, 201)가 포함된다.The air purifier (10) includes cases (101, 201) forming an exterior.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스(101, 201)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1 케이스(10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detail, the cases 101 and 201 include a first case 101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first blower 100 . The first case 10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ase 10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ower portion. That is, the first case 101 may have a conical shape with an end cut off.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구성하는 2개의 파트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제 1 분리부(101a)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상기 제 1 분리부(101a)의 맞은편에 구비되는 힌지부(미도시)가 더 포함된다. 상기 2개의 파트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case 101 includes a first separation unit 101a to which two parts constituting the first case 101 are coupled or separated. And, the first case 101, the hinge portion (not shown)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eparation portion (101a) is further included. The two parts may rotate relative to the hinge part.

상기 2개의 파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파트가 회전하면, 상기 제 1 케이스(101)는 개방되며, 상기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개방하여,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내부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When at least one of the two parts rotates, the first case 101 is opened and can be separated from the air purifier 10 . In this case, by opening the first case 101 , internal parts of the first blower 100 may be replaced or repaired.

또한, 상기 제 2 개의 파트가 결합되는 부분, 즉 상기 힌지부의 맞은편 측에는, 걸림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장치에는, 걸림돌기 또는 자석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device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second part is coupled,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hinge part. The locking device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or a magnet member.

상기 제 1 케이스(10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 1 흡입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흡입부(1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In the first case 101, a first suction unit 102 through which air is sucked is formed. The first suction unit 102 inclu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ase 101 is penetrated. A plurality of the first suction units 102 are formed.

상기 다수의 제 1 흡입부(102)는, 상기 제 1 케이스(1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irst suction units 102 are uniform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ase 101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air can be sucked in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ase 101 . That is, air may be sucked in a 360 degree direction based on the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inner center of the first case 101 .

이와 같이, 상기 제 1 케이스(1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흡입부(102)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rst case 101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suction units 102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ase 101, an air intake amount can be increased. And, a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air purifier, by avoiding the shape of a hexahedron having corner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low resistance to the sucked air.

이하, 설명의 편의상,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을 축방향이라 하고, 가로 방향을 반경방향이라 한다. 상기 축방향은, 후술할 제 1 팬(160) 및 제 2 팬(260)의 중심축 방향, 즉, 팬에 구비되는 모터축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경방향은 상기 축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directions are defined. 1 , the vertic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n axi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radial direction. The axial direction may correspond to the central axis direction of the first fan 160 and the second fan 26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a motor axis direction provided in the fan. And, the radial direction may be understood a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al direction.

그리고, 원주방향이란, 상기 축방향을 중심으로 하고 상기 반경방향의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회전할 때 형성되는 가상의 원 방향으로서 이해된다.Incidentally,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understood as an imaginary circle direction formed when rotating with the axial direction as the center and the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as the rotation radius.

이때, 상기 제 1 흡입부(1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ir sucked in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102 may flow in a substantially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case 101 .

또한,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측에 제공되는 베이스(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20)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하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케이스(101)와 상기 베이스(20) 사이의 이격 공간에는,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first blower 100 further includes a base 20 provided under the first case 101 . The base 20 is positioned to be spaced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first case 101 . In addition,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case 101 and the base 20, a base suction part 103 is formed.

즉,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복수의 흡입부(102, 103)가 포함된다. 실내공간의 하부에 존재하는 공기는 상기 복수의 흡입부(102, 103)를 통하여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blower 100 includes a plurality of suction units 102 and 103 . Air existing in the lower part of the indoor space may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first blower 100 through the plurality of suction units 102 and 103 . Accordingly, the intake amount of air can be increased.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부에는, 제 1 토출부(105)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축방향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A first discharge part 105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blower 100 .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unit 105 may flow upward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상기 케이스(101, 201)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 2 케이스(201)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원통형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상부는 하부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끝부분이 잘린 원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cases 101 and 201 include a second case 201 that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second blower 200 . The second case 20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ase 201 may be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lower portion. That is, the second case 201 may have a conical shape with an end cut off.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제 2 분리부(201a)를 통하여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는 2개의 파트 및 힌지부가 포함된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는, 상기 제 1 케이스(101)와 마찬가지로 개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개방하여,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내부 부품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다.The second case 201 includes two parts that can be separated or coupled through the second separating part 201a and a hinge part. The second case 201 may be configured to be openable like the first case 101 . For a detailed descriptio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case 101 is referred to. By opening the second case 201 , internal parts of the second blower 200 may be replaced or repaired.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하단부 직경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상단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1, 201)의 전체적인 형상 관점에서, 케이스(101, 201)의 하부 단면적은 상부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공기 청정기(10)는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diameter of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ase 201 may b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case 101 . Accordingly, in view of the overall shape of the cases 101 and 201 , the lower cross-sectional areas of the cases 101 and 201 are larger than the upper cross-sectional areas. Accordingly, the air purifier 10 can be stably installed.

상기 제 2 케이스(20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제 2 흡입부(20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흡입부(202)는 다수 개가 형성된다.The second case 201 is provided with a second suction unit 202 through which air is sucked. The second suction unit 202 inclu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case 201 is penetrated. A plurality of second suction units 202 are formed.

상기 다수의 제 2 흡입부(202)는, 상기 제 2 케이스(201)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라도 공기 흡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고르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내부중심을 지나는 상하방향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에서 공기가 흡입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econd suction units 202 are uniform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ase 201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air can be sucked in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ase 201 . That is, air may be sucked in a 360 degree direction based on a vertical center line passing through the inner center of the second case 201 .

이와 같이, 상기 제 2 케이스(201)가 원통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흡입부(202)가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흡입량이 증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공기 청정기의 케이스와 같이, 모서리부를 가지는 육면체 형상을 회피함으로써, 흡입되는 공기에 대한 유동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case 201 is configur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suction units 202 are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ase 201, the amount of air intake can be increased. And, as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air purifier, by avoiding the shape of a hexahedron having corners,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low resistance to the sucked air can be reduced.

이때, 상기 제 2 흡입부(202)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외주면으로부터 대략 반경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air sucked in through the second suction unit 202 may flow in a substantially radial direction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case 201 .

{유동 전환장치}{flow diverter}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유동전환장치(300)의 상부에는 제 2 토출부(305)가 형성된다.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may be installed above the second blower 200 . A second discharge part 305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이때,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부(105)와 함께 상기 제 2 토출부(305)가 구비되므로, 토출풍량이 개선되고 다양한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효과가 나타난다.At this time, since the air purifier 10 is provided with the second discharge unit 305 together with the first discharge unit 105 of the first blower 100, the discharge air volume is improved and air flows in various directions. The ejection effect appears.

공기 유동을 기준으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공기유로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공기유로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공기유로를 경유하며, 상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Based on the air flow, the air flow path of the second blower 200 may communicate with the air flow path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blower 200 may pass through the air passag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305 .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는 움직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누워있는 상태(제 1 위치)에 있거나,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제 2 위치)에 있을 수 있다.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may be movably provided. In detail, as shown in FIG. 1 ,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may be in a lying state (first position) or in an inclined standing state (second position).

그리고,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상부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In addition, a display device 600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urifier 10 is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The display device 600 may move together with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구획장치}{compartment device}

또한,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구획장치(400)가 포함된다. 상기 구획장치(400)에 의하여,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장치(400)와 관련된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10 includes a partition device 400 provided between the first blower 100 and the second blower 200 . By the partition device 400 , the second blower 200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blower 100 . A description related to the partitioning device 4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배터리}{battery}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기(10)는 배터리(700) 또는 전원공급부(520, 도 3 참조)를 통해 유선 또는 무선으로 구동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배터리(700)가 더 포함된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driven by wire or wirelessly through the battery 700 or the power supply 520 (refer to FIG. 3 ). Accordingly, the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700 is further includ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70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7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최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은 배터리(700)의 배치는 예시적인 것이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As shown in FIG. 1 , the battery 700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blower 100 . That is, the battery 700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air purifier 10 . This is for stably installing the air purifier 10 on the ground. However, such an arrangement of the battery 700 is exemplary and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배터리(70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배터리(700)의 장착을 위한 구조가 더 구비될 수 있다.Also, the battery 700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air purifier 10 . Accordingly, the air purifier 10 may further include a structure for mounting the battery 700 .

또한, 상기 배터리(700)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케이스에 수용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 셀은 충전 및 방전 가능한 2차 전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700)는 리튬 배터리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7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it includes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ccommodated in a predetermined case, and the battery cells may be rechargeable and discharging secondary cells. Also, the battery 700 may be a lithium battery.

[공기 청정기의 내부구성][Internal composition of air purifier]

이하,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air purifier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I-I' of FIG. 2 .

{제 1 송풍장치}{first blower}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송풍장치(100)에는, 베이스(20) 및 상기 베이스(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흡입그릴(11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20)와 상기 흡입그릴(110)의 사이에는, 공기의 흡입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베이스흡입부(103)가 형성된다.2 and 3 , the first blow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20 and a suction grill 110 disposed above the base 20 . In addition, between the base 20 and the suction grill 110, the base suction portion 103 forming an air intake space is formed.

상기 흡입그릴(110)에는, 대략 링 형상의 그릴본체(111) 및 상기 그릴본체(11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흡입부(112)가 포함된다. 상기 그릴본체(111) 및 흡입부(112)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흡입그릴(110)은 단차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The suction grill 110 includes a substantially ring-shaped grill body 111 and a suction part 112 protruding up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ill body 111 .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grill body 111 and the suction part 112 , the suction grill 110 may have a stepped configuration.

그리고, 상기 흡입부(112)의 내부에는,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은 상기 베이스흡입부(103)와 연통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그릴(110)의 흡입부(112)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suction holes 112a are formed inside the suction unit 112 .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112a may communicate with the base suction unit 103 . That is, the air sucked into the base suction unit 103 may flow upward through the suction unit 112 of the suction grill 110 .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 및 상기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제 1 펄터부재(12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며, 공기를 필터링 하는 필터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흡입공(112a)을 통과한 공기는 원통형인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그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ir sucked through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112a and the base suction unit 103 may pass through the first fulter member 120 .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have a filter surface for filtering air. The air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suction holes 112a may pass throug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be introduced therein.

또한,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1 필터프레임(130)이 더 포함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1 프레임(131) 및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 2 프레임(13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2 프레임(131, 132)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blower 100 further includes a first filter frame 130 forming a mounting space for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In detail, in the first filter frame 130 , a first frame 131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and a second frame form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are provided. (132) is included.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31 and 132 may have a substantially ring shape.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상기 제 1 프레임(131)으로부터 상기 제 2 프레임(1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필터지지부(1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 1 필터지지부(135)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 2 프레임(131, 132)의 테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filter frame 130 further includes a first filter support part 135 extending upwardly from the first frame 131 toward the second frame 132 . A plurality of the first filter support parts 135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first filter support parts 135 may b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31 and 132 .

상기 제 1, 2 프레임(131, 132) 및 상기 다수의 제 1 필터지지부(135)에 의하여,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장착공간이 규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지지부(135)의 외측에는, 제 1 지지부커버(136)가 결합될 수 있다.A mounting space for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defined by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31 and 132 and the plurality of first filter support parts 135 . And, the first support part cover 136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filter support part 135 .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는, 제 1 센서장치(13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센서장치(137)에는, 공기 중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센서 및 공기 중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A first sensor device 137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filter frame 130 . The first sensor device 137 may include a dust sensor for detecting an amount of dust in the air and a gas sensor for detecting an amount of gas in the air.

즉, 상기 제 1 센서장치(137)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장치에 해당된다. 이때, 상기 먼지센서 및 가스센서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의 제 2 프레임(132)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ensor device 137 corresponds to a 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blower 100 . In this case, the dust sensor and the gas sensor may be disposed to be supported by the second frame 132 of the first filter frame 130 .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be detachably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The first filter member 12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ir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impurities such as fine dust in the air may be filtered out.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Since the first filter member 120 has a cylindrical shape, air can be introduced from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Accordingly, the filtering area of the air can be increased.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장착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는 분리 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다.The mounting space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be slidably retracted toward the mounting space during the mounting process. Conversely, the first filter member 120 may be slidably drawn out from the mounting space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출구 측에 설치되는 제 1 팬하우징(1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는, 제 1 팬(160)이 수용되는 하우징공간부(1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은 상기 제 1 필터프레임(13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The first blower 100 further includes a first fan housing 150 installed on the outlet side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A housing space 152 in which the first fan 160 is accommodated is formed in the first fan housing 150 . In addition, the first fan housing 150 may be supported by the first filter frame 130 .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하부에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공기의 유입을 가이드 하는 제 1 팬유입부(151)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유입부(151)에는 그릴이 제공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120)가 분리되었을 때, 사용자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로 손가락 등을 집어넣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first fan inlet 151 for guiding the inflow of air into the first fan housing 150 is included in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an housing 150 . A grill is provided in the first fan inlet 151 to prevent a user from inserting a finger or the like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fan housing 150 when the first filter member 120 is separated. there is.

또한,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공기 중 냄새입자를 제거하거나 살균하기 위한 제 1 이오나이저(15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이오나이저(158)는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팬하우징(1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작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blower 100 further includes a first ionizer 158 for removing or sterilizing odor particles in the air. The first ionizer 158 is coupled to the first fan housing 150 , and may act on air flowing inside the first fan housing 150 .

상기 제 1 이오나이저(158)는 NPI(Nano Plasma Ion)의 일종으로 전원의 입력에 따라, 플라즈마 반응을 통해 살균이온을 생성한다. 즉, 상기 제 1 이오나이저(158)는 공기 중으로 살균이온을 방출하여, 공기 중 박테리아 등 부유미생물을 박멸하는 기능을 한다. 그에 따라,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불쾌한 냄새 등이 제거될 수 있다.The first ionizer 158 is a type of NPI (Nano Plasma Ion) and generates sterilizing ions through a plasma reaction according to an input of power. That is, the first ionizer 158 emits sterilizing ions into the air, and functions to eradicate airborne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in the air. Accordingly, an unpleasant odor and the like contained in the air may be removed.

상기 센서장치와 상기 이오나이저는 후술할 제 2 송풍장치(200)에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장치와 상기 이오나이저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 및 제 2 송풍장치(200) 중 하나의 송풍장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sensor device and the ionizer may also be installed in a second blower 200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sensor device and the ionizer may be installed in one of the first blower 100 and the second blower 200 .

상기 제 1 팬(160)은 상기 제 1 팬유입부(151)의 상측에 놓여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팬(160)에는, 축방향으로 공기를 유입하여 반경방향 상측으로 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이 포함된다.The first fan 160 is placed above the first fan inlet 151 . For example, the first fan 160 includes a centrifugal fan that introduces air in an axial direction and discharges air upward in a radial direction.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팬(160)에는, 원심팬 모터인 제 1 팬모터(165),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에 결합되는 허브(161)와, 상기 허브(16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쉬라우드(162) 및 상기 허브(161)와 상기 쉬라우드(162)의 사이에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163)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팬모터(165)는 상기 제 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fan 160 includes a first fan motor 165 which is a centrifugal fan motor, a hub 161 coupled to a rotation shaft 165a of the first fan motor 165, and the hub ( 161) and a shroud 16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blades 163 disposed between the hub 161 and the shroud 162 are included. The first fan motor 165 may be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first fan 160 .

상기 허브(161)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허브(161)에는, 상기 회전축(165a)이 결합되는 축 결합부 및 상기 축 결합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블레이드결합부가 포함된다.The hub 161 may have a bowl shape in which the diameter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In addition, the hub 161 includes a shaft coupling part to which the rotation shaft 165a is coupled, and a first blade coupling part extending obliquely upward from the shaft coupling part.

상기 쉬라우드(162)에는, 상기 제 1 팬유입부(151)를 통과한 공기가 흡입되는 쉬라우드흡입구가 형성되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2 블레이드결합부가 포함된다.The shroud 162 includes a lower end in which a shroud inlet through which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an inlet 151 is sucked is formed, and a second blade coupling portion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ower end.

상기 블레이드(163)의 일면은 상기 허브(161)의 제 1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되며, 타면은 상기 쉬라우드(162)의 제 2 블레이드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63)는 상기 허브(161)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One surface of the blade 163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lade coupling portion of the hub 161 , and the other surface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blade coupling portion of the shroud 162 .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lades 163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ub 161 .

또한,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팬(1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팬(1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1 에어가이드장치(170)가 더 포함된다. In addition, the first blower 100 has a first air guide device 170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an 160 to guide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an 160 . Included.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외벽(171) 및 상기 외벽(1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내벽(172)이 포함된다. 상기 외벽(171)은 상기 내벽(172)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공기유로가 형성된다.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includes an outer wall 171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n inner wall 172 positioned inside the outer wall 171 and having a cylindrical shape. The outer wall 171 is disposed to surround the inner wall 172 . A first air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wall 17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ll 172 .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제 1 공기유로에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175)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내벽(1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1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제 1 팬(160)을 거쳐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 1 공기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includes a guide rib 175 disposed in the first air passage. The guide rib 175 extend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ll 172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wall 171 . A plurality of the guide ribs 175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guide ribs 175 serve to upwardly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air passage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through the first fan 160 .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상기 외벽(171) 및 내벽(172)의 하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 리브(175)는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공기가 상방으로 경사지게 유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한다. The guide rib 175 may extend obliquely upward from the lower portions of the outer wall 171 and the inner wall 172 . For example, the guide rib 175 is formed to be round, and guides the air to flow inclined upward.

또한,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에는, 상기 내벽(1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팬모터(165)를 수용하는 제 1 모터 수용부(1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모터 수용부(17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모터 수용부(173)의 형상은, 상기 허브(161)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모터 수용부(173)는 상기 허브(161)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Also, 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further includes a first motor accommodating part 17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ner wall 172 to accommodate the first fan motor 165 . The first motor accommodating part 173 may have a shape of a bowl whose diameter decreases toward a lower portion. The shape of the first motor accommodating part 173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ub 161 . In addition, the first motor accommodating part 173 may be inserted into the hub 161 .

싱기 제 1 팬모터(165)는 상기 제 1 모터 수용부(173)의 상측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모터(165)의 회전축(165a)은 상기 제 1 팬모터(16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모터 수용부(173)의 저면부을 관통하여 상기 허브(161)의 축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fan motor 165 may be suppor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motor accommodating part 173 . 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165a of the first fan motor 165 extends downwardly from the first fan motor 165 , passes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motor accommodating part 173 , and moves the hub 161 . It may be coupled to the shaft coupling portion.

또한,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를 통과한 공기를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로 가이드 하는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가 더 포함된다.In addition, the first blower device 100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and guide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to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90 . A second air guide device 180 is further included.

상기 제 2 에어가이드 장치(180)에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1 가이드벽(181)과,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측에 위치되며 대략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가이드벽(182)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은 상기 제 2 가이드 벽(18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air guide device 180 has a first guide wall 181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 second guide wall 181 positioned inside the first guide wall 181 and having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 182) is included. The first guide wall 181 may be disposed to surround the second guide wall 182 .

상기 제 1 가이드벽(181)의 내주면과 상기 제 2 가이드벽(182)의 외주면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2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에어가이드 장치(170)의 제 1 공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제 2 공기유로를 거쳐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제 2 공기유로(185)를 "토출유로"라 이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기유로의 상측에는, 제 1 토출부(105)가 배치된다.A second air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uide wall 18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guide wall 182 . The air flowing through the first air passage of the first air guide device 170 passes through the second air passage and flows upward. The second air flow path 185 may be referred to as a “discharge flow path”. In addition, the first discharge unit 105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air flow path.

이때,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 2 가이드벽(182)의 내측에는, 후술할 PCB 장치(5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제 1 공간부가 형성된다.At this time, a first spac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PCB device 500 to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is formed inside the second guide wall 182 having a cylindrical shape.

또한,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는,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18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가 더 포함된다. 즉,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는 공기유로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에어가이드장치(180)를 통과하는 공기유동의 출구 측에 배치되며, 공기 청정기(10) 외부로의 공기 토출을 가이드 한다. In addition, the first blower 100 further includes a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90 disposed above the second air guide device 180 . That is,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90 is disposed on the outlet side of the air flow passing through the second air guide device 180 based on the air flow path, and discharges the air to the outside of the air cleaner 10 . guide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상기 제 1 토출부(105)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상단부 외관을 형성한다.The first discharge unit 105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is formed in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90 . That is,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90 forms the outer appearance of the upper end of the first blower 100 .

{제 2 송풍장치}{second blower}

이하, 도 4에 도시된 제 2 송풍장치의 분해도를 참조하여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blower 2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n exploded view of the second blower shown in FIG. 4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송풍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cond bl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송풍장치(200)에는, 레버 지지장치(560), 레버장치(242), 지지장치(240), 제 2 필터부재(220), 제 2 필터프레임(230), 제 2 팬하우징(250) 및 제 2 팬(260)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4 , in the second blower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lever support device 560 , a lever device 242 , a support device 240 , a second filter member 220 , and a second The second filter frame 230 , the second fan housing 250 and the second fan 260 are included.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는 상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에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 형상의 필터부를 가지는 필터본체(221) 및 상기 필터본체(221)의 상단부에 개구되어 형성되는 필터공(222)이 포함된다.The second filter member 2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includes a filter body 221 having an empty cylindrical filter part and a filter hole 222 that is opened and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filter body 221 .

상기 필터본체(221)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필터파지부(221a)가 구비된다. 공기는 상기 필터본체(221)의 외주면을 통하여 상기 필터본체(221)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상기 필터공(222)을 통하여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A filter holding part 221a is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part of the filter body 221 .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lter body 221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lter body 221 , and may be discharged from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through the filter hole 222 .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레버 지지본체(561)가 포함된다.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는, 그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하여 축방향에 대하여, 상방으로 약간 경사지게 연장된다. 즉,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를 구성하는 면은 경사면을 구성한다. 상기 경사면은, 사용자의 손이 위치할 수 있는 제 2 공간부(458)를 제공하기 위함이다.The lever support device 560 includes a lever support body 561 having an annular shape. The lever support body 561 extends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towar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be slightly inclined upward with respect to the axial direction. That is, the surface constituting the lever support body 561 constitutes an inclined surface. The inclined surface is to provide a second space 458 in which the user's hand can be positioned.

한편,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가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점에서, "차단부"라 이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ver support body 561 block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unit 105 of the first blower 100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blower 200, You can also call it a "blocker".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이동 가이드부(56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의 원주 방향으로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 지지장치(560)에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의 내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턱(56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턱(566)은, 상기 레버장치(242)를 지지한다.The lever support device 560 further includes a movement guide 565 protruding upward from the lever support body 561 . A plurality of the movement guide parts 565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ever support body 561 . In addition, the lever support device 560 further includes a support jaw 566 protruding up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r support body 561 . The support jaw 566 supports the lever device 242 .

상기 레버장치(242)는,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레버장치(242)는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The lever device 242 may be provided so that a user's operation is possible. For example, the lever device 242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레버장치(242)에는, 대략 링 형상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레버본체(243)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본체(243)에는, 상기 다수의 이동 가이드부(565)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의 절개부(245)가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절개부(245)는, 상기 레버본체(243)에 형성되는 관통공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The lever device 242 includes a lever body 243 having a substantially ring shape and being rotatably provided. In addition, a plurality of cutouts 245 dispos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movement guide portions 565 are formed in the lever body 243 . The plurality of cutouts 245 may be understood as through holes formed in the lever body 243 .

상기 다수의 절개부(245)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레버본체(243)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각 절개부(245)는 레버본체(243)의 외주면 곡률에 대응하여, 원주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cutouts 24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lever body 243 . In addition, each cutout 245 may be formed to be rounded to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r body 243 .

상기 레버장치(242)는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의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레버장치(242)가 상기 레버 지지본체(561)에 지지되면, 상기 다수 개의 이동 가이드부(565)는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245)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다수 개의 이동 가이드부(565)는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245)를 관통하여, 상기 다수 개의 절개부(245)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lever device 242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ver support body 561 . When the lever device 242 is supported by the lever support body 561 , the plurality of movement guides 565 may be disposed to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cutouts 245 . In detail, the plurality of movement guides 565 may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cutouts 245 and protrude upwards of the plurality of cutouts 245 .

상기 각 절개부(245)의 길이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가 상기 절개부(24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버장치(242)는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장치(24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일측 단부는 상기 절개부(245)의 일측 단부에 간섭될 수 있고,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타측 단부는 상기 절개부(245)의 타측 단부에 간섭될 수 있다. The length of each cutout 245 may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movement guide 565 . Accordingly, in a state in which the movement guide 565 is inserted into the cutout 245 , the lever device 242 may be rotated. And, while the lever device 242 rotates in one direction, one end of the movement guide 565 may interfere with one end of the cutout 245, and the movement in the process of rotating in the other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guide part 565 may interfere with the other end of the cutout 245 .

또한, 상기 레버본체(243)에는, 상기 레버본체(243)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 2 핸들(244)이 포함된다.In addition, the lever body 243 includes a second handle 244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ver body 243 .

상기 레버장치(242)의 상측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지지하는 지지장치(240)가 제공된다. 상기 지지장치(240)에는, 상기 제 2 핸들(244)에 결합되는 제 1 핸들(241)이 포함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2 핸들(241, 244)을 파지하여 상기 레버본체(143) 및 지지장치(14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A support device 240 for supporting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is provided above the lever device 242 . The support device 240 includes a first handle 241 coupled to the second handle 244 . The user may rotate the lever body 143 and the support device 140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hold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241 and 244 .

상기 레버장치(242)는 상기 지지장치(240)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지지장치(240)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와 접촉하는 지지 돌출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지지장치(240)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 돌출부의 형상은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형상에 대응되며, 원주 방향으로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사면이 포함된다.The lever device 242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device 240 . The support device 240 may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not shown) in contact with the movement guide part 565 . The support protrusion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device 240 , and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guide part 565 .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support protrusion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movement guide 565 and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that is formed to gradually protru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과, 상기 지지 돌출부가 점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이 반시계방향이라면, 상기 지지 돌출부가 점점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방향은 시계방향일 수 있다.A direction in which the movement guide part 565 is formed to gradually protrude and a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is formed to gradually protrude may be opposite to each other. For example, if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vement guide 565 gradually protrudes is counterclockwi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pport protrusion gradually protrudes may be clockwise.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절개부(245)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와 상기 지지 돌출부는 상기 절개부(145)에 삽입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support protrusion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tout 245 . That is, the movement guide portion 565 and the support protrusion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to be inserted into the cutout portion 145 .

상기 레버장치(242)와 상기 지지장치(240)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 회전 과정에서,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와 상기 지지 돌출부는 간섭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 돌출부의 하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상부가 맞닿으면, 상기 레버장치(242)와 상기 지지장치(240)는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2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는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 결합된 상태로 배치된다.The lever device 242 and the support device 240 may be rotated together. During this rotation, the movement guide 565 and the support protrusion may interfere. In detail,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movement guide 565 contact each other, the lever device 242 and the support device 240 are lifted upward. In addition,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supported by the support device 240 is disposed in a state coupled to the second blower 200 while moving upward.

반면, 상기 지지 돌출부의 상부와 상기 이동 가이드부(565)의 하부가 맞닿거나 상기 지지 돌출부와 이동 가이드부(565)의 간섭이 해제되면, 상기 레버장치(242)와 상기 지지장치(240)는 하방으로 내려온다. 그리고, 상기 지지장치(2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해제 상태)로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rotrusion and the lower part of the movement guide part 565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or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 part and the movement guide part 565 is released, the lever device 242 and the support device 240 are come downstairs In addition,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supported by the support device 240 is disposed in a detachable state (released state) from the second blower 200 .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제 2 필터프레임(230)이 더 포함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에는, 상기 제 1 필터프레임(230)의 하부를 형성하는 제 3 프레임(231) 및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의 상부를 형성하는 제 4 프레임(232)이 포함된다.The second blower 200 further includes a second filter frame 230 forming a mounting space for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 In detail, in the second filter frame 230 , a third frame 231 forming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filter frame 230 and a fourth frame forming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filter frame 230 are provided. (232) is included.

상기 제 3 프레임(231)에는, 하방으로 함몰되는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함몰부(231a)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함몰부(231a)는 상기 제 3 프레임(231)의 적어도 일부분이 함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함몰부(231a)는, 상기 제 1,2 핸들(241,244)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부를 제공한다.The third frame 231 includes a frame recessed portion 231a having a shape that is recessed downward. The frame recessed part 231a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third frame 231 is recessed. The frame recessed portion 231a provides a space por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241,244 can move.

상기 제 4 프레임(232)은 상기 제 3 프레임(231)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제 4 프레임(232)은 대략 링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4 프레임(232)의 링 형상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을 통과하는 공기유로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4 프레임(232)의 상부는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을 지지할 수 있다. The fourth frame 232 is located upwardly spaced apart from the third frame 231 . The fourth frame 232 has a substantially ring shape. The ring-shaped inner space of the fourth frame 232 forms at least a portion of an air passage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frame 230 . In addition, an upper portion of the fourth frame 232 may support the second fan housing 250 .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에는, 상기 제 3 프레임(231)으로부터 상기 제 4 프레임(232)을 향하여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필터지지부(235)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필터지지부(235)에 의하여, 상기 제 1, 2 프레임(231, 232)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지지부(235)는 다수 개가 제공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 2 필터지지부(235)는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제 1, 2 프레임(231, 232)의 테두리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second filter frame 230 further includes a second filter support 235 extending upwardly from the third frame 231 toward the fourth frame 232 .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31 and 23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econd filter support 235 . A plurality of second filter support parts 235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second filter support parts 235 may be arrang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edges of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31 and 232 .

상기 제 1, 2 프레임(231, 232) 및 상기 다수의 제 2 필터지지부(235)에 의하여,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장착공간이 규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지지부(235)의 외측에는, 제 2 지지부커버(236)가 결합될 수 있다.A mounting space for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is defined by the first and second frames 231 and 232 and the plurality of second filter support parts 235 .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part cover 236 may be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filter support part 235 .

상기 제 2 필터프레임(230)에는, 제 2 센서장치(237)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센서장치(237)에는, 공기 중 먼지의 양을 감지하는 먼지센서(237a) 및 공기 중 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가스센서(237b)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센서장치(237)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장치에 해당된다. A second sensor device 237 may be installed in the second filter frame 230 . The second sensor device 237 may include a dust sensor 237a for detecting an amount of dust in the air and a gas sensor 237b for detecting an amount of gas in the air. That is, the second sensor device 237 corresponds to a 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pollution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blower 200 .

상기 먼지센서(237a) 및 가스센서(237b)는 상기 제 4 프레임(232)에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센서장치(237)의 구성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 1 센서장치(137)에도 적용될 수 있다.The dust sensor 237a and the gas sensor 237b may be disposed to be supported by the fourth frame 232 . The descrip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sensor device 237 may also be applied to the first sensor device 137 .

상기 장착공간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외주면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중 미세먼지와 같은 불순물이 걸러질 수 있다.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may be detachably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air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 impurities such as fine dust in the air may be filtered out.

상기 제 2 필터부재(220)가 원통형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기준으로, 어느 방향에서나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기의 필터링 면적이 증가할 수 있다.Since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has a cylindrical shape, air can be introduced from any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 Accordingly, the filtering area of the air can be increased.

상기 장착공간은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는 장착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입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는 분리 과정에서,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인출될 수 있다. The mounting space may be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may be slidably retracted toward the mounting space during the mounting process. Conversely,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may be slidably drawn out from the mounting space during the separation process.

달리 말하면, 상기 제 2 필터부재(220)가 상기 지지장치(240)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제 1, 2 핸들(241, 244)이 조작되면,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는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해제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241 and 244 are operated while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device 240 ,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moves downward. As it moves, it stays in the unlocked position. And,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may be separated from the mounting space by sliding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반면에,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는 상기 장착공간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공간을 향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슬라이딩 되어 상기 지지장치(240)의 상면에 지지되며, 상기 제 1, 2 핸들(241, 244)의 조작에 의하여 상방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필터부재(220)는 상기 제 1 송풍장치(200)로의 결합위치에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is separated from the mounting space, it slides radially inward toward the mounting space and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device 240 , and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By the operation of (241, 244) can be in close contact upward. At this time, the first filter member 220 is in a position coupled to the first blower 200 .

또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출구측에 설치되는 제 2 팬하우징(25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에는, 제 2 팬(260)이 수용되는 하우징공간부(252)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팬하우징(250) 및 상기 제 2 팬(260)의 구성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 및 제 1 팬(160)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기 제 2 팬하우징(250) 및 상기 제 2 팬(260)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제 1 팬하우징(150) 및 제 1 팬(16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In addition, the second blower 200 further includes a second fan housing 250 installed on the outlet side of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 In the second fan housing 250 , a housing space 252 in which the second fan 260 is accommodated is formed. Since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fan housing 250 and the second fan 26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fan housing 150 and the first fan 160,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fan housing 250 and the second fan 260 is the same. The description of the second fan 260 refers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fan housing 150 and the first fan 160 .

또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공기 중 냄새입자를 제거하거나 살균하기 위한 제 2 이오나이저(258)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이오나이저(258)는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에 결합되며, 상기 제 2 팬하우징(25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이오나이저(258)은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이오나이저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blower 200 further includes a second ionizer 258 for removing or sterilizing odor particles in the air. The second ionizer 258 is coupled to the second fan housing 250 , and may act on air flowing inside the second fan housing 250 . The second ionizer 258 may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irst ionizer of the first blower 100 .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2 팬(26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팬(260)을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가 더 포함된다.Referring back to FIGS. 2 and 3 , the second blower 200 includes a thir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fan 260 to guide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an 260 . An air guide device 270 is further included.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외벽(271) 및 상기 외벽(271)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내벽(272)이 포함된다. 상기 외벽(271)의 내주면과, 상기 내벽(272)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기가 유동하는 제 3 공기유로가 형성된다.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has an outer wall 271 that form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and is located inside the outer wall 271 of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 An inner wall 272 defini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cluded. A third air flow path through which air flows is form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wall 27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ll 272 .

또한,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제 3 공기유로에 배치되는 가이드 리브(275)가 포함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275)는 상기 내벽(272)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외벽(271)의 내주면으로 연장된다. 상기 가이드 리브(275)는 다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가이드 리브(275)는 상기 제 2 팬(260)을 거쳐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제 3 공기유로로 유입된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includes a guide rib 275 disposed in the third air passage. The guide rib 275 extends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wall 272 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wall 271 . A plurality of the guide ribs 275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lurality of guide ribs 275 serve to upwardly guide the air introduced into the third air passage of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through the second fan 260 .

또한,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내벽(272)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팬(26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팬모터(265)를 수용하는 제 2 모터 수용부(2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모터 수용부(273)는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보울(bow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 a second motor accommodating part extending downward from the inner wall 272 to accommodate a second fan motor 265 providing a driving force to the second fan 260 . (273) is further included. The second motor accommodating part 273 may have the shape of a bowl whos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bottom.

또한,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가 구비된다.In addition, in the second blower 200 , a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installed above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and guides the flow of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 280 is provided.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를 통과한 공기의 유동이 이루어지는 제 4 공기유로, 즉, 토출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may have a substantially annular shape.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may form a fourth air flow path through which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flows, that is, a discharge flow path.

{유동 전환장치}{flow diverter}

상기 유동전환장치(300)는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이라 함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도록 마련된다.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may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Here, "rot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may mean rotation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and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are provid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이하,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유동전환장치(300)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7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토출가이드 장치, 제 3 에어가이드 장치와 유동전환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동 전환장치의 가이드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a third air guide device, and a flow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re views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guide mechanism.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에는,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움직임을 가이드 하기 위한 가이드 장치(276, 277)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장치(276, 277)에는, 상기 제 2 제 2 모터 수용부(273)에 구비되는 제 1 랙(276) 및 축가이드 홈(277)이 포함된다.Referring to FIG. 5 ,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is provided with guide devices 276 and 277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The guide devices 276 and 277 include a first rack 276 and a shaft guide groove 277 provided in the second second motor accommodating part 273 .

상기 제 1 랙(276)은,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제 1 기어(360)에 연동하여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좌우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상기 제 1 랙(276)은 상기 제 2 모터수용부(273)의 내주면에 구비되며, 설정된 곡률에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랙(276)의 길이는, 상기 제 1 기어(360)에 연동되는 거리에 기초하여 설정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ack 276 is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for guiding the left-right rota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in association with the first gear 360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The first rack 276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motor accommodating part 273, and may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ccording to a set curvature.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first rack 276 may be formed to a length set based on a distance interlocked with the first gear 360 .

따라서, 상기 유동전환장치(300)는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이라 함은,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유동전환장치(300)의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소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may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Here, "rot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may mean rotation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process, the first gear 360 may rotate with a predetermined rotation radius around the rotation shaft 354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상기 축가이드 홈(277)은, 상기 제 1 기어(360)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홈으로서 소정의 곡률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축가이드 홈(277)는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축가이드 홈(277)는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shaft guide groove 277 is a groove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360 and is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that extends roundly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For example, the shaft guide groove 277 may be formed to be rou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the shaft guide groove 277 may have a circular arc shape.

상기 축가이드 홈(277)에는, 상기 제 1 기어(360)의 제 1 기어축(362)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어(36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축가이드 홈(277)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A first gear shaft 362 of the first gear 360 may be inserted into the shaft guide groove 277 . While the first gear 360 rotates, the first gear shaft 362 may move along the shaft guide groove 277 .

또한,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는, 내주면으로부터 내부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회전가이드 판(283)이 포함된다.In addition,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includes a rotation guide plate 283 exten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oward the inner center.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좌우방향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축삽입부(284)가 포함된다. 상기 축삽입부(284)에는, 상기 회전축(354)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축삽입부(284)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내부 중심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은 상기 축삽입부(284)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The rotation guide plate 283 includes a shaft insertion portion 284 that provides a center of rot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The rotation shaft 354 may be inserted into the shaft insertion part 284 . The shaft insertion part 284 may be located at an inner center of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 The rotation guide plate 283 may be understood as a support plate for supporting the shaft insertion part 284 .

상기 회전가이드 판(283)에는, 베어링 홈(285)이 더 포함된다. 상기 베어링 홈(285)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 구비되는 제 1 베어링(353)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홈(285)은, 상기 제 1 베어링(353)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홈으로서 설정된 곡률로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상기 베어링 홈(285)은 원주 방향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어링 홈(285)은 원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rotation guide plate 283 further includes a bearing groove 285 . A first bearing 353 provided in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bearing groove 285 . The bearing groove 285 is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extending roundly with a curvature set as a groov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bearing 353 . For example, the bearing groove 285 may be formed to be round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at is, the bearing groove 285 may have a circular arc shape.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좌우방향 회전과정에서, 상기 제 1 베어링(353)은 상기 베어링 홈(285)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회전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the process of left-right rota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the first bearing 353 is inserted into the bearing groove 285 to move, and accordingly, generated in the rotation process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friction can be reduced.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는, 제 3 팬(330)이 수용되는 제 3 팬하우징(310)이 포함된다.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은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312)가 포함된다.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includes a third fan housing 310 in which the third fan 330 is accommodated. The third fan housing 310 has a substantially annular shape. In detail, the third fan housing 310 includes a housing cover 312 that forms an exterior.

상기 하우징 커버(312)의 내측에는, 환형의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 본체(311)가 구비된다. 즉, 상기 하우징 커버(312)는 상기 하우징 본체(311)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본체(311)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A housing body 311 having an annular shape is provided inside the housing cover 312 . That is, the housing cover 312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body 311 and supported by the housing body 311 .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팬(160) 및 상기 제 2 팬(260)을 "메인 팬"이라 이름하고, 상기 제 3 팬(330)을 "서브 팬"이라 이름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제 1, 2 팬(160, 260)을 "송풍팬", 상기 제 3 팬(330)을 "유동전환 팬"이라 이름할 수 있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fan 160 and the second fan 260 may be referred to as a “main fan” and the third fan 330 may be referred to as a “sub-fan”. In other words, the first and second fans 160 and 260 may be called “blowing fans” and the third fan 330 may be called “flow switching fans”.

상기 제 3 팬(330)에는, 축류팬이 포함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3 팬(330)은 축방향으로 유입된 공기를 축방향으로 배출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다.The third fan 330 may include an axial fan. In detail, the third fan 330 may be operated to discharge the air introduced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axial direction.

상기 제 3 팬(330)에는, 축류팬 모터인 제 3 팬모터(335)의 회전축(336)이 결합되는 축결합부를 가지는 허브 및 상기 허브에 원주 방향으로 결합되는 다수의 블레이드가 포함된다. 상기 제 3 팬모터(335)는 상기 제 3 팬(330)의 하측에 결합되며, 제 3 모터하우징(337)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third fan 330 includes a hub having a shaft coupling portion to which the rotation shaft 336 of the third fan motor 335, which is an axial fan motor, is coupled, and a plurality of blades circumferentially coupled to the hub. The third fan motor 335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third fan 330 , and may be disposed inside the third motor housing 337 .

이때, 상기 제 1 팬모터(165), 상기 제 2 팬모터(265) 및 상기 제 3 팬모터(335)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세로 방향을 기준으로,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fan motor 165 , the second fan motor 265 , and the third fan motor 335 may be arranged in a line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ir purifier 10 .

상기 하우징 본체(311)에는, 상기 하우징 본체(31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하우징 커버(312)의 내측을 지지하는 커버지지부(311a)가 포함된다. 상기 커버지지부(311a)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버지지부(311a)의 외면은 상기 하우징 커버(312)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housing body 311 includes a cover support part 311a protruding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body 311 to support the inner side of the housing cover 312 . The cover support part 311a has a bent shape, and an outer surface of the cover support part 311a may be coupl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312 .

상기 하우징 커버(312)는 상기 하우징본체(31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본체(311) 및 상기 하우징 커버(312)는 함께 회전 또는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311)의 내부에는 상기 제 3 팬(330)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본체(311)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제 3 팬(330)의 구동에 의하여 공기가 유동하는 하우징유로(314)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유로(314)에는, 상기 제 3 팬(330)의 블레이드가 위치될 수 있다.The housing cover 312 is disposed to surround the housing body 311 , and the housing body 311 and the housing cover 312 may be rotated or moved together. The third fan 33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body 311 . In addition, a housing flow path 314 through which air flows by driving the third fan 330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body 311 . A blade of the third fan 330 may be positioned in the housing flow path 314 .

상기 제 3 팬(330)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는 상기 하우징유로(314)를 거쳐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유로(314)는 상기 블레이드가 위치한 공간으로부터 상기 블레이드의 상측 공간까지 연장될 있다.Due to the rotation of the third fan 330 , air may flow upward through the housing flow path 314 . The housing flow path 314 may extend from a space in which the blade is located to a space above the blade.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상측에는, 상기 제 3 팬(330)을 통과한 공기가 배출되는 제 2 토출부(305)를 형성하는 제 1 토출그릴(315)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토출그릴(315)에는, 상기 제 1 토출그릴(315)의 대략 중앙부에 함몰되는 형상을 가진다. 이때, 함몰된 중앙부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설치될 수 있다.A first discharge grill 315 forming a second discharge unit 305 through whic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third fan 330 is discharged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ird fan housing 310 . The first discharge grill 315 has a shape that is recessed in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grill 315 . In this case, the display device 600 may be installed in the recessed central portion.

상기 제 2 토출부(305)는 상기 하우징유로(314)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유로(314)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2 토출부(305)를 경유하여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second discharge part 305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flow path 314 . Accordingly,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ousing flow path 314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10 via the second discharge unit 305 .

즉, 상기 제 2 팬(260),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거쳐 상기 제 3 팬(330)을 향하여 상방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제 3 팬(330)에서, 상기 제 3 팬(330)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at is, the air flowing upward toward the third fan 330 through the second fan 260 ,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 and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is the third fan. In step 330 , it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305 positioned above the third fan 330 .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거친 공기를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으로 가이드 하는 유동 가이드부(32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에는,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으로의 공기 유입을 가이드 하는 유입그릴(325)이 포함된다. 상기 유입그릴(325)은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In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a flow guide part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third fan housing 310 to guide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to the third fan housing 310 ( 320) is further included. The flow guide part 320 includes an inlet grill 325 for guiding the inflow of air into the third fan housing 310 . The inlet grill 325 may have a downwardly concave shape.

그리고,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는, 상기 유입그릴(325)의 형상에 대응하는 제 2 토출그릴(288)이 구비된다.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유입그릴(325)은 상기 제 2 토출그릴(288)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is provided with a second discharge grill 288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let grill 325 . The inlet grill 325 may be seated on an upper side of the second outlet grill 288 . Accordingly, the inlet grill 325 may be stably supported by the second outlet grill 288 .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좌우방향으로의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회전가이드 장치(35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이라 함은, 축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좌우방향으로의 회전을 "제 1 방향 회전", 상기 상하방향으로의 회전을 "제 2 방향 회전"이라 이름할 수 있다.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has a rotation guide device 350 installed below the flow guide part 320 to guide the left-right rotation and the vertical rota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more included. The rotation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may mean rotation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axial direction. The horizontal rotation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rotation” and the vertical rotation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direction rotation”.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350)에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에 결합되는 가이드 본체(351)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 장치(350)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 1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1 가이드 기구 및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제 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제 2 가이드 기구가 포함된다.The rotation guide device 350 includes a guide body 351 coupled to the flow guide part 320 . In addition, the rotation guide device 350 includes a first guide mechanism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in the first direction and a second guide mechanism for guiding the rota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in the second direction. A guide mechanism is included.

이때,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는 상기 가이드 본체(251)의 일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는 상기 가이드 본체(251)의 타 측에 배치된다. 이하에는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가 상기 가이드 본체(251)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가 상기 가이드 본체(251)의 상부에 배치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In this case, the first guide mechanism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uide body 251 , and the second guide mechanism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guide body 251 . Hereinafter, a form in which the first guide mechanism is disposed below the guide body 251 and the second guide mechanism is disposed above the guide body 251 will be described.

도 6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기어모터(363) 및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는 제 1 기어(360)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는, 회전각도의 제어가 용이한 스텝 모터(step motor)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에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guide mechanism includes a first gear motor 363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nd a first gear 360 coupled to the first gear motor 363 to be rotated. For example, the first gear motor 363 may include a step motor that facilitates control of the rotation angle. In addition, the first gear motor 363 may include a motor capable of bidirectional rotation.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제 1 기어모터(363)의 모터 축(363a)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제 1 기어(360)로부터 하방으로, 즉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또는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기어축(362)이 더 포함된다.The first gear 360 is coupled to a motor shaft 363a of the first gear motor 363 . The first guide mechanism includes a first gear shaft 362 extending downward from the first gear 360 , that is, toward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or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 more included.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제 1 랙(276)에 기어 결합된다. 상기 제 1 기어(360) 및 상기 제 1 랙(276)에는, 다수의 기어 이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모터(363)가 구동되면, 상기 제 1 기어(360)는 회전하여, 상기 제 1 랙(276)에 연동한다. 이때,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는 고정된 구성이므로, 상기 제 1 기어(360)는 상기 제 1 랙(27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The first gear 360 is gear-coupled to the first rack 276 of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 A plurality of gear teeth are formed in the first gear 360 and the first rack 276 . And, when the first gear motor 363 is driven, the first gear 360 rotates and interlocks with the first rack 276 . At this time, since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has a fixed configuration, the first gear 360 may be moved along the first rack 276 .

또한,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의 축 가이드홈(277)은 상기 제 1 기어(36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축 가이드홈(277)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상기 제 1 기어(36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축 가이드홈(277)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haft guide groove 277 of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may guide the movement of the first gear 360 . In detail, the first gear shaft 362 may be inserted into the shaft guide groove 277 . In addition, the first gear shaft 362 may be mov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shaft guide groove 277 while the first gear 360 rotates.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회전중심을 구성하는 회전축(354)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기어(360) 및 상기 제 1 기어축(362)은,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설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된 회전반경을 "제 1 회전반경"이라 이름한다. The first guide mechanism further includes a rotation shaft 354 constituting the rotation center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The first gear 360 and the first gear shaft 362 may be rotated with a rotation radius set around the rotation shaft 354 . In this case, the set turning radius is called a “first turning radius”.

상기 제 1 랙(276) 및 상기 축 가이드홈(277)은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회전량 또는 회전각도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랙(276) 및 상기 축 가이드홈(277)의 원주방향 길이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회전하는 원주방향 거리보다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제 1 기어(36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랙(276)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기어축(362)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축 가이드 홈(277)의 단부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first rack 276 and the shaft guide groove 277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mount or rotation angle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In detail,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first rack 276 and the shaft guide groove 277 may be slightly larger than the circumferential distance at which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rotate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irst gear 360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rack 276 while the moving process. In addition, while the first gear shaft 362 moves,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end of the shaft guide groove 277 .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가이드 본체(251)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가이드 본체(25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의 축 삽입부(284)에 삽입되며, 상기 축 삽입부(284) 내에서 회전될 수 있다.The rotation shaft 354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guide body 251 . In detail, the rotation shaft 354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body 251 . The rotation shaft 354 is inserted into the shaft insertion part 284 of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and may be rotated within the shaft insertion part 284 .

즉, 상기 제 1 기어(360)가 회전하면, 상기 제 1 기어축(362) 및 제 1 기어(360)는 상기 회전축(354)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54)은 상기 축 삽입부(284) 내에서 자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세로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제 1 방향, 즉,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first gear 360 rotates, the first gear shaft 362 and the first gear 360 rotat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the rotation shaft 354 . In addition, the rotation shaft 354 rotates within the shaft insertion part 284 . Accordingly,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may be rotated in the first direction, i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with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axial direction.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가이드 본체(351)에 고정되는 고정가이드 부재(352)가 포함된다.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하면에, 상기 중심축(354)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he second guide mechanism includes a fixed guide member 352 fixed to the guide body 351 . The central shaft 354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xing guide member 352 .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는,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하측를 지지하며,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제 2 방향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제 1 가이드면(352a)이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은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 경로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될 수 있다.The fixed guide member 352 includes a first guide surface 352a that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and guides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rst guide surface 352a forms at least a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guide member 352 , and may extend upward in a round manner in response to a rotation path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운동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제 1 가이드베어링(359)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가이드베어링(359)은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The fixed guide member 352 includes a first guide bearing 359 that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and can reduce frictional force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 more included. The first guide bearing 359 may be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first guide surface 352a.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을 위하여, 제 2 기어(365)가 삽입될 수 있는 제 2 기어삽입부(352b)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기어삽입부(352b)는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의 일측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기어삽입부(352b)는,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의 적어도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xed guide member 352 further includes a second gear insertion part 352b into which a second gear 365 can be inserted for rotation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 The second gear insertion part 352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guide surface 352a. For example, the second gear insertion part 352b may be formed by cutt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guide surface 352a.

상기 제 2 기어(365)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 2 기어삽입부(352b)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기어삽입부(352b)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gear 365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upward of the second gear inserting part 352b through the second gear inserting part 352b.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제 2 기어(365)에 결합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기어모터(367)가 더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에는, 스텝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에는, 양방향 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포함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mechanism further includes a second gear motor 367 coupled to the second gear 365 to provide a driving force. For example, the second gear motor 367 may include a step motor. In addition, the second gear motor 367 may include a motor capable of bidirectional rotation.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제 2 기어모터(367)로부터 상기 제 2 기어(365)로 연장되는 제 2 기어축(36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기어축(366)은 상기 제 2 기어모터(367)의 측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구동되면, 상기 제 2 기어축(366)과 상기 제 2 기어(365)는 함께 회전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mechanism further includes a second gear shaft 366 extending from the second gear motor 367 to the second gear 365 . The second gear shaft 366 may protrude laterally of the second gear motor 367 . When the second gear motor 367 is driven, the second gear shaft 366 and the second gear 365 may rotate together.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상기 유동 가이드부(32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The second guide mechanism further includes a rotation guide member 370 disposed above the fixed guide member 352 and rotatably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may be coupled to a lower side of the flow guide part 320 .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 의하여 지지되는 본체부(371)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371)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을 따라 이동하는 제 2 가이드면(372)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면(372)는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의 곡률에 대응하여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includes a body portion 371 supported by the fixed guide member 352 . In addition, the body portion 371 includes a second guide surface 372 that moves along the first guide surface 352a. The second guide surface 372 may be formed to be rounded downward corresponding to the curvature of the first guide surface 352a.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고정가이드 부재(352)에 접촉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회전운동시 발생되는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제 2 가이드베어링(375)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가이드베어링(375)은 상기 제 2 가이드면(372)의 측방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면(352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has a second guide bearing 375 that is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xed guide member 352 and can reduce frictional force generated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 more included. The second guide bearing 375 is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second guide surface 372 , and may move along the first guide surface 352a while 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rotates.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에는, 상기 제 2 기어(365)에 연동하는 제 2 랙(374)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기어(365) 및 상기 제 2 랙(374)에는, 다수의 기어 이가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기어 이를 통하여, 상기 제 2 기어(365)와 상기 제 2 랙(374)은 기어 결합될 수 있다.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further includes a second rack 374 interlocking with the second gear 365 . A plurality of gear teeth are formed in the second gear 365 and the second rack 374, and through the plurality of gear teeth, the second gear 365 and the second rack 374 are gear-coupled to each other. can

상기 제 2 기어모터(367)가 구동하면, 상기 제 2 기어(365)와 상기 제 2 랙(374)의 연동에 의하여,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상기 회전가이드 부재(370)의 움직임에 따라, 제 2 방향 회전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second gear motor 367 is driven, by interlocking the second gear 365 and the second rack 374, 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can perform a vertical rotation movement. there is. Accordingly,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may perform a second direction rota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rotation guide member 370 .

{구획장치}{compartment device}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구획장치(400)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과,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에서 발생되는 공기유동을 분리 또는 차단하기 위한 구획판(430)이 포함된다.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기 제 1, 2 송풍장치(100, 20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back to FIGS. 2 and 3 , the partition device 400 separates or blocks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first blower 100 and the air flow generated by the second blower 200 . A partition plate 430 is included. By the partition plate 430 ,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00 and 200 may be disposed to be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즉, 상기 제 1, 2 송풍장치(100, 200)의 사이에는, 상기 구획판(430)이 위치하는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공간의 하단부에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가 위치하며, 상기 이격공간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 2 송풍장치(200)의 레버 지지장치(560)가 위치될 수 있다.That is, a separation space in which the partition plate 430 is located is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00 and 200 .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90 of the first blower 100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space, and the lever support device 560 of the second blower 200 is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on space. can be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상부공간 및 하부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공간은,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제 1 토출부(105)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유동되는 과정에서 경유되는 제 1 공간부(448)으로서 이해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공간은, 사용자가 공기 청정기(10)를 이동할 때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는 파지공간으로서 제 2 공간부(458)를 구성한다. The separation space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by the partition plate 430 . The lower space is understood as a first space portion 448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unit 105 of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90 flows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10 . do. And, the upper space constitutes the second space 458 as a holding space into which the user can put his hand when moving the air purifier 10 .

상기 제 1 토출부(105)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유동하며, 상기 제 2 송풍장치(2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air discharged from the first discharge unit 105 is guided by the partition plate 430 to flow to the outside of the air purifier 10, and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blower 200 side. there is.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동 전환장치(300)의 상부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운전 정보를 표시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가 구비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play device 600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urifier 10 is provided above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유동전환장치(300)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

도 8,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8 and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상기 토출그릴(31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그릴(315)의 대략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함몰부(318)가 구비되며, 상기 함몰부(318)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을 향하여 다수의 그릴부(315a)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상기 함몰부(318)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8 and 9 , the display device 600 may be installed on the discharge grill 315 . A depression 318 having a downwardly depressed shape is provided at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discharge grill 315, and a plurality of grill portions 315a may extend radially outward from the depression 318. .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600 may be disposed above the depression 318 .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는, PCB 어셈블리(601)가 포함된다. 상기 PCB 어셈블리(601)에는, 다수의 조명원(651, 655)이 구비되는 디스플레이PCB(610) 및 상기 디스플레이PCB(610)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조명원(651)으로부터 조사된 빛을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602)을 향하여 집중시켜 주는 리플렉터(620)가 포함된다. The display device 600 includes a PCB assembly 601 . In the PCB assembly 601 , a display PCB 610 having a plurality of illumination sources 651 and 655 is provided, and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plurality of illumination sources 651 by being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PCB 610 . A reflector 620 for focusing toward the display screen 602 is included.

상기 다수의 조명원(651, 655)에는, 공기 청정기(10)의 운전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조명원(651)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디스플레이 화면(602)의 테두리를 표시하기 위한 제 2 조명원(655)이 포함된다.In the plurality of illumination sources 651 and 655 , a first illumination source 651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urifier 10 and a border of the display screen 602 of the display device 600 are displayed. A second illumination source 655 is included.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602)은 상기 정보가 표시될 수 있는 설정된 영역(이하, 표시영역)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의 상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602)의 테두리는 상기 표시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The display screen 602 is a set a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splay area) in which th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an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apparatus 600 . In addition, the edge of the display screen 602 may form a boundary of the display area.

상기 디스플레이PCB(610)에는, 대략 원형의 플레이트로 마련된다. 상기 제 1 조명원(651)은 상기 디스플레이PCB(610)의 전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조명원(655)이 상기 디스플레이PCB(610)의 후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PCB 610 is provided as a substantially circular plate. The first illumination source 651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display PCB 610 , and the second illumination source 655 may be installed on the rear part of the display PCB 610 .

상기 제 1 조명원(651)은 디스플레이 되는 내용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조명원(655)은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제 2 조명원(655)은 상기 디스플레이PCB(610)의 후면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다수 개의 제 2 조명원(655)은 원형의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the first illumination sources 651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displayed content. A plurality of second illumination sources 655 may be provided, and the plurality of second illumination sources 655 may be disposed along the rear edge of the display PCB 610 .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second illumination sources 655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상기 리플렉터(620)에는, 상기 제 1 조명원(651)에서 조사되는 빛을 상방으로 집중시키는 관통홀(623)이 포함된다. 상기 리플렉터(620)는 빛의 투과가 제한되는 불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상기 불투명한 재질이 코팅되도록 구성된다. The reflector 620 includes a through hole 623 for concentrating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first illumination source 651 upward. The reflector 620 is made of an opaque material that restricts light transmission, or is coated with the opaque material.

상기 리플렉터(620)의 상측에는, 리플렉터 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 필름에는, 디스플레이 되는 정보의 내용, 즉 소정의 문자, 숫자 또는 기호등이 표시되어, 소정의 정보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냄새", "먼지", "미세먼지", "필터교체"와 같은 문자, 숫자를 표시할 수 있는 888 문양, 송풍량의 강도를 나타내는 기호등이 포함될 수 있다.A reflector film may be provided above the reflector 620 . In the reflector film, the content of the displayed information, that is, predetermined letters, numbers, or symbols are displayed, so that predetermined information can be realized. For example, letters such as "smell", "dust", "fine dust", and "replace filter", an 888 pattern that can display numbers, and a symbol indicating the strength of airflow may be included.

이때, 상기 다수의 제 1 조명원(651)의 온/오프 제어에 의하여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In this case, various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by on/off control of the plurality of first illumination sources 651 .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는, 상기 PCB 어셈블리(601)의 외측을 둘러싸는 확산판(630)이 포함된다. 상기 확산판(630)은, 상기 제 2 조명원(655)에서 조사되는 빛을 확산하여 디스플레이 화면(622)의 테두리부(650)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600 includes a diffusion plate 630 surrounding the outside of the PCB assembly 601 . The diffusion plate 630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for forming the edge portion 650 of the display screen 622 by diff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second illumination source 655 .

상기 확산판(630)은 상기 함몰부(318)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확산판(630)에는, 상기 디스플레이PCB(610)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판 본체(631) 및 상기 판 본체(63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 2 조명원(655)이 설치되는 조명수용부(635)가 포함된다. 상기 판 본체(631)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토출그릴(315)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 본체(631) 및 조명수용부(635)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The diffusion plate 630 may be disposed along the edge of the depression 318 . In detail, the diffusion plate 630 is provided with a plate body 631 disposed to surround the display PCB 610 and the second illumination source 655 protruding from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late body 631 . A lighting accommodating unit 635 is included. The plate body 631 may have a ring shape and may be supported by the discharge grill 315 . In addition, the plate body 631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635 may be integrally formed.

상기 판 본체(631) 및 상기 조명수용부(635)는 빛의 굴절 또는 확산이 가능한 반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판 본체(631) 및 조명수용부(635)는 아크릴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plate body 631 and the light accommodating part 635 may be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capable of refraction or diffusion of light. For example, the plate body 631 and the light receiving part 635 may be made of an acrylic material.

상기 판 본체(631)는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622)의 테두리부(650)를 구성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판 본체(631)의 상부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면에 노출된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 2 조명원(655)에서 조사되는 빛은 상기 조명수용부(635) 및 판 본체(631)를 통하여 확산된다. 그리고, 상기 확산된 빛은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상부로 이동하여, 상기 테두리부(650)를 구성할 수 있다.The plate body 631 may constitute the edge portion 650 of the display screen 622 . In detail, the upper portion of the plate body 631 may be in a stat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purifier 10 , and the light irradiated from the second illumination source 655 is the illumination receiving unit 635 . and spread through the plate body 631 . In addition, the diffused light may mov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ir purifier 10 to constitute the edge portion 650 .

상기 판 본체(631) 및 조명수용부(635)는 반투명 재질로 구성되므로, 상기 테두리부(650)는 은은한 빛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편안한 느낌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할 수 있다.Since the plate body 631 and the light accommodating part 635 are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the edge part 650 may be implemented with a soft light. Accordingly, a comfortable display screen can be configure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는, 상기 PCB어셈블리(601)의 상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커버(6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40)는 상기 디스플레이PCB(610)의 외측을 지지하고 커버필름(645)를 편평하게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40)는 빛의 투과를 방지하는 불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600 further includes a display cover 640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PCB assembly 601 . The display cover 640 may be understood as a configuration for supporting the outside of the display PCB 610 and keeping the cover film 645 flat. The display cover 640 may be made of an opaque material that prevents light transmission.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40)에는, 상기 리플렉터 필름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커버홀(641)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홀(641)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리플렉터(620)에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40)가 결합되더라도, 상기 리플렉터 필름는 상방을 향하여 노출될 수 있다. A cover hole 641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flector film is formed in the display cover 640 .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hole 641 , even when the display cover 640 is coupled to the reflector 620 , the reflector film may be exposed upward.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40)의 상측에는, 커버필름(645)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필름(645)은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64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커버필름(645)은, 상기 PCB어셈블리(601)에서 전달되는 빛 중 일부만을 투과시키기 위하여 반투명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투명 재질에는, 아크릴 또는 폴리메타크릴산 메틸수지(PMM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커버필름(645)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통하여 표시되는 정보가 너무 눈부시게 구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cover film 645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isplay cover 640 . For example, the cover film 645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cover 640 . The cover film 645 may be made of a translucent material to transmit only a portion of the light transmitted from the PCB assembly 601 . For example, the translucent material may include acrylic or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PMMA). By providing the cover film 645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600 from being too dazzling.

상기 커버필름(645)에는, 사용자가 소정의 명령을 입력하거나 공기 청정기(10)의 다수의 운전정보 중 일부 운전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필름표시부(646)가 구비된다.The cover film 645 includes a film display unit 646 for the user to input a predetermined command or for displaying some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air purifier 10 .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는 다양한 입력부가 구비된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인식되는 버튼 또는 터치식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리모컨 등의 원거리 신호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부에 소정의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Also, as shown in FIG. 9 , the display device 600 is provided with various input units. The input unit may be provided as a button or touch type recognized by a user's pressing. In addition, a predetermined signal may be input to the input unit using a remote signal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ON/OFF를 위한 전원입력부(660), 각종 모드선택을 위한 모드입력부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모드입력부는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고, 각 모드 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바람세기, 꺼짐예약 등 다양한 기능을 위한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input unit includes a power input unit 660 for ON/OFF of the air purifier 10 and a mode input unit for selecting various modes. In this case, the mode input unit may be provided as one, or may be provided for each mode. In addition,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an input unit for various functions such as wind strength and turn-off reservation may be provided.

{제어장치}{control unit}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제어장치(500)가 구비된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어장치(500)에는, 전원공급부(520) 및 메인 PCB(510)가 포함된다.The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trol device 500 . Referring back to FIGS. 2 and 3 , the control device 500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520 and a main PCB 510 .

상기 전원공급부(520)는, 공기 청정기(10)에 연결되는 전원선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원을 인가받아, 상기 메인 PCB(510) 및 공기 청청기(10) 내의 다수의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상기 전원공급부(520)에는, AC전원용 PCB(파워 PCB)가 포함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520 receives commercial power supplied from a power line connected to the air purifier 10 , and supplies power to a plurality of components in the main PCB 510 and the air purifier 10 . is understood as The power supply unit 520 may include an AC power PCB (power PCB).

또한, 상기 제어장치(500)에는, 상기 전원공급부(520) 및 메인 PCB(510)를 지지하는 위한 PCB지지판(525)이 더 포함된다. 상기 메인 PCB(510)는 상기 PCB지지판(525)의 일면에 지지되고, 상기 전원공급부(520)는 상기 PCB지지판(525)의 타면에 지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500 further includes a PCB support plate 525 for supporting the power supply unit 520 and the main PCB 510 . The main PCB 510 may be supported on one surface of the PCB support plate 525 , and the power supply 520 may be suppor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CB support plate 525 .

또한, 상기 제어장치(500)에는,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515)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통신모듈(515)에는, 와이파이 모듈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515)은 상기 PCB지지판(525)에 지지되며, 상기 메인 PCB(5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500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515 through which the air purifier 10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515 may include a Wi-Fi module. The communication module 515 is supported on the PCB support plate 525 and may be disposed below the main PCB 510 .

상기 메인 PCB(510)에는, 상기 AC전원용 PCB에서 변환된 직류 전압에 의하여 구동되는 DC전원용 PCB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PCB(51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에 구비된 각종 구성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상기 메인 PCB(510)를 제어부라 한다.The main PCB 510 may include a PCB for DC power driven by the DC voltage converted from the PCB for AC power. In this case, the main PCB 510 may be understood a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various components provided in the air purifier 10 . Hereinafter, the main PCB 510 is referred to as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어장치(500)에는, 상기 배터리(700)를 제어하는 구성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700)의 장착, 사용 및 잔량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장치(500)는 상기 전원공급부(520)에서 상용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터리(700)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10)를 구동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500 is provided with a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battery 700 .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mounting, use, and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 In particular, when commercial power is not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520 , the control device 500 may drive the air purifier 10 using the power of the battery 700 .

이하, 상기의 구성을 바탕으로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구동시, 공기의 유동 및 상기 유동전환장치의 움직임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flow of air and the movement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when the air purifier 10 is driven based on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공기 청정기의 작동][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에서의 공기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10 and 11 are diagrams illustrating air flow in the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며, 상기 제 1 송풍장치(100)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설명한다. 상기 제 1 팬(160)이 구동하면, 상기 제 1 흡입부(102) 및 베이스흡입부(103)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상기 제 1 케이스(1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상기 제 1 필터부재(1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 the flow of air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irst blower 100 will be described. When the first fan 160 is driven,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first case 101 through the first suction unit 102 and the base suction unit 103 . The sucked air passes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and in this proces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may be filtered. And, while the air passes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the air is sucked in and filter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filter member 120 , and then flows upward.

상기 제 1 필터부재(12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1 팬(1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1, 2 에어가이드 장치(170, 1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2 에어가이드 장치(170, 18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를 지나며,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상방으로 유동한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filter member 120 flows upward in the radial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fan 160 , and a stable upward flow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ir guide devices 170 and 180 . is done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ir guide devices 170 and 180 passes through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90 and flows upwar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unit 105 .

상기 제 1 토출부(105)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가이드 장치(190)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구획판(43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외부로 배출된다.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discharge unit 105 is guided by the partition plate 430 positioned above the first discharge guide device 190 and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ir cleaner 10 .

한편, 상기 제 2 팬(260)이 구동하면, 상기 제 2 흡입부(202)를 통하여 실내공기가 상기 제 2 케이스(201)의 내부로 흡입된다.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며, 이 과정에서 공기 중 이물이 필터링 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가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는 상기 제 2 필터부재(220)의 반경방향으로 흡입하여 필터링 된 후, 상방으로 유동한다. Meanwhile, when the second fan 260 is driven, indoor air is sucked into the second case 201 through the second suction unit 202 . The sucked air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and in this process, foreign substances in the air may be filtered. And, while the air passes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 the air is sucked in and filter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 and then flows upward.

상기 제 2 필터부재(22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2 팬(160)을 통과하면서 반경방향 상측으로 유동하며,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하면서 안정적인 상방 유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에어가이드 장치(270) 및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ilter member 220 flows upward in the radial direction while passing through the second fan 160 , and operates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and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 A stable upward flow is achieved as it passes.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third air guide device 270 and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305 via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이때,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상기 제 2 가이드 기구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제 1 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방으로 유동된다.In this case,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may be rotatably provi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second guide mechanism.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 when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flows upward.

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가 제 2 위치에 있으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서 배출된 공기는 전방 상측을 향하여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 의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10)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풍량은 증가되고, 상기 공기 청정기(10)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까지 정화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1 , when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air discharged from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may flow toward the front upper side. Therefore, by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the amount of air discharged from the air purifier 10 is increas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purified air can be supplied to a location far away from the air purifier 10. .

상세하게는,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의 상기 제 3 팬(330)이 구동되면, 상기 제 2 토출가이드 장치(280)에서 배출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의 공기가 상기 제 3 팬하우징(3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 3 팬(330)을 통과하고, 상기 제 2 토출부(30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third fan 330 of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is driven, at least som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second discharge guide device 280 is removed from the third fan housing 310 .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 addition, the introduced air may pass through the third fan 330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econd discharge unit 305 .

또한,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가이드 기구에 의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작용에 의하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전방 양측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넓은 실내공간을 향하여 기류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In addition,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may be rota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first guide mechanism in the second position. According to this action, air can be discharged to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air purifier 10, and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airflow can be provided toward a relatively large indoor space.

또한,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에는 별도의 제 3 팬(330)이 구비되므로, 토출되는 공기의 송풍력이 증가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separate third fan 330 is provided in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 the blowing force of the discharged air may be increased.

공기 청정기(10)의 운전모드에 따라,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청정기(10)가 일반운전 모드(제 1 운전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누워져 있는 제 1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 송풍장치(100,200)가 구동하여, 독립된 다수의 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operation mode of the air purifier 10,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may act selectively. For example, when the air purifier 10 is operated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the first operation mode), as shown in FIG. 10 ,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is in the first lying position.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00 and 200 may be driven to form a plurality of independent airflows.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유동전환 모드(제 2 운전모드)로 운전되는 경우,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공기 청정기(10)의 상단부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참고로, 유동전환 모드에서, 상기 제 1, 2 송풍장치(100, 200)의 구동은 일반운전 모드에서의 제 1, 2 송풍장치(100, 200)의 구동모습과 동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purifier 10 is operated in the flow conversion mode (the second operation mode), as shown in FIG. 11 ,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is moved upward, It may protrude from the upper end. For reference, in the flow conversion mode, the driving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00 and 20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and second blowers 100 and 200 in the normal operation mode.

또한, 상기 유동전환 장치(300)는 각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회전을 하면서,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기류를 변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may change the airflow of the air purifier 10 while rotating in each position.

이하, 앞서 설명한 제어부(51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air purifier 10 controlled by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510 will be described.

[공기 청정기의 제어][Control of the air purifier]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configuration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각종 구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510)가 구비된다. 각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기의 설명을 인용하고, 상기 제어부(510)에 의한 구성 제어에 대해서만 설명한다.12, the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510 for controlling various configurations. For the description of each configuration, the above description is cited, and only configuration control by the controller 510 is described.

상기 제어부(510)는 각 구성을 ON/OFF하거나 단계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일부 구성만을 도시하였고, 상기 제어부(510)에서 제어되는 구성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control unit 510 may turn on/off each configuration or control step-by-step. 12 shows only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air purifier 10, the configuration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510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제 1 팬모터(165), 상기 제 2 팬모터(265) 및 상기 제 3 팬모터(335)를 각각 ON/OFF하거나 RPM을 조절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제 1 팬(160), 상기 제 2 팬(260) 및 상기 제 3 팬(330)이 각각 ON/OFF되거나, 소정의 풍량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팬(160), 상기 제 2 팬(260) 및 상기 제 3 팬(330)은 RPM제어에 따라 다양한 단계의 풍량으로 구동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10 may control ON/OFF of the first fan motor 165, the second fan motor 265, and the third fan motor 335, respectively, or control RPM. there is. Accordingly, the first fan 160 , the second fan 260 , and the third fan 330 may be turned on/off, respectively, or driven at a predetermined air volume. In this case, the first fan 160 , the second fan 260 , and the third fan 330 may be driven at various air volumes according to RPM control.

또한,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제 1 기어모터(363) 및 상기 제 2 기어모터(365)를 제어하여 상기 제 1 기어(360) 및 상기 제 2 기어(367)를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유동전환장치(300)를 상하방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켜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510 may control the first gearmotor 363 and the second gearmotor 365 to drive the first gear 360 and the second gear 367 . That is, it can be controlled by moving or rotating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up and down.

또한,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센서장치(137, 237), 상기 이오나이저(158, 258) 및 상기 통신모듈(515)을 ON/OFF시키거나, 그 단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에만 상기 통신모듈(515)을 ON시키거나, 공기의 오염도가 비교적 높은 경우에만 상기 이오나이저(158, 258)를 ON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10 may turn ON/OFF the sensor devices 137 and 237 , the ionizers 158 and 258 ,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515 , or control the steps thereof.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module 515 may be turned on only when there is a predetermined input signal, or the ionizers 158 and 258 may be turned on only when the air pollution level is relatively high.

또한,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디스플레이PCB(610)를 제어하여 소정의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제 1 조명원(651) 및 상기 제 2 조명원(655)를 모두 ON하여 소정의 정보를 가시화하거나, 상기 제 1 조명원(651)만을 ON하며 비교적 어두운 상태로 정보를 가시화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ler 510 may control the display PCB 610 to visualize predetermined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10 turns on both the first illumination source 651 and the second illumination source 655 to visualize predetermined information, or turns on only the first illumination source 651 and relatively Information can be visualized in a dark state.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된 신호가 상기 제어부(5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에서는 다양한 신호들이 입력될 수 있도록 마련되나, 설명의 편의상 전원입력부(660), 절전입력부(662)만을 도시하였다.A signal input from the input unit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10 . At this time, the input unit is provided so that various signals can be input, but only the power input unit 660 and the power saving input unit 662 are illustra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전원입력부(660)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 청정기(10)를 ON/OFF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절전입력부(662)에서 전달된 신호에 따라 상기 공기 청정기(10)를 절전모드로 운전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10 may turn on/off the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wer input unit 660 . Also, the control unit 510 may operate the air purifier 10 in 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wer saving input unit 662 .

이와 같은 상기 입력부에서 전달되는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에 해당됨으로 일반적으로 우선되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입력부의 입력이 없어도 소정의 조건에 해당되면 상기 공기 청정기(10)를 ON/OFF하거나 소정의 운전모드로 운전할 수 있다.As such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nput unit corresponds to a signal input by a user, it may be generally prioritized and controll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10 may turn on/off the air purifier 10 or operate in a predetermined operation mode when a predetermined condition is satisfied even if there is no input from the input unit.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520)에서 입력된 신호가 상기 제어부(510)에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부(520)는 외부전원과의 결합 및 분리에 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520)에서 외부전원과의 분리를 알리는 경우,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배터리(700)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청정기(10)를 제어한다.Also, a signal input from the power supply unit 52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10 . In this case, the power supply unit 520 may transmit information regarding coupling and separation with an external power source. When the power supply unit 520 notifies separation from external power, the control unit 510 controls the air purifier 10 using the power of the battery 700 .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 청정기(10)에는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을 감지하는 배터리잔량감지부(710)가 포함된다. 상기 배터리잔량감지부(710)는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510)에 제공하는 일종의 전기회로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ir purifier 10 according to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remaining amount detection unit 710 for detecting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 The remaining battery level detecting unit 710 may be understood as a kind of electric circuit that detect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and provides it to the control unit 510 .

예를 들어, 상기 배터리잔량감지부(710)는 외부전원과 분리된 상태로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동작될 때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을 상기 제어부(51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10)는 전달받은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가시화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remaining battery level detecting unit 710 may provid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to the controller 510 when the air purifier 10 is operated in a state separated from external power. Also, the controller 510 may visualize the received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of the battery 700 on the display device 600 .

또한,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소정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전원연결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에 가시화하고 절전모드로 운전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통신모듈(515)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단말기에 직접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falls below a predetermined level, the power connection may be visualized on the display apparatus 600 and the vehicle may be operated in a power saving mode. In addition, information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user's terminal using the communication module 515 .

그리고,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운전을 위한 전력보다 적은 경우,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OFF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OFF는 상기 제 1 송풍장치(100), 상기 제 2 송풍장치(200) 및 상기 유동전환장치(300)가 구동되지 않는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is less than the power for driving the air purifier 10 , the air purifier 10 may be turned off. In this case, the OFF of the air purifier 10 may be understood as a state in which the first blower 100 , the second blower 200 ,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300 are not driven.

이와 같이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동작시,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동작을 위한 상기 배터리(700) 잔량을 가시화한다. 즉, 상기 배터리(700)에 잔량이 남아 있어도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동작을 위한 최소전력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을 0%로 표시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air purifier 10 is operated, the controller 510 visualize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 . That is, even i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is less than the minimum power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may be displayed as 0%.

이하에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20%일 때,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동작을 위한 동작최소값이라 한다. 즉,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20%이하인 경우,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OFF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600) 또는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없음을 가시화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is 20%, it is referred to as the minimum operation value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purifier 10 . That is,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is 20% or less, the air purifier 10 is turned off and the display device 600 or the user terminal visualizes the absence o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

한편, 상기 배터리(700)는 소정의 시간동안 사용되지 않는 경우, 자연방전될 수 있다. 즉, 상기 배터리(700)를 사용하지 않아도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점점 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소정수치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충전이 불가능한 완전방전상태가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ttery 700 is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time, it may be discharged naturally. That i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may gradually decrease even if the battery 700 is not used. At this tim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falls below a predetermined value, it is in a fully discharged state in which charging is impossible.

즉, 완전방전상태가 되면 상기 배터리(700)를 충전하여 다시 사용할 수 없고,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 배터리(700)를 교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배터리(700)의 교체는 사용자에게 비용적인 부담과 불편함을 줄 수 있다.That is,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the battery 700 cannot be recharged and used again, and the battery 700 must be replaced for use. Such replacement of the battery 700 may give a user a cost burden and inconvenience.

이하에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5% 이하일 때, 상기 배터리(700)를 완전방전상태라 한다. 즉,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5%이하인 경우, 더이상 상기 배터리(700)를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is 5% or less, the battery 700 is referred to as a fully discharged state. That is,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is 5% or less, the battery 700 can no longer be used.

이와 같은 상기 배터리(700)의 완전방전상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터리잔량감지부(71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OFF된 상태에서도 동작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OFF상태에도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을 알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he battery 700 from being completely discharged as described above, the remaining battery level detecting unit 710 is provided to operate even when the air purifier 10 is turned off. That is, even when the air purifier 10 is in an OFF state, the control unit 510 can know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배터리(700)가 완전방전상태에 도달되기 전에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사용자에게 이를 알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10)는 상기 통신모듈(515)를 ON하여 사용자단말기에 해당 정보를 알릴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510 may notify the user to take an appropriate action before the battery 700 reaches a fully discharged state.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510 may turn on the communication module 515 to notify the user terminal of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이때, 상기 제어부(510)가 상기 통신모듈(515)을 ON하고 소정의 정보를 전송할 때 필요로 하는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을 출력최소값이라 한다. 이하에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7~13%범위 내일 때를 출력최소값의 범위라 한다. 즉, 출력최소값의 범위는 완전방전상태보다는 크고, 동작최소값보다는 작을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required when the controller 510 turns on the communication module 515 and transmits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referred to as the minimum output value.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 range of the minimum output value is referred to as a tim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is within a range of 7 to 13%. That is, the range of the minimum output value may be larger than the fully discharged state and smaller than the minimum operating value.

이와 같은 수치는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에 해당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수치에 한정되지 않는다.Such numerical values are exemplary for understanding.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numerical values.

또한, 상기 제어부(510)로 소정의 시간에 해당되는 정보를 제공하는 타이머(7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720)는 다양한 용도로 상기 제어부(510)에 의해 소정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이머(720)는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OFF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510)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 timer 720 that provide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time to the controller 510 may be provided. The timer 720 may measure a predetermined time by the controller 510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the timer 720 may measure the time for which the air purifier 10 maintains an OFF state and provide it to the control unit 510 .

도 12를 참고하여 도 13에 도시된 공기 청정기 OFF시, 배터리 잔량에 따른 조치의 일 예를 자세하게 후술한다.An example of the action according to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when the air purifier shown in FIG. 13 is OFF with reference to FIG. 12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의 제어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n air pur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OFF에 해당된다(S10). 또한, 상기 타이머(720)에 의해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OFF된 상태로 유지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13, the air purifier 10 corresponds to OFF (S10). In addition, the time for which the air purifier 10 is maintained in an OFF state may be measured by the timer 720 .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OFF된 상태로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된 경우, 상기 배터리잔량감지부(710)에 의해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측정된다. 한편,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OFF된 상태로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되지 않은 경우, 대기상태(S25)를 유지한다. 이때, 대기상태는 상기 공기 청정기(10)의 모든 기능이 OFF된 상태를 의미한다.When the air purifier 10 is kept in the OFF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is measured by the remaining battery level detecting unit 710 . On the other hand, when the air purifier 10 is not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n the OFF state, the standby state S25 is maintained. At this time, the standby state means a state in which all functions of the air purifier 10 are turned off.

필요에 따라, 이와 같은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 측정은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OFF된 후,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계속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배터리(700)가 완전방전상태에 도달되기에는 비교적 오랜 시간이 소모됨으로 계속적인 잔량 측정은 오히려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을 소모하는 결과가 될 수 있다.If necessary, the measurement o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may be continuously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fter the air purifier 10 is turned off. However, since it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for the battery 700 to reach the fully discharged state, continuous measurement of the remaining amount may result in consumption o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

따라서,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OFF되고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된 후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S30). 예를 들어, 상기 공기 청정기(10)가 OFF되고 그 상태가 30일동안 유지된 경우,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ly, after the air purifier 10 is turned off and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it is possible to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 S30 ). For example, when the air purifier 10 is turned off and the state is maintained for 30 day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may be checked.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출력최소값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배터리(700)의 완전방전이 예상됨을 알리기 위해 상기 통신모듈(515)을 ON한다(S50). 이때,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출력최소값 범위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즉, 상기 출력최소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대기상태(S25)를 유지한다.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is within the output minimum value range, the communication module 515 is turned on to inform that the battery 700 is expected to be completely discharged (S50). At this tim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does not fall within the range of the minimum output value, that is, when it is higher than the minimum output value, the standby state S25 is maintained.

이때, 상기 대기상태(S25)에서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계속하여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확인된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may be checked continuously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 the standby state S25 . Also,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may be checked again at different time intervals according to the checked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

즉,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출력최소값에 가까울수록 보다 짧은 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80%이상인 경우, 30일 후에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이 20%이하인 경우, 1일 후에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That is, a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is closer to the minimum output valu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may be checked at shorter time intervals. For example, when the measured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is 80% or mor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may be checked after 30 days. Meanwhile, when the measured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is 20% or les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may be checked after one day.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515)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배터리(700)의 완전방전상태가 임박했음을 알린다. 이때, 전원연결여부를 파악하고(S60), 상기 전원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배터리(700)에 전원을 연결할 것을 알릴 수 있다(S65).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is notified that the fully discharged state of the battery 700 is imminent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515 .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power is connected (S60), and when the power is not connected, it is possible to notify that the power is connected to the battery 700 (S65).

한편, 상기 전원이 연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배터리(700)가 완전방전상태가 임박한 경우, 상기 전원과 상기 배터리(700)와의 연결상태가 불량임을 알린다.(S70) 자세하게는, 전원의 연결상태확인 및 부품의 교체 등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battery 700 is in a fully discharged state even though the power is connected, it is notified that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ower and the battery 700 is bad. (S70) Specifically, check the connection state of the power and It is possible to notify the user of replacement of parts, etc.

정리하자면, 공기 청정기가 OFF된 상태에서도 상기 배터리잔량감지부(710)에 의해 상기 배터리(700)의 잔량을 감지하여, 상기 배터리(700)의 완전방전상태를 방지할 수 있다.In summary,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air purifier is turned of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700 is detected by the remaining battery level detecting unit 710 to prevent the battery 700 from being completely discharged.

10 : 공기 청정기 100 : 제 1 송풍장치
200 : 제 2 송풍장치 300 : 유동전환장치
400 : 구획장치 500 : 제어장치
510 : 제어부 520 : 전원공급부
600 : 디스플레이 장치 700 : 배터리
710 : 배터리잔량감지부
10: air purifier 100: first blower
200: second blower 300: flow conversion device
400: compartment device 500: control device
510: control unit 520: power supply unit
600: display device 700: battery
710: battery level detection unit

Claims (15)

소정의 전력을 구비한 배터리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공기 청정기가 OFF되고,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공기 청정기가 OFF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확인하고,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출력최소값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통신모듈을 ON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사용자에게 상기 배터리의 완전방전상태가 예상됨을 알리며,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출력최소값 범위 내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대기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In the control method of an air purifier having a battery with a predetermined power,
The air purifier is off,
If the air purifier is maintained in the OFF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check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falls within the range of the minimum output value, the communication module is turned on,
Notifying the user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at the fully discharged state of the battery is expected,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does not fall within the range of the minimum output value,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intained in a standby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최소값의 범위는 상기 통신모듈을 ON하여 소정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최소전력값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nge of the minimum output value is the range of the minimum power value required to transmit predetermined information by turning on the communication modu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완전방전상태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소정의 범위 이하로 방전되어 충전이 불가능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fully discharged state of the battery is a control method of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discharged below a predetermined range and charging is impossibl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가 완전방전상태가 되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은 상기 출력최소값 범위보다 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n the fully discharged state is less than the output minimum value rang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상태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다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standby state,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checked again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상태에서는 이전에 확인된 상기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서로 다른 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다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standby state,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checked again at different time intervals according to the previously checked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상태에서는 이전에 확인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출력최소값에 가까울수록 보다 짧은 시간 간격으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을 다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In the standby state, as the previously checked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closer to the minimum output value,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s checked again at a shorter time interv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출력최소값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전원과의 연결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전원과 연결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전원을 연결할 것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falls within the output minimum value range, check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power source,
When it is not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notification to connect the power sourc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과 연결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전원과 상기 배터리와의 연결상태 불량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의 제어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n connected to the power source, the control method of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module to notify the failure of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ower source and the battery.
제 1 송풍장치;
상기 제 1 송풍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2 송풍장치;
상기 제 2 송풍장치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유동전환장치;
상기 제 1 송풍장치, 상기 제 2 송풍장치 및 상기 유동전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제 1 송풍장치, 상기 제 2 송풍장치 및 상기 유동전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가능하게 마련되는 통신모듈;
상기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정보를 전달하는 제어부;가 포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송풍장치, 상기 제 2 송풍장치 및 상기 유동전환장치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a first blower;
a second blower provided above the first blower;
a flow conversion device movably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blower;
a battery for supplying power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wer, the second blower,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a communication module installed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wer device, the second blower device,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to communicate with a user terminal;
a control unit that stores information o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and transmits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ontrol unit, even when the first blower device, the second blower device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are not driven,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o transfer the remaining amount information of the battery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소정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최소 배터리 잔량을 출력최소값의 범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minimum remaining battery amount for transmitt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in the range of the output minimum valu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잔량이 상기 출력최소값의 범위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배터리가 충전불가능한 상태가 되는 완전방전상태가 예상됨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falls within the range of the minimum output value,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o the user terminal that the battery is expected to be in a fully discharged state in which the charging is impossibl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송풍장치, 상기 제 2 송풍장치 및 상기 유동전환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동작시키기 위한 최소 배터리의 잔량을 동작최소값으로 저장하고,
상기 출력최소값의 범위는 상기 동작최소값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trol unit stores the remaining amount of a minimum battery for operating at least one of the first blower, the second blower, and the flow conversion device as an operating minimum value,
The range of the minimum output value is an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maller than the operation minimum value.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송풍장치, 상기 제 2 송풍장치 및 상기 유동전환장치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가 소정의 시간동안 유지된 경우,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배터리의 잔량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청정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first blower device, the second blower device, and the flow switching device are not driven for a predetermined time is maintain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ir purifier, characterized in that.
KR1020170144954A 2017-11-01 2017-11-01 Air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732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954A KR102373239B1 (en) 2017-11-01 2017-11-01 Air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954A KR102373239B1 (en) 2017-11-01 2017-11-01 Air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288A KR20190049288A (en) 2019-05-09
KR102373239B1 true KR102373239B1 (en) 2022-03-11

Family

ID=66545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954A KR102373239B1 (en) 2017-11-01 2017-11-01 Air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3239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5367A (en) * 1999-04-02 2000-11-15 변기홍 Wireless Reporting Apparatus Using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743233B1 (en) * 2013-01-30 2017-06-05 주식회사 케이티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sidual quantity information of EV battery
KR102122249B1 (en) * 2013-10-15 2020-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ioni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9288A (en)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23885B (en) Air cleaner
CN112013488A (en) Air cleaner
KR102390196B1 (en) Air cleaning system
KR102346638B1 (en) Air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88890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024171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160152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044163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034683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373239B1 (en) Air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00285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20220110150A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446867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1955877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188884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506486B1 (en) Air cleaning apparatus and clean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2510228B1 (en) Air clean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27919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127936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160149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447440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445947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188897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060745B1 (en) Air cleaning apparatus
KR102044167B1 (en) Air clea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