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766B1 -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766B1
KR102370766B1 KR1020210092967A KR20210092967A KR102370766B1 KR 102370766 B1 KR102370766 B1 KR 102370766B1 KR 1020210092967 A KR1020210092967 A KR 1020210092967A KR 20210092967 A KR20210092967 A KR 20210092967A KR 102370766 B1 KR102370766 B1 KR 102370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current
total return
previous day
mar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2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석
서성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뮤직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뮤직카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뮤직카우
Priority to KR1020210092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7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은 현재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 중에서,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을 선택하는 단계,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전일 미리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한 전일 시가총액을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현재 시가총액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현재 시가총액 및 수신된 전일 시가총액을 기초로 현재 평가손익률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현재 평가손익률을 기초로 현재 총수익률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현재 총수익률 및 전일 총수익지수를 기초로 현재 총수익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METHOD FOR CALCULATING AND PROVIDING AN INDEX ON COPYRIGHT}
본 개시는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저작권 시장가 및/또는 저작권료 수익을 기초로 저작권에 관한 수익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작권(copyright)'이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문학, 예술, 학술에 속하는 창작물에 대하여 저작자나 그 권리 승계인이 행사할 수 있는 독점배타적 권리를 말한다. 저작권법에 따르면, 저작권은 저작자의 사후 70년까지 보호되며, 저작권자는 저작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양도할 수 있다.
저작권은 그 가치가 급락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저작권자는 매달 저작권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저작권은 리스크가 적고 꾸준한 배당이 발생하는 훌륭한 투자 수단으로 인정받고 있다. 최근에는 저작권 거래 플랫폼이 등장해, 이를 통해 저작권 또는 저작권과 연관된 종목이 주식과 같이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다. 다만, 저작권에 관한 가격 변화 또는 수익을 나타내는 지표가 없어, 투자자들이 저작권 관련 시장의 현황을 확인할 수 없는 것이 현 실정이다.
한편, 주식의 경우, 새로운 종목의 상장이 빈번하게 일어나지 않으며, 상장 종목의 시가총액이 전체 시가총액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 따라서 KOSPI, KOSDAQ 등과 같은 시가총액 기반의 지수가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반면, 이러한 시가총액 기반의 지수로는 저작권 관련 시장의 현황이나 흐름을 나타내기 어렵다. 매일 새로운 저작물이 생성되어 새로운 저작권이 발생하며, 저작권 거래 플랫폼에 매일 새로운 종목이 등록되어 시가총액은 대부분 매일 증가한다. 따라서 시가총액을 기준으로 한 지수는 큰 의미를 가지기 어렵다. 또한, 저작권 또는 저작권과 연관된 종목을 보유하고 있는 동안 매달 저작권료 수익이 발생하며, 저작권 또는 저작권과 연관된 종목의 가격 변동보다도 저작권료 수익에 중점을 두는 투자자들이 적지 않다는 특이점이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방법 또는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은 현재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 중에서,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을 선택하는 단계,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전일 미리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한 전일 시가총액을 수신하는 단계,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현재 시가총액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현재 시가총액 및 수신된 전일 시가총액을 기초로 현재 평가손익률을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현재 평가손익률을 기초로 현재 총수익률을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현재 총수익률 및 전일 총수익지수를 기초로 현재 총수익지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은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저작권료 지급총액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저작권료 지급총액 및 전일 시가총액을 기초로 저작권료 수익률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현재 총수익률은 현재 평가손익률에 결정된 저작권료 수익률을 더하여 결정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권료 수익률은 저작권료 지급총액에 전일 시가총액을 나누어 결정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은 미리 지정된 시점 기준으로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은, 미리 지정된 시점 기준으로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 중에서,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 각각의 전일 시가총액이 미리 지정된 순위 내에 속한 종목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평가손익률은 현재 시가총액에서 전일 시가총액을 뺀 값에서 전일 시가총액을 나누어 결정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총수익지수는 현재 총수익률에 1을 더한 값에 전일 총수익지수를 곱하여 산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은 현재 총수익지수, 현재 전일비, 현재 등락률, 미리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한 매일의 총수익지수, 매일의 전일비 또는 매일의 등락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시가총액, 현재 평가손익률, 현재 총수익률 및 총수익지수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가의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갱신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매일 새로운 저작권이 발생하고, 매일 새로운 종목이 저작권 거래 플랫폼에 등록되는 저작권 관련 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저작권 관련 시장의 표준을 제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권료 지급에 따른 수익을 추가로 반영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투자자들에게 더 정확한 투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매일의 총수익지수, 전일비 또는 등락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함으로써, 이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은 저작권 관련 시장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거래 플랫폼에서 저작권 거래가 이루어지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거래 플랫폼에서 신규 종목에 대한 옥션(auction)이 진행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총수익지수를 산출하는 과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총수익률을 결정하고, 현재 총수익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복수의 A의 각각' 또는 '복수의 A 각각'은 복수의 A에 포함된 모든 구성 요소의 각각을 지칭하거나, 복수의 A에 포함된 일부 구성 요소의 각각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본 개시에서, '시스템'은 서버 장치와 클라우드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클라우드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시스템은 서버 장치와 클라우드 장치가 함께 구성되어 동작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디스플레이'는 컴퓨팅 장치와 연관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칭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제어되거나 컴퓨팅 장치로부터 제공된 임의의 정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저작권(Copyright)'이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문학, 예술, 학술에 속하는 창작물에 대하여 저작자나 그 권리 승계인이 행사할 수 있는 독점배타적 권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저작권은 저작권의 일부 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작권은 저작물을 일반공중이 향유할 수 있도록 매개하는 자에게 부여한 권리인 저작인접권(Neighboring Copyright)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저작권은 저작권 또는 그의 일부 지분과 연관된 거래 종목, 저작인접권 또는 그의 일부 지분과 연관된 거래 종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이란, 저작권 또는 저작권과 연관된 종목이 사용자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거래 가능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거래 가능한'이란 매수 또는 매도 주문을 자유롭게 할 수 있으며, 거래 조건 성립(예를 들어,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 일치)에 따라 실시간으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은 저작권 거래 플랫폼 상에서 거래 가능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거래 플랫폼에서 저작권 거래가 이루어지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저작권 거래 플랫폼에서 사용자들은 저작권 또는 저작권과 연관된 거래 종목을 자유롭게 거래할 수 있다. 하나의 종목은 하나의 저작물과 연관되거나, 복수의 저작물과 연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 종목은 'A' 가수의 'a' 곡과 연관될 수 있으며, '나' 종목은 'B' 가수의 'b1'곡, 'b2'곡 및 'b3'곡과 연관될 수 있고, '다' 종목은 'C' 가수의 'c'곡 및 'D' 가수의 'd곡'과 연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현재 거래 가능한 종목들의 목록(110)을 열람할 수 있다. 목록(110)은 현재 시장가, 전일비, 종목과 연관된 저작물의 제목, 실연자 정보, 저작권료 수익, 현재 시장가 대비 저작권료 수익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목록(110) 중 하나의 종목을 선택하여, 선택된 종목(112)의 거래 정보 및 저작권료 정보 페이지(120)를 열람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거래 정보 및 저작권료 정보 페이지(120)에서 선택된 종목(112)의 한 주당 현재 시장가(122), 전일비, 거래량, 거래가, 거래가 차트, 저작권료 정보 등을 열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구매 버튼 또는 판매 버튼을 터치 또는 클릭하여, 구매 및 판매 페이지(130)를 열람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된 종목(112)을 한 주 단위로 구매할 수 있으며, 선택된 종목(112)의 한 주는 선택된 종목(112)과 연관된 저작물에 대한 저작권의 일부 지분과 연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매 및 판매 페이지(130)는 판매 호가 정보(132) 및 구매 호가 정보(134)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종목을 구매하려는 사용자는 구매 호가와 구매 수량을 지정하여 구매 주문을 할 수 있다. 구매 호가가 판매 호가와 일치하는 경우, 일치하는 수량만큼 일치하는 가격으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구매 호가가 판매 호가보다 큰 경우, 구매 호가가 판매 호가보다 큰 수량만큼 판매 호가의 가격으로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거래가 이루어지는 경우, 시장가(122)는 거래 가격으로 갱신될 수 있다. 선택된 종목(112)을 판매하고자 하는 사용자 역시 이와 유사한 방식으로 선택된 종목(112)을 한 주 단위로 판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며, 시장가(122)는 실시간으로 변동될 수 있다. 특정 종목의 현재 시가총액은 해당 종목의 한 주당 현재 시장가에 해당 종목의 총 주 수를 곱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특정 종목의 현재 시가총액은 시장가의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특정 종목을 보유한 사용자는 보유한 종목과 연관된 저작물의 저작권료 중 보유 수량과 연관된 지분에 대응되는 금액만큼 저작권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가' 종목의 한 주가 'a'곡의 저작권의 1/1000 지분과 연관되는 경우, '가' 종목을 10주 보유하고 있는 사용자는 'a'곡 저작권료의 1/100을 지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권료는 특정한 규칙에 따라 지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작권료는 매월 첫 영업일에 지급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 거래 플랫폼에서 신규 종목에 대한 옥션(auction)이 진행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저작권 거래 플랫폼에 신규 종목이 등록되기 전, 신규 종목에 대한 옥션이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진행 중인 옥션 종목의 목록(210)을 열람할 수 있으며, 목록(210) 중 하나의 종목을 선택하여 선택된 종목(212)의 옥션 페이지(220)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옥션 페이지(220)는 옥션 대상 종목, 대상 종목과 연관된 저작물에 대한 정보, 남은 시간, 옥션 수량, 시작 가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옥션 페이지(220)는 한 주당 입찰 가격 및 해당 가격의 입찰 수량, 예상 결과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찰 가격 및 입찰 수량을 지정하여 입찰 주문을 할 수 있다. 낙찰은 옥션 종료 시점에 입찰 가격이 높은 순으로 옥션 수량만큼 이루어질 수 있다. 낙찰을 받은 사용자는 해당 종목의 낙찰 수량만큼의 초기 보유자가 될 수 있다. 옥션이 종료된 종목은 저작권 거래 플랫폼에 거래 가능한 종목으로 등록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들에 의해 자유롭게 거래될 수 있다. 즉, 옥션이 종료된 시점부터 '거래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옥션이 종료된 신규 종목은 옥션이 종료된 날 다음 날 거래 시작 시점부터 지수 산출 대상 종목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4시간 거래가 가능한 경우, 옥션이 종료된 신규 종목은 옥션 종료일 다음날 00시 00분부터 지수 산출 대상 종목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총수익지수(380)를 산출하는 과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프로세서는 현재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 중에서,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을 선택할 수 있다.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은 사용자들 사이에서 자유롭게 거래될 수 있는 저작권 또는 저작권과 연관된 종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은 저작권 거래 플랫폼 상에서 거래가 가능한 복수의 종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은 미리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지정된 시점은 전일의 거래 마감 시점일 수 있다. 즉,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은 전일 거래 마감 시점을 기준으로 거래 가능한 종목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은 미리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 중에서, 전일 시가총액(320)이 미리 지정된 순위 내에 속한 종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은 전일 24시 00분 기준으로 시가총액이 100위 내에 속한 복수의 종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전일 미리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한 전일 시가총액(320)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지정된 시점은 전일의 거래 마감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종목이 24시간 거래 가능한 경우, 미리 지정된 시점은 전일 24시 00분일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전일 시가총액(320) 산출의 기준이 되는 미리 지정된 시점은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을 선택하는 기준 시점이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일 시가총액(320)은 내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외부 시스템 등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전일 시가총액(320)은 내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프로세서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전일 미리 지정된 시점 기준에서의 시장가를 모두 더하여 전일 시가총액(320)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현재 시가총액(310)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현재 시장가를 모두 더하여 현재 시가총액(310)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시가총액(310)은 내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복수의 대상 종목의 현재 시장가에 기초하여 프로세서에 의해 산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현재 시가총액(310)은 내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외부 시스템 등으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현재 시가총액(310) 및 전일 시가총액(320)을 기초로 현재 평가손익률(340)을 결정할 수 있다. 평가손익률(340)에는 저작권 또는 저작권과 연관된 종목의 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률이 반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현재 시가총액(310)에서 전일 시가총액(320)을 뺀 값에서 전일 시가총액(320)을 나누어 평가손익률(340)을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저작권료 지급총액(330)을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작권료 지급총액(330)은 외부 시스템, 내부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외부 시스템, 내부 메모리 또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각 대상 종목의 저작권료 지급액과 관련된 데이터로부터 복수의 대상 종목의 저작권료 지급총액(330)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보유자들이 실제로 지급받은 저작권료의 합산액은 저작권료 지급총액(330)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유자별 적용 세율이 다른 것을 고려해, 저작권료 지급총액(330)은 세전 저작권료 지급총액(330)으로 수신 또는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저작권료 지급총액(330) 및 전일 시가총액(320)을 기초로 저작권료 수익률(350)을 결정할 수 있다. 저작권료 수익률(350)에는 저작권료 지급에 따른 수익률이 반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저작권료 지급총액(330)에서 전일 시가총액(320)을 나누어 저작권료 수익률(350)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현재 총수익률(360)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현재 평가손익률(340)을 기초로 현재 총수익률(360)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현재 평가손익률(340)을 현재 총수익률(360)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현재 평가손익률(340) 및 저작권료 수익률(350)을 기초로 현재 총수익률(360)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현재 평가손익률(340)에 저작권료 수익률(350)을 더한 값을 현재 총수익률(360)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총수익률(360)에는 저작권 또는 저작권과 연관된 종목의 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률 및 저작권료 지급에 따른 수익률이 모두 반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작권료 지급일과 연관된 기간동안 저작권료 수익률(350)이 총수익률(360)에 반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21년 7월 1일에 저작권료가 지급된 경우, 저작권료가 지급된 날의 다음날인 2021년 7월 2일 하루동안 현재 총수익률(360)에 저작권료 수익률(350)이 반영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전일 총수익지수(370) 및 현재 총수익률(360)을 기초로 현재 총수익지수(380)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현재 총수익률(360)에 1을 더한 값에 전일 총수익지수(370)를 곱하여 현재 총수익지수(380)를 산출할 수 있다. 전일 총수익지수(370)는 전일의 미리 지정된 시점(예: 거래 마감 시점)의 총수익지수일 수 있으며, 내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지정된 날의 총수익지수를 특정한 수로 지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이후의 총수익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19년 1월 1일의 총수익지수를 100으로 지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이후의 총수익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시장가는 대상 종목이 거래됨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대상 종목의 현재 시장가를 모두 더하여 산출되는 현재 시가총액(310)도 실시간으로 변동될 수 있으며, 현재 시가총액(310)을 기초로 산출 또는 결정되는 현재 평가손익률(340), 현재 총수익률(360), 현재 총수익지수(380) 역시 실시간으로 변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가의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현재 시가총액(310), 현재 평가손익률(340), 현재 총수익률(360), 현재 총수익지수(380)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거나 산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미리 지정된 시간(예: 1분)을 주기로 현재 시가총액(310), 현재 평가손익률(340), 현재 총수익률(360), 현재 총수익지수(380) 중 적어도 하나를 산출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저작권 관련 시장의 표준을 제시할 수 있으며, 이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은 저작권 관련 시장의 흐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저작권료 지급에 따른 수익을 추가로 반영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이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에게 더 정확한 투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4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410)은 메모리(412), 프로세서(414), 통신 모듈(41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4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보 처리 시스템(410)은 통신 모듈(416)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412)는 비-일시적인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41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정보 처리 시스템(41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1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4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선택, 시가총액 및 저작권료 지급총액 수신, 총수익지수 산출 및/또는 제공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41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이러한 정보 처리 시스템(410)에 직접 연결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416)을 통해 메모리(41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통신 모듈(416)을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선택, 시가총액 및 저작권료 지급총액 수신, 총수익지수 산출 및/또는 제공 등을 위한 프로그램 등)에 기반하여 메모리(41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41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412) 또는 통신 모듈(416)에 의해 사용자 단말(미도시) 또는 다른 외부 시스템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14)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현재 시가총액을 산출할 수 있으며, 시가총액 및/또는 저작권료 지급총액 등을 기초로 총수익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 모듈(416)은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단말(미도시)과 정보 처리 시스템(41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정보 처리 시스템(410)이 외부 시스템(일례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정보 처리 시스템(410)의 프로세서(41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 명령, 데이터 등이 통신 모듈(416)과 네트워크를 거쳐 사용자 단말 및/또는 외부 시스템의 통신 모듈을 통해 사용자 단말 및/또는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410)으로부터 산출된 총수익지수, 전일비, 등락률 등이 사용자 단말 및/또는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41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418)는 정보 처리 시스템(410)과 연결되거나 정보 처리 시스템(410)이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2에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418)가 프로세서(414)와 별도로 구성된 요소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 인터페이스(418)가 프로세서(414)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410)은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정보 처리 시스템(410)의 프로세서(414)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 및/또는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14)는 사용자 단말 및/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저작권료 지급총액을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414)는 이를 기초로 저작권료 수익이 반영된 총수익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414)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414)는 대상종목 선택부(510), 시가총액 산출부(520), 총수익률 결정부(530), 총수익지수 산출부(540), 지수 정보 제공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대상종목 선택부(510)는 현재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 중에서,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을 선택할 수 있다. 현재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은 프로세서의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거나 프로세서에 의해 결정 또는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종목 선택부(510)는 미리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을 지수 산출 대상 종목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종목 선택부(510)는 전일 24시 00분 기준으로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을 지수 산출 대상 종목으로 선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대상종목 선택부(510)는 미리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 중에서, 전일 시가총액이 미리 지정된 순위 내에 속한 복수의 종목을 지수 산출 대상 종목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종목 선택부(510)는 전일 24시 00분 기준으로 시가총액이 100위 내에 속한 복수의 종목을 지수 산출 대상 종목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가총액 산출부(520)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전일 시가총액 및/또는 현재 시가총액을 수신 또는 산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시가총액 산출부(520)는 내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외부 시스템 등으로부터 전일 시가총액 및/또는 현재 시가총액을 수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시가총액 산출부(520)는 내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일 시가총액 및/또는 현재 시가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가총액 산출부(520)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전일 미리 지정된 시점 기준에서의 시장가를 모두 더하여 전일 시가총액을 산출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현재 시장가를 모두 더하여 현재 시가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가총액 산출부(520)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가의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현재 시가총액을 산출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미리 지정된 시간(예: 1분)을 주기로 현재 시가총액을 산출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총수익률 결정부(530)는 평가손익률, 저작권료 수익률, 및/또는 총수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총수익률 결정부(530)는 현재 시가총액 및 전일 시가총액을 기초로 평가손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수익률 결정부(530)는 현재 시가총액에서 전일 시가총액을 뺀 값에서 전일 시가총액을 나누어 평가손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총수익률 결정부(530)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가 또는 현재 시가총액의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평가손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총수익률 결정부(530)는 현재 평가손익률을 현재 총수익률으로 결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총수익률 결정부(530)는 저작권료 수익률을 고려한 총수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지정된 날짜에 저작권료가 지급된 경우, 총수익률 결정부(530)는 저작권료 지급총액 및 전일 시가총액을 기초로 저작권료 수익률을 결정할 수 있으며, 미리 지정된 기간동안 총수익률에 저작권료 수익률을 추가로 반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일에 저작권료가 지급된 경우, 총수익률 결정부(530)는 저작권료 지급총액에 전일 시가총액을 나누어 저작권료 수익률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총수익률 결정부(530)는 저작권료가 지급된 다음날 하루동안, 현재 평가손익률에 저작권료 수익률을 더하여 현재 총수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총수익률 결정부(530)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가, 현재 시가총액 또는 현재 평가손익률의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총수익률을 결정할 수 있다.
총수익지수 산출부(540)는 전일 총수익지수 및 현재 총수익률을 기초로 현재 총수익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총수익지수 산출부(540)는 현재 총수익률에 1을 더한 값에 전일 총수익지수를 곱하여 현재 총수익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전일 총수익지수는 내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총수익지수 산출부(540)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가, 현재 시가총액, 현재 평가손익률 또는 현재 총수익률의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현재 총수익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지수 정보 제공부(550)는 현재 총수익지수, 현재 전일비 또는 현재 등락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전일비는 현재 총수익지수에서 전일 총수익지수를 빼서 산출될 수 있으며, 현재 등락률은 현재 전일비에서 전일 총수익지수를 나누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수 정보 제공부(550)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가, 현재 시가총액, 현재 평가손익률, 현재 총수익률 또는 현재 총수익지수의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현재 전일비, 현재 등락률을 산출 또는 결정할 수 있다.
지수 정보 제공부(550)는 미리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한 매일의 총수익지수, 매일의 전일비 또는 매일의 등락률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지정된 시점은 거래 마감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4시간 거래가 가능한 경우, 지수 정보 제공부(550)는 24시 00분을 기준으로 한 일별 총수익지수, 전일비 또는 등락률을 제공할 수 있다. 미리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한 매일의 총수익지수, 전일비 또는 등락률은 매일 미리 지정된 시점에, 또는 매일 미리 지정된 시점이 지난 후 내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들에게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수 정보 제공부(550)는 현재 총수익지수, 현재 전일비, 현재 등락률, 미리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한 매일의 총수익지수, 매일의 전일비 또는 매일의 등락률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데이터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총수익률을 결정하고, 현재 총수익지수를 산출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평가손익률은 현재 시가총액에서 전일 시가총액을 뺀 값에서 전일 시가총액을 나누어 결정될 수 있다. 평가손익률은 전일 대비 현재의 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률을 반영할 수 있다. 평가손익률은 현재 시가총액이 전일 시가총액보다 큰 경우, 양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현재 시가총액이 전일 시가총액보다 작은 경우,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지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현재 시가총액 및 전일 시가총액은 모두 동일한 지수 산출 대상 종목들을 대상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본 개시에 따른 총수익지수는 신규 종목 등록에 따른 시가총액 증가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현재 시가총액은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현재 시장가를 모두 더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으며, 전일 시가총액은 전일 기준 시점에서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시장가를 모두 더함으로써 산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일 시가총액을 산출하는 기준 시점은 전일의 거래 마감 시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작권료 수익률은 저작권료 지급총액에 전일 시가총액을 나누어 결정될 수 있다. 저작권료 수익률은 미리 지정된 시점에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료의 지급이 있었던 경우에, 미리 지정된 기간동안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일에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료가 지급된 경우, 당일 하루동안 저작권료 수익률이 저작권료 지급총액에 전일 시가총액을 나눈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일에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료의 지급이 없었던 경우, 저작권료 수익률은 0으로 결정되거나, 결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총수익률은 평가손익률 및 저작권료 수익률의 합으로 결정될 수 있다. 총수익률은 전일 대비 지수 산출 대상 종목들의 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률 및 저작권료 지급에 따른 수익률을 모두 반영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저작권료 수익률이 0으로 결정되거나 저작권료 수익률이 결정되지 않는 경우, 총수익률은 평가손익률만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총수익지수는 총수익률에 1을 더한 값에 전일 총수익지수를 곱하여 산출될 수 있다. 총수익률의 값에 따라, 총수익지수는 전일 총수익지수에 비해 증가하거나 일정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을 통해 현재 지수 정보(710), 지수 그래프(720), 일별 지수 정보(730)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현재 지수 정보(710)는 현재 총수익지수, 현재 전일비 또는 현재 등락률을 포함할 수 있다. 현재 전일비는 현재 총수익지수에서 전일 총수익지수를 빼서 산출될 수 있으며, 현재 등락률은 현재 전일비에서 전일 총수익지수를 나누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가, 현재 시가총액, 현재 평가손익률 또는 현재 총수익률의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현재 지수 정보(710)가 갱신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미리 지정된 시간(예: 1분)을 주기로 현재 지수 정보(710)가 갱신될 수 있다.
일별 지수 정보(730)는 일별 총수익지수(732), 일별 전일비(734), 일별 등락률(73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별 총수익지수(732), 일별 전일비(734), 일별 등락률(736)은 각각 미리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한 매일의 총수익지수, 전일비, 등락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지정된 시점은 거래 마감 시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24시간 거래가 가능한 경우, 일별 총수익지수(732), 일별 전일비(734), 일별 등락률(736)은 매일 24시 00분을 기준으로 한 총수익지수, 전일비, 등락률일 수 있다. 일별 총수익지수(732), 일별 전일비(734), 일별 등락률(736)은 매일 미리 지정된 시점에 또는 미리 지정된 시점이 지난 후, 내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또는 외부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지수 그래프(720)는 일별 총수익지수(732), 일별 전일비(734), 일별 등락률(736) 중 적어도 하나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사용자의 기간 선택에 따라, 사용자 단말은 선택된 기간 동안의 지수 그래프(720)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처리 시스템은 상술한 현재 지수 정보(710), 지수 그래프(720), 일별 지수 정보(73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관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은 수신한 데이터 또는 이를 가공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8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800)은 프로세서가 현재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 중에서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을 선택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810).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은 미리 지정된 시점에 거래 가능한지를 기준으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전일 거래 마감 시점을 기준으로 거래 가능한 종목들을 지수 산출 대상 종목으로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전일 시가총액을 수신할 수 있다(S820).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내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외부 시스템 등으로부터 전일 시가총액을 수신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는 내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전일 시가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현재 시가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S830).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현재 시장가를 모두 더하여 현재 시가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현재 시가총액은 내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외부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현재 시가총액 및 전일 시가총액을 기초로 평가손익률을 결정할 수 있다(S840). 또한, 프로세서는 평가손익률을 기초로 총수익률을 결정할 수 있다(S850).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현재 시가총액에서 전일 시가총액을 뺀 값에 전일 시가총액을 나누어 평가손익률을 결정할 수 있으며, 평가손익률을 총수익률로 결정할 수 있다. 현재 시가총액 및 전일 시가총액은 모두 동일하게 단계 S810에서 선택된 지수 산출 대상 종목들을 대상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신규 종목 등록에 따른 시가총액 증가의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매일 새로운 저작권이 발생하고, 매일 새로운 종목이 저작권 거래 플랫폼에 등록되는 저작권 관련 시장의 특성을 고려한 지수를 산출하고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총수익률 및 전일 총수익지수를 기초로 총수익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S860). 예를 들어, 총수익률에 1을 더한 값에 전일 총수익지수를 곱하여 총수익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래 마감 시점의 총수익지수는 당일의 총수익지수로서 내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외부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으며, 다음 날 총수익지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전일 총수익지수로 이용될 수 있다. 방법(800)은 당일 거래가 마감됨으로써 종료될 수 있으며, 다음 날 거래가 시작됨으로써 방법(800)이 새롭게 시작될 수 있다.
도 8에서 도시한 흐름도 및 상술한 설명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단계가 동시에 수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가 여러 번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현재 시가총액, 평가손익률, 총수익률, 총수익지수를 동시에 산출 또는 결정할 수 있다. 즉, 단계 S830부터 단계 S860까지의 과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가의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또는 미리 지정된 시간(예: 1분)을 주기로, 현재 시가총액, 평가손익률, 총수익률, 총수익지수를 갱신할 수 있다. 즉, 단계 S830부터 단계 S860까지의 과정이 여러 번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9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법(900)은 프로세서가 현재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 중에서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을 선택함으로써 개시될 수 있다(S910). 이후, 프로세서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전일 시가총액을 수신하고(S920),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현재 시가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S9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현재 시가총액 및 전일 시가총액을 기초로 평가손익률을 결정할 수 있다(S940).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현재 시가총액에서 전일 시가총액을 뺀 값에 전일 시가총액을 나누어 평가손익률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 과정은 기준일에 저작권료 수익이 발생했는지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S950). 일 실시예에서, 기준일은 전일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일에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작권료가 지급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이후 과정이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일에 저작권료 수익이 발생한 경우, 프로세서는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저작권료 지급총액을 수신할 수 있다(S960). 저작권료 지급총액은 외부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내부 메모리로부터 수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중 적어도 일부의 저작권료 지급액을 수신하여,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저작권료 지급총액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는 저작권료 지급총액에 전일 시가총액을 나누어 저작권료 수익률을 결정할 수 있으며(S970), 평가손익률에 저작권료 수익률을 더하여 총수익률을 결정할 수 있다(S980). 여기서, 총수익률에는 저작권료 지급에 따른 수익이 추가로 반영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저작권료 수익률이 반영된 저작권 관련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더 정확한 투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준일에 저작권료 수익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는 평가손익률을 총수익률로 결정할 수 있다(S982). 즉, 기준일에 저작권료 수익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저작권료 수익률을 반영하지 않고, 가격 변동에 따른 수익만을 고려해 총수익률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결정된 총수익률 및 전일 총수익지수를 기초로 총수익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S990). 예를 들어, 총수익률에 1을 더한 값에 전일 총수익지수를 곱하여 총수익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래 마감 시점의 총수익지수는 당일의 총수익지수로서 내부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또는 외부 시스템에 저장될 수 있으며, 다음 날 총수익지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전일 총수익지수로 이용될 수 있다. 방법(900)은 당일 거래가 마감됨으로써 종료될 수 있으며, 다음 날 거래가 시작됨으로써 방법(900)이 새롭게 시작될 수 있다.
도 9에서 도시한 흐름도 및 상술한 설명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하나 이상의 단계가 동시에 수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가 여러 번 반복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의 여부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10: 현재 거래 가능한 종목들의 목록
112: 선택된 종목
120: 거래 정보 및 저작권료 정보 페이지
122: 시장가
130: 구매 및 판매 페이지
132: 판매 호가 정보
134: 구매 호가 정보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현재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 중에서,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전일 미리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한 전일 시가총액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현재 시가총액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현재 시가총액 및 상기 수신된 전일 시가총액을 기초로 현재 평가손익률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의 저작권료 지급총액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저작권료 지급총액 및 상기 전일 시가총액을 기초로 저작권료 수익률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현재 평가손익률 및 상기 결정된 저작권료 수익률을 기초로 현재 총수익률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현재 총수익률 및 전일 총수익지수를 기초로 현재 총수익지수를 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현재 총수익률은 상기 현재 평가손익률에 상기 결정된 저작권료 수익률을 더하여 결정되는,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권료 수익률은 상기 저작권료 지급총액에 상기 전일 시가총액을 나누어 결정되는,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은, 상기 미리 지정된 시점 기준으로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을 포함하는,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은, 상기 미리 지정된 시점 기준으로 저작권이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 중에서, 상기 거래 가능한 복수의 종목 각각의 전일 시가총액이 미리 지정된 순위 내에 속한 종목을 포함하는,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평가손익률은 상기 현재 시가총액에서 상기 전일 시가총액을 뺀 값에서 상기 전일 시가총액을 나누어 결정되는,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총수익지수는 상기 현재 총수익률에 1을 더한 값에 상기 전일 총수익지수를 곱하여 산출되는,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총수익지수, 현재 전일비, 현재 등락률, 미리 지정된 시점을 기준으로 한 매일의 총수익지수, 매일의 전일비 또는 매일의 등락률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가총액, 상기 현재 평가손익률, 상기 현재 총수익률 및 상기 총수익지수는 상기 복수의 지수 산출 대상 종목 중 적어도 하나의 시장가의 변동에 따라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10.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10092967A 2021-07-15 2021-07-15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KR102370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67A KR102370766B1 (ko) 2021-07-15 2021-07-15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2967A KR102370766B1 (ko) 2021-07-15 2021-07-15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766B1 true KR102370766B1 (ko) 2022-03-04

Family

ID=80813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2967A KR102370766B1 (ko) 2021-07-15 2021-07-15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7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741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에프앤가이드 주가지수 산출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5552A (ko) * 2017-07-07 2019-01-16 뮤지코인 주식회사 음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741A (ko) * 2014-03-26 2015-10-06 주식회사 에프앤가이드 주가지수 산출 방법 및 시스템
KR20190005552A (ko) * 2017-07-07 2019-01-16 뮤지코인 주식회사 음원 거래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61703B2 (en) Multi-modal trade execution with smart order routing
US10382377B2 (en) Elimination of electronic data transaction request messages received from a common source
US11532043B2 (en) Market operation through regulation of incoming order match allocation and/or dynamic resting order match allocation priorities
US20140006243A1 (en) Multiple Trade Matching Algorithms
US7908195B2 (en) System for calculating model option settlement prices
JP6655606B2 (ja) 電子取引システムにおけるダイナミックペグ注文
US11601386B2 (en) Streaming platform reader
US11258682B2 (en) Compressed message tracing and parsing
US20200410592A1 (en) Binary options on selected indices
US20180174239A1 (en) Electronic market message management with priority determination
US20230101663A1 (en) Secure deterministic tokens for electronic messages
US20160019644A1 (en) Size-based allocation prioritization
US20180342013A1 (en) Electronic market message management using priority determination
US20160086268A1 (en) Electronic market message management of multiple-action messages
US20150073963A1 (en) Matching with Level Residual Allocation
US20180108086A1 (en) Object value range optimization based on inter-object relationships
US1125705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currency asset bundles
US20160005117A1 (en) Allocation based on order quality
US11887189B2 (en)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for a tracking platform for standardized instruments
US20190188790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telligent choice in currency
KR102370766B1 (ko) 저작권에 관한 지수를 산출하여 제공하는 방법
US20230351341A1 (en) Non-Fungible Tokens (NFTs) Pay Passive Income
KR102452642B1 (ko) 저작권에 관한 종목 사이의 관련도를 판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Graham Currency Futures
US20210065299A1 (en) Asynchronous computational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