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486B1 -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and tuning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and tuning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486B1
KR102370486B1 KR1020210026364A KR20210026364A KR102370486B1 KR 102370486 B1 KR102370486 B1 KR 102370486B1 KR 1020210026364 A KR1020210026364 A KR 1020210026364A KR 20210026364 A KR20210026364 A KR 20210026364A KR 102370486 B1 KR102370486 B1 KR 102370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flow rate
driving
value
r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3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재만
윤병선
박평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컴라이프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컴라이프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컴라이프케어
Priority to KR1020210026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48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4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06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with pumps for forced venti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7/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and more specifically, to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which has a built-in filter which filters air and a blower operated by a power source, and purifies by inhaling external air through the blower and the filter, and has an air guide pipe which is connected to guide and supply the purified air to the air guide pipe through the wind pressure of the blower.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riving speed regulato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so that RPM or a discharge flow rate or a flow rate can be corrected.

Description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 및 이를 위한 튜닝방법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AND TUNING METHOD THEREFOR}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and tun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호흡이 가능하게 공급하는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and to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that purifies external air to enable breathing.

일반적으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는 오염된 공기 속에서 작업하는 작업자나, 자가호흡이 다소 어려운 환자 등에게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공급한다. 이러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는 정화된 공기를 사실상 펌핑하여 인공적으로 제공하므로 작업자나 환자가 용이하게 호흡할 수 있다.In general,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purifies and supplies external air to a worker who works in polluted air or a patient who has difficulty in self-breathing. Thes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can actually pump purified air and provide artificially, so that the operator or patient can breathe easily.

이러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종래기술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4) 및 필터(5)가 내장된 후 그릴(3c)을 갖는 커버(3b)가 결합되어 정화된 공기를 제공하는 본체(3) 및 본체(3)에 연결되어 마스크(1)나 다른 장치에 정화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 안내관(2)으로 구성된다.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10)는 본체(3)의 버튼(3a)이 조작됨에 따라 블로워(4)가 작동되어 커버(3b)의 그릴(3c)을 통해 외부의 공기를 본체(3)의 내부로 흡기한다. 그리고,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10)는 흡기된 공기가 필터(5)에 의해 정화된 후 블로워(4)의 풍압에 의해 공기 안내관(2)으로 안내된다. 즉,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10)는 공기 안내관(2)을 통해 정화된 공기를 강제로 공급한다. 따라서, 작업자나 환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에 착용하여 사용하여도 용이하게 정화된 공기를 호흡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prior art to be described later is representative of such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and as shown in FIG. 1, after the blower 4 and the filter 5 are built-in, the grill ( A cover 3b having 3c) is coupled to the body 3 providing purified air and an air guide tube 2 connected to the body 3 to guide the purified air to the mask 1 or other device. is composed In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10, as the button 3a of the main body 3 is operated, the blower 4 is operated to blow the external air through the grill 3c of the cover 3b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3 inhale with Then,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10 is guided to the air guide tube 2 by the wind pressure of the blower 4 after the inhaled air is purified by the filter 5 . That is,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10 forcibly supplies the purified air through the air guide tube (2). Accordingly,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an easily breathe the purified air even when worn on the waist as shown in FIG. 2 .

대한민국 특허청의 특허등록 제10-1257681호(오토스윙) 및 제10-1579438호(오토스윙)는 모두 전술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특허등록 제10-1257681호는, 별도 풍량표시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송풍장치에 전자적으로 검출가능한 정밀풍량센서을 이용하여 풍량 레벨메터 표시가 가능한 그래픽화면을 송풍장치 또는 별도 제작된 리모콘형식으로 표시하고, 특히 작업 중에도 확인 가능하여 시스템의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인식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작업자가 호흡보호구와 송풍장치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풍량상태 점검 및 밧데리의 잔량과 예상사용시간 또는 송풍장치의 조작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양방향성 무선 또는 특수 제작된 유선방식의 리모콘을 설치하여, 지정된 전자식용접면을 이용하면 적외선 방식 또는 무선형식으로 이루어진 통신으로 전자식 용접면을 제어가능하게 하고, 또한 리모콘은 이탈방지 및 분실방지와 스위치의 오류에 의한 동작을 감안하여 벨트 또는 지정된 위치에 장착하는 전동식 호흡보호구의 정보표시 및 제어장치를 제공한다.Patent Registration Nos. 10-1257681 (Auto Swing) and No. 10-1579438 (Auto Swing)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both relate to the aforementioned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The aforementioned patent registration No. 10-1257681 uses a precision air volume sensor that can be electronically detected in the blower without using a separate air volume display device to display a graphic screen on which the air volume level meter can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blower device or a separately manufactured remote control. In particular, it can be checked during work, so that the information of the system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recognized and taken action. Also, even when the worker is wearing a respirator and a blower, check the air volume condition and check the remaining battery capacity, expected usage time, or blower device. By installing a two-way wireless or specially manufactured wired remote control that can exchange operation and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electronic welding surface through infra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using the designated electronic welding surface. In consideration of escape prevention and loss prevention and operation due to switch error, information display and control device for electric respirator mounted on a belt or a designated location is provided.

그리고, 전술한 특허등록 제10-1579438호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호흡 보호구; 상기 호흡 보호구에 공기 공급관으로 연결되되, 그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장치가 구비되는 공기 정화장치; 및 상기 공기 정화장치 내에 제어가능하게 구비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호흡 보호구의 공기 정화장치에 장착되는 필터장치의 정보인식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장치와 필터장치가 다양한 무선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상호 연결되되, 상기 필터장치의 필터 종류 및 부하율, 최종 사용시간, 총 사용시간, 잔여 사용시간, 및 교체시기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가 공기 정화장치에 제공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필터장치는 분진필터 또는 냄새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진필터 또는 냄새필터의 외측에는 프리필터와 철망이 설치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상부면 일측에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에 제공된 필터장치의 종류 및 필터장치의 부하율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LCD 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공된 필터장치의 시리얼넘버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와 제어부에 기 저장된 정보 데이터를 비교한 후, 기 저장된 필터장치일 경우에는 작업 시 최종 사용시간에서 그리고 기 저장된 필터장치가 아닐 경우에는 작업 시 최초 사용시간에서 카운팅(Counting)을 수행하고, 작업 완료 시 카운팅(Counting)이 종료된 최종 사용시간, 총 사용시간, 잔여 사용시간 및 필터의 종류를 포함하는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잔여 사용시간이 총 사용시간의 일정시간 이하일 경우, 필터장치의 교체시기를 작업자에게 인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흡 보호구의 공기 정화장치에 장착되는 필터장치의 정보인식 구조를 제공한다.And, the above-mentioned Patent Registration No. 10-1579438, the worker wears a respirator; an air purifier connected to the respirator through an air supply pipe, and provided with a filter device for purifying external polluted air flowing into the respirator; and a control unit controllably provided in the air purifier. In the information recognition structure of a filter device mounted on an air purification device of a respirator comprising a, the air purification device and the filter device are wirelessly interconnected by any one of various wireless methods, the filter device information data including a filter type and load factor, final use time, total use time, remaining use time, and replacement time of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pre-filter and a wire mesh ar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dust filter or odor filter, and an LCD panel for displaying the type of filter device provided in the air purification device and the load factor of the filter devi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purification device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information data including the serial number of the provided filter device with the information data pre-stored in the control unit, and in the case of a pre-stored filter device, at the last use time at work, and in the case of not the pre-stored filter device Counting is performed from the first use time during work, and when the work is completed, the counting is completed to store information data including the last use time, total use time, remaining use time, and filter type, When the remaining use time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of the total use time, it provides an information recognition structure of the filter device mounted on the air purification device of the respirato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notify the operator of the replacement time of the filter device.

한편, 일반적인 성인인 경우 정상상태에서의 호흡량은 약 30Lpm 수준이지만, 수행하는 작업의 경중에 따라 필요 호흡량이 증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는 송풍량(유량)을 단계별로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필수적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normal adult, the respiratory volume in a normal state is about 30 Lpm, but the required respiratory volume may increase depending on the severity of the work to be performed. Therefore, it is essential that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has the ability to adjust the blow rate (flow rate) step by step.

그리고, 전술한 블로워(4)는 제조특성상 정밀 제작을 하더라도 약간의 공차가 존재하며, 이러한 공차로 인해 모터에 동일 전압을 인가하더라도 각 블로워(4)별로 동일한 회전수, 즉 동일한 유량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er 4 described above has some tolerances even if it is precisely manufactured due to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and due to such tolerances, even if the same voltage is applied to the motor, it is difficult to implement the same number of revolutions, that is, the same flow rate for each blower 4 . can

다른 한편,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는, 오염된 환경에서 장시간 사용될 경우 분진 등이 필터에 흡착된다. 이러한 필터는 대략 직경이 10㎛ 이하의 미세 섬유들이 상호 결합해 거미줄과 같은 구조 형태를 갖고 있으므로 분진 등이 지속적으로 흡착되면 여과 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블로워(4)의 모터에 저항으로 작용하여 송풍 효과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when used for a long time in a polluted environment, dust and the like are adsorbed to the filter. Since these filters have a structure like a spider's web when fine fibers with a diameter of about 10 μm or less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 filtration effect is not only reduced when dust, etc. is continuously adsorbed, but also acts as a resistance to the motor of the blower (4) to provide a blowing effect. cause a decrease in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로워의 제작 공차에 의한 유량 차이 및 필터의 폐색에 의한 유량 차이는, 사용자의 호흡 환경을 저해할 수 있는 인자이므로 제조 단계 및 사용 중에 적정 유량을 형성할 수 있도록 블로워 모터의 회전수, 즉 블로워의 구동속도를 조정해야만 한다.Therefore, as described above, the flow rate difference due to the manufacturing tolerance of the blower and the flow rate difference due to the blockage of the filter are factors that can inhibit the user's breathing environment, so that the blower motor can form an appropriate flow rate during the manufacturing phase and use. The number of revolutions, that is,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must be adjusted.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들은 제조 단계에서 블로워(4)의 구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 않음에 따라 블로워(4)들이 유량 차이가 있는 상태로 제조되며, 사용시에도 블로워(4)의 구동속도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필터(5)가 폐색되어 송풍이 원활하지 못해도 이를 보정할 수 없다.However,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blower 4 is manufactured in a state with a flow rate difference as it is not configured to control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4 in the manufacturing stage, and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4 is reduced even when in use. Since it cannot be adjusted, even if the filter 5 is clogged and the ventilation is not smooth, it cannot be corrected.

그리고, 종래기술들은 사용시 공기의 유량을 소망하는 유량으로 정밀하게 보정하도록 구성되지 않음에 따라 사용시 다소 불편함을 감소하고 사용해야 한다.And, since the prior art is not configured to precisely correct the flow rate of air to a desired flow rate during use, it is necessary to reduce inconvenience somewhat in use and use.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5768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5768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57943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57943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제조시 블로워의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블로워의 알피엠(rpm)이나 토출 유량을 설정된 알피엠이나 원하는 유량으로 보정할 수 있는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 및 이를 위한 튜닝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adjus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during manufacturing,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capable of correcting the RPM or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blower to a set RPM or a desired flow rate, and thi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tuning method for

특히, 블로워에 인가되는 전력값을 조정하여 표준알피엠으로 블로워의 알피엠을 보정할 수 있으며, 필터의 오염에 의해 토출 유량이 감소될 경우 블로워의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토출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과다한 전력소모를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 및 이를 위한 튜닝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In particular, the RPM of the blower can be corrected with the standard RPM by adjusting the power value applied to the blow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capable of maximally suppressing excessive power consumption and a tuning method for the same.

그리고, 사용 중에도 토출 유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 및 이를 위한 튜닝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capable of freely adjusting the discharge flow rate even during use and a tuning method for the sam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는, 내부에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및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블로워가 내장되고, 상기 블로워 및 상기 필터를 통해 외기를 흡기하여 정화하며, 공기 안내관이 연결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블로워의 풍압을 통해 상기 공기 안내관으로 안내하여 공급하는 본체가 구비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로써,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한 전원의 온오프나 풍량 또는 유량에 관한 구동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블로워의 구동 알피엠이나 상기 블로워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 또는 유량을 기반으로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한 전력값이나 듀티값의 조정을 통해 상기 블로워의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블로워의 알피엠이나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 또는 유량을 보정하는 구동속도 조절기; 및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해 상기 입력부, 상기 구동속도 조절기 및 상기 블로워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s a built-in filter for filtering air and a blower operated by a power source therein, and purifies by inhaling external air through the blower and the filter, As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equipped with a main body connected to a guide tube to guide and supply purified air to the air guide tube through the wind pressure of the blower, an input unit for inputting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hereto; Based on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or the flow rate or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by adjus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by adjusting the power value or duty value for driving the blower, the RPM of the blower or the air discharged flow rate of or a drive speed regulator to correct the flow rat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applied to the input unit, the driving speed regulator, and the blower for driving the blower.

상기 구동속도 조절기는, 상기 입력부의 구동정보에 의해 구동하는 상기 블로워의 구동 알피엠이나, 상기 블로워의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 상기 입력부의 입력 구동정보에 따라 상기 블로워가 구동되도록, 상기 블로워의 표준알피엠이나 표준유속 및 상기 블로워를 구동시키기 위한 표준듀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된 표준값 저장부; 상기 블로워의 구동 알피엠을 보정하기 위한 허용 알피엠값과, 상기 블로워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속을 상기 표준값 저장부의 표준유속으로 보정하기 위한 허용 유속 및 허용 듀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는 보정 기준값 저장부; 상기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구동 알피엠이나 측정 유속 또는 유속 증가를 위해 증량된 증량 듀티값을, 상기 표준값 저장부에 저장된 표준알피엠이나 표준유속 또는 표준듀티값과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거나, 산출된 차이값을 상기 보정 기준값 저장부의 허용 알피엠값이나 허용 유속 또는 허용 듀티값과 비교하여 비교값을 산출하는 비교부; 및 상기 블로워의 구동속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비교부에서 산출된 차이값이나 비교값을 기반으로 전력값이나 듀티값을 가변시켜서 상기 블로워의 구동 알피엠이나 토출 유속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driving speed regulator may include: a driving RPM of the blower driven by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input unit, or a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a discharg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from an outlet of the blower; a standard value storage unit storing at least one of a standard RPM or a standard flow rate of the blower and a standard duty value for driving the blower so that the blower is driven according to the input driving information of the input unit; At least one of an allowable RPM value for correcting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and an allowable flow rate and an allowable duty value for correcting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to the standard flow rate of the standard value storage unit is stored. wealth; The difference value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driving RPM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ensor, the measured flow rate, or the increased duty value increased to increase the flow rate with the standard RPM, the standard flow rate, or the standard duty value stored in the standard value storage unit, or the calculated difference a comparator for calculating a comparison value by comparing the value with an allowable RPM value, an allowable flow velocity, or an allowable duty value of the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and a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driving RPM or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blower by varying the power value or duty value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or the comparison value calculated by the comparison unit so that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is adjusted. can do.

이와 달리, 상기 구동속도 조절기는, 상기 블로워에서 토출되토출 유량을 단계적으로 증감시켜서 보정하기 위한 유량보정 듀티값이 저장된 보정 기준값 저장부; 상기 블로워의 유량을 단계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보정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 및 상기 블로워의 구동속도가 증감되도록 상기 보정 기준값 저장부의 유량보정 듀티값을 기반으로 상기 블로워에 인가되는 전원의 듀티값을 단계적으로 가변시켜 토출유량을 보정하거나, 토출 유량의 증감을 위한 단계들 중 어느 하나의 단계로 구동속도가 설정되도록 토출 유량의 증감을 위해 단계적으로 가변되던 듀티값 중에서 상기 타이머의 보정 시간 동안에 선택된 듀티값으로 세팅하여 토출 유량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riving speed regulator is discharged from the blower a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in which a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for correcting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flow rate is stored; a timer for counting the correction time for stepwise correcting the flow rate of the blower; and stepwise varying the duty value of the power applied to the blower based on the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of the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so that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is increased or decreased to correct the discharge flow rate, or to increase or decrease the discharge flow rate. A compensator for correcting the discharge flow rate by setting the duty value selected during the correction time of the timer from among the duty values that were changed stepwise for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discharge flow rate so that the driving speed is set in any one step; .

상기 본체는, 상기 블로워에 의해 상기 공기 안내관으로 제공되는 공기의 유량을 표시하는 유량 게이지;를 더 포함한다.The body further includes a;

상기 유량 게이지는, 상기 블로워에서 상기 공기 안내관으로 제공되는 공기의 풍압에 의해 승강하는 볼; 및 상기 볼이 승강가능하게 내장되고, 상기 볼이 투시되는 게이지 하우징;을 포함한다.The flow gauge may include: a ball ascending and descending by the wind pressure of the air provided from the blower to the air guide pipe; and a gauge housing in which the ball is mounted to be lifted and the ball is see-through.

상기 게이지 하우징은, 상기 볼의 승강높이를 확인하도록 중간부분에 표시선이 표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auge hous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line is displayed in the middle portion to confirm the elevation height of the ball.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의 알피엠 튜닝방법은, 전술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에 구비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블로워의 구동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블로워를 설정된 송풍모드로 구동시키는 송풍모드 구동단계; 상기 블로워의 구동 알피엠을 측정하는 구동 알피엠 측정단계; 상기 측정된 구동 알피엠을 기 저장된 상기 송풍모드의 표준알피엠과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는 차이값 산출단계; 상기 산출된 차이값이 기 설정된 허용 알피엠을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알피엠 초과 확인단계; 상기 블로워에 인가되는 전력값을 가변하여 상기 블로워의 알피엠을 보정하는 알피엠 보정단계; 및 상기 블로워의 알피엠 보정에 적용된 전력값을 저장하는 보정값 저장단계;를 포함한다.The RPM tuning method of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lowing mode driving step of inputting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blower through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above-described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to drive the blower in a set blowing mode ; a driving RPM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a difference valu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measured driving RPM with a pre-stored standard RPM of the blowing mode; an RPM exceeding check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exceeds a preset allowable RPM; an RPM correction step of correcting the RPM of the blower by varying the power value applied to the blower; and a correction value storage step of storing the power value applied to the RPM correction of the blower.

전술한 알피엠 튜닝방법은, 상기 알피엠 보정에 적용된 전력값의 저장이 완료된 후 다른 송풍모드의 알피엠 보정여부를 확인하는 추가보정 확인단계; 및 상기 다른 송풍모드의 알피엠 보정을 위해 상기 송풍모드 구동단계 내지 상기 보정값 저장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진행하는 반복 진행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above-described RPM tuning method includes: an additional correction checking step of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RPM of another blowing mode is corrected after the storage of the power value applied to the RPM correction is completed; and a repeating step of sequentially repeating the blowing mode driving step to the correction value storing step in order to correct the RPM of the other blowing mode.

상기 알피엠 보정단계는, 상기 블로워의 알피엠이 상기 표준알피엠으로 보정되도록, 상기 블로워의 구동 알피엠이 상기 송풍모드의 표준알피엠에 도달할 수 있는 전력값으로 가변하여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RPM correction step,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is applied by varying the power value that can reach the standard RPM of the blowing mode so that the RPM of the blower is corrected to the standard RPM.

본 발명의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장치의 유속 튜닝방법은, 상기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에 구비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블로워의 구동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블로워를 설정된 송풍모드로 구동시키는 송풍모드 구동단계; 상기 블로워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 측정단계; 상기 측정된 유속을 기 설정된 표준유속과 비교하여 표준유속에 대응하는지 비교하는 유속 비교단계; 상기 표준유속에 미달되는 상기 블로워의 유속이 보정되도록,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한 듀티값을 증량하는 듀티값 증량단계; 상기 블로워의 유속을 재측정하여 상기 증량된 듀티값에 의해 상기 블로워의 유속이 상승했는지 확인하는 유속상승 확인단계; 상기 증량된 듀티값을 기 설정된 상기 송풍모드의 표준듀티값과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는 차이값 산출단계; 상기 산출된 차이값이 기 설정된 허용 듀티값을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듀티값 초과 확인단계; 및 상기 초과여부의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송풍모드를 유지시키거나, 하위 송풍모드를 확인하여 하위 송풍모드 또는 경고를 위한 알러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모드 결정단계;를 포함한다.The flow rate tuning method of the electric purified air breat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wing mode driving step of inputt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blower through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to drive the blower in a set blowing mode; a flow rat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by the blower; a flow rate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measured flow rate with a preset standard flow rate and comparing whether it corresponds to a standard flow rate; a duty value increasing step of increasing a duty value for driving the blower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blower that is less than the standard flow rate is corrected; a flow rate increase confirmation step of re-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blower to confirm whether the flow rate of the blower is increased by the increased duty value; a difference valu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increased duty value with a preset standard duty value of the blowing mode; a duty value excess checking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exceeds a preset allowable duty value; and a driving mode determining step of maintaining the blowing mode or checking a lower blowing mode and driving an alert for a lower blowing mode or a w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checking the excess.

상기 유속 비교단계는, 상기 측정유속 및 상기 표준유속을 비교하여 유속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유속 차이값 산출단계; 및 상기 차이값이 기 설정된 허용 유속값에 미달하는지 확인하는 유속값 미달 확인단계;를 포함한다.The flow rate comparison step may include: a flow rate difference valu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of the flow rates by comparing the measured flow rate and the standard flow rate; and a flow velocity value under-checking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difference value is less than a preset allowable flow velocity value.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의 유량 튜닝방법은, 상기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에 구비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블로워의 구동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블로워를 설정된 송풍모드로 구동시키는 송풍모드 구동단계; 상기 입력부를 통해 유량보정 선택을 위한 구동정보를 입력하는 유량보정 선택단계; 상기 블로워의 구동속도가 조절되어 유량이 보정되도록, 기 설정된 복수의 미세가변 듀티값들을 기반으로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한 듀티값을 가변시켜 상기 블로워의 토출 유량을 가변시키는 유량 가변단계; 및 상기 미세가변 듀티값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미세가변 듀티값으로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한 듀티값을 세팅하여, 가변되던 상기 블로워의 토출 유량을 세팅하는 유량 세팅단계;를 포함한다.The flow rate tuning method of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lowing mode driving step of inputt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blower through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to drive the blower in a set blowing mode; a flow rate correction selection step of inputting driving information for selecting a flow rate correction through the input unit; a flow rate variable step of varying the duty value for driving the blower based on a plurality of preset fine variable duty values so that the flow rate is corrected by adjus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to vary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blower; and a flow rate setting step of setting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blower that was variable by setting a duty value for driving the blower to any one finely variable duty value selected from among the finely variable duty values.

상기 유량 가변단계는, 상기 복수의 미세가변 듀티값들 중에서 최저의 미세가변 듀티값을 기반으로 상기 블로워를 구동시키는 최저 듀티값 구동단계; 및 상기 복수의 미세가변 듀티값들 중에서 상기 최저의 미세가변 듀티값 보다 큰 듀티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상위 미세가변 듀티값으로 듀티값을 변경하여 상기 블로워를 구동시키는 변경 듀티값 구동단계;를 포함한다.The flow rate variable step may include: a lowest duty value driving step of driving the blower based on the lowest finely variable duty value among the plurality of finely variable duty values; and a changed duty value driving step of driving the blower by changing the duty value to at least one upper fine variable duty value having a duty value greater than the lowest fine variable duty value among the plurality of fine variable duty values. do.

상기 유량 가변단계는, 상기 변경 듀티값 구동단계에서 변경된 듀티값이 기 설정된 최상의 미세가변 듀티값에 해당하는지 확인하여,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변경 듀티값 구동단계에서 변경된 듀티값 보다 듀티값이 큰 차상위 미세가변 듀티값으로 듀티값을 변경하거나, 상기 최저 듀티값 구동단계 및 상기 변경 듀티값 구동단계를 다시 순차적으로 진행시키는 최상위 듀티값 확인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flow rate variable step checks whether the duty value changed in the changed duty value driving step corresponds to a preset best fine variable duty value, and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the duty value is higher than the duty value changed in the changed duty value driving step It further includes; changing the duty value to a finely variable duty value, or checking the highest duty value in which the driving step of the lowest duty value and the driving step of the changed duty value are sequentially performed again.

전술한 유량 튜닝방법은, 상기 최저의 미세가변 듀티값이나 상기 상위 미세가변 듀티값에 의해 상기 블로워가 구동하는 동안, 상기 최저의 미세가변 듀티값이나 상기 상위 미세가변 듀티값이 선택되도록, 기 설정된 선택시간을 카운팅하는 선택시간 카운팅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above-mentioned flow rate tuning method, while the blower is driven by the minimum fine variable duty value or the upper fine variable duty value, the lowest fine variable duty value or the upper fine variable duty value is selected, preset It further includes; a selection time counting step of counting the selection tim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구동속도 조절기에 의해 블로워의 구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구동속도 조절기를 통해 블로워의 알피엠이나 유속 또는 유량을 보정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can be adjusted by the driving speed controller, the RPM or the flow rate or the flow rate of the blower can be corrected through the driving speed controller.

특히, 블로워의 제조시 알피엠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설정된 유량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시 토출유속을 기반으로 블로워의 구동에 필요한 듀티값을 보정할 수 있으므로 필터가 오염에 의해 폐색되어도 공급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듀티값을 미세하게 보정할 수 있으므로 토출 유량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RPM can be adjusted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blow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t flow rate during use, and to correct the duty value required for driving the blower based on the discharge flow rate during use. And since the duty value can be finely corrected, the discharge flow rate can be precisely adjusted.

그리고, 유량 게이지의 볼이 토출 유량에 따라 승강하므로 토출 유량의 조정시 승강하는 볼을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And, since the ball of the flow gauge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ischarge flow rate, it can be easily adjusted while checking the rising ball when adjusting the discharge flow rate.

또, 구동중인 해당 송풍모드의 표준알피엠과 구동중인 블로워의 구동 알피엠을 비교하여 블로워의 구동 알피엠을 표준알피엠에 근접하게 보정할 수 있으므로 알피엠을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iven RPM of the blower can be corrected close to the standard RPM by comparing the standard RPM of the blowing mode in operation with the driven RPM of the blower being driven, the RPM can be stably and easily corrected.

또한, 구동중인 해당 송풍모드의 표준유속과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측정 유속을 비교하여 블로워의 구동에 필요한 듀티값을 증량시켜서 토출 유량을 증가시키므로 실제 사용환경에 적합한 유량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comparing the standard flow rate of the corresponding blowing mode being driven and the measured flow rate measured in real time, the duty value required for driving the blower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discharge flow rate,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w rate suitable for the actual use environment.

게다가, 해당 송풍모드의 표준유속 및 측정 유속, 그리고 표준유속 및 측정 유속의 차이값이 허용가능한 범위인지를 허용 유속을 통해 비교하거나, 해당 송풍모드의 표준듀티값 및 유속 증가를 위해 적용된 증량 듀티값, 그리고 표준듀티값 및 증량 듀티값의 차이값이 허용가능한 범위인지를 허용 듀티값을 통해 비교하여 유속 보정을 위한 듀티값을 결정하므로 구동하는 송풍모드의 특성에 알맞게 유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ard and measured flow rates of the corresponding blowing mod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and measured flow rates are compared through the allowable flow rate, or the standard duty value of the corresponding blowing mode and the increased duty value applied to increase the flow rate. , an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duty value and the increased duty value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is compared through the allowable duty value to determine the duty value for flow velocity correction. can

아울러, 해당 송풍모드의 유량을 유량보정 듀티값을 통해 미세하게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유량을 상황에 따라 정밀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low rate of the corresponding blowing mode can be finely varied through the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the flow rate can be precisely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더욱이, 가변되는 듀티값이 유량보정 듀티값의 범위 내에서 0.005 포인트씩 가변되므로 매우 정밀하게 유량을 보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시간 동안 0.005 포인트씩 듀티값이 가변되고, 가변에 따라 유량 게이지의 볼이 승강하므로 소망하는 유량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variable duty value is varied by 0.005 points within the range of the flow compensation duty value, the flow rate can be corrected very precisely, and the duty value is changed by 0.005 points for a set time, and the ball of the flow gauge changes according to the change. Since it ascends and descends, a desired flow volume can be set easily.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선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유량 게이지를 도시한 블럭선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량 게이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알피엠 튜닝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속 튜닝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량 튜닝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 및
도 9는 도 8의 유량 튜닝방법에 적용된 미세가변 듀티값의 통전비 변화를 도시한 선형 그래프이다.
1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shown in Figure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flow gauge shown in Fig. 3;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low gauge shown in Fig. 4;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RPM tu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rate tu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flow rate tun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9 is a linear graph showing a change in the energization ratio of the finely variable duty value applied to the flow rate tuning method of FIG. 8 .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 및 이를 위한 튜닝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기술과 대동소이한 구성요소는 종전의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uning method theref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given and explain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 입력부(52), 구동속도 조절기(60) 및 제어부(51)를 포함한다. 본체(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5) 및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블로워(4)가 내장되고, 마스크(1)와 같은 호흡을 위한 기기에 연결된 공기 안내관(2)이 설치된다. 본체(3)는 예컨대, 앞서 설명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용 그릴(3c)을 갖는 커버(3b)가 장착된 케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3)는 기존과 그 구성이 대동소이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3 , an input unit 52 , a driving speed controller 60 and a control unit 51 as shown in FIG. 3 . As shown, the main body 3 has a built-in filter 5 for filtering air and a blower 4 operated by a power source, as shown, an air guide tube 2 connected to a device for breathing such as a mask 1 ) is installed. The body 3 may, for example, be configured as a case in which a cover 3b having a ventilation grill 3c is mounted as shown in FIG. 1 described above. Since the main body 3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existing on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체(3)는 블로워(4)의 작동에 의해 외기가 내부로 흡기되며, 내부의 필터(5)를 통해 흡기된 공기를 정화한다. 본체(3)는 필터(5)에서 정회된 공기를 블로워(4)의 풍압을 통해 공기 안내관(2)으로 안내하여 전술한 마스크(1)와 같은 기기에 공급한다. 본체(3)는 미도시된 배터리나 외부 전원으로 구성된 전원부(54)로부터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블로워(4)를 구동시킨다.The main body 3 sucks outside air into the inside by the operation of the blower 4 , and purifies the air sucked through the filter 5 inside. The main body 3 guides the air rectified by the filter 5 to the air guide tube 2 through the wind pressure of the blower 4 and supplies it to the same device as the mask 1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3 drives the blower 4 as power is supplied from a power source 54 composed of a battery or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입력부(52)는 블로워(4)의 구동을 위한 구동정보를 입력하는 구성요소이다. 입력부(52)는 예컨대, 미도시된 버튼이나 터치패널로 구성되어 본체(3)에 일체로 설치될 수 있다. 입력부(52)는 블로워(4)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정보를 후술되는 제어부(51)에 신호로 전송한다. 입력부(52)는 블로워(4)의 전원의 온오프나 풍량을 결정하기 위한 단계별 송풍모드 구동 또는 유량보정을 위한 유량보정 모드 구동 등과 같은 구동정보를 제어부(51)에 전송한다. 단계별 송풍모드는 예컨대, 약 170Lpm의 유량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1단계, 약 190Lpm의 유량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2단계 및 약 210Lpm의 유량으로 공기를 제공하는 3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량은 각 단계별 송풍모드의 표준유량이다.The input unit 52 is a component for inputting driving information for driving the blower 4 . The input unit 52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a button or a touch panel (not shown) and integral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3 . The input unit 52 transmits driving information for driving the blower 4 as a signal to the control unit 51 to be described later. The input unit 52 transmits driving information such as on/off of the power of the blower 4 or step-by-step blowing mode driving for determining the air volume or flow rate correction mode driving for flow rate correction to the control unit 51 . The step-by-step blowing mode may consist of, for example, a first step of providing air at a flow rate of about 170Lpm, a second step of providing air at a flow rate of about 190Lpm, and a third step of providing air at a flow rate of about 210Lpm. This flow rate is the standard flow rate for each stage of the blowing mode.

구동속도 조절기(60)는 블로워(4)의 토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속이나 유량 또는 블로워(4)의 알피엠(rpm)을 기반으로 블로워(4)의 구동을 위한 전력값이나 듀티값의 조정을 통해 블로워(4)의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블로워(4)의 알피엠이나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 또는 유량을 보정한다. 제어부(51)는 블로워(4)의 구동을 위해 전술한 입력부(52)와 구동속도 조절기(60) 및 전원부(54)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drive speed controller 60 controls the power value or duty value for driving the blower 4 based on the flow rate or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to the outlet of the blower 4 or the rpm of the blower 4 . By adjus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4 through, the RPM of the blower 4 or the flow rate or flow rate of the discharged air is corrected. The control unit 51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input unit 52 , the driving speed controller 60 , and the power supply unit 54 for driving the blower 4 .

구동속도 조절기(6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센서(62), 표준값 저장부(63), 보정 기준값 저장부(64), 비교부(65) 및 보정부(67)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측정센서(61)는 블로워(4)의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속이나, 블로워(4)의 구동 알피엠을 측정한다. 측정센서(61)는 통상의 압력센서나 엔코더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driving speed controller 60 includes, for example, a measurement sensor 62 , a standard value storage unit 63 , a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4 , a comparison unit 65 , and a correction unit 67 as shown in FIG. 3 . can be configured. The measurement sensor 61 measures the discharg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port of the blower 4 or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4 . Since the measurement sensor 61 may be configured as a conventional pressure sensor or encod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표준값 저장부(63)는 전술한 입력부(52)를 통해 입력되는 입력 구동정보에 대응하여 블로워(4)가 구동될 수 있도록, 블로워(4)의 표준알피엠이나 표준유속 및/또는 블로워(4)의 구동을 위한 표준듀티값이 저장된다. 표준알피엠은 예컨대, 송풍모드 1단계(유량 170Lpm)의 경우 4,700rpm으로, 2단계(유량 190Lpm)의 경우 4,900rpm으로, 3단계(유량 210Lpm)의 경우 5,100rpm으로 구성될 수 있다. 표준유속은 예컨대, 1단계의 경우 2.36m/sec로, 2단계의 경우 2.90m/sec로, 3단계의 경우 3.41m/sec로 구성될 수 있다. 표준듀티값은 예컨대, 1단계의 경우 0.3 포인트로, 2단계의 경우 0.4 포인트로, 3단계의 경우 0.5 포인트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tandard value storage unit 63 is the standard RPM or standard flow rate of the blower 4 and/or the blower 4 so that the blower 4 can be driven in response to the input driving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input unit 52. The standard duty value for driving is stored. The standard RPM is, for example, 4,700 rpm in the case of the first stage of the blowing mode (flow rate of 170 Lpm), 4,900 rpm in the case of the second stage (flow of 190 Lpm), and 5,100 rpm in the case of the third stage (flow rate of 210 Lpm). The standard flow rate may be, for example, 2.36 m/sec in the case of the first stage, 2.90 m/sec in the case of the second stage, and 3.41 m/sec in the case of the third stage. The standard duty value may be composed of, for example, 0.3 points in the case of the first stage, 0.4 points in the case of the second stage, and 0.5 points in the case of the third stage.

보정 기준값 저장부(64)는 블로워(4)의 구동 알피엠을 보정하기 위한 허용 알피엠값이나, 블로워(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속을 표준값 저장부(63)의 표준유속으로 보정하기 위한 허용 듀티값이 저장된다. 허용 알피엠은 예컨대, 100rpm으로 구성될 수 있다. 허용 듀티값은 예컨대, 0.1 포인트로 구성될 수 있다. 보정 기준값 저장부(64)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허용 유속이 저장될 수도 있다. 허용 유속은 예컨대, 0.1m/sec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4 is an allowable RPM value for correcting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4, or allowable for correcting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4 to the standard flow rate of the standard value storage unit 63 The duty value is stored. The allowable RPM may be, for example, 100 rpm. The allowable duty value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0.1 point. The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4 may store an allowable flow rate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llowable flow rate may be configured as, for example, 0.1 m/sec.

비교부(65)는 측정센서(61)에서 측정된 구동 알피엠이나 유속을 표준값 저장부(63)에 저장된 표준알피엠 또는 표준유속과 비교하거나, 후술되는 바와 같이 유속 증가를 위해 증량된 증량 듀티값을 전술한 표준듀티값과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거나, 산출된 차이값을 보정 기준값 저장부(64)의 허용 알피엠값이나 허용 듀티값 또는 허용 유속과 비교하여 비교값을 산출한다.The comparator 65 compares the driving RPM or flow rat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ensor 61 with the standard RPM or standard flow rate stored in the standard value storage unit 63, or increases the duty value increased for increasing the flow rate as will be described later. A difference value is calculated by comparing with the above-described standard duty value, or a comparison value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with an allowable RPM value, an allowable duty value, or an allowable flow rate of the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4 .

보정부(67)는 비교부(65)에서 산출된 차이값이나 비교값을 기반으로 블로워(4)를 구동시키는 전원의 전력값이나 듀티값을 가변시켜서 블로워(4)의 구동속도를 조절한다. 보정부(67)는 블로워(4)의 구동속도 조절을 통해 블로워(4)의 구동 알피엠이나 토출 유속 또는 토출 유량을 보정한다.The compensator 67 adjusts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4 by varying the power value or the duty value of the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blower 4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or the comparison value calculated by the comparator 65 . The correction unit 67 corrects the driving RPM or the discharge flow rate or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blower 4 by adjus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4 .

여기서, 전술한 보정 기준값 저장부(64)는 블로워(4)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량을 단계적으로 증감시켜서 보정하기 위한 유량보정 듀티값이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전술한 구동속도 조절기(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66)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타이머(66)는 블로워(4)의 유량을 단계적으로 보정하기 위한 보정 시간을 카운팅한다.Here, the aforementioned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4 may be configured to store a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for correcting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4 in stages. To this end, the aforementioned driving speed controller 60 may be provided with a timer 66 as shown in FIG. 3 . This timer 66 counts the correction time for stepwise correcting the flow rate of the blower (4).

한편, 본체(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 게이지(20)가 구비될 수 있다. 유량 게이지(20)는 전술한 보정 기준값 저장부(64) 및 타이머(66)에 의해 공기의 유량이 보정될 경우, 보정되는 유량을 육안확인이 가능하게 표시한다. 유량 게이지(2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에서 공기 안내관(2)으로 연결된 유로에서 분기된 분기관을 통해 토출 공기를 제공받는다. 따라서, 유량 게이지(20)는 공기 안내관(2)을 관류하는 공기의 유량을 표시한다. Meanwhile, the body 3 may be provided with a flow gauge 20 as shown in FIG. 3 . When the flow rate of air is corrected by the above-described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4 and the timer 66, the flow gauge 20 displays the corrected flow rate for visual confirma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 the flow gauge 20 receives discharge air through a branch pipe branched from the flow path connected from the main body 3 to the air guide pipe 2 . Accordingly, the flow gauge 20 indicates the flow rate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guide tube 2 .

유량 게이지(20)는 예컨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4)에서 공기 안내관(2)으로 제공되는 공기의 풍압에 의해 승강하는 볼(21) 및 이러한 볼(21)이 승강가능하게 내장되고, 외부로 볼(21)이 투시되는 게이지 하우징(23)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게이지 하우징(2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21)의 승강높이를 확인하도록 중간부분에 표시선(23a)이 표시될 수 있다.The flow gauge 20 is,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balls 21 and these balls 21 that rise and fall by the wind pressure of the air provided from the blower 4 to the air guide tube 2 are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gauge housing 23 that is built-in to be lifted and the ball 21 is see-through to the outside. As shown in the figure, the gauge housing 23 may have a mark line 23a displayed in the middle to check the elevation height of the ball 21 .

다른 한편, 본체(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고용 음향이나 경고용 조명광 또는 경고용 진동을 발산하는 알러트(5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알러트(56)는 통상의 스피커나 램프 또는 진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 the main body 3 may be provided with an alert 56 that emits a warning sound, a warning illumination light, or a warning vibration. Such an alert 56 may be composed of a conventional speaker, lamp, or vibration motor.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워(4)의 구동 알피엠이나, 토출되는 유속 또는 유량을 보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보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6 to 8 ,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4 or the discharged flow rate or flow rate can be correct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se corrections is as follows.

< 1. 구동 알피엠 보정 >< 1. Driving RPM correction >

구동 알피엠을 보정하기 위해서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52)를 통해 구동정보를 입력하여 블로워(4)를 작동시킨다. 이때, 입력부(52)가 전원버튼으로 구성된 경우 "온(ON)"과 함께 자동으로 기 설정된 1단계 송풍모드가 진행된다. 즉, 제어부(51)는 입력부(52)를 통해 "온"이 입력될 경우 1단계 송풍모드 구동정보로 인식하여 블로워(4)를 1단계 송풍모드로 작동시킨다.(도 6의 S11) In order to correct the driving RPM, the blower 4 is operated by inputting driving information through the input unit 52 as shown in FIGS. 3 and 6 . At this time, when the input unit 52 is configured as a power button, the preset first-stage blowing mode is automatically performed together with “ON”. That is, when “ON”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52 , the control unit 51 recognizes the first stage blowing mode driving information and operates the blower 4 in the first stage blowing mode (S11 in FIG. 6 ).

여기서, 전술한 입력부(52)는 전술한 바와 달리, 전원버튼과 별개로 1단계 송풍모드 버튼, 2단계 송풍모드 버튼 및 3단계 송풍모드 버튼 등이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51)는 조작된 버튼에 해당하는 송풍모드를 구동정보로 인식한다.Here, the above-described input unit 52 may be configured to be provided with a first-stage blowing mode button, a second-stage blowing mode button, a third-stage blowing mode button, and the like, separately from the power button,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51 recognizes the blowing mode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ed button as driving information.

측정센서(61)는 블로워(4)의 작동시 구동 알피엠을 측정하여 측정값을 비교부(65)에 인가한다.(도 6의 S12) 비교부(65)는 표준값 저장부(63)에 기 저장된 해당 송풍모드, 즉 1단계 송풍모드의 표준알피엠을 추출하여 측정센서(61)에서 측정된 측정 알피엠과 비교한 후 차이값(알피엠 차이값)을 산출한다.(도 6의 S13) 그리고, 비교부(65)는 산출된 차이값이 보정 기준값 저장부(64)에 기 저장된 허용 알피엠값(100rpm)을 초과하는지 확인한다.(도 6의 S14) 예를 들어, 1단계 송풍모드의 표준알피엠 및 허용 알피엠값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 4,700rpm 및 100rpm으로 설정되고, 측정센서(61)에서 측정된 측정 알피엠이 4,550rpm이나 4,850rpm일 경우, 비교부(65)는 차이값으로 150rpm을 산출하고, 이러한 알피엠 차이값 및 허용 알피엠을 비교하여 허용 알피엠(100rpm)에서 50rpm이 초과된 비교값(알피엠 비교값)을 산출한다. 이어서, 비교부(65)는 차이값이 허용 알피엠의 범위(1~100rpm)에서 50rpm을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허용 알피엠 초과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51)에 인가한다. 이때, 비교부(65)는 산출된 차이값이나 비교값(초과 알피엠 비교값)을 함께 인가한다.The measurement sensor 61 measures the driving RPM when the blower 4 is operated and applies the measured value to the comparison unit 65. (S12 in FIG. 6) The comparison unit 65 is stored in the standard value storage unit 63. After extracting the stored standard RPM of the corresponding blowing mode, that is, the first-stage blowing mode, and comparing it with the measured RPM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ensor 61, a difference value (RPM difference value) is calculated. (S13 in FIG. 6) And the comparison The unit 65 checks whether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exceeds the allowable RPM value (100 rpm) pre-stored in the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4 ( S14 in FIG. 6 ). For example, the standard RPM of the step 1 blowing mode and When the allowable RPM value is set to 4,700 rpm and 100 rpm,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and the measured RPM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ensor 61 is 4,550 rpm or 4,850 rpm, the comparator 65 calculates 150 rpm as the difference value and , by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RPM and the allowable RPM, a comparative value (RPM comparison value) exceeding 50 rpm from the allowable RPM (100 rpm) is calculated. Next, the comparator 65 determines that the difference value is out of 50 rpm in the range (1-100 rpm) of the allowable RPM, and applies information about the excess of the allowable RPM to the controller 51 . At this time, the comparator 65 applies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or comparison value (excess RPM comparison value) together.

보정부(67)는 전술한 알피엠 차이값(150rpm)이 전술한 허용 알피엠(100rpm)의 범위에 도달하도록, 전술한 차이값이나 비교값을 기반으로 블로워(4)의 구동을 위한 전력값이나 듀티값을 가변시킨다. 즉, 보정부(67)는 블로워(4)의 구동속도가 조절되어 블로워(4)의 구동 알피엠이 해당 단계 송풍모드의 표준알피엠에 도달하도록, 블로워(4)의 구동을 위한 전력값이나 듀티값을 증감시켜서 블로워(4)의 알피엠을 자동으로 보정한다. 이때, 보정부(67)는 블로워(4)에 인가되는 전원부(54)의 전압을 승압이나 강하시키는 전력값 가변을 통해 구동 알피엠을 보정하도록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블로워(4)는 전술한 표준알피엠(4,700rpm)을 기준으로 하는 허용 알피엠(100rpm)의 범위 내 알피엠으로 구동 알피엠이 보정된다.(도 6의 S15)The compensating unit 67 is a power value or duty for driving the blower 4 based on the above-described difference or comparison value so that the above-described RPM difference value (150rpm) reaches the range of the aforementioned allowable RPM (100rpm). change the value. That is, the compensating unit 67 adjusts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4 so that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4 reaches the standard RPM of the blowing mode of the corresponding stage, the power value or duty value for driving the blower 4 to automatically correct the RPM of the blower (4) by increasing or decreasing At this time, the correcting unit 67 is preferably operated to correct the driving RPM by varying the power value for boosting or decreasing the voltage of the power supply unit 54 applied to the blower 4 . Accordingly, the blower 4 is corrected to drive RPM to an RPM within the range of allowable RPM (100 rpm) based on the aforementioned standard RPM (4,700 rpm). (S15 in FIG. 6)

제어부(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알피엠의 보정에 적용된 전력값이나 듀티값을 전술한 보정 기준값 저장부(64)에 저장한다.(도 6의 S16) 따라서, 블로워(4)는 다음에 다시 입력부(52)를 통해 1단계 송풍모드의 구동정보가 입력될 경우, 보정 기준값 저장부(64)에 저장된 1단계용 전력값이나 듀티값으로 구동되므로, 항상 설정된 표준알피엠에 대응하는 구동 알피엠으로 구동하여 1단계 송풍모드에서 요구되는 유량(170Lpm)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51 stores the power value or duty value applied to the correction of the driving RPM in the above-described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4 ( S16 in FIG. 6 ). When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first stage blowing mode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52, it is driven with the power value or duty value for the first stage stored in the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4, so it is always driven with the driving RPM corresponding to the set standard RPM to provide the required flow rate (170Lpm) in the first stage blowing mode.

보정부(67)는 전술한 바와 같이 1단계 송풍모드의 알피엠 보정이 완료된 후, 입력부(52)를 통해 다른 송풍모드, 즉 다음 단계에 해당하는 2단계 송풍모드의 구동정보가 입력될 경우, 전술한 구성요소들에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도 6의 S11~S16)을 다시 순차적으로 진행하여, 블로워(4)의 구동 알피엠을 다음 단계의 표준알피엠(4,900rpm)에 대응하도록 보정한다. 보정부(67)는 전술한 순서로 마지막 단계의 송풍모드(예: 3단계)까지 블로워(4)의 구동 알피엠을 보정한 후 알피엠 보정을 종료한다. 결론적으로, 보정부(67)는 구동 알피엠을 보정할 추가 송풍모드가 있을 경우 전술한 과정을 다시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구동 알피엠을 보정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RPM correction of the first-stage blowing mode is completed, the correcting unit 67 is configured to input the driving information of another blowing mode, that is, the second-stage blowing mode corresponding to the next stage, through the input unit 52, as described above. The process (S11 to S16 in FIG. 6) as described above is sequentially performed again by one component, and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4 is corrected to correspond to the standard RPM (4,900rpm) of the next step. The correcting unit 67 corrects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4 up to the blowing mode of the last step (eg, step 3) in the above-described order, and then ends the RPM correction. Consequently, when there is an additional blowing mode for correcting the driving RPM, the correction unit 67 sequentially repeats the above-described process again to correct the driving RPM.

여기서, 전술한 보정부(67)는 각 단계별 구동 알피엠의 보정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준알피엠 및 측정 알피엠의 차이값이 발생하지 않거나, 산출된 차이값이 허용 알피엠의 범위에 해당할 경우 블로워(4)의 구동 알피엠을 보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보정부(67)는 어느 한 단계의 구동 알피엠을 보정한 후 다른 단계의 알피엠을 보정할 필요가 없을 경우, 즉 다른 단계의 구동정보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알피엠 보정 과정을 종료한다.Here, when the above-described correction unit 67 corrects the driving RPM for each step, as shown in FIG. 6 ,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standard RPM and the measured RPM does not occur, or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falls within the allowable RPM range. In this case,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4 is not corrected. Then, the correction unit 67 ends the RPM correction process when there is no need to correct the RPM of another stage after correcting the driving RPM of one stage, that is, when driving information of another stage is not input.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블로워(4)의 구동 알피엠 보정시, 블로워(4)에서 토출되는 유속을 기준하지 않고, 블로워(4)의 실제 구동 알피엠을 기준으로 구동 알피엠을 보정하는 이유는, 유속의 경우 블로워(4)의 토출구측 구조나 조립 산포 등에 의해 구동 알피엠 보다 측정 신뢰성(계측 정밀성)이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블로워(4)는 구동 알피엠을 기준으로 알피엠이 보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reference, the reason for correcting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4 based on the actual driving RPM of the blower 4 is not based on the flow rate discharged from the blower 4 when correcting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4 as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the measurement reliability (measurement accuracy) is lower than that of the driving RPM due to the discharge port side structure of the blower 4 or the assembling distribu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PM of the blower 4 is corrected based on the driving RPM.

< 2. 토출 유속 보정 >< 2. Compensation of discharge flow rate >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체(3)의 필터(5)가 오염되어 공기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통해 유속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52)를 통해 1단계나 2단계, 또는 3단계의 송풍모드가 구동될 경우, 블로워(4)는 각 단계별 송풍모드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표준유량을 제공하도록, 각 단계별로 170Lpm과, 190Lpm 및 210Lpm의 유량을 각각 제공해야 한다. 이때, 표준유속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 2.36m/sec와 2.90m/sec 및 3.41m/sec이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ir supply is not smooth because the filter 5 of the main body 3 is contaminated, the flow rate can be correct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For example, when the 1st, 2nd, or 3rd stage blowing mode is driven through the input unit 52, the blower 4 provides the standard flow rate as described above in the blowing mode for each stage, at each stage. Flow rates of 170 Lpm and 190 Lpm and 210 Lpm should be provided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standard flow rates are 2.36 m/sec, 2.90 m/sec, and 3.41 m/sec,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하지만, 블로워(4)는 필터(5)의 오염에 의해 유량 및 유속이 저하될 경우 전술한 표준유량 및 표준유속을 제공할 수 없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블로워(4)는 표준값 저장부(63)에 저장된 전술한 바와 같은 표준유속 및 측정센서(61)에서 측정된 측정 유속의 차이값이 0.1m/sec를 초과할 경우, 전술한 표준유량의 유량값보다 약 3~5% 부족한 유량을 제공한다. 따라서, 블로워(4)는 호흡이 원활하도록 구동속도가 조절되어 유속이 보정될 필요가 있다.However, the blower 4 cannot provide the above-described standard flow rate and standard flow rate when the flow rate and flow rate are lowered due to contamination of the filter 5.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blower 4 is the standard value stored in the standard value storage unit 63. When the difference value between the measured flow rate measured by the standard flow rate and the measurement sensor 61 exceeds 0.1 m/sec, the above It provides a flow rate that is about 3-5% less than the flow value of one standard flow rate. Therefore, the blower (4) needs to be adjusted to the driving speed so that breathing is smooth and the flow rate is corrected.

이러한 유속의 보정에 관하여 2단계 송풍모드를 그 예로 설명하면, 블로워(4)는 입력부(52)를 통해 2단계의 송풍모드로 구동될 경우, 약 4,900rpm으로 회전된다.(도 7의 S21) 이때, 측정센서(61)는 블로워(4)에서 토출되는 유속을 측정하여 비교부(65)에 측정 유속을 인가한다.(도 7의 S22) 측정센서(61)는 만약, 측정 유속이 2.75m/sec일 경우 이를 비교부(65)에 인가한다.If the two-stage blowing mode is described as an example with respect to the correction of the flow rate, the blower 4 is rotated at about 4,900 rpm when it is driven in the two-stage blowing mode through the input unit 52. (S21 in FIG. 7) At this time, the measuring sensor 61 measures the flow rate discharged from the blower 4 and applies the measured flow rate to the comparator 65. (S22 in FIG. 7) The measuring sensor 61, if the measured flow rate is 2.75 m In the case of /sec, this is applied to the comparison unit 65 .

비교부(65)는 측정 유속을 표준값 저장부(63)에 기 저장된 표준유속, 즉 기 설정된 2단계 송풍모드의 표준유속(2.90m/sec)과 비교하여 차이값(유속 차이값)을 산출한 후 차이값을 제어부(51)에 전송한다. 즉, 비교부(65)는 2.90m/sec의 표준유속과 2.75m/sec의 측정유속을 비교하여 0.15m/sec의 차이값을 산출한 후 차이값을 제어부(51)에 전송한다.(도 7의 S23)The comparison unit 65 compares the measured flow rate with the standard flow rate stored in the standard value storage unit 63, that is, the standard flow rate (2.90 m/sec) of the preset two-stage blowing mode to calculate a difference value (flow rate difference value). Then, the difference value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51 . That is, the comparison unit 65 compares the standard flow rate of 2.90 m/sec and the measured flow velocity of 2.75 m/sec, calculates a difference value of 0.15 m/sec, and transmits the difference value to the control unit 51 (Fig. 7, S23)

보정부(67)는 블로워(4)의 구동속도가 상승되어 표준유속에 미달하는 블로워(4)의 유속이 보정되도록, 듀티값을 증량시킨다.(도 7의 S24) 이때, 보정부(67)는 전술한 변동 듀티값에 의해 보정 기준값 저장부(64)에 기 저장된 허용 듀티값(0.1 포인트)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듀티값을 상승시킨다. 즉, 보정부(67)는 0.01~0.1 포인트의 범위 내에서만 듀티값을 상승시킨다. 이러한 범위에서 허용 듀티값이 설정되는 이유는, 블로워(4)를 구동하기 위해 변경되는 듀티값이 0.1 포인트를 초과하여 변경될 경우, 전원부(54)의 배터리는 과도하게 방전되어 사용시간이 현격하게 감소되기 때문이다. 만약, 리튬이온배터리의 2,600mAh 직류 전원에 의해 3단계의 송풍모드로 구동될 경우, 블로워(4)는 3단계 송풍모드의 표준듀티값인 0.4 포인트 듀티값에 의하여 약 6시간 동안 구동된다. 하지만,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는 4시간의 사용시간을 준수해야 하므로, 허용 듀티값이 표준듀티값에서 0.1 포인트를 초과하도록 설정될 경우 사용시간을 준수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는 0.4 포인트의 표준듀티값에서 듀티값이 0.5 포인트를 초과하여 상승될 경우 사용시간을 준수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허용 듀티값은 배터리의 과도한 방전이 방지되도록 전술한 바와 같은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mpensating unit 67 increases the duty value so that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4 is increased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blower 4 that is less than the standard flow rate is corrected. (S24 in FIG. 7) At this time, the compensating unit 67 increases the duty value in a range that does not exceed the allowable duty value (0.1 point) pre-stored in the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4 by the above-described variable duty value. That is, the correction unit 67 is Increase the duty value only within the range of 0.01~0.1 points. The reason that the allowable duty value is set in this range is that when the duty value changed to drive the blower 4 is changed by more than 0.1 point, the battery of the power supply unit 54 is excessively discharged and the use time is significantly reduced. because it decreases. If, by the 2,600mAh DC power of the lithium-ion battery, the blower 4 is driven in the three-stage blowing mode, the blower 4 is driven for about 6 hours by the 0.4 point duty value, which is the standard duty value of the three-stage blowing mode. However, since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must comply with the usage time of 4 hours, the usage time may not be observed if the allowable duty value is set to exceed 0.1 point from the standard duty value. That is,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may not comply with the usage time if the duty value is increased by more than 0.5 point from the standard duty value of 0.4 point. Therefore, the allowable duty value is preferably set in the range as described above to prevent excessive discharging of the battery.

보정부(67)는 전술한 허용 듀티값의 범위 내에서 듀티값을 증량시킨다. 보정부(67)는 예컨대, 2단계 송풍모드의 표준듀티값인 0.4 포인트에서 0.01 포인트씩 듀티값을 증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정부(67)는 0.41 포인트, 0.42포인트… 0.49 포인트와 같이 듀티값을 상승시킨다. 블로워(4)는 듀티값의 증량에 의해 구동속도가 증가되어 유속이 상승한다. 다라서, 블로워(4)는 유속 상승에 의해 표준유량에 대응하는 유량을 제공하거나, 듀티값을 증량하기 이전 보다 증가된 유량을 제공한다.The correction unit 67 increases the duty value within the range of the above-described allowable duty value. The correction unit 67 preferably increases the duty value by 0.01 points from the standard duty value of 0.4 points in the two-stage blowing mode, for example. That is, the correction unit 67 is 0.41 points, 0.42 points... Increase the duty value by 0.49 points. As for the blower 4, the driving speed is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the duty value, so that the flow rate is increased. Therefore, the blower 4 provides a flow rate corresponding to the standard flow rate by increasing the flow rate, or provides an increased flow rate than before increasing the duty value.

한편, 제어부(51)는 최초 듀티값 증량시, 측정센서(61)에서 실시간으로 인가되는 측정 유속을 통해 증량된 듀티값에 따라 유속이 상승되었는지 확인한다. 제어부(51)는 유속이 미상승했을 경우, 보정부(67)를 통해 다시 듀티값을 0.01 포인트 상승(증량)시킨 후 다시 유속이 상승되었는지 확인한다.(도 7의 S26) 제어부(51)는 증량 듀티값이 0.1 포인트까지 증량되어도 적정 유속이나 유량이 구현되지 못하면, 허용 듀티값 초과에 의한 배터리의 과도한 방전이 방지되도록 하위 송풍모드로 송풍모드를 변경한다. 이때, 제어부(51)는 하위 송풍모드가 존재하는지 확인한 후 하위 송풍모드로 변경한다. 즉, 제어부(51)는 송풍모드를 2단계 송풍모드에서 1단계 송풍모드로 변경한다. 하지만 제어부(51)는 하위 송풍모드가 미존재하여 배터리의 과도한 소모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경우, 알러트(56)를 작동시켜서 유속변경을 통한 유량 증가에 문제가 있음을 경고한다.(도 7의 S28, S29, S30)Meanwhile, when the initial duty value is increased, the control unit 51 checks whether the flow rate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d duty value through the measured flow rate applied in real time from the measurement sensor 61 . When the flow rate does not rise, the control unit 51 increases (increased) the duty value by 0.01 point again through the correction unit 67, and then checks whether the flow rate has risen again (S26 in FIG. 7). The control unit 51 If the proper flow rate or flow rate is not realized even if the increased duty value is increased to 0.1 point, the blowing mode is changed to a lower blowing mode to prevent excessive discharge of the battery due to exceeding the allowable duty value.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51 changes to the lower blowing mode after checking whether the lower blowing mode exists. That is, the control unit 51 changes the blowing mode from the 2-stage blowing mode to the 1-stage blowing mode. However, when there is a risk of excessive consumption of the battery due to the non-existence of the lower blowing mode, the control unit 51 activates the alarm 56 to warn that there is a problem in increasing the flow rate by changing the flow rate (FIG. 7). S28, S29, S30)

여기서, 전술한 비교부(65)는 전술한 바와 달리, 듀티값의 증량에 의해 측정 유속의 상승이 확인될 경우, 표준듀티값 및 유속 상승시의 증량된 증량 듀티값을 비교하여 차이값(듀티 차이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비교부(65)는 산출된 차이값이 보정 기준값 저장부(64)에 기 저장된 허용 듀티값을 초과하는지 확인한다. 예를 들어, 비교부(65)는 2단계의 송풍모드에서 듀티값이 0.51 포인트로 증량되어 측정 유속이 상승했을 경우, 0.11 포인트의 차이값을 산출하고, 이러한 차이값을 허용 듀티값과 비교하여 0.01 포인트가 초과된 비교값(듀티 비교값)을 산출한다. 즉, 비교부(65)는 차이값이 허용 듀티값을 초과하였는지 확인한다. 따라서, 비교부(65)는 차이값이 허용 듀티값의 범위(0.1 포인트)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허용 듀티값 초과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51)에 인가한다. 이때, 비교부(65)는 산출된 차이값이나 비교값을 함께 인가한다.(도 7의 S27)Here, the above-described comparison unit 65 compares the standard duty value and the increased duty value when the flow rate increases when the increase in the measured flow rate is confirmed by the increase in the duty value, unlike the above-described difference value (duty difference). value) is calculated. Then, the comparison unit 65 checks whether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exceeds the allowable duty value pre-stored in the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4 . For example, the comparison unit 65 calculates a difference value of 0.11 point when the duty value is increased to 0.51 point in the blowing mode of the second stage and the measured flow rate rises, and compares this difference value with the allowable duty value. A comparison value (duty comparison value) in which 0.01 points are exceeded is calculated. That is, the comparison unit 65 checks whether the difference value exceeds the allowable duty value. Accordingly, the comparator 65 determines that the difference value is out of the allowable duty value range (0.1 point) and applies information about the excess of the allowable duty value to the controller 51 . At this time, the comparison unit 65 applies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or the comparison value together. (S27 of FIG. 7 )

제어부(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가된 차이값이나 비교값을 기반으로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하위 송풍모드가 존재하는지 확인한 후, 하위 송풍모드로 송풍모드를 변경시키거나, 알러트(56)를 작동시킨다.(도 7의 S28, S29, S30)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51 checks whether a lower blowing mode exists as described above based on the applied difference value or comparison value as described above, and then changes the blowing mode to the lower blowing mode or operates an alert 56 . (S28, S29, S30 in Fig. 7)

한편, 비교부(65)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2.90m/sec의 표준유속 및 2.75m/sec의 측정유속을 비교하여, 측정 유속이 표준유속과 같거나 클 경우 구동중인 해당 송풍모드의 구동을 그대로 유지한다.(도 7의 S23) 비교부(65)는 측정 유속이 표준유속 보다 작을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듀티값을 곧바로 증량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비교부(65)는 측정 유속 및 표준 유속의 차이값(유속 차이값: 0.15m/sec)을 산출한 후, 이러한 차이값을 보정 기준값 저장부(64)에 저장된 전술한 허용 유속( 0.1m/sec)과 비교하여 0.05m/sec가 초과된 비교값을 산출한다.(도 7의 S24) 즉, 비교부(65)는 차이값이 허용 유속을 초과하였는지 확인한다. 따라서, 비교부(65)는 차이값이 허용 유속의 범위(0.01~0.1m/sec)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허용 유속 초과에 대한 정보를 보정부(67)에 인가한다. 이때, 비교부(65)는 산출된 차이값 및 비교값을 함께 인가한다. 따라서, 보정부(67)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듀티값을 증량하여 블로워(4)의 구동속도를 상승시킴으로써 유속을 증가시킨다.(도 7의 S25) 결론적으로, 보정부(67)는 유속 증가를 통해 유량을 증가시킨다. 이렇게, 유속 가변을 통해 유량이 자동으로 증량되므로 사용자는 현장 작업시 원활하게 작업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작업 중에 필터(5)가 다소 폐색되어도 호흡을 위한 공기의 유량이 자동으로 증량되므로 원활하게 작업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mparison unit 65 compares the standard flow rate of 2.90 m/sec and the measured flow rate of 2.75 m/sec as described above, and when the measured flow rate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standard flow rate, the driving of the corresponding blowing mode being driven (S23 of FIG. 7) The comparator 65 may directly increase the duty valu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measured flow rate is smaller than the standard flow rate. On the other hand, the comparator 65 calculates a difference value (flow velocity difference value: 0.15 m/sec) between the measured flow velocity and the standard flow velocity, and then stores this difference value in the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4 for the above-described allowable flow velocity ( 0.1 m/sec) and calculates a comparison value exceeding 0.05 m/sec. (S24 of FIG. 7 ) That is, the comparator 65 checks whether the difference value exceeds the allowable flow velocity. Accordingly, the comparison unit 65 determines that the difference value is out of the allowable flow velocity range (0.01 to 0.1 m/sec) and applies information about the allowable flow velocity excess to the correcting unit 67 . At this time, the comparison unit 65 applies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and the comparison value together. Accordingly, the compensating unit 67 increases the flow rate by increasing the duty value to increase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4 as described above (S25 in FIG. 7). In conclusion, the compensating unit 67 increases the flow rate. increase the flow rate through In this way, the flow rate is automatically increased through variable flow rate, so that the user can work smoothly during field work. In particular, the user can work smoothly because the flow rate of air for breathing is automatically increased even if the filter 5 is somewhat clogged during operation.

여기서, 전술한 제어부(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증량되었던 증량 듀티값을 보정 기준값 저장부(64)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블로워(4)는 다음에 동일한 단계의 송풍모드로 다시 구동될 경우, 저장된 증량 듀티값에 의한 구동속도로 회전될 수 있다.Here, the above-described control unit 51 may store the increased duty value, which has been increased to increase the flow rate as described above, in the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4 . Accordingly, when the blower 4 is driven again in the blowing mode of the same stage next time, the blower 4 can be rotated at a driving speed according to the stored increased duty value.

< 3. 토출 유량 보정 >< 3. Discharge flow correction >

본 발명의 실시예는, 원하는 단계의 송풍모드를 사용하는 도중에도 유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활동량이 많아서 호흡량이 크게 증가하거나 해당 송풍모드의 유량이 조금 과도하다고 생각될 경우 작동 중에도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cisely control the flow rate even while using the blowing mode of a desired stage. For example, the user can adjust the flow rate during operation if the user has a large amount of activity and the respiration rate is greatly increased or if the flow rate of the corresponding ventilation mode is a little excessive.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우선 입력부(52)를 통해 원하는 송풍모드로 구동시킨 후 입력부(52)를 통해 유량보정을 선택한다.(도 8의 S41 및 S42) 이때, 입력부(52)는 전술한 전원버튼이나 해당 송풍모드 버튼이 길게 조작되거나, 별도의 유량보정 버튼이 조작될 경우 유량보정 구동모드에 해당하는 구동정보를 제어부(51)에 인가한다. 제어부(51)는 보정부(67)를 통해 블로워(4)의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블로워(4)에서 토출되는 유량을 증감시킨다. 이때, 보정부(67)는 보정 기준값 저장부(64)에 기 저장된 유량보정 듀티값을 기반으로 듀티값을 증량시켜서 블로워(4)의 구동속도를 조절한다. 즉, 보정부(67)는 블로워(4)에 인가되는 전원의 듀티값을 전술한 유량보정 듀티값으로 조정하여 블로워(4)의 구동속도를 조절한다.(도 8의 S44)In this case, the user first drives the desired blowing mode through the input unit 52 and then selects the flow rate correction through the input unit 52 ( S41 and S42 in FIG. 8 ). At this time, the input unit 52 is connected to the power button However, when the corresponding blow mode button is operated for a long time or a separate flow rate correction button is operated, driv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low rate correction driving mode is applied to the control unit 51 . The control unit 51 adjusts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4 through the correction unit 67 to increase or decrease the flow rate discharged from the blower 4 . At this time, the correction unit 67 adjusts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4 by increasing the duty value based on the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previously stored in the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4 . That is, the compensator 67 adjusts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4 by adjusting the duty value of the power applied to the blower 4 to the aforementioned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S44 in FIG. 8)

여기서, 전술한 유량보정 듀티값은 예컨대, -0.030 포인트에서 +0.030 포인트까지로 범위가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51)는 구동중인 해당 송풍모드의 표준듀티값에 유량보정 듀티값을 적용하여 듀티값을 가변시킨다. 예를 들어, 보정부(67)는 2단계 송풍모드로 구동될 경우 0.4 포인트의 2단계 표준듀티값에 전술한 유량보정 듀티값을 적용하여, 0.37 포인트 내지 0.43 포인트 사이에서 듀티값을 가변시킨다. 이때, 보정부(67)는 듀티값이 미세가변되어 정밀하게 유량이 조절되도록 0.005 포인트씩 순차적으로 듀티값을 가변시키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보정부(67)는 전술한 유량보정 듀티값의 최저값에 해당하는 0.37 포인트부터 0.005 포인트씩 순차적으로 듀티값을 가변시킨다. 이에 따라, 가변을 위한 유량보정 듀티값은 전술한 최저값의 0.37 포인트에서 0.005 포인트가 증가한 0.375 포인트가 최하 미세가변 듀티값에 해당하고, 0.005씩 증가하여 전술한 최고값의 0.43 포인트에 도달하므로 0.43 포인트가 최상 미세가변 듀티값에 해당한다.Here, the aforementioned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may be set in a range from, for example, -0.030 point to +0.030 point. The control unit 51 varies the duty value by applying the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to the standard duty value of the corresponding blowing mode being driven. For example, when the compensator 67 is driven in the two-stage blowing mode, the above-described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is applied to the two-stage standard duty value of 0.4 point to vary the duty value between 0.37 point and 0.43 poin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ensating unit 67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vary the duty value by 0.005 points so that the duty value is finely changed and the flow rate is precisely controlled. That is, the correction unit 67 sequentially varies the duty value by 0.005 points from 0.37 points corresponding to the lowest value of the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Accordingly, the flow correction duty value for the variable is 0.375 point, which is an increase of 0.005 points from the 0.37 point of the above-mentioned lowest value, corresponds to the lowest fine variable duty value, and increases by 0.005 to reach 0.43 point of the above-mentioned highest value, so 0.43 point is the highest fine-variable duty value.

보정부(67)는 유량보정 구동모드가 시작될 경우, 전술한 최하 미세가변 듀티값의 0.375 포인트로 듀티값을 가변시킨 후, 순차적으로 0.005 포인트씩 상승시켜서 최상 미세가변 듀티값의 0.43 포인트까지 단계적으로 듀티값을 가변시킨 다음, 다시 최하 미세가변 듀티값부터 최상 미세가변 듀티값까지 다시 듀티값을 단계적으로 가변시킨다.When the flow rate compensation driving mode starts, the compensator 67 changes the duty value to 0.375 points of the lowest fine variable duty value described above, and then sequentially increases it by 0.005 points to 0.43 points of the highest fine variable duty value step by step. After the duty value is varied, the duty value is again varied in stages from the lowest fine variable duty value to the highest fine variable duty value again.

제어부(51)는 전술한 바와 같이 2단계 송풍모드의 듀티값을 단계적으로 미세가변시키는 도중에 미세가변되는 단계들 중 어느 하나의 단계가 입력부(52)에서 선택될 경우, 보정부(67)를 통해 선택된 유량보정 듀티값으로 블로워(4)를 구동시킨다.(도 8의 S45) 이때, 보정부(67)는 블로워(4)의 구동을 위한 듀티값이 선택된 단계의 유량보정 듀티값으로 세팅(설정)되도록 선택된 유량보정 듀티값을 보정 기준값 저장부(64)에 저장하고, 블로워(4)가 세팅된 유량보정 듀티값에 대응하는 토출 유량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된 유량보정 듀티값으로 블로워(4)를 구동시킨다.(도 8의 S49) 따라서, 블로워(4)는 유량보정 듀티값의 범위 내에서 가변된 2단계 송풍모드 듀티값으로 구동된다.(도 8의 S50)As described above, when any one of the steps to be finely changed is selected by the input unit 52 while finely varying the duty value of the two-step blowing mode step by step, the control unit 51 through the correction unit 67 The blower 4 is driven with the selected flow rate compensation duty value. (S45 in FIG. 8) At this time, the compensator 67 sets (sets) the duty value for driving the blower 4 to the flow rate compensation duty value of the selected stage. ) to store the selected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in the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4, and the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stored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blower 4 can continue to maintain the discharge flow rate corresponding to the set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The blower 4 is driven. (S49 of FIG. 8) Accordingly, the blower 4 is driven with the duty value of the two-stage blowing mode varied within the range of the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S50 of FIG. 8)

보정부(67)는 전술한 바와 같이 2단계 송풍모드의 표준듀티값을 0.005 포인트씩 가변시킬때 마다, 이전에 적용된 미세가변 듀티값이 전술한 최상 미세가변 듀티값에 해당하는지 확인한다.(도 8의 S47) 보정부(67)는 확인결과 최상 미세가변 듀티값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 미세가변되는 듀티값을 다음에 적용될 차상위 미세가변 듀티값으로 가변시킨 후 미세가변 듀티값의 선택여부를 확인한다, 즉, 보정부(67)는 이전에 적용된 미세가변 듀티값에 0.005 포인트씩 듀티값을 다시 가변시킨 후 미세가변 듀티값의 선택여부를 확인한다.(도 8의 S48) As described above, whenever the standard duty value of the two-step blowing mode is varied by 0.005 points, the correction unit 67 checks whether the previously applied fine variable duty value corresponds to the best fine variable duty value described above. (FIG. S47 of 8) If the correction unit 67 does not correspond to the highest fine variable duty value as a result of the check, the fine variable duty value is changed to the next higher fine variable duty value to be applied next, and then the fine variable duty value is selected. That is, the correction unit 67 changes the duty value by 0.005 points to the previously applied fine variable duty value again, and then checks whether the fine variable duty value is selected. (S48 of FIG. 8 )

하지만, 보정부(67)는 전술한 확인결과가 최상 미세가변 듀티값, 즉 0.43 포인트에 해당할 경우, 미세가변 듀티값을 다시 처음의 듀티값으로 가변시킨 후 0.005씩 다시 증가시킨다.(도 8의 S47) 즉, 보정부(67)는 블로워(4)의 구동에 필요한 듀티값을 최하 미세가변 듀티값인 0.37 포인트로 가변시킨 후 0.005씩 다시 순차적으로 증가시키면서 전술한 과정을 다시 반복한다.However, if the above-mentioned confirmation result corresponds to the highest fine variable duty value, that is, 0.43 point, the correcting unit 67 changes the fine variable duty value back to the initial duty value and then increases it again by 0.005 (FIG. 8). of S47), that is, the correction unit 67 repeats the above-described process again while changing the duty value required for driving the blower 4 to 0.37 point, which is the lowest finely variable duty value, and then sequentially increasing it again by 0.005.

한편, 보정부(6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속도 조절기(60)에 구비된 타이머(66)의 카운팅에 따라 유량보정 듀티값을 0.005 포인트씩 가변시킬 수 있다. 타이머(66)는 예컨대, 카운팅시간이 5초로 설정될 수 있다. 타이머(6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52)룰 통해 유량보정이 선택되면 카운팅을 시작한다.(도 8의 S43) 이때, 보정부(67)는 2단계 송풍모드의 표준듀티값을 전술한 최하 미세가변 듀티값(0.37 포인트)으로 가변하여 블로워(4)를 구동시킨다. Meanwhile, the correction unit 67 may vary the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by 0.005 points according to the counting of the timer 66 provided in the driving speed controller 60 as shown in FIG. 3 . The timer 66 may be set, for example, to have a counting time of 5 seconds. The timer 66 starts counting when the flow rate correction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52 rule as described above (S43 in FIG. 8). At this time, the correction unit 67 sets the standard duty value of the two-stage blowing mode as described above. The blower 4 is driven by changing to the lowest fine variable duty value (0.37 point).

타이머(66)는 카운팅 후 유량보정 듀티값이 선택되지 않을 경우, 카운팅을 초기화한 후 다시 카운팅을 시작한다.(도 8의 S46) 보정부(67)는 카운팅의 재시작시 이전의 미세가변 듀티값이 전술한 최상 미세가변 듀티값(0.43 포인트)에 해당하는지 확인한 후, 해당하지 않으면 미세가변 듀티값을 0.005 포인트씩 가변시키는 과정을 반복한다.(도 8의 S47) When the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is not selected after counting, the timer 66 initializes counting and then starts counting again. After checking whether this corresponds to the above-mentioned highest fine variable duty value (0.43 points), if not, the process of varying the fine variable duty value by 0.005 points is repeated. (S47 of FIG. 8)

결론적으로, 유량보정 듀티값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66)에 의해 5초 간격으로 0.005 포인트씩 가변된다. 즉, 유량보정 듀티값은 -0.03 포인트에서부터 +0.03포인트까지 5초간격으로 0.005 포인트씩 가변된다. 이때, 유량보정 듀티값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0 포인트에서 +0.03 포인트까지 가변된 후 가변이 5초간 중단된 다음 다시 -0.03 포인트에서 0 포인트까지 가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2단계 송풍모드의 경우 표준듀티값인 0.4 포인트에서 0.43 포인트까지 가변된 다음, 5초간 가변이 중단된 후 다시 0.37 포인트에서 0.4 포인트까지 듀티값이 가변된다.As a result, the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is varied by 0.005 points at intervals of 5 seconds by the timer 66 as shown in FIG. 9 . That is, the flow rate compensation duty value is changed by 0.005 points every 5 seconds from -0.03 point to +0.03 point.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 the flow correction duty value is changed from 0 point to +0.03 point, then the variation is stopped for 5 seconds, and then it is preferably changed from -0.03 point to 0 point again. That is, in the case of the two-stage blowing mode, the standard duty value is varied from 0.4 point to 0.43 point, and then the change is stopped for 5 seconds, and then the duty value is changed from 0.37 point to 0.4 point again.

다른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에 연결된 유량 게이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유량보정 듀티값에 의해 블로워(4)의 구동속도가 미세하게 조절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21)이 승강한다. 사용자는 승강하는 볼(21)을 확인한 후, 원하는 유량에 도달했을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52)를 통해 유량보정을 선택한다. 따라서, 제어부(51)는 선택된 듀티값을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the flow gauge 20 connected to the main body 3 is,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4 is finely adjusted by the flow correction duty value, as shown in FIG. As shown, the ball 21 ascends and descends. After check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ball 21, the user selects the flow rate correction through the input unit 52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esired flow rate is reached. Accordingly, the controller 51 stores the selected duty value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전술한 볼(2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선(23a)을 중심으로 승강한다. 볼(21)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0.005 포인트씩 듀티값이 가변될 경우, 표시선(23a)에서부터 조금씩 상승한 후 듀티값 증량이 중단시 게이지 하우징(23)의 하부로 하강하며, 다시 듀티값이 가변됨에 따라 표시선(23a)까지 상승한다.Here, the aforementioned ball 21 moves up and down around the display line 23a as shown in FIG. 5 .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uty value is varied by 0.005 points, the ball 21 rises little by little from the display line 23a and then descends to the lower part of the gauge housing 23 when the duty value increase is stopped, and the duty value is variable again. As a result, it rises to the display line 23a.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구동속도 조절기(60)에 의해 블로워(4)의 구동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구동속도 조절기(60)를 통해 블로워(4)의 알피엠이나 유속 또는 유량을 보정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4 can be adjusted by the driving speed controller 60, the RPM or the flow rate or flow rate of the blower 4 can be corrected through the driving speed controller 60. can

특히, 블로워(4)의 제조시 알피엠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시 설정된 유량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시 토출유속을 기반으로 블로워(4)의 구동에 필요한 듀티값을 보정할 수 있으므로 필터(5)가 오염에 의해 폐색되어도 공급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듀티값을 미세하게 보정할 수 있으므로 토출 유량을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RPM can be adjusted during the manufacture of the blower 4, a set flow rate can be provided during use, and the duty value required for driving the blower 4 can be corrected based on the discharge flow rate during use, so that the filter 5 is contaminat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upply flow rate even if it is blocked by the

그리고, 유량 게이지(20)의 볼(21)이 토출 유량에 따라 승강하므로 토출 유량의 조정시 승강하는 볼(21)을 확인하면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And, since the ball 21 of the flow gauge 20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discharge flow rate, it can be easily adjusted while checking the rising ball 21 when adjusting the discharge flow rate.

또, 구동중인 해당 송풍모드의 표준알피엠과 구동중인 블로워(4)의 구동 알피엠을 비교하여 블로워(4)의 구동 알피엠을 표준알피엠에 근접하게 보정할 수 있으므로 알피엠을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4 can be corrected close to the standard RPM by comparing the standard RPM of the blowing mode being driven with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4 being driven, the RPM can be stably and easily corrected. .

또한, 구동중인 해당 송풍모드의 표준유속과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측정 유속을 비교하여 블로워(4)의 구동에 필요한 듀티값을 증량시켜서 토출 유량을 증가시키므로 실제 사용환경에 적합한 유량을 제공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comparing the standard flow rate of the corresponding blowing mode being driven and the measured flow rate measured in real time, the duty value required for driving the blower 4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discharge flow rate, so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low rate suitable for the actual use environment.

게다가, 해당 송풍모드의 표준유속 및 측정 유속, 그리고 표준유속 및 측정 유속의 차이값이 허용가능한 범위인지를 허용 유속을 통해 비교하거나, 해당 송풍모드의 표준듀티값 및 유속 증가를 위해 적용된 증량 듀티값, 그리고 표준듀티값 및 증량 듀티값의 차이값이 허용가능한 범위인지를 허용 듀티값을 통해 비교하여 유속 보정을 위한 듀티값을 결정하므로 구동하는 송풍모드의 특성에 알맞게 유량을 안정적으로 증가시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andard and measured flow rates of the corresponding blowing mode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and measured flow rates are compared through the allowable flow rate, or the standard duty value of the corresponding blowing mode and the increased duty value applied to increase the flow rate. , an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ard duty value and the increased duty value is within the allowable range is compared through the allowable duty value to determine the duty value for flow velocity correction. can

아울러, 해당 송풍모드의 유량을 유량보정 듀티값을 통해 미세하게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유량을 상황에 따라 정밀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low rate of the corresponding blowing mode can be finely varied through the flow rate correction duty value, the flow rate can be precisely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더욱이, 가변되는 듀티값이 유량보정 듀티값의 범위 내에서 0.005 포인트씩 가변되므로 매우 정밀하게 유량을 보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시간 동안 0.005 포인트씩 듀티값이 가변되고, 가변에 따라 유량 게이지(20)의 볼(21)이 승강하므로 소망하는 유량을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variable duty value is varied by 0.005 points within the range of the flow compensation duty value, the flow rate can be corrected very precisely, and the duty value is varied by 0.005 points for a set time, and the flow gauge 20 according to the change. Since the ball 21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it is possible to easily set a desired flow rate.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질적 특징이 충족될 수 있을 경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형(구조나 구성의 변경이나 부분적 생략 또는 보완)이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은 특징의 일부 또는 다수가 상호 간에 조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구조 및 구성은 변형이나 조합에 의해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구조 및 구성의 변형이나 조합이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Sinc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merely a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ppropriate modifications (structure or configuration of structure or configura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if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can be satisfied. change, partial omission or supplementation) is possible. In addition, some or a plurality of features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Therefore, since 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modification or combination, it is natural that such modification or combination of the structure and configuration belongs to the appended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 마스크 2: 공기 안내관
3; 본체 4: 블로워
5: 필터 20: 유량 게이지
21: 볼 23: 게이지 하우징
23a: 표시선 51: 제어부
52: 입력부 54: 전원부
56: 알러트 60: 구동속도 조절기
62: 측정센서 63: 표준값 저장부
64: 보정 기준값 저장부 65: 비교부
66: 타이머 67 : 보정부
1: Mask 2: Air tube
3; Body 4: Blower
5: filter 20: flow gauge
21: ball 23: gauge housing
23a: display line 51: control unit
52: input unit 54: power unit
56: alert 60: drive speed controller
62: measurement sensor 63: standard value storage unit
64: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65: comparison unit
66: timer 67: correction unit

Claims (10)

내부에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및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블로워가 내장되고, 상기 블로워 및 상기 필터를 통해 외기를 흡기하여 정화하며, 공기 안내관이 연결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블로워의 풍압을 통해 상기 공기 안내관으로 안내하여 공급하는 본체가 구비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로써,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한 전원의 온오프나 풍량 또는 유량에 관한 구동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블로워의 구동 알피엠이나 상기 블로워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 또는 유량을 기반으로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한 전력값이나 듀티값의 조정을 통해 상기 블로워의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블로워의 알피엠이나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 또는 유량을 보정하는 구동속도 조절기; 및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해 상기 입력부, 상기 구동속도 조절기 및 상기 블로워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속도 조절기는,
상기 입력부의 구동정보에 의해 구동하는 상기 블로워의 구동 알피엠이나, 상기 블로워의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속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
상기 입력부의 입력 구동정보에 따라 상기 블로워가 구동되도록, 상기 블로워의 표준알피엠이나 표준유속 및 상기 블로워를 구동시키기 위한 표준듀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된 표준값 저장부;
상기 블로워의 구동 알피엠을 보정하기 위한 허용 알피엠값과, 상기 블로워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토출 유속을 상기 표준값 저장부의 표준유속으로 보정하기 위한 허용 유속 및 허용 듀티값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저장되는 보정 기준값 저장부;
상기 측정센서에서 측정된 구동 알피엠이나 측정 유속 또는 유속 증가를 위해 증량된 증량 듀티값을, 상기 표준값 저장부에 저장된 표준알피엠이나 표준유속 또는 표준듀티값과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거나, 산출된 차이값을 상기 보정 기준값 저장부의 허용 알피엠값이나 허용 유속 또는 허용 듀티값과 비교하여 비교값을 산출하는 비교부; 및
상기 블로워의 구동속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비교부에서 산출된 차이값이나 비교값을 기반으로 전력값이나 듀티값을 가변시켜서 상기 블로워의 구동 알피엠이나 토출 유속을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
A filter that filters air and a blower operated by a power source are built-in, and external air is purified by intake through the blower and the filter, and an air guide pipe is connected to supply the purified air through the wind pressure of the blower. As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equipped with a main body that guides and supplies through a guide tube,
an input unit for inputting driving information related to on/off of power for driving the blower or air volume or flow rate;
Based on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or the flow rate or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by adjus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by adjusting the power value or duty value for driving the blower, the RPM of the blower or the air discharged flow rate of or a drive speed regulator to correct the flow rate; and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applied to the input unit, the driving speed regulator and the blower for driving the blower;
The drive speed regulator,
a measurement sensor for measuring a driving RPM of the blower driven by the driving information of the input unit, or a discharg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from an outlet of the blower;
a standard value storage unit storing at least one of a standard RPM or a standard flow rate of the blower and a standard duty value for driving the blower so that the blower is driven according to the input driving information of the input unit;
At least one of an allowable RPM value for correcting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and an allowable flow rate and an allowable duty value for correcting the discharge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to the standard flow rate of the standard value storage unit is stored. wealth;
The difference value is calculated by comparing the driving RPM measured by the measurement sensor, the measured flow rate, or the increased duty value increased to increase the flow rate with the standard RPM, the standard flow rate, or the standard duty value stored in the standard value storage unit, or the calculated difference a comparator for calculating a comparison value by comparing the value with an allowable RPM value, an allowable flow velocity, or an allowable duty value of the correction reference value storage unit; and
Electric purification comprising; a correction unit for correcting the driving RPM or discharge flow rate of the blower by varying the power value or duty value based on the difference value or the comparison value calculated by the comparison unit so that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is adjusted Air respirator.
삭제delete 삭제delete 내부에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및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블로워가 내장되고, 상기 블로워 및 상기 필터를 통해 외기를 흡기하여 정화하며, 공기 안내관이 연결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블로워의 풍압을 통해 상기 공기 안내관으로 안내하여 공급하는 본체가 구비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로써,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한 전원의 온오프나 풍량 또는 유량에 관한 구동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블로워의 구동 알피엠이나 상기 블로워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 또는 유량을 기반으로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한 전력값이나 듀티값의 조정을 통해 상기 블로워의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블로워의 알피엠이나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 또는 유량을 보정하는 구동속도 조절기; 및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해 상기 입력부, 상기 구동속도 조절기 및 상기 블로워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에 구비된 상기 블로워의 알피엠 튜닝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에 구비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블로워의 구동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블로워를 설정된 송풍모드로 구동시키는 송풍모드 구동단계;
상기 블로워의 구동 알피엠을 측정하는 구동 알피엠 측정단계;
상기 측정된 구동 알피엠을 기 저장된 상기 송풍모드의 표준알피엠과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는 차이값 산출단계;
상기 산출된 차이값이 기 설정된 허용 알피엠을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알피엠 초과 확인단계;
상기 블로워에 인가되는 전력값을 가변하여 상기 블로워의 알피엠을 보정하는 알피엠 보정단계; 및
상기 블로워의 알피엠 보정에 적용된 전력값을 저장하는 보정값 저장단계;를 포함하는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의 알피엠 튜닝방법.
A filter that filters air and a blower operated by a power source are built-in, and external air is purified by intake through the blower and the filter, and an air guide pipe is connected to supply the purified air through the wind pressure of the blower.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provided with a main body for guiding and supplying the guide tube,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turning on/off power for driving the blower or inputting driving information regarding air volume or flow rate; Based on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or the flow rate or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by adjus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by adjusting the power value or duty value for driving the blower, the RPM of the blower or the air discharged flow rate of or a drive speed regulator to correct the flow rat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applied to the input unit, the driving speed regulator, and the blower for driving the blower; in the RPM tuning method of the blower provided in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comprising a;
a blowing mode driving step of inputt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blower through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to drive the blower in a set blowing mode;
a driving RPM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a difference valu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measured driving RPM with a pre-stored standard RPM of the blowing mode;
an RPM exceeding check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exceeds a preset allowable RPM;
an RPM correction step of correcting the RPM of the blower by varying the power value applied to the blower; and
A correction value storage step of storing the power value applied to the RPM correction of the blower; RPM tuning method of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comprising a.
내부에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및 전원에 의해 작동하는 블로워가 내장되고, 상기 블로워 및 상기 필터를 통해 외기를 흡기하여 정화하며, 공기 안내관이 연결되어 정화된 공기를 상기 블로워의 풍압을 통해 상기 공기 안내관으로 안내하여 공급하는 본체가 구비된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로써,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한 전원의 온오프나 풍량 또는 유량에 관한 구동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블로워의 구동 알피엠이나 상기 블로워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 또는 유량을 기반으로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한 전력값이나 듀티값의 조정을 통해 상기 블로워의 구동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블로워의 알피엠이나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 또는 유량을 보정하는 구동속도 조절기; 및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해 상기 입력부, 상기 구동속도 조절기 및 상기 블로워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의 상기 블로워에 의한 유속을 튜닝하는 유속 튜닝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에 구비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블로워의 구동정보를 입력하여 상기 블로워를 설정된 송풍모드로 구동시키는 송풍모드 구동단계;
상기 블로워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 측정단계;
상기 측정된 유속을 기 설정된 표준유속과 비교하여 표준유속에 대응하는지 비교하는 유속 비교단계;
상기 표준유속에 미달되는 상기 블로워의 유속이 보정되도록, 상기 블로워의 구동을 위한 듀티값을 증량하는 듀티값 증량단계;
상기 블로워의 유속을 재측정하여 상기 증량된 듀티값에 의해 상기 블로워의 유속이 상승했는지 확인하는 유속상승 확인단계;
상기 증량된 듀티값을 기 설정된 상기 송풍모드의 표준듀티값과 비교하여 차이값을 산출하는 차이값 산출단계;
상기 산출된 차이값이 기 설정된 허용 듀티값을 초과하는지 확인하는 듀티값 초과 확인단계; 및
상기 초과여부의 확인결과에 따라 상기 송풍모드를 유지시키거나, 하위 송풍모드를 확인하여 하위 송풍모드 또는 경고를 위한 알러트를 구동시키는 구동모드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의 유속 튜닝방법.
A filter that filters air and a blower operated by a power source are built-in, and external air is purified by intake through the blower and the filter, and an air guide pipe is connected to supply the purified air through the wind pressure of the blower.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provided with a main body for guiding and supplying the guide tube,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turning on/off power for driving the blower or inputting driving information regarding air volume or flow rate; Based on the driving RPM of the blower or the flow rate or flow rate of the air discharged from the blower, by adjus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blower by adjusting the power value or duty value for driving the blower, the RPM of the blower or the air discharged flow rate of or a drive speed regulator to correct the flow rat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applied to the input unit, the driving speed regulator, and the blower for driving the blower; in a flow rate tuning method for tuning the flow rate by the blower of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comprising a,
a blowing mode driving step of inputting driving information of the blower through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to drive the blower in a set blowing mode;
a flow rate measuring step of measuring the flow rate of air discharged by the blower;
a flow rate comparison step of comparing the measured flow rate with a preset standard flow rate and comparing whether it corresponds to a standard flow rate;
a duty value increasing step of increasing a duty value for driving the blower so that the flow rate of the blower that is less than the standard flow rate is corrected;
a flow rate increase confirmation step of re-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blower to confirm whether the flow rate of the blower is increased by the increased duty value;
a difference value calculating step of calculating a dif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increased duty value with a preset standard duty value of the blowing mode;
a duty value excess checking step of confirming whether the calculated difference value exceeds a preset allowable duty value; and
A driving mode determination step of maintaining the blowing mode according to the check result of the excess or driving an alarm for a low blowing mode or warning by checking a low blowing mode;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 비교단계는,
상기 측정유속 및 상기 표준유속을 비교하여 유속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유속 차이값 산출단계; 및
상기 차이값이 기 설정된 허용 유속값에 미달하는지 확인하는 유속값 미달 확인단계;를 포함하는 전동식 정화공기 호흡보호구의 유속 튜닝방법.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low rate comparison step,
a flow rate difference value calculating step of comparing the measured flow rate and the standard flow rate to calculate a difference value of the flow rates; and
A flow rate tuning method of an electric purified air respirator comprising a; the difference value is less than the flow rate value checking step of checking whether the difference is less than the preset allowable flow rate valu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26364A 2021-02-26 2021-02-26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and tuning method therefor KR1023704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364A KR102370486B1 (en) 2021-02-26 2021-02-26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and tun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364A KR102370486B1 (en) 2021-02-26 2021-02-26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and tuning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486B1 true KR102370486B1 (en) 2022-03-04

Family

ID=80813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364A KR102370486B1 (en) 2021-02-26 2021-02-26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and tuning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486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4398A (en) * 2007-11-20 2011-02-10 エイヴォン プロテクション システムズ,インク. Electric air purification respiratory module
KR101257681B1 (en) 2011-11-11 2013-04-24 주식회사 오토스윙 Apparatus for display data and controlled on power air purifying respirators
KR101579438B1 (en) 2014-07-02 2015-12-23 주식회사 오토스윙 Information detectable structure of filter installed in pure air supplier of Respirator and method thereof
KR20190116238A (en) * 2016-08-05 2019-10-14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irflow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4398A (en) * 2007-11-20 2011-02-10 エイヴォン プロテクション システムズ,インク. Electric air purification respiratory module
KR101257681B1 (en) 2011-11-11 2013-04-24 주식회사 오토스윙 Apparatus for display data and controlled on power air purifying respirators
KR101579438B1 (en) 2014-07-02 2015-12-23 주식회사 오토스윙 Information detectable structure of filter installed in pure air supplier of Respirator and method thereof
KR20190116238A (en) * 2016-08-05 2019-10-14 일리노이즈 툴 워크스 인코포레이티드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irfl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7681B1 (en) Apparatus for display data and controlled on power air purifying respirators
AU2010282612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US10835647B2 (en) Digitally controlled aspirator
EP1326671B1 (en) Ventilator with dual gas supply
US9700821B2 (en) Portable industrial air filtration device
KR100753706B1 (en) A method and system of calibrating air flow in a respirator system
AU2005289817B9 (en) Gas flow control method in a blower based ventilation system
JP3917658B2 (en) Hybrid microprocessor controlled ventilator
US20090266361A1 (en) Respiratory breathing devices, methods and systems
CN103298512A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s for supplying gases
KR102370486B1 (en)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and tuning method therefor
US10905902B2 (en) Blower filter device, respirator system and method
KR20140074254A (en) Breathing apparatus
DE202005017045U1 (en) Device for supplying a breathing gas
EP1718355A1 (en) Self-contained micromechanical ventilator
KR102606966B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ventilation system for maintaining indoor in a positive pressure state
AU202137931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irflow in a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KR20220089999A (en) Device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filter pollution
KR200279767Y1 (en) Apparatus for supplying oxy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