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335B1 -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335B1
KR102370335B1 KR1020200183714A KR20200183714A KR102370335B1 KR 102370335 B1 KR102370335 B1 KR 102370335B1 KR 1020200183714 A KR1020200183714 A KR 1020200183714A KR 20200183714 A KR20200183714 A KR 20200183714A KR 102370335 B1 KR102370335 B1 KR 102370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peaker
support means
rotary module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민
제종성
Original Assignee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3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0/00Wristbands or headbands, e.g. for absorbing swea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수단에 결합되는 로터리 모듈, 로터리 모듈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음향을 생성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여 지지수단에 장착된 스피커 모듈의 위치와 각도를 조절하여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의 착용자가 최적으로 음향을 청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장치{THE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의 착용자의 귀에 대한 위치 조정을 통해 최적의 음향을 구현하는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는 확성기 또는 라우드 스피커라고도 한다. 진동판이 공기중에 직접 놓이는 종류를 복사형 스피커라 하고, 진동판이 혼(horn) 속에 놓이는 종류를 혼형 스피커라고 한다. 직접 복사형은 보통 라디오 ㅇ스테레오 장치에 많이 쓰이는 콘(cone)스피커가 대부분이며, 금속진동판을 사용한 것도 있다.
최근 스마트 안경 등이 개발되면서, 안경에 음향을 구현하는 스피커가 장착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음향을 재생하는 스피커가 지지수단 즉, 템플(TEMPLE)의 내부에 장착된다.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의 착용자는 안경 착용에 의해 템플에 장착된 스피커로부터 음향을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스피커가 템플의 내부에 고정되므로,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의 착용자의 귀에 대한 스피커의 위치가 고정적이다. 따라서, 주변 환경(예컨대, 시끄러운 공간)에 따라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의 착용자가 음향을 청취하는데 불편함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주변 환경에 따라 최적의 음향을 구현하도록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에 장착되는 스피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지지수단에 결합되는 로터리 모듈, 로터리 모듈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음향을 생성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지지수단에 결합되는 로터리 모듈, 음향을 생성하는 스피커 모듈, 및 로터리 모듈과 스피커 모듈을 연결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변 환경에 따라 스피커 모듈의 위치 및 각도를 조절하여 최적의 음향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모듈을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로터리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모듈의 회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딩 모듈과 로터리 모듈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딩 모듈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1)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모듈(20)을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1)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로터리 모듈(10)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모듈(20)의 회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1)는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의 착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무선 스피커 장치로서, 로터리 모듈(10)과 스피커 모듈(20)을 포함한다. 로터리 모듈(10)은 지지수단(2)에 결합된다. 스피커 모듈(20)은 로터리 모듈(10)에 결합되어 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축(A)은 지지수단(2)의 연장 방향과 교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전축(A)은 지지수단(2)의 연장 방향(지지수단의 일면)과 수직할 수 있다. 여기서,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은 안경, 고글, 선글라스 및 헤어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은 머리의 착용을 위한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로, 지지수단은 안경, 고글 들의 다리를 포함한다.
스피커 모듈(20)은 음향을 생성하는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스피커 모듈(20)은 외부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하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통신부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스피커가 구동될 수 있다.
로터리 모듈(10)은 지지수단(2)에 장착된다. 일 실시 예로, 지지수단(2)는로터리 모듈(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로터리 모듈(10)은 지지수단(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어 위치 조정될 수 있다. 미도시 되었지만 다른 실시 예로, 로터리 모듈(10)은 2이상으로 분할되어, 지지수단(2)를 사이에 놓고 서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지지수단(2)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로터리 모듈(10)은 지지수단(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로터리 모듈(10)은 회전축(A)에 수직한 일 평면을 기준으로 2이상으로 분할되며, 2이상으로 분할된 로터리 모듈(10)은 서로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터리 모듈(10)의 슬라이딩으로 스피커 모듈(20)은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의 착용자의 귀와 거리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로터리 모듈(10)에 의한 스피커 모듈(20)의 회전으로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의 착용자의 귀(외이도)를 향하여 음향이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로터리 모듈(10)은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지지수단의 관통을 위한 적어도 2개의 관통홀(H1)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관통홀(H1)은 회전축(A)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지지수단(2)가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로터리 모듈(10)이 지지수단(2)를 사이에 두고 2이상으로 분할된 경우, 2이상의 로터리 모듈(10) 중 어느 하나와 다른 하나가 지지수단(2)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면서, 지지수단(2)의 관통을 위한 관통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리 모듈(10)은 메인 지지체(110) 및 볼팅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지지체(11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된다. 메인 지지체(110)는 하우징(100)에 대응하여 회전축(A)을 기준으로 원주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볼팅부(120)는 메인 지지체(110)에 볼팅 체결된다. 이에 의해, 스피커 모듈(20)이 로터리 모듈(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볼팅부(120)는 스피커 모듈(20)의 일면(20a)을 관통하여 메인 지지체(110)에 체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메인 지지체(110)는 바디부(111)와 축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11)는 상면과 상면으로부터 회전축(A)을 따라 하 방향으로 연장된 측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바디부(111)는 캡(cap)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축부(112)는 바디부(111)의 상면으로부터 회전축(A)을 따라 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축부(112)의 중심부에는 볼팅부(120)와 체결되는 볼팅 체결홀이 형성된다. 볼팅부(120)는 헤드부(121)와 볼팅 체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21)는 스피커 모듈(20)의 내부에 배치되고, 볼팅 체결부(122)는 스피커 모듈(20)을 관통하여 메인 지지체(110)에 볼팅 체결될 수 있다. 볼팅부(120)가 메인 지지체(110)에 체결될수록 스피커 모듈(20)은 로터리 모듈(10)에 밀착될 수 있다.
바디부(111)는 하우징(100)의 관통홀(H1)에 대응하여 지지수단(2)의 삽입을 위한 홀 또는 홈(H2)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111)는 지지수단(2)에 의해 회전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스피커 모듈(20)이 회전축(A)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동안, 메인 지지체(110)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축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로터리 모듈(10)은 스페이서(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스피커 모듈(20)을 회전축(A)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격시켜, 하우징(100) 등에 대하여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한다. 이에 의해, 스피커 모듈(20)은 안정적인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모듈(20)의 일면(20a)이 회전 시 타 구성과 접촉 마찰로 손상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스페이서(130)는 제1스페이서(131)와 제2스페이서(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페이서(131)는 스피커 모듈(20)의 일면(20a)에 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스페이서(132)는 제1스페이서(131)의 하부에서 제1스페이서(131)와 결합될 수 있다. 제1스페이서(131) 및 제2스페이서(132) 중 어느 하나는 돌기(133)를 가지고, 다른 하나는 돌기(133)에 대응하는 홈 또는 홀(H3)을 가질 수 있다. 볼팅부(120)와 메인 지지체(110)의 체결에 따라 돌기(133)가 홈(H3) 등에 삽입된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130)는 스피커 모듈(2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스페이서(130)는 축부(112)를 중심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로터리 모듈(10)은 회전링(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링(140)은 축부(112)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 방향으로 연장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링(140)은 볼팅부(120)와 메인 지지체(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회전링(140)은 스페이서(130)와 바디부(1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회전링(140)은 스피커 모듈(2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즉, 회전링(140)은 스피커 모듈(20)의 회전 시 스페이서(130)와 바디부(111)의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시켜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이에 의해, 스페이서(130)와 바디부(111) 등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 복수의 회전링(140)이 상하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회전링(140)은 스피커 모듈(20)의 회전에 따라 서로 마찰되어 회전을 원활하게 하며, 스페이서(130)와 바디부(111) 들의 마찰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스페이서(130)와 회전링(140)은 볼팅부(120)와 메인 지지체(110)의 체결에 따라 밀착된다. 이에 의해, 스피커 모듈(20)이 회전되더라도 소정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1)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스피커 장치(1)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딩 모듈(30)과 로터리 모듈(10)의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딩 모듈(30)의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1)는 로터리 모듈(10), 스피커 모듈(20) 및 슬라이딩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리 모듈(10)과 스피커 모듈(20)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듈(30)은 로터리 모듈(10)과 스피커 모듈(20)을 연결한다. 스피커 모듈(20)은 슬라이딩 모듈(30)에 의해 지지수단(2)의 연장 방향으로 이동되어 위치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모듈(20)은 로터리 모듈(10)에 의해 회전되어 소정 각도로 위치 조정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듈(30)은 로터리 모듈(10)에 연결되고, 스피커 모듈(20)은 슬라이딩 모듈(30)에 연결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듈(30)은 지지수단(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H4)을 가질 수 있다. 로터리 모듈(10)의 적어도 일부는 장공(H4)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될수 있다.
일 실시 예로, 슬라이딩 모듈(30)은 장공(H4) 주변에 형성된 복수의 홈(H5)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홈(H5)은 장공(H4)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홈 패턴이 정의될 수 있다. 홈 패턴은 장공(H4)을 사이에 두고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로터리 모듈(10)은 슬라이딩 모듈(30)의 홈(H5)에 삽입 가능한 돌기(150)를 가질 수 있다. 돌기(150)는 스페이서(130)의 상면에 배치되며, 회전축(A)을 따라 상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듈(30)이 지지수단(2)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동될 때, 돌기(150)가 슬라이딩 모듈(30)의 홈(H5)에 삽입되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모듈(20)의 회전에 따라, 슬라이딩 모듈(30) 및 스페이서(130)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스피커 장치
10 : 로터리 모듈
100 : 하우징
110 : 메인 지지체
120 : 볼팅부
130 : 스페이서
140 : 하우징
150 : 돌기
20 : 스피커 모듈
30 : 슬라이딩 모듈

Claims (13)

  1.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에 결합되는 로터리 모듈; 및
    로터리 모듈에 결합되어 일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음향을 생성하는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며,
    로터리 모듈은 하우징을 포함하고,
    로터리 모듈은,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메인 지지체;
    스피커 모듈을 장착하기 위해 메인 지지체에 볼팅 체결되는 볼팅부;
    볼팅부와 메인 지지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피커 모듈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및
    스페이서와 메인 지지체의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링을 포함하며,
    스페이서와 메인 지지체에 대한 회전링의 접촉면은 평평한 스피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은 머리의 착용을 위한 지지수단을 가지며,
    하우징은 지지수단의 관통을 위한 적어도 2개의 관통홀을 가지는 스피커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회전축은 지지수단의 연장 방향과 교차하는 스피커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로터리 모듈은,
    볼팅부와 메인 지지체의 사이에 배치되어 스피커 모듈을 이격시키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메인 지지체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며, 지지수단의 삽입을 위한 홀 또는 홈을 가지는 바디부; 및
    바디부로부터 회전축을 따라 연장된 축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8. 지지수단에 결합되는 로터리 모듈;
    음향을 생성하는 스피커 모듈; 및
    로터리 모듈과 스피커 모듈을 연결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며,
    슬라이딩 모듈은 지지수단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 및 장공 주변에 형성된 복수의 홈을 가지고,
    로터리 모듈은 슬라이딩 모듈의 홈에 삽입 가능한 돌기를 가지며,
    슬라이딩 모듈은 로터리 모듈을 기준으로 장공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로터리 모듈은 지지수단에 결합된 위치를 기준으로 스피커 모듈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스피커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슬라이딩 모듈은 지지수단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된 장공을 가지는 스피커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로터리 모듈의 적어도 일부는 장공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는 스피커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머리에 착용되는 물품은 안경, 고글, 선글라스 및 헤어밴드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KR1020200183714A 2020-12-24 2020-12-24 스피커 장치 KR102370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14A KR102370335B1 (ko) 2020-12-24 2020-12-24 스피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3714A KR102370335B1 (ko) 2020-12-24 2020-12-24 스피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335B1 true KR102370335B1 (ko) 2022-03-04

Family

ID=80813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3714A KR102370335B1 (ko) 2020-12-24 2020-12-24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3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021U (ko) * 1996-07-30 1998-04-30 배순훈 에치엠디의 스피커 안착장치
KR20020014129A (ko) * 2000-08-16 2002-02-25 김성일 가변형 다채널헤드폰 지지장치
KR100865959B1 (ko) * 2007-06-18 2008-10-30 지디텍 주식회사 안경 부착용 이어폰장치
KR20160024690A (ko) * 2014-08-26 201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0021U (ko) * 1996-07-30 1998-04-30 배순훈 에치엠디의 스피커 안착장치
KR20020014129A (ko) * 2000-08-16 2002-02-25 김성일 가변형 다채널헤드폰 지지장치
KR100865959B1 (ko) * 2007-06-18 2008-10-30 지디텍 주식회사 안경 부착용 이어폰장치
KR20160024690A (ko) * 2014-08-26 201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26023B2 (en) Wireless earphone
KR102528290B1 (ko) 안경
US8111860B2 (en) Recreational bone conduction audio device, system
US10812888B2 (en) Wearable audio device with capacitive touch interface
US4902120A (en) Eyeglass headphones
EP2387252A1 (en) Spheno-temporal bone conduction communication and/or hearing aid equipment
WO2009116272A1 (ja) 骨伝導スピーカ及びそれを用いた聴取装置
US20040105566A1 (en) Body set type speaker unit
US20180048960A1 (en) Acoustic Device
JPS6295098A (ja) 補聴器
US2017020828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n eyewear media device
EP3163899B1 (en) Earphone fine-adjustment structure and earphone
WO2019187610A1 (ja) 音響出力装置
KR101734412B1 (ko) 웨어러블 블루투스 스피커
US20180140464A1 (en) Dual noise attenuation (dna) headset/earmuff
CN104254036A (zh) 一种耳机
US20220086559A1 (en) Wearable audio device with tri-port acoustic cavity
US11058165B2 (en) Wearable audio device with brim-mounted microphones
KR102370335B1 (ko) 스피커 장치
US11317185B2 (en) Earphone
US11924602B2 (en) Sound output device and attachment aid member
CN210986372U (zh) 一种耳罩可换式头戴式耳机
KR102163194B1 (ko) 청취력 향상을 위한 보조장치가 구비된 골전도 이어폰
KR102443165B1 (ko) 착용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맞춤형 보청기
CN210183500U (zh) 一种头戴耳机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