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255B1 -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design contents for clothing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the target items for exhibition - Google Patents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design contents for clothing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the target items for exhib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255B1
KR102370255B1 KR1020210069119A KR20210069119A KR102370255B1 KR 102370255 B1 KR102370255 B1 KR 102370255B1 KR 1020210069119 A KR1020210069119 A KR 1020210069119A KR 20210069119 A KR20210069119 A KR 20210069119A KR 102370255 B1 KR102370255 B1 KR 102370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design
information
kiosk
textil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1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석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문화새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문화새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문화새움
Priority to KR1020210069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2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2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8Targeted advertisements at point-of-sale [PO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ibition kiosk for providing customized design content of a textile structure object and garment, which is an item to be exhibited, which include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commands executable in the processors. The exhibition kiosk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body placed in an exhibition hall; a display formed in one area of the main body, and outputting first design content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first textile structure object, which is a textile structure object form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a garment, which is an object to be exhibited, and a fiber structure included in fiber and a first garment object, which is a garment object form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a garment, which is to be exhibited, worn by a specific model; an insertion slot which is a space formed in one area of the main body and which is an area into which a plate including a code pattern is inserted; a sensor located in one area inside the insertion slot, and scanning a code pattern of the plat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when the plat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and a content control unit for converting the first design content which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into second design content to output the second design when the second design content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second garment object and a second textile structure object is generated, on the basis of desig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canned code pattern among a plurality of pieces of pre-stored design information when the code pattern is completely scanned by the sensor.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identified through the present disclosure are possible. Therefore, information on various garments and textiles can be provided for a customer.

Description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DESIGN CONTENTS FOR CLOTHING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THE TARGET ITEMS FOR EXHIBITION}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s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that are subject to exhibition

본 발명은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키오스크의 일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 슬롯에 코드 패턴(code pattern)을 포함하는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경우,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코드 패턴에 기반한 의상 객체 및 섬유 구조 객체로 구현되는 디자인 컨텐츠를 출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items to be displayed, and specifically, a plate including a code pattern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slot formed in one area of the kiosk. In this case, it relates to a technology for outputting design content implemented as a clothing object and a textile structure object based on a code pattern through a display of a kiosk.

국내 패션 시장이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의 여파로 인하여, 침체를 겪고 있는 중이다. 국내 패션 시장이 침체를 겪고 있는 이유를 살펴보면, 재택근무와 외부 행사 축소 등의 영향으로 외부 활동이 급격하게 감소됨에 따라, 오프라인 매장에서 의류 및 패션 용품의 구매가 발생하지 않고, 오프라인 매장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비용이 지속적으로 지출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패션 시장은 매출 침체를 극복하기 위하여, 오프라인 매장에서 의류 및 패션 용품의 구매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The domestic fashion market is experiencing a recession due to the aftermath of the coronavirus (covid-19). Looking at the reason why the domestic fashion market is experiencing a slump, as outside activities are drastically reduced due to the effect of telecommuting and reduction of external events, the purchase of clothes and fashion products at offline stores does not occur, and it is necessary to maintain offline stores. It is analyzed that this is because the maintenance cost is continuously spent. Accordingly, the domestic fashion market is developing various technologies to increase the purchase rate of clothing and fashion products in offline stores in order to overcome the sales slump.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10-2009-0060858(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쇼윈도우 키오스크 시스템)에는 인터넷 쇼핑몰, 제품 카탈로그, 키오스크 시스템을 연동하여, 쇼윈도우의 외부에 위치한 키오스크를 통해 오프라인 매장 내부의 상품을 둘러볼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9-0060858 (show window kiosk system using touch screen) links Internet shopping malls, product catalogs, and kiosk systems to display products inside an offline store through a kiosk located outside the show window. A look around technique is disclosed.

그러나, 상술한 선행기술에서는 단순히 고객이 오프라인 매장의 상품을 키오스크를 통해 둘러보도록 하는 기술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오프라인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에게 키오스크를 통해 의상 정보 및 의상에 대한 섬유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고객의 흥미를 유발하여 상품에 대한 구매를 유도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술은 개시되어 있지 않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only the technology for allowing customers to browse the products of the offline store through the kiosk is disclosed. At the same time, a technology for providing content that arouses customer interest and induces purchase of a product has not been disclosed, and the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solving this problem is emerging.

이에 본 발명은,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를 통해 고객에게 일 영역에 위치하는 삽입 슬롯에 코드 패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경우, 코드 패턴에 기반한 의상 객체 및 섬유 구조 객체로 구현되는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 중인 의류에 대한 정보(예: 섬유 구조 정보, 패션 또는 디자인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고객의 흥미를 유발하여 의류에 대한 구매를 유도해 매출을 증가시키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rment based on a code pattern when a plate including a code pattern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slot located in an area to a customer through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items to be displayed. By providing design content implemented with objects and fabric structure objects, information about clothing sold in offline stores (eg, textile structure information, fashion or design information) is provided, and at the same time arousing customer interest to purchase clothing. Its purpose is to induce and increase sale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는, 전시장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일 영역에 형성되어, 전시 대상 객체인 의상 또는 섬유에 포함된 섬유 구조와 대응되는 이미지로 형성되는 섬유 구조 객체인 제1 섬유 구조 객체 및 전시 대상이 되는 특정 모델이 착용한 의상과 대응되는 이미지로 형성되는 의상 객체인 제1 의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제1 디자인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 일 영역에 형성된 공간으로, 코드 패턴(code pattern)을 포함하는 플레이트(plate)가 삽입되는 영역인 삽입 슬롯(slot); 상기 삽입 슬롯 내부 일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 슬롯 내에 상기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 슬롯에 삽입된 플레이트의 코드 패턴을 스캔(scan)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코드 패턴의 스캔이 완료되는 경우,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디자인 정보 중 상기 스캔된 코드 패턴에 대응되는 디자인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의상 객체 및 제2 섬유 구조 객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중인 제1 디자인 컨텐츠를 제2 디자인 컨텐츠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컨텐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exhibition object that provides custom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is an exhibition target item,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The kiosk, a main body disposed in the exhibition hall; The first fiber structure object, which is a fiber structure object formed in an area of the main body,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textile structure included in the clothing or textile, which is the object to be displayed, and the clothes worn by the specific model to be displayed a display for outputting first design content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first clothes objects that are clothes objects formed of images; a space formed in one area of the body, an insertion slot that is an area into which a plate including a code pattern is inserted; a sensor located in an area inside the insertion slot and scanning a code pattern of the plat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when the plat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and when the scanning of the code pattern is completed by the sensor,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second garment object and a second textile structure object based on desig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canned code pattern among a plurality of pre-stored design information and a content control unit that converts the first design content being output through the display into the second design content and outputs the converted second design content when generating the second design content.

상기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섬유 구조 각각과 대응되는 형태의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이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 일 영역마다 형성되어, 상기 삽입 슬롯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센서의 스캔 범위에 포함되는 코드 패턴을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바람직하다.In the plate, each of a plurality of code patterns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ifferent fiber structures is formed for each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and the code pattern included in the scan range of the sensor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It is desirable to have it changed.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디자인 정보는,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 일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과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섬유 구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 정보로서, 전시장에서 전시되는 전시 대상 객체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e-stored plurality of design information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matches each of a plurality of code patterns formed for each inner surface of the plate, information on a fiber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de patterns, and the plurality of code pattern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related to an object to be displayed on display in an exhibition hall as information on clothes designed in a textile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m.

상기 컨텐츠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코드 패턴의 스캔이 완료되는 경우, 컨텐츠 전환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전환 프로세스 시작부; 상기 컨텐츠 전환 프로세스가 시작되는 경우, 상기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디자인 정보 중 상기 스캔된 코드 패턴과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자인 정보를 탐색하는 정보 탐색부; 상기 정보 탐색부에 의해 상기 스캔된 코드 패턴과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자인 정보의 탐색이 완료되면, 상기 탐색 완료된 디자인 정보에 포함된 섬유 구조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섬유 구조 객체를 생성하는 섬유 구조 객체 생성부; 및 상기 정보 탐색부에 의해 상기 스캔된 코드 패턴과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자인 정보의 탐색이 완료되면, 상기 탐색 완료된 디자인 정보에 포함된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의상 객체를 생성하는 의상 객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ent control unit may include: a conversion process start unit that starts a content conversion process when scanning of the code pattern is completed by the sensor; an information search unit that searches for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scanned code pattern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re-stored design information when the content conversion process starts; When the search for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scanned code pattern is completed by the information search unit, a second fiber structure object is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fiber structure included in the searched design information. a fiber structure object generating unit; and when the search for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scanned code pattern is completed by the information search unit,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fabric designed in the textile structure included in the searched design information, the second garment It is possible to include; a clothes object generating unit that creates an object.

상기 컨텐츠 제어부는, 디자인 컨텐츠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섬유 구조 객체 생성부 및 상기 의상 객체 생성부의 동작 수행이 완료된 경우, 컨텐츠 생성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생성 프로세스 시작부; 상기 컨텐츠 생성 프로세스가 시작되는 경우, 기 저장된 콘셉트(concept) 테이블에 저장된 복수 개의 알고리즘 중 상기 제2 섬유 구조 객체 및 상기 제2 의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 가능한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탐색하는 알고리즘 탐색부; 상기 알고리즘 검색부에 의해 상기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 가능한 알고리즘의 탐색이 완료된 경우, 상기 탐색 완료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섬유 구조 객체 및 상기 제2 의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생성부에 의해 상기 제2 디자인 컨텐츠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중인 제1 디자인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자인 컨텐츠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ontent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design content generation unit, and the design content generation unit may include: a creation process starter that starts the content creation process when the operation of the textile structure object generation unit and the garment object generation unit is completed; When the content creation process starts, searching for an algorithm for generating second design content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of the second textile structure object and the second clothing object among a plurality of algorithms stored in a pre-stored concept table algorithm search unit; When the search for an algorithm capable of generating the second design content is completed by the algorithm search unit, second design content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the second textile structure object and the second garment object based on the searched algorithm a content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nd a content output unit configured to change and output the first design content being output through the display to the second design content when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design content is completed by the content generator.

본 발명인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를 통해 플레이트에 존재하는 코드 패턴에 기반한 의상 객체 및 섬유 구조 객체로 구현되는 디자인 컨텐츠를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에게 다양한 의상 및 섬유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or provides customers with design contents implemented as clothes objects and fabric structure objects based on the code pattern existing on the plate through a kiosk for display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s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items for display, thereby providing customers with various costumes and information on fibers.

또한, 디자인 컨텐츠를 통해 고객의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다양한 의상 및 섬유에 의한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rousing the interest of customers through the design content, it is possible to induce purchases by various clothes and textiles.

또한, 하나의 플레이트에 복수 개의 서브 플레이트를 삽입함에 따라, 코드 패턴을 조합 가능하여, 플레이트가 차지하는 공간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by inserting a plurality of sub-plates into one plate, code patterns can be combined, thereby reducing the area of the space occupied by the pla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에 포함된 컨텐츠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에 포함된 컨텐츠 제어부의 다른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의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iosk for display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display target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kiosk for display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display target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control unit included in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display target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other block diagram of a content control unit included in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display target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late of a kiosk for display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display target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recogniz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however, and some of various methods may be employed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and the descriptions set forth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emplary”, etc. may not be construed as an advantage or advantage in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above over other aspects or designs. .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should be understood as not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lso, 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have the same meaning.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s not interpreted 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kiosk for display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display target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구현되는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100)(이하, 키오스크라 칭함)는 디스플레이(103)를 통하여, 고객들에게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n exhibition kiosk 100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items to be displayed, implemented as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s.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kiosk) may provide design content to customers through the display 103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오스크(100)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 중인 의류에 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판매 중인 의류에 대한 고객의 흥미를 유발함으로써, 의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kiosk 100 may induce a purchase of clothes by providing information on clothes being sold in an offline store to customers and at the same time arousing customers' interest in clothes being sol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오스크(100)는 본체(101), 디스플레이(103), 삽입 슬롯(slot)(105) 및 플레이트(107)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kiosk 100 may include a body 101 , a display 103 , an insertion slot 105 , and a plate 107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오스크(100)는 상기 디스플레이(103)를 통해 디자인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컨텐츠는 의상 객체 및 섬유 구조 객체로 구현되는 컨텐츠로써, 예를 들어, 상기 의상 객체와 대응되는 패션 또는 디자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섬유 구조 객체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동영상, 문자, 음향 및 게임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kiosk 100 may output design content through the display 103 . The design content is content implemented as a clothing object and a textile structure object, for example, an image, video, or text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a fashion or design corresponding to the clothing object an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textile structure object. , and may be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sounds and gam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자인 컨텐츠는 상기 키오스크(100)의 일 영역에 위치한 삽입 슬롯(105)에 삽입되는 플레이트(107)를 기반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상기 디자인 컨텐츠는 상기 플레이트(107)에 포함된 코드 패턴(code pattern)(107a)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컨텐츠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sign content may be changed based on the plate 107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105 located in one area of the kiosk 100 . In more detail, the design content may be conten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a code pattern 107a included in the plate 107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패턴은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으로써, 상기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패턴은, 상기 키오스크(100)가 상기 코드 정보를 인식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복수 개의 섬유 구조 중 적어도 하나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de pattern is a patter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and may include code information necessary to generate the design content. The code pattern is formed so that the kiosk 100 can recognize the code information, and may be configured in a form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fiber structure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kiosk for display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display target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200)(예: 도 1의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100))(이하, 키오스크라 칭함)는 본체(201), 디스플레이(203), 삽입 슬롯(205), 센서(207) 및 컨텐츠 제어부(209)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exhibition kiosk 200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the items to be displayed, (eg, a kiosk for display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s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the display target items of FIG. 1 ).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kiosk) may include a main body 201 , a display 203 , an insertion slot 205 , a sensor 207 , and a content controller 209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본체(201)는 코드 패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207a)를 제외한 키오스크(200)의 몸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201)는 전시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본체(201)는 의상 객체 및 성유 구조 객체로 구현되는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키오스크(200)의 몸체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ody 201 may be the body of the kiosk 200 except for the plate 207a including the code pattern. In addition, the main body 201 may be disposed in an exhibition hall, and the main body 201 may be the body of the kiosk 200 that provides design content implemented as a costume object and oil structure obje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203)는 상기 본체(201)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200)는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섬유 구조와 대응되는 이미지로 형성되는 섬유 구조 객체인 제1 섬유 구조 객체 및 특정 모델이 착용한 의상과 대응되는 이미지로 형성되는 의상 객체인 제1 의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제1 디자인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컨텐츠는 의상 객체 및 섬유 구조 객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됨에 따라, 상기 의상 객체 및 상기 섬유 구조 객체를 전시장에 방문하는 방문객들에게 소개하기 위하여, 상기 전시장에서 전시되는 의상 및 섬유와 연관된 정보(예: 섬유 명칭, 주로 사용한 시기, 주로 이용되는 디자인 등)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isplay 203 may be formed in one area of the body 201 . The kiosk 200 includes a first fiber structure object that is a fiber structure object formed as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fiber structure through the display 203, and a first clothing object that is a clothing object formed with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lothes worn by a specific model. The first design content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the objects may be output. As the design content is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clothing object and a textile structure object, information related to clothing and textiles displayed in the exhibition hall (eg, to introduce the clothing object and the textile structure object to visitors to the exhibition hall) : The name of the fiber, the time it was mainly used, the design mainly used, etc.) may be included.

예를 들어, 상기 키오스크(200)는 상기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한복의 섬유 구조를 나타내는 제1 섬유 구조 객체 및 특정 모델이 착용한 한복 디자인을 나타내는 제1 의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상기 본체(201)는 상기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디자인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컨텐츠는 전시장에서 전시되는 대상(예: 전시 대상 객체)와 연관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전시용 키오스크의 본체는 상기 전시장의 테마 및 전시장의 장소에 따라 설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kiosk 200 outputs, through the display 203 , a video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first fiber structure object representing the fiber structure of a hanbok and a first clothes object representing a hanbok design worn by a specific model. can do. That is, the main body 201 may output the design content through the display 203 . The design content may be information related to an object (eg, an object to be displayed) displayed in an exhibition hall, and accordingly, the main body of the exhibition kiosk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theme of the exhibition hall and the location of the exhibition hall.

예를 들어, 상기 본체(201)는, 상기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출력하는 디자인 컨텐츠가 한복 디자인을 나타내는 제1 의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동영상인 경우, 상기 본체(201)는 한국의 의상을 소개하는 전시장(예: 명동에 위치한 전시장)에 설치하거나 다양한 테마를 전시하는 전시장(예: 세계 각국의 의상 및 섬유를 전시하는 전시장)의 영역 중 한국의 의상을 소개하는 전시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디자인 컨텐츠는 한국과 연관된 의상 객체 및 섬유 객체로 구현됨에 따라, 상기 디자인 컨텐츠는 상기 디스플레이(203) 통해 출력됨과 동시에 한국과 연관된 의상 및 섬유와 연관된 정보를 포함하여 출력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design content output through the display 203 is a moving pictur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the first clothes objects representing the Hanbok design, the main body 201 displays the Korean clothes. It can be installed in the exhibition hall where it is introduced (eg, the exhibition hall located in Myeong-dong), or it can be installed in the exhibition area that introduces Korean clothes among the exhibition halls that exhibit various themes (eg, the exhibition hall that displays clothes and textiles from around the world). . In this case, as the design content is implemented as a clothing object and a textile object related to Korea, the design content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203 and simultaneously inclu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lothing and textiles associated with Kore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 슬롯(205)은 상기 본체(201) 일 영역에 형성된 공간으로, 코드 패턴(code pattern)을 포함하는 플레이트(plate)(207a)가 삽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sertion slot 205 is a space formed in one region of the body 201 , and a plate 207a including a code pattern may be inserted thereinto.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207)는 상기 삽입 슬롯(205) 내부 일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 슬롯(205) 내에 상기 플레이트(207a)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 슬롯에 삽입된 플레이트(207a)의 코드 패턴(예: 도 1의 코드 패턴(107a))을 스캔(scan)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207)는 이미지 인식 센서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ensor 207 is located in an area inside the insertion slot 205 and the plate 207a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205, the plate 207a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 of the code pattern (eg, the code pattern 107a of FIG. 1 ) may be scanned. For example, the sensor 207 may be an image recognition sens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패턴은 상기 플레이트(207a)에 형성되어 있는 패턴으로, 상기 키오스크(200)가 인식 가능한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드 정보는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코드 정보는 상기 키오스크(200)가 상기 센서(207)를 통해 인식하는 코드 패턴의 형태와 대응되는 정보로써, 상기 키오스크(200)가 특정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트리거(trigger)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de pattern is a pattern formed on the plate 207a, and may include code information recognizable by the kiosk 200 . The code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necessary to generate design content. That is, the code information is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de pattern recognized by the kiosk 200 through the sensor 207, and may be trigger information for the kiosk 200 to perform a specific operation. there i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드 패턴은, 상기 키오스크(200)가 상기 코드 정보를 인식 가능한 형태로 상기 플레이트(207a)의 내면 영역에 형성되되, 복수 개의 섬유 구조 중 적어도 하나의 섬유 구조와 대응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패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섬유 구조는 원소로 구성되는 화학적 섬유 구조가 아닌, 의류를 구성하는 섬유의 패턴을 물리적 섬유 구조를 의미하는 구성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de patter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207a in a form in which the kiosk 200 can recognize the code information, and corresponds to at least one fiber structure among a plurality of fiber structures. It may be a pattern composed of a shape. The fiber structure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not be a chemical fiber structure composed of elements, bu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means a physical fiber structure with a pattern of fibers constituting clothing.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 슬롯(205) 일 영역에는 상기 삽입 슬롯(205)내에 삽입된 플레이트(207a)에 빛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미도시)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광 조사부는 상기 플레이트(207a)에 빛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센서(207)가 보다 정확하게 상기 코드 패턴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 light irradiator (not shown)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plate 207a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205 may be located in one region of the insertion slot 205 . The light irradi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sensor 207 to more accurately recognize the code pattern by irradiating light to the plate 207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어부(209)는 상기 센서(207)에 의해 상기 코드 패턴의 스캔이 완료되는 경우,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디자인 정보 중 상기 스캔된 코드 패턴에 대응되는 디자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canning of the code pattern by the sensor 207 is completed, the content control unit 209 may check desig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canned code pattern among a plurality of pre-stored design information. there i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어부(209)는 상기 확인된 디자인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출력 중인 제1 디자인 컨텐츠를 제2 디자인 컨텐츠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제어부(209)가 상기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출력 중인 제1 디자인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자인 컨텐츠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방법은 도 3 내지 도 4에서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ent control unit 209 may convert the first design content being output through the display 203 into the second design content and output the converted first design content based on the checked design information. A method in which the content controller 209 converts the first design content being output through the display 203 into the second design content and outputs the converted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4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에 포함된 컨텐츠 제어부의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controller included in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display target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예: 도 1의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100))(이하, 키오스크라 칭함)는 컨텐츠 제어부(300)(예: 도 2의 컨텐츠 제어부(209))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the items to be displayed, (eg, a kiosk 100 for display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the display target items of FIG. 1 ) )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kiosk) may include a content controller 300 (eg, the content controller 209 of FIG. 2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제어부(300)는 전환 프로세스 시작부(301), 정보 탐색부(303), 섬유 구조 객체 생성부(305), 의상 객체 생성부(307) 및 디자인 컨텐츠 생성부(309)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ent control unit 300 includes a conversion process start unit 301 , an information search unit 303 , a textile structure object generation unit 305 , a clothing object generation unit 307 , and a design content generation unit ( 309)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오스크의 삽입 슬롯(예: 도 2의 삽입 슬롯(205))에 코드 패턴(code pattern)을 포함하는 플레이트(예: 도 2의 플레이트(207a))가 삽입되는 경우, 센서(예: 도 2의 센서(207))는 상기 코드 패턴을 스캔(scan)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섬유 구조(섬유의 물리적인 섬유 패턴) 각각과 대응되는 형태의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는 내면 일 영역마다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는,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삽입 슬롯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다른 코드 패턴을 스캔하므로, 상기 키오스크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삽입 슬롯에 삽입하는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디자인 컨텐츠를 키오스크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a plate (eg, plate 207a of FIG. 2) including a code pattern (eg, plate 207a of FIG. 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eg, insertion slot 205 of FIG. 2) of the kiosk, A sensor (eg, the sensor 207 of FIG. 2 ) may scan the code pattern. The pl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de patterns each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f different fiber structures (physical fiber patterns of fibers). Each of a plurality of different code patterns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That is, since the sensor scans different code patterns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plat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users using the kiosk adjust the degree of inserting the plate into the insertion slot, thereby providing a variety of design content. You can get it from a kiosk.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환 프로세스 시작부(301)는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코드 패턴의 스캔이 완료되는 경우, 컨텐츠 전환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전환 프로세스는 상기 키오스크의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현재 출력 중인 제1 디자인 컨텐츠를 상기 코드 패턴에 대응되는 제2 디자인 컨텐츠로 전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프로세스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version process initiator 301 may start the content conversion process when scanning of the code pattern is completed by the sensor. The content conversion process may be a process for converting and outputting the first design content currently being output through the display of the kiosk (eg, the display 203 of FIG. 2 ) into the second design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de pattern.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탐색부(303)는, 상기 전환 프로세스 시작부(301)에 의해 상기 컨텐츠 전환 프로세스가 시작된 경우, 상기 키오스크에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디자인 정보(303a) 중 상기 센서에 의해 스캔된 코드 패턴과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자인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content conversion process is started by the conversion process start unit 301 , the information search unit 303 uses the sensor from among a plurality of design information 303a pre-stored in the kiosk.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scanned code pattern may be searched f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디자인 정보(303a)는 상기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섬유 구조의 정보, 상기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섬유 구조(물리적 구조의 섬유 패턴)를 포함하는 옷감의 종류 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디자인 정보(303a)는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 일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과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별 정보는, 상기 센서에 의해 스캔된 코드 패턴과 대응되는 디자인 정보를 상기 정보 탐색부(303)가 탐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re-stored plurality of design information 303a includes information on a fiber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de patterns, and a fiber structure (fiber pattern of a physical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de pattern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type of fabric included and information on clothes designed with a fiber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de patterns. The plurality of pre-stored design information 303a may includ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matches each of a plurality of code patterns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lat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information search unit 303 to search for desig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de pattern scanned by the sens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디자인 정보(303a)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섬유 구조의 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 정보로서, 전시장에서 전시되는 전시 대상 객체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디자인 정보(303a) 각각은 코드 패턴에 대응되는 섬유 구조에 대한 정보, 코드 패턴에 대응되는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시 대상 객체는 전시장에 전시되는 의상 또는 섬유에 포함된 섬유 구조와 대응되는 이미지로 형성되는 섬유 구조 객체(예: 제1 섬유 구조 객체) 및 전시 대상이 되는 특정 모델이 착용한 의상과 대응되는 이미지로 형성되는 의상 객체인 제1 의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each of the plurality of pre-stored design information 303a is information on a fiber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de patterns and information on clothes designed with a fiber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de patterns,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related to an exhibition object displayed in an exhibition hall. That is, each piece of design information 303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a fiber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ode pattern and information on clothes designed with a fiber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ode pattern. The object to be exhibited is a textile structure object (eg, the first textile structure object) formed in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textile structure included in the clothing or textile displayed in the exhibition hall, and the object corresponding to the clothing worn by the specific model to be displayed.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clothes object which is a clothes object formed as an image.

예를 들어, 상기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디자인 정보(303a) 중 제1 디자인 정보는 상기 코드 패턴에 대응되는 섬유 구조에 대한 정보로써, "옥스퍼드" 섬유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 구조에 대한 정보는 "옥스퍼드" 섬유 구조(섬유 패턴)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옥스퍼드" 섬유 구조에 대한 장, 단점 정보, "옥스퍼드" 섬유 구조에 대한 세탁 방법 정보(예: 세제 종류 정보, 세탁 적정 물 온도, 세부 세탁 방법 정보) 및 "옥스퍼드" 섬유 구조에 관리 정보(예: 관리 방법, 관리 적정 온도 등)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desig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pre-stored design information 303a is information on a fiber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code pattern, and may include an “oxford” fiber structure. The information on the fiber structure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of the "Oxford" fiber structure (fiber patter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formation for the "Oxford" fiber structure, and washing method information for the "Oxford" fiber structure (eg: Information on the type of detergent, suitable water temperature for washing, detailed washing method information) and management information (eg, maintenance method, suitable temperature for maintenance, etc.) can be included in the "Oxford" fabric structure.

또한, 상기 제1 디자인 정보는 상기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 정보로써, "옥스퍼드"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셔츠에 대한 정보(예: 해당 셔츠의 트렌드 정보, 해당 셔츠의 유명 브랜드 정보, 해당 셔츠와 주로 착용되는 다른 부위의 의상 정보 및 "옥스퍼드"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셔츠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옥스퍼드"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셔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키오스크를 설치한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 중인 셔츠에 대한 정보일 수 있으나, 상기 키오스크가 관람 목적을 위한 박물관에 설치된 키오스크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first design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clothes designed with the fiber structure, and information about a shirt designed with an "Oxford" fiber structure (eg, trend information of the shirt, information about a famous brand of the shirt, information about the shirt and mainly clothing information of other parts to be worn and image information of a shirt designed with "Oxford" fiber structure).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shirt designed with the "Oxford" fiber structure may be information on the shirt being sold at the offline store where the kiosk is installed, but if the kiosk is a kiosk installed in a museum for viewing purposes, this is limited doesn't happen

또한, 상기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디자인 정보(303a) 중 제2 디자인 정보는 복수 개의 섬유 구조를 포함하는 옷감의 종류 정보로써, "버드아이" 섬유 구조(섬유 패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드아이" 섬유 구조에 대한 정보는 상기 "버드아이" 섬유 구조(섬유 패턴)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버드아이" 섬유 구조에 대한 장, 단점 정보, "버드아이" 섬유 구조에 대한 세탁 방법 정보(예: 세제 종류 정보, 세탁 적정 물 온도, 세부 세탁 방법 정보) 및 "버드아이" 섬유 구조에 관리 정보(예: 관리 방법, 관리 적정 온도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디자인 정보는 상기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 정보로써, "버드아이"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정장에 대한 정보(예: 해당 정장의 트렌드 정보, 해당 정장의 유명 브랜드 정보, 해당 정장과 주로 착용되는 다른 부위의 의상 정보 및 "버드아이"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정장의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design information among the plurality of pre-stored design information 303a is information on the type of fabric including the plurality of fiber structures, and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bird eye” fiber structure (fiber pattern). The information on the "Bird's Eye" fiber structure may include image information of the "Bird's Eye" fiber structure (fiber patter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formation on the "Bird's Eye" fiber structure, and "Bird's Eye" fiber structure Washing method information (eg, detergent type information, appropriate washing water temperature, detailed washing method information) and management information (eg, management method, proper temperature, etc.) can be included in the "Bird Eye" fabric structure. In addition, the second design information is information on clothes designed with the fiber structure, and information about a suit designed with a "bird eye" fiber structure (eg, trend information of the suit, famous brand information of the suit, information on the suit and the suit) Information on clothes of other parts that are mainly worn and image information of suits designed with "Bird Eye" fiber structure) may be includ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섬유 구조 객체 생성부(305)는 상기 정보 탐색부(303)에 의해 상기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디자인 정보 중 상기 스캔된 코드 패턴과 매칭되는 디자인 정보의 탐색이 완료되는 경우, 상기 탐색 완료된 디자인 정보에 포함된 섬유 구조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섬유 구조 객체(305a)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섬유 구조 객체(305a)는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출력할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earch for design information matching the scanned code pattern among the plurality of pre-stored design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search unit 303 is completed, the fiber structure object generating unit 305 is configured to Based on the fiber structur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arched design information, the second fiber structure object 305a may be generated. The second fiber structure object 305a may be a configuration necessary to generate second design content to be output through a display (eg, the display 203 of FIG. 2 ).

예를 들어, 상기 섬유 구조 객체 생성부(305)는 상기 제1 디자인 정보에 포함된 "옥스퍼드" 섬유 구조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옥스퍼드" 섬유 구조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옥스퍼드" 섬유 구조 객체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예정인 "옥스퍼드" 섬유 구조(물리적인 섬유 패턴)의 이미지 정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옥스퍼드" 섬유 구조의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옥스퍼드" 섬유 구조에 대한 장, 단점 정보, "옥스퍼드" 섬유 구조에 대한 세탁 방법 정보(예: 세제 종류 정보, 세탁 적정 물 온도, 세부 세탁 방법 정보) 및 "옥스퍼드" 섬유 구조에 관리 정보(예: 관리 방법, 관리 적정 온도 등)를 함께 제공받을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ber structure object generating unit 305 may create an "Oxford" fiber structure object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Oxford" fiber structure included in the first design information. The "Oxford" fiber structure object may be image information of the "Oxford" fiber structure (physical fiber pattern)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When the image of the "Oxford" fiber structure is output through the display, the user can provid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formation about the "Oxford" fiber structure, and laundry method information about the "Oxford" fiber structure (eg, detergent type information, laundry Appropriate water temperature, detailed washing method information) and "Oxford" fabric structure may be provided with care information (eg care instructions, proper care temperature, etc.).

또한, 상기 "옥스퍼드" 섬유 구조 객체는 제2 디자인 컨텐츠를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제2 디자인 컨텐츠를 구현하기 위한 자세한 방법은 도 4에서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Oxford" fiber structure object may be a configuration necessary to implement the second design content. A detaile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econd design cont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의상 객체 생성부(307)는, 상기 정보 탐색부(303)에 의해 스캔된 코드 패턴과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자인 정보의 탐색이 완료되면, 상기 탐색 완료된 디자인 정보에 포함된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의상 객체(307a)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의상 객체(307a)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earch for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code pattern scanned by the information search unit 303 is completed, the searched design information The second clothing object 307a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lothing designed with the fiber structure included in the . The second clothing object 307a may be a configuration necessary to generate second design content t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예를 들어, 상기 의상 객체 생성부(307)는 상기 제1 디자인 정보에 포함된 "옥스퍼드"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 정보에 포함된 정보를 기반으로, 특정 모델이 "옥스퍼드"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을 착용한 제2 의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의상 객체는 "옥스퍼드"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정보로써, 상기 "옥스퍼드"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 정보는 "옥스퍼드"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셔츠에 대한 정보(예: 해당 셔츠의 트렌드 정보, 해당 셔츠의 유명 브랜드 정보, 해당 셔츠와 주로 착용되는 다른 부위의 의상 정보, "옥스퍼드"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셔츠의 이미지 정보 및 "옥스퍼드"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을 착용한 특정 모델에 대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clothing object generating unit 307 may determine that a specific model is designed with an “Oxford” textile structure based 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lothing information designed with an “Oxford” fiber structure included in the first design information. A second clothes object wearing clothes may be created. In this case, the second clothes object is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lothes designed with the “Oxford” fiber structure, and the clothes information designed with the “Oxford” fiber structure is information about the shirt designed with the “Oxford” fiber structure. Information (e.g., trend information on the shirt, famous brand information on the shirt, clothing information on the shirt and other parts of the body that is worn most often, image information on shirts designed with “Oxford” fiber construction, and information on shirts designed with “Oxford” fiber construction). image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model wearing the costum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에 포함된 컨텐츠 제어부의 다른 블록도이다.4 is another block diagram of a content control unit included in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display target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어부(예: 도 3의 컨텐츠 제어부(300))는 디자인 컨텐츠 생성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자인 컨텐츠 생성부(400)는 제2 섬유 구조 객체(예: 도 3의 제2 섬유 구조 객체(305a)) 및 제2 의상 객체(예: 도 3의 제2 의상 객체(307a))를 통해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ent controller (eg, the content controller 300 of FIG. 3 ) may further include a design content generator 400 . The design content generating unit 400 is configured to use a second textile structure object (eg, the second textile structure object 305a of FIG. 3 ) and a second clothing object (eg, the second clothing object 307a of FIG. 3 ). It may be a configuration for generating the second design conten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자인 컨텐츠 생성부(400)는 생성 프로세스 시작부(401), 알고리즘 탐색부(403), 컨텐츠 생성부(405) 및 컨텐츠 출력부(407)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esign content generation unit 400 may include a generation process start unit 401 , an algorithm search unit 403 , a content generation unit 405 , and a content output unit 407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생성 프로세스 시작부(401)는 섬유 구조 객체 생성부(예: 도 3의 섬유 구조 객체 생성부(305)) 및 의상 객체 생성부(예: 도 3의 의상 객체 생성부(307))의 동작 수행이 완료된 경우, 컨텐츠 생성 프로세스를 시작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 생성 프로세스는 제2 섬유 구조 객체 및 제2 의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세스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reation process start unit 401 includes a textile structure object generation unit (eg, the textile structure object generation unit 305 of FIG. 3 ) and a clothing object generation unit (eg, the clothing object generation unit of FIG. 3 ). When the operation of (307)) is completed, the content creation process may be started. The content creation process may be a process for generating second design content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second textile structure object and a second clothing obje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알고리즘 탐색부(403)는, 상기 생성 프로세스 시작부(401)에 의해 상기 컨텐츠 생성 프로세스가 시작된 경우, 기 저장된 컨텐츠 테이블에 저장된 복수 개의 알고리즘 중 상기 제2 섬유 구조 객체 및 상기 제2 의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 가능한 알고리즘을 탐색할 수 있다. 상기 기 저장된 컨텐츠 테이블은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 개의 알고리즘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 저장된 컨텐츠 테이블은 섬유 구조 객체 및 의상 객체 별로 알고리즘을 저장한 상태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lgorithm search unit 403, when the content creation process is started by the creation process start unit 401, the second fiber structure object and An algorithm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of the second clothing objects may be searched for. The pre-stored content table includes a plurality of algorithms for generating design content. The pre-stored content table may be in a state in which algorithms are stored for each textile structure object and clothing object.

예를 들어, 상기 기 저장된 컨텐츠 테이블에 저장된 복수 개의 알고리즘 중 제1 알고리즘은 "옥스포드" 섬유 구조 객체 및 "옥스포드" 의상 객체를 통해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미리 저장된 알고리즘일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algorithm among the plurality of algorithms stored in the pre-stored content table may be a pre-stored algorithm for generating the second design content through the "Oxford" textile structure object and the "Oxford" garment obje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생성부(405)는 상기 알고리즘 탐색부(403)에 의해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 가능한 알고리즘의 탐색이 완료된 경우, 상기 탐색 완료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섬유 구조 객체 및 상기 제2 의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되는 제2 디자인 컨텐츠는 제2 의상 객체 및 제2 섬유 구조 객체로 구현되는 컨텐츠로써, 예를 들어, 상기 제2 의상 객체와 대응되는 패션 또는 디자인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섬유 구조 객체에 대응되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 동영상, 문자, 음향 및 게임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정보일 수 있다. 즉, 상기 기 저장된 컨텐츠 테이블은 이미지, 동영상, 문자, 음향 및 게임 등을 포함하는 컨텐츠 각각을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earch for an algorithm capable of generating the second design content is completed by the algorithm search unit 403, the content generation unit 405 is configured to perform the search based on the searched algorithm, the second fiber structure. The second design content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n object and the second clothing object may be generated. In this case, the generated second design content is the content implemented by the second clothing object and the second textile structure object, for example, information on a fashion or desig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lothing object and the second textile structure. It may be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images, videos, texts, sounds, and games for provid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objects. That is, the pre-stored content table may include an algorithm for generating each content including an image, a moving picture, a text, a sound, and a gam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컨텐츠 출력부(407)는 상기 컨텐츠 생성부(405)에 의해 제2 디자인 컨텐츠의 생성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예: 도 2의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출력 중인 제1 디자인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자인 컨텐츠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design content is completed by the content generator 405 , the content output unit 407 outputs the second design content being output through a display (eg, the display 203 of FIG. 2 ). The first design content may be changed to the second design content and output.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예: 도 2의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200))(이하, 키오스크라 칭함)는 본체 일 영역에 모션 인식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that are items to be displayed (eg, an exhibition kiosk 200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that are displayed items of FIG. 2 )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kiosk) may further include a motion recognition camera in one area of the body.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모션 인식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중인 상기 제2 디자인 컨텐츠는 게임 컨텐츠일 수 있는데, 상기 제2 디자인 컨텐츠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실" 객체를 제어하여 "옥스퍼드" 섬유 구조(물리적인 섬유 패턴)를 엮기 위한 모션 인식 게임일 수 있다. 즉,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모션 인식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옥스퍼드" 섬유 구조를 엮는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kiosk may recognize a user's movement through the motion recognition camera. In this case, the kiosk may output the second design content through the display. The second design content being output through the display may be game content, and the second design content controls the "thread" object output to the display based on the user's movement to form an "oxford" fiber structure (physical It may be a motion recognition game for weaving textile patterns). That is, the kiosk may provide the user with the second design content weaving the "Oxford" fiber structure by recognizing the movement of the user's hand through the motion recognition camera.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모션 인식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자인 컨텐츠는 이미지 컨텐츠일 수 있으며, 특정 모델에 다양한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을 착용시킬 수 있는 이미지 컨텐츠일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모션 인식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의 움직임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출력중인 제1 의상을 특정 모델이 위치한 방향으로 드래그(drag)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키오스크는 상기 모션 인식 카메라를 통해 인식한 사용자의 움직임이 상기 제1 의상을 특정 모델에 착용시키기 위해 드랍(drop)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1 의상을 특정 모델에게 착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kiosk may recognize a user's movement through the motion recognition camera. In this case, the kiosk may output the second design content through the display. The second design content may be image content, and may be image content that allows a specific model to wear clothes designed with various fiber structures. The kiosk may detect a user's movement through the motion recognition camera, and detect that the user drags the first garment being output on the display in a direction in which a specific model is located. When the kiosk detects that the user's movement recognized through the motion recognition camera drops the first clothes to be worn on the specific model, the kiosk may put the first clothes on the specific model.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의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late of a kiosk for display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display target item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500)(예: 도 1의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100))(이하, 키오스크라 칭함)에 포함된 플레이트(507)는 복수 개의 서브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n exhibition kiosk 500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the items to be displayed, (eg, a kiosk for display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s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the display target items of FIG. 1 ). The plate 507 included in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kiosk)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plates.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507)는 내면(507a)의 테두리 중 일 영역에 상기 서브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공간인 서브 플레이트 삽입부(57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 삽입부(570a)에 상기 서브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플레이트(507)에 존재하는 코드 패턴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플레이트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 패턴은 상기 플레이트(507)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 패턴과 조합되어, 새로운 코드 패턴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plate 507 may include a sub-plate insertion part 570a that is a space into which the sub-plate is inserted in one region of the rim of the inner surface 507a. When the sub-plate is inserted into the sub-plate insertion part 570a, the code pattern existing in the plate 507 may be changed. The code pattern included in the sub-plate may be combined with the code pattern included in the plate 507 to create a new code pattern.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플레이트(507)는 서로 다른 섬유 구조 각각과 대응되는 형태의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이 내면 일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키오스크(500)는 상기 플레이트(507)가 삽입 슬롯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삽입 슬롯 내부 일 영역에 위치한 센서의 스캔 범위에 포함되는 코드 패턴이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의 스캔 범위에 포함되는 코드 패턴은 두 개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의 스캔 범위에 포함되는 코드 패턴은 "옥스퍼드"의 섬유 구조와 대응되는 코드 패턴 및 "버드아이"의 섬유 구조와 대응되는 코드 패턴이 포함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plate 507 may have a plurality of code patterns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ifferent fiber structures for each inner surface area. Accordingly, in the kiosk 500, the code pattern included in the scan range of the sensor located in one area inside the insertion slo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 plate 507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Accordingly, there may be two or more code patterns included in the scan range of the sensor. For example, the code pattern included in the scan range of the sensor may include a cod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fiber structure of "Oxford" and a code pattern corresponding to the fiber structure of "Bird's Eye".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오스크(500)는 상기 센서에 의해 인식된 두 개의 코드 패턴(예: 옥스퍼드 및 버드아이)을 기반으로, 제3 디자인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3 디자인 컨텐츠는 제1 디자인 정보 및 제2 디자인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컨텐츠일 수 있다. 즉, 상기 제3 디자인 컨텐츠는 "옥스퍼드"의 섬유 구조 객체, "옥스퍼드"의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 객체, "버드아이"의 섬유 구조 객체 및 "버드아이"의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 객체를 조합하여 생성한 컨텐츠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3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기 저장된 컨텐츠 테이블에 포함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키오스크(500)는 상기 센서의 스캔범위에 포함되는 코드패턴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kiosk 500 may output the third design content through the display based on two code patterns (eg, Oxford and Birdeye) recognized by the sensor. The third design content may be content generated based on the first design information and the second design information. That is, the third design content includes a textile structure object of “Oxford”, a clothing object designed with a textile structure of “Oxford”, a textile structure object of “Bird Eye” and a clothing object designed with a textile structure of “Bird Eye”. It may be content information generated by combining. The algorithm for generating the third design content may be included in a pre-stored content table. That is, the kiosk 500 may generate various design contents according to the type and number of code patterns included in the scan range of the sensor.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예를 도시하였으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상술한 도 1 내지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불필요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6 illustrates an example of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pu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unnecessary embodiments that overlap with those of FIGS. 1 to 5 will be omitted. do it with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0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 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0000)은 촉각 인터페이스 장치에 연결된 유저 단말이기(A) 혹은 전술한 컴퓨팅 장치(B)에 해당될 수 있다.6, the computing device 10000 includes at least one processor 11100, a memory 11200, a peripheral interface 11300, an input/output subsystem ( It may include at least an I/O subsystem) 11400 , a power circuit 11500 , and a communication circuit 11600 . In this case,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correspond to a user terminal connected to the tactile interface device (A) or the aforementioned computing device (B).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1200 may include, for example, a 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a magnetic disk, an SRAM, a DRAM, a ROM, a flash memory, or a non-volatile memory. there is. The memory 11200 may include a software module, an instruction set, or other various data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this case, access to the memory 11200 from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processor 11100 or the peripheral device interface 1130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11100 .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0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Peripheral interface 11300 may couple input and/or output peripherals of computing device 10000 to processor 11100 and memory 11200 . The processor 11100 may execute a software module or an instruction set stored in the memory 11200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for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process data.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couple various input/output peripherals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 For example, the input/output subsystem 11400 may include a controller for coupling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monitor, keyboard, mouse, printer, or a touch screen or sensor as needed to the peripheral interface 11300 . According to another aspect, input/output peripherals may be coupled to peripheral interface 11300 without going through input/output subsystem 11400 .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ircuit 11500 may supply power to all or some of the components of the terminal. For example, the power circuit 11500 may include a power management system, one or more power sources such as batteries or alternating current (AC), a charging system, a 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a power converter or inverter, a power status indicator, or a power source. It may include any other components for creation, management, and distribution.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enable communication with another computing device using at least one external port.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as described above, if necessary,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0 may include an RF circuit to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also known as an electromagnetic signal,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other computing devices.

이러한 도 6의 실시 예는, 컴퓨팅 장치(10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6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6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is embodiment of FIG. 6 is only an example of the computing device 10000, and the computing device 11000 may omit some components shown in FIG. 6 or further include additional components not shown in FIG. 6, or 2 It may have a configuration or arrangement that combines two or more components. For example, a computing device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in a mobile environmen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creen or a sensor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shown in FIG. 6 , and various communication methods (WiFi, 3G, LTE) are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circuit 1160 . , Bluetooth, NFC, Zigbee, etc.) may include a circuit for RF communication. Compon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uting device 10000 may be implemented in hardware including an integrated circuit specialized for one or more signal processing or applications,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both hardware and softwar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Metho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ing device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particular,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as a PC-based program or an application dedicated to a mobile terminal. The application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may be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through a file provided by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For example, the file distribution system may include a file transmission unit (not shown) that transmits the file in response to a request from the user terminal.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The device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as a hardware component, a software component, and/or a combination of the hardware component and the software component. For example, the devices and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may include, for example, a processor, a controller, an arithmetic logic unit (ALU),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It may be implemented using one or more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s, such as a programmable logic unit (PLU), microprocessor, or any other device capable of executing and responding to instructions. The processing device may execute an operating system (OS) and one or more software applications running on the operating system. A processing device may also access, store, manipulate, process, and generate data in response to execution of the softwar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although one processing device is sometimes described as being used,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processing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processing elements and/or a plurality of types of processing elements. It can be seen that can include For example, the processing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cessors or one processor and one controller. Other processing configurations are also possible, such as parallel processors.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Software may comprise a computer program, code, instructions, or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thereof, which configures a processing device to operate as desired or is independently or collectively processed You can command the device. The software and/or data may be any kind of machine, component, physical device, virtual equipment, computer storage medium or device, to be interpreted by or to provide instructions or data to the processing device. may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embody in The software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ed computing devices, and stored or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Software and data may be stored in one or mor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in th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ic such as floppy disks. - include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embodiments, and vice versa.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n order different from the described method, and/or the described components of the system, structure, apparatus,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Or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equivalents may achieve an appropriate result. 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are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5)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들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에 있어서,
전시장에 배치되는 본체;
상기 본체 일 영역에 형성되어, 전시 대상 객체인 의상 또는 섬유에 포함된 섬유 구조와 대응되는 이미지로 형성되는 섬유 구조 객체인 제1 섬유 구조 객체 및 전시 대상이 되는 특정 모델이 착용한 의상과 대응되는 이미지로 형성되는 의상 객체인 제1 의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제1 디자인 컨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본체 일 영역에 형성된 공간으로, 코드 패턴(code pattern)을 포함하는 플레이트(plate)가 삽입되는 영역인 삽입 슬롯(slot);
상기 삽입 슬롯 내부 일 영역에 위치하여, 상기 삽입 슬롯 내에 상기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경우, 상기 삽입 슬롯에 삽입된 플레이트의 코드 패턴을 스캔(scan)하는 센서; 및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코드 패턴의 스캔이 완료되는 경우,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디자인 정보 중 상기 스캔된 코드 패턴에 대응되는 디자인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의상 객체 및 제2 섬유 구조 객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중인 제1 디자인 컨텐츠를 제2 디자인 컨텐츠로 전환하여 출력하는 컨텐츠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
In the display kiosk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items to be displayed, including a computing device including one or more processors and one or more memories for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the processor,
a main body disposed in the exhibition hall;
The first fiber structure object, which is a fiber structure object formed in an area of the main body, and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textile structure included in the clothing or textile, which is the object to be displayed, and the clothes worn by the specific model to be displayed a display for outputting first design content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first clothes objects that are clothes objects formed of images;
a space formed in one area of the body, an insertion slot that is an area into which a plate including a code pattern is inserted;
a sensor located in an area inside the insertion slot and scanning a code pattern of the plat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when the plat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and
When the scanning of the code pattern is completed by the sensor, based on desig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canned code pattern among a plurality of pre-stored design information, it is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second clothing object and a second textile structure object In the case of generating the second design content, a content control unit that converts the first design content being output through the display into the second design content and outputs it;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cont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섬유 구조 각각과 대응되는 형태의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이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 일 영역마다 형성되어, 상기 삽입 슬롯에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센서의 스캔 범위에 포함되는 코드 패턴을 변경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
According to claim 1,
The plate is
A plurality of code patterns each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different fiber structures are formed for each one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so that the code pattern included in the scan range of the sens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i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lot.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s for clothing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featured exhibit items.
제1항에 있어서,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디자인 정보는,
상기 플레이트의 내면 일 영역마다 형성된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과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섬유 구조에 대한 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코드 패턴 각각에 대응되는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 정보로서, 전시장에서 전시되는 상기 전시 대상 객체에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pre-stored design information,
It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matches each of a plurality of code patterns formed for each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plate,
Information on the textile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de patterns and information on clothes designed with a textile struc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code patterns, includ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object displayed in the exhibition hall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exhibit items, characterized in tha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상기 코드 패턴의 스캔이 완료되는 경우, 컨텐츠 전환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전환 프로세스 시작부;
상기 컨텐츠 전환 프로세스가 시작되는 경우, 상기 기 저장된 복수 개의 디자인 정보 중 상기 스캔된 코드 패턴과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자인 정보를 탐색하는 정보 탐색부;
상기 정보 탐색부에 의해 상기 스캔된 코드 패턴과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자인 정보의 탐색이 완료되면, 상기 탐색 완료된 디자인 정보에 포함된 섬유 구조의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섬유 구조 객체를 생성하는 섬유 구조 객체 생성부; 및
상기 정보 탐색부에 의해 상기 스캔된 코드 패턴과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자인 정보의 탐색이 완료되면, 상기 탐색 완료된 디자인 정보에 포함된 섬유 구조로 디자인된 의상 정보를 기반으로, 제2 의상 객체를 생성하는 의상 객체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
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ent control unit,
a conversion process start unit that starts a content conversion process when the scanning of the code pattern is completed by the sensor;
an information search unit that searches for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scanned code pattern from among the plurality of pre-stored design information when the content conversion process starts;
When the search for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scanned code pattern is completed by the information search unit, a second fiber structure object is genera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fiber structure included in the searched design information. a fiber structure object generating unit; and
When the search for design information includ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tching the scanned code pattern is completed by the information search unit, the second clothing object is based on the information on clothing designed with a textile structure included in the searched design information.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 for clothes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items for displa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어부는,
디자인 컨텐츠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자인 컨텐츠 생성부는,
상기 섬유 구조 객체 생성부 및 상기 의상 객체 생성부의 동작 수행이 완료된 경우, 컨텐츠 생성 프로세스를 시작하는 생성 프로세스 시작부;
상기 컨텐츠 생성 프로세스가 시작되는 경우, 기 저장된 콘셉트(concept) 테이블에 저장된 복수 개의 알고리즘 중 상기 제2 섬유 구조 객체 및 상기 제2 의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 가능한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탐색하는 알고리즘 탐색부;
상기 알고리즘 탐색부에 의해 상기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 가능한 알고리즘의 탐색이 완료된 경우, 상기 탐색 완료된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제2 섬유 구조 객체 및 상기 제2 의상 객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되는 제2 디자인 컨텐츠를 생성하는 컨텐츠 생성부; 및
상기 컨텐츠 생성부에 의해 상기 제2 디자인 컨텐츠의 생성이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 중인 제1 디자인 컨텐츠를 상기 제2 디자인 컨텐츠로 변경하여 출력하는 컨텐츠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 대상 품목인 의상 및 섬유 구조 객체 맞춤형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전시용 키오스크.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ent control unit,
Further comprising a design content generation unit,
The design content generation unit,
a creation process initiator for starting a content creation process when the operation of the textile structure object creation unit and the garment object creation unit are completed;
When the content creation process starts, searching for an algorithm for generating second design content that can be implemented with at least one of the second textile structure object and the second clothing object among a plurality of algorithms stored in a pre-stored concept table algorithm search unit;
When the search for an algorithm capable of generating the second design content is completed by the algorithm search unit, second design content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the second textile structure object and the second garment object based on the searched algorithm a content generation unit that generates and
and a content output unit for changing the first design content being output through the display into the second design content and outputting the first design content being output through the display when the generation of the second design content is completed by the content generator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customized design contents for target items, such as clothing and textile structures.
KR1020210069119A 2021-05-28 2021-05-28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design contents for clothing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the target items for exhibition KR1023702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119A KR102370255B1 (en) 2021-05-28 2021-05-28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design contents for clothing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the target items for exhib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119A KR102370255B1 (en) 2021-05-28 2021-05-28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design contents for clothing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the target items for exhib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0255B1 true KR102370255B1 (en) 2022-03-04

Family

ID=80813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119A KR102370255B1 (en) 2021-05-28 2021-05-28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design contents for clothing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the target items for exhibi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25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510B1 (en) * 2015-07-10 2016-11-22 한국과학기술원 Garment design apparatus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20170019917A (en) * 2015-08-13 2017-02-22 (주)에프엑스기어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3-dimensional model of clothes
KR102152553B1 (en) * 2019-11-27 2020-09-04 이혜광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3d modeling of customized clothing
KR20200109045A (en) * 2019-03-12 2020-09-22 김만기 Apparatus for printing im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129956A (en) *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바우루덴스 System for automatic sailing block-type structure and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8510B1 (en) * 2015-07-10 2016-11-22 한국과학기술원 Garment design apparatus based on augmented reality
KR20170019917A (en) * 2015-08-13 2017-02-22 (주)에프엑스기어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generating 3-dimensional model of clothes
KR20200109045A (en) * 2019-03-12 2020-09-22 김만기 Apparatus for printing imag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00129956A (en) *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바우루덴스 System for automatic sailing block-type structure and method of the same
KR102152553B1 (en) * 2019-11-27 2020-09-04 이혜광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3d modeling of customized cloth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70728B1 (en) Laundry scheduling apparatus and method
CN102201099A (en) Motion-based interactive shopping environment
US10463967B2 (en) Generating digital elements using non-deterministic selection
BR112019011482A2 (en) use of fabric molds to achieve multiple laser finish finishes
Yun et al. The effect of fabric movement on washing performance in a front-loading washer III: Focus on the optimized movement algorithm
Cafaro Using embodied allegories to design gesture suites for human-data interaction
Cho et al. The effect of fabric movement on washing performance in a front-loading washer IV: under 3.25-kg laundry load condition
IT201600095426A1 (en) EQUIPMENT FOR THE OFFER FOR SALE OF GOODS
CN103502910B (en) Method for operating laser diode
KR102370255B1 (en) An exhibition kiosk that provides design contents for clothing and textile structure objects, which are the target items for exhibition
US20220148264A1 (en) Enclosure for virtual fitting
US20200201498A1 (en) Dynamic auxiliary user interface
Yamamoto Visulan: A visual programming language for self-changing bitmap
Shen et al. Structure modeling in three-dimensional simulation of weft-knitted seamless kneepads
Yun et al. The effect of fabric movement on washing performance in a front-loading washer V: Focusing on the role and shape of the lifter
JP2022536179A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d visualizing textile information
KR1020273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ame service related to generating item
KR20210025399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lothes thereof
KR20200082999A (en) Clothing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KR20240054589A (en) Electronic device for mapping custom information to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
KR102528108B1 (en) Digital content output system using mirror media
Tokumaru et al. Nail art design system using interactive evolutionary computation with VR
US20240144357A1 (en) System for displaying selected clothes on a dummy human body
Zhang et al. Asynchronous reflections: theory and practice in the design of multimedia mirror systems
KR2020011499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game service related to generating i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