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0182B1 - Separable mobile terminal equipment - Google Patents

Separable mobile terminal equip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0182B1
KR102370182B1 KR1020170119373A KR20170119373A KR102370182B1 KR 102370182 B1 KR102370182 B1 KR 102370182B1 KR 1020170119373 A KR1020170119373 A KR 1020170119373A KR 20170119373 A KR20170119373 A KR 20170119373A KR 102370182 B1 KR102370182 B1 KR 102370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unit
image
detachabl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3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31665A (en
Inventor
명노훈
채기성
오승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9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0182B1/en
Publication of KR2019003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6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0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018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54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comprising one or a plurality of mechanically detachable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별도의 표시부가 포함되고, 메인 단말기보다 경량화된 서브 단말기를 구비한 분리형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는 제 1 영상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부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제 1 단말기 및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되어 제 1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단말기를 구비한다. 제 2 단말기는 제 1 영상과 별도로 표시되는 제 2 영상을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한다. 제 2 단말기의 부피는 제 1 단말기의 부피보다 작고, 제 2 단말기의 무게는 제 1 단말기의 무게보다 작다. 제 1 단말기는, 제 1 표시부가 배치되는 제 1 전면 영역과, 제 1 전면 영역보다 두께가 얇은 영역이며 제 2 단말기가 삽입 및 결합되는 제 2 전면 영역을 포함한다. 제 2 단말기가 제 1 단말기에 결합된 상태일 때, 제 1 표시부가 전면 방향으로 제 1 영상을 표시하고, 제 2 표시부가 전면 방향으로 제 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eparate display unit and having a sub-terminal that is lighter than the main terminal.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irst image and a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includes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cond image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first image. The volume of the second terminal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weight of the second terminal is smaller than the weight of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includes a first front area in which the first display unit is disposed, and a second front area which is thinner than the first front area and into which the second terminal is inserted and coupled. When the second terminal is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first image in the front direction, and the second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second image in the front direction.

Description

분리형 이동 단말기{SEPARABLE MOBILE TERMINAL EQUIPMENT}SEPARABLE MOBILE TERMINAL EQUIPMENT

본 출원은 분리형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is application relates to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최근, 이동 단말기는 4차 산업 시대의 도래와 더불어 표시부(Display)의 기능이 확장되어 표시부를 통한 센싱(Sensing) 기능 및 사용자와의 상호 통신(Mutual Communication) 기능이 강화되는 추세이다. 센싱 기능 및 상호 통신 기능의 발전을 위해 표시부의 소비 전력 감소 및 대용량 배터리 탑재가 요구된다 그러나, 일체형 이동 단말기에서 표시부의 소비 전력 감소 및 배터리의 대용량화에는 기술적 한계가 존재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새로운 개념의 장치인 분리형 이동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Recently, in mobile terminals,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era, the function of the display is expanded, and the sensing function and the mutual communication function with the user are strengthened through the display unit. In order to develop a sensing function and a mutual communication function, it is requir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display unit and to mount a large-capacity battery. Accordingly,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which is a device of a new concept, is emerging.

분리형 이동 단말기 중 통신 모듈과 메인 단말기 또는 기구 모듈을 분리하는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경우, 표시부가 항상 메인 단말기에 종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가 다양한 시각 정보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분리 상태가 아닌 결합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Among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s, in the case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that separates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main terminal or an instrument module, the display unit is always subordinated to the main terminal. Accordingly, in order for the display unit to express various visua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combined state rather than the separated state.

또한 분리형 이동 단말기 중 와치 모듈 분리형 또는 카메라 모듈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경우, 분리된 와치 모듈 또는 카메라 모듈은 와치 또는 카메라 기능만 갖고 있는 제한된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detachable watch module or a detachable camera module among detachable mobile terminals, the detached watch module or camera module provides limited convenience having only a watch or camera function.

본 출원은 별도의 표시부가 포함되고, 메인 단말기보다 경량화된 서브 단말기를 구비한 분리형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eparate display unit and having a sub-terminal that is lighter than the main terminal.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는 제 1 영상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부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제 1 단말기 및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되어 제 1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단말기를 구비한다. 제 2 단말기는 제 1 영상과 별도로 표시되는 제 2 영상을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한다. 제 2 단말기의 부피는 제 1 단말기의 부피보다 작고, 제 2 단말기의 무게는 제 1 단말기의 무게보다 작다. 제 1 단말기는, 제 1 표시부가 배치되는 제 1 전면 영역과, 제 1 전면 영역보다 두께가 얇은 영역이며 제 2 단말기가 삽입 및 결합되는 제 2 전면 영역을 포함한다. 제 2 단말기가 제 1 단말기에 결합된 상태일 때, 제 1 표시부가 전면 방향으로 제 1 영상을 표시하고, 제 2 표시부가 전면 방향으로 제 2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irst image and a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includes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cond image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first image. The volume of the second terminal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weight of the second terminal is smaller than the weight of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includes a first front area in which the first display unit is disposed, and a second front area which is thinner than the first front area and into which the second terminal is inserted and coupled. When the second terminal is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first image in the front direction, and the second display unit may display the second image in the front direction.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는 분리된 상태와 결합된 상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커넥티드 장치(Connected Device)이다.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는 제 2 단말기를 별도의 휴대용 통신 장치로 사용하면서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는 개별적인 기기의 플랫폼화를 통해 사용되는 영역을 확대하고, 사용자의 기능, 크기, 부가 기능에 관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connected device that can freely select a detached state and a combined state.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provide various user interfaces (UIs) and user experiences (UXs) utilizing a display while using the second terminal as a separat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In addition,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can expand the area used through platformization of individual devices, and satisfy various needs of users regarding functions, sizes, and additional functions.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통신 개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통신 개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concept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concept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6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8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example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xample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is applica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applica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ape, size, ratio, angle, number,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re exemplary, and thus the pres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matter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appl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When 'including', 'having', 'consisting', etc.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are used,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cases including the plural are included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In interpreting the components, it is construed as including an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the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on', 'on', 'beside', etc., 'right' Alternatively,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parts unless 'directly' is used.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a description of a temporal relationship, for example, 'immediately' or 'directly' when a temporal relationship is described with 'after', 'following', 'after', 'before', etc. It may include cases that are not continuous unless this is used.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application.

"제1 수평 축 방향", "제2 수평 축 방향" 및 "수직 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출원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First horizontal axis direction", "second horizontal axis direction" and "vertical axis direction" should not be construed only as a geometrical relationship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other is vertical, and the rang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function functionally It may mean to have a broader direction than within.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The term “at least one”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possible combinations from one or more related items. For example, the meaning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means that each of the first, second, or third items as well as two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items It may mean a combination of all items that can be presented from more than one.

본 출원의 여러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Each feature of the various examples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technically various interlocking and driving are possible, and each example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200)를 구비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first terminal 100 and a second terminal 200 .

제 1 단말기(100)는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메인 단말기, 본체, 또는 마스터(Master) 역할을 수행한다. 제 1 단말기(100)는 전면에 배치된 삽입부에 제 2 단말기(200)를 삽입 또는 분리시킨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1 표시부(110), 인터페이스부(120), 및 삽입형 착탈부(131)를 포함한다.The first terminal 100 serves as a main terminal, a main body, or a master of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terminal 100 inserts or separates the second terminal 200 into the insertion unit disposed on the front side. The first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display unit 110 , an interface unit 120 , and an insertable and detachable unit 131 .

제 1 표시부(110)는 제 1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된다. 제 1 표시부(110)는 제 2 단말기(200)가 결합하는 제 1 표시부(110)는 제 1 영상을 표시한다. 제 1 표시부(110)는 제 1 단말기(100)의 상태, 제 1 단말기(100)에서 수행하는 동작들을 시각적인 정보로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제 1 표시부(110)에 사용되는 디스플레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제 1 표시부(11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terminal 100 . The first display unit 110 and the first display unit 110 to which the second terminal 200 is coupled displays a first image. The first display unit 110 transmits the state of the first terminal 100 and operations performed by the first terminal 100 to the user as visual information. The type of display used for the first display unit 1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first display unit 110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or the like.

인터페이스부(120)는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터페이스부(120)는 복수의 입력 단자(pin), 케이블(cable), 또는 커넥터(connecto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0)는 USB 방식, 집적 회로 간 통신 (Inter Integrated Circuit, I2C) 방식, 저 전위 전압 차등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방식 등으로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200) 사이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200)는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통신 데이터, 센싱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2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The interface unit 120 may be implemented with a plurality of input terminals (pins), cables (cables), connectors (connectors), and the like. The interface unit 120 includes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using a USB method, an Inter Integrated Circuit (I2C) method, a 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method, and the like. ) can transmit and receive data betwee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may transmit and receive image data, audio data, communication data, sensing data, and the like.

인터페이스부(120)는 제 2 단말기(200)가 삽입되는 위치의 일 측에 배치된다. 인터페이스부(120)는 제 2 단말기(200)가 제 1 단말기(100)에 삽입되는 경우, 제 2 단말기(200)의 일 측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20)가 제 2 단말기(200)에 접촉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120)에서 제 1 및 제 2 단말기(100, 20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terminal 200 is inserted. When the second terminal 200 is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100 , the interface unit 12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contact one side of the second terminal 200 . When the interface unit 120 contacts the second terminal 200 , the interface unit 120 may increase the data transmission/reception spe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0 and 200 .

삽입형 착탈부(131)는 제 1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된다. 삽입형 착탈부(131)는 제 1 단말기(100)의 전면에 배치된 삽입부에 제 2 단말기(200)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부착시킨다. 제 2 단말기(200)의 배면에는 삽입형 착탈부(131)와 대응하는 형상의 착탈부가 마련된다.The insertable detachable unit 131 is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first terminal 100 . The insertable detachable part 131 is attached in such a way that the second terminal 20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art disposed on the front of the first terminal 100 .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200 , a detachable part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sertable detachable part 131 is provided.

삽입형 착탈부(131)를 이용하여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200)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제 2 단말기(200)를 제 1 단말기(100)에 올바른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형 착탈부(131)를 이용하여 본 출원의 제 2 단말기(200)를 별도의 분리 단계 없이 제 1 단말기(1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필요할 때마다 제 2 단말기(200)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are combined and used using the insertable detachable unit 131 ,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fixed to the first terminal 100 in a correct position. In addition, by using the insertable detachable unit 131, the second terminal 200 of the present application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without a separate separation step, so that the second terminal 200 can be removed whenever necessary. Can be used separately.

제 2 단말기(200)는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서브 단말기, 휴대기, 또는 슬레이브(Slave) 역할을 수행한다. 제 2 단말기(200)는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연결되어 제 1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 2 단말기(200)는 제 2 표시부(210)를 포함한다.The second terminal 200 serves as a sub-terminal, a portable device, or a slave of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he second terminal 200 is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12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 The second terminal 200 includes a second display unit 210 .

제 2 표시부(210)는 제 2 단말기(200)의 전면에 마련된다. 제 2 표시부(210)는 제 2 영상을 표시한다. 제 2 영상은 제 1 표시부(110)가 표시하는 제 1 영상과 별도로 표시된다. 필요에 따라, 제 1 및 제 2 단말기(100, 200)가 결합된 경우 또는 분리된 경우 모두,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은 상이할 수도 있고, 동일할 수도 있다.The second display unit 210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200 . The second display unit 210 displays a second image. The second image is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first image displayed by the first display unit 110 . If necessary, wh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0 and 200 are combined or separated,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may be different or the same.

제 2 단말기(200)의 부피는 제 1 단말기(100)의 부피보다 작다. 일 예로, 제 2 단말기(200)의 길이가 제 1 단말기(100)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2 단말기(200)의 폭이 제 1 단말기(100)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 2 단말기(200)의 두께가 제 1 단말기(100)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제 2 단말기(200)의 길이, 폭,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치 값은 제 1 단말기(100)의 길이, 폭,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치 값보다 작을 수 있다.The volume of the second terminal 200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first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terminal 100 . As another example, the width of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terminal 100 . As anothe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first terminal 100 . In addition, at least one numerical value of the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smaller than the numerical value of at least one or more of the length, width, and thickness of the first terminal 100 .

제 2 단말기(200)의 무게는 제 1 단말기(100)의 무게보다 작다. 제 1 및 제 2 단말기(100, 200)가 유사한 재료로 이루어진 경우, 제 1 및 제 2 단말기(200)의 무게 비율은 제 1 및 제 2 단말기(100, 200)의 부피 비율과 유사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weight of the second terminal 200 is smaller than the weight of the first terminal 100 . Wh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0 and 200 are made of similar materials, the weight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200 may be set to be similar to the volume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0 and 200. can

또한, 제 1 단말기(100)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고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도가 큰 금속이나 비금속 고분자 물질로 형성하고, 제 2 단말기(200)는 제 1 단말기(100) 대비 휴대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단말기(100)에 비해 비중이 작은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1 단말기(100)의 재료보다 제 2 단말기(200)의 재료의 비중이 작은 경우, 제 2 단말기(200)의 무게 비율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100 is formed of a high-strength metal or non-metallic polymer material in order to absorb shocks from the outside and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second terminal 200 is the first In order to increase portability compared to the terminal 100 , it may be formed of plastic, etc. having a small specific gravity compared to the first terminal 100 . Wh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material of the second terminal 200 is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terminal 100 , the weight ratio of the second terminal 200 can be further reduced.

도 2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제 1 단말기(100)는 제 1 영상 처리부(112), 제 1 음성 처리부(140), 제 1 통신부(150), 제 1 센싱 처리부(160), 제 1 전원부(170), 및 제 1 제어부(180)를 포함한다.The first terminal 100 includes a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12 , a first audio processing unit 140 , a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 a first sensing processing unit 160 , a first power supply unit 170 , and a first control unit ( 180).

제 1 영상 처리부(112)는 제 1 영상 신호(VIDEO1)를 출력한다. 제 1 영상 신호(VIDEO1)는 제 1 표시부(110)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이다. 제 1 영상 처리부(112)는 제 1 제어부(180)로부터 제 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1)를 공급받는다. 또는, 제 1 영상 처리부(112)는 내부의 구동 집적 회로(Driver IC)를 이용하여 제 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1)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영상 처리부(112)는 제 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1)에 따른 제 1 영상 신호(VIDEO1)를 생성하여 제 1 표시부(110)로 공급한다.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12 outputs the first image signal VIDEO1. The first image signal VIDEO1 is an analog data voltage for displaying an image of the first display unit 110 .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12 receives the first digital video data VDATA1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80 . Alternatively,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12 may generate the first digital video data VDATA1 using an internal driver IC.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12 generates a first image signal VIDEO1 according to the first digital video data VDATA1 and supplies it to the first display unit 110 .

제 1 영상 처리부(112)는 제 2 영상 신호(VIDEO2)를 입력받는다. 제 2 영상 신호(VIDEO2)는 제 1 카메라(111)를 통해 입력받은 영상과 대응하는 데이터이다. 제 1 카메라(111)는 제 1 단말기(100)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카메라(111)가 외부 영상을 찍는 경우, 외부 영상은 제 1 표시부(110)에 표시된다. 제 1 영상 처리부(112)는 제 1 표시부(110)에 표시된 영상과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 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1)로 변환한다.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12 receives the second image signal VIDEO2. The second image signal VIDEO2 is data corresponding to an image input through the first camera 111 . The first camera 111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and/or rear of the first terminal 100 . When the first camera 111 takes an external image, the external image is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12 converts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into first digital video data VDATA1 .

제 1 영상 처리부(112)는 제 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1)를 제 1 제어부(180)로 공급하거나, 제 1 제어부(180)로부터 제 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1)를 공급받는다. 제 1 영상 처리부(112)는 제 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1)를 제 1 단말기(100)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12 supplies the first digital video data VDATA1 to the first controller 180 or receives the first digital video data VDATA1 from the first controller 180 .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12 may store the first digital video data VDATA1 in an internal memory of the first terminal 100 .

제 1 음성 처리부(140)는 제 1 단말기(100)가 음성을 내거나 녹음하도록 제어한다. 제 1 음성 처리부(140)는 제 1 표시부(110)에서 표시하는 제 1 영상과 대응하는 음성을 내기 위해 제 1 영상 처리부(112)와 동기화(synchronization)하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first voice processing unit 140 controls the first terminal 100 to make or record a voice. The first audio processing unit 140 may exchange data synchronized with the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12 to produce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image displayed on the first display unit 110 .

제 1 음성 처리부(140)는 제 1 단말기(100)에 내장되어 음성을 낼 수 있는 제 1 스피커(141)에 제 1 음성 신호(SOUND1)를 공급한다. 제 1 음성 신호(SOUND1)는 제 1 단말기(100)가 내고자 하는 음성과 대응하는 전압 파형이다. 제 1 음성 처리부(140)는 제 1 제어부(180)로부터 제 1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1)를 공급받는다. 또는, 제 1 음성 처리부(140)는 내부의 구동 집적 회로(Driver IC)를 이용하여 제 1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1)를 생성할 수 있다. 제 1 음성 처리부(140)는 제 1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1)에 따른 제 1 음성 신호(SOUND1)를 생성한다. 제 1 음성 신호(SOUND1)가 제 1 스피커(141)로 공급되는 경우, 제 1 스피커(141)는 제 1 음성 신호(SOUND1)를 음성으로 전환하여 출력한다.The first voice processing unit 140 supplies the first voice signal SOUND1 to the first speaker 141 that is built in the first terminal 100 and can make a voice. The first voice signal SOUND1 is a voltag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voice to be output by the first terminal 100 . The first voice processing unit 140 receives the first digital voice data SDATA1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80 . Alternatively, the first voice processing unit 140 may generate the first digital voice data SDATA1 using an internal driver IC. The first voice processing unit 140 generates a first voice signal SOUND1 according to the first digital voice data SDATA1 . When the first audio signal SOUND1 is supplied to the first speaker 141 , the first speaker 141 converts the first audio signal SOUND1 into a voice and outputs it.

제 1 음성 처리부(140)는 제 1 마이크(142)로부터 제 2 음성 신호(SOUND2)를 공급받는다. 제 2 음성 신호(SOUND2)는 제 1 마이크(142)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과 대응하는 전압 파형이다. 제 1 마이크(142)는 제 1 단말기(100)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마이크(142)가 외부 음성을 녹음하는 경우, 외부 음성은 제 1 마이크(142)에 입력된다. 제 1 음성 처리부(140)는 제 1 마이크(142)에 입력된 영상과 대응하는 전압 파형을 제 1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1)로 변환한다.The first voice processing unit 140 receives the second voice signal SOUND2 from the first microphone 142 . The second voice signal SOUND2 is a voltag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voice input through the first microphone 142 . The first microphone 14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and/or rear of the first terminal 100 . When the first microphone 142 records an external voice, the external voice is input to the first microphone 142 . The first audio processing unit 140 converts a voltag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put to the first microphone 142 into the first digital audio data SDATA1 .

제 1 음성 처리부(140)는 제 1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1)를 제 1 제어부(180)로 공급하거나, 제 1 제어부(180)로부터 제 1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1)를 공급받는다. 제 1 음성 처리부(140)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1)를 제 1 단말기(100)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The first voice processing unit 140 supplies the first digital voice data SDATA1 to the first controller 180 or receives the first digital voice data SDATA1 from the first controller 180 . The first voice processing unit 140 may store the digital voice data SDATA1 in a memory inside the first terminal 100 .

제 1 통신부(150)는 제 1 안테나(151)로부터 제 1 입력 신호(IN1)를 수신한다. 제 1 입력 신호(IN1)는 제 1 단말기(100)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신호이다. 제 1 입력 신호(IN1)는 외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어, 제 1 단말기(100)에 내장된 제 1 안테나(151)에 수신된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receives the first input signal IN1 from the first antenna 151 . The first input signal IN1 is a communication signal used by the first terminal 100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The first input signal IN1 is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base station and received by the first antenna 151 built in the first terminal 100 .

제 1 통신부(150)는 제 1 입력 신호(IN1)를 이용하여 제 1 통신 데이터(COM1)를 생성한다. 제 1 통신부(150)는 제 1 제어부(180)로 제 1 통신 데이터(COM1)를 공급하거나, 제 1 제어부(180)로부터 제 1 통신 데이터(COM1)를 공급받는다.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generates the first communication data COM1 by using the first input signal IN1 .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supplies the first communication data COM1 to the first control unit 180 or receives the first communication data COM1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80 .

제 1 센싱 처리부(160)는 제 2 입력 신호(IN2)를 공급받는다. 제 2 입력 신호(IN2)는 제 1 센싱부(161)로부터 제 1 단말기(100)가 외부의 정보를 센싱하기 위해 사용하는 센싱 신호이다. 제 1 센싱부(161)는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센서들은 터치 센서, GPS 센서, 압력 센서, 자이로 센서, 지문 센서, 홍체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ensing processing unit 160 receives the second input signal IN2 . The second input signal IN2 is a sensing signal used by the first terminal 100 to sense external information from the first sensing unit 161 . The first sensing unit 161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include a touch sensor, a GPS sensor, a pressure sensor, a gyro sensor, a fingerprint sensor, an iris sensor, and the like.

제 1 센싱 처리부(160)는 제 2 입력 신호(IN2)를 이용하여 제 1 센싱 정보(SEN1)를 생성한다. 제 1 센싱 처리부(160)는 제 1 제어부(180)로 제 1 센싱 정보(SEN1)를 공급하거나, 제 1 제어부(180)로부터 제 1 센싱 정보(SEN1)를 공급받는다.The first sensing processing unit 160 generates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SEN1 by using the second input signal IN2 . The first sensing processing unit 160 supplies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SEN1 to the first control unit 180 or receives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SEN1 from the first control unit 180 .

제 1 전원부(170)는 외부 전원 전압(POW)을 공급받는다. 제 1 전원부(170)는 제 1 전원 전압(V1)을 공급한다. 제 1 전원 전압(V1)은 제 1 단말기(100)를 구동한다. 제 1 전원부(170)는 제 1 전원 전압(V1)을 이용하여 제 1 단말기(100)에 내장된 배터리(171)를 충전할 수 있다.The first power unit 170 receives the external power voltage POW. The first power unit 170 supplies the first power voltage V1. The first power voltage V1 drives the first terminal 100 . The first power unit 170 may charge the battery 171 built in the first terminal 100 by using the first power voltage V1.

제 1 제어부(180)는 제 1 영상 처리부(112)와 제 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1)를 송수신한다. 제 1 제어부(180)는 제 1 음성 처리부(140)와 제 1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1)를 송수신한다. 제 1 제어부(180)는 제 1 통신부(150)와 제 1 통신 데이터(COM1)를 송수신한다. 제 1 제어부(180)는 제 1 센싱 처리부(160)와 제 1 센싱 정보(SEN1)를 송수신한다. 제 1 제어부(180)는 인터페이스부(120)와 제 1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1), 제 1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1), 제 1 통신 데이터(COM1), 및 제 1 센싱 정보(SEN1)를 송수신한다.The first controller 180 transmits/receives first digital video data VDATA1 to and from the first image processor 112 . The first controller 180 transmits/receives the first digital voice data SDATA1 to and from the first voice processing unit 140 . The first control unit 180 transmits/receives first communication data COM1 to and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 The first control unit 180 transmits/receives the first sensing information SEN1 to and from the first sensing processing unit 160 . The first controller 180 transmits/receives first digital video data VDATA1 , first digital voice data SDATA1 , first communication data COM1 , and first sensing information SEN1 with the interface unit 120 . .

제 2 단말기(200)는 제 2 영상 처리부(212), 제 2 음성 처리부(240), 제 2 통신부(250), 제 2 센싱 처리부(260), 제 2 전원부(270), 및 제 2 제어부(280)를 포함한다.The second terminal 200 includes a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212 , a second audio processing unit 240 ,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 a second sensing processing unit 260 , a second power supply unit 270 , and a second control unit ( 280).

제 2 영상 처리부(212)는 제 3 영상 신호(VIDEO3)를 출력한다. 제 3 영상 신호(VIDEO3)는 제 2 표시부(210)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아날로그 데이터 전압이다. 제 2 영상 처리부(212)는 제 2 제어부(280)로부터 제 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2)를 공급받는다. 또는, 제 2 영상 처리부(212)는 내부의 구동 집적 회로(Driver IC)를 이용하여 제 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영상 처리부(212)는 제 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2)에 따른 제 3 영상 신호(VIDEO3)를 생성하여 제 2 표시부(210)로 공급한다.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212 outputs the third image signal VIDEO3 . The third image signal VIDEO3 is an analog data voltage for displaying an image of the second display unit 210 . 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212 receives the second digital video data VDATA2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280 . Alternatively, 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212 may generate the second digital video data VDATA2 using an internal driver IC. 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212 generates a third image signal VIDEO3 according to the second digital video data VDATA2 and supplies it to the second display unit 210 .

제 2 영상 처리부(212)는 제 4 영상 신호(VIDEO4)를 입력받는다. 제 4 영상 신호(VIDEO4)는 제 2 카메라(211)를 통해 입력받은 영상과 대응하는 데이터이다. 제 2 카메라(211)는 제 2 단말기(200)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카메라(211)가 외부 영상을 찍는 경우, 외부 영상은 제 2 표시부(210)에 표시된다. 제 2 영상 처리부(212)는 제 2 표시부(210)에 표시된 영상과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 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2)로 변환한다.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212 receives the fourth image signal VIDEO4. The fourth image signal VIDEO4 is data corresponding to an image input through the second camera 211 . The second camera 211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and/or rear of the second terminal 200 . When the second camera 211 takes an external image, the external image is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10 . 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212 converts data corresponding to the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10 into second digital video data VDATA2 .

제 2 영상 처리부(212)는 제 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2)를 제 2 제어부(280)로 공급하거나, 제 2 제어부(280)로부터 제 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2)를 공급받는다. 제 2 영상 처리부(212)는 제 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2)를 제 2 단말기(200)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212 supplies the second digital video data VDATA2 to the second control unit 280 or receives the second digital video data VDATA2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280 . 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212 may store the second digital video data VDATA2 in an internal memory of the second terminal 200 .

제 2 음성 처리부(240)는 제 2 단말기(200)가 음성을 내거나 녹음하도록 제어한다. 제 2 음성 처리부(240)는 제 2 표시부(210)에서 표시하는 제 2 영상과 대응하는 음성을 내기 위해 제 2 영상 처리부(212)와 동기화(synchronization)하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The second voice processing unit 240 controls the second terminal 200 to make or record a voice. The second audio processing unit 240 may exchange data synchronized with 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212 to produce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mag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10 .

제 2 음성 처리부(240)는 제 2 단말기(200)에 내장되어 음성을 낼 수 있는 제 2 스피커(241)에 제 3 음성 신호(SOUND3)를 공급한다. 제 3 음성 신호(SOUND3)는 제 2 단말기(200)가 내고자 하는 음성과 대응하는 전압 파형이다. 제 2 음성 처리부(240)는 제 2 제어부(280)로부터 제 2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2)를 공급받는다. 또는, 제 2 음성 처리부(240)는 내부의 구동 집적 회로(Driver IC)를 이용하여 제 2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2)를 생성할 수 있다. 제 2 음성 처리부(240)는 제 2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2)에 따른 제 3 음성 신호(SOUND3)를 생성한다. 제 3 음성 신호(SOUND3)가 제 2 스피커(241)로 공급되는 경우, 제 2 스피커(241)는 제 3 음성 신호(SOUND3)를 음성으로 전환하여 출력한다.The second voice processing unit 240 supplies the third voice signal SOUND3 to the second speaker 241 that is built in the second terminal 200 and is capable of producing a voice. The third voice signal SOUND3 is a voltag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voice to be output by the second terminal 200 . The second voice processing unit 240 receives the second digital voice data SDATA2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280 . Alternatively, the second voice processing unit 240 may generate the second digital voice data SDATA2 using an internal driver IC. The second audio processing unit 240 generates a third audio signal SOUND3 according to the second digital audio data SDATA2 . When the third audio signal SOUND3 is supplied to the second speaker 241 , the second speaker 241 converts the third audio signal SOUND3 into audio and outputs it.

제 2 음성 처리부(240)는 제 2 마이크(242)로부터 제 4 음성 신호(SOUND4)를 공급받는다. 제 4 음성 신호(SOUND4)는 제 2 마이크(242)를 통해 입력받은 음성과 대응하는 전압 파형이다. 제 2 마이크(242)는 제 2 단말기(200)의 전면 및/또는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마이크(242)가 외부 음성을 녹음하는 경우, 외부 음성은 제 2 마이크(242)에 입력된다. 제 2 음성 처리부(240)는 제 2 마이크(242)에 입력된 영상과 대응하는 전압 파형을 제 2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2)로 변환한다.The second voice processing unit 240 receives the fourth voice signal SOUND4 from the second microphone 242 . The fourth voice signal SOUND4 is a voltag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voice input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242 . The second microphone 242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and/or rear of the second terminal 200 . When the second microphone 242 records an external voice, the external voice is input to the second microphone 242 . The second audio processing unit 240 converts a voltage waveform corresponding to the image input to the second microphone 242 into second digital audio data SDATA2 .

제 2 음성 처리부(240)는 제 2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2)를 제 2 제어부(280)로 공급하거나, 제 2 제어부(280)로부터 제 2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2)를 공급받는다. 제 2 음성 처리부(240)는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2)를 제 2 단말기(200) 내부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The second voice processing unit 240 supplies the second digital voice data SDATA2 to the second control unit 280 or receives the second digital voice data SDATA2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280 . The second voice processing unit 240 may store the digital voice data SDATA2 in a memory inside the second terminal 200 .

제 2 통신부(250)는 제 2 안테나(251)로부터 제 3 입력 신호(IN3)를 수신한다. 제 3 입력 신호(IN3)는 제 2 단말기(200)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통신 신호이다. 제 3 입력 신호(IN3)는 외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되어, 제 2 단말기(200)에 내장된 제 2 안테나(251)에 수신된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receives the third input signal IN3 from the second antenna 251 . The third input signal IN3 is a communication signal used by the second terminal 200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The third input signal IN3 is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base station and received by the second antenna 251 built in the second terminal 200 .

제 2 통신부(520)는 제 3 입력 신호(IN3)를 이용하여 제 2 통신 데이터(COM2)를 생성한다. 제 2 통신부(250)는 제 2 제어부(280)로 제 2 통신 데이터(COM2)를 공급하거나, 제 2 제어부(280)로부터 제 2 통신 데이터(COM2)를 공급받는다.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520 generates the second communication data COM2 by using the third input signal IN3 .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supplies the second communication data COM2 to the second control unit 280 or receives the second communication data COM2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280 .

제 2 센싱 처리부(260)는 제 4 입력 신호(IN4)를 공급받는다. 제 4 입력 신호(IN4)는 제 2 센싱부(261)로부터 제 2 단말기(200)가 외부의 정보를 센싱하기 위해 사용하는 센싱 신호이다. 제 2 센싱부(261)는 복수의 센서들로 이루어진다. 복수의 센서들은 터치 센서, GPS 센서, 압력 센서, 자이로 센서, 지문 센서, 홍체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ensing processing unit 260 receives the fourth input signal IN4 . The fourth input signal IN4 is a sensing signal used by the second terminal 200 to sense external information from the second sensing unit 261 . The second sensing unit 261 includes a plurality of sensors. The plurality of sensors may include a touch sensor, a GPS sensor, a pressure sensor, a gyro sensor, a fingerprint sensor, an iris sensor, and the like.

제 2 센싱 처리부(260)는 제 4 입력 신호(IN4)를 이용하여 제 2 센싱 정보(SEN2)를 생성한다. 제 2 센싱 처리부(260)는 제 2 제어부(280)로 제 2 센싱 정보(SEN2)를 공급하거나, 제 2 제어부(280)로부터 제 2 센싱 정보(SEN2)를 공급받는다.The second sensing processing unit 260 generates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SEN2 by using the fourth input signal IN4 . The second sensing processing unit 260 supplies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SEN2 to the second control unit 280 or receives the second sensing information SEN2 from the second control unit 280 .

제 2 전원부(270)는 제 1 전원부(170)로부터 제 2 전원 전압(V2)을 공급받는다. 제 2 전원부(270)는 제 2 전원 전압(V2)을 제 2 단말기(200) 내부의 구성 요소들 및 제 2 단말기(200)에 내장된 박막 배터리에 공급한다. 제 2 전원 전압(V2)은 제 2 단말기(100)를 구동한다.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70 receives the second power supply voltage V2 from the first power supply unit 170 . The second power supply unit 270 supplies the second power voltage V2 to the internal components of the second terminal 200 and to the thin film battery built into the second terminal 200 . The second power voltage V2 drives the second terminal 100 .

제 2 제어부(280)는 제 2 영상 처리부(212)와 제 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2)를 송수신한다. 제 2 제어부(280)는 제 2 음성 처리부(240)와 제 2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2)를 송수신한다. 제 2 제어부(280)는 제 2 통신부(250)와 제 2 통신 데이터(COM2)를 송수신한다. 제 2 제어부(280)는 제 2 센싱 처리부(260)와 제 2 센싱 정보(SEN2)를 송수신한다. 제 2 제어부(280)는 인터페이스부(120)와 제 2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VDATA2), 제 2 디지털 음성 데이터(SDATA2), 제 2 통신 데이터(COM2), 및 제 2 센싱 정보(SEN2)를 송수신한다.The second control unit 280 transmits and receives second digital video data VDATA2 to and from the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212 . The second control unit 280 transmits/receives second digital voice data SDATA2 to and from the second voice processing unit 240 . The second control unit 280 transmits and receives second communication data COM2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 The second control unit 280 transmits and receives second sensing information SEN2 to and from the second sensing processing unit 260 . The second control unit 280 transmits and receives second digital video data VDATA2, second digital voice data SDATA2, second communication data COM2, and second sensing information SEN2 with the interface unit 120 . .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는 제 1 및 제 2 단말기(100, 200)에서 각각 제 1 및 제 2 영상 처리부(112, 212), 제 1 및 제 2 음성 처리부(140, 240), 제 1 및 제 2 통신부(150, 250), 제 1 및 제 2 센싱 처리부(160, 260), 제 1 및 제 2 전원부(170, 270)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는 분리된 상태에서도 이동 단말기가 수행하는 기능들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image processing units 112 and 212, first and second audio processing units 140 and 240,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0 and 200, respectively, i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0 and 200, respectively. It includes second communication units 150 and 250 , first and second sensing processing units 160 and 260 , and first and second power supply units 170 and 270 . Accordingly,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can independently perform functions performed by the mobile terminal even in a detached state.

제 1 단말기(100)는 본체 또는 마스터(Master) 기기로 정의된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200) 대비 성능이 강화된 기기이다. 제 1 단말기(100)는 일체형 이동 단말기와 동일하거나 보다 우수한 성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 1 단말기(100)는 연산 및 프로그램들의 제어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를 갖는다. 제 1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을 위한 부품들을 포함하는 제 1 통신부(150)를 갖는다. 제 1 단말기(100)는 대용량의 배터리(171)를 갖는다. 제 1 단말기(100)는 필요에 따라 제 1 표시부(110)의 크기를 제 2 단말기(200)의 제 2 표시부(210)보다 작게 할 수도 있고, 크게 할 수도 있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200)의 박막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무선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제 1 전원부(170)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100 is defined as a main body or a master device. The first terminal 100 is a device with enhanced performance compared to the second terminal 200 . The first terminal 100 is configured to operate with the same or better performance than the integrated mobile terminal. The first terminal 100 has an application processor (AP) that performs operations and control of programs. The first terminal 100 has a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including compon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first terminal 100 has a large-capacity battery 171 . The first terminal 100 may make the size of the first display unit 110 smaller or larger than the size of the second display unit 210 of the second terminal 200 as necessary. The first terminal 100 may have a first power supply unit 170 includ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capable of charging the thin film battery of the second terminal 200 .

제 2 단말기(200)는 슬레이브(Slave) 기기로 정의된다. 제 2 단말기(200)는 저 소비 전력 디스플레이로 구현된 제 2 표시부(210)를 갖는다. 제 2 표시부(210)의 면적은 제 2 단말기(200)의 전면의 면적의 90% 이상 99% 이하이다. 제 2 단말기(200)는 제 1 단말기(100)보다 단순한 연산 및 프로그램들의 제어를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를 갖는다. 제 2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을 위한 부품들을 포함하는 제 2 통신부(250)를 갖는다. 제 2 단말기(200)는 독립적인 구동을 위해 필수적인 구성들을 포함하면서, 제 1 단말기(100) 대비 얇고 가벼워서 휴대성이 뛰어나다. 제 2 단말기(200)는 분리 시 휴대성을 증가시키면서도 독립적으로 구동하기 위하여 충전식 박막 배터리를 내장한다. 제 2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위기 상황에서 보다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대기 상태(Stand-by) 또는 저전력 모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대기 상태(Stand-by) 또는 저전력 모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200 is defined as a slave device. The second terminal 200 has a second display unit 210 implemented as a low power consumption display. The area of the second display unit 21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90% and less than or equal to 99% of the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200 . The second terminal 200 has an application processor (AP) that performs simpler operations and control of programs than the first terminal 100 . The second terminal 200 has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including compon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second terminal 200 is thinner and lighter than the first terminal 100 while including essential components for independent operation, and thus has excellent portability. The second terminal 200 has a built-in rechargeable thin film battery for independent driving while increasing portability when separated. The second terminal 200 has a stand-by or low-power mode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use it for a longer period of time in a crisis situation. Users can optionally select Stand-by or Low Power mode function.

도 3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통신 개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통신 개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concept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mmunication concept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는 전화 또는 정보를 수신하는 등의 외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 2 단말기(200)에 마련된 제 2 통신부(250)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통신 정보를 먼저 수신한다. 통신 정보는 제 2 표시부(210)에 표시될 수 있다. 제 2 단말기(200)는 제 1 단말기(100)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WLC) 방식으로 통신 정보를 송수신한다.When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performs external communication such as receiving a call or informa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50 provided in the second terminal 200 first receives communication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outside. do. Communic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10 . The second terminal 200 transmits and receives communication inform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100 in a wireless communication (WLC) method such as Wi-Fi or Bluetooth.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는 전화 또는 정보를 수신하는 등의 외부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제 1 단말기(100)에 마련된 제 1 통신부(150)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통신 정보를 먼저 수신한다.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200)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의 무선 통신(WLC) 방식으로 통신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 정보는 제 2 표시부(210)에 표시될 수 있다.When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performs external communication such as receiving a call or informa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50 provided in the first terminal 100 first receives communication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outside. do. The first terminal 100 transmits and receives communication inform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200 in a wireless communication (WLC) method such as Wi-Fi or Bluetooth. Communication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display unit 210 .

본 출원에 따른 제 2 단말기(200)는 제 1 단말기(100)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전력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 1 단말기(100)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WLC) 방식으로 통신 정보를 송수신한다.The second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transmits communication information with the first terminal 100 in a wireless communication (WLC) method such as Wi-Fi and Bluetooth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 send and receive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제 2 단말기(200)는 제 1 단말기(100)와 물리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제 2 단말기(200)의 통신 기능은 작동하지 않고, 제 1 단말기(100)의 무선 처리부만 작동하여 다른 장치들과 이동 통신 및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In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physically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100 ,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second terminal 200 does not operate, and the wireless processing unit of the first terminal 100 . It can only operate and transmit and receive mobile communication and data with other devices.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경우, 제 1 단말기(100)가 제 2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만 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장치들과 유/무선 통신 및 데이터 송/수신은 제 2 단말기(200)에서만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 2 단말기(200)에는 반드시 제 2 표시부(210)가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제 2 표시부(210)는 LCD, OLED, E-ink, 마이크로 LED 등 어떠한 형태로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the first terminal 100 may be set to perform onl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terminal 200 . In this cas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with external devices and data transmission/reception may be set to be performed only in the second terminal 200 . The second terminal 200 must be provided with the second display unit 210 . The second display unit 210 may be implemented in any form, such as LCD, OLED, E-ink, or micro LED.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는 다양한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장치에 부착하여 해당 장치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입출력 단말기 역할도 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장치는 제 2 단말기(200)를 부착 또는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사물인터넷 장치와의 데이터 통신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등의 무선 통신 방식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물인터넷 장치와의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유선으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also serve as an input/output terminal capable of checking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device by being attached to various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The IoT device should be configured to attach or connect the second terminal 200 . Data communication with the IoT device may be performed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i-Fi or Bluetooth.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data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by wire through a physical connection with the IoT device.

또한, 본 출원에 따른 제 2 단말기(200)에 마련된 제 2 표시부(210) 및 내장된 구성 요소들에 사용되는 부품들의 크기를 용도에 따라 제한하여 제 2 단말기(200)의 기기의 크기를 규격화, 플랫폼(Platform)화할 수 있다. 다양한 형태 및 크기를 갖는 분리형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해, 제 1 단말기(100)를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기능을 갖는 분리형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해, 제 1 단말기(100)에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여 차별화를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device of the second terminal 200 is standardized by limiting the size of the parts used for the second display unit 210 and the built-in components provided in the second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urpose. , can be made into a platform. In order to implement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having various shapes and sizes, the first terminal 100 may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nd sizes. In addition, in order to implement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having various functions,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by adding various functions to the first terminal 100 .

도 5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결합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6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의 다른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제 1 단말기(100)는 제 2 단말기(200)를 착탈하기 위한 자석형 착탈부(132)를 더 포함한다.The first terminal 100 of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further includes a magnetic detachable unit 132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econd terminal 200 .

자석형 착탈부(132)는 제 1 단말기(100)에서 제 2 단말기(200)가 삽입 또는 결합되는 전면 영역 상에 배치된다. 자석형 착탈부(132)는 제 1 단말기(100)의 일 측에 인접하게 배치된다.The magnetic detachable unit 132 is disposed on the front area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200 is inserted or coupled in the first terminal 100 . The magnetic detachable part 132 is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first terminal 100 .

자석형 착탈부(132)는 자성체를 부착시킬 수 있는 자석을 포함한다. 자석은 제 2 단말기의 테두리에 포함된 금속 표면과 끌어당기는 힘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 이와 동시에, 자석형 착탈부(132)에 포함된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제 1 및 제 2 단말기(100, 200)의 내부 회로 구동에 영향을 끼치지 않아야 한다.The magnet type detachable part 132 includes a magnet to which a magnetic material can be attached. The magnet should be able to have a pulling force with the metal surface included in the edge of the second terminal. At the same time, the driving of the internal circuit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0 and 200 by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included in the magnetic detachable unit 132 should not be affected.

자석형 착탈부(132)와 제 2 단말기(200)는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자석형 착탈부(132)가 힌지 결합을 통해 제 2 단말기(200)를 결합시키는 경우, 제 2 단말기(200)의 일 측은 제 1 단말기(100)의 일 측과 회전하면서 결합한다. 도 6에서는 제 2 단말기(200)의 일 측과 제 1 단말기(100)의 일 측이 나란히 결합하면서 제 1 및 제 2 단말기(100, 200)의 전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The magnetic detachable part 132 and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hinge-coupled. When the magnetic detachable unit 132 couples the second terminal 200 through a hinge coupling, one side of the second terminal 200 is coupled while rotating with one side of the first terminal 100 .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one side of the second terminal 200 and one side of the first terminal 100 are coupled side by side while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100 and 200 face the same direction.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단말기(200)의 일 측과 제 1 단말기(100)의 일 측이 나란히 결합하면서 제 2 단말기(200)가 제 1 단말기(100) 상에 중첩되도록 접힌 상태로 될 수도 있다. 프라이버시를 위해 접힌 상태에서 제 2 단말기(200)의 제 2 표시부(21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고, 편의성을 위해 접힌 상태에서 제 2 단말기(200)의 제 2 표시부(210)가 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의 경우에는 제 2 단말기(100)를 접는 경우 접힌 상태에서 제 2 단말기(200)의 제 2 표시부(210)가 노출되지 않는 경우를 도시하였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ne side of the second terminal 200 and one side of the first terminal 100 are combined side by side, and the second terminal 200 will be in a folded state to overlap on the first terminal 100 . may be The second display unit 210 of the second terminal 200 may not be exposed in the folded state for privacy, and the second display unit 210 of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exposed in the folded state for convenience. may be 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the second display unit 210 of the second terminal 200 is not exposed in the folded state when the second terminal 100 is folded.

도 7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의 결합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8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본 출원의 또 다른 예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는 제 2 단말기를 착탈하기 위한 슬라이드형 착탈부(133)를 더 포함한다.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of the present application further includes a slide-type detachable unit 133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econd terminal.

슬라이드형 착탈부(133)는 제 1 단말기(100)에서 제 2 단말기(200)가 삽입 또는 결합되는 전면 영역 상에 배치된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슬라이드형 착탈부(133)가 제 1 단말기(100)의 전면 영역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2개 배치된 경우를 도시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드형 착탈부(133)는 제 1 단말기(100)의 전면 영역 상에 제 2 단말기가 미끄러지면서 들어갈 수 있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The slide-type detachable unit 133 is disposed on the front area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200 is inserted or coupl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 7 and 8 illustrate a case in which two slide-type detachable parts 133 are symme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front area of the first terminal 10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t least one slide-type detachable unit 133 may be formed on the front area of the first terminal 10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slides into it.

제 2 단말기(200)의 배면에는 슬라이드형 착탈부(133)와 대응하는 형상의 슬라이더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드형 착탈부(133)가 홈인 경우, 슬라이더부는 돌출형의 돌기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슬라이드형 착탈부(133)가 레일인 경우, 슬라이더부는 바퀴 또는 구형의 돌출부일 수 있다. 슬라이드형 착탈부(133)에 의해 제 2 단말기(200)는 제 2 표시부(210)를 전면에 노출시킨 상태로 제 1 단말기(100)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A slide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lide-type detachable part 133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200 . For example, when the slide-type detachable part 133 is a groove, the slider part may be a protrusion-type protrusio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slide-type detachable part 133 is a rail, the slider part may be a wheel or a spherical protrusion. The second terminal 200 may be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first terminal 100 with the second display unit 210 exposed to the front by the slide-type detachable unit 133 .

제 1 단말기(100)와 제 2 단말기(200)를 물리적으로 결합하는 방법은 삽입, 자석 Hinge 결합, 슬라이드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As a method of physically coupling the first terminal 100 and the second terminal 200 , various methods other than insertion, magnetic hinge coupling, and slide may be applied.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는 분리된 상태와 결합된 상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커넥티드 장치(Connected Device)이다.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는 제 2 단말기(200)를 별도의 휴대용 통신 장치로 사용하면서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및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 따른 분리형 이동 단말기는 개별적인 기기의 플랫폼화를 통해 사용되는 영역을 확대하고, 사용자의 기능, 크기, 부가 기능에 관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A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is a connected device that can freely select a detached state and a combined state.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may provide various user interfaces (UI) and user experiences (UX) utilizing a display while using the second terminal 200 as a separat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In addition,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application can expand the area used through platformization of individual devices, and satisfy various needs of users regarding functions, sizes, and additional functions.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above description will be able to se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제 1 단말기 110: 제 1 표시부
111: 제 1 카메라 112: 제 1 영상 처리부
120: 인터페이스부 131: 삽입형 착탈부
132: 자석형 착탈부 133: 슬라이드형 착탈부
140: 제 1 음성 처리부 141: 제 1 스피커
142: 제 1 마이크 150: 제 1 통신부
151: 제 1 안테나 160: 제 1 센싱 처리부
161: 제 1 센서 170: 제 1 전원부
171: 배터리 180: 제 1 제어부
200: 제 2 단말기 210: 제 2 표시부
211: 제 2 카메라 212: 제 2 영상 처리부
240: 제 2 음성 처리부 241: 제 2 스피커
242: 제 2 마이크 250: 제 2 통신부
251: 제 2 안테나 260: 제 2 센싱 처리부
261: 제 2 센싱부 270: 제 2 전원부
280: 제 2 제어부
100: first terminal 110: first display unit
111: first camera 112: first image processing unit
120: interface unit 131: insertable detachable part
132: magnetic detachable portion 133: slide-type detachable portion
140: first voice processing unit 141: first speaker
142: first microphone 150: first communication unit
151: first antenna 160: first sensing processing unit
161: first sensor 170: first power supply unit
171: battery 180: first control unit
200: second terminal 210: second display unit
211: second camera 212: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240: second voice processing unit 241: second speaker
242: second microphone 250: second communication unit
251: second antenna 260: second sensing processing unit
261: second sensing unit 270: second power unit
280: second control unit

Claims (10)

제 1 영상을 표시하는 제 1 표시부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제 1 단말기; 및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제 1 단말기와 상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 2 단말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단말기는 상기 제 1 영상과 별도로 표시되는 제 2 영상을 표시하는 제 2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말기의 부피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부피보다 작고,
상기 제 2 단말기의 무게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무게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단말기는, 상기 제 1 표시부가 배치되는 제 1 전면 영역과, 상기 제 1 전면 영역보다 두께가 얇은 영역이며 상기 제 2 단말기가 삽입 및 결합되는 제 2 전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제 1 단말기에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제 1 표시부가 전면 방향으로 상기 제 1 영상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표시부가 상기 전면 방향으로 상기 제 2 영상을 표시하는, 분리형 이동 단말기.
a first terminal including a fir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first image and an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nd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hrough the interface unit to transmit/receive the data to and from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includes a second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econd image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first image,
The volume of the second terminal is smaller than the volume of the first terminal,
The weight of the second terminal is smaller than the weight of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terminal includes a first front area in which the first display unit is disposed, and a second front area thinner than the first front area and into which the second terminal is inserted and coupled,
When the second terminal is in a state coupled to the first terminal, the first display unit displays the first image in a front direction, and the second display unit displays the second image in the front direction.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제 1 단말기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제 2 단말기의 일 측에 접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 분리형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interface un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the interface unit is disposed at a position that can be contacted with one side of the second terminal,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는 상기 제 2 단말기를 착탈하기 위한 삽입형 착탈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erminal further comprises an insertable detachable unit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econd terminal,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는,
상기 제 1 표시부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 1 영상 신호를 출력하거나, 제 1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영상을 제 2 영상 신호로 입력받는 제 1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제 1 단말기가 음성을 내거나 녹음하도록 제어하는 제 1 음성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erminal,
a first image processing unit that outputs a first image signal for displaying an image of the first display unit or receives an image received through a first camera as a second image signal; and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first voice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first terminal to make or record a voic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는,
제 1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 1 단말기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 1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1 통신부;
제 1 센싱부로부터 상기 제 1 단말기가 외부의 정보를 센싱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 2 입력 신호를 공급받는 제 1 센싱 처리부; 및
상기 제 2 단말기가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제 2 단말기의 배터리를 무선 충전하는 무선 충전 장치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이동 단말기.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st terminal,
a first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first input signal used by the first terminal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from a first antenna;
a first sensing processing unit receiving a second input signal used by the first terminal to sense external information from the first sensing unit; and
When the second terminal is in a coupled state,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wirelessly charging the battery of the second termina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기는,
상기 제 2 표시부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제 3 영상 신호를 출력하거나, 제 2 카메라를 통해 입력받은 영상을 제 4 영상 신호로 입력받는 제 2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제 2 단말기가 음성을 내거나 녹음하도록 제어하는 제 2 음성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이동 단말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terminal,
a second image processing unit that outputs a third image signal for displaying an image of the second display unit or receives an image received through a second camera as a fourth image signal; and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second voice processing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to make or record a voic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말기는,
제 2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 3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제 2 통신부;
제 2 센싱부로부터 상기 제 2 단말기가 외부의 정보를 센싱하기 위해 사용하는 제 4 입력 신호를 공급받는 제 2 센싱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이동 단말기.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terminal,
a second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third input signal used by the second terminal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from a second antenna;
The detachable mobile terminal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nsing processing unit receiving a fourth input signal used by the second terminal to sense external information from the second sens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는 상기 제 2 단말기를 착탈하기 위한 자석형 착탈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magnetic detachable unit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econd terminal,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형 착탈부와 상기 제 2 단말기는 힌지 결합된, 분리형 이동 단말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magnetic detachable unit and the second terminal are hinge-coupled,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기는 상기 제 2 단말기를 착탈하기 위한 슬라이드형 착탈부를 더 포함하는, 분리형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erminal further comprises a slide-type detachable unit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second terminal, a detachable mobile terminal.
KR1020170119373A 2017-09-18 2017-09-18 Separable mobile terminal equipment KR10237018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373A KR102370182B1 (en) 2017-09-18 2017-09-18 Separable mobile terminal equip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373A KR102370182B1 (en) 2017-09-18 2017-09-18 Separable mobile terminal equip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665A KR20190031665A (en) 2019-03-27
KR102370182B1 true KR102370182B1 (en) 2022-03-03

Family

ID=65906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373A KR102370182B1 (en) 2017-09-18 2017-09-18 Separable mobile terminal equip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0182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772B1 (en) * 2005-09-08 2012-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Separable mobile terminal equipment
KR101999733B1 (en) * 2012-10-16 2019-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to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665A (en)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6783B2 (en) Interactive wearable and portable smart devices
EP3029550B1 (en) Virtual reality system
US9952652B2 (en) Virtual reality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modes of virtual reality system
CN105373222B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2998823B1 (en) Mobile terminal
US9301085B2 (en) Computer headset with detachable 4G radio
US10535320B2 (en) Head-mounted display apparatus
US9835867B2 (en) Head-mounted display
JP2019506765A (en) Wireless accessory bus for electronic devices
CN103546181A (en) Wearable wireless intelligent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and free combination functions
CN116996087A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ealing member
US9360889B2 (en) Routing signals via hinge assemblies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KR102221468B1 (en) Glass type terminal
US20240219753A1 (en) Eyewear tether
US10419648B2 (en) Magnetic camera coupling system
CN110865461A (en) Intelligent glasses capable of achieving internal visual display
CN110349527B (en) Virtual reality display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2370182B1 (en) Separable mobile terminal equipment
US201803385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Wearable Display
CN212784840U (en) Placement box, wearable equipment and wearable equipment assembly
CN201039382Y (en) Solid video multimedia mobile phone
CN116055598B (en) Electronic equipment
KR101766455B1 (en) the earjack of the mobile terminal
JP3195238U (en) Flexible video input / output device
JP2016086218A (en) Flexible video input/outpu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