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477B1 - Hand wearable electric auxiliary gripper - Google Patents

Hand wearable electric auxiliary grip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477B1
KR102369477B1 KR1020200029730A KR20200029730A KR102369477B1 KR 102369477 B1 KR102369477 B1 KR 102369477B1 KR 1020200029730 A KR1020200029730 A KR 1020200029730A KR 20200029730 A KR20200029730 A KR 20200029730A KR 102369477 B1 KR102369477 B1 KR 102369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guide rail
worn
gripper device
to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7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14254A (en
Inventor
송원경
김홍규
권순철
안광옥
이소정
송준용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029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477B1/en
Publication of KR2021011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42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4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4/00Methods or devices enabl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perate an apparatus or a device not forming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3Discriminating type of movement, e.g. walking or ru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4Determining motor sk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Dentis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는 사용자의 손을 수용하는 오목부(S)를 구비하고, 외측에는 가이드레일(120)을 구비하는 바디(100);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물건을 잡을 수 있는 그리퍼장치(200);를 포함하는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에 대한 것이며, 상기 그리퍼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몸체부(210);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15);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물건을 잡는 회동동작을 수행하는 두 개의 포크(220,230);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회전판(250); 및 상기 회전판과 상기 포크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판의 회전 동작을 상기 포크에 전달하는 연결부재(255a,225b);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S) for accommodating the user's hand on the inside, the body 100 having a guide rail 120 on the outside; and a gripper device 200 that is coupled to the body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and capable of holding an object. The body portion 210 is coupled; a coupling protrusion 215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and coupled to the guide rail; two forks 220 and 230 positioned in front of the body to perform a rotational operation to grab an object; a rotating plate 250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connecting members (255a, 225b) for connecting the rotating plate and the fork to transmit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ting plate to the fork.

Description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HAND WEARABLE ELECTRIC AUXILIARY GRIPPER}Electric gripper for grip assist that can be worn in the hand {HAND WEARABLE ELECTRIC AUXILIARY GRIPPER}

본 발명은 상지 움직임 측정이 가능하고 또한 상지 재활 훈련이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손기능이 저하된 사람에게 잡기 기능을 보조해 주기 위한 장치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forceps for assisting grabbing capable of measuring upper extremity movement and capable of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training, and more specifically, to a device for assisting a holding function in a person whose hand function is impaired due to various causes.

최근 고령화 노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뇌졸중 환자가 증가하고, 교통사고로 척수 손상 환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뇌성마비 등과 같은 뇌병변을 입거나, 척수 손상에 의한 신경계 손상을 입는 등 다양한 질병으로 인하여 손의 능동적 움직임이 결여된 환자가 증대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손가락이나 상지 재활 또는 손가락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장치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Recently, as we enter an aging society, the number of stroke patients is increasing, the number of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ies due to traffic accidents i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patients suffering from brain lesions such as stroke, traumatic brain injury, cerebral palsy, etc. The number of patients who lack active hand movement due to disease is increasing, and in response to this, development of a device for assisting finger or upper extremity rehabilitation or finger movement is being developed.

하나의 예로서 상지의 움직임을 고려하고 손가락 잡기 동작이 가능한 장치에 대한 기술이 있다. 즉, 그리퍼장치를 손에 결착하고 이 장치를 이용하여 잡기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As an example, there is a description of a device that considers the movement of the upper limb and is capable of holding a finger. That is, the gripper device is attached to the hand and a gripping operation is performed using the device.

이러한 기술에 대한 종래 특허로는 미국 등록특허 제8,388,694호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을 보면, 그리퍼장치를 손에 결착되어 고정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의 몸을 기준으로 한 방향에 있는 물체만 잡을 수 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은 불편함을 야기한다. 몸의 내외측에 있는 물건만 잡을 수 있도록 고정된 그리퍼장치가 몸의 아래 방향에 있는 물체를 잡고자 하는 상황을 가정해 보면, 1) 전완을 회내 또는 회외 시켜 그리퍼 장치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2) 전완을 움직일 수 없는 경우 아래 방향의 물체를 잡기 위해 어깨나 주관절을 과도하게 크게 움직여 잡으려고 시도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동작은 몸통의 안정성이 흔들려서 잡기를 실패하는 문제가 있고, 3) 전완을 움직일 수 없고 몸통의 안정성이 매우 떨어져서 어깨나 주관절의 움직임도 크게 하지 못할 경우 잡기를 시도 조차하지 못하고 실패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As a prior patent for this technology, there is US Patent No. 8,388,694. However, in the prior art, when the gripper device is attached to the hand and fixed, only an object in a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ser's body can be grasped, which causes the following inconvenience. Assuming a situation in which the fixed gripper device wants to grab an object on the lower side of the body so that it can hold only objects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1) change the direction of the gripper device by pronation or supination of the forearm 2) If the forearm cannot be moved, an attempt should be made to move the shoulder or elbow joint excessively large to grab an object in the downward direction, but this movement has a problem in that the stability of the trunk is shaken and the grasping fails, 3) the forearm cannot move and the torso If the stability of the shoulder or elbow joint is not great because of the very poor stability, there is a problem that it fails to even try to catch it.

또한, 종래 기술은 휠체어에 그리퍼장치(gripping aid)를 구동시키기 위한 배터리일체를 달아서 유선으로 사용 하므로 침대 등 휠체어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에서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rior art uses a wired battery by attaching a battery for driving a gripper device to a wheelchair, inconvenience may occur in an environment that does not use a wheelchair, such as a bed.

그리고, 손이나 팔 또는 그리퍼장치(gripping aid)에 잡고자 하는 물체가 가려질 경우, 물체가 그리퍼안에 제대로 들어왔는지 정확하게 알기 어려워 물체를 정확한 타이밍에 안정적으로 잡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 object to be grasped is covered by a hand, arm, or a gripper device,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has entered the gripper properly, and a situation in which the object cannot be stably gripped at the correct timing may occur.

본 발명은, 어깨 움직임 및 주관절 기능은 완전하나 손기능이 저하된 사람에게 잡기 동작을 보조해 주는 전동집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clamping device that assists a grasping operation for a person with complete shoulder movement and elbow joint function but with reduced hand function.

또한, 본 발명은 전동집게 자체에 손의 움직임패턴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내장하여 개인 특이적인 움직임 패턴의 추이를 관찰하고, 실시간 측정데이터에 기반한 운동프로그램을 실시 및 측정을 가능하게 하여 임상적으로 유익함을 주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sensor capable of measuring a hand movement pattern in the electric forceps itself to observe the trend of an individual-specific movement pattern, and to implement and measure an exercise program based on real-time measurement data to enable clinical Its purpose is to provide technology that is beneficial to

본 발명은, 내측에는 사용자의 손을 수용하는 오목부(S)를 구비하고, 외측에는 가이드레일(120)을 구비하는 바디(100);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물건을 잡을 수 있는 그리퍼장치(200);를 포함하는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S) for accommodating the user's hand on the inside, the body 100 having a guide rail 120 on the outside; and a gripper device 200 coupled to the body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and capable of holding an object.

상기 그리퍼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몸체부(210);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15);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결합돌기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된다.The gripper device includes: a body 210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a coupling protrusion 215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and coupled to the guide rail, wherein the body coupling protrusion is movably attached to the guide rail in a state coupled to the guide rail.

상기 그리퍼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물건을 잡는 회동동작을 수행하는 두 개의 포크(220,230);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회전판(250); 및 상기 회전판과 상기 포크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판의 회전 동작을 상기 포크에 전달하는 연결부재(255a,225b);를 포함한다.The gripper device includes: two forks 220 and 230 positioned in front of the body to perform a rotational operation to grab an object; a rotating plate 250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connecting members (255a, 225b) for connecting the rotating plate and the fork to transmit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ting plate to the fork.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두 개의 포크 사이에 존재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IR센서(270); 상기 IR센서가 포크 사이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바디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 상기 바디가 흔들리는 패턴을 감지하기 위해, 바디 내부에 구비되 IMU센서(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servo motor provided in the body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an IR sensor 270 positioned in front of the body to detect an object existing between the two forks; a vibrating unit for applying vibration to the body when the IR sensor detects an object between the forks; 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n IMU sensor 140 provided inside the body to detect the shaking pattern.

상기 IMU센서가 상기 바디의 흔들림 패턴 중 미리 정해진 소정의 흔들림 패턴을 감지하면, 상기 그리퍼장치가 물건을 잡은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When the IMU sensor detects a predetermined shaking pattern among the shaking patterns of the body, the gripper device may release the gripping state.

상기 그리퍼장치가 물건을 잡은 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열림 스위치(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grippe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opening switch 150 to release the gripping state.

또한 IMU센서는 통상적으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를 구비하므로 사용자의 상지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어, 그리퍼장치의 활용도를 모니터링 또는 사용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용자의 상지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동집게 사용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저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IMU sensor typically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user's upper extremity, so that the utilization of the gripper device can be monitored or the degree of use can be evaluated. To this end, it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means for accumulating data on the use of the electric forceps by sensing the movement of the user's upper extremities.

추가적인 기능으로 IMU센서를 이용하여 상지 움직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지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즉, 그리퍼장치 내에 진동자 또는 소형 스피커를 이용하여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진동 또는 소리를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이 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간단한 상지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As an additional func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user's upper extremity movement by using the IMU sensor. That is, vibration or sound may be generated using a vibrator or a small speaker in the gripper device. When a desired motion is achieved using vibration or sound, a feedback can be given to the user. Through this, a simple upper extremity movement may be possible.

상기 가이드레일의 끝단에는 가이드레일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스프링(S); 및 상기 두 개의 스프링의 단부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는 스토퍼(125);를 더 포함하여, 상기 그리퍼장치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이동하는 중에 특정 위치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At the end of the guide rail, two springs (S)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uide rail; and stoppers 125 positioned at the ends of the two springs to face each other.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서, 손기능이 저하된 상태에서도 상기 전동집게를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물건을 잡기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being able to smoothly perform the grabbing operation while wearing the electric tongs on the hand occurs even in a state in which the hand function is reduced by the above configuration.

또한, 본 발명은 전동집게 자체에 손의 움직임패턴을 측정 할 수 있는 센서를 내장하여 개인 특이적인 움직임 패턴의 추이를 관찰하고, 실시간 측정데이터에 기반한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할 수도 있고 등 임상적으로 유익한 데이터를 축적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uilt-in sensor capable of measuring the hand movement pattern in the electric forceps itself to observe the trend of individual-specific movement patterns, and to implement an exercise program based on real-time measurement data, which is clinically beneficial. An advantageous effect of accumulating data aris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의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의 일부 구성의 모습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의 가이드레일의 단부 모습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중 그리퍼장치의 상세 모습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에서 그리퍼장치가 수평방향을 향하는 모습과 아래쪽 방향을 향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에서 그리퍼장치 해제를 위해 사용자가 특정 패턴의 흔들기 동작을 가하는 예시적인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에서 그리퍼장치 해제를 위해 사용자가 열림스위치를 눌러서 해제하는 예시적인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0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전완 중립자세를 도시하고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tongs for assisting grabb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view of a partial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tongs for assisting grabb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d view of the guide rail of the electric tongs for assisting grabbing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etailed view of the gripper device among the electric tongs for assisting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 state in which the gripper device faces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state in a downward direction in the electric tongs for assisting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o 8 show an exemplary state in which the user applies a shaking motion of a specific pattern in order to release the gripper device in the electric tongs for assisting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shows an exemplary state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open switch to release the gripper device in the electric tongs for assisting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shows a neutral forearm posture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며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terms used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의 사시도이며,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의 일부 구성의 모습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의 가이드레일의 단부 모습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중 그리퍼장치의 상세 모습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에서 그리퍼장치가 수평방향을 향하는 모습과 아래쪽 방향을 향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에서 그리퍼장치 해제를 위해 사용자가 특정 패턴의 흔들기 동작을 가하는 예시적인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에서 그리퍼장치 해제를 위해 사용자가 열림스위치를 눌러서 해제하는 예시적인 모습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전완 중립자세를 도시하고 있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lectric tongs for assisting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view of some configuration of the electric tongs for assisting grabb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guide of the electric tongs for assisting grabb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nd view of the rail, and FIG. 4 is a detailed view of the gripper device among the electric tongs for catching assist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to 8 show an exemplary state in which the user applies a shaking motion of a specific pattern in order to release the gripper device in the gripper device in the electric tongs for assisting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n exemplary view in which the user presses the open switch to release the gripper device in the electric tongs for assisting hold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FIG. 10 shows a neutral forearm posture for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설명 편의상 간단히, '전동집게'라고도 함)는, 크게 보아 손이 끼워져서 손바닥에 체결되는 부위인 바디(100)와 상기 바디에 결합되어 물건을 파지하는 그리퍼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100)는 내측에 사용자의 손을 수용하는 오목부(S)를 구비하고 있어서 사용자의 손바닥부위가 끼워져서 결합되며, 상기 오목부에 위치하는 손바닥을 감싸면서 사용자의 손을 바디에 결착시키는 벨크로(180)가 구비된다.1 to 4, the electric tongs for assisting ho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mply referred to as 'electric to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re, in large view, a body 100, which is a part where a hand is inserted and fastened to the palm, and the above It consists of a gripper device 200 coupled to the body to grip the object. The body 100 is provided with a concave portion (S) for accommodating the user's hand on the inside, so that the user's palm is fitted and coupled, and the user's hand is bound to the body while wrapping the palm located in the concave portion. A Velcro 180 is provided.

상기 바디(100)의 외측에는 가이드레일(120)이 일정 폭을 가지고 소정의 길이만큼 형성되어 있어서, 그리퍼장치(200)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된다. 상기 그리퍼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특정 위치에 정지할 수 있는 것이 좋고,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레일 양단에서 위치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A guide rail 120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body 100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gripper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body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Preferably, the gripper device can be stopped at a specific position while moving along the guide r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that can be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guide rail.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그리퍼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15)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결합돌기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결합돌기는 가이드레일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의 폭이 좁은 형상이며 양단에서 폭이 증가하는 형상이다.2A and 2B, the gripper device includes a body part 210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a coupling protrusion 215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coupled to the guide rail.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body portion is movably attached to the guide rail in a state where it is coupled. The coupling protrusion has a narrow shape in the middle to prevent separation while being mounted on the guide rail,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width increases at both ends.

도 3을 보면, 상기 가이드레일의 끝단에는 가이드레일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스프링(S)과 상기 두 개의 스프링의 단부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는 스토퍼(125)가 배치된다. 상기 그리퍼장치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이동하는 중에 그리퍼장치의 몸체부 후면의 결합돌기(215)가 상기 마주보는 두개의 스트퍼(125) 사이를 통과하게 되면, 스프링(S)의 탄성력으로 상기 스토퍼(125)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기 때문에 상기 결합돌기(215)는 몸체부 이동을 위한 충분한 크기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스토퍼(125) 지점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 그리퍼장치의 원하지 않는 이동이 방지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3 , two springs S position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uide rail and a stopper 125 positioned at the ends of the two springs facing each other are disposed at the end of the guide rail. When the engaging protrusion 215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of the gripper device passes between the two opposing stoppers 125 while the gripper device moves the guide rail,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S causes the stopper (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125) is narrowed, the coupling protrusion 215 cannot pass through the stopper 125 unless an external force of sufficient magnitude for moving the body is applied. it will be prevented

도 4를 보면, 상기 그리퍼장치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물건을 잡는 회동동작을 수행하는 두 개의 포크(220,230)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회전판(250)과 상기 회전판과 상기 포크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판의 회전 동작을 상기 포크에 전달하는 연결부재(255a,225b)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 내부에는 서보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그리퍼장치의 잡기 동작이 필요한 상황에서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판이 회전하면 상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포크에 회동력이 가해지고 두 개의 포크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포크 사이에 존재하는 물체를 잡게 된다.Referring to FIG. 4 , the gripper device includes two forks 220 and 230 that are positioned in front of the body to perform a rotating operation to grab an object, a rotating plate 250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connecting the rotating plate and the fork. and connecting members 255a and 225b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ting plate to the fork. A servo motor (not shown) is provided inside the body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in a situation where a gripping operation of the gripper device is required. When the rotating plate rotates,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fork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two forks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catch an object existing between the forks.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는 IR센서(270)가 구비되어 상기 두 개의 포크 사이에 물체가 들어온 경우 이 물체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사용자의 손이 이동하여 그리퍼장치가 물제 가까이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IR센서가 포크 사이에서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회전판의 회전 및 상기 포크의 회동동작에 의해 포크는 물체를 잡게 된다. 즉, 사용자는 그리퍼장치를 이동하여 포크 사이에 물체를 위치하도록 하기만 하면 물체를 잡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an IR sensor 270 is provided at the front of the body to detect the presence of an object when an object enters between the two forks. That is, when the IR sensor detects an object between the forks while the user's hand moves and the gripper device approaches the object, the fork grabs the object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plate and the rotation of the fork. That is, the user grabs the object by simply moving the gripper device to position the object between the forks.

그리고, 상기 바디 내부에는 진동소자와 같은 진동부를 더 구비하여, 그리퍼장치가 물제 가까이 접근한 상태에서 상기 IR센서가 포크 사이에서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바디에 진동을 가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body may further include a vibrating unit such as a vibrating element, so that when the IR sensor detects an object between the forks while the gripper device approaches the object, it applies vibration to the body to notify the user. .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를 착용했을 때 그리퍼장치의 방향을 다양하게 배치하여 물건을 잡을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건이 아래쪽(발쪽)을 향하고 있을때는 그리퍼장치의 포크를 아래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물건을 잡을 수 있고(도 5의 왼쪽 그림), 좌우측에 있는 물건을 잡기 원한다면 사용자의 잔존기능인 어깨와 주관절 동작을 이용해서 손등이나 손날로 그리퍼장치를 위로 밀어 고정하여 좌 우측의 물건을 잡을 수 있다(도 5의 오른쪽 그림).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wears the gripping aid electric tongs, the gripper device can be arranged in various directions to catch the object. As shown in Fig. 5, when the object is facing downward (toward the foot), the fork of the gripper device can be directed downward to grab the object (the left picture of Fig. 5), and if the user wants to grab the object on the left and right Using the remaining function of the shoulder and elbow joint motion, the gripper device can be fixed by pushing the gripper device upward with the back of the hand or the blade of the hand to hold the object on the left and right (right figure of FIG. 5).

이렇게 물건을 잡은 상태에서 특정 위치로 물건을 이동시킨 후에 파지상태를 해제하여 물건을 내려놓아야 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방법이 가능하다. In the case where the object needs to be put down by releasing the holding state after moving the object to a specific location in the state of holding the object, various methods are possible.

즉, 상기 바디(100) 내부 특정 위치에 IMU센서(Inertial Measurement Unit, 1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IMU센서는 사용자에 의해 바디가 흔들리는 패턴을 감지하도록 하고, 특정한 패턴의 흔들림이 감지되면 상기 포크가 벌어져서 물건을 내려놓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8을 보면, 이렇게 파지 해제 동작을 위한 패턴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바디를 위아래로 흔드는 동작, 도 7은 바디를 내외측으로 흔드는 동작, 도 8은 바디를 하트 모양으로 돌리는 동작 등을 각각 보여주고 있으며, IMU센서가 미리 정해진 이들 동작을 감지하면 포크 파지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이것은 다른 한 손을 사용하지 않고 그리퍼장치에 결합된 물건을 놓을 수 있기 때문에, 양손사용이 어렵거나, 양손을 사용시 체간의 안정성이 떨어져 체중심을 잃을 위험성이 있는 사용자에게 이로운 방식이다.That is,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140 may be provided at a specific position inside the body 100 . The IMU sensor detects a pattern in which the body shakes by the user, and when a shake in a specific pattern is detected, the fork is opened and the object is put down. 6 to 8 , various types of patterns for a grip release operation are exemplarily shown. Fig. 6 shows the motion of shaking the body up and down, Fig. 7 shows the motion of shaking the body in and out, and Fig. 8 shows the motion of turning the body into a heart shape. will release This is an advantageous method for users who have difficulty in using both hands or have a risk of losing their center of gravity due to poor stability of the trunk when using both hands, since it is possible to place an object coupled to the gripper device without using the other hand.

팔을 흔드는 동작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잡은 물체를 놓을 수 있도록 바디에 포크 열림동작용 열림 스위치(150)를 달아 둘 수도 있다. 이 경우 반대쪽 손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할 때 열림 스위치를 눌러 물체를 놓을 수 있다. When the motion of waving the arm is not smooth, the fork opening action opening switch 150 may be attached to the body so that the user can release the grabbed object at a desired time. In this case, using the opposite hand, etc., the user can release the object by pressing the open switch when desired.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보면 아래와 같다.The operation process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사용자가 잔존기능인 어깨와 주관절 동작을 이용하여 잡고자 하는 물체 가까이에 그리퍼장치를 이동시키면 앞단에 설치한 근거리 감지 적외선 센서가 물체를 인식하고 바디로 진동감각을 주어 물체가 그리퍼장치에 잘 들어 왔음을 사용자에게 촉감각(진동알림)자극을 줌과 동시에 물체를 자동으로 잡는다.When the user moves the gripper device close to the object to be grasped using the shoulder and elbow joint motion, which is the remaining function, the short-range infrared sensor installed at the front recognizes the object and gives a sense of vibration to the body to indicate that the object has entered the gripper device well. It automatically grabs an object while giving the user a tactile sense (vibration alert) stimulus.

물건을 잡은 후, 상/하 방향, 내외측 방향 등 특정 방향 또는 특정 패턴으로 흔들면 전동집게에 내장된 IMU 센서가 이를 인식하여 잡은 물건을 놓는다. 다른 한 손을 사용하지 않고 그리퍼장치가 잡은 물건을 놓을 수 있어 양손사용이 어렵거나, 양손을 사용시 체간의 안정성이 떨어져 체중심을 잃을 위험성이 있는 사용자에게 이로운 방식이다. 팔을 흔드는 동작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잡은 물체를 놓을 수 있도록 바디에 열림 스위치를 달아 반대쪽 손으로 스위치를 눌러 물체를 놓을 수 있도록 하였다. After grabbing an object, if you shake it in a specific direction or a specific pattern, such as up/down, inside and outside directions, the IMU sensor built into the power tongs recognizes it and releases the grabbed object. This method is beneficial for users who have difficulty using both hands because they can place the object held by the gripper device without using the other hand, or who are at risk of losing their center of gravity due to poor trunk stability when using both hands. If the motion of waving the arm is not smooth, an open switch is attached to the body so that the user can release the object at the desired time so that the user can release the object by pressing the switch with the opposite hand.

몸의 어느 방향에 잡으려는 물체가 있어도, 몸의 방향을 틀거나, 어깨나 주관절의 움직임을 과도하게 크게 하여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아도, 손목동작(회내 또는 회의)을 하지 않아도 물건을 잡을 수 있도록 하였다. Even if there is an object to be grasped in any direction of the body, it is possible to grasp the object without consuming energy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body or by excessively increasing the movement of the shoulder or elbow joint, or without wrist movement (pronation or meeting). .

본 발명의 전동집게에 내장되어있는 9축 IMU센서를 이용하여 일상생활 동작에 대해, 손으로 잡기 기능을 중심으로 일상생활 동작패턴을 수집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손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데이터가 쌓이면 추후 재활치료를 위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손목중앙신경을 자극하는 패턴으로 지속적으로 팔을 사용하는 경우 중재가 필요하게 된다. 전동집게에 내장된 IMU센서가 일정기간의 상지움직임 데이터를 측정하면 해당 데이터는 동작으로 분석되어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모듈을 통해 PC나 모니터의 운동프로그램과 연동된다. 전동집게를 이용하여 운동을 시행하면, 운동을 시행하고 있는 동안의 움직임 패턴이 전동집게에 기록 된다. 운동전후 및 운동당시의 일상생활에서의 상지 움직임이 정량적/ 정성적으로 비교 가능하므로 임상적으로도 큰 의의가 있는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다.Using the 9-axis IMU sensor built into the electric tongs of the present invention, daily life movement patterns can be collected with a focus on the hand grip function for daily activities. When data on how to use hands in daily life is accumulated, it can be used as data for future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example, if the arm is continuously used in a pattern that stimulates the median nerve of the wrist, intervention is required. When the IMU sensor built into the electric clamp measures upper extremity movement data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data is analyzed as a motion and linked with the exercise program of a PC or monitor through Bluetooth or Wi-Fi module. When an exercise is performed using the electric forceps, the movement pattern during the exercise is recorded on the electric forceps. Since upper extremity movements in daily life before, during and after exercise can b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compared, it is possible to collect clinically significant data.

다시 말해, IMU센서는 통상적으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지자기센서를 구비하므로 사용자의 상지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어, 그리퍼장치의 활용도를 모니터링 또는 사용정도를 평가할 수 있다. 또한, IMU센서를 이용하여 상지 움직임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상지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즉, 그리퍼장치 내에 진동자 또는 소형 스피커를 이용하여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진동 또는 소리를 이용하여 원하는 동작이 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고 이를 통해 상지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since the IMU sensor typically includes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a geomagnetic sensor,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user's upper extremities, so that the utilization of the gripper device can be monitored or the degree of use can be evaluated. In addition, the user's upper extremity movement may be induced by using the upper extremity movement using the IMU sensor. That is, vibration or sound may be generated using a vibrator or a small speaker in the gripper device. When a desired motion is achieved using vibration or sound, a feedback can be given to the user, thereby inducing upper extremity movement.

본 발명의 장점으로는 아래 같은 점이 있다.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the following points.

1. 전완(forearm)을 중립(Neutral position) 자세에서, 손을 기준으로 두 방향 즉, 손의 날을 기준으로 손의 아래 방향으로 그리퍼가 향하고 있거나, 손의 날을 기준으로 손바닥 방향으로 그리퍼가 향할 수 있어 물건을 잡을 수 있음(전완 중립자세는 도 10 참조).1. With the forearm in a neutral position, the gripper faces in two directions relative to the hand, that is,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hand relative to the edge of the hand, or in the direction of the palm relative to the blade of the hand. It can face and can hold objects (refer to FIG. 10 for forearm neutral posture).

그리퍼장치가 손에 결착하는 부위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 손자세를 기준으로 한 방향에 있는 물체만 잡을 수 있는데, 이것은 다음과 같은 불편함을 야기한다. 예를 들어 몸의 내외측에 있는 물건만 잡을 수 있도록 고정된 그리퍼장치를 이용해서 손을 기준으로 아래 방향에 있는 물체를 잡고자 하는 상황을 가정해 보면, 1) 전완을 회내 또는 회외 시켜 그리퍼 장치의 방향을 전환하거나 2) 전완을 회내 또는 회외 시킬 수 없는 경우 아래 방향의 물체를 잡기 위해 어깨관절이나 팔꿉관절을 과도하게 크게 움직여 잡으려고 시도하다가 몸통의 안정성이 흔들려서 잡기를 실패하거나 3) 전완을 회내 또는 회외 시킬 수 없고, 몸통의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는 경우 어깨나 주관절의 움직임을 크게하여 잡기를 시도 조차하지 못하고 실패하게 될 것이다.When the gripper device is fixed to the part where the hand is attached, it can hold only an object in one direction based on the hand posture, which causes the following inconvenience. For example, assuming a situation where you want to hold an object in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your hand using a fixed gripper device that can hold only objects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1) Pronate or supinate the forearm to use the gripper device. 2) If the forearm cannot be pronated or supinated, the shoulder joint or elbow joint is moved excessively large to grab an object in the downward direction, but the stability of the trunk is shaken and the grip fails, or 3) the forearm pronation Or, if it is impossible to supinate and the stability of the trunk is very low, the movement of the shoulder or elbow joint is increased and even an attempt to catch it is failed.

상기 3가지 경우(1), 2), 3)) 모두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하므로 손의 날을 기준으로 손의 아래 방향으로 그리퍼가 향하고 있거나, 손의 날을 기준으로 손바닥 방향으로 그리퍼가 향하는 장치가 필요한데, 본 발명은 최대한 기구를 간단하게 구현하고자 잔존기능인 어깨나 주관절 움직임으로 그리퍼 장치를 바디의 레일을 따라 밀어 방향을 수동으로 전환 가능하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리고, 원하는 위치에 그리퍼 장치를 고정하기 위해, 레일의 양쪽에 스프링 장치를 달아 고정장치(스토퍼)를 만들었다. 스프링 탄성력을 넘을 정도의 일정 세기 이상의 힘으로 밀지 않으면 그리퍼장치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진동등)에 그리퍼장치의 위치가 이동하지 않도록 하였다.In all three cases (1), 2), and 3)), it causes inconvenience to the user, so the gripper faces downward in the hand with respect to the blade of the hand or the gripper in the direction of the palm of the hand relative to the blade of the hand. A device is required, and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is problem by manually changing the direction by pushing the gripper device along the rail of the body by moving the shoulder or elbow joint, which is the remaining function, in order to implement the mechanism as simply as possible. Then, in order to fix the gripper device at a desired position, a fixing device (stopper) was made by attaching spring devices to both sides of the rail. The position of the gripper device is not moved unless it is pushed with a force that exceeds the spring elastic force, so that the position of the gripper device does not move due to unintentional movement (vibration, etc.).

2. 타겟물체가 그리퍼장치 안으로 잘 들어왔는지 알려주는 촉각(진동)자극 2. Tactile (vibration) stimulation that informs whether the target object has entered the gripper device properly

타겟 물체를 그리퍼장치안에 안정적으로 이동 시키지 않으면, 물체의 끝부분만 불안정하게 잡을 수 있어 물체를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타겟물체가 그리퍼장치안에 안정적으로 들어온 적절한 타이밍을 모를 경우 잡기보조장치 사용의 효율성이 떨어질 수 있다. If the target object is not moved stably in the gripper device, only the end of the object can be held unstable,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bject can be dropped. That is, if the appropriate timing for the target object to stably enter the gripper device is not known, the efficiency of using the grabbing aid device may be reduced.

손, 팔 또는 잡기장치 등으로 잡으려고 하는 물체가 가려지게 될 경우 사용자는 이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 몸통을 크게 움직이는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거나 적절한 잡을 타이밍을 모르거나, 감으로 잡다가 물건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If the object to be grasped with a hand, arm, or grabbing device is obscured, the user has to suffer the inconvenience of moving the torso to check it visually, or does not know the proper time to grab, or may drop the object while holding it with a sense. A problem arises.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체 위치를 감지하는 IR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잡으려는 물체가 손, 팔, 장치 등으로 가려져 보이지 않더라도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는 위치와 타이밍 임을 진동 모터를 통해 촉각 자극으로 알려주면 사용자는 눈으로 확인 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물체를 잡을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R sensor that detects the position of an object, so that the position and timing to hold the object to be grasped stably even if it is not seen by hand, arm, device, etc. is tactile stimulation through a vibration motor This allows the user to hold an object stably without having to visually check it.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3)

내측에는 사용자의 손을 수용하는 오목부(S)를 구비하고, 외측에는 가이드레일(120)을 구비하는 바디(100); 및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물건을 잡을 수 있는 그리퍼장치(200);를 포함하고,
상기 그리퍼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몸체부(210);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물건을 잡는 회동동작을 수행하는 두 개의 포크(220,230);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위치하는 회전판(250); 및 상기 회전판과 상기 포크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판의 회전 동작을 상기 포크에 전달하는 연결부재(255a,225b);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서보모터; 및
상기 몸체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두 개의 포크 사이에 존재하는 물체를 감지하는 IR센서(2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A body 100 having a concave portion (S) for accommodating the user's hand on the inside, and a guide rail 120 on the outside; and a gripper device 200 coupled to the body to move along the guide rail and capable of holding an object;
The gripper device is
a body portion 210 coupled to the guide rail; two forks (220,230) positioned in front of the body to perform a rotational operation to grab an object; a rotating plate 250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and connecting members (255a, 225b) for connecting the rotating plate and the fork to transmit the rotational operation of the rotating plate to the fork;
a servo motor provided in the body to rotate the rotating plate; and
An IR sensor 270 for detecting an object existing between the two forks located in front of the body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and-worn gripping aid electric tong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몸체부(210); 및
상기 몸체부의 후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결합돌기(215);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의 결합돌기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ripper device,
a body portion 210 coupled to the guide rail; and
A coupling protrusion 215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and coupled to the guide rail,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of the body is movable in a state coupled to the guide rail,
Electric tongs for grip assist that can be worn on the ha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R센서가 포크 사이 물체를 감지하면, 상기 바디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IR sensor detects an object between the forks, a vibrating unit for applying vibration to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Electric tongs for grip assist that can be worn on the h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가 흔들리는 패턴을 감지하기 위해, 바디 내부에 구비되 IMU센서(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According to claim 1,
In order to detect a pattern in which the body shakes, the IMU sensor 140 is provided inside the body;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Electric tongs for grip assist that can be worn on the han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MU센서가 상기 바디의 흔들림 패턴 중 미리 정해진 소정의 흔들림 패턴을 감지하면, 상기 그리퍼장치가 물건을 잡은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7. The method of claim 6,
When the IMU sensor detects a predetermined shaking pattern among the shaking patterns of the body, the gripper device releases the gripping state.
Electric tongs for grip assist that can be worn on the hand.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상지 움직임을 감지하여 전동집게 사용에 대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전동집게 사용 데이터를 활용하여 전동집게의 활용도를 모니터링하거나 사용 정도를 평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8. The method of claim 7,
Further comprising a storage means for accumulating data on the use of electric forceps by sensing the movement of the user's upper extremities,
Using the power tongs usage data to monitor the utilization of the power tongs or to evaluate the degree of use,
Electric tongs for grip assist that can be worn on the han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내부에는 진동자 또는 소형 스피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9. The method of claim 8,
The body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ibrator or a small speaker,
Electric tongs for grip assist that can be worn on the han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 또는 소형 스피커에서 나오는 진동 또는 소리를 이용하여 소정의 동작이 되었을 때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10. The method of claim 9,
Characterized in giving feedback to the user 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is achieved using vibration or sound emitted from the vibrator or small speaker,
Electric tongs for grip assist that can be worn on the h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장치가 물건을 잡은 상태를 해제하도록 하는 열림 스위치(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According to claim 1,
An opening switch 150 for releasing the gripper device holding the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Electric tongs for grip assist that can be worn on the h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끝단에는 가이드레일의 폭방향으로 양측에 위치하는 두 개의 스프링(S); 및
상기 두 개의 스프링의 단부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보는 스토퍼(125);를 더 포함하여,
상기 그리퍼장치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이동하는 중에 특정 위치에서 멈출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According to claim 1,
At the end of the guide rail, two springs (S) located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uide rail; and
Further including; stoppers 125 facing each other located at the ends of the two spring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er device can be stopped at a specific position while the guide rail is moving,
Electric tongs for grip assist that can be worn on the h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S)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을 감싸서 결착시키는 벨크로(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에 착용 가능한 잡기 보조용 전동집게.
According to claim 1,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Velcro 180 for wrapping and binding the user's hand located in the concave portion (S).
Electric tongs for grip assist that can be worn on the hand.
KR1020200029730A 2020-03-10 2020-03-10 Hand wearable electric auxiliary gripper KR1023694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730A KR102369477B1 (en) 2020-03-10 2020-03-10 Hand wearable electric auxiliary grip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730A KR102369477B1 (en) 2020-03-10 2020-03-10 Hand wearable electric auxiliary grip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254A KR20210114254A (en) 2021-09-23
KR102369477B1 true KR102369477B1 (en) 2022-03-04

Family

ID=77926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730A KR102369477B1 (en) 2020-03-10 2020-03-10 Hand wearable electric auxiliary grip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47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0480A (en) 2013-10-21 2015-04-27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Electronic artificial arm
WO2019088094A1 (en) * 2017-11-01 2019-05-09 学校法人国士舘 Manipulator, and surgery assistance robo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56874B3 (en) * 2005-11-28 2007-04-26 Patrick Oeffner Gripping device to hold everyday objects for use by people with limited grip has adaptation for hand, holding clasp and object holder fitted with pneumatic, electric or magnetic operating system; wheelchair fitted with such device
KR101012739B1 (en) * 2008-12-10 2011-02-09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Intelligent robot hand of humanoid robot and method for picking unknown object using the same
KR102113474B1 (en) * 2018-03-09 2020-05-22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nger aid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80480A (en) 2013-10-21 2015-04-27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Electronic artificial arm
WO2019088094A1 (en) * 2017-11-01 2019-05-09 学校法人国士舘 Manipulator, and surgery assistance robo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4254A (en)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14061B1 (en) A device for enhancing a user's grasping capability
CN109843244B (en) Power assisting device for hand rehabilitation and using method thereof
EP3122305B1 (en) Upper limbs rehabilitating, monitoring and/or evaluating interactive device
CN105408822B (en) User-coupled human-machine interface
WO2013036925A2 (en) Isolated orthosis for thumb actuation
US20190060099A1 (en) Wearable and functional hand orthotic
US20220226183A1 (en) A self driven rehabilitation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04571837B (en) A kind of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man-machine interaction
Secciani et al. Wearable robots: An original mechatronic design of a hand exoskeleton for assistive and rehabilitative purposes
US10561507B1 (en) Wearable grippers for hemiplegic patients
KR102369477B1 (en) Hand wearable electric auxiliary gripper
Jian et al. Wearable hand exoskeleton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TWI762845B (en) Integrated rehabilitation device
KR20190044335A (en) Automatic Hand-operated Aids
Lee et al. Assistive supernumerary grasping with the back of the hand
Bortoletto et al. A springs actuated finger exoskeleton: From mechanical design to spring variables evaluation
CN114191253B (en) Intelligent finger exoskeleton mechanism and intelligent finger rehabilitation exoskeleton robot
JP2018505409A (en) Force measurement mechanism
CN113288719A (en) Hand function rehabilitation software robot
KR102202859B1 (en)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KR101694971B1 (en)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KR20210041469A (en) Glove for assisting finger movement
CN215229880U (en) Hand function rehabilitation software robot
Cai et al. Human-computer interaction-based robotic design and development and control system testing—Prototyping and implementation testing study of a robotic hand
KR102555090B1 (en) Upper limb rehabilitation device for both arms exerci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