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9242B1 -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 - Google Patents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9242B1
KR102369242B1 KR1020210126825A KR20210126825A KR102369242B1 KR 102369242 B1 KR102369242 B1 KR 102369242B1 KR 1020210126825 A KR1020210126825 A KR 1020210126825A KR 20210126825 A KR20210126825 A KR 20210126825A KR 102369242 B1 KR102369242 B1 KR 102369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detection
module
alarm system
function
interfa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한테크
Priority to KR1020210126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9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9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9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1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electric detection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Abstract

본 발명은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화학약품 저장탱크 등에 설치되는 누액감지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기능별로 분리하여 모듈식으로 제작하고, 감지대상이나 설치환경에 맞게 필요한 기능모듈만을 선별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다양한 감지대상이나 설치환경에 폭 넓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사용하지 않는 기능으로 인한 전력소모와 IT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의 구조를 맞춤형으로 단순화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전력소모와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유지보수의 편리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Leak detection module alarm system}
본 발명은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학약품 저장탱크 등에 설치되는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기능별로 분리하여 모듈식으로 제작하고, 감지대상이나 설치환경에 맞게 필요한 기능모듈만을 선별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다양한 감지대상이나 설치환경에 폭 넓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사용하지 않는 기능으로 인한 전력소모와 자원낭비를 줄일 수 있는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체에 유해한 화학약품의 취급은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인구밀집 지역이나 공장의 실내 또는 옥외에 설치된 화학약품 저장소에는 유해 화학물질의 누출 여부를 상시적으로 감시하는 시스템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다. 이는 유해화학물질을 관리하고 있는 현장의 경우 화학물질 관리법에 따라 실내의 경우 10m, 실외의 경우 20m당 1개의 누액감지기를 작업현장에 설치해야 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누액감지 시스템은 감지대상에 따라 다양한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데, 그 적용 방식에는 누액감지센서의 설치방식에 따라 케이블형, 밴드형, 필름형 및 포인트 센서 등이 알려져 있고, 물리적 특성에 따라 전기·광학적 감지방식, 종이변색 감지방식 및 바이러스 기반 컬러변색 감지방식 등이 알려져 있으며, 그중에서도 정보처리기술의 발전에 따라 저항값이나 전위차와 같은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는 방식 또는 굴절률이나 공진주파수와 같은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기·광학적 감지방식에 대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전기적 특성을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두 개의 도전전극 사이에 접촉되는 감지대상 물질을 세분화하여 전도성을 갖는 물이나 산성 또는 알칼리성 화학약품의 누액감지에 적합한 저항방식과 비전도성인 휘발유, 등유, 윤활유 등의 누액감지에 적합한 리액턴스 방식, 그리고 전도성과 비전도성의 양면적 특성을 갖는 유기용매 등의 누액감지를 위해 저항방식과 리액턴스 방식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이 관심을 끌고 있고,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는 방식으로는 발광부와 수광부의 빛을 비교하여 굴절률 또는 파장특성의 변화를 기반으로 누액여부를 감지하는 기술이 주목받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여 각 감지방식에 대한 기술개발의 결과물이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는데, 특허 제10-2067789호(선행특허 1)는 저항소자가 갖는 전압-전류의 직선특성을 이용한 저항방식의 누액감지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고, 특허 제10-1983660호(선행특허 2)에는 커패시터의 충방전 특성을 이용한 리액턴스 방식의 누액감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 제10-1764735호(선행특허 3)에는 임피던스의 실수부(저항)와 허수부(리액턴스)의 특성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누액감지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선행특허들은 감지대상물질의 전기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어 누액감지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일 뿐, 누액감지 시스템을 설치하는 환경에 대한 적응성을 향상시키거나 전력소모와 시공비용을 절감하면서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술로서는 기대수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는 현실적 한계를 안고 있었다.
(선행특허문헌 1) 특허 제10-2067789호 (선행특허문헌 2) 특허 제10-1983660호 (선행특허문헌 3) 특허 제10-1764735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들이 안고 있는 현실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기능별로 분리하여 모듈식으로 제작하고, 감지대상이나 설치환경에 맞게 필요한 기능모듈만을 선별조립한 구조의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기능별 모듈의 조립구조를 통해 불필요한 정보처리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전력소모와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용이한 분해조립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의 편리성이 향상된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은 센싱부와 데이터 획득부 및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싱부는 2개의 평행도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 획득부와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인터페이스 모듈과 복수의 기능모듈을 포함하되, 인터페이스 모듈에는 센서 내에서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필수기능을 지원하는 회로가 탑재되고, 기능모듈은 기능별로 구분하여 별도의 독립모듈로 제작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과 기능모듈에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의 결합수단이 구비되고, 그 결합수단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에 상기 각 기능모듈이 기계적으로 결합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은 인터페이스 모듈의 형태를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제작하고, 복수의 기능모듈을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의 형태에 대응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기능모듈 사이의 신호간섭이나 노이즈 혼입을 차단할 수 있는 차폐벽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은 인터페이스 모듈에 누액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필요한 기능모듈을 선별하여 조립해도 정상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은 누액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저항방식, 리액턴스 방식 또는 하이브리드 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센싱부의 설치구조는 케이블형, 밴드형 또는 필름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의 구조를 맞춤형으로 단순화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전력소모와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유지보수의 편리성이 증진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대상물질이나 설치환경에 맞춰 각 기능별 모듈을 추출하여 조립하기 때문에 설계의 자유도와 확장성이 증진되고 다양한 누액감지 방식에 맞춤형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누액감지 경보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누액감지 경보시스템에 구비된 주요기능별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 (a),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을 저항방식의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에 적용한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을 리액턴스 방식의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에 적용한 사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지만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하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도 1, 2는 종래 누액감지 경보시스템에 이용되는 기본적인 정보처리 계통과 기능별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에 예시된 것처럼, 일반적으로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의 센싱부(10)는 2개의 평행도선이 케이블형 또는 필름형으로 제작되어 화학물질의 저장탱크나 공급파이프 등과 같은 설비의 주변에 매설하거나 부착하고 있으며, 누액감지 경보시스템은 센싱부(10)에서 탐지된 전기적 특성변화를 데이터 획득부(20)에서 감지신호로 산출하고 그 감지신호를 MCU(40)의 정보처리 계통을 거쳐 누액여부를 분석한 후 그 분석결과가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관제서버(40) 또는 개인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한 구성을 통해 누액상태로 판단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관리자들에게 누액사실을 경고하여 신속한 대응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운용하고 있다.
이때 누액감지센서는 센싱부(10)와 데이터 획득부(20) 및 제어부(30)로 이루어지는데, 누액감지센서의 설치환경에 따라서는 데이터 획득부(20)와 제어부(30)를 분리하여 별도의 기판에 구성하거나 하나의 기판 내에 통합시켜 구성(점선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 2는 종래기술(도 1)의 데이터 획득부(20) 및 제어부(30)와 같은 메인구성에 구비된 기능별 서브구성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는데, 센싱부(10)는 화학약품의 누액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2개의 평행도선으로 이루어지고, 데이터 획득부(20)는 전원공급부, 스위칭부, 감지신호 산출부, 정류부, 조작부, 보정부 및 출력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어부(30)는 위치분석부, 비교부, 기준값 저장부, 판단부, 알람부, 자가진단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예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데이터 획득부(20)의 전원공급부는 저항방식, 리액턴스 방식 및 하이브리드 방식에 따라 직류전원 또는 교류전원(펄스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펄스전원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펄스 주기의 가변을 위한 스위칭부와 정류부가 부가되며, 감지신호 산출부는 공급전원에 대한 센싱부의 응답특성을 검출하여 산출신호를 생성하고, 출력부는 위 산출부에서 생성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0)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리고 조작부는 초기세팅 기능이나 리셋기능이나 전원의 수동 온/오프 기능을 지원하고, 보정부는 사용시간의 누적에 따른 감도저하를 보완하기 위해 펄스전원의 주기에 대한 보정기능을 지원한다.
한편, MCU(30)에 포함된 위치분석부는 센싱부(10)의 설치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기능을 지원하고, 기준값 저장부에는 사전에 시뮬레이션을 거쳐 산출한 기준값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비교부는 판단부에서 누액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데이터 획득부(20)의 산출신호와 저장부의 기준값 데이터를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판단부는 비교부의 출력을 분석하여 누액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근거하여 알람부를 직접 작동시키거나 통신부를 통해 관제서버(40)로 전송하여 관리자에 의한 중앙통제가 이루어지도록 지원한다. 이때 관제서버(40)는 표시부, 긴급대응 조작부, 관리이력 저장부, 경보부 등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관제서버(40)는 원격감시 및 중앙통제가 가능하도록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제어부(30)와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도 1, 2에 예시된 종래의 누액감지 경보시스템은 일종의 물리적 기구이므로 그 동작이 항상 정확하다고 단정할 수 없는 것이고, 그 시스템의 성능도 사용하는 방법이나 설치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정확성과 신뢰성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보강수단을 추가로 부가하여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과도한 보강수단의 부가는 오히려 기술과잉의 문제를 유발하여 저전력화, 소형화, 스마트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절한 수준의 제한요건이 뒤따를 수밖에 없다.
그러한 제한요건으로는 우선 첫 번째로 누액감지센서를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개수만 설치하는 최적화의 필요성을 들 수 있다. 이는 지나치게 많은 수의 감지센서를 설치할 경우, 정보처리의 복잡성이 수반될 수밖에 없고 그에 따라 IT자원(정보처리자원)의 설계 및 제작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정보처리 과정의 사소한 오류에도 잘못된 경보(알람)를 유발하게 되어 누액감지 경보의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누액감지 경보시스템의 유지보수 작업을 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그 시스템 자체의 구조에 대한 단순화의 필요성이다. 이는 누액감지 경보시스템의 구성이 단순할수록 그 만큼 안정적인 동작을 기대할 수 있고, 그 시스템이 고장이 나더라도 전문가의 손을 빌리지 않고 쉽게 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세 번째로는 누액감지 경보시스템의 설치방법을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고 그 설치작업도 쉬워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누액감지 경보시스템의 성능이 아무리 우수하더라도 잘못 설치되면 충분한 성능발휘가 어렵고 그에 따라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예컨대, 아무리 최고성능의 누액감지 경보시스템이라도 습기가 많거나 기온차가 심한 곳, 전자파 잡음이나 진동이 많은 곳 등에 설치할 경우에는 그러한 환경요인을 고려한 최적의 설치방법이 제시되어 있어야만 기대하는 만큼의 성능발휘와 신뢰성 제고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제안된 것으로, 누액감지 경보시스템의 구성요소를 기능별로 모듈화하고, 설치환경이나 사용용도에 따라 필요한 기능모듈만을 선택하여 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IT자원의 낭비와 제작비용을 줄일 수 있고, 경보(알람)오류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이나 유지보수 작업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을 예시하고 있다. 도 3 (a), (b)의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은 1개의 인터페이스 모듈(100)에 다수의 기능모듈(101)을 조립하여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는데, 인터페이스 모듈(100)은 각 기능모듈(101)을 물리적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제작되고, 그 물리적 결합에는 기계적·전기적 결합수단이 포함되어 있으며, 각종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에서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기능을 지원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모듈(100)의 형태는 필요에 따라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의 다양한 구조로 제작될 수 있으며, 설치환경이나 장래의 확장성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배선형태와 결합수단(102)을 구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기능모듈(101)은 전원공급이나 데이터 저장 또는 입·출력 신호처리 등과 같은 고유기능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기능을 지원하는 독립모듈 형태로 제작하고, 인터페이스 모듈(100)과 전기적·기계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결합수단(102)을 포함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한 물리적 결합수단(102)은 플러그와 소켓과 같은 통상적인 컨넥터 구조를 이용할 수도 있으나, 어떠한 형태의 결합수단이든 진동이나 외력을 견뎌 낼 수 있을 정도의 강한 결속력과 내구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인터페이스 모듈(100)과 기능모듈(101)의 결합방식은 누액감지센서의 설치위치, 점유 공간 등을 고려하여 기능모듈(101)을 수평방향으로 결합하는 평면구조나 수직방향으로 결합하는 입체구조 중 어느 것을 채택해도 무방하다. 다만, 그러한 결합방식의 선택은 감지대상물질의 특성이나 누액감지센서의 설치환경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인터페이스 모듈(100) 형태와 기능모듈(101)의 개수를 도 3 (a), (b)에 예시된 구조로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인터페이스 모듈(100)의 형상과 그와 대응되는 기능모듈(101)의 형상이나 개수는 누액감지센서의 종류나 설치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4의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은 인터페이스 모듈(100)의 형태가 각 기능모듈(101) 사이에 차폐벽(103)이 포함된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 모듈(100)의 구조는 각 기능모듈(101)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호간섭이나 노이즈 혼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으로, 특히 고조파 성분에 민감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리액턴스 방식이나 하이브리드 방식의 누액감지센서에 적합한 구조라 할 수 있다.
도 4와 같은 형상으로 인터페이스 모듈(100)을 제작하면, 기능모듈(101)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기계적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차폐벽(103)으로 인해 각 기능모듈(101) 사이의 신호간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각 기능모듈(101)을 별도의 차폐물질로 코팅하거나 몰딩처리하는 등의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누액감지의 신뢰성과 정밀도가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도 5, 6은 저항방식의 누액감지센서와 리액턴스 방식의 누액감지센서의 구성사례를 등가회로와 함께 보여주고 있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데이터 획득부(2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5의 저항방식 누액감지센서는 두 전극사이의 저항값 변화에 대한 감지신호를 통해 누액여부를 결정하는 것으로,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것만으로 정상동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4개의 기능모듈(101), 즉 직류전원 공급모듈, 저항 산출모듈, 보정모듈, 출력모듈만을 선택하여 인터페이스 모듈(100)에 조립하더라도 데이터 획득부(20)의 고유기능은 충분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에 도 6의 리액턴스 방식은 교류전원(펄스전원)을 공급해야 하기 때문에 직류전원을 펄스전원으로 변환하는 기능과 그 펄스전원의 주기를 조정하기 위한 기능 및 노이즈 필터링 기능 등이 추가로 필요하다. 이에 따라 데이터 획득부(20)에는 저항방식에 필요한 4개의 기능모듈 이외에 스위칭 모듈, 정류모듈, 노이즈 필터모듈 등을 추가해야만 원하는 동작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기존의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은 하나의 기판(PCB)에 모든 기능요소를 통합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 즉 저항방식의 누액감지센서를 적용할 경우에 사용하지 않는 기능요소까지 포함되어 회로구성이 복잡해지고, 누액감지센서가 고장일 때 기판(PCB) 전체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IT자원의 낭비를 피할 수 없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지만, 본 발명의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에서는 감지대상물질이나 센싱방식 또는 사용용도에 맞게 필요한 기능모듈(101)만을 선별하여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최적의 회로구성이 가능하고, 고장수리를 위해서는 결함이 발견된 기능모듈만을 간단히 교체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유지보수의 편리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누액감지센서의 점유공간이나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맞춤형 규격으로 쉽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될 것이다.
도 5, 6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데이터 획득부(20)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제어부(30)의 경우에도 기능별로 구분하여 별도의 기능모듈을 제작하고 필요한 기능모듈(101)만을 선별하여 조립하는 방식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만, 제어부(30)에 포함된 기능요소들은 대부분 필수기능에 해당되기 때문에 알람부와 통신부를 제외한 필수기능 요소들은 인터페이스 모듈(100) 내부에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알람부는 누액감지센서의 설치환경에 따라 알람방식(경광등, 부저 또는 사이렌)에 맞는 구동회로별로 기능모듈(101)을 제작하고, 통신부 또한 최적의 통신방식(유선, 무선, 블루투스, NFC, 와이파이, 지그비 등)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각 통신방식별 기능모듈(101)을 별도로 제작하여 상황에 맞게 인터페이스 모듈(100)과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은 도 5의 저항방식을 선택할지 아니면 도 6의 리액턴스 방식을 선택할지는 감지대상물질이나 설치환경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겠지만,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이 실험실이나 가정용 보일러실과 같이 비교적 외부환경의 영향을 적게 받는 작은 실내공간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단순히 감지대상물질의 비저항이나 유전율 특성에만 초점을 맞춰 기본적인 기능요소들로 누액감지센서를 설계할 수 있는 반면, 누액감지센서가 야외에 위치하는 대규모의 화학약품 저장탱크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빗물이나 이슬, 서리와 같은 다양한 자연환경 요인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기능요소 이외에 더 많은 부가적 기능요소들을 포함시켜 설계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더욱이 맹독성 화학약품이나 폭발성 화학약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극도로 세밀하고 정확한 누액감지의 성능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가까운 미래에는 누액감지 경보시스템에도 사물인터넷(IoT) 기술이나 인공지능(AI) 및 초고속 통신망과 같은 최신기술이 지속적으로 접목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그러한 기술발전 추이에 따라 다양한 부가기능의 수요증가가 예측된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본 발명의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은 미래기술을 폭넓게 수용할 수 있는 확장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큰 장점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 센싱부 20 : 데이터 획득부 30 : 제어부(MCU)
40 : 관제서버 100 : 인터페이스 모듈 101 : 기능모듈
102 : 결합수단 103 : 차폐벽 C : 커패시터 R : 저항

Claims (7)

  1. 센싱부(10)와 데이터 획득부(20) 및 제어부(30)를 구비한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10)는 2개의 평행도선으로 구성하고,
    상기 데이터 획득부(20)와 상기 제어부(30)는 하나의 인터페이스 모듈(100)과 복수의 기능모듈(101)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00)에는 센서 내에서 공통적으로 이용되는 필수기능을 지원하는 회로를 탑재하여 구성되고,
    상기 기능모듈(101)은 기능별로 구분하여 별도의 모듈로 제작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00)과 상기 기능모듈(101)에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의 결합수단(102)을 구비하되,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00)은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되고, 상기 기능모듈(101)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00)의 형상에 대응하여 조립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00)은 누액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 필요한 기능모듈(101)을 선별하여 조립해도 정상작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회로기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수단(102)을 통해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00)에 상기 각 기능모듈(101)이 기계적으로 결합되면서 전기적으로도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징인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100)은 상기 기능모듈(101) 사이의 신호간섭이나 노이즈 혼입을 차단할 수 있는 차폐벽(103)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특징인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액을 감지하는 방식은 저항방식, 리액턴스 방식 또는 하이브리드 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획득부(20)와 상기 제어부(30)는 하나의 공통기판에 통합하여 제작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기판에 별개로 제작하여 조립할 수 있는 구성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부(10)는 2개의 평행도선이 케이블 방식, 필름방식 또는 포인트 센서방식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

KR1020210126825A 2021-09-27 2021-09-27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 KR102369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825A KR102369242B1 (ko) 2021-09-27 2021-09-27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825A KR102369242B1 (ko) 2021-09-27 2021-09-27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9242B1 true KR102369242B1 (ko) 2022-03-02

Family

ID=80815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825A KR102369242B1 (ko) 2021-09-27 2021-09-27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92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235B1 (ko) * 2017-01-16 2017-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 센싱 모듈을 이용한 사고 감지 시스템
KR101764735B1 (ko) 2016-11-22 2017-08-09 김동언 누수감지센서의 구동회로
KR101983660B1 (ko) 2018-08-29 2019-05-29 성백명 누설감지장치
KR102067789B1 (ko) 2017-10-27 2020-01-17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누액 감지 시스템 및 누액 감지 방법
KR102227603B1 (ko) * 2020-10-30 2021-03-12 유종근 접지분리를 이용한 통합형 누액감지 경보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735B1 (ko) 2016-11-22 2017-08-09 김동언 누수감지센서의 구동회로
KR101721235B1 (ko) * 2017-01-16 2017-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통합 센싱 모듈을 이용한 사고 감지 시스템
KR102067789B1 (ko) 2017-10-27 2020-01-17 해성디에스 주식회사 누액 감지 시스템 및 누액 감지 방법
KR101983660B1 (ko) 2018-08-29 2019-05-29 성백명 누설감지장치
KR102227603B1 (ko) * 2020-10-30 2021-03-12 유종근 접지분리를 이용한 통합형 누액감지 경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569B1 (ko) 스마트 팩토리 모니터링 시스템
US7965174B2 (en) Integrated building device monitoring network
RU2378753C2 (ru) Заряд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олевых устройств
CN103221983B (zh) 具有可移除检测模块的检测器总成
US20190215935A1 (en) Integrated Antenna Assemblies For Light Fixtures
US11041839B2 (en) Distribution system monitoring
US10959300B2 (en) Integrated sensor modules for light fixtures
US20150116118A1 (en) Leak detection device and remot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US20100109898A1 (en) Warning light device having at least two warning lamps
US20200178378A1 (en) Signaling lamp monitor
US10190906B2 (en) Light sensor sensing illumination of a partial area
KR101923131B1 (ko) 물질유출감지 및 알림 시스템
WO2019192756A1 (en) Configurable and modular light fixtures
KR102369242B1 (ko) 누액감지모듈 경보시스템
EP3266124A1 (en) Contactless communication between rotating and stationary components
CN114279964A (zh) 一种激光甲烷泄漏监测器及甲烷泄露监测方法
US11425471B2 (en) Wireless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US20020158824A1 (en) Device for inputting and/or outputting information
KR20180000053A (ko) 다방향 불꽃감지기
CN208580324U (zh) 一种车间机器状态联网监控装置及系统
CN101926227A (zh) 具有倾斜或指向校正光电传感器以用于氛围产生的传感器设备
WO2020152227A1 (en) Connection module for a luminaire
KR102253854B1 (ko) 범용 IoT 안전관제 방법
CN205245398U (zh) 空调
CN113932850A (zh) 一种空调机房监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