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853B1 -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853B1
KR102368853B1 KR1020190162543A KR20190162543A KR102368853B1 KR 102368853 B1 KR102368853 B1 KR 102368853B1 KR 1020190162543 A KR1020190162543 A KR 1020190162543A KR 20190162543 A KR20190162543 A KR 20190162543A KR 102368853 B1 KR102368853 B1 KR 102368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payment
delay time
magnetic
pre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2332A (ko
Inventor
박경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비
Priority to KR102019016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853B1/ko
Publication of KR2021007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2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9Device specific authentication in transaction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1Active cards, i.e. cards including their own processing means, e.g. including an IC or chi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Abstract

본 발명은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C칩을 이용하여 결제를 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a) IC 카드의 정상 삽입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b) 체크 결과 상기 IC 카드가 삽입되었다면 ATR(Answer to Reset)을 체크하는 단계; c) 상기 ATR 신호가 기설정된 지연시간 이내에 수신된 경우 상기 IC 정보를 확인하고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 d) 상기 ATR 신호가 기설정된 지연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마그네틱(MS) 결제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METHOD TO PREVENT ABNORMAL PAYMENT OF IC CARD}
본 발명은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C칩을 이용하여 결제를 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국에서는 개인정보 보호, 신용카드의 위변조 및 불법거래를 방지하기 위하여 2015년 7월 21부터 IC 카드 사용을 강제화 하고 있으며, 미국, 유럽, 일본 등 대부분의 국가에서도 2017년 부터 IC Card 사용을 강제화 하고 있다.
그러나, IC카드 거래 단말기를 이용한 IC카드 거래 승인시간은 카드 인식 후3.5~6초로 1초 이내의 승인 시간을 갖는 신용카드에 비해 거래 승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가맹점에서는 IC카드 거래의 보안기능을 무효화하여 비정상적으로 신용카드 거래를 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방법들이 확산 및 전파되고 있어서 신용카드 불법 위변조 사용으로 인한 불법 신용카드 결제행위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한편, 국제적으로 EMV(Europay Mastercard Visa) 인증을 받은 IC카드 결제단말기 및 결제장치들만 여신금융협회에서 지정한 KTC(한국기계전기시험연구소) 인증기관에서 보안인증을 받아서 사용할 수 있다.
즉, IC카드 거래의 국제규격인 EMV 인증을 받지 못한 IC카드 결제단말기는 국내 보안인증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이다.
EMV 국제규격은 IC카드로 거래하다가 실패하는 불가피한 상황을 고려하여 MS 신용카드로 거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EMV 규격에서는 IC카드로 거래를 시도하였으나 실패시, 폴백(FallBack) 기능을 허용하는데, 이 폴백 기능이 IC카드를 결제단말기에 넣었을 때 동작이 안되는 경우에 한하여 MS 신용카드로의 결제를 허용한다.
이때, IC카드는 매 거래시마다 해킹을 방지하기 위하여 암호화 알고리즘(RAS 1024/2048 bits)을 이용하여 주요 정보를 암호화 복호화 하는 데 시간이 추가로 소요되어, 해킹이나 위조 및 변조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MS카드의 거래는 RSA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거래 처리시간이 빠르지만, 카드 위조 및 변조의 보안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일부 가맹점에서 결제 대기자가 많아 신속하게 결제처리를 위해 IC카드를 SCR(Smart Card Reader) 장치에 넣었다가 빼거나 IC칩 반대방향으로 뒤집어서 넣은 후, 고의로 결제단말기에 에러를 발생시킨 후, MS 카드로 MSR(Magnetic Card Reader)에 넣어 EMV의 폴백(Fall Back) 기능으로 결제 처리를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상기의 방법대로 하더라도 IC카드 거래 승인시간보다 신속하므로, 일부 가맹점들의 부정적인 방법 사용이 확대되고 있어, 이로 인한 MS카드의 불법 위조 및 변조 사용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승인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하여 고의로 IC칩을 이용한 결제를 피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31249호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IC칩을 이용하여 결제를 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a) IC 카드의 정상 삽입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b) 체크 결과 상기 IC 카드가 삽입되었다면 ATR(Answer to Reset)을 체크하는 단계; c) 상기 ATR 신호가 기설정된 지연시간 이내에 수신된 경우 상기 IC 정보를 확인하고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 d) 상기 ATR 신호가 기설정된 지연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마그네틱(MS) 결제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IC 카드가 삽입되는 단계; a2) 삽입된 상기 IC 카드의 정상 삽입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a3) 상기 IC 카드의 삽입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 발생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a4) 상기 오류 발생 횟수가 기설정된 검사횟수 이하라면 상기 IC 카드의 재삽입을 요청하는 단계; 및 a5) 상기 오류 발생 횟수가 기설정된 검사횟수를 초과하였다면 상기 마그네틱 결제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지연시간이 설정되는 단계; c2) 상기 ATR 신호가 설정된 상기 지연시간 이내에 수신된 경우 상기 IC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c3) 확인된 상기 IC 정보에 따라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에서, 상기 지연시간은, 결제장비의 성능, 결제 시스템의 처리 속도, 운용상 필요한 시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지연시간이 설정되는 단계; 및 d2) 상기 ATR 신호가 설정된 상기 지연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마그네틱(MS) 결제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1) 단계에서, 상기 지연시간은, 결제장비의 성능, 결제 시스템의 처리 속도, 운용상 필요한 시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마그네틱 결제 모드는, i) 상기 IC 카드를 폴백(Fall Back)하는 단계; ii) 기설정된 시간 내 상기 폴백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iii) 상기 폴백 횟수가 기설정된 허용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마그네틱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iv) 확인된 상기 마그네틱 정보에 따라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 이후에, 상기 폴백 횟수가 기설정된 허용횟수를 초과한 경우, 마그네틱 결제 기능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마그네틱 결제 기능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지시키는 단계 이후에는, 상기 IC 카드의 재삽입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신속한 결제를 위해 보안에 취약한 마그네틱 결제를 하지 못하도록 막고 보안 안정성이 뛰어난 IC칩을 이용하여 결제를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 카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의 알고리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의 IC 카드의 정상 삽입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의 IC 정보를 확인하고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의 마그네틱 결제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의 마그네틱 결제 모드의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정상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IC 카드 결제 장치의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정상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IC 카드 결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정상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IC 카드 결제 장치의 IC 카드의 삽입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C칩에 대한 접점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C칩에 대한 접점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 카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IC 카드(10)는 IC칩(20) 및 마그네틱(30)을 포함한다.
IC칩(20)은 반도체 기판의 집적회로로서, VCC(21), Reset(22), Clock(23), 제1 NC(24), GND(25), VPP(26), I/O(27) 및 제2 NC(28)과 같은 복수의 소자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VCC(21)는 전원공급 마이크로 프로세서이고, Reset(22)은 리셋신호, clock(23)은 클럭신호, GND(25)는 접지, VPP(26)는 프로그램 전압, I/O(27)은 데이터 입출력을 의미한다.
마그네틱(30)은 자기테이프로 이루어져 자기테이프에 데이터가 기록되어 마련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의 알고리즘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2 및 도 3를 참조하면,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은 복수의 소자들로 마련되는 IC칩(20) 및 마그네틱을 포함하는 IC카드(10)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에 있어서, 먼저, IC 카드(10)의 정상 삽입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210)를 수행할 수 있다.
IC 카드(10)의 정상 삽입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210)는 IC칩(20)의 각 소자와 일대일 대응되게 접촉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제1 접지핀(131) 및 IC칩(20)의 각 소자와 일대일 대응되게 접촉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제1 전원핀(132)을 포함하는 인식부(130)가 삽입부(120)에 삽입되는 IC 카드가 정상적으로 삽입부(120)에 삽입이 되었는지 체크하되, 제 1 접지핀(131) 및 제 1 전원핀(132)은 각각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소자와 접할 경우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마련되며, IC칩(20)에 대한 도통 전류의 감지 여부에 따른 오류 발생 횟수와 기설정된 검사횟수를 비교하여 인식부(130)가 IC카드(10)가 정상 삽입된 것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IC카드(10)가 비정상 삽입된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고의적인 인식 오류 유도를 방지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IC 카드의 정상 삽입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210)는 단지 삽입부(120)에 IC 카드가 삽입이 되었는지만 체크하는 것이 아니라, IC 카드를 잘못된 방향으로 삽입하거나 너무 짧은 시간 삽입하였는지를 인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의 IC 카드의 정상 삽입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IC 카드(10)의 정상 삽입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210)는 먼저, IC 카드(10)가 삽입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IC 카드(10)가 삽입되는 단계에서는 삽입부(120)에 상기 IC 카드(10)를 삽입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IC 카드(10)가 삽입되는 단계 이후에는, 삽입된 IC 카드(10)의 정상 삽입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삽입된 IC 카드(10)의 정상 삽입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는 스위치 등을 이용하여 상기 IC 카드(10)의 삽입이 이루어졌는지 정상 삽입 여부를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삽입된 IC 카드의 정상 삽입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이후에는, IC 카드의 삽입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 발생 횟수 및 지연시간을 확인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IC 카드(10)의 삽입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 발생 횟수 및 지연시간을 확인하는 단계에서는 삽입된 IC 카드(10)의 IC칩(20)을 읽는데 오류가 발생한 횟수 및 지연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오류 발생 횟수는 기설정된 일정 시간내 오류의 발생 횟수 또는 연속으로 오류가 발생한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IC 카드(10)의 삽입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 발생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오류 발생 횟수가 기설정된 검사횟수(N) 이하라면 ATR 체크하도록 상기 b) 단계가 수행되고, 오류 발생 횟수가 기설정된 검사횟수(N) 초과라면 상기 IC 카드(10)의 재삽입을 요청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삭제
IC 카드(10)의 삽입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 발생 횟수 및 지연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이후에, 오류 발생 횟수가 기설정된 검사횟수를 초과하였다면 상기 IC 카드의 재삽입을 요청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삭제
IC 카드(10)의 정상 삽입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210) 이후에, 체크 결과 인식부(130)에 의하여 오류 발생 횟수가 기설정된 검사횟수 이하로 인식된 경우, 상기 IC 카드(10)가 정상 삽입된 것으로 보고 인식부(130)가 ATR(Answer to Reset)을 체크하는 단계(S220)를 수행할 수 있다.
체크 결과 상기 IC 카드가 삽입되었다면 ATR(Answer to Reset)을 체크하는 단계(S220)에서, 상기 인식부(130)를 이용하여 상기 IC 칩의 ATR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의 IC 정보를 확인하고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체크 결과 상기 IC 카드가 삽입되었다면 ATR(Answer to Reset)을 체크하는 단계(S220) 이후에, ATR 신호가 기설정된 지연시간 이내에 수신된 경우, 인식부(130)가 상기 IC 정보를 확인하고 기판부(110)가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S230)를 수행할 수 있다.
ATR 신호가 기설정된 지연시간 이내에 수신된 경우 상기 IC 정보를 확인하고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S230)는, 먼저, 지연시간이 설정되는 단계(S231)를 수행할 수 있다.
지연시간이 설정되는 단계(S231)에서, 상기 지연시간은, 결제장비의 성능, 결제 시스템의 처리 속도, 운용상 필요한 시간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장비의 성능은 상기 기판부(110)의 CPU, Clock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연시간이 설정되는 단계(S231) 이후에는, ATR 신호가 설정된 지연시간 이내에 수신된 경우 상기 IC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232)를 수행할 수 있다.
ATR 신호가 설정된 지연시간 이내에 수신된 경우 상기 IC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232)에서는, 상기 인식부(130)는 IC칩(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IC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ATR 신호가 설정된 지연시간 이내에 수신된 경우 상기 IC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232) 이후에는, 확인된 IC 정보에 따라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S233)를 수행할 수 있다.
확인된 IC 정보에 따라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S233)에서는 상기 인식부(130)에 의해 수신된 상기 IC 정보에 따라 결제를 승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의 마그네틱 결제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의 순서도이다.
체크 결과 상기 IC 카드가 삽입되었다면 ATR(Answer to Reset)을 체크하는 단계(S220) 이후에, ATR 신호가 기설정된 지연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수신되지 않는 경우, 기판부(110)가 마그네틱(MS) 결제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S240)를 수행할 수도 있다.
ATR 신호가 기설정된 지연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마그네틱(MS) 결제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S240)는, 먼저, 지연시간이 설정되는 단계(S241)가 수행될 수 있다.
지연시간이 설정되는 단계(S241)에서, 상기 지연시간은, 결제장비의 성능, 결제 시스템의 처리 속도, 운용상 필요한 시간에 따라 가변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결제장비의 성능은 상기 기판부(110)의 CPU, Clock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연시간이 설정되는 단계(S241) 이후에는, ATR 신호가 설정된 지연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마그네틱(MS) 결제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S242)가 수행될 수 있다.
ATR 신호가 설정된 지연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마그네틱(MS) 결제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S242)에서 ATR 신호가 설정된 지연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수신되지 않는 경우, IC 카드(10)가 정상적으로 삽입이 되었으나, IC칩(20)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마그네틱 결제 모드를 작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d) 단계 이후, e) 인식부(130)에 의하여 오류 발생 횟수가 기설정된 검사횟수 초과로 인식된 경우, IC카드(10)가 비정상 삽입된 것으로 보고 IC 카드(10)의 재삽입을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의 마그네틱 결제 모드의 순서도이다.
ATR 신호가 기설정된 지연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마그네틱(MS) 결제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S240)에서, 상기 마그네틱 결제 모드는 도 2 및 도 7의 순서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마그네틱 결제 모드는 먼저, 상기 IC 카드를 폴백(Fall Back)하는 단계(S251)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IC 카드를 폴백(Fall Back)하는 단계(S251)에서는, 사람이 상기 IC 카드(10)를 마그네틱(30)이 읽히도록 폴백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IC 카드를 폴백(Fall Back)하는 단계(S251) 이후에는, 기설정된 시간 내 상기 폴백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S252)가 수행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 내 상기 폴백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S252)에서는, 상기 폴백 횟수가 기설정된 시간 동안 얼마나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 내 상기 폴백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S252) 이후에, 폴백 횟수가 기설정된 허용횟수를 초과한 경우, 마그네틱 결제 기능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지시키는 단계가 수행되고, 기설정된 시간 이후 IC 카드의 결제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요청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한편, 폴백 횟수가 기설정된 허용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마그네틱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253)가 수행될 수 있다.
폴백 횟수가 기설정된 허용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마그네틱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253)에서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풀백 횟수가 기설정된 허용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마그네틱(30) 정보를 확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허용횟수가 최근 10분간 3회인데, 실제 사용한 풀백 횟수가 최근 10분 내 2회일 경우, 마그네틱(30) 정보를 확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폴백 횟수가 기설정된 허용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마그네틱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S253) 이후에는, 확인된 상기 마그네틱 정보에 따라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S254)가 수행될 수 있다.
확인된 상기 마그네틱 정보에 따라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S254)에서는 확인된 상기 마그네틱(30) 정보에 따라 결제를 승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 내 상기 폴백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S252) 이후에, 상기 폴백 횟수가 기설정된 허용횟수를 초과한 경우, 마그네틱 결제 기능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지시키는 단계(S255)가 수행될 수도 있다.
폴백 횟수가 기설정된 허용횟수를 초과한 경우, 마그네틱 결제 기능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지시키는 단계(S255)에서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의 풀백 횟수가 기설정된 허용횟수를 초과한 경우, 마그네틱(30) 정보를 확인하지 않고 마그네틱 결제 기능을 일정 시간동안 정지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허용횟수가 최근 10분간 3회인데, 실제 사용한 풀백 횟수가 최근 8분 내 4회일 경우, 마그네틱 결제 기능을 일시 정지시킬 수 있다.
폴백 횟수가 기설정된 허용횟수를 초과한 경우, 마그네틱 결제 기능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지시키는 단계(S255) 이후에는, 상기 IC 카드의 재삽입을 요청하는 단계(S256)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IC 카드의 재삽입을 요청하는 단계(S256)에서는 상기 IC 카드를 상기 삽입부(120)에 재삽입하여 IC칩(20)을 이용한 결제를 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본 발명은 고의로 오류를 발생시키고 결제 승인 속도가 빠르나 보안에 취약한 마그네틱 결제 모드를 계속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결제 승인 속도가 빠르나 보안에 취약한 마그네틱 결제 모드를 계속 사용하는 종래의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IC칩(20)을 이용한 안정적인 결제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된 IC 카드의 정상 삽입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S212)는 상기 IC 카드(10)의 IC칩(20)에 도통 전류가 감지될 때 상기 IC 카드(10)가 정상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IC 카드의 삽입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 오류 발생 횟수 및 지연시간을 확인하는 단계(S213)에서는 삽입된 IC 카드(10)의 IC칩(20)에 도통 전류가 감지되지 않으면 IC 카드의 삽입에 오류가 있음을 안내하고, 오류 발생 횟수를 확인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정상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IC 카드 결제 장치의 사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정상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IC 카드 결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비정상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IC 카드 결제 장치(100)는 기판부(110), 삽입부(120) 및 인식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기판부(110)는 회로 기판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부(120)는 상기 기판부(110)에 마련되어 상기 IC 카드(10)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인식부(130)는 상기 기판부(110)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120)에 삽입된 상기 IC 카드(10)의 IC 정보를 확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부(130)는 상기 삽입부(120)에 상기 IC 카드(10)가 정상적으로 삽입되었는지를 체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비정상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IC 카드 결제 장치의 IC 카드의 삽입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식부(130)는 각각의 소자에 접하도록 마련되되 상호 이격된 한 쌍의 접지핀(131)과 전원핀(132)을 구비하며, 상기 접지핀(131)과 전원핀(132)은 상기 소자와 접한 상태에서만 전류가 흐르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판부(110)는 이처럼 상기 인식부(130)를 통해 전류가 흐를 때에만 IC 카드(10)가 정상적으로 삽입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IC칩에 대한 접점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부(130)는 제1 접지핀(131) 및 제1 전원핀(1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지핀(131)은 상기 IC 카드(10)에 마련된 IC칩(20)의 각 소자에 일대일 대응되게 접촉하도록 마련되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접지핀(131)은 접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 전원핀(132)은 상기 IC칩(20)의 각 소자에 일대일 대응되게 접촉하도록 마련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소자에 접하도록 마련된 상기 제1 접지핀(131) 및 상기 제1 전원핀(132)은 상호 이격되어, 상기 IC칩(20)이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
즉, 각 소자에 한 쌍으로 접하도록 마련된 상기 제1 접지핀(131) 및 상기 제1 전원핀(132)은 상기 IC칩(20)의 상기 소자와 접할 경우에만 전류가 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판부(110)는, 상기 제1 접지핀(131) 및 상기 제1 전원핀(132) 사이에 전류가 통할 때에만 상기 IC 카드(10)가 정상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 스위치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구체적으로, 카드가 삽입되는 도중에도 각 전원핀에 전류가 흐르고 있으면 IC칩이 고장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IC 카드가 완전히 삽입된 경우, 스위치가 눌려지도록 하고 그 때 전류가 흐르도록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각 소자마다 상기 제1 전원핀(132)과 상기 제1 접지핀(131)이 구비되고 상호 단락되어 있기 때문에 평소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IC 카드(10)가 삽입되어 IC칩(20)이 접할 경우에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전원 스위치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스위치가 IC 카드(10)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에도 계속 전류가 흘러 오작동으로 인해 IC 칩(20)이 고장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식부(130)는 상기 IC 카드(10)가 정상적으로 삽입된 것을 확인한 후에 다시 전류를 흘려 IC 정보를 얻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C칩(20)에 대한 접점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식부(130)는 제2 접지핀(231) 및 제2 전원핀(23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지핀(231)은 상기 IC 카드(10)에 마련된 IC칩(20)의 중앙부에 접촉하도록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접지핀(231)은 접지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 전원핀(232)은 상기 IC칩(20)의 각 소자에 일대일 대응되게 접촉하도록 마련되며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소자에 접하도록 마련된 상기 제2 접지핀(231) 및 상기 제2 전원핀(232)은 상호 이격되어, 상기 IC칩(20)이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
즉, 각 소자에 접하도록 마련된 상기 제2 전원핀(232)과, 상기 제2 접지핀(231)은 상기 IC칩(20)의 상기 소자와 접할 경우에만 전류가 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판부(110)는, 상기 제2 접지핀(231) 및 상기 제2 전원핀(232) 사이에 전류가 통할 때에만 상기 IC 카드(10)가 정상 삽입된 것으로 판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본 발명은 별도의 전원 스위치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구체적으로, 카드가 삽입되는 도중에도 각 전원핀에 전류가 흐르고 있으면 IC칩이 고장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IC 카드가 완전히 삽입된 경우, 스위치가 눌려지도록 하고 그 때 전류가 흐르도록 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각 소자마다 상기 제2 전원핀(232)과 상기 제2 접지핀(231)이 구비되고 상호 단락되어 있기 때문에 평소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IC 카드(10)가 삽입되어 IC칩(20)이 접할 경우에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전원 스위치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 스위치가 IC 카드(10)가 삽입되지 않았을 때에도 계속 전류가 흘러 오작동으로 인해 IC 칩(20)이 고장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인식부(130)는 상기 IC 카드(10)가 정상적으로 삽입된 것을 확인한 후에 다시 전류를 흘려 IC 정보를 얻어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인식부(130)는 전류가 통할 수 있도록 상기 IC칩(20)과의 접점이 도금 또는 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IC 카드
20: IC칩
21: VCC
22: Reset
23: Clock
24: 제1 NC
25: GND
26: VPP
27: I/O
28: 제2 NC
30: 마그네틱
100: 비정상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IC 카드 결제 장치
110: 기판부
120: 삽입부
130: 인식부
131: 제1 접지핀
132: 제1 전원핀
231: 제2 접지핀
232: 제2 전원핀

Claims (9)

  1. 복수의 소자들로 마련되는 IC칩 및 마그네틱을 포함하는 IC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IC칩의 각 소자와 일대일 대응되게 접촉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제1 접지핀 및 상기 IC칩의 각 소자와 일대일 대응되게 접촉되도록 마련된 복수의 제1 전원핀을 포함하는 인식부가 삽입부에 삽입되는 상기 IC 카드의 정상 삽입 여부를 체크하되, 상기 제 1 접지핀 및 상기 제 1 전원핀은 각각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소자와 접할 경우에만 전류가 흐르도록 마련되며, 상기 IC칩에 대한 도통 전류의 감지 여부에 따른 오류 발생 횟수와 기설정된 검사횟수를 비교하여 상기 인식부가 상기 IC카드가 정상 삽입된 것으로 인식하거나 또는 상기 IC카드가 비정상 삽입된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고의적인 인식 오류 유도를 방지하는 단계;
    b) 상기 인식부에 의하여 상기 오류 발생 횟수가 기설정된 검사횟수 이하로 인식된 경우, 상기 IC 카드가 정상 삽입된 것으로 보고 상기 인식부가 ATR(Answer to Reset)을 체크하는 단계;
    c) 상기 ATR 신호가 기설정된 지연시간 이내에 수신된 경우, 상기 인식부가 상기 IC 정보를 확인하고 기판부가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
    d) 상기 ATR 신호가 기설정된 지연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기판부가 마그네틱(MS) 결제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 및
    e) 상기 인식부에 의하여 상기 오류 발생 횟수가 기설정된 검사횟수 초과로 인식된 경우, 상기 IC카드가 비정상 삽입된 것으로 보고 상기 IC 카드의 재삽입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인식부에 의하여 상기 IC카드가 정상 삽입된 것으로 판단될 경우, 다시 전류를 흘려 IC정보를 획득한 후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마그네틱 결제 모드는,
    i) 상기 IC 카드를 폴백(Fall Back)하는 단계;
    ii) 기설정된 시간 내 상기 폴백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iii) 상기 폴백 횟수가 기설정된 허용횟수를 초과한 경우, 마그네틱 결제 기능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정지시키는 단계; 및
    iv)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후 IC 카드의 결제 기능이 활성화되도록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이에 따라 IC카드를 통한 신용카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지연시간이 설정되는 단계;
    c2) 상기 ATR 신호가 설정된 상기 지연시간 이내에 수신된 경우 상기 IC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c3) 확인된 상기 IC 정보에 따라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에서,
    상기 지연시간은,
    결제장비의 성능, 결제 시스템의 처리 속도, 운용상 필요한 시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지연시간이 설정되는 단계; 및
    d2) 상기 ATR 신호가 설정된 상기 지연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마그네틱(MS) 결제 모드를 작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d1) 단계에서,
    상기 지연시간은,
    결제장비의 성능, 결제 시스템의 처리 속도, 운용상 필요한 시간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마그네틱 결제 모드는,
    상기 폴백 횟수가 기설정된 허용횟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 마그네틱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상기 마그네틱 정보에 따라 결제를 승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
  8. 삭제
  9. 삭제
KR1020190162543A 2019-12-09 2019-12-09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 KR102368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543A KR102368853B1 (ko) 2019-12-09 2019-12-09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543A KR102368853B1 (ko) 2019-12-09 2019-12-09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332A KR20210072332A (ko) 2021-06-17
KR102368853B1 true KR102368853B1 (ko) 2022-03-03

Family

ID=76603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543A KR102368853B1 (ko) 2019-12-09 2019-12-09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85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8159A (ja) * 2005-02-21 2006-08-31 Mitsubishi Heavy Ind Ltd Icチップ有無の高速検出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5620A (ko) * 1997-01-07 1998-10-15 구자홍 아이씨(i.c.) 카드 커넥터
EP1833006B1 (en) * 2006-03-10 2014-0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ocol selection on ICC
KR20180040953A (ko) * 2016-10-13 2018-04-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80131249A (ko) 2017-05-31 2018-12-10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카드리더기 및 그를 이용한 카드 정보 수신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8159A (ja) * 2005-02-21 2006-08-31 Mitsubishi Heavy Ind Ltd Icチップ有無の高速検出装置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2332A (ko) 2021-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urdoch et al. Chip and PIN is Broken
US11132659B2 (en) Tamper detection
JP2006513477A (ja) 偽造及び/または変造されたスマートカードを検出する方法及び端末
TWI557663B (zh) A method of reading a non-contact IC card data failure, and a devic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US10672214B2 (en) Method for securing an electronic device,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KR102368853B1 (ko) Ic 카드의 비정상 동작 결제 방지 방법
KR102353235B1 (ko) 도통 전류를 이용한 비정상 동작 인식 기능을 갖는 ic 카드 결제 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US20130312124A1 (en) Control and monitoring module of safe devices
US20090064340A1 (en) Apparatus and Method to Prevent the Illegal Reading of Smart Cards
King et al. Credit card fraud is a computer security problem
WO2008103921A1 (en) Fraud detection system for point-of-sale terminals
US200600283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an integrated circuit (IC) when an attempt is made to bypass security on the IC
JPH0245893A (ja) Icカード
US20170364907A1 (en) Method for sending security information
JP2020009305A (ja) Icチップ、icカード及びプログラム
US11151338B2 (en) Securing a transaction by means of a smart card and smart card
US9659425B2 (en) Electronic key for authentication
KR100836007B1 (ko) 결제승인 처리방법
US20230038078A1 (en) Indicating failed card reading to identify defective transaction card and/or defective transaction terminal
JP2020013249A (ja) Icチップ及びicカード
US20230410114A1 (en) Card skimming detection
US7681029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portable object life cycle, in particular a smart card
CN102301384A (zh) 用于信用卡的安全措施
JP2010257285A (ja) 取引システムおよびその管理方法
KR100804635B1 (ko) 카드 사용자의 용도 정의 정보 운용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