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792B1 - Hot water system for beverage factory - Google Patents

Hot water system for beverage factor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792B1
KR102368792B1 KR1020210125513A KR20210125513A KR102368792B1 KR 102368792 B1 KR102368792 B1 KR 102368792B1 KR 1020210125513 A KR1020210125513 A KR 1020210125513A KR 20210125513 A KR20210125513 A KR 20210125513A KR 102368792 B1 KR102368792 B1 KR 102368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level
main tank
temperatur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5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제영
Original Assignee
(주)만월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만월회 filed Critical (주)만월회
Priority to KR1020210125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79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79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water system for a beverage manufacturing plant capable of continuously supplying purified water of an optimal temperature. The hot water system for a beverage manufacturing pla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ain tank supplying hot water to a stirrer for beverage manufacturing through a manufacturing distribution pipe; a spare tank connected to the main tank through a connection valve and storing hot water; and a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manufacturing distribution pipe and the connection valve either by wire or wirelessly, wherein the main tank includes a plurality of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and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control device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nufacturing distribution pipe and connection valve us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plurality of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and the temperature sensor.

Description

음료공장용 온수 시스템{HOT WATER SYSTEM FOR BEVERAGE FACTORY}HOT WATER SYSTEM FOR BEVERAGE FACTORY

실시예들은 음료 제조공장에서 제조 공법상 효율을 높이기 위한 온수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들은 음료 제조공장에서 음료 원액과 섞어 음료를 완성하기 위해 적정 온도의 정제수를 공급하기 위한 음료공장용 온수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Embodiments relate to a hot water system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manufacturing method in a beverage manufacturing plant. More specifically, the embodiments relate to a hot water system for a beverage factory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to complete a beverage by mixing with a beverage undiluted solution in a beverage manufacturing factory.

일반적인 제조공장의 생산성은 대량제조능력과 생산지속력에 비례한다.The productivity of a general manufacturing plant is proportional to its mass production capacity and production continuity.

음료 제조공장에서는 일반적으로 정제수와 음료 원액(또는 파우더)를 교반기에 넣고 섞음으로써 음료를 완성하기 때문에, 음료 회사에서 생산지속력은 일정한 온수 공급이 좌우한다. 즉, 음료 제조공정에서 적정 온도의 정제수가 필요하며, 적정 온도의 정제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탱크 등에 보관 후 필요량을 교반기에 토출시켜 제조하는 방법이 이용된다. In beverage manufacturing plants, since purified water and beverage undiluted solution (or powder) are generally mixed in a stirrer to complete beverages, the continuous supply of hot water in beverage companies depends on a constant supply of hot water. That is, purified wate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is required in the beverage manufacturing process, and in order to supply purified wate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a method of manufacturing by discharging the required amount to a stirrer after storage in a tank is used.

균일한 품질의 음료 제조를 위해서는 적정 온도의 정제수가 일정하게 제공될 수 있어야한다. 탱크 내에서 정제수가 특정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히팅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In order to manufacture a beverage of uniform quality, purified water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should be provided constantly. In order to constantly maintain the purified water at a specific temperature in the tank, a method such as heating may be used.

탱크 내에서 정제수의 온도가 특정 온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계속적으로 히팅을 하는 것은 제조 비용을 크게 하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히팅과 교반을 순차적으로 하면 제조 시간이 오래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Continuous heating in order to keep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constant at a specific temperature in the tank may cause a problem of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In addition, if heating and stirring are sequentially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anufacturing time is long.

이에 따라, 적정 온도의 정제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이에 대해 서술한다.Accordingly, a device for continuously supplying purified wate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may be required,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2850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28509

본 명세서는 음료 제조공장에서 제조 공법상 효율을 높이기 위한 온수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hot water system for increasing efficiency in a manufacturing method in a beverage manufacturing plant.

본 명세서는 음료 제조를 위한 정제수를 특정 온도로 보관하는 탱크를 포함하는 온수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hot water system including a tank for storing purified water for beverage production at a specific temperature.

본 명세서는 정제수를 특정 온도로 보관하는 본탱크 외에 예비탱크를 추가로 연결하고, 예비탱크로부터 적정 온도의 정제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온수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hot water system for continuously supplying purified wate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from the preliminary tank by additionally connecting a preliminary tank in addition to the main tank for storing purified water at a specific temperature.

본 명세서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사항들로 확장될 수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but may be extended to various matters that can be deri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음료공장용 온수 시스템에 있어서, 제조 배수관을 통해 음료 제조를 위한 교반기로 온수를 공급하는 본탱크, 상기 본탱크와 연결밸브를 통해 연결되고 온수를 보관하는 예비탱크, 및 상기 제조 배수관 및 상기 연결밸브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본탱크는 복수 개의 수위계측센서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수위계측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 배수관 및 상기 연결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 hot water system for a beverage factory, a main tank for supplying hot water to a stirrer for beverage production through a manufacturing drain pipe, a preliminary tank connected to the main tank and a connection valve through a connection valve and storing hot water and a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manufacturing drain pipe and the connection valve by wire or wirelessly, wherein the main tank includes a plurality of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and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control device includes the plurality of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and the temperatur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nufacturing drain pipe and the connection valve may be controlled using the measured value of the sensor.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예비탱크는, 상기 본탱크와 복수 개의 연결밸브를 통해 연결되며, 복수 개의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예비탱크의 수위별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연결밸브 중 특정된 연결밸브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liminary tank is connected to the main tank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on valv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and the control device is measured through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specific connection valve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valves based on the temperature for each water level in the preliminary tank.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예비탱크는, 내부에 수위조절 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특정된 연결밸브에 상기 예비탱크의 물 수위가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수위조절 볼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reliminary tank further includes a water level control ball therein, and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water level when the water level in the preliminary tank does not reach the specified connection valve. The ball can be controlled so that air is injected.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수위계측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본탱크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조 배수관이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결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production drain pipe to be close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main tank measured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threshold, and the connection The valve can be controlled to open.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수위계측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본탱크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연결밸브가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본탱크의 물 온도 또한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조 배수관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connection valve to be closed when the water level in the main tank measured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second threshold, and the temperatur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main tank measured through the sensor is also higher than a preset threshol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manufacturing drain pipe to be opened.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예비탱크와 연결밸브를 통해 연결되고 온수를 보관하는 추가 예비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수위계측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본탱크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조 배수관이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본탱크와 상기 예비탱크 사이의 연결밸브 및 상기 예비탱크 및 상기 추가 예비탱크 사이의 연결밸브 전부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further includes an additional preliminary tank for storing hot water and connected to the preliminary tank through a connection valve, wherein the control device is the main measured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When the water level in the tank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threshold, the manufacturing drain pipe is controlled to be closed, and the connection valve between the main tank and the preliminary tank and all the connection valves between the preliminary tank and the additional preliminary tank are opened. can

본 명세서는 적정 온도의 정제수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음료공장용 온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provide a hot water system for a beverage factory that can continuously provide purified wate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본 명세서는 정제수를 공급하는 본탱크 외에 정제수를 특정 온도로 보관하기 위한 예비탱크를 추가로 연결하고, 예비탱크로부터 적정 온도의 정제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기 온수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provide a hot water system for continuously supplying purified wate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from the preliminary tank by additionally connecting a preliminary tank for storing purified water at a specific temperature in addition to the main tank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본 명세서는 정제수를 공급하는 본탱크 외에 정제수를 특정 온도로 보관하기 위한 예비탱크의 적절 수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에너지 절약 및 온도 조절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n effect of efficiently performing energy saving and temperature control by providing a device for maintaining an appropriate water level in a preliminary tank for storing purified water at a specific temperature in addition to the main tank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명세서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하기에서 설명하는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도출될 수 있는 다양한 사항들로 확장될 수 있다.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but may be extended to various matters that can be derived by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적정 온도의 정제수를 공급하기 위해 본탱크 및 예비탱크를 포함하는 음료공장용 온수 시스템 구조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탱크 및 예비탱크의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온수 시스템에서 수위 조절을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공장용 온수 시스템에서 추가 예비탱크가 포함된 구조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탱크 및 예비탱크를 포함하는 온수 시스템에서 온도, 수위 및 연결 밸브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연결된 구조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hot water system for a beverage factory including a main tank and a spare tank to supply purified wate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water level control in a hot water system includ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main tank and a preliminary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3 is a structural diagram including an additional preliminary tank in the hot water system for a beverage fac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4 is a structural diagram in which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a water level, a connection valve, and the like in a hot water system including a main tank and a spare ta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nnected.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device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set forth below in conjunction with the appended drawings is intended to describ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is not intended to represent the only embodiments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cludes specific details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specification.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on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 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The following embodiments combine elemen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 predetermined form.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considered optional unless explicitly stated otherwise. Each component or featur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is not combined with other components or features. In addition, some elements and/or features may be combined to constitut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rder of operation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changed. Some features or features of one embodiment may be included in another embodiment, or may b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features or features of another embodiment.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Specific term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provid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use of such specific terms may be changed to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몇몇 경우, 본 명세서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된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some cases, well-known structures and devices are omitted in order to avoid obscuring the concep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or are shown in block diagram form focusing on core functions of each structure and device.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cribe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with another component, it is not only a direct connection relationship, but also an indirect relationship where another component exists in the middle. It can also include human connections. In addition, when a component is said to "include" or "have"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another component may be further inclu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 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unless otherwise specifie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between the components. does not Accordingly, within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herein, a first component in an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in an embodimen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can also be called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have aspects that are entirely hardware, partly hardware and partly software, or entirely software. As used herein, "unit," "device," or "system," or the like, refers to hardware,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or a computer-related entity, such as software. For example, as used herein, a part, module, device, or system is a running process, a processor, an object, an executable, a thread of execution, a program, and/or a computer. (compu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both an application running on a computer and a computer may correspond to a part, module, device, or system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적정 온도의 정제수를 공급하기 위해 본탱크 및 예비탱크를 포함하는 음료공장용 온수 시스템 구조도이다. 1 is a structural diagram of a hot water system for a beverage factory including a main tank and a spare tank to supply purified wate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음료 원액(또는 파우더)에 적정 온도의 정제수를 교반기(미도시)에 넣고 섞어 음료를 완성시키는 음료 제조공장에서는 적정온도의 정제수를 공급받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제조 공정의 생산성은 대량 제조능력과 생산지속력에 비례하는데, 음료 제조공장에서 생산지속력은 일정 온도의 온수 공급이 좌우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대형 공장시설이 아닌 소형 공장시설에서는 온수 공급을 온수기에 의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방식은 에너지 효율 및 생산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It is important to receive purified water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in a beverage manufacturing plant that completes beverages by putting purified wate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in a beverage stock solution (or powder) in a stirrer (not shown) and mixing it. In general, the productivity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proportional to the mass manufacturing capacity and production continuity. In particular, small factory facilities, not large factory facilities, sometimes rely on water heaters for hot water supply. In this way, energy efficiency and production efficiency may be reduced.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공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음료공장용 온수시스템(1000)이 제안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 온도의 정제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시스템(1000)은 본탱크(100) 및 본탱크(100)와 연결되어 정제수를 특정 온도로 보관하는 예비탱크(2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 a hot water system 1000 for a beverage factory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manufacturing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1, the hot water system 1000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of an appropriate temperature includes a main tank 100 and a preliminary tank 200 connected to the main tank 100 to store purified water at a specific temperature. do.

본탱크(100)는 급수관(103)을 통해 물이 공급되며, 급수관(103) 중간에 정수필터(101)가 연결되어 정제수가 공급될 수 있다. Water is supplied to the main tank 100 through a water supply pipe 103 , and a purified water filter 101 is connected in the middle of the water supply pipe 103 to supply purified water.

본탱크(100)는 일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온도 측정을 위해 온도센서(109)를 포함하고, 제조 배수관(107)을 통해 교반기(미도시)로 정제수를 공급할 수 있다. The main tank 100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109 for temperature measurement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may supply purified water to a stirrer (not shown) through a manufacturing drain pipe 107 .

본탱크(100)는 예비탱크(200)와 연결되며, 연결밸브(11)의 개폐 제어를 통해 예비탱크(200)로부터 일정 온도의 정제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The main tank 100 is connected to the preliminary tank 200 , and can receive purified water of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rom the preliminary tank 200 through the opening/closing control of the connection valve 11 .

예비탱크(200)는 별도의 급수관(203)과 정수필터(201)를 구비하여 본탱크(100)와 독립적으로 급수받을 수 있다. The preliminary tank 200 may be provided with a separate water supply pipe 203 and a water filter 201 to receive water independently from the main tank 100 .

본탱크(100) 및 예비탱크(200)는 각각 청소 배수관(105, 205)을 구비하여 탱크 내 청소가 필요한 경우 내부를 비우기 위해 개방되도록 이용될 수 있다. The main tank 100 and the preliminary tank 200 are provided with cleaning drain pipes 105 and 205, respectively, and may be used to be opened to empty the inside when cleaning in the tank is required.

센서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본탱크(100) 및 예비탱크(200)의 벽면 또는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sensors may be installed on the wall or inside of the main tank 100 and the preliminary tank 200 as shown.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탱크(100) 및 예비탱크(200)의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온수 시스템(1000)에서 수위 조절을 위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for water level control in the hot water system 1000 including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main tank 100 and the preliminary tank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2를 참조하면, 본탱크(100)에 수위별로 복수 개의 수위계측센서(111, 112, 113)를 구비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수위에 위치된 복수 개의 수위계측센서를 이용하여 본탱크(100)의 수위를 적절히 제어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이면서도 지속적인 온수 공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a plurality of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111 , 112 , and 113 may be provided in the main tank 100 for each water level.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control the water level of the main tank 100 by using a plurality of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located at different water levels, and to enable continuous hot water supply while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탱크(100) 용량의 10%, 50%, 95% 되는 지점에 각각 제1 수위계측센서(111), 제2 수위계측센서(112), 제3 수위계측센서(113)가 설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water level measuring sensor 111, the second water level measuring sensor 112, and the third water level measuring at 10%, 50%, and 95% of the capacity of the main tank 100, respectively A sensor 113 may be installed.

예를 들어, 본탱크(100)의 온수 정제수가 제조 배수관(107)을 통해 교반기(미도시)로 공급되어 본탱크(100)의 수위가 50%가 되었을 때, 제2 수위계측센서(112)를 통해 센싱하고, 예비탱크(200)의 연결밸브(11)를 개방시키게 된다. For example, when the purified hot water of the main tank 100 is supplied to a stirrer (not shown) through the manufacturing drain pipe 107 and the water level in the main tank 100 becomes 50%, the second water level measuring sensor 112 , and the connection valve 11 of the preliminary tank 200 is opened.

일 실시예에 따라, 예비탱크(200)로부터 정제수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져 제1 수위계측센서(111)에 의해 본탱크(100)의 수위가 95% 이상이 된 것으로 감지되면, 연결밸브(11)는 닫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본탱크(100)에 급수관(103)을 통해 지속적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다가, 수위가 95% 이상이 된 것으로 제1 수위계측센서(111)에 의해 감지되면 자동으로 급수가 종료되도록 급수관(103)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from the preliminary tank 200 is sufficiently performed and the first water level measuring sensor 111 detects that the water level in the main tank 100 has become 95% or more, the connection valve 11 is It can be controlled to close. In addition, when water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main tank 100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03, and the first water level measurement sensor 111 detects that the water level has reached 95% or more, the water supply pipe 103 so that the water supply is automatically terminated. ) opening and closing can be controlled.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예비탱크(200)에도 이와 같은 복수 개의 수위계측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급수관(203)이 제어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such a plurality of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may be provided in the preliminary tank 200 , and the water supply pipe 203 may be controlled in a similar manner as described above.

일 실시예에 따라, 본탱크(100)의 온수 정제수가 제조 배수관(107)을 통해 교반기(미도시)로 공급되어 본탱크(100)의 수위가 10% 이하가 되었을 때, 경고센서가 가동되어 작업자가 운행을 종료하고 확인하도록 알람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온도센서(109)를 이용하여 본탱크(100)의 정제수 온도 변화를 감지하고, 본탱크(100)의 정제수 온도가 80℃ 이하가 되면 역시 경고센서가 가동되어 작업자가 운행을 종료하고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purified hot water of the main tank 100 is supplied to a stirrer (not shown) through the manufacturing drain pipe 107 and the water level in the main tank 100 is 10% or less, a warning sensor is activated An alarm can be provided for the operator to confirm and terminate the trip. Alternatively, a change in the purified water temperature of the main tank 100 is sensed using a temperature sensor 109 as described below, and when the purified water temperature of the main tank 100 is 80° C. or less, a warning sensor is also activated and the operator operates You can exit and confirm.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공장용 온수 시스템(1000)에서 추가 예비탱크(300)가 포함된 구조도이다.3 is a structural diagram including an additional preliminary tank 300 in the hot water system 1000 for a beverage facto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수 시스템(1000)은 본탱크(100)에 직접 연결되어 온수를 공급하는 예비탱크(200) 외에도, 예비탱크(20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예비탱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탱크(100)와 예비탱크들(200, 300)의 연결구조는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탱크(100)는 예비탱크(200) 및 추가 예비탱크(300)와 각각 직접 연결되는 구조로 변형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 , in the hot water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preliminary tank 200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tank 100 to supply hot water, one or more hot water systems connected to the preliminary tank 200 . An additional preliminary tank 300 may be further include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main tank 100 and the preliminary tanks 200 and 30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the main tank 100 is transformed into a structure directly connected to the preliminary tank 200 and the additional preliminary tank 300, respectively. possible.

일 실시예에 따라, 본탱크(100) 및 예비탱크들(200, 300)은 모두 용량이 100L, 1000L 또는 그 이상인 동일한 탱크이거나 각각 서로 다른 용량을 가진 탱크들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탱크(100) 및 예비탱크들(200, 300)은 모두 용량이 100L로 동일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in tank 100 and the preliminary tanks 200 and 300 are all the same tank having a capacity of 100L, 1000L or more, or tanks having different capacities may be used.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main tank 100 and the preliminary tanks 200 and 300 have the same capacity as 100L.

본탱크(100) 및 예비탱크들(200, 300)의 용량이 모두 100L이고, 10L/min의 공급속도로 급수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빈 탱크의 수위를 95%인 95L까지 채우는데 걸리는 시간은 9.5 분이 된다. The capacity of the main tank 100 and the preliminary tanks 200 and 300 are all 100L, and water is supplied at a supply rate of 10L/min. In this case, it takes 9.5 minutes to fill the empty tank to 95L, which is 95% of the water level.

일반적으로 급수관(103, 203, 303)을 통해 급수되는 물의 온도는 20℃로 공급되며, 음료 제조를 위해 공급되는 정제수의 필요 온도는 95℃ 정도의 고온 정제수이다. In general,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103, 203, 303) is supplied at 20 ℃, the required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or beverage manufacturing is high-temperature purified water of about 95 ℃.

히팅장치의 성능 등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빈 탱크 95L까지 급수된 정제수의 온도 상승 속도가 2.5℃/min인 경우, 급수된 정제수의 온도를 20℃에서 95℃까지 높이는데 걸리는 시간은 30분이다. It may vary depending on conditions such as the performance of the heating device, but if the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empty tank 95L is 2.5°C/min, the time it takes to raise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20°C to 95°C is 30 minutes am.

1번 대량 교반기로 교반할 때 12L를 사용하며, 1회 제조시간은 20분이 소요된다. When stirring with a mass stirrer No. 1, 12L is used, and one time production time is 20 minutes.

비교예: 본탱크만 사용하는 경우Comparative Example: When only the main tank is used

종래 일반적인 경우와 같이 본탱크(100)만 사용하는 경우, 작업자는 수위 50% 이하가 될 때마다 95%까지 급수하고(조건 1), 급수관(103)을 이용한 정제수 급수 시에는 작업을 중지하게 된다(조건 2). In the case of using only the main tank 100 as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operator supplies water up to 95% whenever the water level becomes 50% or less (condition 1), and stops the operation when supplying purified water using the water supply pipe 103. (Condition 2).

1번 대량 교반기로 교반할 때 물 12L를 사용하므로, 5번 제조하였을 때 정제수는 60L가 사용되고 시간은 100분이 소요된다. 이 때, 본탱크(100)의 정제수는 40L(40%)가 남게 되어 작업자는 급수관(103)을 이용해 정제수를 급수하게 된다. Since 12L of water is used for stirring with the mass stirrer No. 1, 60L of purified water is used for No. 5 preparation and it takes 100 minutes. At this time, 40L (40%) of the purified water in the main tank 100 remains, and the operator supplies purified water using the water supply pipe 103 .

물 수위가 95%가 될 때까지 재급수가 이루어진다면 시간은 5.5분 소요되고, 이 때 물 온도는 대략 54℃ 정도가 된다. 작업자는 작업을 멈추고 물 온도가 95℃가 될 때까지 기다리게 되며, 이 시간이 약 25분 소요된다. If re-watering is performed until the water level reaches 95%, it will take 5.5 minutes, and the water temperature will be approximately 54°C. The operator stops the work and waits until the water temperature reaches 95℃, which takes about 25 minutes.

그러므로, 작업자의 8시간 근로시간 동안 95℃에서 80℃ 사이 고온 정수로 음료를 대략 19회 정도 교반할 수 있다. Therefore, the beverage can be stirred approximately 19 times with high-temperature purified water between 95°C and 80°C during the worker's 8-hour working hours.

실시예: 예비탱크를 포함하는 제안구조를 사용하는 경우Example: When using a proposed structure including a spare tank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탱크(100), 예비탱크(200) 및 추가 예비탱크(300) 연결 구조의 온수 시스템(1000)을 사용했을 경우, 급수관(103)을 이용한 정제수 급수 시에는 작업자가 작업을 중지하게 된다(조건 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t water system 1000 hav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main tank 100, the preliminary tank 200, and the additional preliminary tank 300 as shown in FIG. 3 is used, the water supply pipe 103 ) to supply purified water, the operator stops the work (Condition 2).

1번 대량 교반기로 교반할 때 물 12L를 사용하므로, 5번 제조하였을 때 정제수는 60L가 사용되고 시간은 100분이 소요된다. 이 때, 본탱크(100)의 정제수는 40L(40%)가 남게 되면 예비탱크(200)의 연결밸브(11) 및 추가 예비탱크(300)의 연결밸브(21) 모두가 열리면서 본탱크(100)의 수위가 약 76%(76L)로 상승하게 된다. 모든 탱크에서 물의 온도는 95℃로 데워진 상태로 시작하므로, 이 때의 본탱크(100) 물 온도는 그대로 95℃가 된다. Since 12L of water is used for stirring with the mass stirrer No. 1, 60L of purified water is used for No. 5 preparation and it takes 100 minutes. At this time, when 40L (40%) of the purified water of the main tank 100 remains, both the connection valve 11 of the preliminary tank 200 and the connection valve 21 of the additional preliminary tank 300 are opened and the main tank 100 ) rises to about 76% (76L).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all tanks starts in a warmed state to 95°C,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main tank 100 at this time becomes 95°C as it is.

여기서, 본탱크(100), 예비탱크(200) 및 추가 예비탱크(300) 모두 물 수위가 95%가 될 때까지 급수관들(103, 203, 303)을 통해 재급수가 이루어진다면 물의 온도는 대략 80℃ 정도가 된다. 본탱크(100), 예비탱크(200) 및 추가 예비탱크(300) 모두 용량의 95%까지 급수되는 시간은 1.9분 소요되고, 80℃의 물을 95℃로 상승시키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7.6분 정도 소요된다. Here, if the main tank 100, the preliminary tank 200, and the additional preliminary tank 300 are all re-supplied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s 103, 203, and 303 until the water level reaches 95%,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s approximately about 80°C. The main tank 100, the reserve tank 200, and the additional reserve tank 300 all take 1.9 minutes to supply water to 95% of the capacity, and the time it takes to raise water from 80°C to 95°C is about 7.6 minutes. It takes

그러므로, 작업자의 8시간 근로시간 동안 95℃에서 80℃ 사이 고온 정수로 음료를 대략 22회 정도 교반할 수 있다.Therefore, the beverage can be stirred approximately 22 times with high-temperature purified water between 95°C and 80°C during the worker's 8-hour working hours.

상술한 비교예와 실시예를 비교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온수 시스템(1000)은 교반 시간만으로 3회 60분에 해당하는 하루 생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작업자의 작업시간 동안만 음료 공장이 가동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제어장치(500)에 의해 센싱값의 처리 급수관 등의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경우 가동시간은 더 길어질 수 있으며, 본 시스템에 따른 작업 효율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Comparing the above-described comparative example with the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hot water system 1000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daily production capacity corresponding to 60 minutes three times with only agitation time. Here, it is assumed that the beverage factory is operated only during the worker's working time, but when the operation of the water supply pipe for processing the sensed valu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500, the operating time may be longer, and the working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sent system can be higher.

일 실시예에 따라, 추가 예비탱크(300)가 없어도 예비탱크(200)의 용량이 2배(200L)로 늘어나는 경우에도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비탱크(200)의 용량 95%를 채우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릴 수 있지만, 본탱크(100)의 수위가 95%에 이르면 연결밸브(11)가 폐쇄될 수 있고, 독립적인 급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시간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즉, 본탱크(100)의 제조 배수관(107)을 통해 교반이 이루어지는 동안 예비탱크(200)는 급수관(203)을 통한 정제수 급수 및 물 온도의 히팅이 동시에 병렬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본탱크(100)의 교반, 급수 및 물 온도 상승 시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 similar effect can be obtained even when the capacity of the preliminary tank 200 is doubled (200L) even without the additional preliminary tank 300 . It may take longer to fill 95% of the capacity of the reserve tank 200, but when the water level in the main tank 100 reaches 95%, the connection valve 11 can be closed, and independent water supply can be made. You can avoid wasting time. That is, while stirring is performed through the manufacturing drain pipe 107 of the main tank 100, the preliminary tank 200 supplies purified water through the water supply pipe 203 and heating of the water temperature can be performed in parallel at the same time, so the main tank (100) agitation, water supply and water temperature rise time may not be affected.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본탱크(100) 및 예비탱크(200)를 포함하는 온수 시스템에서 온도, 수위 및 연결 밸브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500)가 연결된 구조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보다 일정하고 정확한 온도의 정제수를 보관하고 이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조가 제안된다. 4 is a structural diagram in which a control device 500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a water level, a connection valve, and the like in a hot water system including the main tank 100 and the preliminary tank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connected. Referring to FIG. 4 , a structure for storing and discharging purified water having a more constant and accurate temperature is proposed.

일 실시예에서, 본탱크(100)와 예비탱크(200) 사이에는 서로 다른 높이에 복수 개의 연결밸브(11, 12, 13)가 형성되고, 예비탱크(200)에도 높이별로 복수 개의 온도센서(211, 212, 213)가 부착될 수 있다. 본탱크(100)에도 온도센서(109)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탱크(100) 및 예비탱크(200)는 각각 히팅장치(115, 215)가 설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connection valves 11 , 12 , 13 are formed at different heights between the main tank 100 and the preliminary tank 200 , and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 211, 212, 213 may be attached. A temperature sensor 109 may be provided in the main tank 100 as well, and heating devices 115 and 215 may be installed in the main tank 100 and the preliminary tank 200, respectively.

도 4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연결밸브(11, 12, 13) 중 본탱크(100) 내 물의 온도에 따라서 개방하는 연결밸브가 결정될 수 있다. 히팅 후 예비탱크(200) 내 물의 온도는 상층부일수록 높을 것이기 때문에, 본탱크(100)의 물 온도가 설정 임계온도보고 낮아지면 빠른 온도 상승을 위해 상층부에 위치한 제3 연결밸브(13)를 개방하여 예비탱크(200)의 고온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에 온도 차이는 크지 않지만, 수위별 물 온도 차이를 이용해 본탱크(100)에서 원하는 온도의 정제수를 최대한 빠르게 공급하기 위해 예비탱크(200)에 복수 개의 연결밸브 및 복수 개의 온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connection valve to be opene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water in the main tank 100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valves 11 , 12 , and 13 . After heating, since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in the preliminary tank 200 will be higher in the upper part, when the water temperature in the main tank 100 is lower than the set threshold temperature, the third connection valve 13 located in the upper part is opened to increase the temperature quickly. Hot water of the preliminary tank 200 may be supplied. Although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layers is not large, a plurality of connection valves and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are provided in the preliminary tank 200 to supply purified water of a desired temperature from the main tank 100 as quickly as possible using the water temperature difference by water level. can be installed.

일 실시예에서, 예비탱크(200)는 수위조절 볼(250)을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예비탱크(200) 내 물의 양이 적어서 연결밸브들(11, 12, 13) 사이에서 수위가 형성되는 경우, 물의 수위를 상승시키기 위해 수위조절 볼(250)이 이용될 수 있다. 즉, 필요한 온도의 물은 예비탱크(200) 내 상층부 물인데 수위가 상층부 연결밸브(도 4를 참조하면, 제3 연결밸브(13))에 못 미치는 경우 컴프레셔(251)를 통해 수위조절 볼(250)에 공기를 주입 및 팽장시키고, 이를 통해 수위를 상승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eliminary tank 200 may include a water level control ball 250 therein. When the amount of water in the preliminary tank 200 is small and the water level is formed between the connection valves 11, 12, 13, the water level control ball 250 may be used to increase the water level. That is, the water of the required temperature is water in the upper layer in the preliminary tank 200, but when the water level does not reach the upper connection valve (refer to FIG. 4, the third connection valve 13), the water level control ball ( 250) by injecting and expanding air, thereby raising the water level.

이와 같은 수위조절 볼(250)은 구형이거나 또는 다른 임의의 부피를 가진 형태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회전시켜 교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Such a water level control ball 250 may be a spherical shape or a shape having any other arbitrary volume, and may perform a stirring function by rotating it as needed.

일 실시예에서, 본탱크(100)에도 수위조절 볼이 구비될 수 있으며, 예비탱크(200)에서 상층부의 연결밸브(예를 들어, 제3 연결밸브(13))를 통해 물이 공급되더라도 물 낙하에 의한 거품이 생기지 않도록 수위 조절을 통해 방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level control ball may be provided in the main tank 100 as well, and even if water is supplied through the connection valve (eg, the third connection valve 13 ) at the upper level in the preliminary tank 200 , water It can be prevented by adjusting the water level to prevent bubbles from fallin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탱크(100) 및 예비탱크(200)의 수위계측센서(111, 112, 113), 제조 배수관(107), 히팅장치(115, 215), 온도센서(109, 211, 212, 213), 연결밸브(11, 12, 13) 등은 제어장치(5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센싱, 개폐, 동작 등 작동이 제어장치(500)에 의해 자동으로 또는 수동 명령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 the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111 , 112 , 113 of the main tank 100 and the preliminary tank 200 , the manufacturing drain pipe 107 , the heating devices 115 , 215 , and the temperature sensors 109 and 211 , 212, 213), connection valves 11, 12, 13, etc.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500 by wire or wirelessly so that sensing,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etc. are automatically or manually commanded by the control device 500. can be controlled by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어장치(5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FIG.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control device 500 shown in FIG. 4 .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온수 시스템(1000)의 제어장치(500) 및 이와 통신하는 각각의 시스템, 센서 장치 및 이에 포함된 각 모듈(module) 또는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서버", "시스템", "플랫폼",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The devices described herein may be wholly hardware, or may have aspects that are partly hardware and partly software. For example, the control device 500 of the hot water system 1000 and each system communicating therewith, the sensor device, and each module or unit included therein transmit data in a specific format and content in an electronic communication method. A device for sending and receiving and software related thereto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used herein, terms such as “unit”, “module”, “server”, “system”, “platform”, “device” or “terminal” are intended to refer to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driven by the hardware. do. For example, the hardware herein may be a data processing device including a CPU or other processor. In addition, software driven by hardware may refer to a running process, an object, an executable file, a thread of execution, a program, and the like.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어장치(500)를 구성하는 부(unit)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5에서 제어장치(500)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제어장치(500)를 이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각 부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에 의해 모듈화되어 구현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unit constituting the control device 500 is not necessarily intended to refer to a separate physically distinct component. That is, although the control device 500 is illustrated as separate blocks in FIG. 5 , the control device 500 is functionally divided by the operations executed thereb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some or all of the above-described units may be implemented by being modularized by the same single processor or a plurality of processors.

일 실시예에서, 제어장치(500)는 수위계측부(501), 배수제어부(503), 온도센싱부(505), 히팅제어부(507), 수위조절부(509) 및 연결밸브제어부(511)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device 500 includes a water level measuring unit 501, a drainage control unit 503, a temperature sensing unit 505, a heating control unit 507, a water level control unit 509 and a connection valve control unit 511. include

수위계측부(501)는 수위계측센서들(111, 112, 113)로부터 물이 감지되는지, 일부만 감지되는지, 전혀 감지되지 않는지와 같은 센싱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탱크(100)의 수위를 측정한다. 수위계측부(501)는 본탱크(100)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임계 수위 아래로 낮아졌다고 판단하는 경우 배수제어부(503), 연결밸브제어부(511) 등으로 해당 정보를 전달하여 제조 배수관(107) 및 연결밸브(11, 12, 13, 21)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501 collects sensing data such as whether water is detected, only partially sensed, or not sensed at all from the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111, 112, and 113, and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main tank 100 measure the level of When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501 determines that the water level in the main tank 100 is lowered below a preset critical water level, the water level measurement unit 501 transmits the information to the drainage control unit 503, the connection valve control unit 511, etc. to manufacture the drain pipe 107 an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nection valves (11, 12, 13, 21).

수위계측센서는 예비탱크(200 또는 300)에도 설치될 수 있으며, 수위계측부(501)는 이들 수위계측센서로부터 수집된 센싱 데이터로부터 예비탱크(200 또는 300)의 수위를 측정할 수 있다. 수위계측센서는 도시된 것보다 많은 수가 설치될 수 있다.The water level measuring sensor may also be installed in the preliminary tank 200 or 300, and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501 may measure the water level of the preliminary tank 200 or 300 from the sensing data collected from these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The water level measuring sensor may be installed in a larger number than shown.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어장치(500)는 급수관(101, 201, 301)과 더 연결될 수 있고, 수위계측부(501)에서 측정한 각 탱크의 수위 정보에 따라 각각의 급수관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급수관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4 , the control device 500 may be further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s 101 , 201 , 301 , and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each water supply pipe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information of each tank measured by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501 . 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supply pipe control unit that can.

배수제어부(503)는 작업자의 명령을 처리하여 제조 배수관(107)의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배수제어부(503)는 수위계측부(501)에서 추정된 본탱크(100)의 수위 정보를 반영하여 고온 정제수의 1회 교반량(예를 들어, 12L)이 교반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조 배수관(107)을 닫고, 교반 소요시간(예를 들어, 20분) 후 다시 제조 배수관(107)을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개방과 폐쇄를 반복하다가 수위계측부(501)에서 수위가 제1 임계치 이하(예를 들어, 탱크 용량의 50% 이하)에 도달했다는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배수제어부(503)는 제조 배수관(107)을 계속 닫힌 상태로 있도록 제어한다. 이후, 수위계측부(501)에서 수위가 제2 임계치(예를 들어, 탱크 용량의 95%)에 도달했다는 정보를 전달받고 온도센싱부(505)로부터 정제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80℃ 내지 95℃)에 도달했다는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배수제어부(503)는 제조 배수관(107)을 다시 개방하여 고온 정제수가 교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drainage control unit 503 may process the operator's comman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nufacturing drainage pipe 107 . In addition, the drainage control unit 503 reflects the water level information of the main tank 100 estimated by the water level measurement unit 501.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tirring amount (eg, 12L) of the high-temperature purified water is stirred, the manufacturing drain pipe Close the 107, it can be controlled to open the production drain pipe 107 again after the stirring time required (eg, 20 minutes). When the water level measurement unit 501 receives information that the water level has reached the first threshold or less (for example, 50% or less of the tank capacity) while repeating such opening and closing, the drainage control unit 503 controls the manufacturing drain pipe ( 107) to keep it closed. Thereafter, information that the water level has reached a second threshold (eg, 95% of the tank capacity) is transmitted from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501 , and the purified water temperature is set in advance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05 (eg, 80 ℃ to 95 ℃), the drainage control unit 503 may control the production drain pipe 107 to be opened again to stir the high-temperature purified water when receiving the information.

온도센싱부(505)는 온도센서(109)로부터 측정된 본탱크(100)의 온도 정보 및 온도센서들(211, 212, 213)로부터 측정된 예비탱크(200)의 수위별 온도 정보를 수집한다.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05 collects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main tank 100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109 and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water level of the preliminary tank 200 measur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s 211 , 212 , and 213 . .

온도센싱부(505)는 본탱크(10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80℃ 내지 95℃)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우 히팅제어부(507)로 전달하여 히팅장치(115)가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싱부(505)는 예비탱크(200)의 온도센서들(211, 212, 213)로부터 수집된 수위별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 역시 히팅제어부(507)로 전달하여 히팅장치(215)가 동작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05 transmits to the heating control unit 507 when the temperature of the main tank 100 is measured lower than a preset temperature (eg, 80° C. to 95° C.) and the heating device 115 operates can be made to control. In addition,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05 transmits to the heating control unit 507 also when the temperature for each water level collec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s 211 , 212 , 213 of the preliminary tank 200 is lower than a preset temperature, and transmits it to the heating device ( 215) to control the operation.

온도센싱부(505)는 예비탱크(200)의 온도센서들(211, 212, 213)로부터 수집된 수위별 온도 정보 및 본탱크(100)의 온도 정보를 연결밸브제어부(511)로 전달하여 본탱크(100)의 정제수 온도의 빠른 상승을 위해 상층부의 연결밸브(예를 들어, 연결밸브(13)) 개방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05 transmits the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water level collec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s 211 , 212 , 213 of the preliminary tank 200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main tank 100 to the connection valve control unit 511 . In order to quickly increase the temperature of the purified water in the tank 100 ,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ning of the connection valve (eg, the connection valve 13 ) of the upper layer.

히팅제어부(507)는 온도센싱부(505)로부터 본탱크(10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예를 들어, 80℃ 내지 95℃)보다 낮다는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히팅장치(115)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히팅제어부(507)는 온도센싱부(505)로부터 예비탱크(200)의 수위별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낮다는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히팅장치(215)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heating control unit 507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05 that the temperature of the main tank 100 is lower than a preset temperature (eg, 80° C. to 95° C.), the heating device 115 You can control it to work. In addition, the heating control unit 507 may control the heating device 215 to operate when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05 that the temperature for each water level of the preliminary tank 200 is lower than a preset temperature.

수위조절부(509)는, 수위계측부(501)로부터 예비탱크(200)에 설치된 수위계측센서의 센싱 결과로 예비탱크(200)의 수위가 상층부의 연결밸브(예를 들어, 제3 연결밸브(13))에 미치지 못한다는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컴프레셔(251)를 동작시켜 수위조절 볼(250)을 팽창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예비탱크(200)의 수위가 상승되어 상층부의 연결밸브를 통해 본탱크(100)로 고온 정제수를 주입할 수 있다. The water level control unit 509, the water level in the preliminary tank 200 as a result of the sensing of the water level measuring sensor installed in the preliminary tank 200 from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501 is the upper connection valve (for example, the third connection valve ( 13)),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operate the compressor 251 to inflate the water level control ball 250 when receiving the information. Through this, the water level of the preliminary tank 200 is increased, so that high-temperature purified water can be injected into the main tank 100 through the connection valve of the upper layer.

연결밸브제어부(511)는 수위계측부(501)로부터 본탱크(100)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치(예를 들어, 탱크 용량의 50%) 이하로 낮아졌다는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하나 이상의 연결밸브(11, 12, 13, 21)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연결밸브제어부(511)는 수위계측부(501)로부터 본탱크(100)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치(예를 들어, 탱크 용량의 95%)에 도달했다는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 연결밸브(11, 12, 13, 21)를 모두 폐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connection valve control unit 511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501 that the water level of the main tank 100 has dropped below a preset first threshold (eg, 50% of the tank capacity), one or more connection valves (11, 12, 13, 21) can be controlled to open. 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valve control unit 511 receives information that the water level of the main tank 100 has reached a preset second threshold (for example, 95% of the tank capacity) from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501, the connection valve ( 11, 12, 13, 21) can all be controlled to be closed.

연결밸브제어부(511)는 수위계측부(501)로부터 전달받은 본탱크(100)의 수위 정보 및 온도센싱부(505)로부터 전달받은 본탱크(100) 및 예비탱크(200)의 수위별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밸브 중 특정 연결밸브(예를 들어, 제3 연결밸브(13))만 개폐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valve control unit 511 receives the water level information of the main tank 100 received from the water level measuring unit 501 and the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water level of the main tank 100 and the preliminary tank 200 received from the temperature sensing unit 505. It can be controlled to open and close only a specific connection valve (eg, the third connection valve 13 ) among the plurality of valves by using it.

이와 같은 구성들을 통해 음료공장용 온수 시스템(1000)은 에너지를 절약하면서도 온도 조절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rough such configurations, the hot water system 1000 for a beverage factory can efficiently perform temperature control while saving energy.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may be at least partially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embodiments is recorded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computer-readable data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and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in a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 and the computer-readable code may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eas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embodiment belongs.

이상에서 살펴본 본 명세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포함하도록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specification described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However, such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be within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be defined to includ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equivalents to the claims by the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6)

음료공장용 온수 시스템에 있어서,
제조 배수관을 통해 음료 제조를 위한 교반기로 온수를 공급하는 본탱크;
상기 본탱크와 연결밸브를 통해 연결되고 온수를 보관하는 예비탱크; 및
상기 제조 배수관 및 상기 연결밸브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본탱크는 복수 개의 수위계측센서 및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수위계측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조 배수관 및 상기 연결밸브의 개폐를 제어하고,
상기 예비탱크는, 상기 본탱크와 복수 개의 연결밸브를 통해 연결되며, 복수 개의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예비탱크의 수위별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연결밸브 중 특정된 연결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온수 시스템.
In the hot water system for a beverage factory,
a main tank for supplying hot water to a stirrer for beverage production through a production drain pipe;
a spare tank connected to the main tank through a connection valve and storing hot water; and
Including a control device connected to the manufacturing drain pipe and the connection valve by wire or wirelessly,
The main tank includes a plurality of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and temperature sensors,
The control device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manufacturing drain pipe and the connection valve using the measured values of the plurality of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and the temperature sensor,
The preliminary tank is connected to the main tank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ion valves,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The control device, on the basis of the temperature for each water level in the preliminary tank measured through the plurality of temperature sensors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specific connection valve among the plurality of connection valves, hot water system.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탱크는, 내부에 수위조절 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특정된 연결밸브에 상기 예비탱크의 물 수위가 미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수위조절 볼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제어하는, 온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preliminary tank further includes a water level control ball therein,
The control device, when the water level in the preliminary tank does not reach the specified connection valve, controls to inject air into the water level control ball, hot water syste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수위계측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본탱크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조 배수관이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연결밸브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온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device is
When the water level in the main tank measured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threshold, controlling the manufacturing drain pipe to be closed and controlling the connection valve to open.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수위계측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본탱크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2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연결밸브가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본탱크의 물 온도 또한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제조 배수관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온수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ontrol device is
When the water level of the main tank measured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set second threshold, the connection valve is controlled to close, and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main tank measured through the temperature sensor is also high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In this case, the hot water system to control the production drain pipe to be open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탱크와 연결밸브를 통해 연결되고 온수를 보관하는 추가 예비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수위계측센서를 통해 측정된 상기 본탱크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제1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조 배수관이 폐쇄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본탱크와 상기 예비탱크 사이의 연결밸브 및 상기 예비탱크 및 상기 추가 예비탱크 사이의 연결밸브 전부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온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dditional reserve tank connected to the reserve tank and through a connection valve and storing hot water,
The control device is
When the water level of the main tank measured through the plurality of water level measuring sensors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set first threshold, the manufacturing drain pipe is controlled to be closed, and a connection valve between the main tank and the preliminary tank, and the preliminary tank and the addition A hot water system that controls all of the connecting valves between the reserve tanks to open.


KR1020210125513A 2021-09-23 2021-09-23 Hot water system for beverage factory KR10236879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513A KR102368792B1 (en) 2021-09-23 2021-09-23 Hot water system for beverage fact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513A KR102368792B1 (en) 2021-09-23 2021-09-23 Hot water system for beverage facto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8792B1 true KR102368792B1 (en) 2022-03-02

Family

ID=8081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513A KR102368792B1 (en) 2021-09-23 2021-09-23 Hot water system for beverage factor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79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126Y1 (en) * 2007-03-20 2008-05-26 주식회사 상천 Portable car wash
KR100893584B1 (en) * 2007-10-25 2009-04-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supplying cold and hot water using vortex tube
KR20150028509A (en) 2013-09-06 2015-03-16 박영선 Cooling system for low-temperature warehouse and system for supplying hot water using the cooling system
JP2021524361A (en) * 2018-05-18 2021-09-13 ティー・アンラップド・エルエルシー Systems and methods for quantitative discharge of water controlled at an accurate temperatur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0126Y1 (en) * 2007-03-20 2008-05-26 주식회사 상천 Portable car wash
KR100893584B1 (en) * 2007-10-25 2009-04-17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for supplying cold and hot water using vortex tube
KR20150028509A (en) 2013-09-06 2015-03-16 박영선 Cooling system for low-temperature warehouse and system for supplying hot water using the cooling system
JP2021524361A (en) * 2018-05-18 2021-09-13 ティー・アンラップド・エルエルシー Systems and methods for quantitative discharge of water controlled at an accurate tempera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4385B1 (en) Water Suppl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3871218B2 (en) Paddy field water management system
KR102537970B1 (en) Closed expansion tank and auto pressure control type water cooling system for transformer
KR102368792B1 (en) Hot water system for beverage factory
CN107120829A (en) The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single water tank constant temperature water supply
CN110704274A (en) Temperature control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solid state disk
CN112315313A (en) Method, processor,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a water drinking apparatus
CN108870527A (en) A kind of method and energy supplying system of energy supply
KR20200140426A (en) Operation control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ubmersible pump
CN108319257A (en) Robot control system upgrade method and device
JP2009243758A (en) Hot water supply system
CN103868243A (en) Water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hot water system and hot water system
ES2954271T3 (en) Procedure for the production of a glyoxylated polyacrylamide dry strength agent
CN111594902B (en) Anti-freezing method and floor heating system
CN110377085B (en) Recharging automation control device
CN103345456B (en) Regulate circuit and the method for BootLoader enabling address
KR101877620B1 (en) Vale actuator having self control function
KR100838235B1 (en) Apparatus for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 thereby
US20230053488A1 (en) Continued power for grinder pumps based on elevated load
CN205500880U (en) Alkali decrement waste water acid out system
CN213179600U (en) Water replenishing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cooling tower
CN112160899A (en) Intelligent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water inlet pump room
CN211204929U (en) Smelting furnace cooling circulation water automatic control device
CN111584109B (en) Cavity building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voltage stabilizer of nuclear power unit
KR100420215B1 (en) vinyl house storage of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