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565B1 -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8565B1
KR102368565B1 KR1020200086189A KR20200086189A KR102368565B1 KR 102368565 B1 KR102368565 B1 KR 102368565B1 KR 1020200086189 A KR1020200086189 A KR 1020200086189A KR 20200086189 A KR20200086189 A KR 20200086189A KR 102368565 B1 KR102368565 B1 KR 102368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ing
foreign material
removal
carri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1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08077A (en
Inventor
박용모
권재환
권태준
박현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86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8565B1/en
Publication of KR2022000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80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8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85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14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vertical rotor shaft, e.g. combined with sif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2Shape or inner surface of mill-housings
    • B02C13/284Built-in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42Driving mechanisms; Roller speed control
    • B02C4/423Driving mechanisms; Roller speed control with vibrating or oscill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물이 안착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차륜들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쌓인 이물질을 밀어낼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제거부; 및 밀어낸 이물질을 파쇄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파쇄부;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on which an object can be seated and having rotatable wheels; a removal unit movably installed in the body to push out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body; And it relates to a conveying device and a conveying method comprising a; and a crushing unit that is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rotatably at least a part so as to crush the pushed foreign substances.

Description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Transport device and transport method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본 발명은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device and a transpor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ansport device and a transport method capable of easi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제선공정, 제강공정, 연주공정, 및 압연공정을 통하여 최종 생산품인 선재, 코일, 후판 등을 생산한다. 이 중, 제강공정에서는 고로에서 생산된 쇳물(용선) 중의 탄소(C), 인(P), 유황(S)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용선을 전로에 넣고 순수한 산소를 불어 넣어 깨끗한 상태의 용강을 생산한다. 이러한 용강은 래들에 담기고, 래들은 대차에 실려 후속공정을 위해 이송된다. In general, a steel mill produces wire rods, coils, thick plates, and the like, which are final products through a wire-making process, a steel-making process, a casting process, and a rolling process. Among them, in the steelmaking process, in order to remove impurities such as carbon (C), phosphorus (P), and sulfur (S) in the molten iron (molten iron) produced in the blast furnace, molten iron is put into a converter and pure oxygen is blown into the molten steel in a clean state. to produce This molten steel is put in a ladle, and the ladle is loaded onto a bogie and transported for subsequent processing.

이때, 제강공정이 수행되는 제강공장이나 예비처리공장에서는 천정기중기를 이용하여 지상에 있는 대차로 래들을 이송시키거나, 대차 상에 위치하는 래들을 다른 장소로 이송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대차는 상부에 래들을 실은 상태에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래들을 운반할 수 있다.In this case, in a steelmaking plant or a preliminary processing plant where the steelmaking process is performed, the ladle may be transferred to a bogie on the ground by using a overhead crane, or the ladle located on the bogie may be transferred to another place. The bogie can transport the ladle while moving along the rail with the ladle loaded on the upper part.

그러나 대차가 래들을 싣고 이동하면서, 대차에 지금이나 더스트와 같은 이물질이 쌓일 수 있다. 특히, 대차에 래들이 안착된 부분 주위로 많은 이물질이 쌓일 수 있다. 따라서, 천정기중기의 후크가 이물질에 충돌하여 천정기중기가 래들을 대차 상에 안착시키거나 대차 외부로 이송하는 작업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However, as the bogie moves with the ladle,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and dirt may accumulate on the bogie. In particular, a lot of foreign substances may be accumulated around the part where the ladle is seated on the bogie. Therefore, the hook of the overhead crane collides with foreign substances, and the overhead crane may not be able to seat the ladle on the bogie or transfer the ladle to the outside of the bogie.

또한, 이동하는 후크가 이물질에 걸려 탈선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이물질에 걸린 후크가 갑자기 이동하면서 래들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후크나 래들이 손상될 수 있고, 후크나 래들의 수명이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an accident in which a moving hook is caught by a foreign substance and derails may occur, and an accident in which a hook caught in a foreign substance moves suddenly and collides with the ladle may occur. Accordingly, the hook or ladle may be damaged, and the life of the hook or ladle may be reduced.

KR 10-0885949 BKR 10-0885949 B

본 발명은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device and a transport method capable of easily removing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은 이물질을 파쇄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device and a transport method capable of crushing and recycling foreign substances.

본 발명은 대상물이 안착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차륜들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쌓인 이물질을 밀어낼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제거부; 및 밀어낸 이물질을 파쇄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파쇄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on which an object can be seated and having rotatable wheels; a removal unit movably installed in the body to push out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body; and a crushing unit, at least a part of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body, so as to crush the pushed out foreign material.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거부가 이물질을 밀어내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공간을 가지며, 상기 파쇄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된다.The body part has a first space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a position where the removal part pushes out foreign substances,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crushing part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상기 파쇄부는, 상기 차륜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차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 및 회전 가능하게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파쇄돌기를 구비하는 파쇄부재;를 포함한다.The crushing unit may include: a power transmission member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wheels so as to be able to rotate by rotation of the wheels; and a crushing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crushing protrus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결합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파쇄돌기는,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다.The crushing member includes a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and the crushing protrusion is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and is spirally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차륜의 회전축과 상기 파쇄부재의 회전축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The rotation shaft of the wheel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crushing member ar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차륜의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파쇄부재의 회전축에 제공한다.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provid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al shaft of the wheel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crushing member.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차륜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단부에 결합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파쇄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한다.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may include: a shaft coaxially connected to a rotation shaft of the wheel; a first gear coupled to an end of the shaft; and a second gea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rushing member and meshed with the first gear.

상기 파쇄부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의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는 분쇄부재;를 포함한다.The crushing unit may include a driving member capable of generating power; and a crushing member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and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power of the driving member.

상기 구동부재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재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외주면에 분쇄돌기를 구비한다.The driving member includes a motor, and the crushing member is provided in plurality,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provided with a crushing protrus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상기 파쇄부는, 내부가 상기 제1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부재는, 내부에 파쇄된 이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회수부재몸체와, 이물질과 접촉 가능하고 이물질 중 금속 재질을 분류할 수 있도록 자기력을 갖으며 상기 회수부재몸체에 설치되는 자성체를 포함한다.The crushing unit includes a recovery member having an interio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pace and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dy, wherein the recovery member includes a recovery member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storing crushed foreign substances therein; It has a magnetic force to be in contact with and to classify a metal material among foreign substances, and includes a magnetic body installed in the recovery member body.

상기 몸체부는, 상부에 상기 대상물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재와, 내부에 상기 제1 공간과 분리되는 제2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거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부재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된다.The body part includes a seating member on which the object can be mounted, and a second space separated from the first space therein, and the removal part, at least a part of which may protrude to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member, , is movably arranged in the second space.

상기 제거부는, 상기 제2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이물질과 접촉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거부재; 및 상기 대상물의 하중을 상기 제거부재에 구동력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한다.The removal unit may include: a base disposed under the second space; a removal member movab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oreign material; and a transmission member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to provide the load of the object as a driving force to the removal member.

상기 제거부재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슬릿과, 상기 슬릿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구비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체와 접촉하며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바를 구비한다.The removal member includes a slit inclined downward and an elastic body disposed in the slit, and the transmission member includes a guide bar inserted into the slit and in contact with the elastic body and movable along the slit.

상기 제거부는, 상기 전달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거부재에 삽입되는 보조가이드바를 구비하며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보조전달부재;를 포함한다.The removal unit includes a; auxiliary transmission member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having an auxiliary guide bar inserted into the removal member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본 발명은 대상물을 운반하는 운반 방법으로서, 운반기에 상기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과정; 상기 대상물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운반기의 제거부가 상기 운반기에 쌓인 이물질을 밀어내는 과정; 상기 운반기를 이동시키는 과정; 및 밀어낸 이물질을 파쇄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port method for transporting an object, the process comprising: seating the object on a transporter; a process in which the removal unit of the carrier pushes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carrier by using the load of the object; moving the carrier; and crushing the pushed foreign substances.

상기 밀어낸 이물질을 파쇄하는 과정은, 상기 운반기에 구비된 차륜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운반기의 파쇄부를 함께 회전시키는 과정; 낙하하는 이물질에 충격을 가하여 이물질을 분쇄하는 과정; 및 분쇄된 이물질을 회수하고, 자기력을 이용하여 회수된 이물질로부터 금속재질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crushing of the extruded foreign material may include: rotating the crushing unit of the conveyer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wheel provided on the conveyer; The process of crushing the foreign material by applying an impact to the falling foreign material; and recovering the pulverized foreign material, and extracting the metal material from the recovered foreign material using magnetic force.

상기 밀어낸 이물질을 파쇄하는 과정은, 별도의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운반기의 파쇄부를 회전시키는 과정; 낙하하는 이물질을 압착시켜 분쇄하는 과정; 및 분쇄된 이물질을 회수하고, 회수한 이물질을 분류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ocess of crushing the extruded foreign material is a process of generating a separate power to rotate the crushing unit of the carrier; The process of crushing and crushing the falling foreign matter; and a process of recovering the pulverized foreign material and classifying the recovered foreign material.

상기 제거부가 상기 운반기에 쌓인 이물질을 밀어내는 과정은, 상기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거부의 전달부재를 하측으로 눌러 회전시키는 과정; 상기 전달부재의 단부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거부의 제거부재를 전진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거부재를 상기 운반기의 상부면을 따라 이물질과 함께 수평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ocess of the removal part pushing the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carrier may include rotating the transfer member of the removal part by pressing the transfer member downward by the load of the object; advancing the removal member of the removal unit by moving the end of the transmission member upward; and horizontally moving the removal member along with the foreign material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rrier.

상기 운반기를 정지시키는 과정; 및 상기 대상물을 운반기에서 분리시켜, 상기 제거부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stopping the vehicle; and separating the object from the carrier to return the removal unit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대상물는 내부에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은 용강이 비산되어 상기 운반기에 고착된 지금을 포함하며, 상기 운반기에 상기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과정은, 천정기중기로 상기 래들을 상기 운반기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object includes a ladle capable of accommodating molten steel therein, and the foreign material includes a metal from which molten steel is scattered and fixed to the carrier, and the process of seating the object on the carrier is to lift the ladle with an overhead crane The process of being seated on the carrier;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운반장치에 이물질을 용이하게 게거하여 파쇄할 수 있다. 이에, 운반장치에 대상물을 싣는 작업 및 대상물을 운반할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을 운반하는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and crush foreign substances in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perform the operation of loading the object on the transport device and the operation of transporting the object. 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of carrying the object can be improved.

또한,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대상물을 운반장치에 안착시키는 기중기가 이물질에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천정기중기가 손상되어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foreign material is remov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in which the crane for mounting the object on the transport device collides with the foreign materi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verhead crane from being damaged and the lifespan from being reduced.

또한, 운반장치의 상면에 쌓인 이물질을 거의 모두 제거하므로, 청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lmost all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device are removed, cleanliness can be improved.

또한, 파쇄된 이물질을 회수하여, 이물질을 제강 공정에서 재활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운반장치가 이동하는 중에 회수된 이물질로부터 금속재질을 분류하므로, 별도로 분류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전체 공정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rushed foreign material may be recovered, and the foreign material may be recycled in the steelmaking process. In addition, since the metal material is classified from the foreign substances recovered while the transport device is moving, a separate classification process can be omitted, thereby simplifying the entire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거부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쇄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거부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removal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rus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removal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complete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in order to expla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refer to the same elements.

본 발명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운반 장치 및 운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철소의 제선공정 또는 제강공정에 사용되는 설비를 기준으로 하여 실시 예를 설명한다. 또한, 운반장치는 이동경로(예컨데, 레일)를 따라 래들을 운반하는 대차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ort device and a transport method capable of removing foreign substances. Hereinafter, an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on the basis of equipment used in a steelmaking process or a steelmaking process in a steel mill. Also, the transport device may be a bogie for transporting the ladle along a moving path (eg, a rail).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용어 중, '전방'과 '후방'은 운반장치가 이동하는 방향을 지칭하며, 운반장치에서 후술하는 회수부재가 설치되는 방향이 '전방'일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이 '후방'일 수 있다. Meanwhile, among terms for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ront' and 'rear' refe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port device move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overy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in the transport device is installed may be 'front', , the opposite direction may be 'rea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거부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파쇄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process of rejection, Fig. 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rush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the operation of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agram showing the process.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운반장치(1000)에 안착될 수 있는 대상물(10)에 관해 설명한다. 대상물(10)은 내부에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다. 대상물(10)은 운반장치(1000)를 통해 이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이송방향은 운반장치(1000)에 의해 대상물(10)이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도면상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 혹은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object 10 that can be seated on the transport device 1000 will be described. The object 10 may accommodate the melt therein. The object 10 may move in the transport direction through the transport device 1000 . Here, the transfer direction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10 is moved by the transport device 1000 , and may be a direction from front to rear or a direction from rear to front in the drawing.

또한, 대상물(10)은 용기부재(11), 돌출부재(12) 및 걸이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재(11)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10 may include a container member 11 , a protruding member 12 and a hanging member 13 . The container member 11 may have an internal space, and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돌출부재(12)는 한쌍으로 마련되며, 용기부재(11)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재(12)는 용기부재(11)의 외주면에서 이송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이하 교차방향이라 함)으로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교차방향은 이송방향에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돌출부재(12)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쌍의 돌출부재(12)가 후술하는 몸체부(1100)의 안착부재(1150)에 안착될 수 있다.The protruding member 12 is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tainer member 11 . That is, the protruding member 12 ma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member 11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tersecting direction) intersecting the conveying direction. Here, the crossing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horizontally orthogonal to the conveying direction. For example, the protruding member 12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pair of protruding members 12 may be seated on a seating member 1150 of the body 1100 to be described later.

걸이부재(13)는 한쌍의 돌출부재(1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걸이부재(13)는 일부가 돌출부재(12)에서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이고, 일부가 원기둥의 단부에서 이송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재(13)는 대상물(10)을 운반장치(1000)로 이송하는 천정기중기(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상물(10)은 운반장치(1000)로 이송되거나 혹은 운반장치(1000)로부터 다른 장소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대상물(10)은 예컨데,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래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후술되는 이물질(P)은 대상물(10)에 수용된 용강이 비산되어 운반장치(1000)의 상면에 고착된 지금이나, 혹은 더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대상물(10)과 이물질(P)의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The hanging member 13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protruding members 12 . The hanging member 13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a cross direction from the protruding member 12, and a portion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cylinder in the transport direction. The hanging member 13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verhead crane 20 for transporting the object 10 to the transport device 1000 . Accordingly, the object 10 may be transported to the transport device 1000 or transported from the transport device 1000 to another location. Here, the object 10 may include, for example, a ladle capable of accommodating molten steel. On the other hand, the foreign material (P) to be described later may include molten steel accommodated in the object 10 is scatter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device 1000, or dust. However, the scope of application of the object 10 and the foreign material P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운반장치(1000)는 대상물(10)을 운반할 수 있는 장치로서, 대상물(10)이 안착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차륜(1140)을 구비하는 몸체부(1100), 몸체부(1100)에 쌓인 이물질(P)을 밀어낼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몸체부(1100)에 설치되는 제거부(1200) 및 밀어낸 이물질(P)을 파쇄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몸체부(1100)에 설치되는 파쇄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ransport device 1000 is a device capable of transporting the object 10, on which the object 10 can be seated and includes a body 1100 having a rotatable wheel 1140, and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body 1100 At least part of the removal part 1200 installed on the body part 1100 to be movably installed to push the (P) and at least a part of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body part 1100 to crush the pushed foreign substances (P). A crusher 1300 may be included.

몸체부(1100)는 미리 정해진 이송경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송경로는 레일(30)일 수 있다. 몸체부(1100)는 몸체부재(1110), 차륜(1140) 및 안착부재(115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ody part 1100 may be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a predetermined transport path. For example, the transport path may be the rail 30 . The body part 1100 may include a body member 1110 , a wheel 1140 , and a seating member 1150 .

몸체부재(1110)는 사각형의 프레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재(1110)는 이송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1 연결바(1111), 교차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 연결바(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연결바(1112)들 중 하나가, 제1 연결바(1111)들의 전단부 사이에 결합되고, 다른 하나가 제1 연결바(1111)들의 하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연결바(1111)와 제2 연결바(1112)는 사각혐의 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member 111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frame shape. For example, the body member 1110 may include a pair of first connecting bars 1111 extending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a pair of second connecting bars 1112 extending in the cross direction. That is, one of the second connection bars 1112 may be coupled between the front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bars 1111 , and the other may be coupled with the lower ends of the first connection bars 1111 . The first connecting bar 1111 and the second connecting bar 1112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beam shape.

여기서, 몸체부재(1110)의 중심부에는 사각형의 구멍(11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중심부는 몸체부재(1110)의 이송방향 길이 및 교차방향 길이의 중심일 수 있다. 구멍(1113)의 면적은 용기부재(11)의 단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돌출부재(12)가 안착부재(1150)에 안착되면, 대상물(10)의 용기부재(11)가 사각형의 구멍(1113)에 삽입되며 대상물(10)의 하부가 구멍(1113)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Here, a rectangular hole 1113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member 1110 . Here, the center may be the center of the length of the body member 1110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the cross direction. The area of the hole 1113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tainer member 11 . Accordingly, when the protruding member 12 is seated on the seating member 1150 , the container member 11 of the object 10 is inserted into the rectangular hole 1113 ,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bject 10 is inside the hole 1113 . can be located in

또한, 몸체부재(1110)는 제거부(1200)가 이물질(P)을 밀어내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공간(1120)과, 제1 공간(1120)과 분리된 제2 공간(1130)을 가질 수 있다. 제1 공간(1120)에는 파쇄부(13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공간(1130)에는 제거부(120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간(1120)은 제1 연결바(1111)의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간(1120)의 상부는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개방된 상부를 통해, 이물질(P)이 제1 공간(112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body member 1110 includes a first space 1120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a position where the removal unit 1200 pushes the foreign material P, and a second space 1130 separated from the first space 1120 . ) can have The crushing unit 130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space 1120 , and the removing unit 120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1130 . For example, the first space 1120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111 . Here,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120 may be opened. Accordingly, the foreign material P may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space 1120 through the open upper part.

또한, 제2 공간(1130)은 제1 영역(1131)과 제2 영역(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1131)은 교차방향에 대하여 제1 공간(1120)의 외측에 위치하고, 이송방향을 따라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바(1111)를 기준으로 교차방향에 대하여 사각형 구멍(1113)이 위치하는 방향이 내측일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이 외측일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131)의 이송방향 길이는 제1 공간(1120)의 이송방향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131)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Also, the second space 1130 may include a first area 1131 and a second area 1132 . The first region 1131 may be a space located outside the first space 1120 with respect to the crossing direction and formed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Here,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tangular hole 1113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cross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connecting bar 1111 may be the inside, and the opposite direction may be the outside. Also, a length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region 1131 may be longer than a length in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space 1120 . Als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region 1131 may be opened.

제2 영역(1132)은 제1 공간(1120)의 후방이면서, 제1 영역(1131)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즉, 제2 영역(1132)은 교차방향 길이가 제1 공간(1120)의 교차방향 길이와 유사한 길이로 형성되고, 이송방향의 길이가 제1 영역(1131)의 이송방향 길이와 제1 공간(1120)의 이송방향 길이의 차와 유사한 길이로 형성되는 공간일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1132)의 상부는 몸체부재(1110)의 벽체에 의해 커버되어, 막혀있을 수 있다. 하기에서는 몸체부재(1110) 중 제2 영역의 상부를 덮어주는(즉, 커버하는) 벽체를 상부벽체(1114)라고 한다. 여기서, 몸체부재(1110)의 상부벽체(1114)에 주로 이물질(P)이 쌓이게 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한다.The second region 1132 may be a space formed inside the first region 1131 while being behind the first space 1120 . That is, in the second region 1132 , the length in the cross direction is formed to have a length similar to the length in the cross direction of the first space 1120 , and the length in the transfer direction is equal to the length in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first region 1131 and the first space ( 1120) may be a space formed with a length similar to the difference in length in the transport direction.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1132 may be covered by the wall of the body member 1110 to be blocked. Hereinafter, a wall covering (ie,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gion of the body member 1110 is referred to as an upper wall 1114 . Here, the foreign material P may be mainly accumulated on the upper wall 1114 of the body member 1110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again below.

또한, 제1 연결바(1111)의 전방측 단면에는 배출구(1115)가 구비될 수 있다. 배출구(1115)는 제1 공간(1120)과 연통되고, 후술하는 파쇄부(1300)의 회수부재(1340)와 연통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outlet 1115 may be provided at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bar 1111 . The outlet 1115 may communicate with the first space 1120 , and may communicate with the recovery member 1340 of the crushing unit 1300 to be described later.

차륜(1140)은 몸체부재(111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륜(1140)은 바퀴일 수 있다. 차륜(1140)은 복수개로 마련되어 몸체부재(1110)의 양측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레일(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륜(1140)은 제2 공간(1130)의 제1 영역(1131)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파쇄부(1300)의 동력전달부재(132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wheel 1140 may movably support the body member 1110 . For example, the wheel 1140 may be a wheel. The wheel 1140 is provided in plurality and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member 1110, respectively. It may be disposed on the rail 30 . For example, the wheel 114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rea 1131 of the second space 113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320 of the crushing unit 1300 to be described later.

한편, 몸체부재(1110)는 전차(미도시)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다. 즉, 전차의 이동에 의해 몸체부재(1110)가 이동할 수 있다. 이에, 전차가 몸체부재(1110)를 당겨주며 차륜(1140)이 레일(30) 상에서 회전할 수 있고, 몸체부재(1110)가 레일(30)을 따라 전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body member 1110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a train (not shown). That is, the body member 1110 may move by the movement of the train. Accordingly, the train pulls the body member 1110 , the wheel 1140 may rotate on the rail 30 , and the body member 1110 may advance along the rail 30 .

안착부재(1150)는 몸체부재(1110)의 상부, 구체적으로 제2 공간(1130)의 제2 영역(1132)의 상측에 위치하며, 대상물(10)을 지지할 수 있다. 안착부재(1150)는 한쌍으로 마련되며, 몸체부재(1110)의 상면, 즉 상부벽체(1114)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쌍의 안착부재(1150)는 몸체부재(1110)의 상면 중 구멍(1113)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재(1150)는 후술하는 제거부(1200)의 제거플레이트(1232)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안착부재(1150)는 돌출부재(12)와 접촉하며 대상물(1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부재(115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제거부(1200)의 전달부재(122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관통되고 제2 공간(1130)과 연통되는 삽입홀(1151)이 형성될 수 있다. The seating member 1150 is positioned above the body member 1110 , specifically, above the second region 1132 of the second space 1130 , and can support the object 10 . The seating member 1150 is provided as a pair, and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1110 , that is, the upper wall 1114 . For example, the pair of seating members 115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hole 111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1110 . In addition, the seating member 1150 may be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have a higher height than the removal plate 1232 of the removal part 120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seating member 1150 may be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member 12 to support the object 10 . In addition, the insertion hole 1151 penetr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space 1130 so that the transfer member 1220 of the removal unit 1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be installed inside the seating member 1150 . can be formed.

한편, 대상물(10)이 안착되는 과정에서, 대상물(10)의 외주면에 고착된 지금이 안착부재(1150)와 인접한 상부벽체(1114)로 낙하할 수 있다. 또는, 대상물(10) 내부의 용융물이 비산되며 몸체부재(1110)의 상면으로 튈 수 있다. 이때, 용융물은 주로 안착부재(1150)와 인접한 상부벽체(1114)로 튈 수 있다. 비산된 용융물은 안착부재(1150)와 인접한 상부벽체에 떨어져 고착될 수 있다. 이에, 안착부재(1150)와 인접한 상부벽체(1114)에는 지금, 즉 이물질(P)이 쌓이게 될 수 있다. 이때, 제거부(1200)를 통해 몸체부재(1110)의 상면에 쌓인 이물질(P)을 제거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ocess in which the object 10 is seated, the metal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bject 10 may fall to the upper wall 1114 adjacent to the seating member 1150 . Alternatively, the molten material inside the object 10 may be scattered and splashed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1110 . At this time, the molten material may mainly splash toward the upper wall 1114 adjacent to the seating member 1150 . The scattered melt may fall and be fixed to the upper wall adjacent to the seating member 1150 . Accordingly, on the upper wall 1114 adjacent to the seating member 1150 , that is, the foreign material P may be accumulated. In this case, the foreign material P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1110 may be removed through the removal unit 1200 .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거부(1200)는 몸체부(1100)에 쌓인 이물질(P)을 밀어내어, 몸체부(1100)의 상면에서 이물질(P)을 제거할 수 있다. 제거부(1200)는 제2 공간(1130)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몸체부(1100)에 설치될 수 있다. 제거부(1200)는 베이스(1210), 전달부재(1220) 및 제거부재(1230)를 포함할 수 있다.2, 3 and 5 , the removal unit 1200 pushes the foreign material P accumulated on the body unit 1100 to remove the foreign material P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1100 . . The removal unit 120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1130 , and at least a part of it may be installed in the body unit 1100 to be movable. The removal unit 1200 may include a base 1210 , a transmission member 1220 , and a removal member 1230 .

베이스(1210)는 제2 공간(1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1210)는 이송방향 및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플레이트일 수 있다. 또한, 베이스(12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부에 전달부재(1220)가 결합되는 제1 지지바(121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지지바(1211)는 교차방향에 대하여 안착부재(1150)의 하측에 배치되고, 이송방향에 대하여 삽입홀(1151)이 형성되는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바(1211)는 전달부재(12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함몰된 홈과, 교차방향으로 관통된 홀을 갖을 수 있다. The base 1210 may be disposed under the second space 1130 . The base 1210 may be a plate extending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the cross direction. In addition, the base 1210 may include a first support bar 1211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transmission member 122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For example, the first support bar 1211 may be disposed below the seating member 1150 in the cross direction, and may be disposed in front of a position where the insertion hole 1151 is form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bar 1211 may have a groove recess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and a hole penetrating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so that the transmission member 1220 can be coupled thereto.

전달부재(1220)는 적어도 일부가 안착부재(115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고, 이동 가능하게 제2 공간(113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전달부재(1220)는 대상물(10)과 접촉하여 대상물(10)의 하중을 제거부재(1230)에 구동력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달부재(1220)는 제1 몸체(1221), 제2 몸체(1222) 및 가이드바(1223)를 포함할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20 may protrude upward of the seating member 1150 and may be movably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1130 . Accordingly, the transmission member 1220 may be in contact with the object 10 to provide the load of the object 10 as a driving force to the removal member 1230 . Also, the transmission member 1220 may include a first body 1221 , a second body 1222 , and a guide bar 1223 .

제1 몸체(122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안착부재(1150)의 삽입홀(1151)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몸체(1221)는 일부가 안착부재(115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삽입홀(1151) 및 제2 공간(1130)의 제2 영역(1132)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몸체(1221)는 대상물(10)과 접촉하여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몸체(1221)는 제2 몸체(122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함몰된 홈과 교차방향으로 관통될 홀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몸체(1221)는 제2 몸체(1222)와 힌지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body 1221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51 of the seating member 1150 . That is, the first body 1221 may be disposed in the insertion hole 1151 and the second region 1132 of the second space 1130 so that a part of the first body 1221 protrudes above the seating member 1150 . Accordingly, the first body 1221 may move downward in contact with the object 10 . The first body 1221 may have a hole to be penetrated in the cross direction with the vertically recessed groove at the lower end so that the second body 1222 is rotatably coupled. For example, the first body 1221 may be hinged with the second body 1222 .

제2 몸체(1222)는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2 몸체(1222)는 후방측 단부가 제1 몸체(12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측 단부가 가이드바(1223)에 결합되며, 전방측 단부와 후방측 단부의 사이 부분이 베이스(1210)의 제1 지지바(1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몸체(1222)는 제1 지지바(1211)에 힌지 결합되어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제2 몸체(1222)의 전방측 단부 및 후방측 단부가 각각 상승이동 및 하강이동 하거나, 혹은 하강이동 및 상승이동할 수 있다. The second body 1222 may have a bar shape extending in a cross direction. The second body 1222 has a rea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1221, a front end coupled to the guide bar 1223, and a portion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is a base ( It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bar 1211 of the 1210 . For example, the second body 1222 may be hinged to the first support bar 1211 to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ccordingly,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second body 1222 may move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or may move downward and upward.

가이드바(1223)는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형상으로 마련되며, 제거부재(1230)에 삽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바(1223)는 후술하는 제거부재(1230)의 슬릿(1231a)에 삽입되어, 슬릿(1231a)의 형성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몸체(1222)의 회전에 연동하여 슬릿(1231a)에 삽입된 상태로 상승이동 혹은 하강이동할 수 있다.The guide bar 1223 is provid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cross direction,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removal member 1230 . More specifically, the guide bar 1223 is inserted into the slit 1231a of the removal member 1230 to be described later, and can move along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slit 1231a. That is,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1222, it can move upward or downwar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lit 1231a.

한편, 전달부재(1220)의 제1 몸체(1221), 제2 몸체(1222), 가이드바(1223)가 결합된 구조를 시소 구조라고 한다. 여기서, 시소 구조는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물체에 힘을 제공하는 구조로서, 막대(즉, 제2 몸체)를 받치는 고정된 받침점(즉, 제1 지지바), 힘을 가하는 힘점(즉, 제1 몸체). 힘이 작용되는 작용점(가이드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시소 구조를 통해 가한 힘보다 작용하는 힘이 더 커질 수 있게 할 수 있다. 시소 구조를 통한 동작 및 효과는 후술하는 제거부재(1230)가 이물질(P)을 제거하는 동작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재한다.Meanwhile,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body 1221 , the second body 1222 , and the guide bar 1223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20 are combined is referred to as a seesaw structure. Here, the seesaw structure is a structure that provides a force to an object using the principle of a lever, a fixed fulcrum (ie, the first support bar) supporting the rod (ie, the second body), and a force point that applies a force (ie, the second body) 1 body). It may consist of an action point (guide bar) where a force is applied. The seesaw structure allows the applied force to be greater than the applied force. The operation and effect through the seesaw structure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removal member 1230 to remove the foreign material P,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거부재(1230)는 이물질(P)과 접촉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이동 가능하게 몸체부(11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거부재(1230)가 이동하며, 이물질(P)을 밀어낼 수 있다. 즉, 제거부재(1230)가 이물질(P)과 접촉한 상태에서 이물질(P)과 함께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며 몸체부재(1110)의 상면에서 이물질(P)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거부재(1230)는 이동플레이트(1231) 및 제거플레이트(123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emoval member 123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00 so that at least a part thereof is movabl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oreign material P. Accordingly, the removal member 1230 may move and push the foreign material P. That is, while the removal member 1230 is in contact with the foreign material P, it moves in the transport direction together with the foreign material P, and the foreign material P can be remov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1110 . In addition, the removal member 1230 may include a movable plate 1231 and a removal plate 1232 .

이동플레이트(1231)는 제2 공간(1130)의 제1 영역(1131)에 배치되며,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이동플레이트(1231)는 제1 영역(1131) 내에서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동플레이트(1231)는 내부에 교차방향으로 관통되고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슬릿(1231a)과, 슬릿(1231a)에 배치되고 신장 수축 가능한 탄성체(1231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슬릿(1231a)에 교차방향으로 가이드바(1223)가 삽입되고, 가이드바(1223)가 탄성체(1231b)에 의해 가압되며, 슬릿(1231a)의 전방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The moving plate 1231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rea 1131 of the second space 1130 and may have a bar shape that is inclin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transport direction. The moving plate 1231 may move along the transfer direction within the first area 1131 . In addition, the movable plate 1231 may include a slit 1231a penetrating in a cross direction and inclined downward, and an elastic body 1231b disposed in the slit 1231a and capable of stretching and contracting. Here, the guide bar 1223 is inserted into the slit 1231a in a cross direction, the guide bar 1223 is pressed by the elastic body 1231b, and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slit 1231a.

제거플레이트(1232)는 이물질(P)과 접촉 가능하며, 이물질(P)을 이송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제거플레이트(1232)는 이동플레이트(1231)의 후방측 단부에 결합되며, 몸체부재(111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거플레이트(1232)는 이물질(P)을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을 갖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거플레이트(1232)는 이송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고, 교차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거플레이트(1232)의 내측면은 안착부재(1150)의 외측면과 인접하거나 혹은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거플레이트(1232)와 안착부재(1150)의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게 하여, 제거플레이트(1232) 이동시 사이의 틈으로 이물질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removal plate 1232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foreign material P, and may push the foreign material P in the transfer direction. The removal plate 1232 is coupled to the rear end of the movable plate 1231 , and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1110 . The removal plate 1232 may have an area capable of covering the foreign material P. For example, the removal plate 123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a predetermined area in the cross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Here, the inner surface of the removal plate 1232 may be provided to be adjacent to or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member 115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gap from being formed between the removal plate 1232 and the seating member 1150 , so that foreign substances do not leak into the gap between the removal plate 1232 when moving.

한편, 이동플레이트(1231)에 삽입된 가이드바(1223)가 시소 운동에 의해 상승 이동하면, 이동플레이트(1231)에 상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고, 관통된 슬릿(1231a)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가이드바(1223)가 슬릿(1231a)에 삽입된 상태로 상승 이동하며 이동플레이트(1231)가 전방으로 딸려올 수 있다. 이때, 이동플레이트(1231)에 결합된 제거플레이트(1232)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며, 이물질(P)을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거플레이트(1232)와 결합된 이동플레이트(1231)를 상부가 개방된 제2 공간(1130)의 제1 영역(1131)을 따라 전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동플레이트(1231)의 전방측 단부는 제1 영역(1131) 전방측 단부까지 이동할 수 있고, 제거플레이트(1232)는 제2 영역(1132)의 전방측 단부까지 이동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guide bar 1223 inserted into the moving plate 1231 moves upward by the seesaw motion, a force can be applied to the moving plate 1231 upward, and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penetrating slit 1231a. The guide bar 1223 moves upward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slit 1231a, and the movable plate 1231 may come forward. At this time, the removal plate 1232 coupled to the moving plate 1231 also moves forward together, and the foreign material P can be moved forward by pushing it. That is, the movable plate 1231 coupled to the removal plate 1232 may be advanced along the first region 1131 of the second space 1130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Here, the front end of the movable plate 1231 may move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region 1131 , and the removal plate 1232 may move to the front end of the second region 1132 .

이에, 제거플레이트(1232)가 이물질(P)을 파쇄부(1300)가 배치되는 제1 공간(1120)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시소 구조를 통해 대상물(10)로부터 제공된 힘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힘을 제거부재(1230)에 제공하므로,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이물질(P)을 효과적으로 밀어낼 수 있다. Accordingly, the removal plate 1232 may drop the foreign material P into the first space 1120 in which the crushing unit 1300 is disposed. Here, since a relatively greater force than the force provided from the object 10 is provided to the removal member 1230 through the seesaw structur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ush the foreign material P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파쇄부(1300)는 제거부(1200)가 밀어낸 이물질(P)을 파쇄하는 역할을 한다. 파쇄부(1300)는 몸체부(1100)에 구비된 차륜(1140)들 중 어느 하나의 차륜(1140)과 연결되며, 차륜(1140)의 회전에 연동하여 적어도 일부가 회전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파쇄부(1300)가 몸체부(1100)의 전방측 단부에 구비된 차륜(1140)과 연결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즉, 파쇄부(1300)는 제1 공간(1120)에 배치되며, 제2 공간(1130)의 하부에 배치된 차륜(1140)과 연결될 수 있다. 2 to 5 , the crushing unit 1300 serves to crush the foreign material P pushed by the removal unit 1200 . The crushing unit 1300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wheels 1140 of the wheels 1140 provided in the body 1100 , and at least a part thereof may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wheel 1140 .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crushing unit 1300 is connected to the wheel 1140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body 1100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That is, the crushing unit 130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space 1120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wheel 1140 disposed under the second space 1130 .

또한, 파쇄부(1300)는 이물질과 접촉하여 이를 분쇄하는 파쇄부재(1310), 차륜(114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고 차륜(114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파쇄부(1300)는 이물질(P)이 파쇄부재(1310)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가이드부재(1330) 및 파쇄한 이물질(P)을 회수할 수 있는 회수부재(1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ushing unit 1300 may include a crushing member 1310 that comes in contact with foreign substances to crush it, and a power transmission member 1320 that rotates by rotation of the wheel 1140 and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heel 1140. there is. In addition to this, the crushing unit 1300 includes a guide member 1330 that can guide the foreign material P to move toward the crushing member 1310 and a recovery member 1340 that can collect the crushed foreign material P. may include more.

파쇄부재(1310)는 차륜(114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고, 회전시 이물질(P)에 충격을 가하여 이물질(P)을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로 분쇄시킬 수 있다. 파쇄부재(1310)는 제1 공간(1120)의 이송방향 길이의 중심 및 교차방향 길이의 중심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파쇄부재(1310)는 회전체(1311) 및 파쇄돌기(13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파쇄부재(1310)는 파쇄돌기(1312)에 설치되는 스크래퍼(1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rushing member 1310 may rotate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wheel 1140 , and may crush the foreign material P into relatively small particles by applying an impact to the foreign material P during rotation. The crushing member 131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length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the center of the length in the cross direction of the first space 1120 . Also, the crushing member 1310 may include a rotating body 1311 and a crushing protrusion 1312 . In addition to this, the crushing member 1310 may further include a scraper 1313 installed on the crushing protrusion 1312 .

회전체(1311)는 동력전달부재(1320)에 연결되며, 동력전달부재(1320)를 통해 전달되는 차륜(114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체(13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이에, 회전체(1311)는 회전의 중심이 되는 회전축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하방향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The rotating body 1311 is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320 and may rotate us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heel 1140 transmitted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320 . For example, the rotating body 131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rotating body 1311 has a rotating shaft serving as a center of rot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ay rotate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based on the vertical direction.

파쇄돌기(1312)는 회전체(1311)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쇄돌기(1312)는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증가하는 나선형 형상일 수 있다. 이에, 제거부(1200)에 의해 밀려, 제1 공간(1120)으로 낙하하는 이물질(P)이 나선형 형상의 파쇄돌기(1312)와 접촉하며 접촉한 부분부터 순차적으로 분쇄될 수 있다.The crushing protrusion 1312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1311 and may be formed to extend helically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Here, the crushing protrusion 1312 may have a helical shape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ccordingly, the foreign material P pushed by the removal unit 1200 and falling into the first space 112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piral-shaped crushing protrusion 1312 and may be sequentially crushed from the contacted portion.

스크래퍼(1313)는 파쇄돌기(1312)의 단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톱니가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스크래퍼(1313)의 끝단은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스크래퍼(1313)가 파쇄돌기(1312)와 함께 회전하며, 이물질(P)을 더 효과적으로 파쇄할 수 있다. The scraper 1313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crushing protrusion 1312,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teeth protrude. Here, the tip of the scraper 1313 may be sharply formed. Accordingly, the scraper 1313 rotates together with the crushing protrusion 1312, and the foreign material P can be crushed more effectively.

동력전달부재(1320)는 차륜(1140)과 파쇄부재(1310)에 각각 연결되며, 차륜(1140)의 회전력을 파쇄부재(131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동력전달부재(1320)는 교차방향으로 배치된 차륜(1140)의 회전축과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파쇄부재(1310)의 회전축을 연결시킬 수 있다. 즉, 동력전달부재(1320)는 서로 교차 배치된 회전축들을 이어주어, 구동력을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재(1320)는 샤프트(1321), 제1 기어(1322) 및 제2 기어(13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320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wheel 1140 and the crushing member 1310 , and may provid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heel 1140 to the crushing member 1310 . Here,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320 may connect the rotation shaft of the wheel 1140 disposed in the cross direction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crushing member 1310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320 may transfer the driving force by connecting the rotation shafts that are intersected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1320 may include a shaft 1321 , a first gear 1322 , and a second gear 1323 .

샤프트(1321)는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샤프트(1321)는 회전축이 차륜(1140)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배치되도록 차륜(11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차륜(1140)이 회전할 때, 샤프트(1321)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The shaft 1321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cross direction. The shaft 1321 may be coupled to the wheel 1140 such that the rotating shaft is disposed on the same axis as the rotating shaft of the wheel 1140 . Accordingly, when the wheel 1140 rotates, the shaft 1321 may also rotate.

제1 기어(1322)는 샤프트(1321)의 단부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샤프트(1321)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기어(1322)는 샤프트(1321)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2 기어(1323)는 회전체(1311)에 결합되며, 회전축이 회전체(1311)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어(1323)는 제1 기어(1322)와 치합될 수 있다. 즉, 제1 기어(1322) 및 제2 기어(1323)는 서로 교차하는 두 회전축 사이에서 운동력을 전달하는 원추형의 기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어(1322) 및 제2 기어(1323)는 베벨기어(bevel gear)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샤프트(1321)가 차륜(1140)으로부터 교차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기어(1322) 및 제2 기어(1323)를 통해 상하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파쇄부재(131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The first gear 1322 may be installed at an end of the shaft 1321 , and a rotating shaft may be disposed coaxially with the rotating shaft of the shaft 1321 . Accordingly, the first gear 1322 may rotate together with the shaft 1321 . The second gear 1323 may be coupled to the rotating body 1311 , and a rotating shaft may be disposed on the same axis as the rotating shaft of the rotating body 1311 . The second gear 1323 may mesh with the first gear 1322 . That is, the first gear 1322 and the second gear 1323 may be a conical gear that transmits a kinetic force between two rotating shafts crossing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gear 1322 and the second gear 1323 may include bevel gears. Accordingly, the shaft 1321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having the crossing direction as the rotational axis from the wheel 1140 and converts it into the rotational force with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rotational axis through the first gear 1322 and the second gear 1323, and the crushing member ( 1310) may transmit a driving force.

가이드부재(1330)는 몸체부(1100)에 설치되고, 파쇄부재(1310)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1330)는 제1 공간(1120)을 형성하는 몸체부(1100)에 설치되고, 제1 공간(1120)의 상부에서 파쇄부재(1310)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부재(1330)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거부(1200)에 의해 밀려온 이물질(P)이 가이드부재(1330)를 타고 흐르며, 파쇄부재(1310)의 상측으로 낙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P)이 파쇄부재(1310)와 접촉하지 못하고 제1 공간(1120)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guide member 1330 may be installed on the body 1100 an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crushing member 1310 . That is, the guide member 1330 may be installed in the body portion 1100 forming the first space 1120 , and may be disposed inclinedly toward the crushing member 1310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pace 1120 . For example, the guide member 133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ccordingly, the foreign material P pushed by the removal unit 1200 may flow along the guide member 1330 and fall to the upper side of the crushing member 131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eign material P from falling into the first space 1120 without contacting the crushing member 1310 .

회수부재(1340)는 파쇄부재(1310)에서 분쇄되어 나온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이물질(P)을 회수할 수 있다. 회수부재(1340)는 회수부재몸체(1341)와 자성체(134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recovery member 1340 may recover relatively small particles of foreign matter P that are crushed from the crushing member 1310 . The recovery member 1340 may include a recovery member body 1341 and a magnetic body 1342 .

회수부재몸체(1341)는 내부에 공간을 갖고,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박스 형상일 수 있다. 회수부재몸체(1341)는 몸체부(1100)의 전방측 단부, 예컨데 배출구(1115)가 형성된 부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수부재몸체(1341)는 후방측 하단부에는 유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구는 배출구(1115)와 연통될 수 있다. The recovery member body 1341 may have a space therein and may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shape with an open top. The recovery member body 1341 may be coupled to a front end of the body 1100 , for example, a portion in which the outlet 1115 is formed. In addition, the recovery member body 1341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side. The inlet may communicate with the outlet 1115 .

또한, 유입구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안내판(1341a)이 형성될 수 있다. 안내판(1341a)은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안내판(1341a)은 파쇄된 이물질(P)이 회수부재몸체(1341)의 내부로 원활히 유입되게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제1 공간(1120)에서 파쇄된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의 이물질(P)이 유입구 및 안내판(1341a)를 통해 회수부재몸체(134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guide plates 1341a may be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let, respectively. The guide plate 1341a may have a plate shape that is inclined downward. The guide plate 1341a serves to guide the crushed foreign material P to smoothly flow into the inside of the recovery member body 1341 . Accordingly, the foreign material P of relatively small particles crushed in the first space 1120 may be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recovery member body 1341 through the inlet and the guide plate 1341a and stored therein.

자성체(1342)는 파쇄된 이물질(P)과 접촉 가능하고, 파쇄된 이물질(P) 중 금속 재질을 분류할 수 있다. 즉, 파쇄된 이물질(P)로부터 금속 재질의 물질을 추출할 수 있다. 자성체(1342)는 복수개로 마련되어, 회수부재몸체(1341)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성체를 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회수부재몸체(1341)에 파쇄된 이물질(P)이 유입되면 자성체(1342)가 자기력을 이용하여 금속 재질의 물질을 당겨올 수 있다. The magnetic body 1342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crushed foreign material P, and may classify a metal material among the crushed foreign material P. That is, it is possible to extract a metal material from the crushed foreign material P. The magnetic body 1342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be disposed side by side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overy member body 1341 . For example, the magnetic material may be provided as a magnet. Accordingly, when the crushed foreign material P is introduced into the recovery member body 1341 , the magnetic body 1342 may pull the metal material by using magnetic force.

상기에서 설명한 운반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components of the transport device 1000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에서 제거부가 이물질을 제거하고, 파쇄부가 이물질을 파쇄하는 과정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운반 방법을 설명하면서 그 과정을 함께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in which the removal unit removes foreign substances and the crusher crushes the foreign substances in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ogether while explaining the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거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removal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ructure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In this case, a description of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몸체부(1100)의 베이스(1210)는 제1 지지바(1211)의 전방에 위치하는 제2 지지바(12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바(1212)는 베이스(1210)의 전방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바(1212)는 제1 지지바(1211)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더 길 수 있다. 제2 지지바(1212)는 후술하는 보조전달부재(124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단부에 상하방향으로 함몰된 홈과 교차방향으로 관통된 홀을 가질 수 있다.The base 1210 of the body 1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bar 1212 positioned in front of the first support bar 1211 . For example, the second support bar 1212 may be disposed at the front end of the base 1210 . The second support bar 1212 may have a longer vertical length than the first support bar 1211 . The second support bar 1212 may have a vertically recessed groove and a hole penetrating in the cross direction at the upper end so that the auxiliary transmission member 1240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movably coupled thereto.

제거부(1200)는 전달부재(1220)의 구동력을 제거부재(1230)에 전달해줄 수 있는 보조전달부재(1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moval unit 1200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transmission member 1240 capable of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20 to the removal member 1230 .

보조전달부재(1240)의 전방측 단부는 제2 지지바(1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전달부재(1240)는 제2 지지바(1212)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보조전달부재(1240)의 후방측 하단부는 하향 절곡 형성되며, 전달부재(12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보조전달부재(1240)가 전달부재(1220)의 제2 몸체(1222)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승이동 혹은 하강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보조전달부재(1240)는 후방측 상단부에 보조가이드바(1241)를 구비할 수 있다. 보조가이드바(1241)는 교차방향으로 연장되며, 이동플레이트(1231)의 슬릿(123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보조가이드바(1241)가 전달부재(1220)의 전방측 단부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이동플레이트(1231)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부터 이동플레이트(1231)의 경사진 각도가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ront end of the auxiliary transmission member 124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bar 1212 . For example, the auxiliary transmission member 1240 may be hinged to the second support bar 1212 . The lower end of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transmission member 1240 is bent downward, and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1220 . Accordingly, the auxiliary transmission member 1240 may move upward or downward in respons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1222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20 . In addition, the auxiliary transmission member 1240 may be provided with an auxiliary guide bar 1241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side. The auxiliary guide bar 1241 extends in the cross direction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slit 1231a of the movable plate 1231 . Accordingly, the auxiliary guide bar 1241 may be connected to the movable plate 1231 at a position relatively higher than the front end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20, and the inclined angle of the movable plate 1231 therefrom is relatively gentle. can be formed.

일반적으로, 힘은 방향성을 갖고 있으며, 힘이 작용하는 지점에서의 힘의 크기는 수학식 1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In general, a force has a direction, and the magnitude of the force at a point where the force acts may be determined by Equation 1.

N = F |cosθ|N = F |cosθ|

(여기서. N은 힘이 작용하는 부분에서의 힘의 크기이고, F는 가해지는 힘의 크기이고, θ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힘이 작용하는 방향의 각도를 의미한다.) (Here. N is the magnitude of the force in the part where the force is applied, F is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force, and θ is the angl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acts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plane.)

이러한, 수학식 1에서 F 값이 일정할 때, 변수값인 θ이 작아질수록 N 값이 커질 수 있다. 각도 θ가 0°이상 내지 90° 이하의 범위에서 θ값이 작아질수록 힘이 작용하는 지점에서의 힘의 크기 N이 커질 수 있다. 즉, 각도 θ가 작아질수록 힘의 손실이 줄어 들수 있다.In Equation 1, when the value of F is constant, the value of N may increase as the variable θ decreases. When the angle θ is in the range of 0° or more to 90° or less, as the value of θ decreases, the magnitude N of the force at the point where the force acts may increase. That is, as the angle θ becomes smaller, the loss of force can be reduced.

따라서, 보조가이드바(1241)가 상승이동 할 때,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이동플레이트(1231)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이동플레이트(1231)는 보조가이드바(1241)의 상승이동에 연동하여, 상대적으로 작은힘으로도 슬릿(1231a)의 형성방향을 따라 이동플레이트(1231)가 전방으로 딸려올 수 있다. 이에, 힘의 손실을 감소시켜 상대적으로 작은힘으로 이물질(P)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auxiliary guide bar 1241 moves upward, it is possible to move the moving plate 1231 forward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That is, the movable plate 1231 is linked to the upward movement of the auxiliary guide bar 1241 , and the movable plate 1231 can come forward along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slit 1231a even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foreign material P with a relatively small force by reducing the loss of force.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에서 제거부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은 하기에서 제2 실시 예에 따른 운반방법을 설명하면서 그 과정을 함께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ocess of removing the foreign material by the removal unit in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the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상기에서 설명한 운반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components of the transport device 1000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구조를 설명한다. 제3 실시 예에 따른 운반장치는 별도의 구동부를 구비하고, 구동부를 통해 파쇄부를 동작시켜 이물질을 파쇄할 수 있는 운반장치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와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8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8, the structure of a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a transport device that has a separate driving unit and can crush foreign substances by operating the crushing unit through the driving unit. In this case, a description of the same structur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파쇄부(130)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부재(1350), 이물질(P)과 접촉하여 이를 분쇄하는 분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분쇄부재는 하나로 마련되거나 혹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분쇄부재가 복수개로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즉, 제1 분쇄부재(1360) 및 제2 분쇄부재(1370)로 마련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The crushing unit 130 may include a driving member 1350 capable of generating power, and a crushing membe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oreign material P and crushes it. Here, the crushing member may be provided in one or a plurality of pieces. Hereinafter, a case in which a plurality of crushing members are provided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That is, a case in which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and the second crushing member 1370 are provided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구동부재(1350)는 제1 분쇄부재(1360) 및 제2 분쇄부재(137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재(1350)는 제1 공간(1120)에 배치되거나, 혹은 제2 공간(1130)의 제1 영역(1131)에 배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구동부재(1350)가 제1 공간(1120)에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구동부재(1350)가 제1 구동부재(1350a) 및 제2 구동부재(1350b)로 마련되어, 제1 분쇄부재(1360)와 제2 분쇄부재(1370)에 각각 연결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구동부재(1350)는 하나로 마련되어 제1 분쇄부재(1360) 및 제2 분쇄부재(1370)에 각각 동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동부재(1350a) 및 제2 구동부재(1350b)는 각종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ving member 1350 may generate a rotational driving force so that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and the second crushing member 1370 may rotate. For example, the driving member 135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space 1120 or in the first area 1131 of the second space 1130 .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driving member 1350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1120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In addition, a case in which the driving member 1350 is provided as the first driving member 1350a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1350b and i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and the second crushing member 1370 is exemplarily Explain. However, one driving member 1350 may be provided to provide power to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and the second crushing member 1370,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first driving member 1350a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1350b may include various motors.

제1 분쇄부재(1360)는 회전 가능하며, 회전시 이물질(P)에 충격을 가하여 이물질(P)을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로 분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쇄부재(136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분쇄부재(1360)은 제1 공간(11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분쇄부재(1360)는 제1 공간(1120)의 상하방향 길이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분쇄부재(1360)는 제1 연결축(1361), 제1 중심체(1362) 및 제1 분쇄돌기(1363)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is rotatable, and may crush the foreign material P into relatively small particles by applying an impact to the foreign material P during rotation. For example,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may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space 1120 . For example,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first space 1120 .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shaft 1361 , a first central body 1362 , and a first crushing protrusion 1363 .

제1 연결축(1361)은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구동부재(1350a)와 제1 중심체(136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축(1361)은 제1 구동부재(1350a)의 동력을 제1 중심체(1362)로 전달할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shaft 136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cross direction, and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member 1350a and the first central body 1363 . The first connecting shaft 1361 may transmit the power of the first driving member 1350a to the first central body 1362 .

제1 중심체(1362)는 교차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연결축(1361)보다 직경이 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중심체(1361)는 제1 연결축(1361)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연결되며, 교차방향을 회전축으로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central body 1362 may extend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connecting shaft 1361 . The first central body 1361 is connected on the same axis as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connection shaft 1361, and may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with an intersection direction as the rotation axis.

제1 분쇄돌기(1363)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제1 중심체(1362)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교차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쇄돌기(1363)는 제1 중심체(1362)의 둘레를 따라 요철(凹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분쇄돌기(1363)는 돌출된 부분과 함몰된 부분이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분쇄돌기(1363)는 제1 중심체(1362)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first crushing protrusion 1363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entral body 1362, an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intersecting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crushing protrusion 1363 may be formed in a concave-convex structur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entral body 1362 . That is, the first crushing protrusion 1363 may have a protruding portion and a recessed portion alternately formed. The first crushing protrusion 1363 may rotate clockwise together with the first central body 1362 .

제2 분쇄부재(1370)는 제2 구동부재(1350b)의 동력을 통해 제1 분쇄부재(1360)와 반대방향(예컨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시 이물질(P)에 충격을 가하여 이물질(P)을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로 분쇄시킬 수 있다. 제2 분쇄부재(1370)는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제1 분쇄부재(1360)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분쇄부재(1370)는 제1 분쇄부재(1360)와 동일한 높이에서 이송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분쇄부재(1370)는 제2 연결축(1371), 제2 중심체(1372) 및 제2 분쇄돌기(137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crushing member 1370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eg, counterclockwise) to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through the power of the second driving member 1350b, and applies an impact to the foreign material P during rotation. It is possible to pulverize the foreign material (P) into relatively small particles. The second crushing member 1370 may be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based on the transport direction. That is, the second crushing member 1370 may b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transport direction. The second grinding member 1370 may include a second connecting shaft 1371 , a second central body 1372 , and a second grinding protrusion 1373 .

제2 연결축(1371)은 교차방향으로 연장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구동부재(1350b)와 제2 중심체(1372)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축(1371)은 제2 구동부재(1350b)의 동력을 제2 중심체(1372)에 전달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shaft 137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in the cross direction, and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driving member 1350b and the second central body 1372 . The second connecting shaft 1371 may transmit the power of the second driving member 1350b to the second central body 1372 .

제2 중심체(1372)는 교차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연결축(1371)보다 직경이 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중심체(1372)는 제2 연결축(1371)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연결되며, 교차방향을 회전축으로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central body 1372 may extend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and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longer than that of the second connecting shaft 1371 . The second central body 1372 is connected on the same axis as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connection shaft 1371 , and may rotate counterclockwise with the cross direction as the rotation axis.

제2 분쇄돌기(1373)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제2 중심체(1372)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교차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분쇄돌기(1373)는 제1 분쇄돌기(1363)과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교차방향으로 이격된 제1 분쇄돌기(1363)들 사이에 제2 분쇄돌기(1373)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분쇄돌기(1373)는 제1 중심체(1362)의 둘레를 따라 요철(凹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분쇄돌기(1373)는 제2 중심체(1362)와 함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제2 분쇄부재(1370)는 제1 분쇄부재(1360)와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제1 분쇄부재(1360)와 제2 분쇄부재(1370)가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가이드부재(1330)를 따라 낙하하는 이물질(P)을 제1 분쇄부재(1360)와 제2 분쇄부재(1370)의 사이로 유입시켜 분쇄할 수 있다.The second crushing projections 1373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central body 1372, and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ross direction. Here,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s 1373 may be alternately disposed with the first grinding protrusions 1363 . That is, the second crushing projections 137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rushing projections 1363 spaced apart in the cross dir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crushing protrusion 1373 may be formed in a concave-convex structur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entral body 1362 . The second grinding protrusion 1373 may rotate counterclockwise together with the second central body 1362 . Accordingly, the second crushing member 1370 may rotate in a direction engaged with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 That is,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and the second crushing member 1370 rotate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mesh with each other, and the foreign material P falling along the guide member 1330 is removed by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and the second crushing member 1360 . It can be pulverized by introducing it between the pulverizing members 1370 .

한편, 제1 공간(1120)을 형성하는 몸체부(1110)의 바닥면은 이송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 분쇄부재(1360) 및 제2 분쇄부재(1370)를 통해 분쇄된 이물질(P)이 경사진 바닥면을 따라 이송방향으로 이동하며 회수부재(1340)로 회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10 forming the first space 1120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Accordingly, the foreign material P pulverized through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and the second crushing member 1370 may move in the transport direction along the inclined bottom surface and may be recovered by the recovery member 1340 .

한편, 제1 구동부재(1350a) 및 제2 구동부재(1350b)는 각각 감지센서(미도시)가 마련되며, 차륜(114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차륜(1140)이 회전할 때 함께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구동부재(1350a) 및 제2 구동부재(1350b)는 리모콘, 스위치 등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하기에서는, 제1 구동부재(1350a) 및 제2 구동부재(1350b)에 감시센서가 구비되어, 차륜(1140)의 회전에 연동하여 작동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driving member 1350a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1350b are each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not shown), detect the movement of the wheel 1140, and can be driven together when the wheel 1140 rotates. there is. Also, the first driving member 1350a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1350b may be driven by a remote controller, a switch, or the like. Hereinafter, a case in which a monitoring sensor is provided in the first driving member 1350a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1350b and operated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wheel 1140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상기에서 설명한 운반장치(1000)의 구성 요소들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components of the transport device 1000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vary.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 방법은 대상물을 운반하는 방법으로, 운반기에 대상물(10)을 안착시키는 과정(S110), 대상물(10)의 하중을 이용하여 운반기의 제거부(1200)가 운반기에 쌓인 이물질(P)을 밀어내는 과정(S120), 운반기를 이동시키는 과정(S130) 및 밀어낸 이물질(P)을 파쇄하는 과정(S14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운반기는 상술한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장치(10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기에서는 운반기가 운반장치(1000)인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방법에서 이물질을 파쇄하는 과정은 이물질(P)이 운반장치(1000) 내에 마련된 파쇄부(1300)에 의해 파쇄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즉, 이물질(P)이 운반장치(1000) 내에서 파쇄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transporting an object, in which the process of seating the object 10 on the transporter (S110), the removal unit 1200 of the transporter using the load of the object 10 is mounted on the transporter. It may include a process (S120) of pushing the accumulated foreign material (P), a process of moving the carrier (S130), and a process of crushing the pushed foreign material (P) (S140). Here, the transporter may include the transporting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transporter is the transporting device 1000 will be exemplarily described. Meanwhile, the process of crushing foreign substances in the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foreign substances P are crushed by the shredding unit 1300 provided in the transport device 1000 . That is, it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foreign material (P) is crushed in the transport device (1000).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운반방법을 설명한다. 하기에서는 운반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 및 제3 실시 예의 동일한 동작은 함께 설명하고, 상이한 동작은 각각의 실시 예를 나누어 설명한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port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9 .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transport method, the sam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together, and the different operations will be described separately for each embodiment.

도 1 및 도 5(a)를 참조하면, 운반장치(1000)에 대상물(10)을 안착시킬 수 있다(S110). 즉, 천정기중기(20)로 대상물(10)을 운반장치(1000)의 안착부재(1150)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대상물(10)의 걸이부재(13)는 천정기중기(20)의 후크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대상물(10)을 운반장치(1000)에 안착시키기 위해, 천정기중기(20)로 대상물(10)을 운반장치(1000)의 사각형 구멍(1113)의 상측에 대상물(10)을 위치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5 ( a ), the object 10 may be seated on the transport device 1000 ( S110 ). That i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seating the object 10 on the seating member 1150 of the transport device 1000 with the overhead crane 20 . The hanging member 13 of the object 10 may be supported by being caught on the hook of the overhead crane 20 . In order to seat the object 10 on the transport device 1000 , the object 1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rectangular hole 1113 of the transport device 1000 by using the overhead crane 20 .

이후, 천정기중기(20)가 대상물(1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대상물(10)의 용기부재(11)는 구멍(1113) 내에 위치하고, 대상물(10)의 돌출부재(12)는 운반장치(1000)의 안착부재(115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안착되는 대상물(10)의 하중에 의해 제거부(1200)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할 수 있다. 즉, 안착부재(1150)에 대상물(10)을 안착시키는 과정과 제거부(1200)를 작동시키는 과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Then, when the overhead crane 20 moves the object 10 to the lower side, the container member 11 of the object 10 is located in the hole 1113, and the protruding member 12 of the object 10 is a transport device ( 1000) may be seated on the mounting member 1150. At this time, at least a portion of the removal unit 1200 may be moved by the load of the seated object 10 . That is, the process of seating the object 10 on the seating member 1150 and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removal unit 1200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한편, 대상물(10)이 안착되는 과정에서, 대상물(10)의 외주면에 고착된 지금이 안착부재(1150)와 인접한 상부벽체(1114)로 낙하할 수 있다. 또는, 대상물(10) 내부의 용융물이 비산되며 몸체부재(1110)의 상면으로 튈 수 있다. 이때, 지금 및 용융물은 주로 안착부재(1150)와 인접한 상부벽체(1114)로 튈 수 있다. 이에, 안착부재(1150)에 인접한 상부벽체(1114)에는 이물질(P)이 쌓이게 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ocess in which the object 10 is seated, the metal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bject 10 may fall to the upper wall 1114 adjacent to the seating member 1150 . Alternatively, the molten material inside the object 10 may be scattered and splashed on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member 1110 . At this time, the current and the melt may mainly splash toward the upper wall 1114 adjacent to the mounting member 1150 . Accordingly, foreign substances P may be accumulated on the upper wall 1114 adjacent to the seating member 1150 .

도 3(a) 내지 도 3(c) 및 도 5(b)를 참조하면, 대상물(10)이 전달부재(1220)를 하측으로 눌러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대상물(10)의 하중에 의해 전달부재(1220)의 제1 몸체(1221)를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 몸체(122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전달부재(1220)의 전방측 단부에 결합된 가이드바(1223)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1 지지바(1211)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전달부재(1220)를 시소 운동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a) to 3(c) and 5(b), the object 10 may rotate by pressing the transmission member 1220 downward. That is, the first body 1221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20 is moved downward by the load of the object 10 , the second body 122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and the front side of the transmission member 1220 is The guide bar 1223 coupled to the end may be moved upward. That is, the transmission member 1220 may seesaw motion with the first support bar 1211 as a rotation center.

가이드바(1223)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가이드바(1223)가 제거부재(1230)의 이동플레이트(1231)에 상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바(1223)를 관통된 슬릿(1231a)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상승 이동시키며 이동플레이트(1231)를 전방으로 딸려오도록 할 수 있다. 즉, 가이드바(1223)를 제2 몸체(1222)에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하게 상승 이동시켜, 이동플레이트(1231)를 이송방향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이때, 제거부재(1230)의 제거플레이트(1232)도 함께 전진 이동하며, 운반장치(1000)의 상부면에 쌓인 이물질(P)을 밀어낼 수 있다(S120). 즉, 제거플레이트(1232)를 운반장치(1000)의 상부면을 따라 이물질(P)과 함께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수평 이동은 운반장치(1000)가 레일(30)을 따라 이동하는 방향인 이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 즉, 제거부재(1230)를 이송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이물질(P)을 이송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When the guide bar 1223 is moved upward, the guide bar 1223 may apply upward force to the moving plate 1231 of the removal member 1230 . At this time, the guide bar 1223 may be moved upward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slit 1231a penetrated, and the movable plate 1231 may be brought forward. That is, by vertically moving the guide bar 1223 while being fixed to the second body 1222 , the moving plate 1231 can be advanc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At this time, the removal plate 1232 of the removal member 1230 also moves forward together, and it is possible to push the foreign material P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device 1000 ( S120 ). That is, the removal plate 1232 may be horizontally moved along with the foreign material P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device 1000 . Here, the horizontal movement may be moving in the transfer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transport device 1000 moves along the rail 30 . That is, by moving the removal member 1230 in the transport direction, the foreign material P can be push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한편, 이동플레이트(1231)가 전진하는 과정에서, 슬릿(1231a)에 배치된 탄성체(1231b)는 가이드바(1223)에 의해 가압되며 수축될 수 있다. Meanwhile, while the moving plate 1231 moves forward, the elastic body 1231b disposed in the slit 1231a may be compressed and contracted by the guide bar 1223 .

여기서,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이동플레이트(1231)를 제2 공간(1130)의 제1 영역(1131)의 전방측 단부까지 이동시킬 수 있고, 제거플레이트(1232)를 제2 공간(1130)의 제2 영역(1132)의 전방측 단부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이물질(P)이 가이드부재(1330)를 타고 파쇄부(1300)가 배치되는 제1 공간(1120)으로 낙하할 수 있다. Here, the moving plate 1231 may be moved to the front end of the first area 1131 of the second space 1130 based on the transfer direction, and the removal plate 1232 may be moved to the second space 1130 of the second space 1130 . 2 It is possible to move to the front end of the region 1132 . Accordingly, the foreign material P rides on the guide member 1330 and may fall into the first space 1120 in which the crushing unit 1300 is disposed.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는,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물(10)이 제1 몸체(1221)를 눌러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 몸체(122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제2 몸체(1222)의 단부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몸체(1222)의 단부와 연결된 보조전달부재(1240)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보조전달부재(1240)의 후방측 상단부에 구비된 보조가이드바(1241)가 상승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보조가이드바(1241)가 삽입된 이동플레이트(1231)에 상측으로 힘을 가할 수 있고, 관통된 슬릿(1231a)의 경사진 방향을 따라 보조가이드바(1241)를 상승 이동시키며, 이동플레이트(1231) 및 제거플레이트(1232)를 전진시킬 수 있다. 이에, 운반장치(1000)의 상면에 쌓인 이물질(P)을 파쇄부(1300)를 향하여 밀어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 when the object 10 moves downward by pressing the first body 1221, the second body 1222 is rotated counterclockwise. may be rotated to move the end of the second body 1222 upward. At this time, the auxiliary transmission member 124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body 1222 may move upward together, and the auxiliary guide bar 1241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rear side of the auxiliary transmission member 1240 may move upward. . Accordingly, a force can be applied upward to the moving plate 1231 into which the auxiliary guide bar 1241 is inserted, and the auxiliary guide bar 1241 is moved upwardly along the inclined direction of the penetrated slit 1231a, and the moving plate (1231) and the removal plate 1232 can be advanced. Accordingly, the foreign material P accumul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device 1000 may be pushed toward the crushing unit 1300 .

이후, 운반장치(1000)를 이동시킬 수 있다(S130). 즉, 레일(30) 상에서 운반장치(100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차(미도시)를 전진시켜 운반장치(1000)를 전방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차륜(1140)이 회전하며, 운반장치(1000)를 이송방향으로 전진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하는 차륜(1140)에 의해 파쇄부(1300)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즉, 운반장치(1000)를 이동시키는 과정과 파쇄부(1300)를 작동시키는 과정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Thereafter, the transport device 1000 may be moved (S130). That is, the transport device 1000 may be pulled forward by advancing a train (not shown) disposed in front of the transport device 1000 on the rail 30 . Accordingly, the wheel 1140 rotates, and the transport device 1000 may be advanc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At this time, the crushing unit 1300 may rotate together by the rotating wheel 1140 . That is, the process of moving the transport device 1000 and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crusher 1300 may be simultaneously performed.

도 4 및 도 5(c)를 참조하면, 밀어낸 이물질(P)을 파쇄할 수 있다(S140). 차륜(1140)의 회전에 연동하여 파쇄부재(1310)를 함께 회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제적으로, 차륜(1140)과 샤프트(1321) 및 제1 기어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기어와 치합된 제2 기어가 회전할 수 있고 제2 기어(1323)가 파쇄부재(131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차륜(1140)의 회전에 연동하여 밀어낸 이물질(P)을 파쇄부재(1310)가 회전하며 파쇄시킬 수 있다. 즉, 이에, 낙하하는 이물질(P)에 충격을 가하여 이물질을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로 분쇄시킬 수 있다. 4 and 5 (c), it is possible to crush the pushed out foreign material (P) (S140). The crushing member 1310 may be rotated together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wheel 1140 . More specifically, the wheel 1140 , the shaft 1321 , and the first gear may be rotated at the same time. In this case, the second gear meshed with the first gear may rotate, and the second gear 1323 may transmit a rotational force to the crushing member 1310 . Accordingly, the crushing member 1310 rotates to crush the foreign material P pushed out in associ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wheel 1140 . That is, by applying an impact to the falling foreign material P, it is possible to pulverize the foreign material into relatively small particles.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하는 이물질(P)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분쇄부재(1360)와 제2 분쇄부재(1370)의 사이로 유입시킬 수 있다. 이때, 별도로 동력을 발생시켜 제1 분쇄부재(1360) 및 제2 분쇄부재(137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제1 구동부재(1350a) 및 제2 구동부재(1350b)에 각각 구비된 감지센서가 차륜(1140)의 회전을 감지하고, 감지에 반응하여 제1 구동부재(1350a) 및 제2 구동부재(!350b)가 동력을 발생시켜, 발생된 구동력을 제1 분쇄부재(1360) 및 제2 분쇄부재(1370)에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제1 분쇄돌기(1363) 및 제2 분쇄돌기(1373)가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물질(P)을 압착시켜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로 분쇄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분쇄부재(1360) 및 제2 분쇄부재(1370)는 리모콘과 같은 원격기기, 혹은 스위치 등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 falling foreign substances P are introduced between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and the second crushing member 1370 rotating in opposite directions. can In this case,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and the second crushing member 1370 may be rotated by separately generating power. That is, the detection sensors provided in each of the first driving member 1350a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1350b detect the rotation of the wheel 1140 , and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the first driving member 1350a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1350a and the second driving member 350b may generate power, and the generated driving force may be provided to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and the second crushing member 1370,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first crushing protrusion 1363 and the second crushing protrusion 1373 rotate in a meshing direction to compress the foreign material P to be crushed into relatively small particles. Meanwhile, the first crushing member 1360 and the second crushing member 1370 may be operated by a remote device such as a remote control or a switch.

이후, 회수부재(1340)를 이용하여 분쇄된 이물질(P)을 회수하고, 회수한 이물질(P)을 분류할 수 있다. 즉, 회수부재몸체(1341)에 유입된 분쇄된 이물질(P)을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자성체(1342)의 자기력을 이용하여 회수된 이물질(P)로부터 금속재질을 추출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pulverized foreign material P may be recovered using the recovery member 1340 and the recovered foreign material P may be classified. That is, it is possible to classify the pulverized foreign material P introduced into the recovery member body 1341 . At this time, the metal material may be extracted from the recovered foreign material P by us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ic body 1342 .

이후, 운반장치(100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전차의 이동속도를 점차 감소시키며 운반장치(1000)를 정지시킬 수 있다.Thereafter, the transport device 1000 may be stopped. That is, it is possible to gradually reduce the moving speed of the vehicle and stop the transport device 1000 .

이후, 대상물(10)을 운반장치(1000)에서 분리시켜, 제거부(1200)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거부(1200)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은 제거부(1200)가 이물질(P)을 밀어내기 위해 수평 이동하는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여기서, 수축되었던 탄성체(1231b)가 신장되면서, 가이드바(1223)를 밀어줄수 있고, 이에 이동플레이트(1231) 및 제거플레이트(1232)가 후진할 수 있다.Thereafter, the object 10 may be separated from the transport device 1000 to return the removal unit 1200 to its original position. Here, the process in which the removal unit 120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process in which the removal unit 1200 horizontally moves to push the foreign material (P). Here, as the contracted elastic body 1231b is extended, the guide bar 1223 may be pushed, and thus the movable plate 1231 and the removal plate 1232 may move backward.

한편, 운반장치(1000)가 정지하면, 작업자는 회수부재몸체(1341)를 몸체부(1100)로부터 분리하여 파쇄된 이물질(P)과 금속재질로 나눌 수 있다. 즉, 회수부재몸체(1341)를 뒤집어 상대적으로 작은 입자로 분쇄된 이물질(P)을 따로 수집하고, 회수부재몸체(1341)의 자성체에 붙어 있는 금속재질을 수집할 따로 수집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nsport device 1000 is stopped, the operator can separate the recovery member body 1341 from the body 1100 and divide it into crushed foreign substances P and a metal material. That is, the collecting member body 1341 may be turned over to separately collect the foreign material P pulverized into relatively small particles, and the metal material attached to the magnetic body of the recovery member body 1341 may be separately collected.

이처럼, 운반장치에 이물질이 쌓이더라도, 제거부로 이물질을 운반장치의 상면에서 제거하고, 제거한 이물질을 파쇄할 수 있다. 이에, 대상물을 운반장치에 싣는 작업 및 대상물을 운반하는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대상물을 운반하는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this way, even if foreign substances are accumulated in the transport device, the foreign substances can be remov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port device by the removal unit, and the removed foreign substances can be crush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perform the operation of loading the object on the transport device and the operation of transporting the object. 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the operation of carrying the object can be improv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such,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 대상물 20: 천정기중기
1000: 운반장치 1100: 몸체부
1200: 제거부 1300: 파쇄부
10: object 20: overhead crane
1000: transport device 1100: body portion
1200: removing unit 1300: crushing unit

Claims (19)

대상물이 안착될 수 있고, 회전 가능한 차륜들을 구비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쌓인 이물질을 밀어낼 수 있도록,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제거부; 및
밀어낸 이물질을 파쇄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에 설치되는 파쇄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제거부가 이물질을 밀어내는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제1 공간을 가지며,
상기 파쇄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는 운반장치.
a body portion on which an object can be seated and having rotatable wheels;
a removal unit movably installed in the body to push out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in the body; and
and a crushing unit at least a part of which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body to crush the pushed out foreign material; and
The body part has a first space form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position where the removal part pushes the foreign material,
The crushing unit, at least a portion of the transport device is disposed in the first spac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상기 차륜의 회전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차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 및
회전 가능하게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파쇄돌기를 구비하는 파쇄부재;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ushing unit,
a power transmission member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wheels to rotate by rotation of the wheels; and
A transport device comprising a; a crushing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ving a crushing protrus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재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결합되는 회전체를 구비하고,
상기 파쇄돌기는,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운반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crushing member includes a rotating body coupled to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The crushing projection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the conveying device is formed in a spiral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차륜의 회전축과 상기 파쇄부재의 회전축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차륜의 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파쇄부재의 회전축에 제공하는 운반장치.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rotation shaft of the wheel and the rotation shaft of the crushing member are disposed to cross each other,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is a conveying device for provid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onal shaft of the wheel to the rotational shaft of the crushing member.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차륜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연결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단부에 결합되는 제1 기어; 및
상기 파쇄부재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a shaft coaxially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wheel;
a first gear coupled to an end of the shaft; and
A transport device comprising a; a second gea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rushing member and meshed with the first gea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의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간에 배치되는 분쇄부재;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rushing unit,
a driving member capable of generating power; and
and a crushing member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and disposed in the first space so as to be rotatable by the power of the driving member.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재는, 복수개로 마련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외주면에 분쇄돌기를 구비하는 운반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riving member includes a motor,
The pulverizing member is provided in plurality, is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a conveying device having a pulverizing protrusio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부는, 내부가 상기 제1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회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수부재는, 내부에 파쇄된 이물질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 회수부재몸체와, 이물질과 접촉 가능하고 이물질 중 금속 재질을 분류할 수 있도록 자기력을 갖으며 상기 회수부재몸체에 설치되는 자성체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8,
The crushing unit includes a recovery member having an inside communicated with the first space and installed under the body portion,
The recovery member includes a recovery member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capable of storing crushed foreign substances therein, a magnetic body capable of contacting foreign substances and having a magnetic force to classify metal materials among foreign substances, and installed in the recovery member body. Containing carrier.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부에 상기 대상물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재와, 내부에 상기 제1 공간과 분리되는 제2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제거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안착부재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고, 이동 가능하게 상기 제2 공간에 배치되는 운반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and 3 to 8,
The body portion includes a seating member on which the object can be mounted, and a second space separated from the first space therein,
The removal unit, at least a portion of which may protrude to an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member, and is movably disposed in the second spac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제2 공간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상기 이물질과 접촉 가능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제거부재; 및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대상물의 하중을 상기 제거부재에 구동력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대상물에 눌려 회전하여 단부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거부재를 전진시키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removal unit,
a base disposed under the second space;
a removal member movab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oreign material; and
A conveying memb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ase, rotates by being pressed against the object to provide the load of the object as a driving force to the removal member, and advances the removal member while the end moves upward .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재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슬릿과, 상기 슬릿에 배치되는 탄성체를 구비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슬릿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체와 접촉하며 상기 슬릿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운반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moval member includes a slit inclined downward, and an elastic body disposed in the slit,
The transfe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slit and is in contact with the elastic body and includes a guide bar movable along the slit.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는,
상기 전달부재에 연결되고, 상기 제거부재에 삽입되는 보조가이드바를 구비하며 회전 가능하게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는 보조전달부재;를 포함하는 운반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removal unit,
A transport device comprising a; an auxiliary transmission member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having an auxiliary guide bar inserted into the removal member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base.
대상물을 운반하는 운반 방법으로서,
운반기에 상기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과정;
상기 대상물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운반기의 제거부가 상기 운반기에 쌓인 이물질을 밀어내는 과정;
상기 운반기를 이동시키는 과정; 및
밀어낸 이물질을 파쇄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가 상기 운반기에 쌓인 이물질을 밀어내는 과정은,
상기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거부의 전달부재를 하측으로 눌러 회전시키는 과정,
상기 전달부재의 단부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거부의 제거부재를 전진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거부재를 상기 운반기의 상부면을 따라 이물질과 함께 수평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밀어낸 이물질을 파쇄하는 과정은,
상기 운반기에 구비된 차륜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운반기의 파쇄부를 함께 회전시키는 과정,
낙하하는 이물질에 충격을 가하여 이물질을 분쇄하는 과정, 및
분쇄된 이물질을 회수하고, 자기력을 이용하여 회수된 이물질로부터 금속재질을 추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 방법.
A transport method for transporting an object, comprising:
the process of seating the object on a carrier;
a process in which the removal unit of the carrier pushes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carrier by using the load of the object;
moving the carrier; and
The process of crushing the extruded foreign material; including,
The process of pushing out the foreign material accumulated in the carrier by the removal unit,
The process of rotating the transfer member by pressing the removal part downward by the load of the object;
The process of advancing the removal member of the removal part by moving the end of the transmission member upward, and
Including the process of horizontally moving the removal member along with the foreign material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rrier,
The process of crushing the extruded foreign material,
The process of rotating the crushing part of the carrier together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wheel provided in the carrier;
The process of crushing the foreign material by applying an impact to the falling foreign material, and
A transport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overing a crushed foreign material and extracting a metal material from the recovered foreign material using magnetic force.
삭제delete 대상물을 운반하는 운반 방법으로서,
운반기에 상기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과정;
상기 대상물의 하중을 이용하여 상기 운반기의 제거부가 상기 운반기에 쌓인 이물질을 밀어내는 과정;
상기 운반기를 이동시키는 과정; 및
밀어낸 이물질을 파쇄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거부가 상기 운반기에 쌓인 이물질을 밀어내는 과정은,
상기 대상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제거부의 전달부재를 하측으로 눌러 회전시키는 과정,
상기 전달부재의 단부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거부의 제거부재를 전진시키는 과정, 및
상기 제거부재를 상기 운반기의 상부면을 따라 이물질과 함께 수평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밀어낸 이물질을 파쇄하는 과정은,
별도의 동력을 발생시켜 상기 운반기의 파쇄부를 회전시키는 과정,
낙하하는 이물질을 압착시켜 분쇄하는 과정, 및
분쇄된 이물질을 회수하고, 회수한 이물질을 분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 방법.
A transport method for transporting an object, comprising:
the process of seating the object on a carrier;
a process in which the removal unit of the carrier pushes foreign substances accumulated on the carrier by using the load of the object;
moving the carrier; and
The process of crushing the extruded foreign material; including,
The process of pushing out the foreign material accumulated in the carrier by the removal unit,
The process of rotating the transfer member by pressing the removal part downward by the load of the object;
The process of advancing the removal member of the removal part by moving the end of the transmission member upward, and
Including the process of horizontally moving the removal member along with the foreign material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rrier,
The process of crushing the extruded foreign material,
The process of generating a separate power to rotate the crushing unit of the carrier,
The process of crushing and crushing the falling foreign matter, and
A transport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recovering the pulverized foreign material and classifying the recovered foreign material.
삭제delete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운반기를 정지시키는 과정; 및
상기 대상물을 운반기에서 분리시켜, 상기 제거부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운반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4 or 16
stopping the vehicle; and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object from the transporter and returning the removal unit to its original position; transport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청구항 14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는 내부에 용강을 수용할 수 있는 래들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은 용강이 비산되어 상기 운반기에 고착된 지금을 포함하며,
상기 운반기에 상기 대상물을 안착시키는 과정은, 천정기중기로 상기 래들을 상기 운반기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반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4 or 16,
The object includes a ladl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molten steel therein, and the foreign material includes the molten steel scattering and adhering to the carrier,
The process of seating the object on the transporter includes a process of seating the ladle on the transporter with an overhead crane.
KR1020200086189A 2020-07-13 2020-07-13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KR1023685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189A KR102368565B1 (en) 2020-07-13 2020-07-13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189A KR102368565B1 (en) 2020-07-13 2020-07-13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077A KR20220008077A (en) 2022-01-20
KR102368565B1 true KR102368565B1 (en) 2022-02-28

Family

ID=80052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189A KR102368565B1 (en) 2020-07-13 2020-07-13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8565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836B1 (en) * 2014-03-17 2015-07-10 주식회사 포스코 Slag crushing device for ladle
KR102088450B1 (en) * 2018-03-14 2020-03-12 주식회사 포스코 Transporting Apparatus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5949B1 (en) 2002-07-25 2009-03-03 주식회사 포스코 Adjustable moving car for loading ladle
KR20040013348A (en) * 2002-08-06 2004-02-14 주식회사 포스코 A rod mill apparatus for treating tar sludge
KR101471111B1 (en) * 2012-06-15 2014-12-24 윤창욱 Apparatus for breaking of ic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836B1 (en) * 2014-03-17 2015-07-10 주식회사 포스코 Slag crushing device for ladle
KR102088450B1 (en) * 2018-03-14 2020-03-12 주식회사 포스코 Transporting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077A (en)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88070B (en) Recovery system and recovery method for selenium drum
JP2009101365A (en) Crushing treating apparatus
CN113289737A (en) Recycling and reusing treatment method for steel smelting steel slag
KR102368565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object and method for transporting object
US10702874B2 (en) Apparatus for recycling waste raw material
CN206526935U (en) A kind of garbage magnetic separator
CN114798055A (en) Processing equipment is used in beans crops processing
KR101355408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cutting oil
CN110293122B (en) Method for restoring soil containing metal impurities
CN213558236U (en) Solid waste crushing device
JP3144881U (en) Empty container processing equipment
KR200215130Y1 (en) Apparatus for crushing carbon produced in coke oven
KR102330799B1 (en) Wasted battery disassembly system
CN112427079A (en) Magnetic separation device for recycling casting waste residues
KR101151382B1 (en) Magnetic separator for removing oxidized steel from dry lubricant and recycling machine with the same
US8955686B2 (en) Magnetic separator system
CN111282649A (en) Solid garbage classification treatment device for cities and towns
CN216094243U (en) Recovery unit of loss prevention dirt for metal shot blasting machine
CN113145219B (en) Pharmacy department is with abandonment medicine bottle smashing metal separation device
CN107718371A (en) A kind of rubber pulverizing method
KR20020030439A (en) method of a metal powder separation equipment
CN108855523B (en) Waste garbage treatment equipment for manufacturing escalator
KR101079935B1 (en) To Remove Iron
CN215744088U (en) Coal material de-ironing separator
CN113926536A (en) Scrapped electronic component draws preprocessing device for rare me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