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8224B1 - 영상처리장치, 인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처리장치, 인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68224B1 KR102368224B1 KR1020170076815A KR20170076815A KR102368224B1 KR 102368224 B1 KR102368224 B1 KR 102368224B1 KR 1020170076815 A KR1020170076815 A KR 1020170076815A KR 20170076815 A KR20170076815 A KR 20170076815A KR 102368224 B1 KR102368224 B1 KR 10236822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uthentication
- user terminal
- image processing
- processing apparatus
- authentication data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F21/46—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by designing passwords or checking the strength of passwo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3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one-time-passwo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21—Timestam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인증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인증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제1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제1 인증부; 및 추가 인증이 설정된 경우, 제2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인증데이터가 상기 제2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제2 인증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인증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인증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제1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제1 인증부; 및 추가 인증이 설정된 경우, 제2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인증데이터가 상기 제2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제2 인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실시예들은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안 시스템에서는 카메라나 DVR 등에 접속하는 사용자에게 본인 여부를 확인하여 보안성을 확보하고 있다. 본인 여부를 확인받기 위해 사용자는 인증 암호를 기억하여 입력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상처리장치의 접속을 위한 보안이 강화된 사용자 인증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인증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인증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제1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제1 인증부; 및 추가 인증이 설정된 경우, 제2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인증데이터가 상기 제2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제2 인증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준데이터는 영상처리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데이터는 영상처리장치의 MAC 어드레스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비밀번호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데이터는, 상기 MAC 어드레스 및 상기 비밀번호의 조합에 의한 제1 값과, 시간 값 및 시드 값의 조합에 의한 제2 값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인증부는 추가 인증 정책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하는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장치는,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 인증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와 동기화하는 동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인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추가 인증의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기준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기준데이터의 사용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추가 인증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장치는, 영상처리장치와 동기화하는 동기부;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인증데이터의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MAC 어드레스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설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비밀번호를 기초로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인증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한다.
상기 인증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인증데이터의 요청에 포함된 상기 MAC 어드레스 및 상기 비밀번호를 기초로 상기 인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증데이터 생성부는,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상기 MAC 어드레스 및 상기 비밀번호를 기초로 상기 인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인증데이터는, 상기 MAC 어드레스 및 상기 비밀번호의 조합에 의한 제1 값과, 시간 값 및 시드 값의 조합에 의한 제2 값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인증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은, 영상처리장치가 사용자 단말로 제1 인증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인증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인증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제1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인증데이터가 상기 제1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면, 추가 인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가 인증이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인증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인증데이터가 신규 생성된 제2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인증데이터가 상기 제2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준데이터는 영상처리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데이터는 영상처리장치의 MAC 어드레스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비밀번호를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기준데이터는, 상기 MAC 어드레스 및 상기 비밀번호의 조합에 의한 제1 값과, 시간 값 및 시드 값의 조합에 의한 제2 값을 기초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의 상기 제2 인증데이터의 요청에 응답하여 인증장치로 상기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인증장치로부터 제2 인증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인증데이터를 상기 영상처리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인증장치가, 상기 제2 인증데이터의 요청에 포함된 영상처리장치의 MAC 어드레스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비밀번호를 기초로 상기 제2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인증장치가, 저장부에 미리 저장된 영상처리장치의 MAC 어드레스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의 비밀번호를 기초로 상기 제2 인증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추가 인증의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기준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기준데이터의 사용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추가 인증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설정한 비밀번호와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일회용 비밀번호의 조합에 의한 멀티패스워드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영상처리장치의 제2 인증데이터 및 인증장치의 제2 기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일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접속을 위한 추가 인증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추가 인증 설정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도 8의 인증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에 추가 인증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이 영상처리장치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에 추가 인증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이 영상처리장치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영상처리장치의 제2 인증데이터 및 인증장치의 제2 기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일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접속을 위한 추가 인증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추가 인증 설정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도 8의 인증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에 추가 인증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이 영상처리장치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에 추가 인증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이 영상처리장치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록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 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100), 영상처리장치(300), 인증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 영상처리장치(300) 및 인증장치(500)는 유선 및/또는 무선의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는 3G, 4G(LTE),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등과 같은 무선 인터넷, 및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근거리 통신, 와이파이(Wi-Fi), LTE 통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사용자 단말 1 내지 사용자 단말 k)(100)은 영상처리장치(300)로 접속하여 영상 검색 및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영상처리장치(300)로 인증데이터를 제공하여 인증 성공시 영상처리장치(30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추가 인증이 설정된 영상처리장치(300)로 추가 인증데이터를 제공하여 인증 성공시 영상처리장치(30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추가 인증데이터를 인증장치(500)를 통해 획득하여 영상처리장치(300)에 전송함으로써 영상처리장치(300)에 인증 요청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장치(500)로 추가 인증데이터를 요청하고, 인증장치(500)로부터 추가 인증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영상처리장치(300)로 획득한 추가 인증데이터를 제공하고, 영상처리장치(300)로부터 인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노트북, 핸드헬드 장치, 스마트폰, 탭 등의 모바일 단말, 데스크 탑 컴퓨터, 또는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거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이와 연결된 임의의 적절한 장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영상처리장치(300)를 모니터링하는 관리장치일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영상처리장치 1 내지 영상처리장치 n)(300)는 등록 및 인증된 사용자 단말(100)로 영상 및/또는 영상 분석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는 등록된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인증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인증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는 추가 인증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추가 인증데이터를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추가 인증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는 추가 인증 정책에 따라 추가 인증 조건을 만족하면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처리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을 요청할 때마다 추가 인증을 수행하거나,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추가 인증을 수행하거나, 영상 검색 등 특정 기능이 수행될 때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입력한 인증데이터와 영상처리장치(300)에 미리 저장되어 있거나 새로 생성한 인증데이터를 비교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는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 digital video recorder), 네트워크 비디오 레코더(NVR: network video recorder) 등일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나 회로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는 카메라, DVR, NVR에 내장되는 칩이나, 칩을 구비하는 회로 보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장치(500)는 영상처리장치(300)와 동기될 수 있다. 인증장치(5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인증데이터의 요청을 수신하고, 인증데이터 요청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인증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인증장치(500)와 영상처리장치(300)는 시간 서버에 접속하여 시간 동기화할 수 있다. 시간 서버는 NTP 시간 서버일 수도 있고, 로컬 망에 구축된 시간 서버일 수도 있다.
인증장치(500)는 도 1에서 하나의 장치처럼 도시되었으나, 반드시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 구현될 필요는 없다. 즉, 인증장치(500)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성요소(~부)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물리적 장치에 분산 배치될 수도 있으며, 분산 배치된 구성들이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기능 및/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인증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한, 영상처리장치(300)가 미리 저장하고 있거나 새로 생성한 인증데이터를 기준데이터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처리장치(300)는 영상획득부(301), 영상처리부(303), 저장부(305), 동기부(307), 및 인증부(309)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획득부(301)는 직접 또는 외부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가 카메라인 경우, 영상획득부(301)는 영상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영상센서를 이용하여 직접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가 DVR, NVR인 경우, 영상획득부(301)는 카메라 또는 타 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303)는 영상에 대해 노이즈 제거,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 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303)는 영상 분석을 수행하여 설정된 이벤트 발생 조건에 만족하는 경우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영상처리부(303)는 영상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저장부(305)는 영상 및 메타데이터 등 영상 분석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처리부(303)는 영상 검색이 용이하도록 메타데이터를 구조화 및 정리하여 저장부(305)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05)는 기준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동기부(307)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와 영상처리장치(300)를 동기화할 수 있다. 동기부(307)는 영상처리장치(300)와 인증장치(500)를 동기화할 수 있다.
인증부(309)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인증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100), 즉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인증부(309)는 인증데이터와 기준데이터의 비교를 통해 인증데이터의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인증부(309)는 제1 인증부(329) 및 제2 인증부(34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증부(329)는 사용자 단말(100)이 입력한 인증데이터(이하, '제1 인증데이터'라 함)를 수신하고, 제1 인증데이터가 제1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1차 인증할 수 있다.
제1 기준데이터는 제1 인증데이터와 비교되는 인증데이터로서, 사용자 단말(100), 즉 사용자의 식별코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준데이터는 영상처리장치(300)에 미리 등록된 사용자 단말(100)의 비밀번호(Passwor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준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의 아이디(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아이디(ID) 및 비밀번호(Password)는 사용자가 변경 등록하기 전까지 고정된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변경된 제1 기준데이터는 저장부(305)에 등록 및 저장될 수 있다. 제1 기준데이터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인증부(329)는 사용자 단말(100)이 입력한 제1 인증데이터를 제1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제1 인증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 제1 인증부(329)는 제1 인증데이터가 제1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면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제2 인증부(349)는 사용자 단말(100)이 입력한 추가 인증데이터(이하, '제2 인증데이터'라 함)를 수신하고, 제2 인증데이터가 제2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추가 인증할 수 있다.
제2 기준데이터는 제2 인증데이터와 비교되는 인증데이터로서, 시간에 따라 변경되는 일회용 코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준데이터는 복수의 변수들을 이용하여 생성된 일회용 비밀번호(One Time Password, OTP)일 수 있다. 변수는 영상처리장치(300)의 고유값인 MAC 어드레스, 영상처리장치(300)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100)의 비밀번호, 시간 값 및 시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준데이터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입력한 제2 인증데이터를 제2 기준데이터와 비교하여 제2 인증데이터를 검증할 수 있다. 제2 인증부(349)는 제2 인증데이터가 제2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면 사용자를 추가 인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장치(500)로부터 제2 인증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인증부(309)는 추가 인증 정책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로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하는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을 요청할 때 추가 인증이 수행되거나,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추가 인증이 수행되거나, 영상 검색 등 특정 기능이 수행될 때 추가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을 요청할 때, 제2 인증부(349)는 제1 인증부(329)의 1차 인증이 성공하면 추가 인증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고, 1차 인증된 사용자 단말(100)로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이 접속을 요청할 때, 제1 인증부(329)는 1차 인증이 성공하면 추가 인증의 설정 여부를 판단하고, 제2 인증부(349)의 추가 인증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2 인증부(349)는 제2 인증데이터의 요청시에 제1 인증데이터의 일부를 함께 요청할 수 있다.
인증부(309)는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부(309)는 웹서버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100)로 인증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인증부(309)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100)로 앱페이지를 제공하여 인증 애플리케이션 실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제1 인증부(329)와 제2 인증부(349)가 분리되어 각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하나의 인증부가 1차 인증 및 추가 인증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증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증장치(500)는 동기부(501) 및 인증데이터 생성부(505)를 포함할 수 있다.
동기부(501)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와 인증장치(500)를 동기화할 수 있다. 동기부(501)는 인증장치(500)를 영상처리장치(300)와 동기화할 수 있다.
인증데이터 생성부(505)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2 인증데이터의 요청을 수신하고, 제2 인증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인증데이터 요청은 제2 인증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데이터 생성부(505)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획득한 변수를 기초로 제2 인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이 제공하는 변수는 영상처리장치(300)의 고유값인 MAC 어드레스, 영상처리장치(300)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100)의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인증데이터 생성부(505)는 추가 변수로서 시간 값 및 시드 값을 이용할 수 있다. 인증데이터 생성부(505)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단말(100)의 비밀번호는 인증데이터 생성 외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별도로 저장하지 않는다.
인증데이터 생성부(505)의 제2 인증데이터 생성 알고리즘은 영상처리장치(300)의 제2 기준데이터 생성 알고리즘과 동일하다.
인증장치(500)는 하드웨어 형태의 모듈로 구현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형태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인증장치(500)는 사용자 단말(100)에 구현되거나, 별도의 장치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인증장치(500)는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oftware Development Kit, SDK)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증장치(500)는 웹서버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100)로 인증데이터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웹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인증장치(500)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구현되어 사용자 단말(100)로 인증데이터 발급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앱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인증장치(500)는 SMS 서버와 연동되어 SMS 서버를 통해 인증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인증장치(500)가 구현된 사용자 단말(100) 또는 장치가 영상처리장치(300)의 MAC 어드레스 및 영상처리장치(300)로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단말(100)의 비밀번호를 미리 알고 있다면, 인증장치(500)는 자동발급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MAC 어드레스 및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할 필요가 없어, 사용자 편의성을 가지면서 보안 강화가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는 영상처리장치의 제2 인증데이터 및 인증장치의 제2 기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일 예이다. 영상처리장치(300)와 인증장치(500)는 동일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각 제2 인증데이터 및 제2 기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처리장치(300)와 인증장치(500)는 동일 알고리즘의 수행을 위해 시간이 일치하도록 동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인증데이터 생성장치로 설명하겠으며, 이는 영상처리장치(300)와 인증장치(500)에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인증데이터 생성장치는 영상처리장치(300)의 MAC 어드레스(MAC Address)와 영상처리장치(300)에 설정된 사용자 단말(100)의 비밀번호(User Device Password)를 조합하여 사용자 정보(User Information)로서의 제1 값(201)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AC 어드레스가 "00:16:6C:F3:D1:90"이면, MAC 어드레스에서 주기적 구분자인 ":"을 제거한 "00166CF3D190"에 '0'과 'H'를 더하여 32byte의 변환 값이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비밀번호가 "HanwhaBest1!"이면, "HanwhaBest1!"에 '0'과 'H'를 더하여 32byte의 변환 값이 생성될 수 있다. MAC 어드레스의 변환 값과 비밀번호의 변환 값을 더하여 임의의 제1 값(201)이 생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증데이터 생성장치는 시간 값(Time)과 시드 값(Seed)을 조합하여 랜덤 정보(Random Information)로서의 제2 값(203)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 값이 "2017 03 20 09 05"이면, 시간 변환 규칙에 의해 변환되고, '0'과 'H'를 더하여 32byte의 변환 값이 생성될 수 있다. 시간 값에 대한 문자열은 "분/시/일/월/년도"의 순으로 배치하여 랜덤한 값이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도록 한다. 시간은 최초 시간으로부터 정해진 유지시간 간격으로 변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시간을 고려하여 유지시간은 5분으로 한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초 시간이 12시이고, 현재의 시간 값이 "220920032017"이면 시간 값은 "200920032017"로 변환될 수 있다. 시간 값 "200920032017"은 5분 동안 그 값을 유지하고, 5분 후 시간 값은 "250920032017"로 변경될 수 있다. 시드 값은 사용자별로 할당된 값일 수도 있고, 동일 제조사의 영상처리장치(300)에 공통으로 할당된 값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시드 값이 "5HanwhaSeed*"라면, 시드 값에 '0'과 'H'를 더하여 32byte의 변환 값이 생성될 수 있다. 시간 값의 변환 값과 시드 값의 변환 값을 더하여 임의의 제2 값(203)이 생성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인증데이터 생성장치는 제1 값(201)과 제2 값(203)에 소정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새로운 값을 생성하고, Hash 값으로 변환하여 16진수 32byte의 문자열(205)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증데이터 생성장치는 MD5(Message-Digest algorithm 5)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 있다.
인증데이터 생성장치는 32byte의 문자열(205)에서 특정 자리의 값을 추출하여 인증데이터로서 8byte의 최종 값(207)을 생성할 수 있다. 최종 값을 적절한 길이로 제한함으로써 사용자의 입력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도 5b에서는 0, 4, 8... 번째 자리의 값을 조합하여 최종 값(207)을 생성하고 있다.
시간 값이 주기적으로 변하므로, 인증데이터 생성장치에 의해 생성된 인증데이터는 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영상처리장치(300)의 온라인 상으로 정보 획득이 용이한 MAC 어드레스 외에 사용자 단말(100)의 비밀번호와 같이 사용자 고유의 정보를 함께 이용하여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함으로써, 보안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알고리즘에 한정되지 않고, MAC 어드레스, 사용자 단말의 비밀번호, 시간 값, 시드 값에 다른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인증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수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MAC 어드레스, 사용자 단말의 비밀번호 및 시간 값의 세 가지 변수만이 이용되거나, 이들 세 가지 변수 외에 다른 변수가 추가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접속을 위한 추가 인증 설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의 추가 인증 설정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추가 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영상처리장치(300)로 제2 인증데이터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S601). 이때 사용자 단말(100)과 영상처리장치(300)는 접속된 상태이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S6011).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유형에 따라 영상처리장치(300)는 추가 인증 설정을 위한 웹페이지, 앱페이지 등의 창(120)을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된 창(120)에서 추가 인증 사용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S6013).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추가 인증 사용(130a)을 선택하면, 비활성화이던 추가 인증 항목(130b)이 활성화될 수 있다. 추가 인증 항목(130b)에는 요청 버튼(133b) 및 적용 버튼(135b)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추가 인증 사용(130a)을 선택하지 않으면, 추가 인증은 설정되지 않는다(S607).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된 창(120)에서 제2 인증데이터를 영상처리장치(300)로 요청할 수 있다(S6015). 도 7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추가 인증 항목(130b)의 요청 버튼(133b)을 선택하여 추가 인증을 위한 제2 인증데이터를 영상처리장치(300)로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영상처리장치(300)로부터 제2 인증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603). 도 7b를 참조하면, 제2 인증데이터 요청을 수신한 영상처리장치(300)는 제2 인증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추가 인증 항목(130b)의 일 영역(131b)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로부터 제2 인증데이터의 적용 요청을 수신하고, 영상처리장치(300)로 추가 인증 설정을 요청할 수 있다(S605).
사용자는 영상처리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제2 인증데이터를 추가 인증에 적용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S6051), 추가 인증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S6053). 도 7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인증데이터의 적용 버튼(135b)을 선택한 경우, 영상처리장치(300)의 추가 인증 설정이 완료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는 팝업 창(130c)을 통해 추가 인증이 설정되었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인증데이터의 적용 버튼(135b)을 선택하지 않는 경우 추가 인증은 설정되지 않는다(S607). 추가 인증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제1 인증데이터의 유효성 검증에 의한 1차 인증으로 인증이 완료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에 의한 사용자 단말의 인증 방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a 내지 도 9e는 도 8의 인증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영상처리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1 인증데이터를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1 인증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801).
도 9a를 참조하면, 영상처리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1 인증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창(140)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인증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의 비밀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창(140)에 제1 인증데이터를 입력하고 적용(Apply)시킴으로써 영상처리장치(300)로 제1 인증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는 제1 인증데이터와 제1 기준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1차 인증할 수 있다(S802).
영상처리장치(300)는 제1 인증데이터와 제1 기준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100)로 인증이 실패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S807). 이에 따라 사용자의 로그인이 취소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의 1차 인증이 성공하면 추가 인증 설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803). 추가 인증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인증이 성공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S806).
영상처리장치(300)는 추가 인증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2 인증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804).
도 9b를 참조하면, 영상처리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2 인증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창(150)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창(150)에는 사용자가 입력 창(140)에서 기 입력하였던 사용자 ID가 미리 제공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장치(500)로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인증장치(500)로 인증데이터 요청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 인증장치(50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제2 인증데이터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창(170)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 창(170)에 영상처리장치(300)의 MAC 어드레스(170a) 및 사용자 단말(100)의 비밀번호(170b)를 입력하고, 이들을 요청 버튼(170c)을 선택하여 인증장치(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장치(500)는 MAC 어드레스(170a) 및 비밀번호(170b)를 기초로 제2 인증데이터(170d)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인증장치(500)로부터 획득한 제2 인증데이터(170d)를 입력 창(150)의 비밀번호 입력영역에 입력하고, 적용 버튼(150a)을 선택하여 제2 인증데이터를 영상처리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처리장치(300)는 입력 창(150)의 비밀번호 입력영역에 제1 인증데이터 및 제2 인증데이터를 모두 입력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증데이터와 제2 인증데이터의 입력 순서는 정해진 규칙에 따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영상처리장치(300)는 입력 창(150)의 비밀번호 입력영역에 제1 인증데이터를 미리 제공하고, 사용자는 제1 인증데이터에 후속하여 제2 인증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9e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에 인증장치(500)가 구비된 경우, 영상처리장치(300)가 제공하는 제2 인증데이터 입력 창(180)에서 사용자가 요청 버튼(180a)을 선택하면, 인증장치(500)가 제2 인증데이터를 생성하여 입력 창(180)의 비밀번호 입력영역에 자동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용 버튼(180b)을 선택하여 제2 인증데이터를 영상처리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는 제2 인증데이터와 제2 기준데이터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단말(100)을 추가 인증할 수 있다(S805).
영상처리장치(300)는 제2 인증데이터와 제2 기준데이터가 일치하면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을 완료할 수 있다(S806).
영상처리장치(300)는 제2 인증데이터와 제2 기준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사용자 단말(100)로 인증이 실패하였음을 알릴 수 있다(S807). 이에 따라 사용자의 로그인이 취소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에 추가 인증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 단말이 영상처리장치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영상처리장치(300)로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S11).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인증데이터를 영상처리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S13). 제1 인증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의 비밀번호(PW)일 수 있다. 제1 인증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의 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는 제1 인증데이터가 제1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15).
영상처리장치(300)는 인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S17). 영상처리장치(300)는 추가 인증 설정 여부를 판단하고, 추가 인증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단계 15에서 수행된 인증의 결과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100)의 인증 여부를 완료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 성공한 경우 로그인을 완료하여 영상처리장치(300)와 접속할 수 있다(S18).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에 추가 인증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이 영상처리장치에 접속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영상처리장치(300)로의 접속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S21).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제1 인증데이터를 영상처리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S22). 제1 인증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의 비밀번호(PW)일 수 있다. 제1 인증데이터는 사용자 단말(100)의 I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는 제1 인증데이터가 제1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1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23).
영상처리장치(300)는 1차 인증이 성공하면, 추가 인증 설정 여부를 판단하고(S24), 추가 인증이 설정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S25).
영상처리장치(300)는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한 시간이 반영된 제2 기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26).
사용자 단말(100)은 제2 인증데이터 획득을 위한 별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실행할 수 있다(S27).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장치(500)로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S28). 사용자 단말(100)은 영상처리장치(300)의 MAC 어드레스 및 사용자 단말(100)의 비밀번호를 인증장치(500)로 제공하여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인증장치(5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포함한 변수들을 이용하여 제2 인증데이터를 생성하고(S29), 제2 인증데이터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S30). 제2 인증데이터는 인증장치(500)에 의해 생성된 일회용 비밀번호(OTP)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장치(500)로부터 획득한 제2 인증데이터를 영상처리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S31).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100)은 제2 인증데이터와 함께 제1 인증데이터를 재차 요청받을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입력한 제1 인증데이터와 제2 인증데이터를 함께 영상처리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처리장치(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제2 인증데이터를 제2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추가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32).
영상처리장치(300)는 추가 인증 결과를 사용자 단말(100)로 제공할 수 있다(S33).
사용자 단말(100)은 추가 인증이 성공한 경우 로그인을 완료하여 영상처리장치(300)와 접속할 수 있다(S34).
사용자 단말(100)은 영상처리장치(300)와 접속된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영상처리장치(300)로부터 제2 인증데이터의 입력을 요청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인증장치(500)로부터 제2 인증데이터를 획득하여 영상처리장치(300)로 전송함으로써 인증하여 영상처리장치(300)와의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일회용 비밀번호의 전송에 의한 추가 인증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사용자(사용자 단말)의 비밀번호와 랜덤하게 생성된 일회용 비밀번호를 조합한 하나의 비밀번호(User device password ± OTP) 전송에 의해 추가 인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다 견고한 보안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MAC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함으로써, 하나의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MAC 어드레스가 상이한 복수의 영상처리장치로 접속하기 어렵고, 시간 경과에 따라 비밀번호가 변경되므로 DDOS 공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적은 비용으로 보안을 강화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쉽고, 동적 및 정적 비밀번호의 조합에 의해 강력한 보안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증장치가 보안 시스템의 관리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관리장치는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영상처리장치의 MAC 어드레스 및 등록된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를 미리 확보하고 있어, 자동으로 일회용 비밀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일회용 비밀번호에 의해 보안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0)
- 사용자 단말로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1 인증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인증데이터가 미리 저장된 제1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제1 인증부; 및
추가 인증이 설정된 경우, 미리 정해진 추가 인증 시기에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하고, 상기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한 시간이 반영된 제2 기준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인증데이터가 상기 제2 기준데이터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는 제2 인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준데이터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의 MAC 어드레스 및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설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비밀번호의 조합에 의한 제1 값과, 시간 값 및 시드 값의 조합에 의한 제2 값을 기초로 생성되는, 영상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준데이터는 상기 영상처리장치에 설정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부는 추가 인증 정책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 인증데이터를 요청하는 시기인 상기 추가 인증 수행 시기를 결정하고,
상기 추가 인증 수행 시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을 요청할 때, 또는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 주기적으로, 또는 특정 기능이 수행될 때인, 영상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 인증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와 동기화하는 동기부;를 더 포함하는 영상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추가 인증의 설정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 기준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 기준데이터의 사용 설정에 응답하여 상기 추가 인증을 설정하는, 영상처리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6815A KR102368224B1 (ko) | 2017-06-16 | 2017-06-16 | 영상처리장치, 인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
US16/611,641 US11372966B2 (en) | 2017-06-16 | 2017-07-05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uthentication apparatus,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
PCT/KR2017/007155 WO2018230764A1 (ko) | 2017-06-16 | 2017-07-05 | 영상처리장치, 인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6815A KR102368224B1 (ko) | 2017-06-16 | 2017-06-16 | 영상처리장치, 인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7309A KR20180137309A (ko) | 2018-12-27 |
KR102368224B1 true KR102368224B1 (ko) | 2022-02-28 |
Family
ID=64659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6815A KR102368224B1 (ko) | 2017-06-16 | 2017-06-16 | 영상처리장치, 인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1372966B2 (ko) |
KR (1) | KR102368224B1 (ko) |
WO (1) | WO201823076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63433B1 (en) * | 2018-12-28 | 2022-10-04 | Arpitha Chiruvolu | Secure bearer-sensitive authentication and digital object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spoof prevention |
US11194897B2 (en) * | 2019-04-10 | 2021-12-07 |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 System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authenticating dynamic usernames replica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08759A (ja) * | 2006-02-03 | 2007-08-16 | Alaxala Networks Corp | Macアドレスとユーザ認証を組み合わせた認証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70463A (ja) * | 2002-08-02 | 2004-03-04 | Sony Corp |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
CN102638794B (zh) * | 2007-03-22 | 2016-03-30 | 华为技术有限公司 | 鉴权和密钥协商方法、认证方法、系统及设备 |
KR101315040B1 (ko) | 2008-08-08 | 2013-10-14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영상제공장치, 영상출력장치, 영상전송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전송방법 |
KR20110019684A (ko) | 2009-08-20 | 2011-02-28 | 김세용 | 클라이언트 맥 어드레스 인증방식에 의한 일회용 비밀번호 생성 방법 및 장치 |
TWI465094B (zh) | 2011-04-26 | 2014-12-11 | Telepaq Technology Inc | User identific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net transactions |
KR101175042B1 (ko) * | 2011-11-10 | 2012-08-17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사용자 단말기의 패스워드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
KR101885182B1 (ko) * | 2011-12-16 | 2018-08-06 |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화상형성장치의 관리 방법 및 기록 매체 |
KR20130093794A (ko) * | 2011-12-31 | 2013-08-23 | 주식회사 넥스다임 | 이중 인증정보 등록 및 운영 방법 및 시스템과 기록매체 |
KR101445816B1 (ko) | 2013-04-19 | 2014-09-29 | (주)네오위즈게임즈 | 이미지 기반의 사용자 인증 방법, 인증 서버, 단말장치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KR101577036B1 (ko) | 2014-07-07 | 2015-12-11 | 주식회사 에스원 | Ip 카메라 기반의 출입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140105423A (ko) * | 2014-08-08 | 2014-09-01 |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 일회용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
KR101772144B1 (ko) | 2015-05-26 | 2017-09-12 | 주식회사 안랩 |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보안 관리 장치 및 보안 관리 방법 |
-
2017
- 2017-06-16 KR KR1020170076815A patent/KR10236822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07-05 US US16/611,641 patent/US11372966B2/en active Active
- 2017-07-05 WO PCT/KR2017/007155 patent/WO2018230764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08759A (ja) * | 2006-02-03 | 2007-08-16 | Alaxala Networks Corp | Macアドレスとユーザ認証を組み合わせた認証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00065472A1 (en) | 2020-02-27 |
WO2018230764A1 (ko) | 2018-12-20 |
US11372966B2 (en) | 2022-06-28 |
KR20180137309A (ko) | 2018-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571250B2 (ja) | ある装置を使用して別の装置をアンロックする方法 | |
US10547605B2 (en) |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 |
US9654461B2 (en) | Inter-application delegated authentication | |
US10581833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secure information | |
US11627129B2 (en) |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ual access control | |
EP3225008B1 (en) | User-authentication-based approval of a first device via communication with a second device | |
US11316842B2 (en) | Identity verification based on electronic file fingerprinting data | |
JP6039029B1 (ja) | 選択装置、選択方法、選択プログラム及び認証処理システム | |
Ferry et al. | Security evaluation of the OAuth 2.0 framework | |
US11153305B2 (en)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uthentication with a server | |
US20160142383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program | |
US20200145403A1 (en) |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method | |
US11777942B2 (en) | Transfer of trust between authentication devices | |
US20170063841A1 (en) | Trusting intermediate certificate authorities | |
KR102368224B1 (ko) | 영상처리장치, 인증장치 및 영상처리장치의 사용자 인증 방법 | |
KR102308859B1 (ko) | 생체 정보 기반 대리 인증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
JP6442449B2 (ja) | ルータの脆弱性を除去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 |
EP4360258A1 (en) | A decentralized identity with user biometrics | |
US20230362158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uthenticator,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 |
US11871229B2 (en) | Wireless network security system and method | |
JP6363139B2 (ja) | スマートデバイスの脆弱性を除去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 |
Moldamurat et al. | Enhancing cryptographic protection,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in cellular networks: a comprehensive research study. | |
JP5939728B1 (ja) | なりすまし検知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