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696B1 - Door lock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 Google Patents

Door lock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696B1
KR102367696B1 KR1020150148302A KR20150148302A KR102367696B1 KR 102367696 B1 KR102367696 B1 KR 102367696B1 KR 1020150148302 A KR1020150148302 A KR 1020150148302A KR 20150148302 A KR20150148302 A KR 20150148302A KR 102367696 B1 KR102367696 B1 KR 102367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
lock device
image
visitor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83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47797A (en
Inventor
이윤경
이철배
이승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696B1/en
Publication of KR20170047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77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6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4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은, 방문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 키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operating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hotographing an image key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visitor terminal using a camera included in the door lock device, recognizing the captured image key, and applying the image key to the recognition result. and connecting with the visitor terminal based on the step, and determining whether to unlock the door on which the door lock device is installed based on the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Description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DOOR LOCK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Door lock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DOOR LOCK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도어락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인식하여 상기 단말기와 연결하고,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패스워드를 수신하여 도어를 개폐하는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lock device, in particular, a door lock device that recognizes an image key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erminal, connects to the terminal, and receives a password from the connected terminal to open and close a door,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is about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의 보급이 활발해짐에 따라, 단말기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여러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도어락 장치가 그 중 하나로서, 단말기와 연동하여 도어의 개폐, 출입 관리 등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각종 도어락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As terminals such as smartphones become more popular, various devices that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terminals are emerging. A door lock device is one of them, and various door lock devices for improving convenience such as opening/closing of a door and access management by interlocking with a terminal are emerging.

그러나, 이러한 도어락 장치들과 연동하기 위해서는, 관리자(집 주인, 출입 관리자 등) 뿐 아니라, 방문자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들 각각과 연동하기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들을 단말기에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도어락 장치의 종류마다 연동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다르므로, 방문자는 여러 종류의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겪게 된다. 특히, 방문자는 일회성 방문의 경우에도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하는 바, 이러한 번거로움이 극대화될 수 있다.However, in order to interwork with these door lock devices, not only an administrator (a house owner, an access manager, etc.) but also a visitor ha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install separate applications for interworking with each of the door lock devices in the terminal. That is, since the application for interworking is different for each type of door lock device, the visitor experience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install various types of interlocking applications. In particular, even in the case of a one-time visit, the visitor has to install the linked application, and this inconvenience can be maximized.

또한,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 장치는, 도어락 장치에 패스워드 입력부가 구비되어 있는 바, 패스워드 입력부의 사용이 많아질수록, 패스워드가 노출될 우려가 존재한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digital door lock device, a password input unit is provided in the door lock device, and as the password input unit is used more, there is a risk that the password is expos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인식하여 상기 단말기와 연결하고, 연결된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락 장치와 이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lock device capable of recognizing an image key displayed on a screen of a terminal, connecting to the terminal, and opening and closing a door based on a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connected terminal, and an operat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은, 방문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 키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operating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hotographing an image key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a visitor terminal using a camera included in the door lock device, recognizing the captured image key, and applying the image key to the recognition result. and connecting with the visitor terminal based on the step, and determining whether to unlock the door on which the door lock device is installed based on the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상기 이미지 키는 제1 이미지,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락 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key may include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includ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connecting the visitor terminal and the door lock device.

상기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에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추어짐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이미지 키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로 전환되어 표시되면, 표시된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In the photographing, when the image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from the first image to the second image as the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is illuminated by the camera, the displayed second image can be photographed.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인증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ay include recogniz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second image, and connecting to the visitor terminal based on a recognition result.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이미지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에 대하여, 도어 개폐 가능 시간과 도어 개폐 가능 횟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도어 개폐 권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패스워드와 상기 도어 개폐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econd image further includes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ority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a door opening and closing time and a door opening and closing number, for the visitor terminal, and determining whether to unlock the door may determine whether to unlock the door based on the password and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ority information.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한 후,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ay further include, after connecting to the visitor terminal, transmitt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onnection to the visito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manager terminal.

상기 방법은, 상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를 알리는 알림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 notification informing that the door is unlocked to the manager terminal when the door is unlocked.

상기 방법은, 상기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신고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신고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외부 서버 또는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method includes: when the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does not match a preset password, receiving a report request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and in response to the received report request, photographing an image using the camera;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an external server or an external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에 설치되는 도어락 장치는, 카메라, 무선 통신부,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상기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여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door lock device installed on th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a camera,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n image key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by photographing using the camera, and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the wireless and a controller connected to the visitor terminal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o unlock the door based on a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connected visito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단말기의 동작 방법은,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도어락 장치와 연결하기 위한 이미지 키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이미지 키가 표시된 화면을 상기 도어락 장치의 카메라에 비춤으로써 상기 도어락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method of operating a terminal for unlocking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eceiving an image key for connection with the door lock device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Connecting to the door lock device by shining on a camera, and transmitting a password for unlocking the door lock device to the door lock device.

상기 이미지 키는 제1 이미지, 및 상기 단말기와 상기 도어락 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mage key may include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includ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connecting the terminal and the door lock device.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을 상기 도어락 장치의 상기 카메라에 비추는 단계, 상기 화면을 상기 카메라에 비추기 위해 수행되는 상기 단말기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제2 이미지로 전환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상기 제2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necting step may include projecting the screen on which the first image is displayed on the camera of the door lock device, detecting a motion of the terminal performed to project the screen onto the camera, a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the second Displaying one image by converting it to the second image, and connecting to the door lock device based on the displayed second image.

상기 패스워드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포함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한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도어락 장치에 기초하여, 증강 현실 방식을 이용하여 패스워드 입력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된 패스워드 입력 화면에 기초하여 수신되는 상기 패스워드를 상기 도어락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of transmitting the password to the door lock device includes: acquiring an image including the door lock device using the camera of the terminal; based on the door lock device included in the acquired image, using an augmented reality method Displaying a password input screen,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password based on the displayed password input screen to the door lock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이미지 키를 이용함으로써 단말기에 별도의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지 않고도 상기 도어락 장치와 연결하여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open and close the door by using the image key in connection with the door lock device without installing a separate interlocking application in the terminal.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에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도어가 개폐되므로, 패스워드가 유출되는 위험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based on the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without inputting the password to the door lock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password leaka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자 단말기가 방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미지 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어락 장치와 방문자 단말기가 이미지 키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동작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관리자 단말기가 도어락 장치와 연결된 방문자 단말기를 관리하는 동작들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8은 방문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도어락 장치의 패스워드 입력 화면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도어락 장치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어락 장치로 수신되는 패스워드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키에 저장된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길 찾기 기능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이미지 키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door lock device shown in Figure 1.
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image key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shown in FIG. 1 to the visitor terminal.
5 and 6 show an embodiment of an operation in which a door lock device and a visitor terminal are connected using an image key.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operations in which the manager terminal manages the visitor terminal connected to the door lock device.
8 shows embodiments of a password input screen of a door lock device displayed on a visitor terminal.
9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unlocking the door by the door lock device based on the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
1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a case in which an error exists in the password received by the door lock device.
1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route finding function provided based on destination information stored in an image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operation of generating an image key through an administrator termina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Hereinafter,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herein is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including an ordinal number such a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other elem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Th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system, a slate PC, A tablet PC, an ultrabook, a wearable device, for example, a watch-type terminal (smartwatch), a glass-type terminal (smart glass), a head mounted display (HMD), etc. may be included. .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However,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also be applied to fixed terminals such as digital TV, desktop computer, digital signage, etc., except when applicable only to terminals. .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oor loc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시스템(10)은 도어락 장치(100), 관리자 단말기(200), 및 방문자 단말기(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a door lock system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or lock device 100 , a manager terminal 200 , and a visitor terminal 300 .

도어락 장치(100)는, 가정집, 건물, 사무실 등의 출입구에 배치되는 도어(door)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잠금 및 잠금 해제)를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100)는 전자식 또는 디지털 도어락 장치로 구현됨으로써,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부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The door lock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a door disposed at an entrance of a house, a building, an office, etc. and used for opening/closing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 In particular, since the door lock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or digital door lock devic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of the door lock device 100 .

또한, 도어락 장치(100)가 전자식 도어락 장치로 구현되더라도, 실시 예에 따라 도어락 장치(100)는 종래의 기계식 도어락 장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어락 장치(100)의 구조와 동작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addition, although the door lock device 100 is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oor lock devic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ventional mechanical door lock device.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

관리자 단말기(200)는, 방문자 단말기(300)가 도어락 장치(100)와 연결되기 위한 이미지 키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미지 키를 방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0)는 방문자 단말기(300)와 도어락 장치(100)가 연결되면,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방문자 단말기(300)와 도어락 장치(100)가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을 수신할 수 있다.The manager terminal 200 may generate an image key for the visitor terminal 300 to be connected to the door lock device 100 , and transmit the generated image key to the visitor terminal 300 . When the visitor terminal 300 and the door lock device 100 are connected, the manager terminal 200 receives a push notification from the door lock device 100 notifying that the visitor terminal 300 and the door lock device 100 are connected. can do.

또한, 관리자 단말기(200)는 방문자 단말기(300)에 대한 도어 개폐 권한, 개폐 가능 시간, 횟수 등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관리자 단말기(200)에는 도어락 장치(100)를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set the door opening/closing authority for the visitor terminal 300 , the opening and closing time possible, the number of times, and the like. To this end, a separate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door lock device 100 may be installed in the manager terminal 200 .

실시 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200)는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영상에 기초하여 여러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receive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of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based on the received image.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방문자 단말기(300)는,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키를 이용하여 도어락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방문자 단말기(300)와 도어락 장치(100)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서로 페어링거나,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NFC))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도 있다.The visitor terminal 300 may be connected to the door lock device 100 using the image key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200 . For example, the visitor terminal 300 and the door lock device 100 may be paired with each other using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or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방문자 단말기(300)에 입력하고, 입력된 패스워드는 도어락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may input a password for unlocking the door into the visitor terminal 300 , and the input password may be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device 100 . If the passwords match, the door can be unlocked.

실시 예에 따라, 방문자 단말기(300)가 설정된 도어 개폐 권한에 해당하지 않는 조건에서 패스워드를 전송하는 경우, 도어락 장치(100)는 패스워드가 일치하더라도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visitor terminal 300 transmits the password under a condition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et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ority, the door lock device 100 may not unlock the door even if the passwords match.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시스템(1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의 동작에 대해서는 이후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operation of each component included in the door lock system 10 shown in FIG. 1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the door lock device shown in Figure 1.

도 2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센싱부(140), 출력부(150), 도어 개폐부(160), 메모리(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도어락 장치(100)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도어락 장치(100)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door lock device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an input unit 120 , a sensing unit 140 , an output unit 150 , a door opening/closing unit 160 , a memory 170 , and a control unit 180 . ) may be included. Some of the components shown in FIG. 2 are not essential in implementing the door lock device 100, so the door lock device 100 described herein has more or fewer components than those listed above. can have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도어락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도어락 장치(100)와 단말기(200 또는 300) 사이, 또는 도어락 장치(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110)는, 도어락 장치(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mong the components, between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terminal 200 or 300, or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an external server It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that enabl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m.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connecting the door lock device 100 to one or more networks.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4), 및 근거리 통신 모듈(116)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4 , and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6 .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예컨대, 관리자 단말기 등),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he technical standards or communication methods for mobile communication (eg,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 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CDMA2000), EV -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DO), Wideband CDMA (WCDM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TE-A (Long Term Evolution-Advanced, etc.)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eg, a manager terminal, etc.),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onstructed according to (Long Term Evolution-Advanced).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영상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reception of an audio signal, an image signal, or a text/multimedia message.

무선 인터넷 모듈(114)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도어락 장치(100)에 내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4)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in the door lock device 100 .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4 is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wireless signals in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무선 인터넷 모듈(114)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for example, WLAN (Wireless LAN), Wi-Fi (Wireless-Fidelity), Wi-Fi (Wireless Fidelity) Direct,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HSUPA), Long Term Evolution (LTE), Long Term Evolution-Advanced (LTE-A), etc., and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4 ) transmits and receives data according to at least one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within a range including Internet technologies not listed above.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114)은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From the point of view that wireless Internet access by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etc. is made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4 for performing wireless Internet access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understood as a typ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

근거리 통신 모듈(116)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6)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도어락 장치(100)와 다른 단말기(200 또는 300) 사이, 또는 도어락 장치(100)와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6 is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frared communication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 (Ultra Wideband), ZigBee, NFC At least one of (Near Field Communication), Wireless-Fidelity (Wi-Fi), Wi-Fi Direct, and 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USB) technologies may be used to support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6, between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other terminals 200 or 300, or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external server is located through the wireless local area network (Wireless Area Networks) between the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can be supported. The local area network may be local area networks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2)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4), 또는 오디오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관리자 단말기(200)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입력부(12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input unit 120 may include a camera 122 or an image input unit for inputting an image signal, a microphone 124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n audio input unit. The voice data or image data collected by the input unit 120 may be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200 or the like.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put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unit (eg, a touch key, a mechanical key, etc.)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the user.

카메라(122)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거나 관리자 단말기(200) 또는 외부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The camera 122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shoot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or transmitted to the manager terminal 200 or an external server.

마이크로폰(124)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도어락 장치(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4)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4 processes an external sound signal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a function (or a running application program) being performed by the door lock device 100 . Meanwhile, various noise removal algorithms for remov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24 .

센싱부(140)는 도어락 장치 내 정보, 도어락 장치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2, proximity sensor), 터치 센서(144, touch sensor), 조도 센서(illumina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2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4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도어락 장치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one or more sensors for sens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in the door lock devic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rrounding the door lock device, and us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ensing unit 1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42, a touch sensor 144, an illumination sensor, an RGB sensor, an infrared sensor (IR sensor), and fingerprint recognition. a finger scan sensor, an ultrasonic sensor, an optical sensor (eg, a camera (see 122)), a microphone (see 124), a battery gauge, an environmental sensor (eg, a camera (see 122)) For example, 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barometer, a hygrometer, a thermometer, a radiation detection sensor, a thermal sensor, a gas detection sensor, etc.), a chemical sensor (eg, an electronic nose, a healthcare sensor, a biometric sensor, etc.) . On the other hand, the door lock device disclosed herein may utilize a combination of information sensed by at least two or more of these sensors.

출력부(150)는 시각 또는 청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2), 음향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2)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도어락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도어락 장치(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sight or hearing,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display unit 152 and an audio output unit 154 . The display unit 152 may implement a touch screen by forming a layer structure with the touch sensor or being integrally formed. Such a touch screen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providing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a user, and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a user.

도어 개폐부(16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도어락 장치(100)가 설치된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방문자 단말기(300)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가 기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면, 도어 개폐부(160)는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여 도어를 오픈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도어 개폐부(160)는 제어부(180)의 제어와 관계없이 별도의 물리적 키에 의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기계식 도어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door opening/closing unit 160 may open and close the door on which the door lock device 100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 When the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300 or the like matches the preset password, the door opening/closing unit 160 may unlock the door to open the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door opening/closing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a mechanical door opening/closing unit for unlocking the door by a separate physical key regardless of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

메모리(170)는 도어락 장치(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도어락 장치(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컨대, 메모리(170)는 복수의 방문자 단말기들 각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복수의 방문자 단말기들 각각에 대한 정보는, 각 방문자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 도어 개폐 권한에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70 stores data supporting various functions of the door lock device 100 . The memory 170 may store data and commands for the ope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100 . For example, the memory 170 may store information about each of the plurality of visitor terminals. The information on each of the plurality of visitor terminals may includ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each visitor terminal, information related to door opening/closing authority, and the like.

제어부(180)는 도어락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데이터나 정보를 이용하여 도어락 장치(100)에 대한 각종 기능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oor lock device 100 . The controller 180 processes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input or output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or provides various functions for the door lock device 100 to the user by using data or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170 . can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락 장치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도어락 장치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At least some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may operate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to implement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o be described below. In addition, the operation, control, or control method of the door lock device may be implemented on the door lock device by driving at least one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memory 170 .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various embodiments below may be implement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3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operating a door lock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도어락 장치(100)에 포함된 카메라(122)를 웨이크-업 하기 위한 요청에 응답하여,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를 웨이크-업 할 수 있다(S100).Referring to FIG. 3 , the controller 180 of the door lock device 100 responds to a request for waking up the camera 122 included in the door lock device 100 , the camera 122 of the door lock device 100 . ) to wake-up (S100).

예컨대, 방문자가 카메라(122)를 웨이크-업 하기 위해 도어락 장치(100)를 터치하면, 도어락 장치(100)의 터치 센서(144)에 의해 방문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고, 제어부(180)는 감지된 터치 입력에 응답하여 카메라(122)를 웨이크-업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visitor touches the door lock device 100 to wake-up the camera 122, the touch input of the visitor is detected by the touch sensor 144 of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controller 180 detects The camera 122 may wake-up in response to the received touch input.

실시 예에 따라, 방문자 또는 방문자 단말기(300)가 도어락 장치(100)에 근접하면, 근접 센서(142)가 방문자 또는 방문자 단말기(300)의 근접을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카메라(122)를 웨이크-업 할 수도 있다. 즉, 카메라(122)를 웨이크-업 하기 위한 요청의 종류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visitor or the visitor terminal 300 approaches the door lock device 100 , the proximity sensor 142 detects the proximity of the visitor or the visitor terminal 300 , and the controller 180 is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This may wake-up the camera 122 . That is, various types of requests for waking up the camera 122 may be implemented.

도 3에서는 특정 요청에 응답하여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가 웨이크-업 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시 예에 따라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는 항상 웨이크-업 되어 있을 수도 있다.3 shows that the camera 122 of the door lock device 100 wakes up in response to a specific request,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amera 122 of the door lock device 100 always wakes up. there is.

제어부(180)는, 웨이크-업된 카메라(122)를 이용하여,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촬영할 수 있다(S120). 제어부(180)는 촬영된 이미지 키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방문자 단말기(300)와 연결될 수 있다(S140).The controller 180 may use the wake-up camera 122 to photograph an image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300 ( S120 ). The controller 180 may recognize the captured image key and connect to the visitor terminal 300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S140).

상기 이미지 키는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방문자 단말기(300)로 전송될 수 있다. S120 단계와 S140 단계, 및 이미지 키와 관련된 실시 예들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image key may be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200 to the visitor terminal 300 . Embodiments related to steps S120 and S140 and the image key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4 to 7 .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관리자 단말기가 방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이미지 키에 대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image key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shown in FIG. 1 to the visitor terminal.

도 4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200)는 방문자 단말기(300)로 이미지 키(IM_KEY)를 전송할 수 있다. 이미지 키(IM_KEY)는 방문자 단말기(300)와 도어락 장치(100)가 연결되기 위한 인증 정보, 해당 방문자 단말기(300)에 대한 도어 개폐 권한(도어 개폐 가능 시간, 도어 개폐 횟수 등)에 대한 정보, 목적지 정보(예컨대, 도어락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주소 정보) 등 각종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transmit an image key IM_KEY to the visitor terminal 300 . The image key (IM_KEY) includ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connecting the visitor terminal 300 and the door lock device 100, information on door opening/closing authority for the corresponding visitor terminal 300 (door opening/closing time, number of door openings, etc.), It may inclu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destination information (eg, address information of a place where the door lock device 100 is installed).

실시 예에 따라, 이미지 키(IM_KEY)는 제1 이미지(IM1)와 제2 이미지(IM2)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이미지(IM1)는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일반적인 이미지이고, 제2 이미지(IM2)는 상술한 정보(인식 정보, 도어 개폐 권한 정보 등)를 포함하는 코드 형태의 이미지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이미지(IM2)는 QR 코드 이미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mage key IM_KEY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cluding the first image IM1 and the second image IM2. The first image IM1 may be a general image of a specific object, and the second image IM2 may mean an image in the form of a code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information (recognition information, door opening/closing authority information, etc.). For example, the second image IM2 may be a QR code imag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반적인 상황에서,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IM_KEY)는 제1 이미지(IM1)만 표시되고, 제2 이미지(IM2)는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이미지(IM2)는 제1 이미지(IM1) 뒤에 숨겨져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이미지(IM1)는 제2 이미지(IM2)를 가리기 위한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제2 이미지(IM2)를 볼 수 없고, 제2 이미지(IM2)에 포함된 각종 정보가 유출되는 것(캡쳐 등을 통해 유출 등)을 방지할 수 있다.In a general situation, only the first image IM1 may be displayed as the image key IM_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300 and the second image IM2 may not be displayed. For example, the second image IM2 may not be displayed by being hidden behind the first image IM1 . That is, the first image IM1 may be used to cover the second image IM2 . Accordingly,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cannot view the second image IM2,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of variou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IM2 (such as leakage through capture, etc.). .

도 5와 도 6은 도어락 장치와 방문자 단말기가 이미지 키를 이용하여 연결되는 동작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다.5 and 6 show an embodiment of an operation in which the door lock device and the visitor terminal are connected using an image key.

도 5의 (a)를 참조하면,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를 연결시키기 위해,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에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를 비출 수 있다. 이 때,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이미지 키(또는 제1 이미지(IM1))가 표시되어 있을 수 있다.Referring to FIG. 5A ,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connects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visitor terminal 300 to the camera 122 of the door lock device 100 to connect the visitor terminal 300. of the display unit can be illuminated. In this case, the image key (or the first image IM1 )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300 .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에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가 비추어질 때,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제1 이미지(IM1)는 제2 이미지(IM2)로 전환될 수 있다.When the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300 is illuminated by the camera 122 of the door lock device 100 , the first image IM1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300 is converted into a second image IM2 . can

예컨대,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에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를 비추기 위해 방문자 단말기(300)를 움직이면(회전 등), 방문자 단말기(300)의 움직임 센서가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키의 제1 이미지(IM1)와 제2 이미지(IM2)를 전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는 제2 이미지(IM2)를 포함하는 화면(311)이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moves (rotates, etc.) the visitor terminal 300 to illuminate the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300 on the camera 122 of the door lock device 100, the movement of the visitor terminal 300 A sensor detects a motion, and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 as shown in FIG. 5B , the first image IM1 and the second image IM2 of the image key may be switched and displayed. Accordingly, the screen 311 including the second image IM2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300 .

방문자 단말기(300)가 제1 이미지(IM1)와 제2 이미지(IM2)를 전환하여 표시하는 동작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가 제1 이미지(IM1)를 인식한 후, 제1 이미지(IM1)를 제2 이미지(IM2)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명령을 출력하면, 방문자 단말기(300)가 출력된 명령에 응답하여 제1 이미지(IM1)를 제2 이미지(IM2)로 전환하여 표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명령은, 도어락 장치(100)의 음향 출력부(154)를 통해 출력되는 사운드 형태의 신호이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출력되는 브로드캐스트 형태의 신호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An operation in which the visitor terminal 300 switches and displays the first image IM1 and the second image IM2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when the camera 122 of the door lock device 100 recognizes the first image IM1 and outputs a command for displaying the first image IM1 by switching to the second image IM2 , the visitor terminal 300 may display the first image IM1 by converting it into the second image IM2 in response to the output command. The comm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signal in the form of a sound output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154 of the door lock device 100 or a signal in the form of a broadcast output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도 6의 (a)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100)의 카메라(122)는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제2 이미지(IM2)를 포함하는 화면(311)을 촬영하고, 제어부(180)는 촬영된 화면에 포함된 제2 이미지(IM2)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제2 이미지(IM2)에 포함된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가 연결되기 위한 인증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 사이의 연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의 (a)에는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가 근거리 통신 모듈(116)을 통해 페어링되는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해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 the camera 122 of the door lock device 100 takes a picture of the screen 311 including the second image IM2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300, and the control unit ( 180 may recognize the second image IM2 included in the captured screen. Specifically, the controller 180 recognizes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connecting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visitor terminal 300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IM2, and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visitor A connection operation between the terminals 300 may be performed. 6 (a)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visitor terminal 300 are paired through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6, but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visitor terminal 300 are connected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 110) can be connected in various ways.

도 6의 (b)와 (c)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가 연결된 후,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는 제1 이미지(IM1)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가 연결되면, 제어부(180)는 제2 이미지(IM2)를 제1 이미지(IM1)로 다시 전환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고, 방문자 단말기(300)의 제어부는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전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제1 이미지(IM1)가 표시된 화면(312)만을 확인할 수 있을 뿐, 제2 이미지(IM2)는 확인할 수 없다.6 (b) and (c), after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visitor terminal 300 are connected, the image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300 is the first image IM1. can be switched back. For example, when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visitor terminal 300 are connected,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a command to convert the second image IM2 back to the first image IM1 and display it, The control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300 may perform the switching operation in response to the command. Accordingly,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can only check the screen 312 on which the first image IM1 is displayed, but cannot check the second image IM2 .

도 7은 관리자 단말기가 도어락 장치와 연결된 방문자 단말기를 관리하는 동작들에 대한 예시도이다.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operations in which the manager terminal manages the visitor terminal connected to the door lock device.

도 7의 (a)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가 연결되면,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관리자 단말기(200)로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가 연결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푸시 알림(push notification)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 when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visitor terminal 300 are connected, the control unit 180 of the door lock device 100 is the manager terminal 200 for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visitor terminal. A message indicating that the 300 is connected may be transmitted. The message may b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push notification.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카메라(122)를 이용하여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포함된 이미지(CI)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CI)를 포함하는 상기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후에도, 제어부(180)는 도어가 열리고 닫힐 때까지 카메라(122)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uses the camera 122 to capture an image CI including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and transmits the message including the captured image CI to the manager terminal ( 200) can be transmitted. Even after transmitting the message, the controller 180 may photograph an image using the camera 122 until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nd store the captured image in the memory 170 .

도 7의 (b)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이미지(CI)를 포함하는 화면(211)을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표시된 화면(211)에 기초하여 방문자 단말기(300)를 관리할 수 있다. 예컨대, 방문자 단말기(300)가 관리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관리 애플리케이션(도어락 장치를 관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관리자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입력(예컨대, 화면(211)에 대한 터치 입력 등)에 응답하여 방문자 단말기(300)를 등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 the controll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screen 211 including an image CI received from the door lock device 100 . The us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manage the visitor terminal 300 based on the displayed screen 211 . For example, when the visitor terminal 300 is not registered with the management application (application for managing the door lock device) installed in the manager terminal 200 , the manager terminal 200 receives a specific input (eg, the screen 211 ) received from the user. ), the visitor terminal 300 may be registered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etc.).

도 7의 (c)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등록된 방문자 단말기들을 확인 및 관리하거나, 방문자 단말기들 각각에 대한 패스워드를 설정하거나, 방문자들의 방문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기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방문자 단말기에 대한 도어 개폐 권한을 변경 또는 취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방문자 단말기들 각각에 대해 서로 다른 패스워드를 설정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C , the us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can check and manage registered visitor terminals through the management application, set a password for each of the visitor terminals, or check the visit records of visitors. there is. For example, the us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change or cancel the door opening/closing authority for the visitor terminal through the management application. In addition, the user may set different passwords for each of the visitor terminals.

도 7의 (c)에 도시된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화면(212)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화면의 형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The screen 212 of the management application shown in FIG. 7C is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scree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다시 도 3을 설명한다.Fig. 3 will be described again.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방문자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도어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60). 제어부(180)는 방문자 단말기(300)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가 도어락 장치(100)에 설정된 패스워드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도어 개폐부(160)를 제어할 수 있고,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지 않을 수 있다.The controller 180 of the door lock device 100 may determine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door based on the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300 (S160). When the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300 matches the password set in the door lock device 100 ,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160 to unlock the door, and when the password does not match, the control unit 180 may control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unit 160 to unlock the door. may not unlock.

S160 단계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Step S16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

도 8은 방문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도어락 장치의 패스워드 입력 화면의 실시 예들을 나타낸다.8 shows embodiments of a password input screen of a door lock device displayed on a visitor terminal.

도 8의 (a) 내지 (c)를 참조하면,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패스워드 입력 화면(321, 322, 또는 323)에 기초하여 도어락 장치(10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패스워드를 입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a) to (c) of FIG. 8 ,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uses the door lock device ( 100), you can enter a password to unlock it.

패스워드 입력 화면(321, 322, 또는 323)은,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AR)) 방식을 이용하여 방문자 단말기(3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증강 현실 방식을 이용한다 함은, 방문자 단말기(300)와 도어락 장치(100)가 연결된 후,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방문자 단말기(300)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도어락 장치(100)가 포함된 영상(또는 이미지)을 획득하고, 획득된 영상(또는 이미지)에 포함된 도어락 장치(100)를 인식하여 패스워드 입력 화면(321, 322, 또는 323)을 표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패스워드 입력 화면(321, 322, 또는 323)이 표시되기 위한 정보는 이미지 키에 포함되어 있거나, 도어락 장치(100)로부터 전송될 수 있다.The password input screen 321 , 322 , or 323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300 using an augmented reality (AR) method. Using the augmented reality method means that after the visitor terminal 300 and the door lock device 100 are connected,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uses the camera provided in the visitor terminal 300 to include the door lock device 100 . It may mean to acquire an acquired image (or image), recognize the door lock device 100 included in the acquired image (or image), and display the password input screen 321 , 322 , or 323 . Information for displaying the password input screen 321 , 322 , or 323 may be included in the image key or transmitted from the door lock device 100 .

도 8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스워드 입력 화면(321, 322, 또는 323)의 형태는 다양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도어락 장치(100)에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고 방문자 단말기(300)에 표시된 패스워드 입력 화면(321, 322, 또는 323)을 통해 패스워드를 입력하므로, 보다 복잡한 형태의 패스워드 입력 방법이 구현될 수도 있고, 방문자에 따라 서로 다른 패스워드 입력 화면이 표시될 수도 있다. 예컨대, 패스워드 입력 화면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숫자 키패드 화면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도 8의 (b)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 입력 화면 또는 질의 응답을 위한 문자 키패드 입력 화면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As shown in (a) to (c) of FIG. 8 , the shape of the password input screen 321 , 322 , or 323 may vary. 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does not input the password into the door lock device 100 but enters the password through the password input screen 321 , 322 , or 323 displayed on the visitor terminal 300 . Therefore, a more complex password input method may be implemented, and different password input screens may be displayed depending on the visitor. For example, the password input screen may be implemented as a general numeric keypad screen as shown in (a) of FIG. 8, but as shown in (b) and (c) of FIG. It may be implemented as a character keypad input screen.

도어락 장치(100)에는 패스워드 입력을 위한 구성을 포함하지 않거나 패스워드 입력 화면이 표시되지 않고, 패스워드를 요청하는 메시지만을 디스플레이부(152)를 통해 표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oor lock device 100 may not include a configuration for inputting a password or a password input screen may not be displayed, and only a message requesting a password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52 ,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도어락 장치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FIG. 9 is an exemplary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of unlocking a door by a door lock device based on a password transmitted from a visitor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 따라 방문자 단말기(300)로부터 도어락 장치(100)로 패스워드가 전송되면,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방문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와 기 설정된 패스워드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제어부(180)는 패스워드가 일치함을 의미하는 신호 또는 메시지를 방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 when the password is transmitted from the visitor terminal 300 to the door lock device 100 , the controller 180 of the door lock device 100 controls the password received from the visitor terminal 300 and the preset password. can be compared. When the passwords match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a signal or message indicating that the passwords match to the visitor terminal 300 .

방문자 단말기(300)의 제어부는, 수신된 신호 또는 메시지에 응답하여, 방문자 단말기(300)에 대해 설정된 도어 개폐 권한 정보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화면(331)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received signal or message, the control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300 includes a screen ( 331)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문자 단말기(300)에 대해 설정된 도어 개폐 권한 정보가 "월요일~금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2시", 및 "토요일~일요일, 오전 2시부터 오후 4시"이고, 현재 시각이 월요일 오후 1시인 경우,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화면(331)에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입력된 명령이 도어락 장치(100)로 전송되어 도어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authority information set for the visitor terminal 300 is “Monday to Friday, 9:00 am to 2:00 pm”, and “Saturday to Sunday, 2:00 am to 4:00 pm”, and , when the current time is 1 pm on Monday, when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inputs a command to unlock the door based on the interface displayed on the screen 331 , the input command is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device 100 . and the door can be unlocked.

반면, 현재 시각이 월요일 오후 3시인 경우,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명령을 입력하더라도,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지 않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current time is 3 pm on Monday, even if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inputs a command to unlock the door, the door may not be unlocked.

비록 도 9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실시 예에 따라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방문자 단말기(300)에 대해 설정된 권한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의 잠금을 자동으로 해제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도어락 장치(100)와 방문자 단말기(300)가 연결될 때 이미지 키(제2 이미지(IM2))로부터 상기 권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not shown in FIG. 9 ,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passwords match, the control unit 180 of the door lock device 100 automatically unlocks the door based on authority information set for the visitor terminal 300 . You may. When the door lock device 100 and the visitor terminal 300 are connected, the controller 180 may acquire the permission information from the image key (the second image IM2),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180)는 도어의 잠금이 해제되어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진입하는 경우, 관리자 단말기(200)로 상기 사용자의 진입 또는 도어의 잠금 해제를 알리는 알림(예컨대, 푸시 알림 등)을 전송할 수 있다.When the door is unlocked and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enters, the controller 180 transmits a notification (eg, push notification, etc.) notifying the user's entry or unlocking the door to the manager terminal 200 . can

실시 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2)를 통해 환영 메시지를 출력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180 may output a welcome message through the display unit 152 .

도 10은 도어락 장치로 수신되는 패스워드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에 대한 예시도이다.10 is an exemplary diagram for a case in which an error exists in the password received by the door lock device.

제어부(180)는 방문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패스워드에 오류가 존재하는 경우(예컨대, 패스워드 불일치 또는 패스워드 미입력 등), 패스워드를 재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When there is an error in the password received from the visitor terminal 300 (eg, a password mismatch or no password input, etc.), the controller 180 may display a message requesting to re-enter the password through the display unit.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횟수만큼 패스워드 오류 발생시, 패스워드 오류가 발생함을 알리는 알림을 관리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수신된 알림에 응답하여 패스워드 오류가 발생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와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 이미지를 포함하는 화면(221)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A , when a password error occurs a preset number of times, the controller 180 may transmit a notification indicating that a password error has occurred to the manager terminal 200 . The controll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display a screen 221 including a message indicating that a password error has occurred and a user image of the visitor terminal 300 on the display unit in response to the received notification.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화면(221)을 확인하고 디스플레이부를 터치하면,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발신 아이콘과 신고 아이콘을 포함하는 화면(222)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호 발신 아이콘을 선택하는 요청을 입력하여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와 통화를 할 수 있다.When the us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checks the screen 221 and touches the display unit, the control unit of the manager terminal 200 displays a screen including a call origination icon and a report icon as shown in FIG. 222) can be displayed. The user may make a call with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by inputting a request for selecting a call origination icon.

실시 예에 따라, 도 10의 (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원격으로 도어락 장치(100)의 도어 잠금을 해제할 수도 있다. 예컨대,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가 화면(223)을 터치하면, 패스워드 입력 화면(224)이 표시되고, 표시된 패스워드 입력 화면(224)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패스워드는 도어락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어락 장치(100)는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에 응답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S. 10 ( c ) and 10 ( d ), the us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remotely unlock the door of the door lock device 100 .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touches the screen 223 , the password input screen 224 is displayed, and the password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displayed password input screen 224 is transmitted to the door lock device 100 . can be The door lock device 100 may unlock the door in response to the password received from the manager terminal 200 .

도 10의 (e)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신고 아이콘을 선택하는 요청을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방문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려는 경우, 권한이 없는 단말기의 사용자가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려는 경우 등 방문자가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려는 경우에,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신고 아이콘을 선택하는 요청을 입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E , the us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input a request for selecting a report icon. For example, when someone other than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tries to unlock the door using the visitor terminal 300 , when a user of the terminal without permission tries to unlock the door, etc. To unlock the door by this method, the us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input a request for selecting a report icon.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신고 아이콘을 선택하는 요청에 응답하여, 도어락 장치(100)로 신고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어락 장치(100)의 제어부(180)는, 수신된 신고 요청에 응답하여, 카메라(122)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기 설정된 외부 서버 또는 장치(예컨대, 경찰서 서버 또는 PC, 경비실 PC 등)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l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transmit a report request to the door lock device 100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selecting a report icon. The control unit 180 of the door lock device 100, in response to the received report request, transmits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122 to a preset external server or device (eg, a police station server or PC, a security office PC, etc.) ca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미지 키에 저장된 목적지 정보에 기초하여 제공되는 길 찾기 기능에 대한 예시도이다.11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route finding function provided based on destination information stored in an image ke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방문자 단말기(300)로 전송되는 이미지 키(IM_KEY)는 목적지에 대한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FIG. 4 , the image key (IM_KEY) transmitted from the manager terminal 200 to the visitor terminal 300 may include address information on a destination.

도 11의 (a)를 참조하면,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이미지 키(제1 이미지(IM1))에 기초하여 길 찾기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요청을 입력하면(예컨대, 제1 이미지에 대한 롱 터치 입력 등), 방문자 단말기(300)의 제어부는 도 1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 찾기 화면(332)을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A , when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inputs a request for activating the navigation function based on the image key (the first image IM1 )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eg, the second 1 image), the controll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may display a navigation screen 332 as shown in FIG. 11B .

길 찾기 화면(332)은 방문자 단말기(300)에 기 설치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지도 애플리케이션 등)이 실행되어 표시되거나, 이미지 키(IM_KEY)에 링크된 특정 웹 사이트 등으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다.The route finding screen 332 may be displayed by executing a separate application (eg, a map application) pre-installed on the visitor terminal 300 , or may be provided from a specific website linked to the image key IM_KEY.

길 찾기 화면(332)에 표시되는 출발지는 방문자 단말기(300)에 포함된 위치 정보 모듈에 의해 획득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입력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될 수 있다.The departure point displayed on the wayfinding screen 332 may be automatically input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included in the visitor terminal 300 or may be directly input by the user.

길 찾기 화면(332)에 표시되는 도착지는 제2 이미지(IM2)에 포함된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다.The destination displayed on the route finding screen 332 may be automatically input based on address information included in the second image IM2.

사용자가 출발지와 도착지를 확인하고 교통 수단을 선택한 후, 도 11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 찾기 기능을 실행하면(예컨대, '출발' 아이콘을 선택), 도 11의 (d) 내지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내비게이션 화면(231 내지 233)이 표시될 수 있다.After the user confirms the origin and destination, selects a means of transportation, and executes the navigation function as shown in FIG. 11(c) (eg, selects the 'departure' icon), As shown in f), a kind of navigation screens 231 to 233 may be displayed.

내비게이션 화면(231 내지 233)은, 관리자 단말기(200) 및/또는 방문자 단말기(300) 각각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의 (d) 내지 (f)에서는 관리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에 내비게이션 화면(231 내지 233)이 표시된 것으로 가정한다.The navigation screens 231 to 233 may be displayed on each display unit of the manager terminal 200 and/or the visitor terminal 300 . It is assumed that navigation screens 231 to 233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anager terminal 200 in (d) to (f) of FIG. 11 .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내비게이션 화면(231 내지 233)을 통해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예상 도착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us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through the navigation screens 231 to 233 and obtain information on the expected arrival time.

실시 예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200)에 표시되는 내비게이션 화면(231 내지 233)은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의 이미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를 선택하여 방문자 단말기(300)로 호 발신 또는 메시지 송신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navigation screens 231 to 233 displayed on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further include an image of a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 The us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select the image and perform an operation such as sending a call or sending a message to the visitor terminal 300 .

이와 유사하게, 방문자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내비게이션 화면은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고, 방문자 단말기(300)의 사용자는 상기 이미지를 선택하여 관리자 단말기(200)로 호 발신이나 메시지 송신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imilarly, the navigation screen displayed on the visitor terminal 300 may include an image of a us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 and the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300 selects the image and calls the manager terminal 200 . An operation such as sending or sending a message can be performed.

도 12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이미지 키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한 예시도이다.12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operation of generating an image key through an administrator terminal.

도 12의 (a)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이미지 키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241)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화면(241)에 표시된 각종 항목들에 기초하여 이미지 키에 포함될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각종 항목들은 도어 개폐 가능 시간, 횟수, 알람 수신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 12A , the controll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display an interface screen 241 for generating an image key on the display unit. The us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set information to be included in the image key based on various items displayed on the interface screen 241 . The various item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time, the number of times the door can be opened, whether an alarm is received, and the like.

사용자가 각종 항목들을 설정한 후 이미지 키 생성 버튼을 선택하면,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이미지 키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n image key generation button after setting various items, the controll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generate an image key.

실시 예에 따라, 도 12의 (b) 내지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이미지 키의 제1 이미지(IM1)의 생성과 관련된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as shown in (b) to (e) of FIG. 12 , the controll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further provide a function related to generation of the first image IM1 of the image key.

도 12의 (b)를 참조하면, 관리자 단말기(200)의 제어부는 이미지 키의 제1 이미지(IM1)를 자동으로 생성할 것인지 또는 제1 이미지(IM1)를 직접 생성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화면(242)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이미지(IM1)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는 기 설정된 이미지를 갖는 제1 이미지(IM1)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B , the control unit of the manager terminal 200 is a menu for selecting whether to automatically generate the first image IM1 of the image key or to directly generate the first image IM1 A screen 242 may be displayed. When the user selects a menu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the first image IM1 , the controller may generate the first image IM1 having a preset image.

도 12의 (c) 내지 (e)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이미지(IM1)를 직접 생성하는 메뉴를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는 제1 이미지(IM1)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243 내지 245)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2의 (c) 내지 (e)에는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실시 예로서 이미지 설정, 배경 설정, 및 테두리 설정 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1 이미지(IM1)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실시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Referring to FIGS. 12C to 12E , when the user directly selects a menu for generating the first image IM1, the controller controls interface screens 243 to 245 for generating the first image IM1. ) can be displayed. 12 (c) to (e) illustrate an image setting screen, a background setting screen, and a border setting screen as an example of the interface screen, but the embodiment of the interface screen for generating the first image IM1 is limited thereto. it's not going to be

관리자 단말기(200)의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화면(243 내지 245)을 통해 제1 이미지(IM1)를 직접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미지 키를 전송할 방문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따라 서로 다른 제1 이미지를 갖는 이미지 키가 생성될 수 있다.The user of the manager terminal 200 may directly create the first image IM1 through the interface screens 243 to 245 . In particular, an image key having a different first image may be generated according to a user of the visitor terminal to which the image key is to be transmitted.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medium in which a program is recorded. The computer-readable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Hard Disk Drive (HDD), Solid State Disk (SSD), Silicon Disk Drive (SDD),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There is also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at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In addition, the computer may include the control unit 180 of the terminal. Accordingly,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as exemplar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9)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방문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단계, 상기 이미지 키는 제1 이미지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락 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포함함;
촬영된 이미지 키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를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연결된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에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비추어짐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이미지 키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로 전환되어 표시되면, 표시된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
In the method of operating a door lock device,
photographing an image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using a camera included in the door lock device, wherein the image key includes a first image and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connecting the visitor terminal and the door lock device 2 contains images;
recognizing the captured image key, and connecting the door lock device to the visitor terminal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and
Determining whether to unlock the door on which the door lock device is installed based on the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connected visitor terminal,
The filming step is
When the image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from the first image to the second image as the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is illuminated by the camera, the displayed second image is captured; How to operate the door lock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촬영된 제2 이미지에 포함된 상기 인증 정보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하는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step is
A method of operating a door lock device for recognizing the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photographed second image, and connecting to the visitor terminal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어락 장치에 있어서,
방문자 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이미지 키를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이미지 키는 제1 이미지 및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상기 도어락 장치가 연결되기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이미지를 포함함;
촬영된 이미지 키를 인식하고,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를 상기 방문자 단말기와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방문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가 설치된 도어의 잠금 해제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상기 방문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비추어짐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상기 이미지 키가 상기 제1 이미지에서 상기 제2 이미지로 전환되어 표시되면, 표시된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영하는
도어락 장치.
In the door lock device,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communicating with the visitor terminal;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image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the image key including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includi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for connecting the visitor terminal and the door lock device;
a control unit that recognizes the photographed image key, connects the door lock device with the visitor terminal based on the recognition result, and determines whether to unlock the door on which the door lock device is installed based on a password transmitted from the connected visitor terminal; including,
the control unit
When the image ke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switched from the first image to the second image as the display unit of the visitor terminal is illuminated by the camera, the displayed second image is captured
door lock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48302A 2015-10-23 2015-10-23 Door lock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KR1023676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302A KR102367696B1 (en) 2015-10-23 2015-10-23 Door lock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8302A KR102367696B1 (en) 2015-10-23 2015-10-23 Door lock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797A KR20170047797A (en) 2017-05-08
KR102367696B1 true KR102367696B1 (en) 2022-02-28

Family

ID=60163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8302A KR102367696B1 (en) 2015-10-23 2015-10-23 Door lock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69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528B1 (en) * 2017-12-27 2022-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that send and receives messages containing emoji
WO2020111579A1 (en) * 2018-11-27 2020-06-04 삼성전자 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perty management
CN110211265B (en) * 2019-05-28 2024-05-07 韦勇 AR-based household intelligent door lock interaction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KR102470205B1 (en) 2020-12-07 2022-11-23 김영자 Door-lock apparatus based on one time passwor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965A (en) * 2003-02-07 2004-08-26 Denso Wave Inc Electric lock control system
KR101527852B1 (en) * 2014-04-16 2015-06-11 주식회사 카티스 ke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smartphon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5668A (en) * 2010-10-29 2012-05-09 김민겸 Security reinforced door lock with external power connection or motion detection sensor
KR101255733B1 (en) * 2011-08-22 2013-04-23 한옥희 Method of generating cyber key and system for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38965A (en) * 2003-02-07 2004-08-26 Denso Wave Inc Electric lock control system
KR101527852B1 (en) * 2014-04-16 2015-06-11 주식회사 카티스 ke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using smartpho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7797A (en)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1829B1 (en) Electronic lock with remote monitoring
EP3242195B1 (en) Control implement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hardware device
JP6060267B2 (en) Terminal lock releas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2377182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10891363B2 (en) User authenticating method and device
US20150350820A1 (en) Beacon additional service of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same background arts
US2019003703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367696B1 (en) Door lock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CN108886469B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temporary account information
US20140181683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US9824203B2 (en) Utiliz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to assess the battery level of a peripheral device
US2012016720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cking a user equipment
KR101852599B1 (en) An entr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an mobile device
CN104137480A (en) Sensor based configuration and control of network devices
US9898882B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message playback
US11627139B2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ecurity access permissions between in-camera users
US10515224B2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printing information
KR20170011617A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for the mobile terminal
US2019020622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message playback
US20160307011A1 (en) Utilizing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to control one or more operational states of a peripheral device
CN104463408A (en) Floating population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mobile terminal
KR20150134141A (en) User authorization method using smart band
Sugumaran et al. Smart Surveillance Monitoring System using Raspberry pi and pir sensor
CN113196732B (en) Cross-device authentication method and related device
CN108625723B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physical object to be shared by several potential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