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738B1 - trap for mammals of sciuridae - Google Patents

trap for mammals of sciurida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738B1
KR102366738B1 KR1020190145904A KR20190145904A KR102366738B1 KR 102366738 B1 KR102366738 B1 KR 102366738B1 KR 1020190145904 A KR1020190145904 A KR 1020190145904A KR 20190145904 A KR20190145904 A KR 20190145904A KR 102366738 B1 KR102366738 B1 KR 102366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quirrel
imaging means
image information
inlet
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5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8443A (en
Inventor
이도훈
임춘우
김영채
Original Assignee
국립생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생태원 filed Critical 국립생태원
Priority to KR1020190145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738B1/en
Publication of KR20210058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4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7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16Box tra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3/00Traps for animals
    • A01M23/02Collecting-tr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나무 등에 설치할 수 있는 상자형 포획틀로서 전면에 지름 4 내지 6cm의 입구 구멍을 가지고 입구 구멍으로부터 바닥까지의 깊이가 35 내지 50cm이고, 위로부터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입구 구멍 위쪽에 촬상수단이 인입될 수 있는 투입구와 촬상수단 자체 가운데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람쥐 포획틀이 개시된다. 이때 투입구는 스마트폰 같은 바형 촬상수단이 투입될 수 있도록 슬릿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고, 포획틀은 상시적으로 설치되는 촬상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다람쥐가 들어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다람쥐가 들어있는 경우에 이를 쉽고 안전하게 들어낼 수 있어 효율적인 다람쥐 감지 및 포획이 가능하게 된다.
It is a box-type trap that can be installed on a tree, etc., has an entrance hole with a diameter of 4 to 6 cm on the front, and has a depth of 35 to 50 cm from the entrance hole to the floor. Disclosed is a squirrel trapping fram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an inlet and the imaging means that can be used are installed. In this case, the inlet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slit so that a bar-type imaging means such as a smartphone can be inserted, and the capture frame may include an imaging means that is installed at all ti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easily checked whether a squirrel is inside, and when a squirrel is contained, it can be easily and safely lifted, thereby enabling efficient detection and capture of the squirrel.

Description

다람쥐 포획틀{trap for mammals of sciuridae}Squirrel trap {trap for mammals of sciuridae}

본 발명은 다람쥐 포획틀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람쥐과(sciuridae) 동물의 포획 효율을 높이고 포획 및 확인에 들이는 노력을 경감할 수 있는 다람쥐 포획틀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quirrel trapping mo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quirrel trapping mold capable of increasing the capture efficiency of sciuridae animals and reducing the effort required for capture and identification.

다람쥐는 야생적으로 자생하면 많이 볼 수 있는 동물이며 여기서 다람쥐는 다람쥐과(sciuridae) 동물 전반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국내에 서식하는 다람쥐과 포유동물은 다람쥐와 하늘다람쥐가 대표적이며, 최근 사육용으로 해외에서 수입된 슈가글라이더가 버려져 야생에서 증식하게 되는 사례가 있었다. The squirrel is an animal that can be seen a lot in the wild, and the squirrel is assumed to include all animals of the sciuridae family. Squirrels and flying squirrels are representative mammals of the Squirrel family inhabiting Korea. Recently, sugar gliders imported from overseas for breeding purposes have been thrown away, and there has been a case of propagation in the wild.

일부 외래종에 의한 생태계 파괴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포획을 실시하거나, 일부 개체를 생태 조사를 위한 필요에 의해 포획하기도 하고, 애완 동물로 수출을 위해 다수 개체를 포획하기도 하였지만 체계적 연구는 아직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In order to prevent th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by some alien species, some individuals were captured for the purpose of ecological research, and many individuals were captured for export as pets, but systematic research is still very lacking. .

국내에서 다람쥐과 동물 연구 및 보호 관리 방안으로 인공 둥지나 포획틀로서 조류 둥지를 이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전용의 인공 둥지나 포획틀은 아직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In Korea, there are cases in which bird nests are used as artificial nests or trapping frames for research and protection management of Sciuridae, but a dedicated artificial nest or trapping frame has not yet been developed.

포획틀로서 덫을 사용하는 경우, 찰코와 같은 집게 덫은 개체를 제거하기 위한 경우에는 큰 문제가 없겠지만 다람쥐와 같은 작은 개체에는 큰 손상을 입힐 수 있어서 사로잡는 데에는 바람직하지 않다.If a trap is used as a trap, a tong trap such as a chalco will not be a problem for removing individuals, but it is not recommended for catching small individuals such as squirrels as it can cause great damage.

셔먼 트랩(Sherman trap) 혹은 라이브 트랩(live-trap)과 같은 소형 포유류 포획 트랩은 다람쥐과 동물의 포획율이 매우 낮아 효율성이 떨어지고, 이 경우에도 개체의 부상 및 스트레스 과다 위험이 있었다.Small mammal traps, such as Sherman traps or live-traps, have a very low capture rate of squirrels, so their efficiency is low, and even in this case, there is a risk of injury and excessive stress to the individual.

다람쥐가 나무 구멍을 이용하여 둥지를 형성하는 생태적 특성을 이용하여 새집을 나무에 달면서 이 새집을 다람쥐가 둥지로 사용할 경우 이런 새집을 일종의 포획틀로 사용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Us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 of squirrels forming nests using tree holes, a birdhouse is attached to a tree, and when this birdhouse is used as a nest by the squirrel, it is also conceivable that such a birdhouse is used as a kind of trapping frame.

그런데, 기존의 새집 형태의 다람쥐집 혹은 다람쥐 포획틀은 입구가 3cm 정도의 직경을 가져 충분히 큰 다람쥐가 집으로 이용하기에는 불편이 있었고, 다람쥐 포획에 적합하지 않은 면이 있었다. However, the existing birdhouse-type squirrel house or squirrel trapping frame has a diameter of about 3 cm at the entrance, so it was inconvenient for large enough squirrels to use it as a house, and there were aspects that were not suitable for catching squirrels.

또한, 기존의 새집 형태의 다람쥐집은 입구 구멍에서 바닥까지가 20~30cm 정도로 충분히 깊지 않아 다람쥐가 집으로 이용하기 위해 바닥에 나뭇잎이나 가지를 놓는 경우 다람쥐 몸체가 구멍 등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집으로서 적합하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In addition, the existing birdhouse-type squirrel house is not deep enough from the entrance hole to the floor by 20~30cm, so when a squirrel puts leaves or branches on the floor to use it as a house, the squirrel body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hole, etc. There were parts that were not suitable as

이런 점들이 새집 형태의 다람쥐집을 포획틀로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는 한편으로 기존의 새집 형태의 다람쥐집은 측면이 개방되지 않거나 측면이 하향으로 움직여 열리는 형태라서 측면 개방을 통해 다람쥐 포획을 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고, 다람쥐집의 내부를 살필만한 적당한 수단이 없어서 다람쥐집의 입구와 다른 구멍을 막고 내부에 움직이는 개체가 있는지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고, 다람쥐가 아닌 다른 동물이 사는 경우, 생활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While these factors limit the use of the birdhouse-type squirrel cage as a trapping frame, the existing birdhouse-type squirrel cage does not open at the side or opens by moving the side downwards.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not easy to do, and there was no suitable means to inspect the inside of the squirrel house, so there was the inconvenience of blocking the entrance and other holes of the squirrel house and checking whether there are moving objects inside. , there was a problem that interfered with life.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20-2002-0037089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20-2002-0037089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854570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0854570

본 발명은 기존의 다람쥐 포획틀의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다람쥐 포획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quirrel trapping frame having a configuration that can solve the problems in use of the existing squirrel trapping frame.

본 발명은 내부에 다람쥐가 들어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다람쥐가 들어있는 경우에 이를 쉽고 안전하게 들어낼 수 있는 다람쥐 포획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quirrel trap that can easily check whether a squirrel is contained therein, and can easily and safely lift a squirrel if it is contained therein.

본 발명은 포획 개체를 상하지 않고 스트레스를 줄이고 사전 정보 획득을 통해 확률이 높은 포획을 실시할 수 있는 다람쥐 포획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quirrel trap that can reduce stress without harming the capture object and perform high-probability capture through prior information acquisition.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람쥐 포획틀은 나무 등에 설치할 수 있는 상자형 포획틀로서 전면에 지름 4 내지 6센티미터의 입구 구멍을 가지고 입구 구멍으로부터 바닥까지의 깊이가 35 내지 50cm이고, 위로부터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입구 구멍 위쪽에 촬상수단이 인입될 수 있는 투입구가 설치되거나 촬상수단이 설치되거나 투입구와 촬상수단 모두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quirrel trapping frame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box-type trapping frame that can be installed on a tree, etc., has an entrance hole with a diameter of 4 to 6 cm on the front, and has a depth of 35 to 50 cm from the entrance hole to the flo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through which the imaging means can be introduced is installed above the inlet hole for observation, the imaging means is installed, or both the inlet and the imaging means are installed.

본 발명에서 투입구는 스마트폰 같은 바형 촬상수단이 투입될 수 있도록 슬릿 형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slit so that a bar-shaped imaging means such as a smartphone can be inserted.

본 발명에서 다람쥐 포획틀에 설치되는 촬상수단은 촬상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배터리를 구비한 것일 수 있다. 이런 경우, 촬상수단은 동작감지 센서를 가져 감지후 일정시간 가동되는 동작감지형 센서카메라나 열감지형 센서카메라일 수 있고, 촬상된 영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는 영상 전송 수단을 구비한 것일 수 있다. 영상 정보 전송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명령 혹은 신호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센서 감지에 의해 촬영과 함께 자동으로 혹은 일정조건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영상 전송 명령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진 스마트폰과 같은 수단과의 유선 혹은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수신 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ing means installed in the squirrel trapping frame may include a memory and a battery capable of storing the captured image. In this case, the imaging means may be a motion-sensing sensor camera or a heat-sensing sensor camera that has a motion detection sensor and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detection, and may include an image transmission means capable of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the outside. Transmission of image information may be performed by a command or signal received from the outside, or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along with shooting by sensor detection or under certain conditions. In this case, the image transmission command may be received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eans such as a smart phone having an application program, and for this purpose, a receiving means needs to be provided.

본 발명에서 상자형 다람쥐 포획틀은 벽체 일부를 밑에서부터 위로 여닫이 방식으로 회전 개폐할 수 있는 상향식 개폐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x-type squirrel trapping frame may further include a bottom-up opening/closing device capable of rotating and opening a part of the wall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an opening/closing manner.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다람쥐 포획틀의 사용상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다람쥐 포획틀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ive squirrel trapping mold that can solve the problems in using the existing squirrel trapping mold.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다람쥐가 들어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다람쥐가 들어있는 경우에 이를 쉽고 안전하게 들어낼 수 있는 수단을 가진 다람쥐 포획틀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quirrel trap having a means for easily checking whether a squirrel is contained therein, and for easily and safely lifting the squirrel if it is contained therein.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람쥐 포획틀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실시예에서 측면 벽체의 개방 방식을 나타내는 사용 개념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람쥐 포획틀이 나무에 설치된 하나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quirrel trapp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the opening method of the side wall in the embodiment of Figure 1;
3 is a photograph showing one form of a squirrel trapping frame installed in a tre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람쥐 포획틀의 사시도이며, 도2는 도1의 실시예에서 측면 벽체의 개방 방식을 나타내는 사용 개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quirrel trapping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opening method of a side wall in the embodiment of FIG. 1 .

이 실시예에서 다람쥐 포획틀(100)은 대략적으로 볼 때 상하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 상자 형태를 이루며 이를 위해 지붕을 이루는 상면 벽체(150), 그 아래에 있는 전후좌우 4방의 측면 벽체, 바닥을 이루는 하면 벽체(1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벽체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야생 동물인 다람쥐의 접촉시 질감에 익숙하도록 대개 목재 판재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squirrel trap 100 is roughly view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box formed vertically, and for this purpose, the upper wall 150 forming the roof, the side walls of the front and rear left and right four rooms below it, and the lower surface forming the floor A wall 140 is provided. These walls can be made of other materials, but they are usually formed using wood planks to get used to the texture of the wild animal squirrel.

여기서 전면 벽체(110)에는 상부에 다람쥐가 포획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출입구의 역할을 하며 양 화살표 B로 표시된 것과 같은 직경 4~6cm 정도의 원형의 입구 구멍(111)이 설치된다. 기존의 새둥지형과 같이 입구 직경이 3cm, 3.5cm 정도로 작은 경우 다람쥐가 이용하기는 어렵고, 7, 8cm 정도로 너무 크면 올빼미나 기타 포식동물이 이용할 수 있게 되어 다람쥐 포획틀 입구로 부적합하게 된다.Here, the front wall 110 serves as an entrance so that the squirrel can enter the inside of the trapping frame, and a circular entrance hole 111 with a diameter of about 4 to 6 cm as indicated by the double arrow B is installed. If the diameter of the entrance is as small as 3cm or 3.5cm like the existing bird's nest type, it is difficult for squirrels to use it, and if it is too large, about 7 or 8cm, owls and other predators can use it, making it unsuitable as the entrance to the squirrel trap.

입구 구멍(111)은 양 화살표 A로 표시된 것과 같이 전면 벽체(110) 상단에서 5~10cm 정도 아래쪽에 위치하며, 양 화살표 C로 표시된 것과 같이 전면 벽체(110) 하단에서 35 내지 50cm 정도 위쪽에 위치하여 바닥에 낙엽이나 잔가지를 20cm 정도로 충분히 쌓아 잠자리를 마련한 경우에도 다람쥐 몸체가 입구 구멍에서 쉽게 보이지 않도록 한다.The inlet hole 111 is located 5 to 10 cm below the top of the front wall 110 as indicated by the double arrow A, and is located approximately 35 to 50 cm above the bottom of the front wall 110 as indicated by the double arrow C Therefore, even when a bed is prepared by stacking leaves or twigs about 20 cm on the floor, the body of the squirrel is not easily visible from the entrance hole.

좌우 측면 벽체 가운데 하나, 여기서는 전방에서 바라볼 때 우측 측면 벽체(120)는 상단이 상면 벽체와 약간 이격되어 수평 방향의 슬릿 혹은 틈새(121)를 형성한다. 전면 벽체(110) 및 후면 벽체(130)와 결합될 때 이 우측 측면 벽체(120)의 상단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하단은 고정되지 않아 하단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들어올리면 상향 회전을 통해 하단이 바닥을 이루는 하면 벽체로부터 이격되어 점차 크게 열리면서 개방된다. 사람이 이 우측 측면 벽체(120)를 회전시켜 개방하기 쉽도록 이 우측 측면 벽체(120)의 하단은 하면 벽체(140)보다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here,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right side wall 120 has an upper end slightly spaced apart from the upper wall to form a horizontal slit or gap 121 . When combined with the front wall 110 and the rear wall 130, the upper end of the right side wall 120 is rotatably fixed, and the lower end is not fixed. The lower surface of this floor is spaced apart from the wall and gradually opens wide. The lower end of the right side wall 120 is formed to extend downward than the lower wall 140 so that a person can rotate the right side wall 120 to easily open it.

이런 상향 회전 방식은 다람쥐 포획시 하향 회전 방식에 비해 포획틀 유지 관리에 유리하고 내부를 살피고 포획을 실시하기에 보다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This upward rotation method is advantageous for the maintenance of the capture frame compared to the downward rotation method when catching squirrels, and i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to inspect the inside and carry out the capture.

이때 슬릿 혹은 틈새(121)는 대략 2cm 정도의 폭으로, 다람쥐가 드나들 수 없는 크기이면서 바(bar)형 스마트폰과 같은 촬상장치는 투입 가능한 크기로 형성한다. 다람쥐집이나 포획틀을 위해 별도의 상시적 촬상장치를 운영하거나 적외선 카메라를 운용하는 것은 야생상태에서 설치되는 특성상 구동 전력을 공급하기 어렵고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런 경우, 필요에 따라 내부를 살필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고, 현재 대부분이 사용하고 있는 카메라가 설치된 휴대폰 혹은 스마트폰을 이 틈새를 통해 투입하면 별도의 내시경 카메라가 없이도 외부에서 내부를 은밀하게 살필 수 있고 우측 측면 벽체(120)를 개방하지 않고도 상자 내부를 깊은 아래쪽까지 살펴서 다람쥐가 내부에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lit or gap 121 has a width of about 2 cm, a size that a squirrel cannot enter and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an imaging device such as a bar-type smart phone. Operating a separate permanent imaging device or operating an infrared camera for a squirrel house or trap may be difficult and inappropriate to supply driving power due to the nature of the installation in the wild. If a mobile phone or smartphone equipped with a camera, which is currently used by most, is inserted through this gap, it is possible to see the inside secretly from the outside without a separate endoscope camera and do not open the right side wall 120 You can even look deep down inside the box to see if a squirrel is inside.

또한, 이 틈새(121)가 없으면 우측 측면 벽체(120)는 상단의 각진 부분이 상면 벽체(150)와 부딪혀 회전할 수 없게 되므로 이 틈새(121)는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여유 공간을 형성한다.In addition, if there is no gap 121, the upper angled portion of the right side wall 120 collides with the upper wall 150 and cannot rotate, so this gap 121 forms a free space that enables rotation.

상면 벽체(150)는 상자형 포획틀에서 일종의 지붕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지며 그 하부의 사방 측면 벽체나 바닥을 이루는 하면 벽체(140)의 가상의 횡단면이 이루는 직사각형을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이 직사각형에 비해 좀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상면 벽체(150)는 빗물이 자연스럽게 흘러내리도록 약간의 경사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upper wall 150 is made to serve as a kind of roof in the box-type trapping frame, and is slightly smaller than this rectangle to sufficiently cover the rectangle formed by the imaginary cross-section of the lower side wall or lower wall 140 forming the floor. formed over a larger area. The upper wall 150 may be installed to have a slight inclination so that rainwater flows down naturally.

상면 벽체(150) 전방 일부는 사방 측면 벽체 가운데 전면 벽체(110)에서 전방으로 돌출(연장)되어 전면 벽체에 있는 입구 구멍이 빗물에 쉽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처마의 역할을 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면 벽체(150)의 측방 일부는 사방 벽체 가운데 슬릿(틈새)가 형성된 좌우의 측면 벽체보다 측방으로 돌출되어 슬릿이 빗물에 쉽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처마의 역할을 할 수 있다. A part of the front of the upper wall 150 protrudes (extends) forward from the front wall 110 among the four side walls, so that the entrance hole in the front wall is not easily exposed to rainwater. A part of the side of 150 protrudes laterally tha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in which slits (gaps) ar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our walls, so that the slits are not easily exposed to rainwater. It can serve as an eaves.

한편, 다람쥐 포획틀의 상부와 하부 양 측에는 고리가 설치된다. 이런 고리는 가령 후면 벽체의 양 측면에 고리쇠(131)를 박아넣어 형성할 수 있으며 이때 고리쇠(131)는 기다란 몸체부(131a)는 못이나 볼트로 형성되어 나무판재에 박아넣을 수 있고 해드부(131b)에는 고리가 형성된 부품을 의미한다. On the other hand, rings are install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quirrel trapping frame. Such a ring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driving hooks 131 into both sides of the rear wall. The part 131b refers to a part in which a ring is formed.

이런 고리쇠(131)를 이용하면 도3의 사진에 나타난 것과 같이 탄성이 있는 고무줄(스트레치코드)이나 끈을 이용하여 다람쥐 포획틀을 나무 줄기에 설치할 수 있으며, 쉽게 착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나무 줄기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고 훼손하지 않으면서 포획틀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If such a hook 131 is used, as shown in the photo of FIG. 3 , the squirrel trapping frame can be installed on the tree trunk using an elastic rubber band (stretch cord) or string, and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In addition, the trapping frame can be installed without disturbing or damaging the growth of the tree trunk.

또한, 이런 실시예에서 상면 벽체의 중앙부에는 관찰구멍이 형성되고, 상면에는 관찰구멍을 통해 그 아래쪽의 포획틀 내부를 촬상할 수 있는 센서카메라(160)와 같은 자체 촬상장치가 설치된다. 센서카메라(160)는 기존에 사용되는 것처럼 움직임을 포착하면 촬상을 시작하여 일정 시간 동안 촬상을 진행하거나 스틸 사진을 찍어 화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메모리장치에 보관할 수 있고 유무선 방식으로 송수신을 실시하여 화상이나 다람쥐의 감지 사실을 데이터 형식으로 외부에 전송할 수 있고, 이런 기능을 운영하도록 이차전지와 같은 전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물론 송수신을 위해서는 유선, 무선 방식의 송수신 장치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n observation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wall, and a self-image-capturing device such as a sensor camera 160 capable of capturing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capture frame below it through the observation hol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The sensor camera 160, as used in the past, starts capturing motion when it detects a motion, and may take a still picture or take a still picture to store the image in a memory device as digital data. The fact that the squirrel is detected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in the form of data, and it may be made by providing a power source such as a secondary battery to operate this function. Of course, in order to transmit/receive, it is necessary to have a wired/wireless transmission/reception device.

가령, 자체 촬상장치는 콘트롤 장치의 명령 신호를 받아 촬상을 실시하고 촬상된 화상을 주변으로 전송할 수 있는 송수신 장치를 가지는 것일 수도 있으며, 스마트폰에 적절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앱)을 설치하면 스마트폰이 이러한 콘트롤 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촬상장치는 그 주변에 사람이 접근하여 스마트폰으로 앱을 실행하고 촬상명령을 무선으로 발송하면, 그 신호를 받아 촬상을 실시하고 촬상된 화상을 스마트폰으로 보내 스마트폰이 화상을 저장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고, 이미 센서카메라 방식으로 저장한 화상을 스마트폰으로 보내 스마트폰이 화상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For example, the self-imaging device may have a transceiver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signal from the control device to perform imaging and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to the surroundings, and if an appropriate application program (app) is installed in the smartphone, the smartphone It can act as a control device. In this case, when a person approaches and runs an app with a smartphone and sends an imaging command wirelessly, the imaging device receives the signal to take an image, and sends the captured image to the smartphone to store the image. and display, or by sending an image already stored by the sensor camera method to the smartphone, the smartphone may store and display the image.

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송수신 장치, 통신 방식은 기존에 널리 알려진 것이거나 쉽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자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n application program, a transceiver, and a communication method for this purpose are widely known or can be easily configured,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른 실시형태로, 센서카메라가 움직임을 감지하면 화상 및 감지사실을 전송하고 주변의 거점 억세스 포인트(AP)가 이를 중계하여 중앙의 감시센터에 발송하고 감시센서의 운용자는 이를 확인하여 신호를 발송한 해당 센서카메라가 설치된 다람쥐 포획틀에 접근하여 다람쥐를 포획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when the sensor camera detects a movement, it transmits an image and a detection fact, and a nearby base access point (AP) relays it and sends it to the central monitoring center, and the operator of the monitoring sensor confirms this and sends a signal. It is also possible to approach the squirrel trap where the corresponding sensor camera is installed to capture the squirrel.

포획은 다수의 데이터를 누적시켜 행동패턴을 확인하고 포획 확률이 높은 시점에 포획틀에 접근하여 실시할 수도 있고, 최단 시간에 접근하여 수시로 실시할 수도 있으며, 이런 때에도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여 해당 포획틀에 실제로 다람쥐가 들어있는 지를 확인하고 포획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apture can be carried out by accumulating a large number of data to check the behavior pattern and approaching the capture frame at a time when the probability of capture is high, or it can be carried out frequently by approaching the shortest time. It is desirable to check whether the squirrel is actually in the frame and conduct the capture.

포획을 실시할 때에는 가령 입구 구멍을 막고 포획틀 주변을 그믈망으로 감싼 후에 측면 벽체를 여닫이 방식으로 상향 개방하여 내부의 다람쥐가 그믈망 속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n performing the capture, for example, after blocking the entrance hole and wrapping the periphery of the capture frame with a net, the side wall can be opened upward in an opening and closed manner so that the inside squirrel can enter the net.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해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 shown fo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this is on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from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ll or par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configured.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다람쥐 포획틀 110: 전면 벽체
111: 입구 구멍 120: 우측 측면 벽체
121: 틈새 130: 후면 벽체
131: 고리쇠 140: 하면 벽체
150: 상면 벽체 160: 센서카메라
100: squirrel trap 110: front wall
111: entrance hole 120: right side wall
121: gap 130: rear wall
131: hook 140: lower wall
150: upper wall 160: sensor camera

Claims (6)

삭제delete 상자형 포획틀로서,
전면에 지름 4cm 내지 6cm의 입구 구멍을 가지고 상기 입구 구멍으로부터 바닥까지의 깊이가 35cm 내지 50cm이고, 위로부터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입구 구멍 위쪽에 촬상수단이 인입될 수 있는 투입구가 설치되거나, 촬상수단이 설치되거나, 상기 투입구와 상기 촬상수단 모두가 설치되고,
상기 투입구는 회전 가능하게 상향 개방식으로 이루어진 측면 벽체의 상단과 상면 벽체 사이에 상기 촬상수단으로서 카메라가 내장된 바형 휴대폰이 투입될 수 있고 다람쥐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슬릿 형태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람쥐 포획틀.
As a box-shaped trapping frame,
It has an inlet hole with a diameter of 4 cm to 6 cm on the front side, and a depth from the inlet hole to the floor is 35 cm to 50 cm, and an inlet through which the imaging means can be introduced is installed above the inlet hole so that the inside can be observed from above, An imaging means is installed, or both the inlet and the imaging means are installed,
The inlet is rotatably open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and the upper wall made of the upper wall, a bar-type mobile phone with a built-in camera as the imaging means can be put into the squirrel, characterized in that made in the form of a slit through which the squirrel cannot pass. catch fram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은 상기 상면 벽체에 형성된 관찰구멍을 통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상시적으로 설치되며, 촬상된 영상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나 상기 영상 정보를 외부 전송할 수 있는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람쥐 포획틀.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maging means is permanently installed so that the inside can be seen through the observation hole formed in the upper wall, and a memory for storing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or a transmission means for externally transmitting the image information. Squirrel trap.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은 센서카메라이고,
촬상된 영상 정보를 외부로 전송할 수 있는 영상 정보 전송 수단을 구비하며,
영상 정보 전송은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진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영상 정보 전송 명령 신호를 받아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람쥐 포획틀.
4. The method of claim 3,
The imaging means is a sensor camera,
and an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capable of transmitting the captured image information to the outside;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is a squirrel trap, characterized in that by receiving an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command signal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martphone having an application program.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은 상기 센서카메라가 감지를 함과 동시에 감지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여 감지 사실을 알리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람쥐 포획틀.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imaging means includes a transmission means to notify the fact of detection by transmitting a detection signal to the outside at the same time as the sensor camera detects 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수단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가진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의해 영상 정보 전송 명령 신호를 받아서 촬상을 시작하고 상기 영상 정보를 송신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람쥐 포획틀.
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imaging means receives an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command signa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smartphone having the application program, starts imaging, and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KR1020190145904A 2019-11-14 2019-11-14 trap for mammals of sciuridae KR1023667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04A KR102366738B1 (en) 2019-11-14 2019-11-14 trap for mammals of sciurida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5904A KR102366738B1 (en) 2019-11-14 2019-11-14 trap for mammals of sciurida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443A KR20210058443A (en) 2021-05-24
KR102366738B1 true KR102366738B1 (en) 2022-02-23

Family

ID=7615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5904A KR102366738B1 (en) 2019-11-14 2019-11-14 trap for mammals of sciurida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73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112B1 (en) 2007-05-04 2008-10-13 주식회사 세스코 Interactive system for rodent trap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1698315B1 (en) 2014-12-05 2017-01-20 대한민국 Bird's nest
US20170195551A1 (en) 2016-01-04 2017-07-06 Explore Scientific, LLC System for Feeding and Photographing Wildlife
US10897878B2 (en) 2017-10-15 2021-01-26 Thomas Boehm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onitoring bird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17957A1 (en) 2006-02-09 2007-08-15 Widee B.V. Nesting box for birds
KR20150004476U (en) * 2014-06-05 2015-12-15 김범준 Animal ho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112B1 (en) 2007-05-04 2008-10-13 주식회사 세스코 Interactive system for rodent trap and operating method of the same
KR101698315B1 (en) 2014-12-05 2017-01-20 대한민국 Bird's nest
US20170195551A1 (en) 2016-01-04 2017-07-06 Explore Scientific, LLC System for Feeding and Photographing Wildlife
US10897878B2 (en) 2017-10-15 2021-01-26 Thomas Boehm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monitoring bird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 "Mother Moves the Baby Gray Squirrels Out Of the Nest Box !(2015.11.17.)" (Url : www.youtube.com/watch?v=gk_STDuyqPU)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443A (en)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875B1 (en) Gate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animal trap
KR101698315B1 (en) Bird's nest
CN104735979B (en) Racoon capture module and racoon acquisition equipment
US8887435B2 (en) Wall-less trap systems and methods
KR102366738B1 (en) trap for mammals of sciuridae
KR20150089543A (en) System for capturing wild animal using by remotecontrol
US107091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ird control
CN104381232A (en) Wasp trapping device
US10076108B2 (en) Insect trap apparatuse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150118857A (en) Interative catch device of wild animals
JP6178681B2 (en) Wildlife capture system
Kenward et al. The price of success in goshawk trapping
CN206043118U (en) A kind of natural swarm is anti-to fly to escape prisoner king's cage
KR102429274B1 (en) Safety trap for capturing plover
CN205018078U (en) A prevent that bee bites device for honeybee is bred
KR100791490B1 (en) Easily moved attraction and capture trap to control of snails and slugs
KR101608143B1 (en) The wild animals capture
CN204426436U (en) A kind of forestry pests & diseases remote sensing monitoring catches and kills integrative-structure
JP6879509B2 (en) Beast Enclosure Trap and Beast Capture Method
CN212573875U (en) Internal monitoring type artificial nest box
KR102075057B1 (en) Capturing apparatus capable of collecting wasps in their living state
Collen et al. Best practice techniques for the translocation of red-crowned parakeet (kākāriki, Cyanoramphus novaezelandiae novaezelandiae) and yellow-crowned parakeet (kākāriki, Cyanoramphus auriceps)
KR20200074604A (en) Animal capturing device using cultivated land
KR102230146B1 (en) Wasp trap installed on the beehive
JP2014128223A (en) Enclosure trap, cage, and enclosure trap with c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