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523B1 -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 Google Patents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523B1
KR102366523B1 KR1020150138619A KR20150138619A KR102366523B1 KR 102366523 B1 KR102366523 B1 KR 102366523B1 KR 1020150138619 A KR1020150138619 A KR 1020150138619A KR 20150138619 A KR20150138619 A KR 20150138619A KR 102366523 B1 KR102366523 B1 KR 1023665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image data
storage unit
unit
cach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6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35634A (en
Inventor
미네키 타오카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35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6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5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methods or arrangements for detection of transmission errors at the de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0Circuitry for controlling amplitude respon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타일 분할부, 보정 영역 연산부, 화상 영역 결정부, 왜곡 보정부, 캐시 영역 결정부, 및 데이터 취득부를 구비한다. 보정 영역 연산부는 왜곡 보정 대상의 타일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제1 영역을 연산한다. 화상 영역 결정부는 왜곡 보정에 필요한 입력 화상의 직사각형의 제2 영역을 결정한다. 데이터 취득부는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에 기억시킨다. 왜곡 보정부는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 왜곡 보정을 실시한다. 캐시 영역 결정부는 제2 영역 중 다시 사용될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캐시 영역을 결정한다. 데이터 취득부는, 왜곡 보정 후,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에 남기고, 그 외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기억부의 기억 영역을 개방한다.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tile division unit, a correction area calculation unit, an image area determination unit, a distortion correction unit, a cache area determination unit, and a data acquisition unit. The correction region calculating unit calculates the first region of the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the tile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The image area determining unit determines a rectangular second area of the input image required for distortion correction. The data acquisition unit stores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in the storage unit.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performs distortion correction on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The cache area determining unit determines a cache area including image data to be reused among the second areas. The data acquisition unit, after distortion correction, leaves the image data in the cache area in the storage unit, and opens the storage area in the storage unit in which other image data is stored.

Figure R1020150138619
Figure R1020150138619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왜곡 수차의 영향을 받는 화상에 대하여 왜곡 보정을 수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distortion correction on an image affected by distortion aberration.

종래 기술에 있어서, 렌즈의 왜곡 수차를 보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가 있다(일본특허공개 2009-43060호 참조). 이러한 종류의 화상 처리 장치에서는, 왜곡 보정 후의 출력 화상에 필요한 영역을 산출하고, 왜곡 수차를 갖는 입력 화상이 로딩된 메모리로부터, 상기 출력 화상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독출(readout)하여 왜곡 보정을 수행한다. 이 경우, 회로 규모를 삭감할 목적으로, 출력 화상의 영역이 복수의 직사각형 영역들로 분할되고, 직사각형 영역의 단위로 왜곡 보정 처리가 수행되고 있다. 여기에서, 직사각형 영역은 타일(tile)로 불리어진다(이하, 타일이라 함). In the prior art, there is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correcting distortion aberration of a lens (se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43060). In this type of image processing apparatus, a region necessary for an output image after distortion correction is calculated, and image data of an input imag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output image is read out from a memory loaded with an input image having distortion aberration. Perform distortion correction. In this case,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circuit scale, the region of the output im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ctangular regions, and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in units of rectangular regions. Here, the rectangular area is referred to as a ti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ile).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각 타일의 왜곡 보정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 왜곡 보정의 대상이 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로서 실제 타일 보다 큰 입력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인접 타일들 사이에 입력 화상 영역이 중복되므로, 입력 화상 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로부터 중복되어 독출된다. 이에 따라, 입력 화상이 로딩(loading)된 메모리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처리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when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for each tile is performed, it is necessary to read image data of an input image area larger than the actual tile as input image data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from the memory. In this case, since the input image area overlaps between adjacent tiles, the image data of the input image area overlaps and is read out from the memory.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requency of reading image data from the memory in which the input image is loaded increases, and the processing load for reading the image data increases.

상기 배경 기술의 문제점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지된 내용이라 할 수 없다.The problem of the background art is the content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purpose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necessarily known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일본특허공개 2009-43060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9-43060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왜곡 보정의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의 중복 독출을 억제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an image processing method capable of suppressing redundant reading of image data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출력 화상 영역을 복수의 타일들로 분할하는 분할부; 상기 복수의 타일들 중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타일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제1 영역을 연산하는 보정 영역 연산부; 상기 제1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입력 화상의 직사각형의 제2 영역을 결정하는 화상 영역 결정부;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부에 캐시 데이터로서 기억시키는 데이터 취득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왜곡 보정 처리를 실시하는 왜곡 보정부; 및 상기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영역 중에서 캐시 데이터로서 다시 사용되어야 할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캐시 영역을 결정하는 캐시 영역 결정부;를 구비한다.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vision unit dividing an output image area into a plurality of tiles; a correction region calculating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first region of the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a tile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among the plurality of tiles; an image area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rectangular second area of the input image including the image data of the first area; a data acquisition unit which acquires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and stores it as cache data in a storage unit; a distortion correction unit for performing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on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cache area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cache area including image data to be used again as cache data from among the second area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area.

상기 데이터 취득부는, 상기 왜곡 보정 처리가 실시된 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남기고, 그 외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상기 기억부의 기억 영역을 개방하는,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갖는다. The data acquisition unit, after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leaves the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in the storage unit among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stores other image data in the storage unit. It has a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 which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is opened.

상기 데이터 취득부는, 예를 들어, 상기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제외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킨다. The data acquisition unit acquires, for example,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from which the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is excluded, and stores the image data in the storage unit.

상기 화상 영역 결정부는,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타일들 중 상기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타일에 인접한 타일의 선두 라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캐시 영역을 결정한다. The image area determining unit determines the cache area according to, for example, position information of a leading line of a tile adjacent to a tile to be subjected to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among the plurality of tiles.

상기 데이터 취득부는, 예를 들어, 상기 기억부에 캐시 데이터로서 기억된 화상 데이터의 적산량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상기 캐시 영역의 확보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캐시 영역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기억부에 상기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지 않는다. The data acquisition unit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ache area in the storage unit, for example, according to an integrated amount of image data stored as cache data in the storage unit, and secure the cache area. If not, the image data in the cache area is not stored in the storage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출력 화상 영역을 복수의 타일들로 분할하는 제1 단계; 상기 복수의 타일들 중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타일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제1 영역을 연산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입력 화상의 직사각형의 제2 영역을 결정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부에 캐시 데이터로서 기억시키는 제4 단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왜곡 보정 처리를 실시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영역 중에서 캐시 데이터로서 다시 사용되어야 할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캐시 영역을 결정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An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dividing an output image area into a plurality of tiles; a second step of calculating a first area of an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a tile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among the plurality of tiles; a third step of determining a rectangular second area of the input image including the image data of the first area; a fourth step of acquiring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and storing it as cache data in a storage unit; a fifth step of performing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on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sixth step of determining a cache area including image data to be used again as cache data from among the second area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area.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왜곡 보정 처리가 실시된 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남기고, 그 외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상기 기억부의 기억 영역을 개방하는 화상 처리 방법의 구성을 갖는다.In the fourth step, after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the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is left in the storage unit among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other image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It has the structure of the image processing method which opens the storage area of the said memory|storage part.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왜곡 보정 처리가 실시된 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상기 기억부에 남아 있고, 그 외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상기 기억부의 기억 영역이 개방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of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remains in the storage unit, and other images A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in which data is stored is opened.

즉, 다시 사용되어야 할 화상 데이터로서의 상기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제외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취득되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다.That is,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from which the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is excluded as image data to be used again is acquir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따라서, 왜곡 보정의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의 중복 독출이 억제될 수 있다. Accordingly, redundant reading of image data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can be suppress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타일 분할부의 동작(타일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보정 영역 연산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화상 영역 결정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a는 입력 화상 영역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입력 화상 영역의 중복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는, 도 4 또는 5에 도시된 제11 및 제21 입력 타일들(Q11, Q21)의 형상에 포함되는 왜곡 수차의 영향을 과장하여 다시 표현한 도면이다.
도 7b는, 도 4 또는 5에 도시된 제12 및 제22 입력 타일들(Q12, Q22)의 형상에 포함되는 왜곡 수차의 영향을 과장하여 다시 표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상의 과제를 보충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flow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 (tile division) of the tile division unit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rrection area calculating unit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mage area determining unit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an input image area.
6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verlapping area of an input image area.
FIG. 7A is a diagram in which the influence of distortion aberration included in the shapes of the eleventh and twenty-first input tiles Q11 and Q21 illustrated in FIGS. 4 or 5 is exaggerated and expressed again.
FIG. 7B is a diagram in which the influence of distortion aberration included in the shapes of the twelfth and twenty-second input tiles Q12 and Q22 illustrated in FIGS. 4 or 5 is exaggerated and expressed again.
8 is a diagram for supplementary explanation of a problem in ope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n operation flow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 실시예) (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화상 처리 장치(100)는 출력 화상 영역을 복수의 타일들로 분할하고, 타일마다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한 왜곡 보정을 실시하는 장치로서, 기억부(110), 메모리(120), 데이터 취득부(130), 왜곡 보정부(140), 메모리(150), 타일 분할부(160), 보정 영역 연산부(170), 화상 영역 결정부(180), 캐시 영역 결정부(19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타일이란, 왜곡 보정의 처리 단위가 되는 화상 영역을 가리킨다(이하, 타일이라 함).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divides an output image area into a plurality of tiles and performs distortion correction on input image data for each tile, and includes a storage unit 110 , a memory 120 , and a data acquisition unit 130 . ), a distortion correcting unit 140 , a memory 150 , a tile dividing unit 160 , a correction area calculating unit 170 , an image area determining unit 180 , and a cache area determining unit 190 . Here, a tile refers to an image area serving as a processing unit for distortion corre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ile).

기억부(110)는, 입력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데이터(이하, "입력 화상 데이터"라 함)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라인 메모리로서, 예를 들어, 복수의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으로 구성된다. 기억부(110)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외부 메모리일 수도 있다. 입력 화상 데이터가 미리 로딩되는 메모리(120)는 예를 들어, SDRAM(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이다. 메모리(120)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외부 메모리일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10 is a line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image data forming an input im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put image data"), and is composed of, for example, a plurality of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do. The storage unit 110 may be an external memory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 The memory 120 into which the input image data is preloaded is, for example, a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DRAM). The memory 120 may be an external memory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

여기에서, 입력 화상 데이터에 의해 형성되는 입력 화상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미도시)에 의해 얻어진 촬상 화상으로서, 그 촬상 장치에 구비된 렌즈의 왜곡 수차를 포함하는 광학 특성의 영향을 포함하고 있다. 입력 화상을 형성하는 입력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왜곡 보정부(140)에 의한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이다. Here, the input image formed by the input image data is a captured image obtained by an imaging device (not shown) such as a digital camera, and includes the influence of optical properties including distortion aberration of a lens provided in the imaging device, there is. The input image data forming the input image is image data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by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

타일의 수평 방향 길이는 기억부(110)에 의해 구성되는 라인 메모리의 수평 방향 길이에 의해 정해지며, 예를 들어, 512 화소들(pixels)만큼의 길이이다. 또한, 타일의 수직 방향 길이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후단측 처리 사양에 의해 정해지며, 후단측 처리로서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표준의 코덱 처리를 상정한 경우, 타일의 수직 방향 길이는, 예를 들어, 8 화소들이다. 물론,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일 크기(size)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tile is determined by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line memory constituted by the storage unit 110 , for example, as long as 512 pixels. In addition, the vertical length of the tile is determined by the rear-end processing specific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when a codec processing of the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JPEG) standard is assumed as the rear-end processing, the vertical length of the tile is , for example 8 pixels.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the tile size can be arbitrarily set.

데이터 취득부(130)는 기억부(110) 및 메모리(120)에 대한 입력 화상 데이터의 기입 및 독출을 실시하기 위한 요소이다. 데이터 취득부(130)는, 타일 단위로 메모리(120)로부터 입력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부(110)에 캐시 데이터로서 기억시킴과 동시에, 기억부(110)로부터 입력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왜곡 보정부(140)에 공급한다. 데이터 취득부(130)는 데이터 공급부(131), 캐시 제어기(132), 독출 영역 결정부(133), 테이블 관리부(134), 테이블(135)을 구비하고 있다.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is an element for writing and reading input image data to and from the storage unit 110 and the memory 120 .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acquires input image data from the memory 120 in units of tiles and stores it as cache data in the storage unit 110 , and at the same time reads the input image data from the storage unit 110 and corrects the distortion. It is supplied to the government 140 .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includes a data supply unit 131 , a cache controller 132 , a read area determination unit 133 , a table management unit 134 , and a table 135 .

여기에서, 데이터 공급부(131)는 독출 영역 결정부(133)에 의해 결정되는 후술하는 독출(read) 영역에 의해 특정되는 메모리(120)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입력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캐시 제어기(132)에 공급하기 위한 요소이다. 캐시 제어기(132)는 테이블 관리부(134)로부터 공급되는 후술하는 관리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기억부(110)의 기억 영역에 대한 입력 화상 데이터의 기입 및 독출을 실시하기 위한 요소이다. Here, the data supply unit 131 reads input image data from a storage area of the memory 120 specified by a read area,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determined by the read area determination unit 133, and reads the input image data to the cache controller 132 . element to supply The cache controller 132 is an element for writing and reading input image data to and from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specified by management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supplied from 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

독출 영역 결정부(133)는 화상 영역 결정부(180)에 의해 결정되는 후술하는 입력 화상 영역 중 실제로 메모리(120)로부터 독출해야 할 입력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기억 영역을 독출(read) 영역으로서 결정하기 위한 요소이다. 테이블 관리부(134)는 기억부(110)의 기억 영역을 테이블(135)에서 관리하기 위한 요소이다. 테이블(135)에는 기억부(110)의 기억 영역 중 입력 화상 데이터의 로딩이 가능한 빈 영역과, 입력 화상 데이터가 로딩된 사용 영역을 나타내는 관리 정보가 갱신 가능하게 등록되어 있다. The read area determination unit 133 determines, as a read area, a storage area in which input image data to be actually read from the memory 120 is stored among the input image areas to be described later determined by the image area determination unit 180 . element to do it. 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is an element for managing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in the table 135 . In the table 135, among the storage areas of the storage unit 110, management information indicating an empty area in which input image data can be loaded and a used area in which the input image data is loaded are registered so that they can be updated.

데이터 취득부(130)의 후단에 배치된 왜곡 보정부(140)는 기억부(110)에 기억된 입력 화상 데이터 중 데이터 취득부(130)에 의해 기억부(110)로부터 독출된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왜곡 보정 처리를 실시하기 위한 요소이다. 왜곡 보정부(140)는, 예를 들어, 소정의 보간 비율로 입력 화상을 보간함으로써, 입력 화상에 포함되는 왜곡 수차의 영향을 억압한 출력 화상을 생성한다. 물론, 이러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왜곡 보정부(140)에 의한 왜곡 보정 처리는 임의의 알고리즘에 따른 보정 처리일 수 있다.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applies the input image data read out from the storage unit 110 by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among the input image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 It is an element for performing a predetermined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 for the .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generates an output image in which the influence of distortion aberration included in the input image is suppressed by, for example, interpolating the input image at a predetermined interpolation ratio.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and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by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may be a correction processing according to an arbitrary algorithm.

메모리(150)는, 왜곡 보정부(140)에 의해 왜곡 보정 처리가 실시된 결과의 화상 데이터(이하, "출력 화상 데이터"라 함)를 로딩하기 위한 요소로서, 예를 들어, SDRAM이다. 메모리(150)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외부 메모리일 수 있다. 이하, 출력 화상 데이터에 의해 형성되는 화상을 "출력 화상"이라고 한다.The memory 150 is an element for loading image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output image data") resulting from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performed by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and is, for example, SDRAM. The memory 150 may be an external memory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 Hereinafter, an image formed by the output image data is referred to as an "output image".

타일 분할부(160)는 상술한 출력 화상 데이터에 의해 형성되는 출력 화상 전체의 표시 영역(이하, "출력 화상 영역"이라 함)을 왜곡 보정의 처리 단위가 되는 복수의 타일들로 분할하기 위한 요소이다. 이하, 왜곡 보정의 처리 단위가 되는 하나의 타일에 대응하는 출력 화상의 타일을 "출력 타일"이라 한다. 타일 분할부(160)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출력 타일의 각 크기(size)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 타일의 크기는 기억부(110)에 의해 구성되는 라인 메모리의 수평 방향의 길이와 후단측의 처리 사양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타일 분할부(160)에 의한 타일 분할의 개수는 출력 타일의 크기에 따라 일의적으로 결정된다. The tile division unit 160 is an element for dividing the display area of the entire output im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utput image area”)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output image data into a plurality of tiles serving as a processing unit for distortion correction. am. Hereinafter, a tile of an output image corresponding to one tile serving as a processing unit for distortion correction is referred to as an "output tile". Each size of the plurality of output tiles divided by the tile divider 160 is assumed to be the sam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ize of the output tile is determined by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line memory constituted by the storage unit 110 and the processing specification at the rear end, the number of tile divisions performed by the tile division unit 160 . is uniqu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output tile.

타일 분할부(160)는 분할된 출력 타일 영역의 정보로서 출력 타일의 영역에 대응된 메모리(120)의 어드레스 공간 상의 어드레스 정보를 출력한다. 또한, 타일 분할부(160)에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왜곡 보정 처리에 있어서, 복수의 출력 타일(P11~P44)의 각각을 특정하기 위한 카운터가 내장되어 있다. The tile divider 160 outputs address information in the address space of the memory 120 corresponding to the output tile region as information on the divided output tile region. In addition, the tile dividing unit 160 has a built-in counter for specifying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tiles P11 to P44 in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of the input image data.

보정 영역 연산부(170)는 타일 분할부(160)에 의해 분할된 출력 화상의 복수의 타일들 중 왜곡 보정부(140)에 의한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하나의 타일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영역(제1 영역)의 위치 및 위상 정보를 연산하기 위한 요소이다. 여기에서, 위상 정보란, 출력 화상의 타일에 대응된 입력 화상의 영역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로서, 화소와 화소 사이의 중간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The correction region calculating unit 170 is an input image region corresponding to one tile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by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among a plurality of tiles of the output image divided by the tile dividing unit 160 . It is an element for calculating position and phase information of (the first region). Here, the phase information is information for specifying a region of an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a tile of an output image, and is information indicating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pixels.

이하에서는,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하나의 타일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영역(제1 영역)을 "입력 타일"이라 한다. 입력 화상의 입력 타일(제1 영역)은 왜곡 수차의 영향을 포함하는 왜곡 보정 전의 타일의 화소가 존재하는 화상 영역에 해당된다. 입력 타일(제1 영역)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보정 영역 연산부(170)는 타일 분할부(160)에 의해 분할된 복수 타일의 각각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입력 타일(제1 영역)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연산한다. Hereinafter, an area (first area) of an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one tile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is referred to as an "input tile". The input tile (first region) of the input image corresponds to an image region in which pixels of the tile before distortion correction including the influence of distortion aberration exist. The input tile (the first are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correction area calculating unit 170 sequentially calculates the positions of the input tiles (first areas) of the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tiles divided by the tile dividing unit 160 .

화상 영역 결정부(180)는 입력 화상의 입력 타일(제1 영역)의 화상(왜곡 보정 전의 타일의 화상)을 왜곡 보정하는 데에 필요한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직사각형의 입력 화상 영역(제2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요소이다. 입력 화상의 상기 입력 화상 영역(제2 영역)은 왜곡 보정부(140)에 의한 왜곡 보정의 처리 단위가 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집합에 대응한 화소가 존재하는 화상 영역에 해당된다. 입력 화상 영역(제2 영역)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입력 화상 영역(제2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의 집합을 "커널(kernel)"이라 한다.The image region determining unit 180 is configured to provide a rectangular input image region ( 2nd area) is a factor for determining. The input image region (second region) of the input image corresponds to an image region in which pixels corresponding to a set of input image data serving as a processing unit for distortion correction by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exist. Details of the input image area (second area) will be described later. Hereinafter, the set of input image data in the input image area (second area) is referred to as a "kernel".

캐시 영역 결정부(190)는, 보정 영역 연산부(170)에 의해 연산된 입력 화상의 입력 타일(제1 영역)의 위치를 참조하여, 입력 화상의 입력 화상 영역(제2 영역) 중 캐시 데이터로서 다시 사용되어야 할 입력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캐시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요소이다. 전술한 데이터 취득부(130)는, 왜곡 보정부(140)에 의해 왜곡 보정 처리가 실시된 후, 기억부(110)에 기억된 입력 화상 영역(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커널) 중 캐시 영역 결정부(190)에 의해 결정된 캐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10)에 남겨서 다시 이용한다. 이 경우, 데이터 취득부(130)는 상기 캐시 영역 결정부(190)에 의해 결정된 캐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기타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기억부(110)의 기억 영역을 개방하여 빈 영역으로 한다. 이와 관련된 내용은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음에, 도 2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The cache area determining unit 190 refers to the position of the input tile (first area) of the input image calculated by the correction area calculating unit 170 as cache data in the input image area (second area) of the input image. It is an element for determining a cache area containing input image data to be used again. The above-described data acquisition unit 130 caches the image data (kernel) of the input image region (second reg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after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by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 The input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determined by the area determining unit 190 is left in the storage unit 110 to be used again. In this case,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opens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in which image data other than the input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determined by the cache area determination unit 190 is stored to be an empty area. . The related cont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Next, the ope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flowchart shown in FIG. 2 .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에서는 화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의 전제로서, 메모리(120)에는 왜곡 보정의 대상이 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가 미리 로딩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Here, as a premise for the ope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 it is assumed that input image data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is loaded in the memory 120 in advance.

타일 분할부(160)는 입력 화상을 왜곡 보정하여 얻어지는 출력 화상 전체의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출력 화상 영역을 복수의 타일들로 분할한다(단계 ST1). 여기에서, 타일 분할의 대상인 출력 화상 영역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미도시)에 구비된 렌즈의 왜곡 수차가 보정된 출력 화상 전체의 영역으로서, 왜곡 수차의 영향을 포함하지 않는 가상적인 입력 화상 전체의 영역에 해당한다. The tile dividing unit 160 divides the output image area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rea of the entire output image obtained by distortion-correcting the input image into a plurality of tiles (step ST1). Here, the output image area to be divided into tiles is an area of the entire output image in which distortion aberration of a lens provided in an imaging device (not shown) such as a digital camera is corrected, and is a virtual input image that does not include the influence of distortion aberration. covers the entire area.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의 타일 분할부(160)의 동작(타일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on (tile division) of the tile division unit 160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의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출력 화상 영역(P)이 4행 4열의 16개의 출력 타일(P11 내지 P44)로 분할되어 있다. 다만, 출력 화상 영역(P)의 분할 개수(타일 개수)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In the example of FIG. 3 ,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output image area P is divided into 16 output tiles P11 to P44 in 4 rows and 4 columns. However, the number of divisions (the number of tiles) of the output image area P can be arbitrarily set.

화상 처리 장치(100)는 타일 분할된 복수의 출력 타일(P11 내지 P44)의 각각을 순차적으로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으로 하지만, 도 2의 단계들 ST2 내지 ST10은 개개의 타일의 왜곡 보정 처리 과정에서 실시된다. 따라서, 단계들 ST2 내지 ST10은 타일의 개수만큼 반복 실시된다. 이하, 단계들 ST2 내지 ST10의 반복 사이클을 "왜곡 보정 사이클"이라고 한다.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sequentially targets each of the plurality of tile-divided output tiles P11 to P44 for distortion correction, but steps ST2 to ST10 of FIG. is carried out Accordingly, steps ST2 to ST10 are repeatedly performed as many as the number of tiles. Hereinafter, the repetition cycle of steps ST2 to ST10 is referred to as a "distortion correction cycle".

제1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출력 타일들(P11 내지 P44)을 타일 분할부(160)에 내장된 카운터(미도시)에 의해 관리하고, 카운터의 계수 값에 의해 나타나는 타일을 현재의 왜곡 보정 사이클에서의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현재의 왜곡 보정 사이클이 종료되면, 카운터의 계수 값을 증가(increment)시키고, 증가 결과의 계수 값에 의해 나타나는 타일을 다음 번의 왜곡 보정 사이클에서의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16 개의 출력 타일들(P11, P12, P13, P14, ..., P41, P42, P43, P44)에 계수 값(1, 2, 3, 4, ..., 13, 14, 15, 16)이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In the first embodiment, a plurality of output tiles P11 to P44 are managed by a counter (not shown) built into the tile divider 160, and the tile indicated by the count value of the counter is changed in the current distortion correction cycle. of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Then, when the current distortion correction cycle ends, the count value of the counter is incremented, and the tile indicated by the incremented count value is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in the next distortion correction cycle. He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coefficient values 1, 2, 3, 4, ..., 13 , 14, 15, 16) are assigned.

보정 영역 연산부(170)는 상기 카운터의 계수 값에 따라 타일 분할부(160)에 의해 분할된 복수의 출력 타일들(P11 내지 P44)의 각각에 대하여, 출력 화상 영역 상의 각 타일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입력 타일(제1 영역)의 위치를 차례로 연산한다(단계 ST2).The correction area calculating unit 170 provides an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each tile on the output image area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tiles P11 to P44 divided by the tile division unit 160 according to the count value of the counter. The positions of the input tiles (the first area) of are sequentially calculated (step ST2).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의 보정 영역 연산부(17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서, 일점 쇄선은 상술한 도 3에 도시한 출력 타일들(P11 내지 P44)의 각 영역을 나타내고, 실선은 출력 화상 영역 상의 복수의 출력 타일들(P11 내지 P44)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복수의 입력 타일들(Q11 내지 Q44)을 나타내고 있다. 4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orrection area calculating unit 170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4, the dashed-dotted line indicates each area of the output tiles P11 to P44 shown in FIG. 3, and the solid line represents the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output tiles P11 to P44 on the output image area. A plurality of input tiles Q11 to Q44 are shown.

보정 영역 연산부(170)는, 상기 카운터의 계수 값에 따라 메모리(120)에 로딩된 왜곡 보정의 대상이 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촬상 장치의 렌즈의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함수를 이용하여, 복수의 출력 타일들(P11 내지 P44)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복수의 입력 타일들(Q11 내지 Q44)의 각 위치를 차례로 연산한다. 상기 함수는 입력 화상과 출력 화상간의 대응 관계를 기술하는 함수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120)에 로딩된 입력 화상 데이터를 공급하는 상기 촬상 장치에 구비된 렌즈의 왜곡 수차에 의한 화상의 왜곡량을 나타내는 함수이다. The correction area calculating unit 170 uses a function represent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a lens of an imaging device that supplies input image data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loaded into the memory 120 according to the count value of the counter, Each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input tiles Q11 to Q44 of the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tiles P11 to P44 is sequentially calculated. The function describes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input image and the output image. For example, the amount of image distortion caused by the distortion aberration of the lens provided in the imaging device that supplies the input image data loaded into the memory 120 . is a function representing

이어서, 화상 영역 결정부(180)는 상기 카운터의 계수 값에 따라 입력 화상의 직사각형의 입력 화상 영역(제2 영역)으로서, 도 5에 도시한 입력 화상 영역들(R11 내지 R44)을 차례로 결정한다(단계 ST3). 여기에서, 입력 화상의 입력 화상 영역(제2 영역)은 입력 화상의 복수의 입력 타일들(Q11 내지 Q44)의 각 타일의 화상의 왜곡 보정에 필요한 입력 화상 데이터의 집합이 포함되는 화상 영역이다. 화상 영역 결정부(180)는, 입력 화상의 복수의 입력 타일들(Q11 내지 Q44) 중 왜곡 보정 처리 대상으로 되어 있는 타일에 인접하는 수직 방향 타일의 선두 수평 라인의 위치 정보에 따라, 후술하는 캐시 영역에 대응되는 입력 화상 영역을 결정한다. Next, the image region determining unit 180 sequentially determines the input image regions R11 to R44 shown in FIG. 5 as a rectangular input image region (second region) of the input image according to the count value of the counter. (Step ST3). Here, the input image area (second area) of the input image is an image area including a set of input image data required for image distortion correction of each tile of the plurality of input tiles Q11 to Q44 of the input image. The image area determiner 180 is configured to perform a cach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position information of a head horizontal line of a vertical tile adjacent to a tile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among a plurality of input tiles Q11 to Q44 of the input image. An input image area corresponding to the area is determined.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의 화상 영역 결정부(18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입력 타일들(Q11 내지 Q44)은 도 4에 도시된 입력 화상의 입력 타일들(Q11 내지 Q44)이다. 점선으로 나타내는 입력 화상 영역들(R11 내지 R44)에는 각 타일을 왜곡 보정하는데 필요한 화소가 존재한다. 5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image area determiner 180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5 , input tiles Q11 to Q44 indicated by solid lines are input tiles Q11 to Q44 of the input image shown in FIG. 4 . In the input image regions R11 to R44 indicated by dotted lines, pixels necessary for distortion correction of each tile exist.

도 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전술한 출력 화상의 출력 타일(P11)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입력 타일(Q11)을 왜곡 보정하는 경우, 화상 영역 결정부(180)는 입력 타일(Q11)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입력 화상 영역(R11, 제2 영역)을 결정한다. 입력 화상 영역(R11)의 정점 위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왜곡 보정 처리시에 입력 타일(Q11)의 화소 보간에 필요한 소정의 주변 화소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도록 설정된다. 다른 입력 타일들(Q12 내지 Q44)의 각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입력 화상 영역들(R12 내지 R44)의 각 정점 위치가 결정된다. Referring to FIG. 5 , for example, when the input tile Q11 of the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the output tile P11 of the above-described output image is distortion-corrected, the image region determiner 180 determines the input tile Q11. A rectangular input image area R11 (second area) including The vertex position of the input image region R11 is set so as to include input image data of predetermined neighboring pixels necessary for pixel interpolation of the input tile Q11 during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as described later. The respective vertex positions of the input image regions R12 to R44 are determined similarly for each of the other input tiles Q12 to Q44.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의 화상 영역 결정부(180)의 동작을 보충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상술한 입력 화상 영역들(R11 내지 R44)의 각 정점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a는 입력 화상 영역(R11)의 결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입력 화상 영역(R11)과 입력 화상 영역(21)의 중복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A and 6B are diagrams for supplementary explanation of the operation of the image region determiner 180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the input image regions R11 to R44 described above. It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each vertex of . 6A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termining the input image area R11. 6B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overlapping region between the input image region R11 and the input image region 21 .

도 6a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입력 화상 영역(R11)을 결정하는 경우, 화상 영역 결정부(180)는 입력 화상의 입력 타일(Q11)을 둘러싸는 입력 화상 영역(R11)이 입력 타일(Q11)의 전체를 둘러싸도록, 입력 화상 영역(R11)의 각 변의 위치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화상 영역 결정부(180)는, 입력 타일(Q11)의 선두 수평 라인(L11)과 입력 화상 영역(R11)의 외관과의 사이의 수직 방향의 최소 거리가 왜곡 보정 처리(보간 처리)에 필요한 소정의 주변 화소수에 해당하는 거리가 되도록, 입력 화상 영역(R11)의 외관의 위치를 결정한다. Referring to FIG. 6A , for example, when determining the input image region R11, the image region determiner 180 determines that the input image region R11 surrounding the input tile Q11 of the input image is the input tile ( The position of each side of the input image area R11 is determined so as to surround the entirety of Q11). Specifically, the image region determining unit 180 determines that the minimum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leading horizontal line L11 of the input tile Q11 and the exterior of the input image region R11 is a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 (interpolation process). The position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input image area R11 is determined so that the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number of peripheral pixels required for the .

또한, 화상 영역 결정부(180)는, 입력 타일(Q11)의 수직 방향에 인접하는 입력 타일(Q21)의 선두 수평 라인(L21)과 입력 화상 영역(R11)의 하변과의 사이의 수직 방향의 최소 거리가 왜곡 보정 처리(보간 처리)에 필요한 소정의 주변 화소수에 해당하는 거리가 되도록, 입력 화상 영역(R11)의 하변의 위치를 결정한다. In addition, the image area determining unit 180 determines the vertical direction between the first horizontal line L21 of the input tile Q21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input tile Q11 and the lower side of the input image area R11. The posi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input image region R11 is determined so that the minimum distance becomes a distanc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number of peripheral pixels required for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interpolation processing).

입력 화상 영역(R11)의 좌변 및 우변의 각 위치도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다. The position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put image area R11 are also determined in this way.

이와 같이, 입력 화상 영역(R11)의 외관, 하변, 좌변, 우변의 각 위치가 결정되면, 입력 화상 영역(R11)의 정점 위치가 확정된다. 다른 입력 화상 영역들(R12 내지 R44)의 각 정점 위치에 대해서도, 상술한 입력 화상 영역(R1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결정된다. In this way, when the external appearance, the lower side, the left side, and each position of the right side of the input image region R11 are determined, the vertex positions of the input image region R11 are determined. The position of each vertex of the other input image regions R12 to R44 is also determined using the same method as for the above-described input image region R11.

여기에서, 입력 타일(Q11)을 둘러싼 입력 화상 영역(R11)은, 입력 타일(Q11)의 왜곡 보정 처리에 필요한 입력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입력 타일(Q21)을 둘러싼 입력 화상 영역(R21)은 입력 타일(Q21)의 왜곡 보정 처리에 필요한 입력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입력 화상 영역(R11)과 입력 화상 영역(R21)이 결정되면,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화상 영역(R11)과 입력 화상 영역(R21)의 중복 영역(S)이 발생한다. Here, the input image region R11 surrounding the input tile Q11 is a region including input image data necessary for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of the input tile Q11. The input image region R21 surrounding the input tile Q21 is a region including input image data required for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of the input tile Q21. When the input image region R11 and the input image region R21 are determined, an overlapping region S of the input image region R11 and the input image region R21 is generated as shown in Fig. 6B.

만일, 입력 화상 영역(R11, R21)의 각각에 의해 개별적으로 특정되는 화상 영역에 포함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20)로부터 독출하는 것으로 하면, 중복 영역(S)의 입력 화상 데이터가 중복되어 독출되게 되고, 메모리(120)로부터 입력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처리 부담이 증가한다.If input image data included in an image region individually specified by each of the input image regions R11 and R21 is read from the memory 120, the input image data in the overlapping region S is duplicated. is read out, and the processing load for reading the input image data from the memory 120 increases.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입력 타일(Q11)의 왜곡 보정 처리시에 중복 영역(S)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10)에 캐시 데이터로서 남겨 둔다. 반대로 말하면, 사용되지 않을 입력 화상 데이터는 캐시로서 남기지 않는다. 그리고, 입력 타일(Q21)의 왜곡 보정 처리를 위한 왜곡 보정 사이클에 있어서, 입력 화상 영역(R21)에 포함되는 입력 타일(Q21)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20)로부터 독출할 때, 중복 영역(S)의 화상 데이터의 독출을 생략한다. 달리 말하면, 데이터 취득부(130)는 입력 타일(Q21)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20)로부터 독출하여 기억부(110)에 기억시킬 때, 중복 영역(S)의 입력 화상 데이터가 남겨진 기억부(110)의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제외하고, 입력 화상 영역(R21)(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20)로부터 취득하여 기억부(110)에 기억시킨다. Therefor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input image data of the overlapping area S is left as cache data in the storage unit 110, for example, in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of the input tile Q11. Conversely, input image data that will not be used is not left as a cache. Then, in the distortion correction cycle for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of the input tile Q21, when the input image data of the input tile Q21 included in the input image region R21 is read from the memory 120, the overlapping region ( The reading of the image data of S) is omitted. In other words, when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reads the input image data of the input tile Q21 from the memory 120 and stores it in the storage unit 110 , the storage unit in which the input image data of the overlapping area S is left. The image data of the input image area R21 (second area) is acquired from the memory 120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except for the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at (110).

이어서, 데이터 취득부(130)의 독출 영역 결정부(133)는 상기 카운터의 계수 값에 따라, 상술한 입력 화상 영역(R11~R44)을 왜곡 보정에 필요한 입력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20)로부터 실제로 독출하기 위한 독출(read) 영역으로서 차례로 결정하고, 이 독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공급부(131)에 요구한다(단계 ST4). 여기에서, 독출 영역 결정부(133)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한 입력 타일들(Q11 내지 Q44) 중 제1행째의 입력 타일들(Q11 내지 Q14)의 입력 화상 영역들(R11 내지 R14)에 대하여 그대로 독출 영역으로서 결정하며, 제2행째의 입력 타일들(Q21 내지 Q24)에 대해서는 입력 화상 영역들(R21 내지 R24)의 각각으로부터 상술한 중복 영역(S)에 해당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독출 영역으로서 결정한다(단계 ST3).Next, the read area determination unit 133 of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actually transfers the input image data required for distortion correction of the above-described input image areas R11 to R44 from the memory 120 according to the count value of the counter. It is sequentially determined as a read area for reading, and the input image data of this read area is requested from the data supply unit 131 (step ST4). Here, the read area determiner 133 may include input image areas R11 to R14 of the input tiles Q11 to Q14 of the first row among the input tiles Q11 to Q44 illustrated in FIG. 4 or 5 . ) is determined as a read area as it is, and for the input tiles Q21 to Q24 of the second row,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overlapping area S is excluded from each of the input image areas R21 to R24. is determined as the read area (step ST3).

그리고, 독출 영역 결정부(133)는, 제2행째의 입력 타일들(Q21 내지 Q24)에 대하여, 화상 영역 결정부(180)에 의하여 결정된 입력 화상 영역들(R21 내지 R44)의 각각의 입력 화상 데이터로부터 상술한 중복 영역(S)에 해당하는 기억부(110)의 캐시 영역에 포함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입력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공급부(131)에 요구한다(단계 ST4). 제3행째의 입력 타일들(Q31 내지 Q34) 및 제4행째의 입력 타일들(Q41 내지 Q44)에 대하여, 상술한 제2행째의 타일에 대한 동작이 동일하게 적용된다.In addition, the read area determiner 133 , with respect to the input tiles Q21 to Q24 of the second row, receives each input image of the input image areas R21 to R44 determined by the image area determiner 180 . The data supply unit 131 requests input image data excluding the input image data contained in the cach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overlapping area S from the data (step ST4). The same operation for the tile of the second row is applied to the input tiles Q31 to Q34 of the third row and the input tiles Q41 to Q44 of the fourth row.

이어서, 데이터 취득부(130)의 데이터 공급부(131)는, 독출 영역 결정부(133)의 상기 요구에 따라, 제1행째의 입력 타일들(Q11 내지 Q14)에 대해서는 입력 화상 영역들(R11 내지 R14)에 포함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20)로부터 차례로 취득하여 캐시 제어기(132)에 공급하고, 캐시 제어기(132)를 통해 기억부(110)에 기억시킨다(단계 ST5).Subsequently, the data supply unit 131 of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read area determination unit 133 , applies the input image areas R11 to Q14 for the input tiles Q11 to Q14 of the first row. R14) is sequentially acquired from the memory 120, supplied to the cache controller 132,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via the cache controller 132 (step ST5).

또한, 데이터 공급부(131)는, 독출 영역 결정부(133)의 상기 요구에 따라, 제2행째부터 제4행째의 입력 타일들(Q21 내지 Q44)에 대해서는 입력 화상 영역들(R21 내지 R44)에 포함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중복 영역(S)에 대응한 기억부(110)의 캐시 영역에 포함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제외한 입력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20)로부터 취득하여 기억부(110)에 기억시킨다(단계 ST5).Also,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read area determining unit 133 , the data supply unit 131 is configured to provide input image areas R21 to R44 for the input tiles Q21 to Q44 in the second to fourth rows. Among the included input image data, input image data excluding the input image data included in the cach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area S is acquired from the memory 120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 (Step ST5).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보정 영역 연산부(170)가 출력 화상의 복수의 출력 타일들(P11 내지 P44)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입력 타일(Q11~Q44)의 각 위치를 연산하면, 그 각 영역의 위치에 관한 정보는 테이블 관리부(134)에 공급된다. 테이블 관리부(134)는, 보정 영역 연산부(170)로부터 공급되는 입력 화상의 입력 타일들(Q11 내지 Q44)의 각 위치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각 타일의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해 기억부(110)의 기억 영역의 빈 영역을 할당한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rrection area calculating unit 170 calculates each position of the input tiles Q11 to Q44 of the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output tiles P11 to P44 of the output image,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is supplied to 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 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refers to the information on the respective positions of the input tiles Q11 to Q44 of the input image supplied from the correction area calculating unit 170, and the input image data of each tile to be subjected to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An empty area of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is allocated to .

테이블 관리부(134)는 입력 타일(Q11)의 입력 화상 데이터에 할당된 기억부(110)의 기억 영역을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테이블(135)에 등록하고, 테이블(135)을 갱신한다. 그리고, 테이블 관리부(134)는 갱신된 테이블(135)에서 관리되는 관리 정보를 캐시 제어기(132)로 공급한다. 다른 입력 타일들(Q12 내지 Q4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registers manage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allocated to the input image data of the input tile Q11 in the table 135 , and updates the table 135 . In addition, 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supplies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d in the updated table 135 to the cache controller 132 . The same is true for the other input tiles Q12 to Q44.

이어서, 캐시 제어기(132)는 테이블 관리부(134)로부터 공급되는 관리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기억부(110)의 기억 영역으로부터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입력 화상의 입력 타일(Q11)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여 왜곡 보정부(140)로 공급한다(단계 ST6). 다른 입력 타일들(Q12 내지 Q4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Next, the cache controller 132 retrieves the input image data of the input tile Q11 of the input image to be subjected to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from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110 indicated by the management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 It is read and supplied to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step ST6). The same is true for the other input tiles Q12 to Q44.

이어서, 왜곡 보정부(140)는, 캐시 제어기(132)로부터 공급된 입력 타일(Q11)의 입력 화상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왜곡 보정 처리를 실시하고(단계 ST7), 왜곡 수차가 보정된 출력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왜곡 보정부(140)는 왜곡 보정 처리가 실시된 입력 타일(Q11)의 출력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50)에 기억시킨다(단계 ST8). 다른 입력 타일(Q12~Q4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Next,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performs a predetermined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 on the input image data of the input tile Q11 supplied from the cache controller 132 (step ST7), and the output image data in which the distortion aberration is corrected. to create Then,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stores the output image data of the input tile Q11 subjected to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 in the memory 150 (step ST8). The same applies to other input tiles Q12 to Q44.

이어서, 캐시 영역 결정부(190)는 왜곡 보정부(140)에 의한 입력 타일(Q11)에 대한 왜곡 보정 처리가 종료된 후, 보정 영역 연산부(170)에 의해 연산된 복수의 출력 타일들(P11 내지 P44)의 각 타일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입력 타일(Q11)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화상 영역 결정부(180)에 의해 결정된 입력 타일(Q11)의 입력 화상 영역(R11)(제2 영역) 중 캐시 데이터로서 다시 사용되어야 할 입력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캐시 영역을 결정한다(단계 ST9). 다른 입력 타일들(Q12 내지 Q44)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Subsequently, the cache area determiner 190 determines the plurality of output tiles P11 calculated by the correction area calculating unit 170 after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for the input tile Q11 by the distortion correcting unit 140 is finished. to P44), the input image region R11 of the input tile Q11 (th 2), a cache area containing input image data to be used again as cache data is determined (step ST9). The same is true for the other input tiles Q12 to Q44.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다시 사용되어야 할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캐시 영역은 도 6b에 도시된 중복 영역(S)에 대응하는 영역이다. 캐시 영역 결정부(190)는, 입력 타일(Q11)의 선두 라인의 위치와 입력 타일(Q21)의 선두 라인의 위치를 이용하여 중복 영역(S)을 특정하고, 특정된 중복 영역(S)을 재사용될 입력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캐시 영역으로서 결정한다(단계 ST9).Here, as described above, the cache area including the image data to be used again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area S shown in FIG. 6B . The cache area determining unit 190 specifies the overlapping area S using the position of the leading line of the input tile Q11 and the position of the leading line of the input tile Q21, and selecting the specified overlapping area S It is determined as a cache area containing input image data to be reused (step ST9).

이어서, 테이블 관리부(134)는, 캐시 영역 결정부(190)에 의해 결정된 캐시 영역에 재사용될 입력 화상 데이터가 로딩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테이블(135)에 기입하고, 테이블(135)을 갱신한다(단계 ST10). 이 때, 테이블 관리부(134)는, 입력 타일(Q11)의 입력 화상 영역(R11)에 포함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 중 상기 캐시 영역 이외의 입력 화상 데이터가 로딩된 기억 영역을 개방하는 정보를 테이블(135)에 기입하고, 테이블(135)을 갱신한다(단계 ST10).Next, 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writes manage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input image data to be reused is loaded in the cache area determined by the cache area determination unit 190 into the table 135 , and updates the table 135 . (step ST10). At this time, 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stores information for opening a storage area loaded with input image data other than the cache area among the input image data included in the input image area R11 of the input tile Q11 to the table 135 . ), and the table 135 is updated (step ST10).

테이블 관리부(134)는 상기 갱신된 테이블(135)에서 관리된 관리 정보를 캐시 제어기(132)에게 공급한다. 캐시 제어기(132)는 기억부(110)에 기억된 입력 타일(Q11)의 입력 화상 영역(R11)의 입력 화상 데이터 중 테이블 관리부(134)로부터 공급되는 관리 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캐시 영역(중복 영역(S)에 대응하는 캐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10)에 남겨 다시 이용한다. 이 경우, 캐시 제어기(132)는 테이블 관리부(134)의 관리하에 상기 캐시 영역 이외의 입력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기억부(110)의 기억 영역을 개방하여 빈 영역으로 한다(또는, 상기 캐시 영역 이외의 입력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기억부(110)의 기억 영역에 데이터 공급부(131)로부터 새로이 공급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덮어쓰기(overwrite)한다). 이어서, 제1행째의 입력 타일들(Q12 내지 Q14)에 대해 입력 타일(Q11)과 마찬가지로 상술한 일련의 처리(단계들 ST1 내지 ST10)가 반복 실시된다. 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suppli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managed in the updated table 135 to the cache controller 132 . The cache controller 132 stores the cache area (duplicate area (redundancy area) The input image data in the cache area corresponding to S)) is left in the storage unit 110 to be used again. In this case, the cache controller 132 opens a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in which input image data other than the cache area is stored under the management of 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to be an empty area (or other than the cache area). (overwrites the input image data newly supplied from the data supply unit 131 to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in which the input image data is stored). Next,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ing (steps ST1 to ST10) is repeatedly performed for the input tiles Q12 to Q14 in the first row, similar to the input tile Q11.

이어서, 제2행째의 입력 타일들(Q21 내지 Q24)을 대상으로 한 왜곡 보정을 위한 처리(단계들 ST1 내지 ST10)가 실시된다. 이 경우, 데이터 취득부(130)의 테이블 관리부(134)는 제2행째의 입력 타일(Q21)의 입력 화상 영역(R21)에 포함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20)로부터 취득할 때, 테이블(135)의 관리 정보를 참조함으로써, 입력 타일(Q21)의 입력 화상 영역(R21)에 포함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 중 상술한 입력 타일(Q11)의 입력 화상 영역(R11)과의 중복 영역(S)의 입력 화상 데이터가 캐시 데이터로서 기억부(110)에 이미 기억되어 있음을 파악한다. Next, processing for distortion correction targeting the input tiles Q21 to Q24 of the second row (steps ST1 to ST10) is performed. In this case, when 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of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acquires the input image data included in the input image area R21 of the input tile Q21 of the second row from the memory 120, the table ( 135), the overlap area S with the input image area R11 of the above-described input tile Q11 among the input image data included in the input image area R21 of the input tile Q21. It is recognized that the input image data is alread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as cache data.

따라서, 테이블 관리부(134)는 중복 영역(S)의 입력 화상 데이터가 캐시 데이터로서 기억부(110)에 이미 기억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독출 영역 결정부(133)에 공급한다. Accordingly, 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supplies the read area determination unit 133 with manage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input image data of the overlapping area S has already bee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as cache data.

독출 영역 결정부(133)는, 테이블 관리부(134)로부터 공급되는 관리 정보를 받아 입력 타일(Q21)의 입력 화상 영역(R21)의 독출 영역을 결정할 때, 입력 화상 영역(R21)로부터 중복 영역(S)를 제외한 나머지의 영역을 독출 영역으로 결정하고(단계 ST3), 그 독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데이터 공급부(131)에 요구한다(단계 ST4).The read area determination unit 133 receives the management information supplied from 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and determines the read area of the input image area R21 of the input tile Q21, from the input image area R21 to the overlapping area ( The area remaining except S) is determined as a read area (step ST3), and the input image data of the read area is requested from the data supply unit 131 (step ST4).

데이터 공급부(131)는, 독출 영역 결정부(133)로부터의 요구를 받고, 독출 영역 결정부(133)에 의해 결정된 독출 영역에 따라, 입력 화상 영역(R21)으로부터 중복 영역(S)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20)로부터 취득하여 캐시 제어기(132)를 통해 기억부(110)에 기억시킨다(단계 ST5). 이에 따라, 입력 화상 영역(R11)과 입력 화상 영역(R21)간의 중복 영역(S)의 입력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120)로부터 중복 독출되는 일이 없고, 기억부(110)에는 입력 타일(Q21)의 입력 화상 영역(R21)의 모든 입력 화상 데이터가 캐시 데이터로서 기억된 상태가 된다. The data supply unit 131 receives a request from the read area determination unit 133 and according to the read area determined by the read area determination unit 133 , the input image area R21 excluding the overlapping area S The input image data of the area is acquired from the memory 120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via the cache controller 132 (step ST5). Accordingly, the input image data of the overlapping region S between the input image region R11 and the input image region R21 is not repeatedly read out from the memory 120 , and the input tile Q21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 All of the input image data in the input image area R21 of are stored as cache data.

캐시 제어기(132)는 입력 타일(Q21)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10)로부터 독출한다(단계 ST6). 왜곡 보정부(140)는 기억부(110)에 기억된 입력 타일(Q21)의 입력 화상 영역(R21)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캐시 제어기(132)로부터 받아 입력 타일(Q21)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왜곡 보정 처리를 실시한다(단계 ST7). 왜곡 보정부(140)는 왜곡 보정된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150)에 기억시킨다(단계 ST8).The cache controller 132 reads the input image data of the input tile Q21 from the storage 110 (step ST6).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receives the input image data of the input image region R21 of the input tile Q21 stored in the storage 110 from the cache controller 132 and uses the input image data of the input tile Q21 . Thus,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step ST7).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stores the distortion-corrected image data in the memory 150 (step ST8).

이 후, 입력 타일(Q21)의 입력 화상 영역(R21)의 중복 영역에 해당하는 캐시 영역의 결정과 테이블(135)의 구성이 상술한 제1행째와 동일하게 행해진다(단계들 ST9, S10). 또한, 제2행째의 입력 타일들(Q22 내지 Q24)에 대해 입력 타일(Q21)와 동일하게 상술한 일련의 처리(단계들 ST1 내지 ST10)가 반복 실시된다. Thereafter, determination of the cache area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area of the input image area R21 of the input tile Q21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table 135 ar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row described above (steps ST9 and S10). . Further,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processing (steps ST1 to ST10) is repeatedly performed for the input tiles Q22 to Q24 of the second row in the same manner as for the input tile Q21.

제2행째의 입력 타일들(Q21 내지 Q24)에 대해 왜곡 보정 처리가 종료되면, 제3행째의 입력 타일들(Q31 내지 Q34)과 제4행째의 입력 타일(Q41~Q44)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상술한 일련의 처리(단계들 ST1 내지 ST10)가 실시된다. 이 경우도 상술한 제2행째의 입력 타일들(Q21 내지 Q24)과 마찬가지로 입력 화상 영역으로부터 중복 영역(S)을 제외한 독출 영역이 결정되고, 이 독출 영역에 의해 나타나는 입력 화상의 입력 화상 데이터가 취득된다. When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is completed for the input tiles Q21 to Q24 of the second row, the input tiles Q31 to Q34 of the third row and the input tiles Q41 to Q44 of the fourth row are described in the same manner. A series of processing (steps ST1 to ST10) is performed. Also in this case, similarly to the input tiles Q21 to Q24 of the second row described above, a read area excluding the overlapping area S is determined from the input image area, and the input image data of the input image represented by the read area is obtained. do.

따라서,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중복 영역(S)의 입력 화상 데이터가 중복 독출되지 않으므로, 메모리(120)로부터 독출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 양을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모리(120)로부터 입력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한 독출 처리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로부터 불필요하게 입력 화상 데이터를 독출하지 않아도 되므로,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input image data of the overlapping area S is not read over and over, the amount of input image data read from the memory 120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load of the read processing for reading the input image data from the memory 120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it is not necessary to unnecessarily read input image data from the memory 120, the processing speed can be improved and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또한,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중복 영역(S)에 대응하는 캐시 영역 이외의 입력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기억부(110)의 기억 영역을 빈 영역으로 하기 때문에, 또는 상기 캐시 영역 이외의 입력 화상 데이터의 기억 영역을 개방하기 때문에, 기억부(110)의 기억 용량을 삭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상 처리 장치(100)의 회로 규모를 억제할 수 있어 장치 코스트를 저감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since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in which input image data other than the cache area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area S is stored is used as an empty area, an input image other than the cache area is used as an empty area. Since the data storage area is opened,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unit 110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circuit scale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can be suppressed, and the apparatus cost can be reduced.

또한, 종래의 타일 분할법을 이용한 왜곡 보정 처리를 왜곡 수차의 영향을 포함하는 화상에 적용했을 경우, 상술한 도 6b에 예시되는 중복 영역(S)이 발생함으로써, 처리 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소비 전력이 증가한다. 또한, 왜곡 보정 처리에 많은 캐시 기억 장치를 필요로 한다. In addition, when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using the conventional tile division method is applied to an image including the influence of distortion aberration, the overlap region S illustrated in FIG. 6B is generated, which increases processing time and reduces power consumption. increases In addition, many cache storage devices are required for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제2 실시예) (Second embodiment)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Next,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중복 영역(S)에 대응된 기억부(110)의 캐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의 적산량(엄밀하게는, 캐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의 적산량에, 왜곡 보정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1타일 분량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부가한 데이터 양)이 기억부(110)의 기억 용량을 초과하면, 입력 화상의 각 타일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10)에 캐시 데이터로서 기억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하고, 왜곡 보정부(140)에 의한 왜곡 보정 처리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the integration amount of the input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area S (strictly, the integration amount of the input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the amount of distortion correction When the target data amount plus input image data for one tile) exceeds the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unit 110 , the storage unit 110 stores the input image data of each tile of the input image as cache data. A difficult situation may occur, and a case may occur that interferes with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 by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

도 7a 및 7b를 참조하여, 왜곡 보정에 필요한 입력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10)에 캐시 데이터로서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situa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to secure input image data necessary for distortion correction as cache data in the storage unit 110 will be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

도 7a 및 7b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상의 과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기억부(110)에 캐시 데이터로서 확보하기 어려운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7A and 7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al problems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drawings for

도 7a는, 상술된 도 4 또는 5에 도시된 제11 및 제21 입력 타일들(Q11, Q21)의 형상에 포함되는 왜곡 수차의 영향을 과장하여 다시 표현한 도면이다. 도 7b는, 상술된 도 4 또는 5에 도시된 제12 및 제22 입력 타일들(Q12, Q22)의 형상에 포함되는 왜곡 수차의 영향을 과장하여 다시 표현한 도면이다. FIG. 7A is an exaggerated representation of the influence of distortion aberration included in the shapes of the eleventh and twenty-first input tiles Q11 and Q21 illustrated in FIGS. 4 or 5 described above. FIG. 7B is a diagram in which the influence of distortion aberration included in the shapes of the twelfth and twenty-second input tiles Q12 and Q22 illustrated in FIGS. 4 or 5 is exaggerated and expressed again.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왜곡 수차의 영향이 현저해지는 화상의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입력 타일(Q11, Q21)의 변형은 커진다. As shown in Fig. 7A, the deformation of the input tiles Q11 and Q21 located in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image where the influence of the distortion aberration becomes significant increases.

이에 대하여,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왜곡 수차의 영향이 적은 화상의 중심에 가까운 영역에 위치하는 입력 타일(Q11, Q21)의 변형이 작아진다. 이에 따라, 화상의 주변 영역에 위치하는 입력 타일(Q12)의 입력 화상 영역(R11)과 입력 타일(Q21)의 입력 화상 영역(R21) 사이의 중복 영역(S1)의 면적은 화상의 중심에 가까운 영역에 위치하는 입력 타일(Q12)의 입력 화상 영역(R12)과 Q22의 입력 화상 영역(R22) 사이의 중복 영역(S2)의 면적보다 커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In contrast, as shown in FIG. 7B , the distortion of the input tiles Q11 and Q21 positioned in the region close to the center of the image with little influence of the distortion aberration is reduced. Accordingly, the area of the overlapping region S1 between the input image region R11 of the input tile Q12 located in the peripheral region of the image and the input image region R21 of the input tile Q21 is close to the center of the image. It shows a tendency to become larger than the area of the overlapping area|region S2 between the input image area|region R12 of the input tile Q12 located in the area|region, and the input image area|region R22 of Q22.

도 8은,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상의 과제를 보충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술한 입력 화상 영역의 중복 영역(S(S1, S2))에 대응하는 기억부(110)의 캐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의 적산량과 입력 화상의 수평 방향에서의 각 타일의 위치와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서, 횡축의 좌측 방향은 화상의 좌측 방향을 가리키고, 횡축의 우측 방향은 화상의 우측 방향을 가리킨다. FIG. 8 is a diagram for supplementary explanation of the operational problems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umulated amount of input image data in the cache area of the corresponding storage unit 110 and the position of each ti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input image is shown. In Fig. 8, the left direction of the horizontal axis indicates the left direction of the image, and the right direction of the horizontal axis indicates the right direction of the image.

도 8의 예에서는, 입력 화상 데이터의 적산량을 나타내는 12개의 기둥이 나타나 있는데, 각 기둥은, 예를 들어, 도 4 또는 도 5에 예시하는 제1행째의 입력 타일(Q11~Q14) 중 선두의 입력 타일(Q11)로부터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으로 되어 있는 타일까지의 중복 영역(S)에 대응된 기억부(110)의 캐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의 적산량을 나타내고 있다. In the example of FIG. 8 , 12 columns indicating the integration amount of input image data are shown. Each column is, for example, the head among the input tiles Q11 to Q14 of the first row illustrated in FIG. 4 or FIG. 5 . The accumulated amount of input image data in the cach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corresponding to the overlap area S from the input tile Q11 to the tile to be subjected to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is shown.

도 8에 있어서, 화상의 좌측 주변의 영역(A)에 나타내는 화살표(점선)의 기울기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화상의 좌측 주변의 영역(A)에서는 도 7a에 예시한 바와 같이 타일의 변형량이 커지기 때문에, 기억부(110)의 상기 캐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의 적산량의 증가율은 커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우측 주변의 영역(C)에 대해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낸다. 이에 대해, 화상의 중심 부근의 영역(B)에서는 타일의 변형량이 작기 때문에, 기억부(110)의 상기 캐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의 적산량의 증가율이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In Fig. 8, as shown by the inclination of the arrow (dotted line) indicated in the area A on the left side of the image,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tile increases in the area A on the left side of the image as illustrated in Fig. 7A. Therefore, the increase rate of the integration amount of the input image data in the cach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tends to increase. The same tendency is shown also for the area|region C around the right side. On the other hand, in the area B near the center of the image, since the amount of deformation of the tile is small, the increase rate of the integration amount of the input image data in the cach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tends to be small.

도 8의 예에서는, 우측 방향의 영역(C)에 있어서, 기억부(110)의 캐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의 적산량 증가율이 급격하게 커진다. 이에 따라,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이 영역(B)로부터 영역(C)에 위치하는 타일로 이행하면, 기억부(110)에 캐시 데이터로서 기억되는 입력 화상 데이터가 가속도적으로 증가한다. 이 경우, 왜곡 보정 처리에 필요한 입력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10)에 캐시 데이터로서 확보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급격하게 높아진다. In the example of FIG. 8 , in the area C in the right direction, the increase rate of the integration amount of the input image data in the cach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rapidly increases. Accordingly, when the subject of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shifts from the area B to the tile located in the area C, the input image data stored as cache data in the storage unit 110 accelerates. In this case, the possibility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input image data necessary for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as cache data in the storage unit 110 sharply increases.

따라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부(130)는 중복 영역(S)에 대응된 캐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의 적산량이 소정치(TH)를 넘은 경우, 중복 영역(S)에 대응된 캐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10)에 남기지 않고, 기억부(110)의 기억 영역을 모두 커널로 할당한다. 여기에서, 소정치(TH)는 기억부(110)의 전(全) 기억 용량에 안전률을 곱한 입력 화상 데이터 양이고, 일예로서 기억부(110)의 총 기억 용량의 80퍼센트의 데이터 양을 나타내는 값이다. 다만, 소정치(TH)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Accordingly, in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accumulated amount of input image data in the cache area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area S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TH,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determines the data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area S. Without leaving the input image data in the cache area in the storage unit 110, all the storage areas of the storage unit 110 are allocated to the kernel. Here, the predetermined value TH is the amount of input image data obtained by multiplying the total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unit 110 by the safety factor, and as an example, a data amount of 80% of the total storage capacity of the storage unit 110 is the value it represents. However, the predetermined value TH can be arbitrarily set.

이어서, 도 9에 도시한 플로우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ccording to the flow shown in FIG. 9 .

제2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도 1 내지 도 5를 원용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단계들 중에서 단계 ST8A를 제외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100)의 동작 플로우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해진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단계 ST8A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한다. In the second embodiment, Figs. 1 to 5 of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re used. Also, except for step ST8A among the steps shown in Fig. 9, the operation flow of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refore, the description will be focused on step ST8A here.

개략적으로,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부(130)는 기억부(110)에 기억된 상기 중복 영역(S)에 대응된 캐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의 적산량에 따라, 다음의 왜곡 보정 처리시에 기억부(110)에 상기 중복 영역(S)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위한 캐시 영역의 확보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캐시 영역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기억부(110)에 상기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부(110)에 기억시키지 않는다. 그 밖에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Schematically,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performs the following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accumulated amount of input image data in the cache area corresponding to the overlap area 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 At the time,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cache area for the input image data in the overlapping area S can be secured in the storage unit 110 , and when the cache area cannot be secured, the cache are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 The image data of the area is no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10 . Otherwise, it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단계 ST8A에 주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왜곡 보정부(140)에서 왜곡 보정된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150)에 기억되면(단계 ST8), 데이터 취득부(130)의 테이블 관리부(134)는 테이블(135)을 참조하여, 기억부(110)의 전 기억 영역 중 사용되고 있는 기억 영역의 데이터 양이 소정치(TH)를 넘지 않는지 여부, 즉, 다음 번 왜곡 보정 처리에서 사용될 중복 영역(S)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기 위한 캐시 영역의 확보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T8A).In detail, paying attention to step ST8A, as in the first embodiment, when the image data distortion-corrected by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is stored in the memory 150 (step ST8), the table management unit ( 134) refers to the table 135, and indicates whether or not the amount of data in the used storage area among all the storage areas of the storage unit 110 does not exceed the predetermined value TH, that is, the overlapping area to be used in the next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o secure a cache area for storing the input image data of (S) (step ST8A).

캐시 영역 결정부(190)는, 왜곡 보정부(140)에 의한 입력 타일(Q11)에 대한 왜곡 보정 처리가 종료된 후, 다음 번 왜곡 보정 사이클에서 사용될 중복 영역(S(S1, S2))에 대응하는 캐시 영역의 확보가 가능한 경우(단계 ST8A;"예"), 보정 영역 연산부(170)에 의해 연산된 복수의 출력 타일(P11~P44)의 각 타일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입력 타일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화상 영역 결정부(180)에 의해 결정된 입력 타일(Q11)의 입력 화상 영역(R11)(제2 영역) 중 캐시 데이터로서 다시 사용될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캐시 영역을 결정한다(단계 ST9).After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for the input tile Q11 by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is finished, the cache region determiner 190 stores the overlapping regions S(S1, S2) to be used in the next distortion correction cycle. When the corresponding cache area can be secured (step ST8A; "Yes"), the position of the input tile of the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each tile of the plurality of output tiles P11 to P44 calculated by the correction area calculating unit 170 A cache area including image data to be used again as cache data among the input image areas R11 (second area) of the input tile Q11 determined by the image area determining unit 180 is determined with reference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n (step ST9).

데이터 취득부(130)의 테이블 관리부(134)는, 캐시 영역 결정부(190)에 의해 결정된 캐시 영역에 다시 사용될 입력 화상 데이터가 로딩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테이블(135)에 기입함과 동시에, 상기 캐시 영역 이외의 입력 화상 데이터가 로딩된 기억 영역을 개방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관리 정보를 테이블(135)에 기입하고, 테이블(135)을 갱신한다(단계 ST10).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of the data acquisition unit 130 writes, in the table 135, manage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input image data to be used again is loaded into the cache area determined by the cache area determination unit 190 at the same time. , writes managemen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storage area loaded with input image data other than the cache area is opened to the table 135, and updates the table 135 (step ST10).

이에 대하여, 기억부(110)의 총 기억 영역 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억 영역의 데이터 양이 소정치(TH)를 초과하고 있고, 다음 번 왜곡 보정 처리에서 사용될 중복 영역(S)에 대응하는 캐시 영역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단계 ST8A;"아니오"), 테이블 관리부(134)는 기억부(110)의 전 기억 영역을, 왜곡 보정 대상 타일의 입력 화상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커널)를 기억하기 위해 사용하고, 왜곡 보정 처리후, 중복 영역(S)에 대응하는 캐시 영역의 입력 화상 데이터를 남기지 않는다.In contrast, in the total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the amount of data in the used storage area exceeds the predetermined value TH, and a cache area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area S to be used in the next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 is secured. If not possible (step ST8A; "No"), the table management unit 134 uses the entir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110 to store the input image data (kernel) of the input image area of the distortion correction target tile. and, after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the input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area S is not left.

그 밖의 내용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Other contents are the same as in the first embodiment.

따라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기억부(110)에 중복 영역(S)에 대응된 캐시 영역을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기억부(110)의 기억 영역이 모두 커널의 기억 영역에 할당되므로, 왜곡 보정부(140)에 의한 왜곡 보정 처리에 지장을 초래하는 일이 없어진다. 따라서, 모든 타일의 왜곡 보정 처리를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cache area corresponding to the redundant area S cannot be secured in the storage unit 110, all the storage areas of the storage unit 110 are allocated to the kernel storage area. Therefore,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by the distortion correction unit 140 is not affect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perform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for all tiles.

또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기억부(110)에 중복 영역(S)에 대응된 캐시 영역의 확보가 가능한 상황에서는,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게, 메모리(120)로부터의 불필요한 입력 화상 데이터의 독출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lso,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 a situation in which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ac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overlapping region S in the storage unit 110 , as in the first embodiment, unnecessary input from the memory 120 is performed.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reading of image data can be acquired.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화상 처리 장치로서 표현하였지만, 본 발명은 화상 처리 방법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 의한 화상 처리 방법은, 출력 화상 영역을 복수의 타일들로 분할하는 제1 단계; 상기 복수의 타일들 중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타일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제1 영역을 연산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입력 화상의 직사각형의 제2 영역을 결정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부에 캐시 데이터로서 기억시키는 제4 단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왜곡 보정 처리를 실시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영역 중에서 캐시 데이터로서 다시 사용될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캐시 영역을 결정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에서는 또한 상기 왜곡 보정 처리가 실시된 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남기고, 그 외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상기 기억부의 기억 영역을 개방하는 화상 처리 방법으로서 표현할 수 있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expressed as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xpressed as an image processing method. In this case, the image process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of dividing an output image area into a plurality of tiles; a second step of calculating a first area of the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a tile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among the plurality of tiles; a third step of determining a rectangular second area of the input image including the image data of the first area; a fourth step of acquiring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and storing it as cache data in a storage unit; a fifth step of performing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on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sixth step of determining a cache area including image data to be used again as cache data from among the second area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area, wherein the fourth step also includes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image processing of leaving the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in the storage unit among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opening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in which other image data is stored can be expressed as a method.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들에 의하면, 왜곡 보정 처리가 실시된 후,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부에 남아 있고, 그 외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기억부의 기억 영역이 개방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s, after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of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stored in the storage unit, the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remains in the storage unit, and other images The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in which the data is stored is opened.

즉, 다시 사용되어야 할 화상 데이터로서의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제외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취득되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다.That is,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from which the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as image data to be used again is excluded is acquir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따라서, 왜곡 보정의 대상이 되는 화상 데이터의 중복 독출이 억제될 수 있다. Accordingly, redundant reading of image data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can be suppressed.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수정, 및 치환 등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본 발명이 화상 처리 장치 및 방법으로서 표현되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왜곡 보정 장치, 왜곡 보정 회로, 왜곡 보정 방법 등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is expressed as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expressed as, for example, a distortion correction apparatus, a distortion correction circuit, a distortion correction method, and the like.

본 발명은 화상 처리를 수행하는 다양한 장치들에 이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various apparatuses that perform image processing.

100 : 화상 처리 장치, 110 : 기억부,
120 : 메모리, 130 : 데이터 취득부,
131 : 데이터 공급부, 132 : 캐시 제어기,
133 : 독출 영역 결정부, 134 : 테이블 관리부,
135 : 테이블, 140 : 왜곡 보정부,
150 : 메모리, 160 : 타일 분할부,
170 : 보정 영역 연산부,
180 : 화상 영역 결정부,
ST1 내지 ST10, ST8A : 처리 단계들.
100: an image processing device, 110: a storage unit;
120: memory, 130: data acquisition unit,
131: data supply unit, 132: cache controller;
133: read area determining unit, 134: table management unit;
135: table, 140: distortion correction unit,
150: memory, 160: tile division,
170: correction area calculation unit;
180: image area determining unit;
ST1 to ST10, ST8A: processing steps.

Claims (6)

출력 화상 영역을 복수의 타일들로 분할하는 분할부;
상기 복수의 타일들 중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타일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제1 영역을 연산하는 보정 영역 연산부;
상기 제1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입력 화상의 직사각형의 제2 영역을 결정하는 화상 영역 결정부;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부에 캐시 데이터로서 기억시키되, 상기 기억부에 캐시 데이터로서 기억된 화상 데이터의 적산량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캐시 영역의 확보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캐시 영역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기억부에 상기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지 않고, 상기 기억부의 모든 기억 영역을 상기 입력 화상의 기억 영역으로 할당하는 데이터 취득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왜곡 보정 처리를 실시하는 왜곡 보정부; 및
상기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영역 중에서 캐시 데이터로서 다시 사용될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캐시 영역을 결정하는 캐시 영역 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취득부는, 상기 왜곡 보정 처리가 실시된 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남기고, 그 외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상기 기억부의 기억 영역을 개방하는, 화상 처리 장치.
a division unit dividing the output image area into a plurality of tiles;
a correction region calculating unit configured to calculate a first region of the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a tile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among the plurality of tiles;
an image area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a rectangular second area of the input image including the image data of the first area;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is acquired and stored as cache data in a storage unit,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cache area can be secured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accumulated amount of the image data stored as cache data in the storage unit and a data acquisition unit for allocating all storage areas of the storage unit as storage areas for the input image without storing the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in the storage unit, when the cache area cannot be secured;
a distortion correction unit for performing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on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 cache area determining unit that determines the cache area including image data to be used again as cache data from among the second area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area;
The data acquisition unit, after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leaves the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in the storage unit among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stores other image data in the storage unit.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opens a storage area of a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취득부는,
상기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가 제외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시키는, 화상 처리 장치.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ata acquisition unit,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from which the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is excluded is acquired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영역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타일들 중 상기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타일에 인접한 타일의 선두 라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캐시 영역을 결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image area determining unit comprises:
and determining the cache area according to position information of a leading line of a tile adjacent to a tile to be subjected to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among the plurality of ti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영역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타일들 중 상기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타일에 인접한 타일의 선두 라인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캐시 영역을 결정하는, 화상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image area determining unit comprises:
and determining the cache area according to position information of a leading line of a tile adjacent to a tile to be subjected to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among the plurality of tiles.
삭제delete 출력 화상 영역을 복수의 타일들로 분할하는 제1 단계;
상기 복수의 타일들 중 왜곡 보정 처리의 대상이 되는 타일에 대응하는 입력 화상의 제1 영역을 연산하는 제2 단계;
상기 제1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상기 입력 화상의 직사각형의 제2 영역을 결정하는 제3 단계;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부에 캐시 데이터로서 기억시키는 제4 단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왜곡 보정 처리를 실시하는 제5 단계;
상기 제1 영역의 위치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영역 중에서 캐시 데이터로서 다시 사용될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캐시 영역을 결정하는 제6 단계; 및
상기 기억부에 캐시 데이터로서 기억된 화상 데이터의 적산량에 따라, 상기 기억부에 상기 캐시 영역의 확보가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캐시 영역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상기 기억부에 상기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지 않는 것으로 결정하고, 상기 기억부의 모든 기억 영역을 상기 입력 화상의 기억 영역으로 할당하는 제8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상기 왜곡 보정 처리가 실시된 후,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제2 영역의 화상 데이터 중에서, 상기 캐시 영역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에 남기고, 그 외의 화상 데이터가 기억된 상기 기억부의 기억 영역을 개방하는, 화상 처리 방법.
a first step of dividing an output image area into a plurality of tiles;
a second step of calculating a first area of the input image corresponding to a tile to be subjected to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among the plurality of tiles;
a third step of determining a rectangular second area of the input image including the image data of the first area;
a fourth step of acquiring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and storing it as cache data in a storage unit;
a fifth step of performing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on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 sixth step of determining a cache area including image data to be used again as cache data from among the second area by referr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area; and
In accordance with the accumulated amount of image data stored as cache data in the storage uni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ache area can be secured in the storage unit, and if the cache area cannot be secured, the cach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 eighth step of determining not to store the image data of the region, and allocating all storage regions of the storage unit as storage regions of the input image;
In the fourth step, after the distortion correction processing is performed, the image data of the cache area is left in the storage unit among the image data of the second area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other image data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 image processing method of opening a storage area of the storage unit.
KR1020150138619A 2015-05-18 2015-10-01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KR10236652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0972A JP6648985B2 (en) 2015-05-18 2015-05-18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JP-P-2015-100972 2015-05-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634A KR20160135634A (en) 2016-11-28
KR102366523B1 true KR102366523B1 (en) 2022-02-23

Family

ID=5758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619A KR102366523B1 (en) 2015-05-18 2015-10-01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48985B2 (en)
KR (1) KR1023665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02762B2 (en) 2017-06-27 2020-12-1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Processing equip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3475A (en) * 2009-05-08 2010-11-18 Olympus Imaging Corp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JP2011002940A (en) * 2009-06-17 2011-01-06 Olympus Imaging Corp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0050B2 (en) 2007-08-09 2012-05-30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for correcting distortion aberration for image dat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63475A (en) * 2009-05-08 2010-11-18 Olympus Imaging Corp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ing apparatus
JP2011002940A (en) * 2009-06-17 2011-01-06 Olympus Imaging Corp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634A (en) 2016-11-28
JP2016218612A (en) 2016-12-22
JP6648985B2 (en)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306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12044530A (en)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image
JP684517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8503817B2 (en) Apparatus,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for correcting distortion of image data using interpolation
JP2008118306A (en) Distortion aberration correc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US931335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20150130909A1 (en) Method and electrical device for taking three-dimensional (3d) imag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toring the method
WO2021195829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ovable platform
CN104205800B (en) Picture pick-up device
US9269130B2 (en) Image correction method using approximately non-linear regression approach and related image correction circuit
KR102366523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947143B2 (en) Fisheye image correction apparatus and correction method
JP2007079708A (en) Image processor and processing method
JP2004229073A (en) Imaging apparatus
US2012032821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CN113191975A (en) Image distortion correction method and device
US9917972B2 (en) Image processor, image-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440465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225137B2 (en) In-vehicle camera image processing device
CN110058807B (en) Storag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JP2018098612A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imaging apparatus, program, and storage medium
JP2017204170A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2017228849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device, control method and program
JP656335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EP3970111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