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395B1 - Assembly for Machine tool and Tool holder - Google Patents

Assembly for Machine tool and Tool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395B1
KR102366395B1 KR1020190164621A KR20190164621A KR102366395B1 KR 102366395 B1 KR102366395 B1 KR 102366395B1 KR 1020190164621 A KR1020190164621 A KR 1020190164621A KR 20190164621 A KR20190164621 A KR 20190164621A KR 102366395 B1 KR102366395 B1 KR 102366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flow path
cooling water
machine too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6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3876A (en
Inventor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이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근 filed Critical 이성근
Priority to KR1020190164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395B1/en
Publication of KR20210073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8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39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15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by supplying a cutting liquid through the spindle
    • B23Q11/1023Tool holders, or tools in general specially adapted for receiving the cutting liquid from the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06Drills with lubricating or cooling equipment
    • B23B51/068Details of the lubricating or cooling channel
    • B23B51/0682Coolant moves along outside of tool periphery toward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26Securing milling cutters to the driving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28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28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ng or cooling
    • B23C5/281Coolant moving along the outside tool periphery towards the cutting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23Q11/1015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by supplying a cutting liquid through the spindle
    • B23Q11/103Rotary joints specially adapted for feeding the cutting liquid to the spi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22Feeding members carrying tools or work
    • B23Q5/26Fluid-pressure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220/00Machine tool components
    • B23Q2220/008Rotatable tool holders coupled in parallel to a non rotating accessory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는, 공작기계와 공구를 연결하며, 피가공물의 가공 시, 냉각수제공부로부터 제공된 냉각수를 상기 공구와 상기 피가공물 사이에 분사되도록 하는 공작기계 툴홀더에 있어서, 공구, 상기 공구가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공작기계와 연결된 채, 상기 공작기계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을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공작기계에 장착되며, 상기 냉각수제공부로부터 제공된 냉각수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공작기계로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는 어댑터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어댑터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연결하며, 상기 어댑터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본체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사이드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구는, 상기 피가공물과 접촉되는 일측과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타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냉각수가 체류하는 매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매개공간에 수용된 냉각수는, 상기 매개공간으로부터 상기 연통홀을 통해 배출되되, 상기 공구의 회전과 연동된 채, 배출되어 직진성이 확보될 수 있다.A machine tool to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chine tool tool holder that connects a machine tool and a tool, and sprays cooling water provided from a cooling water supply unit between the tool and the workpiece during processing of a workpiece In the following, a tool, a body part that provides a mounting space in which the tool is mounted, is connected to the machine tool, and is linked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achine tool, a housing part that covers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the machine tool It is mounted, providing a passage for the cooling water provided from the cooling water supply unit, and connecting the adapter unit and the housing unit while being connected to an adapter unit for determining a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unit to the machine tool and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unit, , a side rod unit for moving 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adapter unit to the main body unit, wherein the tool includes a communication hole formed through one side contacting the workpiece and the other side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An intermediate space for cooling water is formed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cool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intermediate space, and the cool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intermediate space is discharged from the medium spac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and is discharged while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of the tool, so that straightness is possible. can be secured.

Description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Assembly for Machine tool and Tool holder}Assembly for Machine tool and Tool holder

본 발명은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공작기계와 공구를 연결하며, 피가공물의 가공 시, 냉각수제공부로부터 제공된 냉각수를 상기 공구와 상기 피가공물 사이에 분사하는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embly of a tool and a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nd more particularly, connecting a machine tool and a tool, and spraying cooling water provided from a cooling water supply unit between the tool and the workpiece during processing of a workpiece It relates to an assembly of a tool and a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공작기계 절삭가공산업에서 냉각수 분사 효율성 문제는 가장 큰 난제이며, 작업환경과 생산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나, 현재까지 효율성과 환경문제(미스트 발생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있다.In the machine tool cutting processing industry, the problem of cooling water injection efficiency is the biggest challenge, and it greatly affects the working environment and productivity, but efficiency and environmental problems (mist generation problem) have not been solved until now.

또한, 절삭공구의 수명은 가공품의 품질, 생산성, 납기 및 가격을 결정하므로 절삭공구 사용량이 많은 자동차, 항공·우주, 의료 등의 산업에서는 절삭공구의 수명과 성능을 향상시켜주는 기술과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espan of a cutting tool determines the quality, productivity, delivery time and price of the processed product, so in industries such as automobiles, aerospace, and medical, where the use of cutting tools is high, technology and systems that improve the lifespan and performance of cutting tools Demand may continue to increase.

구체적으로, 가공 부품의 원가구성비에서 절삭공구 자체의 구매비용은 3~5%의 낮은 비중 차지하며, 절삭공구의 성능이 좋지 않으면 가공시간이 길어져 인건비, 전력, 가공기계의 유지비, 소모품비 등이 증가하여 원가가 또다시 상승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urchase cost of the cutting tool itself accounts for a low 3-5% of the cost composition of the machined parts, and if the performance of the cutting tool is poor, the machining time becomes longer, resulting in an increase in labor costs, power, maintenance costs of machining machines, and consumables costs. As a result, the cost may rise again.

만약, 냉각수 분사효율을 높임으로써, 절삭공구의 성능이 향상되어 가공속도가 20% 증가하면, 가공시간이 단축되어 생산비용이 15% 절감되고, 기존 공구보다 치수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정밀도 확보를 위한 후가공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If, by increasing the cooling water injection efficiency, the performance of the cutting tool is improved and the machining speed is increased by 20%, the machin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by 15%, and the dimensional precision is improved compared to the existing tool to ensure precision. Post-processing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종래에는, 밀링 가공에서 측면의 외부 노즐에서 가공점에 냉각수를 분사하지만 분사효율의 한계, 절삭열, 칩 및 피가공물의 간섭 등으로 인하여 실제 절삭이 이루어지는 공구절삭면에 냉각수가 바로 침투하기 어렵고, 가장 효율적인 내부공급 방식에서 툴홀더를 통한 분사는 여러 해외업체에서 개발하고 있으나, 고속회전으로 냉각수가 비산하게 되어 냉각수의 가장 큰 역할인 냉각 및 윤활작용에 한계가 있으며, 대량 미스트 발생 작업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Conventionally, in milling, cooling water is sprayed from the external nozzle on the side to the machining point, but it is difficult to directly penetrate the coolant into the cutting surface of the tool where actual cutting is made due to the limitation of jet efficiency, cutting heat, and interference from chips and workpieces, etc. In the most efficient internal supply method, spraying through the tool holder is being developed by several foreign companies, but cooling water scatters due to high-speed rotation, which limits the cooling and lubrication, which is the biggest role of the coolant, and solves the problem of the work environment that generates a large amount of mist. can cause

따라서, 툴홀더 내부에 관로를 형성하여 Cutter 바로위에서 360도 전영역에서 냉각수를 분사함으로써 공구의 형상이 변경되더라도 항상 절삭이 일어나는 위치에 냉각수를 분사 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였다.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capable of spraying coolant at the position where cutting occurs at all times even if the shape of the tool is changed by forming a pipeline inside the tool holder and spraying coolant over the entire 360-degree area just above the cutter.

한국등록특허 제10-1394532호Korean Patent No. 10-1394532

본 발명의 목적은, 원심력에 의한 냉각수의 퍼짐 현상을 최소화하여, 냉각수를 공구 가장 가까운 부위에서 효율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ssembly of a tool and a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which has a function of efficiently spraying cooling water at a site closest to the tool by minimizing the spread of cooling water due to centrifugal for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는, 공작기계와 공구를 연결하며, 피가공물의 가공 시, 냉각수제공부로부터 제공된 냉각수를 상기 공구와 상기 피가공물 사이에 분사되도록 하는 공작기계 툴홀더에 있어서, 공구, 상기 공구가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공작기계와 연결된 채, 상기 공작기계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을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공작기계에 장착되며, 상기 냉각수제공부로부터 제공된 냉각수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공작기계로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는 어댑터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어댑터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연결하며, 상기 어댑터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본체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사이드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구는, 상기 피가공물과 접촉되는 일측과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타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냉각수가 체류하는 매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매개공간에 수용된 냉각수는, 상기 매개공간으로부터 상기 연통홀을 통해 배출되되, 상기 공구의 회전과 연동된 채, 배출되어 직진성이 확보될 수 있다.The assembly of a tool and a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machine tool and the tool, and when processing the workpiece, the cooling water provided from the cooling water supply unit is sprayed between the tool and the workpiece In the machine tool tool holder to provide a tool, a mounting space in which the tool is mounted, and connected to the machine tool, a body part linked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achine tool, a housing part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 which is mounted on the machine tool, provides a passage for movement of the cooling water provided from the cooling water supply unit, and is connected to an adapter unit for determining a mounting position of the main body unit to the machine tool and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unit, the adapter unit and and a side rod part for connecting the housing part and moving the coolant supplied from the adapter part to the main body part, wherein the tool has a communication formed through one side contacting the workpiece and the other side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A hole is provided, and an intermediate space in which the coolant resides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coolant accommodated in the intermediate space is discharged from the intermediate spac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and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tool. , and straightness can be secur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매개공간에 수용된 냉각수는, 상기 매개공간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공구의 끝단으로 배출되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공구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제1-1 연통홀 및 상기 공구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며, 상기 제1-1 연통홀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2 연통홀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olant accommodated in the intermediate space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machine tool to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harged to the end of the tool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coolant flowing into the intermediate space, The communication hole is composed of a 1-1 communication hole passing throug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ool, and a 1-2 communication hole passing throug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ool and spaced apart from the 1-1 communication hole. can 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제1-1 연통홀 및 상기 제1-2 연통홀의 형성 방향은, 상기 공구의 회전축과 평행할 수 있다.Forming directions of the 1-1 communication hole and the 1-2 communication hole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oo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사이드로드부는, 상기 어댑터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side rod part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dapter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사이드로드부는, 상기 어댑터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와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어댑터부에서 탈거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이드로드부를 매개로 상기 하우징부와의 결속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When the side rod part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in the adapter part, the connection with the main body part is released, and when it is removed from the adapter part, the It is connected to the body part, and whether the main body part is coupled to the housing part through the side rod part may be determin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이드로드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부에 종속되며, 상기 사이드로드부와 연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종속 해제되어 상기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When the main body part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side rod part, it is dependent on the housing part, and when disconnected from the side rod part, the housing It may be released from the subordinate and rotatable based on the housing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사이드로드부는,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연통되되, 상기 높이방향과 수직하며, 상기 하우징부를 향한 제1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수용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어댑터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연결부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의 상기 높이방향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 및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연결부의 상기 높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제1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종속결정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side rod part of the assembly of a tool and a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a first accommodating space and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 a heigh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housing Receiving part forming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 the first width direction toward the part,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sliding along the accommodating part, a connection par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dapter part,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Doedoe accommodated in the connection part,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and the elastic part elastically deformed by the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the position movement of the connection part in the height direction It may be provided with a dependent determination unit that is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position moved in the first width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어댑터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어댑터부로의 접속에 따라 상기 제1 수용공간을 따라 제1 위치에서 하부측으로 위치 이동되어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어댑터부와 연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어댑터부와의 접속 해제에 따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압축 탄성 변형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어댑터부와 연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압축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part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adapter part, it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lower side along the first receiving spa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o the adapter part. When the position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and disconnected from the adapter part, it return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ccording to the disconnection from the adapter part, and the elastic part includes the first part of the connection part. It is compressively and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from the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when the connection part is disconnected from the adapter part, the connection part is mov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by a restoring force due to the compression elastic deformation. can be returned 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종속결정부는, 상기 높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채, 상기 관통홀을 따라 상기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dependent crystal part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connection part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the through hole The position may be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along the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폭방향과 수직한 제2 폭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홀은,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종속결정부는, 상기 관통홀을 규정하는 측면에 형성된 측면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폭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채, 상기 연결부의 상기 높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uide hole penetrating in a second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width direction, the guide hole has a constant width Doedoe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ousing part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nd the dependent crystal part is inserted into a side hole formed in a side surface defining the through hole and extends in the second width direction. and the sliding part may be slid along the guide ho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사이드로드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며, 상기 제2 수용공간과 연통된 함입홀을 구비하며, 상기 함입홀은, 상기 본체부의 결합홈과 연통되고, 상기 종속결정부는, 상기 함입홀에 삽입된 채,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결합홈과 이격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를 향해 이동되어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며, 상기 종속결정부가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종속되고, 상기 종속결정부가 상기 결합홈과 이격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종속 해제될 수 있다.The housing portion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pressed from an opposite surface opposite to the side rod portion, and has a depress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The recessed hole communicates with the coupling groove of the body part, and the dependent crystal part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hole, an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body part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ar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is mov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groove, and is moved toward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to be coupled with the coupling groove, and the dependent crystal part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When coupled, the main body portion is subordinate to the housing portion, and when the dependent determining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groove, the main body portion may be released from the hous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수용부는, 관통되어 형성된 제2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어댑터부에 연결된 경우, 상기 어댑터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수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의 제3 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3 유로는, 상기 체류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cond flow passage formed through it, and the connection part is formed through penetration, and when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adapter part , a first flow path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adapter unit moves, wherein the first flow path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low path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and the second flow path of the connection part The second flow path may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low path at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flow path may communicate with a third flow path between the housing part and the body part, and the third flow path may communicate with the residence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제3 유로는, 상기 제2 유로로부터 분기되는 제3-1 유로 및 제3-2 유로,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내측에 헬리컬 형상으로 형성된 헬리컬부를 통해 냉각수가 회전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제3-3 유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3-3 유로는, 상기 체류공간과 연통될 수 있다.The third flow path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3-1 flow path and a 3-2 flow path branched from the second flow path, a helical helical to the lower inner side of the housing part It is composed of a 3-3 flow path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is rotated and moved through the helical part formed in the shape, and the 3-3 flow path may communicate with the residence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하우징부는, 하부 외측에 수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캡노즐부는, 상기 수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암나사산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부와 나사산 결합을 통해 착탈될 수 있다.The housing part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le thread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lower part, and the cap nozzle part is provided with a female threa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le thread, , It can be detached through the housing portion and threaded coupl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캡노즐부는, 상기 공구가 관통하는 공구삽입홀 및 상기 공구삽입홀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배출홀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배출홀은, 상기 공구의 회전축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류공간에 수용된 냉각수가 상기 공구의 회전축을 향해 편향되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The cap nozzle part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ol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tool passes,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radially arranged based on the tool insertion hole, ,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ool, so that the coolant accommodated in the residence space is deflected towar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ool and spray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복수의 배출홀은, 상기 공구삽입홀로부터 제1 거리에 배치되는 제1 홀배치부 및 상기 공구삽입홀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에 배치되는 제2 홀배치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2 홀배치부의 경사도는, 상기 제1 홀배치부의 경사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rst hole arrangement portion dispos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tool insertion hole and the first from the tool insertion hole It may include a second hole arrangement part disposed at a second distance greater than the distance, and the slope of the second hole arrangement part may be greater than that of the first hole arrangement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제2 홀배치부를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는, 상기 제1 홀배치부를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가 상기 공구의 회전력에 의한 반발력으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Cooling water sprayed through the second hole arrangement portion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tool holder for machine too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lant sprayed through the first hole arrangement portion scatters as a repulsive force due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ool can be minimiz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의 상기 제1 홀배치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배출홀은, 경사도가 상이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홀배치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배출홀은, 경사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Each discharge hole constituting the first hole arrangement portion of the assembly of the tool and the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different inclination, each discharge constituting the second hole arrangement portion The holes may be formed with different inclinations.

본 발명에 의하면, 냉각수의 퍼짐 현상을 제어하여 냉각수 분사 효율을 극대화하여 가공생산성과 작업환경을 획기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preading phenomenon of the cooling water to maximize the cooling water injection efficiency, thereby remarkably increasing the processing productivity and the working environment.

또한, 절삭가공 시 발생하는 절삭열을 효율적으로 낮춤으로써, 공구수명을 연장하고, 가공속도 및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by effectively lowering the cutting heat generated during cutting, tool life can be extended, and machining speed and precision can be improved.

또한, 냉각수 분사효율을 높임으로써, 절삭공구의 성능이 향상되어 가공속도를 높임으로써, 가공시간이 단축되어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기존 공구보다 치수의 정밀도가 향상되어 정밀도 확보를 위한 후가공이 크게 줄어들 수 있다.In addition, by increasing the cooling water spraying efficiency, the performance of the cutting tool is improved and the machining speed is increased, so that the machining time is shortened and the production cost is reduced. can

또한, 절삭공구의 수명이 증가하여 공구 교체시간이 단축됨으로써,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가공제조업의 생산성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as the lifespan of the cutting tool is increased and the tool replacement time is shortened,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productivity competitiveness of the processing and manufacturing industry can be secured.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가 장착된 공작기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의 사이드로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의 냉각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의 캡노즐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1 and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achine tool equipped with a machine tool to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chine tool to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chine tool tool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to 8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side rod portion of the machine tool to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oling water movement path of the machine tool tool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to 12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cap nozzle portion of the machine tool to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8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a machine tool tool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delete, etc.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and may use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may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each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가 장착된 공작기계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를 도시한 개략 단면도이다.1 and 2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a machine tool equipped with a machine tool to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chine tool to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chine tool to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M) 툴홀더(1, 이하, 툴홀더)는, 공작기계(M)와 공구(T)를 연결하며, 피가공물의 가공 시, 냉각수제공부(Q)로부터 제공된 냉각수를 상기 공구(T)와 상기 피가공물 사이에 분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1 to 4 , the machine tool (M) tool holder (1, hereinafter, to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machine tool (M) and the tool (T), and a workpiece In the processing of

본 발명에 의한 툴홀더(1)는, 본체부(10), 하우징부(20), 캡노즐부(30), 어댑터부(40) 및 사이드로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ool holde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dy part 10 , a housing part 20 , a cap nozzle part 30 , an adapter part 40 , and a side rod part 50 .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공구(T)가 장착되는 장착공간(S1)을 제공하고, 상기 공작기계(M)와 연결된 채, 상기 공작기계(M)의 회전 운동에 연동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provide a mounting space S1 in which the tool T is mounted, and may be linked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achine tool M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machine tool M.

상기 하우징부(20)는, 상기 본체부(10)의 외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The housing part 20 may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part 10 .

상기 캡노즐부(30)는, 상기 하우징부(20)의 하측에 연결된 채, 상기 공구(T)의 외주면을 포위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냉각수를 상기 공구(T)와 상기 피가공물 사이에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The cap nozzle part 30 is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part 20, is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ol T, and sprays the coolant between the tool T and the workpiece can do.

또한, 상기 캡노즐부(30)는, 상기 하우징부(20)와의 사이에 냉각수가 체류하는 체류공간(S2)을 형성하며, 상기 공구(T)의 외부 노출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복수의 배출홀(H, 도 11 참조)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 nozzle part 30 forms a residence space S2 in which the coolant resides between the cap nozzle part 30 and the housing part 20,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rnal exposure direction of the tool T (H, see FIG. 11) may be provided.

상기 체류공간(S2, 도 4 및 도 9 참조)에 수용된 냉각수는, 상기 체류공간(S2) 내에서 상기 공구(T)의 회전에 의한 회전력을 인가 받아, 상기 공구(T)를 기준으로 상기 공구(T)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The cool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residence space (S2, see FIGS. 4 and 9) receives a rotational force due to the rotation of the tool T in the residence space S2, and the tool is based on the tool T. It can be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as (T).

또한, 상기 체류공간(S2)에 수용된 냉각수는, 상기 복수의 배출홀(H, 도 11 참조)을 통해 배출되되, 상기 체류공간(S2) 내에서 형성된 구심력에 의해 상기 공구(T)의 끝단을 향한 직진성이 확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residence space S2 is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H, see FIG. 11 ), and the end of the tool T is removed by the centripetal force formed in the residence space S2. Directness towards the direction can be secured.

상기 어댑터부(40)는, 상기 공작기계(M)에 장착되며, 상기 냉각수제공부(Q)로부터 제공된 냉각수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본체부(10)의 상기 공작기계(M)로의 장착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The adapter unit 40 is mounted on the machine tool M, provides a passage for the cooling water provided from the cooling water supply unit Q, and mounts the body unit 10 to the machine tool M. location can be determined.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는, 특정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공작기계(M)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어댑터부(40)로의 상기 사이드로드부(50)의 장착에 따라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공작기계(M)로의 장착 위치인 특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main body 10 may be mounted on the machine tool M in a state arranged in a specific direction, and according to the mounting of the side rod part 50 to the adapter part 40 , the main body The part 10 may be arranged in a specific direction, which is a mounting position to the machine tool M.

상기 사이드로드부(50)는, 상기 하우징부(20)의 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어댑터부(40)와 상기 하우징부(20)를 연결하며, 상기 어댑터부(40)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캡노즐부(30)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The side rod part 50 connects the adapter part 40 and the housing part 20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part 20 , and receives 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adapter part 40 . It may be moved to the cap nozzle unit 30 .

이하, 도 5 내지 도 12를 참조로, 본 발명의 툴홀더(1)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 간의 관계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tool hold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 to 12 .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의 사이드로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5 to 8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side rod portion of the machine tool to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홀더(1)의 사이드로드부(50)는, 상기 어댑터부(40)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5 to 8 , the side rod part 50 of the tool hol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dapter part 40 .

구체적으로, 상기 사이드로드부(50)는, 상기 어댑터부(40)에 안착되는 경우(도 5 참조), 상기 본체부(10)와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어댑터부(40)에서 탈거되는 경우(도 6 참조), 상기 본체부(10)와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side rod part 50 is seated on the adapter part 40 (see FIG. 5 ), the connection with the main body part 10 is released, and when it is removed from the adapter part 40 , (See FIG. 6 ),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사이드로드부(50)를 매개로 상기 하우징부(20)와의 결속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Whether the main body 10 is coupled to the housing 20 via the side rod 50 may be determined.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사이드로드부(50)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부(20)에 종속되며, 상기 사이드로드부(50)와 연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부(20)로부터 종속 해제되어 상기 하우징부(20)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ody part 10 is dependent on the housing part 20 when connected to the side rod part 50, and when disconnected from the side rod part 50, the housing part ( 20), it may be rotatable based on the housing part 20.

상기 사이드로드부(50)는, 수용부(51), 연결부(53), 탄성부(55) 및 종속결정부(57)를 구비할 수 있다.The side rod part 50 may include a receiving part 51 , a connecting part 53 , an elastic part 55 , and a dependent determining part 57 .

상기 수용부(51)는, 높이방향(Z, 도 7 참조)으로 형성된 제1 수용공간(V1, 도 7 참조) 및 상기 제1 수용공간(V1)과 연통되되, 상기 높이방향(Z)과 수직하며, 상기 하우징부(20)를 향한 제1 폭방향(X, 도 7 참조)으로 형성된 제2 수용공간(V2, 도 7 참조)을 형성할 수 있다.The accommodating part 51 communicates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V1, see FIG. 7) and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V1)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Z, see FIG. 7), the height direction (Z) and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V2 (refer to FIG. 7 ) that is vertical and formed in a first width direction (X, see FIG. 7 ) toward the housing part 20 may be formed.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제1 수용공간(V1)에 수용된 채, 상기 수용부(51)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어댑터부(40)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53 may be slid along the accommodation part 51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V1 , and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dapter part 40 .

상기 탄성부(55)는, 상기 제1 수용공간(V1)에 수용되되, 상기 연결부(53)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53)의 상기 높이방향(Z)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다.The elastic part 55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V1,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53, an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height direction Z of the connection part 53 It can be elastically deformed.

상기 종속결정부(57)는, 상기 제2 수용공간(V2)에 수용된 채, 상기 연결부(53)의 상기 높이방향(Z)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제1 폭방향(X)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dependent determining unit 57 is,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V2, interlocked according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connection unit 53 in the height direction (Z) in the first width direction (X). position can be moved.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어댑터부(40)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어댑터부(40)로의 접속에 따라 상기 제1 수용공간(V1)을 따라 제1 위치(도 5 참조)에서 하부측으로 위치 이동되어 제2 위치(도 6 참조)에 위치하고, 상기 어댑터부(40)와 연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어댑터부(40)와의 접속 해제에 따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When the connection part 53 is connected to the adapter part 40, it is located downward from the first position (refer to FIG. 5) along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V1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o the adapter part 40. When it is moved and located in the second position (see FIG. 6 ) and disconnected from the adapter unit 40 , it can return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ccording to disconnection from the adapter unit 40 . .

상기 탄성부(55)는, 상기 연결부(53)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압축 탄성 변형되며, 상기 연결부(53)가 상기 어댑터부(40)와 연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압축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53)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The elastic part 55 is compressed and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art 53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connection part 53 is disconnected from the adapter part 40 . In this case, the connecting part 53 may be returned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due to the compressive elastic deformation.

상기 종속결정부(57)는, 상기 높이방향(Z)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홀(571)을 구비할 수 있다.The dependent crystal part 57 may include a through hole 571 formed to penetrate in the height direction (Z).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관통홀(571)에 삽입된 채, 상기 관통홀(571)을 따라 상기 높이방향(Z)으로 위치 이동될 수 있다.The connection part 53 may be moved along the through hole 571 in the height direction Z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571 .

또한, 상기 연결부(53)는, 상기 제1 폭방향(X)과 수직한 제2 폭방향(Y)으로 관통된 가이드홀(531)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on part 53 may include a guide hole 531 penetrating in a second width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first width direction X.

상기 가이드홀(531)은,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부(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The guide hole 531 may be formed to have a constant width and be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ousing 20 from a lower side to an upper side.

상기 종속결정부(57)는, 상기 관통홀(571)을 규정하는 측면에 형성된 측면공(575)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폭방향(Y)으로 연장된 슬라이딩부(573)를 구비할 수 있다.The dependent crystal part 57 may include a sliding part 573 inserted into a side hole 575 formed in a side surface defining the through hole 571 and extending in the second width direction (Y). .

상기 슬라이딩부(573)는, 상기 가이드홀(531)에 삽입된 채, 상기 연결부(53)의 상기 높이방향(Z)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홀(531)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다.The sliding part 573 may be slid along the guide hole 531 according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connection part 53 in the height direction Z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31 .

한편, 상기 하우징부(20)는, 상기 사이드로드부(50)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며, 상기 제2 수용공간(V2)과 연통된 함입홀(21)을 구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portion 20, the side rod portion 50 and the opposite surface to be depressed from the opposite side, it may be provided with a depression hole 21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V2).

상기 함입홀(21)은, 상기 본체부(10)의 결합홈(11)과 연통될 수 있다.The recessed hole 21 may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groove 11 of the main body 10 .

상기 종속결정부(57)는, 상기 함입홀(21)에 삽입된 채, 상기 연결부(53)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결합홈(11)과 이격될 수 있다.The dependent determining part 57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hole 21, and the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part 1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part 53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position may be mov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groove 11 .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53)가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을 위해 하강하면, 상기 슬라이딩부(573)는, 상기 가이드홀(531)을 따라 상기 본체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종속결정부(57) 또한 상기 본체부(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결합홈(1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onnection part 53 descends for position movement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sliding part 573 moves from the body part 10 along the guide hole 531 . The position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and accordingly, the dependent determining part 57 may also be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1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groove 11 .

또한, 상기 종속결정부(57)는, 상기 연결부(53)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10)를 향해 이동되어 상기 결합홈(11)과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pendent determining part 57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1 by moving toward the main body part 1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part 53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can be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53)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의 위치 이동을 위해 상승하면, 상기 슬라이딩부(573)는, 상기 가이드홀(531)을 따라 상기 본체부(10)를 향해 위치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종속결정부(57) 또한 상기 본체부(10)를 향해 위치 이동되어 상기 결합홈(11)과 접촉/결합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onnection part 53 rises to move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the sliding part 573 moves the body part 10 along the guide hole 531 . The position is moved toward the direction, and accordingly, the dependent determining part 57 may also be moved toward the body part 10 to be in contact/coupled with the coupling groove 11 .

상기 종속결정부(57)가 상기 결합홈(11)과 결합되면,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하우징부(20)에 종속될 수 있다.When the dependent determining unit 57 is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1 , the main body 10 may be subordinated to the housing 20 .

여기서, 종속된다는 것은,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하우징부(20)가 체결되어, 상기 본체부(10)가 상기 하우징부(20)와 별개로 회전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Here, being dependent means that the main body part 10 and the housing part 20 are fastened, so that the main body part 10 cannot be rotated separately from the housing part 20 .

그리고, 상기 종속결정부(57)가 상기 결합홈(11)과 이격되면, 상기 본체부(10)는 상기 하우징부(20)로부터 종속 해제될 수 있다.And, when the subordinate determining part 57 is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groove 11 , the main body part 10 may be released from the housing part 20 .

여기서, 종속 해제된다는 것은, 상기 본체부(10)와 상기 하우징부(20)가 체결되지 않아, 상기 본체부(10)가 상기 하우징부(20)와 별개로 회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subordinate release means that the main body part 10 and the housing part 20 are not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main body part 10 can be rotated separately from the housing part 20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의 냉각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9 is a schematic diagram for explaining a cooling water movement path of the machine tool tool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홀더(1)의 상기 연결부(53)는,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53)가 상기 어댑터부(40)에 연결된 경우, 상기 어댑터부(40)로부터 공급된 냉각수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유로(F1, 도 5 및 도 9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connection part 53 of the tool hol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penetrated, and when the connection part 53 is connected to the adapter part 40 , the adapter A first flow path F1 (refer to FIGS. 5 and 9 )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olant supplied from the unit 40 moves may be provided.

또한, 수용부(51)는, 관통되어 형성된 제2 유로(F2, 도 5 및 도 9 참조)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ng part 51 may include a second flow path F2 (refer to FIGS. 5 and 9 ) formed through the accommodating part 51 .

상기 어댑터부(40)는, 상기 냉각수제공부(Q)로부터 제공된 냉각수가 이동되는 공급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The adapter unit 40 may have a supply passage through which the cooling water provided from the cooling water supply unit Q moves.

상기 제1 유로(F1)는, 상기 연결부(53)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유로(F2)와 연통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부(53)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유로(F2)와 연통될 수 있다.The first flow path F1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low path F2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53 , and the second flow path F2 at the second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53 . can be communicated with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53)가 상기 어댑터부(40)와 연결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제1 유로(F1)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는 상기 제2 유로(F2)로 유입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부(53)가 상기 어댑터부(40)와 연결되는 경우는, 상기 제1 유로(F1)를 통해 유입된 냉각수는 상기 제2 유로(F2)로 유입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connection part 53 is not connected to the adapter part 40, the coolant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F1 does not flow into the second flow path F2, and the connection part ( When 53 is connected to the adapter part 40 , the coolant introduc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F1 may flow into the second flow path F2 .

상기 제2 유로(F2)는, 상기 하우징부(20)와 상기 본체부(10) 사이의 제3 유로(F3)와 연통될 수 있다.The second flow path F2 may communicate with a third flow path F3 between the housing part 20 and the body part 10 .

상기 제3 유로(F3)는, 상기 체류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 The third flow path F3 may communicate with the residence space S2.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유로(F3)는, 상기 제2 유로(F2)로부터 분기되는 제3-1 유로(F3-1) 및 제3-2 유로(F3-2)와, 상기 하우징부(20)의 하부 내측에 헬리컬 형상으로 형성된 헬리컬부(25, 도 4 참조)를 통해 냉각수가 회전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제3-3 유로(F3-3)로 구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rd flow path F3 includes a 3-1 flow path F3-1 and a 3-2 flow path F3-2 branched from the second flow path F2, and the housing part 20 ) through a helical portion 25 (refer to FIG. 4 ) formed in a helical shape on the lower inner side of the cooling water to rotate and move may be configured as a 3-3 flow path F3-3.

상기 제3-1 유로(F3-1) 및 상기 제3-2 유로(F3-2)는, 상기 사이드로드부(50)의 공간 최적화를 위해, 상기 종속결정부(57)의 위치를 우회하기 위하여, 2개로 분기될 수 있다.The 3-1 flow path F3-1 and the 3-2 flow path F3-2 are configured to bypass the position of the dependent determining unit 57 in order to optimize the space of the side rod unit 50 . For this reason, it can be branched into two.

상기 제3-3 유로(F3-3)는, 상기 체류공간(S2)과 연통될 수 있다.The third-third flow path F3-3 may communicate with the residence space S2.

이에 따라, 상기 냉각수제공부(Q)로부터 제공된 냉각수는 상기 어댑터부(40)의 공급 유로, 상기 제1 유로(F1), 상기 제2 유로(F2) 및 상기 제3 유로(F3)를 통해 상기 체류공간(S2)으로 유입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oling water provided from the cooling water supply unit Q is supplied through the supply flow path of the adapter unit 40 , the first flow path F1 , the second flow path F2 , and the third flow path F3 . It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sidence space (S2).

상기 체류공간(S2)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상기 복수의 배출홀(H, 도 11 참조)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cooling water introduced into the residence space S2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H (refer to FIG. 11 ).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의 캡노즐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0 to 12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cap nozzle portion of the machine tool tool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b)는 도 12 (a)의 AA에 대한 단면도이다.Fig. 12 (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2 (a).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툴홀더(1)의 하우징부(20)는, 하부 외측에 수나사산(23)을 형성할 수 있다.10 to 12 , the housing part 20 of the tool hol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a male thread 23 on the lower outer side.

상기 캡노즐부(30)는, 상기 수나사산(2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암나사산(3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부(20)에 나사산 결합을 통해 착탈될 수 있다.The cap nozzle unit 30 may include a female screw thread 31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le screw thread 23 ,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housing unit 20 through screw thread coupling.

또한, 상기 캡노즐부(30)는, 상기 공구(T)가 관통하는 공구삽입홀(33) 및 상기 공구삽입홀(33)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배출홀(H)을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p nozzle unit 30 may include a tool insertion hole 33 through which the tool T passes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H radi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tool insertion hole 33 . can

상기 복수의 배출홀(H)은, 상기 공구(T)의 회전축을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류공간(S2)에 수용된 냉각수가 상기 공구(T)의 회전축을 향해 편향되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H) are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ool (T), so that the cool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residence space (S2) is deflected towar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ool (T) and sprayed. .

또한, 상기 복수의 배출홀(H)은, 상기 공구삽입홀(33)로부터 제1 거리에 배치되는 제1 홀배치부(H1) 및 상기 공구삽입홀(33)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먼 제2 거리에 배치되는 제2 홀배치부(H2)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H), a first hole arrangement portion (H1) disposed at a first distance from the tool insertion hole (33), and a second hole farther than the first distance from the tool insertion hole (33) It may be composed of a second hole arrangement part H2 disposed at two distances.

상기 제2 홀배치부(H2)의 경사도(A2)는, 상기 제1 홀배치부(H1)의 경사도(A1)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The slope A2 of the second hole arrangement H2 may be greater than the slope A1 of the first hole arrangement H1.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홀배치부(H1)의 경사도는 상기 제2 홀배치부(H2)의 경사도보다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홀배치부(H1)의 경사도를 연장한 가상의 제1 연장선과 상기 제2 홀배치부(H2)의 경사도를 연장한 가상의 제2 연장선은 상기 공구(T)와 상기 피가공물의 접촉 지점을 향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hole arrangement H1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second hole arrangement H2. Accordingly, the imaginary first extension line extending the inclination of the first hole arrangement part H1 and the imaginary second extension line extending the inclination degree of the second hole arrangement part H2 are the tool T and the It can face the point of contact of the workpiece.

그리고, 상기 제2 홀배치부(H2)를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는, 상기 제1 홀배치부(H1)를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가 상기 공구(T)의 회전력에 의한 반발력으로 비산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ing water sprayed through the second hole arrangement part H2 can minimize scattering of the coolant sprayed through the first hole arrangement part H1 as a repulsive force due to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ool T. there is.

구체적으로, 상기 제1 홀배치부(H1)를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가 상기 공구(T)의 외측 방향으로 비산되는 것을, 상기 제2 홀배치부(H2)를 통해 분사되는 냉각수가 막아, 냉각수의 직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olant sprayed through the second hole arrangement part H2 prevents the cooling water sprayed through the first hole arrangement part H1 from scattering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tool T, so that the coolant Straightness can be improved.

상기 제1 홀배치부(H1)를 구성하는 각각의 배출홀은, 경사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홀배치부(H2)를 구성하는 각각의 배출홀은, 경사도가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Each of the discharge holes constituting the first hole arrangement portion H1 may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inclination, and each discharge hole constituting the second hole arrangement portion H2 is formed to have a different inclination. can be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의 냉각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13 to 18 are schematic views for explaining the cooling water movement path of the machine tool tool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는, 도 18과 같이 공작기계 툴홀더의 캡노즐부에 배출홀이 존재하지 않고, 공구가 추가되었으며, 본체부의 매개공간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로 설명한 공작기계 툴홀더와 동일하므로, 이하, 공구 및 본체부에 관한 설명만 하기로 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의 도면부호는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In the machine tool tool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8 , there is no discharge hole in the cap nozzle part of the machine tool tool holder, a tool is added, except that an intermediate space is formed in the body part, Since it is the same as the machine tool tool holder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2 , only the description of the tool and the main body will be given below. In addition, reference numerals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used as they are.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 툴홀더는, 공작기계(M)와 공구(T')를 연결하며, 피가공물의 가공 시, 냉각수제공부(Q)로부터 제공된 냉각수를 상기 공구(T')와 상기 피가공물 사이에 분사되도록 하는 장치일 수 있다.13 to 17 , the machine tool tool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he machine tool M and the tool T', and when processing the workpiece, the cooling water supply unit Q It may be a device for spraying the coolant provided from the tool T' and the workpiece between the tool T'.

상기 공작기계 툴홀더는, 공구(T'), 본체부(10), 하우징부(20), 어댑터부(40) 및 사이드로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chine tool tool holder may include a tool T ′, a body portion 10 , a housing portion 20 , an adapter portion 40 , and a side rod portion 50 .

상기 공구(T')는, 상기 피가공물과 접촉되는 일측과 상기 장착공간(S1)에 삽입되는 타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통홀(TH, 도 17 참조)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10)와의 사이에 냉각수가 체류하는 매개공간(S3, 도 15 참조)을 형성할 수있다.The tool T'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hole TH (refer to FIG. 17) formed through one side contacting the workpiece and the other side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S1, and with the main body 10 An intermediate space (S3, see FIG. 15) in which the cooling water resides may be formed therebetween.

상기 매개공간(S3)에 수용된 냉각수는, 상기 매개공간(S3)으로부터 상기 연통홀(TH)을 통해 배출되되, 상기 공구(T')의 회전과 연동된 채, 배출되어 직진성이 확보될 수 있다.The cool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intermediate space S3 is discharged from the intermediate space S3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TH, and is discharged while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of the tool T', so that straightness can be secured. .

또한, 상기 매개공간(S3)에 수용된 냉각수는, 상기 매개공간(S3)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수압에 의해 상기 연통홀(TH)을 통해 상기 공구(T')의 끝단으로 배출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olant accommodated in the intermediate space S3 may be discharged to the end of the tool T'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TH by the water pressure of the coolant flowing into the intermediate space S3.

상기 연통홀(TH)은, 상기 공구(T')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제1-1 연통홀(TH-1) 및 상기 공구(T')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며, 상기 제1-1 연통홀(TH-1)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2 연통홀(TH-2)로 구성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hole TH passes through a 1-1 communication hole TH-1 passing throug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ool T′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ool T′, and the first It may be composed of a 1-2 communication hole TH-2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1 communication hole TH-1.

그리고, 상기 제1-1 연통홀(TH-1) 및 상기 제1-2 연통홀(TH-2)의 형성 방향은, 상기 공구(T')의 회전축과 평행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1 연통홀(TH-1)과 제1-2 연통홀(TH-2)을 따라 이동하는 냉각수가 상기 공구(T')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흐트러지지 않고, 직진성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1-1 communication hole TH-1 and the 1-2 communication hole TH-2 may be parallel to a rotation axis of the tool T'. This is because the cooling water moving along the 1-1 communication hole TH-1 and the 1-2 communication hole TH-2 is not disturbed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ool T', and straightness is improved. be able to keep

만약, 제1-1 연통홀과 제1-2 연통홀이 공구(T')의 회전축과 평행하지 않도록 형성된다면, 공구(T')의 회전에 의해 이동 경로가 좌우로 요동치게 되어, 이를 따라 이동되는 냉각수 또한 좌우로 요동치게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1 연통홀(TH-1)과 제1-2 연통홀(TH-2)이 공구(T')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한다.If the 1-1 communication hole and the 1-2 communication hole are formed not to be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ool T', the movement path is oscillated left and right by the rotation of the tool T', and accordingly The moving coolant may also fluctuate from side to sid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1-1 communication hole TH-1 and the 1-2 communication hole TH-2 are provided with the tool T so that such a problem does not occur. ') to be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또한, 상기 어댑터부(40)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는 제1 유로(F1) 및 제2 유로(F2)를 통해 상기 제3 유로(F3)로 이동될 수 있다.Also, the coolant supplied from the adapter unit 40 may move to the third flow path F3 through the first flow path F1 and the second flow path F2 .

상기 제3 유로(F3)는, 상기 제2 유로(F2)로부터 분기되는 제3-1 유로(F3-1) 및 제3-2 유로(F3-2), 상기 하우징부(20)의 하부 내측에 헬리컬 형상으로 형성된 헬리컬부를 통해 냉각수가 회전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제3-3 유로(F3-3) 및 상기 제3-3 유로(F3-3)로부터 상기 장착공간(S1)을 규정하는 상기 본체부(10)의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된 제3-4 유로(F3-4)로 구성될 수 있다.The third flow path F3 includes a 3-1 flow path F3-1 and a 3-2 flow path F3-2 branched from the second flow path F2, and a lower inner side of the housing part 20 . A 3-3 flow path F3-3 for rotating and moving cooling water through a helical part formed in a helical shape, and the body part defining the mounting space S1 from the 3-3 flow path F3-3 It may be composed of a 3-4 flow path (F3-4) forme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10).

상기 제3-4 유로(F3-4)는, 상기 매개공간(S3)과 연통될 수 있다.The third and fourth flow passages F3 - 4 may communicate with the intermediate space S3 .

또한, 상기 제3-4 유로(F3-4)는, 상기 제3-3 유로(F3-3)로부터 상측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공구(T')의 본체부(10)로의 장착을 위한 장착공간(S1)을 우회하여, 매개공간(S3)으로의 냉각수 이동을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3 - 4 flow path F3 - 4 may be formed along an upward direction from the 3 - 3 flow path F3 - 3 , which is the attachment of the tool T ′ to the body portion 10 . Bypassing the mounting space (S1) for the cooling water to the intermediate space (S3) for movement.

즉, 상기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례에 따른 냉각수의 이동과정은 냉각수제공부로부터 냉각수가 공급되고, 내부에 마련된 콜렛에 냉각수가 도달하면, 상기 콜렛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다수의 홈을 따라 상방으로 냉각수가 역류하고, 상기 역류된 냉각수가 기설정된 압력 이상이 되면 상기 콜렛 내부에 삽입된 공구에 마련된 연통홀을 통해 하방으로 냉각수가 배출되는 과정으로 설명될 수 있다.That is,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ooling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above structure, the cooling water is supplied from the cooling water supply unit, and when the cooling water reaches the collet provided therein, it follows a plurality of grooves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let. It can be described as a process in which the coolant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a communication hole provided in the tool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llet when the coolant backflows upward and the backflow coolant exceeds a preset pressure.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In the above, the configuration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ased 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intended that such changes or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refore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공작기계 툴홀더
T, T': 공구
M: 공작기계
10: 본체부
20: 하우징부
30: 캡노즐부
40: 어댑터부
50: 사이드로드부
1: Machine tool tool holder
T, T': tool
M: machine tool
10: body part
20: housing unit
30: cap nozzle unit
40: adapter part
50: side rod part

Claims (13)

공작기계와 공구를 연결하며, 피가공물의 가공 시, 냉각수제공부로부터 제공된 냉각수를 상기 공구와 상기 피가공물 사이에 분사되도록 하는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에 있어서,
공구;
상기 공구가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공작기계와 연결된 채, 상기 공작기계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측면을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공작기계에 장착되며, 상기 냉각수제공부로부터 제공된 냉각수의 이동통로를 제공하고, 상기 본체부의 상기 공작기계로의 장착 위치를 결정하는 어댑터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에 연결된 채, 상기 어댑터부와 상기 하우징부를 연결하며, 상기 어댑터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본체부로 이동되도록 하는 사이드로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구는,
상기 피가공물과 접촉되는 일측과 상기 장착공간에 삽입되는 타측을 관통하여 형성된 연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와의 사이에 냉각수가 체류하는 매개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매개공간에 수용된 냉각수는, 상기 매개공간으로부터 상기 연통홀을 통해 배출되되, 상기 공구의 회전과 연동된 채, 배출되어 직진성이 확보되며,

상기 매개공간에 수용된 냉각수는,
공구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매개공간으로 유입되는 냉각수의 수압이 상승하고, 상기 상승된 수압에 의해 상기 연통홀을 통해 상기 공구의 끝단으로 배출되며,
상기 연통홀은,
상기 공구의 일측과 타측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연통홀로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연통홀의 형성 방향은,
상기 공구의 회전축과 평행하며,

상기 하우징부의 하측에 연결된 채, 상기 공구의 외주면을 포위하도록 배치되는 캡노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캡노즐은,
중심부에 상기 공구가 관통되는 공구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로드부는,
상기 어댑터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어댑터부에 안착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와의 연결이 해제되고, 상기 어댑터부에서 탈거되는 경우, 상기 본체부와 연결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이드로드부를 매개로 상기 하우징부와의 결속 여부가 결정되고,
상기 사이드로드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부에 종속되며, 상기 사이드로드부와 연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종속 해제되어 상기 하우징부를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사이드로드부는,
높이방향으로 형성된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1 수용공간과 연통되되, 상기 높이방향과 수직하며, 상기 하우징부를 향한 제1 폭방향으로 형성된 제2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수용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수용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며, 상기 어댑터부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
상기 제1 수용공간에 수용되되, 상기 연결부의 하부측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부의 상기 높이방향으로 인가된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탄성부 및
상기 제2 수용공간에 수용된 채, 상기 연결부의 상기 높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제1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종속결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어댑터부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어댑터부로의 접속에 따라 상기 제1 수용공간을 따라 제1 위치에서 하부측으로 위치 이동되어 제2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어댑터부와 연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어댑터부와의 접속 해제에 따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하며,
상기 탄성부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압축 탄성 변형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어댑터부와 연결 해제되는 경우, 상기 압축 탄성 변형에 의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복귀시키고,

상기 종속결정부는,
상기 높이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관통홀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된 채, 상기 관통홀을 따라 상기 높이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폭방향과 수직한 제2 폭방향으로 관통된 가이드홀을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홀은,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우징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종속결정부는,
상기 관통홀을 규정하는 측면에 형성된 측면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폭방향으로 연결된 슬라이딩부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가이드홀에 삽입된 채, 상기 연결부의 상기 높이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홀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
In the assembly of a tool and a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that connects a machine tool and a tool, and sprays cooling water provided from a cooling water supply unit between the tool and the workpiece when the workpiece is processed,
tool;
a main body that provides a mounting space in which the tool is mounted, and is connected to the machine tool, and is linked to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machine tool;
a housing part covering an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 adapter unit mounted on the machine tool, providing a passage for the cooling water provided from the cooling water supply unit, and determining a mounting position of the body unit to the machine tool; and
and a side rod part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housing part, connecting the adapter part and the housing part, and allowing the cooling water supplied from the adapter part to move to the main body part;

The tool is
A communication hole formed through one side contacting the workpiece and the other side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is provided, and an intermediate space in which the cooling water resides is formed between the main body part,
The cool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medium space is discharged from the medium spac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and is discharged while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of the tool to ensure straightness,

The cooling water accommodated in the medium space,
The water pressure of the coolant flowing into the medium space is increas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tool, and is discharged to the end of the tool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by the increased water pressure,
The communication hole is
Consists of one or more communication holes passing through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tool,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one or more communication holes is,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ool,

Further comprising a cap nozzle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ol whil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The cap nozzle is
A tool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tool passes is formed in the center;

The side rod part,
I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dapter part,
When it is seated in the adapter part, the connection with the main body is released, and when it is detached from the adapter part, i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The body part,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o bind to the housing part through the side rod part,
When connected to the side rod part, it is dependent on the housing part, and when disconnected from the side rod part, it is released from the housing part and is rotatable based on the housing part,

The side rod part,
A first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 a height direction and a accommodating par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perpendicular to the height direction, and forming a second accommodating space formed in a first width direction toward the housing;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sliding along the accommodating part, a connection par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dapter part;
an elastic part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nection part, and elastically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appli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nection part;
and a dependent crystal part that is moved in the first width direction by interlocking according to the positional movement of the connection part in the height direction while being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The connection part,
When connected to the adapter part, the position is 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lower side along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according to the connection to the adapter part and is positioned in the second position, and when disconnected from the adapter part, the adapter part and returns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ccording to the disconnection of
The elastic part,
The connection part is compressively and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and when the connection part is disconnected from the adapter part, the connection part is the second part by the restoring force due to the compressive elastic deformation. return to the first position from the position;

The dependent decision unit,
and a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in the height direction,
The connection par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hole, the position is moved in the height direction along the through-hole,

The connection part,
and a guide hole penetrating in a second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width direction,
The guide hole is
It is formed with a constant width,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upwar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housing part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The dependent decision unit,
and a sliding part inserted into a side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defining the through hole and connected in the second width direction;
The sliding part,
An assembly of a tool and a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the connection part slides along the guide hol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사이드로드부와 대향하는 대향면으로부터 함입되며, 상기 제2 수용공간과 연통된 함입홀을 구비하며,
상기 함입홀은, 상기 본체부의 결합홈과 연통되고,
상기 종속결정부는, 상기 함입홀에 삽입된 채,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위치 이동되어 상기 결합홈과 이격되고,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상기 본체부를 향해 이동되어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며,
상기 종속결정부가 상기 결합홈과 결합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부에 종속되고, 상기 종속결정부가 상기 결합홈과 이격되면, 상기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부로부터 종속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part is recessed from the opposite surface opposite to the side rod part, and has a recessed hole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The recessed hole communicates with the coupling groove of the main body,
The dependent determining part,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ecessed hole, is mov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groove, and the connection part is moved toward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from the second position to the first position and is coupled with the coupling groove,
The tool and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dependent crystal part is coupled with the coupling groove, the main body part is subordinate to the housing part, and when the dependent crystal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coupling groove, the main body part is released from the housing part. The assembly of the tool holder for u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상기 어댑터부에 연결된 경우, 상기 어댑터부로부터 공급된 냉각수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제1 유로를 구비하며,
상기 수용부는,
관통되어 형성된 제2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부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하우징부와 상기 본체부 사이의 제3 유로와 연통되며,
상기 제3 유로는,
상기 매개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on part,
and a first flow path formed through the connection part and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olant supplied from the adapter part moves when the connec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adapter part;
The receiving unit,
and a second flow path formed therethrough,
The first flow path is
At the first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it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second flow path, and at the second position of the connection part, it communicates with the second flow path;
The second flow path,
It communicates with a third flow path between the housing part and the body part,
The third flow path is
An assembly of a tool and a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municates with the intermediate space.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유로는,
상기 제2 유로로부터 분기되는 제3-1 유로 및 제3-2 유로, 상기 하우징부의 하부 내측에 헬리컬 형상으로 형성된 헬리컬부를 통해 냉각수가 회전되어 이동되도록 하는 제3-3 유로 및 상기 제3-3 유로로부터 상기 장착공간을 규정하는 상기 본체부의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된 제3-4 유로로 구성되며,
상기 제3-4 유로는,
상기 매개공간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구와 공작기계용 툴홀더의 조립체.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third flow path is
A 3-1 flow path and a 3-2 flow path branching from the second flow path, a 3-3 flow path and the 3-3 flow path for rotating and moving cooling water through a helical part formed in a helical shape inside the lower inner side of the housing part It consists of a 3-4 flow path formed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defining the mounting space from the flow path,
The 3-4 flow path,
An assembly of a tool and a tool holder for a machine too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municates with the intermediate space.
KR1020190164621A 2019-12-11 2019-12-11 Assembly for Machine tool and Tool holder KR10236639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621A KR102366395B1 (en) 2019-12-11 2019-12-11 Assembly for Machine tool and Tool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621A KR102366395B1 (en) 2019-12-11 2019-12-11 Assembly for Machine tool and Tool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876A KR20210073876A (en) 2021-06-21
KR102366395B1 true KR102366395B1 (en) 2022-02-22

Family

ID=76600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621A KR102366395B1 (en) 2019-12-11 2019-12-11 Assembly for Machine tool and Tool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3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8483A (en) * 2021-07-23 2021-11-09 葛逸霄 Heading machine cutter processingequip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98610B (en) * 1983-05-24 1988-12-21 Bakuer Italiana Spa REFRIGERANT DISTRIBUTOR DEVICE FROM THE OUTSIDE OF THE SPINDLE OF A MACHINE TOOL APPLICABLE ON NUMERIC CONTROL MACHINES AND WORK CENTERS
JPH11262836A (en) * 1998-03-19 1999-09-28 Enshu Ltd Tool holder with injection and recovery port
JP4818487B1 (en) 2011-01-24 2011-11-16 成根 李 Tool holder and machine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876A (en) 2021-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4362B (en) Slide guiding device
KR102366395B1 (en) Assembly for Machine tool and Tool holder
KR101732790B1 (en) Blade positioning structure of disposable milling cutter
CN104440097A (en) Turning and milling combination feeding device, turning and milling combination machine tool and machining method implemented by same
CN102029548A (en) Hard finish machine for hard finishing of workpiece
CN101332572A (en) Cutting method
JP7430855B2 (en) Cooling water direct injection tool holder for machine tools
RU2583109C2 (en) Pull stud with outer and inner coolant feed and cnc machine using said pull stud
JP2021037568A (en) Head structure of grooving tool and grooving tool
KR20210004174A (en) Tool holder with straight spray of cooling water for Machine tool
KR20020023784A (en) CNC milling machine for vertical type
KR200497149Y1 (en) Machine tool with the air injector unit of removing cutting oil
CN214519154U (en) Clamp assembly and nozzle
KR20230159358A (en) turning tools
KR101355270B1 (en) Supplyung device for cutting oil of the turret
KR20140015041A (en) Apparatus for providing turret of turret lathe with coolant
CN211992036U (en) Cutting tool structure
CN107363636B (en) Machine too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ucture for machine tool
KR102294245B1 (en) Nozzle cap for spraying cutting oil
KR20120085453A (en) Lubricant structure of transfer for the machine tool
CN212020357U (en) Grinding machine
CN217412467U (en) Numerical control tool apron for gang tool
KR20080054243A (en) Nozzle unit for coolant
CN212598928U (en) Cutter for processing large workpiece rotary hole
CN215999454U (en) Base for machine tool optical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