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219B1 - 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Nozzle Module therefor - Google Patents

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Nozzle Module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219B1
KR102366219B1 KR1020200080816A KR20200080816A KR102366219B1 KR 102366219 B1 KR102366219 B1 KR 102366219B1 KR 1020200080816 A KR1020200080816 A KR 1020200080816A KR 20200080816 A KR20200080816 A KR 20200080816A KR 102366219 B1 KR102366219 B1 KR 102366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main
pair
nozzles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8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30609A (en
Inventor
조창빈
이정우
곽종원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210130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6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2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1Rapid manufacturing of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ng, agglomerating or laminating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노즐 모듈(100)에 구비된 한 쌍의 메인 노즐(50) 각각에서 개별 노즐(10, 11)이 횡방향으로 서로 접한 상태로 종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수직보강재(6)를 만나면 개별 노즐)이 서로 멀어지도록 움직여서 수직보강재(6)가 개별 노즐 사이를 통과하게 하고, 수직보강재(6)가 지난 간 후에는 다시 접근하여 횡방향으로 접한 상태로 종방향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한 층의 메인 스트립(5)을 연속 형성함과 동시에, 메인 노즐(50) 사이에 중간 노즐(70)이 구비되어 중간 노즐(70)에 의해 메인 스트립(5) 사이에 파형의 중간 스트립(7)이 메인 스트립(5)에 그 측면이 접한 채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적층되어 3D 구조체(200)를 구축하게 되는 "파형의 중간 스트립 형성과 수직보강재 설치 가능 구조의 3D 구조체 구축용 3D 프린팅 장치"와, 이러한 3D 프린팅 장치를 위한 "노즐 모듈"에 관한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in each of the pair of main nozzles 50 provided in the nozzle module 100 proce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when they meet the vertical reinforcement 6, the individual nozzles ) move away from each other so that the vertical reinforcement 6 passes between the individual nozzles. At the same time as continuously forming the main strip 5, an intermediate nozzle 70 is provided between the main nozzles 50 so that the corrugated intermediate strip 7 is formed between the main strips 5 by the intermediate nozzle 70. "3D printing device for constructing a 3D structure of a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a wavy intermediate strip and installing a vertical reinforcement", which is laminated in a form continuously formed with its side in contact with the strip 5 to build the 3D structure 200; It relates to a “nozzle module” for such a 3D printing device.

Figure R1020200080816
Figure R1020200080816

Description

파형의 중간 스트립 형성과 수직보강재 설치가 가능한 3D 건설구조물 구축용 3D 프린팅 노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장치{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Nozzle Module therefor}A 3D printing nozzle module for constructing a 3D construction structure capable of forming a wavy intermediate strip and installing a vertical reinforcement, and a 3D print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노즐(Nozzle)을 통해서 시멘트계 적층재료를 스트립(strip) 형태로 배출하여 순차적으로 연직 적층함으로써 "3D 구조체"(3차원 형태의 구조체/ 예를 들면, 벽체 형태의 구조체)를 구축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한 층에 복수개 열로 이루어진 3차원의 프린트 스트립(strip)을 동시에 형성하면서 순차적으로 적층하되, 노즐의 진행 방향으로 복수개의 수직보강재가 박혀 있는 상태로 메인(main) 스트립을 적층함과 동시에 메인 스트립 사이에 파형(波形)의 중간 스트립을 형성하여 3D 구조체를 형성함으로써, 3D 건설구조물의 안정성을 높이고 제작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파형의 중간 스트립 형성과 수직보강재 설치가 가능한 3D 건설구조물 구축용 3D 프린팅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3D 프린팅 노즐 모듈(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echnology for constructing a "3D structure" (three-dimensional structure/for example, a wall-type structure) by discharging a cement-based laminate in the form of a strip through a nozzle and sequentially vertically stacking it Specifically, a three-dimensional print strip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ows is formed on one layer and sequentially laminated while simultaneously forming a main strip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ements are embedded in the direction of the nozzle. By forming a 3D structure by forming a corrugated intermediate strip between the main strips at the same time as lamina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3D construction structure and improve the manufacturing speed and efficiency "Formation of a corrugated intermediate strip and installation of vertical reinforcement It relates to a "3D print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possible 3D construction structure" and to a "3D printing nozzle module (nozzle assembly)" used therein.

노즐을 통해서 플라스틱 등의 재료를 사출하면서 순차적으로 상,하로 적층하여 3차원의 입체적인 형상을 가지는 제품을 제작하는 3D 프린팅 장치(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가 주목을 받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6473호에는 3D 프린팅용 재료로서 비가소성 콘크리트와 같은 시멘트계 재료를 사용하여 주택, 교량 등과 같은 건설구조물을 제작하려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48547호에는 시멘트계 재료를 이용한 3D 프린팅 장치와 관련하여 매우 유용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 3D printing apparatus (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that produces a product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by sequentially stacking up and down while injecting a material such as plastic through a nozzle is attracting attention, and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706473 In this issue, a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construction structures such as houses and bridges using cement-based materials such as non-plastic concrete as a material for 3D printing is proposed. In particular,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948547 discloses a very useful technology in relation to a 3D printing apparatus using a cementitious material.

이와 같이 시멘트계 적층재료를 이용하여 스트립을 순차적으로 연직 적층하여 3D 구조체를 구축함에 있어서, 3D 구조체를 더욱 견고하게 보강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구조체의 보강에는 연직한 수직보강재가 매우 유용한 바, 3D 프린팅에 의해 구축되는 3D 구조체의 보강을 위해서도 스트립이 적층되는 연직방향으로 수직보강재를 3D 구조체 내에 매립 설치할 필요성이 있으며, 특히 스트립이 적층되는 동안에 효율적으로 수직보강재를 스트립 내에 배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의 도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In constructing a 3D structure by sequentially vertically stacking strips using a cementitious laminate as described abov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3D structure more firmly. In general,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s are very useful for reinforcing structures. For reinforcing 3D structures built by 3D printing, it is necessary to embed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s in the 3D structure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 the strips are stacked.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ise a specific method for efficiently arranging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s in the strip while it is being used.

3D 프린팅 장치에서는 노즐이 이동하면서 노즐에 구비된 배출단부를 통해서 3D 시멘트계 적층재료가 종방향으로 다각형 단면을 가지면서 길게 연장된 한 줄의 스트립(strip) 형태로 배출되어 적층되는데, 단순히 한 줄의 스트립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트립의 적층 과정의 안정성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는 약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보완대책도 시급한 실정이다. In the 3D printing device, as the nozzle moves, the 3D cementitious laminate material is discharged and laminated in the form of a long strip with a polygonal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e discharge end provided in the nozzle. In the case of using a strip, there is a weakness in that it is not easy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stacking process of the strip.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to take supplementary measures for these problem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8547호(2019.02.15.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48547 (2019.02.15. Announcement).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6473호(2017.02.15.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706473 (2017.02.15. Announcement).

본 발명은 노즐을 이용하여 시멘트계 적층재료를 스트립 형태로 배출하여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3D 구조체를 구축함에 있어서, 스트립에 수직보강재를 설치하여 3D 구조체를 효과적으로 보강하되, 수직보강재가 존재한 상태에서 노즐을 이동시키면서 스트립을 순차적으로 적층함으로써 수직보강재가 매립되어 보강된 형태의 3D 구조체를 매우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tructing a 3D structure by discharging a cement-based laminate in the form of a strip using a nozzle and sequentially stacking it, the 3D structure is effectively reinforced by installing a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 in the strip, but the nozzle is installed in the presence of the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very efficiently constructing a reinforced 3D structure in which vertical reinforcement is embedded by sequentially stacking strips while moving.

또한 본 발명은 수직보강재가 매립된 스트립을 간격을 두고 형성함과 동시에 그 사이에 파형의 중간 스트립을 형성하여 적층함으로써, 3D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킴과 동시에 한 쌍의 메인 스트립과 중간 스트립을 동시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각 층의 적층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하여 3D 프린팅 장치에 의한 3D 건설구조물의 구축 속도를 단축시키고 구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greatly improve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3D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greatly improves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3D structure by forming strips embedded with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s at intervals and forming and stacking wavy intermediate strips therebetwee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capable of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the lamination of each layer by simultaneously forming the layers, thereby reducing the construction speed of the 3D construction structure by the 3D printing device and improving the construction efficiency.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메인 노즐과 중간 노즐을 포함하고, 종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시멘트계 적층재료를 스트립으로 배출하고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3D 구조체를 구축하게 되는 3D 프린팅 장치의 노즐 모듈로서, 한 쌍의 메인 노즐은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한 쌍의 메인 노즐 각각은 한 쌍의 개별 노즐을 포함하는데; 한 쌍의 개별 노즐은 서로를 향하여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있는 배출단부를 가지고 있어서, 한 쌍의 개별 노즐이 횡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출구가 서로 접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2개의 개별 스트립이 만들어짐과 동시에 개별 스트립이 횡방향으로 접하여 합쳐지며, 메인 노즐이 이동하다가 연직배치된 수직보강재를 만나면 한 쌍의 개별 노즐이 서로 이격되도록 횡이동하여 배출구 사이에 간격이 생겨서 수직보강재가 배출구 사이 통과하면서 개별 노즐은 계속 진행하며, 수직보강재의 통과 후에는 한 쌍의 개별 노즐이 다시 서로에게 접근하여 배출구가 횡방향으로 접하면서 각각 배출되는 개별 스트립이 수직보강재를 감싸면서 합쳐짐으로써, 중간에 수직보강재가 연직하게 박혀서 존재하도록 메인 스트립이 형성되며; 중간 노즐은 메인 노즐과 함께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시멘트계 적층재료의 스트립을 형성하되, 중간 노즐은 한 쌍의 메인 노즐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왕복운동함으로써 한 쌍의 메인 스트립 사이에서 파형의 중간 스트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의 노즐 모듈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a 3D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a pair of main nozzles and an intermediate nozzle, discharging the cementitious laminate as a strip while procee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quentially stacking them to construct a 3D structure A nozzle module, comprising: a pair of main nozzles disposed laterally spaced apart, each of the pair of main nozzles including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has a discharge end that is inclined at an angle towards each other, so that the pair of individual nozzles are laterally adjacent to each other and move with the outlets in contact with each other, creating two separate strips while simultaneously creating individual strips. The strips are join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when the main nozzle moves and meets a vertically placed vertical stiffener,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move laterally so that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creating a gap between the outlets, and the individual nozzles continue as the vertical stiffeners pass between the outlets After passing the vertical reinforcement,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approach each other again, and the individual strips that are discharged each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wrap the vertical reinforcement, so that the vertical reinforcement is embedded vertically in the middle. A main strip is formed to be present; The intermediate nozzle moves longitudinally with the main nozzle to form a strip of cementitious laminate, wherein the intermediate nozzle transversely reciprocates between the pair of main nozzles to form a wavy intermediate strip between the pair of main strips. There is provided a nozzle module of the 3D pri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노즐 모듈을 이용하여 시멘트계 적층재료를 스트립 형태로 만들어서 배출하여 순차적으로 연직 적층함으로써 3D 구조체를 구축하는 3D 프린팅 장치가 제공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3D print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a 3D structure by making and discharging a cement-based laminate in the form of a strip using the nozzle module and sequentially vertically laminating it.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노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장치에서, 각각의 메인 노즐을 구성하는 한 쌍의 개별 노즐의 횡이동을 위하여 제1노즐 횡이동장치가 구비되는데; 제1노즐 횡이동장치는, 개별 노즐 각각에 연결된 노즐연결재와, 상기 노즐연결재를 횡방향으로 서로 근접하게 하거나 또는 멀어지게 만드는 가변이동장치와,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가변이동장치가 결합되어 이동하게 되는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In the nozzle module and the 3D prin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is provided for lateral movement of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constituting each main nozzle;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includes a nozzle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each of the individual nozzles, a variable movement device for bringing the nozzle connection material closer to or away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longitudinally extending and variable movement device, It may have a configuration including a moving rail to be moved.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노즐 모듈 및 이를 구비한 3D 프린팅 장치에서, 중간 노즐의 횡이동을 위하여 제2노즐 횡이동장치가 구비되며; 제2노즐 횡이동장치는 제1노즐 횡이동장치와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Furthermore, in the nozzle module and the 3D prin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cond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is provided for lateral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nozzle; The second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may have a configuration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본 발명에 의하면, 3D 프린팅 장치를 이용하여 3D 시멘트계 적층재료로 3D의 건설 구조물을 구축함에 있어서, 한 쌍의 평행하게 배치된 메인 스트립 사이에 파형의 중간 스트립이 위치한 형태로 3D 건설구조물을 구축하게 되므로 3D 건설구조물에 대해 매우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3D 스트립의 적층 과정에서 매우 향상된 작업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nstructing a 3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a 3D cement-based laminate using a 3D printing device, a 3D construction structure is constructed in a form in which a wavy intermediate strip is located between a pair of parallelly arranged main strips. Therefore, very good structural stability can be secured for 3D construction structures, and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cure very improved work stability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of 3D strips is exhibited.

또한 본 발명에서는 3D 프린팅 노즐이 종방향으로 일회(一回) 이동하는 동안에 2줄의 메인 스트립과 그 중간의 중간 스트립이 동시에 형성되므로 매우 빠르게 각 층을 적층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그만큼 3D 건설구조물의 구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제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3D printing nozzle moves o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wo main strips and an intermediate strip in the middle are formed simultaneously, so that each layer can be laminated very quickly.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device and improving the production efficiency.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개별 노즐에서 시멘트계 적층재료를 동시에 스트립 형태로 배출하도록 메인 노즐을 형성하되, 한 쌍의 개별 노즐에서 토출되어 만들어지는 개별 스트립이 소정 각도를 가지고 서로 충돌하여 접하면서 일체화되어 하나의 스트립을 이루게 만들면서도, 메인 노즐이 종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수직보강재를 만나게 되면 한 쌍의 개별 노즐이 서로 횡방향으로 분리되어 수직보강재를 통과함과 동시에 개별 스트립이 수직보강재를 감싸면서 일체화되어 메인 스트립을 형성하면서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직보강재가 존재하더라도 메인 노즐은 종방향으로 계속 진행하면서 메인 스트립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바, 메인 스트립의 형성 및 적층이 끊어짐 없이 연속적으로 진행되어, 스트립의 적층에 의해 3D 구조체를 구축하는 3D 프린팅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nozzle is formed so that the cement-based laminate material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in the form of a strip from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and the individual strips discharged from the pair of individual nozzles collide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re integra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main nozzle meets a vertical stiffener while travel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pass through the vertical stiffener, and at the same time, the individual strips wrap around the vertical stiffener and become integrated. It is possible to proceed continuously while forming the main strip.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vertical reinforcement is present, the main nozzle can form the main strip while continu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formation and lamination of the main strip proceed continuously without interruption, and the 3D structure is formed by lamination of the strip. The effect that the 3D printing work to build is progressing smoothly is demonstrated.

본 발명에 의하면 내부에 연직하게 배치된 수직보강재가 매립되어 보강된 형태의 3D 구조체가 구축된다. 즉, 스트립 내에 연직한 수직보강재가 배치되어 보강된 상태로 3D 구조체가 구축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완성된 3D 구조체는 매우 큰 강성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중간에 수직보강재가 존재하는 형태로 메인 스트립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면서 연직하게 적층할 수 있게 되어 스트립 적층 과정에서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3D structure of a reinforced form is constructed by embedding a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 disposed vertically therein. That is, the 3D structure is constructed in a reinforced state by placing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s in the strip. Therefore, the 3D structure completed by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has very high rigidity, but also can be stacked vertically while continuously forming the main strip in the form of a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 in the middle, which greatly improves the stability in the strip stacking process. improving effect is exerted.

도 1은 본 발명의 3D 프린팅 장치에서 노즐을 통해 시멘트계 적층재료가 배출되어 메인 스트립과 파형의 중간 스트립을 동시에 형성하며 메인 스트립에 수직보강재가 설치된 상태로 적층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실시예에서 메인 노즐을 구성하는 2개의 개별 노즐의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한 쌍의 메인 노즐 중에서 한쪽의 메인 노즐에서 개별 스트립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 도시된 제1노즐 횡이동장치에서 하나의 메인 노즐이 결합된 부분만을 발췌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은 수직보강재가 배출구 사이로 지나가면서 메인 스트립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 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상태에 후속하여 개별 노즐이 수직보강재를 통과한 직후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상태에 후속하여 개별 노즐이 수직보강재를 통과한 후 계속 종방향 전방으로 진행하면서 메인 스트립을 형성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7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4는 스트립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노즐 모듈만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cement-based laminate is discharged through a nozzle in the 3D pri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main strip and a corrugated intermediate strip at the same time, and is laminated with a vertical stiffener installed on the main strip.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1 .
3 and 4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each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wo individual nozzles constituting the main nozzle in the embodiment of FIG. 1 .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individual strips are formed in one main nozzle among a pair of main nozzles.
6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a portion to which one main nozzle is coupled in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5 .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5 showing that the vertical reinforcement is passed between the outlets to form a main strip.
9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just after the individual nozzles pass through the vertical stiffener following the state of FIG. 8 .
1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FIG. 1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7 showing a state in which individual nozzles continue to longitudinally forward after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reinforcement to form a main strip following the state of FIG. 10 .
1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12 .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nozzle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strip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합성수지를 적층재료로 이용한 3D 프린팅 장치 자체는 이미 공지된 것이고, 본 발명은 3D 프린팅 장치에 구비되는 노즐의 작동 및 이를 이용하여 적층재료를 스트립 형태로 배출하면서 적층하는 과정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므로, 노즐에 적층재료를 공급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3D 프린팅 장치 전체를 구동시키는 기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노즐로부터 3D 시멘트계 적층재료가 배출되어 두께를 가지면서 만들어지는 3차원 프린트 스트립은 간단하게 "스트립"으로 약칭하고, 스트립이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기재하며, 평면에서 이와 직교하는 방향 즉, 3D 스트립의 폭방향을 "횡방향"이라고 기재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described as one embodi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The 3D printing apparatus itself using a synthetic resin as a laminate material is already known,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technical characteristics in the operation of a nozzle provided in the 3D printing apparatus and the process of laminating while discharging the laminated material in the form of a strip using it, A description of other configurations for supplying the layered material to the nozzle and driving the entire 3D printing apparatus by software will be omitted. A 3D printed strip made with a 3D cementitious laminate material discharged from a nozzle and having a thickness is simply abbreviated as "strip",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trip is elongated is described as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it in a plane That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3D strip is described as "transverse direction".

도 1에는 3D 프린팅 장치에 구비된 본 발명의 노즐 모듈(노즐 조립체)(100)이 종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시멘트계 적층재료를 배출하여 메인 스트립(5)과 파형의 중간 스트립(7)을 동시에 형성하고, 이에 더하여 메인 스트립(5)에 수직보강재(6)가 설치된 구성을 가지도록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는 편의상 이동레일(8), 제1노즐 횡이동장치(2) 및 제2노즐 횡이동장치(3)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In Figure 1, the nozzle module (nozzle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n the 3D printing apparatus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discharge the cementitious laminate to form a main strip 5 and a wavy intermediate strip 7 at the same time, ,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vertical reinforcement 6 is sequentially stacked to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in strip 5 is installed is shown.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1 . In FIG. 2 , the illustration of the moving rail 8 ,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2 , and the second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3 is omitted for convenience.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노즐 모듈(100)이 종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시멘트계 적층재료가 노즐 모듈(100)을 통해서 다각형의 종방향 단면을 가지는 스트립(strip) 형태로 배출되어 한 쌍의 메인 스트립(5)이 만들어지고 한 쌍의 메인 스트립(5) 사이에는 파형(波形)의 중간 스트립(7)이 동시에 만들어지며, 이러한 메인 스트립(5)과 중간 스트립(7)이 연직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면서 3D 구조체(200)가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노즐 모듈(100)에는 메인 스트립(5)을 형성하는 메인 노즐(50)과 중간 스트립(7)을 형성하는 중간 노즐(70)이 구비된다.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nozzle module 100 procee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cement-based laminate is discharged in the form of a strip having a polygonal longitudinal cross-section through the nozzle module 100, and a pair of main strips (5) is made, and between the pair of main strips (5), a corrugated intermediate strip (7) is made at the same time, and these main strips (5) and the intermediate strip (7) are sequentially stack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3D structure 200 is formed. To this end, the nozzle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main nozzle 50 forming the main strip 5 and an intermediate nozzle 70 forming the intermediate strip 7 .

다음에서는 메인 스트립(5)을 형성하는 메인 노즐(50)과, 중간 스트립(7)을 형성하는 중간 노즐(70)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Next, the main nozzle 50 forming the main strip 5 and the intermediate nozzle 70 forming the intermediate strip 7 will be sequentially described in detail.

도 3 및 도 4에는 각각 메인 노즐(50)을 구성하는 2개의 개별 노즐(10, 11)의 구성을 상세히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3에는 2개의 개별 노즐(10, 11)이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배출구(13)가 접하여 이웃하도록 2개의 개별 노즐(10, 11)이 횡방향으로 이웃하도록 연속 배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2개의 개별 노즐(10, 11)은 후술하는 수직보강재(6)가 통과할 정도의 횡방향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면 충분하지만, 편의상 도 3에서는 2개의 개별 노즐(10, 11)을 횡방향으로 다소 과장되게 서로 이격시켜 놓은 상태로 도시하였다.3 and 4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constituting the main nozzle 50, respectively. In FIG. 3, the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re shown. A state spaced apar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shown, and FIG. 4 shows a state in which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re sequentially arranged so that the outlet ports 13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is sufficient if the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transverse interval sufficient for the vertical reinforcement 6 to pass through, but for convenience, in FIG. 3, the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re somewhat They are shown exaggerated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개별 노즐(10, 11)이 한 쌍을 이루어서 메인 노즐(50)을 구성하게 되는데, 한 쌍의 개별 노즐(10, 11)은 횡방향으로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개별 노즐(10, 11)은 시멘트계 적층재료가 배출되는 배출단부(12)와 배출구(13)를 가지고 있는데,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개별 노즐(10, 11)에는 시멘트계 적층재료가 담겨져서 배출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출단부(12)는 하향 경사를 가지고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내부공간으로 공급된 시멘트계 적층재료는 자중(自重)에 의해 또는 인위적인 가압에 의해 아래로 내려가서 경사진 배출단부(12)와 배출구(13)를 통해서 각각 "개별" 스트립의 형태로 배출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form a pair to constitute the main nozzle 50, and the pair of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Each of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has a discharge end 12 and an outlet 13 through which the cement-based laminate is discharged, and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contain the cement-based laminate and discharge An inner space may be formed, and in this case, the discharge end 12 may have a downward slope and be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to extend rearward. The cement-based laminates fed into the interior space go down under their own weight or under artificial pressure and are discharged in the form of “individual” strips through the inclined discharge end 12 and the discharge port 13, respectively.

도 5에는 한 쌍의 메인 노즐 중에서 한쪽의 메인 노즐(50)에서 개별 노즐(10, 11)에 의해 개별 스트립(501, 502)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및 이에 대응되는 기타 평면도에서도 편의상 이동레일(7), 그리고 개별 노즐(10, 11)을 서로 접근시키거나 이격시키는 제1노즐 횡이동장치(2)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individual strips 501 and 502 are formed by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in one main nozzle 50 among a pair of main nozzles, and FIG.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5 is shown. 6 and other plan views corresponding thereto, the illustration of the moving rail 7 and the first nozzle lateral moving device 2 for approaching or separating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from each other is omitted for convenience.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2개의 개별 노즐(10, 11)에서는 시멘트계 적층재료가 동시에 배출되며, 각각의 개별 노즐에서 배출되어 만들어지는 2개의 개별 스트립(501, 502)은 횡방향으로 이웃하여 직접 접하여 붙으면서 일체화되어 하나의 메인 스트립(5)을 이루게 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 한 쌍의 개별 노즐(10, 11) 각각의 배출단부(12)는 종방향에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면서 기울어진 형태를 가지고 있다. 즉, 개별 노즐(10, 11)의 배출단부(12)는, 그 연장방향이 종방향의 직선을 이루고 있는 것이 아니라 개별 노즐(10, 11) 각각의 배출단부(12)가 서로를 향하여 소정 각도로 꺾여 있는 것이다. 따라서 2개의 개별 노즐(10, 11)이 접근하여 횡방향으로 배출구(13)가 서로 이웃하여 연속되도록 접하였을 때,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평면상에서 2개의 배출구(13) 사이에는 소정의 각도가 존재하게 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cement-based laminate material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from the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nd the two individual strips 501 and 502 made by being discharged from each individual nozzle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re direct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integrated to form one main strip (5). As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end 12 of each of the pair of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is inclined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discharge end 12 of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does not form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the discharge end 12 of each of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faces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is bent with Therefore, when the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pproach and the outlets 13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contact each other so that they are continuous, as shown in FIG. A predetermined angle exists.

본 발명에서는 메인 스트립(5)을 수직보강재(6)로 보강하기 위하여, 메인 노즐(50)에 의해 종방향으로 길게 메인 스트립(5)이 형성되면서 철근 등과 같은 봉부재로 이루어져 연직하게 세워진 복수개의 수직보강재(6)가 종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메인 스트립(5)에 박혀있는 상태로 존재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수직보강재(6)가 존재하는 위치에서 2개의 개별 노즐(10, 11)은, 서로 이웃한 배출구(13) 사이로 수직보강재(6)가 통과하여 지나가도록 횡방향으로 움직여서 서로 이격되고, 수직보강재(6)를 지나간 후에는 다시 2개의 개별 노즐(10, 11)이 접근하여 메인 스트립(5)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2개의 개별 노즐(10, 11)의 횡방향 이동(횡이동)을 위하여 제1노즐 횡이동장치(2)가 노즐 모듈(100)에 구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reinforce the main strip 5 with the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 6, the main strip 5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the main nozzle 50, and a plurality of vertically erected rod members such as reinforcing bars are used. The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 6 is present in a state embedded in the main strip 5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is end, at the position where the vertical reinforcement 6 is present, the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moving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vertical reinforcement 6 passes between the adjacent outlets 13, After passing through the reinforcement 6 , the two individual nozzles 10 , 11 again approach to form the main strip 5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2 is provided in the nozzle module 100 for lateral movement (lateral movement) of the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

도 7에는 도 5의 실시예에 도시된 제1노즐 횡이동장치(2)에서 하나의 메인 노즐(50)이 결합된 부분 즉, 도 5의 도 1의 원 B부분만을 발췌하여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7의 (a)는 개별 노즐(10, 11)이 서로 접근한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7의 (b)는 개별 노즐(10, 11)이 서로 멀어진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의 (b)에서도 2개의 개별 노즐(10, 11)을 다소 과장되게 서로 이격시켜 놓은 상태로 도시하였다.FIG. 7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part where one main nozzle 50 is coupled in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2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 5, that is, only the circle B part of FIG. is shown, Figure 7 (a)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pproach each other, and Figure 7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move away from each oth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re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mewhat exaggeratedly in FIG.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1노즐 횡이동장치(2)는 개별 노즐(10, 11) 각각에 연결된 노즐연결재(20)와, 상기 노즐연결재(20)를 필요할 때 횡방향으로 서로 근접하게 하거나 또는 멀어지게 만드는 가변이동장치(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노즐연결재(20)는 막대부재로 이루어지고 연직하게 배치되어 각각 개별 노즐(10, 11)에 결합되어 있는데, 노즐연결재(20)가 막대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2개의 막대부재를 서로 접근하도록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가변이동장치(21)의 기계적인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연결재(20)를 이루는 막대부재 상단에 각각 나사부재(28)를 설치하고, 2개의 나사부재(28)와 나사결합하여 서로 연결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태의 회전체(29)를 구비하여, 회전체(29)가 회전하게 되면 나사결합에 의해 나사부재가 서로 당겨지거나 멀어짐으로써 노즐연결재(20)를 이루는 막대부재가 이동하여 2개의 개별 노즐(10, 11)도 횡방향으로 서로 근접하거나 또는 멀어지게 되는 구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노즐연결재(20) 및 2개의 개별 노즐(10, 11)을 이와 같이 횡방향으로 서로 접근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키는 가변이동장치(21)의 구체적인 구성은 위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2 includes a nozzle connecting material 20 connected to each of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nd the nozzle connecting material 20, when necessary,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or O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variable movement device 21 to make the distance.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nozzle connecting material 20 is made of a bar member and is vertically arranged and coupled t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respectively. When the nozzle connecting material 20 is made of a bar member, two rods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movement device 21 for moving members toward or away from each other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each screw member 28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rod member constituting the nozzle connecting member 20, and the rod-shaped rotating body 29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connect with the two screw members 28 by screwing them together. ), and when the rotating body 29 rotates, the rod members constituting the nozzle connecting member 20 move by pulling or moving away from each other by screwing the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have a configuration that approaches each other or moves away from each other. However,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variable movement device 21 for moving the two nozzle connecting members 20 and the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to approach or away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is not limited to the one illustrated above.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메인 노즐(50)에 의해 한 쌍의 메인 스트립(5)이 동시에 만들어지는 바, 위에서 설명한 메인 스트립(5)이 형성되는 구성은 다른 쪽에 위치하는 메인 노즐(50)에서도 동일하게 진행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메인 스트립(5)이 형성되고 이를 위해 한 쌍의 메인 노즐(50)이 구비되며, 메인 노즐(50)의 각각은 위와 같이 한 쌍의 개별 노즐(10, 11)로 이루어지므로, 한 쌍의 메인 노즐(50)을 이루는 개별 노즐(10, 11)은 하나의 제1노즐 횡이동장치(2)에 결합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제1노즐 횡이동장치(2)를 각각의 메인 노즐(50) 별로 분리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main strips 5 are simultaneously made by a pair of main nozzles 50, and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main strips 5 described above is formed is the same for the main nozzles 50 located on the other side. proceeds nicely.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main strips 5 are formed and a pair of main nozzles 50 are provided for this purpose, and each of the main nozzles 50 is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s above. Since it is made of,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constituting the pair of main nozzles 50 may be coupled to on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2 . Of course, if necessary,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2 may be installed separately for each main nozzle 50 .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노즐 모듈(100)의 종방향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서 제1노즐 횡이동장치(2)에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이동레일(8)이 구비되고 가변이동장치(21)는 이동레일(8)에 결합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서 가변이동장치(21)가 이동레일(8)을 따라 종방향으로 왕복이동하면서 한 쌍의 노즐(10, 11)을 통해서 시멘트계 적층재료가 배출되어 개별 스트립(501, 502)을 형성하여 메인 스트립(5)을 만들어서 순차적으로 연직 적층하게 된다.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as a configuration for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nozzle module 100,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2 is provided with a movable rail 8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variable movement device 21 ) has a configuration coupled to the moving rail (8). Through this configuration, as the variable movement device 21 reciprocat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movement rail 8, the cementitious laminate is discharged through a pair of nozzles 10 and 11 to form individual strips 501 and 502. To make the main strip (5) is sequentially stacked vertically.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각각의 메인 노즐(50)에서 2개의 개별 노즐(10, 11)이 접근하여 횡방향으로 배출구(13)가 서로 이웃하여 연속되도록 접한 상태에서, 노즐 모듈(100)이 종방향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개별 노즐(10, 11)로부터 시멘트계 적층재료가 동시에 배출되어 개별 스트립(501, 502)이 만들어진다. 개별 노즐(10, 11)의 배출구(13)는 소정 각도를 가지고 연속하여 접하고 있고 개별 스트립(501, 502)의 형태로 배출되는 시멘트계 적층재료는 아직 굳지 않은 상태에 있으므로, 2개의 개별 스트립(501, 502)은 배출구(13)로부터 배출된 직후부터 서로 충돌하면서 횡방향 측면이 접하여 합쳐지면서 일체화되고, 그에 따라 2개의 개별 스트립(501, 502)이 횡방향으로 합해진 메인 스트립(5)이 형성된다. As illustrated in the figure, in the state in which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pproach from each main nozzle 50 and the outlet 13 are adjacent to each other in a continuous contact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nozzle module 10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it moves forward, the cementitious laminate is simultaneously discharged from each of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to form individual strips 501 and 502 . Since the outlets 13 of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re in continuous contact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cementitious laminate discharged in the form of individual strips 501 and 502 is not yet solidified, the two individual strips 501 , 502 are integrated as they collide with each other immediately after being discharged from the outlet 13, so that the transverse side surface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by forming a main strip 5 in which two separate strips 501 and 502 are transversely combined. .

노즐 모듈(100)이 진행하는 종방향의 전방에는 복수개의 수직보강재(6)가 연직하게 세워져 존재한다. 따라서 메인 스트립(5)을 형성하면서 종방향으로 진행하던 한 쌍의 개별 노즐(10, 11)이 수직보강재(6)를 만나게 되면, 배출구(13) 사이로 수직보강재(6)가 지나갈 수 있도록 2개의 개별 노즐(10, 11)은 서로 멀어지도록 횡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도 8에는 수직보강재(6)가 한 쌍의 개별 노즐(10, 11) 사이로 지나가면서 메인 스트립(5)이 형성되는 것을 보여주는 도 5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개별 노즐(10, 11)이 메인 스트립(5)을 형성하면서 종방향으로 진행하다가 수직보강재(6)를 만나게 되면, 제1노즐 횡이동장치(2)의 가변이동장치(21)가 작동하여 노즐연결재(20)와 및 이에 연결된 2개의 개별 노즐(10, 11)이 서로 멀어지도록 횡이동하면서 서로 이웃하여 접하고 있던 배출구(13) 사이에는 간격이 생기게 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배출구(13) 사이의 간격으로 수직보강재(6)가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s 6 are erected vertically in front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nozzle module 100 proceeds. Therefore, when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which procee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forming the main strip 5, meet the vertical reinforcement 6, the two vertical reinforcement 6 can pass between the outlets 13. The individual nozzles 10 , 11 are moved laterally away from each other.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5 showing that the main strip 5 is formed as the vertical stiffener 6 passes between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nd in FIG. 9 is shown in FIG. A schematic plan view is shown for As shown in FIGS. 8 and 9 , when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trav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orming the main strip 5 and meet the vertical stiffener 6 ,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2 ) of the variable movement device 21 is operated to move the nozzle connecting material 20 and the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connected thereto apart from each other, leaving a gap between the adjacent outlets 13 do. The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 6 will pass through the interval between the outlets 13 made in this way.

도 10에는 도 8 및 도 9의 상태에 후속하여 개별 노즐(10, 11)이 수직보강재(6)를 통과한 직후를 보여주는 도 8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수직보강재(6)를 통과한 직후에는 가변이동장치(21)의 작동에 의해 2개의 개별 노즐(10, 11)도 다시 서로에게 접근하여 배출구(13)가 횡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연속되도록 접한 상태로 만들어지면서 배출구(13)로부터 연속적으로 개별 스트립(501, 502)이 만들어져 배출된다. 이와 같이 수직보강재(6)를 통과한 직후에 개별 스트립(501, 502)이 서로 이웃하여 접하도록 만들어지는데, 이때에는 아직 시멘트계 적층재료가 완전히 경화된 상태가 아니므로 개별 스트립(501, 502)은 수직보강재(6)를 감싸면서 다시 횡방향으로 합쳐져서 부착되어 일체화되면서 메인 스트립(5)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메인 스트립(5)의 중간에 수직보강재(6)가 연직하게 박혀서 존재하는 형태가 만들어진다. FIG. 10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corresponding to FIG. 8 showing immediately after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pass through the vertical stiffener 6 following the state of FIGS. 8 and 9 , and FIG. 11 shows FIG.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s shown. Immediately after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stiffener 6, the two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also approach each other again by the operation of the variable movement device 21, so that the outlet 13 i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each other continuously The individual strips 501 and 502 are continuously made and discharged from the outlet 13 as they are made. In this way, the individual strips 501 and 502 are made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immediately after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reinforcement 6, and at this time, since the cementitious laminate is not yet completely hardened, the individual strips 501 and 502 are While enclosing the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 (6), the main strip (5) is formed while being merged and attach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gain to be integrated. Accordingly, the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 6 is vertically embedded in the middle of the main strip 5 to create a shape that exists.

도 12에는 도 10의 상태에 후속하여 개별 노즐(10, 11)이 수직보강재(6)를 통과한 후 계속 종방향으로 진행하면서 메인 스트립(5)을 형성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 10에 대응되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개별 노즐(10, 11)이 수직보강재(6)를 지나간 후에는 종방향으로 계속 진행하면서 개별 스트립(501, 502)이 일체화된 하나의 메인 스트립(5)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corresponding to FIG. 10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continue to proce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stiffener 6 following the state of FIG. 10 to form the main strip 5 A perspective view is shown, and FIG. 1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state shown in FIG. 12 . As shown in FIGS. 12 and 13, after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have passed through the vertical stiffener 6, the individual strips 501 and 502 are integrated into one main strip ( 5) will be formed.

본 발명의 노즐 모듈(100)에서는 이와 같이 한 쌍의 개별 노즐(10, 11)로 이루어진 메인 노즐(50)이 종방향으로 진행하다가, 횡방향으로 서로 접한 상태로 있던 개별 노즐(10, 11)이 수직보강재(6)를 만나면 개별 노즐(10, 11)이 서로 멀어지도록 움직여서 수직보강재(6)가 개별 노즐(10, 11) 사이를 통과하게 하고, 수직보강재(6)가 지난 간 후에는 개별 노즐(10, 11)이 다시 서로에게 접근하도록 움직여서 다시 횡방향으로 접한 상태로 종방향 이동하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한 층의 메인 스트립(5)을 연속 형성하고, 이러한 메인 스트립(5)을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 형성함으로써, 3D 구조체(200)를 구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개의 수직보강재(6)가 메인 스트립(5)의 중간에 종방향의 간격을 두고 존재하는 형태로 메인 스트립(5)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면서 적층할 수 있게 되는 바, 메인 스트립(5)의 연직 적층 과정에서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구축된 3D 구조체(200)의 경우, 시멘트계 적층재료의 내부에 연직방향으로 수직보강재(6)가 매립된 상태로 존재하게 되는 바, 수직보강재(6)에 의한 강성 보강 효과를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보강재(6)에 의해 강성이 보강되어 있는 3D 구조체(200)를 매우 용이하고 효율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the nozzle modul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main nozzle 50 composed of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procee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When the vertical reinforcement 6 is met,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move away from each other so that the vertical reinforcement 6 passes between the individual nozzles 10 and 11. The nozzles 10 and 11 are moved to approach each other again and the main strip 5 of one layer is continuously formed while repeating the process of moving longitudinally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gai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these main strips 5 are formed into a plurality of By laminating the layers, the 3D structure 200 is construc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s 6 can be stacked while continuously forming the main strip 5 in a form in which the main strip 5 is positioned at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middle of the main strip 5, the main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stability in the vertical lamination process of the strip (5) is exhibit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3D structure 200 construc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 6 is embed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cement-based laminated material. There are advantages to having.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very easily and efficiently construct the 3D structure 200 in which the rigidity is reinforced by the vertical reinforcing material 6 .

이러한 구성의 메인 노즐(50)은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구비되는 바, 한 쌍의 메인 노즐(50)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면서 상기한 작동을 동시에 동일하게 하게 되는 바, 수직보강재(6)가 중간에 존재하는 형태의 메인 스트립(5)이 횡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동시에 나란하게 형성된다. The main nozzles 50 of this configuration are provided as a pair at interval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pair of main nozzles 5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nd simultaneously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s, and the vertical reinforcement ( 6)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main strip (5) is spac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t the same time side by side.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노즐 모듈(100)에는, 상기 한 쌍의 메인 노즐(50) 사이에 위치하여 횡방향으로 메인 노즐(50)과 함께 종방향으로 이동하여 왕복하면서 3D 시멘트계 적층재료를 배출함으로써 한 쌍의 메인 스트립(5)의 중간에 파형(波形)의 중간 스트립(7)을 형성하게 되는 중간 노즐(70)이 구비되어 있다. 도 14에는 스트립은 생략하고 본 발명의 중간 노즐(70)만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노즐(70) 역시 시멘트계 적층재료가 배출되는 배출단부(12)와 배출구(13)를 가지고 있다. 중간 노즐(70)에도 시멘트계 적층재료가 담겨져서 배출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단부(12)는 하향 경사를 가지고 내부공간과 연결되어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nozzle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located between the pair of main nozzles 50 and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ain nozzle 5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discharge the 3D cementitious laminate while reciprocating. In the middle of the pair of main strips 5 is provided an intermediate nozzle 70 which forms a corrugated intermediate strip 7 . 1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intermediate nozzle 70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strips. As shown in the figure, the intermediate nozzle 70 also has a discharge end 12 and an outlet 13 through which the cementitious laminate is discharged. The intermediate nozzle 70 may also have an internal space in which the cement-based laminate may be contained and discharged, and the discharge end 12 may have a downward slope and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to extend rearward.

파형의 중간 스트립(7)을 형성하기 위하여 중간 노즐(70)은 종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횡방향으로 왕복 수평이동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제2노즐 횡이동장치(3)가 본 발명의 노즐 모듈(100)에 구비된다.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 제2노즐 횡이동장치(3)는 중간 노즐(70)에 연결된 노즐연결재(22)와, 상기 노즐연결재(22)를 횡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장치(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간 노즐(70)을 위한 노즐연결재(22)는 막대부재로 이루어지고 연직하게 배치되어 중간 노즐(70)에 결합되어 있는데, 노즐연결재(22)가 막대부재로 이루어진 경우, 막대부재를 횡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왕복이동장치(23)의 기계적인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즐연결재(22)를 이루는 막대부재 상단에 나사부재를 결합하고, 상기 나사부재(230)와 나사결합하도록 횡방향으로 연장된 봉형태의 회전체(231)를 구비하여, 회전체가 회전하게 되면 나사결합된 나사부재가 움직여서 회전체의 회전방향 변경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노즐연결재(22)를 횡방향으로 왕복운동시켜서 중간 노즐(70)이 왕복운동하게 만드는 왕복이동장치(23)의 구체적인 구성은 위에 예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In order to form the wavy intermediate strip 7, the intermediate nozzle 7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mov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reciprocating horizontally. (100) is provided.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second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3 includes a nozzle connector 22 connected to the intermediate nozzle 70, and a reciprocating device 23 for reciprocating the nozzle connector 22 in the lateral direction. is comprised of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nozzle connecting material 22 for the intermediate nozzle 70 is made of a bar member and is vertically arranged and coupled to the intermediate nozzle 70, when the nozzle connecting material 22 is made of a bar member. , the mechanical configuration of the reciprocating device 23 for reciprocating the rod memb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 screw member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rod member constituting the nozzle connecting member 22 and provided with a rod-shaped rotary body 231 extendi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be screwed with the screw member 230, the rotary body When it is rotated, the screwed screw member moves and may have a configuration that reciprocates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ody. However, the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reciprocating device 23 that makes the intermediate nozzle 70 reciprocate by reciprocating the nozzle connecting member 22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not limited to the one illustrated above.

한편, 중간 노즐(70)은 앞서 설명한 메인 노즐(50)과 함께 종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바, 이를 위하여 제2노즐 횡이동장치(3)는 제1노즐 횡이동장치(2)와 일체화될 수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서는 연결부재(32)에 의해 제1노즐 횡이동장치(2)와 제2노즐 횡이동장치(3)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2노즐 횡이동장치(3)는 제1노즐 횡이동장치(2)와 함께 이동레일(8)을 따라 종방향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후술하는 것처럼 메인 스트립(5)의 형성과 동시에 또는 그 직후에 곧바로 파형의 중간 스트립(7)이 메인 스트립(5)의 측면에 밀착한 상태로 형성되어 메인 스트립(5)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메인 스트립(5)의 붕괴 등을 예방하고 메인 스트립(5)을 안정적으로 구축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termediate nozzle 7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main nozzle 50 described above. For this purpose, the second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3 may be integrated with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2 . However,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2 and the second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3 are integrally coupled by the connecting member 32 . Accordingly, the second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3 moves longitudinally along the moving rail 8 together with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2, and accordingly, simultaneously with the formation of the main strip 5 or Immediately thereafter, the corrugated intermediate strip 7 is form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strip 5 to support the main strip 5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lapse of the main strip 5 and the like and to stably build the main strip 5 .

또한 제2노즐 횡이동장치(3)의 원활한 종방향 이동을 위하여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노즐 횡이동장치(3)의 왕복이동장치(23) 역시 이동레일(8)에 결합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the drawings for smooth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second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3, the reciprocating device 23 of the second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3 is also coupled to the moving rail 8. .

위와 같은 구성에서 중간 노즐(70)이 종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횡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면서 배출구를 통해서 3D 시멘트계 적층재료를 배출하여 파형의 중간 스트립(7)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중간 노즐(70)에 의한 파형의 중간 스트립(7)의 형성은 한 쌍의 메인 노즐(50)이 종방향으로 이동하여 메인 스트립(5)을 형성하는 것과 병행하여 이루어진다. 즉, 한 쌍의 메인 스트립(5)이 형성되면서 그 사이의 간격에 파형의 중간 스트립(7)이 형성되는 것이다. In the above configuration, the intermediate nozzle 70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imultaneously reciprocate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o discharge the 3D cementitious laminate through the outlet to form the corrugated intermediate strip 7 .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ation of the wavy intermediate strip 7 by the intermediate nozzle 70 is performed in parallel with the formation of the main strip 5 by moving the pair of main nozzles 5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while a pair of main strips 5 are formed, a wavy intermediate strip 7 is formed in the gap therebetwee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과정에 의해 한 쌍의 평행하게 배치된 메인 스트립(5) 사이에 파형의 중간 스트립(7)이 위치한 형태의 3D 건설구조물이 구축되는 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3D 건설구조물은 매우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2줄의 나란한 메인 스트립(5)과 그 중간에 파형으로 배치되는 중간 스트립(7)을 형성하여 적층할 경우에는, 횡방향 폭을 가지는 3D 건설구조물의 구축을 위하여 종래의 3D 프린팅 장치처럼 동일한 횡방향 폭을 가지는 한 줄의 3D 스트립을 적층하는 경우에 비하여, 3D 스트립의 적층 과정에서 매우 향상된 안정성(3D 스트립의 무너짐 방지 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본 형태가 파형을 이루도록 중간 스트립(7)을 형성함에 있어서, 중간 스트립(7)이 메인 스트립(5)의 측면과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할 경우, 메인 스트립(5)이 중간 스트립(7)에 의해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3D 건설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3D construction structure of a shape in which a corrugated intermediate strip 7 is located between a pair of parallelly arranged main strips 5 is constructed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As such, the 3D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can ensure very good structural stability.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forming and stacking two parallel main strips 5 and an intermediate strip 7 arranged in a corrugation in the middle, in order to construct a 3D construction structure having a lateral width, conventional 3D Compared to the case of laminating a single line of 3D strips having the same lateral width as in a printing devic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ecure greatly improved stability (prevention of collapsing of 3D strips, etc.)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of 3D strips is exhibited. In particular, in forming the intermediate strip 7 so that the shape viewed from the top down in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avy shape, when the intermediate strip 7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strip 5, the main strip ( 5) is more stably supported by the intermediate strip 7, the effect of further improving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3D construction structure is exhibited.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서는 노즐 모듈(100)이 종방향으로 일회(一回) 이동하는 동안에 2줄의 나란한 메인 스트립(5)과, 그 중간에 파형으로 배치되는 중간 스트립(7)이 함께 형성되면서 적층되므로, 3D 건설구조물을 더욱 신속하게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만일 2줄의 나란한 메인 스트립과 그 중간에 배치되는 중간 스트립을 적층 형성할 때, 노즐이 단지 한 줄로만 스트립을 만들게 될 경우에는, 메인 스트립을 형성한 이후에 메인 스트립 사이의 간격에서 지그재그로 움직이면서 파형의 중간 스트립을 형성하여야 하는 바, 각 층을 형성하여 적층하는데 많은 시간이 되며 3D 건설구조물 구축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노즐 모듈(100)의 종방향 일회(一回) 이동에 의해 2줄의 메인 스트립(5)과, 그 중간의 중간 스트립(7)이 동시에 형성되면서 적층되는 바, 매우 빠르게 각 층을 적층 형성할 수 있게 되며, 그만큼 3D 건설구조물의 구축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제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Above all, in the present invention, while the nozzle module 100 moves o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wo parallel main strips 5 and an intermediate strip 7 arranged in a wavy shape in the middle are formed together and lamin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uild a 3D construction structure more quickly. If, when stacking two parallel main strips and an intermediate strip arranged in the middle, the nozzle makes only one strip, after forming the main strip, it moves in a zigzag manner in the gap between the main strips Since it is necessary to form a corrugated intermediate strip, it takes a lot of time to form and laminate each layer, an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efficiency of constructing a 3D construction structure is lower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main strips 5 and the intermediate strip 7 in the middle are simultaneously formed and laminated by one movement of the nozzle module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laminated, thereby reduc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he construction of 3D construction structures and improving manufacturing efficiency.

2: 제1노즐 횡이동장치
3: 제2노즐 횡이동장치
5: 메인 스트립
6: 수직보강재
7: 중간 스트립
10, 11: 개별 노즐
501, 502 : 개별 스트립
100: 노즐 모듈
200: 3D 구조체
2: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3: Second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5: Main strip
6: Vertical reinforcement
7: middle strip
10, 11: Individual nozzles
501, 502: individual strips
100: nozzle module
200: 3D structure

Claims (6)

한 쌍의 메인 노즐과 중간 노즐을 포함하고, 종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시멘트계 적층재료를 메인 노즐과 중간 노즐에 의해 스트립으로 배출하고, 스트립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3D 구조체를 구축하게 되는 3D 프린팅 장치의 노즐 모듈로서,
한 쌍의 메인 노즐은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한 쌍의 메인 노즐 각각은 한 쌍의 개별 노즐을 포함하는데;
한 쌍의 개별 노즐은 서로를 향하여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있는 배출단부를 가지고 있어서, 한 쌍의 개별 노즐이 횡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출구가 서로 접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2개의 개별 스트립이 만들어짐과 동시에 개별 스트립이 횡방향으로 접하여 합쳐지며, 메인 노즐이 이동하다가 연직배치된 수직보강재를 만나면 한 쌍의 개별 노즐이 서로 이격되도록 횡이동하여 배출구 사이에 간격이 생겨서 수직보강재가 배출구 사이 통과하면서 개별 노즐은 계속 진행하며, 수직보강재의 통과 후에는 한 쌍의 개별 노즐이 다시 서로에게 접근하여 배출구가 횡방향으로 접하면서 각각 배출되는 개별 스트립이 수직보강재를 감싸면서 합쳐짐으로써, 중간에 수직보강재가 연직하게 박혀서 존재하도록 메인 스트립이 형성되며;
중간 노즐은 메인 노즐과 함께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시멘트계 적층재료의 스트립을 형성하되, 중간 노즐은 한 쌍의 메인 노즐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왕복운동함으로써 한 쌍의 메인 스트립 사이에서 파형의 중간 스트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의 노즐 모듈.
A nozzle of a 3D printing apparatus that includes a pair of main nozzles and an intermediate nozzle, and discharges the cementitious laminate into a strip by the main nozzle and the intermediate nozzle while procee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equentially stacks the strips to construct a 3D structure As a module,
the pair of main nozzles are disposed laterally spaced apart, and each of the pair of main nozzles includes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has a discharge end that is inclined at an angle towards each other, so that the pair of individual nozzles are laterally adjacent to each other and move with the outlets in contact with each other, creating two separate strips while simultaneously creating individual strips. The strips are joined transvers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main nozzle moves and encounters a vertically placed vertical stiffener,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move laterally to separate them from each other, creating a gap between the outlets. As the vertical stiffener passes between the outlets, individual nozzles continue After passing the vertical reinforcement,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approach each other again, and the individual strips that are discharged each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wrap the vertical reinforcement, so that the vertical reinforcement is embedded vertically in the middle. A main strip is formed to be present;
The intermediate nozzle moves longitudinally with the main nozzle to form a strip of cementitious laminate, wherein the intermediate nozzle transversely reciprocates between the pair of main nozzles to form a wavy intermediate strip between the pair of main strips. The nozzle module of the 3D pri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메인 노즐을 구성하는 한 쌍의 개별 노즐의 횡이동을 위하여 제1노즐 횡이동장치가 구비되는데;
제1노즐 횡이동장치는, 개별 노즐 각각에 연결된 노즐연결재와, 상기 노즐연결재를 횡방향으로 서로 근접하게 하거나 또는 멀어지게 만드는 가변이동장치와,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가변이동장치가 결합되어 이동하게 되는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의 노즐 모듈.
According to claim 1,
A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is provided for lateral movement of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constituting each main nozzle;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includes a nozzle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each of the individual nozzles, a variable movement device for bringing the nozzle connection material closer to or away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longitudinally extending and variable movement device, A nozzle module of a 3D pri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moving rail to be moved.
제2항에 있어서,
중간 노즐의 횡이동을 위하여 제2노즐 횡이동장치가 구비되며;
제2노즐 횡이동장치는 제1노즐 횡이동장치와 일체화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의 노즐 모듈.
3. The method of claim 2,
A second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is provided for lateral movement of the intermediate nozzle;
The nozzle module of the 3D pri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노즐 모듈을 이용하여 시멘트계 적층재료를 스트립 형태로 만들어서 배출하여 순차적으로 연직 적층함으로써 3D 구조체를 구축하는 3D 프린팅 장치로서,
한 쌍의 메인 노즐은 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한 쌍의 메인 노즐 각각은 한 쌍의 개별 노즐을 포함하는데;
한 쌍의 개별 노즐은 서로를 향하여 각도를 가지고 기울어져 있는 배출단부를 가지고 있어서, 한 쌍의 개별 노즐이 횡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출구가 서로 접한 상태에서 이동하면서 2개의 개별 스트립이 만들어짐과 동시에 개별 스트립이 횡방향으로 접하여 합쳐지며, 메인 노즐이 이동하다가 연직배치된 수직보강재를 만나면 한 쌍의 개별 노즐이 서로 이격되도록 횡이동하여 배출구 사이에 간격이 생겨서 수직보강재가 배출구 사이 통과하면서 개별 노즐은 계속 진행하며, 수직보강재의 통과 후에는 한 쌍의 개별 노즐이 다시 서로에게 접근하여 배출구가 횡방향으로 접하면서 각각 배출되는 개별 스트립이 수직보강재를 감싸면서 합쳐짐으로써, 중간에 수직보강재가 연직하게 박혀서 존재하도록 메인 스트립이 형성되며;
중간 노즐은 메인 노즐과 함께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시멘트계 적층재료의 스트립을 형성하되, 중간 노즐은 한 쌍의 메인 노즐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왕복운동함으로써 한 쌍의 메인 스트립 사이에서 파형의 중간 스트립을 형성하여 3D 구조체를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A 3D printing device for constructing a 3D structure by making and discharging a cement-based laminate in the form of a strip using a nozzle module and sequentially stacking it vertically,
the pair of main nozzles are disposed laterally spaced apart, and each of the pair of main nozzles includes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has a discharge end that is inclined at an angle towards each other, so that the pair of individual nozzles are laterally adjacent to each other and move with the outlets in contact with each other, creating two separate strips while simultaneously creating individual strips. The strips are joined transverse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when the main nozzle moves and encounters a vertically placed vertical stiffener,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move laterally to separate them from each other, creating a gap between the outlets. As the vertical stiffener passes between the outlets, individual nozzles continue After passing the vertical reinforcement,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approach each other again, and the individual strips that are discharged each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wrap the vertical reinforcement, so that the vertical reinforcement is embedded vertically in the middle. A main strip is formed to be present;
The intermediate nozzle moves longitudinally with the main nozzle to form a strip of cementitious laminate, wherein the intermediate nozzle reciprocates transversely between the pair of main nozzles to form a wavy intermediate strip between the pair of main nozzles. 3D pri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o build a 3D structure.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메인 노즐을 구성하는 한 쌍의 개별 노즐의 횡이동을 위하여 제1노즐 횡이동장치가 구비되는데;
제1노즐 횡이동장치는, 개별 노즐 각각에 연결된 노즐연결재와, 상기 노즐연결재를 횡방향으로 서로 근접하게 하거나 또는 멀어지게 만드는 가변이동장치와, 종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가변이동장치가 결합되어 이동하게 되는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프린팅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is provided for lateral movement of a pair of individual nozzles constituting each main nozzle;
The first nozzle lateral movement device includes a nozzle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each of the individual nozzles, a variable movement device for bringing the nozzle connection material closer to or away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a longitudinally extending and variable movement device, 3D prin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configuration including a moving rail to be moved.
삭제delete
KR1020200080816A 2020-04-22 2020-07-01 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Nozzle Module therefor KR10236621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516 2020-04-22
KR20200048516 2020-04-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609A KR20210130609A (en) 2021-11-01
KR102366219B1 true KR102366219B1 (en) 2022-02-23

Family

ID=78519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816A KR102366219B1 (en) 2020-04-22 2020-07-01 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Nozzle Module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21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512B1 (en) 2022-12-19 2023-06-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nstructing Method of Coffering Structure using 3 Dimensional Printing, and Coffering Structure constructed by 3D Printing
KR102568087B1 (en) 2022-12-21 2023-08-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eparing Method of Underwater Structure using 3 Dimensional Printing Technolog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2404B1 (en) 2023-07-22 2024-04-29 주식회사 플랜터 AI-based Multi-Purpose Intelligent Semiconductor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27B1 (en) 2014-12-29 2015-06-05 김석문 3d printing apparatus and constructing method of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856644B1 (en) 2016-08-05 2018-05-1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3D concrete print system
KR101948547B1 (en) 2017-11-06 2019-02-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D Printing Apparatus and Nozzle therefor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473B1 (en) 2015-10-22 2017-02-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3D Printing Apparatus for Building Structure
KR102003478B1 (en) * 2017-10-10 2019-07-24 이강득 3d printing apparatus with a double ingection nozz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27B1 (en) 2014-12-29 2015-06-05 김석문 3d printing apparatus and constructing method of steel frame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856644B1 (en) 2016-08-05 2018-05-10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3D concrete print system
KR101948547B1 (en) 2017-11-06 2019-02-1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D Printing Apparatus and Nozzle therefo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512B1 (en) 2022-12-19 2023-06-2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Constructing Method of Coffering Structure using 3 Dimensional Printing, and Coffering Structure constructed by 3D Printing
KR102568087B1 (en) 2022-12-21 2023-08-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Reparing Method of Underwater Structure using 3 Dimensional Printing Technolo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609A (en) 202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6219B1 (en) Three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Nozzle Module therefor
KR102241865B1 (en) 3D Printing Apparatus and Nozzle Module therefor
KR101948547B1 (en) 3D Printing Apparatus and Nozzle therefore
US9242425B2 (en) Sandwich structure with a high load-bearing capacity, as well as method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CA2519866A1 (en) Fiber reinforced composite cores and panels
US10543617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necting two 3D printed structures
KR102105830B1 (en) 3 Dimensional Printing Apparatus and Nozzle therefore
CN1080103C (en) Method of manufacturing layered structure
US6151743A (en) Structural panel for bridging between spaced supports
TWI604945B (en) Woven preform with integral off axis stiffeners
US20020153084A1 (en) Method of inserting z-axis reinforcing fibers into a composite laminate
CN104936768A (en) Wind turbine blad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CN104228088B (en) Inclined-plane staggeredly for continuous compression mould process mould
CN101965426A (en) Plastic detention chamber for stormwater runoff and related system and methods
CN110500242B (en) Main beam of wind power blade and method for laying core material and plate of main beam
US20170320273A1 (en) Method for forming of a tubular semi-finished product from fibre-reinforced plastic material
CN109318506A (en) A kind of netted lattice structure of composite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RU2333131C1 (en) Method of production of sections from three-layered structure made of polymer composite materials
JP7139773B2 (en) Structure forming method and structure
KR200482818Y1 (en) Block Assembly for Retaining Wall
KR100949566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reinforcement frame of double hull vessel
CN110241726B (en)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combined bridge deck and wet joint structure
US10099410B2 (en) Method of making a panel
US11884046B2 (en) Composite sandwich components
JP5914311B2 (en) Reinforcing member and reinforcing method for resin molded bod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