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159B1 - Receptacle connecter and connect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Receptacle connecter and connect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159B1
KR102366159B1 KR1020150145624A KR20150145624A KR102366159B1 KR 102366159 B1 KR102366159 B1 KR 102366159B1 KR 1020150145624 A KR1020150145624 A KR 1020150145624A KR 20150145624 A KR20150145624 A KR 20150145624A KR 102366159 B1 KR102366159 B1 KR 102366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acle
plug
terminal
connector
term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56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45664A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5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159B1/en
Publication of KR20170045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66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1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2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with earth pin, blade or sock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그 상면 및 하면이 평행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전단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을 정의하는 리셉터클 쉘; 상기 리셉터클 쉘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하면 및 양측면 내측으로부터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결합 돌부가 구비되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일면에 위치되고, 신호의 전송을 위한 다수개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및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 및 하면 중 나머지 일면에 위치되고, 접지를 위한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은,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컨택트부; 및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1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은,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 및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A1)가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가 0.30mm 내지 0.36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One aspec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eptacle connector into which a plug connector is inserted and coupled: a space in which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formed in a parallel polyhedral shape and the plug connector is coupled through the front end thereof. Defines a receptacle shell; a receptacle housing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shell and provided with coupling protrusions positioned inside the coupling spac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both sides of the receptacle shell; a plurality of first receptacle terminals positioned on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for transmitting signals; and one second receptacle terminal positioned on the other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ing protrusion for grounding; wherein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comprises: a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and a first receptacle terminal lead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includes: on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s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 part defines two adjacent first receptacle terminals and one group, and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define one group are , the distance A1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art is spaced apart by 0.6 mm, and the distance A2 between adjacent side ends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ar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0.30 mm to 0.36 mm.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RECEPTACLE CONNECTER AND CONNECT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Receptacl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커넥터란, 와이어와 와이어, 와이어와 기판 또는 기판과 기판을 연결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전장 부품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가 하나의 어셈블리를 구성한다.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3489호)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A connector is an electrical component that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by connecting a wire and a wire, a wire and a board, or a board and a board. In such a connector, a receptacle connector and a plug connector inserted and coupl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constitute one assembly. In the prior art documen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2-0103489),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is disclosed.

선행기술문헌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는 다수개의 (병렬) 단자(2)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는, 단자(2)의 전기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하게 1열(列)로 배치한 것으로, 특히, 단자(2)의 개수 증가하는 경우에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폭이 증가되거나 단자(2) 상호간의 간격의 감소 등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저하가 우려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단자(2)는 인서트 사출 또는 압입에 의하여 하우징에 고정된다. 또한 단자(2) 중 접지를 위한 것의 경우에는, 상대물인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 접촉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가 단자(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등에만 접지된다.Referring to the prior art literature, the receptacle connector 1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plurality of (parallel) terminals 2 . However, this is simply arranged in one row without consider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terminals 2 . In particular, when the number of terminals 2 increases, the width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increases or There may be concerns about a decrease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due to a decrease in the distance between the terminals 2 and the like.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2 are fixed to the housing by insert injection or press-fitting.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terminal 2 for grounding, the plug connector is grounded only on a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like to which the terminal 2 is electrically connected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plug connector as a counterpart.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삽입 후드부(7)에 플러그 커넥터(31)가 삽입되어 양자가 결합되고, 양자의 삽입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의 삽입 후드부(7)와 플러그 커넥터(7)의 종단면은 서로 대응되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삽입 후드부(7)와 플러그 커넥터(7)의 테두리면이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경우에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방향에 평행한 가상의 축(A1)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는 방향(B1)으로 플러그 커넥터(31)가 리셉터클 커넥터(1)에 대하여 이동하는 경우에도, 플러그 커넥터(31)의 일부가 삽입 후드부(7)의 내부에 오삽입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31)의 하우징(33)이나 커버(37) 등에 의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의 단자(2)(10)가 손상될 우려가 발생된다.Further, in the prior art, the plug connector 3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od portion 7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to couple both, and the insertion hood portion 7 and the plug connector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both.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s of (7) are formed in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the edge surfaces of the insertion hood part 7 and the plug connector 7 are formed in parallel as a whole.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shown in FIG. 15 , the plug connector 31 is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imaginary axis A1 parallel to the insertion direction. ) moves with respect to the receptacle connector 1, a part of the plug connector 31 is incorrectly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od 7, so that the housing 33 or the cover 37 of the plug connector 31 There is a risk that the terminals 2 and 10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 may be damaged by the abov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03489호(명칭: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는 플러그 커넥터)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2-0103489 (Name: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fitt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기적 특성을 확보하면서 전체적으로 경박단소하게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by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configured to be lightweight and simple as a whole while secur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configured to be assembled more simply and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다 효율적으로 접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configured to be grounded more efficiently and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삽입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ceptacle connector configured to prevent damage due to erroneous insertion and a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는,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그 상면 및 하면이 평행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전단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을 정의하는 리셉터클 쉘; 상기 리셉터클 쉘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하면 및 양측면 내측으로부터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 공간의 내부에 위치되는 결합 돌부가 구비되는 리셉터클 하우징;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일면에 위치되고, 신호의 전송을 위한 다수개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및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 및 하면 중 나머지 일면에 위치되고, 접지를 위한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은,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컨택트부; 및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1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은, 상기 결합 돌부의 상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 및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A1)가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가 0.30mm 내지 0.36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된다.One aspect of a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receptacle connector into which a plug connector is inserted and couple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formed in a parallel polyhedral shape, and the a receptacle shell defining a mating space to which the plug connector is coupled; a receptacle housing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shell and provided with coupling protrusions positioned inside the coupling spac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side of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both sides of the receptacle shell; a plurality of first receptacle terminals positioned on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for transmitting signals; and one second receptacle terminal positioned on the other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ing protrusion for grounding; wherein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comprises: a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contact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and a first receptacle terminal lead portion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includes: on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loc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and a plurality of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s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 part defines two adjacent first receptacle terminals and one group, and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define one group are , the distance A1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art is spaced apart by 0.6 mm, and the distance A2 between adjacent side ends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art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0.30 mm to 0.36 mm.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된다.In one aspec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define one group, the distance A2 between adjacent side ends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art is 0.33 are spaced apart by mm.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one aspec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plug connector, and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는, 상기 리셉터클 쉘 및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는,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one aspec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s of the receptacle shell and the plug connector, and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에는, 상기 리셉터클 쉘과 접촉되는 쉘 접촉 리브가 구비된다.In one aspec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is provided with a shell contact rib in contact with the receptacle shel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쉘 접촉 리브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을 관통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에 접촉된다.In one aspec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ell contact rib extends from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and penetrates the receptacle housing to contact the receptacle shel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 개구가 형성된다.In one aspec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seating openings in which the terminals of the plug connector are seated are formed in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가 상기 결합 돌부의 하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된다.In one aspec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is disposed inside a projection formed by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part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쉘에는, 그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공간과 연통되는 한쌍의 안내 홈부가 형성된다.In one aspec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guide grooves protru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ceptacle shell and communicating with the coupling space are form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안내 홈부는, 상기 리셉터클 쉘의 상면 또는 하면의 양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상기 리셉터클 쉘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연장 홈부; 및 상기 제1연장 홈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상기 제1연장 홈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상기 리셉터클 쉘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연장 홈부; 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groove portion includes a first extension groove portion extending toward both sides of the receptacle shell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to be inclined upward or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 and a second extension groove portion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r a low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groove portion toward both sides of the receptacle shell at a relatively small angle compared to the first extension groove portion;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는,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 를 포함한다.One aspec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ptacle connector of any one of claims 1 to 10; and a plug connector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그 상면 및 하면이 평행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러그 쉘; 상기 플러그 쉘의 내부에 삽입되고, 결합 요홈이 형성되는 플러그 하우징; 상기 결합 요홈의 상부 내면 및 하부 내면 중 어느 일면에 위치되고, 신호의 전송을 위한 다수개의 제1플러그 터미널; 및 상기 결합 요홈의 상부 내면 및 하부 내면 중 나머지 일면에 위치되고, 접지를 위한 1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을 포함한다.In one aspec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connector may include a plug shell formed in a polyhedral shape having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parallel to each other; a plug housing inserted into the plug shell and having a coupling groove formed therein; a plurality of first plug terminals located on any one of the upper inner surface an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nd for transmitting a signal; and one second plug terminal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inner surface and low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nd for grounding;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은,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 및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1플러그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은, 상기 결합 요홈의 상부 내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결합 요홈의 상부 내면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 및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의 중심 사이의 거리(B1)가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B2)가 0.30mm 내지 0.36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된다.In one aspec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ug terminal may include a first plug terminal body; a first plug terminal contact part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part; and a first plug terminal lead part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part;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plug terminal includes: one second plug terminal body locat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 plurality of second plug terminal contact portions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plug terminal body portion and positioned on an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and a plurality of second plug terminal lead portions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lug terminal body portion.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plug terminal contact part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lead part define a group with two first plug terminals adjacent to each other, and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define one group In the first plug terminal, the distance (B1)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part is spaced apart by 0.6 mm, and the distance (B2) between the adjacent side ends of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part is 0.30 mm to 0.36 mm. are spaced apart by mm.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B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된다.In one aspec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plug terminal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define one group, the distance B2 between adjacent side ends of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part is 0.33 are spaced apart by mm.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는,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one aspec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lug terminal contact portion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lead port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가 상기 결합 요홈의 하부 내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된다.In one aspec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ug terminal is disposed inside a projection formed by the second plug terminal body portion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플러그 쉘에는, 그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안내 돌부가 형성된다. In one aspec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guide protrusions protru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reof are formed in the plug shel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안내 돌부는, 상기 플러그 쉘의 상면 또는 하면의 양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상기 플러그 쉘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연장 돌부; 및 상기 제1연장 돌부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상기 제1연장 돌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상기 플러그 쉘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연장 돌부; 를 포함한다.In one aspec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protrusion includes a first extension protrusion extending from both ends of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plug shell toward both sides of the plug shell to be inclined upwardly or downwardly at a predetermined angle. ; and a second extension protrusion extending from an upper end or a low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rotrusion toward both sides of the plug shell at a relatively small angle compared to the first extension protrusion.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일 양태에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은,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에 의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에 접지된다.In one aspec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lug terminal is grounded to the receptacle shell by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expected.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리셉터클 터미널 또는 제1플러그 터미널과 다른 열을 정의하는 제2리셉터클 터미널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이 1개로 구성되고, 실질적으로 제1리셉터클 터미널과 리셉터클 쉘 사이 또는 제1플러그 터미널과 플러그 쉘 사이에 제2리셉터클 터미널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이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개의 터미널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전기적 특성을 만족하면서 경박단소하게 제품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First,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or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or the second plug terminal defining a column different from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is constituted by one, substantially between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and the receptacle shell or between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and the receptacle shell. A second receptacle terminal or a second plug terminal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lug terminal and the plug shell.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used, it is possible to configure a product in a light, thin and simple manner while satisfy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및 플러그 터미널이 1개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간단하게 제품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and the plug terminal are constituted by one.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product more simply.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리셉터클 터미널에 의하여 플러그 터미널이 리셉터클 쉘에 접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인 접지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g terminal is grounded to the receptacle shell by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efficient grounding can be achieved.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쉘에 적어도 한쌍의 안내 홈부가 형성되고,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쉘에 안내 홈부에 대응하는 적어도 한쌍의 안내 돌부가 구비됨으로써, 안내 홈부 및 안내 돌부가 서로 형합되는 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삽입되는 경우에만 양자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오삽입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이 플러그 커넥터에 의하여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 pair of guide grooves are formed in the receptacle shell of the receptacle connector, and the plug shell of the plug connector is provided with at least a pair of guide projections corresponding to the guide grooves, so that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projection are The mating of both is achieved only when the plug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in the mating direction.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enomenon in which the terminal of the receptacle connector is damaged by the plug connector by the plug connector being incorrectly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리셉터클 터미널 중 적어도 고속 신호용이 안내 홈부를 제외한 리셉터클 쉘의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에 위치되고, 플러그 터미널 중 적어도 고속 신호용이 안내 돌부를 제외한 플러그 쉘의 나머지 부분에 해당하는 영역에 위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리셉터클 터미널과 리셉터클 쉘의 상하면 사이가 동일한 거리로 유지되고, 플러그 터미널과 플러그 쉘의 상하면 사이가 동일한 거리로 유지됨으로써, 금속 재질의 리셉터클 쉘 및 터미널 쉘의 상하면과 리셉터클 터미널 및 플러그 터미널 사이의 거리의 차이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편차가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among the receptacle terminals, it is locat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part of the receptacle shell except for the guide groove for high-speed signals, and corresponds to the remaining part of the plug shell except for the guide protrusion for at least high-speed signals among the plug terminals. located in the area where Therefo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ceptacle terminal and the receptacle shell is maintained at the same distanc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ug terminal and the plug shell is maintained at the same distance, so that the metal receptacle shell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terminal shell and the Variation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due to a difference in distance between the receptacle terminal and the plug terminal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을 보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제1플러그 터미널을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임피던스(Impedance)를 보인 그래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삽입 손실(Insertion losses)을 보인 그래프.
도 1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원단 누화(Far End Crosstalk)를 보인 그래프.
도 1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근단 누화(Near End Crosstalk)를 보인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오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5은 종래 기술에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오삽입되는 형태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eptacle connector constitut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eceptacle connector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receptacle terminal of the receptacle connector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ug connector constitut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lug connector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howing a first plug terminal of the plug connector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graph showing the impedance (Impedanc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10 is a graph showing insertion losse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prior art.
11 is a graph showing Far End Crosstalk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prior art.
12 is a graph showing near-end crosstalk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the prior art.
1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g connector is incorrectly inserted into a receptacle connector i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15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form in which a plug connector is incorrectly inserted into a receptacle connector in the prior ar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을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플러그 커넥터의 제1플러그 터미널을 보인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FIG.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ceptacle connector constituting the example, Fig.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receptacle connector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first view of the receptacle connector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lan view showing the receptacle terminal,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plug connector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lug connector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first plug terminal of the plug connector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는, 리셉터클 커넥터(101) 및 플러그 커넥터(201)를 포함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양자가 접속된다.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는, 리셉터클 쉘(111), 리셉터클 하우징(120), 다수개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및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는, 플러그 쉘(210), 플러그 하우징(220), 다수개의 제1플러그 터미널(230), 및 1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240)을 포함한다. 1 to 8 ,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eceptacle connector 101 and a plug connector 201 . The plug connector 201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101 to connect both. The receptacle connector 101 includes a receptacle shell 111 , a receptacle housing 120 , a plurality of first receptacle terminals 130 , and on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 The plug connector 201 includes a plug shell 210 , a plug housing 220 , a plurality of first plug terminals 230 , and one second plug terminal 240 .

보다 상세하게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리셉터클 쉘(111)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의 외관을 정의한다. 상기 리셉터클 쉘(111)은, 금속 재질로 성형되고, 전체적으로 전후단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내부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101S)이 정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결합 공간(101S)의 전단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S. 3 to 5 , the receptacle shell 111 defines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01 . The receptacle shell 111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has a polyhedral shape with front and rear ends open as a whole. Accordingly, a coupling space 101S to which the plug connector 201 is coupled is defined inside the receptacle shell 111 . The plug connector 201 may be inserted and coupled substantially through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space 101S.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에 안내 홈부(113)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 홈부(113)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상면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공간(101S)과 연통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안내 홈부(113)를 포함하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종단면은 상기 안내 돌부(213)를 포함하는 상기 플러그 쉘(211)의 종단면과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guide groove 113 is formed in the receptacle shell 111 . The guide groove portion 113 protrudes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111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space 101S. Substantially,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receptacle shell 111 including the guide groove portion 113 is formed to be matched with the longitudinal cross-section of the plug shell 211 including the guide protrusion 213 .

상기 안내 홈부(113)는, 제1 및 제2연장 홈부(113A)(113B)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연장 홈부(113A)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상면 양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장 홈부(113B)는, 상기 제1연장 홈부(113A)의 상단에서 상기 제1연장 홈부(113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 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된다.The guide groove portion 113 includes first and second extension groove portions 113A and 113B, respectively. The first extended groove portion 113A extends from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111 toward both sides of the receptacle shell 111 to be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ddition, the second extended groove portion 113B has a relatively small angle compared to the first extended groove portion 113A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extended groove portion 113A, for examp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eceptacle shell 111 . extended toward both sides of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은, 상기 결합 공간(101S)의 후단을 통하여 상기 결합 공간(101S)의 내부에 삽입된다. 예를 들면,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은, 절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에는 결합 돌부(121)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 돌부(121)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전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이 상기 결합 공간(101S)에 결합되면 상기 결합 공간(101S)의 전단을 향하여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양측면에 삽입 개구(123)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 개구(123)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이 상기 리셉터클 쉘(111)이 접촉을 위하여 관통되는 곳이다. 실질적으로 상기 삽입 개구(123)는, 상기 결합 공간(101S)과 연통되도록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양측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receptacle housing 12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101S through the rear end of the coupling space 101S. For example, the receptacle housing 120 may be formed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receptacle housing 12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121 . The coupling protrusion 121 protrudes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receptacle housing 120 and extends toward the front end of the coupling space 101S when the receptacle housing 120 is coupled to the coupling space 101S. In this embodiment, insertion openings 123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ceptacle housing 120 . The insertion opening 123 is where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is penetrated for contact with the receptacle shell 111 . Substantially, the insertion opening 123 may be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receptacle housing 120 to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space 101S.

그리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및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신호의 전송을 위한 것으로, 리셉터클 신호 터미널로 호칭될 수 있고, 상기 제2리셉터클 커넥터(101)는, 접지를 위한 것으로, 리셉터클 접지 터미널로 호칭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0 and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receptacle housing 120 .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0 is position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 and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is position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0 i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may be referred to as a receptacle signal terminal, and the second receptacle connector 101 is for grounding and may be referred to as a receptacle ground terminal.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에 결합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0 includes the coupling protrusions ( 121)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Substantially, it can be said that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so as to be disposed on a virtual plane.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제1리셉터클 터미널 컨택트부(133) 및 제1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35)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컨택트부(133)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일단에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컨택트부(133)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일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컨택트부(133)는,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후술할 제1플러그 터미널(230)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35)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타단에서 대략 직각으로 2회 밴딩되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35)의 선단 일부는,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외부에서 인쇄회로기판(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0 includes a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131 , a first receptacle terminal contact portion 133 , and a first receptacle terminal lead portion 135 , respectively.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131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contact portion 133 extends from one end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131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contact portion 133 extends obliquely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one end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131 .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contact part 133 is in contact with a first plug terminal 230 to be described later in a state where it is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 In addition,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lead part 135 may be bent twice at a right angle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art 131 so as to be positioned outside the receptacle housing 120 . And a tip portion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lead part 13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outside the receptacle housing 120 .

그리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한 다른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And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 Accordingly, it can be said that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so as to be disposed on another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on which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0 is disposed. .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리셉터클 쉘(111) 및 후술할 제2플러그 터미널(240)과 접촉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에 의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상기 리셉터클 쉘(111)에 접지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 및 다수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를 포함한다. In this embodiment, while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i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ceptacle shell 111 and a second plug terminal 240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ly, the plug connector 201 can be substantially grounded to the receptacle shell 111 by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 To this end,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includes on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141 and a plurality of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 portions 145 .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는, 예를 들면, 기설정된 면적을 가지는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 및 제2플러그 터미널(240)과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에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과 접촉되는 쉘 접촉 리브(142)가 구비된다. 상기 쉘 접촉 리브(142)는, 예를 들면,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 개구(123)를 관통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11)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에는, 제2플러그 터미널(240)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 개구(143)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 개구(143)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에 결합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141 is, for exampl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141 is in contact with the receptacle shell 111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240 . In addition,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141 is provided with a shell contact rib 142 in contact with the receptacle shell 111 . The shell contact ribs 142, for example,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141 and penetrate the insertion opening 123 to contact the receptacle shell 111 .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ating openings 143 in which the second plug terminals 240 are seated are formed in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141 . The seating opening 143 is formed by cutting a part of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141 , and extend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direction in which the plug connector 201 is coupl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101 . They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left and right by a set interval.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외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의 외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 part 145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part 141 and is located outside the receptacle housing 120 . In addition,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 part 145 positioned outside the receptacle housing 1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한다. 다시 말하면, 2개의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과 1개의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가 1개의 군을 형성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의 개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의 개수의 1/2로 결정될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 portion 145 defines one group with the two first receptacle terminals 130 adjacent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two first receptacle terminals 130 and one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 145 form one group. Accordingly, the number of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 parts 145 is substantially determined to be 1/2 of the number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s 130 .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이,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가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과 도체, 즉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상면 사이 또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사이의 최단 거리가 일정하도록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의 전기적 특성에 편차가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0,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141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in the inside of the projection (projection, 射影) are placed This is achieved by maintaining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0 and the conductor,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111 or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to be constant, so that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0 is This i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deviations i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사이의 간격이 최적화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결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를 참조하면,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중심 사이의 거리(A1)가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가 0.30mm 내지 0.36mm, 바람직하게는 0.33mm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And, in this embodiment,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s 130 tha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define one group is determined to exhibit optimized electrical characteristics. More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s 130 tha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define one group may have a distance A1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131 . are spaced apart by 0.6 mm, and the distance A2 between adjacent side ends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131 is 0.30 mm to 0.36 mm, preferably 0.33 mm.

한편,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 쉘(210)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의 외관을 정의한다. 상기 플러그 쉘(210)은, 금속 재질로 성형되고, 전체적으로 전후단이 개방되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Meanwhile, referring to FIGS. 6 to 8 , the plug shell 210 defines an external appearance of the plug connector 201 . The plug shell 21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has a polyhedral shape with front and rear ends open as a whole.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안내 돌부(213)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의 상면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안내 돌부(213)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상기 결합 공간(101S)에 삽입되면, 상기 안내 홈부(113)에 삽입되어 이를 따라서 이동한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protrusion 213 protrudes up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111 . Substantially, when the plug connector 20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101S, the guide protrusion 213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113 and moves along it.

상기 안내 돌부(213)는, 제1 및 제2연장 돌부(213A)(213B)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연장 돌부(213A)는, 상기 플러그 쉘(211)의 상면 양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상기 플러그 쉘(211)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연장 돌부(213A)는, 상기 제1연장 홈부(113A)와 동일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연장 돌부(213B)는, 상기 제1연장 돌부(213A)의 상단에서 상기 제1연장 돌부(213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 즉 상기 제2연장 홈부(113B)와 동일하게, 예를 들면, 수평 방향으로 상기 플러그 쉘(211)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안내 돌부(213)는, 상기 안내 홈부(113)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The guide protrusion 213 includes first and second extension protrusions 213A and 213B, respectively. The first extension protrusions 213A extend from both ends of the top surface of the plug shell 211 toward both sides of the plug shell 211 to be inclined up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Substantially, the first extension protrusion 213A may extend upwardly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at of the first extension groove portion 113A. And the second extension protrusion 213B has a relatively small angle compared to the first extension protrusion 213A at the upp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protrusion 213A, that is, the second extension groove portion 113B. For example, it extends toward both sides of the plug shell 21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the guide protrusion 213 is formed in a shape to fit into the guide groove 113 .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은, 절연성의 합성수지 재질로 성형되고, 그 선단이 상기 결합 공간(101S)의 내부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에는 결합 요홈(22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 요홈(221)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의 전면 일부가 후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 요홈(221)에는 상기 결합 돌부(121)가 삽입된다. The plug housing 220 is molded of an insulating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tip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101S. In addition, a coupling groove 221 is formed in the plug housing 220 . The coupling recess 221 is formed by recessing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plug housing 220 to the rear, and the coupling protrusion 12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recess 221 .

그리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 및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신호의 전송을 위한 것으로, 플러그 신호 터미널로 호칭될 수 있고, 상기 제2플러그 커넥터(201)는, 접지를 위한 것으로, 플러그 접지 터미널로 호칭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lug terminal 230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240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plug housing 220 . The first plug terminal 230 is locat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21 ,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240 is locat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21 . The first plug terminal 230 is for signal transmission and may be referred to as a plug signal terminal, and the second plug connector 201 is for grounding and may be referred to as a plug ground terminal.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에 결합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기설정된 간격만큼 좌우로 서로 이격되게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가상의 평면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first plug terminal 230 has the coupling groove ( 221) is locat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Substantially, it can be said that the first plug terminal 230 is position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recess 221 so as to be disposed on a virtual plane.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 제1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33)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35)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33)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일단에서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33)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일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33)는,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35)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타단에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35)의 선단 일부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의 외부에서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first plug terminal 230 includes a first plug terminal body portion 231 , a first plug terminal contact portion 233 , and a first plug terminal lead portion 235 , respectively.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231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addition, the first plug terminal contact part 233 extends from one end of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part 231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plug terminal contact portion 233 extends from one end of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portion 231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he first plug terminal contact part 233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0 in a state where it is locat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recess 221 . In addition, the first plug terminal lead part 235 may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part 231 so as to be located outside the plug housing 220 . In addition, a tip portion of the first plug terminal lead part 23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10 from the outside of the plug housing 220 .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이 배치되는 가상의 평면과 평행한 다른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면 내면에 위치된다고도 할 수 있다.The second plug terminal 240 is locat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21 . Therefore, the second plug terminal 240 is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21 so as to be located on another virtual plane parallel to the virtual plane on which the first plug terminal 230 is disposed. can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이,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를 포함한다.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는, 예를 들면, 기설정된 면적을 장방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는,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는,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 하우징(220)의 외부에 위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즉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와 접촉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는,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lug terminal 240 includes a second plug terminal body portion 241 , a second plug terminal contact portion 243 , and a second plug terminal lead portion 245 . The second plug terminal body part 241 is, for exampl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recess 221 . In addition, the second plug terminal contact part 243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cond plug terminal body part 241 and is position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recess 221 . The second plug terminal lead part 245 extends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lug terminal body part 241 and is located outside the plug housing 220 . Substantially, the second plug terminal contact portion 243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that is,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141,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lead portion 245 includes: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10 .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가,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한다. 다시 말하면, 2개의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과 1개의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가 1개의 군을 형성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의 개수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의 개수의 1/2로 결정될 것이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lug terminal contact part 243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lead part 245 define one group with the two first plug terminals 230 adjacent to each other. do. In other words, the two first plug terminals 230 and one second plug terminal contact part 243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lead part 245 form one group. Accordingly, the number of the second plug terminal contact parts 243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lead parts 245 is substantially determined to be 1/2 of the number of the first plug terminals 230 .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 사이의 간격이 최적화된 전기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도록 결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을 참조하면,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중심 사이의 거리(B1)가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B2)가 0.30mm 내지 0.36mm, 바람직하게는 0.33mm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plug terminals 230 that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define one group is determined to exhibit an optimized electrical characteristic. In more detail, referring to FIG. 8 , the first plug terminals 23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defining one group may have a distance B1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231 . are spaced apart by 0.6 mm, and the distance B2 between adjacent side ends of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231 is 0.30 mm to 0.36 mm, preferably 0.33 mm.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이,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가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는 상술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및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의 위치관계와 동일한 이유때문이다.And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plug terminal 230, the second plug terminal body portion 241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21 inside the projection (projection, 射影) is placed on This is because of the same reason a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0 and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141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임피던스(Impedance)를 보인 그래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삽입 손실(Insertion losses)을 보인 그래프이며, 도 1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원단 누화(Far End Crosstalk)를 보인 그래프이고, 도 12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종래 기술에서의 근단 누화(Near End Crosstalk)를 보인 그래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에서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오삽입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9 is a graph showing the impedanc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and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insertion losse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11 is a graph showing the far end crosstalk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and FIG. 12 is the near end crosstalk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ior art. 13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is incorrectly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in the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선들은 (+)와 (-) 신호의 전송에 사용되는 한쌍의 터미널에서의 임피던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중 실선은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및 제2플러그 터미널(240)이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종래 기술의 경우이고, 점선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중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중심 사이의 거리(A1)(B1)가 각각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B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경우이며, 1점쇄선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B2)가 0.40mm만큼 이격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도 9를 참조하면, 점선과 1점쇄선으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 특히 점선으로 표시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B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경우가, 일반적으로 HDMI 단자에서 요구되는 100Ω±15%, 즉, 85~115Ω의 임피던스를 만족할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임피던스의 편차가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The lines shown in FIG. 9 represent impedances at a pair of terminals used for transmission of (+) and (-) signals, among which the solid line is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240 .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formed in a pin shape, the dotted line is the distance A1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131 and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231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B1) is spaced apart by 0.6 mm, respectively, and the distances A2 and B2 between adjacent side ends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131 and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231 are spaced apart by 0.33 mm. , and the dashed-dotted line indicates a case in which the distances A2 and B2 between the adjacent side ends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131 and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231 are spaced apart by 0.40 mm. Therefore, referring to FIG. 9 ,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d by a dotted line and a dashed-dotted line, in particular,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131 and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231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When the distance (A2) (B2) between adjacent side ends is separated by 0.33mm, it not only satisfies the impedance of 100Ω±15%, that is, 85~115Ω, which is generally required for the HDMI terminal, but also relatively deviation of the impedance. It can be seen that is reduced.

또한 도 10에 도시된 선들은, 주파수별 삽입 손실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중 실선은 종래 기술의 경우이고, 점선과 일점 쇄선은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중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B2)가 0.33mm 또는 0.40mm만큼 이격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삽입 손실이 현저하게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B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삽입 손실의 감소가 현저함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es shown in FIG. 10 represent the insertion loss for each frequency, among which the solid line is the case of the prior art, and the dotted line and the dashed-dotted line are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art 131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and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231 is a case in which the distances A2 and B2 are spaced apart by 0.33 mm or 0.40 mm between the adjacent side ends. Therefore, referring to FIG. 9 , it can be seen that the insertion los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arkably reduced compared to that of the prior art. In particular,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131 and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231 are ), it can be seen that the insertion loss is relatively reduced when the distances A2 and B2 are spaced apart by 0.33 mm.

한편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선들은, 각각 주파수별 원단 누화와 근단 누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중 청색 선은 종래 기술의 경우이고, 적색 선과 녹색 선은 각각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중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B2)가 0.33mm 또는 0.40mm만큼 이격되는 경우이다. 따라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원단 누하 및 근단 누하 수치가 상대적으로 낮음을 확인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및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B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경우에 원단 누하 및 근단 누하 수치가 현저하게 낮음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nes shown in FIGS. 11 and 12 represent far-end crosstalk and near-end crosstalk for each frequency, respectively. Among them, the blue line is the case of the prior art, and the red line and the green line are the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This is a case where the distances A2 and B2 between the adjacent side ends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131 and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231 are spaced apart by 0.33 mm or 0.40 mm. Therefore, referring to FIGS. 11 and 12 , it can be seen that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relatively low distal-end leakage and near-end leakage compared to the prior art, and in particular,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131 and the first When the distances A2 and B2 between the adjacent side ends of the plug terminal body 231 are spaced apart by 0.33 mm, it can be seen that the distal end leak and the near end leak are remarkably low.

특히, 본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1개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가 형성하는 사영의 내부에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또는 제1플러그 터미널(230)이 위치됨으로써,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240)의 형상, 크기 및 위치와 무관하게, 즉, 각 군을 형성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또는 제1플러그 터미널(230)의 전기적 특성의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0 is formed in the projection formed by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141 or the second plug terminal body 241 substantially formed in a single plate shape. Alternatively, since the first plug terminal 230 is positioned,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forming each group is irrespective of the shape, size and location of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or the second plug terminal 240 , that is, each group. It is possible to reduce variations in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130 or the first plug terminal 230 .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에 의하여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이 상기 리셉터클 쉘(111)에 접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를 접지할 수 있게 된다.Also, in this embodiment, the second plug terminal 240 can be grounded to the receptacle shell 111 by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g connector 201 can be more efficiently grounded.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1개의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240)이 인서트 사출 또는 압입에 의하여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 또는 플러그 하우징(220)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또는 제2플러그 터미널(240)의 고정을 위한 공정이 보다 간소해질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substantially on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or second plug terminal 240 is fixed to the receptacle housing 120 or the plug housing 220 by insert injection or press-fitting. .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process for fixing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or the second plug terminal 240 can be simplified.

그리고 도 13을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201)가 삽입 방향에 평행한 가상의 축(A2)에 대하여 기설정된 각도로 경사지는 방향(B2)으로 리셉터클 커넥터(101)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즉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에 오삽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에 구비되는 안내 돌부(213)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의 일측에 접촉되거나,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에 형성되는 안내 홈부(113)가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의 일측에 접촉됨으로써, 특히,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의 모서리에 해당하는 일부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의 결합 공간(101S)에 삽입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에 오삽입되고, 이에 의하여 리셉터클 터미널(140)이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And referring to FIG. 13 , when the plug connector 201 moves toward the receptacle connector 101 in a direction B2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axis A2 parallel to the insertion direction, that is, the A case in which the plug connector 201 is incorrectly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101 may occur. 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is case, the guide protrusion 213 provided in the plug connector 201 contacts one side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01 or the guide groove 113 formed in the receptacle connector 101 . )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plug connector 201 , in particular, a phenomenon in which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rner of the plug connector 201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pace 101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01 is prevent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lug connector 201 from being incorrectly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connector 101, thereby preventing the receptacle terminal 140 from being damag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 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10의 도면 부호를 원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assembly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mo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referenced by reference numerals in FIGS. 1 to 10,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2)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02), 실질적으로 리셉터클 쉘(112)의 상면 및 하면 양단에 각각 안내 홈부(114)가 형성되고, 플러그 커넥터(202), 실질적으로 플러그 쉘(212)의 상면 및 하면 양단에 각각 안내 돌부(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 홈부(114) 및 안내 돌부(214)는, 각각 제1 및 제2연장 홈부(114A)(114B)와 제1 및 제2연장 돌부(214A)(214B)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ferring to FIG. 14 , in the connector assembly 2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guide grooves 114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receptacle connector 102, substantially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ceptacle shell 112, respectively, and the plug connector ( 202), substantially guide protrusions 214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lug shell 212, respectively. And the guide groove part 114 and the guide protrusion part 214 include first and second extension groove parts 114A and 114B and first and second extension projections 214A and 214B, respectively. Therefore, even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same actions and effects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pecte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t is defined by the claim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dapt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that it can be done.

101: 리셉터클 커넥터 111: 리셉터클 쉘
113: 안내 홈부 120: 리셉터클 하우징
121: 결합 돌부 123: 삽입 개구
130: 제1리셉터클 터미널 140: 제2리셉터클 터미널
201: 플러그 커넥터 211: 플러그 쉘
213: 안내 돌부 220: 플러그 하우징
230: 제1플러그 터미널 240: 제2플러그 터미널
101: receptacle connector 111: receptacle shell
113: guide groove 120: receptacle housing
121: engagement protrusion 123: insertion opening
130: first receptacle terminal 140: second receptacle terminal
201: plug connector 211: plug shell
213: guide projection 220: plug housing
230: first plug terminal 240: second plug terminal

Claims (19)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있어서:
그 상면 및 하면이 평행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전단을 통하여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202)가 결합되는 결합 공간(101S)(102S)을 정의하는 리셉터클 쉘(111)(112);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의 상하면 및 양측면 내측으로부터 각각 이격되도록 상기 결합 공간(101S)(102S)의 내부에 위치되는 결합 돌부(121)가 구비되는 리셉터클 하우징(120);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 및 하면 중 어느 일면에 위치되고, 신호의 전송을 위한 다수개의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 및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 및 하면 중 나머지 일면에 위치되고, 접지를 위한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 을 포함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리셉터클 터미널 컨택트부(133); 및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1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35);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은,
상기 결합 돌부(121)의 상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 및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 를 포함하며,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중심 사이의 거리(A1)가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가 0.30mm 내지 0.36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되되,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 및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는,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A receptacle connector into which a plug connector is inserted and mated, comprising:
Receptacle shells 111 and 112 having upper and lower surfaces formed in a parallel polyhedral shape to define coupling spaces 101S and 102S to which the plug connectors 201 and 202 are coupled through their front ends;
Combination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receptacle shells 111 and 112 and positioned inside the coupling spaces 101S and 102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nd both sides of the receptacle shells 111 and 112, respectively. 121) provided with a receptacle housing 120;
a plurality of first receptacle terminals 130 positioned on any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and for transmitting signals; and
on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positioned on the other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for grounding; including,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0 is
a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131;
a first receptacle terminal contact portion 133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131; and
a first receptacle terminal lead part 135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part 131; including,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is
on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141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and
a plurality of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 portions 145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141; includes,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 part 145 defines two adjacent first receptacle terminals 130 and one group,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s 13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defining one group are spaced apart by a distance A1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131 by 0.6 mm, and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s 130 The distance A2 between the adjacent side ends of the terminal body 131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0.30 mm to 0.36 mm,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part 141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s of the receptacle shells 111 and 112 and the plug connector,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 portion 145 is a receptacle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A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s 13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defining one group are receptacles disposed so that a distance A2 between adjacent side ends of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body 131 is spaced apart by 0.33 mm.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리드부(145)는,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141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plug connector,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lead part 145 is a receptacle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rinted circuit boar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에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과 접촉되는 쉘 접촉 리브(142)가 구비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A receptacle connector provided with a shell contact rib 142 in contact with the receptacle shell 111 and 112 in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141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쉘 접촉 리브(142)는,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에서 연장되어 상기 리셉터클 하우징(120)을 관통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에 접촉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hell contact rib (142) extends from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portion (141), penetrates the receptacle housing (120), and is in contact with the receptacle shell (111, 1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에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터미널이 안착되는 다수개의 안착 개구(143)가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A receptacle connector in which a plurality of seating openings 143 in which terminals of the plug connector are seated are formed in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141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리셉터클 터미널(130)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 바디부(141)가 상기 결합 돌부(121)의 하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receptacle terminal 130 is a receptacle connector disposed inside a project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121 by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body 141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에는, 그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 공간(101S)(102S)과 연통되는 한쌍의 안내 홈부(113)(114)가 형성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The method of claim 1,
A pair of guide grooves 113 and 114 are formed in the receptacle shells 111 and 112, which protrude upward from both ends of at least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ceptacle shells 111 and 112 and communicate with the coupling spaces 101S and 102S. receptacle connector.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홈부(113)(114)는,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의 상면 또는 하면의 양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연장 홈부(113A)(114A); 및
상기 제1연장 홈부(113A)(114A)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상기 제1연장 홈부(113A)(114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연장 홈부(113B)(114B); 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guide grooves 113 and 114 are,
First extended groove portions (113A) (114A) extending toward both sides of the receptacle shell (111, 112) inclined upward or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or the lower surface of the receptacle shell (111) (112)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first extension extending toward both sides of the receptacle shells 111 and 112 at a relatively small angle from the upper end or lower end of the first extension groove portions 113A and 114A compared to the first extension groove portions 113A and 114A. 2 extended grooves 113B and 114B; A receptacle connector comprising a.
제 1 항 내지 제 3항, 제 5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리셉터클 커넥터(101)(102);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101)(102)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플러그 커넥터(201)(202); 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1. A receptacle connector (101) (102)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5 to 10; and
a plug connector (201) (202)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receptacle connector (101) (102);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201)(202)는,
그 상면 및 하면이 평행한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러그 쉘(211)(212);
상기 플러그 쉘(211)(212)의 내부에 삽입되고, 결합 요홈(221)이 형성되는 플러그 하우징(220);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 및 하부 내면 중 어느 일면에 위치되고, 신호의 전송을 위한 다수개의 제1플러그 터미널(230); 및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 및 하부 내면 중 나머지 일면에 위치되고, 접지를 위한 1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240); 을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lug connectors 201 and 202 are
Plug shells 211 and 212 whose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formed in a parallel polyhedral shape;
The plug housing 220 is inserted into the plug shell 211, 212, the coupling groove 221 is formed;
a plurality of first plug terminals 230 located on either one of the upper inner surface an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21, and for transmitting a signal; and
one second plug terminal 240 for grounding, which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inner surface an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21;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33); 및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1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35); 를 포함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되는 1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결합 요홈(221)의 상부 내면에 위치되는 다수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다수개의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 를 포함하며,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 및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과 1개의 군(群)을 정의하고,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중심 사이의 거리(B1)가 0.6mm 만큼 이격되고,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B2)가 0.30mm 내지 0.36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first plug terminal 230,
a first plug terminal body portion 231;
a first plug terminal contact portion 233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portion 231; and
a first plug terminal lead part 235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part 231; including,
The second plug terminal 240,
One second plug terminal body portion 241 position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21);
a plurality of second plug terminal contact portions 243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econd plug terminal body portion 241 and position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groove 221; and
a plurality of second plug terminal lead portions 245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plug terminal body portion 241; includes,
The second plug terminal contact portion 243 and the second plug terminal lead portion 245 define two adjacent first plug terminals 230 and one group,
The first plug terminals 23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define one group are spaced apart by a distance B1 between the centers of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231 by 0.6 mm, and the first plug A connector assembly disposed so that a distance B2 between adjacent side ends of the terminal body portion 231 is spaced apart by 0.30 mm to 0.36 mm.
제 13 항에 있어서,
서로 인접되게 배치되어 1개의 군을 정의하는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31)의 인접하는 측단 사이의 거리(B2)가 0.33mm만큼 이격되는 배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plug terminals 23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o define one group, the distance B2 between adjacent side ends of the first plug terminal body 231 is a connector disposed to be spaced apart by 0.33 mm assembly.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컨택트부(243)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리드부(245)는, 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econd plug terminal contact part 243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receptacle connector,
The second plug terminal lead part 245 is a connector assem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ard 10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플러그 터미널(230)은,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 바디부(241)가 상기 결합 요홈(221)의 하부 내면에 형성하는 사영(projection, 射影)의 내부에 배치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first plug terminal 230 is a connector assembly disposed inside a projection formed on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recess 221 by the second plug terminal body 241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쉘(211)(212)에는, 그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어느 일면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안내 돌부(213)(214)가 형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3. The method of claim 12,
A connector assembly in which a pair of guide protrusions 213 and 214 protruding upward from both ends of at least one of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reof are formed in the plug shells 211 and 212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부(213)(214)는,
상기 플러그 쉘(211)(212)의 상면 또는 하면의 양단에서 기설정된 각도로 상향 또는 하향 경사지게 상기 플러그 쉘(211)(212)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연장 돌부(213A)(214A); 및
상기 제1연장 돌부(213A)(214A)의 상단 또는 하단에서 상기 제1연장 돌부(213A)(214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상기 플러그 쉘(211)(212)의 양측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연장 돌부(213B)(214B); 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guide protrusions 213 and 214 are,
first extension protrusions 213A and 214A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upper or lower surfaces of the plug shells 211 and 212 toward both sides of the plug shells 211 and 212 to be inclined upward or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first extension protrusions 213A and 214A extend toward both sides of the plug shells 211 and 212 at a relatively small angle compared to the first extension protrusions 213A and 214A at the upper ends or lower ends of the first extension protrusions 213A and 214A. double protrusion (213B) (214B); A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a.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러그 터미널(240)은, 상기 제2리셉터클 터미널(140)에 의하여 상기 리셉터클 쉘(111)(112)에 접지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second plug terminal (240) is a connector assembly that is grounded to the receptacle shell (111, 112) by the second receptacle terminal (140).
KR1020150145624A 2015-10-19 2015-10-19 Receptacle connecter and connect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1023661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624A KR102366159B1 (en) 2015-10-19 2015-10-19 Receptacle connecter and connect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5624A KR102366159B1 (en) 2015-10-19 2015-10-19 Receptacle connecter and connect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664A KR20170045664A (en) 2017-04-27
KR102366159B1 true KR102366159B1 (en) 2022-02-22

Family

ID=58702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5624A KR102366159B1 (en) 2015-10-19 2015-10-19 Receptacle connecter and connect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615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9460A1 (en) * 2010-04-12 2013-03-07 Fci Miniature Receptacle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0614A (en) 2011-03-09 2012-10-04 Yazaki Corp Receptacle connector and plug connector being fit thereto
KR20130022229A (en) * 2011-08-25 2013-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KR20150030414A (en) * 2013-09-12 2015-03-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Receptacle connec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9460A1 (en) * 2010-04-12 2013-03-07 Fci Miniature Receptacle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664A (en)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901E1 (en) Electrical receptacle for transmitting high speed signal
US10069262B2 (en) Receptacle connector having insert molded lead-frame wafers each with upper contacts transversely offset from lower contacts
US9583900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896123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mating member having anti-mismating portion for preventing incorrect insertion
US9912111B2 (en) Flippable electrical connector
US9720181B2 (en) Hybrid connector for both electrical and optical transmission
US9431746B2 (en) USB connector assembly
US964739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ground terminals
US8858237B2 (en) Receptacle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 modules
US9437981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grounding structure
US11276949B2 (en) Shielded connector assembly
US738754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terminal
US8961195B2 (en) Socket with several mating ports
US10804630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s
US20180076555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8821195B2 (en) Connector
US9362681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ing plate secured therein
TWI654803B (en) High speed connector and its transmission module
CN112072403B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366174B1 (en) Plug connecter and connect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102366159B1 (en) Receptacle connecter and connect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20190044498A (en) Shield connector and shield connector system
CN211789680U (en) Socket connector
KR20150030414A (en) Receptacle connecter
KR20170045671A (en) Receptacle connecter, plug connecter and connecte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