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749B1 - LTE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의 재밍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LTE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의 재밍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749B1
KR102365749B1 KR1020170112709A KR20170112709A KR102365749B1 KR 102365749 B1 KR102365749 B1 KR 102365749B1 KR 1020170112709 A KR1020170112709 A KR 1020170112709A KR 20170112709 A KR20170112709 A KR 20170112709A KR 102365749 B1 KR102365749 B1 KR 102365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jamming
drone
lte
center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2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6230A (ko
Inventor
박재철
박승근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112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749B1/ko
Publication of KR20190026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6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40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 H04K3/42Jamming having variable characteristics characterized by the control of the jamming frequency or wave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220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2203/10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 H04K2203/18Jamming or countermeasure used for a particular application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or WL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LTE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의 재밍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LTE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은 LTE(Long Term Evolution) 신호의 대역 별로 동기 신호 및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신호가 포함된 대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동기 신호 및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에 대응되도록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를 설정하는 단계; 기저 대역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따라 상기 기저 대역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LTE 신호의 대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LTE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의 재밍 방법 및 장치{JAMM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LTE AND WI-FI COMMUNICATION-BASED DRONES}
본 발명은 LTE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을 방해하는 재밍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드론(Drone)은 무인 항공기 (UAV, Unmanned Aerial Vehicle) 시스템으로 초창기에는 군사적 목적으로 시작되었으나, 최근에는 방송촬영, 배송, 레저 등의 다양한 산업에 활용되고 있다. 드론은 프로그램화된 주행 또는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외부로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주행한다.
드론 제어기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통해 드론 제어 신호를 드론에게 전송함으로써, 드론을 제어할 수 있다.
Wi-Fi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드론은 통신 시스템의 사용에 비용이 사용되지 않으나, 제어를 할 수 있는 거리는 짧고, QoS (Quality of Service)가 보장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LTE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드론은 드론과 제어기가 모두 LTE망에 연결되어 있다면, 거리에 상관 없이 드론을 제어할 수 있고 QoS가 보장된다. 그러나, LTE 통신을 사용하기 위한 운용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드론이 많이 도입됨에 따라 드론을 불법적으로 이용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불법 드론을 처치하기 위해 전파 방해와 교란, 그물, 레이저, 독수리 등의 방법이 제안 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드론을 제어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을 단절 시키는 방해 전파인 재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재밍 장치가 개발되었다.
재밍 장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하여 드론 제어 신호를 간섭함으로써, 드론과 제어기 간의 무선통신을 단절 시킬 수 있다. 종래의 재밍 장치는 드론과 드론 제어기 간의 무선 통신을 단절하기 위하여 LTE 신호 또는 Wi-Fi 신호와 동일한 대역에서 간섭신호를 발생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Wi-Fi 통신 시스템 및 LTE 통신 시스템은 할당된 대역 폭이 넓으므로, LTE 신호 또는 Wi-Fi 신호의 모든 대역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생성할 경우, 광대역을 지원하는 송신 필터, 송신 HPA (High Power Amplifier) 등이 개발 되어야 하므로 재밍 장치의 설계 복잡도와 설계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재밍 신호의 대역폭을 감소시켜 재밍 장치의 설계 복잡도 및 설계 비용을 낮추는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LTE 통신 시스템 또는 Wi-Fi 통신 시스템을 재밍하기 위한 재밍 신호의 대역폭을 감소시킴으로써, 재밍 신호 발생 장치의 설계 복잡도 및 설계 비용을 감소시키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TE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은 LTE(Long Term Evolution) 신호의 대역 별로 동기 신호 및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신호가 포함된 대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동기 신호 및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에 대응되도록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를 설정하는 단계; 기저 대역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따라 상기 기저 대역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LTE 신호의 대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TE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의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상기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 변환하여 재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TE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의 기저 대역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동기 신호 및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의 대역 폭에 따라 상기 기저 대역의 대역 폭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TE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의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재밍 신호를 HPA (High Power Amplifier)와 BPF (Band-Pass Filter)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재밍 신호를 송신 안테나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Fi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은 Wi-Fi (Wireless Fidelity) 신호에서 파일롯 신호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파일롯 신호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에 대응되도록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 기저 대역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따라 상기 기저 대역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Wi-Fi 신호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Fi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의 부반송파를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Wi-Fi 신호의 대역폭에 따라 상기 Wi-Fi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파일롯 신호의 개수 및 상기 파일롯 신호가 포함된 부반송파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Fi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의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상기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재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Fi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의 기저 대역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파일롯 신호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의 위치에 CW 성분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Fi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의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재밍 신호를 HPA와 BPF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재밍 신호를 송신 안테나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TE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장치는 LTE 신호의 대역 별로 동기 신호 및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을 식별하고, 상기 동기 신호 및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에 대응되도록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설정하는 중앙 제어 모듈; 기저 대역 신호를 발생시키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모듈; 및 상기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따라 상기 기저 대역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LTE 신호의 대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RF(radio frequency)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TE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장치의 RF 모듈은, 상기 기저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상기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 변환하여 재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TE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장치의 DSP 모듈은, 상기 동기 신호 및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의 대역 폭에 따라 상기 기저 대역의 대역 폭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TE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장치의 RF 모듈은, 상기 재밍 신호를 HPA와 BPF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재밍 신호를 송신 안테나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Fi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장치는 Wi-Fi 신호에서 파일롯 신호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를 식별하고, 상기 파일롯 신호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에 대응되도록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설정하는 중앙 제어 모듈; 기저 대역 신호를 발생시키는 DSP 모듈; 및 상기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따라 상기 기저 대역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Wi-Fi 신호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RF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Fi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장치의 중앙 제어 모듈은, 상기 Wi-Fi 신호의 대역폭에 따라 상기 Wi-Fi 신호에 포함되는 상기 파일롯 신호의 개수 및 상기 파일롯 신호가 포함된 부반송파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Fi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장치의 RF 모듈은, 상기 기저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상기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재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Fi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장치의 DSP 모듈은, 상기 파일롯 신호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의 위치에 CW 성분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Wi-Fi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장치의 RF 모듈은, 상기 재밍 신호를 HPA와 BPF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재밍 신호를 송신 안테나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LTE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신호가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만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LTE 통신 시스템을 재밍하기 위한 재밍 신호의 대역폭을 감소시키고, 재밍 신호 발생 장치의 설계 복잡도 및 설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Wi-Fi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롯 신호가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만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Wi-Fi 통신 시스템을 재밍하기 위한 재밍 신호의 대역폭을 감소시키고, 재밍 신호 발생 장치의 설계 복잡도 및 설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LTE 통신 기반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LTE 신호의 대역폭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의 대역폭의 일례이다.
도 3은 국내에서 LTE로 할당된 주파수의 대역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의 대역폭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장치의 구조이다.
도 5는 Wi-Fi 통신 기반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Wi-Fi 신호의 대역폭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의 대역폭의 일례이다.
도 7은 국내에서 Wi-Fi 로 할당된 주파수의 대역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의 대역폭의 일례이다.
도 8은 5 GHz 비 면허대역에서 Wi-Fi 용도로 할당된 채널과 주파수의 일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장치의 구조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장치의 구조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방법은 드론 재밍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장치는 LTE 통신 기반 드론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을 재밍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장치 드론의 제어 신호가 전송되는 LTE 통신 시스템 또는 Wi-Fi 통신 시스템이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과 동일 대역에 간섭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드론이 제어 정보를 포함한 LTE 신호 또는 Wi-Fi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도 1은 LTE 통신 기반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LTE 통신 기반 드론 제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 제어기(110), LTE 기지국(120), LTE 기지국(130), 및 드론(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LTE 기지국(120)은 드론 제어기(110)로부터 수신한 드론 제어 신호(131)를 LTE망을 통하여 LTE 기지국(13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드론 제어 신호(131)는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또는 입력이 포함된 LTE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LTE 기지국(130)은 수신한 드론 제어 신호(131)를 드론(1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1은 드론 제어기(110)와 드론(140) 간의 거리가 LTE 기지국(120)의 셀보다 넓어서 LTE 기지국(120)이 드론(140)으로 드론 제어 신호(131)를 전송하지 못하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드론(140)의 위치가 LTE 기지국(120)의 셀 안에 있는 경우, LTE 기지국(120)은 드론 제어기(110)로부터 수신한 드론 제어 신호(131)를 드론(14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드론(140)은 드론 제어 신호(131)에 포함된 명령, 또는 입력에 따라 이동, 또는 정보 수집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140)의 위치 및 드론(140)에서 수집한 영상, 사진과 같은 정보는 드론(140)이 일정 시간 간격, 또는 실시간으로 LTE 기지국(120), 또는 LTE 기지국(130)을 통하여 드론 제어기(11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드론 제어기(110)는 드론 제어 신호(131)를 LTE 기지국(120)으로 전송하면서 LTE 기지국(120)이 드론 제어 신호(131)를 드론(140)으로 전송할지 아니면 LTE 기지국(130)으로 전송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드론 제어기(110)는 드론(140)으로부터 수신한 드론(140)의 위치에 따라 드론(140)에게 드론 제어 신호(131)를 전송할 수 있는 LTE 기지국(130)를 결정하고, LTE 기지국(120)에게 LTE 기지국(130)을 통하여 드론(140)에게 드론 제어 신호(131)를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LTE 통신 시스템에서 LTE 기지국이 전송한 LTE 신호를 드론 제어기(110)나 드론(140)과 같은 단말이 정상적으로 수신하기 위해서는 신호의 시작 지점을 알려주는 동기신호(Synchronization Signal)와 LTE 기지국의 셀 내의 모든 단말에게 시스템 정보를 제공하는 PBCH (Physical Broadcast Signal)를 수신해야 한다. 이때, PBCH으로 전송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는 단말에 대응하는 LTE 기지국의 공통정보를 가지고 있으므로 신호복조에 반드시 필요하다.
즉, 드론(140)이 동기신호 또는 PBCH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 드론(140)은 LTE 신호를 복조할 수 없으므로 드론(140)과 드론 제어기(110) 간의 무선통신은 마비될 수 있다.
드론 재밍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140)과 동일한 LTE 기지국(130)의 셀 안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 재밍 장치(100)는 재밍 신호(101)를 드론(140)으로 전송하여 LTE 기지국(130)이 드론(140)에게 전송하는 드론 제어 신호(131)와 간섭 현상을 발생시킴으로써, 드론(140)이 드론 제어 신호(131)를 정확하게 수신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때, 재밍 신호(101)는 드론 제어 신호(131)가 포함된 LTE 신호의 동기신호와 PBCH가 포함된 대역에 대응되는 대역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드론 제어 신호(131)와 재밍 신호(101)를 동시에 수신한 드론(140)은 드론 제어 신호(131)가 포함된 LTE 신호를 복조할 수 없으므로, 드론(140)과 드론 제어기(110) 간의 무선 통신은 단절될 수 있다. 이때, 일정 기간 동안 드론 제어 신호(131)에 포함된 명령, 또는 입력을 수신하지 못한 드론(140)은 에너지 부족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륙하거나, 이륙 장소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 2는 LTE 신호의 대역폭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의 대역폭의 일례이다.
드론 제어기(110)가 발신하는 드론 제어 신호가 포함된 LTE 신호(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4 MHz, 3 MHz, 5 MHz, 10 MHz, 15 MHz, 20 MHz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동기 신호와 PBCH 신호는 LTE 신호 대역폭에 상관없이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대역폭으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TE 신호(210)의 동기 신호와 PBCH 신호는 1.4 MHz, 3 MHz, 5 MHz, 10 MHz, 15 MHz, 20 MHz 중에서 항상 중앙의 1.08 MHz에 포함될 수 있다.
LTE 통신 기반 드론은 드론 제어 신호가 포함된 LTE 신호(210)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수신을 위해서 동기 신호를 이용한 동기화 과정 및 PBCH 신호에서 PBCH 획득 과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 재밍 장치(100)가 출력하는 드론 재밍 신호(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08 MHz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다.
즉, 드론 재밍 신호(220)는 LTE 신호(210)의 동기 신호와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을 재밍함으로써, LTE 통신 기반 드론이 동기화 과정 및 PBCH 획득 과정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방해하여 LTE 통신 기반 드론이 드론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론 재밍 장치(100)는 LTE 신호(210)의 대역폭보다 좁은 대역폭의 드론 재밍 신호(220)를 출력하여, LTE 신호(210)와 동일한 대역폭을 갖는 재밍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국내에서 LTE로 할당된 주파수의 대역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의 대역폭의 일례이다.
국내에서 LTE 용도로 할당된 주파수는 800 MHz, 900 MHz, 1.8 GHz, 2.1 GHz, 2.6 GHz 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전체 대역폭은 170 MHz 이다.
따라서, 드론 제어기(110)가 국내 이동통신사업자(SKT, KT, LGU+)가 제공하는 LTE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경우, 드론 제어기(110)가 발신하는 드론 제어 신호가 포함된 LTE 신호(3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13개의 대역 중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 재밍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3개의 대역들 각각에서 동기 신호와 PBCH 신호가 포함된 1.08 MHz 대역폭의 재밍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13개의 대역 모두에 대한 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드론 재밍 장치(100)가 출력하는 재밍 신호들의 전체 대역폭은 13개의 1.08 MHz 대역폭의 합이므로, 14.04 MHz일 수 있다. 즉, 드론 재밍 장치(100)는 LTE 신호(310)의 전체 대역폭과 비교하여 8.25%의 대역폭을 가지는 재밍 신호를 이용하여 LTE 신호(310)의 전체 대역폭에 대한 재밍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장치의 구조이다.
드론 재밍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 모듈(410), DSP 모듈(420), 및 RF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제어 모듈(410)은 재밍 신호의 대역별 중심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인 fc는 LTE 신호의 동기 신호와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의 중심 주파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내에서 LTE 용도로 할당된 800 MHz, 900 MHz, 1.8 GHz, 2.1 GHz, 2.6 GHz 대역들 각각에서 동기 신호와 PBCH 신호가 포함된 1.08 MHz 대역폭의 중심 주파수인 879 MHz, 889 MHz, 954.3 MHz, 1820 MHz, 1840 MHz, 1855 MHz, 2115 MHz, 2125 MHz, 2135 MHz, 2155 MHz, 2630 MHz, 2650 MHz, 2665 MHz가 재밍 신호의 대역별 중심주파수 정보로 중앙 제어 모듈(41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 모듈(410)은 LTE 신호의 대역 별로 동기 신호 및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을 식별하고, 동기 신호 및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에 대응되도록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인 fc를 설정할 수도 있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모듈(420)은 재밍 신호로 사용될 기저 대역(baseband)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LTE 신호의 동기 신호와 PBCH 신호는 LTE 신호의 대역들 각각에서 항상 중앙의 1.08 MHz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재밍 신호는 동기 신호와 PBCH 신호를 포함해야 하므로, 재밍 신호로 사용될 기저 대역 신호의 대역폭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LTE 신호의 동기 신호와 PBCH 신호가 포함되는 1.08 MHz일 수 있다.
RF(radio frequency) 모듈(430)은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따라 DSP 모듈(420)이 출력한 기저 대역 신호를 변환하여 LTE 신호의 대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F 모듈(430)은 기저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 인 fIF를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인 fc로 변환(Up-conversion)하여 재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RF 모듈(430)은 재밍 신호를 HPA (High Power Amplifier)와 BPF (Band-Pass Filter)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재밍 신호를 송신 안테나(4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HPA와 BPF는 대역 별로 분류하여 필터뱅크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설계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BPF L1은 800 MHz 대역, BPF L2은 900 MHz 대역, BPF L3은 1.8 GHz 대역, BPF L4는 2.1 GHz 대역, BPF L5는 2.6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필터일 수 있다.
또한, 표 1은 RF 모듈(430)에 포함된 HPA와 BPF의 동작 주파수와 대역폭의 일례이다.
Figure 112017085753189-pat00001
드론 재밍 장치(100)는 도 2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LTE 신호의 대역들 중에서 동기 신호와 PBCH 신호가 포함된 일부 대역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하고 있으므로, LTE 신호의 모든 대역에 대응하는 종래의 재밍 신호에 비하여 최소 17%에서 최대 89%까지 대역폭을 감소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드론 재밍 장치(100)의 HPA와 BPF에 대응하는 대역폭도 감소하므로, 드론 재밍 장치(100)의 HPA 및 BPF 설계가 단순해질 수 있다.
도 5는 Wi-Fi 통신 기반 드론 제어 시스템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Wi-Fi 통신 기반 드론 제어 시스템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 제어기(510), 및 드론(520)을 포함할 수 있다.
Wi-Fi 통신 시스템에서 AP(Access Point)와 STA (Station) 간의 전송된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AP 와 STA 간의 무선 채널 정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Wi-Fi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은 Wi-Fi 신호에 할당된 파일롯을 이용하여 AP와 STA 간의 무선 채널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Wi-Fi 신호에 할당된 파일롯의 위치 및 개수는 Wi-Fi 신호의 대역 폭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신호의 대역폭이 20 MHz 인 경우, 네 개의 파일롯이 Wi-Fi 신호의 -21, -7, 7, 21 번째 부반송파로 전송될 수 있다.
즉, Wi-Fi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이 AP와 STA 간의 무선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파일롯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하면, Wi-Fi 신호를 수신하는 단말이 AP와 STA 간의 무선 채널 정보를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AP와 STA 간의 무선 채널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단말은 데이터가 전송되는 채널을 추정하지 못하므로, 데이터를 검출하지 못할 수 있다.
드론 제어기(510)는 Wi-Fi 통신 시스템에서 AP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이며, 드론 제어 신호(511)를 드론(5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Wi-Fi 신호를 이용하여 전송하는 데이터는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또는 입력이고, 드론 제어 신호(511)는 데이터가 포함된 Wi-Fi 신호일 수 있다.
그리고, 드론(520)은 Wi-Fi 통신 시스템에서 STA 역할을 수행하는 단말이며, 드론 제어 신호(511)에 포함된 명령, 또는 입력에 따라 이동, 또는 정보 수집과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드론 재밍 장치(500)는 드론 제어기(510)와 드론(520)이 사용하는 Wi-Fi 신호에 포함된 파일롯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501)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론 제어기(510)와 드론(520)이 사용하는 Wi-Fi 신호의 대역폭이 20 MHz 인 경우, 네 개의 파일롯이 Wi-Fi 신호의 -21, -7, 7, 21 번째 부반송파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론 재밍 장치(500)는 Wi-Fi 신호의 -21, -7, 7, 21 번째 부반송파에 대응되는 재밍 신호(501)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드론 제어 신호(511)와 재밍 신호(501)를 동시에 수신한 드론(420)은 재밍 신호(501) 때문에 드론 제어 신호(511)에서 무선 채널 정보를 획득하지 못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 제어 신호(511)에서 무선 채널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 드론은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또는 입력이 전송되는 채널을 추정하지 못하므로,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또는 입력을 검출하지 못할 수 있다. 이때, 일정 기간 동안 드론 제어 신호(131)에 포함된 명령, 또는 입력을 수신하지 못한 드론(140)은 에너지 부족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륙하거나, 이륙 장소로 되돌아갈 수 있다.
도 6은 Wi-Fi 신호의 대역폭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의 대역폭의 일례이다.
Wi-Fi 신호에 할당된 파일롯의 위치 및 개수는 Wi-Fi 신호의 대역 폭에 따라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신호의 대역폭이 20 MHz 인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파일롯이 Wi-Fi 신호(610)의 -21, -7, 7, 21 번째 부반송파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드론 재밍 장치(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1, -7, 7, 21 번째 부반송파와 동일한 대역에 재밍 신호(620)를 생성하여 출력시킬 수 있다.
Wi-Fi 신호(610)의 -21, -7, 7, 21 번째 부반송파가 재밍 신호(620)에 의하여 재밍되는 경우, 드론은 Wi-Fi 신호(610)에서 무선 채널 정보를 획득하지 못하므로, Wi-Fi 신호(610)에서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또는 입력을 검출할 수 없다. 즉, 드론 재밍 장치(500)는 Wi-Fi 신호(610)의 전체 대역 중 일부인 -21, -7, 7, 21 번째 부반송파의 대역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620)를 이용하여 Wi-Fi 신호(610)의 전체 대역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와 동일한 재밍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즉, 드론 재밍 장치(500)는 Wi-Fi 신호(610)의 대역 폭에 따라 고정되는 파일롯의 위치 및 개수에 따라 재밍 신호(620)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Wi-Fi 신호(610)를 재밍하기 위한 재밍 신호의 대역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국내에서 Wi-Fi 로 할당된 주파수의 대역 및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재밍 신호의 대역폭의 일례이다.
2.4 GHz 비 면허 대역에서 Wi-Fi 신호의 대역폭(710)과 재밍 신호의 대역폭(7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이때, 드론 재밍 장치(500)는 Wi-Fi 신호의 신호 대역폭과 상관없이 네 개의 파일롯 위치에 해당하는 곳에 CW 형태로 재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신호의 부반송파 간격이 312.5 kHz 이므로, 드론 재밍 장치(500)는 수학식 1을 사용하여 재밍 신호의 CW 성분의 중심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7085753189-pat00002
이때, fc(i)는 재밍 신호의 중심주파수이며, 수학식 2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Figure 112017085753189-pat00003
이 때, i는 2.4 GHz Wi-Fi 채널 인덱스이며 1, 2,..., 13 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드론 재밍 장치(500)는 드론(520)과 드론 제어기(510)가 어떤 채널의 Wi-Fi 신호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지 알 수 없으므로, fc(i)를 채널 인덱스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며, 재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드론(520)과 드론 제어기(510)가 송수신하는 데이터는 드론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또는 입력, 드론이 수집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5 GHz 비 면허대역에서 Wi-Fi 용도로 할당된 채널과 주파수의 일례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5 GHz 비 면허 대역에서 Wi-Fi 통신용으로 채널과 주파수가 할당될 수 있다. 이때, Wi-Fi 통신용으로 할당된 채널의 중심주파수는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7085753189-pat00004
이때, j는 채널 인덱스이며, 36, 40, ..., 66, 100, 104, ..., 128, 149, 153, ..., 16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드론 재밍 장치(500)는 fc(i)를 5 GHz 대역의 Wi-Fi 채널의 중심주파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시키며, 재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드론 재밍 장치(500)는 수학식 1을 사용하여 네 개의 CW 신호의 중심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장치의 구조이다.
드론 재밍 장치(5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 모듈(910), DSP 모듈(920), 및 RF 모듈(930)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제어 모듈(910)은 Wi-Fi 채널의 중심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인 fc는 무선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파일롯이 위치한 부반송파의 대역의 중심 주파수일 수 있다.
또한, 중앙 제어 모듈(910)은 Wi-Fi 신호의 대역 별로 무선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파일롯이 위치한 부반송파의 대역을 식별하고, 파일롯이 위치한 부반송파의 대역에 대응되도록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인 fc를 설정할 수도 있다.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모듈(920)은 재밍 신호로 사용될 기저 대역(baseband)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기저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는 도 4와 동일한 fIF일 수 있다. 또한, 기저 대역 신호는 수학식 1에 따라 결정된 CW 성분의 중심 주파수를 4개 가질 수 있다.
RF(radio frequency) 모듈(930)은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따라 DSP 모듈(920)이 출력한 기저 대역 신호를 변환하여 Wi-Fi 신호의 대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F 모듈(930)은 기저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 인 fIF를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인 fc로 변환(Up-conversion)하여 재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RF 모듈(930)은 재밍 신호를 HPA (High Power Amplifier)와 BPF (Band-Pass Filter)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재밍 신호를 송신 안테나(9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HPA와 BPF는 대역 별로 분류하여 필터뱅크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설계 복잡도를 낮출 수 있다. 예를 들어, HPA와 BPF는 2.4 GHz와 5 GHz 대역 별로 분류될 수 있으며, BPF W1은 2.4 GHz 대역, BPF W2은 5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필터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장치의 구조이다.
도 10은 하나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LTE 통신 기반 드론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에 모두 대응할 수 있는 드론 재밍 장치(1000)의 일례이다.
드론 재밍 장치(10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제어기(1010), LTE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신호 발생기(1020)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신호 발생기(103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제어기(1010)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재밍하고자 하는 드론의 통신 방식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제어기(1010)는 사용자가 LTE 통신 기반 드론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LTE 통신 기반 드론을 선택한 경우, 중앙 제어기(1010)는 LTE 신호의 동기 신호와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포함된 재밍 신호의 대역별 중심주파수 정보를 LTE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신호 발생기(1020)로 전송할 수 있다.
LTE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신호 발생기(1020)는 도 4의 DSP 모듈(420), 및 RF 모듈(4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LTE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신호 발생기(1020)는 중앙 제어기(1010)로부터 수신한 재밍 신호의 대역별 중심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LTE 신호의 대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LTE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신호 발생기(1020)는 안테나(1025)를 통하여 LTE 신호의 대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Wi-Fi 통신 기반 드론을 선택한 경우, 중앙 제어기(1010)는 무선 채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파일롯이 위치한 부반송파의 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포함된 재밍 신호의 대역별 중심주파수 정보를 Wi-Fi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신호 발생기(1030)로 전송할 수 있다.
Wi-Fi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신호 발생기(1030)는 도 9의 DSP 모듈(920), 및 RF 모듈(9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Wi-Fi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신호 발생기(1030)는 중앙 제어기(1010)로부터 수신한 재밍 신호의 대역별 중심주파수 정보를 이용하여 Wi-Fi 신호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Wi-Fi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신호 발생기(1030)는 안테나(1035)를 통하여 Wi-Fi 신호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중앙 제어기(1010)는 LTE 신호의 동기 신호와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포함된 재밍 신호의 대역별 중심주파수 정보와 파일롯이 위치한 부반송파의 대역의 중심 주파수가 포함된 재밍 신호의 대역별 중심주파수 정보를 각각 LTE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신호 발생기(1020)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 재밍 신호 발생기(103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드론 재밍 장치(1000)는 안테나(1025)를 통하여 출력되는 LTE 신호의 대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와 안테나(1035)를 통하여 출력되는 Wi-Fi 신호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이용하여 LTE 통신 기반 드론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을 모두 재밍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1110)에서 드론 재밍 장치(100)의 중앙 제어 모듈(410)은 LTE(Long Term Evolution) 신호의 대역 별로 동기 신호 및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신호가 포함된 대역을 식별할 수 있다.
단계(1120)에서 중앙 제어 모듈(410)은 동기 신호 및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에 대응되도록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1130)에서 드론 재밍 장치(100)의 DSP 모듈(420)은 재밍 신호로 사용될 기저 대역(baseband)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DSP 모듈(420)은 동기 신호 및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의 대역 폭에 따라 기저 대역 신호의 대역 폭을 설정할 수 있다.
단계(1140)에서 드론 재밍 장치(100)의 RF 모듈(430)은 단계(1120)에서 설정된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따라 단계(1130)에서 발생한 기저 대역 신호를 변환하여 LTE 신호의 대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RF 모듈(430)은 기저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 변환하여 재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RF 모듈(430)은 생성한 상기 재밍 신호를 HPA (High Power Amplifier)와 BPF (Band-Pass Filter)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재밍 신호를 송신 안테나로 출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드론 재밍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단계(1210)에서 드론 재밍 장치(500)의 중앙 제어 모듈(910)은 Wi-Fi 신호에서 파일롯 신호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를 식별할 수 있다.
단계(1220)에서 중앙 제어 모듈(910)은 파일롯 신호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에 대응되도록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다.
단계(1230)에서 드론 재밍 장치(500)의 DSP 모듈(920)은 재밍 신호로 사용될 기저 대역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DSP 모듈(920)은 파일롯 신호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의 위치에 CW 성분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1240)에서 드론 재밍 장치(500)의 RF 모듈(930)은 단계(1220)에서 설정된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따라 단계(1230)에서 발생한 기저 대역 신호를 변환하여 Wi-Fi 신호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RF 모듈(930)은 기저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 변환하여 재밍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RF 모듈(930)은 생성한 상기 재밍 신호를 HPA와 BPF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재밍 신호를 송신 안테나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 전체 대역이 아닌 중요 정보가 포함된 대역에만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통신 시스템을 재밍하기 위한 재밍 신호의 대역폭을 감소시키고, 재밍 신호 발생 장치의 설계 복잡도 및 설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LTE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신호가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만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LTE 통신 시스템을 재밍하기 위한 재밍 신호의 대역폭을 감소시키고, 재밍 신호 발생 장치의 설계 복잡도 및 설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Wi-Fi 통신 시스템에서 파일롯 신호가 할당된 주파수 대역에만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Wi-Fi 통신 시스템을 재밍하기 위한 재밍 신호의 대역폭을 감소시키고, 재밍 신호 발생 장치의 설계 복잡도 및 설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드론 재밍 장치
110: 드론 제어기
140: 드론

Claims (18)

  1. LTE(Long Term Evolution) 신호의 대역 별로 동기 신호 및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 신호가 포함된 대역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동기 신호 및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에 대응되도록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center frequency)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동기 신호 및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의 대역폭을 가지는 기저 대역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따라 상기 기저 대역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LTE 신호의 대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LTE 신호의 대역들은,
    각각 상기 동기 신호 및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을 포함하며,
    상기 동기 신호 및 PBCH 신호가 포함된 대역의 대역폭은,
    상기 LTE 신호의 대역들 각각의 대역폭 보다 좁은 LTE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상기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 변환하여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LTE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재밍 신호를 HPA (High Power Amplifier)와 BPF (Band-Pass Filter)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재밍 신호를 송신 안테나로 출력하는 LTE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
  5. Wi-Fi (Wireless Fidelity) 신호에서 파일롯 신호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파일롯 신호가 포함된 부반송파에 대응되도록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파일롯 신호가 포함된 부반송파의 대역폭을 가지는 기저 대역 신호를 상기 파일롯 신호의 개수에 따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에 따라 상기 기저 대역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Wi-Fi 신호에 대응하는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Wi-Fi 신호는,
    복수의 부반송파들을 포함하고, 상기 Wi-Fi 신호의 대역폭에 따라 결정된 개수의 파일롯 신호를 상기 Wi-Fi 신호의 대역폭에 따라 결정된 위치의 부반송파로 전송하는 Wi-Fi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기저 대역 신호의 중심 주파수를 상기 재밍 신호의 중심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기 재밍 신호를 생성하는 Wi-Fi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 대역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파일롯 신호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부반송파의 위치에 CW 성분의 중심 주파수를 가지는 기저 대역 신호를 생성하는 Wi-Fi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재밍 신호를 HPA와 BPF로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재밍 신호를 송신 안테나로 출력하는 Wi-Fi 통신 기반 드론에 대한 재밍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70112709A 2017-09-04 2017-09-04 LTE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의 재밍 방법 및 장치 KR102365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709A KR102365749B1 (ko) 2017-09-04 2017-09-04 LTE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의 재밍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2709A KR102365749B1 (ko) 2017-09-04 2017-09-04 LTE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의 재밍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230A KR20190026230A (ko) 2019-03-13
KR102365749B1 true KR102365749B1 (ko) 2022-02-22

Family

ID=65761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2709A KR102365749B1 (ko) 2017-09-04 2017-09-04 LTE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의 재밍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150B1 (ko) 2019-05-10 2021-04-27 다인시스템(주) 멀티 패턴 안티 드론 재밍 시스템 및 방법
KR102256885B1 (ko) 2019-10-17 2021-05-28 주식회사 케이넷츠 시분할 방식을 이용한 드론 재밍신호 발생장치
KR102381038B1 (ko) 2020-05-28 2022-03-3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피제어 장치의 보안 인증 기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454B1 (ko) * 2013-08-23 2014-06-10 (주)링크텍 잡음 신호를 이용한 광대역 전파 교란 장치
KR101649080B1 (ko) * 2015-12-17 2016-08-17 최춘화 연속파 재밍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94528A1 (en) * 2013-03-21 2016-10-06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channel method, method for transceiving broadcast channel signal, and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150115364A (ko) * 2014-04-04 2015-10-14 (주)디지탈엣지 대공 방어용 스마트 재머 장치
KR20170061551A (ko) * 2015-11-26 2017-06-05 주식회사 비에이솔루션즈 다중 반송파 재밍신호 생성장치 및 상기 다중 반송파 재밍신호 생성장치를 구비하는 다중 반송파 스위프 재밍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454B1 (ko) * 2013-08-23 2014-06-10 (주)링크텍 잡음 신호를 이용한 광대역 전파 교란 장치
KR101649080B1 (ko) * 2015-12-17 2016-08-17 최춘화 연속파 재밍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6230A (ko) 2019-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9893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nding discovery signal on unlicensed carrier, and access point
US201703669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te and wlan coexistence
KR102309771B1 (ko) 통신 제어 장치, 통신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JP6921947B2 (ja) 同期信号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ならびに装置
KR102365749B1 (ko) LTE 및 Wi-Fi 통신 기반 드론의 재밍 방법 및 장치
CN105532049B (zh) 用于减小网络间干扰的方法和网络实体
EP3503641B1 (en) Techniques for improved ici management
US20150163760A1 (en) Synchronization method and base station
US11405082B2 (en) Dynamic scheduling of user equipment (UE) antenna resources
US20240064655A1 (en)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EP3288303A1 (en) Downlink and uplink compression method and device using non-standard bandwidth of lte system
WO2022117084A1 (zh) 副链路sl上的定位方法、装置及终端
WO2022087957A1 (en) Enhanced sidelink channel cellular coverage
JP2023509544A (ja) 電子機器、無線通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CN113824529A (zh) 同步信号的分发方法、装置、系统以及信号屏蔽设备
EP4017161A1 (e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EP3934369A1 (en) User device
KR101770912B1 (ko) 부채널화를 통한 효율적인 부분 대역 재밍 회피 방법 및 이의 시스템
WO2018137230A1 (zh) 非授权频谱上drs传输方法及装置
RU2787214C1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WO2023070592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s
WO2024040449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sidelink communications
WO2023137721A1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
WO2023173328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s
WO2023178695A1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