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421B1 - Input apparatus and vehicle using same and controlling method of input apparatus - Google Patents

Input apparatus and vehicle using same and controlling method of inpu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421B1
KR102364421B1 KR1020170152834A KR20170152834A KR102364421B1 KR 102364421 B1 KR102364421 B1 KR 102364421B1 KR 1020170152834 A KR1020170152834 A KR 1020170152834A KR 20170152834 A KR20170152834 A KR 20170152834A KR 102364421 B1 KR102364421 B1 KR 102364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area
touchpad
touch pa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8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55947A (en
Inventor
최영록
박종성
문상민
김종협
박대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2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421B1/en
Publication of KR20190055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94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4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은 조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과 조작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조작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 터치패드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터치패드 상의 터치 입력 위치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의 일측이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하고, 터치패드 영역의 타측이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하도록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터치패드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터치패드에 복수 개 장착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터치패드의 영역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closed invention relates to a manipul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and the manipulation device using the same, and the manipulation device includes: a touch pad for a user's touch input; a touch sensor for sensing a user's touch input on the touchpa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so that one side of the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position on the touch pad transmitted from the touch sensor rises to a preset height and the other side of the touch pad area descends to a preset height; and a plurality of driving motors mounted on the touchpa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ouchpad to raise or lower the area of the touchpa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Description

조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과 조작 장치의 제어방법{INPUT APPARATUS AND VEHICLE USING SAME AND CONTROLLING METHOD OF INPUT APPARATUS}A control device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a vehicle and a control device using the same

조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과 조작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manipulation device, and a vehicl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manipulation device using the same.

차량은 운전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차량 부가 서비스 장치를 개발 및 장착하고 있는 추세이다.Vehicles are developing and installing various vehicle additional service devices in consideration of driver's convenience and safety.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 부가 서비스 장치는 차량의 도로 주행 시, 운전자의 핸들조작을 보조하여 주행차선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차선이탈 경보 장치 등과 같은 안전 보조 장치, 운전자에 의해서 선택된 목적지까지의 경로 및 경로에 따른 주변 정보를 안내하는 내비게이션을 비롯하여 각종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헤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vehicle supplementary service device includes a safety assistance device such as a lane departure warning device that assists a driver with a steering wheel operation to prevent departure from a driving lane, a route and a route to a destination selected by the driver, when the vehicle is driving on the road It may include a head unit that provides various additional services, including navigation for guiding surrounding information.

한편, 상술한 헤드 유닛의 제어 정보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헤드 유닛과 이격된 운전석 주변에 사용자의 손이 닿을 수 있는 위치에 별도의 조작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ore easily input the control information of the above-described head unit, a separate operation device is provided around the driver's seat spaced apart from the head unit at a position within the reach of the user's hand.

운용자는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조작 장치의 조작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게 되었다.The operator has been looking for a way to accurately implement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device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driver is looking ahead.

개시된 실시예는 조작 장치의 터치패드에 사용자 손가락이 터치되는 시작점과 끝점에서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나는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조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과 조작 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Disclosed embodiments are to provide a manipulation device for preventing erroneous manipulation outside the touch pad area at the starting point and the end point of touching a user's finger on the touch pad of the manipulation devic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and a manipulation device using the same.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조작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터치패드 상의 터치 입력 위치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의 일측이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하고, 상기 터치패드 영역의 타측이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하도록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터치패드에 복수 개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의 영역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As a technical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 manip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a touch pad for a user's touch input; a touch sensor for sensing the user's touch input on the touchpa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so that one side of the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position on the touch pad transmitted from the touch sensor rises to a preset height and the other side of the touch pad area descends to a preset height; and a plurality of driving motors mounted on the touchpa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ouchpad to raise or lower the area of the touchpa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높이조정영역에 해당할 때,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 모터로 전달할 수 있다.Also, when the touch input position corresponds to a height adjustment region preset on the touchpad, the controller may transmit a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of the touchpad to the driving motor.

또한, 상기 높이조정영역은, 상기 터치패드의 테두리로부터 기 설정된 폭만큼 내측으로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Also, the height adjustment area may be an area set inside by a preset width from the edge of the touch pad.

또한, 상기 터치패드가 원형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구동 모터는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조정영역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되, 복수의 구동 모터 각각이 90°각도를 이루도록 이격되게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ouch pad has a circular shape, the plurality of driving motors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to raise or lower the height adjustment area of the touch pad, and are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90° angle. can b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를 조정 제어할 때,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조정영역에 터치된 위치에 따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Also, when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touch pad,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number of driving motors driven according to a touched position in the height adjustment region of the touch pad.

또한, 상기 터치패드는,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면; 상기 터치면 하부에 상기 터치면과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게 마련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터치면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높이 조정축; 및 상기 높이 조정축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높이 조정축이 상기 기 설정된 높이의 정해진 구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pad may include a touch surface to which a user's touch is input; a height adjustment shaft provided under the touch surface to be connected to the touch surface and the driving motor to raise or lower the touch surfac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and a stopper provided so that on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shaft is inserted and the height adjustment shaft rises or falls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preset height.

또한, 상기 조작 장치는, 상기 터치패드의 테두리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된 조작 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ipul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anipulation wheel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touch pad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면이 오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touch pad may have a concave touch surface on which the user's touch is input.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량의 전원이 공급되면 조작 장치를 동작시키는 헤드 유닛; 및 터치패드 상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터치패드 상의 터치 입력 위치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의 높이를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시키고, 상기 터치 입력 위치의 반대방향의 터치패드 영역의 높이를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시키는 조작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a vehicle includes: a head unit configured to operate a manipulation devic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vehicle; and when a user's touch input is sensed on the touch pad, the height of the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position on the touch pad is raised to a preset height, and the height of the touch pad area opposite to the touch input position is increased. It may include; a manipulation device for descending to a preset height.

또한, 상기 조작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터치패드 상의 터치 입력 위치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의 일측이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하고, 상기 터치패드 영역의 타측이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하도록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터치패드에 복수 개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의 영역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ipulation device may include a touch pad for a user's touch input; a touch sensor for sensing the user's touch input on the touchpa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motor so that one side of the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position on the touch pad transmitted from the touch sensor rises to a preset height and the other side of the touch pad area descends to a preset height; and a plurality of driving motors mounted on the touchpa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ouchpad to raise or lower the area of the touchpad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높이조정영역에 해당할 때,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 모터로 전달할 수 있다.Also, when the touch input position corresponds to a height adjustment region preset on the touchpad, the controller may transmit a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of the touchpad to the driving motor.

또한, 상기 높이조정영역은, 상기 터치패드의 테두리로부터 기 설정된 폭만큼 내측으로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Also, the height adjustment area may be an area set inside by a preset width from the edge of the touch pad.

또한, 상기 터치패드가 원형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구동 모터는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조정영역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되, 복수의 구동 모터 각각이 90°각도를 이루도록 이격되게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touch pad has a circular shape, the plurality of driving motors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to raise or lower the height adjustment area of the touch pad, and are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90° angle. can b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를 조정 제어할 때,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조정영역에 터치된 위치에 따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Also, when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touch pad, the controller may change the number of driving motors driven according to a touched position in the height adjustment region of the touch pad.

또한 상기 터치패드는,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면; 상기 터치면 하부에 상기 터치면과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게 마련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터치면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높이 조정축; 및 상기 높이 조정축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높이 조정축이 상기 기 설정된 높이의 정해진 구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uch pad may include a touch surface to which a user's touch is input; a height adjustment shaft provided under the touch surface to be connected to the touch surface and the driving motor to raise or lower the touch surfac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and a stopper provided so that on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shaft is inserted and the height adjustment shaft rises or falls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preset height.

또한, 상기 조작 장치는 상기 터치패드의 테두리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된 조작 휠;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ipulation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manipulation wheel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touch pad from the outside.

또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면이 오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touch pad may have a concave touch surface on which the user's touch is input.

일 측면에 따른 조작 장치의 제어방법은, 터치패드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패드 상의 터치 입력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터치패드 상의 터치 입력 위치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의 일측을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시키고, 상기 터치패드 영역의 타측을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시키는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of controlling a manipulation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includes detecting a user's touch input on a touchpad, identifying a touch input location on the touchpad, and writing one side of a touch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location on the touchpad. It may include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ouchpad by raising it to a preset height and lowering the other side of the touchpad area to a preset height.

또한, 상기 터치 입력 위치를 파악하는 것 이후,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을 수행하는 것 이전에, 상기 파악된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높이조정영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높이조정영역에 해당할 때,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touch input, before performing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touch pad, it is further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identified location of the touch input corresponds to a preset height adjustment area on the touch pad. and, when the touch input position corresponds to the height adjustment area, the height of the touch pad may be adjusted.

또한,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을 위해 마련된 복수 개의 구동 모터 중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에 해당하는 일측에 해당하는 구동 모터를 터치 패드가 상승하도록 구동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 반대방향인 타측에 해당하는 구동 모터를 터치 패드가 하강하도록 구동시키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touch pad may include driving a driving motor corresponding to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position among a plurality of driving motors provided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ouch pad so that the touch pad rises and , a driving motor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user's touch input position may be driven so that the touch pad descends.

전술한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조작 장치의 터치패드에 사용자 손가락이 터치되는 영역을 상승시켜 터치패드의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나는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blem solving means, since the recognition rate of the touchpad is improved by raising the area where the user's finger is touched on the touchpad of the manipulation device, an effect that erroneous operation outside the touchpad area can be prevented can be expected.

또한, 개시된 발명은 오목형 조작 장치가 차량 내 장착되는 위치의 높이가 낮아 손목을 거치하여 터치 입력을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인데,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터치패드의 해당 영역을 상승시키기 때문에 사용자가 전방을 주시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터치패드의 터치 영역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터치 입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disclosed invention is a situa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to perform a touch input by mounting the wrist due to the low height of the position at which the concave operation device is mounted in the vehicl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identify the touch area of the touchpad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user is looking forward, thereby making touch input easier.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조작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조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조작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n exterior of a vehicle;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3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including an operation device.
4 to 10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device.
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anipulation device.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conten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r content that overlaps between the embodiments is omitted. The term 'part, module, member, block' used in the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software or hardware, and according to embodiments, a plurality of 'part, module, member, block'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It is also possible for one 'part, module, member, block' to include a plurality of components.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direct connection but also indirect connection, and indirect connection includes connec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lso,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abov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In each step, the identification code is us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 identification code does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and each step may be performed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the specific order is clearly stated in the context. there is.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working principle a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차량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n exterior of a vehicle;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의 외관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윈드 스크린(windscreen)(11),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2),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3) 및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는 앞바퀴(21)와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뒷바퀴(22)를 포함하여 차량(1)을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21, 2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 the exterior of the vehicle 1 includes a main body 10 forming the exterior of the vehicle 1 , a windscreen 11 providing a view of the front of the vehicle 1 to the driver, and the driver A side mirror 12 for providing a view of the rear of the vehicle 1, a door 13 for shielding the inside of the vehicle 1 from the outside, a front wheel 21 located in front of the vehicle, and a rear wheel locat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 22) and may include wheels 21 and 22 for moving the vehicle 1 .

윈드 스크린(11)은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2)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The wind screen 11 is provided on the front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so that a driver inside the vehicle 1 can obtain visual information on the front of the vehicle 1 . In addition, the side mirror 12 includes a left side mirror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a right side mirror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main body 10 , and the driver inside the vehicle 1 provides visual information on the side and rear of the vehicle 1 . to be able to obtain

도어(13)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The door 13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driver can get on the inside of the vehicle 1 when it is opened, and when it is closed, the inside of the vehicle 1 is shielded from the outside. can

차량(1)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바퀴(21, 22)를 회전시키는 동력 장치(16), 차량(1)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는 조향 장치(미도시), 바퀴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제동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vehicle 1 includes a power unit 16 for rotating the wheels 21 and 22, a steering unit for chang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not shown), and a braking device for stopping the movement of the wheels ( not shown) may be included.

상기 동력 장치(16)는 본체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앞바퀴(21) 또는 뒷바퀴(22)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동력 장치(16)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unit 16 provides a rotational force to the front wheel 21 or the rear wheel 22 so that the main body moves forward or backward. Such a power unit 16 may include an engine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by burning fossil fuel or a motor that receives power from a capacitor (not shown) to generate rotational force.

조향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주행 방향을 입력 받는 조향 핸들(도 2의 42), 조향 핸들(42)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는 조향 기어(미도시), 조향 기어(미도시)의 왕복 운동을 앞바퀴(21)에 전달하는 조향 링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향 장치는 바퀴의 회전축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차량(1)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The steering device performs a reciprocating motion of a steering handle (42 in FIG. 2) that receives a driving direction input from the driver, a steering gear (not shown) that convert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steering handle 42 into a reciprocating motion, and a steering gear (not shown) It may include a steering link (not shown) that transmits to the front wheel 21 . Such a steering device may chang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vehicle 1 by changing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wheel.

제동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제동 조작을 입력받는 제동 페달(미도시), 바퀴(21, 22)와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미도시), 마찰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드럼(미도시)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동 장치는 바퀴(21, 22)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차량(1)의 주행을 제동할 수 있다.The braking device includes a brake pedal (not shown) that receives a braking operation from a driver, a brake drum (not shown) coupled to the wheels 21 and 22, and a brake shoe that brakes the rotation of the brake drum (not shown) using frictional force. (not shown) and the like. Such a braking device may brake the driving of the vehicle 1 by stopping the rotation of the wheels 21 and 22 .

도 2는 차량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vehicle.

차량(1)의 내부는 운전자가 차량(1)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설치되는 대시 보드(dashboard)(14), 차량(1)의 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15), 차량(1)의 동작 정보 등을 표시하는 클러스터 표시부(51, 52),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경로 안내 정보를 제공하는 길 안내 기능뿐만 아니라 오디오 및 비디오 기능까지 제공하는 헤드 유닛(head unit)(70)을 포함할 수 있다.The interior of the vehicle 1 includes a dashboard 14 on which various devices for the driver to operate the vehicle 1 are installed, a driver's seat 15 for the driver of the vehicle 1 to be seated, and the vehicle 1 . Cluster display units 51 and 52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can do.

대시 보드(14)는 윈드 스크린(11)의 하부로부터 운전자를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로 대시 보드(14)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The dashboard 14 is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windscreen 11 toward the driver, and allows the driver to operate various devices installed on the dashboard 14 while looking ahead.

운전석(15)은 대시 보드(14)의 후방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안정적인 자세로 차량(1)의 전방과 대시 보드(14)의 각종 기기를 주시하며 차량(1)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The driver's seat 15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ashboard 14 so that the driver can drive the vehicle 1 while watching the front of the vehicle 1 and various devices of the dashboard 14 in a stable posture.

클러스터 표시부(51, 52)는 대시 보드(14)의 운전석(15) 측에 마련되며, 차량(1)의 운행 속도를 표시하는 주행 속도 게이지(51), 동력 장치(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는 rpm 게이지(5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uster display units 51 and 52 are provided on the driver's seat 15 side of the dashboard 14, and display the driving speed gauge 51 indicating the driving speed of the vehicle 1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ower unit (not shown). It may include an rpm gauge 52 to indicate.

헤드 유닛(70)은 차량(1)이 주행하는 도로의 정보 또는 운전자가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및 운전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41)를 포함할 수 있다. 최근에는 오디오 장치,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가 일체화된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가 차량에 설치되고 있는 추세이다.The head unit 70 may include a display that displays information on a road on which the vehicle 1 travels or a route to a destination the driver wants to reach, and a speaker 41 that outputs a sound according to the driver's operation command. . Recently, an audio video navigation (AVN) device in which an audio device, a video device, and a navigation device are integrated has been installed in a vehicle.

상기 헤드 유닛(70)은 센터페시아(center fascia)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센터페시아는 대시 보드(14) 중에서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있는 컨트롤 패널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대시 보드(14)와 시프트레버가 수직으로 만나는 영역이며, 이곳에는 헤드 유닛(70)을 비롯하여 에어콘, 히터의 컨트롤러, 송풍구, 시거잭과 재떨이, 컵홀더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센터페시아는 센터콘솔과 함께 운전석과 조수석을 구분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The head unit 70 may be installed on a center fascia. In this case, the center fascia refers to a portion of the control panel between the driver's seat and the front passenger's seat of the dashboard 14, and is an area where the dashboard 14 and the shift lever meet vertically, where the head unit 70 and the air conditioner , heater controller, air outlet, cigar jack and ashtray, cup holder, etc. can be installed. In addition, the center fascia can also play a role of separating the driver's seat and the passenger seat together with the center console.

또한, 헤드 유닛(70)을 비롯한 각종 구동 조작을 위한 별도의 조작 장치(60)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parate operation device 60 for various driving operations including the head unit 70 may be provided.

개시된 발명의 조작 장치(60)는 회전시키거나 압력을 가하여 구동 조작을 수행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터치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별도의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도구를 이용하여 구동 조작을 위한 필기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The manipulation device 60 of the disclosed invention includes a method of performing a driving operation by rotating or applying pressure, as well as a touchpad having a touch recognition function and using a user's finger or a tool having a separate touch recognition function. Thus, handwriting recognition for a driving operation may be performed.

이하에서는 조작 장치(60)의 터치 인식 기능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touch recognition function of the manipulation device 6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3은 조작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이다.3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vehicle including an operation device.

이하에서는, 조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인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10 which are exemplary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manipulation device.

도 3을 참고하면, 차량(100)은 헤드 유닛(200) 및 조작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 the vehicle 100 may include a head unit 200 and a manipulation device 300 .

헤드 유닛(200)은 차량(100)의 전원이 공급되면 조작 장치(300)를 동작시킬 수 있다.The head unit 200 may operate the manipulation device 300 when power of the vehicle 100 is supplied.

조작 장치(300)는 터치패드(320) 상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터치패드(320) 상의 터치 입력 위치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의 높이를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시키고, 상기 터치 입력 위치의 반대방향의 터치패드 영역의 높이를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시킬 수 있다.When a user's touch input is sensed on the touchpad 320 , the manipulation device 300 increases the height of the touch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position on the touchpad 320 to a preset height, and the touch input The height of the touch pad area opposite to the position may be lowered to a preset height.

구체적으로, 조작 장치(300)는 터치 센서(310), 터치 패드(320), 구동 모터(330), 조작 휠(340), 조명(350) 및 제어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nipulation device 300 may include a touch sensor 310 , a touch pad 320 , a driving motor 330 , a manipulation wheel 340 , a light 350 , and a controller 360 .

터치 센서(310)는 터치패드(320)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The touch sensor 31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user's touch input on the touchpad 320 .

터치패드(32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위한 구성일 수 있다.The touchpad 320 may be configured for a user's touch input.

도 4와 같이, 조작 장치(300)는 터치패드영역과 터치패드영역의 테두리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조작 휠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the manipulation device 300 may include a touch pad area and a manipulation wheel area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edges of the touch pad area.

터치패드(320)는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면이 오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touch pad 320 may have a concave touch surface on which a user's touch is input.

구동 모터(330)는 터치패드(320)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터치패드(320)에 복수 개 장착되어, 제어부(360)의 제어에 따라 터치패드의 영역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A plurality of driving motors 330 are mounted on the touch pad 320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ouch pad 320 , and may raise or lower the area of the touch pa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360 .

제어부(360)는 터치 센서(31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터치패드(320) 상의 터치 입력 위치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의 일측이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하고, 상기 터치패드 영역의 타측이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하도록 구동 모터(3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ler 360 raises one side of the touch pad area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position on the touch pad 320 transmitted from the touch sensor 310 to a preset height, and the other side of the touch pad area to a preset height. The driving motor 330 may be controlled to descend.

도 4 및 도 6을 참고하면, 제어부(360)는 도 4의 ① 영역에서의 터치 입력 신호를 터치 센서(310)로부터 전달받은 경우, ① 영역이 상승하고 ① 영역의 180도 반대 방향인 ② 영역이 하강하도록 구동 모터(330)를 제어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6 , when the control unit 360 receives a touch input signal from the touch sensor 310 in region ① of FIG. 4 , region ① rises and region ② is 180 degrees opposite to region ① The driving motor 330 may be controlled to descend.

도 7과 같이, 제어부(360)는 ① 영역에서 시작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②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② 영역을 상승하고 ① 영역을 하강하도록 구동 모터(3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 모터(330)는 복수 개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 7 , when the user's touch input starting in area ① moves to area ②, the controller 360 may control the driving motor 330 to raise area ② and descend to area ①. To this end, a plurality of driving motors 330 should be provid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provided later.

제어부(360)는 터치 입력 위치가 터치패드(320)에 기 설정된 높이조정영역에 해당할 때, 터치패드(320)의 높이 조정 제어신호를 구동 모터(3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터치패드(320)의 높이조정영역 이외의 영역(예를 들어, 도 5의 15mm의 높이조정영역 내측의 중앙영역)에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터치패드(320)가 오목형이라고 가정할 경우, 터치패드(320)의 높이조정영역 이외의 영역은 터치패드의 테두리가 아닌 오목한 중앙영역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불필요한 터치패드의 조정을 제한할 수 있고, 터치패드의 높이 조절이 있는 위치가 터치패드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영역임에 대한 인식률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The controller 360 may transmit a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of the touchpad 320 to the driving motor 330 when the touch input position corresponds to a height adjustment area preset on the touchpad 320 . When a touch input is sensed in an area other than the height adjustment area of the touchpad 320 (for example, the central area inside the height adjustment area of 15 mm in FIG. 5) of the touchpad 320, the control unit 360 does not adjust the height of the touchpad. it may not be This is, assuming that the touchpad 320 is concave, the area other than the height adjustment area of the touchpad 320 is a concave central area, not the edge of the touchpad, and the possibility that the user's finger leaves the touchpad area is relatively Since the number of touchpads is small, unnecessary adjustment of the touchpad can be restricted, and the recognition rate that the position where the height of the touchpad is adjusted is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edge of the touchpad can be expected.

차량(100) 내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조작장치(300)의 장착위치는 디스플레이와 공간 상 분리된 운전석 옆 센터콘솔이므로 주행 시 숫자를 비롯한 문자의 첫 획 입력 시 터치패드(320) 영역 내에 손을 터치하는 것이 다소 용이하지 않다. 개시된 발명은 터치패드(320) 영역과 조정 휠 영역의 경계에 해당하는 높이조정영역에 사용자의 손이 터치되었을 때, 터치된 영역을 상승시키고 180도 반대편을 하강시키기 때문에, 사용자로 하여금 터치패드(320) 영역 내에 문자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 인해, 개시된 발명은 운전중 사용자의 시선을 전방 주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문자 입력 시 터치패드(320)의 첫 입력 지점을 잘못 선정하더라도 터치패드(320)를 상승시켜 자연스럽게 손가락이 터치패드(320) 영역에 닿도록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개시된 발명은 터치패드(320)에서 좌, 우, 하측으로 문자의 받침을 입력할 때 터치패드 영역 밖으로 손이 벗어나지 않도록 해당 영역을 물리적으로 상승시켜 손가락이 측면이나 하단의 조작 휠 영역에 닿지 않도록 능동적으로 제어하여 문자입력 및 인식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Since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operation device 300 for inputting characters in the vehicle 100 is the center console next to the driver's seat separated in space from the display, when driving, when entering the first stroke of characters including numbers, put your hand in the touchpad 320 area. It is somewhat difficult to touch. In the disclosed invention, when the user's hand touches the height adjustment area corresponding to the boundary between the touchpad 320 area and the adjustment wheel area, the touched area is raised and the opposite side is lowered by 180 degrees,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touchpad ( 320) it is possible to easily input characters in the area. For this reason, the disclosed invention can keep the user's gaze forward while driving, and even if the first input point of the touchpad 320 is incorrectly selected when inputting text, the touchpad 320 is raised so that the finger naturally moves the touchpad. The effect of being able to control to reach the area (320) can be expected. In addition, the disclosed invention physically elevates the corresponding area so that the hand does not deviate from the touch pad area when inputting the text support left, right, or downward on the touch pad 320 so that the finger does not touch the control wheel area on the side or bottom.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haracter input and recognition rate by actively controlling it to prevent it can also be expected.

상술한 높이조정영역은 터치패드(320)의 테두리로부터 기 설정된 폭만큼 내측으로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height adjustment area may be an area set inside by a preset width from the edge of the touch pad 320 .

도 5를 참고하면, 터치패드의 테두리로부터 15mm 내측으로 설정된 영역일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정영역의 폭은 15mm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할 것이다. Referring to FIG. 5 , it may be an area set within 15 mm from the edge of the touch pad. In this case, the width of the height adjustment area is not limited to 15mm,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or operator.

터치패드(320)가 원형인 경우, 복수 개의 구동 모터(330)는 터치패드(320)의 높이조정영역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되, 복수의 구동 모터 각각이 90°각도를 이루도록 이격되게 장착될 수 있다.When the touch pad 320 has a circular shape, the plurality of driving motors 330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to raise or lower the height adjustment area of the touch pad 320 , but each of the plurality of driving motors has an angle of 90°. It can be mounted to be spaced apart to achieve.

도 8을 참조하면, 터치패드(320)의 최외곽으로부터 15mm 내측까지의 영역인 높이조정영역이 터치될 때만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이 유효할 수 있다. 즉, 제어부(360)는 도 8의 [터치패드 탑뷰]에서 중앙 영역에 손이 닿으면 구동 모터(330)는 동작시키지 않는 것이다. 제어부(360)에 의해서 터치패드(320)는 임의의 영역들로 구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 the height adjustment of the touchpad may be effective only when the height adjustment area, which is an area from the outermost to the inner 15mm of the touchpad 320 , is touched. That is, the controller 360 does not operate the driving motor 330 when a hand touches the central region in the [Touchpad Top View] of FIG. 8 . The touchpad 320 may be divided into arbitrary regions by the controller 360 .

제어부(360)는 터치패드(320)의 높이를 조정 제어할 때, 터치패드(320)의 높이조정영역에 터치된 위치에 따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330)의 개수를 변경할 수 있다.When adjusting and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touch pad 320 , the controller 360 may change the number of driving motors 330 driven according to a touched position in the height adjustment region of the touch pad 320 .

구체적으로, 도 8의 [터치패드 탑뷰]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①, ②, ③, ④ 영역 각각에는 구동 모터 1, 구동 모터 2, 구동 모터 3, 구동 모터 4가 장착될 수 있다. 만약, ①, ②, ③, ④ 영역이 속한 45°영역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360)는 구동 모터 1, 2 또는 구동 모터 3, 4만 작동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the [Touchpad Top View] of FIG. 8 , the driving motor 1, the driving motor 2, the driving motor 3, and the driving motor 4 may be mounted in each of the ①, ②, ③, and ④ regions. If there is a user's touch input in the 45° region to which the ①, ②, ③, and ④ regions belong, the controller 360 may operate only the driving motors 1 and 2 or the driving motors 3 and 4 .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가 ⓐ영역(도 8의 12시 방향 45°영역)인 경우, 구동 모터 3은 상승시키고, 구동 모터 4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구동 모터(330)의 동작은 변위가 기 설정된 범위(예를 들어, 2mm) 내에서 이루어진다. For example, when the user's touch input position is a region ⓐ (a region 45° in the 12 o’clock direction in FIG. 8 ), the controller 360 may raise the driving motor 3 and lower the driving motor 4 .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330 is performed within a preset range (eg, 2 mm) of displacement.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가 ⓑ영역(도 8의 2시 방향 45°영역)인 경우, 제어부(360)는 구동 모터 1, 2, 3 및 4를 모두 동작시키는데, 구동 모터 2 및 3은 상승시키고, 구동 모터 1 및 4는 하강시킬 수 있다.When the user's touch input position is the ⓑ region (45° region in the 2 o'clock direction in FIG. 8), the control unit 360 operates all of the driving motors 1, 2, 3, and 4, and the driving motors 2 and 3 are raised, Drive motors 1 and 4 can be lowered.

도 9를 참고하면, 터치패드(320)는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면(P), 터치면(P) 하부에 터치면(P)과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게 마련되어,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터치면(P)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높이 조정축(U) 및 높이 조정축(U)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마련되어 높이 조정축(U)이 기 설정된 높이의 정해진 구간(예를 들어, 최대 2mm)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스토퍼(S1, S2)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 the touch pad 320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touch surface P and the driving motor under the touch surface P on which a user's touch is input, and the touch surface P under the touch surface P, so as to drive the driving motor. According to the height adjustment axis (U) for raising or lowering the touch surface (P) and on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axis (U) are provided to be inserted, the height adjustment axis (U) is a predetermined section of a preset height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stopper (S1, S2) to rise or fall at a maximum of 2 mm).

이러한 구조로 인해, 구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하 동작되는 높이 조정축은 상부 및 하부 한 쌍으로 마련된 스토퍼(S1, S2)에 의해 정해진 구간에서만 동작할 수 있다.Due to this structure, the height adjustment shaft, which is vertically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otor, can be operated only in a section determined by the stoppers S1 and S2 provided as a pair of upper and lower portions.

한편, 터치패드(320)의 상승 또는 하강되는 기 설정된 높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에 의해서도 변경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 터치패드 상하 변위량 제한을 위한 스토퍼는 생략 가능하며, 제어부(360)는 구동 모터(330)의 동작 시간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60)는 모터 인에이블 레지스터(motor enable register) 해당 비트의 타이밍 제어를 통해 구동 모터(330)를 제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t height at which the touchpad 320 is raised or lowered may be changed by a user or an operator. In this case, a stopper for limiting the amount of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touch pad may be omitted, and the controller 360 may directly control the operation time of the driving motor 330 . In this case, the controller 360 may control the driving motor 330 through timing control of a corresponding bit of a motor enable register.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마이컴)(360)는 디지털 I/O 포트 중 임의의 포트 B, C를 선정하여 Motor Driver IC 연결할 수 있다. 이때, 마이컴의 소손방지를 위해 직접 모터구동은 전용 드라이브 칩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의 L293B는 출력전류 최대 1A까지 제어 가능하므로 본 제안의 저전류 소형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 제어에 적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 I/O포트의 레지스터 셋팅을 통해 구동 모터 1~4번을 동작시키거나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사용자 터치 입력 위치가 도 8의 ⓐ영역인 경우, Port_B(Address 06h)에 set register(0000 0000), Port_C(Address 07h)에 set register(1010 1100) 명령을 전달하여, 구동 모터 3은 정회전, 구동 모터4는 역회전하여 터치 입력이 발생한 지점(손가락이 닿은 지점)은 상향하고, 반대 방향은 하향하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를 통해 제어부(360)는 각 포트의 레지스터 셋팅값을 변화시켜 4개의 구동모터를 유기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터치패드(320)에 손가락이 닿은 순간 제어부(360)는 터치패드(320) 정전용량의 변화를 감지하며, 손가락의 위치 정보를 동시에 파악하므로 제스처 입력을 감지하는 순간과 구동모터(330)의 구동 시점 간의 시간적 차이를 사용자가 느끼지 못할 만큼 신속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10 , the controller (microcomputer) 360 selects arbitrary ports B and C among digital I/O ports to connect the Motor Driver IC. In this case, a dedicated drive chip may be used for direct motor driving to prevent burnout of the microcomputer. For example, since L293B of FIG. 10 can control the output current up to 1A, it may be suitable for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control of the low current small motor of the present propos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controlled to operate or stop driving motors 1 to 4 through the register setting of the control unit I/O port. When the user touch input position is the region ⓐ of FIG. 8, the control unit 360 transmits a set register (0000 0000) command to Port_B (Address 06h) and a set register (1010 1100) command to Port_C (Address 07h) to transmit the driving motor 3 indicates a forward rotation, and the driving motor 4 rotates in a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point where the touch input occurs (the point where the finger touches) is upward,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downward. Through this principle, the control unit 360 may change the register setting value of each port to organically operate the four driving motors. The moment a finger touches the touch pad 320 , the controller 360 detects a change in capacitance of the touch pad 320 , and simultaneously grasp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nger, so that the moment of detecting a gesture input and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330 .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viewpoints can be operated so quickly that the user does not feel it.

도 4와 같이, 조작 휠(340)은 터치패드(320)의 테두리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4 , the manipulation wheel 340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touch pad 320 from the outside.

조작 휠(340)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 휠 회전신호를 제어부(360)로 전달하여 조작 휠 회전신호에 대응되는 헤드 유닛(200)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control wheel 340 may transmit a control wheel rotation signal by a user to the control unit 360 so that the control of the head unit 200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wheel rotation signal can be performed.

조명(350)은 조작 장치(300)의 인지 및 사용자 조작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light 350 may generate light to facilitate recognition of the manipulation device 300 and user manipulation.

도시하지 않았지만, 차량(100)은 상술한 구성 이외에도 통신부, 입력부, 저장부, 디스플레이 및 ECU를 더 포함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vehicle 100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an input unit, a storage unit, a display, and an ECU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또한,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components that enable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device,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s signals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a short distance such as a Bluetooth module, an infrared communication module,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module, a WLAN (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an NFC communication module, and a Zigbee communication module. It may include various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d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variety of wired communication modules such as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communication module, a Local Area Network (LAN) module, a Wide Area Network (WAN) module, or a Value Added Network (VAN) module. In addition to communication module, various cable communication such as USB (Universal Serial Bus),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 (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 (recommended standard232), power line communication, or POTS (plain old telephone service) It can contain modules.

무선 통신 모듈은 라디오 데이터 시스템 교통 메시지 채널(Radio Data System-Traffic Message Channel, RDS-TMC),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Radio Data System-Traffic Message Channel (RDS-TMC),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Wifi module, and WiBro (Wireless broadband) modu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cludes a global System for GSM (GSM) module. Mobile Communication),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 (Long Term Evolution) support various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It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does.

무선 통신 모듈은 교통정보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교통정보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including an antenna for receiving a traffic information signal and a receiver.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ay transmit an analog wireless signal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erface as a digital control signal. It may further include a traffic information signal conversion module for demodulation.

한편, 통신부는 차량(100) 내부의 전자 장치들 사이의 통신을 위한 내부 통신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차량(100)의 내부 통신 프로토콜로는 CAN(Controller 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ion Network), 플렉스레이(FlexRay), 이더넷(Etherne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Meanwhile, the communic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al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for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s inside the vehicle 100 . As an internal communication protocol of the vehicle 100 ,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a local interconnection network (LIN), FlexRay, Ethernet, or the like may be used.

상술한 헤드 유닛(200)과 조작 장치(300) 역시 통신부를 통해 정보 송수신을 수행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It will be natural that the above-described head unit 200 and the operation device 300 als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입력부는 상술한 조작 장치(300) 이외에도 사용자의 입력을 위해 각종 버튼이나 스위치, 페달(pedal),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각종 레버(lever), 핸들(handle)이나 스틱(stick) 등과 같은 하드웨어적인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operation device 300 described above, the input unit includes various buttons or switches, pedals, keyboards, mice, track-balls, various levers, handles, or sticks for user input. ) may include hardware devices such as

또한, 입력부는 사용자 입력을 위해 터치패드(touch pad) 등과 같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즉 소프트웨어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터치패드는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 TSP)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미도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the input unit may include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uch as a touch pad for user input, that is, a device that is software. The touchpad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screen panel (TSP) to form a layer structure with a display (not shown).

저장부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저장부는 ECU와 관련하여 전술한 프로세서와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프로세서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is a non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a cache, read only memory (ROM), programmable ROM (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and flash memory, or random access memory (RAM). ) may be implemented as at least one of a volatile memory device such as a hard disk drive (HDD), or a storage medium such as a CD-ROM,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unit may be a memory implemented as a chip separate from the processor described above in relation to the ECU, 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with the processor.

디스플레이(미도시)는 조작 장치(300) 및 조작 장치 이외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문자를 화면 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display (not shown) may display the character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other than the manipulation device 300 and the manipulation device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m.

디스플레이는 상술한 헤드 유닛(200)과 일체형으로 마련되거나, 또는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The display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above-described head unit 200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디스플레이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디지털 광원 처리(Digital Light Processing: DLP)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enal),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전기 발광(Electro Luminescence: EL) 패널,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EPD) 패널, 전기변색 디스플레이(Electrochromic Display: E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display is a cathode ray tube (CRT), a digital light processing (DLP) panel, a plasma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Penal),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panel, an electro luminescence (Electro Luminescence: EL) panel, Electrophoretic Display (EPD) panel, Electrochromic Display (ECD) panel, Light Emitting Diode (LED) panel, 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panel, etc. may be provid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ECU(electronic control unit)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performs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using a memory (not shown) that stores data for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components in the vehicle 100 or a program reproducing the algorithm, and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It may be implemented by a processor (not shown) that performs In this case,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separate chips. Alternatively, the memory and the processor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chip.

도 11은 조작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1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anipulation device.

먼저, 차량(100)의 전원이 온(ON) 됨에 따라, 헤드 유닛(200)이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410, 420).First, as the vehicle 100 is powered on, the head unit 200 may perform booting ( 410 and 420 ).

다음, 조작 장치(300)는 터치패드(320)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430).Next, the manipulation device 300 may detect a user's touch input on the touchpad 320 ( 430 ).

다음, 조작 장치(300)는 터치패드(320) 상의 터치 입력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440).Next, the manipulation device 300 ma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touch input on the touchpad 320 ( 440 ).

다음, 조작 장치(300)는 파악된 터치 입력 위치가 터치패드(320)에 기 설정된 높이조정영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450).Next, the manipulation device 300 may check whether the detected touch input position corresponds to a height adjustment area preset on the touchpad 320 ( 450 ).

확인 결과, 상기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높이조정영역에 해당할 때, 조작 장치(300)는 터치패드(320) 상의 터치 입력 위치에 해당하는 터치패드 영역의 일측을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시키고, 상기 터치패드 영역의 타측을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시키는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460).As a result of checking, when the touch input position corresponds to the height adjustment region, the manipulation device 300 raises one side of the touch pad region corresponding to the touch input position on the touch pad 320 to a preset height, and the touch A height adjustment of the touch pad for lowering the other side of the pad area to a preset height may be performed ( 460 ).

구체적으로, 조작 장치(300)는 터치패드(320)의 높이 조정을 위해 마련된 복수 개의 구동 모터(330) 중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에 해당하는 일측에 해당하는 구동 모터(330)를 터치패드(320)가 상승하도록 구동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 반대방향인 타측에 해당하는 구동 모터(330)를 터치패드(320)가 하강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nipulation device 300 uses the driving motor 330 corresponding to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position among the plurality of driving motors 330 provide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ouch pad 320 to the touch pad 320 . ) may be driven to rise, and a driving motor 330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user's touch input position may be driven so that the touch pad 320 descends.

다음, 헤드 유닛(200)이 오프 되면, 조작 장치(300)는 터치패드(320)의 높이를 기본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470, 480).Next, when the head unit 200 is turned off, the manipulation device 300 may return the height of the touch pad 320 to the basic position ( 470 and 480 ).

단계 470의 확인 결과, 헤드 유닛(200)이 오프 되기 이전에는 단계 430부터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check in step 470 , before the head unit 200 is turned off, it may be repeatedly performed from step 430 .

상술한 조작 장치(300)의 구동을 위한 시작 신호는 헤드 유닛(200)의 부팅 신호, 오프 신호에 한정되지 않으며, 운용자의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할 것이다.The above-described start signal for driving the manipulation device 300 is not limited to the booting signal and the off signal of the head unit 200 ,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operator.

오목형 조작 장치의 터치패드는 터치면이 오목한 형상으로 주행중 또는 차량에서 블라인드 조작 시 사용자는 의도치 않게 터치패드를 벗어나 문자를 입력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나, 개시된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서 터치 입력된 위치의 터치패드를 상승시켜 터치패드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고, 터치인식 영역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문자 입력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touchpad of the concave operation device has a concave touch surface, and when driving or blindly operating in a vehicle, a situation may occur in which a user unintentionally enters a character out of the touchpad. By raising the position of the touch pad, the position of the touch pad can be easily grasped, and the touch recognition area can be accurately recognized, so that the accuracy of character input can be improved.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Meanwhile, the disclosed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stor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Instructions may be stored in the form of program code, and when executed by a processor, may create a program module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The recording medium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ny type of recording medium in which instructions readable by the computer are stored. For example, there may be a read only memory (ROM), a random access memory (RAM), a magnetic tape, a magnetic disk, a flash memory,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acticed in other forms than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 100 : 차량
200 : 헤드 유닛
300 : 조작 장치
310 : 터치 센서
320 : 터치 패드
330 : 구동 모터
340 : 조작 휠
350 : 조명
360 : 제어부
1, 100: vehicle
200: head unit
300: operation device
310: touch sensor
320: touchpad
330: drive motor
340: control wheel
350: lighting
360: control

Claims (20)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터치패드 상의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터치패드의 영역 중에서 제1 영역에 해당하면 상기 제1 영역이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하고 상기 제1 영역과 반대 방향의 제2 영역이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터치패드 상의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터치패드의 영역 중에서 상기 제2 영역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영역이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하고 상기 제1 영역이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터치패드에 복수 개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의 일 영역을 상승시키고 타 영역을 하강시키는 구동 모터;
를 포함하는 조작 장치.
a touchpad for user's touch input;
a touch sensor for sensing the user's touch input on the touchpad;
When the touch input position on the touch pad transmitted from the touch sensor corresponds to a first area among the areas of the touch pad, the first area rises to a preset height, and a second area opposite to the first area is formed. At least one driving motor is controlled to descend to a preset height, and when the position of a touch input on the touch pad transmitted from the touch sensor corresponds to the second region among regions of the touch pad, the second region moves to a preset height.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driving motor to rise and the first region to descend to a preset height; and
a plurality of driving motors mounted on the touchpa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ouchpad, and configured to raise one area of the touchpad and lower the other area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 manipula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터치패드의 영역 중에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해당할 때,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 모터로 전달하는 조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When the touch input posi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among the areas of the touch pad, a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a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of the touch pad to the driving moto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터치패드의 테두리로부터 기 설정된 폭만큼 내측으로 설정된 영역인 조작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 manipulation device that is an area set inward by a preset width from the edge of the touch pa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가 원형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구동 모터는 상기 터치패드의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되, 복수의 구동 모터 각각이 90°각도를 이루도록 이격되게 장착되는 조작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touch pad is circular,
The plurality of driving motors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to raise or lower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of the touch pad, and are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90° angl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를 조정 제어할 때, 상기 터치 입력 위치에 따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의 개수를 변경하는 조작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ontrol unit is
A manipulation device for changing the number of driving motors drive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ouch input when adjusting and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touch pa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면;
상기 터치면 하부에 상기 터치면과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게 마련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터치면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높이 조정축; 및
상기 높이 조정축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높이 조정축이 상기 기 설정된 높이의 정해진 구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조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pad is
a touch surface to which a user's touch is input;
a height adjustment shaft provided under the touch surface to be connected to the touch surface and the driving motor to raise or lower the touch surfac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and
a stopper provided so that on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shaft is inserted and the height adjustment shaft rises or falls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preset height;
A manipulation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의 테두리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된 조작 휠;
을 더 포함하는 조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a manipulation wheel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touch pad from the outside;
An operation device further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면이 오목형으로 형성된 조작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touchpad is
A manipulation device in which a touch surface on which the user's touch is input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차량의 전원이 공급되면 조작 장치를 동작시키는 헤드 유닛; 및
터치패드 상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터치패드 상의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터치패드의 영역 중에서 제1 영역에 해당하면 상기 제1 영역이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하고 상기 제1 영역과 반대 방향의 제2 영역이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하며, 상기 터치패드 상의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터치패드의 영역 중에서 상기 제2 영역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영역이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하고 상기 제1 영역이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하는 조작 장치;
를 포함하는 차량.
a head unit that operates the operation devic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vehicle; and
When a user's touch input is sensed on the touchpad, if the touch input position on the touchpad corresponds to a first area among the areas of the touchpad, the first area rises to a preset height and is opposite to the first area The second region in the direction descends to a preset height, and when the touch input position on the touchpad corresponds to the second region among regions of the touchpad, the second region rises to a preset height and the first region an operation device for descending to a preset height;
vehicle includ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 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기 위한 터치 센서;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터치패드 상의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터치패드의 영역 중에서 제1 영역에 해당하면 상기 제1 영역이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하고 상기 제1 영역과 반대 방향의 제2 영역이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터치패드 상의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터치패드의 영역 중에서 상기 제2 영역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영역이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하고 상기 제1 영역이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터치패드에 복수 개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터치패드의 일 영역을 상승시키고 타 영역을 하강시키는 구동 모터;
를 포함하는 차량.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operating device is
a touchpad for user's touch input;
a touch sensor for sensing the user's touch input on the touchpad;
When the touch input position on the touch pad transmitted from the touch sensor corresponds to a first area among the areas of the touch pad, the first area rises to a preset height, and a second area opposite to the first area is formed. At least one driving motor is controlled to descend to a preset height, and when the position of a touch input on the touch pad transmitted from the touch sensor corresponds to the second region among regions of the touch pad, the second region moves to a preset height.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at least one driving motor to rise and the first region to descend to a preset height; and
a plurality of driving motors mounted on the touchpad to adjust the height of the touchpad, and configured to raise one area of the touchpad and lower the other area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vehicle includ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터치패드의 영역 중에서 상기 제1 영역 또는 상기 제2 영역에 해당할 때,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 제어신호를 상기 구동 모터로 전달하는 차량.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trol unit is
A vehicle that transmits a height adjustment control signal of the touch pad to the driving motor when the touch input posi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among the areas of the touch pa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터치패드의 테두리로부터 기 설정된 폭만큼 내측으로 설정된 영역인 차량.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first region and the second region,
A vehicle that is an area set inward by a preset width from the edge of the touch pad.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가 원형인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구동 모터는 상기 터치패드의 제1 영역 또는 제2 영역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되, 복수의 구동 모터 각각이 90°각도를 이루도록 이격되게 장착되는 차량.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touch pad is circular,
The plurality of driving motors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to raise or lower the first area or the second area of the touch pad, and the plurality of drive motors are mount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form a 90° angl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를 조정 제어할 때, 상기 터치 입력 위치에 따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의 개수를 변경하는 차량.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is
A vehicle configured to change the number of driving motors driven according to a position of the touch input when adjusting and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touch pa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면;
상기 터치면 하부에 상기 터치면과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게 마련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터치면을 상승시키거나 또는 하강시키는 높이 조정축; 및
상기 높이 조정축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높이 조정축이 상기 기 설정된 높이의 정해진 구간에서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스토퍼;
를 포함하는 차량.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ouchpad is
a touch surface to which a user's touch is input;
a height adjustment shaft provided under the touch surface to be connected to the touch surface and the driving motor to raise or lower the touch surfac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and
a stopper provided so that one side of the height adjustment shaft is inserted and the height adjustment shaft rises or falls in a predetermined section of the preset height;
vehicle including.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장치는,
상기 터치패드의 테두리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된 조작 휠;
을 더 포함하는 차량.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operating device is
a manipulation wheel formed to surround the edge of the touch pad from the outside;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a.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는,
상기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는 터치면이 오목형으로 형성된 차량.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touchpad is
A vehicle in which a touch surface to which the user's touch is input is formed in a concave shape.
터치패드 상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터치패드 상의 터치 입력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터치패드 상의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터치패드의 영역 중에서 제1 영역에 해당하면 상기 제1 영역을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시키고 상기 제1 영역과 반대 방향의 제2 영역을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시키는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을 수행하고,
상기 터치패드 상의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터치패드의 영역 중에서 상기 제2 영역에 해당하면 상기 제2 영역을 기 설정된 높이로 상승시키고 상기 제1 영역과 반대 방향의 제2 영역을 기 설정된 높이로 하강시키는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작 장치의 제어방법.
Detects the user's touch input on the touchpad,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touch input on the touchpad,
When the touch input position on the touch pad corresponds to a first area among the areas of the touch pad, a touch for raising the first area to a preset height and lowering a second area opposite to the first area to a preset height perform height adjustment of the pad;
When the touch input position on the touch pad corresponds to the second area among the areas of the touch pad, the second area is raised to a preset height and a second area opposite to the first area is lowered to a preset height. A control method of a manipulation device comprising; performing height adjustment of the touch pa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입력 위치를 파악하는 것 이후,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을 수행하는 것 이전에,
상기 파악된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높이조정영역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 위치가 상기 높이조정영역에 해당할 때,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를 조정하는 조작 장치의 제어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After recognizing the location of the touch input, before performing height adjustment of the touch pad,
Further comprising confirming whether the identified touch input position corresponds to a height adjustment area preset on the touchpad,
When the touch input position corresponds to the height adjustment area, the control method of the manipulation device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ouch pad.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을 수행하는 것은,
상기 터치패드의 높이 조정을 위해 마련된 복수 개의 구동 모터 중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에 해당하는 일측에 해당하는 구동 모터를 터치 패드가 상승하도록 구동시키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위치 반대방향인 타측에 해당하는 구동 모터를 터치 패드가 하강하도록 구동시키는 것인 조작 장치의 제어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To perform height adjustment of the touchpad,
A driving motor corresponding to one side corresponding to the user's touch input position among a plurality of driving motors provided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touch pad is driven to raise the touch pad, and corresponding to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user's touch input position. A control method of a manipulation device that drives a driving motor to descend so that the touch pad descends.
KR1020170152834A 2017-11-16 2017-11-16 Input apparatus and vehicle using same and controlling method of input apparatus KR1023644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834A KR102364421B1 (en) 2017-11-16 2017-11-16 Input apparatus and vehicle using same and controlling method of inpu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834A KR102364421B1 (en) 2017-11-16 2017-11-16 Input apparatus and vehicle using same and controlling method of inpu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947A KR20190055947A (en) 2019-05-24
KR102364421B1 true KR102364421B1 (en) 2022-02-17

Family

ID=6668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834A KR102364421B1 (en) 2017-11-16 2017-11-16 Input apparatus and vehicle using same and controlling method of inpu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42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9601A (en) *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Inp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5174B1 (en) * 2009-05-22 2011-10-19 한국과학기술원 Apparatus for generating various forms of impluse
KR101722542B1 (en) * 2015-09-07 2017-04-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ontrol apparatus using touch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49601A (en) * 2013-08-30 2015-03-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Inpu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947A (en) 2019-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32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of vehicle and vehicle using the same
US10120567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vehicle command and control
KR102416123B1 (en) Vehicle status monitoring system and vehicle
CN105677009B (en) Gesture recognition device and vehicle with same
KR102327195B1 (en) Remote control method of Vehicle, and Vehic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CN106415469B (en) Method and user interface for adapting a view on a display unit
CN106573627A (en) Multitouch chording language
CN108571975A (en) Vehicle and its control method and the autonomous driving system for using the vehicle and method
KR102051606B1 (en) Electronic apparatus for vehicle
JP6230851B2 (en) Input device
KR102084032B1 (en) User interface, means of transport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a user
KR20200093091A (en) Terminal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425939A (en) User interface device,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3813942A (en) Motor vehicle comprising an electronic rear-view mirror
KR101542973B1 (en) Display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KR102364421B1 (en) Input apparatus and vehicle using same and controlling method of input apparatus
KR102585564B1 (en) Avn head unit an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vehicle control search method of the avn head unit
KR102291308B1 (en) Method for setting of multi remote control in vehicle and vehicl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KR101899396B1 (en) Ca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866732B1 (en) Method for recognizing position of passenger and car therefor
KR102489963B1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80173413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518226B1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10618407B2 (en) Terminal apparatus,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terminal apparatus
KR102361501B1 (en)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