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533B1 -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533B1
KR102363533B1 KR1020200039516A KR20200039516A KR102363533B1 KR 102363533 B1 KR102363533 B1 KR 102363533B1 KR 1020200039516 A KR1020200039516 A KR 1020200039516A KR 20200039516 A KR20200039516 A KR 20200039516A KR 102363533 B1 KR102363533 B1 KR 102363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experience
self
server
experience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1983A (ko
Inventor
이한수
김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가돌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가돌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가돌봄
Priority to KR1020200039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533B1/ko
Priority to PCT/KR2021/004023 priority patent/WO2021201610A1/ko
Publication of KR20210121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1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5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카테고리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가 실제로 실행된 내역을 이용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제2 사용자 간의 관련도에 기반하여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 {SERVER FOR PROVIDING USER EXPERIENCE BASED SELF CARE PLATFORM AND METHOD EXECUTED BY SERVER}
본 발명은 서버 및 그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으로서, 자기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경험을 기록하고 공유함으로써 사용자의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서버 및 그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소벤처기업부 및 창업진흥원의 중소벤처기업부 예비창업패키지사업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10224348, 과제명: 낙상에 따른 고령자의 상해 방지를 위한 스마트 프로텍터 시스템].
최근 데이터 사이언스(Data Science)가 대두되면서 데이터 분석을 통하여 패턴을 추출하고, 인간에게 유용한 정보를 얻어내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인공 신경망 등의 기술이 등장하였으며, 데이터 사이언스 분야에서 데이터 분석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적용 분야를 확대시키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수단이 큰 관심을 끌고 있는데, 최근 널리 보급되는 모바일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일거수 일투족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이전까지 인간이 인식하지 못했던 영역까지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모바일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헬스케어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제공되며, 사용자는 모바일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기반하여 자신에 대한 자기 관리에 대한 도움을 받고 있다.
가장 간단한 예로, 사용자는 자신의 규칙적인 운동 일정을 모바일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입력하고, 모바일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운동 일정에 기반하여 알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도록 유도하고, 자기 관리를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기술은 일반적인 헬스케어 또는 일정 관리에만 미치지 않고, 좀 더 다양한 분야에서 더욱 구체적인 정보에 기반하여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지원을 고도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KR 10-2019-0057580 "만성 피부질환 자가관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방법"에서는 사용자는 자신의 스마트폰을 이용해 자신의 반복적인 증상과 자기 관리에 관련된 기초적인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고, 그 기록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또한 누적된 데이터를 타임라인에 기반하여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피부질환의 빈도를 표시하고 자기 관리 전후의 변화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한국특허공개공보 KR 10-2019-0110987 "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피부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서는 회원가입된 사용자에게 웹 크롤러 등에 의하여 수집된 피부관리 추천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피부 영상을 촬영하여 피부에 대한 평가정보를 피드백함으로써 회원들의 피부관리 활동을 지원하는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하지만 이들 선행문헌들에 의하더라도, 수집되는 자기 관리에 관한 추천 정보 및/또는 규칙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자기 관리 프로세스가 적용될 수 있는 분야는 제한적이다. 또한 자기 관리 프로세스가 사용자의 특수한 상황 또는 환경과 연관되어 최적화되거나 커스터마이즈되기 어려워서 사용자의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KR 10-2019-0057580 "만성 피부질환 자가관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방법" (공개일 2019.05.29) 한국특허공개공보 KR 10-2019-0110987 "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피부관리 시스템 및 방법" (공개일 2019.10.01)
선행문헌 KR 10-2019-0057580 에서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로그인 과정, 사용자가 개별 자기 관리 항목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 서버가 스마트폰 화면에 다양한 자기 관리 항목을 제시하는 과정, 사용자가 매일 반복적으로 입력해야 하는 메모 내용을 1회로 단축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가 입력한 자기 관리 기록을 서비스 서버가 저장하고 관리하며 데일리 차트로 표시하는 구성, 데일리 차트의 기록 내용이 달력 포맷의 프레임에서 아이콘 등으로 시각화되는 구성, 통계 처리 구성 등이 제시된다.
상기 KR 10-2019-0057580에서는, 피부 질환의 증상의 호전과 예방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잘 알려진 자기 관리 항목을 서버가 설정하여 스마트폰 화면에 제공하는 구성이 소개된다. 다만 제공되는 자기 관리 항목에 사용자가 메모를 입력하여 부가적인 정보를 추가할 수는 있지만, 자기 관리 항목 자체를 수정하거나 자신만을 위하여 커스터마이즈할 수는 없다.
선행문헌 KR 10-2019-0110987에서는 웹 크롤러 등에 의하여 수집된 피부관리 추천 정보가 제공된다. 다만 KR 10-2019-0110987에서는 추천 정보가 사용자에게 맞춰져서 제공되는 것이 아니라, 추천 정보를 생산하여 제공하는 제공자의 형편에 맞춰서 사용자에게 추천 정보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선행문헌에 의해서는 사용자는 자신의 상황과 환경에 맞는 자기 관리 정보를 얻기 어렵다.
최근 정보통신 및 전자공학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다양한 신제품이 시장에 진입하고, 다양한 자기 관리 프로세스가 소셜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알려질 수 있다. 종래 기술들에서는 미리 검색되고 조사된 가이드라인, 또는 제품 생산자가 생성한 가이드라인만을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신제품의 정확한 사용법 또는 자신에게 맞는 효과적인 사용법을 모르는 채로 신제품을 사용하거나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실행하여 원하는 만큼의 효과를 얻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규격화되고 획일적인 자기 관리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고 체험하여 커스터마이즈한 정보가 기록되고 저장되며, 타인에게 공유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 및 서비스 플랫폼을 뒷받침하는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 사용자 자신만을 위하여 커스터마이즈된 사용자 행동 경험 및/또는 제품 사용 경험이 생성되고 기록되며, 이들 커스터마이즈된 사용자 경험은 사용자 경험의 생산자와 가장 적합도가 높은 새로운 사용자에게 선택적으로 추천되거나 공유될 수 있는 플랫폼 및 그 플랫폼을 뒷받침하는 시스템을 제안하는 것이다. 특히 새로운 사용자는 타인에 의하여 커스터마이즈된 사용자 경험을 공유하거나 참고할 수 있으며, 이때 이들 사용자 경험이 사용자 경험의 생산자의 특수한 상황과 환경에 기반하여 적용된 것임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사용자 자신이 활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사용자 경험을 다시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질환에 대한 자기 관리 뿐만 아니라 피부 미용, 헬스케어, 본인이 아닌 가족 또는 아기를 위한 베이비 케어, 반려동물을 위한 펫 케어 등으로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영역을 확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용으로 개발된 의료기기, 예를 들어 노인의 낙상을 방지하기 위한 웨어러블 에어백, 기저 질환자의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 또는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정보를 자기 관리 프로세스 내에 편입하여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머징 마켓을 새로이 형성하는 신제품, 예를 들어 피부 미용을 위한 LED 마스크 등에 대해서도 사용할 때의 주의사항 또는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안내하는 정보를 자기 관리 프로세스 내에 편입하여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자기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행동 경험 및/또는 사용자의 제품 사용 경험을 기록하고 분석하며, 사용자의 행동 경험 및/또는 사용자의 제품 사용 경험이 타인의 자기 관리를 위한 행동 경험 및/또는 제품 사용 경험을 개선할 수 있도록 추천되거나 제안됨으로써 공유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 그를 위한 응용 소프트웨어, 및 그 응용 소프트웨어에 기반하여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기 관리를 위한 사용자의 행동 경험 및/또는 제품 사용 경험을 간편하게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행동 경험 및/또는 제품 사용 경험의 적어도 일부는 정제되고 조직화된 포맷(refined and organized format)으로 저장되어 타인에게 공유될 수 있는 상태로 재구성되는 서비스 플랫폼, 그를 위한 응용 소프트웨어, 및 그 응용 소프트웨어에 기반하여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기 관리를 위한 행동 경험 및/또는 제품 사용 경험을 수정, 보완, 및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사용자의 행동 경험 및/또는 제품 사용 경험이 정제되고 조직화된 포맷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세부적인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정제되고 조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응용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 그를 위한 응용 소프트웨어, 및 그 응용 소프트웨어에 기반하여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카테고리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가 실제로 실행된 내역을 이용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제2 사용자 간의 관련도에 기반하여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 기술처럼 규격화되고 획일적인 자기 관리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특정한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고 체험하여 커스터마이즈한 정보가 기록되고 저장되며, 타인에게 공유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 서비스 플랫폼을 뒷받침하는 시스템으로서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응용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되고 구동되는 모바일/컴퓨팅 단말기, 모바일/컴퓨팅 단말기와 연동되어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을 지원하는 분석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컴퓨팅 단말기 및/또는 분석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는 사용자 경험 공유 및 기록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제로 경험하고 커스터마이즈한 사용자 경험을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어떤 환경에서 사용하였는지, 사용자의 체질, 특수한 상황, 및 사용자의 식습관을 포함하는 생활 습관 등이 개인 특성 정보로 추출되어 사용자가 생산한 사용자 경험을 보충 설명하는 정보로서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터랙션하는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현재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고 사용자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사용자 경험 또는 제품을 추천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 경험에 대한 레퍼런스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경험을 쉽게 생성하고 기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효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의를 개선하기 위하여 정제되고 조직화된 포맷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알려진 자기 관리를 위한 제품 외에도 신제품이 시장에 진입하였을 때, 신제품에 대한 타인의 사용자 경험을 빠르게 공유하고 신제품에 대한 효과적인 사용 방법, 사용 상의 주의사항을 포함한 안내 정보를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루틴을 실제로 실행한 내역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편집하거나, 실행하거나, 관련 정보를 참조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루틴을 생성하고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자기 관리 프로세스와 연계되는 상품 구입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타인의 사용자 경험을 참조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자신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확보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타인의 사용자 경험을 참조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과 연결되어 동작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종류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13은 분석 서버에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추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선행문헌 KR 10-2019-0057580에서 제시되는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설치 및 로그인 과정, 사용자가 개별 자가관리 항목을 설정할 수 있도록 서비스 서버가 스마트폰 화면에 다양한 자가관리 항목을 제시하는 과정, 사용자가 매일 반복적으로 입력해야 하는 메모 내용을 1회로 단축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가 입력한 자가관리 기록을 서비스 서버가 저장하고 관리하며 데일리 차트로 표시하는 구성, 데일리 차트의 기록 내용이 달력 포맷의 프레임에서 아이콘 등으로 시각화되는 구성, 통계 처리 구성 등은 본 발명의 요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 그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통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 KR 10-2019-0110987에서 제시되는 피부 관리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들의 피부를 관리하기 위한 발명에서 이용된 모바일 단말기, 정보통신 네트워크, 관리 서버 등의 연결과 상호 간에 이루어지는 오퍼레이션은 본 발명의 요지를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 그 적어도 일부가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통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기술처럼 규격화되고 획일적인 자기 관리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특정한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하고 체험하여 커스터마이즈한 정보가 기록되고 저장되며, 타인에게 공유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 서비스 플랫폼을 뒷받침하는 시스템으로서 서비스 플랫폼을 위한 응용 소프트웨어, 응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되고 구동되는 모바일/컴퓨팅 단말기, 모바일/컴퓨팅 단말기와 연동되어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 플랫폼을 지원하는 분석 서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컴퓨팅 단말기 및/또는 분석 서버에서 실행될 수 있는 사용자 경험 공유 및 기록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종래 기술들을 조합하였을 때 얻어지는 자기 관리 정보는 제품 생산자가 제공하는 기본적인 정보만 포함하고 실제로 사용자가 사용할 때에는 기본적인 정보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인터넷 등에서 검색되는 자기 관리 정보는 기본적인 정보 외에 구체적인 정보(예를 들어 제품을 사용하기 위한 행동의 순서, 제품의 사용량, 제품의 사용 빈도 등)를 더 포함할 수 있지만, 정보의 생산자가 공개하는 수준의 정보만이 제공되므로, 정보의 생산자가 어떤 환경에서 사용하였는지, 그 생산자의 개인 특성 정보와 나의 개인 특성 정보가 유사하여 내가 그 사용자 경험을 공유해도 무방한 지에 대한 정보는 여전히 충분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실제로 경험하고 커스터마이즈한 사용자 경험을 기록하고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어떤 환경에서 사용하였는지, 알레르기 등 사용자의 특이한 체질, 특수한 상황, 및 사용자의 생활 습관, 및 개인의 선호도 등이 개인 특성 정보로 추출되어 사용자가 생산한 사용자 경험을 보충 설명하는 정보로서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인터랙션하는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수신하고 분석하여,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현재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하고 사용자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사용자 경험 또는 제품을 추천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가 실제로 경험하고 커스터마이즈한 사용자 경험은 실제로 검증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된 사용자 경험은 직접 데이터와 간접 데이터를 통하여 그 사용자 경험이 나타내는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효과도 평가될 수 있으므로, 인터넷 등을 검색하여 얻어지는 외부 정보보다 실제 데이터 분석을 위한 레퍼런스 데이터로서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 경험에 따른 사용자의 직접적인 리뷰, 피부 관리의 경우 피부의 상태 영상, 건강 관리의 경우 건강 관련 지표의 변동 등이 직접 데이터로 주어질 수 있고, 그 사용자의 일상 생활에서 나타나는 일기, 메모, 활동량의 변화, 행동 내역의 변화 등에 기반하여 추출될 수 있는 데이터가 간접 데이터로 주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레퍼런스 데이터를 확보함으로써 최근 발전한 데이터 사이언스, 및 데이터 분석 기술을 레퍼런스 데이터에 적용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처한 현재 상황, 사용자의 개인 특성 정보, 및/또는 사용자의 그간의 사용 내역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타인의 사용자 경험, 또는 표준화되고 추천 가능한 사용자 경험을 선택, 추론, 추출 및/또는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사용자 경험을 사용자에게 추천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사용자 경험에 대한 레퍼런스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확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경험을 쉽게 생성하고 기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효과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 편의를 개선하기 위하여 정제되고 조직화된 포맷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알려진 자기 관리를 위한 제품 외에도 신제품이 시장에 진입하였을 때, 신제품에 대한 타인의 사용자 경험을 빠르게 공유하고 신제품에 대한 효과적인 사용 방법, 사용 상의 주의사항을 포함한 안내 정보를 신속하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컴퓨팅 가능한 디바이스 및 분석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제1 사용자의 제1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110a), 제2 사용자의 제2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110b), 및 분석 서버(120)를 포함한다. 제1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110a) 및 제2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110b) 각각은 통신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분석 서버(120)와 통신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1 사용자가 자신의 자기 관리 프로세스 및 루틴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생성하는 사용자이고, 제2 사용자는 자신의 자기 관리 프로세스 및 루틴을 찾기 위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자 경험을 공유받거나 추천받는 사용자로 가정한다.
도 1에서는 제1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110a), 제2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110b)가 도시되었는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실시예일 뿐이고, 사용자는 공지의 다양한 컴퓨팅 가능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분석 서버(120)와 통신하고, 본 발명의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1 사용자가 제1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110a)를 이용하여 분석 서버(120)가 제공하는 플랫폼에 가입하거나, 로그인하는 과정, 및/또는 제2 사용자가 제2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110b)를 이용하여 분석 서버(120)가 제공하는 플랫폼에 가입하거나, 로그인하는 과정은 앞서 언급한 선행문헌 KR 10-2019-0057580 및/또는 선행문헌 KR 10-2019-0110987에서 제시되는 과정을 통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의 분석 서버(120)가 인공 신경망 학습/훈련 과정을 통하여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모두 자신의 개인 특성 정보를 설문 조사에 대한 응답을 통하여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110a, 110b)를 경유하여 분석 서버(120)로 전달할 수 있다.
분석 서버(120)는 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개인 특성 정보와, 제1 사용자가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실행한 내역을 자기 관리를 위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로 분류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분석 서버(120)는 제1 사용자의 개인 특성 정보와 제1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연관시켜 저장함으로써 제1 사용자의 개인 특성 정보 -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자기 관리 플랫폼을 지원하기 위한 백데이터로서 축적할 수 있다.
분석 서버(120)는 제1 사용자를 포함한 다수의 사용자들의 개인 특성 정보와,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기계 학습 훈련/학습 과정을 통하여 개인 특성 정보와 사용자 경험 데이터 간의 관련성을 학습할 수 있다. 기계 학습은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는 학습일 수 있다.
자기 관리 프로세스는 자신이 스스로 실시할 수 있는 액션 및 그 액션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품 또는 도구의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상태 변화에 기반하여 자신의 상태를 진단할 수 있는 자기 관리 진단 항목도 자기 관리 프로세스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상태 변화 정보는 사용자의 선호도 변화, 처음 로그인 했을 때와 다른 설문 정보 변화를 포함하며, 카메라를 통해 수집한 피부 사진 변화, 피부타입 변화, 매일매일 글로써 기록한 다이어리에 상태 변화, 제품 사용 기록에서 브랜드, 성분 등의 변화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의미할 수 있다. 상태 변화는 긍정적인 변화 외에도 부정적인 변화도 함께 포함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피부의 상태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시간 변화(시계열 정보)는 사용자가 상품 사용 기록을 한 시간, 날짜, 월 등의 변화된 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의미한다. 환경 변화(환경 정보)는 처음 설문 정보 때 수집한 사용자 주변 환경적인 요인들의 변화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주요 방문 지역, 직장 변경, 수면 시간의 변경, 사는 지역의 변경, 물 섭취량, 식단, 몸무게, 키, 스트레스 정도, 심리 상태, 결혼 유무, 임신 등의 정보 등에 대한 개인 신상의 변화와 제품 가격, 과거구매내역, 제품 성분, 안전성 정보, 시사적 정보(최근의 뉴스, 또는 트렌드) 등과 같은 제품 변경 정보 중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을 의미한다.
디바이스(110a, 110b)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모니터링되어 사용자의 선호도 또는 사용자의 관심 내역이 개인 특성 정보에 추가적으로 보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 내역, 설문 정보, 개인의 소셜 네트워크 등에 제공한 메시지를 수집한 데이터, 및/또는 센서 데이터 등으로부터 얻어지는 상태 변화, 시간 변화, 환경 변화 정보를 자연어 처리, 시계열 분석, 인공 신경망에 기반한 학습 등을 통하여 처리/분석함으로써 개인 특성 정보가 보완될 수 있다. 보완된 개인 특성 정보는 사용자가 디바이스(110a, 110b)를 이용하여 검색할 때 검색결과의 가공 또는 우선 순위의 조정 등의 방식으로 개입할 수 있다.
분석 서버(120)는 신규한 사용자인 제2 사용자의 개인 특성 정보를 인공 신경망에 입력하여, 제2 사용자에게 적합한 타인의 우수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추론할 수 있다. 추론된 사용자 경험 데이터는 제2 사용자에게 추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분석 서버(120)는 제2 사용자의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수집하고 추적하는 과정에서 분석 서버(120)가 제2 사용자의 개인 특성 정보 및 현재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제2 사용자의 현재 사용자 경험 데이터보다 제2 사용자에게 적합한 타인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추론하고, 이를 제2 사용자의 자기 관리 프로세스로서 추천할 수 있다.
분석 서버(120)가 인공 신경망을 개인 특성 정보 및 사용자 경험 데이터의 학습에 활용하는 경우, 일 단계로 데이터 균형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사용자의 개인 특성 정보에서 고연령층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분류하는 과정을 인공 신경망이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다음 단계로 더욱 고위험군의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분류하는 과정을 인공 신경망이 학습할 수 있다. 분석 서버(120)의 인공 신경망은, 마지막 단계로, 고위험군의 사용자로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사고 및 위험을 예방하고, 성공적으로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분류하는 과정에 대해서도 학습할 수 있다.
분석 서버(120)가 인공 신경망을 개인 특성 정보 및 사용자 경험 데이터의 학습에 활용하는 경우, 분석의 일 단계로 데이터 균형성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사용자의 개인 특성 정보에서 피부의 트러블을 겪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분류하는 과정이 학습될 수 있다. 다음 단계로 또한 더욱 심한 피부 트러블을 겪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분류하는 과정이 학습될 수 있다. 최종 단계로 심한 피부 트러블을 겪고 있는 사용자로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또는 적절한 피부 케어 제품을 사용하여 피부 트러블을 극복하고 성공적으로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있는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분류하는 과정이 학습될 수 있다.
이때 분석 서버(120)는 타인의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면서, 그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에 관련된 제품의 정보를 제2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상기 제품의 구매가 가능한 메뉴를 제2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110b)를 경유하여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분석 서버(120)는 타인의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그 제공 범위는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생산한 생산자의 설정에 의하여 제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생산자가 사용자 경험 데이터의 일부 항목을 공개, 또 다른 일부 항목을 조건부 공개, 나머지 항목을 비공개로 지정한 경우, 분석 서버(120)는 공개된 일부를 인공신경망 학습에 의한 추론 결과로서 제2 사용자에게 우선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2 사용자가 생산자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의 조건부 공개된 일부 항목을 제공받기를 희망하는 경우, 분석 서버(120)는 제2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110b)를 경유하여 제2 사용자가 자신의 포인트를 사용하여 조건부 공개된 일부 항목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 구입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가 지급한 포인트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의 생산자에게 지급된다. 이처럼 타인이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며 생산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포인트를 이용하여 구매할 수 있게끔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후술할 도 11 등을 통하여 구체화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실시예이다.
도 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자신의 자기 관리 프로세스 및 루틴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생성하는 제1 사용자 또는 자신의 자기 관리 프로세스 및 루틴을 찾기 위하여 다른 사용자들의 사용자 경험을 공유받거나 추천받는 제2 사용자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피부 케어(스킨 케어) 카테고리 메뉴(210), 육아(베이비 케어) 카테고리 메뉴(220), 펫 케어 카테고리 메뉴(230), 헬스케어 카테고리 메뉴(240), 및 게시판 메뉴(250)가 제공된다. 도 2의 메뉴는 하위 카테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헬스케어 카테고리에는 하위 카테고리로서 피트니스, 홈 트레이닝, 투약 관리, 질병 관리, 식단 관리 등의 카테고리가 존재할 수 있다.
피부 케어 카테고리에서는 피부의 트러블에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루틴, 피부의 미용을 위한 효과적인 루틴, 그 루틴과 관련된 미용 제품, LED 마스크와 같은 미용 기기, 화장 또는 미용을 위한 도구 등의 사용 경험이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형성할 수 있다.
육아 카테고리에서는 연령, 월령, 및 성장 단계에 따른 분유 또는 이유식 제품의 사용, 연령, 월령, 및 성장 단계에 따른 기저귀 또는 보행기 등 육아 보조 제품의 사용, 아기/어린이가 아프거나 다쳤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약품의 투여, 가정 내 치료 방법의 실시, 일상적으로 아기/어린이의 건강을 위하여 실행해야 하는 건강 관련 지표의 체크 루틴 등이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형성할 수 있다.
피트니스 또는 홈 트레이닝 카테고리에서는 특정한 운동기구의 사용 또는 특정한 운동 시퀀스가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형성할 수 있다.
< 타임라인, 시퀀스 기반의 컨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맞춤형 사용자 경험을 추출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루틴을 실제로 실행한 내역을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달력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루틴의 실행 내역이 표시된다. 도 3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도 제1 사용자 또는 제2 사용자에게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데일리 차트(310)는 루틴이 실행된 시간대가 색상을 달리 하여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데일리 차트(310)에서는 빨간색은 오전, 파란색은 오후, 초록색은 저녁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되는 데일리 또는 타임라인 기반 실행 내역이 단지 자기 관리를 위하여 자기에게만 표시되는 것이 아니라, 분석 서버(120)에 제공되고 분석 서버(120)에서 타인에게 공유될 수 있는 정제되고 조직화된 포맷으로 재구성될 수 있다. 이때 타임라인 기반 실행 내역이 정제되고 조직화된 포맷으로 재구성되는 경우, 본 출원에서는 이 정보를 '컨텍스트 정보'로 표현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응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모바일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상기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들과 연동하는 분석 서버에서는, 각자의 체질, 개인 특성, 및 생활 습관에 대한 정보를 설문 조사와 같은 형태로 사용자에게 피드백받아 사용자 개인 특성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개인 특성 정보에 대한 입력은 모바일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를 통하여 회원 가입 시, 또는 로그인 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최초에 1회 진행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응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모바일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상기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들과 연동하는 분석 서버에서는, 각 개인의 사용자 경험을 컨텍스트 정보로서 기록하고 저장할 수 있다. 컨텍스트 정보의 의미는 타임라인에 기반하여 기록된 정보, 및/또는 순서를 가지는 시퀀스(Sequence)로서 기록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분석 서버에서는 사용자 개인 특성 정보, 및 컨텍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타인의 사용자 경험(행동 경험 및/또는 제품 사용 경험)을 추론하고 추천하거나 공유하도록 제안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오늘의 루틴을 실행할 수 있는 실행 메뉴(320)를 실행한 경우, 도 4의 화면과 함께 오늘의 루틴이 제공될 수 있다.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루틴이 특정한 제품의 소모를 유도하는 경우에(화장품, 미용제품의 소모, 사용 한도 또는 내구 연한이 존재하는 제품이 수명을 다하는 경우 등을 의미할 수 있음) 부족한 제품 구매 메뉴(350)를 선택하여 횟수, 또는 내구 연한 등의 기준으로 부족하게 된 제품을 한꺼번에 또는 각 제품 별로 구매할 수 있는 메뉴로 이전한다. 이때 구매의 관련 편의 정보, 프로모션 정보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편집하거나, 실행하거나, 관련 정보를 참조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4에서는 스킨 케어가 주된 예시로서 제시되었으나, 본 발명은 스킨 케어 외에도 다른 다양한 자기 관리 프로세스에 적용될 수 있음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타이머(410)는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루틴을 실행하는 시간을 기록하여 달력에 표시하는 메뉴이다.
카메라 메뉴(420)는 루틴을 실행하기 전과 후의 상태 변화를 비교하고 기록하기 위하여 카메라 촬영 기능과 연계되는 메뉴이다.
공유 및 게시판 메뉴(430)는 현재 실행되는 루틴을 공유하거나, 다른 사용자의 루틴을 열람하고 저장할 수 있는 게시판 공유 기능과 연계되는 메뉴이다.
태스크 셀(440)은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루틴을 구성하는 세부 항목으로서, 루틴을 구성하는 단위이다. 태스크 셀(440)을 설정하는 메뉴는 루틴의 세부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이다. 태스크 카테고리, 관련되는 제품의 이름과 종류, 경과된 시간과 제품의 이미지가 제시될 수 있다. 태스크 셀(440)을 실행함으로써 태스크 셀(440)에 대응하는 루틴이 실행되고, 시간 알림 메뉴(460)가 현재 실행되는 루틴의 요약된 정보 및 경과 시간을 나타내고, 정지 메뉴(460a)가 선택되면 루틴이 중단되거나 종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경과 시간 카운트가 정지된다. 태스크 셀(440)의 오른쪽에는 태스크 셀(440)이 밀접하게 관련된 제품의 정보(440a)가 제공될 수 있다.
태스크 셀(440)을 왼쪽 스와이프(450)하는 제스쳐는 보조 메뉴(450a)를 추가로 제공한다. 루틴에 대한 부가 기능, 루틴의 편집, 관련 상품의 일람, 관련 상품의 바로 구매 기능 등이 보조 메뉴(450a)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루틴 만들기 메뉴(330)가 선택되면 도 5의 화면과 함께 루틴을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루틴을 생성하고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단계 설정 메뉴(510)에 의하여 자신만의 루틴의 총 단계 수가 설정되고 표시될 수 있다.
각 세부 루틴 설정 메뉴(520)에 의하여 세부적인 루틴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만의 루틴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도록 루틴의 세부 항목을 설정할 수 있고, 세부 항목의 시간적 순서, 세부 항목의 지속 시간, 세부 항목에 관련되는 구체적인 제품 선택(피부 케어, 투약, 미용기기 사용), 또는 행동 옵션(홈 트레이닝, 피트니스)의 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후보를 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시되는 후보는 사용자가 선택한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카테고리에 연관되어 선택적으로 제시될 수 있다. 헬스 케어, 육아 케어, 펫 케어와 관련된 행동 옵션의 경우 지속 시간과 강도가 결합되어 표시될 수도 있고, 구분되어 표시될 수도 있다.
도 5에서는 스킨 케어 카테고리의 일 예가 도시되고, 스킨 케어 카테고리에서는 루틴을 구성하는 클렌징, 피부 트러블 대응, 기초 화장, 색조 화장 등 구체적인 세부 항목, 즉, 태스크 셀의 종류가 설정될 수 있도록 미리 준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루틴의 첫번째 태스크 셀을 클렌징으로 선택한 후, 두번째 태스크 셀을 지정하기 위하여 루틴의 빈 태스크 셀을 선택하면, 미리 준비된 태스크 셀의 종류에 대한 후보들이 제시된다.
태스크 카테고리와 해당 태스크에 대응하는 화장품 또는 미용 기구 등을 검색하여 사용자의 제품을 검색하여 입력할 수 있는 메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특정 회수 또는 특정 시간 동안의 루틴이 실행되어 기록될 때마다 보상 포인트가 적립되고, 보상 포인트는 도 3의 보상 포인트 메뉴(340)를 통하여 안내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루틴의 세부 항목을 사용자가 커스터마이즈하는 과정에서 세부 항목의 시간적 순서, 세부 항목의 지속 시간, 세부 항목에 관련되는 구체적인 제품 등을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처럼 특정한 루틴을 지정하면서 그 루틴이 사용하는 제품을 지정할 수 있다. 루틴이 사용하는 제품은 후보군을 본 발명의 UI가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공되는 후보군 중에서 선택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제품이 후보군에 없는 경우 인터넷 검색 등을 통하여 그 제품을 추가할 수 있다.
제품이 아니라 행동 옵션으로 루틴의 세부 항목이 지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세안 행위 등이 여기에 속할 수 있다. 또는 스킨 케어가 아닌 다른 카테고리에서는 애완견의 산책, 건강 관리를 위한 운동 등이 행동 옵션으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실제로 실행된 루틴의 내역을 사용자의 경험 데이터로서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경험 데이터는 그 루틴이 실제로 실행된 내역이 타임라인에 기반하여 기록된 정보, 루틴이 사용자에 의하여 실제로 실행된 내역이 순서를 가지는 시퀀스로서 기록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 케어의 경우 특정한 화장품을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특정한 순서대로 화장품들을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특정한 루틴을 일정 시간 이상 사용하는 등 그 사용자만의 특별한 사용법이 사용자 경험 데이터로서 기록될 수 있다.
다른 카테고리에서도 특정한 루틴 간의 순서, 특정한 루틴이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지 여부, 등이 최종적인 자기 관리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분석서버(120)에 의하여 사용자 경험 데이터와 연계하여 분석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개인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그 결과로 인한 효과가 연계되어 분석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우수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는 타인에게 공유되고 제공되어 타인의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할 수 있다.
루틴이 특정한 제품과 연계되는 경우에는 그 제품의 사용량,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옵션의 강도 등이 사용자 경험 데이터에 상세하게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 관리 플랫폼은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세부적으로 기록하므로, 관련되는 제품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자기 관리 플랫폼은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생성할 때 제품과 관련 있는 지 여부를 별도 항목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학습할 때 관련 제품의 존재 여부 및 그 제품의 관련도를 함께 학습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인의 우수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추천할 때 그 추천되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품을 함께 추천할 수 있다.
루틴이 특정한 제품과 연계되는 경우, 그 제품이 루틴과 함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생성하며 분석 서버(120)에 의하여 루틴과 함께 식별된다.
예를 들어, 피부 미용에 효과적인 LED 마스크, 건강 관리에 유리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웨어러블 헬스케어 디바이스, 고령자의 낙상 위험을 감지하고 낙상에 의한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 기반의 스마트 힙 프로텍션 과 같은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그 사용 시간과 사용 빈도에 따라서 보상 포인트가 지급되고, 보상 포인트에 의하여 특정한 경우에 이들 장치들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이 장려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루틴(440)의 실행과 관련된 제품 정보가 제공되는 메뉴(440a)를 선택하면, 해당 제품을 구매하거나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루틴의 스와이프 제스쳐(450)를 통하여 보조 메뉴(450a)를 표출하고, 보조 메뉴(450a)에서 "바로 구매"를 선택하면 제품을 바로 구매 가능한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다.
루틴(440)을 실행하고 루틴 실행 시간(460)이 진행될 때, 사용자는 터치 외에 음성을 통하여 시작, 또는 끝과 같은 명령을 내리고 디바이스는 음성을 인식하여 정지하거나, 다음 루틴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어떤 작업을 하는지에 따라서 손이 지저분하거나 부자유스러울 때 음성 인식 기능은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일련의 연속적인 루틴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자동 모드 설정 메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자동 진행 모드가 진행되는 도중 음성 인식 또는 정지 메뉴(460a) 입력을 통하여 자동 진행 모드가 정지될 수 있다. 이때 자동 모드는 세부 항목들 간의 시간 인터벌을 설정해 두고 자동으로 진행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특정한 루틴이 특정한 제품을 이용하는 경우, 제품의 소모량을 예측하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횟수 또는 사용 연한을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있고, 루틴에 입력한 사용량과 제품의 용량에 기반하여 사용 가능한 횟수가 산출될 수도 있다. 제품이 소모된 경우 도 4의 화면에 진입하기 전 도 3의 화면에서 부족한 제품 구매 메뉴(350)가 제공될 수 있다.
< 루틴과 연계되는 제품의 구입 인터페이스 >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자기 관리 프로세스와 연계되는 상품 구입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6 및 도 7에서는 관련 제품 정보가 구매 사용자 수, 평가 점수 리부 수, 가격과 함께 제공되며, 스와이프 제스쳐에 응답하여 관련 카테고리 제품을 쇼핑할 수 있는 메뉴가 제공된다.
도 6의 화면은 도 4의 화면에서 루틴의 관련 제품을 선택한 경우에 표시될 수 있다. 도 6의 루틴 페이지 메뉴(610)를 선택하면 앞선 도 4의 루틴 페이지 메뉴를 재방문할 수 있다.
오른쪽 스와이프 제스쳐(620)는 해당 제품을 장바구니에 담는 동작으로 이어진다. 장바구니 메뉴(630)를 선택하면 장바구니 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다.
왼쪽 스와이프 제스쳐(640)는 해당 제품에 대한 판단을 보류하고 다음 제품을 선택하거나, 해당 제품을 리스트에서 삭제할 수 있는 메뉴이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것보다 구체적으로 세분화되어 해당 제품에 대한 판단을 일시적으로 보류하는 메뉴와 해당 제품을 리스트에서 삭제하기를 요청하는 메뉴를 개별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6에서도 보상 포인트 메뉴(650)에서 현재 사용자가 보유한 보상 포인트가 표시되며, 이 포인트로 해당 제품을 구매할 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바로 구매 메뉴(660)는 해당 제품에 대한 구매로 이어질 수 있다.
도 7은 장바구니 페이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만일 도 6에서 장바구니 메뉴(630)를 선택하여 장바구니 페이지를 방문한 경우에, 이전 페이지 메뉴(710)를 선택하면 이전의 도 6의 화면이 다시 표시된다. 도 7에서도 구매를 위하여 보상 포인트가 표시된다(720). 좌우로 스와이프하는 제스쳐(730, 730a)는 장바구니에 저장된 다른 제품들을 표시하도록 안내한다. 전체 구매 메뉴(740)는 장바구니 전체의 제품을 한꺼번에 구매하는 기능으로 연결되고, 바로 구매 메뉴(75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제품을 바로 구매하는 기능으로 연결된다.
삭제 메뉴(760)는 현재 표시되고 있는 제품을 장바구니에서 삭제하는 기능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요소에 대한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이용한 맞춤형 사용자 경험 추출 >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타인의 사용자 경험을 참조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사용자는 도 4의 루틴 페이지에서 소정의 메뉴(도 4에서는 도시되지는 않음)를 이용하여 타인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도록 도 8의 페이지를 방문할 수 있다.
사용자의 개인 특성 정보, 및 그간의 사용자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하다고 추천되는 타인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 즉, 타인의 루틴이 도 8을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서는 스와이프 제스쳐(810)를 통하여 현재 표시되는 루틴은 보류하고 다른 루틴을 탐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응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모바일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상기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들과 연동하는 분석 서버에서는,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이용하여 입력받는 데이터, 사용자 인터랙션에 기반하여 생성되고 저장되는 데이터, 즉, 사용자가 현재 표시되는 UI 요소 중 특정한 요소를 선택하거나 선택하지 않았을 때, 또는 특정한 요소에 대하여 판단을 보류하거나 특정한 요소를 제거하기를 원할 때 등의 상황에 따른 사용자 입력/인터랙션을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로 수신하고, UI를 경유한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타인의 사용자 경험(행동 경험 및/또는 제품 사용 경험)을 추론하고 추천하거나 공유하도록 제안할 수 있다.
이때 UI의 종류, UI가 제공되는 상황, UI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의 종류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가 적극적 응답과 소극적 응답으로 구분되고,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가 학습하거나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추론이 수행될 때 적극적 응답인지 소극적 응답인지가 고려되도록 학습 엔진 및 응용 소프트웨어가 설계될 수 있다. 적극적 응답의 예는 UI를 통하여 표시되는 특정한 요소(상품, 루틴, 다른 사람의 사용자 경험, 특정한 상품/루틴/사용자 경험에 대한 다른 사용자의 리뷰)에 대한 선택 및/또는 삭제를 들 수 있고, 소극적 응답의 예는 상기 UI를 통하여 표시되는 상기 특정한 요소에 대한 판단 보류, 단순히 선택하지 않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학습 및 추론 과정에서 학습 엔진의 설계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학습 엔진은 분석 서버에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인공 신경망의 종류에 따라서는 학습 엔진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가 모바일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이전되거나 카피되어, 모바일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학습 과정의 적어도 일부를 분석 서버와 협력하거나 분석 서버를 대신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자의 특성 및 체질 등을 포함한 정보, 예를 들어 설문 정보와 같이 사용자의 특성 및 체질에 대한 사용자의 피드백을 포함하는 사용자 개인 특성 정보가 학습 엔진을 위한 학습 데이터의 일 측면으로서 포함된다.
또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행동 경험 및/또는 제품 사용 경험)가 학습 엔진을 위한 학습 데이터의 일 측면으로서 포함된다.
학습 엔진은 사용자 개인 특성 정보 및 사용자 경험 데이터 간의 관련성을 학습한다. 이 과정에서 인공 신경망 등을 활용할 수 있고, 인공 신경망의 특수한 구조에 기반하여 사용자 개인 특성 정보 및 사용자 경험 데이터 중에서 학습 엔진의 입력 데이터와 타겟 데이터가 결정될 수 있다. 활용될 수 있는 인공 신경망은 최근 활용되고 있는 합성곱 신경망(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순환 신경망(RNN, Recurrent Neural Network), LSTM,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 및/또는 전이 학습(transfer learning) 등을 포함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설계될 수 있다.
학습 엔진은 학습 과정에서 사용자 개인 특성 정보, 컨텍스트 정보 (타임라인에 기반하여 기록된 정보 및/또는 순서를 가지는 Sequence로서 기록된 정보), UI를 경유한 사용자 응답 데이터, 및 사용자 경험 데이터 중 일부 또는 전부 간의 관련성을 학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학습 과정에서 사용자 개인 특성 정보가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를 통하여 분석 서버에 저장되고 사용자 개인 특성 정보는 학습 과정 뿐 아니라 추론 과정에서도 중요한 데이터로서 고려된다.
학습 엔진이 분석 서버 단독으로, 또는 분석 서버와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 간의 협력에 의하여 학습을 수행한 후, 사용자가 입력한 자기 관리를 위한 컨텍스트 정보가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학습 엔진(학습이 이루어진)에 전달되면, 학습 엔진은 추론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사용자 경험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사용자 경험 정보는 본 발명의 응용 소프트웨어 및/또는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추천되거나, 공유되거나, 공유되도록 제안될 수 있다.
학습 엔진이 학습을 수행한 후, UI를 경유한 사용자 응답 데이터가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학습 엔진에 전달된 경우에도, 학습 엔진은 추론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가장 적합한 사용자 경험 정보를 예측하고, 예측된 사용자 경험 정보는 본 발명의 응용 소프트웨어 및/또는 플랫폼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추천되거나, 공유되거나, 공유되도록 제안될 수 있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현재 표시되는 루틴의 상세 항목을 표시하기 위하여 루틴 보기 메뉴(820)가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저장한 루틴 보기 메뉴(830)를 통하여 이미 저장한 타인의 루틴을 참조할 수 있다. 검색 메뉴(840)는 타인의 루틴을 검색할 수 있는 메뉴이다.
미리 저장한 루틴이 아니고, 사용자의 개인 특성 정보, 지금까지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메뉴/UI에 대한 사용자의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표시된 타인의 루틴을 저장하는 액션은 저장하기 메뉴(850)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이때 타인의 루틴을 참조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보유 중인 포인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루틴을 생산한 생산자는 자신의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타인에게 공유하면서 그 대가로 포인트를 보상으로 수령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자신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평가 데이터를 확보하는 일 실시예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4의 카메라 메뉴(420)를 실행하여 카메라에 의한 스킨 케어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현재 상태 평가 데이터 확보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도 9의 촬영 버튼(910)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자기 관리 프로세스 실행 전과 후의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완료 메뉴(920)를 통하여 사용자는 도 4의 루틴 페이지를 다시 방문할 수 있다.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타인의 사용자 경험을 참조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이다.
도 8에서 저장된 루틴 보기 메뉴(830)를 실행하면 도 10의 화면이 표시된다. 도 10은 다른 사람의 SNS 및 그 SNS에서 제공되는 루틴을 표시한다.
도 10의 화면에서는 SNS의 계정 식별 화면(1010), 별점 평가(1020)가 제공될 수 있다. 루틴의 세부적인 항목은 세부 항목 메뉴(1030)를 선택함으로써 표시될 수 있다.
팔로우 메뉴(1040)를 실행하여 현재 표시 중인 루틴의 생산자를 팔로우할 수 있으며, 저장된 루틴 보기 메뉴(1050)를 통하여 저장된 다른 루틴을 탐색할 수 있다.
저장된 루틴 보기 메뉴(1050)를 이용하여 타인의 루틴을 참고할 수 있는 도 11의 화면이 표시된다. 저장된 루틴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스와이프 제스쳐를 통하여 보조 메뉴(1110)가 표시되며, 보조 메뉴(1110) 중 기능 버튼들을 실행하여 관련 루틴을 살펴보거나, 루틴을 구매할 수 있다.
도 8, 및 도 11에서는 타인의 루틴을 간략히 볼 수 있고, 도 10에서는 타인의 루틴을 비교적 상세히 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도시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루틴을 필터링, 가공, 또는 편집하여 경험 공유 플랫폼에서 타인과 공유할 수 있는 자신의 루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제로 수행한 루틴 내역들을 날짜, 시간대, 요일, 루틴에 관련되는 제품, 서비스, 또는 루틴의 카테고리 등의 기준을 이용하여 필터링하고, 일정한 조건에 부합하는 루틴들을 모아서 타인에게 공유할 수 있는 공유 루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필터링 조건은 시간(날짜, 월, 일, 시, 분), 제품, 서비스, 학습 및 업무 관련 태스크, 신체 활동, 또는 루틴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에 의하여 적용되도록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될 수 있다.
특정한 브랜드와 제품을 조합하여 필터링 조건으로 적용할 수도 있고, 각각의 카테고리 또는 사용자 경험의 종류에 기반하여 특정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수행한 내역을 필터링하여 공유 루틴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케어 카테고리) and (3월~4월) and (9시~10시) and (수분크림) and (특정 브랜드) 등의 조합에 따른 필터링이 가능하다.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필터링 조작을 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메뉴를 제공하고, 그 응답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공유 루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필터링 조건을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자신이 실제로 수행한 루틴들 중 특정한 종류의 태스크 셀을 포함하는 루틴을 필터링하여 공유 루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한 조건을 이용하여 필터링하고 가공 또는 편집한 루틴 데이터의 테마를 고려하여 해당 루틴 데이터를 특정한 명칭으로 명명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필터링 조건에 부합하는 루틴들 중 일부를 타인과 공유하지 않도록 조정할 수도 있고, 처음부터 특정한 루틴은 타인에게 공유되지 않도록 설정해 둘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오전에 진행하는 미백 루틴, 여행지에서 할 수 있는 여드름 관리 루틴 등이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타인에게 공유될 수 있도록 생성되는 테마 공유 루틴 데이터이다.
분석 서버(120)는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사용자가 필터링 조건들을 조합하여 자신만의 필터링된 공유 루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생성한 공유 루틴 데이터는 분석 서버(120)에 저장되어 타인에게 공유될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타인에게 공유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머신 러닝 기반의 인공지능과 연결되어 자기 관리 플랫폼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스마트 워치(1210), 발목에 착용하는 스마트 밴드(1220), 스마트 신발(1230), 헤드셋(1240), 스마트 힙 프로텍션/에어백(1250) 등이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예시로서 도시된다.
도 12에 도시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은 사용자의 행동, 이동 경로, 생체 신호, 및/또는 사용자의 생활 습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컴퓨팅 가능한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사용자의 자기 관리를 위한 정보를 분석하거나 추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워치(1210), 스마트 밴드(1220), 스마트 신발(1230), 헤드셋(1240) 등은 사용자의 행동, 운동 습관, 이동 경로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수집 및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자기 관리 프로세스로서 적절한 운동 지침, 가까운 거리는 걷도록 유도하는 이동 경로 등을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스마트 디바이스들은 관성 센서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낙상 또는 전도를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여 스마트 힙 프로텍션/에어백(125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에어백(1250)이 동작하여 펼쳐진 경우 펼쳐진 에어백(1250a)과 같은 형태가 될 수 있음이 도 12에 도시된다. 스마트 힙 프로텍션/에어백(1250)은 인체의 낙상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의 허리 부분에 부착 가능한 외장 케이스를 통하여 인체에 착용 가능하다. 스마트 힙 프로텍션/에어백(1250)에는 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낙상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가 포함되며, 센서에 의하여 착용자의 전도가 감지되고 낙상이 예상되는 경우 즉시 에어백을 팽창시켜 펼쳐진 에어백(1250a)의 형태가 되어 인체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펼쳐진 에어백(1250a)은 엉덩이 및 고관절을 둘러싸 낙상의 충격으로부터 고관절 부위의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스마트 힙 프로텍션/에어백(1250)은 한국특허공개공보 KR 10-2014-0119529 "인체 보호 장치, 그리고 이의 동작 제어 시스템 및 방법" 등에 공지된 사항으로부터 당업자가 자명하게 동작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 관리 플랫폼은 사용자의 체질, 특수한 상황, 및 사용자의 식습관을 포함한 생활 습관 등을 사전 설문 조사 또는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개인 특성 정보로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 관리 플랫폼은 사용자가 고령이거나 낙상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인 경우에, 타인의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여 스마트 힙 프로텍션/에어백(1250)과 같은 제품을 사용자에게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개인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타인의 사용자 경험을 추천하고, 타인의 우수한 사용자 경험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인 특성 정보에 기반하여 낙상 고위험군으로 분류된 사용자가 외출하려고 하는 의사가 있음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자기 관리 플랫폼이 인식한 경우, 스마트 힙 프로텍션/에어백(1250) 제품의 착용을 권장하는 알림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에 기록된 사용자의 일정, 사용자의 평소 생활 습관을 추적하여 사용자가 외출할 가능성이 높은 시간을 예측하고, 그 시점에 스마트 힙 프로텍션/에어백(1250) 제품의 착용을 권장하는 알림을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록해 둔 일정, 사용자의 평소 생활 습관을 고려하여 조깅, 걷기, 간단한 운동 등 외부 활동을 시작할 시간으로 예측되면, 자기 관리 플랫폼은 적절한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을 권장하고, 생체 신호 및 이동 경로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도록 스마트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을 시작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은 착용 여부, 착용 시간 등의 정보를 Wi-Fi,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 폰 또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정보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의 일 측면으로 추가될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센서 데이터로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 가속도계(accelerometer), 고도 센서(altitude sensor), 압력 센서(pressure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회전속도 센서 (rotation sensor), 중력 센서 (gravity), 회전 각속도 센서 (angular sensor), 및 만보계 (step counter)와 같은 센서를 활용한 센서 데이터가 사용자의 모션을 식별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때 rotation, gravity, angular 센서는 필요에 따라 가상 센서(virtual sensor)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와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자기 관리 플랫폼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을 유도하는 방향으로 사용자 경험 데이터의 축적 및 공유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미용을 보조하는 LED 마스크, 낙상에 의한 부상을 방지하는 스마트 힙 프로텍션/에어백,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들 수 있다.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을 유도하는 비즈니스 모델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시간과 빈도에 따라서 보상 포인트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지나치게 장시간 착용하는 경우, 피부의 질환을 일으킬 가능성도 있으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 시간을 체크하여 지나치게 장시간 착용한 경우에는 알람을 울려 잠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해제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또한 피부에 충분히 회복 시간을 주었다면 다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할 수 있으므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해제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다시 착용해도 좋다는 안내를 제공할 수도 있다.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분석 서버(120)는 사용자의 루틴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행동인 경우에,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실제로 착용한 상태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도록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함으로써 건강, 미용, 학습 또는 업무에서의 성취 등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이러한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는 타인에게 공유되어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을 권장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횟수, 및/또는 시간에 기반한 보상 포인트가 사용자에게 주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보상 포인트는 사용자에게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도록 유도하는 동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분석 서버(120)는 사용자의 루틴이 특정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루틴인 경우에,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특정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실제로 이용한 상태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도록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건강, 미용, 학습 또는 업무에서의 성취 등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이러한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는 타인에게 공유되어 특정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이용을 권장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또한 특정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횟수, 및/또는 시간에 기반한 보상 포인트가 사용자에게 주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보상 포인트는 사용자에게 특정한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동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분석 서버(120)는 사용자의 루틴이 학습 또는 업무에 관련된 태스크(task)를 수행하는 루틴인 경우에,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학습 또는 업무에 관련된 태스크를 실제로 수행하는 상태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도록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학습 또는 업무에 관련된 태스크를 수행하는 동안에 학습 또는 업무에 관련된 지식을 획득하고, 학습 또는 업무의 역량을 높이고, 학습 또는 업무를 위한 자기 계발의 시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는 타인에게 공유되어 학습 또는 업무에 관련된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한편 학습 또는 업무에 관련된 태스크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학습 또는 업무의 목표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난이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학습 또는 업무에 관련된 태스크를 수행하는 횟수, 수행하는 시간 및/또는 태스크의 난이도에 기반한 보상 포인트가 사용자에게 주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보상 포인트는 사용자에게 학습 또는 업무에 관련된 태스크를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동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분석 서버(120)는 사용자의 루틴이 특정한 신체 활동을 수행하는 루틴인 경우에,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특정한 신체 활동을 실제로 수행하는 상태의 지속 시간을 포함하도록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특정한 신체 활동을 실제로 수행하는 동안에 우수한 체력과 건강을 되찾을 수 있고, 자신감을 회복할 수 있다. 또한 건강한 신체로 인하여 만족스러운 삶을 살 수 있다. 이러한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는 타인에게 공유되어 특정한 신체 활동을 수행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한편 신체 활동은 사용자의 현재 상황 및 신체 활동의 특성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난이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천적으로 타고 난 체격, 또는 체질도 신체 활동의 난이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신체 활동을 수행하는 횟수, 수행하는 시간 및/또는 신체 활동의 난이도에 기반한 보상 포인트가 사용자에게 주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보상 포인트는 사용자에게 신체 활동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동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체 활동을 수행하는 루틴은 세부 항목/태스크 셀로 정의된 단위 신체 활동 간의 인터벌(interval)에 따라서 난이도 또는 신체 활동의 성과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실시예에 따라서는 보상 포인트는 신체 활동 간의 인터벌에 기반하여 사용자에게 주어질 수 있다.
한편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카테고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피부케어, 헬스케어, 피트니스, 외에도 홈 케어(가정 내의 케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 내의 환자, 아기의 돌봄, 또한 집 내부의 청소 등을 포함), 동식물 케어(반려동물 및 반려식물의 돌봄), 스터디, 스케줄 관리, 자산 관리, 응급 상황 관리, 업무/학습에 관련된 자기계발을 위한 태스크 수행, 신체 활동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카테고리는 상기 나열된 실시예에만 국한되지 않고, 시퀀스가 반복적으로 수행되는 자기 관리에 대한 모든 분야에 대응할 수 있다. 건설, HW/SW 설계 및 개발, 회의, 검사, 조경 케어, 경호, 재난 시 대응, 훈련, 여행, 요리, 쇼핑, 저술, 취미 관리, 수면 관리 등의 개념을 포함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카테고리는 타인의 성공적인 경험을 통하여 자신에게 동기 부여를 제공할 수 있거나, 타인의 성공적인 경험에 기반하여 자신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즐거움을 만끽하고 보다 나은 삶을 살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자기 관리 루틴에 관한 것이면 본 발명의 자기 관리 플랫폼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3은 분석 서버에서 인공 신경망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추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인공 신경망(1310)의 입력으로는 사용자의 개인 특성 정보가 주어진다. 개인 특성 정보는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설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태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 신경망(1310)은 주어진 개인 특성 정보와 사용자 경험 데이터의 관련성을 예측하는 과정을 훈련할 수 있다. 훈련된 인공 신경망(1310)에 새로운 사용자의 개인 특성 정보가 주어지면, 새로운 사용자에게 적합한 타인의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추론할 수 있다.
도 13의 인공 신경망(1310)은 사용자들의 개인 특성 정보와 그 개인 특성 정보를 보유한 사용자의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도출하는 과정을 훈련하고, 그 과정에서 분류기(classifier)의 예측 모델(prediction model)은 사용자의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류기의 예측 모델은 사용자의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구성하는 세부 프로세스, 및 세부 루틴을 추출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의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도출하는 데에 큰 기여를 한 제품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응용 분야에서 타인의 성공적인 사용자 경험 데이터는 새로운 사용자 자신의 동기 부여를 유발할 수 있다. 타인의 성공적인 경험으로부터 새로운 사용자 개인의 향상심을 촉진하는 동기 부여를 유발하는 과정(새로운 사용자 개인의 특성 정보로부터 가장 적합한 타인의 사용자 경험 정보를 예측하는 과정)이 인공 신경망들(1310)에 의하여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도면에 소개된 길이, 높이, 크기, 폭 등은 이해를 돕기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a, 110b: 모바일/컴퓨팅 디바이스
120: 분석 서버
130: 통신 네트워크

Claims (27)

  1. 서버로서, 응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되고 실행되는 컴퓨팅 가능한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할 수 있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하고,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카테고리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가 실제로 실행된 내역을 이용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제2 사용자 간의 관련도에 기반하여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의 체질, 개인 특성,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가 처한 환경, 및 생활 습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 개인 특성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개인 특성 정보 간의 관련성을 기계 학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개인 특성 정보 간의 관련성에 기반하는 상기 기계 학습 결과 및 상기 제2 사용자의 제2 개인 특성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개인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추출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가 실제로 실행된 내역이 타임라인에 기반하여 기록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가 실제로 실행된 내역이 순서를 가지는 시퀀스로서 기록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공되는 요소에 대한 상기 제2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개인 특성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 간의 관련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의 후보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의 후보 중에서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추출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즈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루틴이 실제로 실행된 내역을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수신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루틴이 실제로 실행된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생성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루틴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루틴 내의 세부 항목의 시간적 순서, 상기 세부 항목의 지속 시간, 상기 세부 항목에 관련되는 구체적인 제품, 서비스, 또는 행동 옵션, 상기 제품의 양 또는 상기 행동 옵션의 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커스터마이즈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가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메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가 상기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루틴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가 상기 루틴의 세부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루틴의 상기 세부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는 상기 세부 항목의 종류에 대한 후보를 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가 상기 세부 항목의 종류에 대한 후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이고,
    상기 루틴의 상기 세부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는 상기 세부 항목의 시간적 순서, 상기 세부 항목의 지속 시간, 상기 세부 항목에 관련되는 구체적인 제품, 서비스, 또는 행동 옵션, 상기 제품의 양 또는 상기 행동 옵션의 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후보를 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하는 사용자 경험에 관련된 데이터이고,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착용을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경우의 제3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제3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나타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횟수, 및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보상 포인트를 지급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이고,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제품 또는 상기 서비스의 이용을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용한 경우의 제3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제3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나타내는 상기 제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이용한 횟수, 및 상기 제품 또는 상기 서비스를 이용한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보상 포인트를 지급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는 학습 또는 업무에 관련된 태스크를 수행하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이고,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학습 또는 상기 업무에 관련된 상기 태스크의 수행을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학습 또는 업무에 관련된 태스크를 수행한 경우의 제3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제3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나타내는 상기 학습 또는 상기 업무에 관련된 상기 태스크를 수행한 횟수, 상기 태스크를 수행한 시간 및 상기 태스크의 난이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보상 포인트가 지급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는 신체 활동을 수행하는 사용자 경험 데이터이고,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신체 활동의 수행을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추천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가 신체 활동을 수행한 경우의 제3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생성되고,
    상기 제3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나타내는 상기 신체 활동을 수행한 횟수, 상기 신체 활동을 수행한 시간, 및 상기 신체 활동의 난이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보상 포인트를 지급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일부를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제2 사용자가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의 나머지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의 보유 포인트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중에서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생산한 생산자에게 지급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고리는 피부케어, 헬스케어, 피트니스, 홈 케어, 노약자 케어, 동식물 케어, 스터디, 스케줄 관리, 자산 관리, 응급 상황 관리, 업무/학습에 관련된 자기계발을 위한 태스크 수행, 및 신체 활동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가 제공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관련되는 제품의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20. 서버에서 실행되는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응용 소프트웨어가 설치되고 실행되는 컴퓨팅 가능한 디바이스와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통신할 수 있는 서버에서 실행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선택된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카테고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카테고리 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가 실제로 실행된 내역을 이용하여 생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의 체질, 개인 특성,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가 처한 환경, 및 생활 습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제1 개인 특성 정보와 연관되어 저장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개인 특성 정보 간의 관련성을 기계 학습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개인 특성 정보 간의 관련성에 기반하는 상기 기계 학습 결과 및 제2 사용자의 제2 개인 특성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개인 특성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가 실제로 실행된 내역이 타임라인에 기반하여 기록된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가 실제로 실행된 내역이 순서를 가지는 시퀀스로서 기록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컨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22. 삭제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에 의한 상기 응용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의하여 상기 디바이스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제공되는 요소에 대한 상기 제2 사용자의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사용자 응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제2 사용자의 상기 제2 개인 특성 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 간의 관련도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의 후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응답 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의 후보 중에서 상기 제2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검색 대상 자기 관리 프로세스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즈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루틴이 실제로 실행된 내역을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서버에 의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루틴이 실제로 실행된 내역을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 경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루틴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루틴 내의 세부 항목의 시간적 순서, 상기 세부 항목의 지속 시간, 상기 세부 항목에 관련되는 구체적인 제품, 서비스, 또는 행동 옵션, 상기 제품의 양 또는 상기 행동 옵션의 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에 의하여 커스터마이즈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디바이스를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가 자기 관리 프로세스를 설정하는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메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가 상기 자기 관리 프로세스의 루틴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가 상기 루틴의 세부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루틴의 상기 세부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는 상기 세부 항목의 종류에 대한 후보를 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가 상기 세부 항목의 종류에 대한 후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이고,
    상기 루틴의 상기 세부 항목을 설정할 수 있는 메뉴는 상기 세부 항목의 시간적 순서, 상기 세부 항목의 지속 시간, 상기 세부 항목에 관련되는 구체적인 제품, 서비스, 또는 행동 옵션, 상기 제품의 양 또는 상기 행동 옵션의 강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후보를 제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사용자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인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방법.
KR1020200039516A 2020-03-31 2020-03-31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 Active KR102363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516A KR102363533B1 (ko) 2020-03-31 2020-03-31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
PCT/KR2021/004023 WO2021201610A1 (ko) 2020-03-31 2021-03-31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516A KR102363533B1 (ko) 2020-03-31 2020-03-31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983A KR20210121983A (ko) 2021-10-08
KR102363533B1 true KR102363533B1 (ko) 2022-02-16

Family

ID=78115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516A Active KR102363533B1 (ko) 2020-03-31 2020-03-31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53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0088A (ko) * 2011-09-16 2013-03-26 조근호 개인 성공 평가를 위한 실천 평가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7521B1 (ko) * 2016-12-09 2018-08-09 울산과학기술원 사용자 경험 사례 검색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90057580A (ko) 2017-11-20 2019-05-29 박슬지 만성 피부질환 자가관리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방법
KR20190110987A (ko) 2019-09-24 2019-10-01 배종외 관리서버, 이를 포함하는 피부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1983A (ko) 2021-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20018990A (ko)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Spender et al. Wearables and the internet of things: Considerations for the life and health insurance industry
KR20200038628A (ko) 맞춤형 의료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022893B1 (ko) 반려동물 케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Coorevits et al. The rise and fall of wearable fitness trackers
CN113660904B (zh) 用户活动监测系统中的通信和用户界面控制
US20180144101A1 (en) Identifying diagnosis-relevant health information
US20160034663A1 (en) Method to increase efficiency, coverage, and quality of direct primary care
US20160042306A1 (en) Care plan regiment development
Lutze et al. Personal health assistance for elderly people via smartwatch based motion analysis
KR20150069331A (ko) 사용자 라이프 로그 생성 방법 및 시스템
JP7349078B2 (ja) リハビリ計画装置、リハビリ計画方法、及びプログラム
Kulpa et al. Approaches to assessing the impact of robotics in geriatric mental health care: a scoping review
Soto-Mendoza et al. Design of a predictive scheduling system to improve assisted living services for elders
Xu et al. Understanding people’s experience for physical activity planning and exploring the impact of historical records on plan creation and execution
Motti Assistive wearabl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Wang et al. Supporting action planning for sedentary behavior change by visualizing personal mobility patterns on smartphone
KR102363533B1 (ko)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및 서버에서 실행되는 방법
KR20250014174A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Theilig et al. Employing environmental data and machine learning to improve mobile health receptivity
Chen Smart healthcare
WO2021201610A1 (ko) 사용자 경험 기반 자기 관리 플랫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방법
Sharmin et al.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designing participant-centric smoking cessation system
Xuan et al. Habitpad: a habit-change person-centric healthcare mobile application with machine leaning and gamification features for obesity
JP7340797B2 (ja) 健康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0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2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