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185B1 - Apparatus for lifting of tubular steel pol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lifting of tubular steel po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185B1
KR102363185B1 KR1020200059796A KR20200059796A KR102363185B1 KR 102363185 B1 KR102363185 B1 KR 102363185B1 KR 1020200059796 A KR1020200059796 A KR 1020200059796A KR 20200059796 A KR20200059796 A KR 20200059796A KR 102363185 B1 KR102363185 B1 KR 10236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hook
fixture
lifting
tubul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7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42971A (en
Inventor
이원교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59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185B1/en
Publication of KR20210142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97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1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2003/286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mobile vert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dders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관형지지물 승강장치는, 발등덮개(24)가 설치된 발판(20)과, 발판(20)의 측면 일측에 지지대(20)를 매개로 관형지지물(1)에 설치된 승강고정대(3)를 사이에 두고 뒷면과 앞면에 각각 밀차되면서 승강고정대(3)의 착탈홈(5)을 향해 종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후크(40)와 제2 후크(42)를 포함하는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관형지지물(1)에 승탑 시 사용되는 기존 사다리를 없애어 관형지지물(1)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기존 사다리 설치 시 발생되었던 추가비용을 없앨 수 있고, 기존 사다리 사용 시 빈번하게 발생되었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tubular support elev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rest 20 installed with the instep cover 24, and the elevating fixture 3 installed on the tubular support 1 via the support 20 on one side of the footrest 20 as a medium between A pair of left and right portable elevators ( 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tubular support (1) by eliminating the existing ladder used when boarding the tubular support (1),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additional cost incurred when installing the existing ladder, and the existing ladder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in advance a fall accident that occurred frequently during use.

Description

관형지지물 승강장치{APPARATUS FOR LIFTING OF TUBULAR STEEL POLE}Tubular support lifting device {APPARATUS FOR LIFTING OF TUBULAR STEEL POLE}

본 발명은 종방향 분리가 가능한 관형지지물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선로 또는 통신선로 철탑 등에 사용되는 관형지지물의 승강고정대로부터 종방향 분리되는 휴대용 승강기(일명, Foot Hook)를 작업자가 양쪽 신발에 착용한 상태로 관형지지물을 승강하면서 작업할 수 있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ngitudinally separable tubular support lif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elevator (aka Foot Hook) that is longitudinally separated from a tubular support lifting fixture used for a power transmission line or a communication line pylon, etc. It relates to a tubular support lifting device that can work while lifting and lowering the tubular support while worn on both shoes.

일반적으로 철탑은 고압전력을 공급하는 송전선로를 지지하는 송전철탑, 데이터신호를 전달하는 통신선로를 지지하는 통신철탑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In general, the pylon may include both a transmission pylon supporting a transmission line for supplying high-voltage power, a communication pylon supporting a communication line transmitting a data signal, and the like.

이러한 철탑은 크게 지반에 형성되는 기초, 기초의 상부에 기립 설치되는 탑 구조를 이루는 복수 개의 지주프레임, 지주프레임을 수평 내지 경사지게 연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연결프레임 및 주프레임의 일측에 외측으로 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암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다.These pylons are largely formed in the ground, a plurality of holding frames forming a tower structure erected on top of the foundation, a plurality of connecting frames installed horizontally or obliquely connecting the holding frames, and installed to face outward on one side of the main frame It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arm frames.

한편, 철탑의 송전선로나 통신선로 등을 이상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철탑의 고소에서 송전선로나 통신선로를 지지하는 구조물을 비롯하여 송전이나 통신과 관련된 전기전자부품을 점검 및 교체하는 유지보수 작업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maintenance work in which workers inspect and replace electrical and electronic parts related to power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including structures that support power transmission lines or communication lines, at high altitudes of the pylon so that the power transmission line or communication line of the pylon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any abnormality. is carried out periodically.

이때, 철탑은 대부분 산중턱이나 산꼭대기에 설치되어 있어 고가사다리차의 접근이 불가능하여 유지보수 작업시 작업자가 직접 철탑의 고소까지 올라가야만 한다.At this time, most of the pylons are installed on the mountainside or on the top of the mountain, so it is impossible to access the elevated ladder, so the operator must go up to the height of the pylon directly during maintenance work.

즉, 철탑의 지주프레임 일면과 타면에 복수 개의 발판볼트가 상하 일정간격으로 고정 설치되어 작업자가 철탑의 고소까지 오르내릴 때 손잡이와 발판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That is, a plurality of scaffolding bolts were fixedly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olding frame of the pylon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to serve as a handle and a scaffold when the operator climbs up and down to the height of the pylon.

그러나, 발판볼트는 지주프레임에 고정되는 나사부를 제외하고는 외면이 둥그면서 매끈하여 작업자가 수부로 잡거나 족부를 딛을 때 미끄러짐이 심하여 손잡이와 발판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except for the screw part fixed to the holding frame, the footrest bolt has a round and smooth outer surface, so that the operator cannot properly function as a handle and a footrest due to severe slipping when holding with the hand or stepping on the foot.

여기서 작업자가 지주프레임을 따라 오르내릴 때나 고소작업을 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추락사고 예방을 위해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벨트와 연결할 수 있는 안전로프를 지주프레임의 일면에 걸어놓아 생명줄 역할을 하도록 하였다.Here, a safety rop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safety belt worn by the worker is hung on one side of the holding frame to act as a lifeline to prevent a fall accident that may occur when the worker goes up and down along the holding frame or when performing work at height.

이때, 안전로프는 바람에 의해 이리저리 유동하지 않고 작업자의 추락시 안전벨트가 걸리도록 지주프레임의 일면과는 복수 개의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safety rope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holding frame by a plurality of connectors so that the safety belt is caught in the event of a fall of the operator without flowing around by the wind.

상기 연결구는 지지프레임의 일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발판볼트 중의 일부를 대체한 것으로, 그 일측은 지주프레임에 체결 고정되는 나사봉으로 이루어지고그 타측은 안전로프가 통과하는 연결링으로 이루어져 있다.The coupler replaces some of the plurality of footrest bolt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one side is made of a screw rod fastened to the holding frame and the other side is made of a connecting ring through which the safety rope passes.

그러나, 연결구가 발판볼트를 대체하더라도 그 일측이 발판볼트와 같이 둥글고 매끈한 외면을 가짐에 따라 손잡이와 발판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여전히 있었으며, 안전로프가 연결링을 통과한 상태임에 따라 작업자가 오르내리기 위해서는 연결구가 있는 위치마다 안전벨트를 안전로프에서 분리하고 다시 연결하는 조작을 반복해야 해므로 불편함을 물론이고 안전벨트가 안전로프에서 분리되는 순간이 발생하여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if the connector replaces the footrest bolt, there was still a problem that one side had a round and smooth outer surface like the footrest bolt, so it could not function properly as a handle and a footrest. As the safety rope passed through the connecting ring, the operator In order to get up and down, it is necessary to repeat the operation of separating and reconnecting the seat belt from the safety rope at each location where there is a connector, so it is not only inconvenient, but also the moment when the seat belt is separated from the safety rope, resulting in a dangerous situation. have.

특히 송전선로 철탑 중 관형지지물 형태인 경우 일반 사각철탑에 비해 지표면을 기준으로 기울기가 없는 구조이므로 승강이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작업자의 안전장치로 임시방편인 안전로프를 작업자에 구비된 안전벨트에 연결하고 구조물이나 사다리에 걸어 이용한다.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tubular support type among the transmission line pylons, it is difficult to ascend and descend as it is a structure that has no inclination relative to the ground compared to a general square pylon. or by walking on a ladder.

이러한 안전로프는 철탑 지지물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부가 필요하고 이는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해 철탑이나 지지물에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작업자가 상하로 이동 시 안전로프를 기존 결속부로부터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야 하기 때문에 승강 작업 시 추락 요인 등 위험 문제를 해소하고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가진 사다리와 함께 안전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안전성 확보가 필요하다.This safety rope needs a fixing part so that it can be fixed by fastening it to the pylon support, which must be provided on the pylon or support to prevent the worker from falling. In addition, since the safety rope must be able to be combined and separated from the existing binding part when the operator moves up and down, it is necessary to secure safety by eliminating risk problems such as fall factors during lifting and installing a safety device along with a ladder with superior durability. do.

따라서, 종래의 관형지지물 조립에 사용되는 방법은 모듈형 관재를 쌓아 올리는 방법이 사용되었는데, 이러한 방법은 모듈을 조립하는 작업자가 사다리를 딛고 올라가 단재 사이에 볼트, 너트를 체결하는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발을 딛고 관형지지물을 올라갈 수 있도록 사다리가 반드시 구비되어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사다리로부터 이탈에 의한 추락 방지 기능을 갖춘 레일과 안전장구가 필요하므로 이는 관형지지물의 중량이 증가로 인한 추가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erefore, the method used for assembling the conventional tubular support is a method of stacking the modular tubes, since this method uses a method in which a worker assembling a module climbs a ladder and fastens bolts and nuts between the ends. Not only a ladder must be provided so that the worker can climb the tubular support by stepping on his or her feet, but also rails and safety gear with a fall prevention function are required. there was a problem with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0630호(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940630 (Safety Device for Fall Prevention of Steel Tower)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관형지지물에 승탑 시 사용되는 사다리를 없애어 관형지지물의 중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사다리 설치 시 발생되었던 추가비용을 없애고, 기존 사다리 사용 시 빈번하게 발생되었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in 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problems, by eliminating the ladder used when riding on the tubular support to reduce the weight of the tubular support and at the same time to eliminate the additional cost incurred when installing the ladd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ubular support lifting device that can prevent in advance a fall accident that occurred frequently when using a ladder.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관형지지물 승강장치는, 관형지지물에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고정대와, 상기 승강고정대의 가장자리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절개 형성된 착탈홈과, 작업자가 양 발에 착용한 채로 상기 착탈홈에 종방향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승강고정대를 타고 승강할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를 구성하되, A tubular support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technical problem includes a lifting fixture installed vertically on the tubular support, a plurality of incisions formed on the edge of the lifting fixture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and a detachable groove formed by an operator A pair of left and right portable elevators capabl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on an elevator fixture while being worn on both feet while being longitudinally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groove,

상기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는, 작업자의 발을 받쳐주면서 고정하도록 발등덮개가 설치된 발판과, 상기 발판의 측면 일측에 고정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착탈홈에 끼워지면서 승강고정대의 뒷면과 밀착되는 제1 후크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고정대의 앞면에 밀착되는 제2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일측에는 상기 제2 후크가 전후방으로 이동된 후 위치 고정되도록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대(30)를 관통하는 상기 제2 후크를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조절하는 걸쇠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ir of left and right portable elevators includes a footrest provided with a foot cover to be fixed while supporting the operator's feet, a support fixed to one side of the footrest, and an upper end of the support. A first hook that is installed and fitted into the removable groov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lifting fixture, and a second hook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lifting fixture, and the second hook on one side of the suppo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clasp for fixing or movably adjusting the second hook passing through the support 30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is installed so that the hook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n fixed in position.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발판의 상면 중앙에는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발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res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oot seating groove having an anti-slip function is formed.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발등덮개의 일측에는 버튼식 발등조임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one side of the instep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utton-type instep tightening part is installed.

삭제delete

삭제delete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후크와 제2 후크는 상부에서 볼 때 상기 발판의 한쪽 측면과 앞면에 위치되도록 각각 직각으로 절곡된 봉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hook and the second hook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haracterized in that when viewed from the top, the rod shape is bent at right angles to be positioned on one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scaffold.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후크와 제2 후크에 대해 상기 발판의 앞쪽에 위치한 외주면에는 상기 승강고정대와 접촉 시 마찰력을 높여주는 고무캡이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with respect to the first hook and the second hook of the present invention, a rubber cap for increasing friction when in contact with the lifting fixture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in front of the footrest, respectively.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1 후크는 상기 발판보다 높도록 상기 지지대를 매개로 상기 발판의 한쪽 측면 및 앞면과 일정 거리를 두고 직각되게 수평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hoo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a right angl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scaffold through the support so as to be higher than the scaffold.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제2 후크는 상기 발판보다 낮도록 상기 지지대를 매개로 상기 발판의 한쪽 측면 및 앞면 하부와 일정 거리를 두고 직각되게 수평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second hoo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a right angl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ide and the lower front of the scaffold through the support so as to be lower than the scaffold.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착탈홈은 상기 승강고정대의 좌측과 우측에서 승강고정대의 중앙을 향해 수평으로 일정 깊이까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another embodiment, the detachable groo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horizontally to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fting fixture toward the center of the lifting fixture.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착탈홈은 상기 승강고정대의 좌측과 우측에서 승강고정대의 중앙을 향해 일정각도로 하향되게 기울어지면서 일정 깊이까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another embodiment, the detachable groo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each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while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toward the center of the lifting fixtur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fting fixture.

본 발명의 관형지지물 승강장치는, 발등덮개가 설치된 발판과, 발판의 측면 일측에 지지대를 매개로 관형지지물에 설치된 승강고정대를 사이에 두고 뒷면과 앞면에 각각 밀차되면서 승강고정대의 착탈홈을 향해 종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후크와 제2 후크를 포함하는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관형지지물에 승탑 시 사용되는 기존 사다리를 없애어 관형지지물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기존 사다리 설치 시 발생되었던 추가비용을 없앨 수 있고, 기존 사다리 사용 시 빈번하게 발생되었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tubular support eleva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otrest on which the instep cover is installed, and the elevating fixture installed on the tubular support via a support on one side of the footrest as a medium, respectivel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detachable groove of the elevating fixture while being pushed on the back and front surfaces. Since it consists of a pair of left and right portable elevators including a first hook and a second hook that are coupled by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liminate the additional cost that has occurred, and to prevent in advance the fall accidents that occurred frequently when using the existing ladd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승강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에 적용되는 관형지지물의 승강고정대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관형지지물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가 관형지지물의 승강고정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장치가 관형지지물의 승강고정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the lifting device of Figure 1;
3 is a plan view showing a lifting fixture of a tubular support applied to the lif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tubular support of FIG. 3;
6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elevating fixture of the tubular support;
7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ev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upled to the elevating fixture of the tubular support.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to 7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ccordingly, the shap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in each drawing are sometimes illustra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determin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승강장치는, 관형지지물(1)에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고정대(3)와, 상기 승강고정대(3)의 가장자리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절개 형성된 착탈홈(5)과, 작업자가 양 발에 착용한 채로 상기 착탈홈(5)에 종방향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승강고정대(3)를 타고 승강할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를 구성한다. The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ing fixture 3 installed vertically on the tubular support 1, a plurality of detachable grooves 5 in which a plurality of cuts are formed on the edge of the lifting fixture 3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and the operator A pair of left and right portable elevators 10 capabl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on the lifting fixture 3 while being worn on the feet while being longitudinally 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groove 5 is constituted.

즉, 상기 착탈홈(5)은 후술하는 제1 후크(40)가 착탈홈(5)에서 빠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고정대(3)의 좌측과 우측에서 승강고정대(3)의 중앙을 향해 수평으로 일정 깊이까지 형성하거나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고정대(3)의 좌측과 우측에서 승강고정대(3)의 중앙을 향해 일정각도로 하향되게 기울어지면서 일정 깊이까지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detachable groove 5 is a lifting fixtur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fting fixture 3 as shown in FIG. 4 to prevent the first hook 40 from being pulled out of the detachable groove 5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horizontally toward the center of (3), or as shown in FIG. 5,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fting fixture 3 to the center of the lifting fixture 3 downward at a certain angle toward the center. It is desirable to form to a depth.

상기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는, 작업자의 발을 받쳐주면서 고정하도록 발등덮개(24)가 설치된 발판(20)과, 상기 발판(20)의 측면 일측에 고정된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3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고정대(3)의 가장자리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절개 형성된 착탈홈(5)에 끼워지면서 승강고정대(3)의 뒷면과 밀착되는 제1 후크(40)와, 상기 지지대(3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고정대(3)의 앞면에 밀착되는 제2 후크(4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The pair of left and right portable elevators 10 includes a footrest 20 provided with a foot cover 24 so as to support and fix the operator's feet, and a support 30 fixed to one side of the footrest 20, at the top of the support 30 A first hook 40 that is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lifting fixture 3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and fitted into a plurality of detachable grooves 5 cut and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lifting fixture 3, and the support 30 )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and consists of a second hook 42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elevating fixture 3 .

이때, 상기 발판(20)은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도록 상면 중앙에 발안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footrest 20 has a foot seating groove 22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o have an anti-slip function.

상기 발등덮개(24)는 상기 발판(20)의 양 측면 중앙에서 상기 발판(20)의 상측으로 아치형(Arch Type)으로 연결된 것으로서, 상기 발등덮개(24)의 일측에 작업자의 발등을 상기 발등덮개(24)를 조일 수 있도록 버튼식 발등조임부(26)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step cover 24 is connected to the upper side of the footrest 20 from the center of both sides of the footrest 20 in an arc type (Arch Type), and the instep of the operator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instep cover 24. It is preferable that the button-type instep tightening part 26 is installed so that the (24) can be tightened.

상기 지지대(30)의 앞면 중앙 일측에는 상기 제2 후크(42)가 전후방으로 이동된 후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걸쇠(32)가 설치되고, 상기 걸쇠(32)는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대(30)를 관통하는 상기 제2 후크(42)를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A clasp 32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ront center of the support 30 so that the second hook 42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n fixed in position, and the clasp 32 is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support 30 It is configured to fix or move the second hook 42 passing through it.

상기 제1 후크(40)와 제2 후크(42)는 상부에서 볼 때 상기 발판(20)의 한쪽 측면과 앞면에 위치되도록 각각 직각으로 절곡된 봉 형태로서, 상기 발판(20)의 앞쪽에 위치한 외주면에는 상기 관형지지물(1)의 승강고정대(3)와 접촉 시 마찰력을 높여주도록 고무캡(44)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The first hook 40 and the second hook 42 are in the form of rods bent at right angles so as to be positioned on one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scaffold 20 when viewed from the top, respectively, located in front of the scaffold 20 . A rubber cap 44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increase friction when in contact with the elevating fixture 3 of the tubular support 1, respectively.

이때, 상기 제1 후크(40)는 상기 발판(20)보다 높도록 상기 지지대(30)를 매개로 상기 발판(20)의 한쪽 측면 및 앞면과 일정 거리를 두고 직각되게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hook 40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a right angle to one side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caffold 20 via the support 30 so as to be higher than the scaffold 2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제2 후크(42)는 상기 발판(20)보다 낮도록 상기 지지대(30)를 매개로 상기 발판(20)의 한쪽 측면 및 앞면 하부와 일정 거리를 두고 직각되게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다. The second hook 42 is installed horizontally and perpendicularly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ide and the lower front of the scaffold 20 via the support 30 so as to be lower than the scaffold 20 .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를 착용한 상태에서 관형지지물(1)의 승강고정대(3)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착탈홈(5)을 타고 승탑하기 위해서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승강고정대(3)의 앞쪽에서 착탈홈(5)을 향해 제1 후크(40)의 앞쪽에 형성된 절곡부분측 측면 외경을 종방향으로 끼우면, 제1 후크(40)의 앞면측이 승강고정대(3)의 뒷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제2 후크(42)의 앞면측이 승강고정대(3)의 앞면에 밀착되는 상태가 된다. In order to ride on the detachable groove 5 formed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on the elevating fixture 3 of the tubular support 1 while wearing a pair of left and right portable elevators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g. 6 and 7, when the outer diameter of the side of the bent portion formed in the front of the first hook 40 toward the detachable groove 5 from the front of the lifting fixture 3 is inser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hook 40 While the front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lifting fixture 3 ,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hook 42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lifting fixture 3 .

이때, 휴대용 승강기(10)의 발판(20)에 작업자의 체중이 도 6에 표시한 화살표 A 방향과 같이 가해지면, 제1 후크(40)는 착탈홈(5)을 회전점으로 제1 후크(40)의 뒷쪽이 도 6에 표시한 화살표 B1 방향과 같이 승강고정대(3)의 앞쪽에서 하부로 회전되려는 작용과 제1 후크(40)의 앞쪽이 도 6에 표시한 화살표 B2 방향과 같이 승강고정대(3)의 뒷쪽에서 상부로 회전하려는 반작용에 의해 지지되고, 제2 후크(42)는 도 6에 표시한 화살표 C 방향과 같이 승강고정대(3)의 앞면에 밀착되어 지지됨으로써 제1 후크(40)와 제2 후크(42)는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weight of the operator is applied to the footrest 20 of the portable elevator 10 as indicated by the arrow A in FIG. 6 , the first hook 40 uses the detachable groove 5 as the rotation point for the first hook ( 40) is rotated from the front to the bottom of the lifting fixture 3 as shown in the direction of arrow B1 shown in FIG. 6 and the front of the first hook 40 is in the direction of arrow B2 shown in FIG. 6 as shown in the direction of arrow B2 (3) is supported by the reaction to rotate from the rear to the upper side, and the second hook 42 is support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ide of the lifting fixture 3 as shown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shown in FIG. ) and the second hook 42 are maintained in a horizontal state.

이에 따라 작업자는 양 발이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에 착용된 상태로 안정되게 서 있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측 휴대용 승강기(10)와 우측 휴대용 승강기(10)를 승강고정대(3)의 가장자리 좌측과 우측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된 다수개의 착탈홈(5)을 좌측 및 우측 또는 우측 및 좌측 교번되게 옮겨가면서 승강고정대(3)의 소정 높이까지 오르거나 내려올 수 있다.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not only stand stably with both feet worn on the pair of left and right portable elevators 10, but also attach the left portable elevator 10 and the right portable elevator 10 to the left edge of the elevator fixture 3 It is possible to ascend or descend to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hoisting fixture 3 while alternately moving a plurality of detachable grooves 5 formed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r alternately left and right or right and left.

그리고 제1 후크(40)의 앞쪽과 제2 후크(42)의 앞쪽은 고무캡(44)이 각각 씌워진 구조이기 때문에 승강고정대(3)를 사이에 두고 뒷면과 앞면에 각각 접촉될 때 마찰력을 높여주기 때문에 휴대용 승강기(10)가 승강고정대(3)를 타고 승강할 때 움직이거나 미끄러는 것을 예방하여 주게 된다. And since the front side of the first hook 40 and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hook 42 are each covered with a rubber cap 44, the friction force is increased when the elevating fixture 3 is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side and the front side when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is prevents the portable elevator 10 from moving or sliding when the portable elevator 10 rides the elevator fixture 3 and ascends and descends.

또한, 휴대용 승강기(10)의 발판(20)에 형성된 발안착홈(22)은 작업자가 발이 발판(20)을 벗어나지 않도록 잡아줌과 동시에 발안착홈(22)의 표면에 처리된 미끄럼방지 기능에 의해 발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ot rest groove 22 formed in the footrest 20 of the portable elevator 10 holds the operator's foot so that the foot does not deviate from the footrest 20, and at the same time, the anti-slip function treated on the surface of the foot rest groove 22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lipping of the foot by this,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in advance.

이 처럼, 본 발명의 관형지지물 승강장치는, 발등덮개(24)가 설치된 발판(20)과, 발판(20)의 측면 일측에 지지대(20)를 매개로 관형지지물(1)에 설치된 승강고정대(3)를 사이에 두고 뒷면과 앞면에 각각 밀차되면서 승강고정대(3)의 착탈홈(5)을 향해 종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후크(40)와 제2 후크(42)를 포함하는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관형지지물(1)에 승탑 시 사용되는 기존 사다리를 없애어 관형지지물(1)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기존 사다리 설치 시 발생되었던 추가비용을 없앨 수 있고, 기존 사다리 사용 시 빈번하게 발생되었던 추락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is way, the tubular support lif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rest 20 installed with the foot cover 24, and the lifting fixture 3 installed on the tubular support 1 through the support 20 on one side of the footrest 20 as a medium ) of a pair of left and right including a first hook 40 and a second hook 42 that are longitudinally coupled toward the detachable groove 5 of the elevating fixture 3 while being pushed on the rear and front surfaces respectively with the intervening Since it consists of a portable elevator (1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tubular support (1) by eliminating the existing ladder used when boarding the tubular support (1),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additional cost incurred when installing the existing ladder. ,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fall accidents that occurred frequently when using the existing ladder.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implemented wit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idea to which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applied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have to see

1 : 관형지지물 3 : 승강고정대
5 : 착탈홈
10 : 휴대용 승강기 20 : 발판
22 : 발바닥안착홈 24 : 발등덮개
26 : 덮개조임부 30 : 지지대
32 : 걸쇠 40 : 제1 후크
42 : 제2 후크 44 : 고무캡
1: tubular support 3: elevating fixture
5: Removal home
10: portable elevator 20: scaffold
22: sole seating groove 24: instep cover
26: cover tightening part 30: support
32: clasp 40: first hook
42: second hook 44: rubber cap

Claims (11)

관형지지물(1)에 수직으로 설치된 승강고정대(3)와, 상기 승강고정대(3)의 가장자리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절개 형성된 착탈홈(5)과, 작업자가 양 발에 착용한 채로 상기 착탈홈(5)에 종방향 결합 또는 분리되면서 승강고정대(3)를 타고 승강할 수 있는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를 구성하되,
상기 좌우 한 쌍의 휴대용 승강기(10)는,
작업자의 발을 받쳐주면서 고정하도록 발등덮개(24)가 설치된 발판(20)과,
상기 발판(20)의 측면 일측에 고정된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30)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착탈홈(5)에 끼워지면서 승강고정대(3)의 뒷면과 밀착되는 제1 후크(40)와,
상기 지지대(30)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고정대(3)의 앞면에 밀착되는 제2 후크(4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30)의 일측에는 상기 제2 후크(42)가 전후방으로 이동된 후 위치 고정되도록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대(30)를 관통하는 상기 제2 후크(42)를 고정 또는 이동 가능하게 조절하는 걸쇠(3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A lifting fixture 3 installed vertically on the tubular support 1, a plurality of detachable grooves 5 incised at regular intervals up and down on the edge of the lifting fixture 3, and the worker wearing the A pair of left and right portable elevators 10 that can be lifted by riding on the elevator fixture 3 while being longitudinally coupled or separated in the detachable groove 5 are constituted,
The pair of left and right portable elevators 10,
A footrest 20 on which the instep cover 24 is installed to support and fix the operator's feet,
A support 30 fixed to one side of the side of the footrest 20,
at the top of the support 30 A first hook 40 that is installed and fitted into the detachable groove 5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elevating fixture 3,
and a second hook 42 that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3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elevating fixture 3,
On one side of the support 30 , the second hook 42 passing through the support 30 is fixed or movable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hook 42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and then fixed in position. Tubular support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latch 32 is install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판(20)의 상면 중앙에는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는 발안착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ubular support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foot seating groove (22) having an anti-slip func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ootrest (2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등덮개(24)의 일측에는 버튼식 발등조임부(26)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tubular support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button-type instep tightening part 26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step cover 24.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40)와 제2 후크(42)는 상부에서 볼 때 상기 발판(20)의 한쪽 측면과 앞면에 위치되도록 각각 직각으로 절곡된 봉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hook (40) and the second hook (42) is a tubular support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viewed from the top to be positioned on one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footrest (20) in the form of a rod bent at right angles, respectively.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40)와 제2 후크(42)에 대해 상기 발판(20)의 앞쪽에 위치한 외주면에는 상기 승강고정대(3)와 접촉 시 마찰력을 높여주는 고무캡(44)이 각각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first hook 40 and the second hook 42 with respect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located in front of the footrest 20, the rubber cap 44 that increases the frictional force when in contact with the lifting fixture 3 is coupled to each A tubular support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후크(40)는 상기 발판(20)보다 높도록 상기 지지대(30)를 매개로 상기 발판(20)의 한쪽 측면 및 앞면과 일정 거리를 두고 직각되게 수평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hook 40 is a tubular suppor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a right angl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ide and the front side of the scaffold 20 via the support 30 so as to be higher than the scaffold 20 lift devi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 후크(42)는 상기 발판(20)보다 낮도록 상기 지지대(30)를 매개로 상기 발판(20)의 한쪽 측면 및 앞면 하부와 일정 거리를 두고 직각되게 수평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hook 42 is a tubular typ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horizontally at a right angle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one side and the lower front side of the scaffold 20 through the support 30 so as to be lower than the scaffold 20 support lifting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홈(5)은 상기 승강고정대(3)의 좌측과 우측에서 승강고정대(3)의 중앙을 향해 수평으로 일정 깊이까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tachable groove (5) is a tubular support lif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fting fixture (3) horizontally toward the center of the lifting fixture (3) to a predetermined depth.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착탈홈(5)은 상기 승강고정대(3)의 좌측과 우측에서 승강고정대(3)의 중앙을 향해 일정각도로 하향되게 기울어지면서 일정 깊이까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형지지물 승강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detachable groove (5) is inclined downward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ifting fixture (3) toward the center of the lifting fixture (3) to a predetermined depth.
KR1020200059796A 2020-05-19 2020-05-19 Apparatus for lifting of tubular steel pole KR1023631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796A KR102363185B1 (en) 2020-05-19 2020-05-19 Apparatus for lifting of tubular steel p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796A KR102363185B1 (en) 2020-05-19 2020-05-19 Apparatus for lifting of tubular steel po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971A KR20210142971A (en) 2021-11-26
KR102363185B1 true KR102363185B1 (en) 2022-02-15

Family

ID=78700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796A KR102363185B1 (en) 2020-05-19 2020-05-19 Apparatus for lifting of tubular steel po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18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24375A (en) * 2022-11-24 2023-03-03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Electric power movable type steel pipe lifting and descending mechanis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0093A (en) * 2011-03-30 2012-10-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Porcelain insulator lifting tool
KR101971019B1 (en) * 2018-04-25 2019-04-22 (주)바이브록 Overshoes for climbing steel-frame structur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4171Y2 (en) * 1992-06-01 1998-06-11 朝日金属精工株式会社 Elevating ladder with fall prevention device
KR20060079956A (en) * 2005-01-04 2006-07-07 김철한 Non slip device join with shoes
KR101940630B1 (en) 2018-03-26 2019-01-21 주식회사 신신전력 Safety device for fall prevention of steel tow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0093A (en) * 2011-03-30 2012-10-2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Porcelain insulator lifting tool
KR101971019B1 (en) * 2018-04-25 2019-04-22 (주)바이브록 Overshoes for climbing steel-frame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971A (en)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7832B1 (en) Lifting auxiliary
KR102363185B1 (en) Apparatus for lifting of tubular steel pole
CN102691474A (en) Maintenance platform
US20120073901A1 (en) Passenger Or Load Raising Aid
CA2539883C (en) Apparatus for escaping area of accident
KR102241781B1 (en) Height-adjustable movable work platform
KR20210041451A (en) Safety belt preventing fall from electric pole
CN210044719U (en) Anti-falling device for steel pipe pole
JP4737475B1 (en) Ladder attachment
CN111998317B (en) Protection type railway signal equipment installation support convenient to maintain
KR20090036095A (en) A refuge stair and bench
KR102219389B1 (en) Safety scaffold for utility pole
CN215057032U (en) A high altitude construction cat ladder for bridge construction
US7232009B1 (en) Ascension/descension apparatus and method
JP3218243U (en) Snow removal equipment
CN109138824B (en) Rotary telescopic movable ladder
KR102437370B1 (en) Climbing devic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of falling-prevention
US11220829B2 (en) System for the safety of workers installing escalators
CN206179290U (en) Simulate trainer of fleing
CA2943729C (en) Fall arrester and ladder fall prevention system
CN216023044U (en) Electric power construction safety climbing device
CA2514339A1 (en) Climbing aid
CN204283201U (en) Tower room integrated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Anti-drop ladder thereof
CN219299202U (en) High-altitude operation safety cat ladder of booster station
GB2241257A (en) Securing rope to overhea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