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3042B1 -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구비된 센서등 - Google Patents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구비된 센서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3042B1
KR102363042B1 KR1020210095874A KR20210095874A KR102363042B1 KR 102363042 B1 KR102363042 B1 KR 102363042B1 KR 1020210095874 A KR1020210095874 A KR 1020210095874A KR 20210095874 A KR20210095874 A KR 20210095874A KR 102363042 B1 KR102363042 B1 KR 102363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ower
led
sensor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5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택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컨텍
Priority to KR1020210095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3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3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3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20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to light source life; for protection
    • H05B47/29Circuits providing for substitution of the light source in case of its fail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7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detecting the proximity, the presence or the movement of an object or a pers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presence or movement of objects or living be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센서등의 컨버터와 LED광원모듈 및 센서모듈과 비상 절체기를 일시에 서로 연결 및 배전하여 상시동작이 가능한 센서등에 대하여 상시 전원(AC)이 LED 컨버터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센서는 정상 동작(ON/OFF, DIMMING)을 하다가 비상시 상시전원 공급이 중단된 후 비상 전원(DC)이 릴레이에 접점이 변경되면서 비상 절체선을 통하여 LED컨버터의 출력이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바로 LED로 전원을 공급하여 센서동작은 하지 않고 계속 LED가 상시동작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구비된 센서등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ON)되는 LED 광원 모듈(10)과, 상기 LED 광원모듈(10)과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LED 광원모듈(1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변환하는 LED 컨버터(20)와, 상기 LED 컨버터(20)에서 공급된 전원을 상기 LED 광원모듈(10)으로 공급하거나, 비상시 비상전원이 상기 LED 광원모듈(10)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센서모듈(30) 및 상시 전원(AC)과 비상전원(DC)을 공급받되, 평상시에는 상시 전원(AC)을 상기 LED 컨버터(20)에 공급하고, 비상시 상시전원(AC)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비상 전원(DC)을 상기 센서모듈(30)로 공급하도록 릴레이가 구성된 비상절체기(40)에 대하여, 상기 LED광원모듈(10), LED 컨버터(20), 센서모듈(30) 및 비상 절체기(40)가 멀티 단자 케이블에 의해 일시에 서로 연결 및 배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구비된 센서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구비된 센서등{Multi-cable terminal for sensors light}
본 발명은 멀티단자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센서등의 컨버터와 LED광원모듈 및 센서모듈과 비상 절체기를 일시에 서로 연결 및 배전하여 비상시 LED 구동을 위한 상시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센서등에 비상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상시동작이 가능하도할 수 있는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구비된 센서등에 관한 것이다.
비상등은 아파트나 대형 빌딩의 실내, 복도 및 계단 등에 설치되어, 상용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비상시에 점등된다. 비상등은 건물에 설치되는 자가발전기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하여 점등 유지된다.
센서등은 가정의 현관, 아파트의 엘리베이터, 계단 또는 복도 등에 설치되고,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하며, 인체가 감지되었을 때, 설정된 시간 동안 점등 후 소등된다.
이와 같이, 계단이나 복도에는 비상 통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비상등이 설치되고, 인체를 감지하기 위하여 센서등이 설치된다. 그리고 가정의 현관에는 비상등이 설치되지 않고 인체를 감지하는 센서등이 설치된다.
비상등과 센서등의 분리 설치로 인하여, 배선이 복잡하고, 설치 비용이 상승된다. 또한, 비상용 자가발전기의 설치에 따른 유지 관리 비용이 추가된다.
이와 같은 고비용에도 불구하고, 예를 들어, 가정에 화재가 발생되어 전원이 차단되면, 현관에 비상등이 존재하지 않는 상황에서, 센서등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 즉 위급한 상황에서 탈출 통로 확보가 어려워진다.
한편 최근에는 최근 에너지 절감효과가 뛰어나고 친환경적인 LED(light-emitting diode) 조명이 각광받고 있다. LED 조명은 백열등이나 형광등에서 사용되는 스위치, 조명 배선 및 소켓에 램프를 LED 램프로 교체하여 구성되고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20-0031753호 - 비상전원을 포함하는 센서등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92098호 - 센서를 포함한 LED 자동제어 조명등 특허문헌 3 :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특허 10-2012-0018964호 - 엘이디 센서등 겸용 비상 조명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센서등의 컨버터와 LED광원모듈 및 센서모듈과 비상 절체기를 일시에 서로 연결 및 배전하여 상시동작이 가능한 센서등에 대하여 상시 전원(AC)이 LED 컨버터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센서는 정상 동작(ON/OFF, DIMMING)을 하다가 비상시 상시전원 공급이 중단된 후 비상 전원(DC)이 릴레이에 접점이 변경되면서 비상 절체선을 통하여 LED컨버터의 출력이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바로 LED로 전원을 공급하여 센서동작은 하지 않고 계속 LED가 상시동작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구비된 센서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ON)되는 LED 광원 모듈(10)과, 상기 LED 광원모듈(10)과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LED 광원모듈(1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변환하는 LED 컨버터(20)와, 상기 LED 컨버터(20)에서 공급된 전원을 상기 LED 광원모듈(10)으로 공급하거나, 비상시 비상전원이 상기 LED 광원모듈(10)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센서모듈(30) 및 상시 전원(AC)과 비상전원(DC)을 공급받되, 평상시에는 상시 전원(AC)을 상기 LED 컨버터(20)에 공급하고, 비상시 상시전원(AC)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비상 전원(DC)을 상기 센서모듈(30)로 공급하도록 릴레이가 구성된 비상절체기(40)에 대하여, 상기 LED광원모듈(10), LED 컨버터(20), 센서모듈(30) 및 비상 절체기(40)가 멀티 단자 케이블에 의해 일시에 서로 연결 및 배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구비된 센서등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비상절체기(40)의 상기 릴레이는, 평상시에는 릴레이 1번, 3번에서 릴레이 7번, 9번을 통해 상기 LED 컨버터(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비상시에는 상기 1번, 3번에서 릴레이에 10번 11번 코일에 전원(DC)이 공급되면서 릴레이에 접점이 접점이 1번->4번, 3번->6번, 2번->5번으로 변경되면서 비상 절체선을 통하여 상기 LED 광원모듈(10)이 상시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비상절체기(40)는 비상시 상기 LED 컨버터(20)에는 상시전원(AC) 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LED 컨버터(20) 역시 상시전원 공급 중단에 따라 상시전원의 변환이 중단되고, 비상시에는 상기 센서모듈(30)는 센싱 동작은 하지 않고 상기 LED 광원모듈(10)으로 상기 비상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센서등의 컨버터와 LED광원모듈 및 센서모듈과 비상 절체기를 일시에 서로 연결 및 배전할 수 있다.
둘째, 상시동작이 가능한 센서등에 대하여 상시 전원(AC)이 LED 컨버터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센서는 정상 동작(ON/OFF, DIMMING)을 하다가 비상시 상시전원 공급이 중단된 후에 비상 전원(DC)이 릴레이에 접점이 변경되면서 비상 절체선을 통하여 LED컨버터의 출력이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바로 LED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센서동작은 하지 않고 LED는 계속해서 상시동작 가능하도록 할 수 있도록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센서등의 컨버터와 LED광원모듈 및 센서모듈과 비상 절체기를 일시에 서로 연결 및 배전할 수 있도록 하여 상용 전원과 비상 전원의 공급/차단이 안전하고 정확하게 실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적용된 비상시 상시동작이 가능한 센서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를 구현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적용된 비상시 상시동작이 가능한 센서등에서 비상 절체기의 회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적용된 비상시 상시동작이 가능한 센서등에서 비상 절체기의 릴레이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적용된 비상시 상시동작이 가능한 센서등에서 비상 절체기의 결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을 적용한 비상시 상시동작이 가능한 센서등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을 적용한 비상시 상시동작이 가능한 센서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를 구현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을 적용한 비상시 상시동작이 가능한 센서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ON)되는 LED 광원모듈(10)과, 상기 LED 광원모듈(10)과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LED 광원모듈(1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변환하는 LED 컨버터(20)와, 상기 LED 컨버터(20)에서 공급된 전원을 상기 LED 광원모듈(10)으로 공급하거나, 비상시 비상전원이 상기 LED 광원모듈(10)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센서모듈(30) 및 상시 전원(AC)과 비상전원(DC)을 공급받고, 평상시에는 상시 전원(AC)을 상기 LED 컨버터(20)에 공급하고, 비상시 상시전원(AC)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비상 전원(DC)을 상기 센서모듈(30)로 공급하도록 릴레이가 구성된 비상절체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에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1~5)이 제 1 내지 제5 단자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천정에 고정 설치되는 센서등의 LED 광원모듈(10), LED 컨버터(20), 센서 모듈(30) 및 비상 절체기(40)를 일시에 서로 연결 및 배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은 제1 내지 제5 단자(1~5)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 1 내지 제5 단자(1~5)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의 제1, 제4 및 제5단자(1, 4, 5)는 상기 센서모듈(30)에 연결되고, 상기 제2단자(2)는 LED 컨버터(20)에 연결되며, 상기 제3단자(3)는 상기 비상절체기(4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5단자(1~5)는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을 적용한 비상시 상시동작이 가능한 센서등에서 비상 절체기의 회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을 적용한 비상시 상시동작이 가능한 센서등에서 비상 절체기의 결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을 적용한 비상시 상시동작이 가능한 센서등에서 비상 절체기의 릴레이 회로도이며,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을 적용한 비상시 상시동작이 가능한 센서등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진들이다.
여기서 LED 광원모듈(10)은 아파트와 연립 주택이나 개별 주택, 빌라, 건물의 복도 등 사무실을 포함하는 각 세대의 신발장이나 계단 및 통로 등 사람의 출입이 잦은 곳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센서모듈(30)가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ON)된다.
LED 컨버터(20)는 LED 광원모듈(10)과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LED 광원모듈(1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변환하여 센서모듈(30)로 공급한다.
센서모듈(30)는 LED 광원모듈(10)과 역시 일체형으로 구비되며, 평상시에는 센싱결과에 따라 LED 컨버터(20)에서 변환된 전원을 LED 광원모듈(10)으로 공급하고, 비상시에는 센싱동작을 중단하고, 비상절체기(40)에서 공급된 전원을 LED 광원모듈(10)으로 바로 공급한다.
비상절체기(40)는 상시 전원(AC)과 비상전원(DC)을 공급받고, 평상시에는 상시 전원(AC)을 LED 컨버터(20)에 공급하고, 비상시 상시전원(AC) 공급이 중단되면 비상 전원(DC)을 센서모듈(30)로 공급하도록 릴레이가 구성된다.
이를 도 4 내지 도 6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평상시에는 릴레이 1번, 3번에서 릴레이 7번, 9번을 통해 LED 컨버터(2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에 따라 LED 컨버터(20)는 상시전원을 변환하여 센서모듈(30)를 통해 LED 광원모듈(10)으로 변환된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센서모듈(30)는 정상 동작(ON/OFF, DIMMING)을 하다가 비상시 상시전원(AC) 공급이 중단되면 LED 컨버터(20) 역시 상시전원 공급 중단에 따라 상시전원의 변환이 중단된다.
한편 비상절체기(40)는 비상 전원(DC)을 통해 릴레이 1번, 3번에서 릴레이에 10번 11번 코일에 전원(DC)이 공급되면서 릴레이에 접점이 변경(1번->4번, 3번->6번, 2번->5번)되면서 비상 절체선을 통하여 LEDLED 컨버터(20)의 출력이 센서모듈(3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바로 LED 광원모듈(10)로 비상전원(DC)을 공급하여 센서동작은 하지 않고 계속 LED가 상시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비상절체기(40)와 센서모듈(30) 및 LED 컨버터(20) 구성 및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을 적용한결선의 실시예는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다.
이상과 같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5 :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
10 : LED 광원모듈 20 : LED 컨버터
30 : 센서모듈 40 : 비상절체기

Claims (3)

  1.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동작(ON)되는 LED 광원 모듈(10)과, 상기 LED 광원모듈(10)과 일체형으로 구비되어 LED 광원모듈(10)에서 필요로 하는 전원을 변환하는 LED 컨버터(20)와, 상기 LED 컨버터(20)에서 공급된 전원을 상기 LED 광원모듈(10)으로 공급하거나, 비상시 비상전원이 상기 LED 광원모듈(10)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센서모듈(30) 및 상시 전원(AC)과 비상전원(DC)을 공급받되, 평상시에는 상시 전원(AC)을 상기 LED 컨버터(20)에 공급하고, 비상시 상기 상시 전원(AC)의 공급이 중단되면 상기 비상 전원(DC)을 상기 센서모듈(30)로 공급하도록 릴레이가 구성된 비상절체기(40)에 대하여,
    상기 LED광원모듈(10), LED 컨버터(20), 센서모듈(30) 및 비상 절체기(40)가 멀티 단자 케이블에 의해 일시에 서로 연결 및 배전된 것으로,
    상기 비상절체기(40)의 상기 릴레이는,
    평상시에는 릴레이 1번, 3번에서 릴레이 7번, 9번을 통해 상기 LED 컨버터(2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비상시에는 상기 1번, 3번에서 릴레이에 10번, 11번 코일에 전원(DC)이 공급되면서 릴레이에 접점이 접점이 1번->4번, 3번->6번, 2번->5번으로 변경되면서 비상 절체선을 통하여 상기 LED 광원모듈(10)이 상시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비상절체기(40)는,
    비상시 상기 LED 컨버터(20)에는 상시전원(AC) 공급이 중단되어 상기 LED 컨버터(20) 역시 상시전원 공급 중단에 따라 상시전원의 변환이 중단되고,
    비상시에는 상기 센서모듈(30)는 센싱 동작은 하지 않고 상기 LED 광원모듈(10)으로 상기 비상전원이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멀티 단자 케이블은 합성수지 재질의 제1 내지 제5 단자(1~5)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지 제5 단자(1~5)가 일체형으로 연결된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의 상기 제2단자(2)는 상기 LED 컨버터(20)에 연결되며, 상기 제3단자(3)는 상기 비상절체기(4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제4 및 제5단자(1, 4, 5)는 상기 센서모듈(30)에 연결되며, 상기 센서모듈(30)의 상기 제5단자(5)는 상기 비상절체기(40)에 연결된 상기 제3단자(3)로부터의 비상전원(DC)을 상기 센서모듈(30)의 상기 제4단자(4)를 통해 공급받아 비상 시 상기 LED 광원모듈(10)로 공급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센서모듈(30)은 평상시에는 센싱결과에 따라 상기 LED 컨버터(20)에서 변환된 상기 전원(AC)을 상기 LED 광원모듈(10)으로 공급하고, 비상시에는 센싱동작을 중단하고, 상기 비상절체기(40)에서 공급된 전원을 상기 LED 광원모듈(10)으로 바로 공급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구비된 센서등.
  2. 삭제
  3. 삭제
KR1020210095874A 2021-07-21 2021-07-21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구비된 센서등 KR102363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874A KR102363042B1 (ko) 2021-07-21 2021-07-21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구비된 센서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5874A KR102363042B1 (ko) 2021-07-21 2021-07-21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구비된 센서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3042B1 true KR102363042B1 (ko) 2022-02-16

Family

ID=8047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5874A KR102363042B1 (ko) 2021-07-21 2021-07-21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구비된 센서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304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964A (ko) 2010-08-24 2012-03-06 (주)삼정전기 엘이디 센서등 겸용 비상 조명
KR101292098B1 (ko) 2012-12-07 2013-08-08 주식회사 포시 센서를 포함한 led 자동제어 조명등
KR101469836B1 (ko) * 2014-05-29 2014-12-08 (주)대아전기 내구성과 조명 효율을 향상시킨 led 조명시스템
KR101742867B1 (ko) * 2015-04-27 2017-06-01 권도영 정전 시 비상전원으로 자동 절환 되는 엘이디 센서등
KR102043584B1 (ko) * 2019-01-31 2019-11-12 주식회사 삼광전기 전원 절체를 이용한 비상과 상시 겸용 센서 등기구 컨버터
KR20200031753A (ko) 2018-09-15 2020-03-25 함덕주 비상전원을 포함하는 led 센서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8964A (ko) 2010-08-24 2012-03-06 (주)삼정전기 엘이디 센서등 겸용 비상 조명
KR101292098B1 (ko) 2012-12-07 2013-08-08 주식회사 포시 센서를 포함한 led 자동제어 조명등
KR101469836B1 (ko) * 2014-05-29 2014-12-08 (주)대아전기 내구성과 조명 효율을 향상시킨 led 조명시스템
KR101742867B1 (ko) * 2015-04-27 2017-06-01 권도영 정전 시 비상전원으로 자동 절환 되는 엘이디 센서등
KR20200031753A (ko) 2018-09-15 2020-03-25 함덕주 비상전원을 포함하는 led 센서등
KR102043584B1 (ko) * 2019-01-31 2019-11-12 주식회사 삼광전기 전원 절체를 이용한 비상과 상시 겸용 센서 등기구 컨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8166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and three way occupancy sensor
US8339054B2 (en) Motion sensor switch for 3-way light circuit and method of lighting control using the same
JP5679197B2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
US8502470B2 (en) DC distribution system
US9685054B2 (en) Mounting bracket including emergency lighting
US20100225166A1 (en) Bi-Level Switching With Power Packs
KR102363042B1 (ko) 센서등용 멀티 단자 케이블이 구비된 센서등
KR101723305B1 (ko) 통합모듈을 가지는 비상등 겸용 센서등
KR101141249B1 (ko) 엘이디 센서등 겸용 비상 조명
KR20200118977A (ko) 엘이디 센서등 제어 장치
US20220183129A1 (en) Lighting device, system comprising lighting device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ystem
KR101545247B1 (ko) 분배 유닛을 구비한 비상 조명 구동 시스템
KR101256963B1 (ko) 센서등의 전원 공급 회로
KR102212122B1 (ko) 2선 1전등식 비상전원공급장치가 내장된 분전반 및 그를 이용하는 비상조명등기구
KR20210047161A (ko) 비상등 기능을 제공하는 센서등용 전원공급장치
US20140285117A1 (en) Lighting Baton
KR20090001199U (ko) 비상등 기능을 갖는 조명장치
US20090237919A1 (en) Illuminating device
TWI678851B (zh) 開關裝置
JP2017004653A (ja) 照明制御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2018113232A (ja) 照明装置
CN211531387U (zh) 室内灯光自动控制系统
KR20090011276U (ko) 비상 겸용 야간 점등 led
KR200420446Y1 (ko) 기존 건물용 조명 자동제어 장치
FI114194B (fi) Valaisimien ryhmävalvon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