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2122B1 -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건조부 받침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건조부 받침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2122B1
KR102362122B1 KR1020200013212A KR20200013212A KR102362122B1 KR 102362122 B1 KR102362122 B1 KR 102362122B1 KR 1020200013212 A KR1020200013212 A KR 1020200013212A KR 20200013212 A KR20200013212 A KR 20200013212A KR 102362122 B1 KR102362122 B1 KR 102362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support
leg
drying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9396A (ko
Inventor
이안제
이명지
Original Assignee
이안제
이명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안제, 이명지 filed Critical 이안제
Priority to KR1020200013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21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9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9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2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21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건조부 받침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든 부품을 독립되게 분리 포장함으로써 포장박스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건조부를 받침할 때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등 모든 금속재질에 구멍과 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건조부 받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조 연결부에 "A"형으로 연결되는 다리부와 "V"형으로 설치되는 건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부에 건조부 받침수단이 연결되는 건조부 받침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상측다리를 결합하는 상측다리 고정구멍과 하측다리를 결합하는 하측다리 고정구멍이 형성된 다리 연결대의 지지대 연결구멍에 연결되는 하측 고정축이 절곡되는 하측 지지대와;
상기 하측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측 지지대 상측의 양쪽에 지지홈을 형성해 건조 지지대를 지지하도록 설치하는 건조부 받침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건조부 받침구조{Dryer support structure for prefabricated clothes dryer}
본 발명은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건조부 받침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든 부품을 독립되게 분리 포장함으로써 포장박스의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건조부를 받침할 때 안전하고 견고하게 설치되도록 하는 등 모든 금속재질에 구멍과 홈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건조부 받침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조립식 빨래 건조대는 양쪽으로 형성되는 다리가 "A"형으로 하나의 파이프를 "ㄷ"형이 되도록 절곡하여 형성되고, 2개의 다리가 오무려지는 부분에서 양쪽으로 하나의 파이프를 "ㄷ"형이 되도록 형성하여 건조 연결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건조 연결부에 연결되는 건조부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건조봉의 양쪽 선단을 끼우거나 고정시키는 방법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절곡된 다리의 내부에는 하측 건조부를 갖도록 다리의 내부에 구멍을 뚫어 봉을 끼워 고정하는 방법으로 접철이 가능하도록 설치해 조립식으로 제공되며, 사용하는 경우에는 펼쳐서 "V"형으로 사용하게 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자형태가 되도록 접어 보관하게 된다.
상기 빨래 건조대는 연결 부분에는 주로 플라스틱 사출물로 성형하고, 나머지는 녹을 방지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파이프 또는 선재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빨래 건조대를 조립이 완성된 상태로 판매하게 되므로 부피가 너무 커지게 되므로 포장박스의 크기가 내용물에 비해 너무 커서 보관과 운반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부피를 크게 줄여 소비자가 직접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 건조봉 등을 조립하기 위해 파이프에 구멍을 성형하게 되면 구멍이 성형된 부분에 의해 쉽게 변형되어 제품에 손상을 입게 되는 결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구멍의 성형 없이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리 부분과 건조부 부분이 "ㄷ"형으로 절곡되어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크기를 축소하는 것이 매우 어려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요구된다.
[문헌 1]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64176호(2012. 12. 07. 등록) [문헌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09316호(2006. 02. 14.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704976호(2017. 02. 02. 등록) [문헌 4]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00-0008285호(2000. 05. 15.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의 모든 부품을 분할하여 보관한 상태에서 구입자가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포장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보품 부품을 분할하여 조립함에 있어서 구멍이 전혀 형성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조립되어 견고한 부품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건조부 받침수단을 통해 선재의 조립식 결합으로 건조부의 각도조절을 통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조 연결부에 "A"형으로 연결되는 다리부와 "V"형으로 설치되는 건조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부에 건조부 받침수단이 연결되는 건조부 받침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의 상측다리를 결합하는 상측다리 고정구멍과 하측다리를 결합하는 하측다리 고정구멍이 형성된 다리 연결대의 지지대 연결구멍에 연결되는 하측 고정축이 절곡되는 하측 지지대와;
상기 하측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측 지지대 상측의 양쪽에 지지홈을 형성해 건조 지지대를 지지하도록 설치하는 건조부 받침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조립식 빨래 건조대의 모든 부품을 분할하여 보관한 상태에서 구입자가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으로 제공함으로써 포장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여 보관과 운반 및 폐기시 재활용을 위한 분할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품 부품을 분할하여 조립함에 있어서 구멍이 전혀 형성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조립되어 구멍이 없는 금속재질의 관과 선재를 제공하여 견고한 부품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설치상태를 제공하여 충격에 효과적으로 견지며 쉽게 손상되지 않는 빨래 건조대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건조부 받침수단을 통해 선재의 조립식 결합으로 건조부의 각도조절을 통해 빨래의 건조가 용이하며, 절첩식이어서 소형 포장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부 분리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건조 연결부에 대한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리 이음수단과 하측 건조부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다리 이음수단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건조부 받침수단과 건조부에 대한 연결상태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은 건조부 받침수단에 대한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건조부 받침수단에 대한 측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건조부 받침수단에 대한 정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건조부 받침수단에 대한 접은 상태의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의 건조부 받침수단에 대한 평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하측 지지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다리 이음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출원인이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기재한 것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고안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분리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는 모든 부품이 스테인리스 재질과 합성수지 재질로 분리되어 스테인리스는 환봉 또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합성수지 재질은 사출성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모든 부품을 독립되게 성형한 후 조립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다.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는 상측다리(61)와 하측다리(62)를 분리해 결합되도록 하는 다리 이음수단(10)과,
상기 다리 이음수단(10)에 양쪽이 연결되며 중앙 부분에서 접철이 가능하도록 하고 일정한 간격에 하측 건조봉(25)이 연결되는 하측 건조부(20)와,
상기 다리 이음수단(10)에 하측이 연결되며 중간 부분에서 접철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측이 건조부(50)의 하측을 지지해 전체적으로 "V"형이 되도록 하는 건조부 받침수단(30)과,
"A"형으로 상측에서 상측다리(61)가 연결되도록 하고, 양쪽으로 건조 지지대(51)가 연결되어 일정한 간격에 건조봉(53)이 설치되도록 하는 건조 연결부(40)와,
상기 건조 지지대(51)가 양쪽에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에 건조봉(53)이 건조봉 고정부재(54)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건조 지지대(51)의 선단에서 건조 연결대(52)와 코너 연결대(70)로 연결하는 건조부(50)와,
상기 상측다리(61)와 하측다리(62)를 다리 이음수단(10)으로 연결하고 상기 하측다리(62)의 하측 선단에서 바닥 연결대(63)와 코너 연결대(70)로 연결되는 다리부(6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건조 연결부(40)는 양쪽을 중앙 연결축(41)으로 조립되는 것이며, 하측다리(52)에는 건조봉(53)과 같은 구조를 갖는 다리 연결봉(64)의 양쪽 선단에 설치한 건조부 고정부재(54)를 통하여 조립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건조 연결부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건조 연결부(40)는 다리연결 몸체(42)의 양쪽에 다리 연결구(42a)가 돌출되어 상측다리(61)를 끼워 고정나사(44)로 나사식 고정하는 것이며,
상기 다리연결 몸체(42)의 안쪽에는 지지지 연결몸체(43)가 중앙 녀결축(41)의 같은 축상에 연결되어 양쪽으로 돌출된 지지대 연결구(43a)가 돌출되어 건조 지지대(51)를 끼워 고정나사(44)로 나사식 고정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리 이음수단과 하측 건조부에 대한 분리상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리 이음수단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건조부 받침수단과 건조부에 대한 연결상태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다리 이음수단(10)은 원통형의 다리 연결대(11)에 상측에 상측다리 고정구멍(12)이 형성되어 상측다리(61)를 결합하고, 하측에 하측다리 고정구멍(13)이 형성되어 하측다리(62)를 결합해 고정나사(11a)로 고정시키는 것이며, 상기 다리 연결대(11)의 내부에서 양쪽으로 마주보도록 하측 건조봉 연결구멍(14)이 형성되어 고정 돌출부(26)가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 다리 연결대(11)의 외측에는 건조부 받침수단(30)의 하측 지지대(31) 하측 선단을 절곡해 형성한 하측 고정축(32)이 결합하는 지지대 연결구멍(15)을 형성함으로써 상측다리(61)와 하측다리(62)를 연결해 다리부(60)의 부족한 길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하측 건조부(20)는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한 하측 건조 연결대(21)가 중앙의 회전 접철축(22)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한쪽으로 마주보도록 연결홈(23)이 형성되어 하측 건조봉(25)을 일정한 간격에 결합해 고정하고, 가장 외측에 있는 하측 건조봉(25)은 선단의 관통구멍(24)을 관통되어 돌출된 고정 돌출부(26)를 하측 건조봉 연결구멍(14)에 고정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은 건조부 받침수단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건조부 받침수단에 대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건조부 받침수단에 대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건조부 받침수단에 대한 접은 상태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건조부 받침수단에 대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하측 지지대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건조부 받침수단(30)은 사각형 중 하측 선단을 절곡해 하측 고정축(32)이 돌출되도록 성형하는 하측 지지대(31)를 형성해 상기 고정축(32)이 다리 연결대(11)의 지지대 연결구멍(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하측 지지대(31)의 양쪽에서 안쪽으로 연결링(34)을 형성해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연결링(34)에서 돌출된 상측 지지대(33)의 상측 양쪽에는 지지홈(35)을 형성해 건조 지지대(51)를 받침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건조부 받침수단(30)의 하측 지지대(31)는 연결링(34)이 결합되는 부분의 양쪽으로 걸림대(38)가 더 돌출되어 상측다리(61)의 한쪽에 안전하게 걸려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하측 지지대(31)와 상측 지지대(33)가 연결링(34)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크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상측다리(61)에 지지되어 강하게 받침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리 이음수단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다리 이음수단(10)의 다리 연결대(11)에 돌출되는 지지대 연결구멍(15)을 일정한 간격으로 3개를 형성하여 건조부 받침수단(30)의 하측 고정축(32)을 선택 연결하여 건조부(50)의 경사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모든 부품들이 독립되게 성형된 후 포장되어 판매되므로 완성된 상태로 판매하는 크기에 비해 1/4 이상의 크기로 줄어들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매우 작아지게 되어 부피를 획기적으로 줄이는 효과와 크기가 작아지게 되므로 보관과 운반이 용이해 지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므로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리 이음수단(10)의 다리 연결대(11)를 준비해 상측 다리 고정구멍(12)에 상측다리(61)를 끼워 고정나사(11a)로 고정하고, 하측 다리 고정구멍(13)에 하측다리(62)를 끼워 고정나사(11a)로 고정한 후, 하측 건조 연결대(21)를 양쪽에서 접철 가능하도록 회전 접철축(22)에서 조립한 후 연결홈(23)에 하측 건조봉(25)을 끼워 조립하고 양쪽 선단에는 고정 돌출부(26)가 관통구멍(24)을 관통하도록 결합해 하측 건조부(20)를 조립한 상태에서 고정 돌출부(26)를 다이 연결대(11)에 형성한 지지대 연결구멍(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다이 이음수단(10)에 하측 건조부(20)를 조립하는 것이다.
상기 하측다리(62)의 하측 선단에 코너 연결대(70)의 연결 측부구멍(71)을 결합하고 바닥 연결대(63)를 연결 측부구멍(71)에 각각 결합한 후 고정나사(44)를 통하여 분리되지 않도록 조임해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하측다리(62)의 양쪽에는 다리 연결봉(64)에 건조부 고정부재(54)를 결합해 고정함으로써 다리부(60)의 조립을 완성하는 것이다.
상기 조립된 다리부(60)는 상측다리(61)를 다리 연결몸체(42)의 다리 연결구(42a)에 조립한 후 고정나사(44)로 조임해 고정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건조부 받침수단(30)의 하측 지지대(31) 선단에 형성된 하측 고정축(32)을 지지대 연결구멍(15)에 결합시키고 하측 지지대(31)가 상측다리(61)의 외측에 접촉되도록 한 후 상측 지지대(33)를 회전시키면 연결링(34)이 하측 지지대(31)에서 회전되므로 지지홈(35)에 건조 지지대(51)가 받침되도록 결합함으로써 조립식 빨래 건조대(100)의 조립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 모든 부품은 독립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분리 포장에 따라 부피를 크게 축소할 수 있으며, 소비자가 직접 간편하게 조립해 사용할 수 있는 것으므로 부피의 축소에 따른 보관과 운반이 편리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모든 금속재질의 부품에 구멍이나 홈 등의 흠집이 없으므로 조립된 이후에 강성에 변화를 주지 않아 아주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리부(60)와 건조부(50)는 부피를 특히 많이 차지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 것이어서 분리되어 조립하는 경우에 완전한 분리가 어려울 수 있지만 코너 연결대(70)를 통하여 코너 부분을 일체형으로 하지 않고 조립식으로 제공하여 부피를 줄일 수 있으며, 다리부(60)는 하나로 하는 경우 그 길이가 매우 긴 단점이 있으므로 중앙 부분에서 분리한 후 다이 이음수단(10)을 제공하여 상측다리(61)와 하측다리(62)를 분리해 다리 연결대(11)에 상측과 하측에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그 길이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다리 이음수단(10)은 상측다리(61)와 하측다리(62)를 구멍 성형없이 결합할 수 있으며, 하측 건조봉 연결구멍(14)에 고정 돌출부(26)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하측 건조부(20)를 접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측 건조부(20)의 결합과 구동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지지대 연결구멍(15)에 건조부 받침수단(30)의 하측 고정축(32)이 결합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건조부 받침수단(30)은 하나로 이루어지는 경우 건조부(50)를 지지할 수 있지만, 포장박스의 크기가 매우 커지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등분하여 하측 지지대(31)는 다리 연결대(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고, 상측다리(61)에 지지되어 지지되는 최종 높이가 더 높아지도록 하는 동시에 하측 지지대(31)로부터 연결링(34)으로 결합되는 상측 지지대(33)가 접철되도록 함으로써 그 크기를 매우 줄일 수 있도록 하며, 건조부(50)의 안전한 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측 지지대(33)와 하측 지지대(31)가 연결링(34)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크기를 줄여 포장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하며, 상측 지지대(33)와 하측 지지대(31)가 상측다리(61)에 맞닿아 지지가 되도록 함으로써 받침하는 힘을 키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하측 지지대(31)는 하측 고정축(32)이 지지대 연결구멍(15)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측다리(61)의 외측면을 따라 올라간 후 안쪽으로 절곡된 부분까지 접측되어 지지되도록 하며, 걸림대(38)가 더 돌출되는 경우 상측다리(61)의 외측면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하측 지지대(31)가 상측다리(61)에서 점 접촉이 이탈되는 경우에도 직교방향에서 돌출된 상태를 제공하여 안전한 지지상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다리 이음수단(10)의 다리 연결대(11)에 돌출되는 지지대 연결구멍(15)을 일정한 간격으로 3개를 형성하여 건조부 받침수단(30)의 하측 고정축(32)을 선택 연결하여 건조부(50)를 수평되게 하거나 경사각도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건조부(50)의 상태를 다양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모든 부품을 분할 공급해 조립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피를 크게 줄어 운반 및 보관이 편리하도록 하며, 건조부 받침수단에서 구멍 없이 조립되어 견고하고 안정된 조립식 빨래 건조대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다이 이음수단 11 : 다리 연결대
11a, 44, 93 : 고정나사 12 : 상측다리 고정구멍
13 : 하측다리 고정구멍 14 : 하측 건조봉 연결구멍
15 : 지지대 연결구멍 20 : 하측 건조부
21 : 하측 건조 연결대 22 : 회전 접철축
23 : 연결홈 24 : 관통구멍
25 : 하측 건조봉 26 : 고정 돌출부
30 : 건조부 받침수단 31 : 하측 지지대
32 : 하측 고정축 33 : 상측 지지대
34 : 연결링 35 : 지지홈
40 : 건조 연결부 41 : 중앙 연결축
42 : 다리 연결몸체 42a : 다리 연결구
43 : 지지대 연결몸체 43a : 지지대 연결구
50 : 건조부 51 : 건조 지지대
52 : 건조 연결대 53 : 건조봉
54 : 건조부 고정부재 60 : 다리부
61 : 상측다리 62 : 하측다리
63 : 바닥 연결대 70 : 코너 연결대
71 : 연결측부 구멍

Claims (5)

  1. 건조 연결부(40)에 "A"형으로 연결되는 다리부(60)와 "V"형으로 설치되는 건조부(50)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부(60)에 건조부 받침수단(30)이 연결되는 건조부 받침구조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60)의 상측다리(61)를 결합하는 상측다리 고정구멍(12)과 하측다리(62)를 결합하는 하측다리 고정구멍(13)이 형성된 다리 연결대(11)의 지지대 연결구멍(15)에 연결되는 하측 고정축(32)이 절곡되는 하측 지지대(31)와;
    상기 하측 지지대(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측 지지대(33) 상측의 양쪽에 지지홈(35)을 형성해 건조 지지대(51)를 지지하도록 설치하는 건조부 받침수단(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건조부 받침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지지대(31)는 연결링(34)이 결합되는 부분의 양쪽으로 걸림대(38)가 돌출되어 상측다리(61)의 한쪽에 걸려 상측에서 가해지는 하중을 버티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건조부 받침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지지대(33)는 하측 지지대(31)의 양쪽에서 안쪽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크기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도록 하며 상측 다리(61)에 지지되는 연결링(34)이 양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건조부 받침구조.
  4. 삭제
  5. 삭제
KR1020200013212A 2020-02-04 2020-02-04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건조부 받침구조 KR102362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212A KR102362122B1 (ko) 2020-02-04 2020-02-04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건조부 받침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212A KR102362122B1 (ko) 2020-02-04 2020-02-04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건조부 받침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396A KR20210099396A (ko) 2021-08-12
KR102362122B1 true KR102362122B1 (ko) 2022-02-15

Family

ID=77314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212A KR102362122B1 (ko) 2020-02-04 2020-02-04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건조부 받침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21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899Y1 (ko) * 2000-06-16 2000-11-01 이종화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KR200436358Y1 (ko) * 2006-11-20 2007-08-09 최은영 빨래 건조대의 받침대
KR100980655B1 (ko) * 2010-05-24 2010-09-07 김미량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접이식 빨래 건조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2599B1 (ko) 1998-07-11 2000-11-15 구자홍 초음파를 이용한 인쇄 스퀴즈
KR200409316Y1 (ko) 2005-11-21 2006-02-24 주식회사 원구 절첩식 빨래 건조대
KR200464176Y1 (ko) 2011-06-16 2012-12-14 한충국 접이식 빨래건조대
KR101704976B1 (ko) 2016-06-24 2017-02-08 진향순 접이식 빨래건조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899Y1 (ko) * 2000-06-16 2000-11-01 이종화 빨래건조대의 이탈방지장치
KR200436358Y1 (ko) * 2006-11-20 2007-08-09 최은영 빨래 건조대의 받침대
KR100980655B1 (ko) * 2010-05-24 2010-09-07 김미량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접이식 빨래 건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9396A (ko) 2021-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1300A (en) Folding basket for laundry and other uses
US6427858B2 (en) Laundry drying rack
US6758354B2 (en) Collapsible framework, such as a display stand, and an articulation joint for such framework
US8286810B2 (en) Laundry rack
KR20020047320A (ko) 콘테이너
KR100886671B1 (ko) 빨래 건조대
KR102362122B1 (ko)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건조부 받침구조
KR200409316Y1 (ko) 절첩식 빨래 건조대
US6932227B1 (en) Laundry stand
US6536359B2 (en) Fastening structure for table top and leg frame
KR102413608B1 (ko) 조립식 빨래 건조대용 파이프 이음구조
US7174838B2 (en) Collapsible table
KR102370380B1 (ko) 독립 분리 부품 조립식 빨래 건조대
KR102286346B1 (ko) 조립식 빨래 건조대의 건조부용 파이프 연결장치
US20140246967A1 (en) Portable folding closet
KR200456762Y1 (ko) 접이식 건조대
US20180249825A1 (en) Easily foldable and expandable clothes hang rack
KR200294309Y1 (ko) 세탁물 건조대
JP3927166B2 (ja) 物干し用折畳式ハンガー
KR20080005816U (ko) 절첩식 빨래건조대
KR200210374Y1 (ko) 조립식 다용도 물품 보관함
KR960007167Y1 (ko) 파라솔용 테이블
CN209011741U (zh) 梯子晾衣架
JPS5816501Y2 (ja) 折りたたみコンテナ−
CA2240387A1 (en) Collapsible trolley for displaying and carrying th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