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290B1 - Water purifier for washstand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for wash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290B1
KR102360290B1 KR1020210026403A KR20210026403A KR102360290B1 KR 102360290 B1 KR102360290 B1 KR 102360290B1 KR 1020210026403 A KR1020210026403 A KR 1020210026403A KR 20210026403 A KR20210026403 A KR 20210026403A KR 102360290 B1 KR102360290 B1 KR 102360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metal pipe
water purifi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4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60290B9 (en
Inventor
지병욱
Original Assignee
지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병욱 filed Critical 지병욱
Priority to KR1020210026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2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290B1/en
Priority to PCT/KR2022/002839 priority patent/WO2022182212A1/en
Publication of KR102360290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290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6Filter mounting adap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02F1/4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using permanent mag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for a washstand, which purifies rust, foreign substances, and various bacteria in tap water used in the washstand installed in restrooms, bathrooms, offices, etc. by using an instantaneous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on device along with an internal water filt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purifier for a washstand, in which when tap water is used and after the tap water is used, the water purifier can semi-permanently and automatically sterilize various harmful bacteria that propagate inside a faucet and a faucet filter, prevents organic chlorine chemicals from being generated in water, and creates magnetized hexagonal water having strong magnetic energy to be beneficial to a human body such as giving elasticity to a skin, etc., and obtain pure and clean water without worrying about the bacteria, the water purifier can be used by being easily attached to the faucet such as a general washstand or a sink by reducing the overall size thereof because a length thereof is as short as about 35 to 45 mm and a diameter thereof is as small as about 35 to 45 mm, and a metal pipe is disposed inside a water filter, and purified water entering the filter collides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metal pipe, and then the purified water pours down in a waterfall form through a gap of about 1 to 3 mm at a top end of the metal pipe, such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sufficient instantaneous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on such as a fast flow rate and high water pressure e, and therefore, an excellent sterilization effect as well as sufficient magnetized hexagonal water can be obtained.

Description

세면대용 정수기{WATER PURIFIER FOR WASHSTAND}Water purifier for washbasin {WATER PURIFIER FOR WASHSTAND}

본 발명은 세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실이나 욕실,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세면대에서 사용되는 수돗물 속의 녹물, 이물질, 각종 세균 등을 내부의 정수 필터와 함께 순간 전자기장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정수하는 세면대용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for washbasin, and more particularly, to purify rust, foreign substances, and various bacteria in tap water used in washbasins installed in toilets, bathrooms, offices, etc. using an instantaneous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or together with an internal water purification filter. It is related to the water purifier for the washbasin.

일반적으로 세면대용 정수기는 화장실이나 욕실, 사무실 등의 환경(예컨대, 온도, 습도, 불특정 다중 이용 등)은 물론, 수돗물 속의 각종 유해물질 등에 의해 장기간 사용 시 내부에 유해세균이 번식하게 되며, 양치나 세면, 손을 씻은 후에도 녹물이나 유해세균이 양치 후 입안이나 신체 또는 수건, 사물 등에 접촉해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2차적인 접촉이나 간접적인 접촉에 의한 잇몸 건강이나 피부 건강 등에 해를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In general, water purifiers for washbasins cause harmful bacteria to grow inside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due to various toxic substances in tap water, etc. Even after washing your face or washing your hands, rust or harmful bacteria may remain in contact with your mouth, body, towels, or objects after brushing, so there is a problem that harms gum health or skin health due to secondary or indirect contact. .

특히, 면역력이 약하거나 피부가 민감한 사람의 경우에는 유해세균으로 인하여 구강에 냄새나 치주염을 일으키고 피부에 가려움증이나 알레르기, 아토피 등 각종 피부병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person with weak immunity or sensitive skin, harmful bacteria may cause odor or periodontitis in the oral cavity and cause various skin diseases such as itchiness, allergy, and atopic dermatitis.

그리고, 수돗물의 수질에 대한 우려 때문에 가정이나 직장에서는 수돗물을 직접 식수로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정수기를 이용하여 정수된 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다. In addition, because of concerns about the quality of tap water, at home or at work, tap water is not directly used as drinking water, but purified water using a separate water purifier is used as drinking water.

일 예로서, 수돗물에는 잔류염소는 물론 녹, 중금속, 이물질 등과 같은 각종 불순물이 들어 있기 때문에 소독 성분에 민감한 사람이나 피부가 약한 여성, 신생아, 어린이의 경우에는 세수나 목욕을 할 때 잔류염소를 제거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수돗물을 식수로 마시는 경우나 과일이나 야채를 씻을 때, 육류나 생선 등을 조리할 때, 찌개 등의 국물을 끓일 때, 쌀을 씻고 밥을 지을 때 등과 경우 수돗물을 그대로 사용하기 보다는 수돗물을 맑고 깨끗한 물로 정화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n example, since tap water contains various impurities such as rust, heavy metals, and foreign substances as well as residual chlorine, in the case of women, newborns, and children who are sensitive to disinfection ingredients or have weak skin, residual chlorine is removed when washing or bathing. When drinking tap water as drinking water, when washing fruits or vegetables, when cooking meat or fish, when boiling soup such as stew, when washing rice and cooking rice, use tap water as it is. Rather than using tap water, it is preferable to use it after purifying it with clear and clean water.

최근 소비자들의 위생에 대한 의식 수준이 높아지면서 생활용품에 항균과 살균에 관련된 제품이 코로나 시대에 필수품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Recently, as consumers' awareness of hygiene is increasing, products related to antibacterial and sterilization in daily necessities are establishing themselves as essentials in the era of Corona.

보통 일반 세면대는 손을 씻거나 세수 등을 한 후에 수도꼭지 내부는 항상 습기로 젖어 있고 온도가 적당하여 많은 양의 세균이 검출된다. In general, the inside of the faucet is always wet with moisture after washing hands or washing hands, and the temperature is suitable, so a large amount of bacteria is detected.

특히, 녹물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설치되는 필터 등을 장착한 세면대는 수돗물의 녹, 부유물, 유해물질 등이 필터의 내ㆍ외부에 잔존하면서 세균들의 먹이와 영양분이 되어 각종 세균의 온상지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a washbasin equipped with a filter that is installed to remove rust or foreign substances is a problem that rust, suspended matter, and harmful substances from tap water remain inside and outside the filter, becoming food and nutrients for bacteria, becoming a breeding ground for various bacteria. There is this.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는 출원번호 제10-2021-0019119호의『항균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세면대용 수도꼭지』와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8057호의『은을 이용한 복합 정수용 싱크대 수도꼭지』를 제안한 바 있다.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the present inventor has proposed the 『Fucity for washbasin with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function』 of Application No. 10-2021-0019119 and 『Sink faucet for complex water purification using silver』 of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18057 there is a bar

이러한『항균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세면대용 수도꼭지』는 제조과정이 다소 복잡하고 순간 전자기장을 일으키는 수압이 낮아 본 발명자가 원하는 만큼의 효과가 부족하고,『은을 이용한 복합 정수용 싱크대 수도꼭지』는 은 폼이나 은 나노볼, 항균볼 등을 이용한 살균 방식으로서, 순간 발수되는 수도꼭지에서의 살균 기능이 거의 없거나 미미하고, 장시간 사용 시 중금속인 은 가루나 입자가 떨어져 나와서 유아나 어린이가 세수나 목욕 중에 삼킨다거나 양치할 때 체내 세포에 박혀 수년 후 세포변이가 발생될 우려가 있어서 부적합한 것이 사실이다. These 『Sink faucets with antibacterial and sterilizing functions』 have a rather complicated manufacturing process and low water pressure that generates an instantaneous electromagnetic field, so the effect the inventor wants is insufficient. As a sterilization method using silver nano balls or antibacterial balls, the sterilization function of the instant water-repellent faucet is little or insignificant, and when used for a long time, silver powder or particles, which are heavy metals, come off, so infants and children swallow them while washing or bathing or brushing their teeth. It is true that it is inappropriate because there is a risk that it may become lodged in the body's cells and cause cellular mutations after several years.

그리고, 상기『은을 이용한 복합 정수용 싱크대 수도꼭지』는 길이나 부피 등의 사이즈가 크기 때문에 일반 가정의 세면대 수전에 설치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ilver composite water purification sink fauce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nd use in a washbasin faucet in general households because of its large size such as length and volume.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8057호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18057 등록특허공보 제10-1182939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182939 등록특허공보 제10-1222813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22813 등록특허공보 제10-1337749호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337749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수돗물 사용 시는 물론 사용 후 수도꼭지 내부와 수도꼭지 필터 등에 번식하는 각종 유해 세균을 반영구적으로 자동 살균할 수 있음은 물론, 물 속의 유기염소 화학물질 생성을 차단하고 강력한 자기(磁氣) 에너지를 담은 자화육각수를 생성하여 피부 등에 탄력을 주는 등 인체에 유익하고 세균 걱정이 없는 맑고 깨끗한 물을 얻을 수 있는 한편, 길이가 약 35∼45㎜ 정도로 짧고 직경이 약 35∼45㎜ 정도로 작아서 전체적인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등 일반 세면대나 싱크대 등의 수전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호환성 및 범용성이 우수한 세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consideration of such points, and it is possible to semi-permanently automatically sterilize various harmful bacteria propagating inside the faucet and faucet filter after use as well as during use of tap water, as well as organochlorine chemicals in water. It blocks production and generates magnetic hexagonal water containing strong magnetic energy to give elasticity to the skin, etc. It i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clear and clean water without worrying about bacteria, while the length is about 35 to 45 mm shor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water purifier for washstands with excellent compatibility and versatility, such as being able to reduce the overall size of about 35 to 45 mm in diameter and use it by easily attaching it to a faucet such as a general washbasin or sink.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수 필터의 내부에 금속 파이프를 배치하여 필터 내부로 들어온 정수된 물이 금속 파이프의 외주면과 충돌한 후, 금속 파이프 상단쪽의 약 1∼3㎜ 정도의 갭을 통해 아래로 폭포수 형태로 쏟아져 흐르면서 출수되도록 함으로써, 빠른 유속과 높은 수압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충분한 순간 전자기장 발생량을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우수한 살균효과는 물론 충분한 자화 육각수를 얻을 수 있는 세면대용 정수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a metal pipe inside the water filter so that purified water entering the filter collides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pipe, and then through a gap of about 1 to 3 mm at the upper end of the metal pipe. By allowing the water to flow out in the form of a waterfall, it is possible to obtain a sufficient instantaneous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on amount such as to secure a fast flow rate and high water pressure. hav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세면대용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ater purifier for washbasi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상기 세면대용 정수기는 세면대의 수전(水栓)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정수기로서, 수전측에 연결되는 상단부의 입수부를 가지는 정수기 하우징과, 상기 정수기 하우징의 하단 개구부를 마감하는 수단으로서 물 분사를 위한 출수판을 가지면서 정수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나사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정수기 캡과, 상기 정수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 속의 불순물을 걸러내는 정수 필터와, 상기 정수 필터의 윗쪽 중공부를 마감하는 것으로서 입수부를 통해 들어온 물을 외곽쪽으로 유도하는 다수 개의 돌기부 및 정수 필터의 상단면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링형 은 플레이트를 가지면서 정수 필터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필터 캡과, 상기 정수 필터의 아래쪽 중공부를 연통시켜주는 것으로서 정수 필터에서 나오는 물을 출수부쪽으로 다수 개의 홀과 정수 필터의 하단면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링형 은 플레이트를 가지면서 정수 필터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부 필터 캡과, 상기 정수 필터 중공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정수 필터의 내주면과의 사이 및 상부 필터 캡의 저면부와의 사이에 각각의 갭을 조성하면서 정수 필터의 내부로 들어온 정수된 물이 각 갭을 통해 그 내측으로 유도하는 금속 파이프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The water purifier for the washbasin is a water purifier installed and used at the faucet of the washbasin, the water purifier housing having a water inlet part at the upper end connected to the faucet, and a means for closing the lower opening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for water jetting A water purifier cap that has a plate and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with a screw fastening structure, a water filter installed inside the water purifier housing to filter impurities in water, and a water purifier that closes the upper hollow of the water filter through the acquisition unit An upper filter cap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filter while having a ring-shaped silver plate interposed between a plurality of protrusions for guiding incoming water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filter, and the lower hollow portion of the water filter communicate A lower filter cap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filter while having a ring-shaped silver plate interposed between a plurality of holes toward the water outlet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filter, and install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water filter In addition, a metal pipe for guiding purified wat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water filter through each gap while creating gaps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filt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filter cap is included. characteristic.

여기서, 상기 금속 파이프의 내부에는 유속에 의해 자유롭게 유동하여 금속 파이프와 간헐적으로 부딪히거나 근접하면서 전ㆍ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석볼이 설치될 수 있다. Here, at least one magnet ball that freely flows by the flow rate and intermittently collides with or approaches the metal pipe to generate an electric/magnetic field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etal pipe.

이러한 금속 파이프의 상단부에는 물 통과를 위한 파이프 홀을 가지는 파이프 마개가 설치될 수 있다. A pipe stopper having a pipe hole for passing water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metal pipe.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금속 파이프는 그 하단부를 통해 하부 필터 캡에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고정홈 내에 끼워져 하부 필터 캡 상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tal pipe may be installed in a structure to be fixed on the lower filter cap by being inserted into the pipe fixing groove formed in the lower filter cap through the lower end thereof.

그리고, 상기 상부 필터 캡은 돌출부와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의 플랜지부는 중심의 돌출부에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형태의 다수의 연장편을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져 각 연장편 사이로 노출되는 링형 은 플레이트와 물 간의 접촉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upper filter cap may include a protrusion and a flange portion, wherein the flange portion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extension pieces radially extending from the central protrusion portion, and is a ring-shaped silver plate exposed between each extension piece. It is desirable to ensure sufficient contact area between and water.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정수기 하우징과 정수기 캡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는 35∼45㎜, 직경은 35∼45㎜ 정도의 작은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반 세면대나 싱크대의 수전에 쉽게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water purifier housing and the water purifier cap may have a small size of 35 to 45 mm in length and 35 to 45 mm in diameter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us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faucet of a general washbasin or sink. There are features that can be used.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세면대용 정수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water purifier for washbasin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유속에 의해 회전하는 특수 회전 자석볼과 전기전도율이 뛰어난 금속 파이프에 의한 금속이온과 전ㆍ자기 발생으로 화학물질 없이 반영구적 완전 자동으로 항ㆍ살균 작용을 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필터 수명 연장 및 세면대용 정수기의 사용기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rst, the special rotating magnetic ball that rotates by the flow rate and the metal pipe with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generate semi-permanent and fully automatic anti-bacterial action without chemical substances as well as extending the filter life by generating metal ions and electromagnetism. And there is an effect of extending the period of use of the water purifier for the washbasin.

둘째, 정수 필터의 내부에 금속 파이프를 배치하여 필터 내부로 들어온 정수된 물이 금속 파이프의 외주면과 충돌한 후, 금속 파이프 상단쪽의 약 1∼3㎜ 정도의 갭을 통해 아래로 폭포수 형태로 쏟아져 흐르면서 출수되도록 함으로써, 빠른 유속과 높은 수압을 확보할 수 있는 등 충분한 순간 전자기장 발생량을 얻을 수 있으며, 따라서 우수한 살균효과는 물론 충분한 자화 육각수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cond, by placing a metal pipe inside the water filter, purified water entering the filter collides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pipe, and then pours down in the form of a waterfall through a gap of about 1 to 3 mm at the top of the metal pipe. By allowing the water to flow as it flows, a sufficient instantaneous electromagnetic field generation amount can be obtained, such as to ensure a fast flow rate and high water pressure, and thus, there is an effect of obtaining sufficient magnetized hexagonal water as well as an excellent sterilization effect.

셋째, 강력한 자기장을 형성하여 물 속 유기물과 잔류염소의 화학결합을 막아 인체에 유해한 유기염소 화학물질의 생성을 차단하고, 강력한 자화육각수를 생성하여 두피와 피부에 탄력을 주며 세면 및 샤워 시간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Third, by forming a strong magnetic field, it blocks the chemical bonding of organic matter and residual chlorine in the water to block the generation of organic chlorine chemicals that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has the effect of giving

넷째, 한번 세면이나 샤워만으로 항상 젖어있는 정수기 내부와 정수기 필터를 매일 햇볕에 소독하지 않고 일체의 화학약품을 사용하지 않으며 수압의 유속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는 자석과 황동, 구리 등의 소재로 이루어진 링에 의해 전ㆍ자기장이 발생되어 미생물을 자동으로 살균해주는 친환경 살균제품으로 공인시험기관에서 폐렴균, 녹농균, 대장균, 포도상구균 등 유해세균 99.9%의 살균감소율을 인정받은 효과가 있다. Fourth, a ring made of materials such as brass and copper and a magnet that rotates automatically by the flow rate of water pressure without sterilizing the inside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filter of the water purifier every day in the sun every day after washing or showering once As an eco-friendly sterilization product that automatically sterilizes microorganisms by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ield by the

다섯째, 우리나라의 가정에 연결된 수도관은 상당수가 20년 이상의 노후 배관이며 수돗물 속의 이물질과 눈에 보이지 않는 유해세균, 잔류염소, 철분을 포함한 모든 중금속으로부터 민감한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fth, many of the water pipes connected to homes in Korea are over 20 years old, and they are effective in protecting sensitive skin from foreign substances in tap water, invisible harmful bacteria, residual chlorine, and all heavy metals including iron.

여섯째, 아이들이 샤워 중에 물을 삼킬 수 있으므로 살균제 가습기를 거울삼아 수년의 연구와 실험을 통해 일체의 인공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필터 내부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살균기능을 가진 전기ㆍ자기장을 생성하여 세면이나 샤워 후 항시 젖어 있는 정수기 내부와 정수기 필터를 자동 살균하며, 유기염소 화학물질 생성을 차단하고 강력한 자기 에너지를 담은 자화육각수를 생성하여 두피와 피부에 탄력을 줄 수 있는 등 인체 건강의 유익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xth, children can swallow water in the shower, so through years of research and experiments using a disinfectant humidifier as a mirror, it creates an electric/magnetic field with strong sterilization function that can be used semi-permanently inside the filter without using any artificial chemicals It automatically sterilizes the inside of the water purifier and the filter of the water purifier that are always wet after washing or showering, blocks the generation of organic chlorine chemicals, and generates magnetic hexagonal water containing powerful magnetic energy to give elasticity to the scalp and skin, etc. It has the effect of obtaining a castle.

일곱째, 그 동안 일반 정수기나 샤워기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염소제거볼, 비타민젤, 아로마향 등의 인공 화학재료를 일체 사용하지 않아 어린이나 노약자는 물론 냄새와 이물질에 민감한 사람들도 마음놓고 사용할 수 있으며, 물을 트는 순간 순간마다 회전 자석과 황동 링에 의해 전ㆍ자기장이 발생되어 잔류염소를 중화하고 유해세균을 살균함으로써 순간 발수되는 수도꼭지 특성에 가장 적합한 정수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eventh, artificial chemical materials such as chlorine removal balls, vitamin gels, and aroma fragrances used in general water purifiers and showers are not used, so children and the elderly as well as people sensitive to odors and foreign substances can use it with confidence. Every moment it is turned on, an electric and magnetic field is generated by a rotating magnet and a brass ring, which neutralizes residual chlorine and sterilizes harmful bacteria, thereby providing the most suitable water purification method for the instantaneous water-repellent faucet.

여덟째, 길이가 약 35∼45㎜ 정도로 짧고 직경이 약 35∼45㎜ 정도로 작아서 전체적인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세면대나 싱크대 등의 수전에 손쉽게 직접 또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 등 호환성 및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세면대나 싱크대 등의 신규 수전은 물론 기존 수전을 교체하지 않고도 그대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이 있다. Eighth, because the length is as short as 35-45 mm and the diameter is as small as 35-45 mm, the overall size can be reduced. Versatility can be secured, and therefore, there is the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attach and use a new faucet such as a washbasin or sink, as well as an existing faucet, without replacing it.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정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정수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정수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정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정수기에서 금속 파이프에 마개를 적용한 예 및 금속 파이프를 고정시킨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단면도
1 to 3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water purifier for a washba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ater purifier for a washba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water purifier for a washba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water purifier for a washba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stopper is applied to a metal pipe and an example in which the metal pipe is fixed in the water purifier for a washba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정수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정수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to 3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water purifier for a washba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water purifier for a washba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면대용 정수기는 서로 나사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조립형태의 정수기 하우징(10)과 정수기 캡(13)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4 , the water purifier for the wash basin includes an assembled water purifier housing 10 and a water purifier cap 13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a screw fastening structure.

상기 정수기 하우징(10)은 세면대 등의 수전에 연결되어 수전에서 나오는 수돗물을 인입하는 부분으로서,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The water purifier housing 10 is connected to a faucet such as a washbasin to introduce tap water from the faucet, and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이러한 정수기 하우징(10)의 상단부에는 홀과 그 주변의 원형 벽체로 이루어지는 입수부(10)가 형성되며, 이때의 입수부(10)의 벽체 내주면에는 수전(110)의 수나사부 또는 수전측에 연결되는 어댑터의 수나사부에 체결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10, a receiving part 10 made of a hole and a circular wall around it is formed, and at this time,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ll of the receiving part 10 is connected to the male screw part or the faucet side of the faucet 110 A female screw portion fastened to the male screw portion of the adapter is formed.

이에 따라, 상기 정수기 하우징(10)은 입수부(10)의 암나사부를 이용하여 수전에 직접 또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수전에 나사 체결구조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water purifier housing 10 can be installed in a screw fastening structure to the faucet either directly using the female screw part of the water purifier 10 or by using an adapter.

그리고, 상기 입수부(10)의 상면에는 이루어진 타공 은판(19)과 기밀 유지를 위한 실리콘 링(20a)이 설치된다. In addition, a perforated silver plate 19 and a silicone ring 20a for airtight maintenance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cquisition unit 10 .

상기 정수기 캡(13)은 깨끗하게 정화되고 살균 처리된 물(예를 들면, 수돗물을 정화 및 살균 처리한 물)을 토출하는 부분으로서, 중심부가 뚫려 있는 원형의 캡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The water purifier cap 13 is a part for discharging cleanly purified and sterilized water (eg, purified and sterilized tap water), and is formed in a circular cap shape with a hole in the center.

이러한 정수기 캡(13)의 내측에는 물을 최종 토출하는 역할을 하는 출수판(12)과 기밀 유지를 위한 실리콘 링(20b)이 설치된다. A water outlet plate 12 serving to finally discharge water and a silicone ring 20b for airtight maintenance are installed inside the water purifier cap 13 .

여기서, 상기 출수판(12)은 스테인레스 스틸 소재 등으로 이루어진 얇은 원판 형태로서, 이러한 출수판(12)에는 물의 토출을 위해 전체 면적에 걸쳐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정수기 캡(13)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정수기 하우징(11)과의 결합 시 눌려져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Here, the water outlet plate 12 is in the form of a thin disc made of a stainless steel material, and the water outlet plate 12 has a plurality of holes formed over the entire area for discharging water, and is located inside the water purifier cap 13 .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pressed and fixed when combined with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while being positioned.

즉, 상기 정수기 캡(13)은 내주면의 나사부분을 이용하여 정수기 하우징(11)의 하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부분에 체결되는 구조로 결합되며, 이렇게 정수기 하우징(11)에 정수기 캡(13)이 체결됨에 따라 출수판(12)과 실리콘 링(20b)은 정수기 캡(13)의 바깥쪽으로 빠지지 않게 된다. That is, the water purifier cap 13 is coupled to the screw portion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by using the screw portion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this is fastened, the water outlet plate 12 and the silicone ring 20b do not fall out of the water purifier cap 13 .

이때, 상기 정수기 하우징(11)과 정수기 캡(13)은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성과 내구성을 고려한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등과 같은 소재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정수기 하우징(11)의 경우 투명한 하우징 몸체로 이루어져 내부의 물의 흐름이나 은 플레이트를 외부에서 볼 수 있는 등 제품의 외관 향상은 물론 품질의 고급화를 도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and the water purifier cap 13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olycarbonat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and considers safety and durability.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a transparent housing It consists of a body, so that the flow of water inside and the silver plate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etc.

특히, 상기 정수기 하우징(11)과 정수기 캡(13)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길이는 약 35∼45㎜ 정도, 직경은 약 35∼45㎜ 정도의 소형 제품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In particular,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and the water purifier cap 13 are made of a small product having a length of about 35 to 45 mm and a diameter of about 35 to 45 mm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each other.

이렇게 정수기 하우징(11)과 정수기 캡(13)의 전체적인 사이즈가 축소됨으로써, 일반 세면대나 싱크대 등의 수전, 특히 수전과 세면대 바닥 간의 거리가 짧은 수전에 손쉽게 직접 연결하거나 또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손쉽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등 제품의 호환성 및 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세면대나 싱크대 등의 신규 수전은 물론 기존 수전을 교체하지 않고도 그대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다. As the overall size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and the water purifier cap 13 is reduced in this way, it can be easily directly connected to a faucet such as a general washbasin or sink, especially a faucet with a short distance between the faucet and the sink floor, or easily connected using an adapter. The compatibility and versatility of the product can be secured, such as being usable, so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convenience of attaching and using the existing faucet as it is without replacing the existing faucet as well as new faucets such as washbasins and sinks.

또한, 상기 세면대용 정수기는 물 속의 세균을 살균하고 또 물 속의 불순물, 이물질, 유해성분 등을 제거하는 수단으로 정수 필터(14)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washbasin water purifier includes a water filter 14 as a means for sterilizing bacteria in water and removing impurities, foreign substances, harmful components, and the like in water.

상기 정수 필터(14)는 속이 비어 있는 원통형의 관 형태로서, 면 소재(綿 素材)에 카본 입자를 코팅 또는 도포하여 원통형의 관 형태로 제작한 형태 또는 물의 통과가 가능한 압축 섬유 소재, 또는 압축 종이 소재, 부직포 소재 등을 원통형의 관 형상으로 제작한 형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The water filter 14 is in the form of a hollow cylindrical tube, and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tube by coating or applying carbon particles to a cotton material, or a compressed fiber material through which water can pass, or compressed paper It can be made in the form of a material, a non-woven material, etc. produced in a cylindrical tube shape.

이때의 정수 필터(14)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상부 필터 캡(15)과 하부 필터 캡(16)가 설치되어 필터 내부 윗쪽은 상부 필터 캡(15)에 의해 막힌 상태가 됨과 더불어 필터 내부 아래쪽은 하부 필터 캡(16)에 의해 정수기 캡(13)측과 통하는 상태가 된다. At this time, the upper filter cap 15 and the lower filter cap 16 are installed at the upper end and lower end of the water filter 14,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filter is blocked by the upper filter cap 15, and the lower part of the inner part of the filter is the lower part. It will be in a state in communication with the water purifier cap 13 side by the filter cap 16 .

이러한 정수 필터(14)는 정수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이와 동축구조를 이루며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상부 필터 캡(15)과 하부 필터 캡(16)을 통해 정수기 하우징(11)의 천장면과 정수기 캡(13)에 있는 실리콘 링(20b) 사이에 밀착되면서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water filter 14 is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to form a coaxial structure, and in this state, the top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and the ceiling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through the upper filter cap 15 and the lower filter cap 16 and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fixed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silicone rings (20b) in the water purifier cap (13).

따라서, 상기 물은 정수 필터(14)의 바깥쪽 둘레에서 필터체를 직경 방향으로 통과한 후에 필터 중공부로 유입되고, 계속해서 이렇게 유입된 물은 아래쪽의 하부 필터 캡(16)에 있는 홀(16c)을 빠져나가 정수기 캡(13)의 출수판(12)으로 보내지게 되며, 이렇게 물이 정수 필터(14)의 필터체를 통과하는 동안에 물 속의 유해 성분이나 불순물 등이 제거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water flows into the filter hollow part af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body in the radial direction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water filter 14, and the water continuously introduced in this way is passed through the hole 16c in the lower filter cap 16 below. ) and is sent to the water outlet plate 12 of the water purifier cap 13, and while the water passes through the filter body of the water purifier 14, harmful components or impurities in the water can be removed.

또한, 상기 세면대용 정수기는 정수 필터(14)가 가지는 중공부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적절히 막아주고 열어줌으로써 물의 흐름이 정수 필터(14)를 통과하도록 해주는 수단으로 상부 필터 캡(15)과 하부 필터 캡(16)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water purifier for the washbasin is a means for allowing the flow of water to pass through the water filter 14 by appropriately blocking and opening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hollow part of the water filter 14. The upper filter cap 15 and the lower filter cap ( 16) is included.

상기 상부 필터 캡(15)은 중심부에 아래쪽으로 원형의 돌출부분을 가지는 원판 형태로서, 정수 필터(14)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필터 중공부 윗쪽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upper filter cap 15 is in the form of a disk having a circular protrusion downward at the center, and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filter 14 to block the upper portion of the filter hollow.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 필터 캡(15)은 정수 필터(14)의 상단면에 밀착되는(실질적으로는 링형 은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는) 원형의 플랜지부(15b)와, 상기 플랜지부(15b)의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정수 필터(14)의 윗쪽 중공부에 삽입되는 원형의 돌출부(15a)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upper filter cap 15 includes a circular flange portion 15b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p surface of the water filter 14 (actually, it is in close contact with a ring-shaped silver plate therebetween), and the flange portion 15b. ) and a circular protrusion 15a inserted into the upper hollow of the water filter 14 while protruding integrally at the center of the water filter 14 .

이러한 상부 필터 캡(15)은 정수 필터(14)의 상단부에 설치되면서 입수부(10)로 들어온 물이 정수 필터(14)의 중공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하면서 이때의 물을 정수 필터(14)의 외곽쪽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The upper filter cap 15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filter 14 and prevents the water entering the water acquisition unit 10 from entering the hollow portion of the water filter 14 while keeping the water at this time outside of the water filter 14 . can be guided towards.

예를 들면, 상기 플랜지부(15b)의 상면에는 정수기 하우징(11)의 천장면에 접하는 다수 개의 돌기부(15c)가 형성되고, 이때의 돌기부(15c)는 입수부(10)를 통해 들어온 물을 외곽쪽으로 유도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5c in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b, and the protrusions 15c at this time receive water entering through the water purifier 10. It can lead you to the outside.

즉, 상기 상부 필터 캡(15)의 플랜지부(15b)의 상면에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면서 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 개의 돌기부(15c)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필터(14)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 필터 캡(15)의 각 돌기부(15c)가 정수기 하우징(11)의 천장면에 접하게 되므로서, 입수부(10)를 통해 들어온 물이 각각의 돌기부(15c) 사이로 유도되면서 정수 필터(14)의 바깥쪽 둘레와 정수기 하우징(11)의 내벽 사이의 영역으로 흘러갈 수 있게 된다. That is, a plurality of protrusions 15c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b of the upper filter cap 15 while maintaining a certain distance from each other while radially arranged, and thus the upper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filter 14 is formed. As each protrusion 15c of the filter cap 1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eiling surface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the water entering through the water acquisition unit 10 is guided between the protrusions 15c of the water filter 14 It is allowed to flow into the area between the outer perimeter and the inner wall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

그리고, 상기 상부 필터 캡(15)에 있는 돌출부(15a)의 하면에는 순은으로 이루어진 원판형 은 플레이트(15e)가 설치되며, 이때의 원판형 은 플레이트(15e)는 물과 접촉하면서 물 속의 각종 세균을 살균 처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In addition, a disk-shaped silver plate 15e made of pure silver is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15a of the upper filter cap 15, and the disk-shaped silver plate 15e at this time is in contact with water and various bacteria in the water. plays a role in sterilizing

이와 더불어, 상기 상부 필터 캡(15)의 플랜지부(15b)의 하면과 필터(14)의 상면 사이에는 순은으로 이루어진 링형 은 플레이트(15d)가 설치되며, 이때의 링형 은 플레이트(15d)도 물과 접촉하면서 물 속의 각종 세균을 살균 처리함과 동시에 정수 필터(14)의 필터체가 머금고 있는 물 속의 각종 세균 또한 여기에 접해 있는 링형 은 플레이트(16d)에 의해 살균 처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ring-shaped silver plate 15d made of pure silver is install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5b of the upper filter cap 15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14. At this time, the ring-shaped silver plate 15d also contains water. While sterilizing various bacteria in the water while in contact with the water, various bacteria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filter body of the water filter 14 can also be sterilized by the ring-shaped silver plate 16d in contact with it.

특히, 상기 상부 필터 캡(15)의 플랜지부(15b)는 중심의 돌출부(15a)에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형태의 다수의 연장편(15b-1)을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flange portion 15b of the upper filter cap 15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extension pieces 15b-1 radially extending from the central protrusion 15a.

이에 따라, 상부 필터 캡(15)과 정수 필터(14) 사이에 개재되는 링형 은 플레이트(15d)와 물 간의 접촉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결국 각 연장편(15b-1) 사이로 노출되는 링형 플레이트(15d)와 물 간의 접촉을 통해 물 속의 세균을 보다 효과적으로 살균 처리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ecure a wide contact area between the ring-shaped silver plate 15d and water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filter cap 15 and the water filter 14, and eventually to be exposed between the respective extension pieces 15b-1. Through contact between the ring-shaped plate 15d and water,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sterilize bacteria in the water.

이렇게 필터 내부로 물이 도입되는 초기 영역에 링형 은 플레이트(15d)는 물론 후술하는 링형 은 플레이트(16d) 등을 배치하여 물과 접촉하게 함으로써, 물 속의 세균이 정수 필터(14)측으로 가지 전에 미리 제거할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정수 필터(14)는 물론 정수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잔존하는 세균의 양을 최대한 줄일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ring-shaped silver plate 15d as well as the ring-shaped silver plate 16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placed in the initial region where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filter so that they come into contact with water, so that bacteria in the water go to the water filter 14 in advance. Thus, the amount of bacteria remaining in the water filter 14 as well as the inside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can be reduced as much as possible.

여기서, 상기 링형 은 플레이트(15d)와 원판형 은 플레이트(15e)는 은 페이스트를 경화시켜서 만든 은 스티커 형태 등으로 제작하여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 등으로 부착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ring-shaped silver plate 15d and the disk-shaped silver plate 15e are preferably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ilver sticker made by curing silver paste, so that they are attached and supported with an adhesiv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상기 하부 필터 캡(16)은 중심부에 윗쪽으로 원형의 돌출부분을 가지는 원판 형태로서, 정수 필터(14)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필터 중공부 아래쪽을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역할을 하게 된다. The lower filter cap 16 is in the form of a disk having a circular protrusion upward at the center, and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filter 14 to communicate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hollow.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 필터 캡(16)은 정수 필터(14)의 하단면에 밀착되는(실질적으로는 링형 은 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밀착되는) 원형의 플랜지부(16b)와, 상기 플랜지부(16b)의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면서 필터(14)의 아래쪽 중공부에 삽입되는 원형의 돌출부(16a)를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lower filter cap 16 includes a circular flange portion 16b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filter 14 (actually, it is in close contact with a ring-shaped silver plat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flange portion 16b. ) and a circular protrusion 16a inserted into the lower hollow of the filter 14 while protruding integrally in the center of the filter 14 .

이때, 상기 돌출부(16a)에는 다수의 홀(16c)이 형성되어 있어서 필터(14)의 내부의 물이 돌출부(16a)의 홀(16c)을 통해 빠져나와 출수판(12)측으로 보내지게 된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holes 16c are formed in the protrusion 16a, so that water inside the filter 14 escapes through the holes 16c of the protrusion 16a and is sent to the water outlet plate 12 side.

그리고, 상기 하부 필터 캡(16)의 플랜지부(16b)의 상면과 필터(14)의 하면 사이에는 순은으로 이루어진 링형 은 플레이트(16d)가 설치되며, 이때의 링형 은 플레이트(16d)는 물과 접촉하면서 물 속의 각종 세균을 살균 처리함과 동시에 정수 필터(14)의 필터체가 머금고 있는 물 속의 각종 세균 또한 여기에 접해 있는 링형 은 플레이트(16d)에 의해 살균 처리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ring-shaped silver plate 16d made of pure silver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16b of the lower filter cap 16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lter 14, and the ring-shaped silver plate 16d is formed of water and While sterilizing various bacteria in the water while in contact, various bacteria in the water contained in the filter body of the water filter 14 can also be sterilized by the ring-shaped silver plate 16d in contact with it.

이렇게 물이 들어오는 초기 영역에서 링형 은 플레이트(15d,16d) 등에 의해 물 속의 세균을 1차 살균 처리하고, 계속해서 물이 빠져나가는 말기 영역에서 원판형 은 플레이트(15e)에 의해 물 속의 세균을 2차 처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물 속의 세균을 완벽하게 살균 처리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in the initial area where water enters, the bacteria in the water are first sterilized by the ring-shaped silver plates 15d and 16d, etc., and in the final area where the water continuously flows out, 2 bacteria in the water are removed by the disc-shaped silver plate 15e. By treating the tea,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sterilize the bacteria in the water finally provided to the user.

여기서, 상기 링형 은 플레이트(16d)는 은 페이스트를 경화시켜서 만든 은 스티커 형태 등으로 제작하여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 등으로 부착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ing-shaped silver plate 16d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ilver sticker made by curing silver paste so that it is attached and supported with an adhesive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또한, 상기 세면대용 정수기는 황동 소재 등으로 이루어지면서 정수 필터(14)의 중공부에 설치되는 원형의 금속 파이프(17)와, 정수 필터(14)의 중공부에 설치되어 유속에 의해 자유롭게 유동하여 금속 파이프(17)와 간헐적으로 부딪히거나 근접하면서 전ㆍ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석볼(18)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washbasin water purifier is made of a brass material and is installed in a circular metal pipe 17 installed in the hollow part of the water filter 14 and the hollow part of the water filter 14 to freely flow by the flow rate. It includes at least one magnet ball 18 that generates an electric/magnetic field while intermittently colliding with or close to the metal pipe 17 .

이러한 금속 파이프(17)와 자석볼(18)의 조합은 회전하는 자석과 금속, 예를 들면 황동이나 구리의 조합을 통해 강력한 전ㆍ자기장을 발생시켜서 각종 세균을 살균하고, 또 강력한 자기장을 이용하여 물 속 유기물과 잔류염소의 화학결합을 막아 인체에 유해한 유기염소 화학물질의 생성을 차단하며, 강력한 자기 에너지를 담은 자화육각수를 생성하게 된다. The combination of the metal pipe 17 and the magnetic ball 18 generates a strong electric and magnetic field through a combination of a rotating magnet and metal, for example brass or copper, to sterilize various bacteria, and also use a strong magnetic field to It blocks the chemical bonding between organic matter and residual chlorine in water,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organic chlorine chemicals that are harmful to the human body, and creates magnetic hexagonal water containing strong magnetic energy.

이를 위하여, 상기 자석볼(18)은 정수 필터(14)의 내부, 즉 중공부에 설치되어 물의 유속에 의해 자유롭게 유동되며, 상기 금속 파이프(17)는 정수 필터(14)의 내부에 설치되면서 자석볼(18)과 접촉함과 더불어 정수 필터(14)의 내부로 들어온 물을 윗쪽으로 유도하는 역할 등을 하게 된다. To this end, the magnetic ball 18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filter 14, that is, in the hollow part, and freely flows by the flow rate of water, and the metal pipe 17 is installed inside the water filter 14 with a magnet. In addition to contact with the ball 18, it serves to guide the wat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water filter 14 upward.

여기서, 상기 금속 파이프(17)는 금, 은, 황동, 구리, 아연, 알루미늄, 스테인레스, 티타늄 등과 같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황동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metal pipe 17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gold, silver, brass, copper, zinc, aluminum, stainless steel, titanium, etc., particularly preferably a brass material.

특히,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파이프(17)는 정수 필터(14)의 중공부 내에 설치되면서 정수 필터(14)의 내벽측 및 상부 필터 캡(15)의 저면측과 각각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S. 7 and 8 , the metal pipe 17 is installed in the hollow part of the water filter 14 and is connected to the inner wall side of the water filter 14 and the bottom side of the upper filter cap 15 . They are placed at regular intervals from each other.

즉, 상기 금속 파이프(17)의 외주면과 정수 필터(14)의 내주면 사이에는 약 1∼3㎜ 정도의 간격이 조성되고, 금속 파이프(17)의 상단부와 상부 필터 캡(15)의 저면부 사이에도 약 1∼3㎜ 정도의 간격이 조성된다. That is, a gap of about 1 to 3 mm is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pipe 17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filter 14 , an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metal pipe 17 and the bottom of the upper filter cap 15 . Also, a gap of about 1 to 3 mm is created.

여기서, 상기 금속 파이프(17)는 자체 무게 및 물의 하향 흐름 방향에 의해 항상 하부 필터 캡(16)의 상면에 놓여진 상태로 있게 된다. Here, the metal pipe 17 is alway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lter cap 16 by its own weight and the downward flow direction of water.

이에 따라, 정수 필터(14)를 통해 측면으로 정수된 물이 금속 파이프(17)의 외주면에 부딪혀서 바로 안으로 직진해서 들어가지 못하고 윗쪽의 상부 필터 캡(15)의 돌출부(15a)와 근접한 금속 파이프(17)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미세한 간격, 즉 약 1∼3㎜ 정도의 간격을 통해 금속 파이프(17)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고, 이렇게 들어온 물이 반대편의 금속 파이프(17)의 내부에 부딪히거나 간격을 통해 들어오는 물과 서로 충돌한 후에 아래로 폭포수로 떨어져 하부 필터 캡(16)의 홀(16c)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Accordingly, the water purified laterally through the water filter 14 collides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pipe 17 and cannot go straight into the metal pipe close to the protrusion 15a of the upper filter cap 15 ( 17) enters the inside of the metal pipe 17 through a minute gap, that is, a gap of about 1 to 3 mm formed at the edge of the upper end of Or, after colliding with the water entering through the gap, it falls down into a waterfall and exits through the hole 16c of the lower filter cap 16.

이러한 과정에서 물의 유속이나 수압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고, 그 결과 자석볼(18)의 활발한 움직임은 물론 물과 금속 파이프(17) 간의 활발한 충돌 등을 유도할 수 있으며, 결국 전ㆍ자기장은 물론, 자화육각수 생성을 위한 강력한 자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In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flow rate or water pressure of water, and as a result, not only the active movement of the magnetic ball 18 but also the active collision between water and the metal pipe 17 can be induced. Of course, it is possible to obtain strong magnetic energy for generating a magnetic hexagonal water.

그리고, 상기 금속 파이프(17)의 내측 영역에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석볼(18)이 위치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t least one magnet ball 18 may be position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metal pipe 17 .

이에 따라, 상기 자석볼(18)은 물의 유속에 의해 금속 파이프(17)로 둘러싸여 있는 공간 내에서 이때의 금속 파이프(17)와 간헐적으로 부딪히면서 유동될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자석볼(18)의 동작 특성과 금속 파이프(17)의 소재 특성에 의해 각종 유해세균의 살균에 필요한 전ㆍ자기장은 물론, 자화육각수 생성을 위한 강력한 자기 에너지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magnetic ball 18 is able to flow while intermittently colliding with the metal pipe 17 at this time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metal pipe 17 by the flow rate of water, and the operation of the magnetic ball 18 Due to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metal pipe 17, strong magnetic energy for generating magnetized hexagonal water as well as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necessary for sterilization of various harmful bacteria can be generated.

그리고, 물이 흐르는 경로 상에서 자석볼(18)이 자유롭게 유동되면서 물과 지속적으로 접촉하게 되므로서, 자석의 매우 강력한 자력에 의해 물 분자구조가 이온활성화된 물, 즉 자화육각수로 전환될 수 있게 된다. And, as the magnetic ball 18 continuously flows on the path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freely and comes into continuous contact with water, the water molecular structure can be converted into ion-activated water, that is, a magnetized hexagonal water by the very strong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

즉, 상기 자석볼(18)과 금속 파이프(17)에서 발생하는 강력한 네오디뮴 영구자석의 자력(1,000∼5,000G)에 물을 통과시켜 이온활성화시킴으로써, 물 입자(클러스터)가 미세하고, 용존산소 함유량이 높고, 미네랄이 풍부하고, 약 알카리수이고, 육각고리 구조의 육각수로 이루어진 기능성 물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at is, water particles (clusters) are fine and dissolved oxygen content by passing water through the magnetic force (1,000 to 5,000 G) of the strong neodymium permanent magnet generated in the magnet ball 18 and the metal pipe 17 to activate ions. This high, mineral-rich, weak alkaline water, and functional water consisting of hexagonal water having a hexagonal ring structure can be provided.

이와 같이, 상기 금속 파이프(17)와 자석볼(18)이 정수 필터(14)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정수 필터(14)에 의해 불순물 및 유해물질 등이 깨끗하게 정화되어 있는 물 속에서 전ㆍ자기장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자기 에너지를 발생시킴으로써, 살균 효과는 물론 자화수 효과를 한층 더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etal pipe 17 and the magnetic ball 18 are installed inside the water filter 14, the electric and magnetic fields are cleaned in water from which impurities and harmful substances are purified by the water filter 14. By generating magnetic energy at the same time as generating the sterilization effect, it is possible to further double the effect of magnetized water as well as the sterilization effect.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금속 파이프(17)의 상단부에는 중심부의 파이프 홀(22) 또는 외곽부의 다수 개의 파이프 홀(22)을 가지는 파이프 마개(21)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렇게 금속 파이프(17)의 상단부, 즉 금속 파이프(17)의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초기 구간에 파이프 홀(22)을 갖춘 파이프 마개(21)를 배치함으로써, 물의 수압은 물론 물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a preferred embodiment, a pipe stopper 21 having a pipe hole 22 in the center or a plurality of pipe holes 22 in the outer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metal pipe 17, and thus the metal pipe 17 By arranging the pipe stopper 21 having the pipe hole 22 in the upper end of the, that is, in the initial section where water flows into the metal pipe 17,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increase the water pressure as well as the flow rate of water.

이와 더불어, 상기 금속 파이프(17)는 정수 필터(14)의 내부에서 하부 필터 캡(16)의 상면에 놓여진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금속 파이프(17)는 하부 필터 캡(16)의 상면에 형성되는 파이프 고정홈(23)에 그 하단부를 통해 끼워지면서 정수 필터(14)의 내측에 동심원상으로 고정 설치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metal pipe 17 may be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filter cap 16 inside the water filter 14 . As another example, the metal pipe 17 is the lower filter cap 16 . It can be installed concentrically inside the water filter 14 while being fitted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pipe fixing groove 2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filter 14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정수기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water purifier for a washba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세면대에 있는 수전(110)에 세면대용 정수기(100)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As shown in FIG. 5 , here, a state in which the water purifier 100 for a wash basin is connected to the faucet 110 in the wash basin is used.

일 예로서, 상기 수전(110)의 꼭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때에는 공지의 어댑터(120)의 윗쪽 수나사를 수전(110)의 암나사에 체결하여 연결한 후, 이렇게 연결되어 있는 어댑터(120)의 아래쪽 수나사에 세면대용 정수기(100)의 윗쪽 암나사, 즉 입수부(10)에 있는 암나사를 체결하여 연결하면, 어댑터(120)를 중간에 사용하여 세면대용 정수기(100)를 수전(110)에 연결할 수 있다. As an example, when a female screw is formed in the faucet of the faucet 110, in this case, the upper male screw of the known adapter 120 is fastened to the female screw of the faucet 110 and connected, and then the connected adapter ( When connecting the upper female screw of the water purifier 100 for the washbasin to the lower male screw of 120, that is, the female screw in the water receiving unit 10, the adapter 120 is used in the middle to connect the water purifier 100 for the sink to the faucet 110 ) can be connected to

다른 예로서, 상기 수전(110)의 꼭지에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때에는 수전(110)의 수나사에 세면대용 수도꼭지(110)의 암나사를 체결하여 연결하면, 세면대용 정수기(100)를 수전(110)에 직접 연결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if a male screw is formed on the faucet of the faucet 110 , in this case, if the female screw of the sink faucet 110 is connected to the male screw of the faucet 110 and connected, the water purifier 100 for the sink is connected to the faucet. (110) can be connected directl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세면대용 정수기(100)는 사이즈가 작고 설치가 용이하기 때문에 일반 가정 등에 시공되어 있는 세면대의 수전(110)에 손쉽고 간단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 필터 교체 시 등과 같은 필요 시에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등 취급이나 유지관리가 매우 쉬우며, 또 공간 또한 많이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대체적으로 깊이가 낮은 세면대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water purifier 100 for the washbasi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mall in size and easy to install, it can be easily and simply connected to the faucet 110 of the washbasin installed in general homes, etc. It is very easy to handle and maintain, such as being easily disassembled at the time, and it does not occupy a lot of space,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useful in a sink with a generally low depth.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면대용 정수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water purifier for a washbas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세면대용 정수기는 욕실에 있는 세면대의 수전이나 주방에 있는 싱크대의 수전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 the water purifier for the sink can be used by being connected to the faucet of the sink in the bathroom or the faucet of the sink in the kitchen.

예를 들면, 상기 정수기 하우징(11)의 입수부(10)를 세면대의 수전에 연결하고, 세면대 수전의 레버를 조작하여 수돗물을 틀면 이때의 수돗물은 세면대용 정수기를 통해 멸균 및 정화된 후에 세면용수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if the water receiver 10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is connected to the faucet of the washbasin, and tap water is turned on by operating the lever of the washbasin faucet, the tap water at this time is sterilized and purified through the water purifier for the washbasin and then water become available for use.

이때, 세면대의 수전에서 공급되는 수돗물은 입수부(10)→정수기 하우징(11)과 정수 필터(14) 간의 공간 영역→정수 필터(14)의 내주면과 금속 파이프(17)의 외주면 사이의 갭→금속 파이프(17)의 상단부와 상부 필터 캡(15)의 저면부 사이의갭→금속 파이프(17)의 내부→하부 필터 캡(16)의 홀(16c)→정수기 캡(13)의 출수판(12)을 통해 분사됨으로써, 사용자가 세면용수로 세안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tap water supplied from the faucet of the washbasin is the receiving part 10 → the space area between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and the water filter 14 → the gap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ater purifying filter 14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pipe 17 → The gap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metal pipe 17 and the bottom of the upper filter cap 15 → the inside of the metal pipe 17 → the hole 16c of the lower filter cap 16 → the water outlet plate of the water purifier cap 13 ( 12), so that the user can wash his or her face with washing water.

이러한 과정에서, 정수기 하우징(11)의 내부로 들어온 물은 링형 은 플레이트(15d,16d)와 접촉하면서 살균 처리된 후에 정수 필터(14)측으로 흐르게 되고, 계속해서 정수 필터(14)의 내부로 물이 유입되면, 이때의 정수된 물은 금속 파이프(17)의 외주면과 충돌하여 금속 파이프 안으로 직진해서 들어가지 못하고 윗쪽으로 흐른 후, 금속 파이프(17)의 상단부 가장자리와 상부 필터 캡(15)의 돌출부(15a)의 사이의 갭, 예를 들면 약 1∼3㎜ 정도의 틈새를 통해 아래로 폭포수 형태로 떨어지면서 유속과 수압이 증가하게 되며, 계속해서 이때의 물의 수압에 의해 자석볼(18)이 주변의 구리나 황동 소재로 되어 있는 금속 파이프(17)의 내측 영역에서 주변과 부딪히면서 강하게 유동되고, 결국 이러한 자석볼(18)의 유동(회전)에 의해, 또 물이 금속 파이프(17)에 강하게 부딪힘으로 인해 전ㆍ자기장이 발생되어 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미생물, 각종 유해세균 등이 살균 처리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process, the wat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is sterilized while in contact with the ring-shaped silver plates 15d and 16d, and then flows to the water filter 14 side, and continues to the inside of the water filter 14. When this flows, the purified water at this time collides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etal pipe 17 and flows upward without going straight into the metal pipe, and then the upper edge of the metal pipe 17 and the protrusion of the upper filter cap 15 The flow rate and water pressure increase while falling down in the form of a waterfall through the gap between (15a), for example, a gap of about 1 to 3 mm, and the magnetic ball 18 continues by the water pressure at this time. In the inner region of the metal pipe 17 made of copper or brass material, it flows strongly as it collides with the surroundings, and eventually, by the flow (rotation) of the magnetic ball 18, water strongly enters the metal pipe 17. Due to the collision, an electromagnetic field is generated, and microorganisms and various harmful bacteria contained in the water can be sterilized.

즉, 정수 필터(14)의 내부로 들어온 물이 황동 소재로 이루어진 금속 파이프(17)의 외벽에 강하게 부딪히면서 구리 이온과 물 이온 간의 충돌로 인해 전ㆍ자기장이 발생함과 더불어 항균 작용이 일어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유속과 수압, 예를 들면 물이 좁은 틈새를 통과하는 베르누이의 원리로 인해 발생되는 강한 유속과 수입에 의해 회전 및 유동하는 자석볼(18)과 전기 전도율이 우수한 황동 소재의 금속링(17)에 의한 금속 이온과 전ㆍ자기장 발생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항ㆍ살균 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as water entering the inside of the water filter 14 strongly collides with the outer wall of the metal pipe 17 made of brass material, an electromagnetic field is generated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copper ions and water ions and an antibacterial action occurs, At the same time, the magnetic ball 18 and the brass metal ring 17 with excellent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he magnetic ball 18 that rotates and flows by the strong flow rate and import generated by Bernoulli's principle that water passes through a narrow gap, for example, ), through the generation of metal ions and electromagnetic fields, semi-permanent antibacterial action is possible.

이와 더불어, 정수 필터(14)의 내부에 있는 원판형 은 플레이트(15e)에 의해 한차례 더 물 속의 세균이 살균 처리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bacteria in the water can be sterilized once more by the disc-shaped silver plate 15e inside the water filter 14 .

그리고, 수돗물이 정수 필터(14)를 경유함에 따라 깨끗하게 정수됨은 물론 각종 세균이 제거되고 미네랄이 풍부하며 인체 피부 등에 유익한 자화육각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And, as the tap water passes through the water filter 14, it is not only purified, but also various bacteria are removed,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magnetized hexagonal water that is rich in minerals and beneficial to human ski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세면 후 젖어 있는 정수기 내부와 필터에 번식하는 각종 유해 세균을 반영구적으로 자동 살균할 수 있음은 물론, 물 속의 유기염소 화학물질 생성을 차단함과 더불어 강력한 자기(磁氣) 에너지를 담은 자화육각수를 생성할 수 있으고, 세면 시나 샤워 시는 물론 음용 시에도 인체에 유익한 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세면대용 정수기의 길이가 약 35∼45㎜ 정도로 짧고 직경이 약 35∼45㎜ 정도로 작아서 전체적인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으므로 일반 세면대나 싱크대 등의 수전에 손쉽게 직접 부착할 수 있거나 또는 어댑터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종류 및 규격을 가지는 수전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mi-permanently automatically sterilize various harmful bacteria propagating in the filter and inside the water purifier wet after washing, as well as blocking the generation of organic chlorine chemicals in the water and strong magnetic energy. It can generate magnetic hexagonal water containing Because it is small enough to reduce the overall size, it can be easily directly attached to a faucet such as a general washbasin or sink, or it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faucets having various types and specifications, such as attaching it using an adapter.

10 : 입수부
11 : 정수기 하우징
12 : 출수판
13 : 정수기 캡
14 : 필터
15 : 상부 필터 캡
15a : 돌출부 15b : 플랜지부
15b-1 : 연장편 15c : 돌기부
15d : 링형 은 플레이트 15e : 원판형 은 플레이트
16 : 하부 필터 캡
16a : 돌출부 16b : 플랜지부
16c : 홀 16d : 링형 은 플레이트
17 : 금속 파이프
18 : 자석볼
19 : 타공 은판
20a,20b : 실리콘 링
21 : 파이프 마개
22 : 파이프 홀
23 : 파이프 고정홈
10: intake part
11: water purifier housing
12 : outgoing edition
13: water purifier cap
14 : filter
15: upper filter cap
15a: protrusion 15b: flange portion
15b-1: extension piece 15c: protrusion
15d: Ring-shaped silver plate 15e: Disc-shaped silver plate
16: lower filter cap
16a: protrusion 16b: flange portion
16c: hole 16d: ring-shaped silver plate
17: metal pipe
18: magnetic ball
19: perforated silver plate
20a, 20b: silicone ring
21 : pipe stopper
22 : pipe hole
23: pipe fixing groove

Claims (6)

세면대의 수전(水栓)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정수기에 있어서,
수전측에 연결되는 상단부의 입수부(10)를 가지는 정수기 하우징(11);
상기 정수기 하우징(11)의 하단 개구부를 마감하는 수단으로서, 물 분사를 위한 출수판(12)을 가지면서 정수기 하우징(11)의 하단부에 나사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정수기 캡(13);
상기 정수기 하우징(11)의 내부에 설치되어 물 속의 불순물을 걸러내는 정수 필터(14);
상기 정수 필터(14)의 윗쪽 중공부를 마감하는 것으로서, 입수부(10)를 통해 들어온 물을 외곽쪽으로 유도하는 다수 개의 돌기부(15c) 및 정수 필터(14)의 상단면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링형 은 플레이트(15d)를 가지면서 정수 필터(14)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 필터 캡(15);
상기 정수 필터(14)의 아래쪽 중공부를 연통시켜주는 것으로서, 정수 필터(14)에서 나오는 물을 출수부(12)쪽으로 보내지게 하는 다수 개의 홀(16c)과 정수 필터(14)의 하단면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링형 은 플레이트(16d)를 가지면서 정수 필터(14)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부 필터 캡(16);
상기 정수 필터(14)의 중공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정수 필터(14)의 내주면과의 사이 및 상부 필터 캡(15)의 저면부와의 사이에 각각의 갭을 조성하면서 정수 필터(14)의 내부로 들어온 정수된 물이 각 갭을 통해 그 내측으로 유도하는 금속 파이프(17);
을 포함하고,
상기 정수 필터(14)를 통해 측면으로 정수된 물이 금속 파이프(17)의 외주면에 부딪혀서 바로 안으로 직진해서 들어가지 못하고 윗쪽의 상부 필터 캡(15)의 돌출부(15a)와 근접한 금속 파이프(17)의 상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간격을 통해 금속 파이프(17)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고, 이렇게 들어온 물이 반대편의 금속 파이프(17)의 내부에 부딪히거나 간격을 통해 들어오는 물과 서로 충돌한 후에 아래로 폭포수로 떨어져 하부 필터 캡(16)의 홀(16c)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는 과정에서 물의 유속이나 수압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고, 물과 금속 파이프(17) 간의 활발한 충돌을 유도하여 전ㆍ자기장을 얻을 수 있게 되고,
상기 상부 필터 캡(15)은 돌출부(15a)와 플랜지부(15b)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15b)는 중심의 돌출부(15a)에서 방사상으로 뻗어나가는 형태의 다수의 연장편(15b-1)을 조합한 형태로 이루어져 각 연장편(15b-1) 사이로 노출되는 링형 은 플레이트(15d)와 물 간의 접촉을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정수기.
In the water purifier installed and used in the faucet of the washbasin,
a water purifier housing 11 having an upper end inlet portion 10 connected to the power faucet;
a means for closing the lower opening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the water purifier cap 13 having a water outlet plate 12 for spraying water and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in a screw-fastening structure;
a water filter 14 installed inside the water purifier housing 11 to filter out impurities in the water;
A ring type inter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filter 14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15c for guiding the water coming in through the water acquisition unit 10 to the outside as closing the upper hollow of the water filter 14 . an upper filter cap 15 having a silver plate 15d and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water filter 14;
A plurality of holes 16c that connect the lower hollow of the water filter 14 to the water outlet 12 through which water from the water filter 14 is sent toward the water outlet 12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water filter 14 are connected. a lower filter cap 16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water filter 14 while having a ring-shaped silver plate 16d interposed therebetween;
The inside of the water filter 14 is installed in the hollow part of the water filter 14 and each gap is created betwee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ater filter 14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filter cap 15. a metal pipe (17) through which the purified water entering into the inward guides through each gap;
including,
The water purified laterally through the water filter 14 collides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etal pipe 17 and cannot go straight into the metal pipe 17 close to the protrusion 15a of the upper filter cap 15. It enters the inside of the metal pipe 17 through the gap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In the process of falling into the waterfall and exiting through the hole 16c of the lower filter cap 16,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secure the flow rate or water pressure of water, and induce active collision between the water and the metal pipe 17 to induce an electric/magnetic field can be obtained,
The upper filter cap 15 includes a protrusion 15a and a flange portion 15b, wherein the flange portion 15b has a plurality of extension pieces 15b-1 extending radially from the central protrusion 15a. ) and a ring-shaped silver plate (15d) exposed between each extension piece (15b-1) to enable contact between water and wat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파이프(17)의 내부에는 유속에 의해 자유롭게 유동하여 금속 파이프(17)와 간헐적으로 부딪히거나 근접하면서 전ㆍ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자석볼(18)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magnet ball (18) is installed inside the metal pipe (17) to generate an electric/magnetic field while intermittently colliding with or close to the metal pipe (17) by flowing freely by the flow rate. Water purifier for bathroom sink.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파이프(17)의 상단부에는 물 통과를 위한 파이프 홀(22)을 가지는 파이프 마개(2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ater purifier for a wash basin, characterized in that a pipe stopper 21 having a pipe hole 22 for water passage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metal pipe 17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파이프(17)는 그 하단부를 통해 하부 필터 캡(16)에 형성되어 있는 파이프 고정홈(23) 내에 끼워져 하부 필터 캡(16) 상에 고정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면대용 정수기.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metal pipe (17) is inserted into the pipe fixing groove (23) formed in the lower filter cap (16) through its lower end and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o be fixed on the lower filter cap (16). .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26403A 2021-02-26 2021-02-26 Water purifier for washstand KR1023602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403A KR102360290B1 (en) 2021-02-26 2021-02-26 Water purifier for washstand
PCT/KR2022/002839 WO2022182212A1 (en) 2021-02-26 2022-02-28 Water purifier for s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403A KR102360290B1 (en) 2021-02-26 2021-02-26 Water purifier for washst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0290B1 true KR102360290B1 (en) 2022-02-08
KR102360290B9 KR102360290B9 (en) 2022-04-14

Family

ID=80252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403A KR102360290B1 (en) 2021-02-26 2021-02-26 Water purifier for washstan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60290B1 (en)
WO (1) WO2022182212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212A1 (en) * 2021-02-26 2022-09-01 지병욱 Water purifier for sink
KR102492011B1 (en) * 2022-05-04 2023-01-26 지병욱 Automatic sterilization faucet
KR102572182B1 (en) * 2022-04-11 2023-08-29 (주)한중커머스 Injection head assembly with spill prevention structure of remaining water
KR20230134248A (en) 2022-03-14 2023-09-21 지병욱 Filter assembly for water purifica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939B1 (en) 2010-12-17 2012-09-13 지병욱 removing of residual chlorine for flow population clean water filter
KR101222813B1 (en) 2012-06-08 2013-01-15 지병욱 Composite water purify filter
KR101337749B1 (en) 2012-03-14 2013-12-06 지병욱 Purified water shower mechanism
KR20160018057A (en) 2014-08-07 2016-02-17 김춘식 Complex purifier device
KR20190141104A (en) * 2019-09-14 2019-12-23 오교선 Clean water filter for washbasin
KR102136585B1 (en) * 2020-01-30 2020-07-23 지수진 Functional Shower Hea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8475A (en) * 2004-05-11 2005-11-16 주식회사 거산 Direct pipe type chlorine removal water cleaner
KR101011795B1 (en) * 2010-11-01 2011-02-07 (주)웰로스코리아 Water purifier for faucet using functional ceramic ball
KR20190059852A (en) * 2017-11-23 2019-05-31 (주)피엘엠 Replaceable complex functional module and water supply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360290B1 (en) * 2021-02-26 2022-02-08 지병욱 Water purifier for washstan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2939B1 (en) 2010-12-17 2012-09-13 지병욱 removing of residual chlorine for flow population clean water filter
KR101337749B1 (en) 2012-03-14 2013-12-06 지병욱 Purified water shower mechanism
KR101222813B1 (en) 2012-06-08 2013-01-15 지병욱 Composite water purify filter
KR20160018057A (en) 2014-08-07 2016-02-17 김춘식 Complex purifier device
KR20190141104A (en) * 2019-09-14 2019-12-23 오교선 Clean water filter for washbasin
KR102136585B1 (en) * 2020-01-30 2020-07-23 지수진 Functional Shower Hea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82212A1 (en) * 2021-02-26 2022-09-01 지병욱 Water purifier for sink
KR20230134248A (en) 2022-03-14 2023-09-21 지병욱 Filter assembly for water purification
KR102572182B1 (en) * 2022-04-11 2023-08-29 (주)한중커머스 Injection head assembly with spill prevention structure of remaining water
KR102492011B1 (en) * 2022-05-04 2023-01-26 지병욱 Automatic sterilization fauc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82212A1 (en) 2022-09-01
KR102360290B9 (en) 2022-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0290B1 (en) Water purifier for washstand
KR102136585B1 (en) Functional Shower Head
KR101923352B1 (en) Water purifier for sink
KR102349534B1 (en) Water purifier for sink
KR20160018057A (en) Complex purifier device
KR20160018055A (en) Complex purifier device
EP3298205B1 (en) Hospital sink and faucet
KR102155960B1 (en) Functional filter shower
WO2004113232A2 (en) System and containers for water filtration and item sanitization
KR102492011B1 (en) Automatic sterilization faucet
KR102429798B1 (en) Filter showerhead having sterilization function
KR102532918B1 (en) Water purifier for sink
KR200374492Y1 (en) tooth bruch equipment with an attachable replace ment head and spouting water system.
CN203420340U (en) Toilet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disinfected
KR102363673B1 (en) Functional shower head with the antibacterial function
JP2007037761A (en) Toilet seat with washing stand using sterilizing and sanitizing light source
KR20230151165A (en) Automatic Sterilization Filter Showerhead
KR101849533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ion water and micro bubble water for shower
KR102653144B1 (en) Auto sterilization faucet with water purifier and water saving
KR20160018056A (en) Complex purifier device
KR20230134248A (en) Filter assembly for water purification
CN212078799U (en) Automatic disinfection and purification independent toilet
CN210130772U (en) Closestool with disinfection function
KR100696885B1 (en) Shower head
CN205504198U (en) Degerming t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