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0071B1 - Prefab worker protection apparatus - Google Patents

Prefab worker protection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0071B1
KR102360071B1 KR1020200027177A KR20200027177A KR102360071B1 KR 102360071 B1 KR102360071 B1 KR 102360071B1 KR 1020200027177 A KR1020200027177 A KR 1020200027177A KR 20200027177 A KR20200027177 A KR 20200027177A KR 102360071 B1 KR102360071 B1 KR 1023600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efabricated
groove
protection mechanis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12073A (en
Inventor
김경욱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20002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0071B1/en
Publication of KR20210112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07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00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00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09Temporary tunnels specially adapted against falling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는,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에 작업자 위해 형성되는 상부, 상기 상부 양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는, 상부와 지지부 구성을 통해 공사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가능하고, 기구 밑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진행하도록 하여, 토사 붕괴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시 작업자를 보호한다.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formed for the operator to protect the operator,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coupl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to the bottom surface to fix the support portion and a fixing par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ssembled at the construction sit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part and the support part, and the worker proceeds the work under the mechanism, thereby protecting the worker in case of a safety accident caused by soil collapse.

Description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PREFAB WORKER PROTECTION APPARATUS}Prefab WORKER PROTECTION APPARATUS {PREFAB WORKER PROT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관로 공사시에 쓰이는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관로 공사에서 토사 붕괴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간단하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는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used during pipeline constru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that can be installed simply and quickly to prevent safety accidents of workers due to soil collapse in pipeline construction.

관로 공사시에는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로 공사는 기본적으로 지반에서 수행하게 된다. 이때 관이 지반 내에 묻어 있기 때문에, 흙을 드러내어 작업자가 지반 내의 관을 수리하거나 설치하는 일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항상 지반의 토사가 붕괴되어 작업자를 해칠 수 있는 위험을 감수하고 일을 하게 된다.It is important to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during pipeline construction. Pipeline construction is basically performed on the ground. At this time, since the pipe is buried in the ground, the soil is exposed and the worker repairs or installs the pipe in the ground. Therefore, the worker always works at the risk that the soil in the ground will collapse and harm the worker.

대구경 관로 공사의 경우, 대부분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흙막이를 설치하나, 누수 복구 공사와 같이 긴급한 상황이나 소구경 관로 공사와 같이 작업 공간이 협소하고 각종 장애물이 많은 경우에는 흙막이의 설치가 곤란하여 작업자가 흙막이 설치 없이 토사 붕괴의 위험에 그대로 노출된 채로 일을 하는 경우가 많다. 누수 복구 공사의 경우 누수에 의한 습윤 상태의 토사면에서 붕괴 가능성이 높아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데, 소구경 상수도 공사의 경우 공간이 협소하고 지장물이 많아 공사비 증가로 인한 흙막이 설치가 장려되고 있지 못하는 상황이다.In the case of large-diameter pipeline construction, most installs a retainer to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retainer in an emergency such as a leak repair construction or when the work space is narrow and there are many obstacles such as a small-diameter pipeline construction. As a result,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workers are exposed to the risk of soil collapse without installing a retaining wall. In the case of leak restoration work, the possibility of collapse is high on the wet soil surface due to water leakage, so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a safety accident. situation.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관로 공사 현장에 장애물이 많거나 긴급한 경우에도 간단하고 신속하게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기구를 설치할 수 있어야 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even when there are many obstacles or urgent at the pipeline construction site, it should be possible to install a mechanism for protecting workers simply and quickly.

KRKR 10-205830910-2058309 B1B1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는, 조립식으로 제작되어 운반하기 쉽고 긴급한 관로 공사 현장에 빠른 시간 내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관로 공사 현장의 예상치 못한 장애물에 대응하기 위하여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의 폭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장애물을 피해 기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토사가 무너질 수 있는 것을 가정하여, 토사의 무게를 효율적으로 버틸 수 있는 구조를 갖춘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를 제공한다.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in a prefabricated manner so that it is easy to transport and can be installed in a short time at an urgent pipeline construction site. In addition, in order to respond to unexpected obstacles at the pipeline construction site, the width and length of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can be adjusted so that the mechanism can be installed while avoiding the obstacl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having a structure that can efficiently withstand the weight of the soil by assuming that the soil may collaps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는,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에 작업자 위해 형성되는 상부, 상기 상부 양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formed for the operator to protect the operator,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coupled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to the bottom surface to fix the support portion and a fixing par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에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하단부 및 상기 하단부와 상기 상부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한다.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lower end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nd a middle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lower end and the upper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에서, 상기 중간부는 복수개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상기 중간부의 개수에 따라 상기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의 높이가 조절된다.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plurality, the height of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intermediate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에서, 상기 상부 및 상기 지지부에는 천공홀이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foration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and the support por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에서,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상기 하단부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도록 홈 형태의 제1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홈부에 삽입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제2 홈부, 상기 제2 홈부 내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에 고정되는 말뚝부, 상기 말뚝부와 상기 제2 홈부 사이에 일정 힘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1 탄성부에서 일정 이상의 힘이 상기 말뚝부에 가해지도록 상기 제1 탄성부가 압축되었을 때 상기 말뚝부의 측면 안쪽으로 내장되어 있다가 튀어나와 상기 몸체부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홀에 고정되는 제1 고정핀을 포함한다.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end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 first groove in the form of a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fixing portion is coupled, and the fixing portion, the first groove portion A body part to be inserted and coupled, a second groove part formed in a groove shape inside the body part, a pile par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groove part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a certain force is provided between the pile part and the second groove part When the first elastic part is compressed so that a predetermined or more force is applied to the pile part from the first elastic part and the first elastic part to It includes a first fixing pin fixed to the hol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에서, 상기 상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판인 주변판 및 상기 주변판 사이를 연결하는 중심판을 포함한다.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includes a peripheral plate that is a plate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a center plate that connects between the peripheral plat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에서, 상기 중심판은, 상기 중심판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제1 천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변판은, 상기 주변판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제2 천공부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plate is formed with a first perfor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enter plate, and the peripheral plate is, A second perfor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에서, 상기 제1 천공부는, 상기 중심판의 중심 부분에 상기 중심판의 가로 방향 길이의 1/3만큼의 너비 갖는 중심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판의 세로 방향 길이의 1/10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서로의 중심 간의 거리가 상기 중심판의 세로 방향 길이의 2/5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의 중심 천공홀 및 상기 중심 영역을 제외한 상기 중심판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판의 세로 방향 길이의 1/8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서로의 중심 간의 거리가 상기 중심판의 세로 방향 길이의 1/4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의 중간 천공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천공부는, 상기 주변판의 세로 방향 길이의 1/6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서로의 중심 간의 거리가 상기 주변판의 세로 방향 길이의 1/3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의 외곽 천공홀로 구성되며, 상기 중심판과 상기 주변판의 세로 방향 길이가 같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의 세로 방향 길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한다.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erforation is formed in a central area having a width of 1/3 of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center plat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nter plate, and the center plate The center plate excluding the center region and a plurality of center perforated holes formed with a diameter of 1/10 the length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each other is 2/5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enter plate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erforated holes formed in and formed with a diameter of 1/8 of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enter plate,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each other being 1/4 of the length of the center pl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econd perforation is formed with a diameter of 1/6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peripheral plat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each other is a plurality of outer edges formed with a size of 1/3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peripheral plate Consists of a perforated hole, the central plate and the peripheral plate are formed to have the same longitudinal length, so that 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portion is uniformly form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에서, 상기 주변판은 상기 중심판의 위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도록 레일에 의해 상기 중심판에 결합되어, 상기 주변판이 상기 중심판으로부터 미끄럼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상부 양단 사이의 거리인 상기 상부의 가로 방향의 길이가 조절된다.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ipheral plate is coupled to the central plate by a rail to slide on the central plate, depending on the distance the peripheral plate slides from the central plate. The length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upper part,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upper part, is adjus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는, 상부와 지지부 구성을 통해 공사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가능하고, 기구 밑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진행하도록 하여, 토사 붕괴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시 작업자를 보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지지부를 판 여러 개를 조립하여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하여, 기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공사 현장에 기구를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부와 지지부에 천공홀을 형성시킴으로써 토사 붕괴시 토사의 무게를 효율적으로 분산시켜 기구가 토사의 무게에 의해 무너지는 가능성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상부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공사 현장에 기구를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ssembled at the construction site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part and the support part, and the worker proceeds the work under the mechanism, thereby protecting the worker in case of a safety accident caused by soil collapse. In addition, by assembling a plurality of plates to form a support por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mechanism can be adjusted so that the mechanism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struction sites. In addition, by forming a perforated hole in the upper part and the suppor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of the soil is efficiently distributed when the soil collapses, thereby minimizing the possibility of the mechanism collapsing by the weight of the soil. In addition, by allowing the width of the upper portion to be adjus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l can be applied to various construction site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중간부, 중간부와 상부의 연결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하단부 간의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와 하단부의 결합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심판의 단면도;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주변판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between a fixing part and a middle part, a middle part and an upper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etween the fixing portion and the lower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process of the fixing portion and the lower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are perspective views of an upper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enter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eripheral pl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ber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ber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terms such as "one side", "the other sid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the component is limited by the terms no. Hereinafter,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dicate like memb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1)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1)는, 작업자(P)를 보호하기 위에 작업자(P) 위에 형성되는 상부(100), 상기 상부(100) 양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100)를 지지하는 지지부(200) 및 상기 지지부(200)를 바닥면(G)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200)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부(300)를 포함한다.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tends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100 formed on the operator P to protect the operator P, and the upper portion 100, the It includes a support part 200 for supporting the upper part 100 and a fixing part 300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200 to fix the support part 200 to the bottom surface G.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1)는 상부(100), 지지부(200),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상부(100)는 작업자(P)를 보호하기 위해 작업자(P) 위에 형성된다. 즉, 관로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P)가 관로에 대한 작업을 시행할 때,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1)의 상부(100)가 작업자(P) 위에서 작업자(P)에게 떨어질 수 있는 토사 등으로부터 작업자(P)를 보호하게 된다. 상부(100)는 도 1과 같이 네모난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100) 자체가 결합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이후에 설명하고자 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portion 100 , a support portion 200 , and a fixing portion 300 . The upper part 100 is formed above the worker P to protect the worker P. That is, when the worker (P) at the pipeline construction site performs work on the pipeline, the upper part 100 of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1) falls from the worker (P) to the operator (P) from soil, etc. (P) will be protected. The upper part 100 may be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as shown in FIG. 1 , and in another embodiment, the upper part 100 itself may be configured as a coupling structur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지지부(200)는 상부(100)가 작업자(P) 위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도록, 상부(100) 양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부(100)를 지지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1)는 조립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부(100)와 지지부(200) 사이는 쉽게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제작되며, 이에 대한 구조는 이하에서 설명한다.The support part 200 is coupled downwardly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art 100 to support the upper part 100 so that the upper part 100 can be fixed on the worker P. Since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abricated, it is manufactured to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between the upper part 100 and the support part 200, and the structure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고정부(300)는 지지부(200)를 바닥면(G)에 고정하기 위해 지지부(200) 하단에 형성된다. 고정부(300)는 말뚝과 같은 역할을 하며,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1)에서 바닥면(G)에 말뚝을 박아 기구(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The fixing part 30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200 to fix the support part 200 to the bottom surface (G). The fixing unit 300 serves as a stake, and serves to fix the mechanism 1 by driving a stake to the bottom surface G 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1 .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부(200)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100), 지지부(200)의 중간부(220), 지지부(200)의 하단부(210) 간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upper p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ddle part 220 of the support part 200, and a lower part 210 of the support part 200. )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bonding structure betwee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1)에서, 상기 지지부(200)는, 상기 고정부(300)와 결합되는 하단부(210) 및 상기 하단부(210)와 상기 상부(100)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220)를 포함한다.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200 is between the lower end 210 and the lower end 210 coupled to the fixing unit 300 and the upper portion 100 . It includes an intermediate part 220 that connects them.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에서, 상기 중간부는 복수개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상기 중간부의 개수에 따라 상기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의 높이가 조절된다.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mediate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plurality, the height of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intermediate portion.

지지부(200)는 하단부(210)와 중간부(220)로 구분되어 조립된다. 하단부(210)는 고정부(300)와 결합되어 고정부(300)의 지지력을 기구(1) 전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중간부(220)는 하단부(210)와 상부(100)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unit 200 is divided into a lower end 210 and an intermediate portion 220 and assembled. The lower end 210 is coupled to the fixed portion 300 and serves to transmit the supporting force of the fixed portion 300 to the entire instrument 1, and the middle portion 220 is formed between the lower portion 210 and the upper portion 100. serves to connect.

배관 공사 현장에서 배관의 크기나 배관이 매설된 곳이 깊이 등에 따라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1)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어야 한다. 이때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1)의 높이를 중간부(220)의 갯수를 통해 조절한다. 도 2를 보면 중간부(220)가 하나로 형성되어 있으나, 중간부(220)를 복수개로 형성시킴으로써 기구(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1) must be adjust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ipe at the plumbing construction site or the depth of the place where the pipe is buried.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1 is adjusted through the number of the intermediate parts 220 . Referring to FIG. 2 , one middle part 220 is formed, but by forming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arts 220 , the height of the mechanism 1 can be adjusted.

중간부(220)와 하단부(210) 간의 결합은 도 3의 도시된 구조를 통해 이루어진다. 중간부(220)에는 중간부(220)의 밑면에서 중간부(220) 내부를 향해 형성되는 홈 형태의 제3 홈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하단부(210)에는 하단부(210)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돌출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돌출부(212)가 제3 홈부(221)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중간부(220)와 하단부(210) 간의 결합이 체결된다. 제3 홈부(221)의 측면에는 외측과 연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는데, 제1 돌출부(212)의 측면 안쪽으로 내장되어 있는 제2 고정핀(213)이 제1 돌출부(212)가 제3 홈부(221)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제2 고정핀(213)이 제3 홈부(221)의 홀과 마주하게 되는 경우 튀어나와 제3 홈부(221)와 제1 돌출부(212) 사이에 걸쳐지게 됨으로써 제1 돌출부(212)와 제3 홈부(221) 사이를 고정시킨다. 제2 고정핀(213)이 튀어나오는 힘은, 제2 고정핀(213)이 배치되어 있는 제1 돌출부(212)의 측면에 형성될 홀 안에 탄성부가 형성되어 있어, 탄성부의 탄성력이 의해 제공된다. 중간부(220)와 하단부(210)의 결합을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제3 홈부(221)의 측면 외측에 형성된 홀을 통해 제2 고정핀(213)을 가압함으로써 제2 고정핀(213)이 제3 홈부(221)에서 이탈되도록 하여 제3 홈부(221)와 제1 돌출부(212)를 분리시킨다. 이와 같은 도 3의 결합 구조는 중간부(220)와 하단부(210) 간의 결합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중간부(220)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중간부(220) 사이 결합에도 적용되며, 중간부(220)와 상부(100)의 양단 간의 결합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을 조립식으로 구성시키기 위한 각 구성 간의 결합구조는 도 3의 결합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구성을 효율적으로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The coupling between the middle part 220 and the lower part 210 is made through the structure shown in FIG. 3 . A third groove portion 221 in the form of a groove form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220 toward the insid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220 may be form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220 . A first protrusion 212 that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210 may be formed on the lower end 210 . Therefore, the coupling between the middle part 220 and the lower end 210 is fastened by inserting the first protrusion 212 into the third groove 221 . A hole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may be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groove 221 , and the second fixing pin 213 built into the side of the first protrusion 212 is the first protrusion 212 is the third When the second fixing pin 213 faces the hole of the third groove 221 in the process of entering the groove 221 , it protrudes and spans between the third groove 221 and the first protrusion 212 . A space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212 and the third groove 221 is fixed. The force by which the second fixing pin 213 protrudes is provid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part because an elastic part is formed in the hole to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protrusion 212 in which the second fixing pin 213 is disposed. . In the case of separating the coupling between the middle part 220 and the lower part 210 , the second fixing pin 213 is formed by pressing the second fixing pin 213 through a hol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side surface of the third groove part 221 . The third groove part 221 and the first protrusion part 212 are separated by being separated from the third groove part 221 . The coupling structure of FIG. 3 as described above is not applied only to the coupling between the middle part 220 and the lower end 210, but is also applied to the coupling between the middle part 220 when the middle part 220 is configured in plurality. It is also applied to the coupling between both ends of the part 220 and the upper part 100 .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each component for construc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efabricated manner is not limited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FIG. 3 , and a conventional structure capable of efficiently separating and combining each component may be applied.

도 2를 보면, 상부(100)에는 중간부(220)와 결합되도록 아래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30) 내부로는 제4 홈부(131)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220) 상단에는 제2 돌출부(222)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220)와 하단부(210) 간의 결합을 위에서 도 3의 구조를 통해 설명하였는데, 중간부(220)와 연결부(130) 간의 결합 관계 또한 도 3의 구조와 기본적인 구조가 일치한다. 즉, 제2 돌출부(222)가 제4 홈부(131)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연결부(130)가 중간부(220)에 고정되게 된다. 다만, 본 발명을 조립식으로 구성시키기 위한 각 구성 간의 결합구조는 도 3의 결합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구성을 효율적으로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는 통상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a connection part 130 protruding downward to be coupled to the middle part 220 is formed on the upper part 100 . A fourth groove part 131 is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part 130 . A second protrusion 222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iddle portion 220 . The coupling between the middle part 220 and the lower part 210 was described above with the structure of FIG. 3 , and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iddle part 220 and the connection part 130 also matches the structure of FIG. 3 and the basic structure. That is, as the second protrusion 222 is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ourth groove 131 , the connecting portion 130 is fix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220 . However,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each component for constructing the present invention in a prefabricated manner is not limited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FIG. 3 , and a conventional structure capable of efficiently separating and coupling each component may be applied.

도 1을 보면, 본 발명의 상부(100)와 지지부(200) 구성에는 판을 관통하는 천공홀이 형성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판을 관통하는 구멍과 같은 구성이 상부(100)와 지지부(200)에 형성되는 것은, 토사가 기구(1)를 덮칠 때 토사 일부분을 기구(1)의 아래 방향으로 유출시킴으로써 토사의 무게를 분산시켜, 토사의 무게에 의해 기구(1)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지지부(200)의 하단부(210)에는 빈공간(214)이 형성되어 있다. 빈공간(214)은 기구(1)의 설치시 바닥면(G)이 울퉁불퉁하여 기구(1)가 수평으로 설치되기 힘드므로 빈공간(214)을 형성시켜 바닥면(G)과 기구(1)가 닿는 면적을 최소화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이때, 토사를 기구(1) 밑으로 너무 많이 떨어뜨리는 경우에는, 작업자(P)의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관통홀의 크기나 배치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밑에서 자세히 서술한다.Referring to FIG. 1 , it can be seen that a perforated hole penetrating the plate is form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upper part 100 and the support part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such as a hole passing through the plat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100 and the support part 200, when the soil covers the mechanism 1, a part of the soil flows out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mechanism 1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oil. This is to prevent the mechanism 1 from collapsing due to the weight of the soil by dispersing it. In addition, an empty space 214 is formed in the lower end 210 of the support unit 200 . The empty space 214 forms an empty space 214 to form an empty space 214 because the floor surface G is uneven when the apparatus 1 is installed, so that it is difficult for the apparatus 1 to be installed horizontally. It is formed to minimize the contact area. At this time, if too much soil is dropped under the mechanism 1, safety problems for the operator P may occur, so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size or arrangement of the through-holes.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00)와 하단부(210) 간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300)의 단면도이다.4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between the fixing part 300 and the lower end 2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ing part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1)에서, 상기 고정부(300)와 결합되는 상기 하단부(210)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부(300)가 결합되도록 홈 형태의 제1 홈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300)는, 상기 제1 홈부(211)에 삽입 결합되는 몸체부(310), 상기 몸체부(310) 내부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제2 홈부(320), 상기 제2 홈부(320) 내부에 결합되어 바닥면(G)에 고정되는 말뚝부(330), 상기 말뚝부(330)와 상기 제2 홈부(320) 사이에 일정 힘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340) 및 상기 제1 탄성부(340)에서 일정 이상의 힘이 상기 말뚝부(330)에 가해지도록 상기 제1 탄성부(340)가 압축되었을 때 상기 말뚝부(330)의 측면 안쪽으로 내장되어 있다가 튀어나와 상기 몸체부(310)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홀에 고정되는 제1 고정핀(350)을 포함한다.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e lower end of the lower end 210 coupled to the fixing part 300 , the fixing part 300 is coupled to the first groove in the form of a groove. 211 is formed, and the fixing part 300 includes a body 310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groove 211 , and a second groove 320 formed in a groove shape inside the body 310 . ), the second groove portion 320 is coupled inside the pile portion 330 fixed to the bottom surface (G), the first to provide a certain force between the stake portion 330 and the second groove portion 320 When the first elastic part 340 is compressed so that a predetermined or more force is applied to the pile part 330 from the elastic part 340 and the first elastic part 340, the side surface of the pile part 330 is inside. It includes a first fixing pin 350 that is built-in and protrudes and is fixed to a hole formed through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310 .

도 4a를 보면, 고정부(300)의 몸체를 구성하는 몸체부(310)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0)의 몸체부(310)에 대응하도록 중간부(220)의 하단에는 제1 홈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관로 공사 현장에서 기구(1)를 조립할 때, 고정부(300)를 제1 홈부(211)에 돌려 결합시킨다. Referring to FIG. 4A , it can be seen that a screw thread is formed in the body part 310 constituting the body of the fixing part 300 . In addition, a first groove portion 211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termediate portion 220 to correspond to the body portion 310 of the fixing portion 300 . Therefore, when assembling the mechanism 1 at the pipeline construction site, the fixing part 300 is coupled to the first groove part 211 by turning it.

도 4b를 보면, 고정부(300)는 몸체부(310), 제2 홈부(320), 말뚝부(330), 제1 탄성부(340), 제1 고정핀(350)으로 구성된다. 몸체부(310)는 고정부(300)의 몸체를 구성한다. 제2 홈부(320)는 몸체부(310) 내부에 홈 형태로 형성된다. 제2 홈부(320) 내부에는 바닥면(G)에 고정되는 말뚝부(330)가 결합된다. 말뚝부(330)가 바닥면(G)에 깊숙이 박혀 기구(1)에 충분한 고정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정힘 이상이 말뚝부(330)에 가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말뚝부(330)와 제2 홈부(320) 사이에 제1 탄성부(340)가 형성된다. 기구(1) 조립 후에 기구에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그 힘이 말뚝부(330)에 전해지게 된다. 이때 말뚝부(330)에 전해진 힘이 일정힘 이상이 될 때, 반력으로 제1 탄성부(340)가 수축되면서 말뚝부(330)에 힘이 가해진다. 따라서 일정 힘 이상이 말뚝부(330)에 전해지지 않으면, 제1 탄성부(340)가 수축하지 않아 말뚝부(330)가 제2 홈(320)에 결합될만큼 충분히 들어가지 못한다. 이러한 메커니즘을 통해, 말뚝부(330)가 제2 홈부(320)에 고정시키기 위해 필요한 일정 크기의 힘이 말뚝부(330)가 바닥면(G)에 고정시키기 충분한 힘보다 크도록 기구(1)를 설계한다. 이러한 설계는 제1 탄성부(340)의 탄성계수나 길이 등을 조절함으로써 실현 가능하다. 따라서, 말뚝부(330)가 바닥면(G)에 고정되기 위한 일정 크기의 힘이 고정부(300)에 제공되면, 도 4b에서 보여지듯이 제1 탄성부(340)이 압축되어 말뚝부(330)가 제2 홈부(320)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말뚝부(330)의 측면 안쪽으로 내장되어 있는 제1 고정핀(350)이 튀어나와 몸체부(310)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홀에 진입하여, 제1 고정핀(350)이 말뚝부(330)와 몸체부(310) 측면의 홀에 걸쳐짐으로써 말뚝부(33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게 된다. 또한, 제1 탄성부(340)는 바닥면(G)이 고르지 않은 상황에서 각각의 탄성부의 수축 정도를 달리 함으로써 기구(1)의 수평을 맞추는 역할을 수행한다. 말뚝부(330)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발받이(331)를 포함하며, 작업자(P)가 발받이(331)를 밟아 말뚝부(330)을 지면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Referring to FIG. 4B , the fixing part 300 includes a body part 310 , a second groove part 320 , a stake part 330 , a first elastic part 340 , and a first fixing pin 350 . The body part 310 constitutes the body of the fixing part 300 . The second groove portion 320 is formed in the form of a groove inside the body portion 310 . The second groove part 320 inside the pile part 330 fixed to the bottom surface (G) is coupled. In order for the pile part 330 to be deeply embedded in the bottom surface G to provide sufficient fixing force to the mechanism 1 , a certain force or more must be applied to the pile part 330 . To this end, the first elastic part 340 is formed between the pile part 330 and the second groove part 320 . After assembling the instrument (1), when a force is applied to the instrument in a top-down direction, the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take portion (330). At this time, when the force applied to the pile part 330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force, the first elastic part 340 is contracted by the reaction force, and the force is applied to the pile part 330 . Therefore, if more than a certain force is not transmitted to the pile part 330 , the first elastic part 340 does not contract and the pile part 330 does not enter enough to be coupled to the second groove 320 . Through this mechanism, a force of a certain size required to fix the stake portion 330 to the second groove portion 320 is greater than a force sufficient to fix the stake portion 330 to the bottom surface (G) of the mechanism (1) to design Such a design can be realized by adjusting the elastic modulus or length of the first elastic part 340 . Accordingly, when a force of a certain size for fixing the pile part 330 to the bottom surface G is provided to the fixing part 300 , the first elastic part 340 is compressed as shown in FIG. 4b to the pile part 330 . ) enters the second groove 320 . At this time, the first fixing pin 350 built into the side of the pile part 330 protrudes and enters the hole formed through the side of the body part 310, the first fixing pin 350 is the pile part ( 330) and the body portion 310 by being spanned through the hole on the side of the stake portion 330 is fixed without moving. 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part 340 serves to level the mechanism 1 by varying the degree of contraction of each elastic part in a situation in which the bottom surface G is uneven. The stake portion 330 includes a footrest 331 protruding outwardly, and the worker P steps on the footrest 331 to fix the stake portion 330 to the ground.

도 5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100)를 나타낸 도면이다.5A to 6B are views showing the upper par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1)에서, 상기 상부(100)는, 상기 지지부(200)와 연결되는 판인 주변판(120) 및 상기 주변판(120) 사이를 연결하는 중심판(110)을 포함한다.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portion 100 is a center connecting between the peripheral plate 120 and the peripheral plate 120 which are plates connected to the support 200 . plate 110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1)에서, 상기 중심판(110)은, 상기 중심판(1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제1 천공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변판(120)은, 상기 주변판(12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제2 천공부(121)가 형성되어 있다.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er plate 110 is a first perforation portion 112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enter plate 110 . is formed, and in the peripheral plate 120 , a second perforation 121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eripheral plate 120 is form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1)에서, 상기 제1 천공부(112)는, 상기 중심판(110)의 중심 부분에 상기 중심판(110)의 가로 방향 길이의 1/3만큼의 너비 갖는 중심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판(110)의 세로 방향 길이의 1/10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서로의 중심 간의 거리가 상기 중심판(110)의 세로 방향 길이의 2/5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의 중심 천공홀(112a) 및 상기 중심 영역을 제외한 상기 중심판(110)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판(110)의 세로 방향 길이의 1/8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서로의 중심 간의 거리가 상기 중심판(110)의 세로 방향 길이의 1/4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의 중간 천공홀(112b);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천공부(121)는, 상기 주변판(120)의 세로 방향 길이의 1/6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서로의 중심 간의 거리가 상기 주변판(120)의 세로 방향 길이의 1/3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의 외곽 천공홀(121a)로 구성되며, 상기 중심판(110)과 상기 주변판(120)의 세로 방향 길이가 같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100)의 세로 방향 길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한다.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erforation 112 is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center plate 110 1/ of the transverse length of the center plate 110 . It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having a width of 3 and has a diameter of 1/10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entral plate 110 ,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each other is 2/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entral plate 110 . A plurality of center perforated holes 112a formed in size 5 and formed in the center plate 110 except for the central region and formed with a diameter of 1/8 the length of the center plate 1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center plate 110 is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erforation holes (112b) formed in the size of 1/4 of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mposed of, the second perforation portion 121, the peripheral plate ( 120) with a diameter of 1/6 of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each other is 1/3 of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ripheral plate 120 as a plurality of outer perforated holes 121a. The central plate 110 and the peripheral plate 12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longitudinal length, so that 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part 100 is uniformly form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1)에서, 상기 주변판(120)은 상기 중심판(110)의 위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도록 레일(111)에 의해 상기 중심판(110)에 결합되어, 상기 주변판(120)이 상기 중심판(110)으로부터 미끄럼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상부(100) 양단 사이의 거리인 상기 상부(100)의 가로 방향의 길이가 조절된다.I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eripheral plate 120 is coupled to the central plate 110 by a rail 111 to slide on the central plate 110 . Thus,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upper part 100,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upper part 1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at which the peripheral plate 120 slides from the central plate 110.

도 5a를 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상부(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부(110)는 지지부(200)와 연결되는 판인 주변판(120)과 주변판(120) 사이를 연결하는 중심판(110)을 포함한다. 주변판(120)은 중심판(110)의 위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도록 형성된다. 중심판(110) 상면에는 레일(111)이 형성되어 있어, 주변판(120)은 레일(111)에 의해 중심판(110)과 결합되어 중심판(110) 상에서 움직일 수 있다. 주변판(120)이 중심판(110)으로부터 미끄럼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상부(100) 양단 사이의 거리인 상부(100)의 가로 방향 길이가 조절된다. 이에 따라 기구(1)가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기구(1)의 폭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a,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portion 100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upper portion 110 includes a peripheral plate 120 that is a plate connected to the support 200 and a center plate 110 that connects between the peripheral plate 120 . The peripheral plate 120 is formed to slide on the center plate 110 . A rail 11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er plate 110 , and the peripheral plate 120 is coupled to the center plate 110 by the rail 111 to move on the center plate 110 .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upper part 100,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upper part 10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ance at which the peripheral plate 120 slides from the central plate 11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idth of the mechanism (1)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mechanism (1) is installed.

도 6a를 보면, 중심판(110)은 중심판(11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제1 천공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중심판(110)의 중심 부분에 중심판(110)의 가로 방향 길이의 1/3만큼의 너비를 갖는 부분을 중심 영역이라고 칭한다. 중심 영역은 작업자(P)가 작업을 수행하는 공간 바로 위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토사가 많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대적으로 홀의 크기를 작게 형성하고, 홀의 간격을 크게 형성시킨다. 도 1을 참조하면, 중심 영역 밑으로는 배관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토사 붕괴로 인해 기구(1)가 주저 앉아도 상부(100)의 중심판(110)은 배관이 의해 지지되어, 상부(100)의 다른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토사 압력에 의한 훼손 가능성이 낮다. 따라서 상부(100)의 다른 영역에 비해 중심 영역에는 홀의 크기를 작게 형성시키고 홀의 간격을 넓게 형성시키는 것이다. 중심 영역에 형성되는 홀은 중심 천공홀(112a)로 지칭하며, 중심 천공홀(112a)의 직경은 중심판(110)의 세로 방향 길이의 1/10 크기로 형성되고, 중심 천공홀(112a) 서로 중심 간의 거리는 중심판(110)의 세로 방향 길이의 2/5 크기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A , in the center plate 110 , a first perforation portion 112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enter plate 110 is formed. A portion having a width equal to 1/3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central plate 110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ntral plate 110 is referred to as a central region. Since the central region is formed just above the space where the operator P performs the work, the size of the hole is relatively small in order to prevent a lot of soil from falling to the operator, and the gap between the holes is formed large. Referring to FIG. 1 , since the pipe is disposed below the central region, even if the instrument 1 sits down due to soil collapse, the central plate 110 of the upper part 100 is supported by the pipe, and the upper part 100 is supported by the pipe. The possibility of damage due to soil pressure i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other areas. Therefore, compared to other regions of the upper portion 100, the size of the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to be smaller and the gap between the holes is formed to be wide. The hole formed in the central region is referred to as a central drilling hole 112a, and the diameter of the central drilling hole 112a is 1/10 the size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entral plate 110, and the central drilling hole 112a.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each other is formed to be 2/5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enter plate 110 .

중심판(110)에서 중심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 형성되는 복수의 홀은 중간 천공홀(112b)로 지칭된다. 중심판(110)에서 중심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작업자(P)가 아래 방향에서 작업을 실시할 일이 많이 없으므로, 중간 천공홀(112b)의 크기는 중심 천공홀(112a)의 크기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도 작업자(P)에게 토사가 급격히 가해질 가능성이 낮다. 또한, 중심 영역을 제외한 중심판(110)의 영역은 토사에 의해 기구(1)가 무너질 시에 배관에 의해 지지되지 못하여 토사의 무게이 의해 구부러지거나 절곡될 수 있으므로, 중간 천공홀(112b)은 중심 천공홀(112a)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중심 간의 거리는 작게 형성된다. 중간 천공홀(112b)의 직경은 중심판(110)의 세로 방향 길이의 1/8 크기로 형성되고, 중간 천공홀(112b) 서로의 중심 간의 거리는 중심판(110)의 세로 방향 길이의 1/4 크기로 형성된다.A plurality of holes formed in a portion of the center plate 110 except for the central region is referred to as an intermediate perforated hole 112b. In the central plate 110 except for the central region, since the operator P does not often work in the downward direction, the size of the middle hole 112b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center hole 112a. Even if it is, there is a low possibility that soil and soil will be rapidly applied to the worker P. In addition, since the region of the center plate 110 except for the central region cannot be supported by the pipe when the mechanism 1 collapses due to the soil and may be bent or bent by the weight of the soil, the intermediate drilling hole 112b is located in the center It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perforation hole 112a,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is formed to be small. The diameter of the middle hole (112b) is formed in the size of 1/8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enter plate (110),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middle hole (112b) each other is 1/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enter plate (110) It is formed in 4 sizes.

도 6b를 보면, 주변판(120)에는 주변판(120) 두께 방향으로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제2 천공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천공부(121)는 상부(100)에서 작업자(P)와 가장 먼 곳에 위치하여 제2 천공부(121)를 통해 토사가 아래로 떨어져도 작업자(P)가 위험할 가능성이 낮다. 또한 동시에 토사 붕괴시 토사가 집중적으로 떨어질 수 있는 지반에 가까운 쪽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토사가 집중적으로 떨어지는 주변판(120)에 가해지는 토사를 아래로 떨어뜨려 토사에 의한 무게를 분산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주변판(120)에 형성된 제2 천공부(121)의 복수의 외곽 천공홀(121a)은 토사를 아래로 보다 많이 떨어뜨리기 위해 제1 천공부의 천공홀보다 직경이 크고 서로 가깝게 위치되어 있다. 외곽 천공홀(121a)은 주변판(120)의 세로 방향 길이의 1/6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서로의 중심 간의 거리가 주변판(120)의 세로 방향 길이의 1/3 크기로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B , the second perforation 121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is formed in the peripheral plate 120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eripheral plate 120 . The second perforation 121 is located at the farthest from the operator P in the upper portion 100, so that even if the soil falls down through the second perforation 121, there is a low possibility that the operator P is dangerous. At the same time, since it is located on the side close to the ground where the soil can fall intensively when the soil collapses, it is necessary to distribute the weight by the soil by dropping the soil applied to the peripheral plate 120 where the soil is concentrated. . Therefore, the plurality of outer perforation holes 121a of the second perforation 121 formed in the peripheral plate 120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perforation holes of the first perforation and are located close to each other in order to drop more soil down. . The outer perforation hole 121a is formed with a diameter of 1/6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peripheral plate 120 ,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each other is formed with a size of 1/3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peripheral plate 120 . .

상부(100)의 세로 방향 길이는 일정하게 형성시킨다. 복수의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1)를 1열로 나열하는 방식으로 기구(1)를 설치할 때, 각 기구(1) 간에 빈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중심판(110)과 주변판(120)의 세로 방향 길이가 같도록 형성된다.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part 100 is formed to be constant. When installing the mechanism 1 in such a way that a plurality of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s 1 are arranged in a row, a gap is not generated between each mechanism 1 . To this end, the central plate 110 and the peripheral plate 120 are formed to have the same longitudinal length.

도 5b를 보면, 본 발명 상부(100)의 중심판(110)과 주변판(120)의 결합관계가 레일(111)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심판(110)에는 주변판(120)을 바라보는 양단에 제5 홈부(113)가 형성되고, 주변판(120)에는 제5 홈부(113)를 향해 제3 돌출부(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3 돌출부(122)가 제5 홈부(113)에 결합되면서 중심판(110)과 주변판(120)이 고정될 수 있다. 핀과 같은 구성을 제3 돌출부(122)와 제5 홈부(113)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형성시킴으로써 중심판(110)과 주변판(120)을 고정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B , it can be seen that the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plate 110 and the peripheral plate 120 of the upper par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rail 111 . Fifth grooves 113 are formed in the center plate 110 at both ends facing the peripheral plate 120 , and third protrusions 122 are formed in the peripheral plate 120 toward the fifth groove 113 . Accordingly, the center plate 110 and the peripheral plate 120 may be fixed while the third protrusion 122 is coupled to the fifth groove 113 . By forming a pin-like configuration to pass through the third protrusion 122 and the fifth groove 113 at the same time, the center plate 110 and the peripheral plate 120 can be fixed.

도 5c를 보면, 상부(100)는 메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부(100)가 메쉬 형상과 같이 제작됨으로써, 위에서 설명한 천공홀의 역할을 메쉬 사이의 빈공간이 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상에서는 표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부(100) 뿐만 아니라 지지부(200) 또한 메쉬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Referring to FIG. 5C , the upper portion 100 may be manufactured in a mesh shape. Since the upper part 100 is manufactured like a mesh shape, an empty space between the meshes can serve as the perforation hole described above. 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it is natural that not only the upper part 100 but also the support part 200 may be manufactured in a mesh shape.

도 5d를 보면, 상부(100)의 아랫면에는 손잡이부(140)가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손잡이부(140)를 아래방향으로 당김으로써 기구(1)를 지면에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Referring to FIG. 5D , the handle portion 14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100 , so that the operator can securely fix the instrument 1 to the ground by pulling the handle portion 140 downwar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xamples, this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clear that the transform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clarified by the appended claims.

P : 작업자 G : 바닥면
1 : 조립식 작업자 보호기구 100 : 상부
110: 중심판 111 : 레일
112 : 제1 천공부 112a : 중심 천공홀
112b : 중간 천공홀 113 : 제5 홈부
120: 주변판 121 : 제2 천공부
121a : 외곽 천공홀 122 : 제3 돌출부
130 : 연결부 131 : 제4 홈부
140 : 손잡이부 200 : 지지부
210 : 하단부 211 : 제1 홈부
212 : 제1 돌출부 213 : 제2 고정핀
220 : 중간부 221 : 제3 홈부
222 : 제2 돌출부 300 : 고정부
310 : 몸체부 320 : 제2 홈부
330 : 말뚝부 331 : 발받이
340 : 제1 탄성부 350 : 제1 고정핀
P: worker G: floor surface
1: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100: upper
110: center plate 111: rail
112: first perforation 112a: center perforation hole
112b: middle drilling hole 113: fifth groove
120: peripheral plate 121: second perforation
121a: outer drilling hole 122: third protrusion
130: connection part 131: fourth groove part
140: handle 200: support
210: lower portion 211: first groove portion
212: first protrusion 213: second fixing pin
220: middle part 221: third groove part
222: second protrusion 300: fixed part
310: body 320: second groove
330: pile part 331: footrest
340: first elastic part 350: first fixing pin

Claims (9)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작업자 위에 형성되는 상부와;
상기 상부 양단에서 아래 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상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를 바닥면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 하단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상기 하단에 홈 형태의 제1 홈부를 형성한 하단부와, 상기 하단부와 상기 하부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하는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홈부에 삽입 결합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내부에 홈 형태로 형성되는 제2 홈부, 상기 제2 홈부 내부에 결합되어 바닥면에 고정되는 말뚝부, 상기 말뚝부와 상기 제2 홈부 사이에 일정 힘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 및 상기 제1 탄성부에서 일정 이상의 힘이 상기 말뚝부에 가해지도록 상기 제1 탄성부가 압축되었을 때 상기 말뚝부의 측면 안쪽으로 내장되어 있다가 튀어나와 상기 몸체부 측면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홀에 고정되는 제1 고정핀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및 상기 지지부에는 천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
an upper portion formed on the operator to protect the operator;
a support portion coupled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ortion to support the upper portion; and
and a fixing part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rt to fix the support part to the bottom surface;
The support portion includes a lower end having a first groove in the form of a groove at the lower end coupled to the fixing portion, and a middle portion connecting the lower end and the lower portion,
The fixing part includes a body part inserted and coupled to the first groove part, a second groove part formed in a groove shape inside the body part, a pile part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groove part a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the pile part and the second groove part. When the first elastic part is compressed so that a predetermined force is applied to the pile part and a first elastic part providing a certain force between the two groove parts, the first elastic part is built into the side of the pile part and then protrudes out It includes a first fixing pin fixed to the hole formed through the side of the body portion,
A perforated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and the support part,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복수개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 상기 중간부의 개수에 따라 상기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의 높이가 조절되는,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termediate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a plurality of parts, the height of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intermediate portion,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는,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판인 주변판 및 상기 주변판 사이를 연결하는 중심판을 포함하는,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part,
A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comprising a peripheral plate that is a plate connected to the support and a center plate that connects between the peripheral plate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심판은,
상기 중심판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제1 천공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변판은,
상기 주변판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홀을 포함하는 제2 천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enter plate is
A first perfora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enter plate is formed,
The peripheral plate is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is formed with a second perfo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holes penetrat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peripheral plat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천공부는,
상기 중심판의 중심 부분에 상기 중심판의 가로 방향 길이의 1/3만큼의 너비 갖는 중심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판의 세로 방향 길이의 1/10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서로의 중심 간의 거리가 상기 중심판의 세로 방향 길이의 2/5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의 중심 천공홀; 및
상기 중심 영역을 제외한 상기 중심판에 형성되고 상기 중심판의 세로 방향 길이의 1/8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며, 서로의 중심 간의 거리가 상기 중심판의 세로 방향 길이의 1/4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의 중간 천공홀;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천공부는,
상기 주변판의 세로 방향 길이의 1/6 크기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서로의 중심 간의 거리가 상기 주변판의 세로 방향 길이의 1/3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의 외곽 천공홀로 구성되며,
상기 중심판과 상기 주변판의 세로 방향 길이가 같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의 세로 방향 길이가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하는,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
8. The method of claim 7,
The first perforation part,
It is formed in a central region having a width of 1/3 of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central plate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entral plate and has a diameter of 1/10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entral plat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each other a plurality of center perforated holes having a size of 2/5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enter plate; and
It is formed on the center plate except for the central region and has a diameter of 1/8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entral plat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is 1/4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entral plate. Consists of a plurality of intermediate perforated holes;
The second perforation part,
It is formed with a diameter of 1/6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peripheral plat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each other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outer perforated holes formed with a size of 1/3 of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peripheral plate,
The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is formed so that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center plate and the peripheral plate is the same so that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upper part is uniformly formed.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변판은 상기 중심판의 위에서 미끄럼 운동을 하도록 레일에 의해 상기 중심판에 결합되어, 상기 주변판이 상기 중심판으로부터 미끄럼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상부 양단 사이의 거리인 상기 상부의 가로 방향의 길이가 조절되는, 조립식 작업자 보호 기구.
7. The method of claim 6,
The peripheral plate is coupled to the central plate by a rail so as to slide on the central plate, and the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upper par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s according to the distance the peripheral plate slides from the central plate. Controlled, prefabricated worker protection mechanism.
KR1020200027177A 2020-03-04 2020-03-04 Prefab worker protection apparatus KR1023600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177A KR102360071B1 (en) 2020-03-04 2020-03-04 Prefab worker protection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177A KR102360071B1 (en) 2020-03-04 2020-03-04 Prefab worker protec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073A KR20210112073A (en) 2021-09-14
KR102360071B1 true KR102360071B1 (en) 2022-02-09

Family

ID=77774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177A KR102360071B1 (en) 2020-03-04 2020-03-04 Prefab worker protection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0071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797A (en) * 1998-12-25 2000-07-11 Maeda Corp Protector
KR200391348Y1 (en) * 2005-05-03 2005-08-01 김종선 A sliding type safety foothold
CN105697013A (en) * 2016-03-31 2016-06-22 中国矿业大学(北京) Contractible temporary support for tunneling tunnel
KR101943552B1 (en) * 2018-04-04 2019-01-29 이호준 Movable building
KR102013523B1 (en) * 2018-04-16 2019-08-22 김형곤 Prefabricated insulation hous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8309B1 (en) 2019-01-10 2019-12-20 청원엔지니어링(주) Earth retaining wall and Earth retaining structure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2797A (en) * 1998-12-25 2000-07-11 Maeda Corp Protector
KR200391348Y1 (en) * 2005-05-03 2005-08-01 김종선 A sliding type safety foothold
CN105697013A (en) * 2016-03-31 2016-06-22 中国矿业大学(北京) Contractible temporary support for tunneling tunnel
KR101943552B1 (en) * 2018-04-04 2019-01-29 이호준 Movable building
KR102013523B1 (en) * 2018-04-16 2019-08-22 김형곤 Prefabricated insulation ho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073A (en)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649B1 (en) Halo/spider, full-moment, column/beam connection in a building frame
KR101734343B1 (en) Deck supporting plate, deck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 of
WO2015138427A1 (en) Modular construction conduit unit
KR102360071B1 (en) Prefab worker protection apparatus
KR100673497B1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the oil pressure
US11255065B2 (en) Cover band of steel pipe strut connector, steel pipe strut connector having same, and steel pipe strut assembly
US5741091A (en) Shoring device with load optional enhancing spreaders
JP2018204191A (en) Pressure plate set and slope pro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6430271B2 (en) Footing-integrated foundation pil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footing-integrated foundation pile
KR200480256Y1 (en) Base for balusters
KR200480076Y1 (en) Length adjusting horizontal pipe for a temporary structure
CA3139184A1 (en) Strut connector
JP5172796B2 (en) Horizontal member and gantry using the horizontal member
KR101908356B1 (en) Aseismatic Reinforcement Double Steel Frame and Aseismatic Reinforcement Method using thereof
KR20130061890A (en) Combination structure of frame for service tower
JP6845632B2 (en) Seismic isolation device installation method
JP2007277873A (en) Cotter member
KR100482272B1 (en) A supprot pipe for construction
KR101861733B1 (en) Strut having multiple support portion
KR20150137657A (en) Space frame connection unit and structure having thereof
KR20140050813A (en) A terrace-revetment assembly and a construction process thereof
JP2003278407A (en) Temporary restraining tool for seismic isolator and restraining method
KR102316321B1 (en) Connecting structure of unit plate for dispersing and supporting a vertical load and horizontal load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KR102226655B1 (en) Hydraulic pump apparatus
KR20230141276A (en) Construction method of a structure using a connection structure for spatial expan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