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598B1 - 3차원 스케칭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3차원 스케칭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9598B1 KR102359598B1 KR1020200032828A KR20200032828A KR102359598B1 KR 102359598 B1 KR102359598 B1 KR 102359598B1 KR 1020200032828 A KR1020200032828 A KR 1020200032828A KR 20200032828 A KR20200032828 A KR 20200032828A KR 102359598 B1 KR102359598 B1 KR 1023595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ser
- sketching
- trajectory
- tap
- sketch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 및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스케칭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파팅(parting)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리깅(rigging)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일실시예에 따른 포징(posing)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케칭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스케칭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20)
- 스케치 선들로 표현된 객체를 포함한 3차원 가상공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포인트들에 기초하여 참조 객체(reference object)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그리는 행위를 입력 받아, 상기 객체에서 움직이고자 하는 제1 파트(first part)의 궤적을 상기 참조 객체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파트의 움직임 범위 및 상기 제1 파트가 상기 궤적을 따라 움직일 때 기준이 되는 상기 객체의 제2 파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파트의 위치, 상기 제2 파트의 위치, 상기 제1 파트의 궤적 및 움직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파트의 움직임의 기초가 되는 상기 제2 파트의 위치를 고려할 때 상기 제1 파트가 상기 궤적 및 움직임 범위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조인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차원 스케칭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포인트들 중 어느 하나를 중심점으로 하고, 다른 하나를 표면에 포함하는 구(sphere)를 상기 참조 객체로 결정하는,
3차원 스케칭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포인트들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탭 앤 드래그 입력에서 처음 탭된 제1 포인트 및 마지막으로 리프트된 제2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인트는 상기 제1 파트를 나타내는 스케치 선 상에 위치하는,
3차원 스케칭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의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탭 앤 드래그에서 처음 탭된 제3 포인트 및 드래그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참조 객체 상에서 상기 궤적을 결정하고,
상기 제3 포인트는 상기 제1 파트를 표현하는 스케치 선 상에 위치하는,
3차원 스케칭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의 궤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탭 앤 드래그에서 결정된 복수의 참조 포인트들 중에서 두 개의 참조 포인트들을 잇는 제1 벡터를 복수개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벡터들 중 두 개의 벡터들 간의 외적을 계산해서 복수의 제2 벡터들을 결정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벡터들에 기반하여 상기 궤적의 회전축 벡터를 결정하고, 상기 회전축 벡터와 상기 탭 앤 드래그의 드래그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궤적을 결정하는,
3차원 스케칭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트의 움직임 범위 및 상기 객체의 제2 파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에 포함된 파트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탭 앤 홀드로 선택된 파트를 제2 파트로 결정하고, 상기 탭 앤 홀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탭 앤 드래그로 상기 제1 파트의 상기 움직임 범위를 결정하는,
3차원 스케칭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탭 앤 드래그에 의해 상기 제1 파트의 예상 움직임이 시각화되어 상기 사용자로 제공되는,
3차원 스케칭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제1 파트의 부모 파트로 설정되고,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제2 파트의 자식 파트로 설정되는,
3차원 스케칭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복수의 파트들 중에서 움직임의 기준이 되는 기준 파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파트와 상기 기준 파트의 자식 파트 간을 연결하는 조인트를 활성화시켜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탭 앤 드래그로 상기 자식 파트를 움직이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스케칭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의 복수의 파트들 중에서 움직임의 기준이 되는 기준 파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기준 파트와 상기 복수의 파트들의 말단 파트 사이에서 어느 하나의 무빙 파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파트와 상기 무빙 파트 사이의 하나 이상의 조인트들을 활성화시켜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공중 핀치 제스처(mid-air pinch gesture)로 상기 무빙 파트를 움직이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스케칭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를 표현하는 상기 스케치 선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일부 스케치 선들을 하나의 파트로 설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스케칭 방법.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스케치 선들을 하나의 파트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스케치 선들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의 드래그에 겹치는 스케치 선들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스케치 선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케치 선 또는 스케치 선의 일부분을 제거하고 남은 스케치 선들로 파트를 설정하는,
3차원 스케칭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가상공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하나 이상의 포인트를 포함하는 기준 평면을 생성하거나,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두 개의 포인트를 포함하는 기준 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드래그를 상기 기준 평면 또는 상기 기준 구에 투사하여 상기 객체를 표현하기 위한 스케치 선을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스케칭 방법.
-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가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면, 상기 프로세서는 스케치 선들로 표현된 객체를 포함한 3차원 가상공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포인트들에 기초하여 참조 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그리는 행위를 입력 받아 상기 객체에서 움직이고자 하는 제1 파트의 궤적을 상기 참조 객체에 기반하여 결정하고, 상기 제1 파트의 움직임 범위 및 상기 제1 파트가 상기 궤적을 따라 움직일 때 기준이 되는 상기 객체의 제2 파트를 결정하며, 상기 제1 파트의 위치, 상기 제2 파트의 위치, 상기 제1 파트의 궤적 및 움직임 범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파트와 상기 제2 파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파트의 움직임의 기초가 되는 상기 제2 파트의 위치를 고려할 때 상기 제1 파트가 상기 궤적 및 움직임 범위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조인트를 생성하는,
3차원 스케칭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포인트들 중 어느 하나를 중심점으로 하고, 다른 하나를 표면에 포함하는 구를 상기 참조 객체로 결정하는,
3차원 스케칭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포인트들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탭 앤 드래그 입력에서 처음 탭된 제1 포인트 및 마지막으로 리프트된 제2 포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포인트는 상기 제1 파트를 나타내는 스케치 선 상에 위치하는,
3차원 스케칭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탭 앤 드래그에서 처음 탭된 제3 포인트 및 드래그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참조 객체 상에서 상기 궤적을 결정하고,
상기 제3 포인트는 상기 제1 파트를 표현하는 스케치 선 상에 위치하는,
3차원 스케칭 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객체에 포함된 파트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탭 앤 홀드로 선택된 파트를 제2 파트로 결정하고, 상기 탭 앤 홀드가 유지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탭 앤 드래그로 상기 제1 파트의 상기 움직임 범위를 결정하는,
3차원 스케칭 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탭 앤 드래그에 의해 상기 제1 파트의 예상 움직임이 시각화되어 상기 사용자로 제공되는,
3차원 스케칭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2828A KR102359598B1 (ko) | 2020-03-17 | 2020-03-17 | 3차원 스케칭 방법 및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2828A KR102359598B1 (ko) | 2020-03-17 | 2020-03-17 | 3차원 스케칭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6100A KR20210116100A (ko) | 2021-09-27 |
KR102359598B1 true KR102359598B1 (ko) | 2022-02-08 |
Family
ID=77925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2828A KR102359598B1 (ko) | 2020-03-17 | 2020-03-17 | 3차원 스케칭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959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191484A1 (ko) * | 2022-03-29 | 2023-10-05 | 한국과학기술원 | 드로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4679B1 (ko) | 2016-09-23 | 2017-11-07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3차원 객체 제어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66340A (ko) * | 2004-12-13 | 2006-06-16 | 삼성전자주식회사 | 3차원 구조 스케치 제작장치와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KR100900824B1 (ko) * | 2007-09-18 | 2009-06-0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스케치 기반 3차원 모델 생성 장치 및 방법 |
KR101994683B1 (ko) * | 2017-09-27 | 2019-07-02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3d 객체의 터치 방식 회전 제어 장치 및 방법 |
KR102083504B1 (ko) * | 2018-06-22 | 2020-03-02 | 주식회사 지이모션 | 환경 요소를 고려한 의류의 3차원 모델링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
-
2020
- 2020-03-17 KR KR1020200032828A patent/KR10235959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94679B1 (ko) | 2016-09-23 | 2017-11-07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3차원 객체 제어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김용관. 공중 3D 인터랙션을 통해 확장한 디자인 실무용 태블릿상 3D 스케칭.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과 박사학위논문. 2018.08.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6100A (ko) | 2021-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0825245A (zh) | 具有广泛使用性的三维图形用户界面的系统及方法 | |
Schmidt et al. | Sketching and composing widgets for 3d manipulation | |
WO2018018857A1 (zh) | 一种应用于vr设备的手势操控方法与装置 | |
Chaconas et al. | An evaluation of bimanual gestures on the microsoft hololens | |
US896383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3-dimensional user interface | |
Telkenaroglu et al. | Dual-finger 3d interaction techniques for mobile devices | |
Medeiros et al. | Proposal and evaluation of a tablet-based tool for 3D virtual environments | |
US20140229873A1 (en) | Dynamic tool control in a digital graphics system using a vision system | |
US10895950B2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holographic image having simulated physical properties | |
WO2017172180A1 (en) | Path navigation in virtual environment | |
US11204679B1 (en) | Snapping objects into alignment in three-dimensional space | |
US11474660B2 (en) | Techniques for transitioning from a first navigation scheme to a second navigation scheme | |
US11010014B2 (en) | Techniques for transitioning from a first navigation scheme to a second navigation scheme | |
Jang et al. | Airsculpt: A wearable augmented reality 3d sculpting system | |
KR102359598B1 (ko) | 3차원 스케칭 방법 및 장치 | |
US10769824B2 (en) | Method for defining drawing planes for the design of a 3D object | |
Tran et al. | Easy-to-use virtual brick manipulation techniques using hand gestures | |
US11398082B2 (en) | Affine transformations of 3D elements in a virtual environment using a 6DOF input device | |
KR101751237B1 (ko) | 회전식 다이얼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
KR102392675B1 (ko) | 3차원 스케치를 위한 인터페이싱 방법 및 장치 | |
Fujiwara et al. | Interactions with a line-follower: An interactive tabletop system with a markerless gesture interface for robot control | |
JP2014002677A (ja) | 描画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 | |
JP2021099800A (ja) | 没入型環境での3dシーンの領域のレンダリングを変更する方法 | |
US20240420436A1 (en) | Electronic system for performing control over virtual reality spac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 |
KR102664782B1 (ko) | 가상 현실 공간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전자 시스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211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104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1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06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1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2201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211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2106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