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512B1 -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9512B1 KR102359512B1 KR1020200114416A KR20200114416A KR102359512B1 KR 102359512 B1 KR102359512 B1 KR 102359512B1 KR 1020200114416 A KR1020200114416 A KR 1020200114416A KR 20200114416 A KR20200114416 A KR 20200114416A KR 102359512 B1 KR102359512 B1 KR 10235951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ergy
- map
- information
- dimensional
- data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909—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스마트시티 통합 2차원 에너지 맵을 시각화한 결과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스마트시티 통합 2차원 에너지 맵에서 도로횡단면도를 통한 지하 에너지설비 확인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상기 도 1에서 있어서, 에너지 네트워크 맵 생성부의 방향 탐색을 위한 알고리즘을 설명하기 위하여 보인 예시도.
도 5는 상기 도 1에 있어서, 에너지 네트워크 맵 생성부를 통한 가스 에너지 네트워크 맵 생성 결과와 계통추적 결과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에너지 네트워크 맵 생성부를 통한 열(난방) 설비의 2차원 에너지 맵과 네트워크 맵을 동시에 표시하는 화면을 보인 예시도.
도 7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3차원 에너지 맵 생성부를 통해 구축한 3차원 에너지 맵의 터파기 기능을 보인 예시도.
도 8은 상기 도 1에 있어서, 사용량 연동 및 융합 처리부를 통한 에너지원별 사용량 히트맵 지도를 보인 예시도.
도 9는 상기 도 8에 있어서, 전기차 충전소 운영현황을 지도위에 보인 예시도.
도 10은 상기 도 8에 있어서, 대기질 측정정보 융합현황을 지도위에 보인 예시도.
120 : 에너지 네트워크 맵 생성부
130 : 3차원 에너지 맵 생성부
140 : 사용량 연동 및 융합 처리부
Claims (15)
- 각 에너지 기관의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치 및 속성정보를 연계하여 2차원 GIS 환경의 에너지 맵을 구축하는 2차원 에너지 맵 생성부;
상기 2차원 GIS 환경의 에너지 맵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네트워크 맵을 구축하는 에너지 네트워크 맵 생성부;
상기 에너지 네트워크 맵의 데이터를 3차원 데이터로 변환 및 모델링을 통하여 3차원 에너지 맵을 구축하는 3차원 에너지 맵 생성부; 및
에너지 사용량을 연동하여 매시업(Mashup) 서비스와 전기차 충전정보, 버스 운영정보, 및 수질 및 대기질 측정정보를 연동하여 융합하는 사용량 연동 및 융합 처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에너지 네트워크 맵 생성부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으로부터 전력 계통도 데이터를 연계하여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파싱(Parsing) 하여 회선별 전력 단선도를 생성하되,
미리 지정된 방향 탐색 방식으로 최적화 과정을 거쳐서 단선도 모듈을 구현하며, 상기 방향 탐색 방식은 설비를 배치할 상하좌우 네 방향을 탐색하여 빈 공간에 설비를 배치하고, 만약 네 방향에 설비 배치가 불가할 경우 우측 배치를 한 칸 연장하고 이 사이에 설비를 배치하거나,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구현되며,
지중 패드 스위치의 전력 단선도 생성을 위한 방향 탐색 시,
4개 이하의 연결구조(상, 하, 좌, 우)는 정상 케이스로 전력 단선도를 생성하며, 연결구조가 5개 이상이 되면 4개의 보조 그리드를 추가하여 최대 8개까지 연결구조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그리드 내부에 보조 그리드를 생성하며,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표현 방법 및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에너지 맵 생성부는,
표준 2차원 공간데이터 표준교환 포맷인 쉐이프(Shape) 파일을 연계하여 에너지설비별로 쉐이프 파일을 파싱하여, 중복데이터 제거, 및 설비속성정보 필터링을 통해 공간데이터를 정제하고, 각 에너지 기관별 GIS 좌표체계를 일치화하기 위한 좌표 변환을 수행하고, 각 에너지설비별로 생성된 공간 객체를 통합하는 작업을 하고,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화면으로 시각화를 통해 각 기관별 연계정보와 비교하여 데이터 검증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에너지 맵 생성부는,
시각화 및 데이터 검증을 위하여 2차원 에너지 맵 화면을 적어도 좌우 영역으로 분할하고,
좌측 화면 영역에는 에너지원별 각 객체의 종류와 심볼 객체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각 객체의 시각화 여부 버튼을 클릭하면,
우측 화면 영역에는 시각화 결과를 출력하여 데이터 검증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에너지 맵 화면을 통하여 도로횡단면도를 통한 지하 에너지설비를 시각화하고자 할 경우,
상기 2차원 에너지 맵 화면에서 도로횡단면도 기능을 통해 사용자가 분석하고자 하는 특정 도로의 두 점을 클릭하면,
상기 2차원 에너지 맵 생성부는 우측 화면 영역에 지하 에너지설비들이 어떤 위치에 어느 깊이에 어느 관경의 크기로 매설되어 있는지 실비율과 한눈에 보기 기능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너지 네트워크 맵 생성부는,
비전력 설비에 대한 단선도를 추가로 생성하되,
비전력 지리정보시스템(GIS)에서 최초 공급저장소부터 고객측 방향으로 계통추적을 수행하고, 시각화 및 데이터 검증을 목적으로 다시 고객측에서 공급저장소 방향으로 계통추적을 해서 노드와 연결선을 추출해서 연결 구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력 단선도는,
에너지 사용량이 수집되는 집합 건물의 시간별 에너지 사용량에 대하여 단선도의 건물에 매쉬업 하여 보여주며, 각 분기가 합산되는 밸브의 지점에 합산된 사용량을 표현하여 에너지 사용량의 파악이 쉽게 구현하되,
단선도 화면에는 고객 포인트, 밸브 포인트, 및 더미 포인트를 포함한 포인트 위치에서 공급측 계통추적 기능과 수요측의 계통추적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공급측 계통추적은 현재의 포인트에서 공급지까지의 계통 경로를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수요측 계통추적은 현재 포인트에서 수용가 및 말단까지의 계통 경로를 화면에 표시하며,
상기 단선도 화면의 일측에는 미니맵을 표시하여, 이 미니맵에 GIS 기반의 계통추적 경로를 같이 표시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에너지 맵 생성부는,
2차원 에너지 맵에서 구축한 설비정보와 에너지 네트워크 맵에서 구축한 연결구조 정보를 변환하여 3차원 에너지설비 정보인 3차원 에너지 맵을 생성하되,
2차원 에너지설비 정보에 있는 시설물 매설 위치와 깊이 및 관경 정보, 및 지상의 건물을 카메라 촬영한 이미지를 입력받아 2차원 맵에 있는 단면도 및 배치도를 연동하여 건물과 에너지설비의 위치를 설정한 다음, 3차원 모델링과 텍스처링, 및 스케일과 위치 보정 과정을 거치고, 각 모델링 객체를 연결하기 위해 에너지설비와 건물을 연동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 내에 저장하여 3차원 에너지 맵 구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량 연동 및 융합 처리부는,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와 연동하여 도심 내 구성되어 있는 건물의 텍스처를 제거하여 단순하게 표현한 다음, 이를 기반으로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 위에 현재 건물의 에너지 사용량을 색상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량 연동 및 융합 처리부는,
복수의 에너지원 전체의 시간별 사용량 트렌드 히트맵 지도와 각 에너지원의 시간별 사용량 트렌드 히트맵 지도를 표시하는 것, 화면의 지도 위에 충전소 위치를 표시하고 각 충전소별 전기차 충전소 운영현황을 표시하는 것, 버스정보시스템(BIS)에서 운행정보 API로 데이터를 연동하여 시내버스 위치 정보와 버스 정류장 위치 정보, 각 정류장별 정차 버스의 도착 시간 및 버스의 운행 위치 정보를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 및 수질 측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지도상에 표현하고, 각 측정 위치별로 수질 측정 항목에 대한 측정값을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장치.
- 2차원 에너지 맵 생성부를 통해 각 에너지 기관의 지리정보시스템(GIS) 위치 및 속성정보를 연계하여 2차원 GIS 환경의 에너지 맵을 구축하는 단계;
에너지 네트워크 맵 생성부를 통해 상기 2차원 GIS 환경의 에너지 맵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 네트워크 맵을 구축하는 단계;
3차원 에너지 맵 생성부를 통해 상기 에너지 네트워크 맵의 데이터를 3차원 데이터로 변환 및 모델링을 통하여 3차원 에너지 맵을 구축하는 단계; 및
사용량 연동 및 융합 처리부를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연동하여 매시업 서비스와 전기차 충전정보, 버스 운영정보, 및 수질 및 대기질 측정정보를 연동하여 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에너지 네트워크 맵을 구축하는 단계에서,
상기 에너지 네트워크 맵 생성부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으로부터 전력 계통도 데이터를 연계하여 네트워크 연결 관계를 파싱(Parsing) 하여 회선별 전력 단선도를 생성하되,
미리 지정된 방향 탐색 방식으로 최적화 과정을 거쳐서 단선도 모듈을 구현하며, 상기 방향 탐색 방식은 설비를 배치할 상하좌우 네 방향을 탐색하여 빈 공간에 설비를 배치하고, 만약 네 방향에 설비 배치가 불가할 경우 우측 배치를 한 칸 연장하고 이 사이에 설비를 배치하거나,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하도록 구현되며,
지중 패드 스위치의 전력 단선도 생성을 위한 방향 탐색 시,
4개 이하의 연결구조(상, 하, 좌, 우)는 정상 케이스로 전력 단선도를 생성하며, 연결구조가 5개 이상이 되면 4개의 보조 그리드를 추가하여 최대 8개까지 연결구조의 표현이 가능하도록 구현하고, 그리드 내부에 보조 그리드를 생성하며,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표현 방법 및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2차원 GIS 환경의 에너지 맵을 구축하는 단계에서,
상기 2차원 에너지 맵 생성부는,
표준 2차원 공간데이터 표준교환 포맷인 쉐이프(Shape) 파일을 연계하여 에너지설비별로 쉐이프 파일을 파싱하여, 중복데이터 제거, 및 설비속성정보 필터링을 통해 공간데이터를 정제하고, 각 에너지 기관별 GIS 좌표체계를 일치화하기 위한 좌표 변환을 수행하고, 각 에너지설비별로 생성된 공간 객체를 통합하는 작업을 하고, 사용자가 볼 수 있는 화면으로 시각화를 통해 각 기관별 연계정보와 비교하여 데이터 검증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방법.
- 삭제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에너지 맵을 구축하는 단계에서,
상기 3차원 에너지 맵 생성부는,
2차원 에너지 맵에서 구축한 설비정보와 에너지 네트워크 맵에서 구축한 연결구조 정보를 변환하여 3차원 에너지설비 정보인 3차원 에너지 맵을 생성하되,
2차원 에너지설비 정보에 있는 시설물 매설 위치와 깊이 및 관경 정보, 및 지상의 건물을 카메라 촬영한 이미지를 입력받아 2차원 맵에 있는 단면도 및 배치도를 연동하여 건물과 에너지설비의 위치를 설정한 다음, 3차원 모델링과 텍스처링, 및 스케일과 위치 보정 과정을 거치고, 각 모델링 객체를 연결하기 위해 에너지설비와 건물을 연동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 내에 저장하여 3차원 에너지 맵 구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에너지 사용량을 연동하여 매시업 서비스와 전기차 충전정보, 버스 운영정보, 및 수질 및 대기질 측정정보를 연동하여 융합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량 연동 및 융합 처리부는,
복수의 에너지원 전체의 시간별 사용량 트렌드 히트맵 지도와 각 에너지원의 시간별 사용량 트렌드 히트맵 지도를 표시하는 것, 화면의 지도 위에 충전소 위치를 표시하고 각 충전소별 전기차 충전소 운영현황을 표시하는 것, 버스정보시스템(BIS)에서 운행정보 API로 데이터를 연동하여 시내버스 위치 정보와 버스 정류장 위치 정보, 각 정류장별 정차 버스의 도착 시간 및 버스의 운행 위치 정보를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 및 수질 측정 위치에 대한 정보를 지도상에 표현하고, 각 측정 위치별로 수질 측정 항목에 대한 측정값을 화면의 지도상에 표시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4416A KR102359512B1 (ko) | 2020-09-08 | 2020-09-08 |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4416A KR102359512B1 (ko) | 2020-09-08 | 2020-09-08 |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59512B1 true KR102359512B1 (ko) | 2022-02-09 |
Family
ID=8026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4416A Active KR102359512B1 (ko) | 2020-09-08 | 2020-09-08 |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951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80821A (zh) * | 2022-05-07 | 2022-08-09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配电网线路开关分布图生成方法及相关装置 |
KR20240024430A (ko) | 2022-08-17 | 2024-02-26 |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인정보 보호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개방형 전기차 충전설비 전기공사 데이터 처리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2594A (ko) * | 2007-09-28 | 2009-04-01 | 한국전력공사 | 검침 데이터를 이용한 전력 설비의 시공간 부하 분석시스템 및 부하 계산방법 |
KR20110081445A (ko) * | 2010-01-08 | 2011-07-14 | (주)넥스챌 | 스마트 그리드용 시설물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00078074A (ko) * | 2018-12-21 | 2020-07-01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객체 기반의 3d 도시 모델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
-
2020
- 2020-09-08 KR KR1020200114416A patent/KR10235951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32594A (ko) * | 2007-09-28 | 2009-04-01 | 한국전력공사 | 검침 데이터를 이용한 전력 설비의 시공간 부하 분석시스템 및 부하 계산방법 |
KR20110081445A (ko) * | 2010-01-08 | 2011-07-14 | (주)넥스챌 | 스마트 그리드용 시설물 통합 시스템 및 그 방법 |
KR20200078074A (ko) * | 2018-12-21 | 2020-07-01 |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 객체 기반의 3d 도시 모델링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서버, 그리고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80821A (zh) * | 2022-05-07 | 2022-08-09 |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 一种配电网线路开关分布图生成方法及相关装置 |
KR20240024430A (ko) | 2022-08-17 | 2024-02-26 | 한신대학교 산학협력단 | 개인정보 보호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의 개방형 전기차 충전설비 전기공사 데이터 처리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938613B (zh) | 一种基于bim和vr智慧城市管网综合平台及其管理方法和构建方法 | |
WO2018152942A1 (zh) | 一种基于多源大数据融合的城市空间全息地图的构建方法 | |
Ashkezari et al. | Development of an enterpris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integrated with smart grid | |
CN102087753A (zh) | 地面与地下管网快速三维测绘成型方法 | |
CN106845844A (zh) | 输变电三维可视化系统及使用方法 | |
CN103810753A (zh) | 一种可视化展示电网调度业务的方法 | |
CN103064895B (zh) | 基于gis的通信资源管理系统计算机生成方法 | |
CN104008218A (zh) | 电力工程三维一体化设计平台 | |
CN117351162A (zh) | 一种基于数字孪生的实景三维规划设计方法 | |
KR102359512B1 (ko) | 스마트시티 에너지설비의 통합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 |
CN109857819A (zh) | 一种全球能源地理多媒体交互展示系统 | |
Sabri et al. | A multi-dimensional analytics platform to support planning and design for liveable and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 | |
CN206021354U (zh) | 一种基于bim和vr智慧城市管网综合平台 | |
CN111540046B (zh) | 一种基于虚拟现实的输电通道仿真方法 | |
CN116341198A (zh) | 一种基于bim技术的变电工程站址总体规划方法 | |
CN104346756A (zh) | 电网规划平台的构建方法和构建系统 | |
CN114491744A (zh) | 一种热力管线全信息应用方法及系统 | |
CN102968745A (zh) | 一种城市地下管网模型的自动化生成方法 | |
CN106156376A (zh) | 一种特高压输电线路电磁干扰三维仿真系统 | |
Barrile et al.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integrated BIM-GIS system for the energy management of buildings | |
CN105868209A (zh) | 智能电网电力信息与地理信息相结合的方法及系统 | |
KR20230170227A (ko) | 스마트 시티의 에너지 설비 관리장치 | |
CN107844569A (zh) | 电力特种光缆三维运维系统 | |
CN115168670A (zh) | 3d水环境治理一体化数字平台及其应用方法 | |
Huang et al. | A research on data integration and application technology of urban comprehensive pipe gallery based on three‐dimens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platfor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6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009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106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009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1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