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098B1 - 인공모근 - Google Patents

인공모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098B1
KR102359098B1 KR1020210050498A KR20210050498A KR102359098B1 KR 102359098 B1 KR102359098 B1 KR 102359098B1 KR 1020210050498 A KR1020210050498 A KR 1020210050498A KR 20210050498 A KR20210050498 A KR 20210050498A KR 102359098 B1 KR102359098 B1 KR 102359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root
diameter
hair root
artific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욱
Original Assignee
장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욱 filed Critical 장성욱
Priority to KR1020210050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0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098B1/ko
Priority to PCT/KR2022/003618 priority patent/WO20222251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20/00Fixations or connections for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20/0008Fixation appliances for connecting prostheses to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인공모근 및 자가모발을 이식방법이 개시된다.
인공모근은 확경부와 경사부를 포함하는 모근부를 포함하며 형성된다. 모근부는 모공에 이식 시 일방향으로는 이동될 수 있으나, 타방향으로는 이동될 수 없다. 이식방법 시 이 인공모근을 이용하므로 본 발명은 인공모근 이식이 매우 용이하여 비용절감, 시술 간편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인공모근{Artificial hair}
본 발명은 인공모근에 관한 것이다.
삭제
탈모는 유전적 원인, 식생활, 면역질환, 스트레스, 다이어트, 호르몬 이상 등이 원인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분에 모발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탈모의 증상 종류로는 M자 탈모, 원형 탈모, 휴지 탈모 등이 있다.
탈모는 원인 여부, 종류 여부를 떠나 그 증상이 모발이 없어지는 것이므로, 외형에 큰 영향을 미쳐서 증상자의 자신감 하락, 성격 이상 등에 영향을 미친다. 현재에는 탈모를 치료할 수 있는 유효하고, 획기적인 치료약이 없는 실정인 바, 탈모를 치료하기 위하여는 일반적으로 자가 모발을 이식 방법이 활용된다.
자가 모발 이식 방법은 자가 조직의 모발을 채취하여 원하는 부위에 이식하는 방법으로 자가 조직을 이식하는 것으로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자가 모발 이식 방법의 경우 모발 이식 수술 후 이식한 모발의 생착률의 개인적 차이에 의하여 모발이 탈락할 수 있으며, 휴지기를 거쳐서 모발이 자라나므로 장기간의 기다림이 필요로 한다. 또한, 자가 모발 이식 방법은 시술 비용이 다소 비싸기도 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인공모발을 이용하는 가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인공모발을 이용하는 가발을 활용하는 방식은 스킨에 인공모발을 결속하여 인조스킨을 두피에 접착제로 붙이는 방식과 핀으로 고정하는 방식이 활용된다. 그러나 이 경우 인조스킨 관리의 어려움, 탈부착의 어려움, 잦은 접착제 사용에 따른 피부 손상 등이 발생되며, 실제 모발과 이질감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시술 간편, 시술 시간 짧음, 관리의 번거로움 개선, 비용 저렴의 장점이 있으며, 기존의 모발과 이질감이 적은 인공모발 및 자가모발을 이식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은 설정된 길이와 구경을 가지는 모발부 및 상기 모발부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모발부의 구경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큰 구경을 가지며 형성되는 모근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근부는 상기 모발부의 단부에 연결되며 반경방향으로 상기 모발부의 구경보다 큰 구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확경부와 상기 확경부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구경이 일방향으로 갈수록 연속되며 작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모근부는 상기 모공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자가모발을 이식하는 방법에서 삽입부를 활용할 수 있다. 삽입부는 모근부의 상기 확경부 크기보다 작되 상기 자가모발의 구경보다 큰 홀을 포함한다. 이때 자가모발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삽입부를 활용하여 모근부와 고정한 후, 이를 식모기로 이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일 실시예에 의한 인공모근 이식방법은 설정된 길이와 구경을 가지는 모발부와 상기 모발부의 구경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큰 크기를 가지는 모근부를 포함하는 인공모근을 준비하는 준비단계 및 상기 인공모근의 모근부를 모공으로 삽입하는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단계 이전에 상기 모발부를 상기 모발부의 구경보다 큰 구경의 홀을 포함하는 식모기에 삽입하는 예비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단계는 상기 식모기를 모공에 삽입하는 삽입단계와, 상기 식모기를 삽입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근부는 상기 모발부의 단부에 연결되며 반경방향으로 상기 모발부보다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 확경부와 상기 확경부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심을 향하여 연속되어 크기가 작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준비단계 이전에 상기 모근부 및 인조모발의 형상을 가공하는 가공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경사부가 구비된 모근부를 모공에 삽입하여 인공모근을 이식하므로 시술 시간이 짧으며, 비용이 저렴할 수 있다.
또한, 모근부가 모공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므로, 관리가 용이하며, 기존의 모발과 이질감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이 모공 내 삽입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이 식모기에 삽입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이 식모기에 삽입된 채 모공 내로 삽입되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이 모공에 삽입된 후 식모기가 모공에서 제거되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에 자가모발이 삽입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삽입부를 활용하여 자가모발이 모근부에 고정된 후 식모기에 인입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구경의 크기가 다른 확경부를 가지는 인공모근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모근부에 제2확경부를 추가한 인공모근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일측이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는 인공모근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인공모근 이식방법의 블록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이 모공 내 삽입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은 모발부(100)와 모근부(2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은 합성 폴리머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모발부(100)는 설정된 구경을 가지며, 설정된 길이, 색상 및 형태를 가지며 형성된다. 모발부(100)는 인공모근이 이식되었을 때 실재 모발처럼 보일 수 있다. 인공모근의 이식 대상이 되는 자의 모발 형상에 맞춰서 제조될 수 있다. 즉, 모발부(100)의 설정된 구경, 길이, 색상 및 형태는 인공모근의 이식이 되는 자의 모발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인공모근의 이식 대상이 되는 자를 3D 스캐너 또는 촬영기를 이용하여 모발 상태를 촬영할 수 있다. 그 후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3차원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공모근의 이식 대상이 되는 자의 모발 상태에 대응하여 이식 시 자연스럽도록 모발부(100)의 구경, 길이, 색상, 형태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모발부(100)는 직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그렇지 않고 끝 부분이 휘어지거나, 중간 부분이 원형으로 감겨지는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인조모발의 경우, 인공모근과 인조모발이 같은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접착의 번거로움이 없고 서로 다른 재질의 접착시 접착력의 저하로 인한 이탈의 우려가 적은 장점이 있으나 모발이식 후 염색이나 스타일링의 어려움이 있어 가공단계에서 다양한 길이, 구경, 색상, 형태를 고려한 다양한 종류의 인조모발의 제작이 필요하다.
자가모발의 경우, 모근부(200)와 모발부(100)의 접착으로 인한 접착력의 저하로 이탈의 우려가 있고, 원하는 길이와 필요한 수량만큼 확보하는데 시간이 소요되며 타인의 인모를 사용시 자가모발과의 이질감이 있을 수 있으나 모발이식 후 자연스러우며 염색과 스타일링이 인조모발에 비해 용이 하다는 장점이 있다.
모근부(200)는 모발부(100)의 일단에 배치되며, 모발부(100)의 구경보다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더 큰 구경을 가지며 형성된다. 모근부(200)는 확경부(210) 및 경사부(220)를 포함한다.
확경부(210)는 모발부(100)의 일측에 연결되는 부분으로 모발부(100)의 구경보다 큰 구경을 가지며 형성된다. 확경부(210)는 모공에 삽입 시 설정된 구경의 크기로 인하여 타방향으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경사부(220)는 확경부(210)의 일측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며 형성된다. 경사부(220)는 일방향으로 갈수록 연속되며 구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경사부(220)는 그 형상이 원추형으로 관찰될 수 있다. 즉, 경사부(220)는 도 1,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의 구경이 작아져서 일점이 되도록 확경부(210)에서 하측을 향하도록 연장되며 구경이 하측의 일점을 향하도록 구경이 연속되어 작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220)는 원추형 형상으로 인하여 모근부(200)의 모공 내 삽입을 보조할 수 있다. 즉, 경사부(220)의 타측은 구경이 작으므로 모공 내로 용이하게 삽입되고, 타측에서 일측으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커지는 구경으로 인하여 모공 내로 삽입될수록 모공과 맞닿아 모공의 구경을 크게 넓혀 확경부(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경사부(220)가 모공의 구경을 넓히면 확경부(210)는 모공 내로 삽입되고, 최종적으로 진피층 내 모공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러면 구경의 크기로 인하여 확경부(210)는 타방향으로 이동이 방해될 수 있다. 따라서 모근부(200)는 모공 내 고정이 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이 식모기에 삽입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이 식모기에 삽입된 채 모공 내로 삽입되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이 모공에 삽입된 후 식모기가 모공에서 제거되는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에 자가모발이 삽입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삽입부를 활용하여 자가모발이 모근부에 고정된 후 식모기에 인입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삽입부(4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삽입부(400)로 인하여 모공 내 인공모가 아닌 자가모발을 이식할 수 있다.
삽입부(400)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확경부(210)의 크기(구경)보다 작되, 모발부(100)의 구경보다는 큰 홀을 포함한다. 삽입부(400)는 적어도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모발부(100)는 삽입부(400)에 접착제를 도포 후 삽입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확경부(210)는 삽입부(4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자가모발을 이식하는 방법은 인공모근의 이식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가능할 수 있으나, 다만 삽입부(400)가 추가되어 자가모발을 모근부에 접착한 것이 상이하다.
도 7과 같이 자가모발이 부착된 모근부를 식모기(300) 내로 삽입하여 자가모발과 모근부(200)를 고정시킨다. 이 경우 식모기(300)의 니들의 구경은 삽입부(400)의 영향으로 인공모근을 이식할 때 구경보다 큰 구경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렇게 준비된 식모기(300)를 모공 내 일방향으로 삽입시켜 모근부(200)가 모공 내에 고정되도록 한 후, 타방향으로 식모기(300)를 이동시켜, 모근부(200)와 모발부(100)만 모공 내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의한 구경의 크기가 다른 확경부를 가지는 인공모근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인공모근의 이식 대상이 되는 자의 신체에 따라 모근부(200)의 구경을 다르게 하여 모근부(200)를 모공에 고정할 수 있다. 즉, 사람은 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사람마다 모공의 크기가 다르며, 한 명의 사람이라도 모공의 크기가 위치마다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구경의 크기를 가지는 모근부(200)를 준비하고, 인공모근의 이식 대상이 되는 자의 모공의 크기에 대응되는 모근부(200)를 모공으로 삽입하여 인공모근이 모공 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당연하게도 모근부(200)의 구경만 상이하고 모발부(100)의 구경은 동일한 바, 식모기(300)의 니들 구경을 다양하게 준비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다만, 인조모발의 모근부(200)와 자가모발의 모근부(200)는 삽입부(400)로 인한 구경의 차이가 있으므로 식모기(300)의 니들 구경을 달리해야 할 것이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의 정면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모근부(200)는 제1확경부(211), 제2확경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확경부(212)는 제1확경부(211)보다 타측에 위치되고, 제2확경부(212)의 구경의 크기는 제1확경부(211)의 구경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모근부(200)가 모공 내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경우, 제1확경부(211)의 구경의 크기로 인하여 모공에서 이탈되지 않으나, 만약 이탈된다 하여도 제2확경부(212)로 인하여 모공 내에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일측이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는 인공모근의 정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은 모근부(200)의 일측의 각도와 타측의 각도가 상이할 수 있다. 즉, 도 10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듯이, 모근부(200)의 일측의 각도가 타측의 각도보다 더 큰 각도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삽입 각도를 가진 모공의 특성상 서로 다른 각도를 가지는 인공모근의 모양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자연스럽게 모공에 인공모근을 이식할 수 있으며, 또한 자연스러운 모발의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의한 인공모근 이식방법의 블록도 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 이식방법은 준비단계(S100) 및 고정단계(S200)를 포함한다.
준비단계(S100)는 전술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공모근은 모발부(100), 모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인공모근은 전술한 3D 스캐너 또는 카메라 등을 통하여 인공모근 이식 대상 자의 상태를 체크하고, 그에 따라 구경, 길이, 모양, 색상을 설정하여 대상자에게 적합한 인공모근을 준비할 수 있다.
고정단계(S200)는 인공모근을 모공 내로 삽입하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공모근은 모근부(200)를 포함하며, 모근부(200)는 확경부(210), 경사부(220)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모공 내 모근부(200)가 삽입되는 것만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확경부(210)는 모공의 구경보다 구경이 커, 모공 내 타방향 이탈을 방지하며, 경사부(220)도 보조적으로 모공에 삽입되어 타방향 이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 이식방법은 예비단계(S20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비단계(S200-1)는 고정단계(S200) 이전에 수행되는 것으로 전술한 인공모근의 모근부(200)의 상이한 구경에 따른 식모기(300)를 준비하고, 인공모근을 식모기(300)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자가모발은 접착제를 도포 후 모근부(200)에 접착하여 준비될 수 있다. 여기서 자가모발의 경우 삽입부(400)를 포함하는 모근부(200)의 영향으로 인조모발의 모근부(200) 보다 구경이 큰 식모기(300)의 니들 구경이 필요하다.
또한, 고정단계(S200)는 삽입단계(S210)와 제거단계(S220)를 포함한다.
삽입단계(S210)는 식모기(300)에 삽입하여 고정된 인공모근을 일방향으로 이동시켜 모공 내로 진입시키는 단계이다.
제거단계(S220)는 식모기(300)를 타방향으로 이동시켜, 모근부(200), 모발부(100)는 모공 내로 위치시키고, 식모기(300)만을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또한, 본 발명인 인공모근 이식방법은 가공단계(S100-1)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단계(S100-1)는 인조모발의 경우, 모발부(100)는 합성 폴리머를 사출의 방법으로 실처럼 뽑아서 필요한 만큼 절단한 후, 금형의 방법으로 모근부(200)의 모양을 만들고, 스타일링을 통해 모발의 형태를 잡고, 코팅 등 가공으로 모발에 윤기를 내고 실재 모발과 유사한 형태로 제조한다.
자가모발의 경우, 원하는 길이와 필요한 수량만큼 모발을 기르거나 타인의 인모를 수집하여 원하는 길이와 수량을 준비한다. 인공모근은 인조모발에서와 같이 금형의 방법으로 가공하되 삽입부(400)를 포함하도록 제조한다. 준비된 모근부(200)의 삽입부(400)에 자가모발을 접착제로 도포 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모발부
200 : 모근부
210 : 확경부
211 : 제1확경부
212 : 제2확경부
220 : 경사부
300 : 식모기
400 : 삽입부

Claims (12)

  1. 설정된 길이와 구경을 가지는 모발부; 및
    상기 모발부의 일단에 배치되며, 상기 모발부의 구경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큰 구경을 가지며 형성되는 모근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근부는
    상기 모발부의 단부에 연결되며 반경방향으로 상기 모발부의 구경보다 큰 구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확경부와 상기 확경부에서 하측을 향하도록 연장되며 구경이 하측으로 갈수록 일점을 향하도록 구경이 연속되어 작아지는 경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근부는 하측에서 상측까지의 높이가 일측보다 타측이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모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근부는 모공에 삽입될 수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모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근부에 접착제가 도포된 자가모발을 삽입부에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모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모공 내에 안착 및 이탈방지를 돕는 제2확경부를 가진 인공모근.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10050498A 2021-04-19 2021-04-19 인공모근 KR102359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498A KR102359098B1 (ko) 2021-04-19 2021-04-19 인공모근
PCT/KR2022/003618 WO2022225190A1 (ko) 2021-04-19 2022-03-15 인공모근 및 자가모발 이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498A KR102359098B1 (ko) 2021-04-19 2021-04-19 인공모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098B1 true KR102359098B1 (ko) 2022-02-08

Family

ID=8025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498A KR102359098B1 (ko) 2021-04-19 2021-04-19 인공모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9098B1 (ko)
WO (1) WO20222251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190A1 (ko) * 2021-04-19 2022-10-27 장성욱 인공모근 및 자가모발 이식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370Y1 (ko) * 2006-01-09 2006-04-06 채용수 피부 식재용 인공 모
KR200420488Y1 (ko) * 2006-04-20 2006-07-04 유동진 붙임머리
KR100943512B1 (ko) * 2007-12-31 2010-02-22 김윤성 이식용 천연모 및 인공모의 모발구조
KR101623231B1 (ko) * 2009-11-27 2016-05-20 헤어스테틱스 엘티디. 모발이식 앵커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과 방법
KR20170066129A (ko) * 2015-12-05 2017-06-14 이은수 코그실을 이용한 이식용 모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212B1 (ko) * 1978-07-10 1982-07-02 시로 야마다 식모용 인조모의 제조법
KR102359098B1 (ko) * 2021-04-19 2022-02-08 장성욱 인공모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3370Y1 (ko) * 2006-01-09 2006-04-06 채용수 피부 식재용 인공 모
KR200420488Y1 (ko) * 2006-04-20 2006-07-04 유동진 붙임머리
KR100943512B1 (ko) * 2007-12-31 2010-02-22 김윤성 이식용 천연모 및 인공모의 모발구조
KR101623231B1 (ko) * 2009-11-27 2016-05-20 헤어스테틱스 엘티디. 모발이식 앵커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과 방법
KR20170066129A (ko) * 2015-12-05 2017-06-14 이은수 코그실을 이용한 이식용 모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190A1 (ko) * 2021-04-19 2022-10-27 장성욱 인공모근 및 자가모발 이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25190A1 (ko) 2022-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2602B2 (en) Extension hair having guide loop
KR102359098B1 (ko) 인공모근
KR101623231B1 (ko) 모발이식 앵커 및 이를 이용하는 시스템과 방법
US5547529A (en) Process for fabricating false eyelash system
US5690654A (en) Surgical implement particularly useful for implanting prosthetic heart valves and surgical method including such implement
US4216777A (en) Method for artificially implanting hair
JP2000503581A (ja) バイオ人工心臓弁移植装置
KR102305747B1 (ko) 모발 임플란트 및 이를 이식하는 방법
Soll Evolution and current concepts in the surgical treatment of the anophthalmic orbit
US4014971A (en) Method for making a tympanic membrane prosthesis
KR200413370Y1 (ko) 피부 식재용 인공 모
CN209421999U (zh) 一种毛发移植镊子
US5888202A (en) Uni-root multi-exit hair implant
KR101503014B1 (ko) 모발 임플란트
KR101147300B1 (ko) 가발 제작을 위한 골내 고정용 모발 이식체
CN109044421A (zh) 一种四维极速种植头发的设备
CN105380326A (zh) 一种人造毛发以及与人造毛囊的连接方法
CN205107975U (zh) 一种人造毛发
KR101969015B1 (ko) 가모 시술 도구 및 가모 시술장치와 이를 위한 매듭 구조 및 매듭 방법
US2667645A (en) Means for attachment of eye muscles to implants
KR200424303Y1 (ko) 피부 식재용 인공 모
KR20100082976A (ko) 사이보그 - 인조 모근 & 모발 도킹 시스템
Koch Studies in the anatomy and morphology of the composite flower II. The corollas of the Heliantheae and Mutisieae
JPH0415285B2 (ko)
JPH036640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