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9075B1 - Power Supply Maintenance Apparatus Having Electric Accident Prevention Structure - Google Patents

Power Supply Maintenance Apparatus Having Electric Accident Prevention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9075B1
KR102359075B1 KR1020210169954A KR20210169954A KR102359075B1 KR 102359075 B1 KR102359075 B1 KR 102359075B1 KR 1020210169954 A KR1020210169954 A KR 1020210169954A KR 20210169954 A KR20210169954 A KR 20210169954A KR 102359075 B1 KR102359075 B1 KR 102359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wer
fire
power supply
mai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99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준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아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아이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아이에스
Priority to KR102021016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90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9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90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2Mechanical actuation of the alarm, e.g. by the breaking of a wir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33Details with several disconnections in a preferential order, e.g. following priority of the users, load repart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maintenance apparatus including an electric accident prevention structure, wherein the power supply maintenance apparatus is capable of fundamentally preventing device malfunction and device dam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maintenance apparatus includes: a reception body part; a power reception unit; a power supply unit; a reserve power storage unit; a reception power monitoring unit; a fire monitoring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Description

전기사고 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전원공급 유지장치{Power Supply Maintenance Apparatus Having Electric Accident Prevention Structure}Power Supply Maintenance Apparatus Having Electric Accident Preven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전원공급 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시 전원 공급이 필요한 장비 및 유닛에 적용하여 전기 공급 중단에 따른 전기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전원공급 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including a configuration that can fundamentally block the occurrence of an electrical accident due to the interruption of electricity supply by being applied to equipment and units requiring constant power supply. will be.

종래 무정전 전원 공급 장치는 실시간 전원 공급을 요하는 장비에 설치되어 지진, 태풍과 같은 자연재해는 물론 전력공급설비의 파손으로 전력공급장애에 의한 정전 상태가 발생되면 즉시 상용전원과 같은 전력을 공급해 서버나 컴퓨터의 데이터 손실을 막아 지속적인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관련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있다.Conventional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installed in equipment that requires real-time power supply, and when a power outage occurs due to power supply failure due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earthquakes and typhoons as well as damage to power supply facilities, it immediately supplies the same power as commercial power to the server. The quality of related services is being improved by enabling continuous service provision by preventing computer data loss.

특히 항공이나 항만의 조명과 같은 중요 핵심 시설의 관리를 위해 고용량 고출력을 갖도록 연구개발 및 제품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In particular, R&D and product provision are being made to have high capacity and high output for the management of important core facilities such as lighting in aviation and ports.

즉,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는 현대 장비의 고용량과, 장시간정전에 대비한 고효율 고출력 인버터와, 대용량 축전 가능한 배터리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배터리는 성질에 따라 전력 공급 장치의 기능은 큰 변화를 보이고 있다.In other words,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being developed to provide a high-capacity, high-efficiency, high-output inverter for long-time power failures of modern equipment, and a battery capable of storing large amounts of electricity. there is a big change.

이와 같은 고용량 고출력의 무정전 전원공급장치는 비교적 큰 시설에 적합한 것으로, 일반 생활과 소규모의 사업장, 병원, 장애인 및 노유자 시설에는 적합하지 않아, 소규모 장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크기, 무게, 출력 용량, 그리고 이동력을 갖춘 전력 공급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다.Such a high-capacity, high-output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suitable for relatively large facilities, and is not suitable for general life, small businesses, hospitals,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ower supply device with power.

특히 정전상황에서 병원, 독립거주 노인 또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편리하게 사용하도록 소용량을 사용하거나, 상황판별시스템 또는 전력구, 통신구, 그리고 인화성 물질이 많은 곳에서의 안전한 전기 공급이 필요로 하거나, 사용자가 내부 구조를 변경시킬 수 없어 고비용의 전원 공급장치를 사용해야하는 등 다양한 단점이 있다.In particular, in case of power outage, it is necessary to use a small capacity for convenient use for hospitals, the elderly living alone or the disabled, or to require a safe electricity supply in a situation identification system, electric power outlet, communication area, and places with a lot of flammable substances, or There are various disadvantages such as the need to use an expensive power supply because the internal structure cannot be changed.

예컨대 상시거주자가 없는 저장창고나, 새벽시간대의 상가 등에서 정전이 발생되면 활어나 상품의 변질이 발생되므로 막대한 피해를 주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정전의 피해는 상용전원 공급자의 문제가 아닌 건물 전원공급 시스템에서 문제가 될 경우 그 피해액은 사업주와 건물주에게 전적으로 책임을 전가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For example, if a power outage occurs in a storage warehouse without regular residents or in a shopping mall during the early morning hours, the quality of live fish or products occurs, which causes great damage in many cases. If it becomes a problem in the company,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damage because the responsibility is entirely transferred to the business owner and the building owner.

또한, 소규모 병원 또는 의원 수준의 병원인 경우에는 수술 진행 중에 정전상황이 발생되면 환자의 목숨까지 위태로울 수 있고, 배터리 사용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고용량의 배터리를 설치해야 하나 이 경우 고용량의 배터리에 맞는 인버터도 같이 교환하여야 하므로, 무정전 전원공급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크지만 고가의 비용문제로 인해 쉽게 구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small hospital or clinic-level hospital, if a power outage occurs during the operation, even the life of the patient may be at risk. Also, the need for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is large,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easily due to the high cost problem.

한국등록특허 제10-1207142호(2012.11.26 등록, 도 1 참조)의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이용한 무정전전원장치에서는 무정전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의 배터리로 납배터리 대신 리튬폴리머배터리를 사용하여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나 리튬폴리머 배터리의 폭발 위험성과 고비용의 문제점이 있다.In the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ing a lithium polymer battery of Korea Patent No. 10-1207142 (registration on November 26, 2012, see FIG. 1), a lithium polymer battery is used as a battery of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PS) instead of a lead battery. Thus,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are possible, but there are problems with the risk of explosion and high cost of lithium polymer batteries.

한국등록특허 제10-1163563호(2012.07.02 등록)의 휴대용 하이브리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방법에서는 수소연료전지를 이용하여 2차전지를 충전하여 전력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친환경적이고 무소음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소용량 출력을 갖기 때문에 모바일 전자기기 등 소형 기기에 적합하고 대용량 출력에는 적합하지 않다.The portable hybrid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of Korean Patent No. 10-1163563 (registered on July 2, 2012) uses a hydrogen fuel cell to charge a secondary battery to supply power,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eco-friendly and noiseless. Since it has a small capacity output, it is suitable for small devices such as mobile electronic devices and is not suitable for large capacity output.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02622호(2010.01.07 공개)의 전력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는 카트리지 형식의 배터리를 적용한 것으로 배터리의 탈장착이 용이하나 대용량으로는 적합하지 않으며, 상시 전원의 정전여부와는 관계없이 전원을 공급하는 소용량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합하다.The power supply device of Korean Patent Laid-Open Patent No. 10-2010-0002622 (published on Jan. 7, 2010)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pply a cartridge-type battery. It is suitable for small-capacity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hat supply power regardless of power outage.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19978호(2009.11.23 공개)의 3상 고전력 UPS는 100KW 이상의 부하가 발생하는 공장이나 대용량 펄프, 공항과 같은 비상조명기구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고가이어서 소용량으로 사용하는 일반인이 보유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관리가 어렵고, 휴대성이 용이하지 않다The 3-phase high-power UPS of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9-0119978 (published on November 23, 2009) is used in factories that generate loads of 100KW or more, large-capacity pulp, and emergency lighting equipment such as airports. Not suitable for the general public, difficult to manage, and not easy to carry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capable of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ccording to the prior art.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64211호 (등록일자: 2015년10월21일)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64211 (Registration Date: October 21, 2015)

본 발명의 목적은, 상시 전원 공급이 필요한 장비 및 유닛에 적용하여 전기 공급 중단에 따른 전기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원공급 유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including a structure that can fundamentally block the occurrence of an electrical accident due to the interruption of electricity supply by applying to equipment and units requiring constant power suppl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원공급 유지장치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수납공간을 밀폐하는 실링구조가 형성된 개폐문이 일측에 장착된 박스형 구조의 수용본체부; 상기 수용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수용본체부 내부로 진입하는 전력케이블과 접속되고, 전력케이블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을 수용한 후 예비전력저장부와 전력공급부에 전달하는 전력수용부; 상기 수용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력수용부로부터 전달된 전력을 메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전력공급 대상에게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공급부; 상기 수용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력수용부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일정량 저장하고, 메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공급부에 저장된 전력을 전달하는 예비전력저장부; 상기 수용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력수용부에 수용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한 후, 검출되는 데이터를 메인제어부에 전달하는 수용전력 모니터링부; 상기 외부 전력공급 대상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다수의 화재 감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각각의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센싱값을 저장하고, 메인제어부에 전송하는 화재감시부; 및 상기 수용본체부의 내부에 장착되고, 운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값 및 수용전력 모니터링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예비전력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송되는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전기 화재 발생 가능성 정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분석 결과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기 화재의 위험수준을 단계별로 판단하고, 판단한 위험수준 단계마다 각각 상이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예비전력저장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A power supply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a box-shaped structure in which a storage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is formed therein, and an opening and closing door having a sealing structure for sealing the storage space from the outside is mounted on one side. receiving body; a power accommodating unit mounted inside the accommodating body part, connected to a power cable entering the accommodating body part from the outside, receiving power provided by the power cable, and then transmitting the power to 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and the power supply unit; a power supply unit mounted inside the accommodating body unit and transmitt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accommodating unit to an external power supply targe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a reserve power storage unit mounted inside the receiving body unit, stor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receiving unit, and transmitting the stored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a receiving power monitoring unit mounted inside the receiving body, detecting the amount of power received in the power receiving unit in real time,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data to the main control unit; a fire monitoring unit mounted adjacent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targe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 modules, storing sensing values sensed by each of the sensors, and transmitting it to the main control unit; And it is mounted inside the receiving bod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based on the control value input from the operator and the data obtained from the receiving power monitoring unit, and monitors the transmitted sensing values in real time to the degree of the possibility of an electric fire. a main control unit that comprehensively analyzes the analysis results, determines the risk level of electric fire step by step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and generates different control signals for each determined risk level step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화재의 위험수준을 단계별로 판단한 후, 화재의 위험수준이 단계별로 점차 높아질 수록 예비전력저장부에 저장되는 전력량의 총 저장량을 점차 높이 설정하고, 화재의 위험수준이 단계별로 점차 높아질수록 예비전력저장부에 저장된 전력을 전력공급부에 단계별로 점차 증가시켜 제공하며, 화재 발생 시, 전력수용부로 인가되는 전력을 완전히 차단하고, 예비전력저장부에 저장된 전력만으로 전력공급부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control unit determines the risk level of fire step by ste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then as the risk level of fire gradually increases step by step, the total amount of power stored in 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The power stored in 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is gradually increased and provided to the power supply unit step by step as the fire risk level gradually increases, and in case of a fire, the power applied to the power receiving unit is completely cut off It is possible to provide power to the power supply unit only with the power stored in the standby power storage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시부(160)는, 상기 화재 감지 센서 모듈(161)로부터 센싱된 센싱값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162); 상기 데이터 수집부(162)에서 수집한 상기 센싱값을 저장하는 저장부(163); 상기 데이터 수집부(162)에서 수집한 상기 센싱값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부(164); 상기 메인제어부(17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A/D 컨버터부(164)에서 변환한 상기 센싱값을 전송하는 통신부(165); 및 상기 통신부(165)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메인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는 보조제어부(166);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cludes: a data collection unit 162 for collecting a sensed value sens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161; a storage unit 163 for storing the sensed values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62; an A/D converter unit 164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that is the sensed value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62 into a digital signal; a communication unit 165 communicating with the main control unit 170 and transmitting the sensed value converted by the A/D converter unit 164; and an auxiliary control unit 166 that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170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65 .

이 경우, 상기 화재 감지 센서 모듈(161)은, UHF(Ultra High Frequency) 센서, 온도 센서, 아크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CO 감지 센서 및 수소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161 includes at least one of a UHF (Ultra High Frequency)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 arc detection sensor, a smoke detection sensor, a heat detection sensor, a CO detection sensor, and a hydrogen gas detection sensor. It may be a configuration that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상기 화재감시부(160)로부터 전송된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부분 방전(PD, Partial Discharge) 신호 발생 횟수, 발생한 부분 방전 신호의 세기, 아크(Arc) 발생 횟수, 발생한 아크의 강도, 상기 수용본체부의 내부 온도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기 화재의 위험수준을 진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170 monitors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 real time to generate the number of PD (Partial Discharge) signals, the intensity of the generated partial discharge signal, and arc generation. By analyzing the number of times, the intensity of the generated arc,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body, it is possible to diagnose the risk level of an electric fire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시부(160)는, 상기 수용본체부의 외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내부 모니터링부(167);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al monitoring unit 167 including a display means provided outside the accommodation body.

이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외부 모니터링부(171)와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control unit 17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monitoring unit 171 including a display means.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기 화재의 위험수준을 진단하고, 진단한 위험수준에 기초하여 각각 상이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생성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내부 모니터링부(167) 또는 상기 외부 모니터링부(171)를 통해서 센싱값들 또는 분석 정보들이 실시간 출력되거나, 상기 외부 모니터링부(171)를 통해서 경고 알람을 전송되거나, 기설정된 관리자에게 경고 알람을 전송되거나, 상기 전력공급부와 기연결되어 있는 부하를 차단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170 diagnoses the risk level of electric fire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and generates different control signals based on the diagnosed risk level, but by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he internal monitoring Sensed values or analysis information are output in real time through the unit 167 or the external monitoring unit 171, a warning alarm is transmitted through the external monitoring unit 171, a warning alarm is transmitted to a preset administrator, It may be controlled to cut off a load previous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상기 전력공급부와 기연결되어 있는 부하를 차단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경우, 상기 전력공급부와 기연결되어 있는 각 부하별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설정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부하의 단계적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170, when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o cut off the load previous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by setting the priority for each load previous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The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so that the load can be cut off in stages according to the prior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시부(160)는, 상기 보조제어부(166)의 제어에 의해, 소화 동작을 수행하는 소화장치부(168);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may further include a fire extinguishing device unit 168 that performs a fire extinguishing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auxiliary control unit 166 .

이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상기 화재감시부(160)로부터 전송된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상기 화재감시부(160)와 상기 메인제어부(170) 간의 통신문제가 발생하거나, 상기 메인제어부(170) 자체 문제가 발생하거나, 가스 감지 센싱값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진단한 위험수준을 기초하여, 상기 소화장치부(168)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수용본체부로의 공급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control unit 170 monitors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 real time, so that a communication problem between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and the main control unit 170 occurs, or the The main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unit 168 based on the occurrence of a problem in itself, the gas detection sensing value exceeding a preset reference value, or the diagnosed risk level, and returning to the receiving body unit. A control signal for cutting off the supply power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이 경우,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상기 화재감시부(160)로부터 전송된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열 감지 센싱값 또는 연기 감지 센싱값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진단한 위험수준을 기초하여, 상기 소화장치부(168)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수용본체부로의 공급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ain control unit 170 monitors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 real time, and the heat sensing value or the smoke sensing value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or the diagnosed risk level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68 and generate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for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receiving body.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공급 유지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수용본체부, 전력수용부, 전력공급부, 예비전력저장부, 수용전력 모니터링부, 화재감시부 및 메인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상시 전원 공급이 필요한 장비 및 유닛에 적용하여 전기 공급 중단에 따른 전기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원공급 유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receiving body unit, a power receiving unit, a power supply unit, a reserve power storage unit, a receiving power monitoring unit, a fire monitoring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having a specific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including a structure that can fundamentally block the occurrence of an electric accident due to the interruption of electricity supply by applying to equipment and units requiring constant power supply.

또한, 본 발명의 전원공급 유지장치에 따르면, 특정 제어 작동을 수행하는 예비전력저장부 및 메인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전기 화재를 예방하기 위하여 화재감시 모듈의 오동작 가능성을 줄이고, 센싱값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위험수준 별로 상이하게 대응단계를 설정하여 전기 화재를 예측 및 차단함과 동시에 비상 전력을 단계적으로 대체 공급함으로써, 정전 발생 시 급작스럽게 비상 전력이 제공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장비 오작동 및 장비 파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전원공급 유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reserve power storage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specific control operation,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of the fire monitoring module is reduced in order to prevent an electric fire, and the sensing values are comprehensively analyzed By setting different response steps for each risk level, it predicts and blocks electric fires and, at the same time, replaces emergency power in stages, thereby preventing equipment malfunctions and equipment damage that may occur due to sudden emergency power supply in the event of a power outag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wer supply retaining device that can be cut off.

또한, 본 발명의 전원공급 유지장치에 따르면, 특정 제어 작동을 수행하는 화재감시부 및 메인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안정적인 전력 공급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자동화설비 관련 주요 전자기기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안전 관련 주요 전자기기 문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power supply state by having a fire monitoring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that perform a specific control operation,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major electronic device problems related to automation facilities,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major safety-related electronic device problems.

또한, 본 발명의 전원공급 유지장치에 따르면, 특정 제어 작동을 수행하는 화재감시부 및 메인제어부를 구비함으로써, 상시 전력 공급이 요구되는 자동화설비의 안정적인 작동을 보장할 수 있고, 자동화설비와 연결된 다수의 장비의 안정적인 작동 역시 보장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안전설비에 의해 모니터링 되거나 운용되던 장비의 안전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전원공급 유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fire monitoring unit and a main control unit performing a specific control opera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stable operation of automatic equipment requiring constant power supply, and a plurality of connected automation equipment The stable operation of the equipment can also be guaranteed, an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that can ensure the safe state of the equipment that was monitored or operated by the safety facilit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비상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유지장치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ergency power supply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photograph showing a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ower supply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 power supply maintenance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Prior to thi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conventional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member is said to be located "on" another member, this includes not only a case in which a member is in contact with another member but also a case in which another member exists between the two member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2 is a photograph showing a power supply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유지장치(100)는, 상시 전원 공급이 필요한 장비 및 유닛에 적용하여 전기 공급 중단에 따른 전기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성, 즉, 특정 구조의 수용본체부(110), 전력수용부(120), 전력공급부(130), 예비전력저장부(140), 수용전력 모니터링부(150), 화재감시부(160) 및 메인제어부(170)를 구비함으로써, 상시 전원 공급이 필요한 장비 및 유닛에 적용하여 전기 공급 중단에 따른 전기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포함하는 전원공급 유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10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configuration that can fundamentally block the occurrence of an electrical accident due to interruption of electricity supply by applying it to equipment and units requiring constant power supply, that is, a specific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body unit 110, the power receiving unit 120, the power supply unit 130, 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140, the receiving power monitoring unit 150,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and the main control unit 170 By hav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including a structure that can fundamentally block the occurrence of an electrical accident due to the interruption of electricity supply by being applied to equipment and units requiring constant power supply.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유지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power supply hol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유지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유지장치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supply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of the power supply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 유지장치(100)의 수용본체부(110)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박스형 구조로서, 외부로부터 수납공간을 밀폐하는 실링구조가 형성된 개폐문이 일측에 장착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2 to 4 , the housing body 110 of the power supply hold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box-type structure that forms a storage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therein, and seals the storage space from the outsid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having a sealing structure is mounted on one side.

구체적으로, 수용본체부(110)에 장착되는 개폐문의 실링구조는 열에 의해 연소되지 않는 내연성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로부터 내부로 액체 또는 입자성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는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ling struct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oor mounted on the receiving body part 110 is made of a flame-resistant material that is not combusted by heat. In addition, 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allow liquid or particulate foreign substances to penetrat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수용부(120)는, 수용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외부로부터 수용본체부(110) 내부로 진입하는 전력케이블과 접속되고, 전력케이블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을 수용한 후 예비전력저장부(140)와 전력공급부(130)에 전달할 수 있다.The power accommodating unit 12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configuration mounted inside the accommodating body unit 110, and is connected to a power cable entering the accommodating body unit 110 from the outside, and provided by the power cable. After accommodating the required power,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140 and the power supply unit 130 .

본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부(130)는, 수용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전력수용부(120)로부터 전달된 전력을 메인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전력공급 대상에게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mponent mounted inside the receiving body unit 110 , and supplies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receiving unit 120 to an external power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170 . It can transmit power to the target.

본 실시예에 따른 예비전력저장부(140)는, 수용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전력수용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일정량 저장하고, 메인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공급부(130)에 저장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mponent mounted inside the receiving body unit 110 , and stores a certain amount of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receiving unit 120 , and controls the main control unit 170 . Power stored in the power supply unit 130 may be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signal.

본 실시예에 따른 수용전력 모니터링부(150)는, 수용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전력수용부(120)에 수용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한 후, 검출되는 데이터를 메인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wer monitoring unit 15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component mounted inside the receiving body unit 110 , and after detecting the amount of power accommodated in the power receiving unit 120 in real time, the detected data is displayed as the main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70 .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재감시부(160)는, 외부 전력공급 대상과 인접하여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다수의 화재 감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각각의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센싱값을 저장하고, 메인제어부(170)에 전송할 수 있다.The fire monitoring unit 1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nfiguration that is installed adjacent to an external power supply targe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 modules, stores sensing values sensed from each of the sensors, and the main control unit may be sent to 170 .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제어부(170)는, 수용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운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값 및 수용전력 모니터링부(15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예비전력저장부(1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인제어부(170)에 전송되는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전기 화재 발생 가능성 정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분석 결과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기 화재의 위험수준을 단계별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메인제어부(170)는, 판단한 위험수준 단계마다 각각 상이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예비전력저장부(14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1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configuration mounted inside the receiving body unit 110, based on the control value input from the operator and data obtained from the receiving power monitoring unit 150, reserve The operation of the power storage unit 140 may be controlled. At this time,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to the main controller 170 are monitored in real time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degree of possibility of an electric fire, and the risk level of electric fire can be determined step by ste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17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140 by generating different control signals for each determined risk level step.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제어부(170)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화재의 위험수준을 단계별로 판단한 후, 화재의 위험수준이 단계별로 점차 높아질 수록 예비전력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전력량의 총 저장량을 점차 높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화재의 위험수준이 단계별로 점차 높아질수록 예비전력저장부(140)에 저장된 전력을 전력공급부(130)에 단계별로 점차 증가시켜 제공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전력수용부(120)로 인가되는 전력을 완전히 차단하고, 예비전력저장부(140)에 저장된 전력만으로 전력공급부(13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control unit 17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determines the risk level of fire step by ste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nd then as the risk level of fire gradually increases step by step, the stored in 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140 You can set the total amount of electricity to be stored gradually higher. In addition, as the risk level of fire gradually increases step by step, the power stored in the preliminary power storage unit 140 may be provided to the power supply unit 130 by gradually increasing step by step. In some cases, when a fire occurs, power applied to the power receiving unit 120 may be completely cut off, and power may be provided to the power supply unit 130 only with the power stored in 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14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화재 단계별 감시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감시부(160)는 배전반, 자동제어반, ESS, 태양광 등 수용본체부 등에 구비되며,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화재감시 서버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s provided in a switchboard, an automatic control panel, an ESS, a solar power receiving body, etc., and uses a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be connected to the fire monitoring server.

또한, 화재감시 서버는, 원거리 위치하고 있는 당직자, 시설 관리자, 안전관리자 등에게 현재 수용본체부의 전기 화재 발생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e monitoring server comprehensively analyzes and transmits the possibility of an electric fire occurring in the current housing body to a watchdog, a facility manager, a safety manager, etc.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화재 단계별 감시 시스템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감시부(160) 및 메인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4 , the electric fire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fire monitoring unit 160 and a main control unit 170 .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화재감시부(160)는 배전반, 자동제어반, ESS, 태양광 등 수용본체부에 구비되어, 다수의 화재 감지 센서 모듈(161)들을 포함하여 각각의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센싱값을 저장하고, 연결되어 있는 외부의 메인제어부(17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detail with respect to each configuration,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body such as a switchboard, automatic control panel, ESS, solar light, etc.,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 modules 161 from each sensor. It is preferable to store the sensed value and transmit it to the connected external main controller 170 .

자세하게는, 상기 화재감시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센서들로 구성되는 화재 감지 센서 모듈(161), 데이터 수집부(162), 저장부(163), A/D 컨버터부(164), 통신부(165), 보조제어부(166) 및 내부 모니터링부(167)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부 모니터링부(167)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들은 상기 수용본체부의 내부에 적절히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In detail, as shown in FIG. 4 ,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cludes a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161 including a plurality of sensors, a data collection unit 162 , a storage unit 163 , and A/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verter unit 164, a communication unit 165, an auxiliary control unit 166, and an internal monitoring unit 167,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for the internal monitoring unit 167 are inside the receiving body unit. It is most preferable to properly arrange it.

상기 내부 모니터링부(167)는 상기 수용본체부의 외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서 상기 메인제어부(170)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정보들이 출력됨으로써, 상기 수용본체부 주변의 관리자(사용자, 작업자 등)가 실시간으로 현재 수용본체부의 전기 화재 발생 가능성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The internal monitoring unit 167 preferably includes a display mean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body, through which variou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70 is output, so that the manager ( Users, workers, etc.) can monitor the possibility of an electrical fire occurring in the current housing body in real time.

각각의 구성들에 대해서는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상기 화재감시부(160)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전송되는 상기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상기 화재감시부(160)가 배치되어 있는 상기 수용본체부의 전기 화재 발생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ain control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with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to monitor the transmitted sensing values in real time, and comprehensively monitor the possibility of an electric fire occurring in the housing body in which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s disposed. It is preferable to analyze

분석 결과는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기 화재의 위험수준을 진단하고, 진단한 위험수준에 기초하여 각각 상이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재감지부(160) 또는 외부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nalysis result diagnoses the risk level of electric fire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generates different control signals based on the diagnosed risk level, respectively, and transmits it to the fire detection unit 160 or the outside.

이를 위해서,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화재감시 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재감지부(160)와 네트워크 연결될 뿐 아니라, 화재 관련 외부 업체들, 일 예를 들자면, 주변인접한 소방서, 관리자 등과도 통신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외부 모니터링부(171)를 통해서 실시간으로 현재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main control unit 170 may be configured as a fire monitoring server, and as described above, the main control unit 170 is connected to the network with the fire detection unit 160 as well as fire-related external companies;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communication is connected to the nearby fire station, manager, etc., and as shown in FIG. 4 , the current situation may be monitored in real time through a separate external monitoring unit 171 .

즉, 상기 외부 모니터링부(171)는 상기 메인제어부(170)와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메인제어부(170)로부터 전송되는 다양한 정보들이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수용본체부(110)를 기준으로 원거리 위치하고 있는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현재 상기 수용본체부(110)의 상태를 보여줄 수 있다.That is, the external monitoring unit 171 is a display means 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70, and it is preferable that various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ain control unit 17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re outpu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show the current state of the receiving body 110 in real time to a manager located at a remote location based on the receiving body 110 .

상기 화재감시부(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재 감지 센서 모듈(161), 데이터 수집부(162), 저장부(163), A/D 컨버터부(164), 통신부(165) 및 보조제어부(166)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화재 감지 센서 모듈(16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방전(PD, Partial Discharge) 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UHF(Ultra High Frequency) 센서, 상기 수용본체부(110)의 내부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 아크를 감지하기 위한 아크 감지 센서,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감지하기 위한 연기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발화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CO 감지 센서 및 수소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본체부(110)의 내부에 적절히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능한한 모든 센서 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수용본체부(110)의 외부 환경을 고려하여 관리자의 제어에 의해 적절하게 가감하여 상기 화재 감지 센서 모듈(161)에 포함되는 센서들을 구성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cludes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161, the data collection unit 162, the storage unit 163, the A/D converter unit 164, the communication unit 165, and the auxiliary uni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ntrol unit 166,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161, as shown in FIG. 3, a UHF (Ultra High Frequency) sensor for detecting a PD (Partial Discharge) signal, the reception A tempera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main body 110, an arc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arc, a smoke sensor for detecting that a fire has occurred, a heat sensor, a CO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a fire has occurred, and Preferabl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of the hydrogen gas detection sensors, and as described above, since it is appropriately disposed inside the housing body part 110,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ll the sensors as possible. ,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sensors included in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161 by appropriately adding or subtracting under the control of an administrator in consideration of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housing body 110 .

상기 데이터 수집부(162)는 상기 화재 감지 센서 모듈(161)로부터 센싱된 센싱값을 수집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부(162)에서 수집한 상기 센싱값들은 상기 저장부(163)에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data collection unit 162 collects the sensed values sens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161 , and the sensed values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62 a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3 . do.

상기 센싱값들을 상기 메인제어부(170)에서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혹시라도 통신 상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Raw 데이터로서 상기 저장부(163)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수집부(162)에서 수집한 상기 센싱값들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store the sensed values in the main control unit 170 as well, but since a communication error may occur, the data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62 using the storage unit 163 as raw data is It is preferable to store the sensed values.

상기 A/D 컨버터부(164)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62)에서 수집한 상기 센싱값을 상기 메인제어부(170)로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통신부(165)는 상기 메인제어부(170)와의 네트워크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A/D 컨버터부(164)에서 변환한 상기 센싱값을 상기 메인제어부(17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A/D converter unit 164 converts the sensed value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62 into a digital signal for transmission to the main control unit 170, and the communication unit 165 provides the It is preferable to perform network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ontroller 170 to transmit the sensed value converted by the A/D converter 164 to the main controller 170 .

상기 보조제어부(166)는 상기 통신부(165)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메인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을 수행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auxiliary control unit 166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170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65 .

구체적으로, 상기 화재감지부(160)는 상기 통신부(165)를 통해서 상기 메인제어부(170)와 네트워크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센싱값을 전송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상기 센싱값에 의한 상기 메인제어부(170)의 분석결과인 상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제어부(16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since the fire detection unit 160 is network-connected to the main control unit 17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65, the main control unit 170 does not only transmit the sensed value but uses the sensed valu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auxiliary control unit 166 so as to receive the control signal that is the analysis result of , and perform an operation according to it.

즉, 상기 보조제어부(166)는 전기 화재 예측에 따른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신속하게 대응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전기 화재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at is, the auxiliary control unit 166 can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electric fire by quickly performing a response operation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electric fire prediction.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재감시부(160)로부터 전송된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수용본체부 현재 상태에 대한 전기 화재의 위험수준을 진단하여,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control unit 170 monitors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 real time, and comprehensively analyzes them to diagnose the risk level of electric fire for the current state of the receiving body unit. However, it is desirable to ensure that an appropriate response can be made.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상기 화재감시부(160)로부터 전송된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상기 수용본체부 현재 상태에 대한 전기 화재의 위험수준을 상시 모니터링 수준, 발화 직전 수준, 화재 발생 수준 등으로 진단하여 각각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main control unit 170 monitors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 real time, and comprehensively analyzes them to determine the risk level of electric fire for the current state of the receiving body unit at a constant monitoring level. , it is desirable to diagnose the level just before ignition, the level of fire, etc. so that appropriate responses can be made according to each condition.

이에 따라,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상기 화재감시부(160)로부터 전송된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센싱값들 중 상기 UHF 센서에 의한 부분방전 신호의 발생 횟수, 발생한 부분방전 신호의 세기, 상기 아크 감지센서에 의한 아크 발생 횟수, 발생한 아크의 강도,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한 상기 수용본체부의 내부 온도가 미리 설정된 소정값 이내일 경우, 전기 화재의 위험수준을 상시 모니터링 수준으로 진단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in control unit 170 monitors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 real time, and among the sensed values,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by the UHF sensor, the intensity of the generated partial discharge signal, When the number of arc occurrences by the arc detection sensor, the intensity of the generated arc,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body by the temperature sensor are within a preset predetermined value, the risk level of electric fire is diagnosed as a constant monitoring level and the control signal can create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상기 화재감시부(160)로부터 전송된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센싱값들 중 CO 감지 센서 또는 수소가스 감지 센서에 의한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값을 초과하거나, 센싱값들 중 상기 UHF 센서에 의한 부분방전 신호의 발생 횟수, 발생한 부분방전 신호의 세기, 상기 아크 감지 센서에 의한 아크 발생 횟수, 발생한 아크의 강도,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한 상기 수용본체부의 내부 온도 중 어느 하나의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값을 초과할 경우, 또는 상기 화재감지부(160)와 상기 메인제어부(170) 간의 통신문제가 발생하거나, 상기 메인제어부(170)자체 문제가 감지될 경우, 전기 화재의 위험수준을 발화 직전 수준으로 진단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170 monitors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 real time, and among the sensed values, a value sensed by a CO sensor or a hydrogen gas sensor exceeds a preset value or , among the sensing values,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by the UHF sensor, the intensity of the generated partial discharge signal, the number of arc occurrences by the arc detection sensor, the intensity of the generated arc,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body by the temperature sensor When any one of the sensing values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or when a communication problem occurs between the fire detection unit 160 and the main control unit 170, or when a problem is detected with the main control unit 170 itself ,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control signal by diagnosing the risk level of the electric fire as the level immediately before ignition.

더불어,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상기 화재감시부(160)로부터 전송된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센싱값들 중 열 감지 센서 또는 연기 감지 센서에 의한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값을 초과할 경우, 전기 화재의 위험수준을 화재 발생 수준으로 진단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170 monitors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 real time, and among the sensed values, when a value sensed by a heat sensor or a smoke sensor exceeds a preset value, , it is possible to generate the control signal by diagnosing the risk level of an electric fire as a fire occurrence level.

여기서, 소정값이란 외부 사용자, 관리자 등의 제어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화재감시부(160)에 구성되어 있는 상기 센서들의 각각의 스펙, 상기 수용본체부의 내/외부 설비들의 내열 스펙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edetermined valu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of an external user, administrator, etc.,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ations of each of the sensors configured in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the heat resistance specifications of the internal/external facilities of the housing body, etc. It is preferable to set

각각의 진단수준에 대한 상기 메인제어부(170)의 동작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재감시부(160)로부터 전송된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센싱값들 중 상기 UHF 센서에 의한 부분방전 신호의 발생 횟수, 발생한 부분방전 신호의 세기, 상기 아크 감지 센서에 의한 아크 발생 횟수, 발생한 아크의 강도,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한 상기 수용본체부의 내부 온도를 분석하여, 각각의 센싱값들이 미리 설정된 소정값 이내이면서, 미리 설정된 기준값을 이용하여 다시 한번 상시 모니터링 수준을 5단계로 나누어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find out more about the operation of the main control unit 170 for each diagnosis level, the main control unit 170 monitors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 real time as shown in FIG. 5 . While, among the sensed values,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by the UHF sensor, the intensity of the generated partial discharge signal, the number of arc occurrences by the arc detection sensor, the intensity of the generated arc, the interior of the housing body by the temperature sensor By analyzing the temperature,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the control signal by dividing the constant monitoring level into five stages once again using the preset reference value while the respective sensing values are within a preset value.

즉, 상기 메인제어부(170)에서, 센싱값들 중 상기 UHF 센서에 의한 부분방전 신호의 발생 횟수, 발생한 부분방전신호의 세기, 상기 아크 감지 센서에 의한 아크 발생 횟수, 발생한 아크의 강도,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한 상기 수용본체부의 내부 온도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 당장 발화가 이루어지거나, 화재가 발생할 상황은 아니지만 발화 또는 화재가 발생할 위험성이 높은 상태일 경우 이에 대한 대응 동작을 수행하여 미연에 발화 또는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main control unit 170,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by the UHF sensor, the intensity of the generated partial discharge signal, the number of arc occurrences by the arc detection sensor, the strength of the generated arc, the temperature among the sensed values The sensor analyz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body part, a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f the ignition occurs immediately or there is a high risk of ignition or fire, although it is not in a situation where a fire will occur, a response operation is performed to prevent ignition or fire in advance. can prevent

상세하게는, 상술한 5개의 센싱값 각각에 기준값을 설정한 후, 기준값을 초과한 센싱값의 개수에 따라 상시 모니터링 수준을 5단계로 나누어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거나, 상술한 5개의 센싱값 각각에 5개의 기준값을 설정한 후, 어느 하나의 센싱값이 어느 특정 지점의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해당 지점과 매칭되도록 상시 모니터링 수준을 나누어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In detail, after a reference value is set for each of the five sensed values, the control signal is generated by dividing the constant monitoring level into five ste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sensed values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or each of the five sensed values described above After setting five reference values, when any one sensing value exceeds the reference value of a specific point, the control signal may be generated by dividing the constant monitoring level to match the corresponding point.

이 때, 기준값은 상기 소정값 이내인 것은 당연하며, 즉, 가장 높은 기준의 값이라 할지라도 상기 소정값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며, 안정적이지만 만일을 대비하기 위한 예방 수준으로 기준값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the reference value is within the predetermined value, that is, even the highest reference value is preferably within the predetermined value. .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상시 모니터링 수준을 상술한 5개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위험수준 0 ~ 4 단계로 나누는 것이 바람직하며, 위험수준 0 단계에서는 상기 외부 모니터링부(171) 또는 상기 내부 모니터링부(167)로 실시간으로 분석되고 있는 상기 센싱값들이나 진단한 현재 전기 화재의 위험수준을 출력할 수 있도록 데이터들을 수집하고,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main control unit 170 divides the regular monitoring level into 0 to 4 risk levels using the five sensing values described above, and the external monitoring unit 171 or the internal monitoring unit at the 0 risk level. It is preferable to collect data and generate a control signal so that the sensed values being analyzed in real time or the diagnosed current danger level of electric fire can be output at (167).

위험수준 1 단계에서는 상기 외부 모니터링부(171)와 내부 모니터링부(167)에 경고 알람이 보여질 수 있도록, 제어신호, 즉, 다시 말하자면, 시각적인 경고 알람 발생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isk level 1 step, a control signal, that is, in other words, a visual warning alarm generation signal, is generated as the control signal so that a warning alarm can be seen in the external monitoring unit 171 and the internal monitoring unit 167. desirable.

위험수준 2 단계에서는 상기 외부 모니터링부(171)와 내부 모니터링부(167)에 경고 알람 뿐 아니라, 관리자가 해당 경로 알람을 확인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팝업 알람 등을 제공하거나, 반복적으로 경고 알람이 보여질 수 있도록 상기 제어신호, 즉 다시 말하자면, 청각적인 경고 알람 발생 신호를 상기 제어신호로 생성하되, 반복적으로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second stage of the risk level, a separate pop-up alarm is provided to the external monitoring unit 171 and the internal monitoring unit 167 as well as a warning alarm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recognize that the corresponding route alarm has been confirmed, or repeatedly warning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the control signal, that is, an audible warning alarm generation signal, as the control signal so that an alarm can be seen, but repeatedly generate the control signal.

위험수준 3 단계에서는 상술한 위험수준 2 단계의 경고 수준에 더해서 관리자에게 상기 외부 모니터링부(171) 또는 내부 모니터링부(167)가 아닌 직접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 등을 통해서 경고 알람이 보여질 수 있도록 상기 제어신호, 즉 다시 말하자면, 미리 설정되어 있는 관리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수단을 통해서 경고 알람이 보여질 수 있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isk level 3 step, in addition to the warning level of the risk level 2 step described above, the warning alarm can be shown to the administrator through the terminal, etc. directly possessed rather than the external monitoring unit 171 or the internal monitoring unit 167.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the control signal, that is, the control signal so that a warning alarm can be displayed through a terminal means possessed by a preset administrator.

위험수준 4 단계에서는 상기 전력공급부(130)와 이미 연결되어 있는 부하를 차단, 즉, 전기 공급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생성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보조제어부(166)가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risk level 4 step,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the control signal to cut off the load alread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30 , that is, cut off the electricity supply. At this time, the auxiliary control unit by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It is preferred that 166 perform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즉, 상기 보조제어부(166)로 위험수준 4 단계에 해당하는 상기 제어신호가 전송될 경우, 상기 전력공급부(130)와 연결되어 있는 부하들을 차단하되, 모든 부하를 한꺼번에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각 부하별 우선수위를 설정하여 그 중요도가 가장 낮은 부하부터 단계적으로 차단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angerous level 4 step is transmitted to the auxiliary control unit 166, the load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30 are cut off, but not all loads at once, but each load. It is desirable to set a priority level for each level and perform the cutoff in stages starting with the lowest load.

다시 말하자면, 상기 전력공급부(130)에 연결되어 있는 부하들을 한꺼번에 차단할 경우, 문제점으로 언급한 바와 같이, 이 역시 커다란 피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부하별로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설정한 후, 그 중요도가 가장 낮은 부하부터 단계적으로 차단을 수행하여, 전기공급 차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other words, if the load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30 are cut off at once, as mentioned as a problem, this can also cause great damage, so after setting the priority according to the importance for each load, th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inimize the damage caused by the cutoff of the electricity supply by performing the cutoff in stages starting with the load with the lowest importance.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화재 단계별 감시 시스템의 상기 화재감시부(16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장치부(16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4 ,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of the electric fire step-by-step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ire extinguishing device unit 168 .

상기 소화장치부(168)는 상기 수용본체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조제어부(166)의 제어에 의해, 소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unit 168 is preferably provided inside or outside the housing body, and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fire extinguishing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auxiliary control unit 166 .

상기 메인제어부(170)에서 상기 화재감시부(160)로부터 전송된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센싱값들 중 CO 감지 센서 또는 수소가스 감지 센서에 의한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값을 초과하거나, 센싱값들 중 상기 UHF 센서에 의한 부분방전 신호의 발생 횟수, 발생한 부분방전 신호의 세기, 상기 아크 감지 센서에 의한 아크 발생 횟수, 발생한 아크의 강도,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한 상기 수용본체부의 내부 온도 중 어느 하나의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값을 초과할 경우, 또는 상기 화재감지부(160)와 상기 메인제어부(170) 간의 통신문제가 발생하거나, 상기 메인제어부(170)자체 문제가 감지될 경우, 상술한 상시 모니터링 수준의 각 단계를 거치는 것이 아니라 발화 직전 수준으로 진단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ile the main control unit 170 monitors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 real time, a value sensed by a CO detection sensor or a hydrogen gas detection sensor among the sensing values exceeds a preset value or is sensed Among the values, any of the number of occurrences of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by the UHF sensor, the intensity of the generated partial discharge signal, the number of arc occurrences by the arc detection sensor, the strength of the generated arc,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body by the temperature sensor When one sensing value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or when a communication problem occurs between the fire detection unit 160 and the main control unit 170, or when a problem is detected by the main control unit 170 itself,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the control signal by diagnosing the level immediately before ignition rather than going through each step of one regular monitoring level.

즉, 상기 수용본체부의 내부 상태가 위험수준으로 순간적으로 상승하거나, 서버 이상, 통신문제 발생 또는 발화 직전의 정황이 감지될 경우, 발화 직전 수준으로 진단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화재감시부(16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when the internal state of the receiving body part instantaneously rises to a dangerous level, or a server abnormality, communication problem occurs, or a situation immediately before ignition is detected, the fire monitoring unit ( 160) is preferred.

상기 보조제어부(166)에서는 이를 전송받아, 곧바로 전력공급을 차단, 상기 소화장치부(168)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이에 대한 상황을 상기 외부 모니터링부(171)와 내부 모니터링부(167)에 경고 알람 뿐 아니라, 관리자가 해당 경로 알람을 확인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팝업 알람 등을 제공하고, 관리자에게 상기 외부 모니터링부(171) 또는 내부 모니터링부(167)가 아닌 직접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 등을 통해서 경고 알람이 보여질 수 있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uxiliary control unit 166 receives this, immediately cuts off the power supply, controls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unit 168 to operate, and reports the situation to the external monitoring unit 171 and the internal monitoring unit 167. In addition to the warning alarm, a separate pop-up alarm is provided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recognize that the corresponding route alarm has been checked, and the terminal directly possesses not the external monitoring unit 171 or the internal monitoring unit 167 to the administrator.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the control signal so that a warning alarm can be shown through the like.

더불어, 상기 메인제어부(170)에서 상기 화재감시부(160)로부터 전송된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면서, 센싱값들 중 열 감지 센서 또는 연기 감지 센서에 의한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소정값을 초과할 경우, 전기 화재의 위험수준을 화재 발생 수준으로 진단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170 monitors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 real time, and among the sensed values, a value sensed by a heat sensor or a smoke sensor exceeds a preset value. , it is preferable to generate the control signal by diagnosing the risk level of an electric fire as a fire occurrence level.

상기 메인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보조제어부(166)에서는 곧바로 전력 공급, 즉, 전기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소화장치부(168)가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이에 대한 상황을 상기 외부 모니터링부(171)와 내부 모니터링부(167)에 경고 알람 뿐 아니라, 관리자가 해당 경로 알람을 확인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팝업 알람 등을 제공하고, 관리자에게 상기 외부 모니터링부(171) 또는 내부 모니터링부(167)가 아닌 직접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 등을 통해서 경고 알람이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인제어부(170) 역시도 외부 연결되어 있는 소방서 등에 상기 수용본체부의 현재 상태가 화재 발생 수준임을 알려 이에 대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170, the auxiliary control unit 166 directly cuts off the power supply, that is, the electricity supply, controls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unit 168 to operate, and reports the situation. In addition to a warning alarm to the external monitoring unit 171 and the internal monitoring unit 167, a separate pop-up alarm is provided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recognize that the corresponding route alarm has been confirmed, and the external monitoring unit 171 is provided to the administrator. Alternatively, it is preferable to display a warning alarm through a terminal or the like that is in direct possession rather than the internal monitoring unit 167, and the main control unit 170 is also connected to an externally connected fire station, etc. It is desirable to inform the level of occurrence so that a response can be mad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화재 단계별 감시 시스템의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미리 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화재감시 모듈(100)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중단하고, 자가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control unit 170 of the electric fire step-by-step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ops real-time monitoring of the fire monitoring module 100 at preset intervals and performs a self-diagnosis mode. .

다시 말하자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제어부(170)의 오동작시 피해가 크기 때문에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관리자(사용자, 작업자 등)의 설정에 따라 일정한 주기로 '자가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lfunction of the main controller 170 causes great damage, in order to prevent this in advance, it is recommended to perform the 'self-diagnosis mode'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the settings of the administrator (user, operator, etc.). desirable.

이를 위해서, 상기 화재감시부(160) 내에 구비되어 있는 별도의 자가 진단용 서브 모듈을 통해서, 상기 화재감시부(160)의 각 센서의 정상 유무를 진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정상적인 센싱값 송수신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rough a separate self-diagnosis sub-module provided in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t is possible to diagnose whether each sensor of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s normal, an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o transmit/receive a normal sensing value. can be checked

상기 자가 진단용 서브 모듈로는, 열 발생기, 고주파 발생기, 아크 발생기, 발광장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elf-diagnosis sub-module preferably includes a heat generator, a high frequency generator, an arc generator, a light emitting device, and the like.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자가 진단 모드를 수행할 때에, 상기 자가 진단용 서브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가상의 전기 화재 발생 상황을 만들어서 상기 화재감시부(160)의 각 센서의 정상 유무를 진단하고, 상기 메인제어부(170)에서 이를 정확히 분석하여 각 상황에 맞는 진단이 이루어져 적절한 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제어신호가 생성되는 지를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performing the self-diagnosis mode, the main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elf-diagnosis sub-module to create a virtual electric fire occurrence situation and diagnoses whether each sensor of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s normal,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control unit 170 accurately analyzes this to determine whether a control signal capable of performing an appropriate response is generated by making a diagnosis suitable for each situation.

물론, 자가 진단 모드를 수행하는 동안에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f course, it is desirable to stop real-time monitoring while performing the self-diagnosis mod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화재 단계별 감시 시스템은, 다수개의 센서들로부터 전송되는 센싱값들을 종합적으로 진단하여, 수용본체부의 현재 상태를 비교적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으며, 전기 화재 위험수준별로 각각 상이하게 대응단계를 설정할 수 있어, 전기공급 차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uch, the electric fire step-by-step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prehensively diagnose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a plurality of sensors, and can relatively accurately determine the current state of the housing body, and Each step can be set differently, so there is an advantage in minimizing the damage caused by the interruption of the electricity supply.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 recit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but rather, it is to be understood to cover all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descriptions described above, and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can implemen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and such modifications shall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전원공급 유지장치
110: 수용본체부
120: 전력수용부
130: 전력공급부
140: 예비전력저장부
150: 수용전력 모니터링부
160: 화재감시부
161: 화재 감지 센서 모듈
162: 데이터 수집부
163: 저장부
164: A/D 컨버터부
165: 통신부
166: 보조제어부
167: 내부 모니터링부
168: 소화장치부
170: 메인제어부
171: 외부 모니터링부
100: power supply retention device
110: receiving body part
120: power receiving unit
130: power supply
140: reserve power storage unit
150: reception power monitoring unit
160: fire monitoring department
161: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162: data collection unit
163: storage
164: A/D converter unit
165: communication department
166: auxiliary control unit
167: internal monitoring unit
168: fire extinguishing unit
170: main control unit
171: external monitoring unit

Claims (5)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외부로부터 수납공간을 밀폐하는 실링구조가 형성된 개폐문이 일측에 장착된 박스형 구조의 수용본체부(110);
상기 수용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수용본체부(110) 내부로 진입하는 전력케이블과 접속되고, 전력케이블에 의해 제공되는 전력을 수용한 후 예비전력저장부(140)와 전력공급부(130)에 전달하는 전력수용부(120);
상기 수용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력수용부(120)로부터 전달된 전력을 메인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 전력공급 대상에게 전력을 전달하는 전력공급부(130);
상기 수용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력수용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일정량 저장하고, 메인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력공급부(130)에 저장된 전력을 전달하는 예비전력저장부(140);
상기 수용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전력수용부(120)에 수용되는 전력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한 후, 검출되는 데이터를 메인제어부(170)에 전달하는 수용전력 모니터링부(150);
상기 외부 전력공급 대상과 인접하여 장착되고, 다수의 화재 감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각각의 센서들로부터 센싱된 센싱값을 저장하고, 메인제어부(170)에 전송하는 화재감시부(160); 및
상기 수용본체부(110)의 내부에 장착되고, 운용자로부터 입력된 제어값 및 수용전력 모니터링부(150)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예비전력저장부(140)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송되는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전기 화재 발생 가능성 정도를 종합적으로 분석하며, 분석 결과를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기 화재의 위험수준을 단계별로 판단하고, 판단한 위험수준 단계마다 각각 상이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예비전력저장부(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제어부(1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유지장치.
Forming a storage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inside, the receiving body portion 110 of a box-shaped structure in which an opening and closing door having a sealing structure for sealing the storage space from the outside is mounted on one side;
It is mounted on the inside of the receiving body unit 110, is connected to a power cable that enters the receiving body unit 110 from the outside, and receives the power provided by the power cable, and then with 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140 and Power receiving unit 120 for transmitting to the power supply unit 130;
a power supply unit 130 mounted inside the receiving body unit 110 and transmitting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receiving unit 120 to an external power supply targe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170;
It is mounted inside the receiving body unit 110, stores a certain amount of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receiving unit 120, and transmits the power stored in the power supply unit 130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170. power storage unit 140;
a receiving power monitoring unit 150 mounted inside the receiving body unit 110, detecting the amount of power received in the power receiving unit 120 in real time,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data to the main control unit 170;
a fire monitoring unit 160 mounted adjacent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target, including a plurality of fire detection sensor modules, storing the sensed values sensed from each sensor, and transmitting to the main control unit 170; and
Sensing is mounted inside the receiving body unit 11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140 based on a control value input from an operator and data obtained from the receiving power monitoring unit 150, and is transmitted The values are monitored in real time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probability of an electric fire,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risk level of electric fire is determined step-by-step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and a different control signal is generated for each step of the determined risk level to save power in reserve. a main control unit 17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unit 140;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화재의 위험수준을 단계별로 판단한 후,
화재의 위험수준이 단계별로 점차 높아질 수록 예비전력저장부(140)에 저장되는 전력량의 총 저장량을 점차 높이 설정하고,
화재의 위험수준이 단계별로 점차 높아질수록 예비전력저장부(140)에 저장된 전력을 전력공급부(130)에 단계별로 점차 증가시켜 제공하며,
화재 발생 시, 전력수용부(120)로 인가되는 전력을 완전히 차단하고, 예비전력저장부(140)에 저장된 전력만으로 전력공급부(130)에 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유지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control unit 170,
After judging the risk level of fire step by step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As the risk level of fire gradually increases step by step, the total amount of power stored in 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140 is gradually set higher,
As the risk level of fire gradually increases step by step, the power stored in 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140 is gradually increased and provided to the power supply unit 130 step by step,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fire occurs, the power applied to the power receiving unit (120) is completely cut off, and power is provided to the power supply unit (130) only with the power stored in the reserve power storage unit (1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시부(160)는,
상기 화재 감지 센서 모듈(161)로부터 센싱된 센싱값을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162);
상기 데이터 수집부(162)에서 수집한 상기 센싱값을 저장하는 저장부(163);
상기 데이터 수집부(162)에서 수집한 상기 센싱값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컨버터부(164);
상기 메인제어부(170)와의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A/D 컨버터부(164)에서 변환한 상기 센싱값을 전송하는 통신부(165);
상기 통신부(165)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메인제어부(170)의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을 수행하는 보조제어부(166); 및
상기 수용본체부(110)의 외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내부 모니터링부(167);
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감지 센서 모듈(161)은
UHF(Ultra High Frequency) 센서, 온도 센서, 아크 감지 센서, 연기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CO 감지 센서 및 수소가스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상기 화재감시부(160)로부터 전송된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부분 방전(PD, Partial Discharge) 신호 발생 횟수, 발생한 부분 방전 신호의 세기, 아크(Arc) 발생 횟수, 발생한 아크의 강도, 상기 수용본체부(110)의 내부 온도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기 화재의 위험수준을 진단하고,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외부 모니터링부(171)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유지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a data collection unit 162 for collecting the sensed values sensed from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161;
a storage unit 163 for storing the sensed values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62;
an A/D converter unit 164 for converting an analog signal that is the sensed value collected by the data collection unit 162 into a digital signal;
a communication unit 165 communicating with the main control unit 170 and transmitting the sensed value converted by the A/D converter unit 164;
an auxiliary control unit 166 for performing an oper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main control unit 170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165; and
an internal monitoring unit 167 including a display mean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body unit 110;
including,
The fire detection sensor module 161 is
At least one of a UHF (Ultra High Frequency)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n arc detection sensor, a smoke detection sensor, a heat detection sensor, a CO detection sensor, and a hydrogen gas detection sensor;
The main control unit 170,
By monitoring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 real time, the number of partial discharge (PD) signal generation, the strength of the partial discharge signal, the number of arc occurrences, the strength of the generated arc, and the receiving body A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monitoring unit 171 including a display means by analyz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unit 110, diagnosing the risk level of an electric fire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전기 화재의 위험수준을 진단하고, 진단한 위험수준에 기초하여 각각 상이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되, 생성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내부 모니터링부(167) 또는 상기 외부 모니터링부(171)를 통해서 센싱값들 또는 분석 정보들이 실시간 출력되거나, 상기 외부 모니터링부(171)를 통해서 경고 알람을 전송되거나, 기설정된 관리자에게 경고 알람을 전송되거나, 상기 전력공급부(130)와 기연결되어 있는 부하를 차단하도록 제어되고,
상기 전력공급부(130)와 기연결되어 있는 부하를 차단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경우, 상기 전력공급부(130)와 기연결되어 있는 각 부하별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설정한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부하의 단계적 차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유지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ain control unit 170,
Diagnosing the risk level of electric fire according to a preset standard, and generating different control signals based on the diagnosed risk level, by the generated control signal, the internal monitoring unit 167 or the external monitoring unit ( 171), the sensed values or analysis information is output in real time, a warning alarm is transmitted through the external monitoring unit 171, a warning alarm is transmitted to a preset administrator, or is pre-connected with the power supply unit 130 controlled to cut off the load
When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o block a load previous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30, a priority is set for each load previously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130, and the set priority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so that the step-by-step cut off of the load in accordance with.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감시부(160)는,
상기 보조제어부(166)의 제어에 의해, 소화 동작을 수행하는 소화장치부(168);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제어부(170)는,
상기 화재감시부(160)로부터 전송된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상기 화재감시부(160)와 상기 메인제어부(170) 간의 통신문제가 발생하거나, 상기 메인제어부(170) 자체 문제가 발생하거나, 가스 감지 센싱값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또는 진단한 위험수준을 기초하여, 상기 소화장치부(168)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수용본체부로의 공급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고,
상기 화재감시부(160)로부터 전송된 센싱값들을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열 감지 센싱값 또는 연기 감지 센싱값이 기설정된 기준값을 초과하거나, 진단한 위험수준을 기초하여, 상기 소화장치부(168)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수용본체부(110)로의 공급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 유지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a fire extinguishing device unit 168 for performing a fire extinguishing oper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auxiliary control unit 166;
further comprising,
The main control unit 170,
By monitoring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 real time, a communication problem occurs between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and the main control unit 170, or the main control unit 170 itself has a problem, By generat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e extinguishing device 168 and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receiving body, the gas detection sensing value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or based on the diagnosed risk level send,
By monitoring the sensed values transmitted from the fire monitoring unit 160 in real time, the heat sensing value or the smoke sensing value exceeds a preset reference value, or based on the diagnosed risk level, Power supply maintenanc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 control signal for cutting off the power supply to the receiving body (110).
KR1020210169954A 2021-12-01 2021-12-01 Power Supply Maintenance Apparatus Having Electric Accident Prevention Structure KR1023590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954A KR102359075B1 (en) 2021-12-01 2021-12-01 Power Supply Maintenance Apparatus Having Electric Accident Prevention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9954A KR102359075B1 (en) 2021-12-01 2021-12-01 Power Supply Maintenance Apparatus Having Electric Accident Prevention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9075B1 true KR102359075B1 (en) 2022-02-09

Family

ID=8026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9954A KR102359075B1 (en) 2021-12-01 2021-12-01 Power Supply Maintenance Apparatus Having Electric Accident Prevention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907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710B1 (en) * 2023-02-27 2023-06-02 주식회사 유진시스템코리아 Vehicle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stability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573A (en) * 2012-11-16 2014-05-30 전자부품연구원 Control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development source
KR101564211B1 (en) 2014-09-26 2015-10-28 (주)엔포스트 Food waste disposer using dry screw and dry housing with triangle shaped moving cutter
KR102045489B1 (en) * 2019-05-09 2019-11-18 풍성에너지 (주) Device for prevention of fires i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00009203A (en) * 2018-07-18 2020-01-30 (주)예성엔지니어링 Battery protection system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20210042789A (en) * 2020-03-25 2021-04-20 이태범 The renewable electric system with auto power-off function with fire detec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5573A (en) * 2012-11-16 2014-05-30 전자부품연구원 Control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energy development source
KR101564211B1 (en) 2014-09-26 2015-10-28 (주)엔포스트 Food waste disposer using dry screw and dry housing with triangle shaped moving cutter
KR20200009203A (en) * 2018-07-18 2020-01-30 (주)예성엔지니어링 Battery protection system of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method for processing thereof
KR102045489B1 (en) * 2019-05-09 2019-11-18 풍성에너지 (주) Device for prevention of fires i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10042789A (en) * 2020-03-25 2021-04-20 이태범 The renewable electric system with auto power-off function with fire dete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710B1 (en) * 2023-02-27 2023-06-02 주식회사 유진시스템코리아 Vehicle productio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stabil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489B1 (en) Device for prevention of fires i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156751B1 (en) Electric fire monitoring system
US20150235539A1 (en) Multi-functional device having at least the ability to detect the presence of a substance
KR102145266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ower system
CN102158129A (en) Solar photovoltaic system and fault detection method thereof
KR102245281B1 (en) Error Intensive Monitoring and Controllable Emergency Control System for Power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CN106560973A (en) Cabinet And Battery Management And Monitoring System For Use With Uninterruptible Power Supplies
KR20200140963A (en) Combiner box for photovoltaic module with intelligent safety management
KR102359075B1 (en) Power Supply Maintenance Apparatus Having Electric Accident Prevention Structure
KR20220165906A (en) System for remote monitoring and failure predicting of distribution board
CN111585354A (en) Intelligent operation and detection equipment for energy storage power station
KR102243534B1 (en) Smart distribution board management system for disaster safety
CN217448772U (en) Battery fire monitoring and early warning system of wind and light energy storage power station
Prudenzi et al. A low-cost internet of things integration platform for a centralized supervising system of building technology systems in hospitals
CN114938055A (en) Energy storage cabinet
KR20210042789A (en) The renewable electric system with auto power-off function with fire detection
CN210578659U (e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power equipment faults
EP3324251B1 (en) Method for managing electrical supply of a device and system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EP3557725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on/off of solar module
CN107860424A (en) The early warning system of electricity exception early warning can be carried out
CN212572193U (en) Intelligent operation and detection equipment for energy storage power station
CN113870516A (en) Communication base station fire detection system
KR20220080800A (en) Battery room with artificial intelligent network system
US20150339915A1 (en) Advanced interconnected smoke alarm system with centrally located battery and dc power supply
CN107909158A (en) Power grid maintenance supervisory systems based on current limit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