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384B1 -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 Google Patents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384B1
KR102358384B1 KR1020210106599A KR20210106599A KR102358384B1 KR 102358384 B1 KR102358384 B1 KR 102358384B1 KR 1020210106599 A KR1020210106599 A KR 1020210106599A KR 20210106599 A KR20210106599 A KR 20210106599A KR 102358384 B1 KR102358384 B1 KR 102358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distilled water
batteries
amount
electrol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6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8384B9 (en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김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우 filed Critical 김태우
Priority to KR1020210106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38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384B1/en
Publication of KR10235838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384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73Containers for storing liquids; Delivery condui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02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05Acid electrolytes
    • H01M2300/0011Sulfuric acid-b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includes: one or more batteries; one or more valve devices which allow an inflow of distilled water into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i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istilled water; and a transfer pipe for transferring the distill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each of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Description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본 발명은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산업용 배터리에 증류수를 충전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charging distilled water in an industrial battery.

일반적으로 산업용 배터리는 자동차 배터리를 비롯하여 전동 카트나 전동 지게차 등 각종 전동장치에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산업용 배터리는 기본적으로 양극판과 음극판 그리고 전해액 사이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전력을 발생시키는 방전과,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 전해액을 황산화하는 충전을 반복하면서 지속적으로 사용되게 된다.In general, industrial batteries are used to supply electric power to various electric devices such as electric carts and electric forklifts as well as automobile batteries. These industrial batteries are basically used continuously while repeating discharge to generate power using a chemical reaction that occurs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plates and the electrolyte and charging to sulfide the electrolyte by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예를 들어, 전동 지게차는, 내부에 설치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주행하고 유압장치를 작동시켜 포크를 승강시킨다. 이러한 전동 지게차는 배터리의 성능이 곧 지게차의 성능과 직결되므로, 배터리의 유지관리가 중요하다.For example, an electric forklift is driven by receiving power from a battery installed therein, and a fork is raised and lowered by operating a hydraulic system. Battery performance is directly related to forklift performance, so battery maintenance is important.

한편, 산업용 배터리는,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배터리의 성능 저하가 야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의 충전과 방전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화학 반응에 의해 수분이 증발하여 전해액의 수위가 낮아지고 농도가 높아지며,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류수를 보충하여 전해액의 수위와 농도를 조정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industrial batteries may cause deterioration in battery performanc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Specifically, as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processes of the battery are repeated, moisture evaporates due to a chemical reaction, thereby lowering the water level and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and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may be deteriorat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level and concentration of the electrolyte by supplementing distilled water.

특히, 전해액이 완전히 고갈되는 경우에는 배터리를 재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되므로, 배터리에 전해액이 부족하지 않은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배터리에 증류수를 적정하게 보충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1742호는 전동 지게차용 배터리의 증류수 주입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electrolyte is completely depleted, since the battery cannot be reused, it is important to periodically check whether the battery is running out of electrolyte and properly replenish the battery with distilled water. 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81742 discloses a distilled water injection device for a battery for an electric forklift.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배터리에 전해액이 얼마나 충전되어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해고, 확인 이후 보충하는 과정을 겪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증류수 공급 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증류수가 과공급되는 경우, 전해액이 외부로 넘치게 되며, 전해액의 산성 성분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주변기기의 부식을 초래하는 등 안정상의 위험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However, for this, the user must continuously visually check how much electrolyte is charged in the battery, and then go through the process of replenishing the battery,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In addition, when distilled water is supplied, if distilled water is oversupplied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the electrolyte overflows to the outside, and the acidic component of the electrolyte may cause safety risks such as burns or corrosion of peripheral devices. There are concern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개선한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with improved user convenience and stability.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각각으로 증류수의 유입을 허용하는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 상기 증류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증류수를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 각각으로 전달하는 이송관을 포함할 수 있다.Disclosed is a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includes one or more batteries, one or more valve devices allowing the inflow of distilled water into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ie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istilled water, and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for each of the distill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It may include a conveying pipe for delivering.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 각각은,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는 유입구, 상기 각 배터리 내측 일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돌출된 관의 형상을 통해 구비되는 삽입관,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각각에 관련한 수위를 감지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의 동력에 기초하여 수직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유입구와 상기 삽입관 사이에 형성된 수로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수로형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each of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includes an inlet connected to the transfer tube, an insertion tube provided through the shape of a tube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inner part of each battery, and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ies It may include a driving member for generating power by sensing a water level, and a channel forming member for determining whether to open or close a channel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insertion tube by performing a vertical motion based on the power of the driving member.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관은,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된 리드선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관통홀 및 상기 증류수를 배출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직경을 통해 구비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과 상기 배출구는 서로 분획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insertion tube includ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lead wire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and an outlet provided through a predetermined diameter for discharging the distilled water, the through hole and the outlet includ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색상에 관련한 조명을 점등하는 조명부 및 상기 각 배터리에 포함된 전해액의 비중을 측정하는 비중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비중 센서 모듈 각각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each of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includes a lighting unit for illuminating lights related to one or more colors and a specific gravity sensor module for measur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contained in each battery, the system comprising: 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lighting of the lighting unit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each sensor module.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각각으로의 증류수의 유입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그룹 단위 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그룹 각각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가 배치된 행 또는 열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it further comprise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wherein the inflow of distilled water into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i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for each one or more battery group units,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y groups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row or column in which the one or more batteries are disposed.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 각각은, 상기 각 배터리로 공급되는 증류수의 양을 감지하는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각 배터리 그룹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량 감시 센서 모듈 각각의 센싱값 또는 상기 센서부의 센싱값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에 관련한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each of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includes a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 for detecting an amount of distilled water supplied to each battery, and the system includes: one or more supply amount monitoring sensors corresponding to each battery group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failure related to the one or more batteries based on at least one of a sensing value of each module or a sensing value of the sensor unit.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 각각은, 각 밸브 장치에 대응하는 각 수로형성부재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증류수의 공급량 및 공급시점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each of the one or more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s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dentifies the supply amount and supply time of the distilled water based on the position of each channel forming member corresponding to each valve device.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배터리로 배출되어지는 증류수의 양에 관한 절대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대 비교는, 상기 각 배터리로 배출되어지는 증류수의 양 각각과 미리 정해진 기준량 간의 비교일 수 있다.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ailure is based on an absolute comparison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to each battery, and the absolute comparison is It may be a comparison between each amount of distilled water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배터리 그룹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 각각으로부터 각 배터리로 배출되는 증류수 양에 관한 상대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ilure is determined based on a relative comparison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to each battery from each of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battery groups.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배터리 그룹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증류수가 각 배터리로 공급되는 공급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n alternativ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he failure is based on a supply point in time when the distilled water is supplied to each battery from each of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battery groups.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배터리에 존재하는 액체 양에 기반하여 해당 배터리에 증류수를 자동적으로 충전하거나 이를 중단하는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정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possible to improve user convenience and stability by providing a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that automatically charges or stops distilled water in a corresponding battery based on the amount of liquid present in the battery.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 각각에 형성된 투입구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밸브 장치의 사시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밸브 장치를 다양한 측면에서 바라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밸브 장치의 하우징 부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수위 센서 모듈, 구동부재 및 하우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배터리의 증류수를 보충하는 과정 및 증류수 보충 후,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다.
Various aspects are now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o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In the following example,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in order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It will be evident, however,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1 shows an exemplary view exemplarily showing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a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n exemplary view exemplarily showing an inlet formed in each of one or more batteries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exemplarily shows a block diagram of a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perspective view of a valve devic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n exemplary view of the valve devic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from various aspects.
6 shows an exemplary view exemplarily showing a housing portion of a val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water level sensor module, a driving member, and a housing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exemplarily illustrating a process of replenishing distilled water of a battery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battery is faulty after replenishing distilled water.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numerous specific details are set forth to provide a thorough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also be appreciate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such aspect(s) may be practic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These aspects are illustrative, however, and some of various methods may be employed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and the descriptions set forth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Specifically, as used herei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emplary”, etc. are not to be construed as advantageous or advantageous over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herein. It may not be.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소자나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나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나 구성요소를 다른 소자나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소자나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소자나 구성요소 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the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or elements, these elements or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element or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element or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element or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 “or” is intended to mean an inclusive “or” rather than an exclusive “or.” That is,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clear from context, "X employs A or B" is intended to mean one of the natural implicit substitutions. That is, X employs A; X employs B; or when X employs both A and B, "X employs A or B" may apply to either of these case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term “and/or” as used herein refers to and includes all possible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related items.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lso, the terms "comprises"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should be understood as not Also, unless otherwise specified or unless it is clear from context to refer to a singular form, the singular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generally be construed to mean “one or more”.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element in the middle.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eas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by themselves.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References to an element or layer “on” or “on” another component or layer mean that another layer or other component in between as well as directly above the other component or layer. Including all intervening cases.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directly on” or “immediately on”, it indicates that another component or layer is not interposed therebetween.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 or a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The spatially relative terms should be understood as terms including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orientation shown in the drawings.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neath”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of the other component. can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disclosur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의 전체적인 개략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1 shows an exemplary view exemplarily showing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a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10)은 배터리에 관련한 증류수 양을 식별 또는 감지하여 증류수 부족 또는 충족 여부를 판별할 수 있으며, 증류수가 부족한 것으로 판별한 경우, 배터리에 증류수를 보충 또는 충전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10 can determine whether distilled water is insufficient or satisfied by identifying or sensing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related to the battery,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tilled water is insufficient, the distilled water is added to the battery. Operations for replenishing or recharging may be performed.

본 발명의 배터리는 전동 지게차에 구비되는 배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전동 지게차는, 기관, 주행장치, 유압장치 및 포크를 상하로 움직이는 마스트를 갖추고 있으며, 팰릿(pallet)을 쌓거나, 트럭에 싣거나, 운반 또는 하역 작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작업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전동 지게차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48v-600AH의 축전 용량을 갖는 것으로, 납 축전지, 알칼리 축전지, MF 축전지 또는 축전지 등을 포함하는 2차 전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는, 약 2볼트 배터리 셀 각각이 24개를 직렬로 연결됨에 따라 약 48볼트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배터리에 관련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a battery provided in an electric forklift. An electric forklift may refer to a work vehicle equipped with a mast that moves an engine, a traveling device, a hydraulic system, and a fork up and down, and effectively performs palletizing, loading on a truck, carrying or unloading work. . For example, the battery used in the electric forklift has a storage capacity of 48v-600AH, and may be a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lead storage battery, an alkaline storage battery, an MF storage battery, or a storage battery. For example, the battery may output a voltage of about 48 volts as each of the about 2 volt battery cells is connected in series with 24 cells. The specific description related to the above-described battery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배터리는 지속적인 활용 과정에서 증류수의 추가적인 공급 또는 보충이 필요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터리는, 납을 (-)극, 이산화납을 (+)극으로 하고, 비중이 1.25 정도인 황산을 전해액으로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는 방전 시, 두 전극이 모두 황산납이 됨에 따라 두 극 모두 질량이 점점 증가하며, 전해액인 황산의 농도가 점점 묽어지게 된다. 황산의 농도가 지속적으로 묽어지는 경우, 반응 물질의 경계면에 저항이 높은 물질이 생성되어 배터리의 수명이 단축되고, 충전이 어려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의 완전 방전 이전에 증류수가 보충되어야 한다. 배터리는 충전하여 사용되는 과정에서 화학반응을 발생시킬 수 있다. 양극판의 황산염은 충전만 하면 비교적 쉽게 산화납과 황산으로 되돌려지는 반면, 음극판의 황산염은 충전을 해도 일부가 납과 황산으로 되돌려지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을 수 있다. 이에, 전해액의 비중을 맞추기 위하여 증류수를 주기적으로 보충해주어야 한다.These batteries may require additional supply or replenishment of distilled water in the course of continuous use. More specifically, the battery may be configured by using lead as a (-) pole and lead dioxide as a (+) pole, and using sulfuric acid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about 1.25 as an electrolyte. In such a battery, as both electrodes become lead sulfate during discharging, the mass of both electrodes gradually increases, and the concentration of sulfuric acid, which is an electrolyte, gradually becomes thinner. When the concentration of sulfuric acid is continuously diluted, a material with high resistance is generated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reactants, thereby shortening the life of the battery and making charging difficult. Accordingly, distilled water must be replenished before the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Batteries can undergo chemical reactions when they are charged and used. The sulfate of the positive plate is returned to lead oxide and sulfuric acid relatively easily when charged, whereas the sulfate of the negative plate may remain as it is without being returned to lead and sulfuric acid even after being charged. Therefore, in order to adjust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distilled water must be periodically replenished.

다시 말해, 충전 또는 방전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화학 반응에 의해 수분이 증발하여 전해액의 수위가 낮아지며, 수분의 증발로 인해 전해액의 수위가 낮아지는 경우, 배터리의 성능 저하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증류수의 지속적인 보충이 필요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the charging or discharging process is repeated, water evaporates by a chemical reaction to lower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and when the water level of the electrolyte decreases due to evaporation of water,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may deteriorate, so that Continuous supplementation may be required.

다만,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배터리에 전해액이 얼마나 충전되어 있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해고, 확인 이후 보충하는 과정을 겪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증류수 공급 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증류수가 과공급되는 경우, 전해액이 외부로 넘치게 되며, 전해액의 산성 성분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주변기기의 부식을 초래하는 등 안정상의 위험을 발생시킬 우려가 있다.However, for this, the user must continuously visually check how much electrolyte is charged in the battery, and then go through the process of replenishing the battery,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to the user. In addition, when distilled water is supplied, if distilled water is oversupplied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the electrolyte overflows to the outside, and the acidic component of the electrolyte may cause safety risks such as burns or corrosion of peripheral devices. There are concerns.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 각각에 대응하여 증류수의 보충 또는 공급을 조절하는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400)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밸브 장치(400)는 각각의 배터리(300)에 수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수위가 일정 이상으로 감소되었다고 판별되는 경우, 각 배터리에 증류수 공급을 허용할 수 있으며, 또한 수위가 일정 이상으로 충족되는 경우 각 배터리에 증류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즉,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400)는 각 배터리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각 배터리로의 증류수의 보충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밸브 장치(400) 각각은, 각 배터리의 상부면에 형성된 투입구에 대응하여 끼워짐에 따라, 각 배터리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may be provided with one or more valve devices 400 for controlling the replenishment or supply of distilled water in response to each of one or more batteries 300. . In this case, each valve device 400 may detect the water level in each battery 300 ,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ater level has decreased to a certain level or more, it may allow supply of distilled water to each battery, and the water level may be constant If the above is satisfied, the supply of distilled water to each battery may be stopped. That is, one or more valve devices 400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battery, and can control the replenishment of distilled water to each battery. Each of these valve devices 400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battery as it is fitted corresponding to the inle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battery.

구체적인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 중 제1배터리(301)의 상부면에는 제1투입구(30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제1투입구(301a)를 통해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400) 중 제1밸브 장치가 끼워질 수 있다. 각 배터리의 상부면에 구비된 투입구는, 각 밸브 장치(400)를 고정 및 분리하기 위한 탈착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다. 탈착 메커니즘은, 예컨대, 클립 탈착 방식, 자석 탈착 방식, 밴드 탈착 방식, 또는 흡착 탈착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탈착 메커니즘을 통해 밸브 장치(400)가 증류수 투입구에 용이하게 고정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탈착 메커니즘에 대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증류수 투입구에 형성된 탈착 메커니즘을 통해 밸브 장치(400)가 용이하게 고정 및 분리 가능함에 따라 증류수 보충 시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증류수 보충 과정에서 의도치 않은 밸브 장치의 이탈이 방지됨에 따라, 산으로 구성된 전해액이 외부로 노출되는 등과 같은 위험 상황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For a specific example, as shown in FIG. 2 , a first inlet 301a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battery 301 among one or more batteries 300 , and the first inlet 301a may be Through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400, the first valve device may be fitted. The inle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each battery may have a detachment mechanism for fixing and separating each valve device 400 . The desorption mechanism may include, for example, at least one of a clip desorption method, a magnetic desorption method, a band desorption method, or an adsorption desorption method, and the valve device 400 is easily fixed to the distilled water inlet through this desorption mechanism or can be separate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detachment mechanism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s the valve device 400 can be easily fixed and separated through a desorption mechanism formed in the distilled water inlet, stability when replenishing distilled water can be improved. For example, as the unintentional separation of the valve device is prevented in the process of replenishing distilled water, the occurrence of a hazardous situation such as exposure of the electrolyte composed of acid to the outside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의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로 연결되어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밸브 장치(400)는 이송관(200)을 통해 저장부(100)로부터 증류수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배터리의 수위에 따라 배터리 내부로 증류수의 공급 또는 보충 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 the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valve devices 400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one or more batteries 300 that are connected in series. Each valve device 400 may receive distilled water from the storage unit 100 through the transfer pipe 200 , and may control the degree of supply or replenishment of distilled water into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battery.

구체적으로 각 밸브 장치(400)는 수위 감지 모듈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각 배터리(300)의 수위 감지 결과에 따라 각 배터리로의 증류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증류수 공급에 관련한 제어는, 각 밸브 장치(400) 별로 개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각 배터리에 수위에 따라 개별적으로 증류수의 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다. 각 배터리에 증류수를 공급하는 구체적인 방법, 구조적 특징 및 이에 따른 구체적인 효과에 대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Specifically, each valve device 400 may include a water level detection module, and may control the supply of distilled water to each battery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detection result of each battery 300 . Control related to the supply of distilled water may be individually performed for each valve device 400 . That is, it may be possible to individually supply distilled water to each battery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A detailed method of supplying distilled water to each battery, a structural feature, and a description of a specific effect thereof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3 to 7 .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밸브 장치의 전체 전개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밸브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밸브 장치의 하우징 부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수위 센서 모듈, 구동부재 및 하우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예시도를 도시한다. 3 exemplarily shows a block diagram of a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n overall development view of a valve device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val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shows an exemplary view exemplarily showing a housing portion of a valv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water level sensor module, a driving member, and a housing relat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00), 이송관(200),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400), 조명부(500), 센서부(600) 및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시스템에 포함된 컴포넌트들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내용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컴포넌트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구현 양태에 따라서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이 포함되거나 전술한 컴포넌트들 중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 the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orage unit 100 , a transfer pipe 200 , one or more batteries 300 , one or more valve devices 400 , and a lighting unit 500 . , a sensor unit 600 and a control unit 700 may be included.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system are exemplary,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hat is, additional components may be included or som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omitted depending on implementation aspec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10)은 증류수를 저장(또는, 보관)하기 위한 저장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저장부(100)는 배터리에 보충할 증류수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00)의 일부에는 증류수의 이동시키기 위한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펌프를 통해 저장부(100)에 저장된 증류수는 이송관(200)을 지나 각 배터리로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저장부(100)는 시스템(1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용이하게 세척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저장부(100)는 세척이 용이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10 may include a storage unit 100 for storing (or storing) distilled water. That is, the storage unit 100 may serve to store distilled water to be supplemented in the batter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art of the storage unit 100 may be provided with a pump for moving the distilled water. Distill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through such a pump may be supplied to each battery through the transfer pipe 200 . In an embodiment, the storage unit 100 is provided to be detachable from the system 10 so that it can be easily cleaned. Additionally, the storage unit 100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easy to cle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증류수 충천 시스템(10)은 이송관(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관(200)은 저장부(100)로부터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 각각으로 증류수를 전달할 수 있다. 이송관(200)은 저장부(100)에서 각 배터리로 증류수를 전달하기 위하여, 저장부(100)와 각 배터리 대응하여 구비되는 밸브 장치(400)를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관(200)은 저장부(100)와 밸브 장치(400)의 유입구(441)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관(200)은 보수에 용이하도록 시스템(1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이송관(200)이 노후화되어 누수가 발생될 경우를 대비하여 교체 가능하도록 구비되므로, 시스템(10)의 안정성이 제고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10 may include a transfer pipe 200 . The transfer pipe 200 may deliver distilled water from the storage unit 100 to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ies 300 . The transfer pipe 200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storage unit 100 and the valve device 400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battery in order to transfer distilled water from the storage unit 100 to each battery. The transfer pipe 200 may connect the storage unit 100 and the inlet 441 of the valve device 400 . In one embodiment, the transfer pipe 200 may be separated from the system 10 for easy maintenance. That is, since the transfer pipe 200 is provided to be replaceable in case leakage occurs due to aging, the stability of the system 10 can be impro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증류수 충전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는 전동장치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산업용 배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는, 전동 지게차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직렬로 연결되는 24개의 배터리 각각을 의미할 수 있다. 전술한 배터리의 구체적 수치적 기재는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각 배터리는, 납을 (-)극, 이산화납을 (+)극으로 하고, 비중이 1.25 정도인 황산을 전해액으로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 배터리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전해액의 비중을 맞추기 위해 주기적인 증류수의 보충이 필요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10 may include one or more batteries 300 . The one or more batteries 300 may refer to industrial batteries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 device. For example, the one or more batteries 300 may refer to each of 24 batteries connected in series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ic forklift. The specific numerical description of the battery described above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one embodiment, each battery may be configured by using lead as a (-) pole, lead dioxide as a (+) pole, and sulfuric acid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about 1.25 as an electrolyte. Each of these batteries may require periodic replenishment of distilled water to match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to supply power.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는, 배치된 행 또는 열을 기준으로 하나 이상의 배터리 그룹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한 행을 기준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이 특정 배터리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행(즉, 첫번째 가로열)에 위치한 6개의 배터리가 제1배터리 그룹(310)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배터리 그룹은, 서로 상이한 시점에 대응하여 증류수의 유입을 허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시점에 관련하여 제1배터리 그룹에 포함된 6개의 배터리 각각에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던 증류수가 공급될 수 있으며, 제1시점과 상이한 제2시점에 관련하여 제2배터리 그룹에 포함된 6개의 배터리 각각에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던 증류수가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공급 시점 및 각 배터리 그룹에 관련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In an embodiment, the one or more batteries 300 may be divided into one or more battery groups based on an arranged row or column. For example, one or more batteries arranged based on the same row may form a specific battery group.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six batteries located in the first row (ie, the first horizontal column) may form the first battery group 310 . In one embodiment, each battery group may allow the introduction of distilled water in response to different time points. For example, distill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six batteries included in the first battery group in relation to the first time point, and in relation to the second time point different from the first time point, the second battery The distill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six batteries included in the group. The above-described supply time and specific description related to each battery group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10)은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40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 각각으로 증류수의 유입을 허용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400)에 관련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하도록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10 may include one or more valve devices 400 . One or more valve devices 400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ies 300 , and may allow the inflow of distilled water into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ies 300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40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 to 6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410), 구동부재(420), 수로형성부재(430) 및 하우징(44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밸브 장치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들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추가적인 컴포넌트들이 존재하거나, 전술한 컴포넌트들 중 일부는 생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400, as shown in FIG. 4 , include a cover 410 , a driving member 420 , a channel forming member 430 and a housing 440 . can do. Components constituting the above-described valve device are exemplary, and additional components may be present, or some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omitted.

밸브 장치(400)는 밸브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4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410)는 하부면이 개방된 원통 형성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커버(410)의 개방된 하부면은 하우징(44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커버(410)는 하우징(440)과의 결합에 따라 내측에 구성요소들을 위치시키게 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410)의 일부에는 유입구홈(411)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홈(411)은 하우징(440)에 구비된 유입구(즉, 이송관과 연결된 부분)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즉, 커버(410)의 일부분에 유입구홈(411)이 형성됨에 따라, 유입구(441)에 대한 간섭없이 하우징(440)과 결합이 가능해질 수 있다.The valve device 400 may include a cover 410 for protecting the components of the valve device. The cover 410 may be provided by forming a cylinder with an open lower surface. The open lower surface of the cover 410 may be coupled to the housing 440 . That is, the cover 410 places the components on the inside according to the coupling with the housing 440 , and can protect the internal components from external impact. An inlet groove 411 may be formed in a portion of the cover 410 . The inlet groove 411 may be provided throug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let (ie,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provided in the housing 440 . That is, as the inlet groove 411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cover 410 , it can be coupled to the housing 440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inlet 441 .

일 실시예에서, 밸브 장치(400)는 하나 이상의 색상에 관련한 조명을 점등하는 조명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ssion Diode)를 포함할 수 있어서, LED의 점멸을 통하여 배터리의 상태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조명부(500)는 사용자에게 배터리 상태(예컨대, 배터리 고장 등)에 관련한 정보를 다양한 색상의 점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조명부(500)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커버(410)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밸브 장치가 배터리에 결합되는 경우, 조명부(500)는 밸브 장치(400)의 상면에 노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배터리 상태에 관련한 시각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명부(500)는 비중 센서 모듈의 센싱값에 대응하여 다양한 점등 방식을 통해 사용자에게 시각적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500)의 다양한 점등 방식은 제어부(700)의 제어에 기초한 것일 수 있다. 비중 센서 모듈의 센싱값에 대응하여 조명부(500)를 다양한 점등 방식으로 점등시키는 제어부(7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In one embodiment, the valve device 400 may include a lighting unit 500 to turn on the lighting related to one or more colors. The lighting unit may include, for example, an LED (Light Emission Diode), so that the state of the battery can be visually checked through the blinking of the LED. That is, the lighting unit 500 may be provided to visually easily recognize information related to a battery state (eg, battery failure, etc.) to a user through lighting of various colors. The lighting unit 500 may b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over 410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That is, when the valve device is coupled to the battery, the lighting unit 500 may be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alve device 400 ,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state to the user. In one embodiment, the lighting unit 50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provides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various lighting methods in response to the sensing value of the specific gravity sensor module. Various lighting methods of the lighting unit 500 may be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700 .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rol unit 700 for illuminating the lighting unit 500 in various lighting methods in response to the sensing value of the specific gravity sensor module will be described later.

밸브 장치(40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각각에 관련한 수위를 감지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재(420)는 동력을 수로형성부재(430)로 전달함으로써, 수로형성부재(4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수로형성부재(430)는 구동부재(42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상하운동을 수행하여 하우징(440)에 증류수가 통과할 수 있는 수로를 개폐함으로써, 배터리로 보충되는 증류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구동부재(420)는 수위 감지 모듈이 감지한 수위에 따라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재(420)는 수위에 관련한 신호(주파수 신호)에 기초하여 전자 코일의 전자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수로형성부재(430)에 힘을 인가하는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일 수 있다. 다만, 구동부재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수로형성부재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동력 전달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alve device 400 may include a driving member 420 for generating power by sensing a water level associated with each of one or more batteries. The driving member 42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by transmitting power to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 For example,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controls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to be replenished with the battery by performing vertical motion through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member 420 to open and close a channel through which distilled water can pass through the housing 440 . can do. The driving member 420 may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detected by the water level detection module. 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member 420 may be a solenoid valve that applies a force to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by generating an electromagnetic force of the electromagnetic coil based on a signal (frequency signal) related to the water level. . However, the driving member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further include various power transmission components capable of supplying power to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구동부재(420)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 각각에 관련한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위 감지 모듈은 두 개의 리드선(4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리드선을 통해 배터리의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위 감지 모듈은 리드선의 끝단이 전해액(즉, 증류수가 포함된 전해액)에 닿는지 여부를 통해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 감지 모듈은 미리 정해진 주파수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콘덴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콘덴서에는 일부에 두 개의 리드선(421)이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리드선(421)은 끝단만 노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피복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리드선(421)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440)에 형성된 상부관통홀(440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었다가, 삽입관(442)을 통해 배터리의 내측 일부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관(442)은 배터리 내측 일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돌출된 관의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삽입관(442)은 콘덴서에 연결된 리드선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관통홀(442b)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관통홀(442b)을 통해 리드선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관(442)이 배터리의 내측 일부에 삽입되는 경우, 삽입관(442)의 내측으로 관통되어지는 리드선(421) 또한 배터리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driving member 420 may include a water level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a water level related to each of one or more batteries. The water level detection module may include two lead wires 421 , and may sense the level of the battery through the corresponding lead wires. Specifically, the water level detection module may detect the water level through whether the tip of the lead wire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ie, the electrolyte containing distilled water). The water level detection module may include a capacitor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Two lead wires 421 may be connected to a portion of the capacitor, and in this case, only the end of the lead wire 421 may be exposed and the remaining portion may be covered. As shown in FIGS. 6 and 7 , the lead wire 421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upper through-hole 440a formed in the housing 440 , and then is inserted into the inner part of the battery through the insertion tube 442 . can be Specifically, the insertion tube 442 may be provided through the shape of the tube protruding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part of the battery. The insertion tube 442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442b through which a lead wire connected to a capacitor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and a lead wire may be inserted therein through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442b. Accordingly, when the insertion tube 442 is inserted into the inner part of the battery, the lead wire 421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insertion tube 442 may also be located inside the battery.

배터리의 내측 일부에 삽입된 리드선(421)은, 배터리 내에서 미리 정해진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정해진 높이는 배터리 내에서 적정한 전해액의 높이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리드선(421)에 전해액이 닿는 경우, 배터리 내에서 전해액의 수위가 적정하므로, 증류수의 보충이 불필요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리드선(421)에 전해액이 닿지 않는 경우, 증류수의 보충이 필요함을 의미할 수 있다. 콘덴서는 리드선(421)이 전해액과 접촉됨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수위 감지 모듈로 전달할 수 있으며, 수위 감지 모듈은 해당 전기적 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통해 배터리에 전해액이 적정 수위인지 여부(즉, 증류수의 보충이 필요한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lead wire 421 inserted into the inner part of the battery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height within the battery. 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height may mean an appropriate height of the electrolyte in the battery. In other words, when the electrolyte is in contact with the lead wire 421 , since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in the battery is appropriate, replenishment of distilled water may not be necessary. Conversely, when the electrolyte does not contact the lead wire 421 , it may mean that distilled water needs to be replenished. The capacitor may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as the lead wire 421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to the level detection module, and the level detection module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olyte is at an appropriate level in the battery through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the electrical signal (ie, distilled water). whether supplementation is required) can be detected.

예를 들어, 리드선(421)의 끝에 전해액이 닿지 않는 경우, 콘덴서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예컨대, 1600Hz)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수위 감지 모듈을 해당 출력을 통해 전해액의 수위가 적정하지 못함에 따라 증류수의 보충이 필요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리드선(421)의 끝에 전해액이 닿는 경우, 해당 전해액의 저항으로 인해, 콘덴서는 0Hz에 가까운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수위 감지 모듈은 해당 출력을 통해 배터리 내 전해액이 적정 수위인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콘덴서의 출력에 관련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For example, if the electrolyte does not touch the end of the lead wire 421, the capacitor may output an electrical signal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eg, 1600Hz), and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is not appropriate through the water level detection module. Depending on this, it can be detected that the replenishment of distilled water is necessary. For another example, if the end of the lead wire 421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lyte,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lyte, the capacitor may output an electrical signal close to 0 Hz, and the water level detection module detects the appropriate level of the electrolyte in the battery through the output. can detect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related to the output of the above-described capacitor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다시 말해, 수위 감지 모듈은 콘덴서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주파수에 기초하여 배터리에 전해액이 적정 수위인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구동부재(420)는 수위 감지 모듈을 통해 감지된 수위에 관련한 주파수에 기초하여 수로형성부재(430)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증류수를 배터리로 보충하기 위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level detection module may detect whether the electrolyte is at an appropriate level in the battery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electrical signal output from the capacitor. The driving member 420 may control an operation for replenishing the distilled water with the battery by transmitting power to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based on a frequency related to the water level sensed through the water level detection module.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재(420)는 수로형성부재(430)와 접촉되어 구비될 수 있다. 밸브 장치(400)는 수직 운동을 통해 수로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수로형성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로형성부재(430)는 수위 센서 모듈의 센싱값에 기초한 수직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유입구(441)와 삽입관(442) 사이에 형성된 수로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 the driving member 420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 The valve device 400 may include a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that determines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water channel through vertical movement. Specifically,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may determine whether to open or close the water channel formed between the inlet 441 and the insertion tube 442 by performing a vertical motion based on the sensing value of the water level sensor module.

구체적으로, 구동부재(4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위 센서 모듈을 통해 배터리 내부에 전해액의 수위를 감지하며, 감지 결과에 따라 수로형성부재(430)에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수로형성부재(430)는 하우징(440)의 상부 방향에 배치되며, 구동부재(420)의 제어 동작에 기반하여 상/하 운동을 통해 수로의 개폐작용을 수행하여 저장부(100)로부터 배터리로 공급되는 증류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수로형성부재(430)는 수로형성공간(431)에 관련하여 하우징(440)에 접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구동부재(42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따라 상/하 운동을 통해 수로를 개방하거나 폐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수로형성공간(431)은 유입구(441)와 삽입관(442) 사이에 형성된 일 공간일 수 있다.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member 420 may sense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in the battery through the water level sensor module, and may apply a force to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is disposed in the upper direction of the housing 440 , and based on the control operation of the driving member 420 , opens and closes the water channel through up/down motion, thereby transferring the water from the storage unit 100 to the battery.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to be supplied. That is,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may be provided by being attached to the housing 440 in relation to the water channel forming space 431 , and opening the water channel through up/down motion according to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member 420 . or it can be closed. In this case, the channel forming space 431 may be a space formed between the inlet 441 and the insertion tube 442 .

예를 들어, 구동부재(420)가 배터리의 전해액이 부족함을 감지하여 수로형성부재(43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수로형성부재(43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되며 이에 따라, 수로형성공간(431) 상에 수로가 개방될 수 있다. 유입구(441)를 통해 유입된 증류수는 개방된 수로를 통과하여 삽입관(442)으로 배출됨에 따라 배터리에 보충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driving member 420 senses that the electrolyte of the battery is insufficient and transmits power to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moves in a downward direction. Accordingly, the water channel forming space A canal can be opened on (431). Distill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41 may be replenished to the battery as it is discharged to the insertion tube 442 through the open water channel.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재(420)와 수로형성부재(430)의 동작에 따라 배터리에 보충되는 증류수 양이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에 대응하여 감지된 전해액의 수위가 낮은 경우, 구동부재(420)가 수로형성부재(430)에 동력을 인가(즉, 가압하여)하여 수로를 개방함으로써, 배터리에 증류수가 보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에 대응하여 감지된 전해액의 수위가 일정수준만큼 채워진 것으로 감지한 경우, 구동부재(420)가 수로형성부재(430)로 동력 전달을 중단하여 수로를 폐쇄함으로써, 배터리에 증류수가 더 이상 보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메커니즘에 의해 증류수의 보충이 자동화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supplemented to the battery may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mber 420 and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 For example, when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detected in response to the battery is low, the driving member 420 applies power to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that is, pressurizes) to open the water channel, so that the battery is replenished with distilled water. can In addition, when it is sensed that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detected in response to the battery is filled to a certain level, the driving member 420 stops the power transmission to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to close the water channel, so that the distilled water in the battery is no longer may not be replenished. Accordingly, the replenishment of distilled water can be automated by the above-described mechanism, thereby improv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장치(400)는 유입구(441) 및 삽입관(442)이 형성된 하우징(44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441)는 이송관(200)과 연결되어 증류수를 공급을 허용할 수 있다. 즉, 유입구(441)와 저장부(100)는 이송관(200)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저장부(100)에 저장된 증류수는 유입구(441)를 지나 배터리로 이동할 수 있다. 유입구(44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유입구의 형성 방향은, 배터리에 증류수가 보충되는 방향과 수직 방향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lve device 400 may include a housing 440 in which an inlet 441 and an insertion tube 442 are formed. The inlet 441 may be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200 to allow supply of distilled water. That is, the inlet 441 and the storage unit 10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transfer pipe 200 , and the distill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may move to the battery through the inlet 441 . As shown in FIG. 5 , the inlet 441 may be formed to protrude outward. For example,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inlet may b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distilled water is replenished to the battery.

삽입관(442)은 배터리 내측 일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돌출된 관의 형상을 통해 구비될 수 있다. 삽입관(442)은, 밸브 장치(400)와 배터리(300)가 결합되는 경우, 배터리의 내측 일부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관(442)은 배터리의 내측에 구비됨에 따라, 구동부재(420)에 연결된 리드선(421)을 배터리의 내측으로 연결하거나, 또는 유입구(441)를 통해 유입되는 증류수를 배터리로 배출시키는 통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관(44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441)의 구비 방향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증류수는 유입구(441)를 통해 유입되며, 구동부재(420)의 동작에 따라 수로형성공간(431)을 지나 삽입관(442)을 통해 배터리로 배출되게 된다.The insertion tube 442 may be provided through a shape of a tube protruding so as to be insertable into a portion of the inner part of the battery. The insertion tube 442 may be inserted into an inner portion of the battery when the valve device 400 and the battery 300 are coupled. As the insertion tube 442 is provided inside the battery, the lead wire 421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420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battery, or a passage for discharging distilled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441 to the battery. can play a role in shaping. The insertion tube 442 may be pro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let 441 is provided, as shown in FIG. 5 . According to an embodiment, distilled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41 , passes through the water channel forming space 43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mber 420 , and is discharged to the battery through the insertion tube 442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관(442)은 구동부재(420)에 연결된 리드선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관통홀(442b)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관(442)은 리드선(421)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관통홀(442b)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관통홀(442b)을 통해 리드선(421)이 삽입관(44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관(442)이 배터리의 내측 일부에 삽입되는 경우, 삽입관(442)의 내측으로 관통되어지는 리드선 또한 배터리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nsertion tube 442 may include a through hole 442b through which a lead wire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420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The insertion tube 442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442b through which the lead wire 421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and the lead wire 421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tube 442 through the corresponding through hole 442b. have. Accordingly, when the insertion tube 442 is inserted into the inner part of the battery, the lead wir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insertion tube 442 may also be located inside the battery.

또한, 삽입관(442)은 유입구(441)를 통해 유입된 증류수를 배출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직경을 통해 구비되는 배출구(442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입구(441)를 통해 유입된 증류수는 구동부재(420)의 동작에 따라 수로형성공간(431)을 거쳐 배출구(442a)를 통해 배터리로 배출되게 된다.Also, the insertion tube 442 may include an outlet 442a provided through a predetermined diameter in order to discharge the distill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41 . That is, the distill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41 is discharged to the battery through the outlet 442a through the water channel forming space 431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member 420 .

실시예에서, 삽입관(442)에 형성된 관통홀(442b)과 배출구(442a)는 서로 분획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442b)과 배출구(442a)는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관통홀(442b)과 배출구(442a) 사이에는 차단막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홀(442b)과 배출구(442a)는 삽입관(442) 내에서 서로 분획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전선과 증류수를 삽입관(442) 내에서 별도로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수위 감지의 정확성 향상을 도모하는 효과를 가진다. 예를 들어, 삽입관(442) 내에서 리드선(421)과 증류수 동일하게 배출되는 경우, 증류수가 리드선(421)에 접촉됨에 따라 수위 센서 모듈의 수위 감지가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관통홀(442b)과 배출구(442a)를 서로 분획하여 삽입관(442)을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관에서 센싱에 관련한 리드선(421)의 연결과 증류수 보충에 관련한 배출구 확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the through-hole 442b and the outlet 442a formed in the insertion tube 442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 the through hole 442b and the outlet 442a may be formed to face each other, and a blocking film may be formed between the through hole 442b and the outlet 442a. Accordingly, the through hole 442b and the outlet 442a may be provided to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in the insertion tube 442 .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ccuracy of water level detection by separately positioning the electric wire and distilled water in the insertion tube 442 . For example, when the lead wire 421 and distilled water are discharged in the same manner as the lead wire 421 in the insertion tube 442 , the water level may not be accurately detected by the water level sensor module as the distilled wat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ead wire 421 . Therefore, by dividing the through hole 442b and the outlet 442a from each other to configure the insertion tube 442, the connection of the lead wire 421 related to sensing in one tube and the outlet related to the replenishment of distilled water can be simultaneously secured. have.

정리하면,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 각각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400)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 밸브 장치(400)는 각 배터리(300)에서 측정된 수위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 각각으로 보충되는 증류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밸브 장치는 제1배터리에 전해액 수위가 비교적 낮은 것을 식별하여 1L의 증류수를 보충할 수 있으며, 제2밸브 장치는, 제2배터리에 전해액 수위가 비교적 적정한 것으로 식별하여 증류수를 보충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각 밸브 장치(400)는 각 배터리(300)에 대응하여 필요한 양의 증류수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각 배터리의 전해액 양을 수위를 통해 지속적으로 확인하며, 확인된 전해액 양에 기반하여 각 배터리에 증류수를 보충하는 작업이 자동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며, 증류수 보충 과정에서 발생되는 안정상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In summary, one or more valve devices 400 may be provid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ies 300 , and each valve device 400 may include one or more batteries 300 based on the water level measured in each battery 300 . ) to control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replenished with each. For example, the first valve device may replenish 1L of distilled water by identifying that the electrolyte level in the first battery is relatively low, and the second valve device identifies that the electrolyte level in the second battery is relatively appropriate to supply distilled water may not be supplemented. That is, each valve device 400 may individually control the required amount of distilled water corresponding to each battery 300 .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electrolyte in each battery is continuously checked through the water level, and the operation of replenishing distilled water in each battery based on the checked amount of electrolyte may be automated. Accordingly, the user's convenience is improved, and the stability problem generated in the distilled water replenishment process can be sol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10)은 센서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600)는 저장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부(600)는 저장부(100)에 저장된 증류수의 배출양 또는 배출시점을 측정하는 계량기에 관련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600)는 저장부(100)에 인접한 이송관(200)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600)를 통해 감지되는 증류수의 배출양 및 배출시점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의 상태 여부를 파악하는데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10 may include a sensor unit 600 . The sensor unit 600 may detect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100 . For example, the sensor unit 600 may be related to a meter for measuring the discharge amount or discharge time of the distill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 The sensor unit 60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nsfer pipe 200 adjacent to the storage unit 100 . The discharge amount and discharge time of the distilled water sensed through the sensor unit 600 may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one or more batteries 300 are in a st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10)은 센서부(600)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배터리에 관련한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10 may include a controller 700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re is a failure related to one or more batteries based on a value sensed by the sensor unit 600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00)는 통상적으로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00)는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또는 관리자)에게 적정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하거나 처리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700 may generally proces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1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700 may provide or process appropriate information or functions to a user (or an administrator) by processing input or output signals, data, information, etc. or by driving application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센서부(600)로부터 수신한 증류수 배출양에 관한 정보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의 상태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700)는 저장부(100)에서 배출된 증류수의 배출양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의 고장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의 수에 기초하여 증류수 보충에 관련한 미리 정해진 임계치가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24개의 배터리에 대응하여 증류수 보충에 관련한 임계치는 10L로 결정될 수 있다. 즉, 10L 이상의 증류수가 일 시점에 대응하여 공급(또는 보충)되는 경우는,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 중 적어도 하나에 이상이 발생한 것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700 may determine whether the state of the one or more batteries 300 based on the information about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ensor unit 600 .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700 may determine whether one or more batteries 300 have failed based on whether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100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As a specific example, based on the number of one or more batteries 300, a predetermined threshold related to the replenishment of distilled water may be set. For example, the threshold related to the replenishment of distilled water corresponding to 24 batteries may be determined to be 10L. That is, when 10L or more of distilled water is supplied (or supplemented) corresponding to a point in time, an abnormality may have occurred in at least one of the one or more batteries 300 .

제어부(700)는 센서부(600)를 통해 특정 시점에 대응하여 배출된 증류수 양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증류수 양이 미리 정해진 임계치인 10L를 초과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일 시점에 대응하는 증류수의 보충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를 벗어나는 경우, 다시 말해, 증류수의 보충이 너무 많이 이루어진 경우에 배터리의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00)는 배터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는 경우, 저장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를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예컨대, 관리자)에 관련한 단말에 고장과 관련한 알림 신호를 전송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0 may obtain information on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in response to a specific time point through the sensor unit 600, and when the obtained amount of distilled water exceeds a predetermined threshold of 10L, one or more batteries 300 ), it can be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at least one of them. That is, when the replenishment amount of distilled water corresponding to a point in time deviates from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at is, when the replenishment of distilled water is made too much, the controller 700 may determine that the battery has failed. In on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battery, the controller 700 controls the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100 or transmits a failure-related notification signal to a terminal related to a user (eg, an administrator). can decide what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배터리 각각으로의 증류수의 유입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 그룹 단위 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배터리 그룹 각각은, 하나 이상의 배터리가 배치된 행 또는 열을 기준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동일한 행을 기준으로 배치된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이 특정 배터리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행(즉, 첫번째 가로열)에 위치한 6개의 배터리가 제1배터리 그룹(310)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배터리 그룹은, 서로 상이한 시점에 대응하여 증류수의 유입을 허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시점에 관련하여 제1배터리 그룹에 포함된 6개의 배터리 각각에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던 증류수가 공급될 수 있으며, 제1시점과 상이한 제2시점에 관련하여 제2배터리 그룹에 포함된 6개의 배터리 각각에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던 증류수가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공급 시점 및 각 배터리 그룹에 관련한 구체적인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an additional embodiment, the introduction of distilled water into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ies may be performed for each one or more battery group units.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y groups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row or column in which the one or more batteries are disposed. For example, one or more batteries arranged based on the same row may form a specific battery group.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 six batteries located in the first row (ie, the first horizontal column) may form the first battery group 310 . In one embodiment, each battery group may allow the introduction of distilled water in response to different time points. For example, distill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six batteries included in the first battery group in relation to the first time point, and in relation to the second time point different from the first time point, the second battery The distill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six batteries included in the group. The above-described supply time and specific description related to each battery group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400) 각각은 각 배터리(300)로 공급되는 증류수의 양을 감지하는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은 밸브 장치(400)에 대응하는 각 수로형성부재(430)의 위치에 기초하여 증류수의 공급량 및 공급시점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each of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400 may include a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supplied to each battery 300 . In this case, the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dentifies the supply amount and supply time of the distilled water based on the position of each channel forming member 430 corresponding to the valve device 400 .

보다 구체적으로, 수로형성부재(430)는 구동부재(420)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상하운동을 수행하여 하우징(440)에 증류수가 통과할 수 있는 수로를 개폐함으로써, 배터리로 보충되는 증류수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배터리에 대응하여 감지된 전해액의 수위가 낮은 경우, 구동부재(420)가 수로형성부재(430)에 동력을 인가(즉, 가압하여)하여 수로를 개방함으로써, 배터리에 증류수가 보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로형성부재(430)는 구동부재(420)를 통해 가압됨에 따라 제1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위치는, 수로형성공간(431) 상에 수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수로형성부재(430)의 위치와 관련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에 대응하여 감지된 전해액의 수위가 일정수준만큼 채워진 것으로 감지한 경우, 구동부재(420)가 수로형성부재(430)로 동력 전달을 중단하여 수로를 폐쇄함으로써, 배터리에 증류수가 더 이상 보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수로형성부재(430)는 가압이 풀림에 따라 제2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위치는, 수로형성공간(431) 상에 수로가 폐쇄되도록 하는 수로형성부재(430)의 위치와 관련한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수로형성부재(430)가 제1위치인 경우에는, 수로가 개방됨에 따라 증류수가 배터리로 보충될 수 있으며, 수로형성부재(430)가 제2위치인 경우에는, 수로가 폐쇄됨에 따라 증류수가 배터리로 보충(또는 공급)되지 않게 된다.More specifically,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performs up and down movement through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driving member 420 to open and close a channel through which the distilled water can pass in the housing 440 , thereby replenishing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with the battery. can be controlled. For example, when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detected in response to the battery is low, the driving member 420 applies power to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that is, pressurizes) to open the water channel, so that the battery is replenished with distilled water. can In this case,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may be positioned at the first position as it is pressed through the driving member 420 . Here, the first position may be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that allows the water channel to be opened on the water channel forming space 431 . In addition, when it is sensed that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detected in response to the battery is filled to a certain level, the driving member 420 stops the power transmission to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to close the water channel, so that the distilled water in the battery is no longer may not be replenished. In this case,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may be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as the pressure is released. Here, the second position may be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to close the water channel on the water channel forming space 431 . In other words, when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is at the first position, distilled water may be replenished with the battery as the water channel is opened, and when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is at the second position, the water channel is closed. Distilled water will not be replenished (or supplied) to the battery.

즉, 각 밸브 장치(400)에 구비된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은, 배터리에 증류수가 공급되도록 하는 수로형성부재(430)의 제1위치에 기초하여 증류수의 공급량 및 공급시점을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은 수로형성부재(430)가 제1위치로 이동한 시점을 공급시작 시점으로 식별하고,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수로형성부재(430)가 이동한 시점을 공급종료 시점으로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은 공급시작 시점과 공급종료 시점에 기반하여 공급량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공급시작 시점과 공급종료 시점 간의 차이가 10초인 경우,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은 10초 동안 배터리에 50mL의 증류수가 공급되었다고 식별할 수 있다. 전술한 공급량 감시 센서 모듈에 관련한 구체적인 수치적 기재는 일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at is, the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 provided in each valve device 400 may identify the supply amount and supply time of the distilled water based on the first position of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for supplying the distilled water to the battery. For example, the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 identifies the time when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moves to the first position as the supply start time, and ends the supply when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ime can be identified. Also, for example, the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 may identify the supply amount based on the supply start time and the supply end time. As a specific exampl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pply start time and the supply end time is 10 seconds, the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 may identify that 50 mL of distilled water has been supplied to the battery for 10 seconds. The specific numerical description related to the above-described supply amount monitoring sensor module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실시예에서, 제어부(700)는 저장부(100)와 각 배터리 간의 거리 또는 위치에 기초하여 각 배터리에 증류수가 공급되는 표준 시간을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표준 시간이란, 각 배터리에 증류수가 공급되는 시점에 관련한 정상 범위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저장부(100)에서 토출된 증류수가 표준 시간 내에 각 배터리에 공급되는 경우는 정상 동작에 관련한 것이며, 표준 시간 이후에 공급되는 경우, 비정상 동작(예컨대, 고장)에 관련한 것일 수 있다.Also, in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700 may differently determine a standard time for which distilled water is supplied to each battery based on a distance or location between the storage unit 100 and each battery. The standard time may mean a normal range with respect to the time point at which distilled water is supplied to each battery. That is, when the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100 is supplied to each battery within a standard time, it relates to a normal operation, and when it is supplied after a standard time, it may be related to an abnormal operation (eg, malfunction).

예컨대, 저장부(100)와 각 배터리 간의 거리 각각이 상이함에 따라, 증류수가 각 배터리로 전달되는 시간에 대한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공급되는 증류수가 배관과의 유체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100)와 제1배터리 간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운 경우, 저장부(100)에서 토출된 증류수가 다른 배터리들에 비해 비교적 빨리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00)와 비교적 먼 거리에 있는 제2배터리의 경우, 해당 제1배터리에 우선적으로 증류수가 공급됨에 따라 해당 제2배터리로의 증류수 전달이 비교적 느릴 수 있다.For example, as the distances between the storage unit 100 and each battery are different, there may be a deviation in the time that distilled water is delivered to each battery. This is a phenomenon that occurs due to the friction of the supplied distilled water with the pipe. For examp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torage unit 100 and the first battery is relatively close,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100 may be supplied relatively quickly compared to other batteries. In this case, in the case of the second battery that is relatively far from the storage unit 100 , as distilled water is preferentially supplied to the first battery, the delivery of distilled water to the second battery may be relatively slow.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저장부(100)와 각 배터리 간의 거리 또는 위치에 기초하여 각 배터리에 증류수가 공급되는 표준 시간을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예시에서, 제어부(700)는 저장부(100)에서 토출된 증류수가 우선적으로 공급되는 제1배터리에 대하여, 표준시간을 2.5 내지 3초로 설정할 수 있으며, 제2배터리에 대하여 표준시간을 2.8 내지 3.3초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저장부(100)에서 멀리 떨어진 배터리일수록 이송관 내 마찰에 의해 증류수의 공급량이 줄어드는 것을 고려함으로써, 각 배터리에 대응하여 표준 시간을 상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700 may differently determine the standard time for which distilled water is supplied to each battery based on the distance or location between the storage unit 100 and each battery. Specifically, in the above example, the control unit 700 may set the standard time to 2.5 to 3 seconds for the first battery to which the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100 is preferentially supplied, and the standard time for the second battery The time can be set between 2.8 and 3.3 seconds. That is, the controller 700 may determine the standard time differently for each battery by considering that the supply amount of distilled water decreases due to friction in the transfer pipe as the battery is further away from the storage unit 100 .

한편, 저장부(100)에서 멀리 위치한 배터리일수록 배터리 내에 구비된 밸브가 소정시간 먼저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배관과 유체 사이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유체공급량 차이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arther the battery is located from the storage unit 100, the more control is possible so that the valve provided in the battery is opened first for a predetermined tim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correct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fluid supplied due to friction between the pipe and the fluid.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00)는 각 배터리 그룹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량 센서 모듈 각각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배터리에 관련한 고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ontrol unit 700 may determine whether or not a failure related to one or more batteries is based on a sensing value of each of one or more supply amount sensor modules corresponding to each battery group.

구체적으로, 각 배터리 그룹은, 서로 상이한 시점에 대응하여 증류수의 유입을 허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시점에 관련하여 제1배터리 그룹에 포함된 6개의 배터리 각각에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던 증류수가 공급될 수 있으며, 제1시점과 상이한 제2시점에 관련하여 제2배터리 그룹에 포함된 6개의 배터리 각각에 저장부(100)에 저장되어 있던 증류수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제1시점에 저장부(100)에서 배출되는 증류수는 제1배터리 그룹에 해당하는 배터리 각각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제2시점에 저장부(100)에서 배출되는 증류수는 제2배터리 그룹에 해당하는 배터리 각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시점에 배출된 증류수 양에 적절치 못한 경우(예컨대,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상으로 증류수가 배출되는 경우), 제1시점에 관련한 제1배터리 그룹에 포함된 배터리들이 고장의 원인일 수 있다. Specifically, each battery group may allow the introduction of distilled water in response to different time points. For example, distill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six batteries included in the first battery group in relation to the first time point, and in relation to the second time point different from the first time point, the second battery The distill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100 may be supplied to each of the six batteries included in the group. That is, the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100 at the first time point may be supplied to each battery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ttery group, and the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100 at the second time point is the second battery group. Each corresponding battery may be supplied. For example, if it is not appropriate for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at the first time point (eg, when distilled water is discharged above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the batteries included in the first battery group related to the first time point may be the cause of the failure. have.

제어부(700)는 각 배터리 그룹에 대응하는 각 배터리로 공급 또는 보충된 증류수 양을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배터리의 밸브 장치(400)에 구비된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을 통해 각 배터리에 보충된 증류수의 양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배터리 그룹에 대응하는 6개의 배터리 각각에 대응하는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을 통해 해당 6개의 배터리 각각에 증류수가 보충된 양을 식별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0 may identify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supplied or supplemented to each battery corresponding to each battery group.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supplemented in each battery through the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 provided in the valve device 400 of each battery. For example,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supplemented in each of the six batteries may be identified through the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ix batteri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ttery group.

제어부(700)는 각 배터리로 배출되어지는 증류수에 관한 절대 비교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배터리에 관련한 고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 경우, 절대 비교는 각 배터리로 배출되어지는 증류수의 양 각각과 미리 정해진 기준량 간의 비교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배터리 그룹에는 제1배터리 내지 제6배터리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각 배터리에 대응하는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을 통해 해당 6개의 배터리에 대응하여 보충된 증류수 양이 식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0)는 6개 각각에 배터리에 대응하여 보충된 증류수 양 각각과 미리 정해진 임계 증류수 양을 비교하여 배터리에 관련한 고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배터리에 일 시점에 보충 가능한 미리 정해진 임계 증류수 양이 50ml인 경우, 해당 미리 정해진 임계 증류수 양은 각 배터리에 관련하여 실제 보충된 증류수 양과 비교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제1배터리에 실제로 공급된 증류수 양(즉, 제1배티러에 대응하는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을 통해 감지된 증류수 양)이 60ml로, 미리 정해진 임계 증류수 양인 50ml를 초과하는 것을 식별하여 제1배터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일 시점에 대응하여 각 배터리 별로 보충 가능한 임계치 이상의 증류수가 공급된 경우, 배터리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70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failure related to one or more batteries based on absolute comparison with respect to distilled water discharged to each battery. In this case, the absolute comparison may be characterized as a comparison between each amount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to each battery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For example, the first battery group may include first to sixth batteries, and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replenished corresponding to the six batteries may be identified through a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 corresponding to each battery.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70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battery-related failure by comparing each of the amounts of distilled water supplement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f the six batteries with a predetermined threshold amount of distilled water. For example, if the predetermined critical distilled water amount that can be replenished to one battery at one time is 50 ml, the predetermined critical distilled water amount may be compared with the actual refilled distilled water amount with respect to each battery. As a specific example, the control unit 700 sets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actually supplied to the first battery (ie,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sensed through the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 corresponding to the first battery) to 60 ml, and 50 ml, which is a predetermined critical amount of distilled water. It can be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first battery by identifying the excess. That is, when distilled water equal to or greater than a replenishable threshold value is supplied to each battery corresponding to a point in time, the controller 700 may determine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battery.

또한, 제어부(700)는 각 배터리 그룹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400) 각각으로부터 각 배터리(300)로 배출되는 증류수 양에 관한 상대 비교에 기초하여 각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컨대, 제1배터리 그룹에는 제1배터리 내지 제6배터리가 포함될 수 있다. 각 배터리에 공급되어진 증류수의 양에 기반하여 특정 배터리의 증류수 공급량이 다른 배터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식별되는 경우, 제어부(700)는 해당 제1배터리 그룹에 포함된 배터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30일 동안 제1배터리 내지 제5배터리 각각에 증류수가 3L, 3.1L, 3.12L, 2.98L 및 3L 보충되었으나, 제6배터리에 증류수가 7L보충된 경우, 제어부(700)는 제6배터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전술한 각 배터리에 보충된 증류수에 관련한 구체적인 수치적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may determine whether each battery is faulty based on a relative comparison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each of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400 corresponding to each battery group to each battery 300 . For example, the first battery group may include first to sixth batteries. When it is identified that a relatively large difference has occurred in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supplied to a specific battery compared to other batteries based on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supplied to each battery, the control unit 700 causes a failure in the battery included in the first battery group. can be determined to have occurred. As a specific example, when 3L, 3.1L, 3.12L, 2.98L, and 3L of distilled water were replenished in each of the first to fifth batteries for 30 days, but 7L of distilled water was replenished in the sixth battery, the control unit 700 is It may be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sixth battery. The specific numerical description related to the distilled water supplemented to each battery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즉, 제1배터리 그룹에 포함된 6개의 배터리 중 특정 배터리에 보충되는 증류수의 양이 다른 배터리들에 비해 현저하게 많거나 또는 적은 경우, 제어부는 해당 배터리 그룹 내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supplemented to a specific battery among the six batteries included in the first battery group is significantly greater or less than that of other batteries,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battery group.

또한, 제어부(700)는 각 세트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 각각으로부터 증류수가 배터리로 공급되는 공급시점에 기초하여 각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700)는 각 배터리 그룹에 대응하는 배터리들 각각에 증류수가 보충되는 시점들을 식별할 수 있으며, 식별된 시점들의 편차에 기반하여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1배터리 그룹에 제1배터리 내지 제6배터리 즉, 6개의 배터리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각 배터리에 대응하는 각 공급량 감시 센싱 모듈을 통해 각 배터리에 증류수가 보충된 시점을 식별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0)는 특정 배터리에 증류수 보충 시점이 다른 배터리들의 증류수 보충 시점과 다름을 식별하는 경우, 해당 배터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배터리 내지 제5배터리는 제1시점에 관련하여 증류수가 보충되었으나, 제6배터리가 제1시점과 상이한 제2시점에 증류수가 보충되었음을 식별한 경우, 제어부(700)는 제6배터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0)는 각 배터리에 증류수가 보충되어지는 시점들을 식별하고, 각 시점들 간의 편차가 큰 경우, 다른 배터리들과 시간적인 편차를 가진 배터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700 may determine whether each battery is faulty based on the supply time point at which distilled water is supplied to the battery from each of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corresponding to each set.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700 may identify points at which distilled water is replenished to each of the batteries corresponding to each battery group, 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batteries have failed based on a deviation of the identified time points. As a specific example, the first to sixth batteries, that is, six batteries may be included in the first battery group, and by identifying when distilled water is replenished to each battery through each supply amount monitoring sensing module corresponding to each battery can be recorded In this case, when the controller 700 identifies that the replenishment time of distilled water for a specific battery is different from the replenishment time of distilled water of other batteries, the controller 700 may determine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battery. For example, when it is identified that distilled water was replenished in the first to fifth batteries with respect to the first time point, but distilled water was replenished at a second time point different from the first time point in the sixth battery, the controller 700 controls the second time point. 6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battery is faulty. That is, the controller 700 may identify time points at which distilled water is replenished to each battery, and when the deviation between the time points is large, it may be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batteries having a time deviation from other batteries.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00)는 배터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별하는 경우, 저장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를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예컨대, 관리자)에 관련한 단말에 고장과 관련한 알림 신호를 전송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즉, 배터리에 발생한 이상을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배터리 그룹 단위로 증류수의 공급시점 공급량을 상이하게 하기 때문에, 어떠한 배터리 그룹에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배터리 고장에 관련한 보다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지속적인 배터리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ailure has occurred in the battery, the controller 700 controls the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100 or transmits a failure-related notification signal to a terminal related to a user (eg, an administrator). can decide what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no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user by detecting an abnormality occurring in the battery. In addition, since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the supply amount at the time of supply of distilled water for each battery group, it is possible to obtain information on whether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which battery group. That is,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more specific information related to battery failure, and accordingly, the convenience of continuous battery management may be provid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배터리의 증류수를 보충하는 과정 및 증류수 보충 후,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를 도시한다.8 is a flowchart exemplarily illustrating a process of replenishing distilled water of a battery and a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a battery is faulty after replenishing distilled w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밸브 장치(400)는 각 배터리(300)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각 배터리(300)의 투입구에는 각 밸브 장치(400)를 고정 및 분리시키기 위한 탈착 메커니즘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탈착 메커니즘을 통해 하나 이상의 배터리(300) 각각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400) 각각이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각 밸브 장치(400)는 각 배터리의 전해액 수위에 따라 증류수를 보충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each valve device 400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battery 300 . For example, a detachment mechanism for fixing and separating each valve device 400 may be formed at the inlet of each battery 300 . Each of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400 may be fixedly provide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ies 300 through this detachment mechanism. In this case, each valve device 400 may supplement distilled water according to the electrolyte level of each battery.

구체적으로, 각 밸브 장치(400)의 수위 감지 모듈은 배터리의 전해액에 관련한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수위 감지 모듈에 연결된 리드선(421)은 배터리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해당 리드선(421)에 전해액이 닿는지 여부에 따라 수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리드선(421)에 전해액이 닿지 않는 경우, 콘덴서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예컨대, 1600Hz)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수위 감지 모듈을 해당 출력을 통해 전해액의 수위가 적정하지 못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로의 증류수 보충이 개시될 수 있다. 구동부재(420)는 수로형성부재(430)에 동력을 인가함으로써, 수로형성부재(430)로 하여금 수로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재(420)가 배터리의 전해액이 부족함을 감지하여 수로형성부재(430)에 동력을 전달하는 경우, 수로형성부재(430)가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되며 이에 따라, 수로형성공간(431) 상에 수로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입구(441)를 통해 유입된 증류수는 개방된 수로를 통과하여 삽입관(442)으로 배출됨에 따라 배터리에 보충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water level detection module of each valve device 400 may detect the water level related to the electrolyte of the battery. The lead wire 421 connected to the water level sensing module may be inserted into the battery, and the water level may be detected depending on whether the electrolyte is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lead wire 421 . That is, when the electrolyte does not touch the lead wire 421, the capacitor can output an electrical signal at a predetermined frequency (eg, 1600 Hz), and the water level detection module determines that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is not appropriate through the output. can Accordingly, replenishment of distilled water to the battery may be initiated. The driving member 420 may cause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to open the water channel by applying power to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 For example, when the driving member 420 senses that the electrolyte of the battery is insufficient and transmits power to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moves in a downward direction. Accordingly, the water channel forming space A canal can be opened on (431). Accordingly, the distilled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41 may be replenished to the battery as it is discharged to the insertion tube 442 through the open water channel.

증류수가 지속적으로 보충됨에 따라 배터리의 전해액 수위는 높아질 수 있으며, 일 순간 리드선(421)과 접촉될 수 있다. 리드선(421)의 끝에 전해액이 닿는 경우, 전해액의 저항으로 인해, 콘덴서는 0Hz에 가까운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수위 감지 모듈은 해당 출력을 통해 배터리 내 전해액이 적정 수위인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부재(420)가 수로형성부재(430)로 동력 전달을 중단하여 수로를 폐쇄함으로써, 배터리에 증류수가 더 이상 보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메커니즘에 의해 증류수의 보충이 자동화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As distilled water is continuously replenished, the electrolyte level of the battery may be increased,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lead wire 421 for a moment. When the electrolyte touches the end of the lead wire 421, due to the resistance of the electrolyte, the capacitor may output an electrical signal close to 0 Hz, and the water level detection module detects that the electrolyte in the battery is at an appropriate level through the corresponding output. . Accordingly, the driving member 420 stops the power transmission to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430 to close the water channel, so that the distilled water is no longer replenished in the battery. Replenishment of distilled water may be automated by the above-described mechanism, and thus user's convenience may be improved.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에 증류수의 보충이 완료된 경우, 해당 전해액에 대한 비중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배터리에 대응하는 각 밸브 장치(400)는 각 배터리에 포함된 전해액에 비중을 측정하는 비중 센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전해액 비중은, 배터리에 어느 정도의 전기가 축적되어 있는가에 관련한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00)는 전해액 비중을 측정함으로써 배터리의 성능 저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0)는 각 비중 센서 모듈을 통해 측정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각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when the replenishment of distilled water to the battery is completed, specific gravity measurement for the corresponding electrolyte may be performed. Specifically, each valve device 400 corresponding to each battery may include a specific gravity sensor module for measur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included in each battery.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may be related to how much electricity is accumulated in the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ntroller 700 may determine whether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is deteriorated by measur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Also, the controller 700 may control lighting of each lighting unit based on a sensing value measured through each specific gravity sensor modu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의 완전 방전 시, 배터리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동 지게차 배터리가 방전되는 경우, 황산염이 생성되며, 생성된 황산염은 극판에 고착될 수 있다. 황산염이 극판에 고착되는 경우, 충전을 해도 잘 떨어지지 않게 될 수 있다. 황산염이 생성되면 배터리 전해액의 비중이 낮아지게 된다. 이 경우, 충전을 하면 황산염이 떨어져 전해액의 비중이 상승되어야 하는데, 황산염이 극판에 고착됨에 따라, 비중이 상승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동 지게차 배터리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may be rapidly deteriorated. For example, when an electric forklift battery is discharged, sulfate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sulfate may adhere to the electrode plate. If the sulfate adheres to the electrode plate, it may not come off easily even after charging. When sulfate is formed, the specific gravity of the battery electrolyte is lowered. In this case,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should be increased due to the sulfate falling off during charging, but as the sulfate adheres to the electrode plate, the specific gravity may not increase. Accordingly,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ic forklift battery may rapidly deteriorate.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배터리의 성능은 전해액의 비중과 밀접한 연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700)는 각 비중 센서 모듈을 통해 측정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각 배터리의 성능 저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 시에도 전해액의 비중이 상승되지 않거나 또는 전해액이 비중이 일정치 이상으로 급감한 경우, 제어부(700)는 해당 배터리의 성능이 저하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700)는 각 배터리의 전해액 비중을 통해 판별된 각 배터리 성능 저하에 관련하여 각 배터리에 대응하는 조명부(500)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조명부(500)는 사용자에게 배터리 상태에 관련한 정보를 다양한 색상의 점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인지시키기 위하여 각 배터리(300)에 대응하는 밸브 장치(400)에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performance of the battery may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700 may determine whether the performance of each battery is degraded based on a sensing value measured through each specific gravity sensor module. For example, wh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does not increase even during charging or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drops sharply to a certain value or more, the controller 700 may determine that the performance of the corresponding battery is degraded. Accordingly, the control unit 700 may provide visual information to the user by displaying on the lighting unit 500 corresponding to each battery in relation to the performance degradation of each battery determined through the electrolyte specific gravity of each battery. The lighting unit 5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alve device 400 corresponding to each battery 300 in order to visually easily recognize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state to the user through lighting of various colors.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어부(700)는 전해액의 비중이 1.28이상인 경우, 조명부(500)를 녹색으로 점등시킬 수 있으며, 전해액의 비중이 0.8이상 1.28미만인 경우, 조명부(500)를 청색으로 점등시킬 수 있으며, 전해액의 비중이 0.6이상 0.8미만인 경우, 조명부(500)를 황색으로 점등시키고, 그리고 전해액의 비중이 0.6미만인 경우, 조명부(500)를 적색으로 점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녹색은 해당 배터리의 성능이 우수하다는 시각적 인지효과를 제공하며, 적색은 해당 배터리의 성능 저하가 심각하다는 시각적 인지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전해액 비중에 재한 구체적인 수치적 기재 및 색상에 관련한 기재는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700)는 각 배터리의 전해액 비중에 따라 배터리의 이상 상태를 판별하고, 판별한 정보를 기초하여 다양한 점등 방식을 통해 조명부(500)를 점등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배터리 상태(예컨대, 배터리 성능 저하)에 관련한 정보를 다양한 색상의 점등을 통해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700)는 센서부(600)를 통해 하나 이상의 배터리들 각각으로 공급된 증류수의 양이 적정한 것으로 판별할지라도, 각 배터리들의 비중을 기반으로 각 배터리에 성능 저하 발생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For a specific example, the control unit 700 may light the lighting unit 500 in green wh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is 1.28 or more, and wh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is 0.8 or more and less than 1.28, the lighting unit 500 may be turned on in blue. And, wh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is 0.6 or more and less than 0.8, the lighting unit 500 may be lit in yellow, and if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is less than 0.6, the lighting unit 500 may be lit in red. In this case, the green color may provide a visual perception effect indicating that the performance of the corresponding battery is excellent, and the red color may provide a visual perception effect indicating that the performance of the corresponding battery is severe. Descriptions related to specific numerical descriptions and colors in the above-described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are merely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700 may determine the abnormal state of the battery according to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of each battery, and light the lighting unit 500 through various lighting methods based on the determined information. Accordingly, the user may be easily provided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battery state (eg, battery performance degradation) visually through lighting of various colors. In other words, even if the control unit 700 determines that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supplied to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ies through the sensor unit 600 is appropriat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performance degradation occurs in each battery based on the specific gravity of each battery. can

구체적인 예를 들어, 제어부(700)가 센서부(600)를 통해 제1배터리 그룹에 대응하여 제1시점에 저장부(100)로부터 적정량의 증류수(예컨대, 10L)가 배출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배터리 그룹에 포함된 저장부(100)로부터 배출된 증류수의 양은 적정하지만, 해당 제1배터리 그룹에 포함된 6개의 배터리 각각에 비중에 기반한 조명부의 점등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배터리 그룹에 포함된 6개의 배터리 중 제1배터리 내지 제5배터리에는 녹색 등이 점등되나, 제6배터리에 관련하여 적색 등이 점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700)는 해당 제1배터리그룹에 적정량의 증류수가 공급되었다고 할지라도, 제6배터리에 대하여 성능 저하가 발생되었다고 판별할 수 있다.As a specific example, the control unit 700 may determine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distilled water (eg, 10L) has been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100 at a first time in response to the first battery group through the sensor unit 600 . In this case, although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100 included in the first battery group is appropriate, lighting of the lighting unit based on the specific gravity of each of the six batteries included in the first battery group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a green light may be turned on in the first to fifth batteries among the six batteries included in the first battery group, but a red light may be turned on in relation to the sixth battery. In this case, the controller 700 may determine that performance degradation has occurred with respect to the sixth battery even if an appropriate amount of distilled water is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first battery group.

즉, 제어부(700)는 전반적인 증류수의 공급량 또는 공급시점을 통해 고장 발생(또는 성능 저하 발생) 여부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닌, 각 배터리에 대응하여 측정된 전해액의 비중을 기반으로 각 배터리의 고장 발생(또는 성능 저하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700 does not only consider whether a failure occurs (or performance degradation occurs) through the overall supply amount or supply time of distilled water, but rather occurs in each battery based o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measured in response to each battery ( or performance degradation).

한편, 특정 배터리그룹에 기 설정된 적정량의 증류수가 공급되기 전에 해당 배터리그룹에 연결된 밸브장치의 조명부가 모두 녹색으로 점등되는 경우, 제어부는 저장부에서 배출되는 증류수 공급을 차단하거나 사용자에게 차단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all the lighting parts of the valve device connected to the battery group are turned on in green before a predetermined appropriate amount of distilled water is supplied to a specific battery group, the control unit blocks the supply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or checks whether the user is blocked. signal can be transmitted.

배터리가 모두 녹색을 띄더라도 증류수가 배터리 내에 적정량 이상 공급되지 않은 경우 수위센서에 의해 적정량의 증류수가 공급될 때까지 밸브의 개방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Even if the batteries are all green, if an appropriate amount of distilled water is not supplied into the battery, the open state of the valve may be maintained until an appropriate amount of distilled water is supplied by the water level sensor.

제어부(700)는 센서부(600)로부터 공급된 증류수 총량에 대한 정보와 각 밸브장치로부터 받는 정보(전해질 비중, 수위 등)를 기준으로 각 그룹별 적정량의 증류수 정보를 계속하여 갱신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별도의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를 통해 주변 환경정보 또한 수신할 수 있다. 각 배터리그룹에 공급되는 적정량의 증류수는 계절 및 주변환경에 따라 상이하기 때문에 온도 및 습도센서로부터 획득되는 환경정보에 따라 적정량의 증류수 총량의 기준을 변경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700 may continuously update information on an appropriate amount of distilled water for each group based on information on the total amount of distilled water supplied from the sensor unit 600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valve device (electrolyte specific gravity, water level, etc.). The control unit 700 may also receive surrounding environment information through a separate temperature sensor and humidity sensor. Since the appropriate amount of distilled water supplied to each battery group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season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standard for the total amount of distilled wate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sensors.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know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The specific implementation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For brevity of the specification,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electronic components, control systems, software, and other functional aspects of the system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connection members of the lines between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illustratively represent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in an actual device,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that are replaceable or additional may be referred to as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In addition, unless there is a specific reference such as "essential", "importantly", etc., it may not be a necessary component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시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는 예시적인 접근들의 일례임을 이해하도록 한다. 설계 우선순위들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프로세스들에 있는 단계들의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가 재배열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도록 한다. 첨부된 방법 청구항들은 샘플 순서로 다양한 단계들의 엘리먼트들을 제공하지만 제시된 특정한 순서 또는 계층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the presented processes is an example of exemplary approaches. Based on design prioriti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of steps in the processes may be rearr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ended method claims present elements of the various steps in a sample order, but are not mean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order or hierarchy presented.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herein but should be construed in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10: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 100: 저장부
200: 이송관 300: 하나 이상의 배터리
301: 제1배터리 301a: 투입구
310: 제1배터리 그룹 400: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
410: 커버 411: 유입구 홈
420: 구동부재 421: 리드선
430: 수로형성부재 431: 수로형성공간
440: 하우징 440a: 상부관통홀
441: 유입구 442: 삽입관
442a: 배출구 442b: 관통홀
500: 조명부 600: 센서부
700: 제어부
10: battery distilled water charging system 100: storage unit
200: transfer tube 300: one or more batteries
301: first battery 301a: inlet
310: first battery group 400: one or more valve devices
410: cover 411: inlet groove
420: driving member 421: lead wire
430: channel forming member 431: channel forming space
440: housing 440a: upper through hole
441: inlet 442: insertion tube
442a: outlet 442b: through hole
500: lighting unit 600: sensor unit
700: control unit

Claims (10)

복수의 배터리에 각각 연결되어 증류수를 유입시키는 밸브 장치;
상기 증류수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증류수를 상기 밸브 장치 각각으로 전달하는 이송관;
상기 저장부로부터 배출되는 증류수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배터리 내의 전해액 수위를 센싱하는 수위 센서 모듈;
상기 복수의 배터리 각각에 공급되는 증류수의 양 및 공급시간을 감지하는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 및
상기 센서부, 상기 수위 센서 모듈 및 상기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그룹 또는 상기 배터리의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배터리 각각으로의 증류수 공급은, 복수의 배터리 그룹 단위로 상이한 시점을 통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은, 상기 밸브 장치 내에 구비된 수로형성부재의 개방 시점 및 폐쇄 시점을 측정하여 각 배터리로 공급되는 증류수 공급량을 측정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센서 모듈로부터 센싱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로형성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며,
증류수 공급 중 상기 센서부로부터 기 설정된 증류수량 이상이 상기 저장부로부터 배출된 것으로 감지될 경우, 증류수를 공급 중인 배터리 그룹에 포함된 배터리들 중 적어도 일부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공급량 감지 센서 모듈로부터 측정된 증류수 공급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량을 초과하는 경우, 대응하는 배터리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
a valve device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ies to introduce distilled wat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distilled water;
a transfer pipe for transferring the distilled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each of the valve devices;
a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a water level sensor module for sensing the level of the electrolyte in the battery;
a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 for detecting the amount and supply time of distilled water suppli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ies;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battery group or the battery is faulty based on information obtained from at least one of the sensor unit, the water level sensor module, and the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
including,
The supply of distilled water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i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at different times in units of a plurality of battery groups,
The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 measures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supplied to each battery by measuring the opening and closing times of the water passage forming member provided in the valve device,
The control unit is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ater channel forming member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from the water level sensor module,
When it is detected that more than a preset amount of distilled water has been discharged from the storage unit during the supply of distilled water,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at least some of the batteries included in the battery group to which distilled water is being supplied,
When the supply amount of distilled water measured from the supply amount detection sensor module exceeds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corresponding battery,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 각각은,
상기 이송관과 연결되는 유입구;
상기 각 배터리 내측 일부에 삽입 가능하도록 돌출된 관의 형상을 통해 구비되는 삽입관;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각각에 관련한 수위를 감지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의 동력에 기초하여 수직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유입구와 상기 삽입관 사이에 형성된 수로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는 수로형성부재;
를 포함하는,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comprises:
an inlet connected to the transfer pipe;
an insertion tube provided through a shape of a tube protruding so as to be inserted into a portion of the inner part of each battery;
a driving member for generating power by sensing a water level associated with each of the one or more batteries; and
a channel forming member for determining whether to open or close a channel formed between the inlet and the insertion tube by performing a vertical motion based on the power of the driving member;
containing,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은,
상기 구동부재에 연결된 리드선이 외부로부터 삽입되는 관통홀; 및
상기 증류수를 배출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직경을 통해 구비되는 배출구;
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과 상기 배출구는 서로 분획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insertion tube i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lead wire connected to the driving member is inserted from the outside; and
an outlet provided through a predetermined diameter to discharge the distilled water;
include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rough hole and the outlet are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ther,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 각각은,
하나 이상의 색상에 관련한 조명을 점등하는 조명부; 및
상기 각 배터리에 포함된 전해액의 비중을 측정하는 비중 센서 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시스템은,
상기 비중 센서 모듈 각각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부의 점등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Each of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comprises:
a lighting unit for illuminating lights related to one or more colors; and
a specific gravity sensor module for measuring the specific gravity of the electrolyte contained in each battery;
includes,
The system i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lighting of the lighting unit based on each sensing value of the specific gravity sensor module;
further comprising,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그룹 각각은,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가 배치된 행 또는 열을 기준으로 결정되는,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Each of the plurality of battery groups,
is determined based on the row or column in which the one or more batteries are disposed,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배터리로 배출되어지는 증류수의 양에 관한 절대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절대 비교는,
상기 각 배터리로 배출되어지는 증류수의 양 각각과 미리 정해진 기준량 간의 비교인,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ailure is based on the absolute comparison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to each battery,
The absolute comparison is
A comparison between each amount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to each battery and a predetermined reference amount,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배터리 그룹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 각각으로부터 각 배터리로 배출되는 증류수 양에 관한 상대 비교에 기초하여 상기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ilure is determined based on a relative comparison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distilled water discharged from each of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corresponding to each battery group to each battery,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배터리 그룹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밸브 장치 각각으로부터 상기 증류수가 각 배터리로 공급되는 공급시점에 기초하여 상기 고장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증류수 충전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failure is based on a supply point in time when the distilled water is supplied to each battery from each of the one or more valve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battery groups,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KR1020210106599A 2021-08-12 2021-08-12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KR1023583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599A KR102358384B1 (en) 2021-08-12 2021-08-12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6599A KR102358384B1 (en) 2021-08-12 2021-08-12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384B1 true KR102358384B1 (en) 2022-02-08
KR102358384B9 KR102358384B9 (en) 2022-04-15

Family

ID=8025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6599A KR102358384B1 (en) 2021-08-12 2021-08-12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38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19983A (en) * 2023-11-07 2023-12-12 远山建安技术有限公司 Wind-solar complementary power generation integrated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346B1 (en) * 2015-10-21 2017-09-06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A battery with indicator
KR20200140622A (en) * 2019-06-07 2020-12-16 김태우 Apparatus for filling liquid into battery
JP2021111477A (en) * 2020-01-08 2021-08-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Battery automatic water replenishment device for industrial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5346B1 (en) * 2015-10-21 2017-09-06 주식회사 아트라스비엑스 A battery with indicator
KR20200140622A (en) * 2019-06-07 2020-12-16 김태우 Apparatus for filling liquid into battery
JP2021111477A (en) * 2020-01-08 2021-08-0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Battery automatic water replenishment device for industrial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19983A (en) * 2023-11-07 2023-12-12 远山建安技术有限公司 Wind-solar complementary power generation integrated device
CN117219983B (en) * 2023-11-07 2024-01-26 远山建安技术有限公司 Wind-solar complementary power generation integrate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384B9 (en) 202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9310B1 (en) Battery electrolyte level control system
KR102358384B1 (en) Battery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CN105449790B (en) A kind of intelligent battery group and control method
JP6514309B2 (en) Secondary battery transfer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mounting failure of secondary battery
EP3440733B1 (en) Liquid level sensor for battery monitoring systems
WO2014021659A1 (en) Distilled water filling system for industrial battery
KR101775346B1 (en) A battery with indicator
JP3775653B2 (en) Battery water replenisher
CN104241721B (en) The lithium-ions battery list pond with capacitance sensor and the method monitoring its state
CN107069846B (en) Correct the method and battery system of the voltage and current of battery
KR20200140622A (en) Apparatus for filling liquid into battery
KR101426859B1 (en) Battery cap
KR102165598B1 (en) Battery
CN108494055A (en) Control method, lithium battery protection board and the storage medium of lithium battery protection board
CN115224458B (en) Acid injection device for lead storage battery
KR100695501B1 (en) A mobile robot using fuel cell and a method to supply fuel
CN210723216U (en) Liquid adding device for storage battery
CN216772583U (en) Power battery management system electric quantity grading alarm device
CN216698672U (en) Battery monitoring device
EP3540904B1 (en) Electric charge accumulator
KR20220062847A (en) Automatic Safety Replenishment System for Distilled Water for Electric Forklift Batteries
ITMI20020333U1 (en) ELECTRONIC DEVICE TO CONTROL THE ELECTROLYTE LEVEL IN ACCUMULATORS
JP2001278590A (en) Forklift
KR19980043358U (en) Battery electrolyte specific gravity automatic adjustment device
JPS60241678A (en) Enclosed lead storage batt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