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178B1 - Electric charging system and method linking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 Google Patents
Electric charging system and method linking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8178B1 KR102358178B1 KR1020200125778A KR20200125778A KR102358178B1 KR 102358178 B1 KR102358178 B1 KR 102358178B1 KR 1020200125778 A KR1020200125778 A KR 1020200125778A KR 20200125778 A KR20200125778 A KR 20200125778A KR 102358178 B1 KR102358178 B1 KR 1023581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oltage
- ess
- charging
- power generation
- valu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2417 linear regress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H02J3/381—Dispersed gener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2—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 H02J2300/24—The renewable source being solar energy of photovoltaic origin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00/00—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decentralized, dispersed, or local generation
- H02J2300/20—The dispersed energy generation being of renewable origin
- H02J2300/28—The renewable source being wind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6—Power conversion electric or electronic aspec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12—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 Y04S10/123—Monitoring or controlling equipment for energy generation units, e.g. distributed energy generation [DER] or load-side generation the energy generation units being or involving renewable energy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EV(Electric Vehicle)의 충전량과 부하량 및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에 따라 변동되는 계통의 전력을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전압 제어를 통해 안정화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은 EVC(Electric Vehicle Charging)의 충전량과 부하량 및 신재생에너지전원의 발전량에 따라 변동되는 계통의 전압값과 전류값을 측정하는 전압전류 측정부와, 측정된 상기 계통의 전압값과 전류값을 이용하여 계통의 선로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산출된 선로임피던스를 토대로 전압전류 측정부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계통의 전압을 이용하여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보상 전압을 산출하는 연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압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된 계통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계통의 전압이 전압 기준 범위(상한 전압과 하한 전압 사이)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계통의 전압이 상기 전압 기준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해 상기 ESS를 제어하여 계통에 보상 전압을 제공하는 충방전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wind power generation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linkage electric charging system that stabilizes the electric power of the system,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charging amount and load of an EV (Electric Vehicle) and the amount of gener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through the voltage control of the ESS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s. Wind power generation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related electric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easure the voltage value and current value of the system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rge and load of EVC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Using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 unit and the measured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system to calculate the line impedance of the system, based on the calculated line impedance, the system voltage measured in real time by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 unit is used. and an arithmetic unit for calculating a compensation voltage of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for stabilizing the voltage. In addition, a determination unit that monitors the voltage of the system measured by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 unit in r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voltage of the system is within a voltage reference range (between the upper limit voltage and the lower limit voltage), and the system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and a charge/discharg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SS to provide a compensation voltage to the system in order to stabilize the voltage of the system when the voltage is not within the voltage reference range.
Description
본 발명은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EV(Electric Vehicle)의 충전량과 부하량 및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에 따라 변동되는 계통의 전력을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전압 제어를 통해 안정화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d power generation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linked electric charging system and method, wherein the electric power of the system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charging amount and load of an EV (Electric Vehicle) and the amount of gener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s converted into an ESS (Energy Storage System) It relates to a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linked electric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zing through voltage control.
일반적으로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 Energy Storage System)는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와 같은 저장 장치에 저장하였다가 전력이 필요할 때 공급하여 전력 사용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In general, an ESS (Energy Storage System) is a device that improves the efficiency of power use by storing generated electricity in a storage device such as a battery and supplying power when needed.
이와 같은 ESS는 풍력발전 또는 태양광발전 등과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통해 발전된 전기를 저장하거나, 발전소로부터 송전받은 전기를 전력소모량이 적은 야간에 배터리에 저장해 두었다가 전력소모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주간에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Such ESS stores electricity generated through new and renewable energy such as wind power generation or solar power generation, or stores electricity transmitted from a power plant in a battery at night when power consumption is low, and can be used during the daytime when power consumption is relatively high. provide so that
이때, ESS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충전상태 또는 충전비율인 SOC(State of Charge)를 반영하여 ESS를 제어해야 한다. 배터리의 정격용량을 고려할 때 배터리는 SOC가 0%인 완전방전 또는 SOC가 100%인 완전충전이 되도록 운영을 할 경우 배터리의 수명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배터리가 과충전되는 경우 화재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SOC가 0~100% 범위로 운전하지 않고 특정범위에서 운용한다.At this time, in order to efficiently operate the ESS, it is necessary to control the ESS by reflecting the state of charge (SOC), which is the state of charge or the charge ratio of the battery. Considering the rated capacity of the battery, if the battery is operated to be fully discharged with an SOC of 0% or fully charged with an SOC of 100%, the battery life will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re is a risk of fire when the battery is overcharged, the SOC is not operated in the 0-100% range, but operates in a specific range.
한편, 계통의 저압배전선로에 신재생에너지전원을 포함하여 운용되는 경우 EV(Electric Vehicle)의 충전량과 신재생에너지전원의 발전량에 따라 계통의 전압은 강하하거나 상승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voltage distribution line of the system is operated including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the voltage of the system drops or ris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charge of the EV (Electric Vehicle) and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예를 들어, 신재생에너지가 발전을 하게 되면 역전류에 의하여 계통의 전압은 상승하게 되고, EV(Electric Vehicle)의 충전량과 부하 사용량이 많아지게 되면 계통의 전압은 강하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new and renewable energy is generated, the system voltage rises due to the reverse current, and when the amount of charge and load usage of an EV (Electric Vehicle) increases, the system voltage decreases.
따라서, 계통의 전압을 안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EV(Electric Vehicle)의 충전량과 부하량 및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에 따라 변동되는 계통의 전력을 안정화할 필요가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tably use the voltage of the system, it is necessary to stabilize the electric power of the system, which var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rge and load of an electric vehicle (EV), and the amount of gener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EV(Electric Vehicle)의 충전량과 부하량 및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에 따라 변동되는 계통의 전력을 안정화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ESS(Energy Storage System)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abilize the electric power of the system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rge and load of an EV (Electric Vehicle) and the amount of generation of new and renewable energy. 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efficiently operate the ESS (Energy Storage System).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은 전압전류 측정부, 연산부, 판단부, 충방전 제어부 및 저장부를 포함한다. 상기 전압전류 측정부는 EVC(Electric Vehicle Charging)의 충전량과 부하량 및 신재생에너지전원의 발전량에 따라 변동되는 계통의 전압값과 전류값을 측정한다.A wind power generation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related electric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technical task includes a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 unit, a calculation unit, a determination unit, a charge/discharge control unit, and a storage unit.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 unit measures the voltage value and current value of the system, which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rge and load of EVC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또한, 상기 연산부는 측정된 상기 계통의 전압값과 전류값을 이용하여 계통의 선로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산출된 선로임피던스를 토대로 전압전류 측정부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계통의 전압을 이용하여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보상 전압을 산출한다.In addition, the calculating unit calculates the line impedance of the system using the measured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system, and uses the system voltage measured in real time by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 unit based on the calculated line impedance to the system voltage. Calculate the compensation voltage of the ESS (Energy Storage System) to stabilize the
또한, 상기 판단부는 전압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된 계통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계통의 전압이 전압 기준 범위(상한 전압과 하한 전압 사이)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충방전 제어부는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계통의 전압이 상기 전압 기준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해 상기 ESS를 제어하여 계통에 보상 전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unit monitors the voltage of the system measured by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 unit in r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voltage of the system is within a voltage reference range (between the upper limit voltage and the lower limit voltage). When the voltage of the system is not within the voltage reference rang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the charge/discharge control unit controls the ESS to stabilize the voltage of the system and provides a compensation voltage to the syste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방법은 전압전류 측정부가 EVC(전기 자동차 충전기, Electric Vehicle Charging)의 충전량과 부하량 및 신재생에너지전원의 발전량에 따라 변동되는 계통의 전압 및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S10)와, 연산부가 측정된 계통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토대로 계통의 각 구간에서의 최대허용전류와 해당구간까지의 선로임피던스를 추출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linked electric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 uni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rge and load of EVC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Step of measuring the voltage and current of the system in real time (S10), and extracting the maximum allowable current in each section of the system and the line impedance up to the corresponding section based on the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system measured by the operation unit ( S20).
또한, 상기 연산부가 ESS 또는 EVC 설치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평균 유지전압과 계통의 수용용량을 기반으로 ESS의 전압변동폭을 추출하는 단계(S30)와, 상기 연산부가 전압 변동폭을 이용하여 계통 전압의 유지범위인 상한 전압과 하한 전압을 추출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operation unit extracts the voltage fluctuation range of the ESS based on the average maintenance voltage and the system accommodating capacity stably maintaining the ESS or EVC installation stage (S30), and the operation unit uses the voltage fluctuation width of the grid voltage and extracting the upper limit voltage and the lower limit voltage that are the holding ranges (S40).
또한, 판단부가 상기 전압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된 계통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계통의 전압이 상기 상한 전압과 하한 전압 사이의 전압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계통의 전압이 상기 전압 기준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연산부가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ESS의 보상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S60) 및 충방전 제어부가 ESS를 제어하여 연산부에서 산출된 보상 전압을 계통에 보상하는 단계(S7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tep (S50) of determining whether the system voltage is within a voltage reference range between the upper limit voltage and the lower limit voltage by a determination unit monitoring the system voltage measured by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ing unit in real time (S50); Step (S60) of calculating the compensation voltage of the ESS for stabilizing the voltage of the system by the operation unit when it is not within the voltage reference range (S60) and the charge/discharge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ESS to compensate the compensation voltage calculated by the operation unit to the system (S60) S70).
삭제delet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 및 방법은 EV(Electric Vehicle)의 충전량과 부하량 및 신재생에너지의 발전량에 따라 변동되는 계통의 전력을 ESS(Energy Storage System)의 전압 제어를 통해 안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SOC(State of Charge)를 기반으로 ESS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ESS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nd power generation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linked electric charging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the electric power of the system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electric vehicle (EV) charge amount and load amount and the generation amou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to ESS (Energy). It has the effect of stabilizing it through the voltage control of the storage system.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ESS can be operated efficiently by controlling the voltage of the ESS based on the SOC (State of Char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계통의 전압 및 전류 변화에 따른 선로임피던스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ESS 제어에 따른 계통의 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ESS 제어에 따른 계통의 부하전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ESS의 충전 및 방전에 따른 계통의 전압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전압 보상범위 여유도를 적용하여 ESS를 충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계통의 전압 상태에 따른 ESS의 충전 및 방전 운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ESS의 운용을 위한 SOC(State of Charg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계통의 각 구간별 전압 상태에 따른 ESS의 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ESS의 SOC가 적정 유지범위(SOR)을 벗어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SS의 운용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linked electric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linked electric charg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line impedance according to changes in voltage and current of a system.
4 is a view showing the voltage state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ESS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the load current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ESS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voltage of the system according to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ESS.
7 is a diagram illustrating charging of the ESS by applying the voltage compensation range margin.
8 is a view showing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 state of the ESS according to the voltage state of the system.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Charge (SOC) for operation of an ESS.
10A and 10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ESS according to the voltage state for each section of the system.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SOC of the ESS is out of an appropriate maintenance range (SOR).
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linked electric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an 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implement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또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it means that other elem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is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can b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describing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10)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1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ind power generation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linkage
일반적으로 계통(20)의 전압은 변동값을 가지는 전류 크기와 고정값을 가지는 선로저항에 의하여 변동하게 되는데 전류가 많이 흐르는 경우에는 전압이 강하되고, 전류의 흐름이 적거나 신재생에너지전원(30)에 의하여 계통(20) 측으로 역전류가 흐르게 되면 전압이 상승하게 된다.In general, the voltage of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10) 및 방법은 ESS(40)의 제어를 통해 EVC(전기 자동차 충전기, Electric Vehicle Charging)(50)의 충전량과 부하량 및 신재생에너지(30)의 발전량에 따라 변동되는 계통(20)의 전압을 일정범위 이내로 유지시켜 전력을 안정화한다.Therefore, the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linked
즉,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10) 및 방법은 계통(20)의 전압이 일정치 미만이거나 이상이 되는 경우에 저압배전 계통(20)의 전력을 안정화하기 위하여 ESS(40)가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을 수행한다.That is, the wind power generation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linked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10)은 ESS(40)를 계통(20)에 설치하여 ESS(40)의 제어를 통해 계통(20)의 전압을 안정화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 in the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linked
이때, 계통(20)에는 도 1과 같이 신재생에너지전원(30) 또는 EVC(전기 자동차 충전기, Electric Vehicle Charging)(50)가 연계되어 운용될 수 있다. 또한, 신재생에너지전원(30)에는 풍력발전(31)과 태양광발전(32)이 포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10)은 EVC(전기 자동차 충전기, Electric Vehicle Charging)(50)의 충전량과 부하량 또는 신재생에너지(30)의 발전량에 의해 계통(20)의 전압이 변동되는 경우 계통(20)의 한계용량을 벗어난 전압 크기만큼 ESS(40)를 통해 전압을 충전 또는 방전하여 계통(20)의 전압을 일정범위 이내로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linked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10)은 전압전류 측정부(110), 연산부(120), 판단부(130), 충방전 제어부(140) 및 저장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linked
전압전류 측정부(110)는 계통(20)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측정한다. 즉, 전압전류 측정부(110)는 EVC(전기 자동차 충전기, Electric Vehicle Charging)(50)의 충전량과 부하량 및 신재생에너지전원(30)의 발전량에 따라 변동되는 계통(20)의 전압값과 전류값을 측정한다.The voltage and
또한, 연산부(120)는 계통(20)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해 ESS(40)의 충방전 전압을 결정하기 위한 선로임피던스를 산출한다. 또한, 연산부(120)는 계통(20)의 주상변압기(21)로부터 ESS(40)가 설치되는 말단 구간까지에 대하여 중부하시의 전압특성과 신재생에너지전원(30)의 최대 발전량에 따른 전압특성을 분석한 후 계통(20)의 최대허용전류를 추출한다.In addition, the calculating
도 3은 계통(20)의 전압 및 전류 변화에 따른 선로임피던스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3 is a diagram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line impedance according to voltage and current changes of the
일반적으로 계통(20)의 전압은 변동값을 가지는 전류크기와 고정값을 가지는 선로저항에 의하여 변화하게 된다. 이때, 전압은 부하의 전류가 많이 흐를 경우에는 강하되고, 전류의 흐름이 적거나 신재생에너지전원(30)에 의하여 계통(20)으로 역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상승하게 된다.In general, the voltage of the
따라서, 계통(20)의 전압을 일정범위 이내로 유지시킬 수 있는 전압안정화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정값을 가지는 선로임피던스를 산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10)은 기설된 선로상에서 전압(U)과 통과 전류(Ici)에 의하여 선로임피던스(Zn)를 결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Therefore, in order to implement voltage stabilization capable of maintaining the voltage of th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산부(120)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계통(20)의 주상변압기(21)와 ESS(40) 또는 EVC(50) 설치점의 선로임피던스(Zn)를 산출할 수 있다.That is, the calculating
[수학식 1][Equation 1]
여기에서, Zn은 계통(20)의 주상변압기(21)부터 ESS(40) 설치 위치까지의 저압 계통(20) 선로임피던스이고, lR은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method)을 나타낸다. 또한, 는 계통(20)의 주상변압기(21) 2차측 전압이고, 는 ESS(40)의 운용 전 ESS(40) 또는 EVC(50) 설치 위치의 계통(20) 전압이며, 는 ESS(40) 또는 EVC(50) 설치 위치까지의 계통(20) 전류를 나타낸다.Here, Zn is the line impedance of the
또한, 는 ESS(40) 또는 EVC(50) 설치 위치에서의 계통(20) 역률이고, m은 측정시간대이며, n은 저압 계통(20)의 ESS(40) 설치 구간을 나타낸다. 이때, 저압선로에서의 ESS(40)에 의한 전력안정화는 유효전력에 의해서 보상되므로 상기 선로임피던스는 유효분에 대해서만 계산된다.Also, is the power factor of the
또한, ESS(40)에 의한 전압조정 요소인 선로임피던스는 한번 정해지면 고정적인 값으로 운용된다. 따라서, ESS(40)에 의하여 전압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설치시 임피던스값이 아닌 전류변화에 따른 이상적인 임피던스값의 편차를 최소화하도록 값을 산정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수학식 1]을 토대로 임피던스 계수를 최소자승법에 의해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정식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ne impedance, which is a voltage adjustment element by the
[수학식 2][Equation 2]
여기에서, q는 에러 함수(error function)이고, 이며, T는 전체시간대(Total number of time interval)를 나타낸다. 또한, 임피던스는 도 3과 같이 전체시간대(T)에 대하여 계통(20) 전압과 부하전류로 도출된 직선들의 선형회귀 분석을 통해 최적 기울기 값을 구하고, 이를 통해 최적 임피던스를 결정할 수 있다.where q is the error function, , and T represents a total number of time intervals. 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 the optimum slope value is obtained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straight lines derived from the system voltage and the load current for the entire time period T for the impedance, and the optimum impedance can be determined through this.
상기 [수학식 2]를 이용하여 전체 고찰 기간(T)의 최적 임피던스(Zn)를 구하면 아래의 [수학식 3]과 같다.When the optimum impedance (Z n ) of the entire period of consideration (T) is obtained using [Equation 2], [Equation 3] is shown below.
[수학식 3][Equation 3]
여기에서, ESS(40) 설치위치까지의 전압강하(Vdrop(t))는 주상변압기측(21)의 전압과 ESS(40) 설치구간 사이의 전압 차를 의미한다.Here, the voltage drop (V drop (t))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ESS(40) 제어에 따른 계통(20)의 전압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ESS(40) 제어에 따른 계통(20)의 부하전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5a는 ESS(40)의 충전시 계통(20)의 부하전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b는 ESS(40)의 방전시 계통(20)의 부하전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the voltage state of the
연산부(120)는 산출된 선로임피던스를 토대로 전압전류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계통(20)의 전압을 이용하여 계통(20)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ESS(40)의 보상 전압을 산출할 수 있다.The calculating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재생에너지전원(30)의 발전량이 상승하여 계통(20)의 전압이 상승하는 경우 ESS(40)를 충전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ESS(40)의 보상 전압만큼 계통(40)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4 , when the voltage of the
따라서, 도 4의 구간 (A)와 같이 상한 전압(Upper limit)을 벗어난 실선의 계통(20) 전압(Without ESS)이 ESS(40)의 충전을 통해 점선으로 나타나는 계통(20) 전압(by ESS charging)으로 조정되어 기준범위 이내(상한 전압값 이내)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the section (A) of FIG. 4 , the
또한, EVC(전기 자동차 충전기, Electric Vehicle Charging)(50)의 충전량 및 부하량이 상승하여 계통(20)의 전압이 강하하는 경우에는 ESS(40)를 방전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ESS(40)의 보상 전압만큼 계통(40) 전압을 상승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oltage of the
따라서, 도 4의 구간 (B)와 같이 하한 전압(Lower limit)을 벗어난 실선의 계통(20) 전압(Without ESS)이 ESS(40)의 방전을 통해 점선으로 나타나는 계통(20) 전압(by ESS charging)으로 보강되어 기준범위 이내(하한 전압값 이내)를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as shown in the section (B) of FIG. 4 , the
도 6은 ESS(40)의 충전 및 방전에 따른 계통(20)의 전압을 세부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전압 보상범위 여유도를 적용하여 ESS(40)를 충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8은 계통(20)의 전압 상태에 따른 ESS(40)의 충전 및 방전 운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voltage of the
즉, 도 7은 계통(20)의 전압이 상한 전압 경계를 벗어나는 경우에 전압 보상범위 여유도를 적용하여 ESS(40)를 충전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That is,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charging of the
판단부(130)는 전압전류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계통(20)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계통(20)의 전압이 상한 전압과 하한 전압 사이의 전압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또한, 충방전 제어부(140)는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계통(20)의 전압이 상기 전압 기준 범위(상한 전압 또는 하한 전압)를 벗어나는 경우, 전압 기준 범위를 벗어난 크기만큼 ESS(40)를 제어하여 계통(20)의 전압을 보상한다. 즉, 계통(20)의 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전압 보상범위 만큼 ESS(40)를 제어하여 계통(20)을 안정화시키게 된다.The
이때, 상기 전압 보상범위를 계통(20)의 상하한 전압 경계까지만 한정하는 경우 충방전 제어부(140)에 의한 ESS(40)의 동작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ESS(40)의 빈번한 동작은 계통(20)의 전압이 계측 오차 등에 의하여 규정범위 이내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voltage compensation range is limited only to the upper and lower voltage boundaries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10)은 도 7과 같이 전압 보상범위에 여유도가 적용된 전압 보상범위 여유도(VCR, Voltage Compensation Rate)를 이용하여 ESS(40)의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한다. 즉, 충방전 제어부(140)는 계통(20) 전압의 상하한 전압에 여유도를 적용하고, 여유도가 적용된 전압값까지 ESS(40)를 제어한다.Therefore, the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related
이를 통해, 계통(20)의 전압을 과보상시켜 ESS(40)의 빈번한 동작을 방지하고, 계통(20)의 전압을 최대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frequent operation of the
도 9는 ESS(40)의 운용을 위한 SOC(State of Charg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of Charge (SOC) for operation of the
일반적으로 ESS(40)를 계통(20)에 적용하여 운영하는 경우 50%의 SOC(State of Charge)를 기준으로 ESS(40)의 충전 또는 방전 운용을 지속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10)은 시간에 따른 충전과 방전의 횟수가 다르기 때문에 50%의 SOC를 적용하는데 문제가 있다.In general,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10)은 연산부(120)를 통해 도 9와 같이 ESS(40)의 충전 또는 방전을 고려하여 SOC(State of Charge)의 운용점(SOR, State of Reference)을 산정한다.Therefore, the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related
즉, 초기 ESS(40)의 설치시 SOC를 50%로 기준하여 적용하고, 이후 ESS(40)의 충전 또는 방전 동작 특성에 따른 ESS(40)의 적정운용점을 산출하여 운용점(SOR, State of Reference)을 결정한다.That is, when the
상기 운용점(SOR)은 도 9와 같이 SOC 50%와 각 시간대에 대한 ESS(40)의 충방전 용량 변화율[%]의 합으로 산출될 수 있다. 여기에서, ESS(40)의 적정 SOC는 시간대별 ESS(40)의 운용에 의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각 시간대별 ESS(40)의 적정 SOC값은 달라지게 된다.The operating point (SOR) may be calculated as the sum of the
따라서, 상기 SOC의 적정 운용점(SOR)은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ESS(40)의 충방전 운용 데이터에 의하여 대상 시간대에서 ESS(40)의 충전 운용 용량(kW) 및 방전 운용 용량(kW)의 차를 충전 운용 용량 및 방전 운용 용량(kW)의 합으로 나누고, 이 값에 SOC 50%를 적용하여 산출한다.Therefore, the appropriate operating point (SOR) of the SOC is the charging operating capacity (kW) and the discharging operating capacity of the
[수학식 4][Equation 4]
여기에서, 는 ESS(40)의 시간대별 SOC 기준 운용점이고, PESS-Charge(t)는 ESS(40)의 충전용량(kW)이며, PESS-dicharge(t)는 ESS(40)의 방전용량(kW)이다. 또한, th는 SOR 적용 시간대(hour)를 나타낸다.From here, is the SOC standard operating point for each time period of the ESS (40), P ESS-Charge (t) is the charging capacity (kW) of the ESS (40), and P ESS-dicharge (t) is the discharging capacity (kW) of the ESS (40) )to be. In addition, th represents an SOR application time period (hour).
이때, 시간대별 ESS(40)의 운용은 미리 결정된 운용시간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운용시간을 24시간으로 설정하는 경우 시간대별 적정 SOC 범위는 전날 데이터를 이용하여 24시간마다 변화한다.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한편, ESS(40)의 적정운용범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운전하는 경우 적정운용범위의 설정폭이 작다면 ESS(40)는 빈번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10)은 시간대별 적정 SOC 범위에 ±DB% 만큼의 여유율을 설정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또한, 상기 적정 SOC 기준 운용점(SOR)의 여유율은 아래의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gin ratio of the appropriate SOC reference operating point (SOR) may be expressed as in [Equation 5] below.
[수학식 5][Equation 5]
여기에서, DB는 적정 SOC 기준 운용점(SOR)의 여유율을 나타낸다.Here, DB represents the margin of the appropriate SOC reference operating point (SOR).
도 10a 및 도 10b는 계통(20)의 각 구간별 전압 상태에 따른 ESS(40)의 운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즉, 도 10a는 계통(20)의 한 구간에서만 전압이 상하한 경계 범위(상한 전압 또는 하한 전압)를 벗어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b는 계통(20)의 복수 구간에서 전압이 상하한 경계 범위(상한 전압 또는 하한 전압)를 벗어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0A and 10B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저압 계통(20) 상에서 전압이 상한 전압 또는 하한 전압을 벗어나는 경우와 ESS(40)를 통해 상시적으로 적정 SOC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의 ESS(40) 운용은 각 구간마다 계측되는 계통(20) 전압을 대상으로 한다.When the voltage on the
예를 들어, 도 10a와 같이 계통(20) 전압의 어느 한 구간에서 상하한 전압을 벗어나는 경우 ESS(40)는 보상되는 전압크기만큼 용량을 결정한 후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을 수행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A , when the upper and lower voltages are out of the upper and lower limits in any one section of the voltage of the
또한, 도 10b와 같이 계통(20) 전압의 복수 구간에서 상하한 전압을 벗어나는 경우 ESS(40)는 상하한 전압을 가장 크게 벗어난 구간의 전압을 기준으로 보상되는 전압만큼 운용 용량을 결정한 후 충전 또는 방전 동작을 수행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b , when the upper and lower limit voltages are exceeded in a plurality of sections of the voltage of the
도 11은 ESS(40)의 SOC가 적정 유지범위(SOR)을 벗어나는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안정화를 위한 ESS(40)가 충방전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계통(20)의 모든 구간 전압이 기준전압범위 이내로 유지하면서 ESS(40)의 SOC가 적정 유지범위(SOR)를 벗어나는 경우에 ESS(40)는 충방전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적정용운범위까지 SOC 운용을 수행한다.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SOC of the
또한, 저장부(150)는 전압전류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계통(20)의 전압값 및 전류값과, 연산부(120)를 통해 산출된 선로임피던스 및 ESS(40)의 보상 전압값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10)은 ESS(40)의 제어를 통해 저압 배전 계통(20)의 전력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linked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ESS(40)의 운용 절차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wind power generation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linked electric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procedure of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방법은 전압전류 측정부(110)가 EVC(전기 자동차 충전기, Electric Vehicle Charging)(50)의 충전량과 부하량 및 신재생에너지전원(30)의 발전량에 따라 변동되는 계통(20)의 전압 및 전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계(S10)와, 연산부(120)가 측정된 계통(20)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토대로 저압 계통(20)의 각 구간에서의 최대허용전류와 해당구간까지의 선로임피던스를 추출하는 단계(S20)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wind power generation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linked electric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oltage and
또한, 연산부(120)가 ESS(40) 또는 EVC(50) 설치단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평균 유지전압과 계통(20)의 수용용량을 기반으로 ESS(40)의 전압변동폭을 추출하는 단계(S30)와, 연산부(120)가 상기 전압 변동폭을 이용하여 계통(20) 전압의 유지범위인 상한 전압과 하한 전압을 추출하는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ESS(40)의 전압변동폭을 추출하는 단계(S30)에서 계통(20) 전압의 유지범위인 상한 전압과 하한 전압을 결정하기 위한 중요요소인 전압변동폭은 아래의 [수학식 6]과 같이 저압 계통(20)에서 각 구간의 최대허용전류와 상기 선로임피던스의 곱에 여유율을 나눈값으로 산출된다.At this time, in the step (S30) of extracting the voltage fluctuation width of the
[수학식 6][Equation 6]
여기에서, Imax는 계통(20)의 최대허용전류이고, ±Uviolation은 ESS(40)의 상하한변동폭이며, MR은 여유율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여유율은 계통(20)의 중부하시 부하율 0.8을 기준으로 하여 결정된 값(예를 들어, 1.2)일 수 있다. 또한, 여유율에 대한 각 구간의 변동폭은 전류크기에 따른 전압의 선형적인 특성 때문에 모두 동일한 값을 가진다.Here, I max is the maximum allowable current of the
또한, 상기 상한 전압과 하한 전압을 추출하는 단계(S40)는 아래의 [수학식 7]과 같이 ESS(40) 또는 EVC(50) 설치단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평균 유지전압(Un)과, 계통(20)의 수용용량을 고려한 전압 변동폭(±Uviolation)을 이용하여 계통(20) 전압의 유지범위인 상한 전압과 하한 전압을 추출한다.In addition, the step of extracting the upper limit voltage and the lower limit voltage (S40) is an average holding voltage (U n ) at which the ESS (40) or EVC (50) installation stage is stably maintained as shown in [Equation 7] below; The upper limit voltage and lower limit voltage, which are the maintenance ranges of the
[수학식 7][Equation 7]
여기에서, UUoper는 ESS(40)의 운용 상한 전압이고, ULoper는 ESS(40)의 운용 하한 전압이며, Un은 ESS(40) 설치단의 기준전압(예를 들어, 220V)이다.Here, U Uoper is the operating upper limit voltage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방법은 판단부(130)가 전압전류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계통(20)의 전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계통(20)의 전압이 상기 상한 전압과 하한 전압 사이의 전압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계통(20)의 전압이 상기 전압 기준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연산부(120)가 산출된 선로임피던스와 전압전류 측정부(110)에서 측정된 계통(20)의 전압을 이용하여 계통(20)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ESS(40)의 보상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S6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wind power generation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linked electric charg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저압 계통(20)의 빈번한 전압변동에 따라 ESS(40)의 빈번한 동작이 발생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ESS(40)의 PCS가 목표로 하는 전력값으로 동작할 때 램프 지속시간(lamp late time)이 존재한다.In this case, frequent operation of the
또한, 일반적으로 전력 조정기능의 F/R 발전기는 10초 동안의 평균 전력값으로 운용된다. 이로 인해, ESS(40)용 PCS의 램프 타임(lamp time)과 기기의 수명을 고려할 때 순간값으로 ESS(40)가 동작하는 것은 문제가 된다.In addition, in general, the F/R generator with the power adjustment function is operated with an average power value for 10 seconds. For this reason, when considering the lamp time of the PCS for the
따라서, 상기 ESS(40)의 보상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S60)는 ESS(40)의 동작시간 확보를 통해 ESS(40)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계통(20)의 실시간 구간전압을 일정시간 동안의 평균값으로 적용하여 보상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S61)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refore, the step of calculating the compensation voltage of the ESS 40 (S60) is to set the real-time section voltage of the
이때, ESS(40)의 동작시간은 계통(20)의 평균값이 계산되는 시간동안 ESS(40)의 용량이 고정적으로 운용되도록 결정한다. 또한, 계통(20) 구간전압의 평균값은 아래의 [수학식 8]과 같이 산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operating time of the
[수학식 8][Equation 8]
여기에서, 는 tx 초 동안 계통(20) 구간전압의 평균값이고, tx는 ESS(40)의 동작지속시간이며, 는 실시간 계통(20) 구간전압을 나타낸다.From here, is the average value of the
또한, 상기 ESS(40)의 보상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S60)는 상기 전압 기준 범위(상한 전압 또는 하한 전압)에 여유도가 적용되는 전압 보상범위 여유도(VCR, Voltage Compensation Rate)를 이용하여 보상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S62)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calculating the compensation voltage of the ESS 40 ( S60 ) is performed using a voltage compensation range margin (VCR, Voltage Compensation Rate) in which a margin is applied to the voltage reference range (upper-limit voltage or lower-limit voltage).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calculating the compensation voltage ( S62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방법은 판단부(130)의 판단 결과에 따라 계통(20)의 전압이 상기 전압 기준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충방전 제어부(140)가 ESS(40)를 제어하여 연산부(120)에서 산출된 보상 전압을 계통(20)에 보상하는 단계(S7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이때, 상기 보상 전압을 계통(20)에 보상하는 단계(S70)는 계통(20) 각 구간별 전압크기에 따라 ESS(40)의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step (S70) of compensating the compensation voltage to the
예를 들어, 저압 계통(20)의 구간 전압 중 한 구간이라도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범위(상한 전압 범위(UUoper), 하한 전압 범위(ULoper))를 벗어나게 되면 전압 크기의 비교에 의하여 ESS(40)의 동작여부를 결정한다.For example, if even one section of the voltage of the
즉, 계통(20)의 구간 전압이 상한동작 범위를 벗어나면 충방전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ESS(40)는 충전동작을 수행하고, 계통(20)의 구간 전압이 하한동작 범위 미만이면 충방전 제어부(140)는 ESS(40)를 제어하여 방전동작을 수행한다.That is, when the section voltage of the
아래의 [수학식 9]는 전압크기의 비교에 따라 ESS(40)의 충전 또는 방전 동작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수식을 나타낸다.[Equation 9] below shows a formula for determining whether to charge or discharge the
[수학식 9][Equation 9]
여기에서, 는 ESS(40)의 전압 안정화를 위한 방전동작 신호를 나타내고, 는 ESS(40)의 전압 안정화를 위한 충전동작 신호를 나타낸다. 또한, 는 ESS(40)의 운용 전 ESS(40) 또는 EVC(50) 설치 위치의 계통(20) 전압이고, △UESS는 ESS(40)에 의한 전압 보상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UUoper는 ESS(40)의 운용 상한 전압이고, ULoper는 ESS(40)의 운용 하한 전압이다.From here, represents a discharge operation signal for voltage stabilization of the ESS (40), denotes a charging operation signal for voltage stabilization of the
상기 [수학식 9]에서 첫 번째 조건과 두 번째 조건의 우변항에는 이전시간대에 결정된 전압 보상범위()가 고려된다. 이때, ESS(40)의 최초 동작시 이전시간대의 전압 보상범위는 0으로 가정할 수 있다.In [Equation 9], the voltage compensation range ( ) is considered. In this case, it may be assumed that the voltage compensation range of the previous time period is 0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또한, ESS(40)가 계통(20) 전압의 안정을 위해 동작하지 않는 경우, SOR(State of Reference)을 결정하여 ESS(40)의 충전 또는 방전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상기 [수학식 9]에서 계통(20)의 모든 구간 전압이 기준 전압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ESS(40)의 충방전 신호는 α=0, β=0로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계통(20)의 모든 구간전압이 기준전압과 ESS(40)의 상한 동작전압 범위안에서 기준전압을 기준으로 하는 마진 이내 유지여부를 판단한다.In [Equation 9], when all section voltages of the
예를 들어, 상기 마진을 50%로 하여 50% 이내 유지여부를 판단하는 식은 아래의 [수학식 10]과 같다.For example, an equation for determining whether to maintain the margin within 50% by setting the margin to 50% is [Equation 10] below.
[수학식 10][Equation 10]
여기에서, 는 SOR 연산을 위한 초기 상태 신호를 나타낸다.From here, denotes an initial state signal for SOR operation.
이때, SOC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계통(20)의 전압은 상하한 동작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특성을 가지게 되지만, 전압의 변동성을 적게 하기 위하여 SOC 동작이 되는 설정전압을 기준전압의 50% 이내로 산정한다.At this time, when the SOC operation is performed, the voltage of the
또한, 상기의 조건을 모두 만족한 상태에서 현재 ESS(40)의 SOC 상태가 SOR의 범위를 벗어나게 된다면 SOC 충방전 동작으로 결정된다. 즉, ESS(40)의 현재 SOC가 SOR 범위 미만이면 충방전 제어부(140)는 ESS(40)에 충전 동작 신호를 인가하고, SOR 범위 이상이면 충방전 제어부(140)는 ESS(40)에 방전 동작 신호를 인가한다.In addition, if the current SOC state of the
이러한 충전 또는 방전 동작 신호는 아래의 [수학식 1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Such a charging or discharging operation signal may be expressed as in [Equation 11] below.
[수학식 11][Equation 11]
여기에서, 는 SOR의 동작을 위한 충전 신호를 나타내고, 는 SOR의 동작을 위한 방전 신호를 나타낸다.From here, represents the charging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SOR, denotes a discharge signal for SOR operation.
따라서, 계통(20) 전압의 안정화용으로 동작하게 되는 ESS(40)의 충방전 신호와 SOC로 운용하게 되는 충방전 신호에 대하여 조건을 분류하면 아래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Accordingly, if the conditions are classified for the charge/discharge signal of the
[표 1] ESS(40)의 동작 신호 분류[Table 1] Classification of operation signals of ESS (40)
또한, 계통(20) 전압의 안전화를 위한 ESS(40)의 충방전 동작이 결정되는 경우, 연산부(120)는 아래의 [수학식 12]와 같이 ESS(40)의 운용 상한 전압(UUoper) 및 ESS(40)의 운용 하한 전압(ULoper)과, 전압 보상범위 여유도와, 이전 시간대의 전압 보상범위(△UESS(t-1))와, 충방전 동작 신호를 토대로 ESS(40)의 전압 보상범위를 결정한다.In addition, when the charging/discharging operation of the
[수학식 12][Equation 12]
이때,At this time,
여기에서, △UESS는 ESS(40)에 의한 전압 보상범위이고, 는 전압 보상범위 여유도를 나타낸다.Here, ΔU ESS is the voltage compensation range by the
이때, ESS(40)의 초기 동작시와 이전 시간대에 ESS(40)가 운용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이전 시간대의 전압 보상범위는 0으로 가정한다. 또한, 여유도는 ESS(40) 동작에 의한 오차를 고려하여 0.95~0.85 사이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assumed that the voltage compensation range of the previous time period is 0 when the
또한, △UESS가 -값인 경우에는 ESS(40)의 방전에 의한 전압 보상범위를 의미하며, +값인 경우에는 ESS(40)의 충전에 의한 전압 보상범위를 나타낸다.In addition, when ΔU ESS is a - value, it means a voltage compensation range by discharging the
또한, ESS(40)가 전압 안정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 아래의 [수학식 13]과 같이 상기 [수학식 9]의 ESS(40) 충방전 신호인 α=0, β=0와, 상기 [수학식 10] 및 [수학식 11]의 ESS(40) SOC 운용 신호와 충방전 동작신호인 에 의하여 ESS(40)의 SOC 운용이 결정된다.In addition, when the
[수학식 13][Equation 13]
여기에서, 는 ESS(40)의 충방전 전력을 나타낸다.From here, represents the charge/discharge power of the
이때, 상기 [수학식 13]과 같이 ESS(40)의 충방전 용량()은 자기 용량의 1/4 이내로 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s in [Equation 13], the charge/discharge capacity of the ESS 40 ( ) is preferably calculated within 1/4 of the self-capacitance.
또한, ESS(40)는 효율 시험시 0.2C로 충방전을 실시하는 특성에 따라 ESS(40)의 동작 용량을 결정하고, ESS(40)의 설치 환경과 조건에 따라 동작 용량을 재결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ESS(40)의 전압 안정화 동작시의 충방전 전력()은 아래의 [수학식 14]와 같이 상기 [수학식 12]의 전압 보상범위(△UESS)와 상기 선로임피던스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arging/discharging power ( ) may be determined by the voltage compensation range (ΔU ESS ) of the [Equation 12] and the size of the line impedance as shown in [Equation 14] below.
[수학식 14][Equation 14]
여기에서, ESS(40)의 SOC가 운용될 경우에는 상기 [수학식 13]과 같이 ESS(40)의 용량으로 충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후에는 미리 설정된 반복시간(t=t+1) 후에 상기 상한 전압과 하한 전압을 추출하는 단계(S40)로부터 반복 수행하여 ESS(40)의 운용 여부를 다시 결정할 수 있다.Here, when the SOC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10) 및 방법은 EVC(전기 자동차 충전기, Electric Vehicle Charging)(50)의 충전량과 부하량 및 신재생에너지전원(RES, Renewable Energy Resource)(30)의 발전량에 따라 변동되는 계통(20)의 전력을 ESS(Energy Storage System)(40)의 전압을 제어하여 안정화할 수 있다.As such, the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related
즉, 저압 계통(20)에서 EVC(전기 자동차 충전기, Electric Vehicle Charging)(50)의 충전량 및 부하량이 많을 경우에는 ESS(40)의 방전을 통해 계통(20)의 한계용량을 유지하고, 신재생에너지전원(30)의 발전량이 많은 경우에는 ESS(40)를 충전시켜 계통(20)의 전압을 기준범위 이내로 유지함으로써 계통(20)의 전력을 안정화한다.That is, when the amount of charge and the load of the EVC (Electric Vehicle Charging) 50 in the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it is easily chang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quivalent Including all changes to the extent recognized as being
10 : 전기충전 시스템 20 : 계통
21 : 주상변압기 30 : 신재생에너지전원
31 : 풍력발전 32 : 태양광발전
40 : ESS(Energy Storage System)
50 : EVC(전기 자동차 충전기, Electric Vehicle Charging)
51 : EV(전기 자동차, Electric Vehicle)
60 : 부하 110 : 전압전류 측정부
120 : 연산부 130 : 판단부
140 : 충방전 제어부 150 : 저장부10: electric charging system 20: system
21: pole transformer 30: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31: wind power generation 32: solar power generation
40: ESS (Energy Storage System)
50: EVC (Electric Vehicle Charging)
51: EV (Electric Vehicle)
60: load 110: voltage and current measuring unit
120: calculation unit 130: judgment unit
140: charge/discharge control unit 150: storage unit
Claims (20)
상기 측정된 계통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이용하여 계통의 선로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선로임피던스를 토대로 상기 전압전류 측정부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계통의 전압값을 이용하여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보상 전압을 산출하며, ESS의 SOC(State of Charge)의 소정값을 기준으로 이전에 수행되는 ESS의 충전 또는 방전 특성을 반영하여 ESS에 대한 SOC의 적정 운용점(SOR, State of Reference)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전압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된 계통의 전압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계통의 전압값이 전압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계통의 전압이 상기 전압 기준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해 상기 ESS를 제어하여 계통에 보상 전압을 제공하는 충방전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
A voltage and current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system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rge and load of EVC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The line impedance of the system is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system, and the voltage of the system is stabilized using the voltage value of the system measured in real time by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ing unit based on the calculated line impedance. Calculate the compensation voltage of the ESS (Energy Storage System) for an operation unit that calculates (SOR, State of Reference);
a determination unit that monitors the voltage value of the system measured by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 unit in r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voltage value of the system is within a voltage reference range; and
When the voltage of the grid is not within the voltage reference rang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a charge/discharg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SS to provide a compensation voltage to the grid in order to stabilize the voltage of the grid;
Wind power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linked electric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상기 충방전 제어부는 계통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미리 설정된 상한 전압값을 초과하면 ESS를 제어하여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 계통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미리 설정된 하한값의 미만이면 ESS를 제어하여 방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harging/discharg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ESS to perform a charging operation when at least one section of the system exceeds a preset upper limit voltage value, and controls the ESS to perform a discharge operation when at least one section of the system is less than a preset lower limit value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linked electric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perform.
상기 측정된 계통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이용하여 계통의 선로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선로임피던스를 토대로 상기 전압전류 측정부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계통의 전압값을 이용하여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보상 전압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전압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된 계통의 전압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계통의 전압이 전압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계통의 전압값이 상기 전압 기준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해 상기 ESS를 제어하여 계통에 보상 전압을 제공하는 충방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방전 제어부는 계통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미리 설정된 상한 전압 값을 초과하면 ESS를 제어하여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 계통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미리 설정된 하한값의 미만이면 ESS를 제어하여 방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충방전 제어부는 아래의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전압값의 비교에 따른 ESS의 충전 또는 방전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
[수학식 1]
여기에서, 는 ESS의 전압 안정화를 위한 방전동작 신호를 나타내고, 는 ESS의 전압 안정화를 위한 충전동작 신호를 나타낸다. 또한, 는 ESS의 운용 전 ESS 또는 EVC 설치 위치의 계통 전압이고, △UESS는 ESS에 의한 전압 보상범위를 나타낸다. 또한, UUoper는 ESS의 운용 상한 전압이고, ULoper는 ESS의 운용 하한 전압이다.
A voltage and current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system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rge and load of EVC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The line impedance of the system is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system, and the voltage of the system is stabilized using the voltage value of the system measured in real time by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ing unit based on the calculated line impedance. an arithmetic unit for calculating a compensation voltage of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a determination unit that monitors the voltage value of the system measured by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 unit in r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voltage of the system is within a voltage reference range; and
When the voltage value of the system is not within the voltage reference rang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a charge/discharg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SS to stabilize the voltage of the system to provide a compensation voltage to the system;
The charging/discharg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ESS to perform a charging operation when at least one section of the system exceeds a preset upper limit voltage value, and controls the ESS to perform a discharging operation when at least one section of the system is less than a preset lower limit value perform,
The charging/discharging control unit uses the following [Equation 1] to determine whether the charging or discharging operation of the ESS according to the comparison of voltage values.
[Equation 1]
From here, represents the discharge operation signal for voltage stabilization of the ESS, represents the charging operation signal for voltage stabilization of the ESS. Also, is the grid voltage of the ESS or EVC installation location before operation of the ESS, and △U ESS is the voltage compensation range by the ESS. In addition, U Uoper is the operating upper limit voltage of the ESS, and U Loper is the operating lower limit voltage of the ESS.
상기 측정된 계통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이용하여 계통의 선로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선로임피던스를 토대로 상기 전압전류 측정부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계통의 전압값을 이용하여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보상 전압을 산출하는 연산부;
상기 전압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된 계통의 전압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계통의 전압이 전압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계통의 전압이 상기 전압 기준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해 상기 ESS를 제어하여 계통에 보상 전압을 제공하는 충방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방전 제어부는 계통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미리 설정된 상한 전압값을 초과하면 ESS를 제어하여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 계통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미리 설정된 하한값의 미만이면 ESS를 제어하여 방전 동작을 수행하며,
상기 충방전 제어부는 아래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SOC 상태에 따른 ESS의 충전 또는 방전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
[수학식 2]
여기에서, 는 SOR(State of Reference)의 동작을 위한 충전 신호를 나타내고, 는 SOR의 동작을 위한 방전 신호를 나타낸다. 또한, SOC(State of Charge)는 배터리의 충전상태 또는 충전비율을 나타내고, SOR(State of Reference)은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을 위한 운용점을 나타내며, DB는 적정 SOC 기준 운용점(SOR)의 여유율을 나타낸다.
A voltage and current measuring unit that measures the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system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rge and load of EVC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The line impedance of the system is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system, and the voltage of the system is stabilized using the voltage value of the system measured in real time by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ing unit based on the calculated line impedance. an arithmetic unit for calculating a compensation voltage of an Energy Storage System (ESS);
a determination unit that monitors the voltage value of the system measured by the voltage and current measurement unit in real time to determine whether the voltage of the system is within a voltage reference range; and
When the voltage of the grid is not within the voltage reference rang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determination unit, a charge/discharge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ESS to stabilize the voltage of the grid to provide a compensation voltage to the grid;
The charging/discharging control unit controls the ESS to perform a charging operation when at least one section of the system exceeds a preset upper limit voltage value, and controls the ESS to perform a discharge operation when at least one section of the system is less than a preset lower limit value perform,
The charge/discharge control unit uses the following [Equation 2] to determine whether the charging or discharging operation of the ESS according to the SOC state is a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linked electric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Equation 2]
From here, represents a charging signal for the operation of the SOR (State of Reference), denotes a discharge signal for SOR operation. In addition, SOC (State of Charge) indicates the state of charge or charging rate of the battery, SOR (State of Reference) indicates an operating point for charging or discharging the battery, and DB indicates an appropriate SOC reference operating point (SOR) margin ratio. indicates
상기 연산부는 계통의 주상변압기에서 측정된 전압값과, ESS의 운용 전 ESS 또는 EVC 설치 위치에서 측정된 계통의 전압값 및 전류값과, ESS 또는 EVC 설치 위치에서의 계통 역률에 대한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method)을 이용하여 선로임피던스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lculation unit performs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 Linear Regression method) using a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linked electric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alculating the line impedance.
상기 연산부는 아래의 [수학식 3]을 이용하여 전체시간대(Total number of time interval)에 대한 임피던스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
[수학식 3]
여기에서, Zn은 전체 고찰 기간(T)의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lculation unit uses the following [Equation 3] to calculate the impedance for a total number of time intervals.
[Equation 3]
Here, Z n represents the impedance of the entire study period (T).
상기 연산부는 계통의 전압값이 상기 전압 기준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해 산출된 ESS의 충전 전압 또는 방전 전압에 여유도가 적용된 전압 보상범위 여유도(VCR, Voltage Compensation Rate)를 이용하여 ESS의 보상 전압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voltage value of the system is not within the voltage reference range, the calculation unit is a voltage compensation range margin (VCR, Voltage Compensation Rate) in which a margin is applied to the charging voltage or discharging voltage of the ESS calculated to stabilize the voltage of the system. Wind power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linked electric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alculates the compensation voltage of the ESS using
상기 연산부는 계통의 주상변압기로부터 ESS가 설치되는 말단 구간까지에 대하여 중부하시의 전압특성과 신재생에너지전원의 최대 발전량에 따른 전압특성을 이용하여 계통의 최대허용전류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calculation unit extracts the maximum allowable current of the system from the pole transformer of the system to the terminal section where the ESS is installed using the voltage characteristic at the time of heavy load and the voltage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maximum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the renewable energy power source Wind power, characterized in that Electric charging system linked to power generation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상기 SOC의 적정 운용점(SOR, State of Reference)은 상기 ESS의 충전 또는 방전이 수행되는 대상 시간대에서 ESS의 충전 운용 용량 및 방전 운용 용량의 차를 충전 운용 용량 및 방전 운용 용량의 합으로 나누고, 나눈 값에 SOC 50%를 적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appropriate operating point (SOR, State of Reference) of the SOC divid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ng capacity of the ESS by the sum of the charging operating capacity and the discharging operating capacity in the target time period in which charging or discharging of the ESS is performed, Wind power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linked electric charg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by applying 50% of SOC to the divided value.
상기 측정된 계통의 전압값과 전류값을 이용하여 계통의 선로임피던스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선로임피던스를 토대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상기 계통의 전압값을 이용하여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ESS(Energy Storage System)의 보상 전압을 산출하며, ESS의 SOC(State of Charge)의 소정값을 기준으로 이전에 수행되는 ESS의 충전 또는 방전 동작 특성을 반영하여 ESS에 대한 SOC의 적정 운용점(SOR, State of Reference)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계통의 전압값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계통의 전압값이 전압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계통의 전압값이 상기 전압 기준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해 상기 ESS를 제어하여 계통에 보상 전압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방법.
Measuring the voltage value and current value of the system that vari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charge and load of EVC (Electric Vehicle Charging) and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a renewable energy source;
ESS (Energy) for calculating the line impedance of the grid using the measured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the grid, and stabilizing the voltage of the grid using the voltage value of the grid measured in real time based on the calculated line impedance The compensation voltage of the storage system is calculated, and the appropriate operating point (SOR, State of Reference);
determining whether the voltage value of the system is within a voltage reference range by monitoring the measured voltage value of the system in real time; and
When the voltage value of the grid is not within the voltage reference rang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controlling the ESS to provide a compensation voltage to the grid in order to stabilize the voltage of the grid;
Wind power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linked electric charg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상기 선로임피던스를 산출하는 단계는 계통의 주상변압기에서 측정된 전압값, ESS의 운용 전 ESS 또는 EVC 설치 위치에서 측정된 계통의 전압값 및 전류값과, ESS 또는 EVC 설치 위치에서의 계통 역률에 대한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 method)을 이용하여 선로임피던스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 of calculating the line impedance includes the voltage value measured at the pole transformer of the system, the voltage value and current value of the system measured at the ESS or EVC installation location before operation of the ESS, and the grid power factor at the ESS or EVC installation location. Wind power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linked electricity charg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line impedance is calculated using a linear regression method.
상기 전압 기준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계통의 전압값이 상기 전압 기준 범위 이내가 아닌 경우 계통의 전압을 안정화하기 위한 ESS의 보상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방법.
14. The method of claim 13,
Wind power comprising the step of calculating a compensation voltage of the ESS for stabilizing the voltage of the grid if the voltage value of the grid is not within the voltage reference range after determining whether it is within the voltage reference range Electricity charging method linked to power generation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상기 ESS를 제어하여 상기 산출된 보상 전압을 계통에 보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Controlling the ESS and compensating for the calculated compensation voltage to the system.
상기 계통의 적어도 하나의 구간의 전압이 미리 설정된 상한값을 초과하면 상기 ESS는 충전 동작을 수행하고, 적어도 하나의 구간이 미리 설정된 하한값의 미만이면 상기 ESS는 방전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Wind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voltage of at least one section of the system exceeds a preset upper limit value, the ESS performs a charging operation, and when at least one section is less than a preset lower limit value, the ESS performs a discharging operation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linked electric charging method.
상기 SOC의 적정 운용점(SOR, State of Reference)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ESS의 충전 또는 방전이 수행되는 대상 시간대에서 ESS의 충전 운용 용량 및 방전 운용 용량의 차를 충전 운용 용량 및 방전 운용 용량의 합으로 나누고, 나눈 값에 SOC 50%를 적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appropriate operating point (SOR, State of Reference) of the SOC,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rging operating capacity and the discharging operating capacity of the ESS in the target time period in which the charging or discharging of the ESS is performed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arging operating capacity and the discharging operating capacity.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linked electricity charg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alculated by dividing by the sum and applying 50% of the SOC to the divided value.
상기 ESS의 보상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ESS의 동작시간 확보를 통해 ESS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계통의 실시간 구간전압을 일정 시간 동안의 평균값으로 적용하여 보상 전압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step of calculating the compensation voltage of the ESS is wind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ensation voltage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real-time section voltage of the system as an average value for a certain time in order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ESS through secur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ESS. an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linked electric charging method.
상기 ESS의 보상 전압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전압 기준 범위에 여유도가 적용되는 전압 보상범위 여유도(VCR, Voltage Compensation Rate)를 이용하여 보상 전압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발전 및 태양광발전 연계형 전기충전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Calculating the compensation voltage of the ESS is wind power and solar power gener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ensation voltage is calculated using a voltage compensation range margin (VCR, Voltage Compensation Rate) to which the margin is applied to the voltage reference range. Linked electric charging metho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5778A KR102358178B1 (en) | 2020-09-28 | 2020-09-28 | Electric charging system and method linking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5778A KR102358178B1 (en) | 2020-09-28 | 2020-09-28 | Electric charging system and method linking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0243A KR20210030243A (en) | 2021-03-17 |
KR102358178B1 true KR102358178B1 (en) | 2022-02-11 |
Family
ID=75243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5778A KR102358178B1 (en) | 2020-09-28 | 2020-09-28 | Electric charging system and method linking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817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7084A (en) | 2021-07-05 | 2023-01-12 | 주식회사 자연공간산업 | Self-powered device using moisture in the air and method thereof |
CN114156971B (en) * | 2021-11-10 | 2024-06-25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controlling energy storage charge and discharge and energy storage system |
KR102710325B1 (en) * | 2022-03-03 | 2024-09-26 | 국립목포대학교 산학협력단 | Optimized scheduling system for multiple electric vehicle chargers |
CN117613981B (en) * | 2023-12-11 | 2024-04-26 | 国网青海省电力公司清洁能源发展研究院 | Voltage stability control method of new energy storage system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4651B1 (en) | 2011-11-10 | 2017-08-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wer a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
KR101972778B1 (en) | 2017-07-24 | 2019-04-26 | 김성두 |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s |
KR101973526B1 (en) * | 2018-09-20 | 2019-04-30 | 주식회사 케이디티 | charging system of solar and ESS combined electric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5855A (en) * | 2017-11-13 | 2019-05-24 | 김동완 | Blackbox for Charging Infrastructure of Electric Vehicles on Photovoltaic System and Energy Storage System |
KR101956232B1 (en) | 2018-05-29 | 2019-03-08 | 주식회사 대경산전 |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energy storage device (ESS) capable of maximum operation efficiency management |
-
2020
- 2020-09-28 KR KR1020200125778A patent/KR10235817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64651B1 (en) | 2011-11-10 | 2017-08-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Power apply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ng apparatus |
KR101972778B1 (en) | 2017-07-24 | 2019-04-26 | 김성두 | Charging apparatus for vehicles |
KR101973526B1 (en) * | 2018-09-20 | 2019-04-30 | 주식회사 케이디티 | charging system of solar and ESS combined electric vehicle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선로전압조정장치가 설치된 고압배전선로에서 전기저장장치의 최적운용 및 적정용량 산정방안(2018.6.3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30243A (en) | 2021-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8178B1 (en) | Electric charging system and method linking wind power generation and solar power generation | |
RU2565235C2 (en) | Regulating contribution of secondary power supply sources to distribution network | |
US8373312B2 (en) | Solar power generation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 |
US9997922B2 (en) | Method for feeding electrical power into an electrical supply network | |
US9343926B2 (en) | Power controller | |
KR101696999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an energy storage device and system for managing a power | |
JP6765005B2 (en) | A frequency control method for a stand-alone microgrid and a power converter for an energy storage device that controls it. | |
JP5520365B2 (en) | System stabilization system, power supply system, centralized management device control method, and centralized management device program | |
JP2001327080A (en) | Power stor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distributed power supply system equipped therewith | |
US11309807B2 (en) | Power conversion system and power conversion device | |
US20160172864A1 (en) | Photovoltaic system | |
JP2013031283A (en) | Demand controller | |
JP2010231456A (en) | Power supply system | |
CA2963441A1 (en) | Methods for operating a separate power supply system | |
JP2011097816A (en) | Power generation system, and charging and discharging controller | |
US20120253537A1 (en) | Power supply method, recording medium which is computer readable and power generation system | |
KR20150115063A (en) | Enegy management apparatus for controlling reference power and method thereof | |
WO2016055658A1 (en) | State of charge management in battery systems | |
KR20210011727A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ertial of Energy Storage System | |
WO2015059873A1 (en) | Power management apparatus | |
CN105098810B (en) | The energy-optimised management method of self-adapting type microgrid energy-storage system | |
Abdulelah et al. | Improve Lifespan of Battery Energy Storage in Remote Area Power System | |
US20220161687A1 (en) | Energy system control | |
WO2011093419A1 (en) | Power supply metho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power generation system | |
KR102234527B1 (en) | SoC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Frequency Control at ESS Interfacing Generation Plan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