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999B1 - Led조명을 이용한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력 강화 방법 - Google Patents

Led조명을 이용한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력 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999B1
KR102357999B1 KR1020130135483A KR20130135483A KR102357999B1 KR 102357999 B1 KR102357999 B1 KR 102357999B1 KR 1020130135483 A KR1020130135483 A KR 1020130135483A KR 20130135483 A KR20130135483 A KR 20130135483A KR 102357999 B1 KR102357999 B1 KR 102357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ing
led
broilers
immunity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3489A (ko
Inventor
유경선
임천익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35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999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5/00Other aviculture appliances, e.g. devices for determining whether a bird is about to l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조명을 이용한 육계의 생산성 개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LED의 단일 조명 및 혼합 조명을 양계장에 설치하는 단계와, 닭을 양계장에서 입식하여 식이급여 및 사양시험하는 단계와, 시험기간 동안 닭의 생산성과 면역력을 측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을 이용한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력 강화 방법이다. 본 발명의 LED의 단일 조명 및 혼합 조명은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력 강화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LED조명을 이용한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력 강화 방법{The Method of Improvement on performance and immunity by LED light in broiler chicks}
본 발명은 근대 육계산업에서 망막외부의 광수용체 자극을 통한 성장촉진을 위해 사용되어 왔던 백열전구나 형광등을 대신하여 LED조명을 사용하여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력강화에 적합한 LED 조명파장을 제공하는데 있다.
LED 조명은 단색 조명인 적색;R(660㎚), 황색;Y(600㎚), 녹색;G(550㎚), 청색;B(460㎚)와 복합 조명인 적색(R)×황색(Y), 황색(Y)×녹색(G), 녹색(G)×청색(B)의 조명 빛을 사용하였고 흰색(W) 형광등은 대조구로 하였다. 그리고 또 다른 조명에는 단색 조명인 황색;Y(600㎚), 녹색;G(560㎚), 청색;B(480㎚)와 복합 조명인 황색(Y)×녹색(G), 녹색(G)×청색(B), 흰색(W)를 포함하는 6개의 처리구로 하였다. 전구는 적색, 녹색 및 청색으로 구성되며, 전압은 각각 2.0V, 3.2V, 그리고 3.2V이고 LED 전구에는 동일한 중간 주파수인 IF=60mA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LED조명의 혼합파장을 이용하면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 강화를 통한 성장 촉진뿐만 아니라, 산란계 육성추, 오리, 육계종계, 메추리, 돼지, 소 등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LED조명의 단일 또는 혼합파장을 이용한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 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LED 조명의 단일 또는 혼합파장을 동물에 쪼이게 되면 피부내에 침투하여 화학작용을 일으켜 유익한 영양소를 만들어 주기도 하고, 닭이나 돼지의 피부와 반응하여 비타민D가 형성되고 이 비타민D가 칼슘 및 인의 소화, 흡수력을 증대시켜 준다고 알려져 있다. 조류의 뇌는 광에너지를 흡수하고 두개골과 조직을 통해 이를 전달하는 active extra-망막 광수용체로 구성되어 있다. 닭의 망막은 단일 또는 이중의 감광세포로 구성되며, 보라색, 청색, 녹색, 적색의 빛에 최대한으로 반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난 30년간 가금류에 대한 유색빛의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이의 산업적인 이용도 많이 늘어나게 되었다. 유색광 시스템의 산업적이용은 현대 양계산업에서 닭의 성장을 촉진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많은 종류의 광원이 상업적으로 이용되었으며, LED광원은 보다 많은 에너지 절약과 적절한 조명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많은 가금류 생산자들이 백열등이나 형광등으로부터 LED광원장치로 전환하고 있다. EU는 2012년부터 백열등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광원시스템은 사용이 금지되거나 점차 한국에 있어서도 LED광원으로 대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양계산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광원 색깔을 결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양계사양 시험 수행에 있어서 광조사시간, 광조사세기, 단일광원 및 혼합광원등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혼합LED광 또는 백색광이 양계사업에서 면역성만이 아니고 혈액특성, 육질, 뼈, 기능에 관해 효율성을 밝히는데 있다. 상기에 관련된 문헌으로는 1) Bowmaker J. K., and A. Knowles., 1977. The visual pigments and oil droplets of the chicken retina. Vision Research, 17 : 755764. PMID : 898682. 2) M. R. Hassan., S. Sultana, H. S. Choe, K.S. Ryu., 2013. A comparison of monochromatic and mix LED light color on performance, bone mineral density, meat and blood properities and immunity of broiler chicks. Japan Poult. Sci.(accepted : 2013. 08. 14.). 3) 손장호, 2011. LED 조명을 이용한 육계의 생산성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28차 한국가금학회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 162164. 4) 김나라, 2011. 조명색이 육계의 에너지소비량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민지, 황보종, 나재천, 김지혁, 김동욱, 강환구, 최희철, 채현석, 2012. LED 빛의 파장에 따른 육계의 혈액성상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제29차 한국가금학회 총회 및 학술발표회. 166168. 등이 있다.
또한 광원을 이용한 양계 또는 가축의 사양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한국특허 등록번호 10-0538443(특수파장대의 자외선을 이용한 동물 사육용 형광등)은 자외선중 240nm~340nm 파장대의 자외선을 닭에게 조사할 경우 산란율이 증대되고 육계의 성장률이 빠르고 폐사율이 크게 낮아지며, 돼지에게 조사할 경우 질병율이 낮아지고 성장속도가 빨라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국특허 등록번호 10-0968142(성장촉진형 엘이디조명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엘이디소자가 설치된 엘이디기판과, 상기 엘이디기판을 지지함과 아울러 외관을 형성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개별조명구들과; 상용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연결부와; 상기 전원연결부와 연결되어 교류의 상용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DC컨버터와, 상기 개별조명구의 엘이디소자에 인가되는 인가전압 및 인가전류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여 엘이디소자의 조명효과를 제어하는 DC콘트롤러부를 포함하는 LED제어부와; 상기 LED제어부와 상기 개별조명구들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시키는 전원연결케이블을 포함한다. 한국실용신안 등록번호 20-0267842(초음파를 이용한 동식물성장촉진 및 질병치료장치)는 원적외선 고유파장인 5.6∼15미크론의 파장을 초음파로 재현하여 동식물과 인체에 조사함으로서 원적외선과 동일한 효능을 갖도록 고안된 몸체(11), 몸체(11)에 설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1), 전원공급부(2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5.6∼15미크론의 파장을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전압컨트롤부(22), 초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회로를 갖는 초음파발진부(15,23), 초음파발진부(15,23)에 의해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압전세라믹 초음파진동자(12,24), 상기 몸체(11)외부에 설치되어 전원 및 회전을 조절하는 전원및회전조절회로부(13,25), 그리고 상기 몸체(11)의 머리부분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회전부(14)를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은 본 발명과 기술적구성이 다른 것 들이다.
양계산업에서 백색광이나 형광등을 이용하여 산란율을 높이고 육계의 성장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를 거두었다. 또한 LED광원을 사용하여 더욱 좋은 생산성 향상과 면역 강화에 관한 시도가 있었으나 효과를 거두지는 못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닭에게 일정량의 LED 조명의 단일파장 적색, 녹색, 청색 또는 혼합파장으로 적색(R)×황색(Y), 황색(Y)×녹색(G), 녹색(G)×청색(B), 적색(R)×녹색(G), 적색(R)×청색(G), 황색(Y)×청색(B)을 조사해 주면 산란계의 산란율이 증가하고, 계란의 껍질이 두꺼워져 파손율이 감소한다. 또한 육계는 성장속도가 빠르고 골격이 튼튼해져 내병성이 강해져 사료절감 및 생산성 증가의 효과가 있다.
LED 조명의 사용으로 육계에 적합한 단일파장과 혼합파장의 구명으로 적절한 파장의 즉시 농가보급이 가능하여, 적절한 조명파장 연구를 위한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고 동시에 에너지 효율이 높은 혼합파장의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계사구조 및 LED조명을 나타낸다.(도면 부호 1: 전원공급장치, 2: 거치대, 3: LED판, 4: Light Device, 5 Light controller)
본 발명은 별도로 구비한 LED의 단일 조명 및 혼합 조명을 양계장에 설치하여 사양시험 및 계사 관리를 통하여 체중,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FCR)을 시험기간 동안 매주 측정하고, 흉근의 육질 측정, 혈액성상과 골밀도, 생산성, 혈청 IgA와 IgG를 측정한다.
<재료 및 방법>; 닭과 계사 관리
1일령 로스 308 병아리(하림삼기 부화장), 1,200수를 성별 구분 없이 무게를 측정하고 24시간 조명하에서 (8종류 조명을 3반복의 실험 1과 6종류 조명을 4반복의 실험 2) 각 50수씩 배치하였다. 병아리들은 환기팬으로 신선한 공기가 순환되는 빛이 부족한 방(넓이 5㎡)에 10일령까지 수용되었다. 방의 온도는 처음 1주간 33°C를 유지하였고, 이후 주별로 23℃씩 낮추어 22℃에 도달하도록 하여 사양시험이 종료 될 때 까지 유지하였다. 시험기간 동안 상대습도는 6065%를 유지하였다. 병아리들은 시판배합사료(1일에서 7일령까지 초이사료로 CP 20.5%와 대사 에너지 3,000㎉/㎏를 이어서, 전기사료로 CP 18.5%와 대사 에너지 3,050㎉/㎏와 후기사료로 사양시험 종료까지 CP 17.5%와 대사 에너지 3,100㎉/㎏를 급여하였다)와 물은 언제나 자유롭게 채식하였다. 모든 병아리들은 7일령에 체중을 측정하여 즉시 처리구별 평균체중을 구하였다.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 방별로 2수 또는 3수의 과체중, 과소체중과 다리이상의 병아리는 도태되어 원래의 평균체중에 편차가 생기지 않도록 각 방별로 적어도 47수의 병아리를 유지하였다. 각 방은 유사한 악취로 인한 지장이 없도록 매일 청소하였다. 체중, 사료섭취량과 사료요구율(FCR)은 시험기간 동안 매주 측정하였다. 병아리들은 평균체중을 확인하기 위하여 매주 개체별 무게를 측정하였고, 개체별 평균 증체량은 총 중량을 사양시험 기간 동안 각 방별 최종 병아리수로 나누어 나타내었다. 개체별 사료섭취량은 총 사료섭취량을 최종 병아리수로 나누어 구하였다. 사료 요구율 역시 총 사료섭취량을 각 방별 총 중량으로 나누어 나타내었다. 모든 병아리 관리와 사양시험 절차는 국립전북대학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규정에 따라 수행되었다.
<실시예 1>
1일령 병아리 1,200수가 도착하자마자 체중을 측정하여(37±0.15g)과 8 종류의 조명 처리로 처리구별 3 반복으로 동일하게 배치하였다. 조명에는 R(660㎚), Y(600㎚), G(550㎚), B(460㎚)와 복합 조명 R×Y, Y×G, G×B 조명 빛을 사용하였고 흰색(W) 형광등은 대조구로 하였다. 조도는 병아리의 머리 높이에서 0.1W/㎡를 유지하였다. LED 조명판(38×24㎝, 태정 C & I Co., 광주시 북구)은 6개의 줄로 구성되어 있고 각 줄마다 12, 8과 7개의 작은 LED 전구가 각 각 빨강색, 녹색 그리고 파랑색 빛을 내며 자리깃 바닥으로부터 2m 높이에 걸었다. 각각의 R×Y, Y×G 그리고 G×B LED 혼합 조명판은 12개의 줄이 들어있다(6개의 줄은 한 가지 빛이고 6개는 다른 빛임). LED 조명판은 방을 밝히기 위하여 직하향 방향을 가리키게 되어 있다. 빨강색, 녹색 그리고 파랑색 전구의 전압은 각각 2.0, 3.2, 그리고 3.2V이고 LED 전구에는 동일한 중간 주파수인 IF=60mA이 사용된다.
<시험예 1>
<흉근의 육질 측정>
사양시험 종료일에 처리구별 10수의 병아리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경추골분리 방법으로 도계하여 흉근을 채취하였다. 흉근의 pH는 디지털 pH 측정기(Seven Easy pH, Mettler-Toledo AG, Schwerzenbach, Switzerlan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5g의 흉근을 2차 증류수 45㎖과 함께 13,500rpm으로 30초간 곱게 갈아 pH를 3번 측정하여 그 평균을 구하였다. 각 처리구별로 열개의 흉근(길이 9㎝, 너비 4.5㎝, 두께 1.5㎝)을 준비하여 100℃(Euro-Grill Tg101, Fri-Jad BV., Etten-Leur, The Netherlands)로 가열하고 나서, 각 시료의 내부 온도가 74℃가 되었을 때 옮겨서 냉각기(GR49-2JT, LGE, Seoul, Korea)에서 1 시간 동안 냉각하였다. 가열감량은 다음의 공식으로 구하였다.
가열감량 = (냉각중량/냉각 전 중량) × 100
각 처리구별 10개의 흉근샘플은 원통형상(1.0 × 1.0 × 1.0㎝)으로 만들어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다. 와그너 브래츨러 전단기(100 ㎜/min crosshead speed)를 장착한 인스트론 3343(US/MX50, A&D Co., San Jose, CA, USA)로 전단력을 측정하여 처리구별 평균 전단력을 ㎏/㎠로 나타내었다. 육색은 5주령의 흉근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미놀타 색체계(Minolta Chroma Meter CR-300; Ramsey, NJ, USA)를 이용하여 명도(CIEL*), 적색(a*), 황색(b*)의 값을 구하였다. 육색은 y=92.8, x=0.3134, and y=0.3193을 나타내는 흰색타일을 이용하여 교정한 후 측정하였고 시료별로 2번 측정하여 값을 정하였다. 각 처리구별 값은 평균값이며 명도(CIEL*), 적색(a*), 황색(b*)으로 각각 표시하였다.
<혈액성상과 골밀도>
5 주간의 사양시험이 끝나고 12시간 절식하여 처리구별로 10수의 날개정맥에서 천공법으로 혈액을 채취하여 얻어진 혈청을 분석할 때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 글루코스(GLU, ㎎/㎗), 총단백질(TP, g/㎗), 알부민(ALB, g/㎗), 총콜레스테롤(TCL, ㎎/㎗), 중성지질(TG, ㎎/㎗), 고밀도지단백질(HDL, ㎎/㎗), 혈청지오티(AST, U/I)과 혈청지피티(ALT, U/I)효소 농도를 포함하는 혈액성상을 콘랩 20 분석기(Thermo Fisher Scientific, Vantaa, Finland)로 측정매뉴얼에 따라 측정하였다. 육계의 대퇴부골밀도(BMD)는 뼈밀도측정기(pDEXA, Norland MedicalSystems Inc., White Plains, NY, USA)로 측정하였다.
<실시예 2>
실험 1에서 R과 R×Y 조명 처리구는 육계의 생산성을 높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래서 실험 2는 Y(600㎚), G(560㎚), B(480㎚), Y×G, G×B, W를 포함하는 6개의 처리구로 4반복, 방별 50수를 24. 1일령 육계 병아리 (Ross × Ross 308) 1,200수의 체중을 측정하고 성별의 구분 없이 무작위로 선택하여 24시간 동안 빛이 부족한 방에 두었다. 다른 모든 절차는 실험 1에서 서술한 것과 같다. 혈액, 근육, 뼈 시료를 채취하였고 실험 1에서 서술한 대로 분석하였다. 처리구별 혈액시료는 3주와 5주에 날개 정맥에서 천공법으로 채취하였다. 채취 혈액은 혈전이 형성되도록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방치하고 4℃에서 400g 속도로 8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혈청을 분리하여 4℃에서 4시간 저장한 다음 IgG와 IgA를 분석 할 때까지 70℃에서 보관하였다가, 페레즈 카바자가 서술한 대로 ELISA 정량키트법으로 닭의 IgG와 IgA를 분석하였다.
<시험예 2>
<생산성>
실험 1의 육계생산성은 조명 빛에 의하여 영향을 받았다(표 1). 초이사료 섭취기간 동안(07일) Y와 G 조명 처리구는 다른 조명 처리구와 비교하여 체중이 증가한 것을 보였다. 초기 사육기간 동안(23주) R, R×Y, 그리고 W 조명 처리구와 비교하여 G와 G×B 조명 처리구에서 증체량의 유의한 증가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Y, Y×G, G, G×B 조명 처리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체량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후기 사육기간 동안의(45주) 증체량은 다른 조명 처리구보다 B와 G×B 조명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증체량이 높았다. R 조명은 같은 기간 동안 증체량이 유의하게 낮았다. 혼합 조명인 R×Y와 Y×G 조명 처리구의 성장률은 높지 않았다.
후속 사양시험에서 07일 동안(표 4)의 조명처리에 따른 증체량은 차이는 없었다. 721일로 연장한 생육기간 동안 G, G×B 조명 처리구의 육계 증체량은 증가하였지만, Y, Y×G, G, G×B 조명 처리구의 증체량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성장이 연장(2235일)된 기간 동안 B 조명을 조사한 육계의 증체량이 증가하였다. G×B 조명 처리구는 B 조명 처리구와 유사한 효과가 있었으나 G 조명 처리구보다 증체량이 더 높았다. 2 개의 사양시험에서 사료 섭취량은 조명 처리에 의해 영향이 없었으나 G 조명 처리구에서 수치상으로 좀 더 높은 값을 얻었다. 이와 유사하게 FCR도 조명 처리에 의한 영향이 없었다.
<흉근의 육질>
실험1에서 조명 빛에 조사된 35일령 육계의 흉근의 육질특성을 분석하였다. 흉근의 pH, 명도(CIE L* b*), 전단력의 분석결과는 조명 처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2). 그러나 Y×G, G, G×B, B 처리구와 R, R×Y, W 조명 처리구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가열감량은 조명 빛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흉근 pH는 B와 G×B 조명을 조사한 육계에서 증가하였으나 R, R×Y, Y 조명을 조사한 육계에서는 감소하였다. 육질의 명도(CIE L* b*)는 R, R×Y, Y 조명 처리구에서 더 높았다. B, G×B, G, Y×G 처리구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표 2). 한편 명도의 적색(a*)은 조명 빛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전단력은 파장에 따라 변하여 결과적으로 장파장은 전단력이 증가하고 더 짧은 파장인 B 조명에 의해 점차 감소하였다. 실험 2에서 B와 G×B 처리구는 다른 처리구구보다 pH는 높았고 전단력과 명도의 황색(CIE b*)은 낮아졌다(P<0.05). 흉근의 B와 G×B 조명을 조사한 육계의 흉근이 더 부드러운 구조를 보여주었으나(P<0.05) 가열감량은 조명 빛에 영향이 없었다.
<혈액성상과 골밀도>
혈청 글루코스, HDL과 LDL 콜레스테롤 함유량은 실험 1의 B 조명 처리구에서 유의하게(P<0.05) 낮아졌다(표 3). G, G×B, 그리고 B 조명을 조사한 혈액시는 글루코스, HDL과 LDL 콜레스테롤의 유사한 수치를 보였다. 이와 반대로 알부민, 총단백질, 트리글리세리드, 총콜레스테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음의 연구에서, Y와 W 조명을 처리하여 사육한 육계의 혈청 글루코스는 증가하였으나(P<0.05), Y×G, G, G×B, B 처리구에서 다른 차이는 없었다. 혈청의 알부민, 총단백질, 트리글리세리드, 총 콜레스테롤, HDL과 LDL 콜레스테롤의 농도는 조명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간 기능은 2개의 사양시험이 끝나는 시점에서 혈청지오티(AST, U/I)와 혈청지피티(ALT, U/I) 수준을 측정하여 조사하였다. 2 개의 사양시험에서 혈청 지오티외 지피티는 조명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B와 G×B 조명 처리구의 육계에서 활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실시예 1의 대퇴부 BMD는 Y 조명 처리구가 R, R×Y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지만(P<0.05), 5 주령의 Y×G, G, G×B, B 처리구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실험 2에서 조명 처리에 의한 대퇴부의 BMD는 영향이 없었다(표 5). 더 나아가 Y×C, G×B의 혼합조명은 육계의 BMD에 유사한 영향을 주었다.
<혈청 IgA와 IgG>
21일령과 35일령 혈청의 항체수준(IgA와 IgG)을 측정하였다. 육계를 Y와 G 조명하에서 사육한 IgG의 수준이 W 조명하에서 사육한 육계보다 더 높아 유의한 차이(P<0.05)를 보였으나, Y×G, G×B 그리고 B 조명을 처리한 육계의 IgG 수준은 중간 정도였다. 반면에, B 조명을 조사한 35일령 육계의 IgG 수준이 가장 높았으나(P<0.05), Y, Y×G, G, G×B와 B 조명 처리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른 조명을 처리한 21일령 육계의 혈청 IgA 수준은 다양한 형태(P<0.05)를 보여 W 조명하에서 사육한 육계의 IgA 수준이 더 낮았다. 그러나 혈청 IgA 수준은 Y, Y×G, G, G×B, B 조명 처리로 사육한 육계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35일령 육계의 IgA수준은 B와 G×B 조명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P<0.05).
다양한 광원에 따른 양계용 닭의 성과에 대한 영향(실험1)
처리구 R R×Y Y Y×G G G×B B W SEM P value
증체량 (g)
0-7 d 105.9 107.3 109.4 107.5 108.9 107.1 102.9 108.1 0.76 0.24
8-21d 660.6c 673.8bc 685.9ab 675.1abc 694.1a 687.1ab 670.5bc 667.9bc 2.71 0.03
22-35d 1083.6c 1080.6c 1106.4abc 1105.1bc 1110.1ab 1127.9a 1131.8a 1090.1bc 8.17 0.005
사료섭취량 (g)
0-7 d 108.4 110.6 110.5 110.5 109.4 108.7 104.6 113.2 1.13 0.71
8-21d 990.1 983.6 987.9 991.9 997.4 1004.3 1002.7 990.2 3.26 0.79
22-35d 1943.8 1962.3 1954.6 1948.1 1990.7 1977.6 1978.1 1939.9 9.25 0.85
사료요구율
0-7 d 1.02 1.03 1.01 1.03 1.01 1.03 1.02 1.05 0.76 0.24
8-21d 1.49 1.45 1.42 1.45 1.48 1.49 1.49 1.48 0.01 0.06
22-35d 1.79 1.82 1.75 1.76 1.79 1.75 1.76 1.78 0.01 0.53
SEM, standard error of mean;
a,b,c values in a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s differ significantly (P < 0.05);
R, Red; Y, yellow; G, green; B, blue; W, white; R × Y, red × yellow;
Y × G, yellow × green; G × B, green × blue
다양한 광원에 따른 양계용 닭의 육질 영향
처리구 R R×Y Y Y×G G G×B B W SEM P value
실험 1
Cooking loss(%) 6.41 5.77 5.95 6.36 5.75 5.42 6.14 6.49 0.13 0.44
Meat color L* 54.42p 53.39p 54.53p 52.69pq 52.89pq 51.30pq 50.79q 52.03pq 0.30 0.03
a* 1.04 0.93 0.85 0.87 0.65 0.64 0.88 0.72 0.12 0.596
b* 9.50p 9.37p 9.76p 8.87pq 8.92pq 8.79pq 8.02q 9.29p 0.16 0.029
pH 5.84c 5.94bc 5.96bc 6.04ab 6.05ab 6.14a 6.06ab 6.01ab 0.02 0.003
Shearforce(kgf) 3.97ab 3.95ab 3.35bc 3.42bc 3.70abc 3.32bc 3.15c 4.11a 0.01 0.01
실험 2
Cooking loss (%) 7.81 7.92 6.57 7.94 7.15 7.70 0.17 0.11
Meat color L* 54.63 52.43 54.23 52.28 53.63 54.08 0.42 0.51
a* 0.80 0.70 0.68 0.63 0.61 0.60 0.05 0.70
b* 9.31p 7.72r 8.66pqr 7.65r 7.88qr 9.12pq 0.21 0.03
pH 5.86b 5.88b 5.91ab 5.91ab 5.98a 5.85b 0.01 0.02
Shear force (kgf) 3.94abc 4.06ab 3.78abc 3.13bc 2.66c 4.49a 0.19 0.04
SEM, standard error of mean;
a,b,c values in a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s differ significantly (P < 0.05);
R, Red; Y, yellow; G, green; B, blue; W, white; R × Y, red × yellow;
Y × G, yellow × green; G × B, green × blue
다양한 광원에 따른 양계용 닭의 혈액 조성의 영향
처리구 R R×Y Y Y×G G G×B B W SEM P value
실험 1
Alb(g/dl) 1.27 1.18 1.24 1.27 1.78 1.30 1.24 1.23 0.01 0.15
TP(g/dl) 2.71 2.44 2.45 2.71 2.56 2.77 2.42 2.63 0.04 0.31
Glu(mg/dl) 225.66ab 234.95a 240.64a 233.41ab 225.80ab 223.04ab 209.58b 218.92ab 2.78 0.12
TG(mg/dl) 63.33 68.70 77.50 71.89 55.50 73.10 62.60 58.33 3.10 0.21
CHOL(mg/dl) 110.22 106.40 106.90 121.44 117.20 120.80 106.20 122.00 1.84 0.17
HDL(mg/dl) 87.67ab 94.40a 89.20ab 91.11a 86.90ab 89.80ab 79.50b 97.33a 1.36 0.01
LDL(mg/dl) 15.20a 12.13ab 13.60ab 16.58a 14.18ab 13.38ab 10.18b 15.14a 1.21 0.04
AST(U/L) 236.43 234.81 270.23 281.62 234.32 217.17 219.79 244.46 6.58 0.18
ALT(U/L) 1.67 1.67 1.27 2.29 1.15 1.87 1.20 1.66 0.11 0.23
실험 2
Alb (g/dl) 1.39 1.34 1.32 1.41 1.39 1.34 0.01 0.67
TP (g/dl) 2.94 2.83 2.78 2.70 2.89 2.78 0.04 0.33
Glu (mg/dl) 253.82a 243.47abc 239.04bc 243.08abc 228.22c 246.31ab 2.03 0.01
TG (mg/dl) 64.86 56.33 62.70 60.01 60.75 47.38 1.85 0.38
CHOL (mg/dl) 117.37 112.75 110.11 120.75 116.22 110.89 1.49 0.56
HDL (mg/dl) 92.01 88.60 85.10 93.20 87.01 87.60 1.48 0.83
LDL (mg/dl) 15.95 16.11 11.29 16.83 12.73 9.94 0.81 0.26
AST (U/L) 241.22 231.99 221.27 210.79 207.79 216.73 5.01 0.76
ALT (U/L) 1.67 1.91 1.81 1.66 1.53 1.92 0.26 0.59
a,b, cValues in a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s differ significantly (p < 0.05);
R, red; Y, yellow; G, green; B, blue; W, white; R × Y, red × yellow; Y × G,
yellow × green; G × B, green × blue; ALB, albumin; TP, total protein; Glu, glucose; TG, triacylglyceride; CHOL, cholesterol; HDL, high density lipoprotein; LDL, low density lipoprotein;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다양한 광원에 따른 양계용 닭의 성(장)능에 대한 영향(실험2)
처리구 Y Y×G G G×B B W SEM Pvalue
증체량 (g)
0-7d 106.06 103.85 107.83 105.48 100.63 107.01 1.02 0.27
8-21d 651.27ab 643.45b 659.22a 656.53a 640.82b 641.46b 2.44 0.001
22-35d 1122.87 bc 1121.39bc 1144.71ab 1153.54a 1154.18a 1099.54c 5.53 0.001
사료섭취량 (d)
0-7d 113.48a 113.19a 114.29a 111.81a 106.67b 116.64a 1.68 0.01
8-21d 959.88ab 942.18b 984.25a 979.58a 949.14b 963.29ab 6.42 0.01
22-35d 2002.54 2006.13 2039.03 2060.81 2020.57 2010.71 10.36 0.59
사료요구율
0-7d 1.07 1.09 1.06 1.06 1.06 1.09 0.01 0.93
8-21d 1.47 1.47 1.49 1.49 1.44 1.49 0.01 0.08
22-35d 1.78 1.79 1.78 1.79 1.75); 1.83 0.01 0.29
SEM, standard error of mean;
a,b,c values in a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s differ significantly (P < 0.05);
Y, yellow; G, green; B, blue; W, white; Y × G, yellow × green; G × B, green
× blue
다양한 광원에 따른 양계용 닭의 골무기질 밀도에 대한 영향
처리구 R R×Y Y Y×G G G×B B W SEM P value
BMD (g/ cm 2 )
실험 1 0.184b 0.183b 0.189a 0.186ab 0.187ab 0.188ab 0.186ab 0.185ab 0.0011 0.048
실험 2 0.195 0.192 0.193 0.193 0.192 0.187 0.0018 0.217
SEM, standard error of mean; a,b values in a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s
differ significantly (P < 0.05); R, red; Y, yellow; G, green; B, blue; W, white; R × Y, red × yellow; Y × G, yellow × green; G × B, green × blue
다양한 광원에 따른 혈청 임뮤노그로블린 G와 A농도에 대한 영향(실험2)
처리구 Y Y×G G G×B B W SEM P value
IgG ( mg / ml )
3rdweeks 1.58a 1.03ab 1.43ab 1.13ab 1.19ab 0.97b 0.05 0.001
5thweeks 2.25a 1.8ab 2.18a 1.96ab 2.29a 1.49b 0.08 0.021
IgA (/ ml )
3rdweeks 21.85a 16.35ab 19.83a 16.89ab 17.57ab 14.54b 0.89 0.031
5thweeks 20.87ab 19.72b 21.42ab 22.14a 22.84a 19.41b 0.96 0.014
SEM, standard error of mean;
a,b values in a row with no common superscripts differ significantly (P < 0.05);
Y, yellow; G, green; B, blue; W, white; Y × G, yellow × green; G × B, green
× blue
본 발명은 LED단일파장의 적색, 녹색, 청색 또는 LED혼합파장의 황색*녹색, 녹색*청색, 적색*황색으로 양계에 조사하면 증체량과 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혈청의 면역글로블린A와 G가 높아져 면역력이 좋아진다. 따라서 양계 또는 육계에 LED조명은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5)

  1. LED 조명을 양계장에 설치하는 단계와, 닭을 양계장에서 입식하여 식이급여 및 사양시험하는 단계와, 시험기간 동안 닭의 면역력을 측정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LED 조명을 이용한 육계의 면역력 강화 방법으로서,
    상기 LED 조명은 녹색(G) 조명과 청색(B) 조명의 혼합조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을 이용한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력 강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은 3.2V 램프 디바이스 및 LED 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을 이용한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력 강화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은 3.2V 광 디바이스, LED 판, 거치대, 전원공급장치 및 광 콘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조명을 이용한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력 강화 방법.
KR1020130135483A 2013-11-08 2013-11-08 Led조명을 이용한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력 강화 방법 KR102357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483A KR102357999B1 (ko) 2013-11-08 2013-11-08 Led조명을 이용한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력 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483A KR102357999B1 (ko) 2013-11-08 2013-11-08 Led조명을 이용한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력 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489A KR20150053489A (ko) 2015-05-18
KR102357999B1 true KR102357999B1 (ko) 2022-02-07

Family

ID=5339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483A KR102357999B1 (ko) 2013-11-08 2013-11-08 Led조명을 이용한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력 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932B1 (ko) * 2020-01-03 2021-12-0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백색 led를 이용하여 육계의 생산성 및 면역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2439872B1 (ko) * 2020-08-11 2022-09-05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백색 led를 이용하여 육계의 안정감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7468A (ja) 2011-07-13 2013-01-31 Jr William J Odom 鳥類の小屋を照明する装置およ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368B1 (ko) * 2009-11-30 2012-04-26 주식회사 이코바이오 Led를 이용한 닭의 사육방법
KR20130049109A (ko) * 2011-11-03 2013-05-13 (주)이프리시스템 Led를 이용한 닭 사육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7468A (ja) 2011-07-13 2013-01-31 Jr William J Odom 鳥類の小屋を照明する装置および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민지,‘육계에서의 LED 점등 활용효과’ 월간 닭고기, 제18권제12호, 86~88쪽, (2012.12.01. 공개)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489A (ko)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im et al. Growth performance and hematological traits of broiler chickens reared under assorted monochromatic light sources
Firouzi et al. Effects of color lights on performance, immune response and hematological indices of broilers
Hassan et al. A comparison of monochromatic and mixed LED light color on performance, bone mineral density, meat and blood properties, and immunity of broiler chicks
Soliman et al. Impact of lighting color and duration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Newcastle disease vaccination efficiency in broiler chickens
Min et al. Effect of monochromatic light on sexual maturity, producti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laying hens
Soliman et al. Light wavelengths/colors: Future prospects for broiler behavior and production
Zhang et al. Effect of a combination of green and blue monochromatic light on broiler immune response
Olanrewaju et al. Influence of light sources and photoperiod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health indices of broilers grown to heavy weights
Arowolo et al. The implication of lighting programmes in intensive broiler production system
Li et al. Influence of lighting schedule and nutrient density in broiler chickens: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Farghly et al. Intermittent lighting regime as a tool to enhance egg production and eggshell thickness in Rhode Island Red laying hens
CN106063379A (zh) Dc led农业照明组件
CN105706530A (zh) Dc led无驱动照明组件
Liu et al. Effect of fluorescent vs. poultry-specific light-emitting diode lights on producti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of W-36 laying hens
Parvin et al. Light emitting diode (LED) as a source of monochromatic light: a novel lighting approach for immunity and meat quality of poultry
Rierson Broiler preference for light color and feed form, and the effect of light on growth and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Seo et al. Effects of various LED light colors on growth and immune response in broilers
Wei et al. Effects of a two-phase mixed color lighting program using light-emitting diode lights on layer chickens during brooding and rearing periods
Farghly et al. Application of intermittent feeding and flash lighting regimens in broiler chickens management
Kamanli et al. Effect of different light sources 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traits in laying hens
Geng et al. Effects of light regime on the hatching performance, body development and serum biochemical indexes in Beijing You Chicken
Hassan et al. Effect of monochromatic and combined LED light colours on performance, blood characteristics, meat fatty acid composition and immunity of broiler chicks. Europ
KR102357999B1 (ko) Led조명을 이용한 육계의 생산성 향상과 면역력 강화 방법
Biyatmoko Effects the combinations of light color and intensity of light to age at first laying and production egg of Alabio laying ducks.
KR102392949B1 (ko) Led조명을 이용한 산란계의 산란능력 향상과 혈액성상 개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02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106

Effective date: 20211207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