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561B1 -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561B1
KR102357561B1 KR1020190025907A KR20190025907A KR102357561B1 KR 102357561 B1 KR102357561 B1 KR 102357561B1 KR 1020190025907 A KR1020190025907 A KR 1020190025907A KR 20190025907 A KR20190025907 A KR 20190025907A KR 102357561 B1 KR102357561 B1 KR 102357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hose
filter medium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7181A (ko
Inventor
류주선
Original Assignee
미노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노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노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5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56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7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7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0Respiratory apparatus with filt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12Respiratory apparatus with fresh-air h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가 개시된다.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는, 코와 입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마스크와, 마스크와 호스로 연결되는 공기통을 포함하고, 호스에 결합되어 공기를 여과시켜주는 것이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필터체;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공기통과 호스를 연결하되 공기통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제거할 수 있고, 필터의 전단이 돌출되거나 오목한 원추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입자가 큰 이물질이 흡입구를 막지 않도록 하여 기능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Filter equipment for air respirators}
개시되는 내용은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등에 착용하는 장착대에 공기통이 구비되고, 머리에 착용하는 마스크와, 공기통과 마스크를 연결하는 공기호스로 구성되며, 공기통의 공기를 여과시켜주도록 하는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난사고는 열과 화염, 유독가스를 발생시킴으로써 사람을 위험에 빠지게 한다. 알려진 바로는 화재가 발생한 후 2~5분 정도 경과하면 유독가스와 연기로 인해 질식상황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인명을 보호하기 위해 공기호흡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공기호흡장치는 분진, 유해가스등이 발생하는 산업현장이나 산소결핍장소의 작업자, 지하철 등에서의 화재발생 및 화재 현장 등의 인명구조원(소방대원)들이 착용하여 안면을 보호하면서 인체에 유해한 가스의 흡입을 방지하고자 사용되는 것이다.
종래 비상용 공기 호흡장치는 코와 입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마스크와, 이 마스크와 호스로 연결되는 공기통이 구비된다.
한편 공기통으로부터 호스를 통해 공기가 이송되어 마스크로 공급되어 호흡에 사용되는데 공기통의 내면에는 라이너가 형성되어 있으나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라이너의 부식으로 인한 이물질이 발생되고, 이를 호흡과정에서 흡입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실용신안출원 20-2008-0009873
개시되는 내용은 공기통과 호스를 연결하되 공기통 내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시예의 목적은, 코와 입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마스크와, 마스크와 호스로 연결되는 공기통을 포함하고, 호스에 결합되어 공기를 여과시켜주는 것이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필터체;를 포함하는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체는 재질과 공극의 크기가 상이한 다수의 여과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체는 입구에 대응되는 1차 여과재와, 1차 여과재에 부착 형성되는 2차 여과재와, 2차 여과재에 부착 형성되는 3차 여과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여과재는 유독가스를 여과하는 활성탄이고, 상기 1차, 3차 여과재는 부직포, 솜, 스폰지 중 택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여과재 또는 3차 여과재는 원추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원추형상으로 오목한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통과 호스를 연결하되 공기통 내의 이물질을 걸러내어 제거할 수 있고, 필터의 전단이 돌출되거나 오목한 원추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입자가 큰 이물질이 흡입구를 막지 않도록 하여 기능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에서 필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원추형상으로 돌출된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원추형상으로 오목한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에서 필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원추형상으로 돌출된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원추형상으로 오목한 필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호흡기는 코와 입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마스크(100)와, 마스크(100)와 호스(120)로 연결되는 공기통(140)을 포함한다.
공기통(140)의 밸브에는 레귤레이터(160)가 결합되어 압력을 낮춰주고 정압으로 유지되도록 하며, 레귤레이터(160)에 호스(120)의 단부가 결합된다.
레귤레이터(160)에는 뾰족하게 돌출되어 공기가 분출되는 니플(162)이 형성되고, 이 니플(162)에 호스(120)의 단부가 억지끼움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필터장치(A)는 레귤레이터(160)의 니플(162)과 호스(120) 사이에 장착되어 공기통(140)에서 흡입된 공기를 여과시키게 된다.
실시예에 따른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A)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 입구(202)와 출구(204)가 형성된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결합되는 필터체(300);를 포함한다.
하우징(200)은 레귤레이터(160)의 니플(162)이 끼움 결합되도록 일측에 입구(202)가 형성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며 타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본체(220); 본체(220)의 나사산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며 일측에 출구(204)가 형성되어 호스(120)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터체(300)는 재질과 공극의 크기가 상이한 다수의 여과재로 구성되며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된다.
본체(220)와 결합구(240)를 분리하면 필터체(300)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체(300)를 새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00)의 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필터체(300)를 경유하면서 걸러지게 된 후 출구(204)를 통해 배출되어 호스(120) 및 마스크(100)로 공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필터체(300)는 이물질의 입자 크기 별로 여과하도록 다공질이되 공극의 크기가 상이한 재질이 조합되어 이루어진다.
아울러 유독물질을 걸러낼 수 있도록 활성탄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필터체(300)는 입구에 대응되는 1차 여과재(310)와, 1차 여과재(310)에 부착 형성되는 2차 여과재(320)와, 2차 여과재(320)에 부착 형성되는 3차 여과재(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차 여과재(320)는 유독가스를 여과하는 활성탄 또는 카본필터로 이루어진다. 활성탄은 코코넛 소재가 적용하다.
또한 2차 여과재(320)는 공기통(140)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는 미세한 수분 입자를 걸러내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1차 여과재(310) 또는 3차 여과재(330)는 부직포, 솜, 스폰지 중 택일된다.
1차, 3차 여과재(310,330)는 입자가 굵은 이물질을 걸러내게 되며, 2차 여과재(320)는 입자가 작은 이물질 및 유독성 가스를 여과시키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체(300)의 양단부 또는 입구에 대응하는 일단부에는 큰 입자의 이물질이 흡입력에 의해 달라붙어 호흡불능의 상태에 빠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1차 여과재(310) 또는 3차 여과재(330)의 단부에 원추형상의 돌출부(350)가 형성된다.
또는 1차 여과재(310) 또는 3차 여과재(330)의 단부에 원추형상으로 오목한 요홈(36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입자가 큰, 예를 들어 공기통 내면에 코팅된 라이너가 부식되어 박리되어 발생되는 라이너 파티클이 호흡 과정에서 하우징(200)의 입구(202)로 인입되었을때 필터체(300)의 돌출부(350) 또는 요홈(360)에 밀착되더라도 부분적으로만 접촉되는 상태이므로 호흡을 완전히 막지 않게 되어 안전을 위협하지 않게 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마스크 120 : 호스
140 : 공기통 160 : 레귤레이터
162 : 니플 200 : 하우징
202 : 입구 204 : 출구
220 : 본체 240 : 결합구
300 : 필터체 310 : 1차 여과재
320 : 2차 여과재 330 : 3차 여과재
350 : 돌출부 360 : 요홈

Claims (6)

  1. 코와 입부를 외부와 차단하는 마스크와, 마스크와 호스로 연결되는 공기통을 포함하고,
    상기 호스에 결합되어 공기를 여과시켜주는 것이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필터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며 타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타측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나사산에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며 일측에 출구가 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체는 재질과 공극의 크기가 상이한 다수의 여과재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본체의 입구에 대응되는 1차 여과재와, 1차 여과재에 부착 형성되는 2차 여과재와, 2차 여과재에 부착 형성되는 3차 여과재를 포함하고,
    상기 2차 여과재는 유독가스 또는 수분을 제거하도록 활성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1차, 3차 여과재는 원추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거나 또는 원추형상으로 오목한 요홈이 형성된 스폰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25907A 2019-03-06 2019-03-06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 KR102357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07A KR102357561B1 (ko) 2019-03-06 2019-03-06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907A KR102357561B1 (ko) 2019-03-06 2019-03-06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181A KR20200107181A (ko) 2020-09-16
KR102357561B1 true KR102357561B1 (ko) 2022-02-04

Family

ID=72670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907A KR102357561B1 (ko) 2019-03-06 2019-03-06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3151B1 (ko) 2020-12-08 2023-08-04 주식회사 도아로보틱스 산업용 공기 호흡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60Y1 (ko) * 2013-08-06 2014-12-05 서울특별시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호흡기
KR101763916B1 (ko) * 2016-01-27 2017-08-01 주식회사 에이런 막힘이 없는 금속필터 및 이 금속필터를 내장한 영구필터조립체
KR101904434B1 (ko) * 2016-03-11 2018-10-04 주식회사 블루인더스 마스크용 필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47213A1 (en) * 1986-05-21 1987-12-02 B. Braun-SSC AG Filter for eliminating air
JPH09303615A (ja) * 1996-05-15 1997-11-28 Tlv Co Ltd 弁部材内蔵型ストレ―ナ
KR101193732B1 (ko) * 2010-12-20 2012-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여과면적이 확대된 수처리용 필터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60Y1 (ko) * 2013-08-06 2014-12-05 서울특별시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호흡기
KR101763916B1 (ko) * 2016-01-27 2017-08-01 주식회사 에이런 막힘이 없는 금속필터 및 이 금속필터를 내장한 영구필터조립체
KR101904434B1 (ko) * 2016-03-11 2018-10-04 주식회사 블루인더스 마스크용 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7181A (ko) 202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20100503A4 (en) Filter Mask with UV LED
AU2020100228A4 (en) Filter Mask with UVC LED
RU2169595C2 (ru)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т вдыхания дыма при чрезвычайных ситуациях
US7320722B2 (en)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that has rapid threaded clean air source attachment
KR101739568B1 (ko) 코마스크에 배기밸브를 구비한 미세먼지 제거 호흡기
RU2397705C2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подачи/очистки воздуха
RU2183485C2 (ru) Автономный дых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противодымным фильтром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7404401B1 (en) Water respirator filter
KR101865298B1 (ko) 화재대피용 라이프마스크
GB2032284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reathing apparatus
RU97105364A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защиты от вдыхания дыма в аварийных ситуациях
RU98123197A (ru) Лицевая маска с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м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ритической ситуации противодымным фильтром и способ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я
CN203750046U (zh) 消防过滤式自救呼吸器
AU2009257188A1 (en) Clean air receiving module and personal respiratory protective systems incorporating the module
KR102357561B1 (ko) 공기호흡기의 필터장치
KR101340583B1 (ko) 휴대용 산소호흡기
CN205598455U (zh) 带过滤罐的正压式空气呼吸器的呼吸面罩
CN106730455A (zh) 气囊式烟雾重复过滤呼吸装置
US6799573B1 (en) Air filtration system
KR200431561Y1 (ko) 산소호흡기용 후드
KR101641635B1 (ko) 가스 정화 장치
CN112121325B (zh) 鼻插式口罩
KR20170122646A (ko) 방독겸용 방연마스크
CN104399198B (zh) 一种消防柜
KR101607577B1 (ko) 방독면이 장착된 분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