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238B1 -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 - Google Patents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238B1
KR102357238B1 KR1020210141460A KR20210141460A KR102357238B1 KR 102357238 B1 KR102357238 B1 KR 102357238B1 KR 1020210141460 A KR1020210141460 A KR 1020210141460A KR 20210141460 A KR20210141460 A KR 20210141460A KR 102357238 B1 KR102357238 B1 KR 102357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
clamping body
probe
clamping
imped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현
Original Assignee
애프터레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프터레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프터레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1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 G01N27/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 G01N27/048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impedance by investigating resistance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98Plants or tre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Abstract

삽입 깊이를 적절히 조절해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고,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힌지축을 매개로 체결된 제1, 2클램핑바디; 제1클램핑바디의 일단에 설치되고, 탐침 대상인 식물로 소정 깊이 삽입되어 식물 내부의 바이오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탐침핀; 제1, 2클램핑바디가 식물의 외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제1, 2클램핑바디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 및 탐침핀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제1, 2클램핑바디 사이에 체결되고, 탄성지지부에 탄성력에 대응해 제1, 2클램핑바디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식물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제한하는 압박조절볼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과다한 가압력으로 인한 식물 괴사 등을 방지하고, 탐침핀의 위치 조절을 통해 검출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 {PROBE FOR MEASURING BIOELECTRICAL IMPEDANCE}
본 발명은 바이오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식물에 설치되는 탐침기구에 관한 것이다.
식물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는 온도, 수분, 영양분 등의 적절한 생육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실외의 자연환경이 아닌 실내에서 자라는 식물의 경우 이와 같은 생육환경의 조성이 보다 중요시된다. 물론 실외환경에서 자라는 식물의 경우에도 적절한 수분이나 영양분의 공급이 필요하다.
이러한 배경에서 식물의 생육상태나 환경에 대한 정보들을 측정해 알려주기 위한 수단들이 개발되어 왔다. 일 예로 등록특허 제10-1875114호의 "화분용 보급형 스마트 생장감지 모듈"은 온도, 습도, 토양 등 식물의 생육에 필요한 환경상태를 측정해 정보 제공하는 수단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수분감지센서 등이 포함된 탐침수단이 토양에 삽입되어 각종 생육환경을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토양에 설치되는 타입 외에, 식물에 직접 삽입되어 식물 내 수분량 등을 측정하는 수단들도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 식물에 설치되는 탐침기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의 탐침기구는 탐침핀 등이 식물의 물관에 꽂혀 수분 함유량에 따른 전류의 변화를 통해 식물 내 수분량 등을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탐침기구는 현재 식물의 생육상태를 적절히 감지해 수분, 영양분 등의 공급에 반영되도록 함으로써, 식물의 보다 건강한 성장을 유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일조량이 많은 환경의 경우, 식물 내에서 광합성이 활발히 일어나고 수분과 양분(비료)를 많이 소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물관 내에서는 수분(물)의 속도가 빠르게 나타나고, 탐침기구는 전류값을 통해 이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감지된 정보에 따라 수분, 양분 등의 생육에 필요한 요소들이 보다 충분히 제공되어, 식물의 성장을 촉진하게 된다. 반대로 일조량이 적은 환경의 경우, 수분과 양분의 소비가 적어지고, 물관 내 수분의 속도가 느리게 나타나며, 탐침기구의 전류값을 통해 이를 감지해 수분, 양분 등의 공급에 적절히 반영될 수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탐침기구에 있어서, 탐침기구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태로 탐침핀을 식물의 줄기에 직접 찔러 넣어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탐침기구는 줄기로 삽입된 탐침핀의 지지력에 의해 위치 유지된다. 이에 따라 탐침기구가 줄기에 적절히 고정되지 못하고, 이탈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대안으로 탐침기구 등을 테이프, 밴드 등으로 고정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으나, 임시방편적인 방법에 불과하고 상당히 번거롭기도 하다.
보다 중요한 문제는, 식물의 종류, 나이, 성장상태, 측정위치 등에 따라 수피(나무껍질)로부터 물관까지의 깊이가 상이하고, 수피의 강도 또한 각각 상이하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각 상황에 맞춰 탐침 깊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현재는 이를 조절할 만한 특별한 수단이 없어 사용자의 숙련도에 의존해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 이로 인해 가느다란 식물에 과도하게 탐침핀을 찔러 넣어 식물이 죽거나, 나무 등과 같이 두꺼운 식물에 팀침핀이 충분한 깊이로 삽입되지 못해 측정 정확도가 떨어지는 상황들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875114호(2018년 6월 29일 등록)
본 발명은 삽입 깊이를 적절히 조절해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고, 측정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힌지축을 매개로 체결된 제1, 2클램핑바디; 상기 제1클램핑바디의 일단에 설치되고, 탐침 대상인 식물로 소정 깊이 삽입되어 상기 식물 내부의 바이오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탐침핀; 상기 제1, 2클램핑바디가 상기 식물의 외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2클램핑바디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 및 상기 탐침핀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2클램핑바디 사이에 체결되고, 상기 탄성지지부에 탄성력에 대응해 상기 제1, 2클램핑바디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식물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제한하는 압박조절볼트;를 포함하는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탐침 대상인 식물에 따라 압박조절볼트가 회전 조작되어, 제1, 2클램핑바디 일단의 간격이 조절되는 단계; 상기 제1, 2클램핑바디가 상기 식물에 클램핑되는 단계; 상기 제1클램핑바디에 마련된 탐침핀이 상기 식물 내부로 삽입되는 단계; 상기 제1, 2클램핑바디의 타측에 마련된 압박조절볼트에 의해, 상기 제1, 2클램핑바디가 상기 식물에 가하는 압박이 제한되는 단계; 및 상기 탐침핀이 회전 조작되어, 상기 식물 내부로의 탐침 깊이가 조절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를 사용한 탐침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는 식물의 줄기 등에 가해지는 압력을 적절히 조절해 과다한 가압력으로 인한 식물 괴사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는 탐침핀의 설치 깊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각 식물의 특성이나 탐지대상 등에 따라 보다 정확한 위치로 탐친핀을 위치시키고, 검출 정확도 또한 보다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식물에 설치되는 탐침기구의 일 예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를 보여주는 제1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제2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의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가 반드시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서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불분명하게 하거나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를 보여주는 제1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제2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이하, "탐침기구(100)"로 지칭)는 클램핑바디(11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램핑바디(110)는 탐침기구(10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클램핑바디(110)는 대략 집게 형태를 가진 것으로 예시되고 있으나, 클램핑바디(110)의 형상은 후술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예시된 형상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클램핑바디(110)는 제1클램핑바디(111) 및 제2클램핑바디(110)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제1클램핑바디(111)는 클램핑바디(110)의 상부 측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제2클램핑바디(110)는 클램핑바디(110)의 하부 측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시된 바에 따르면 제1클램핑바디(111) 및 제2클램핑바디(110)는 상호 대칭적인 형상을 갖고 있으나, 반드시 제1, 2클램핑바디(111, 112)가 대칭적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제1, 2클램핑바디(111, 112)는 상호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2클램핑바디(111, 112)는 힌지결합부(114)를 매개로 상호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113)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결합부(114) 내지 힌지축(113)을 제1, 2클램핑바디(111, 112)의 길이방향 중단 부위에 배치될 수 있다. 힌지축(113)을 중심으로 제1, 2클램핑바디(111, 112)의 전단 부위는 식물의 줄기 등을 파지하는 부위로 의도되고, 후단 부위는 사용자의 조작력이 가해지는 부위로 의도될 수 있다.
한편 제1, 2클램핑바디(111, 112)에는 각각 보호패드(115)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클램핑바디(110)와 맞닿는 제1클램핑바디(111)의 일측 단부에는 제1보호패드(116)가 구비될 수 있고, 이와 유사하게 제1클램핑바디(111)와 맞닿는 제2클램핑바디(110)의 일측 단부에는 제2보호패드(117)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2보호패드(116, 117)는 탐침기구(100)의 설치를 위해 식물 줄기 등에 접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2보호패드(116, 117)는 줄기 등의 보호를 위해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제1, 2보호패드(116, 117)는 일부 또는 전부가 제1, 2클램핑바디(111, 112)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보호패드(115)는 클램핑바디(1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보호패드(115)는 소정의 기계적 결합구조나 결합수단을 통해 클램핑바디(110)에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클램핑바디(110)로부터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탐침기구(100)가 사용되는 식물의 특성 등에 따라 적절한 규격, 재질 등의 보호패드(115)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2클램핑바디(111, 112) 중 어느 하나에는 탐침핀설치홀(118)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클램핑바디(111)에 탐침핀설치홀(118)이 마련될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탐침핀설치홀(118)은 식물에 설치되기 위한 탐침핀(130)의 접근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제1클램핑바디(111)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탐침핀설치홀(118)은 필요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한 세트의 양극 및 음극에 대응되도록 2개의 탐침핀(130) 및 탐침핀설치홀(118)을 예시하고 있다. 다만 탐침핀(130) 및 탐침핀설치홀(118)의 개수가 반드시 예시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복수 세트 등이 구비될 수 있다.
탐침핀설치홀(118)은 탐침핀(130)이 식물의 줄기 등에 접근될 수 있도록 제1클램핑바디(111) 내지 제1보호패드(116)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예시된 바와 같은 경우 제1보호패드(116)에는 제2보호패드(117)와 달리 탐침핀설치홀(118)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탐침핀설치홀(118)은 탐침핀(130)이 식물의 줄기 등으로 접근할 수 있는 형태이면 예시된 바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컨대 탐침핀설치홀(118)은 제1클램핑바디(111)의 단부 오목하게 인입된 홈의 형태로 변형되어 탐침핀(130)의 설치를 가능하게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탐침기구(100)는 클램핑바디(110)를 탄성 지지해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지지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탄성지지부(120)는 힌지축(113)을 중심으로 제1, 2클램핑바디(111, 112)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120)는 제1, 2보호패드(116, 117)가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해 탐침기구(100)가 식물의 줄기 등 설치위치에서 결합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2클램핑바디(111, 112)는 탄성지지부(120)에 의해 외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각 단부의 제1, 2보호패드(116, 117)가 인접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제1, 2보호패드(116, 117) 간의 간격은 후술할 압박조절볼트(140)에 의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120)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의 탄성복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보편적으로 탄성지지부(120)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 스프링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축(113)의 후방에서 대략 "U"자형으로 굴곡진 판스프링의 형태로 탄성지지부(120)가 예시되고 있다. 다만 탄성지지부(120)는 예시된 바 이외에도 힌지축(113) 후방에 배치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이나, 힌지축(113) 전방에 배치되는 인장코일스프링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탐침기구(100)는 식물의 줄기 등에 꽂혀 식물 내 바이오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탐침핀(130)을 포함할 수 있다.
탐침핀(130)은 전술한 탐침핀설치홀(118)에 설치되어 단부가 제1보호패드(116)의 하측으로 소정 정도 노출될 수 있다. 노출 단부는 탐침 대상인 식물에 삽입 설치될 수 있다. 탐침핀(130)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2개의 탐침핀(130)을 예시하고 있다.
탐침핀(130)의 상단에는 케이블(131)이 연결될 수 있고, 탐침핀(130)에서 감지된 정보는 케이블(131)을 통해 소정의 모니터링 수단 등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탐침핀(130)은 식물 내 바이오 임피던스를 측정해 수분량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탐침핀(130)이나 탐침기구(100)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어 사용 가능한 것은 아니며, 식물의 줄기 등에 소정의 탐침수단을 삽입해 식물 내 각종 정보들을 취득하는 것이면, 다양한 목적이나 용도로 적절히 응용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탐침핀(130)은 제1클램핑바디(111)에 길이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탐침핀(130)은 제1클램핑바디(111)에 나사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위치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탐침핀(130)의 노출 상단 등은 볼트헤드나 너트 등의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의 조작력이 인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탐침기구(100)를 줄기 등에 고정시킨 후 탐침핀(130)을 회전 조작하여 탐침핀(130)의 깊이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탐침핀(130)이 물관 등에 대응되는 적절한 깊이로 설치됨에 따라, 검출 정확도도 보다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탐침기구(100)는 보호패드(115)의 반대측에서 클램핑바디(110)에 체결되는 압박조절볼트(14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조절볼트(140)는 힌지축(113)을 사이에 두고 보호패드(115)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단이 제1클램핑바디(111)에 체결되고, 하단이 제2클램핑바디(110)에 체결될 수 있다. 제1클램핑바디(111)에는 볼트체결홀(119)이 형성될 수 있고, 압박조절볼트(140)는 볼트체결홀(119)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다만 볼트체결홀(119)은 압박조절볼트(140)와 간섭되지 않도록 압박조절볼트(140)의 외경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압박조절볼트(140)의 상단에는 스토퍼(141)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41)는 볼트체결홀(119)보다 소정 정도 큰 외경을 갖고 압박조절볼트(140)의 이탈을 제한하게 된다.
압박조절볼트(140)의 하단 부위는 너트부(142)를 매개로 제2클램핑바디(110)에 체결될 수 있다. 압박조절볼트(140) 하단은 너트부(142)에 나사결합될 수 있고, 너트부(142)는 제2클램핑바디(1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박조절볼트(14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토퍼(141)가 너트부(142)를 향해 접근 이동될 수 있고, 반대로 회전시키면 스토퍼(141)가 너트부(14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즉, 스토퍼(141)와 너트부(142) 간의 간격이 사용자의 조작 등에 따라 적절히 가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너트부(142)가 제2클램핑바디(110)의 내부에 매립 설치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너트부(142)는 일부 또는 전부가 제2클램핑바디(1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일부 또는 전부가 제2클램핑바디(110)에 일체화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압박조절볼트(140)는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스토퍼(141)와 너트부(142) 간의 간격이 적절히 가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탐침기구(100)는 줄기의 크기나, 줄기에 가해지는 압박력의 크기 등이 적절히 조절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의 작동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탐침기구(100)는 식물의 종류, 나이, 성장상태, 측정위치 등에 따라 탐침핀(130)의 설치 깊이나 줄기에 가해지는 가압력 등을 적절히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의 (a)와 같이 상대적으로 얇은 줄기에 탐침기구(100)가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는 압박조절볼트(140)를 돌려 제1, 2보호패드(116, 117) 간의 간격을 충분히 근접시키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탐침기구(100)를 줄기에 클램핑해 설치할 수 있다. 반면 도 5의 (b)와 같이 상대적으로 굵은 줄기에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는 압박조절볼트(140)를 반대로 돌려 제1, 2보호패드(116, 117) 간의 간격을 넓힌 후 줄기에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줄기에 가해지는 압력이 적절하게 조절되어, 지나친 가압력으로 인한 식물이 괴사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2보호패드(116, 117) 간의 간격이나 탐침핀(130)의 길이방향 이동을 통해 탐침핀(130)의 설치 깊이 또한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 각 식물의 특성 등에 따라 보다 정확한 위치로 탐침핀(130)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검출 정확도 또한 보다 개선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장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탐침기구 110: 클램핑바디
120: 탄성지지부 130: 탐침핀
140: 압박조절볼트

Claims (8)

  1. 식물에 삽입되어 바이오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탐침기구에 관한 것으로,
    힌지축(113)을 매개로 체결된 제1, 2클램핑바디(111, 112);
    상기 제1클램핑바디(111)의 일단에 설치되고, 탐침 대상인 식물로 소정 깊이 삽입되어 상기 식물 내부의 바이오 임피던스를 측정하며, 상기 식물 내부로의 삽입 깊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1클램핑바디(111)에 나사결합되는 탐침핀(130);
    상기 제1, 2클램핑바디(111, 112)가 상기 식물의 외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2클램핑바디(111, 112) 사이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지지부(120); 및
    상기 탐침핀(130)으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제1, 2클램핑바디(111, 112) 사이에 체결되고, 상기 탄성지지부(120)에 탄성력에 대응해 상기 제1, 2클램핑바디(111, 112) 간의 간격을 유지하고, 상기 식물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제한하는 압박조절볼트(140);를 포함하는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탐침핀(130)은,
    상기 식물의 물관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물관 내부의 수분량에 따라 가변되는 전류값을 측정하도록 형성된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박조절볼트(140)는,
    일단이 상기 제1클램핑바디(111)의 볼트체결홀(119)로 삽입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클램핑바디(112)에 고정 배치된 너트부(142)로 나사결합되며, 길이방향을 축으로 상기 너트부(142)에 대해 회전 조작되어, 상기 제1, 2클램핑바디(111, 112)의 간격을 가변시키도록 형성된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볼트체결홀(119)은,
    상기 압박조절볼트(140)의 길이방향 이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상기 압박조절볼트(140)의 외경보다 소정 정도 크게 형성되고,
    상기 압박조절볼트(140)는,
    일단에 상기 볼트체결홀(119)로부터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41)가 구비되는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113)은,
    상기 탐침핀(130)이 배치된 상기 제1, 2클램핑바디(111, 112)의 전단과, 상기 압박조절볼트(140)가 배치된 상기 제1, 2클램핑바디(111, 112)의 후단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지지부(120)는,
    상기 힌지축(113)의 후방에서 상기 제1, 2클램핑바디(111, 112)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제1, 2클램핑바디(111, 112)의 전단이 서로 인접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2클램핑바디(111, 112) 간을 탄성 지지하도록 형성된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2클램핑바디(111, 112)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상기 식물의 외면을 접촉 지지하도록 형성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상기 탄성지지부(120)의 가압력에 의한 상기 식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보호패드(115)를 포함하는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
  8. 삭제
KR1020210141460A 2021-10-22 2021-10-22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 KR102357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460A KR102357238B1 (ko) 2021-10-22 2021-10-22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460A KR102357238B1 (ko) 2021-10-22 2021-10-22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7238B1 true KR102357238B1 (ko) 2022-02-08

Family

ID=8025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460A KR102357238B1 (ko) 2021-10-22 2021-10-22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723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634A (ko) * 2000-03-23 2001-10-26 구보타 요시로 측정 탐침 장치
KR20030070209A (ko) * 2002-02-21 2003-08-29 대한민국 (관리부서 농촌진흥청) 식물줄기의 전기저항 측정장치
KR20180038206A (ko) * 2016-10-06 2018-04-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75114B1 (ko) 2016-02-22 2018-07-05 주식회사 은진산업 화분용 보급형 스마트 생장감지 모듈
KR20200013338A (ko) * 2018-07-30 2020-02-0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식물의 상태를 전자기적/전기화학적 방법으로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85119A (ko) * 2019-12-30 2021-07-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식물 및 화분 토양의 상태를 전자기적 방법으로 분석하는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2634A (ko) * 2000-03-23 2001-10-26 구보타 요시로 측정 탐침 장치
KR20030070209A (ko) * 2002-02-21 2003-08-29 대한민국 (관리부서 농촌진흥청) 식물줄기의 전기저항 측정장치
KR101875114B1 (ko) 2016-02-22 2018-07-05 주식회사 은진산업 화분용 보급형 스마트 생장감지 모듈
KR20180038206A (ko) * 2016-10-06 2018-04-16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다중채널 정전용량형 유전율 변화 감지 장치 및 그 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식물 가뭄 모니터링 시스템
KR20200013338A (ko) * 2018-07-30 2020-02-07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환경의 변화에 따른 식물의 상태를 전자기적/전기화학적 방법으로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85119A (ko) * 2019-12-30 2021-07-0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식물 및 화분 토양의 상태를 전자기적 방법으로 분석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earce et al. The growth of young tomato fruit. I. Effects of temperature and irradiance on fruit grown in controlled environments
Nieuwolt Movement, activity, and microhabitat selection in the western box turtle, Terrapene ornata luteola, in New Mexico
KR102357238B1 (ko) 바이오 임피던스 측정용 탐침기구
CN206601116U (zh) 一种果实生长监测传感器
EA028189B1 (ru) Сошник сеялки
Howarth et al. Development of laboratory‐based methods for assessing seedling thermotolerance in pearl millet
Lowe et al. Impact of climate on thermal rhythm in pastoral sheep
US20070006667A1 (en) Fishing line tension measuring and indicating system
Malone Rapid inhibition of leaf growth by root cooling in wheat: kinetics and mechanism
WO2021085533A1 (ja) 植物生体センサ
Martre et al. Measurement of a growth-induced water potential gradient in tall fescue leaves
DE69529353T2 (de) Kopfband mit einer verstellbaren vorrichtung zum positinieren einer optischen vorrichtung
CN111895892A (zh) 一种便携式非破坏性植物叶片测定装置
CN112539839A (zh) 一种非接触式动物体温监测装置
CN103308197B (zh) 植物叶面物理参数检测传感器装夹装置
Pesonen et al. A new girth band for measuring stem diameter changes
CN114503862A (zh) 一种智慧农业用的幼苗培植恒温恒湿稳定系统和方法
CN110346358A (zh) 一种卷积神经网络(cnn)预测的氨氮快速测定仪
CN210005347U (zh) 一种大豆抗倒伏测力仪
CN213986464U (zh) 一种园林绿化土壤检测装置
CN111810797B (zh) 一种激光地质灾害测试仪
FI129899B (fi) Rakennemittauslaite
CN219417458U (zh) 一种土壤水分监测预警装置
CN205403693U (zh) 一种高精度树木胸径测量装置
CN208768523U (zh) 一种研究用不同品种牧草产量实验对比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