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786B1 - 반려동물을 위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을 위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786B1
KR102356786B1 KR1020210146573A KR20210146573A KR102356786B1 KR 102356786 B1 KR102356786 B1 KR 102356786B1 KR 1020210146573 A KR1020210146573 A KR 1020210146573A KR 20210146573 A KR20210146573 A KR 20210146573A KR 102356786 B1 KR102356786 B1 KR 102356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utritional
companion animal
application providing
risk f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보연
Original Assignee
임보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보연 filed Critical 임보연
Priority to KR102021014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을 위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반려동물을 위한 맞춤형 영양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항목의 반려동물 관련 영양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려동물을 위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for companion animals}
본 발명은 반려동물을 위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반려동물을 위한 맞춤형 영양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항목의 반려동물 관련 영양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이란 사람과 더불어 사는 동물로, 사람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기르는 애완동물의 개념이 아니라, 반려동물을 기르는 반려보호자와 더불어 살아가는 동반자 개념의 동물을 의미한다. 반려동물 보유가구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 관련 시장 및 산업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반려보호자가 증가하면서 반려동물의 건강과 관련된 반려동물 헬스케어에 대한 반려보호자들의 니즈가 커지고 있다. 반려동물의 종 별 유전적 요인 또는 생활 요인에 따라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건강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반려보호자들은 자신들이 돌보는 반려동물의 건강 증진을 위해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식품을 선택한다. 즉, 반려보호자들은 반려동물 개체 별로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사료 또는 영양제를 선택하고 구매하는 추세이다. 또한 관련 조사에 따르면 반려동물 보유가구 중 대다수가 사료 이외에 반려동물을 위한 영양제를 구매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 개체 별 건강 정보, 영양 정보, 이에 기초한 영양 관련 추천 정보 등을 반려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국내에서 인간이 의료 서비스를 받는 경우, 환자가 복수의 약물을 복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약물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의사 및 약사에게 의약품 안전성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부적절한 약물사용을 사전에 점검하도록 하는 DUR(Drug Utilization Review) 서비스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동물병원의 경우 진료 기록부를 디지털 자료로 저장하는 것이 의무화되어 있지 않고 진료 기록부를 발급할 의무도 없다. 따라서 반려동물들이 복수의 의약품을 복용하거나 의약품과 영양제를 함께 복용함으로써 발생하는 약물 부작용에 노출될 위험이 크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사료, 의약품 및 영양제가 포함하는 성분 및 영양소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반려보호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001) 특허공개문헌 제10-2019-0100520호 (2019.08.29) (002) 특허공개문헌 제10-2016-0101413호 (2016.08.25)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반려동물을 위한 맞춤형 영양정보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반려동물의 영양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사료, 영양제 및 의약품과 관련된 섭취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성분과 관련된 위험요소 정보, 반려동물이 섭취 중인 영양소에 대한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을 구성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출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출력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에서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이 표시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험요소 정보는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각각에 대한 병용금지 성분을 나타내는 병용금지 성분 정보를 포함하고, 방법은,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중에서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의 개수에 기초하여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는 n(이때, n은 2보다 큰 정수) 이하의 값이고, 방법은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경우,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n으로 설정하는 단계, 및 위험요소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의 최상단에 배치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험요소 정보는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간의 드럭머거(Drug Mugger) 작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간의 드럭머거 작용의 개수 및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의 개수에 기초하여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양상태 평가 정보는 결핍된 영양소 정보 및 과잉 영양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방법은, 결핍된 영양소의 개수 및 과잉 영양소의 개수에 기초하여 영양상태 평가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방법은, 결핍된 영양소의 개수 기초하여 추천 영양제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가 서로 동일한 경우, 배치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에서 추천 영양제 정보가 영양상태 평가 정보보다 위쪽에 표시되도록 하는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반려동물의 영양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사료, 영양제 및 의약품과 관련된 섭취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출력 정보를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인스트럭션에 따라, 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성분과 관련된 위험요소 정보, 반려동물이 섭취 중인 영양소에 대한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를 획득하고,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하고,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을 구성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출력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에서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이 표시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반려동물의 영양 섭취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효율적인 방법으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기능성 원료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영양제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병용금지 성분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반려동물이 약물 간 또는 식품 및 약물 간의 동시 복용에 따른 부작용에 노출되는 경우를 경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게 드럭머거 작용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반려동물이 영양소 결핍에 노출되는 경우를 경감시킬 수 있다.
실시예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반려동물을 위한 영양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산출된 각 정보 별 중요도 점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용자에게 반려동물과 관련된 영양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반려동물의 섭취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반려동물 맞춤형 영양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게 반려동물의 영양 섭취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효율적인 방법으로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반려동물의 영양 섭취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정보를 중요도 점수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 편의를 개선시킬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게 반려동물을 위한 영양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10)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반려동물 영양 정보 제공 시스템(10)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 사용자 단말(200) 및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를 제공하는 문진 데이터 제공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의 반려동물(20)을 위한 맞춤형 영양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사용자의 반려동물(20)을 위한 영양정보를 포함하는 출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복수의 반려동물들을 기르는 경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복수의 반려동물들 각각에 대한 맞춤형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반려동물(20)을 특정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특정된 반려동물(20)에 대한 섭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섭취 정보는 반려동물(20)이 섭취하는 사료, 영양제 및 의약품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섭취 정보는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사료의 전성분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반려동물(20)에 대한 문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섭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문진 데이터 제공 서버(300)로부터 반려동물(20)에 대한 문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진 데이터 제공 서버(300)는 반려동물 건강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문진 데이터 제공 서버(300)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서로 연동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들일 수 있다.
문진 데이터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반려동물(20)에 대한 문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문진 데이터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 반려동물(20)을 위한 문진 항목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문진 데이터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문진 항목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문진 데이터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한 문진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문진 데이터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문진 항목을 디스플레이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문진 항목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문진 데이터 제공 서버(300)로 문진 항목에 대한 사용자 입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data base)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세트(400)로부터 반려동물(20)의 섭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데이터 베이스 세트에서 반려동물(20)의 문진 데이터로부터 획득한 키워드를 서치하여 반려동물20)의 섭취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데이터 베이스 세트(400)가 포함하는 복수의 데이터 베이스들이 외부에 저장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베이스 세트(400)가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에 기 저장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 세트(400)는 성분 간 상호작용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베이스, 및 반려동물의 카테고리 별 표준 영양 정보를 제공하는 표준 영양 데이터 베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수집한 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20)에 대한 하나 이상의 영양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영양 정보는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획득한 하나 이상의 영양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반려동물(20)의 영양 정보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표시되는 출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출력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 영양 정보 제공 시스템(10)의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5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 (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도 1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가 사용자의 반려동물 문진 데이터를 별도의 문진 데이터 제공 서버(300)를 통해 수집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도 1에서 설명된 문진 데이터 제공 서버(300)의 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에게 문진 항목을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한 문진 데이터를 획득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을 스마트 폰으로 도시하였으나, 사용자 단말(20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00)은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및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 모바일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디스플레이 기능 및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의 영양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01에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반려동물의 섭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사료, 영양제 및 의약품과 관련된 섭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문진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사료의 명칭, 영양제의 명칭 및 의약품의 명칭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획득한 사료의 명칭, 영양제의 명칭 및 의약품의 명칭을 서치하여 섭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항목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외부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와 연동된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서버는 반려동물 건강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단계 S202에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단계 S201에서 획득한 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섭취 정보를 분석하여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위험요소 정보는 반려동물의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에 대한 위험 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요소 정보는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각각에 대한 병용금지 성분을 나타내는 병용금지 성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식품 및/또는 의약품의 성분 간 상호작용 정보를 이용하여 병용금지 성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특정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식품 및/또는 의약품의 성분 간 상호작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기 저장된 상호작용 정보를 이용하여 병용금지 성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게 병용금지 성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반려동물이 약물 간 또는 식품 및 약물 간의 동시 복용에 따른 부작용에 노출되는 경우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위험요소 정보는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의약품의 드럭머거(Drug Mugger) 작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의약품과 관련된 정보 및 식품 및/또는 의약품의 성분 간 상호작용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의약품의 드럭머거 작용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의약품의 드럭머거 작용에 의해 반려동물에게 필요한 특정 영양소가 결핍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게 드럭머거 작용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반려동물이 영양소 결핍에 노출되는 경우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양상태 평가 정보는 표준 영양 데이터 대비 반려동물의 영양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양상태 평가 정보는 결핍된 영양소 정보 및 과잉 영양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단계 S201에서 수집한 섭취 정보와 표준 영양 데이터를 비교하여 반려동물의 영양상태 평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표준 영양 데이터는 반려동물의 종, 무게, 연령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반려동물이 섭취하도록 설정된 영양소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영양상태 평가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반려동물의 종, 무게, 연령 정보에 기초하여 표준 영양 데이터 베이스에서 비교대상이 되는 표준 영양 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반려동물의 섭취 정보와 선택된 표준 영양 데이터를 비교하여 결핍된 영양소 정보 및 과잉 영양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추천 영양제 정보는 사용자의 반려동물을 위해 추천되는 영양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추천 영양제 정보는 추천되는 영양제의 명칭, 가격, 판매처, 전성분, 주요 성분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03에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에 대한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병용금지 성분 정보를 이용하여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중에서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의 개수에 기초하여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섭취 정보와 병용금지 성분 정보를 비교하여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중에서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의 개수를 획득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중에서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의 개수가 많을 수록,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높게 설정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게 병용금지 성분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반려동물이 약물 간 또는 식품 및 약물 간의 동시 복용에 따른 부작용에 노출되는 경우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결핍된 영양소 정보 및 과잉 영양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영양상태 평가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결핍된 영양소의 개수 및 과잉 영양소의 개수에 기초하여 영양상태 평가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양상태 평가 정보의 중요도 점수는 결핍된 영양소의 개수가 많을수록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영양상태 평가 정보의 중요도 점수는 과잉 영양소의 개수가 많을수록 높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영양상태 평가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영양제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핍된 영양소의 개수에 기초하여 추천 영양제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영양상태 평가 점수에 기초하여 추천 영양제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영양상태 평가 정보는 사용자의 반려동물의 영양상태에 대한 영양상태 평가 점수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영양상태 평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미리 학습된 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문진 데이터에 기초한 영양상태 평가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전술한 표준 영양 데이터를 활용할 수도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영양상태 평가 점수를 중요도 점수로 정규화 하여 추천 영양제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추천 영양제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중요도 점수의 상한 점수에서 영양상태 평가 점수를 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추천 영양제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영양제 검색 횟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의 영양제 검색 횟수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영양제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204에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구성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출력 정보는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정보는 애플리케이션 화면에서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이 표시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중 중요도 점수가 가장 큰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의 최상단에 배치하는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의 상단에서부터 중요도 점수 순서대로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가 가장 큰 경우,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위험요소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의 최상단에 배치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해당 출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은 위험요소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의 최상단에 배치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계 S205에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 단계 S204에서 생성된 출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출력 정보는 단계 S204에서 생성된 배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이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를 배치 정보에 따른 위치에 표시하여 제공하도록 사용자 단말에게 출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은 수신된 출력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가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에 대한 중요도 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 도 3을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산출된 각 정보 별 중요도 점수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는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정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는 (0~n+1) 사이의 값일 수 있다. 이때, n은 1보다 큰 정수이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n을 1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기 설정된 범위 내의 최대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요도 점수가 (0~n+1) 사이의 값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n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중에서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즉,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중에서 병용금지 성분의 개수가 1개 이상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1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게 병용금지 성분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여 반려동물이 약물 간 또는 식품 및 약물 간의 동시 복용에 따른 부작용에 노출되는 경우를 경감시킬 수 있다.
반대로,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중에서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이 없는 경우(즉,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중에서 병용금지 성분의 개수가 0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병용금지 성분의 개수와 드럭머거 작용 개수의 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과잉 영양소의 개수 보다 결핍 영양소의 개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영양상태 평가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반려동물이 영양소를 과하게 섭취하는 경우 보다 영양소가 결핍된 경우 반려동물에게 치명적일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양상태 평가 정보에 따라 결핍 영양소의 개수가 5개이고, 과잉 영양소의 개수가 5개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영양상태 평가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15'로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결핍 영양소가 적어도 한 개 이상인 경우, 기 설정된 점수를 추가로 더해 추천 영양제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반려동물에게 결핍 영양소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추천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또한 반려동물에게 결핍 영양소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에서 추천 영양제 정보를 다른 정보 보다 상단에 노출시켜 사용자 편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기 설정된 점수는 '30'일 수 있다. 또한 영양상태 평가 정보에 따라 결핍 영양소의 개수가 5개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추천 영양제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40'으로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산출된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에 기초하여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치 정보는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우선순위로 표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위험요소 정보:1, 영양상태 평가 정보:3 및 추천 영양제 정보:2'로 우선순위가 설정된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각각은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에서 우선순위에 따라 기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어 표시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중요도 점수의 기 설정된 범위를 0부터 100까지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의 데이터(30)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가 중요도 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실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방식이 도 3과 같은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아래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과 같이 위험요소 정보(W), 영양상태 평가 정보(N), 추천 영양제 정보(R) 각각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아래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에서 n은 중요도 점수의 최대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NE는 영양상태 평가 점수를 나타내며, 0보다 크고 n 보다 작거나 같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1124669881-pat00001
수학식 1에서, C는 병용금지 성분의 개수를 나타내고, D는 드럭머거 작용의 개수를 나타낸다. c1은 병용금지 성분의 개수(C)에 대한 상수, d1은 드럭머거 작용의 개수(D)에 대한 상수이며, c1은 d1 보다 큰 값일 수 있다. 또한, cc는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 중에서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의 개수를 나타낸다.
[수학식 2]
Figure 112021124669881-pat00002
수학식 2에서, M은 결핍 영양소의 개수, O는 과잉 영양소의 개수를 나타낸다. 또한 w1, w2는 각각 결핍 영양소의 개수(M)에 대한 제1 가중치 값, 과잉 영양소의 개수(O)에 대한 제2 가중치 값을 나타낸다. w1, w2는 0보다 큰 정수 일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21124669881-pat00003
수학식 2에서, M은 결핍 영양소의 개수를 나타낸다. E는 0보다 큰 정수로, 결핍 영양소 존재 여부에 대한 가중치를 나타낸다. 또한 S는 기 설정된 기간동안 사용자의 영양제 검색 빈도수를 나타낼 수 있다. w1는 결핍 영양소의 개수(M)에 대한 제1 가중치 값, 사용자의 영양제 검색 빈도수(S)에 대한 제3 가중치 값을 나타낸다. 이때, w1, s1는 0보다 큰 정수 일 수 있다. 또한, Cor은 추천하는 영양제의 기능성 원료 정보와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 사이의 상관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위험요소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가 서로 동일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에서 위험요소 정보가 추천 영양제 정보보다 위쪽에 표시되도록 하는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위험요소 정보 및 영양상태 평가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가 서로 동일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에서 위험요소 정보가 영양상태 평가 정보 보다 위쪽에 표시되도록 하는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위험요소 정보를 가장 먼저 노출시키는 것이 반려동물의 안전에 도움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가 서로 동일한 경우,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에서 추천 영양제 정보가 영양상태 평가 정보보다 위쪽에 표시되도록 하는 배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가 서로 동일한 경우, 사용자에게 영양상태 평가 정보 보다는 추천 영양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4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 중에서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가 가장 높은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40)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40)의 가장 위쪽에 위험요소 정보(41)를 표시하도록 하는 출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험요소 정보(41)는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각각에 대한 병용금지 성분 정보('성분 1', '성분 2', '성분 5', 및 '성분 7')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성분들 중에서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이 존재하는 경우, 위험요소 정보(41)는 병용금지 성분 중에서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섭취하고 있는 병용금지 성분('성분 2' 및 '성분5')을 하이라이트하여 표시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전술한 해당 성분을 하이라이트 표시하는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반려동물이 노출된 영양관련 위험 요소를 사용자가 보다 쉽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위험요소 정보(41)는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중에서 드럭머거 작용을 하는 성분 정보('성분 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험요소 정보(41)는 드럭머거 작용을 하는 성분에 의해 결핍될 가능성이 있는 영양소 정보('영양소 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5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 중에서 추천 영양제 정보의 중요도 점수가 영양상태 평가 정보의 중요도 점수 보다 높은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50)을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50)에서 영양상태 평가 정보(52)가 표시되는 위치 보다 위쪽에 추천 영양제 정보(51)를 표시하도록 하는 출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추천 영양제 정보(51)는 복수의 추천 영양제 각각의 명칭 정보('락토 5000', '트롭시'), 및 각각의 기능 또는 주요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추천 영양제 정보는 추천되는 영양제가 포함하는 기 인증된 기능성 원료를 나타내는 기능성 원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기능성 원료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인증하는 원료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기능성 원료는 질병발생 위험감소 기능성 원료 카테고리, 생리활성 기능성 원료 카테고리 및 영양소 기능성 원료 카테고리 구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추천 영양제 정보를 카테고리 별로 분류하여 표시하는 출력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게 기능성 원료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영양제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추천하는 영양제의 기능성 원료 정보에 기초하여 추천 영양제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추천하는 영양제의 기능성 원료 정보와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 사이의 상관도에 기초하여 추천 영양제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는 상관성에 대해 학습된 학습모델을 이용하여 추천하는 영양제의 기능성 원료 정보와 반려동물의 문진 데이터 사이의 상관도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6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600)는 프로세서(610), 통신부(620) 및 메모리(6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600)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600)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6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6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600)는 프로세서(610), 통신부(620) 및 메모리(630) 이외에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미도시), 출력부(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610)는, 통상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6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61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하여,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600)에 포함된 다른 구성 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620) 및 메모리(63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10)는 메모리(63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5에 기재된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6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610)는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사료, 영양제 및 의약품과 관련된 섭취 정보를 수집할 있다. 프로세서(610)는 통신부(620) 및 메모리(630)를 통해 섭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통신부(620)를 통해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문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성분과 관련된 위험요소 정보, 반려동물이 섭취 중인 영양소에 대한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통신부(620)를 통해 외부의 물리적인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영양정보 획득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수신된 각종 정보를 활용하여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10)는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중에서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의 개수에 기초하여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중요도 점수가 n(이때, n은 2보다 큰 정수) 이하의 값이고,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성분이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경우, 프로세서(610)는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n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610)는 위험요소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의 최상단에 배치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610)는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간의 드럭머거 작용의 개수 및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의 개수에 기초하여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610)는 결핍된 영양소의 개수 및 과잉 영양소의 개수에 기초하여 영양상태 평가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결핍된 영양소의 개수 기초하여 추천 영양제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610)는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을 구성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가 서로 동일한 경우, 프로세서(610)는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에서 추천 영양제 정보가 영양상태 평가 정보보다 위쪽에 표시되도록 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610)는 통신부(620)를 통해 생성된 출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620)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600)가 다른 장치(미도시) 및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장치(미도시)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60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이거나, 센싱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부(620)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전자 장치로부터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거나, 외부 장치로부터 외부 장치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20)는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620)는 프로세서(610)에서 출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620)는 프로세서가 섭취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620)는 프로세서(610)에서 생성된 출력 정보를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되는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프로세서(61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30)는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630)는 프로세서(610)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30)는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위험요소 정보,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600)로 입력되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600)로부터 출력되는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630)는 섭취 정보, 출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6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 기술적 아이디어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다양한 실시예들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Claims (1)

  1. 사용자에게 반려동물의 영양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인스트럭션을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사용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문진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사료, 영양제 및 의약품과 관련된 섭취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출력 정보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섭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성분과 관련된 위험요소 정보, 상기 반려동물이 섭취 중인 영양소에 대한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추천 영양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위험요소 정보, 상기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상기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위험요소 정보, 상기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상기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의 중요도 점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을 구성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출력 정보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에서 상기 위험요소 정보, 상기 영양상태 평가 정보 및 상기 추천 영양제 정보 각각이 표시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배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험요소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각각에 대한 병용금지 성분을 나타내는 병용금지 성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W)를 수학식 1에 기반하여 산출하고,
    상기 위험요소 정보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제공 화면의 최상단에 배치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출력 정보를 생성하되,
    [수학식 1]
    Figure 112021124669881-pat00004

    cc는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 중에서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의 개수에 상응하고, C는 병용금지 성분의 개수에 상응하고, D는 드럭머거 작용의 개수에 상응하고, c1은 병용금지 성분의 개수에 대한 상수인 가중치에 상응하고, d1은 드럭머거 작용의 개수에 대한 상수인 가중치에 상응하고, c1은 d1 보다 큰 값이고, NE는 상기 영양상태 평가 정보의 점수에 상응하고, n은 상기 중요도 점수의 최대값에 상응하고,
    상기 위험요소 정보는 상기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간의 드럭머거(Drug Mugger) 작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반려동물이 섭취하는 복수의 성분들 간의 드럭머거 작용의 개수 및 상기 병용금지 성분에 해당하는 성분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위험요소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하고,
    상기 영양상태 평가 정보는 결핍된 영양소 정보 및 과잉 영양소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결핍된 영양소의 개수 및 상기 과잉 영양소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영양상태 평가 정보의 중요도 점수를 산출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KR1020210146573A 2021-06-07 2021-10-29 반려동물을 위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56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573A KR102356786B1 (ko) 2021-06-07 2021-10-29 반려동물을 위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642A KR102321872B1 (ko) 2021-06-07 2021-06-07 반려동물의 영양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KR1020210146573A KR102356786B1 (ko) 2021-06-07 2021-10-29 반려동물을 위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642A Division KR102321872B1 (ko) 2021-06-07 2021-06-07 반려동물의 영양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786B1 true KR102356786B1 (ko) 2022-02-08

Family

ID=785216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642A KR102321872B1 (ko) 2021-06-07 2021-06-07 반려동물의 영양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KR1020210146573A KR102356786B1 (ko) 2021-06-07 2021-10-29 반려동물을 위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642A KR102321872B1 (ko) 2021-06-07 2021-06-07 반려동물의 영양정보와 관련된 애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2187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413A (ko) 2015-02-17 2016-08-25 주식회사 유비케어 고객 맞춤형 식품 및 영양제 추천 방법, 및 고객 맞춤형 식품 및 영양제 추천 시스템
KR20190100520A (ko) 2018-02-08 2019-08-29 김우일 맞춤형 영양제 배송 서비스 방법
KR20200090537A (ko) *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에이엔드 반려동물의 맞춤형 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188099B1 (ko) * 2020-06-29 2020-12-07 주식회사 아큐랩 반려동물의 성장 관리 시스템
KR20210018619A (ko) * 2019-08-07 2021-02-18 왓비타 주식회사 개인화된 영양소 추천 방법 및 서버
KR102251445B1 (ko) * 2020-02-20 2021-05-13 주식회사 에이엔드 맞춤형 반려동물 식품 추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1413A (ko) 2015-02-17 2016-08-25 주식회사 유비케어 고객 맞춤형 식품 및 영양제 추천 방법, 및 고객 맞춤형 식품 및 영양제 추천 시스템
KR20190100520A (ko) 2018-02-08 2019-08-29 김우일 맞춤형 영양제 배송 서비스 방법
KR20200090537A (ko) * 2019-01-21 2020-07-29 주식회사 에이엔드 반려동물의 맞춤형 식품 큐레이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10018619A (ko) * 2019-08-07 2021-02-18 왓비타 주식회사 개인화된 영양소 추천 방법 및 서버
KR102251445B1 (ko) * 2020-02-20 2021-05-13 주식회사 에이엔드 맞춤형 반려동물 식품 추천 장치 및 그 방법
KR102188099B1 (ko) * 2020-06-29 2020-12-07 주식회사 아큐랩 반려동물의 성장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1872B1 (ko) 2021-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3101802A4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r-specific modulation of nutrient intake
US20160253922A1 (en) Systems and Methods of Food Management
US20150279235A1 (en) Nutrition management system and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US20140236759A1 (en) Wellness System and Methods
KR102004438B1 (ko) 사용자 건강습관정보 수집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장치 및 제공 방법
KR20200117218A (ko) 개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추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추천 시스템
KR20230056533A (ko) 샐러드 메뉴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22040621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ally providing dynamic nutritional guidance
Hinojosa-Nogueira et al. Stance4Health nutritional APP: a path to personalized smart nutrition
JP2002351990A (ja) 健康管理システム、健康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00085464A (ko) 알러지 정보 공유 플랫폼의 제공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2356786B1 (ko) 반려동물을 위한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Iizuka et al. Food menu selection support system: considering constraint conditions for safe dietary life
CN115620895A (zh) 一种智能就诊方法、装置、设备和介质
US2024016190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nline nutritional supplement platform
KR20230062461A (ko)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40061453A (ko)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및 방법
Dhivyalosini Maykanathan et al. Sociodemographic, oral health behaviour, and physical activity: factors in caries experience among 19-59 years old adults in a Malaysian population.
US2018031551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olistically and dynamically managing metabolomics
Adamu Takele Jemere et al. Access to mobile phone and willingness to receive mHealth services among patients with diabetes in Northwest Ethiopia: a cross-sectional study.
KR20150115579A (ko) 암 재발 방지를 위한 통합관리 시스템
JP2023536039A (ja) カスタマイズヘルスケアシステム、及びその動作方法
KR20150115580A (ko) 개인 맞춤 면역증진 식단 정보 제공 시스템
Stulberg et al. Pre-pregnancy and early prenatal care are associated with lower risk of ectopic pregnancy complications in the Medicaid population: 2004-08.
McGREADY et al. Acquired haemophilia A in early pregnancy associated with Plasmodium vivax malaria and hyperthyroid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