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296B1 -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296B1
KR102356296B1 KR1020210044893A KR20210044893A KR102356296B1 KR 102356296 B1 KR102356296 B1 KR 102356296B1 KR 1020210044893 A KR1020210044893 A KR 1020210044893A KR 20210044893 A KR20210044893 A KR 20210044893A KR 102356296 B1 KR102356296 B1 KR 102356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panel
unit
cleaning
solar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그린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우전 filed Critical 그린우전
Priority to KR1020210044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10Clea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S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B64C2201/12
    • B64C2201/14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50/00Aeronautics or air transport
    • Y02T50/50On board measures aiming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은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과, 상기 복수의 영역에 대한 각각의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발전량 감지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와,상기 태양광 감지부의 발전량 검출정보를 통해 오염여부를 검출하는 오염영역 산출부와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와, 세척장치와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오염영역 산출부의 정보를 제어부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달받고, 상기 태양광 패널의 오염영역으로 이동하여 상기 세척장치를 작동시키는 드론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Cleaning System of Solar Cell Panel and Clean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천연자원의 고갈과 화력 및 원자력 발전에 대한 환경 및 안전성 등의 문제가 제기되면서 청정에너지인 태양광이나 풍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특히, 태양광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은 무한하고 청정에너지라는 관점에서 상당히 각광을 받으면서 주거용 발전이나 가로등 또는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무인등대나 시계탑등 매우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일사량을 많이 얻을 수 있는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거나 일조권이 잘 확보될 수 있는 야산과 같은 한적한 곳에 태양광에 직접 노출되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태양광 패널은 발전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광범위한 범위에 태양광 패널을 장착하여 고정형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태양광 패널은 고정형이고, 이물질에 의해 태양광 패널이 오염될 경우 태양광 패널의 발전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복수의 태양광 패널이 슬라이드 이동될 경우 자동으로 세척되고, 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발전량을 확인하고 오염된 태양광 패널의 영역을 세척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은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과, 상기 복수의 영역에 대한 각각의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발전량 감지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와, 상기 태양광 감지부의 발전량 검출정보를 통해 오염여부를 검출하는 오염영역 산출부와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와, 세척장치와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오염영역 산출부의 정보를 제어부의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전달받고, 상기 태양광 패널의 오염영역으로 이동하여 상기 세척장치를 작동시키는 드론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이동가능한 복수의 태양광 패널이 슬라이드 이동될 경우 자동으로 세척되고, 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발전량을 확인하고 오염된 태양광 패널의 영역을 세척할 수 있는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의 제1 기술사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의 제2 기술사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상부패널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상부패널 세척장치 이외의 기술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구성도이다.
도 6는 도 5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를 이용한 세척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부패널 세척장치 이외의 기술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구성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패널 세척장치 이외의 기술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구성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개략적인 제1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한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개략적인 제2 사용상태도이다.
도 15는 도 3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부패널 세척장치 이외의 기술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구성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다.
도 17는 도 15에 도시한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 18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리사이클링 세척수 공급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세척수 분사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에 있어서, 상부패널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의 제1 기술사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 세척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장치, 제어부 및 드론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발전장치는 태양광 패널, 발전량 검출부 및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제어부는 오염영역 산출부와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드론은 세척장치와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한다.
태양광 발전장치의 태양광 패널은 복수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고, 발전량 감지부는 태양광 패널의 각각의 영역에 대한 발전량을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태양광 발전장치의 무선통신모듈은 발전량 검출정보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제어부의 오염영역 산출부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발전량 검출정보를 통해 태양광 패널의 특정 영역에 대하여 오염여부를 산출한다.
즉, 인접한 영역의 발전량을 비교하여 발전량이 오차범위 이상으로 작을 경우 오염영역 산출부는 해당영역이 오염된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의 무선통신모듈은 드론의 무선통신모듈에 태양광 패널의 오염영역 정보를 전달한다.
드론은 태양광 패널의 오염영역으로 이동하여 세척장치를 작동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은 넓은 영역의 태양광 패널에 대하여 오염영역을 확인하고 자동으로 세척이 가능함에 따라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의 제2 기술사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은 복수의 태양광 패널, 구동장치, 태양광 패널, 상부패널 세척장치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패널은 센서부와 클린부를 포함하는 태양광 패널이 복수개 연결된다.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은 서로 연동가능하도록 적층되고, 적층방향에 대하여 하부로 클린부가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되는 태양광 패널이 접힐 때 상부에 위치된 태양광 패널의 클린부에 의해 하부 태양광 패널이 닦여진다. 또한 클린부는 물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태양광 패널에 물을 분사함에 따라 세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센서부는 광센서로 광량을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또한, 센서부는 태양광 패널을 통해 발전되는 발전량을 검출하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는 태양광 패널에서 검출된 광량 데이터 또는 발전량 데이터를 비교하거나, 기존 데이터의 광량 데이터 또는 발전량 데이터와 비교하여 태양광 패널의 오염도를 판단한다.
즉, 유사 날씨의 동일시간의 광량과 검출된 광량 사이에 오차가 클 경우 제어부는 해당 태양광 패널이 오염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복수의 태양광 패널 중에서 일부의 태양광 패널에서 광량 또는 발전량이 적을 경우 해당되는 태양광 패널이 오염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오염여부가 판별된 경우 제어부는 구동장치를 작동시켜 태양광 패널 세척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상부패널 세척장치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 중에서 최 상부에 위치되는 태양광 패널을 세척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대적으로 하부에 위치되는 태양광 패널은 상부 태양광 패널에 장착된 클린부에 의해 세척되고, 최 상부에 위치되는 태양광 패널은 상부패널 세척장치에 의해 세척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상부패널 세척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상부패널 세척장치 이외의 기숙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구성도이고, 도 6는 도 5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1000)는 태양광 패널부(1100), 구동모듈(1200), 클린부(1300), 세척수 분사모듈(1400) 및 상부패널 세척장치(150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패널부(1100)는 복수개의 태양광 패널을 포함하고, 복수의 태양광 패널은 구동모듈(1200)에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적층결합된다.
태양광 패널부(1100)의 가장자리 또는 단부에는 세척수 분사모듈(1400)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를 수거하기 위한 수거통부가 장착될 수 있다.
구동모듈(1200)은 구동본체바디(1210), 연결부재(1220) 및 유압 구동력 제공부(1230)를 포함한다.
구동본체바디(1210)는 태양광 패널부(1100)의 복수의 태양광 패널에 각각 결합되고, 연동되도록 링크된다. 유압 구동력 제공부(1230)는 유압 모터(미도시)에 연결되고 연결부재(1220)를 통해 태양광 복수의 태양광 패널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유압 구동력 제공부(1230)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태양광 패널이 순차적을 이동된다.
클린부(1300)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의 하부에 결합된다. 즉, 복수의 태양광 패널이 적층되고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태양광 패널의 하부에 클린부(1300)가 결합되고, 클린부(1300)는 하부에 위치하는 태양광 패널에 접하도록 위치된다
클린부(1300)는 클린시트(1310)와 클린바디(1320)를 포함한다. 클린바디(1320)는 태양광 패널의 하부에 결합되고, 클린시트(1310)는 클린바디(1320)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태양광 패널이 접히고 펼쳐질 경우 하부에 위치하는 태양광 패널은 자동으로 세척되고, 클린시트(1310)가 오염 또는 마모될 경우 클린바디로부터 분리해서 교체 또는 세척후 사용가능하게 된다.
세척수 분사모듈(1400)은 태양광 패널부(1100에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세척수 분사모듈(1400)은 분사노즐(1410), 세척수 저장부(1420) 및 세척수 공급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분사노즐(1410)은 세척수가 태양광 패널부(1100)를 향해 분사되도록 배치되고, 세척수 공급펌프는 세척수 저장부(1420)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노즐(1410)을 통해 배출되도록 이송력을 제공한다.
상부패널 세척장치(1500)는 최 상부에 위치되는 태양광 패널(1100)을 세척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척바(1510), 동력전달부(1520), 구동모더(1530) 및 기어부(154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척바(1510)는 태양광 패널(1100)을 직접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것이고, 태양광 패널(1100)에 접하도록 브러시부(1511)가 장착된다.
세척바(1510)에는 구동모터(153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동력전달부(1520)가 결합되고, 구동모터(1530)에는 기어부(1540)가 결합되고, 동력전달부(1520)와 기어부(154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최 상위 태양광 패널(1100)이 오염된 것으로 확인될 경우, 상부패널 세척장치(1500)의 세척바(1510)가 회동되어 최 상위 태양광 패널(1100)을 세척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태양광 패널부는 일측방향으로 접히고 펼쳐지도록 구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가 양측방향으로 접히고 펼쳐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패널 세척장치를 포함하지 않고, 도 1에 도시한 세척장치를 포함하는 드론을 통해 세척할 수도 있다.
즉, 태양광 패널에는 발전량 검출부가 장착되고, 최 상부에 위치되는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이 하부에 위치되는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보다 작을 경우, 드론의 세척장치가 최 상부에 위치되는 태양광 패널을 세척한다.
또는 최 상부에 위치되는 태양광 패널이 넓은 영역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영역에 대한 발전량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발전량이 적은 영역에 대하여 드론의 세척장치가 세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를 이용한 세척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를 이용한 세척방법은 태양광 패널의 영역 분할단계와, 영역에 대한 발전량 산출단계와, 오염여부 검출단계와, 오염여부 세척단계를 포함한다.
태양광 패널의 영역 분할단계는 태양광 패널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하는 단계이다. 영역에 대한 발전량 산출단계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발전량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오염여부 검출단계는 분할된 복수의 영역에 대한 발전량을 통해 실시간으로 오염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즉, 인접한 영역의 발전량을 비교하여 발전량이 오차범위 이상으로 작을 경우 오염영역 산출부는 해당영역이 오염된 것으로 판단한다.
오염여부 세척단계는 오염영역에 대하여 클린부와 상부패널 세척장치를 작동시켜 오염영역을 세척한다.
또한, 제어부의 무선통신모듈은 드론의 무선통신모듈에 태양광 패널의 오염영역 정보를 전달한다. 드론은 태양광 패널의 오염영역으로 이동하여 세청장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오염영역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세척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도 3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부패널 세척장치 이외의 기술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구성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고,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2000)는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1000)와 비교하여 구동모듈만이 상이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2000)는 태양광 패널부(2100), 구동모듈(2200), 클린부(2300) 및 세척수 분사모듈(2400)을 포함한다. 또한, 태양광 패널부(2100), 클린부(2300) 및 세척수 분사모듈(2400)은 태양광 패널부(1100), 클린부(1300) 및 세척수 분사모듈(1400)과 동일하고 세부기술구성은 전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모듈(2200)은 구동본체바디(2210), 연결부재(2220) 및 벨트 구동력 제공부(2230)를 포함한다.
구동본체바디(2210)는 태양광 패널부(2100)의 복수의 태양광 패널에 각각 결합되고, 연동되도록 링크된다. 벨트 구동력 제공부(2230)는 벨트(2231), 모터 및 지지롤부(2232)를 포함하고, 연결부재(2220)를 통해 태양광 복수의 태양광 패널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벨트 구동력 제공부(2230)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태양광 패널이 순차적을 이동된다.
도 11은 도 3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부패널 세척장치 이외의 기술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구성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고,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개략적인 제1 사용상태도이고, 도 14는 도 11에 도시한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개략적인 제2 사용상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3000)는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1000)와 비교하여 구동모듈만이 상이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3000)는 태양광 패널부(3100), 구동모듈(3200), 클린부(3300) 및 세척수 분사모듈(3400)을 포함한다. 또한, 태양광 패널부(3100), 클린부(3300) 및 세척수 분사모듈(3400)은 태양광 패널부(1100), 클린부(1300) 및 세척수 분사모듈(1400)과 동일하고 세부기술구성은 전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모듈(3200)은 구동본체바디(3210), 연결부재(3220) 및 와이어 구동력 제공부(3230)를 포함한다.
구동본체바디(3210)는 태양광 패널부(3100)의 복수의 태양광 패널에 각각 결합되고, 연동되도록 링크된다.
와이어 구동력 제공부(3230)는 제1 와이어부(3231), 제2 와이어부(3232), 지지롤부(3233)를 포함하고, 모터(미도시)에 연결되고 연결부재(3220)를 통해 복수의 태양광 패널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와이어부(3231)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을 펼치기 위한 것이고, 제2 와이어부(3232)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을 접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제1 와이어부(3231)는 지지롤부(3233)에 지지되고, 지지롤부(3233)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에 각각 결합된다.
제2 와이어부(3232)는 복수의 태양광 패널중에서 하단부의 태양광 패널 즉, 펼쳐질 경우 가장 마지막에 위치되는 태양광 패널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권취모터에 결합된다.
지지롤부(3233)는 각각 구동본체바디(3210)의 전방에 및 후방에 결합되고, 인접하는 순차적으로 와이어가 지지되는 지지롤부가 인접해짐에 따라 구동체 바디는 펼쳐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와이어 구동력 제공부(3230)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태양광 패널이 순차적을 이동된다.
도 15는 도 3에 도시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상부패널 세척장치 이외의 기술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구성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한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개략적인 분해 구성도이고, 도 17는 도 15에 도시한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4000)는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1000)와 비교하여 구동모듈만이 상이하다.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4000)는 태양광 패널부(4100), 구동모듈(4200), 클린부(4300) 및 세척수 분사모듈(4400)을 포함한다. 또한, 태양광 패널부(4100), 클린부(4300) 및 세척수 분사모듈(4400)은 태양광 패널부(1100), 클린부(1300) 및 세척수 분사모듈(1400)과 동일하고 세부기술구성은 전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동모듈(4200)은 구동본체바디(4210), 연결부재(4220) 및 체인 구동력 제공부(4230)를 포함한다.
구동본체바디(4210)는 태양광 패널부(4100)의 복수의 태양광 패널에 각각 결합되고, 연동되도록 링크된다. 벨트 구동력 제공부(4230)는 체인(4231), 기어부(4232)를 포함하고, 모터(미도시)에 연결되고 연결부재(4220)를 통해 태양광 복수의 태양광 패널에 각각 연결된다.
체인(4231)은 각각의 본체를 포함하는 구동본체바디(4210)에 일단 및 타단이 연결되고, 각각의 기어부(4232)는 모터와 체인(4231)에 연결되고, 모터의 작동에 의한 기어부의 회동에 의해 체인을 따라 이동되면서 구동본체바디(4210)는 인출 및 인입된다.
즉, 모터의 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구동본체바디(4210)는 인출 및 인입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체인 구동력 제공부(4230)의 조작에 따라 복수의 태양광 패널이 순차적을 이동된다.
도 18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리사이클링 세척수 공급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세척수 분사모듈을 통해 태양광 패널에 공급된 세척수는 세척수 수거부에 수거된다.
세척수 수거부에 수거된 세척수는 필터등을 포함하는 세정모듈을 통해 정화된 후, 공급모터를 포함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통해 다시 세척수 분사모듈에 공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태양광 패널을 세척한 세척수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세척수에 의한 토양 오염등의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의 세척수 분사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촤 같이, 세척수 분사모듈(5400)은 상수도, 소화전 등의 외부 물 공급부와 연결된 세척수관(5430)을 포함하고, 세척수 저장부를 포함하지 않고, 직접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태양광 패널을 세척시킬 수 있다.
또한, 세척수관(5430)을 통해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세척수 공급펌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에 있어서, 상부패널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두번째로 위치되는 제2 태양광 패널(1100b)에는 최 상부에 위치되는 제1 태양광 패널(1100a)의 상부에 접하는 브러시부(B)가 결합된다.
즉, 연결부재(C)의 일단부는 제2 태양광 패널(1100b)에 결합되고, 연결부재(C)의 타단부에는 브러시부(B)가 결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2 태양광 패널(1100b)의 이동에 연동되어 브러시부(B)는 제1 태양광 패널(1100a)을 세척하고, 제2 태양광 패널(1100b)은 클린부(1300)에 의해 세척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0: 태양광 패널 구조체
1100a: 제1 태양광 패널
1100b: 제2 태양광 패널
1100: 태양광 패널부
1200: 구동모듈
1210: 구동본체바디
1220: 연결부재
1230: 유압 구동력 제공부
1300: 클린부
1310: 클린시트
1320: 클린바디
1400: 세척수 분사모듈
1410: 분사노즐
1420: 세척수 저장부
1500: 상부패널 세척장치
1510: 세척바
1511: 접하도록 브러시부
1520: 동력전달부
1530: 구동모터
1540: 기어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하부에 클린부를 포함하고 이동가능하도록 적층된 복수의 태양광 패널; 및
    상기 태양광 패널을 구동시키는 구동장치; 및
    상기 태양광 패널에서 검출된 광량 데이터 또는 발전량 데이터를 통해 패널의 오염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태양광 패널 중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태양광 패널은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부 클린부에 접하고,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태양광 패널이 이동될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태양광 패널의 상기 클린부에 의해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태양광 패널이 세척되고,
    상기 복수의 태양광 패널 중에서 두번째로 위치되는 제2 태양광 패널에는 연결부재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부에는 최 상부에 위치되는 제1 태양광 패널의 상부에 접하는 브러시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 태양광 패널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브러시부는 상기 제1 태양광 패널을 세척하고, 상기 제2 태양광 패널은 상기 클린부에 의해 세척되는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 패널에 결합되는 광센서 또는 발전량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는 태양광 패널에 공급되는 광량을 검출하고, 상기 발전량 검출부는 각각의 태양광 패널의 발전량을 검출하는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KR1020210044893A 2021-04-06 2021-04-06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KR102356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893A KR102356296B1 (ko) 2021-04-06 2021-04-06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893A KR102356296B1 (ko) 2021-04-06 2021-04-06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296B1 true KR102356296B1 (ko) 2022-02-08

Family

ID=8025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893A KR102356296B1 (ko) 2021-04-06 2021-04-06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29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398B1 (ko) * 2016-05-27 2016-12-05 (주)주원에프이 태양전지판의 오염진단 및 세척기능을 갖는 태양광발전장치
KR101919006B1 (ko) * 2018-05-17 2018-11-15 솔라비젼 주식회사 사물인터넷 및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모듈 청소 시스템
KR102207513B1 (ko) * 2019-12-26 2021-01-26 그린우전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2398B1 (ko) * 2016-05-27 2016-12-05 (주)주원에프이 태양전지판의 오염진단 및 세척기능을 갖는 태양광발전장치
KR101919006B1 (ko) * 2018-05-17 2018-11-15 솔라비젼 주식회사 사물인터넷 및 드론을 이용한 태양광 모듈 청소 시스템
KR102207513B1 (ko) * 2019-12-26 2021-01-26 그린우전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513B1 (ko) 자동 세척 이동형 태양광 패널 구조체
CN104539233B (zh) 光伏阵列组件自动清洗除尘系统
CN106208948A (zh) 自动清洁的太阳能电池板
CN206392479U (zh) 一种光伏清洗装置
KR102373790B1 (ko) 태양광 패널 자동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WO2015141282A1 (ja) 洗浄装置
CN107096783A (zh) 一种光伏面板清洗机器人
CN106230373A (zh) 一种光伏发电设备
KR102139330B1 (ko) 태양광 모듈 자동 클리닝 시스템
CN106111647A (zh) 基于挂壁式光伏板清洗装置
JP2015003310A (ja) 洗浄装置
CN212397436U (zh) 一种太阳能电池板清洗装置
CN207766217U (zh) 一种带清洁功能的储水式光伏发电装置
KR20120014227A (ko) 태양광 발전기
CN108940967A (zh) 一种适用于光伏板的自动化清洁系统
CN216880648U (zh) 一种适用于光伏电站运维清灰的智能机器人
CN205797952U (zh) 一种二维清扫光伏组件的智能无水清洁机器人
CN205725624U (zh) 光伏组件清洁度传感器
KR102236692B1 (ko) 나노버블수를 이용한 태양광 모듈 패널용 이동형 클리닝 장치
CN209647167U (zh) 一种光伏组件清洁系统
CN208479564U (zh) 具有自清洁功能的光伏组件
KR102356296B1 (ko) 태양광 패널 세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세척방법
CN205673255U (zh) 光伏组件清洗单元
JP6121354B2 (ja) 洗浄装置
CN108971070A (zh) 一种适用于光伏板的自动化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