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270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te Open and Recording Access List by Using Phone Call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te Open and Recording Access List by Using Phone Cal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270B1
KR102356270B1 KR1020210114501A KR20210114501A KR102356270B1 KR 102356270 B1 KR102356270 B1 KR 102356270B1 KR 1020210114501 A KR1020210114501 A KR 1020210114501A KR 20210114501 A KR20210114501 A KR 20210114501A KR 102356270 B1 KR102356270 B1 KR 102356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hone number
office
service device
unmanned st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45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문성호
Original Assignee
문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성호 filed Critical 문성호
Priority to KR1020210114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27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2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te open and recording a visiting list using phone call to automatically authenticate identity of an unspecified visitor using a phone number and open a door in an unmanned store, et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for controlling gate open and recording a visiting list using phone call comprises: an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that receives, stores, and manages user information provided from a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a phone number guided to a doorway of an unmanned store; and an access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a door lock installed in the doorway so that a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enters the unmanned store according to the instruction from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when user information is received.

Description

전화호출을 이용한 게이트 오픈 제어 및 출입명부 기록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te Open and Recording Access List by Using Phone Call}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te Open and Recording Access List by Using Phone Call

본 발명은 전화호출을 이용한 게이트 오픈 제어 및 출입명부 기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무인 점포 등에서 불특정 방문객의 본인인증을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증하고, 출입문을 개방시키는 전화호출을 이용한 게이트 오픈 제어 및 출입명부 기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 open control and access list record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phone c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utomatically authenticate the identity of an unspecified visitor using a phone number at an unmanned store, etc., and to open the door by phone call It relates to a gate open control and access list recording system and method using

현재 시중에는 얼굴, 지문, 카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BLUETOOTH), 핸드폰앱(예: 서버컴 필요) 등을 이용한 출입통제 시스템은 많이 있다. 이는 모두 출입통제기에 등록 후, 접촉 또는 근거리에 접근하거나 비싼 서버컴퓨터를 운영해야만 출입문을 개방(open)할 수 있다. 무조건 등록된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다.Currently, there are many access control systems on the market using face, fingerprint, card,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Bluetooth (BLUETOOTH), and mobile phone app (eg, server computer required). After registering with the access controller, the door can be opened only by contact or close proximity or by operating an expensive server computer. It can only be used by unconditionally registered users.

이로 인해 종래의 출입통제 시스템은 불특정 방문객의 본인인증 및 출입기록작성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For this reason, the conventional access control system has a problem in that it is impossible to authenticate an unspecified visitor and write an access record.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292810호(2021.08.18)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292810 (Aug. 18, 202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84409호(2020.11.24)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184409 (2020.11.24)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무인 점포 등에서 불특정 방문객의 본인인증을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증하고, 출입문을 개방시키는 전화호출을 이용한 게이트 오픈 제어 및 출입명부 기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gate open control and access list record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phone call to automatically authenticate the identity of an unspecified visitor using a phone number and open the door in an unmanned store, etc.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호출을 이용한 게이트 오픈 제어 및 출입명부 기록 시스템은, 무인 매장의 출입구에 안내되는 전화번호를 근거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출입관리서비스장치, 및 상기 사용자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출입관리서비스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무인 매장을 출입하도록 상기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락을 제어하는 출입통제장치를 포함한다.The gate open control and access list recording system using a phone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stores and manages user information provided from a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a phone number guided to an entrance of an unmanned store. a service device; and an access control device configured to control a door lock installed in the doorway so that a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enters and exits the unmanned store according to an instruction from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when the user information is received.

상기 출입관리서비스장치는, 통신사의 서버에 연동하며, 상기 통신사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may interwork with a server of a communication company, receive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company, and store and manage it in a database (DB).

상기 도어락은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출입통제장치로부터 출입구의 개방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카메라를 턴온시켜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더 판단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The door lock may include a camera, and when there is a request to open the doorway from the access control device, the camera may be turned on to further determine whether a user exists to open the doorway.

상기 출입관리서비스장치는 상기 사용자 정보로서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와 상기 전화번호로 발신시의 시간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may store and manage caller phone number information as the user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when a call is made to the phone number.

상기 출입관리서비스장치는 상기 출입구에 비공개된 전화번호로 전화호출이 있는 경우 상기 비공개의 전화번호를 근거로 상기 출입구의 도어락을 제어하여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may open the door by controlling the door lock of the doorway based on the undisclosed phone number when a phone call is made to the undisclosed phone number at the doorwa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호출을 이용한 게이트 오픈 제어 및 출입명부 기록 방법은 출입관리서비스장치가, 무인 매장의 출입구에 안내되는 전화번호를 근거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출입통제장치가, 상기 사용자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출입관리서비스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무인 매장을 출입하도록 사익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in the gate open control and access list recording method using a phone c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receives use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the phone number guided to the doorway of the unmanned store. to store and manage, and an access control device, when the user information is received, according to an instruction from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a door lock installed in a private entrance so that a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enters and exits the unmanned store. including controll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인점포 등을 방문한 불특정 방문객들은 본인인증을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증하고, 출입문을 개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nspecified visitors who visit an unmanned store or the like can automatically authenticate themselves using a phone number and open the do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거리에서 사무실의 문을 개방해야 하는 경우에도 사무실로 전화를 함으로써 출입문을 간편하게 열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it is necessary to open the door of the office from a distance, it will be possible to easily open the door by calling the off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를 이용한 게이트 오픈 제어 및 출입명부 기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타임북 무인샵에서 고객이 전화를 통해 출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1의 DB에 기록되어 있는 출입명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1의 출입관리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를 이용한 게이트 오픈 제어 및 출입명부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gate open control and access list recording system using a phone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ystem of Figure 1;
3 is a view showing a process in which a customer enters and exits a time book unmanned shop by phone;
4 is a view showing an access list recorded in the DB of FIG. 1;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apparatus of FIG. 1, and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ate open control and access list recording method using a phone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를 이용한 게이트 오픈 제어 및 출입명부 기록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시스템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 3은 타임북 무인샵에서 고객이 전화를 통해 출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4는 도 1의 DB에 기록되어 있는 출입명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gate open control and access list recording system using a phone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ystem of FIG. 1, and FIG. 3 is a call from a customer in an unmanned timebook shop A view showing the process of entering and exiting through the ,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access list recorded in the DB of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이하, 시스템)(90)은 사용자 단말장치(100), 도어락(110), 출입통제장치(115), 통신망(120) 및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a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stem) 9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terminal device 100 , a door lock 110 , an access control device 115 , a communication network 120 , and access Includes some or all of the management service device (130).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시스템(90)이 구성되거나, 출입통제장치(115)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도어락(1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are omitted so that the system 90 is configured, or some components such as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are included in the door lock 110 ), which means that it can be configured by being integrated with other components, such as, and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ll in order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무인 매장(97) 등을 방문하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스마트폰이나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하는 국내S사의 갤**시기어와 같은 웨어러블장치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전화호출을 위하여 전화통화가 가능하다면 어떠한 장치이어도 무관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무인 매장(97) 등의 출입문에 공개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전화호출(혹은 통화 호 발생)을 하게 되면, 이때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식별정보로서 장치 ID나 전화번호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자는 무인 매장(97)에 어떠한 고객이 출입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cludes a smart phone possessed by a user visiting the unmanned store 97 or the like, or a wearable device such as a Galaxy Gear Gear of domestic S company worn on the user's wrist. Of course, a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y device may be used as long as a phone call is possible for a phone call. For example,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a phone call (or generates a call call) to a phone number that is open to the door of the unmanned store 97, etc., at this time, the user terminal device ( 100), a device ID or a phone number may be provided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ly, the manager can know which customer entered the unmanned store 97 .

예를 들어, 고객이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전화 번호가 010-9876-4321일 이라고 가정할 때, 고객은 070-1234-5678로 전화를 걸게 되고, 이때 고객의 010-9876-4321의 전화번호가 기록에 남을 수 있다. 물론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위의 070 전화번호로 전화통화를 시도하게 되면, 통신사의 통신망(120)을 통해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위의 070의 수신지는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가 된다. 물론 여기서,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는 무인 매장(97)에서 운영하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복수의 무인 매장(97)을 통합 관리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phon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used by the customer is 010-9876-4321, the customer calls 070-1234-5678, and at this time, the customer's 010-9876-4321 's phone number may be recorded. Of course, as can be seen in FIG. 2 ,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ttempts to make a phone call to the above 070 phone number, it may be connected to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of the communication company. In other words, the destination of 070 above is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130 . Of course, here,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may be a computer operated by the unmanned store 97 , but may include a management server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plurality of unmanned stores 97 .

무엇보다, 무인 매장(97)이 사무실인 경우에는 예를 들어 고객이 사무실을 방문했을 때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는 즉 원거리에서 사무실의 문을 열어야할 경우 사무실로 전화를 함으로써 출입문을 간편하게 열어주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물론 통상의 전화 통화와 같이 사무실로 전화하기보다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이하, 앱)을 실행한 후 이를 통해 전화를 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앱의 실행없이 일반전화를 이용해 사무실로 전화를 할 때와, 앱을 실행한 후 이를 통해 사무실로 전화를 할 때 동일 전화번호로 전화를 하는 경우에는 서로 다르게 처리할 수 있다.Above all, when the unmanned store 97 is an office, for example, when a customer visits the office,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can easily open the door by calling the office when opening the door of the office from a distance. It is also possible to open it. Of course, when making a call through an application (hereinafter, an app)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rather than making a call to the office as in a normal phone call,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In other words, when making a call to the office using a regular phone without running the app, and when making a call to the office through it after running the app, the same phone number can be handled differently.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장치(100)는 평상시에는 무인 매장(97) 등의 출입구에 공개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경우 이의 수신단말 즉 컴퓨터, 또는 도 1의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로 자신의 전화번호를 기록으로 남기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는 일반 전화통화에서 수신자의 전화에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남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또 빅데이터를 인공지능(AI)의 딥러닝 등을 통해 분석하여 무인 매장(97)을 방문한 고객의 성향 등을 분석하여 마케팅 자료로 사용하는 경우도 가능하므로, 이러한 점에서 보면 차이점은 매우 크다.In this way, whe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a call to a phone number that is open to the doorway of the unmanned store 97 or the like in normal times, the receiving terminal, that is, the computer, or the access management of FIG. 1 . The service device 130 will leave his or her phone number as a record. Of course, it can be seen that this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fact that the caller's phone number is left on the receiver's phone in a normal phone call.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data is collected to form big data, and big data is analyzed through deep lear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etc. to analyze the tendency of customers who visited the unmanned store 97, etc. It can also be used as a marketing material, so the difference is very big in this respect.

도어락(110)은 출입통제장치(115)의 제어 명령에 따라 무인 매장(97) 등의 출입문을 개방시킨다. 도어락(110)은 출입구의 출입문을 잠그고 여는 장치로서 동작한다. 도 2에서는 출입문의 상측에 도어락(105)이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다시 말해, 출입통제장치(115)의 요청에 따라 도어락(105)의 잠금이 해제되면 출입문이 열리는 것이고, 또 출입통제장치(115)의 요청에 따라 도어락(105)의 잠금이 설정되면 출입문이 바닥면이나 상측면에 고정되어 출입문이 잠기게 되는 것이다. 도어락(110)은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door lock 110 opens the door of the unmanned store 97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 The door lock 110 operates as a device for locking and opening the door of the entrance.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door lock 105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entrance door. In other words, when the lock of the door lock 105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the door is opened, and when the lock of the door lock 105 is set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the door is the floor It is fixed to the side or upper side and the door is locked. Since various types of devices may be used for the door lock 110 , it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type.

무엇보다 무인 매장(97) 내에는 무인 매장(97) 내의 상황을 살피기 위한 카메라들이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무인 결제를 위한 다양한 유형의 결제 장치도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장치들의 동작과 기존과 크게 다르지 않으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bove all, cameras for monitoring the situation in the unmanned store 97 may be installed in the unmanned store 97 . Alternatively, various types of payment devices for unattended payment may be provided. However, since the operation of these devices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s, a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출입통제장치(115)는 출입문이나 도어락(110)의 주변에 설치된다. 도 3에서 볼 때 타임북 무인샵의 경우 출입문의 상측에 도어락이 설치되고, 출입통제장치(115)는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표지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있다. 통상 종래에는 지문인식 등의 출입통제를 위하여 지문인식을 사전에 등록한 특정 사람들에 대하여만 출입을 허용함으로써 무인 매장(97)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전화통화를 통해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대한 기록만 남기고 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도어락(110)을 제어하게 된다. 물론 출입통제장치(115)는 도어락(110)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해 도 1의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로부터 잠금 해제를 위한 통지를 수신할 수 있다.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is installed around the door or door lock 110 . As seen in FIG. 3 , in the case of the time book unmanned shop, a door lock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and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is provided below the sign guiding the phone number. In general, in order to control access such as fingerprint recognition in the prior art, it is not suitable for the unmanned store 97 by allowing access only to specific people who have previously registered fingerprint recognition. Accordingly, the door lock 110 is controlled in order to leave only a record of the user's user terminal device 100 through a phone call and to allow access. Of course,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may receive a notification for unlocking the door lock 110 from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130 of FIG.

통신망(120)은 유무선 통신망을 모두 포함한다. 가령 통신망(120)으로서 유무선 인터넷망이 이용되거나 연동될 수 있다. 여기서, 유선망은 케이블망이나 공중 전화망(PSTN)과 같은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것이고, 무선 통신망은 CDMA, WCDMA, GSM, EPC(Evolved Packet Core),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Wibro) 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20)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가령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하의 클라우드 컴퓨팅망, 5G망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통신망(120)이 유선 통신망인 경우 통신망(120) 내의 액세스포인트는 전화국의 교환국 등에 접속할 수 있지만, 무선 통신망인 경우에는 통신사에서 운용하는 SGSN 또는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BTS(Base Transsive Station), NodeB, e-NodeB 등의 다양한 중계기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includes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or example, a wired/wireless Internet network may be used or interlocked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 Here, the wired network includes an Internet network such as a cable network or a public telephone network (PST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cludes CDMA, WCDMA, GSM, Evolved Packet Core (EPC), Long Term Evolution (LTE), Wibro network, etc. is meant to include Of course,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for example, in a cloud computing network under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 5G network, and the like. For example, when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is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the access point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can connect to a switching center of a telephone company, etc., but in the cas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t accesses the SGSN or GGSN (Gateway GPRS Support Node) operated by the communication company to transmit data. Data can be processed by accessing various repeaters such as a BTS (Base Transsive Station), NodeB, and e-NodeB.

통신망(120)은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의 액세스포인트는 건물 내에 많이 설치되는 펨토(femto) 또는 피코(pico) 기지국과 같은 소형 기지국을 포함한다. 펨토 또는 피코 기지국은 소형 기지국의 분류상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출입통제장치(115) 등을 최대 몇 대까지 접속할 수 있느냐에 따라 구분된다. 물론 액세스 포인트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나 출입통제장치(115) 등과 지그비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무선통신을 위하여 TCP/IP 혹은 RTSP(Real-Time Streaming Protocol)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와이파이 이외에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UHF(Ultra High Frequency) 및 VHF(Very High Frequency)와 같은 RF(Radio Frequency) 및 초광대역 통신(UWB) 등의 다양한 규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세스포인트는 데이터 패킷의 위치를 추출하고, 추출된 위치에 대한 최상의 통신 경로를 지정하며, 지정된 통신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 예컨대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 등으로 전달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는 일반적인 네트워크 환경에서 여러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라우터(router), 리피터(repeater) 및 중계기 등이 포함된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may include an access point. Here, the access point includes a small base station, such as a femto or pico base station, which is often installed in a building. Femto or pico base station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ximum number of access control devices, such as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etc. can be connected to the classification of a small base station. Of course, the access point may includ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for perform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Zigbee and Wi-Fi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r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 The access point may use TCP/IP or Real-Time Streaming Protocol (RTSP) for wireless communication. Her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ay be performed in various standards such as Bluetooth, Zigbee, infrared, radio frequency (RF) such as ultra high frequency (UHF) and very high frequency (VHF), and ultra-wideband communication (UWB) in addition to Wi-Fi. Accordingly, the access point extracts the location of the data packet, designates the best communication path for the extracted location, and transmits the data packet to the next device, such as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 along the designated communication path. The access point may share several lines in a general network environment, and includes, for example, a router, a repeater, and a repeater.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는 통상 종래의 경우를 생각해 보면 수신 전화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는 전화기가 아니며, 컴퓨터나 서버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임의의 무인 매장(97)에 도착하여 해당 무인 매장(97)을 입장하고자 할 때,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전화호출을 수행하고, 이의 경우 고객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가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의 DB(130a)에 기록된다. 물론 기록시에는 발신 또는 수신시의 시간정보를 함께 매칭시켜 저장 및 관리한다.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can be considered to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the receiving phone, considering the conventional case. However,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phone, but a computer or a server is preferable. For example, when a user arrives at an unmanned store 97 and wants to enter the unmanned store 97, a phone call is made to a phone number that is open to the outside, and in this case, the customer's user terminal device ( 100) is recorded in the DB 130a of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 Of course, when recording, time information at the time of sending or receiving is matched, and stored and managed.

또한,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는 무인 매장(97)뿐 아니라 일반 사무실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외부의 원격지에 있을 때 사무실을 방문한 고객을 출입시키기 위하여 일종의 원격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위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를 통해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형태라면, 원격지의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앱을 통해 전화를 거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일반전화의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것과 구분하여 동작을 처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에서 앱을 실행한 경우에만 사무실 등의 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출입통제장치(115)로 전송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may perform a kind of remote control operation in order to enter and exit the unmanned store 97 as well as the general office when the user is in a remote location outside the office. In the above case, if the phone number is dialed throug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n the case of a remote location, the phone number of the general phone is used by configuring the phone number to make a call through the app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t is also possible to process the action separately from it. For example,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to allow access to the office only when the app is executed on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는 다른 전화번호를 사용함으로써 일반전화와 사무실의 출입을 다르게 운영할 수 있다. 물론 사무실의 경우에는 후자의 경우와 같이 전화번호를 외부에 공개하는 경우에는 사무실을 방문한 고객이 전화를 함으로써 출입이 가능하게 되므로 위의 내용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위의 경우가 아니라면 사무실 외부에 전화번호를 비공개하고, 고객이 사무실을 방문하였을 때 사무실의 담당자가 비공개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 사무실의 출입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비공개 전화번호는 사무실을 방문한 고객에게 알려주어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지만, 번거로움이 있으므로 사무실의 담당자가 직접 해당 비공개 전화번호로 전화하여 출입문을 열어주는 형태로 동작할 수 있다.Of course,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13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perate the entry and exit of the office differently from the general phone by using a different phone number. Of course, in the case of the office, when the phone number is disclosed to the outside as in the latter case, the customer who visits the office can enter by calling, so it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above. However, if it is not the case above, the phone number is kept private outside the office, and when a customer visits the office, the person in charge of the office calls the undisclosed phone number to unlock the door of the office. Of course, such a private phone number can be operated by notifying the customer visiting the office, but since it is cumbersome, the person in charge of the office directly calls the private phone number to open the door.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는 무인 매장(97)이나 사무실의 담당자가 어떠한 형태로 도어락을 운영할지에 따라 다양하게 시스템이 설정될 수 있다. 그러한 방법과 관련해서는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 도 4는 가령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에 접속하는 컴퓨터 등의 관리자장치에서 볼 수 있는 도 1의 무인 매장(97)에 방문하여 DB(130)에 기록된 전화번호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앱은 '스마트 콜'이라 지칭될 수 있는데, 해당 부분을 클릭하게 되면 방문자의 사용자 단말장치(100)에 대한 전화번호가 확인될 수 있다. 또한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는 도 2에서 볼 때 통신사의 서버 접속 후 대기(listening)가 가능하고, OPEN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로 통신을 수행한다((1) 참조).As such, in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systems can be set according to how the person in charge of the unmanned store 97 or the office operates the door lock. Since such a method has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the detailed information will be replaced with the contents. 4 shows, for example, phone numbers recorded in the DB 130 by visiting the unmanned store 97 of FIG. 1 that can be viewed from a manager device such as a computer accessing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 The service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referred to as a 'smart call', and when a corresponding part is clicked, a phone number for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of the visitor may be confirmed.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is capable of listening after connection to a communication company's server, and performs communication through an OPE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refer to (1)).

요약하면 서버컴퓨터와 같은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에 등록된 전화번호로 전화기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면(도 2의 (2) 참조), 통신사는 그것을 수신 후 서버컴퓨터에 이벤트를 전송하며(도 2의 (3) 참조), 서버컴퓨터는 이것을 수신하여 발신자 전화번호와 시간을 DB(130a)에 저장을 하고(도 2의 (5) 참조), 서버컴퓨터에 등록된 락컨트롤러 즉 도 1의 출입통제장치(115)에 출입문을 개방(open)하라는 신호를 API를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도 2의 (6) 참조). 고객(예: 방문객)이 안내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면, 출입문은 개방된다. 또한,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는 고객님의 전화번호를 관리용 DB(130a)에 저장하고, 출입한 내역을 조회 및 엑셀로 다운로드도 가능하도록 동작한다.In summary, when a call is made using a phone to a phone number registered in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such as a server computer (see (2) of FIG. 2 (3)), the server computer receives this and stores the caller's phone number and time in the DB 130a (refer to (5) of FIG. 2), and the lock controller registered in the server computer, that is, the access in FIG. A signal to open the door to the control device 115 may be transmitted using an API (refer to (6) of FIG. 2 ). When a customer (eg a visitor) calls the phone number of the guide, the door is opened. In addition,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stores the customer's phone number in the management DB 130a, and operates so that access details can be viewed and downloaded in Excel.

도 5는 도 1의 출입관리서비스장치의 세부구조를 예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structure of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apparatus of FIG. 1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출입관리부(520) 및 저장부(530)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of FIG.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 a control unit 510 , an access control unit 520 , and a storage unit 530 . includes some or all.

여기서,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한다"는 것은 저장부(53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가 구성되거나, 출입관리부(520)와 같은 일부 구성요소가 제어부(510)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통합되어 구성될 수 있는 것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발명의 충분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전부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한다.Here, "including some or all" means that some components such as the storage unit 530 are omitted to configure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130, or some components such as the access control unit 520 are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510 ), which means that it can be configured by being integrated with other components, such as, and will be described as including all in order to help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도 1의 통신망(12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장치(100) 및 출입통제장치(115)와 각각 통신한다.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변/복조, 먹싱/디먹싱, 인코딩/디코딩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communicates with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of FIG. 1 ,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may perform operations such as modulation/demodulation, muxing/demuxing, encoding/decoding, and the like. Since this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무인 매장(97)의 출입을 위해 외부에 공개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전화 호출이 있는 경우 해당 전화호출(또는 발생된 호(call))을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연결은 통신망(120)을 구성하는 무선교환장치나 유선교환장치에서 연결하는 것이며, 해당 교환장치는 호출된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발신 전화번호가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라는 것은 이미 기설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근거로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를 연결하며,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이에 따라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와 통화를 연결한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receives the corresponding phone call (or the generated call) when there is a phone call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to a phone number open to the outside for entry and exit of the unmanned store 97 . can do. Of course, such a connection is a connection from a wireless switching device or a wired switching device constituting the communication network 120 , and as for the switching device, it is already known that the calling numb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is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 Since it is preset,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is connected based on this, and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connects a call with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accordingly.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제어부(510)의 제어하에 해당 호 연결을 근거로 무인 매장(97)의 출입문을 개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510)의 제어하에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는 무인 매장(97)의 출입문을 개방하기 위하여 제어 명령을 출입통제장치(115)로 전송한다.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performs an operation for opening the door of the unmanned store 97 based on the call connec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10 . In other word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10 ,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to open the door of the unmanned store 97 .

제어부(510)는 도 5의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를 구성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출입관리부(520) 및 저장부(53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담당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10)는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무인 매장(97)에 할당한 전화번호로 전화통화를 위한 호출(혹은 호 발생)이 있을 때 해당 전화번호를 근거를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를 연결하기 위한 설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무인 매장(97)에 할당된 전화번호와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의 식별정보를 매칭시켜 DB(130a)에 저장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510 is in charge of overall control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 the access control unit 520 , and the storage unit 530 constituting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of FIG. 5 . For example, when there is a call (or a call) for a phone call to the phone number assigned to the unmanned store 97 for system construction, the control unit 510 controls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based on the phone number. A setting operation for connection may be performed. To this end, the phone number assigned to the unmanned store 97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may be matched and stored in the DB 130a.

또한, 제어부(510)는 임의의 무인 매장(97)에 할당된 전화번호를 통해 통화 발신이 있는 경우 해당 전화번호는 특정 무인 매장(97)의 출입문을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것임을 인지하기 위하여 출입통제장치(115)의 식별정보도 매칭시켜 DB(130a)에 기저장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1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500)를 통해 임의 전화번호를 근거로 호출이 있을 때 이를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로 제공하고,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는 해당 전화번호가 무인 매장(97)과 관련되는 것을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출입통제장치(115)로 무인 매장(97)의 출입문을 개방하도록 도어락(110)의 잠금을 해제해 줄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510)는 출입관리부(520)와 연계하여 동작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510 controls access to recognize that when a call is made through a phone number assigned to an arbitrary unmanned store 97 , the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is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door of a specific unmanned store 97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 115 may also be matched and stored in the DB 130a. Accordingly, when a call is made based on an arbitrary phone number through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 the control unit 510 provides it to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 and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sets the phone number to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 It is determined that it is related to the unmanned store 97 and requests to unlock the door lock 110 to open the door of the unmanned store 97 with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n order to perform this operation, the control unit 510 operates in conjunction with the access management unit 520 .

출입관리부(520)는 무인 매장(97) 등 불특정 방문객의 본인인증을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인증하고, 출입문을 개방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출입관리부(520)는 원거리에서 사무실의 문을 개방해야 할 경우에도 사무실로 전화를 함으로써 출입문을 간편하게 열어주기 위하여 동작할 수 있다.The access management unit 520 automatically authenticates the self-authentication of an unspecified visitor, such as the unmanned store 97, using a phone number, and performs an operation for opening the door. In addition, even when the door of the office needs to be opened from a distance, the access control unit 520 may operate to conveniently open the door by calling the office.

출입관리부(520)는 위의 동작을 위한 시스템 구축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구축된 시스템 즉 프로세스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출입관리부(520)는 전화번호가 할당된 무인 매장(97)의 전화번호로 전화호출 요청이 있으면, 해당 전화번호나 무인 매장(97)의 식별정보를 근거로 기설정된 해당 무인 매장(97)의 출입통제장치(115)로 제어 명령을 전송한다. 물론 여기서의 제어 명령은 출입통제장치(115)가 자신이 관할하는 도어락(110)의 잠금을 자동 해제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The access management unit 520 may perform a system construction operation for the above operation, and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system, that is, a process. For example, if there is a request for a phone call to the phone number of the unmanned store 97 to which the phone number is assigned, the access control unit 520 may set the unattended store ( 97)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Of course, the control command here is used so that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automatically unlocks the door lock 110 under its jurisdiction.

또한, 출입관리부(520)는 앞서 언급한 대로 무인 매장(97)뿐 아니라, 사무실 등의 출입문 자동 해제를 위해 동작할 수 있다. 물론 출입관리부(520)는 사무실 내의 전화기에 대한 전화번호와 다른 전화번호를 도어락(110)에 설정함으로써 이를 통해 원격에서도 전화를 걸어 사무실의 출입문을 해제시킬 수 있지만, 동일 전화번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앱의 실행을 통해 접속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구분하여 도어락(110)를 해제시키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두 경우 모두 '스마트 콜'이라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앱을 통해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어느 하나의 형태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In addition, the access management unit 520 may operate to automatically unlock the door of the office, as well as the unmanned store 97 as mentioned above. Of course, the access control unit 520 sets the door lock 110 with a phone number different from the phone number for the phone in the office, so that it can make a remote call to unlock the door of the office, but if the same phone number is used, An operation for releasing the door lock 110 may be performed by classifying it according to whether the connection is made through the execution of the app. Of course, in both cases, it is possible to perform an operation through an ap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led 'smart call', so it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any one form.

저장부(530)는 제어부(510)의 제어하에 처리되는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무인 매장(97)으로부터 전화호출이 있는 경우 호 신호를 저장부(530)에 순서대로 저장한 후 순차적으로 불러내어 출입관리부(520)에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호 신호는 도 1에서 볼 때,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호 신호는 통화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발신 신호 즉 통화음을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storage unit 530 may store and output various types of data proces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10 . For example, when there is a phone call from a plurality of unmanned stores 97 , call signals may be sequentially stored in the storage unit 530 and then sequentially retrieved to be provided to the access management unit 520 . Here, the call signal may include a phon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s seen in FIG. 1 . The call signal means that an outgoing signal, that is, a call tone is generated to determine whether a call is possible, but the content thereof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5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출입관리부(520) 및 저장부(5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the control unit 510, the access control unit 520, and the storage unit 530 of FIG. 5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other details have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so the contents would like to replace it with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5의 통신 인터페이스부(500), 제어부(510), 출입관리부(520) 및 저장부(530)는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된 하드웨어 모듈로 구성되지만, 각 모듈은 내부에 상기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해당 소프트웨어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집합이고, 각 모듈은 하드웨어로 형성되는 것이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소프트웨어니 하드웨어니 하는 구성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부(530)는 하드웨어인 스토리지(storage) 또는 메모리(memory)일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정보를 저장(repository)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므로 위의 내용에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을 것이다.The communication interface unit 500, the control unit 510, the access control unit 520, and the storage unit 530 of FIG. 5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posed of hardware modules phys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each module has an internal It may be possible to store and execute software for performing the above operation. However, since the software is a set of software modules, and each module can be formed of hardware, it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software or hardware. For example, the storage unit 530 may be a hardware storage (storage) or a memory (memory). However, since it is possible to store information in software (repository), it will not be particularly limited to the abov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510)는 CPU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칩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CPU는 제어회로, 연산부(ALU), 명령어해석부 및 레지스트리 등을 포함하며, 메모리는 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회로는 제어동작을, 그리고 연산부는 2진비트 정보의 연산동작을, 그리고 명령어해석부는 인터프리터나 컴파일러 등을 포함하여 고급언어를 기계어로, 또 기계어를 고급언어로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레지스트리는 소프트웨어적인 데이터 저장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가령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의 동작 초기에 출입관리부(520)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복사하여 메모리 즉 램(RAM)에 로딩한 후 이를 실행시킴으로써 데이터 연산처리 속도를 빠르게 증가시킬 수 있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510 may include a CPU and a memory, and may be formed as a single chip. The CPU includes a control circuit, an arithmetic unit (ALU), a command interpreter and a registry, and the memory may include a RAM. The control circuit performs a control operation, the operation unit performs an operation operation of binary bit information, and the instruction interpretation unit converts a high-level language into a machine language and a machine language into a high-level language, including an interpreter or compiler. , the registry may be involved in software data storag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for example, at the beginning of the operation of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the program stored in the access control unit 520 is copied, loaded into a memory, that is, a RAM, and then executed to speed up the data operation processing speed. can increas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화번호를 이용한 게이트 오픈 제어 및 출입명부 기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ate open control and access list recording method using a phone nu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상 도 6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도 1의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는 무인 매장(97)의 출입구에 안내되는 전화번호를 근거로 사용자 단말장치(10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S600).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며, 전화호출이 있거나 호출이 수신된 때의 시간정보를 포함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referring to FIG. 6 together with FIG. 1 ,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130 of FIG. 1 provides user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based on a phone number guided to the entrance of the unmanned store 97 . is received, stored and managed (S600). Here, the user information includes a phone numb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and includes time information when there is a phone call or a call is received.

또한, 출입통제장치(115)는 사용자 정보가 수신될 때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사용자 단말장치(100)의 사용자가 무인 매장(97)을 출입하도록 도어락(110)을 제어한다(S610).In addition,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controls the door lock 110 so tha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100 enters and exits the unmanned store 97 according to an instruction from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130 when user information is received. do (S610).

상기한 내용 이외에도 도 6의 출입통제장치(115) 및 출입관리서비스장치(130)는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자세한 내용은 앞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그 내용들로 대신하고자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the access control device 115 and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130 of FIG. 6 can perform various operations, and other detailed information has been sufficiently described above, so it will be replaced with the contents.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일시적 저장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even 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l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components may operate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In addi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as one independent hardware, but a part or all of each component is selectively combined to perform some or all of the combined functions in one or a plurality of hardware program modules It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 program having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computer program can be easily deduc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a computer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a, read and executed by the computer, thereby implemen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비일시적 판독 가능 기록매체란, 레지스터, 캐시(cache),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 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Here, the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refers to a medium that stores data semi-permanently and can be read by a device, not a medium that stores data for a short moment, such as a register, cache, memory, etc. .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programs may be provided by being stored in a non-transitory 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 DVD, hard disk, Blu-ray disk, USB, memory card, ROM, and the lik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having the knowledge of, of course,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사용자 단말장치 110: 도어락
115: 출입통제장치 120: 통신망
130: 출입관리서비스장치
100: user terminal device 110: door lock
115: access control device 120: communication network
130: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Claims (6)

무인 매장이나 사무실의 출입구에 안내되는 전화번호를 근거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출입관리서비스장치; 및
상기 사용자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출입관리서비스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무인 매장이나 사무실을 출입하도록 상기 출입구에 설치된 도어락을 제어하는 출입통제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도어락은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통제장치로부터 출입구의 개방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카메라를 턴온시켜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며,
상기 출입관리서비스장치는, 상기 무인 매장이나 사무실 내의 전화기와 다른 전화번호로서 상기 출입구에 비공개된 전화번호로 전화호출이 있는 경우 상기 비공개의 전화번호를 근거로 상기 출입구의 도어락을 제어하여 출입문을 개방하며,
상기 출입관리서비스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없이 상기 무인 매장이나 사무실로 전화를 할 때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무인 매장이나 사무실로 전화를 할 때 동일 전화번호로 전화를 하는 경우에도 서로 다르게 처리하고,
상기 출입관리서비스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에만 상기 무인 매장이나 사무실의 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상기 출입통제장치로 전송하는 전화호출을 이용한 게이트 오픈 제어 및 출입명부 기록 시스템.
an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for receiving, storing and managing user information provided from a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a phone number guided to an entrance of an unmanned store or office; and
An access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 door lock installed in the doorway so that the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enters and exits the unmanned store or office according to an instruction from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when the user information is received;
The door lock includes a camera, and when there is a request to open the doorway from the access control device, the camera is turned on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a user to open the doorway,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opens the door by controlling the door lock of the doorway based on the undisclosed phone number when a phone call is made to the door number with a phone number different from the phone number in the unmanned store or office. and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handles differently when making a call to the unmanned store or office without executing the application and when making a call to the unmanned store or office after executing the application, even when calling the same phone number do,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gate open control and access list using a phone call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to allow access to the unmanned store or office only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record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리서비스장치는, 통신사의 서버에 연동하며, 상기 통신사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 및 관리하는 전화호출을 이용한 게이트 오픈 제어 및 출입명부 기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interlocks with a server of a communication company, and receives the user information from the communication company, stores and manages it in a database (DB), a gate open control and access list recording system using a phone cal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관리서비스장치는 상기 사용자 정보로서 발신자 전화번호 정보와 상기 전화번호로 발신시의 시간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전화호출을 이용한 게이트 오픈 제어 및 출입명부 기록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is a gate open control and access list recording system using a phone call to store and manage caller phone number information and time information when a call is made to the phone number as the user information.
삭제delete 출입관리서비스장치가, 무인 매장이나 사무실의 출입구에 안내되는 전화번호를 근거로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단계; 및
출입통제장치가, 상기 사용자 정보가 수신될 때 상기 출입관리서비스장치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무인 매장이나 사무실을 출입하도록 상기 출입구에 설치되는 도어락을 제어하는 단계;
카메라를 포함하는 상기 도어락이, 상기 출입통제장치로부터 출입구의 개방 요청이 있을 때 상기 카메라를 턴온시켜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출입관리서비스장치가, 상기 무인 매장이나 사무실 내의 전화기와 다른 전화번호로서 상기 출입구에 비공개된 전화번호로 전화호출이 있는 경우 상기 비공개의 전화번호를 근거로 상기 출입구의 도어락을 제어하여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
상기 출입관리서비스장치가,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없이 상기 무인 매장이나 사무실로 전화를 할 때와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무인 매장이나 사무실로 전화를 할 때 동일 전화번호로 전화를 하는 경우에도 서로 다르게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관리서비스장치가,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경우에만 상기 무인 매장이나 사무실의 출입을 허용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상기 출입통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화호출을 이용한 게이트 오픈 제어 및 출입명부 기록 방법.
receiving, storing and managing, by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user information provided from a user terminal device based on a phone number guided to an entrance of an unmanned store or office; and
controlling, by an access control device, a door lock installed in the doorway so that a user of the user terminal device enters and exits the unmanned store or office according to an instruction from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when the user information is received;
When the door lock including a camera, when there is a request to open the doorway from the access control device, turning on the camera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a user to open the doorway;
When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has a phone number different from the phone number in the unmanned store or office and there is a phone call to a phone number that is not disclosed at the entrance, it controls the door lock of the entrance based on the undisclosed phone number to open the door. to do;
When the access control service device makes a call to the unattended store or office without executing the application, and when calling the unmanned store or office after executing the application, even when calling the same phone number, processing is different to do; and
Transmitting, by the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a control signal to the access control device to allow access to the unmanned store or office only when the application is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device;
Gate open control and access list recording method using phone calls including.
KR1020210114501A 2021-08-30 2021-08-30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te Open and Recording Access List by Using Phone Call KR1023562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501A KR102356270B1 (en) 2021-08-30 2021-08-30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te Open and Recording Access List by Using Phone C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4501A KR102356270B1 (en) 2021-08-30 2021-08-30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te Open and Recording Access List by Using Phone Cal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270B1 true KR102356270B1 (en) 2022-02-08

Family

ID=80251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4501A KR102356270B1 (en) 2021-08-30 2021-08-30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te Open and Recording Access List by Using Phone Cal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27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592B1 (en) * 2011-02-16 2012-10-15 주식회사 지트론 Access control system of the building using phone
KR102184409B1 (en) 2018-11-13 2020-11-30 김영욱 A automation system for unmanned sale of clothes
KR102234556B1 (en) * 2020-10-26 2021-03-31 주식회사 만랩 Controllong apparatus for processing of unmanned store access
KR102292810B1 (en) 2021-01-11 2021-08-25 김종광 Unmanned stores operat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9592B1 (en) * 2011-02-16 2012-10-15 주식회사 지트론 Access control system of the building using phone
KR102184409B1 (en) 2018-11-13 2020-11-30 김영욱 A automation system for unmanned sale of clothes
KR102234556B1 (en) * 2020-10-26 2021-03-31 주식회사 만랩 Controllong apparatus for processing of unmanned store access
KR102292810B1 (en) 2021-01-11 2021-08-25 김종광 Unmanned stores operat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17336B (en) Yunmen access control system and its implementation based on mobile internet
EP2515497B1 (en) Method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in a distributed authentication system and authentication system
JP575680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using a cellular mobile radio network
US9148823B2 (en) Ensuring quality of service for private short-range wireless networks
KR101274617B1 (en) Security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20095857A (en) Regulation of service in restricted telecommunication service area
KR20190026357A (en) An artificial intelligence digital door lock system operated by face and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CN110494898A (en) With wireless and face recognition entrance monitoring system
CN110494897A (en) Enter monitoring system with wireless and face recognition visitor
CN106846557B (en) The access control management method realized by wireless router
KR101491706B1 (en) Method for providing door access control service based on application
KR101931951B1 (en)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For An Door of Study Cafe
KR101652181B1 (en) Common entrance door opening system and method using a smartphone
KR1020635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oor opening using a portable terminal
KR102356270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Gate Open and Recording Access List by Using Phone Call
KR101822586B1 (en) Security device,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EP2677814B1 (en) A small cell base statio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communications between a user terminal and a small cell base station
KR101656205B1 (en) Using the smart phone USIM-ID insider and outsider access control method and system
JP6662056B2 (en) Authentication system, personal digital assistant, server, and authentication program
KR101557156B1 (en) Management of gates using FRID system
KR20150114618A (en) The Method to be controlled the Door Camera and Doorlock by SmartPhone with NFC Function Based on M2M in Mobile Network and the Equipment for it
CN204719834U (en) A kind of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KR101998879B1 (en) Control method of unmanned crossing gat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20150050794A (en) access management service device based on network, method for managing access based on network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101698136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setting Private LTE APN synchronized with the external system of entering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