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107B1 -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 - Google Patents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107B1
KR102356107B1 KR1020210139545A KR20210139545A KR102356107B1 KR 102356107 B1 KR102356107 B1 KR 102356107B1 KR 1020210139545 A KR1020210139545 A KR 1020210139545A KR 20210139545 A KR20210139545 A KR 20210139545A KR 102356107 B1 KR102356107 B1 KR 102356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al force
support
rotor
protrusion
roto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국태승
김종환
차재영
Original Assignee
베셀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셀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베셀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39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1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2Gyropl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12Roto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01Vibration damping devices
    • B64C2027/002Vibration damping devices mounted between the rotor drive and the fuselage
    • B64C2201/024
    • B64C2201/108
    • B64C2201/16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 개시되는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에 의하면, 상기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가 추진 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추진 기관이 회전력 공급 수단과, 제어부와, 제 1 회전익 작동부와, 제 2 회전익 작동부와, 본체부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의 전체적인 무게를 경량화하여 비행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 경량화에 따라 연료 소비도 함께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Aircraft with propulsion engine with two rotor blades}
본 발명은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에 관한 것이다.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는 전후진 및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비행체로서 헬기 및 드론 등이 되고, 특히 상기 드론은 간편성, 신속성, 경제성 등의 여러 이점을 가지고 있어 군사용뿐만 아니라, 물류 배송, 방송, 재난 구조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회전익을 가진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의 예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들이다.
아래 제시된 특허 문헌을 포함한 종래의 회전익을 가진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는 하나의 회전익을 작동시켜 전후진 및 수직 이착륙이 수행되도록 하거나, 두 개의 회전익을 구비하여 하나의 회전익은 전후진이 수행되도록 하고, 다른 하나의 회전익은 수직 이착륙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러나, 하나의 회전익으로 전후진 및 수직 이착륙이 수행되도록 할 경우에는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작동하기도 어렵고, 두 개의 회전익으로 전후진 및 수직 이착륙이 각각 수행되도록 할 경우에는 하나의 회전익을 이용하는 것에 비해 작동이 간편하여 비행의 신뢰성은 향상되나, 각각의 회전익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모터 등의 회전력 공급 수단이 별개로 구비되어야 함에 따라 상기 비행체의 무게가 다소 무거워지고, 무게가 무거워짐으로 인해 연료 소비도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회전익을 가진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상기 추진 기관이 설치되는 설치면을 통해 상기 추진 기관으로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추진 기관의 구성 요소에 그대로 전달되어 상기 추진 기관의 구성 요소가 오작동 또는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845964 호, 등록일자: 2018.03.30., 발명의 명칭: 수중 및 공중 탐사가 가능한 수공양용 드론 등록특허 제 10-1998799 호, 등록일자: 2019.07.04., 발명의 명칭: 정찰 및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드론
본 발명은 비행체의 무게를 경량화하면서도 비행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로부터 추진 기관의 구성 요소의 피해가 방지될 수 있도록 상기 추진 기관이 설치되는 설치면을 통해 추진 기관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는 전후진 및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비행체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고, 서로 수직을 이루면서 배치되는 두 개의 회전익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추진 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추진 기관은 두 개의 상기 회전익에 함께 연결되어 두 개의 상기 회전익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회전력 공급 수단과,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두 개의 상기 회전익 중 어느 하나인 제 1 회전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회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 1 회전익을 작동시키는 제 1 회전익 작동부와, 두 개의 상기 회전익 중 다른 하나인 제 2 회전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회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 2 회전익을 작동시키는 제 2 회전익 작동부와, 그 내부에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 및 상기 제어부가 수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익 작동부 및 상기 제 2 회전익 작동부 중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공급하게 되고, 상기 제 1 회전익 작동부는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일측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과, 상기 제 1 회전익에 연결되는 제 1 회전익 샤프트(shaft)와, 상기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과 상기 제 1 회전익 샤프트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에서 상기 제 1 회전익 샤프트로 전달시키되, 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도록 하는 제 1 원웨이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전익 작동부는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타측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과,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의 중심축과 평행한 중심축을 가지고,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회전익 샤프트(shaft)와,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과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회전력을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에서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로 전달시키되,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에 의한 전달 방향과 반대되는 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도록 하는 제 2 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와 수직되게 배치되고, 그 말단부에 상기 제 2 회전익이 연결되는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과,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와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로 전달된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상기 회전력을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으로 전달시키는 수직 회전력 전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상기 회전력이 상기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 및 상기 제 1 회전익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 1 회전익에 전달되어 상기 제 1 회전익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이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상기 회전력이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 및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를 통해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기어로 전달된 다음,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기어에서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제 2 회전익에 전달되어 상기 제 2 회전익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추진 기관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가 설치되는 설치면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설치면을 통해 상기 본체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진동 저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저감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케이스측 돌출체와,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중앙 돌출체와, 상기 설치면 상에 놓이면서 상기 중앙 돌출체를 지지하는 지지 몸체와, 상기 지지 몸체의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지지측 돌출체와, 상기 지지측 돌출체의 중앙부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중앙 돌출체가 삽입되는 지지측 삽입홀과,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는 가이드측 삽입홀과, 상기 지지측 돌출체의 양측 말단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측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의 하강 또는 상기 지지 몸체의 상승을 가이드하는 돌출 가이드체와, 상기 지지 몸체에서 소정 깊이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지지측 함몰홀과, 상기 지지측 삽입홀과 상기 지지측 함몰홀을 서로 연통시키는 지지측 연통홀과, 상기 지지측 함몰홀의 내측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부풀어 오를 수 있는 한 쌍의 팽창체와,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의 양측 저면 말단부에 배치되는 상측 영구 자석과, 상기 중앙 돌출체의 양측 저면 말단부에 배치되는 하측 영구 자석과, 상기 지지측 돌출체의 상면 중 상기 상측 영구 자석과 대면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상측 전자석과, 상기 지지측 삽입홀의 내측 저면 중 상기 하측 영구 자석과 대면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하측 전자석과, 상기 지지측 함몰홀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전자석과 상기 하측 전자석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 인가 버튼과, 상기 중앙 돌출체의 저면과 상기 지지측 함몰홀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돌출체 및 상기 지지 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면에서 상기 본체부로 상기 진동이 전달되어 상기 본체부가 하강되거나 상기 지지 몸체가 상승되면, 상기 중앙 돌출체 및 상기 지지 몸체가 서로 근접되어 상기 탄성체에는 복원력이 축적되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와, 상기 중앙 돌출체와, 상기 지지측 돌출체 및 상기 지지측 삽입홀 사이에 있던 에어가 상기 지지측 연통홀을 통해 상기 지지측 함몰홀로 유입되고, 상기 지지측 함몰홀로 유입된 상기 에어에 의해 상기 각 팽창체가 상기 지지측 함몰홀의 내측면 쪽으로 부풀어지고, 부풀어 오른 상기 팽창체 중 하나가 상기 전원 인가 버튼을 가압하여 상기 상측 전자석 및 상기 하측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상측 전자석 및 상기 상측 영구 자석이 서로 밀어내게 되고, 상기 하측 전자석 및 상기 하측 영구 자석이 서로 밀어내게 되고, 그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설치면을 통해 상기 본체부로 전달되는 상기 진동이 1차적으로 저감될 수 있고, 상기 상측 전자석 및 상기 상측 영구 자석이 서로 밀어내게 되고, 상기 하측 전자석 및 상기 하측 영구 자석이 서로 밀어내게 될 때, 상기 탄성체도 축적된 복원력이 복원됨으로써 상기 중앙 돌출체 및 상기 지지 몸체가 이격되고, 그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설치면을 통해 상기 본체부로 전달되는 상기 진동이 2차적으로 저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에 의하면, 상기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가 추진 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추진 기관이 회전력 공급 수단과, 제어부와, 제 1 회전익 작동부와, 제 2 회전익 작동부와, 본체부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의 전체적인 무게를 경량화하여 비행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 경량화에 따라 연료 소비도 함께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를 구성하는 진동 저감 부재를 확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를 구성하는 진동 저감 부재가 작동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의 모습을 보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를 구성하는 진동 저감 부재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를 구성하는 진동 저감 부재가 작동된 모습을 보이는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는 전후진 및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비행체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고, 서로 수직을 이루면서 배치되는 두 개의 회전익(124, 136)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추진 기관(100)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회전익을 가지는 비행체는 전후진 및 수직 이착륙이 가능한 것으로서, 헬기 또는 드론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고, 이러한 회전익을 가지는 상기 비행체는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상기 추진 기관(100) 외에도 외곽 틀을 이루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비행체를 작동시키는 구성 요소들이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익을 가지는 상기 비행체는 일반적인 형태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그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추진 기관(100)은 회전력 공급 수단(111)과, 제어부(112)와, 제 1 회전익 작동부(120)와, 제 2 회전익 작동부(130)와, 본체부(1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추진 기관(100)은 진동 저감 부재(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은 두 개의 상기 회전익에 함께 연결되어 두 개의 상기 회전익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기 모터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2)는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은 상기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익 작동부(120) 및 상기 제 2 회전익 작동부(130) 중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공급하게 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 1 회전익 작동부(120)는 두 개의 상기 회전익 중 어느 하나인 제 1 회전익(124)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의 회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 1 회전익(124)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1 회전익 작동부(120)는 상기 제 1 회전익(124)과 함께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121)과, 제 1 회전익 샤프트(shaft)(123)와, 제 1 원웨이 클러치(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회전익(124)은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121)에 복수 개가 등각으로 이격되면서 연결되며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에 유동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121)은 소정 길이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의 일측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회전익 샤프트(123)는 소정 길이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회전익(124)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121)의 중심축과 상기 제 1 회전익 샤프트(123)의 중심축은 서로 동일한 일직선 상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122)는 상기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121)과 상기 제 1 회전익 샤프트(123)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121)에서 상기 제 1 회전익 샤프트(123)로 전달시키되, 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원웨이 클러치는 원웨이 베어링이라고도 부르며, 일측 방향으로는 회전력을 전달하되, 타측 방향으로는 회전력을 제한시키는 것으로,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122) 및 후술되는 제 2 원웨이 클러치(132)도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122)에 의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의 상기 회전력이 상기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121) 및 상기 제 1 회전익 샤프트(123)를 통해 상기 제 1 회전익(124)에 전달되어 상기 제 1 회전익(124)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이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의 상기 회전력은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122)에 의해 제한되어 상기 제 1 회전익 샤프트(123)로 전달되지 아니한다.
상기 제 2 회전익 작동부(130)는 두 개의 상기 회전익 중 다른 하나인 제 2 회전익(136)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의 회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 2 회전익(136)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제 2 회전익 작동부(130)는 상기 제 2 회전익(136)과 함께,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131)과, 제 2 회전익 샤프트(shaft)(133)와, 제 2 원웨이 클러치(132)와,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135)과, 수직 회전력 전달 기어(13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회전익(136)은 소정 길이 길게 형성되고,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135)에 복수 개가 등각으로 이격되면서 연결되며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에서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어 공기에 유동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회전익(124)과 상기 제 2 회전익(136)은 서로 수직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회전익(136)은 상기 제 1 회전익(124)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제 2 회전익(136)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원의 직경이 상기 제 1 회전익(124)의 회전에 의해 형성되는 원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131)은 소정 길이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의 타측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의 일측 회전축 및 타측 회전축은 서로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면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133)는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131)의 중심축과 평행한 중심축을 가지되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131)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132)는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131)과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133)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에서 공급되는 상기 회전력을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131)에서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133)로 전달시키되,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122)에 의한 전달 방향과 반대되는 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122)가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의 상기 회전력 중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121)에서 상기 제 1 회전익 샤프트(123)로 전달시키면,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132)는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의 상기 회전력 중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상기 제 2 회저력 전달 수단에서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133)로 전달시키게 된다.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135)은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133)와 수직되게 배치되고, 그 말단부에 상기 제 2 회전익(136)이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기어(134)는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133)와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135)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133)로 전달된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의 회전력을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135)으로 전달시키는 것으로, 베벨 기어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익 작동부(130)가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12)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이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132)에 의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의 상기 회전력이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131) 및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133)를 통해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기어(134)로 전달된 다음,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기어(134)에서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135)을 통해 상기 제 2 회전익(136)에 전달되어 상기 제 2 회전익(136)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본체부(110)는 그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 및 상기 제어부(112)가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진동 저감 부재(140)는 상기 본체부(110) 및 상기 본체부(110)가 설치되는 설치면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설치면을 통해 상기 본체부(110)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진동 저감 부재(140)는 상기 본체부(110)의 하측에 복수 개가 이격되면서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진동 저감 부재(140)는 케이스측 돌출체(151)와, 중앙 돌출체(152)와, 지지 몸체(141)와, 지지측 돌출체(142)와, 지지측 삽입홀(144)과, 가이드측 삽입홀(153)과, 돌출 가이드체(143)와, 지지측 함몰홀(146)과, 지지측 연통홀(145)과, 한 쌍의 팽창체(147)와, 상측 영구 자석(154)과, 하측 영구 자석(155)과, 상측 전자석(148)과, 하측 전자석(149)과, 전원 인가 버튼(150)과, 탄성체(156)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151)는 상기 본체부(11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중앙 돌출체(152)는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151)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 몸체(141)는 상기 설치면 상에 놓이면서 상기 중앙 돌출체(152)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측 돌출체(142)는 상기 지지 몸체(141)의 중앙부 중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151)와 대면되는 부분에서 상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측 삽입홀(144)은 상기 지지측 돌출체(142) 중 상기 중앙 돌출체(152)와 대면되는 부분인 상기 지지측 돌출체(142)의 중앙부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중앙 돌출체(152)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측 삽입홀(153)은 상기 본체부(110)의 저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는 것이다.
상기 돌출 가이드체(143)는 상기 지지측 돌출체(142)의 말단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측 삽입홀(153)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151)의 하강 또는 상기 지지 몸체(141)의 상승을 가이드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 가이드체(143)가 상기 가이드측 삽입홀(15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151) 및 상기 지지 몸체(141)가 상하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상기 돌출 가이드체(143)는 상기 케이측 돌출체의 외벽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측 함몰홀(146)은 상기 지지 몸체(141)에서 소정 깊이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측 연통홀(145)은 상기 지지측 삽입홀(144)과 상기 지지측 함몰홀(146)을 서로 연통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151)의 하부와 상기 지지측 돌출체(142)의 상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지지측 삽입홀(144)과, 상기 지지측 함몰홈 및 상기 지지측 연통홀(145)과 서로 연통되는 밀폐홀을 형성하게 된다.
한 쌍의 상기 팽창체(147)는 상기 지지측 함몰홀(146)의 내측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고무 등의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부풀어 오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상측 영구 자석(154)은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151)의 양측 저면 말단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하측 영구 자석(155)은 상기 중앙 돌출체(152)의 양측 저면 말단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상측 전자석(148)은 상기 지지측 돌출체(142)의 상면 중 상기 상측 영구 자석(154)과 대면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전자석이다.
상기 하측 전자석(149)은 상기 지지측 삽입홀(144)의 내측 저면 중 상기 하측 영구 자석(155)과 대면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전자석이다.
상기 상측 전자석(148)은 전기 에너지가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 영구 자석(154)을 대면하는 쪽이 상기 상측 영구 자석(154)에서 상기 상측 전자석(148)을 대면하는 쪽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하측 전자석(149)은 상기 전기 에너지가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하측 영구 자석(155)을 대면하는 쪽이 상기 하측 영구 자석(155)에서 상기 하측 전자석(149)을 대면하는 쪽과 동일한 극성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그러면, 상기 전기 에너지가 인가될 때, 상기 상측 전자석(148)과 상기 상측 영구 자석(154)은 서로를 밀어 주게 되고, 상기 하측 전자석(149)과 상기 하측 영구 자석(155)은 서로를 밀어 주게 된다.
상기 전원 인가 버튼(150)은 상기 지지측 함몰홀(146)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전자석(148)과 상기 하측 전자석(149)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전원 인가 버튼(150)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상측 전자석(148)과 상기 하측 전자석(149)에 상기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고, 상기 전원 인가 버튼(15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상측 전자석(148) 및 상기 하측 전자석(149)에 대한 상기 전기 에너지의 공급이 제거된다.
상기 탄성체(156)는 상기 중앙 돌출체(152)의 저면과 상기 지지측 함몰홀(146)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돌출체(152) 및 상기 지지 몸체(141)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압축 스프링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설치면에서 상기 본체부(110)로 상기 진동이 전달되어 상기 본체부(110)가 하강되거나 상기 지지 몸체(141)가 상승되면, 상기 중앙 돌출체(152) 및 상기 지지 몸체(141)가 서로 근접되어 상기 탄성체(156)에는 복원력이 축적되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151)와, 상기 중앙 돌출체(152)와, 상기 지지측 돌출체(142) 및 상기 지지측 삽입홀(144) 사이에 있던 에어가 상기 지지측 연통홀(145)을 통해 상기 지지측 함몰홀(146)로 유입되고, 상기 지지측 함몰홀(146)로 유입된 상기 에어에 의해 상기 각 팽창체(147)가 상기 지지측 함몰홀(146)의 내측면 쪽으로 부풀어지고, 부풀어 오른 상기 팽창체(147) 중 하나가 상기 전원 인가 버튼(150)을 가압하여 상기 상측 전자석(148) 및 상기 하측 전자석(149)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상측 전자석(148) 및 상기 상측 영구 자석(154)이 서로 밀어내게 되고, 상기 하측 전자석(149) 및 상기 하측 영구 자석(155)이 서로 밀어내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151) 및 상기 지지 몸체(141)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됨으로써 외부로부터 상기 설치면을 통해 상기 본체부(110)로 전달되는 상기 진동이 1차적으로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측 전자석(148) 및 상기 상측 영구 자석(154)이 서로 밀어내게 되고, 상기 하측 전자석(149) 및 상기 하측 영구 자석(155)이 서로 밀어내게 될 때, 상기 탄성체(156)도 축적된 복원력이 복원됨으로써 상기 중앙 돌출체(152) 및 상기 지지 몸체(141)가 이격되고, 그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설치면을 통해 상기 본체부(110)로 전달되는 상기 진동이 2차적으로 저감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12)가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에 명령하여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의 상기 일측 회전축과 상기 타측 회전축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122)가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에서 공급되는 상기 회전력을 상기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121)에서 상기 제 1 회전익 샤프트(123)로 전달한다.
상기 제 1 회전익 샤프트(123)와 연결된 상기 제 1 회전익(124)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에서 공급되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상기 제 2 회전익(136)은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132)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제어부(112)가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에 명령하여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의 상기 일측 회전축과 상기 타측 회전축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132)가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에서 공급되는 상기 회전력을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131)에서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133)로 전달하고,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133)는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기어(134)를 통해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135)에 전달한다.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135)에 연결된 상기 제 2 회전익(136)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에서 공급되는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상기 제 1 회전익(124)은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122)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가 상기 추진 기관(100)을 포함하고, 상기 추진 기관(100)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111)과, 상기 제어부(112)와, 상기 제 1 회전익 작동부(120)와, 상기 제 2 회전익 작동부(130)와, 상기 본체부(11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의 전체적인 무게를 경량화하여 비행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게 경량화에 따라 연료 소비도 함께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에 의하면, 상기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가 상기 추진 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추진 기관을 구성하는 회전력 공급 수단에 두 개의 사익 회전익이 함께 연결되어 상기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의 전체적인 무게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추진 기관 110 : 본체부
111 : 회전력 공급 수단 112 : 제어부
120 : 제 1 회전익 작동부 121 :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
122 : 제 1 원웨이 클러치 123 : 제 1 회전익 샤프트
124 : 제 1 회전익 130 : 제 2 회전익 작동부
131 :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 132 : 제 2 원웨이 클러치
133 : 제 2 회전익 샤프트 134 : 수직 회전력 전달 기어
135 :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 140 : 진동 저감 부재

Claims (4)

  1. 전후진 및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비행체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고, 서로 수직을 이루면서 배치되는 두 개의 회전익을 선택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추진 기관;을 포함하고,
    상기 추진 기관은
    두 개의 상기 회전익에 함께 연결되어 두 개의 상기 회전익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회전력 공급 수단과,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두 개의 상기 회전익 중 어느 하나인 제 1 회전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회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 1 회전익을 작동시키는 제 1 회전익 작동부와,
    두 개의 상기 회전익 중 다른 하나인 제 2 회전익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회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제 2 회전익을 작동시키는 제 2 회전익 작동부와,
    그 내부에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 및 상기 제어부가 수용되는 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 1 회전익 작동부 및 상기 제 2 회전익 작동부 중 선택적으로 회전력을 공급하게 되고,
    상기 제 1 회전익 작동부는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일측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과,
    상기 제 1 회전익에 연결되는 제 1 회전익 샤프트(shaft)와,
    상기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과 상기 제 1 회전익 샤프트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상기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에서 상기 제 1 회전익 샤프트로 전달시키되, 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도록 하는 제 1 원웨이 클러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회전익 작동부는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타측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과,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의 중심축과 평행한 중심축을 가지고,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에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회전익 샤프트(shaft)와,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과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에서 공급되는 상기 회전력을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에서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로 전달시키되,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에 의한 전달 방향과 반대되는 한 방향으로만 전달되도록 하는 제 2 원웨이 클러치와,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와 수직되게 배치되고, 그 말단부에 상기 제 2 회전익이 연결되는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과,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와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로 전달된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상기 회전력을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으로 전달시키는 수직 회전력 전달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1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상기 회전력이 상기 제 1 회전력 전달 수단 및 상기 제 1 회전익 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 1 회전익에 전달되어 상기 제 1 회전익을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이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제 2 원웨이 클러치에 의해 상기 회전력 공급 수단의 상기 회전력이 상기 제 2 회전력 전달 수단 및 상기 제 2 회전익 샤프트를 통해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기어로 전달된 다음,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기어에서 상기 수직 회전력 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제 2 회전익에 전달되어 상기 제 2 회전익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추진 기관은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가 설치되는 설치면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상기 설치면을 통해 상기 본체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진동 저감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 저감 부재는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케이스측 돌출체와,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의 중앙부에서 하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중앙 돌출체와,
    상기 설치면 상에 놓이면서 상기 중앙 돌출체를 지지하는 지지 몸체와,
    상기 지지 몸체의 중앙부에서 상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지지측 돌출체와,
    상기 지지측 돌출체의 중앙부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중앙 돌출체가 삽입되는 지지측 삽입홀과,
    상기 본체부의 저면에서 소정 깊이 함몰되는 가이드측 삽입홀과,
    상기 지지측 돌출체의 양측 말단부에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측 삽입홀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의 하강 또는 상기 지지 몸체의 상승을 가이드하는 돌출 가이드체와,
    상기 지지 몸체에서 소정 깊이 깊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지지측 함몰홀과,
    상기 지지측 삽입홀과 상기 지지측 함몰홀을 서로 연통시키는 지지측 연통홀과,
    상기 지지측 함몰홀의 내측에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부풀어 오를 수 있는 한 쌍의 팽창체와,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의 양측 저면 말단부에 배치되는 상측 영구 자석과,
    상기 중앙 돌출체의 양측 저면 말단부에 배치되는 하측 영구 자석과,
    상기 지지측 돌출체의 상면 중 상기 상측 영구 자석과 대면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상측 전자석과,
    상기 지지측 삽입홀의 내측 저면 중 상기 하측 영구 자석과 대면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하측 전자석과,
    상기 지지측 함몰홀의 내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상측 전자석과 상기 하측 전자석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원 인가 버튼과,
    상기 중앙 돌출체의 저면과 상기 지지측 함몰홀의 내측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중앙 돌출체 및 상기 지지 몸체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설치면에서 상기 본체부로 상기 진동이 전달되어 상기 본체부가 하강되거나 상기 지지 몸체가 상승되면, 상기 중앙 돌출체 및 상기 지지 몸체가 서로 근접되어 상기 탄성체에는 복원력이 축적되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측 돌출체와, 상기 중앙 돌출체와, 상기 지지측 돌출체 및 상기 지지측 삽입홀 사이에 있던 에어가 상기 지지측 연통홀을 통해 상기 지지측 함몰홀로 유입되고, 상기 지지측 함몰홀로 유입된 상기 에어에 의해 상기 각 팽창체가 상기 지지측 함몰홀의 내측면 쪽으로 부풀어지고, 부풀어 오른 상기 팽창체 중 하나가 상기 전원 인가 버튼을 가압하여 상기 상측 전자석 및 상기 하측 전자석에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상기 상측 전자석 및 상기 상측 영구 자석이 서로 밀어내게 되고, 상기 하측 전자석 및 상기 하측 영구 자석이 서로 밀어내게 되고, 그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설치면을 통해 상기 본체부로 전달되는 상기 진동이 1차적으로 저감될 수 있고,
    상기 상측 전자석 및 상기 상측 영구 자석이 서로 밀어내게 되고, 상기 하측 전자석 및 상기 하측 영구 자석이 서로 밀어내게 될 때, 상기 탄성체도 축적된 복원력이 복원됨으로써 상기 중앙 돌출체 및 상기 지지 몸체가 이격되고, 그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설치면을 통해 상기 본체부로 전달되는 상기 진동이 2차적으로 저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10139545A 2021-10-19 2021-10-19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 KR102356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45A KR102356107B1 (ko) 2021-10-19 2021-10-19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545A KR102356107B1 (ko) 2021-10-19 2021-10-19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107B1 true KR102356107B1 (ko) 2022-02-08

Family

ID=80251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545A KR102356107B1 (ko) 2021-10-19 2021-10-19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1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73950A (en) * 1917-06-22 1918-07-30 Robert F J Teltzrow Flying-machine.
US2030078A (en) * 1934-04-06 1936-02-11 Sidney P Vaughn Helicopter
KR101845964B1 (ko) 2016-11-29 2018-04-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 및 공중 탐사가 가능한 수공양용 드론
KR101998799B1 (ko) 2018-01-31 2019-07-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찰 및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드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73950A (en) * 1917-06-22 1918-07-30 Robert F J Teltzrow Flying-machine.
US2030078A (en) * 1934-04-06 1936-02-11 Sidney P Vaughn Helicopter
KR101845964B1 (ko) 2016-11-29 2018-04-0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수중 및 공중 탐사가 가능한 수공양용 드론
KR101998799B1 (ko) 2018-01-31 2019-07-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찰 및 정보 제공을 수행하는 드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502152B (zh) 具有机体和推力产生单元装置的多旋翼飞行器
KR100812756B1 (ko) 요잉제어가 용이한 쿼드로콥터
US9272779B2 (en) Aircraft with pivoting rotor mast
US10974824B2 (en) Electric powered direct drive rotor motor
US10501173B1 (en) Magnetic rotor alignment for aircraft
EP2757040B1 (en) System and method of harvesting power with a rotor hub damper
US8328129B2 (en) Vibration-attenuating hard-mounted pylon
US10926873B2 (en) Electric powered direct drive rotor motor with integrated mechanical flight control
CN111065577A (zh) 驱动机构
KR100812755B1 (ko) 단동력 제어 쿼드로콥터
US20130119591A1 (en) Vibration Isolation System
US201102596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Vibration Isolation
EP2673530B1 (en) Pylon mounting system with vibration isolation
US7134840B2 (en) Rotor system for a remotely controlled aircraft
EP3406518B1 (en) Linear sensor feel module for aircraft controls
KR102356107B1 (ko) 두 개의 회전익을 가지는 추진 기관이 적용된 비행체
CN103171763A (zh) 新型无人机
US11148784B2 (en) Propeller system with directional thrust control
WO2022009319A1 (ja) 飛行体及び動力装置
KR20190081361A (ko) 드론용 틸팅 블레이드 어셈블리
KR102251286B1 (ko) 호버링 가능한 항공기용 로터
JP2017190091A (ja) トレイ型マルチコプター
CN105387111A (zh) 一种电磁阻尼器
CN115367106A (zh) 倾转旋翼无人机
KR102336741B1 (ko) 이륙 제어장치가 구비된 무인 비행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