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422B1 -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422B1
KR102355422B1 KR1020170063561A KR20170063561A KR102355422B1 KR 102355422 B1 KR102355422 B1 KR 102355422B1 KR 1020170063561 A KR1020170063561 A KR 1020170063561A KR 20170063561 A KR20170063561 A KR 20170063561A KR 102355422 B1 KR102355422 B1 KR 102355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ptical sensor
touch pad
data
handwr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246A (ko
Inventor
최영록
정연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3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422B1/ko
Publication of KR20180128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4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6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cursive wri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은 터치패드가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광학센서가 상기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마이컴이 상기 광학센서의 필기 입력 감지 순서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및 헤드유닛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수신한 입력 데이터를 필기인식 엔진으로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광학센서, 상기 광학센서의 필기 입력 감지 순서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수신한 입력 데이터를 필기인식 엔진으로 조합하는 헤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및 장치{Methods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isreading of touch pad}
본 발명은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입력장치 사용 시 중앙 터치패드가 필기 오인식을 보완하기 위한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은 오목형 조작계 중앙의 터치 패드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받아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오목형 중앙 집중식 조작계의 경우 사용자가 실제 조작계를 보지 않고 조작하게 되고, 중앙의 터치 패드 면을 보지 않고 필기 입력을 하다 보면 오인식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 발명의 터치 패드 장치(100)는 터치패드 영역(110), 물리휠(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드(110)는 상기 터치패드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물리휠(120)은 상기 터치패드(11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리휠(120)은 상기 터치패드와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종래 발명의 경우, 사용자가 터치패드를 보지 않고 필기 입력 중 차량 이동, 흔들림 등에 의해 터치 패드 영역 외의 부분(1300)에 필기 입력을 할 경우, 오인식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와 같이 사용자가 "감"이라는 입력 데이터를 입력을 하였으나, 상기 입력 문자의 일부가 터치패드 영역 외의 부분(130)에 입력되어, 오인식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기 입력이 오인식 되는 경우, "감" 이라는 입력 데이터를 "가" 또는 "간" 등 다른 입력 데이터로 인식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발명의 터치 패드 장치(100)는 "감"이라는 입력문자의 일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210). 상기 일부 데이터는 터치패드 영역에 인식된 문자의 일부 일 수 있다.
상기 입력 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터치 패드 장치(100)는 필기 인식 엔진에 상기 입력문자의 일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S220).
상기 필기 인식 엔진은 상기 입력문자의 일부 데이터 입력 시 입력이 완료되지 않은 영역을 유추하여 사용자에게 여러 개의 후보 문자를 출력할 수 있다(S230). 사용자는 상기 여러 개의 후보 문자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S240).
하지만, 종래 발명의 터치 패드 장치는 상기와 같이 필기인식 엔진의 성능만으로는 입력글자 인식에 대한 빠른 시스템 반응속도를 구현하기 어려우며, 여러 개의 후보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그 중 하나를 선택하여 대기시간이 새기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사용자가 터치 패드 영역을 벗어나게 입력하는 경우에 오인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리휠에 광학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 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은 터치패드가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광학센서가 상기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마이컴이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와 상기 광학센서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헤드유닛이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수신한 입력 데이터를 필기인식 엔진으로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광학센서,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와 상기 광학센서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마이컴 및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수신한 입력 데이터를 필기인식 엔진으로 조합하는 헤드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목형 조작계는 사용자가 조작계를 보지 않고 입력하는 방식이므로, 터치패드 외의 영역에 필기 입력이 발생할 소지가 다분하며, 특히 주행 중에는 잦은 영역 이탈이 예상되므로, 해당 상황 발생 시에도 고객의 의도대로 인식하여 고객 사용성을 향상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새로운 접근인 오목형 조작계의 취약점을 보완하여, 좀 더 발전적으로 고객지향적인 지능화된 입력장치라는 이미지를 강하게 출력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 내지 2는 종래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의 외견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센서를 활용한 사용자 필기 입력의 위치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 "전(앞) 또는 후(뒤)"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 및"전(앞) 또는 후(뒤)"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오목형 조작계 중앙의 터치 패드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받는 경우, 물리휠에 설치된 광학센서를 통해 터치 패드 영역을 벗어난 필기를 인식하여, 사용자가 터치 패드 영역을 벗어나게 입력하는 경우에 오인식을 방지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 및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 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는 터치패드(310), 물리휠(320), 광학센서(330), 마이컴(340) 및 헤드유닛(35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드(31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드(310)는 사용자에 의해 명령이 입력되는 부위이고, 예를 들어 정전식 터치스크린 패널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드(310)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물리휠(320)은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입력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물리휠(320)은 버튼, 조그휠, 스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센서(330)는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을 전기적 신호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광학센서(330)는 포토센서, 적외선 센서 및 이미지 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컴(340)은 상기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한 광학센서(330)의 입력을 순차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340)은 상기 광학센서(33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의 필기 입력 여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340)은 상기 입력 데이터가 필기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입력 데이터를 무시할 수 있다. 상기 마이컴(340)은 입력 데이터가 입력된 광학센서(330) 주변의 터치패드(310)에 기 설정된 시간 이전에 입력된 데이터가 있는 경우 필기 입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
헤드유닛(350)은 상기 마이컴(340)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필기인식 엔진으로 조합하여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헤드유닛(350)은 상기 터치패드(31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상기 광학센서(33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필기에 대응하는 궤적의 위치 및 순서에 기초하여 결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헤드유닛(350)은 상기 마이컴(340)에서 입력받은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와 상기 광학센서 입력 데이터를 필기인식 엔진으로 조합하여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헤드유닛(350)은 필기인식 엔진에서 추가적인 사용자 필기 입력 예측 단계를 뛰어넘어 바로 결과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터치패드(310)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드(31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리휠(320)은 상기 터치패드(31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드는(310)는 상기 물리휠(320)의 하단부분과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물리휠(320)은 상기 터치패드(310)와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터치 패드(310)가 오목한 형태로 상기 물리휠(320)과 결합 될 수 있다.
광학센서(330)는 상기 물리휠(320)에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학센서(33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상기 광학 센서(330)는 상기 물리휠(320) 영역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광학센서(330)는 상기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광학센서(330)는 물리휠 조작 시에도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이 오 인식된 입력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터치 패드 입력 감지하는 단계(S410), 광학센서(330)가 상기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S420), 마이컴(340)이 상기 광학센서의 필기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30), 마이컴(340) 터치패드(310)로부터 수신한 입력 데이터와 광학센서(330)로부터 수신한 입력 데이터를 조합하는 단계(S440) 및 상기 조합된 결과 데이터를 헤드유닛(350)으로 전송하는 단계(S45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드 입력 감지 단계는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410). 상기 광학센서(330)가 상기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S420)는 상기 광학센서(330)가 물리휠(350)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물리휠(350) 조작 시에도 광학센서(330)를 통해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컴(340)은 상기 광학센서의 필기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420). 상기 마이컴(340)이 필기 입력 여부 판단 방법은 입력된 광학센서(330) 주변의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시간 이전에 입력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여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광학센서(330) 주변의 터치패드에 기 설정된 시간 이전에 입력된 데이터가 없는 경우, 마이컴(340)은 상기 광학센서(330)의 입력 데이터를 무시할 수 있다(S435).
상기 입력 데이터를 무시하는 경우,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은 상기 광학센서의 입력 감지 단계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마이컴(340)이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와 광학센서(330) 입력 데이터를 조합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와 마이컴(340)에서 받은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와 상기 광학센서 입력 데이터를 필기인식 엔진으로 조합하여 전달하여 입력 문자의 결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S440).
마이컴(340)은 상기 결과 데이터를 상기 출력된 결과 데이터를 헤드유닛(350)으로 전송할 수 있다(450). 상기 헤드유닛(350)은 상기 결과 데이터를 사용자의 입력 문자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센서를 활용한 사용자 필기 입력의 위치 인식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는 광학센서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사용자 필기 입력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200)는 터치 영역을 벗어나 물리휠 영역의 사용자 필기 입력의 움직임을 각 광학센서(331,332,333)가 감지할 수 있다.
마이컴(340)은 상기 각각의 광학센서(331,332,333)에 대응하여 센서번호에 대응하여 사용자 필기 입력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마이컴(340)은 사용자 필기 입력을 감지한 각 광학센서(331,332,333)의 입력을 순차적으로 기억할 수 있다.
마이컴(340)은 상기 각 광학센서(331,332,333)의 입력된 순서를 연결한 뒤 그 결과 데이터를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와 함께 헤드유닛(350)으로 출력할 수 있다.
헤드유닛(350)은 상기 마이컴(340)으로부터 수신한 터치패드의 입력 데이터 및 광학센서의 입력 데이터를 필기인식 엔진으로 조합하여 결과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필기인식 엔진은 상기 결과 데이터에 대응하여, 추가적인 사용자 필기 입력 예측 단계를 뛰어넘어 바로 결과 데이터를 찾을 수 있다.
도 7 내지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를 참조하면,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는 터치패드(310), 상기 터치패드를 감싸는 물리휠(320), 상기 물리휠의 일부 영역에 배치되는 광학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감"의 입력 데이터 중 일부가 벗어난 경우, 광학센서(330)는 터치영역에서 벗어난 손가락의 움직임 경로를 취득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에"감"이라는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입력 문자의 일부가 터치패드 영역 외의 부분에 입력되는 경우, 상기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의 광학센서(330)는 터치패드 영역 외의 부분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광학센서(330)는 상기 터치패드 영역 외의 부분의 입력을 감지하는 순서에 따라, 제1 광학센서(331), 제2 광학센서(332), 제3 광학센서(33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터치 패드 이외의 부분을 입력하는 경우, 제1 광학센서(331)가 최초로 감지된다. 마이컴(340)은 상기 제1 광학센서(331)에 의해 감지된 제1 입력 데이터(710)를 저장할 수 있다.
도 8(b)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3 광학센서(333)에 감지되고, 이후에 제2 광학센서(332)에 감지될 수 있다. 마이컴(340)은 상기 제2 광학센서 및 제3 광학센서에 의해 감지된 제2 입력 데이터(720)를 저장할 수 있다.
도 8(c)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손가락이 제2 광학센서(332)에 감지될 수 있다. 마이컴(340)은 상기 제2 광학센서 의해 감지된 제3 입력 데이터(730)를 저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헤드유닛(350)은 마이컴(340)으로부터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810)와 광학센서(33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궤적 데이터(820)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헤드유닛(350)은 상기 터치패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810)와 광학센서(33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궤적 데이터(820)를 위치 및 순서 기반으로 합하여, 결과 데이터(81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과 데이터는 필기 인식 엔진에 의하여 "감"이라는 문자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을 활용한 장치는 불필요하게 여러 개의 후보 문자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되고, 사용자의 불필요한 조작에 따라 후보군 중 선택하는 단계를 생략하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입력 데이터 저장시스템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310: 터치패드
320: 물리휠
330: 광학센서
340: 마이컴
350: 헤드유닛

Claims (19)

  1.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에 있어서,
    터치패드가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광학센서가 상기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마이컴이 상기 터치패드로부터 수신한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와 상기 광학센서의 입력된 순서를 연결한 궤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및
    헤드유닛이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 및 상기 궤적 데이터를 필기인식 엔진으로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이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 및 상기 궤적 데이터를 필기인식 엔진으로 조합하는 단계는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와 상기 궤적 데이터의 위치 및 순서에 기초하여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수행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가 상기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광학센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센서번호에 대응하여 사용자 필기 입력의 위치를 판단하도록 수행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가 상기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광학센서가 물리휠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도록 수행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의 필기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의 필기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컴이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가 필기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광학센서의 입력 데이터를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의 필기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컴이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가 필기 입력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입력 데이터를 상기 헤드유닛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의 필기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광학센서의 입력 데이터가 감지된 광학센서 주변의 터치패드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전에 입력된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광학센서의 입력 데이터를 필기 입력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와 상기 광학센서 입력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광학센서의 필기 입력 감지 순서에 대응하는 필기 입력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도록 수행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해독 가능 기록 매체.
  11.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드;
    상기 터치패드 영역을 벗어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광학센서;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와 상기 광학센서의 입력된 순서를 연결한 궤적 데이터를 저장하는 마이컴; 및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 및 상기 궤적 데이터를 필기인식 엔진으로 조합하는 헤드유닛을 포함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은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 상기 궤적 데이터의 위치 및 순서에 기초하여 결과 데이터를 출력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광학센서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센서번호에 대응하여 사용자 필기 입력의 위치를 판단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센서를 포함하는 물리휠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학센서는 상기 물리휠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광학센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의 필기 입력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가 필기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광학센서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무시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가 필기 입력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광학센서를 통해 입력 데이터를 상기 헤드유닛으로 출력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터치패드 입력 데이터가 감지된 광학센서 주변의 터치패드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전에 입력된 데이터가 있는 경우,
    상기 광학센서의 입력 데이터를 필기 입력으로 판단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광학센서의 필기 입력 감지 순서에 대응하는 상기 궤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장치.
KR1020170063561A 2017-05-23 2017-05-23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2355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561A KR102355422B1 (ko) 2017-05-23 2017-05-23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561A KR102355422B1 (ko) 2017-05-23 2017-05-23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246A KR20180128246A (ko) 2018-12-03
KR102355422B1 true KR102355422B1 (ko) 2022-01-26

Family

ID=6474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561A KR102355422B1 (ko) 2017-05-23 2017-05-23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4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0241A (ja) * 2015-06-22 2017-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497B1 (ko) * 2013-12-10 2019-05-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조작계 보조 시스템 및 그 방법
US9921739B2 (en) * 2014-03-03 2018-03-20 Microchip Technology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control
KR20170027595A (ko) * 2015-09-02 2017-03-10 주식회사 서연전자 자동차용 멀티미디어기의 스위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0241A (ja) * 2015-06-22 2017-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画像表示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246A (ko) 2018-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5624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1042291B2 (en) Text in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CN1322329B (zh) 采用扫描传感器的输入设备
EP3451137A1 (en) Application initializa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969047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7884806B2 (en) Proximity sensor device and method with keyboard emulation
US20080136678A1 (en) Data input using knocks
KR20130099745A (ko) 터치 단말기의 입력 신호 구분 장치 및 방법
EP1085500B1 (en) Voice recognition for controlling a device
US11579727B2 (en) Input device and method of detecting an input
US9361022B2 (en) Character input apparatus
CN107390931B (zh) 触摸操作的响应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7774518B2 (en) Method for switching of KVM switch ports and related device
CN105630397A (zh) 一种弹出框的打开方法及终端设备
US201500331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input
KR102355422B1 (ko) 터치 패드 오인식 방지 방법 및 장치
CN106874757A (zh) 恶意软件的卸载方法、恶意软件的卸载系统和终端
US20140210739A1 (en) Operation receiver
KR101701207B1 (ko) 터치 스크린의 입력 좌표 보정 장치 및 그 보정 방법
US20120242587A1 (en)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KR101495786B1 (ko) 터치 인식 방법 및 터치 인식 장치
US20110316791A1 (en) Touch pad character entering system and method
US10203774B1 (en) Handheld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8712717B2 (en) Computer device with digitizer calibration system and method
US20120188175A1 (en) Single Finger Gesture Determination Method, Touch Control Chip, Touch Control System and Compute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